KR102258283B1 -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58283B1 KR102258283B1 KR1020200002963A KR20200002963A KR102258283B1 KR 102258283 B1 KR102258283 B1 KR 102258283B1 KR 1020200002963 A KR1020200002963 A KR 1020200002963A KR 20200002963 A KR20200002963 A KR 20200002963A KR 102258283 B1 KR102258283 B1 KR 1022582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xtract
- composition
- fermentation
- fermented
- inflamm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19—Acanthaceae (Acanthus fami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9—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fermentation using yeast, bacteria or both; enzymatic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Immu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천심련, 곰보배추, 작두콩, 가시오가피, 느릅나무 및 노나무를 원료로 포함하는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및 부비동염 등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천심련, 곰보배추, 작두콩, 가시오가피, 느릅나무 및 노나무를 원료로 포함하는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만성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및 부비동염 등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염증(inflammation)은 물리적인 외상, 유해한 화학물질, 미생물에 의한 감염이나 생체 내 대사산물 중의 자극성 물질에 의하여 야기되는 조직손상에 대하여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정상적이고 보호적인 생체 내 방어기전의 발현이다.
이러한 염증은 손상조직과 이동하는 세포(migrating cells)로부터 생산되는 다양한 화학매개인자에 의하여 촉발되며, 이들 화학매개인자들은 염증과정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상적인 경우에 생체는 염증반응을 통하여 발병 요인을 중화시키거나 제거하고 상한 조직을 재생시켜서 정상적인 구조와 기능을 회복시키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만성 염증과 같은 질병 상태로 진행되기도 한다.
알레르기란 외부 물질(알레르겐)에 대해 개체의 면역 기전이 보통보다도 과민한 반응을 나타낼 때 유발되는 반응을 의미한다.
생체에 있어서 염증 또는 알레르기 질환을 유도하는 원인으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또는 류코트리엔(Leukotrien)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프로스타글란딘은 환상구조를 지닌 20개의 탄소를 포함하고 있는 불포화 지방산 유도체로 주로 만성 염증 질환에 관여하는 화학 전달물질이며 천식 등의 자가면역질환에도 관여한다(Ruf el al., Eur. J. Bio chem. 204:1069-1073, 1992). 상기 프로스타글란딘은 COX(cyclooxygenase) 효소에 의하여 생합성되는데 이 효소는 COX-1과 COX-2의 두 가지 이성질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Smith 등, J. Biol.Chem., 271, 33157(1996)). 상기 COX-1은 신체 내에서 위벽을 보호하고, 신장의 기능을 유지하는데 관여하는 반면, 상기 COX-2는 염증이나 기타 면역 반응 시 세포분열인자(mitogen)나 사이토카인(cytokines)류에 의해 세포 내에서 일시적이고 빠르게 발현되는 효소이다.
상기 류코트리엔은 폐동맥질환, 예를 들면, 천식, 만성 기관지염 및 관련 폐쇄성 기도 질환, 알레르기성 비염, 접촉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결막염 등의 알레르기 및 알레르기성 반응, 관절염 또는 염증성 장 질환, 통증 등의 염증 등에 관여한다. 상기 류코트리엔은 5-리폭시게나아제(5-Lipoxygenase) 효소가 전구체인 아라키돈산에 대하여 작용하여 생합성될 수 있다.
이에 효과적인 염증 완화를 위한, 가장 일반적인 항염증제는 크게 스테로이드성 및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로 구분된다. 즉, 염증 질환을 치료하기 위하여 당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NSAIDs)을 사용하여 염증을 완화시키며, 염증이 심하거나 NSAIDs의 효능이 없으면 스테로이드 제제를 사용하며, 난치성인 경우 면역 억제제나 수술요법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항염증제는 몇 가지 부작용이 문제되고 있는데, 일 예로 급성 또는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만성의 염증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NSAIDs)은 COX-2 효소를 억제할 뿐만 아니라 COX-1 효소도 억제함으로써 앞서 언급한 위장관 장애와 같은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sferrer et al., P.Natl. Acad. Sci. USA. 91:3228-3232, 1994).
아울러, 알레르기 질환을 치료하는 치료제로는 항히스타민약물, 항류코트리엔약물, 스테로이드약물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약효 및 부작용 때문에 약물사용에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관련 질환 치료제들은 사용의 한계가 명확하기 때문에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여전히 절실히 요구되고 있고 특히,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천연 원료를 이용한 천연물 의약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6547호(공개일: 2009.11.11)는 금불초(Inula japonica Thunberg)의 꽃인 선복화(Inula flo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이 염증, 알레르기 또는 천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다른 일 예로, 본 출원인의 선출원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00491호(공개일: 2017.01.03)는 곰보배추 추출물, 느릅나무 추출물, 노나무 추출물 및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이 알레르기성 비염 예방 및 코막힘 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부작용이 발생될 가능성이 적은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되, 특히 상기 추출물을 특정 기간 발효시킴으로써 염증 및 알레르기 질환을 유도하는 원인인 프로스타글란딘 및 류코트리엔의 생성을 억제하여 만성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및 부비동염 등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에 효과적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심련(a), 곰보배추(b) 및 작두콩(c)의 발효혼합물(A)과, 가시오가피(d), 느릅나무(e) 및 노나무(f)의 추출물(B)을 혼합, 추출한 후 발효시킨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은, 천연물 복합추출물을 특정 기간 발효시켜 프로스타글란딘 및 류코트리엔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만성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및 부비동염 등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발효 기간에 따른 폴라보노이드 함량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천심련(a), 곰보배추(b) 및 작두콩(c)의 발효혼합물(A)과, 가시오가피(d), 느릅나무(e) 및 노나무(f)의 추출물(B)을 혼합, 추출한 후 발효시킨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C)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만성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및 부비동염 치료 및 개선에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각 천연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해보기로 한다.
천심련(a)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물 "천심련(穿心蓮, Andrographis paniculate, Kalmegh)"은 쥐꼬리망초과의 1년생 초본식물로서 인도 전역, 특히 남부의 들판이나 숲속의 그늘지고 수분이 충분한 곳에서 주로 자라는 식물이다. 키는 0.3-1.0m, 줄기는 진한 녹색으로 굵기 2-6mm이며, 잎은 길이 8cm, 폭 2.5cm의 버들잎 모양으로 뽀족하고, 꽃은 흰색 또는 연분홍빛 꽃잎에 자색 반점이 있다. 천심련은 모든 식물 부위의 맛이 극히 쓰므로, 'Maha-tita'(King of bitters)라고 알려져 있으며, 님나무보다 크기는 훨씬 작지만 모양이 비슷하고 쓴 맛으로 인해 'bhui-neem'이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천심련은 약리활성의 측면에서 항암, 항염증, 항균, 항바이러스, 항산화 작용 등이 알려져 있으며 민간약재로서 면역증, 이담, 해열 작용 등에 사용되어 왔다.
상기 천심련(a)은 상기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C)의 원료 내에 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1-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8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0.1중량% 미만일 경우 프로스타글란딘 및 류코트리엔의 억제가 충분하지 않아 항염증(특히, 만성 천식 등), 항알레르기, 또는 항산화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20중량%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후술되는 천연물들의 함량이 감소하여 타 효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곰보배추(b)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물 "곰보배추(Salvia plebeia R. Br.,)"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에 속하는 꿀풀과의 두해살이풀로서, 설견초 또는 과동청 등으로 불리는 식물을 의미한다. 형태적으로 줄기는 사각 기둥 모양이고 짧고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으며, 잎은 타원형이거나 피침형을 나타내며, 끝은 무디거나 갑자기 뾰족해진 모양을 가지며 기부는 원형이거나 쐐기 모양을 나타낸다. 약리활성의 측면에서는 해혈, 토혈, 혈뇨, 복수, 백탁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곰보배추(b)는 상기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C)의 원료 내에 0.5-35중량%, 바람직하게는 1-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15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0.5중량% 미만일 경우 항염증(특히, 만성 천식 등)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35중량%를 초과할 경우 타 효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작두콩(c)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물 "작두콩(Canavalia gladiate)"은 콩과의 한해살이 덩굴성식물로서 남쪽지방에 잘 자라며 한방에서는 도두(刀豆) 또는 협검두(挾劍豆)라고 한다(Kim JP et al., Chemical Propertie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Sword Bean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44:441-446, 2012). 중국의 <본초강목>이나 <본초비요> 같은 의학책에는 장, 위를 보하고 속을 따뜻하게 하며 신장의 기능을 돕고 원기를 보하는 약효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상기 작두콩(c)은 상기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C)의 원료 내에 0.5-35중량%, 바람직하게는 1-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15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0.5중량% 미만일 경우 비염 개선이 미미할 수 있고, 35중량%를 초과할 경우 타 효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가시오가피(d)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물 "가시오가피(Eleutherococcus senticosus (Rupr. & Maxim.) Maxim.,)" 는 오대산, 지리산 등과 만주, 시베리아, 훗카이도 등에 자생하고, 바늘모양의 가시가 촘촘하게 붙어있는 반면 오가피는 한국 전역에 분포하고 독수리 부리 모양의 가시가 드문드문 박혀있다. 가시오가피는 구소련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그 효과를 국제 심포지움에서 발표하기도 했는데, 가시오가피는 생체기관의 전반적인 기능을 증대시켜 주는 촉진작용을 하며, 생체 기관의 환경적응 내지 방어력을 기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가시오가피(d)는 상기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C)의 원료 내에 0.5-35중량%, 바람직하게는 1-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15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0.5중량% 미만일 경우 항알레르기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35중량%를 초과할 경우 타 효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느릅나무(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물 "느릅나무(Ulmus davidiana var. japonica)"는 쌍떡잎식물 쐐기풀목 느릅나무과의 낙엽활엽 교목이다. 봄에 어린 잎은 식용으로 사용하며 껍질을 유피라고 하고 특히 뿌리껍질을 유근피라고 한다. 느릅나무에는 종류가 여러가지가 있다. 그 중 참느릅나무와 둥근 참느릅나무, 좀참느릅나무는 열매가 9 내지 10월에 익고, 당느릅나무, 혹느릅나무, 떡느릅나무 등은 4 내지 5월에 익는다. 이들 나무는 열매 익는 시기와 껍질의 생김새만 다를 뿐 잎 모양이나 약으로의 쓰임새는 같다. 느릅나무는 예로부터 종기나 종창에 효과가 있는 나무로 알려져 왔으며, 최근에는 항산화 효과, 아질산염 제거능과 치과 카리에스에 대한 항세균 효과 및 항암효과에 대한 보고가 있다. 동의보감에서 느릅나무는 성질이 평하고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부드러워 대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 장, 위의 사열을 없애 장염에 효과적이며 부은 것을 가라앉히고 불면증을 낫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느릅나무(e)는 상기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C)의 원료 내에 0.5-35중량%, 바람직하게는 1-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15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0.5중량% 미만일 경우 알레르기성 비염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35중량%를 초과할 경우 타 효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노나무(f)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천연물 "노나무(Clerodendrum trichotomum Thunb. ex Murray)"는 능소화과에 속하며 일명 개오동나무로도 불린다. 갈잎 큰키나무로서 키는 약 6m이고 잎은 넓은 알꼴, 나무껍질은 회백색이며 7월에 담황색 꽃이 원뿔꽃 차례로 가지 끝에 피며 원산지는 중국으로 정원에 심는다. 본초강목에는 100가지 나무 중에서 으뜸이라 하여 목왕이라 부른다고 하였다. 벼락이 떨어지지 않는 나무로 매우 신령스럽게 여겨져 뇌신목, 뇌전동 등으로도 불리었고 궁궐이나 절의 목재로 주로 사용되었다. 민간에서는 전통적으로 신장염, 복막염, 요독증, 부종 등에 사용되었고 이뇨제 원료로도 사용된다. 최근에는 간암, 간경화, 백혈병 등의 항암성 약재로도 민간에서 응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노나무(f)는 상기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C)의 원료 내에 0.5-35중량%, 바람직하게는 1-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15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0.5중량% 미만일 경우 항산화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35중량%를 초과할 경우 타 효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함량 범위 내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C)은 실온에서 1-10일간, 바람직하게는 2-5일간 발효된 것으로, 상기 1일 미만으로 발효시킬 경우 항산화,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효능이 저하됨과 아울러, 10일을 초과하여 발효시킬 경우 유효성분이 감소하여 오히려 효능이 저하될 수 있어 상기 기간동안 발효시킨 것일 수 있다.
상기 발효 시 사용하는 발효균주는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paracasei, Lactobacillus plantarum, Pediococcus acidilactici 및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0.44-0.80mgQE/g, 바람직하게는 0.50-0.75mgQE/g일 수 있고,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우수한 약리학 효능이 있다.
본 발명의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은 프로스타글란딘 및 류코트리엔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만성 천식, 알레르기성 비염 및 부비동염 등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은 화장료, 약제 또는 식품 조성물로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 일 예로, 본 발명의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이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경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 바디 화장료, 두발용 화장료, 두피용 화장료, 면도용 화장료 또는 구강용 화장료의 용도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기초 화장료의 예로는 크림, 화장수, 팩, 마사지 크림, 유액 등이 있고,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의 예로는 파운데이션, 메이크업 베이스, 립스틱, 아이섀도,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브로우 펜슬 등이 있으며, 상기 바디 화장료의 예로는 비누, 액체 세정제, 입욕제, 선스크린 크림, 선 오일 등이 있고, 상기 두발용 화장료의 예로는 샴푸, 린스, 헤어 트리트먼트, 헤어 무쓰, 헤어 리퀴드, 포마드, 헤어 칼라제, 헤어 블리치제 또는 칼라린스 등이 있으며, 상기 두피용 화장료의 예로는 헤어 토닉 또는 스칼프트리트먼트 등이 있고, 상기 면도용 화장료의 예로는 애프터셰이브로션 또는 셰이빙 크림 등이 있으며, 상기 구강용 화장료의 예로는 치약 또는 구강청결제 등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위에서 서술한 유효성분 외에 사용용도 및 화장료 조성물의 성질에 따라 통상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고 있는 성분, 일 예로 보습제, 자외선 흡수제, 비타민류, 동식물 추출성분, 소화제, 미백제, 혈관확장제, 수렴제, 청량제, 호르몬제 등을 추가로 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약물 또는 유효성분을 피부조직으로 침투 또는 이행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용도 및 화장료 조성물의 성질에 따라 적절한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수용액계, 가용화계, 유화계, 유액계, 겔계, 페이스트계, 연고계, 에어졸계, 물-기름 2층계 또는 물-기름-분말 3층계일 수 있으며, 상기 제형의 예는 단순한 예시일 뿐, 상기 예시에 의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및 형태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 예로, 본 발명의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이 약제 조성물로 이용될 경우 위에서 서술한 유효성분 외에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부형제 및/또는 희석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및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모두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약제 조성물은 위에서 서술한 성분들 외에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pH 조절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알긴산 및 그의 염, 펙트산 및 그의 염, 보호성콜로라이드, 글리세린,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제 조성물의 투여방법은 경구 또는 비경구 모두 가능하며, 일 예로는 경구, 경피, 피하, 정맥 또는 근육을 포함한 여러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TABLETS), 알약, 연질 또는 경질 캅셀제(CAPSULES), 환제(PILLS), 산제(POWDERS) 및 과립제(GRANULES) 등이 포함되고, 이러한 제제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SUSTESIONS), 내용액제, 유제(EMULSIONS) 및 시럽제(SYRUPS)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형태는 크림(CREAM), 로션제(LOTIONS), 연고제(ONITMENTS), 경고제(PLASTERS), 액제(LIQUIDS AND SOULTIONS), 에어로솔제(AEROSOLS), 유동엑스제(FRUIDEXTRACTS), 엘릭서(ELIXIR), 침제(INFUSIONS), 향낭(SACHET), 패취제(PATCH) 또는 주사제(INJECTIONS)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약제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환자의 중증도, 상태, 체내에서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률 및 병용되는 약물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본 발명의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로 이용될 경우 위에서 서술한 유효성분 외에도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일 예로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영양소 및 조미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파우더, 바, 캔디, 아이스크림, 오일, 및 분말 유탁액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수득될 수 있다.
먼저, 천심련(a), 곰보배추(b) 및 작두콩(c)을 건조한 뒤 분쇄한다. 이어서, 상기 분쇄한 원료를 0.1-20 : 0.5-35 : 0.5-35 중량비로 혼합한다. 이어서, 상기 혼합한 원료와 전배양한 발효균주 배양액을 50-200 : 1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80-150 : 1의 중량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실온에서 1-5일간, 바람직하게는 3-5일간 발효하여 발효혼합물(A)을 조제한다(S1).
구체적으로, 상기 (S1)단계는 후술되는 (S5)단계에서 유효성분의 추출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리 발효하는 단계로, 상기 천심련(a), 곰보배추(b), 작두콩(c) 및 발효균주는 위에서 서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 일 실시예로, 상기 발효균주로 Lactobacillus rhamnosus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발효를 통해 유효성분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발효기간이 1일 미만일 경우 항산화,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효능이 미미할 수 있고, 5일을 초과할 경우 유효성분이 감소하므로 상기 범위 내로 발효시킬 수 있다.
이와 별도로, 가시오가피(d), 느릅나무(e) 및 노나무(f)를 세척한 후 90-120℃, 바람직하게는 100-110℃에서 1-3시간 동안 증숙시킨 후 건조한 뒤 분쇄한다. 상기 분쇄한 원료를 0.5-35 : 0.5-35 : 0.5-35 중량비로 혼합한다. 이어서, 상기 혼합한 원료에 추출용매 5-20L를 이용해 90-110℃, 바람직하게는 95-105℃에서 5-8분 동안 추출하여 나온 액을 분리함으로써 추출물(B)을 조제한다(S3).
구체적으로, 상기 (S3)단계에서 증숙 온도 및 시간이 상기 범위 미만일 경우 유효성분이 감소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할 경우 유효성분이 다른 성분으로 전환되거나 생산수율이 저하되므로 상기 범위 내로 증숙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추출은 증류추출, 열수추출, 초음파추출, 가압추출 또는 초임계유체추출을 이용할 수 있으나, 구체적 일 실시예로 본 발명에서는 유효성분이 많고, 효능이 우수한 증류추출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때 추출용매로서 정제수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추출용매의 함량, 추출온도 및 시간이 상기 범위 내일 경우 생산수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어서, 상기 발효혼합물(A)과 상기 추출물(B)을 추출기에 넣고 약 15-30시간, 바람직하게는 20-25시간동안 진공 조건에서 60-80℃, 바람직하게는 65-75℃에서 추출하여 혼합추출물(B')을 조제한다(S5).
또한, 본 발명은 상기 (S5)단계에서 특히 진공상태에서 추출을 하되, 추출 온도 및 시간이 상기 범위 내로써 천연물의 활성물질이 분해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어서, 상기 혼합추출물(B')과 전배양한 발효균주(구체적 일 실시예로, Leuconostoc mesenteroides) 배양액을 50-200 : 1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80-150 : 1의 중량비,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실온에서 1-10일간, 바람직하게는 2-5일간 발효하여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C)을 조제한다(S7).
구체적으로, 상기 (S7)단계에서 상기 기간 동안 발효함에 따라 가격 경쟁력이 우수하면서도, 항산화,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효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어서, 150 내지 500μm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약 5-20분, 바람직하게는 10-15분간 90-110℃, 바람직하게는 95-105℃에서 가열하여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C)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한다(S9).
구체적으로, 상기 (S9)단계에서 상기 시간동안 가열함으로써 멸균 효과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검체 제조
(실시예 1)
천심련(a), 곰보배추(b), 작두콩(c)을 건조한 뒤 분쇄한다. 이어서, 상기 분쇄한 원료를 0.5kg : 1kg : 1kg의 비율로 혼합한다. 이어서, 상기 혼합한 원료와 전배양한 Lactobacillus rhamnosus 배양액을 100: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실온에서 3일간 발효하여 발효혼합물(A)을 조제하였다(S1).
이와 별도로, 가시오가피(d), 느릅나무(e) 및 노나무(f)를 세척한 후 110℃에서 2시간 동안 증숙시킨 후 건조한 뒤 분쇄한다. 상기 분쇄한 원료를 1kg : 1kg : 1kg의 비율로 혼합한다. 이어서, 상기 혼합한 원료를 정제수 10L를 이용하여 100℃에서 7분 동안 증류추출하여 나온 액을 분리함으로써 추출물(B)을 조제하였다(S3).
이어서, 상기 발효혼합물(A)과 상기 추출물(B)을 추출기에 넣고 약 24시간동안 진공 조건에서 70℃에서 추출하여 혼합추출물(B')을 조제하였다(S5).
이어서, 상기 혼합추출물(B')과 전배양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배양액을 100: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실온에서 1일간 발효하여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C)을 조제하였다(S7).
이어서, 150 내지 500μm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약 12분간 100℃에서 가열하여 1일간 발효한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C)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S9).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S7)단계에서 실온에서 3일간 발효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3일간 발효한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S7)단계에서 실온에서 5일간 발효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5일간 발효한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의 (S1)단계에서 천심련(a), 곰보배추(b), 작두콩(c)을 건조 및 분쇄 후, 상기 분쇄한 원료를 1kg : 1.5kg : 1.5kg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천심련(a), 곰보배추(b), 작두콩(c)을 건조한 뒤 분쇄한다. 이어서, 상기 분쇄한 원료를 0.5kg : 1kg : 1kg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A)을 제조하였다.
이와 별도로, 가시오가피(d), 느릅나무(e) 및 노나무(f)를 세척한 후 110℃에서 2시간 동안 증숙시킨 후 건조한 뒤 분쇄한다. 상기 분쇄한 원료를 1kg : 1kg : 1kg의 비율로 혼합한다. 이어서, 상기 혼합한 원료를 정제수 10L를 이용하여 100℃에서 7분 동안 증류추출하여 나온 액을 분리함으로써 추출물(B)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A)과 상기 추출물(B)을 추출기에 넣고 약 24시간동안 진공 조건에서 70℃에서 추출하여 혼합추출물(B')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추출물(B')과 전배양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배양액을 100: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실온에서 1일간 발효하여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C)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150 내지 500μm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약 12분간 100℃에서 가열하여 1일간 발효한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C)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의 (S7)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시키지 않은 천연물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참조예 1)
상기 실시예 1의 (S7)단계에서 실온에서 12일간 발효시킨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12일간 발효한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조성물 효능 측정
1.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2 및 참조예 1의 검체 100mg을 100mL 플라스크에 취한 후 물을 이용하여 100mL로 희석하여 검액으로 한다. 이와 별도로 케르세틴(quercetin) 100mg을 100mL 플라스크에 취한 후 물을 이용하여 100mL가 되도록 한다. 이 액을 0.1, 0.2, 0.5, 1mL을 취하여 물을 이용하여 10mL로 희석한 액을 표준액으로 한다. e-tube에 검액 및 표준액과, 10% aluminum nitrate 100μL와 1M potassium acetate 100㎕를 넣어 혼합한 후 500μL가 되도록 한다. 40분 후,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41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흡광도를 표준액의 검량선을 그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도 1에 나타내었다.
2. DPPH radical 소거활성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검체 100mg을 100mL 플라스크에 취한 후 물을 이용하여 100mL로 희석한 후 이 액을 적당량 희석하여 검액으로 한다.
이어서, 96well plate에 검액 100㎕와 0.15mM DPPH 100㎕를 넣고 30분 후 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였다.
검체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소거능이 50%일 때의 농도인 IC50 값으로 확인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3. 5-LO 억제 효능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검체 100mg를 100mL 플라스크에 취한 후 물을 이용하여 100mL로 희석한 후 이 액을 적당량 희석하여 검액으로 한다.
이어서, 0.1M Tris-HCl buffer(pH 8.5) 1mL에 검액 20μL와 soybean lipoxygenase(type Ⅴ, 200 units/final concentration) 20μL를 넣고 25℃에서 2분간 전 반응시킨 후 최종농도가 110μM이 되도록 30μL의 linoleic acid를 넣은 후 25℃에서 3분간 20초 간격으로 UV-vis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2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검체의 5-LO 억제 효능은 소거능이 50%일 때의 농도인 IC50 값으로 확인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4.
COX 억제 효능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검체 100mg를 100mL 플라스크에 취한 후 물을 이용하여 100mL로 희석한 후 이 액을 적당량 희석하여 검액으로 한다.
이어서, 96well plate에 한 well당 60units/mL의 COX-1이나 30 units/mL의 COX-2를 40μL씩 넣고, 100mM Tris-HCl buffer(pH 8.0) 90μL, 30 μM EDTA 20μL, 150 μM hematin 20μL를 넣어 준 후 검액 20μL와 혼합하여 25℃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또한, 5 mM TMPD 5μL와 20 mM 아라키돈산 5μL를 첨가하여 25℃에서 5분간 반응시킨 후 microplate reader를 사용하여 5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COX 억제 효능은 소거능이 50%일 때의 농도인 IC50 값으로 확인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5. 예비인체적용시험
알러지성 비염 증상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3의 검체를 하루 약 0.5g씩 복용하게 하여 간이 임상 실험을 실시하였다.
투여 2주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알레르기 비염의 대표적인 증상인 코 막힘, 콧물, 재채기 및 코 가려움에 대하여 각각 '못 느낌', '약함', '중간', '심함' 및 '매우 심함'으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수준에 0, 1, 2, 3, 4로 배점하여 이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약함(1)'은 증상을 가끔 느끼는 정도이고, '중간(2)'은 자주 느끼나 생활에 불편을 주는 정도는 아니며, '심함(3)'은 알레르기 비염 증상이 생활에 가끔 불편을 주는 것을 의미하며, '매우 심함(4)'은 증상이 생활이 자주 불편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효능 실험결과
IC50(ug/mL) | ||||
DPPH | 5-LO | COX-1 | COX-2 | |
실시예 1 | 45.05±0.38 | 53.25±0.78 | 33.77±1.35 | 35.78±0.77 |
실시예 2 | 35.08±0.29 | 44.35±0.33 | 15.75±0.78 | 15.62±0.65 |
실시예 3 | 28.75±0.17 | 22.78±0.46 | 10.35±0.65 | 10.87±0.59 |
비교예 1 | 45.58±0.16 | 53.85±0.48 | 34.55±0.46 | 36.17±0.31 |
비교예 2 | 50.05±0.43 | 55.47±0.35 | 38.18±2.35 | 40.12±1.76 |
투여 전 | 투여 후 | ||||
시험결과 (명) |
% | 시험결과 (명) |
% | ||
코막힘 | 매우심함(4) | 5 | 25 | - | - |
코막힘 | 심함(3) | 6 | 30 | 2 | 10 |
코막힘 | 중간(2) | 6 | 30 | 6 | 30 |
코막힘 | 약함(1) | 3 | 15 | 9 | 45 |
코막힘 | 못느낌(0) | - | - | 3 | 15 |
콧물 | 매우심함(4) | 6 | 30 | - | - |
콧물 | 심함(3) | 7 | 35 | 3 | 15 |
콧물 | 중간(2) | 3 | 15 | 6 | 30 |
콧물 | 약함(1) | 4 | 20 | 8 | 40 |
콧물 | 못느낌(0) | - | - | 3 | 15 |
재채기 | 매우심함(4) | 5 | 25 | - | - |
재채기 | 심함(3) | 7 | 35 | 4 | 20 |
재채기 | 중간(2) | 5 | 25 | 7 | 35 |
재채기 | 약함(1) | 3 | 15 | 7 | 35 |
재채기 | 못느낌(0) | - | - | 2 | 10 |
코가려움 | 매우심함(4) | 3 | 15 | - | - |
코가려움 | 심함(3) | 6 | 30 | 3 | 15 |
코가려움 | 중간(2) | 7 | 35 | 6 | 30 |
코가려움 | 약함(1) | 4 | 20 | 8 | 40 |
코가려움 | 못느낌(0) | - | - | 3 | 15 |
1.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결과
도 1을 참조하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효하지 않은 비교예 2의 조성물이 0.40±0.03 mgQE/g이고, 실온에서 1일 발효한 실시예 1의 조성물이 0.45±0.01 mgQE/g, 3일 발효한 실시예 2의 조성물이 0.57±0.01 mgQE/g, 5일 발효한 실시예 3의 조성물이 0.73±0.02 mgQE/g로 발효기간이 길수록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실시예 4의 조성물은 실시예 1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다만, 12일 발효한 참조예 1의 조성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0.40±0.01 mgQE/g로 오히려 감소하는 바, 특정 기간 발효시킨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아 항산화 효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천심련, 곰보배추, 작두콩을 미리 발효하는 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조성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0.41±0.02 mgQE/g으로 비교예 2보다는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았지만 실시예들에 비해서는 그 함량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DPPH radical 소거활성
상기 표 1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발효하지 않은 비교예 2 조성물의 IC50 값이 50.05±0.43 ug/mL이고, 실온에서 1일 발효한 실시예 1 조성물의 IC50 값이 45.05±0.38 ug/mL, 3일 발효한 실시예 2 조성물의 IC50 값이 35.08±0.29 ug/mL, 5일 발효한 실시예 3 조성물의 IC50 값이 28.75±0.17 ug/mL으로 발효기간이 길수록 IC50 값이 낮아져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났다. 아울러, 실시예 4의 조성물은 실시예 1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DPPH radical 소거활성의 시험결과를 통해 발효하는 기간이 길수록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천심련, 곰보배추, 작두콩을 미리 발효하는 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조성물의 IC50 값이 45.58±0.16 ug/mL으로 비교예 2보다는 항산화 효능이 우수하였지만, 실시예들에 비해서는 효능이 미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5-LO 억제 효능
상기 표 1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발효하지 않은 비교예 2 조성물의 IC50 값이 55.47±0.35 ug/mL이고, 실온에서 1일 발효한 실시예 1 조성물의 IC50 값이 53.25±0.78 ug/mL, 3일 발효한 실시예 2 조성물의 IC50 값이 44.35±0.33 ug/mL, 5일 발효한 실시예 3 조성물의 IC50 값이 22.78±0.46 ug/mL으로 발효기간이 길수록 IC50 값이 낮아져 5-LO 억제 효능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났다. 아울러, 실시예 4의 조성물은 실시예 1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5-LO 억제 효능의 시험결과를 통해 발효하는 기간이 길수록 항알레르기 효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천심련, 곰보배추, 작두콩을 미리 발효하는 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조성물의 IC50 값이 53.85±0.48 ug/mL으로 비교예 2보다는 항알레르기 효능이 우수하였지만, 실시예들에 비해서는 효능이 미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
COX 억제 효능
상기 표 1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COX-1 시험결과 발효하지 않은 비교예 2 조성물의 IC50 값이 38.18±2.35 ug/mL이고, 실온에서 1일 발효한 실시예 1 조성물의 IC50 값이 33.77±1.35 ug/mL, 3일 발효한 실시예 2 조성물의 IC50 값이 15.75±0.78 ug/mL, 5일 발효한 실시예 3 조성물의 IC50 값이 10.35±0.65 ug/mL으로 발효기간이 길수록 IC50 값이 낮아져 COX-1 억제 효능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났다. 아울러, 실시예 4의 조성물은 실시예 1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COX-2 시험결과 발효하지 않은 비교예 2 조성물의 IC50 값이 40.12±1.76 ug/mL이고, 실온에서 1일 발효한 실시예 1 조성물의 IC50 값이 35.78±0.77 ug/mL, 3일 발효한 실시예 2 조성물의 IC50 값이 15.62±0.65 ug/mL, 5일 발효한 실시예 3 조성물의 IC50 값이 10.87±0.59 ug/mL으로 발효기간이 길수록 IC50 값이 낮아져 COX-2 억제 효능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났다. 아울러, 실시예 4의 조성물은 실시예 1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COX-1 억제 효능과 COX-2 억제 효능의 시험결과를 통해 발효하는 기간이 길수록 항알레르기 효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천심련, 곰보배추, 작두콩을 미리 발효하는 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비교예 1의 조성물의 COX-1 시험결과 IC50 값이 34.55±0.46 ug/mL이고, COX-2 시험결과 IC50 값이 36.17±0.31 ug/mL으로, 비교예 2보다는 항알레르기 효능이 우수하였지만, 실시예들에 비해서는 효능이 미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예비인체적용시험
상기 표 2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알레르기 비염의 대표적인 4가지 증상에서 추출물 투여 전후에 각각의 증상에서 투여 전보다 증상이 호전됨이 확인되었다. 증상이 매우 심한 인원은 0명으로, 상당히 호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6)
- 천심련(a), 곰보배추(b) 및 작두콩(c)의 발효혼합물(A)과, 가시오가피(d), 느릅나무(e) 및 노나무(f)의 증류 추출물(B)을 혼합, 진공추출한 진공 혼합 추출물을 발효시킨 천연물 재발효 복합추출물(C)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발효혼합물(A)과 천연물 재발효 복합추출물(C)은 서로 독립적으로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paracasei, Lactobacillus plantarum, Pediococcus acidilactici 및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이루어진 유산균목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발효균주로 발효된 것인,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물 재발효 복합추출물(C)의 원료는 천심련(a) 0.1-20중량%, 곰보배추(b) 0.5-35중량%, 작두콩(c) 0.5-35중량%, 가시오가피(d) 0.5-35중량%, 느릅나무(e) 0.5-35중량% 및 노나무(f) 0.5-35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물 재발효 복합추출물(C)은 상기 진공 혼합 추출물을 실온에서 1-10일간 발효된 것인,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 삭제
- 천심련(a), 곰보배추(b), 작두콩(c)을 건조한 뒤 분쇄한 후, 상기 분쇄한 원료를 0.1-20 : 0.5-35 : 0.5-35 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한 원료와 전배양한 발효균주 배양액을 50-200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실온에서 1-5일간 발효하여 발효혼합물(A)을 조제하는 단계(S1);
가시오가피(d), 느릅나무(e) 및 노나무(f)를 세척한 후 90-120℃에서 1-3시간 동안 증숙시킨 후 건조한 뒤 분쇄한 후, 상기 분쇄한 원료를 0.5-35 : 0.5-35 : 0.5-35 중량비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한 원료에 추출용매 5-20L를 이용해 90-110℃ 5-8분 동안 추출하여 나온 액을 분리함으로써 증류추출물(B)을 조제하는 단계(S3);
상기 발효혼합물(A)과 상기 증류추출물(B)을 추출기에 넣고 15-30시간 동안 진공 조건에서 60-80℃에서 추출하여 진공추출물(B')을 조제하는 단계(S5);
상기 진공추출물(B')과 전배양한 발효균주의 배양액을 50-200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후, 실온에서 1-10일간 발효하여 천연물 재발효 복합추출물(C)을 조제하는 단계(S7);
상기 (S7)단계의 천연물 재발효 복합추출물(C)을 여과한 후 5-20분간 90-110℃에서 가열하는 단계(S9)를 포함하고,
상기 (S1) 단계와 (S7) 단계의 발효균주는 서로 독립적으로 Lactobacillus casei,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paracasei, Lactobacillus plantarum, Pediococcus acidilactici 및 Leuconostoc mesenteroides로 이루어진 유산균목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인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제조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2963A KR102258283B1 (ko) | 2020-01-09 | 2020-01-09 |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02963A KR102258283B1 (ko) | 2020-01-09 | 2020-01-09 |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58283B1 true KR102258283B1 (ko) | 2021-05-31 |
Family
ID=7614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02963A KR102258283B1 (ko) | 2020-01-09 | 2020-01-09 |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5828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1379B1 (ko) * | 2023-10-13 | 2024-02-28 | 주식회사 미산 | 미백효과를 갖는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16547A (ko) | 2008-05-07 | 2009-11-11 | 재단법인대구경북한방산업진흥원 |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알레르기또는 천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KR20150145440A (ko) * | 2014-06-19 | 2015-12-30 | 농업회사법인(주)산들촌 | 발효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KR20170000491A (ko) | 2015-06-24 | 2017-01-03 | 주식회사 제이아이바이오신약 | 곰보배추 추출물, 느릅나무 추출물, 노나무 추출물 및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예방 및 코막힘 치료용 조성물 |
-
2020
- 2020-01-09 KR KR1020200002963A patent/KR10225828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116547A (ko) | 2008-05-07 | 2009-11-11 | 재단법인대구경북한방산업진흥원 |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알레르기또는 천식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KR20150145440A (ko) * | 2014-06-19 | 2015-12-30 | 농업회사법인(주)산들촌 | 발효 작두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또는 알러지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KR20170000491A (ko) | 2015-06-24 | 2017-01-03 | 주식회사 제이아이바이오신약 | 곰보배추 추출물, 느릅나무 추출물, 노나무 추출물 및 가시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성 비염 예방 및 코막힘 치료용 조성물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10, 129(2), 203-207*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1379B1 (ko) * | 2023-10-13 | 2024-02-28 | 주식회사 미산 | 미백효과를 갖는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46206B1 (ko) |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CN110519997B (zh) | 通过辣木叶提取物和杜仲提取物的复合物的抗生、抗氧化、抗炎、抑制牙周骨损失和再生牙周骨缓解牙龈炎和牙周炎的方法 | |
KR101744103B1 (ko) |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041927B1 (ko) | 한약재 추출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 |
KR101221617B1 (ko) | 멀꿀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 |
JP2011201811A (ja) | Tie2活性化剤、血管の成熟化、正常化又は安定化剤、リンパ管安定化剤並びにしわ防止・改善剤及びむくみ改善・予防剤 | |
KR102462347B1 (ko) | 가지 발효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 및 피부장벽 기능 개선 화장료 조성물 | |
KR101367423B1 (ko) | 피부 개선용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377411B1 (ko) | 항염증 활성을 가지는 풀솜대 추출물 또는 장대나물 추출물 | |
KR102004366B1 (ko) |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160081870A (ko) | 항산화 및 항염증에 효능이 있는 가미청기산 조성물 | |
KR101794006B1 (ko) |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 |
KR102258283B1 (ko) | 천연물 발효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또는 알레르기 치료 및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047612B1 (ko) |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612017B1 (ko) |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JP6258409B2 (ja) | ムベ抽出物を含む医薬組成物 | |
KR20190064714A (ko) | 레몬머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 |
WO2019172626A1 (ko) |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 |
KR102455238B1 (ko) |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 |
KR20170137412A (ko) |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 |
KR20130094145A (ko) | 개꼬시래기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 |
KR20190038702A (ko) | 다시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 |
KR20240089120A (ko) | 계지, 금은화, 향유, 오미자, 우방자, 및 목단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법 | |
KR20190001163A (ko) | 울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제 | |
KR102041543B1 (ko) |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