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4706A - 살균제 카드 및 그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살균제 카드 및 그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4706A
KR20160004706A KR1020140083543A KR20140083543A KR20160004706A KR 20160004706 A KR20160004706 A KR 20160004706A KR 1020140083543 A KR1020140083543 A KR 1020140083543A KR 20140083543 A KR20140083543 A KR 20140083543A KR 20160004706 A KR20160004706 A KR 20160004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disinfectant
foil
chlorine dioxide
steriliz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3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화
Original Assignee
이용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화 filed Critical 이용화
Priority to KR1020140083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4706A/ko
Publication of KR20160004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이산화염소(ClO2)가 주입 또는 함침(含浸)된 흡습포(吸濕布)를 다양한 형상의 카드형태로 제작하여 각종 물품에 수납 또는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활 공간에서 각종 세균을 살균하여 질병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생활공간에서 발생되는 각종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일정 기간 사용 후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살균제 카드 및 그 사용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사각형이나 원형을 비롯한 다양한 형상으로 재단된 후 이산화염소(ClO2)가 주입되거나 함침(含浸)된 흡습포와; 상기 흡습포의 표면과 이면에 밀착된 상태로 감싸여지며, 상기 흡습포와 접하는 안쪽면에 햇빛을 차단하는 은박(銀箔)이 도포된 반면(半面) 은박지와; 상기 반면 은박지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감싸여지며, 가장자리가 상기 반면 은박지의 가장자리와 함께 밀봉·접합되는 투명 또는 불투명의 통기성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살균제 카드 및 그 사용방법{Card for disinfection and usage thereof}
본 발명은 살균제 카드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산화염소(ClO2)가 주입 또는 함침(含浸)된 흡습포(吸濕布)를 다양한 형상의 카드형태로 제작하여 각종 물품에 수납 또는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활 공간에서 각종 세균을 살균하여 질병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생활공간에서 발생되는 각종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일정 기간 사용 후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살균제 카드 및 그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산화염소(ClO2)는 비염소계 살균제 및 소독제로서 오존에 이어 가장 강력한 살균력과 표백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다.
이 같은 이산화염소는 바이오매스(Biomass)에 대하여 강한 침투력을 갖기 때문에 불용성 염을 침전시켜 부식성의 혐기성 세균을 증식시키면서 물때를 발생시키는 세균막을 제거할 수 있고, 수중의 유기물을 제거하여 BOD와 COD 수치를 감소시킬 뿐 아니라 용존 산소량(DO)를 증가시켜 수질도를 낮추는 것은 물론, 광범위한 pH 범위에서의 강력한 산화력으로 물 비린내를 비롯한 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는 곰팡이류와 세균을 살균하고, 물에 함유된 페놀류, 아민류, 황화수소 물질을 제거하기 때문에 정수장 등의 살균·소독제로 많이 쓰이고 있다.
또, 이산화염소는 장염을 유발시키는 비브리오균, 살모넬라균, 대장균 O157, 리스테리아균, 쉬겔라균, 바실러스 세레우스 같은 각종 식중독균에 대한 살균은 물론 식품의 변패를 방지하고, 특히, 대장균, 포도상구균에 대해서는 99.999% 이상의 살균효과를 나타내면서 부패방지와 신선도를 유지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식품의 살균·소독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 상기 이산화염소는 불포화지방산과 반응하지 않고 악취의 원인인 유화수소, 메르캅탄류, 페놀 등을 산화시키거나 구조적으로 파괴하기 때문에 담배냄새 또는 씽크대 및 냉장고의 악취제거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다.
또, 이산화염소는 염소와는 달리 발암물질인 THMs, HAAs, HANs 등과 클로로아민이나 클로로페놀 등을 생성하지 않으면서 빛에 의해 빠르게 무독성 물질로 분해되어 환경적인 피해를 발생시키지 않음에 따라 세계보건기구(WTO)로부터 가장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소독제(A-1)로 분류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1999년 환경부 고시 제1999-173호를 통하여 "먹는 물 살균소독제"로 허가된 이후에 2005년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제2005-33호를 통하여 "기구 등의 살균 소독제로 사용토록 지정"되는 등 안전한 살균·소독제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이산화염소는 주로 정수시설이나 하수처리시설 또는 식품의 제조시설 등에 사용될 뿐, 일반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살균·소독에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지는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이산화염소를 일상 생활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그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83410호(명칭: 항균제 파우치,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제안되었다.
상기 선행기술은 '다공성의 무기질 고형 담체에 이산화 염소를 담지시킨 입자상의 항균제와, 상기 항균제를 수용하는 제1주머니체와, 제1주머니체를 수용하는 제2주머니체를 구비한 휴대용의 항균제 파우치로서, 제1주머니체는, 전체면에 무기질 고형 담체의 입경보다 작은 직경의 미세 구멍을 갖고, 제2주머니체는, 상기 이산화 염소를 대기중에 방출하기 위한 방출구멍을 가지며, 상기 제1주머니체 및 제2주머니체는 각각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주머니체에는, 제1주머니체가 제2주머니체의 내측에 접촉하는 부분과, 제1주머니체와 제2주머니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부분이 있고, 상기 방출구멍은, 상기 제2주머니체의 상기 간극이 형성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의 요지로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에서는 이산화염소가 입자상의 다공성 무기질 고형 담체에 담지된 상태로 제1주머니체에 수용되기 때문에 주머니체를 세워 사용하는 경우 입자상의 담체가 주머니체 내에서 아랫쪽으로 편중되어 평평한 상태로 유지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한 선행기술에서는 상기 제1주머니체에는 담체 입자에 담지된 이산화염소가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기 위한 방출구멍이 형성되는바, 이 경우 담체입자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한 선행기술에서는 이산화염소가 유색의 무기질 다공성 담체에 담지되기 때문에 일정 기간이 경과되더라도 사용자가 색상변화에 따른 교체시기를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한 선행기술에서는 이산화염소가 담지되는 무기질 다공성 담체의 형상을 마음대로 변형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적용범위가 크게 제한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산화염소(ClO2)가 주입 또는 함침(含浸)된 흡습포(吸濕布)를 다양한 형상의 카드형태로 제작하여 각종 물품에 수납 또는 부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활 공간에서 각종 세균을 살균하여 질병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살균제 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활공간에서 발생되는 각종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살균제 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정 기간 사용 후 교체시기를 육안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살균제 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기능을 하는 새로운 살균제 카드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카드는 사각형, 원형을 비롯한 다양한 형상으로 재단된 후 이산화염소(ClO2)가 주입되거나 함침(含浸)된 흡습포와; 상기 흡습포의 표면과 이면에 밀착된 상태로 감싸여지며, 상기 흡습포와 접하는 안쪽면에 햇빛을 차단하는 은박(銀箔)이 도포된 반면(半面) 은박지와; 상기 반면 은박지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감싸여지며, 가장자리가 상기 반면 은박지의 가장자리와 함께 밀봉·접합되는 투명 또는 불투명의 통기성 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반면 은박지상의 면상에는 외부에서 상기 흡습포의 일부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일 또는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통기성 필름의 면상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사용기간에 따른 흡습포의 색상변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명한 확인창이 형성되며; 상기 확인창을 제외한 다른 부위에는 홍보용 문양이 인쇄되도록 구성된 특징을 갖는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카드의 사용방법은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된 살균제 카드를 지갑, 핸드백, 가방, 의류의 주머니, 목에 걸어 사용하는 패찰(牌札), 베개, 이불, 쇼파, 침대용 매트리스, 인형, 애완동물이나 가축류의 몸체에 착용하는 인식표의 내부에 교체가능하게 수납하거나 또는 상기 살균제 카드의 표면에 별도의 부착수단을 접착시킨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비롯한 각종 휴대기기, 리모콘, 선풍기와 에어컨을 비롯한 각종 가전제품, 각종 가구의 표면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이산화염소(ClO2)가 주입되거나 함침(含浸)된 흡습포(吸濕布)를 다양한 형상의 카드형태로 제작하여 각종 물품에 수납 또는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생활 공간에서 각종 세균을 살균하여 질병의 발생을 미리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 흡습포로부터 발산되는 이산화염소의 작용에 의하여 담배냄새 등 생활공간에서 발생되는 각종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사용자가 육안으로 흡습포의 색상변화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 기간 사용 후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적용되는 흡습포가 다양한 형상으로 재단할 수 있는 펠트나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습포를 감싸는 반면 은박지나 통기성 필름 또한 구부릴 수 있는 부드러운 재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굴곡진 형상을 갖는 물품에도 감아 부착할 수 있슴에 따라 그 적용범위가 크게 확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카드를 애완동물이나 가축의 인식표에 수납하거나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그 주변의 세균을 살균함에 따라 동물에 발생되는 특유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으며, 동물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카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카드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살균제 카드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카드가 신분확인용 패찰에 수납되어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카드가 애완동물의 인식표에 수납되어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카드가 선풍기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카드(10)에서는 사각형, 원형을 비롯한 다양한 형상으로 재단된 후 이산화염소(ClO2)가 주입되거나 함침(含浸)된 흡습포(12)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흡습포(12)의 표면과 이면에는 상기 흡습포(12)와 접하는 안쪽면에 햇빛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은박(銀箔:14a)이 입혀진 반면 은박지(14)가 밀착된 상태로 감싸여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반면 은박지(14)의 면상에는 외부에서 상기 흡습포(12)의 일부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일 또는 복수개의 관통공(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반면 은박지(14)의 표면에는 투명이나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통기성 필름(18)이 밀착된 상태로 감싸여지며, 상기 통기성 필름(18)의 가장자리는 상기 반면 은박지(14)의 가장자리와 함께 밀봉·접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반면 은박지(14)상의 관통공(16)과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통기성 필름(18)의 면상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관통공(16)을 통하여 사용기간에 따른 흡습포(12)의 색상변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명한 확인창(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확인창(20)을 제외한 통기성 필름(18)의 다른 부위에는 기업체나 상품을 홍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홍보용 문양(22)이 인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산화 염소(ClO2)가 주입되거나 함침되는 상기 흡습포(12)로는 양털 등을 원료로 하여 습기와 열 및 압력을 가하여 만든 것으로, 재질이 부드럽고 흡습성이 우수하며 다양한 형상으로 용이하게 재단할 수 있는 펠트(Felt) 또는 상기의 펠트를 원단으로 하여 제조한 부직포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 통기성 필름(18)으로는 통기성이 좋은 연질 폴리우레탄폼(Polyurethane foam) 필름이 바람직하며, 그 외에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Low Density Polyethylene)수지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수지에 CaCO3를 배합하여 중합·연신시킨 필름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카드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먼저, 펠트나 부직포로 된 흡습포(12)를 사각형이나 원형 또는 하트형상 같은 원하는 형상으로 재단하고, 재단된 흡습포(12)에 살균에 적합한 농도로 조절된 이산화염소 용액을 주입하거나 함침시킨다.
그런 다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산화염소 용액이 주입되거나 함침된 흡습포(12)의 표면과 이면에 반면 은박지(14)를 밀착시키고, 상기 반면 은박지(14)의 외표면에 연질 폴리우레탄폼 필름이나 저밀도 폴리에틸렌필름 또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 같은 통기성 필름(18)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반면 은박지(14)와 통기성 필름(18)의 가장자리를 고주파 용접하여 밀봉시키면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카드(10)가 만들어진다.
이 과정에서 상기 흡습포(12)와 밀착되는 반면 은박지(14)의 안쪽면에는 은박(14a)을 입혀 햇빛이 흡습포(12) 내로 투과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반면 은박지(14)의 면상에 외부로부터 흡습포(12)를 볼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16)을 형성한다.
또, 상기 통기성 필름(18)으로는 투명하거나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것이 적용되거나 투명한 재질의 필름에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색상으로 코팅된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통기성 필름(18)으로서 투명한 재질의 필름이 적용되는 경우에 상기한 반면 은박지(14)상의 관통공(16)과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확인창(20)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색상으로 코팅하고, 반투명 또는 불투명 색상으로 코팅된 부위에 기업체나 상품의 광고 및 홍보를 위한 홍보용 문안(22)이 인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살균제 카드(10)는 지갑, 핸드백, 가방 같은 휴대용품이나 의류의 주머니에 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베개, 이불 같은 침구류나 신분확인용 패찰(牌札), 쇼파, 침대용 매트리스, 인형, 애완동물이나 가축류의 몸체에 착용하는 인식표에 형성되는 카드수납부(32)(42)의 내부에 교체가능하게 수납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카드(10)의 표면에 별도의 부착수단(52)을 접착시킨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비롯한 각종 휴대기기, 리모콘, 선풍기와 에어컨을 비롯한 각종 가전제품, 각종 가구의 표면에 부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첨부되는 도 4 및 도 5에서는 살균제 카드(10)를 신분확인용 패찰(30) 및 애완동물용 인식표(40)에 형성된 카드수납부(32)(42)에 수납시켜 사용하는 예를 나타내었다.
이 경우, 신분확인용 패찰(30)이나 애완동물용 인식표(40)의 뒷면에 카드수납부(32)(42)를 형성하고, 상기 카드수납부(32)(42)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된 살균제 카드(10)를 카드수납부(32)(42)에 대하여 교체 가능하게 수납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첨부되는 도 6에서는 살균제 카드(10)가 선풍기(50)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예를 도시하였다.
이 경우, 상기 살균제 카드(10)의 일측면에 양면 접착테이프 같은 별도의 부착수단(52)을 접착한 상태에서 선풍기(50)의 안전망 전면이나 특정 부위에 탈착가능하게 부착하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카드(10)를 원하는 물품에 수납하거나 부착하여 사용하게 되면, 상기 살균제 카드(10)를 구성하는 흡습포(12)에 주입되거나 함침된 이산화염소가 반면 은박지(14) 및 통기성 필름(18)을 통하여 외부로 발산되면서 주변의 각종 세균을 살균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통기성 필름(18)의 외부로 발산되는 이산화염소에 의하여 주변의 공기나 물품 중에 함유된 각종 세균이 살균되는 이외에 이산화염소가 불포화지방산과 반응하지 않고 악취의 원인인 유화수소, 메르캅탄류, 페놀 등을 산화시키거나 구조적으로 파괴하기 때문에 담배냄새 또는 씽크대 및 냉장고의 악취를 탈취하여 제거함에 따라 주변의 공기가 쾌적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흡습포(12)에 이산화염소가 주입되거나 함침되면 특정한 색상(적갈색)을 띠게 되는데, 일정 기간이 경과되면 상기 흡습포(12)에 주입 또는 함침된 이산화염소가 외부로 발산됨에 따라 흡습포(12)의 색상이 점점 옅어진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통기성 필름(18)에 형성된 투명한 확인창(20) 및 반면 은박지(14)에 형성된 관통공(16)을 통하여 사용기간에 따른 흡습포(12)의 색상변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흡습포(12)의 색상이 최고로 옅어진 상태에서 새로운 살균제 카드(10)로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카드(10)는 위에서 기술된 물품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적시된 물품 이외의 다른 물품에도 수납하거나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 : 살균제 카드
12 : 흡습포 14 : 반면(半面) 은박지
14a : 은박(銀箔) 16 : 관통공
18 : 통기성 필름 20 : 확인창
22 : 홍보용 문양 30 : 신분확인용 패찰
40 : 애완동물용 인식표 32,42 : 카드수납부
50 : 선풍기 52 : 부착수단.

Claims (3)

  1. 사각형, 원형을 비롯한 다양한 형상으로 재단된 후 이산화염소(ClO2)가 주입되거나 함침(含浸)된 흡습포(12)와;
    상기 흡습포(12)의 표면과 이면에 밀착된 상태로 감싸여지며, 상기 흡습포(12)와 접하는 안쪽면에 햇빛을 차단하는 은박(銀箔:14a)이 도포된 반면(半面) 은박지(14)와;
    상기 반면 은박지(14)의 외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감싸여지며, 가장자리가 상기 반면 은박지(14)의 가장자리와 함께 밀봉·접합되는 투명이나 반투명 또는 불투명의 통기성 필름(1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제 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면 은박지(14)상의 면상에는 외부에서 상기 흡습포(12)의 일부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일 또는 복수개의 관통공(16)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6)과 대응되는 위치에 해당되는 통기성 필름(18)의 면상에는 외부로부터 상기 관통공(16)을 통하여 사용경과에 따른 흡습포(12)의 색상변화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명한 확인창(20)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확인창(20)을 제외한 통기성 필름(18)의 다른 부위에는 홍보용 문양(22)이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제 카드.
  3.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기재된 살균제 카드(10)를 지갑, 핸드백, 가방, 의류의 주머니, 신분확인용 패찰(牌札), 베개, 이불, 쇼파, 침대용 매트리스, 인형, 애완동물이나 가축류의 몸체에 착용하는 인식표에 형성되는 카드수납부(32)(42)의 내부에 교체가능하게 수납시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살균제 카드(10)의 표면에 별도의 부착수단(52)을 접착시킨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비롯한 각종 휴대기기, 리모콘, 선풍기와 에어컨을 비롯한 각종 가전제품, 각종 가구의 표면에 부착시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제 카드의 사용방법.
KR1020140083543A 2014-07-04 2014-07-04 살균제 카드 및 그 사용방법 KR20160004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543A KR20160004706A (ko) 2014-07-04 2014-07-04 살균제 카드 및 그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3543A KR20160004706A (ko) 2014-07-04 2014-07-04 살균제 카드 및 그 사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706A true KR20160004706A (ko) 2016-01-13

Family

ID=55172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3543A KR20160004706A (ko) 2014-07-04 2014-07-04 살균제 카드 및 그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470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804U (ko) * 2016-01-28 2017-08-07 황만수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
KR20170002805U (ko) * 2016-01-28 2017-08-07 황만수 밴드형 바이러스 차단구
KR102257702B1 (ko) * 2020-02-21 2021-05-31 정현인 이산화염소 살균 시트
CN113662004A (zh) * 2021-08-06 2021-11-19 哈尔滨理工大学 一种以沸石为载体的缓释型二氧化氯消毒卡片
KR102348341B1 (ko) 2021-05-20 2022-01-06 임현재 항균 및 바이러스 살균기능을 갖는 카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804U (ko) * 2016-01-28 2017-08-07 황만수 스티커형 바이러스 차단구
KR20170002805U (ko) * 2016-01-28 2017-08-07 황만수 밴드형 바이러스 차단구
KR102257702B1 (ko) * 2020-02-21 2021-05-31 정현인 이산화염소 살균 시트
KR102348341B1 (ko) 2021-05-20 2022-01-06 임현재 항균 및 바이러스 살균기능을 갖는 카드
CN113662004A (zh) * 2021-08-06 2021-11-19 哈尔滨理工大学 一种以沸石为载体的缓释型二氧化氯消毒卡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4706A (ko) 살균제 카드 및 그 사용방법
JP5892583B2 (ja) 抗菌用銀イオン生成液、その液から生成された銀イオン抗菌液及びその抗菌液を生成する生成方法
JP5881241B2 (ja) 抗菌パックシート包装体
CN103583514B (zh) 一种杀菌除味防霉剂及其制备方法
CN212854145U (zh) 一种二氧化氯凝胶透气盒及多功能消毒盒
JP3786663B2 (ja) 二酸化塩素と次亜塩素酸塩と硫酸第一鉄とを含む水溶液を用いたウエットワイパーの除菌及び殺菌方法
CN106421863A (zh) 一种太赫兹家用电器的制造杀菌净化空气的制备方法
JP2003213022A (ja) ヨウ素含有物品の簡易製造方法、耐水性を有するヨウ素ガス徐放具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消毒システム。
KR20190040394A (ko) 일회용 곰팡이 제거 시트
CN203342078U (zh) 银抗菌多功能袋
WO2010030255A1 (en) Process for sterilization of the textile products
KR101718760B1 (ko) 과일, 채소 및 화훼류의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
JP2005224690A (ja) フィルタ、清潔用品及び衛生用品
CN216855027U (zh) 带消毒功能的卫生巾
JP2021194374A (ja) 空間浄化抗菌材及びそれを用いた空間浄化抗菌用品
KR20070077470A (ko) 제독 및 살균기능을 가지는 위생 포장용기
KR20130031501A (ko) 미량 서방형 이산화염소 가스 훈증 팩
JP3140146U (ja) オゾン装置
KR102404959B1 (ko) 강산성 차아염소산수를 이용한 살균소독제, 살균소독 물품 및 그 제조방법
CN2267046Y (zh) 双载体冰箱灭菌包
KR200389556Y1 (ko) 기능성 넥타이
KR200423678Y1 (ko) 제독 및 살균기능을 가지는 위생 포장용기
JP4174510B2 (ja) 除菌消臭剤、除菌消臭剤溶液及びこれを用いた除菌消臭方法
JP2008264281A (ja) 洗濯用除菌具
KR200285229Y1 (ko) 건강지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