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702B1 - 이산화염소 살균 시트 - Google Patents

이산화염소 살균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702B1
KR102257702B1 KR1020200090609A KR20200090609A KR102257702B1 KR 102257702 B1 KR102257702 B1 KR 102257702B1 KR 1020200090609 A KR1020200090609 A KR 1020200090609A KR 20200090609 A KR20200090609 A KR 20200090609A KR 102257702 B1 KR102257702 B1 KR 102257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tray
chlorine dioxide
composition
gas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인
Original Assignee
정현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인 filed Critical 정현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61L2/232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layered or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4Shaped forms, e.g. sheets, not provided for in any other sub-group of this main group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9/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elements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1/00Oxides or oxyacids of halogens; Salts thereof
    • C01B11/02Oxides of chlorine
    • C01B11/022Chlorine dioxide (ClO2)
    • C01B11/023Preparation from chlorites or chlo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시트는 하부시트; 상기 하부시트 상에 배치되는 트레이시트; 및 상기 트레이시트 상에 배치되는 상부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시트는 외부 프레임, 내부 프레임, 및 상기 외부 프레임과 상기 내부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에는 이산화염소 조성물이 충전되고, 상기 트레이시트는 상기 외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가스 방출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산화염소 살균 시트 {Chlorine Dioxide Sterilization Sheets}
본 발명은 이산화염소 조성물을 이용하여 얇은 시트 또는 카드 형태의 살균시트 및 그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산화염소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아염소산 및 산의반응, 아염소산염 및 염소의 반응, 하이포아염소산염 및 산의 반응 및 아염소산염 ph1.5~4.5를 유지하기 위한 완충용액 및 겔화제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서방출용 겔형 조성물, 이산화염소 분말가루 반죽 조성물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이산화염소 조성물 얻어낼 수 있다.
그런데 이산화염소를 필름형태로 만들고 제작하는 방법은 쉽지 않다. 종래기술(출원번호 10-2017-0028846)로는 메쉬구조의 유연성 시트를 침지 건조하는 방식으로 먼저 프라이머 코팅을 하고 살균코팅제를 코팅 또는 침지시켜 제작하는 방식인데, 종래의 살균(은나노, 구리나노 등)코팅제와는 달리, 이산화염소가루에 코팅제가 입혀지면 이산화염소 가스의 방출량을 제한할 수 없고, 물과(또는)첨가제에 의해 반죽시킨 조성물은 젤타입 또는 마치 진흙처럼 만들어지게 되는데 단순 침지 방식으로는 제작할 수 없고, 결정체의 점도가 약하여 메쉬시트에 잘 묻지 않거나, 묻었다 하더라고 제조과정에서 건조되어 고체화되는 이산화염소 조성물의 경우에는 잘게 부스러져 떨어지는 현상 때문에 제조를 위한 제단, 접착 및 후공정을 위한 반제품보존, 이송에도 부적합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8106호(2015.09.25.)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6722호(2017.06.15.)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02350호(2018.09.17.)
본 발명은 첫째 이산화염소 분말 반죽 조성물을 일정한 두께의 시트형태로 제조되어야 하고 둘째 일정한 방출량 및 장시간 지속시킬 수 있는 이산화염소 살균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언급되지 않는 또다른 과제들은 아래 기재로부터 당업자라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시트는 하부시트; 상기 하부시트 상에 배치되는 트레이시트; 및 상기 트레이시트 상에 배치되는 상부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시트는 외부 프레임, 내부 프레임, 및 상기 외부 프레임과 상기 내부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에는 이산화염소 조성물이 충전되고, 상기 트레이시트는 상기 외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가스 방출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살균시트는 하부시트; 상기 하부시트 상에 배치되고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트레이시트; 상기 트레이시트의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메쉬조성물시트; 및 상기 트레이시트 및 상기 메쉬조성물시트 상에 배치되는 상부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쉬조성물시트는 이산화염소 조성물이 함침되고, 상기 트레이시트는 상기 외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가스 방출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시트와 상기 트레이시트 사이에 하부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시트와 상기 상부시트 사이에 상부접착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시트의 상기 외부 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하부시트 또는 상기 상부시트와 접착되는 접착면과 상기 하부시트 또는 상기 상부시트와 접착되지 않는 비접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 방출로는 상기 트레이시트의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비접착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조성물시트는 부직포와 필름 사이에 상기 이산화염소 조성물이 삽입되어, 상기 부직포에 상기 이산화염소 조성물이 함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조성물시트는 상기 트레이시트의 상기 가스 방출로를 통해 적어도 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쉬조성물시트는 망사 조직 또는 부직포 조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시트, 상기 트레이시트 및 상기 하부시트는 부직포, 고무, 우레탄, PU, PE, PP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시트 상에 인쇄층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시트 하부에 렌즈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시트 상에 점착제가 도포되고 이형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시트 및 상기 하부시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핀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살균시트 제조방법은 트레이시트에 이산화염소 조성물이 충전되는 단계; 상기 트레이시트의 상면에 상부시트가 접착되고, 하면에 하부시트가 접착되는 단계; 양각요철 및 음각요철을 포함하는 열프레스를 통해 상기 트레이시트 상에 가스 방출로가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살균시트는 이산화염소 조성물의 압착시트 제작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사용자가 살균을 위해 필요로 하는 이산화염소 가스의 적정 방출량을 일정 기간 동안 조절하여 방출될 수 있도록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살균시트(1)를 일 실시예에 의한 적층구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트레이시트(30)를 설명하고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살균시트(1)를 일 실시예에 의해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트레이시트(30)에 이산화염소 조성물의 충진(삽입)방법을 설명하고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살균시트(1)를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해 예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살균시트(1)를 다른 일 실시예에 의해 예시한 도면이다.
도 7a, 도 7b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트레이시트(30) 구성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살균시트(1)의 적층구조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해 제작되어지는 이산화염소 메쉬 조성물의 제작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한 살균시트(1)의 적층구조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살균시트(1)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메쉬조성물시트(39)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메쉬조성물시트(39)의 생산과정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메쉬조성물시트(39)의 형태적 특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살균시트(1)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살균시트(1)의 형태적 특징을 예시한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상부시트의 형태적 특징을 예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살균시트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살균시트는 겔 또는 반죽 이산화염소 조성물을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 이산화염소를 생성하는 방법으로, 아염소산 및 산의반응, 아염소산염 및 염소의 반응, 하이포아염소산염 및 산의 반응 및 아염소산염 ph1.5~4.5를 유지하기 위한 완충용액 및 겔화제를 포함하는 이산화염소 서방출용 겔형 조성물, 이산화염소 분말가루 반죽 조성물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이산화염소 조성물 얻어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그 방법을 제한하거나 특정하지 않는다.
또한 이산화염소의 살균성질에 대해서는 이미 종래 선행기술 등에서 충분히 입증된 바, 이산화염소의 살균성질에 대해서 따로 설명하지 않는다.
그런데 이산화염소를 필름형태로 만들고 제작하는 방법은 쉽지 않다. 종래기술(출원번호 10-2017-0028846)로는 메쉬구조의 유연성 시트를 침지 건조하는 방식으로 먼저 프라이머 코팅을 하고 살균코팅제를 코팅 또는 침지시켜 제작하는 방식인데, 종래의 살균(은나노, 구리나노 등)코팅제와는 달리, 이산화염소가루에 코팅제가 입혀지면 이산화염소 가스의 방출량을 제한할 수 없고, 물과(또는)첨가제에 의해 반죽시킨 조성물은 젤타입 또는 마치 진흙처럼 만들어지게 되는데 단순 침지 방식으로는 제작할 수 없고, 결정체의 점도가 약하여 메쉬시트에 잘 묻지 않거나, 묻었다 하더라고 제조과정에서 건조되어 고체화되는 이산화염소 조성물의 경우에는 잘게 부스러져 떨어지는 현상 때문에 제조를 위한 제단, 접착 및 후공정을 위한 반제품보존, 이송에도 부적합한 문제점 등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이산화염소 조성물을 제품화하여 장시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정 두께로 제작하여 보존하고, 필요한 만큼의 이산화염소 가스가 일정양으로 방출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물과(또는) 첨가제를 혼합하여 이산화염소 반죽 조성물(31)을 준비하고, 이산화염소 반죽 조성물(31)을 정량화 가공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필름형태의 트레이시트(Tray Sheets)(30)에 담기도록 제작하였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레이시트(30)는 외부 프레임 및 내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시트(30)의 외부 프레임 내부에는 외부 프레임을 연결하는 내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고, 외부 프레임과 이격되는 위치에 내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시트(30)은 외부 프레임 및 내부 프레임에 의해 복수의 영역으로 분획될 수 있으며, 복수의 영역 각각에는 이산화 염소 반죽 조성물(31)이 충전될 수 있다.
이산화염소 반죽 조성물(31)을 충전하는 방법으로는, 시트 형태의 트레이시트(30) 위에 이산화염소 반죽 조성물(31)을 닥터블레이드로 긁으면서 복수의 영역(34)에 채워 넣거나, 또는 롤 시트 제작 방식으로써 트레이시트(30)를 길게 감아, 그라비아 인쇄방식의 응용방법으로써, 매쉬롤 금형에 닥터블레이드로 잉크를 채우는 방법 대신, 트레이시트(30)의 복수의 영역(34)에 닥터블레이드로 연속적으로 채워 넣는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그 방법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다만 이것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종래의 방식은 시트표면에 실크스크린 인쇄방식으로 이산화염소 조성물을 도포(인쇄) 하였는데, 실크스크린 망(매쉬)에 담긴 이산화염소 반죽 조성물(31)이 인쇄용 잉크와는 달리 인쇄 도중 마르면서 망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되어 연속생산(연속도포)이 불가능하고, 인쇄 도포되는 두께(양)도 불규칙적으로 인쇄되는 폐단을 개선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예시된 도 3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시트(50)에 하부접착층(40)을 이용하여 트레이시트(30)를 먼저 접착하고, 이어서 트레이시트(30) 상측에 이산화염소 반죽 조성물(31)을 올려놓고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닥터블레이드로 긁으면서 복수의 영역(34)에 채워 넣었다.
또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산화염소 반죽 조성물(31)이 담긴 트레이시트(30) 상부에는, 점착 또는 접착제(20)가 처리되어있는 상부시트(10)를 밀착시킴으로써 결국 이산화염소 조성물(31)을 밀폐시켜 보존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진다.
그런데 이 상태에서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하부시트(50)와 트레이시트(30)와 상부시트(10) 사이에 밀폐된 이산화염소 조성물(31)은 일정한 양의 이산화염소 가스가 방출되어야 하는데, 밀폐된 상태에서는 그 방출량이 너무 미미하여 살균효과를 충분히 얻지 못하게 됨은 당연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가스 방출로(3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음각요철 형태로 파인 부분이 트레이시트(30)의 외곽부분에 형성되어, 하부시트(50)와 밀착하여 접착(또는 점착)되는 과정에서 평면으로 밀착되며 접착될 수밖에 없으므로, 음각요철로 파인 부분은 미접착 되므로 공기 구멍으로써 가스 방출로(23)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가스 방출로(32)는 트레이시트(30)의 두께 및 프레임(33) 형태에 따라 이산화염소 조성물(31)의 충전된 양이 다르므로, 가스방출로(32)의 크기(폭)와 개수 또한 다르게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트레이시트(30)에 담긴 이산화염소 조성물(31)의 양에 따라 가스 방출량 및 방출 지속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5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가스 방출 통로를 생성하는 또 다른 제작방법은 상부시트(10) 일면에 핫멜트 접착제(21) 코팅처리를 먼저하고, 시트접착 및 가스 방출로(23) 생성을 위한 열프레스 금형(60)을 양각요철(61)과 음각요철(62)로 구분되도록 먼저 제작하여 준비한다.
따라서 열프레스 금형(60)에 열을 가하여, 이미 하부시트(50)와 접착된 트레이시트(30)에 그 위에 적층되는 접착층(20)과 상부시트(10)를 가압하면, 열프레스 금형(60)의 양각요철(61) 부분과 맞닿은 즉, 트레이시트(30)의 상측면 과 상부시트(10)의 하측면이 서로 접착되고, 음각요철(62)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부위는 접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므로, 핫멜트 미접착 부위(23)에 의해 자연스럽게 가스 방출로(23)가 생성되는 것이다.
보충하여 설명하면, 액상 핫멜트 접착제(20)를 상부시트(10)에 먼저 코팅처리 하게 되는데, 이는 1차 건조과정을 거치면서 표면에 코팅된 액상 '핫멜트접착제(20)'가 건조되면 끈적임 없는 수지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열프레스 금형(60)에 의해 가압된 접촉면만 접착제가 녹아 시트끼리 서로 붙게 되고, 나머지 면은 붙지 않으므로 가스 방출로(23)로써 생성되는 것이다.
또한 핫멜트 접착방식에 의해 형성된 가스방출로(23)는 시트의 외곽부위 에서만 형성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산화염소 조성물(31)이 열에 취약하므로 열프레스 금형(60)에 의한 접착과정에서 가열된 프레스 금형(60)과 접촉되면 가스방출이 급격히 증가되어 이산화염소 조성물(31)의 성능 및 보존기간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산화염소 조성물(31)이 위치하는 중앙 부위는 열프레스의 열에 직접적으로 노출 또는 전도되지 않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트레이시트(30)의 형태가 이산화염소 조성물(31)이 채워진 복수의 영역(34)과 프레임(33)을 대신하여 그 여백공간에 이산화염소 메쉬조성물시트(39)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진다. 즉 하부시트(50)에 접착제를 코팅하여 형성된 하부접착층(40)이 트레이시트(30)와 먼저 접착되고, 트레이시트(30)의 중앙 빈 공간에 이산화염소 반죽이 흡착된 메쉬조성물시트(39)가 삽입되다.
물론 이어서, 상부접착제(20)에 의한 상부시트(10)를 접착함으로써 도면 7a, 7b에 예시한 가스방출로(32 또는 23)를 생성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된다.
도면 7a은 가스방출로(32)는 트레이시트(30)에 성형된 가스방출로(32) 이며, 도면 7b의 가스방출로(23)는 열프레스 금형(60)에 의해 비접착면으로써 생성된 가스방출로(23)이다.
또한 또 다른 방법으로써 상기 '가스방출로(23)'와는 달리 가스방출을 위한 '통풍구'를 제작할 수 있는데, 상부시트(10) 또는 하부시트(50) 표면에 '핀홀'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가스 통풍구가 만들어지고, 그 '핀홀'의 크기와 갯수에 따라 이산화염소의 방출량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레이저 핀홀 또는 마이크로 핀홀이 타공된 시트를 사용함은 양산성 및 제작비용을 감안하면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제품을 제작하기위한 최종단계인 다이컷 공정에서 수개의 '핀홀'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살균시트(1)의 최종 모양과 크기에 따라 제품의 외곽을 타발(제단)하게 되는데, 다이커팅 칼판에 심어진 칼날의 모양에 의해 제단 되는 것이므로, 그 칼판에 '칼날'과 미세천공을 위한 '핀'을 같이 심어, 살균시트(1)의 제품형태를 위한 외곽타발과 동시에 '핀홀'구멍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가스방출 지속시간을 조절할 수 있는 '가스 통풍구'가 완성되는 것이다.
다만 제작되어지는 핀홀은 미세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크기가 크면 클수록 그 구멍 사이로 이산화염소 조성물 가루 또는 액상이 흘러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의 메쉬조성물시트(39)에 사용되는 망사시트(35)는 메쉬 모양과 메쉬의 크기, 메쉬의 두께 등에 의하여 이산화염소 반죽(31)의 흡작 정도와 두께가 달라짐은 당연한 것이고, 따라서 트레이시트(30)의 두께와 비슷하게 메쉬조성물시트(39)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망사시트(35)는 섬유조직 망사 또는 부직포 등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산화염소 메쉬조성물시트(39)의 제작은 '도 9'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망사시트(35)가 두 개의 롤 사이를 관통할 때, 망사시트(35)의 전,후면에 압착하여 이산화염소 반죽(31)이 망사의 조직 사이로 흡착되어 만들어지고, 이를 일정크기로 재단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망사시트(35)를 이용하여 이산화염소 반죽(31)이 충전되는 이산화염소 메쉬조성물시트(39)의 제작방법은 침지, 코팅, 닥터블레이드를 이용한 밀착방식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제작 방법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다만, 이산화염소 메쉬조성물시트(39)는 트레이시트(30) 및 전후면 시트(10, 50)의 접착(또는 점착)과정에서 밀폐되고, 이산화염소 가스의 방출은 가스방출로(23)를 통해서 적당량이 방출되는데, 가스방출로(23)는 상기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하고 예시하였듯이 공기구멍으로써 음각요철 형태로 파인 트레이시트(30)에 의해 생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도 5 내지 도 8에서 설명하고 예시된 프레스금형(60)에 의한 접착면(21)과 비접착면(23)에 의해 가스방출로가 제작되고, 또는 상기 상면시트(10)에 형성된 '핀홀'에 의한 가스방출구에 의해 본 발명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산화염소 살균시트(1)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응용되어 사용되는데 예컨대, 살균처리가 요구되는 냉장고 내부, 휴대폰 커버, 화장실 변기 등에 쉽게 접착하고 제거할 수 있도록 일면에 리무버블 스티커 처리를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8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상부시트(10)의 상측면에 리무버블 점착제(12)가 도포되어 스티커 처리되고, 다시 스티커점착제 위에 이형필름(15)이 덮어져 제작되어진다.
또한 본 발명을 이루는 살균시트(1)는 플라스틱시트의 적층구조인 딱딱한 카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지만,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부직포, 또는 고무, 우레탄, PU, PE, PP, 등의 연질필름 소재를 사용하여 적층되어 접착된 구조로 제작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살균시트(1)를 예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시트(50)의 하측면에 렌즈 어레이(70)가 형성되고, 하부시트(50)의 상측 면에 인쇄층(55)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제품을 투시할 때 입체그래픽, 비표기능, 그래픽변환 디자인기능 등을 추가하여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렌즈어레이(70)는 90도 교차배열 또는 60도 교차배열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또는 렌티큘라 렌즈어레이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의 인쇄층(55)은 마이크로렌즈어레이의 배열과 동일한 배열구조인 인쇄망점으로 이루어지는데 단, 인쇄망점의 배열구조의 조밀도의 변화에 따라 입제적으로 보이는 방식이며, 인쇄되는 망점의 모양에 따라 문자 또는 문양으로서 확대되어 입체적으로 보이는 원리를 이용한다. 또한 마이크로렌즈어레이(70)를 구성하는 렌즈모양이 상기 렌티큘라 렌즈어레이로 구성되었다면 렌티큘라 렌즈피치와 동일한 반복 인쇄피치를 가지는 인쇄방식으로 인쇄층(55)이 형성되어 다양한 그래픽의 입체 또는 변환그래픽 디자인으로 관찰되는 제품표면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살균시트(1)를 예시한 것이다.
PE(폴리에틸렌) 또는 PP(폴리프로필렌) 수지로 라미네이팅(또는 코팅처리)된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50) 가 준비되고, 두 시트 사이에 트레이시트(30)를 대신하는 메쉬조성물시트(39)가 중앙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50)의 외곽부분에 초음파 또는 고주파금형에 의하여 압착되어 접착되거나, 발려진 접착제(20, 4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접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PE 또는 PP수지로 라미네이팅된 상부시트(10)와 하부시트(50)가 서로 접착될 때, 부분접착면(21)이 형성되며 결국, 접착되지 않은 비접착면이 가스방출로(23)로써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PE(폴리에틸렌) 또는 PP(폴리프로필렌) 수지로 라미네이팅(또는 코팅처리) 하는 이유는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부직포로 이루어질 경우, 부직포로 이루어진 상부시트와 하부시트의 부직포 미세조직 사이에서 방출되는 이산화염소 가스가 과다하게 방출되고 그 수명이 짧아지기 때문에 적당한 밀폐와 가스방출로(23)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도 12 내지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메쉬조성물 시트(39)를 예시한 단면도이다.
상기에서 언급하였듯이 메쉬조성물시트(39)를 제작하기 위한 롤 생산방식에 있어, 부직포 표면에 침지방식 또는 도 9에서 예시한 방식으로는 많은 양의 이산화염소 반죽조성물(31)을 함침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왜냐면 부직포시트에 많은양의 액상반죽이 입혀지게 되면 롤로 겹겹이 감겨지는 부직포층이 서로 달라붙게 되거나, 건조되어 롤로 감긴다 하더라도 잘게 부스러지는 이산화염소 조성물가루 또는 덩어리들이 부직포에서 이탈되어 제품의 균일성을 방해하고, 이어지는 제작공정 즉, 제단공정에서도 제단을 위한 충격때문에 계속해서 부스러기들이 이탈되는 폐단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다른 제작방법으로써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직포(36)와 합지필름(37) 사이에 이산화염소 반죽조성물(31)을 삽입시켜, 부직포(36) 섬유조직 사이로 이산화염소 조성물이 풍부하게 삽입되고 함침된다. 상기 합지필름(37)은 부직포, PET, PP, PE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데 표면에 점착제가 발려져 있다면 더욱 유리하게 제작이 가능할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메쉬조성물 시트(39)의 형태적 특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쉬조성물시트(39)의 외곽부에 가스방출돌기(80)가 형성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것이 트레이시트(30)에 형성된 가스통풍구(32)에 맞춰, 메쉬조성물시트(39) 전체가 트레이시트(30) 안쪽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가스방출돌기(80)는 자동 대량생산에 따른 메쉬조성물시트(39)의 타발 과정에서 만들어 지는데, 연속되어 제작되어지는 메쉬조성물시트(39)의 연결부위가 살균시트의 크기 또는 형태에 맞춰 최종 타발할 때 '돌기'형태로써 제작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부시트(10)와 트레이시트(30), 하부시트(50)가 서로 결합되는 구조에서 이 돌기형태는 좌, 우측 2개 및(또는) 상, 하측의 2개의 연결부가 생겨날 수 있는 것이고, 이것이 자연스럽게 통풍구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쉬조성물시트(39)의 외곽부위에 가스방출돌기(80)가 형성되고, 접착제(또는 점착제)가 발려진 하부시트(50) 중앙에 상기 메쉬조성물시트(39)를 놓이게 하고, 상부시트(10)를 덮어 압착하면, 결국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타발과정을 통해 가스방출 돌기(80)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어 가스가 방출되도록 살균시트가 제작되어진다.
또한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부시트(10)에 통풍구로서 핀홀(81)이 형성되어있다. 핀홀 크기와 개수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시트, 메쉬조성물시트(39)(또는 트레이시트(30)), 하부시트(50)가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된 한 장의 시트로 제작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시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 살균시트
10. 상부시트
12. 리무버블 점착제(Removable Adhesive)
14. PP 또는 PE 라이네이팅 필름
15. 이형필름
20. 상부 접착층
21. 부분 접착면
23. 비접착면 가스방출로
30. 트레이시트
31. 이산화염소 조성물
32. 가스방출로
33. 내부프레임
35. 망사시트
36. 부직포
37. 합지필름
39. 이산화염소 메쉬조성물 시트
40. 하부접착층
50. 하부시트
51. 일반인쇄
55. 특수인쇄
60. 열프레스 금형
61. 양각요철
62. 음각요철
63. 고주파 금형
70. 렌즈어레이
80. 가스방출 돌기
81. 핀 홀

Claims (12)

  1. 하부시트;
    상기 하부시트 상에 배치되는 트레이시트; 및
    상기 트레이시트 상에 배치되는 상부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시트는 외부 프레임, 내부 프레임, 및 상기 외부 프레임과 상기 내부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영역에는 이산화염소 조성물이 충전되고,
    상기 트레이시트는 상기 외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가스 방출로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방출로는 상기 트레이시트의 일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과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와 연결되는 살균시트.
  2. 하부시트;
    상기 하부시트 상에 배치되고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트레이시트;
    상기 트레이시트의 상기 외부 프레임 내부에 배치되는 메쉬조성물시트; 및
    상기 트레이시트 및 상기 메쉬조성물시트 상에 배치되는 상부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메쉬조성물시트는 이산화염소 조성물이 함침되고,
    상기 트레이시트는 상기 외부 프레임에 형성되는 가스 방출로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방출로는 상기 트레이시트의 일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메쉬조성물시트와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와 연결되는 살균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와 상기 트레이시트 사이에 하부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시트와 상기 상부시트 사이에 상부접착층을 포함하는 살균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시트의 상기 외부 프레임의 일면에는 상기 하부시트 또는 상기 상부시트와 접착되는 접착면과 상기 하부시트 또는 상기 상부시트와 접착되지 않는 비접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가스 방출로는 상기 트레이시트의 상기 외부 프레임의 상기 비접착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시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조성물시트는 부직포와 필름 사이에 상기 이산화염소 조성물이 삽입되어, 상기 부직포에 상기 이산화염소 조성물이 함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시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조성물시트는 상기 트레이시트의 상기 가스 방출로를 통해 적어도 한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돌출되는 돌기를 포함하는 살균시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조성물시트는 망사 조직 또는 부직포 조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시트.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 상기 트레이시트 및 상기 하부시트는 부직포, 고무, 우레탄, PU, PE, PP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시트.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시트 상에 인쇄층이 배치되고,
    상기 하부시트 하부에 렌즈어레이를 포함하는 살균시트.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 상에 점착제가 도포되고 이형필름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시트.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시트 및 상기 하부시트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시트.
  12. 트레이시트에 이산화염소 조성물이 충전되는 단계;
    상기 트레이시트의 상면에 상부시트가 접착되고, 하면에 하부시트가 접착되는 단계;
    양각요철 및 음각요철을 포함하는 열프레스를 통해 상기 트레이시트 상에 가스 방출로가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 방출로는 상기 트레이시트의 일면에 함몰되어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이산화염소 조성물과 연결되고 타단은 외부와 연결되는 살균시트 제조방법.
KR1020200090609A 2020-02-21 2020-07-21 이산화염소 살균 시트 KR1022577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653 2020-02-21
KR20200021653 2020-02-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702B1 true KR102257702B1 (ko) 2021-05-31

Family

ID=7615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609A KR102257702B1 (ko) 2020-02-21 2020-07-21 이산화염소 살균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7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341B1 (ko) * 2021-05-20 2022-01-06 임현재 항균 및 바이러스 살균기능을 갖는 카드
KR102368053B1 (ko) 2021-09-28 2022-03-02 주식회사 바이오뷰텍 살균 소독 효능을 보유하는 에탄올 프리형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905Y1 (ko) * 2003-01-24 2003-05-09 정현인 방사형 볼록렌즈 입체인쇄시트
JP2012011028A (ja) * 2010-07-01 2012-01-19 Yoshinori Matsuyama 二酸化塩素ガスの徐放具
JP2014233544A (ja) * 2013-06-04 2014-12-15 新光株式会社 ボックス型空気清浄用具
KR20150108106A (ko) 2014-03-17 2015-09-25 한국식품연구원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용 고분자 겔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의 포장방법
KR20160004706A (ko) * 2014-07-04 2016-01-13 이용화 살균제 카드 및 그 사용방법
KR20170066722A (ko) 2015-12-04 2017-06-15 김홍길 이산화염소 서방출용 겔형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02350A (ko) 2017-03-07 2018-09-17 주식회사 제씨콤 항균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905Y1 (ko) * 2003-01-24 2003-05-09 정현인 방사형 볼록렌즈 입체인쇄시트
JP2012011028A (ja) * 2010-07-01 2012-01-19 Yoshinori Matsuyama 二酸化塩素ガスの徐放具
JP2014233544A (ja) * 2013-06-04 2014-12-15 新光株式会社 ボックス型空気清浄用具
KR20150108106A (ko) 2014-03-17 2015-09-25 한국식품연구원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용 고분자 겔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의 포장방법
KR20160004706A (ko) * 2014-07-04 2016-01-13 이용화 살균제 카드 및 그 사용방법
KR20170066722A (ko) 2015-12-04 2017-06-15 김홍길 이산화염소 서방출용 겔형 조성물, 이를 이용한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02350A (ko) 2017-03-07 2018-09-17 주식회사 제씨콤 항균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8341B1 (ko) * 2021-05-20 2022-01-06 임현재 항균 및 바이러스 살균기능을 갖는 카드
KR102368053B1 (ko) 2021-09-28 2022-03-02 주식회사 바이오뷰텍 살균 소독 효능을 보유하는 에탄올 프리형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702B1 (ko) 이산화염소 살균 시트
CN103096855B (zh) 用于制造压花纤维网的方法
JP5438408B2 (ja) 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KR970701524A (ko) 거시적으로 팽창된, 3차원의 천공된 적층 웹 및 그의 제조 방법(three-dimensional, macroscopically expanded, apertured laminate webs and method for making)
CN109401663A (zh) 一种硅胶垫双面贴胶制作工艺
WO2006072604A3 (en) Laminate of thermoplastic film materials exhibiting throughgoing porosity
WO2011012051A1 (en) Method for preparing keypad assembly, keypad assembly and keypad having the same
WO2012125530A1 (en) Window dressings via hybrid casting sheets
JP6200614B1 (ja) ガス抜き弁の製造方法
JP2007526406A (ja) 脱脂綿に分離網が形成されたメッシュコット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722911B (zh) 層疊立體電鍍貼紙的製造方法與結構
JP4270800B2 (ja) 粘着シートの製造方法
KR100825830B1 (ko) 방향제 및 흡수제의 발산량 및 흡수량 조절용 층간박리필름 제조방법 및 발산량 및 흡수량 조절용 층간박리 필름
JP4357785B2 (ja) 壁紙用粘着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717284B (zh) 立體浮凸電鍍貼紙的製造方法與結構
JP2000117903A (ja) 化粧材、化粧シート及び化粧材の製造方法
TWM600701U (zh) 多層立體的電鍍貼紙
WO2022168923A1 (ja) ラベル付きパルプモールドおよび当該ラベル付きパルプモールドの製造方法
CN201863428U (zh) 一种单透贴底纸及单透贴
TWI751591B (zh) 電化學測試片及防護面罩;及該電化學測試片及該防護面罩的製造方法
KR20050012878A (ko) 물탱크용 판넬 및 그 제조방법
CN212603738U (zh) 立体效果的电镀贴纸
CN212604256U (zh) 多层立体的电镀贴纸
JP2004252291A (ja) 加熱発泡性を有するラベルおよびその発泡方法
KR100670466B1 (ko) 자연소재를 이용한 벽지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