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543B1 - 꼬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꼬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543B1
KR102257543B1 KR1020190076228A KR20190076228A KR102257543B1 KR 102257543 B1 KR102257543 B1 KR 102257543B1 KR 1020190076228 A KR1020190076228 A KR 1020190076228A KR 20190076228 A KR20190076228 A KR 20190076228A KR 102257543 B1 KR102257543 B1 KR 102257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kewer
cam
cutting
cam fol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935A (ko
Inventor
한승희
Original Assignee
한승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희 filed Critical 한승희
Priority to KR1020190076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54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10Securing foodstuffs on a non-edible supporting member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6Putting meat on skew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5/00Machines or apparatus for other treatment of fruits or vegetables for human purposes; Machines or apparatus for topping or skinning flower bulb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rmation And Processing Of 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꼬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꼬치 대상물에 꼬치 막대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홀을 자동으로 형성하도록 하여 꼬치의 제조 속도 및 능률을 향상시키는 꼬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꼬치 제조 장치(1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어 구동수단들에 의해 소정 두께와 폭의 꼬치 대상물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소정 길이씩 타공 유닛(30)으로 이송하는 공급 유닛(20), 공급 유닛(20)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꼬치 대상물의 양단을 타공함으로써 꼬치 막대의 삽입을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는 타공 유닛(30), 타공 유닛(30)의 작동과 동시에 또는 전후에 작동하여 꼬치 대상물을 절단하는 절단 유닛(40), 및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타공 유닛(30) 및 절단 유닛(4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50)을 포함하며, 구동 유닛(50)은 구동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축(51), 구동축(51)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되 구동축(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캠, 제2캠, 제3캠 주동체(52a, 52b, 52c), 제1캠 주동체(52a)/제2캠 주동체(52b)의 회전에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게 되는 제1캠 종동체(53a)/제2캠 종동체(53b), 및 제3캠 주동체(52c)의 회전에 따라 수직 운동하게 되는 제3캠 종동체(53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구동축(51)의 회전에 따라, 타공 유닛(30)은 제1캠 종동체(53a)와 제2캠 종동체(53b)에 결합되어 좌우로 왕복운동하면서 공급 유닛(20)에 의해 공급되는 꼬치 대상물의 양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타공하도록 하며, 절단 유닛(40)은 제3캠 종동체(53c)에 결합되어 승하강하면서 공급 유닛(20)에 의해 공급되는 꼬치 대상물을 절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꼬치 제조 장치{Skewer manufacturing equipment}
본 발명은 꼬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꼬치 대상물에 꼬치 막대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홀을 자동으로 형성하도록 하여 꼬치의 제조 속도 및 능률을 향상시키는 꼬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꼬치구이라 함은 각종 식재료, 예컨대, 양고기, 닭고기, 소고기, 돼지고기 등의 육류는 물론, 양파, 파, 피망 등의 야채, 그리고, 소시지, 햄 등과 같은, 육가공 식품 등, 기타 시식자가 원하는 음식물들을, 그 종류나 성질에 구애받음 없이 일정한 크기로 손질하여, 소정의 길이를 갖는 꼬치 막대에 꽂아 고온의 열에 구워 섭취토록 하는, 일종의 음식조리법을 의미한다.
꼬치구이는 어묵, 닭고기, 돼지 고기, 야채 등 꼬치 대상물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막대기를 끼워서 조리 및 취식을 함으로써, 조리가 간편하고 취식이 용이하면서 직접 접촉에 따른 세균의 침입을 막을 수 있어 위생적임에 따라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와 같은 꼬치구이를 소비자들에게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한 음식업소로서 다양한 식재료를 이용한 꼬치구이 전문요리점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으며, 이러한 꼬치구이 전문요리점 등을 통해 소비자들은 자신들의 기호에 맞는 꼬치구이를 다양하게 맛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꼬치구이는 그 음식조리의 특성상, 손질된 다수 종류의 식재료를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하나의 묶음 형태로 꼬치 막대에 꽂아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까다로운 준비작업을 행해야 하는 것으로, 이에, 다수의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는 꼬치전문 요리점 등에 있어서는, 이러한 꼬치구이 준비작업을 위해 상대적으로 많은 인원의 노동인력과 함께 과다한 꼬치작업 시간을 필요로 해야하는 것이었으며, 따라서 불필요한 인건비 상승의 폐단을 갖게 하는 등 매우 비경제적이고 비효율적인 조리상의 문제점을 주는 것이었다.
또한, 작업자가 꼬치 대상물을 지속적으로 파지한 상태로 꼬치 막대를 끼우는 작업을 실시함에 따라 위생적이지 못하고, 끼우는 작업 미숙으로 작업자의 손을 찌르게 되는 부상이 발생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며, 부상 발생에 따른 이물질이 음식물을 오염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꼬치를 대량으로 생산하여 인건비를 절감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며, 작업시 꼬치 막대에 의해 작업자가 다치는 일을 방지하며, 위생적인 상태에서 꼬치가 제조될 수 있도록, 육류를 절단하고 꼬치 막대를 삽입하는 일련의 공정이 자동화된 꼬치 제조 장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 문헌1은 컨베이어, 몰드, 제조부 등을 포함하는 어묵꼬치 자동 제조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특허 문헌2는 꼬치대상물을 이송하는 몰드를 탈착시켜 작업시간을 줄이는 제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꼬치대상물에 꼬치 막대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꼬치대상물을 이송하는 몰드 또는 형틀의 이송이 잠시 중단되어야 하는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특허 문헌3은 몰드와 커버에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몰드와 커버 사이에 배열되는 꼬치대상체를 가압 고정하고, 또 몰드와 커버의 각 리브형 고정수단이 꼬치대상체의 가압지점에 압력이 집중되도록 하고, 아울러 몰드와 커버의 각 고정수단이 엇물린 형태로 배열되어 꼬치대상체의 가압지점을 확장함으로써 꼬챙이 투입시 꼬치대상체가 정확한 위치에 배열 고정되도록 하여 꼬챙이 투입작업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비교적 단단하거나 냉동된 육류나 어류를 꼬치 대상물로 사용할 경우 꼬치 막대의 투입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제품의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9410호 특허 문헌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43296호 특허 문헌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3734호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꼬치 대상물에 꼬치 막대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홀을 자동으로 형성하도록 하여 꼬치의 제조 속도 및 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꼬치 제조 장치는, 꼬치 제조 장치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이송수단들에 의해 소정 두께와 폭의 꼬치 대상물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소정 길이씩 타공 유닛으로 이송하는 공급 유닛, 상기 공급 유닛의 일측에 구비되어서 공급되는 꼬치 대상물의 양단을 타공함으로써 꼬치 막대의 삽입을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는 상기 타공 유닛, 상기 타공 유닛의 작동과 동시에 또는 전후에 작동하여 꼬치 대상물을 절단하는 절단 유닛, 및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타공 유닛 및 상기 절단 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유닛은 구동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축, 하나의 상기 구동축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되 상기 구동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캠/제2캠/제3캠 주동체, 상기 제1캠/제2캠 주동체의 회전에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게 되는 제1캠/제2캠 종동체, 및 상기 제3캠 주동체의 회전에 따라 수직 왕복운동하게 되는 제3캠 종동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나의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타공 유닛은 상기 제1캠 종동체와 상기 제2캠 종동체에 결합되어 수평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공급 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꼬치 대상물의 양단에서 꼬치 대상물의 내측 방향으로 타공하도록 하며, 상기 절단 유닛은 상기 제3캠 종동체에 결합되어 승하강하면서 상기 공급 유닛에 의해 공급되는 꼬치 대상물을 절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공 유닛은 일측이 상기 제1캠/제2캠 종동체에 각각 결합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1/제2 커넥팅로드, 일 단부가 제1/제2 메인링크 지지부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제2 메인링크 지지부로부터 소정 거리에 위치한 중간부는 상기 제1/제2 커넥팅로드의 타측에 각각 힌지결합되어서 상기 제1/제2 커넥팅로드의 직선 왕복운동에 따라 상기 메인링크 지지부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는 제1/제2 메인링크, 및 상기 제1/제2 메인링크의 타 단부 각각에 제1/제2 커플러에 의해 결합되어서, 상기 제1/제2 메인링크의 회전에 따라 각각 수평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꼬치 대상물을 타공하는 제1/제2 타공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캠/제2캠 주동체의 캠 키를 다르게 하여, 상기 제1캠/제2캠 주동체의 회전에 따라 제1캠/제2캠 종동체가 소정 시간 차이로 직선 왕복운동하게 되고 상기 제1/제2 커넥팅로드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제2 타공침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때에 상기 제1/제2 타공침 사이에 놓인 꼬치 대상물을 타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단 유닛은 상기 제3캠 종동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함께 승하강하되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링크, 상기 수직링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함께 승하강하는 수평링크, 상기 수평링크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승하강 가이드홀에 체결되어 상기 수평링크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하는 수직가이드링크, 및 상기 수평링크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링크와 함께 승하강하면서 꼬치 대상물을 절단하는 절단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링크의 하측으로 상기 수직가이드링크를 따라 스프링수단이 구비되어 하강된 상기 수평링크의 상승 복귀를 지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급 유닛의 상기 이송수단들은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되 소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정돈된 꼬치 대상물을 투입받아 일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의 이동 방향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꼬치 대상물을 개방된 상부를 통해 수용하고 내부에 구비된 푸시로드에 의해 꼬치로 구성하고자 하는 길이만큼 꼬치 대상물을 상기 소정 길이씩 수평 이송하는 제2 이송부, 상기 제2 이송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상기 소정 길이씩 이송되는 꼬치 대상물을 상하로 작동하여 절단하는 절단부, 상기 제2 이송부의 이동 방향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꼬치 대상물을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전달받은 후, 상기 타공 유닛으로 이동하는 제3 이송부, 및 상기 제3 이송부로부터 꼬치 대상물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축의 1회전에 대응하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전방에 위치한 상기 타공 유닛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공 유닛은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상기 타공 유닛마다 상기 공급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이송부는 수평상에서 작동되는 좌우/전후구동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꼬치 대상물을 전달받아 상기 좌우구동수단에 의해 어느 하나의 상기 타공 유닛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전후구동수단에 의해 상기 공급부에 꼬치 대상물을 전달하고 복귀하고, 상기 좌우구동수단에 의해 다시 좌우에 위치한 다른 상기 타공 유닛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공 유닛 및 상기 절단 유닛을 거친 꼬치 대상물이 낙하하여 미끄럼 하강하도록 하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하부를 통과한 꼬치 대상물이 아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수납하는 적재박스를 포함하는 적재 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꼬치 제조 장치는,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꼬치 대상물에 꼬치 막대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홀을 자동으로 형성하도록 하여 꼬치의 제조 속도 및 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리 꼬치 막대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게 되므로, 비교적 단단하거나 냉동된 육류나 어류를 꼬치 대상물로 사용할 경우에도 꼬치 대상물에 꼬치 막대의 투입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꼬치 대상물에 꼬치 막대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꼬치 대상물을 이송 또는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몰드 또는 형틀을 구성하지 않고, 이들의 교체나 수리를 위해 꼬치 제조 작업이 중단되지 않는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 제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 제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 제조 장치의 타공 유닛 및 절단 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 제조 장치의 타공 유닛 및 절단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 제조 장치의 구동 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 제조 장치의 타공 유닛 및 구동 유닛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 제조 장치의 타공 유닛의 동작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 제조 장치의 절단 유닛의 동작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꼬치 제조 장치의 사시도 및 정면도로서 특히 도 1에는 꼬치 제조 장치 중 공급 유닛을 나타내었으며, 도 3 및 4는 꼬치 제조 장치 중 타공 유닛, 절단 유닛, 구동 유닛에 대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며, 도 5는 꼬치 제조 장치 중 구동 유닛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꼬치 제조 장치 중 타공 유닛 및 구동 유닛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7 및 8은 꼬치 제조 장치의 타공 유닛 및 절단 유닛의 각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꼬치 제조 장치(100)는, 꼬치 제조 장치(1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10),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어 구동수단들에 의해 소정 두께와 폭의 꼬치 대상물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소정 길이씩 타공 유닛(30)으로 이송하는 공급 유닛(20), 공급 유닛(20)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꼬치 대상물의 양단을 타공함으로써 꼬치 막대의 삽입을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는 타공 유닛(30), 타공 유닛(30)의 작동과 동시에 또는 전후에 작동하여 꼬치 대상물을 절단하는 절단 유닛(40), 및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타공 유닛(30) 및 절단 유닛(4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5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타공 유닛(30) 및 절단 유닛(40)을 거친 꼬치 대상물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수납하는 적재 유닛(60)을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프레임(10)은 수직프레임, 수평프레임, 플레이트 등으로 구성되어 공급 유닛(20), 타공 유닛(30), 절단 유닛(40), 구동 유닛(50) 및 적재 유닛(60)이 적절히 탑재되도록 구성되며. 전원부(미도시) 및 제어패널(미도시) 등도 탑재하게 된다. 또한 꼬치 제조 장치(100)를 구성하고 지지하도록 하는 프레임(10)은 하측에 구비되는 바퀴 등의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다.
공급 유닛(20)은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어 다양한 이송수단들에 의해 소정 두께와 폭으로 정돈되어 공급되는 꼬치 대상물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소정 길이씩 타공 유닛(30)으로 이송하도록 한다. 이때 소정 길이는 꼬치로 구성하고자 하는 길이(꼬치 막대에 꽂히는 꼬치의 길이)를 의미한다.
즉, 공급 유닛(20)은 소정 두께의 판 형상(좌우방향-길이*전후방향=폭)으로 정돈된 꼬치 대상물을 투입받아 일측 방향(좌우 기준)으로 수평 이동하는 제1 이송부(21), 제1 이송부(21)의 이동 방향 종단의 하측에 구비되어 제1 이송부(21)에 의해 이송된 꼬치 대상물을 개방된 상부를 통해 수용하고, 꼬치로 구성하고자 하는 길이(꼬치 막대에 꽂히는 꼬치의 길이)만큼 내부에 구비된 푸시로드(29)에 의해 꼬치 대상물을 좌우 기준으로 소정 길이씩 한번에 수평 이송하는 제2 이송부(22), 제2 이송부(22)의 상측에 구비되어 제2 이송부(22)에 의해 꼬치로 구성하고자 하는 소정 길이만큼 이송된 꼬치 대상물을 절단하되 꼬치 대상물의 이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절단하는 절단부(26), 제2 이송부(22)의 이동 방향의 하측에 구비되어 절단부(26)에 의해 절단된 꼬치 대상물을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전달받은 후, 타공 유닛(30)으로 이동하는 제3 이송부(23), 및 제3 이송부(23)로부터 꼬치 대상물을 전달받아 구동축(51)의 1회전에 대응하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소정 폭만큼 전방에 구비되는 타공 유닛(30)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제1 이송부(21)의 일측에는 소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정돈된 꼬치 대상물의 투입을 감지하는 센서부(28)가 구비되어 오작동을 방지한다.
한편, 타공 유닛(30)은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각 타공 유닛(30)마다 공급부(27)가 구비됨으로써, 제3 이송부(23)는 수평상에서 작동되는 좌우구동수단(24) 및 전후구동수단(25)을 구비함으로써, 절단부(26)에 의해 절단된 꼬치 대상물을 전달받아 좌우구동수단(24)에 의해 어느 하나의 타공 유닛(30)으로 이동한 후에 전후구동수단(25)에 의해 전방에 위치한 공급부(27)로 꼬치 대상물을 전달하고 복귀하며, 다시 좌우 일측에 위치하는 다른 타공 유닛(30)으로 이동하여 해당 타공 유닛(30)의 공급부(27)로 꼬치 대상물을 공급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한다.
구동 유닛(50)은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어, 타공 유닛(30) 및 절단 유닛(40)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구동 유닛(50)은 구동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축(51)과, 구동축(51)에 결합되어 구동축(51)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캠 주동체(52)와, 캠 주동체(52)의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여 주는 캠 종동체(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하나의 구동축(51)의 축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하여 제1캠 주동체(52a), 제2캠 주동체(52b), 제3캠 주동체(52c)를 배치하여 구동축(51)의 회전에 따라 함께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데, 이때 제1캠 주동체(52a), 제2캠 주동체(52b)의 회전에 따라 제1캠 종동체(53a), 제2캠 종동체(53b)가 좌우로 직선 왕복운동하고, 제3캠 주동체(52c)의 회전에 따라 제3캠 종동체(53c)가 수직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타공 유닛(30)은 공급 유닛(20)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급부(27)로부터 공급되는 꼬치 대상물의 양단을 타공함으로써 꼬치 막대의 삽입을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도록 한다.
타공 유닛(30)은 제1캠 종동체(53a)와 제2캠 종동체(53b)에 결합되어서 구동축(51)의 회전에 따라 좌우 직선운동하면서 공급 유닛(20)에 의해 공급되는 꼬치 대상물의 양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타공하도록 구성된다.
즉, 타공 유닛(30)은 캠 종동체(53)에 결합되어 함께 직선 왕복운동하는 커넥팅로드(31)와, 커넥팅로드(31)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커넥팅로드(31)의 직선운동에 따라 소정 각도 회전운동하는 메인링크(34)와, 메인링크(34)에 일 단부에 결합되어 수평운동하면서 꼬치 대상물에 타공하는 타공침(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일 측이 상기 제1캠, 제2캠 종동체(53a, 53b)에 각각 결합되어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1, 제2 커넥팅로드(31a, 31b)와, 일 단부가 제1, 제2 메인링크 지지부(32a, 32b)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제1, 제2 메인링크 지지부(32a, 32b)로부터 소정 거리에 있는 중간부(33a, 33b)는 제1, 제2 커넥팅로드(31a, 31b)의 타측에 각각 힌지결합되어서 제1, 제2 커넥팅로드(31a, 31b)의 직선 왕복운동에 따라 제1, 제2 메인링크 지지부(32a, 32b)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는 제1, 제2 메인링크(34a, 34b), 및 제1, 제2 메인링크(34a, 34b)의 타 단부 각각에 제1, 제2 커플러(35a, 35b)에 의해 결합되어서, 제1, 제2 메인링크(34a, 34b)의 회전에 따라 각각 수평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꼬치 대상물을 타공하는 제1, 제2 타공침(36a, 36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플러(35)는 메인링크(34)와 타공침(36)의 사이에 구비되어 메인링크(35)의 단부가 소정 각도 회전하게 되는 경우 이를 타공침(36)의 수평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구동 유닛(51)에서 제1캠, 제2캠 주동체(52a, 52b)의 캠 키를 다르게 하여, 제1캠, 제2캠 주동체(52a, 52b)의 회전에 따라 제1캠, 제2캠 종동체(53a, 53b)가 소정 시간 차이로 직선 왕복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1캠, 제2캠 종동체(53a, 53b)에 각각 연결된 제1, 제2 커넥팅로드(31a, 31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제1, 제2 메인링크(34a, 34b)가 제1, 제2 메인링크 지지부(32a, 32b)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 각각 회전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제1, 제2 메인링크(34a, 34b)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1, 제2 메인링크(34a, 34b)가 서로 반대편으로 기울었다가 다시 복귀하는 때에, 제1, 제2 타공침(36a, 36b)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제1, 제2 타공침(36a, 36b) 사이에 놓인 꼬치 대상물을 타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절단 유닛(40)은 타공 유닛(30)의 작동과 동시에 또는 전후에 작동하여 꼬치 대상물을 절단하도록 한다.
절단 유닛(40)은 제3캠 종동체(53c)의 일 측에 결합되어 함께 승하강하되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링크(41), 하나 이상의 수직링크(41)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함께 승하강하는 수평링크(42), 수평링크(42)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승하강 가이드홀(43)에 체결되어 수평링크(42)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수직가이드링크(44), 및 수평링크(42)의 일 측(하측)에 결합되어 함께 승하강하면서 꼬치 대상물을 절단하는 절단칼(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평링크(42)의 하측으로 수직가이드링크(44)를 따라 스프링수단(46)이 구비되어 하강된 수평링크(42)의 상승 복귀를 지원하도록 한다.
적재 유닛(60)은, 타공 유닛(30) 및 절단 유닛(40)을 거친 꼬치 대상물이 낙하하여 미끄럼 하강하도록 하는 경사판(61)과 경사판(61)의 하부를 통과한 꼬치 대상물이 아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수납하는 적재박스(6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꼬치 대상물이 경사판(61)에서 원활히 미끄러지도록 하고 적재박스(62)에 정렬되어 적재되도록 경사판(61) 및/또는 적재박스(62)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발생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 프레임
20 : 공급 유닛
21, 22, 23 : 제1, 제2, 제3 이송부
24, 25 : (제3 이송부) 좌우/전후구동수단
26 : 절단부
27 : 공급부
28 : (제1 이송부) 센서부
29 : (제2 이송부) 푸시로드
30 : 타공 유닛
31(31a, 31b) : 제1, 제2 커넥팅로드
32(32a, 32b) : 제1, 제2 메인링크 지지부
33(32a, 33b) : 제1, 제2 중간부
34(34a, 34b) : 제1, 제2 메인링크
35(35a, 35b) : 제1, 제2 커플러
36(36a, 36b) : 제1, 제2 타공침
40 : 절단 유닛
41 : 수직링크
42 : 수평링크
43 : 승하강 가이드홀
44 : 수직가이드링크
45 : 절단칼
46 : 스프링수단
50 : 구동 유닛
51 : 구동축
52(52a, 52b, 52c) : 제1, 제2, 제3캠 주동체(主動體)
53(53a, 53b, 53c) : 제1, 제2, 제3캠 종동체(從動體)
60 : 적재 유닛
61 : 경사판
62 : 적재박스

Claims (8)

  1. 꼬치 제조 장치에 있어서,
    꼬치 제조 장치(10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이송수단들에 의해 소정 두께와 폭의 꼬치 대상물을 소정 시간 간격으로 소정 길이씩 타공 유닛(30)으로 이송하는 공급 유닛(20);
    상기 공급 유닛(20)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급되는 꼬치 대상물의 양단을 타공함으로써 꼬치 막대의 삽입을 위한 관통홀을 형성하는 상기 타공 유닛(30);
    상기 타공 유닛(30)의 작동과 동시에 또는 전후에 작동하여 꼬치 대상물을 절단하는 절단 유닛(40); 및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타공 유닛(30) 및 상기 절단 유닛(4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50);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유닛(50)은,
    구동모터에 의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축(51),
    하나의 상기 구동축(51)에 체결되어 함께 회전하되 상기 구동축(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되는 제1캠, 제2캠, 제3캠 주동체(52a, 52b, 52c),
    상기 제1캠 주동체(52a), 상기 제2캠 주동체(52b)의 회전에 따라 직선 운동하게 되는 제1캠 종동체(53a), 제2캠 종동체(53b), 및
    상기 제3캠 주동체(52c)의 회전에 따라 수직 운동하게 되는 제3캠 종동체(53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하나의 상기 구동축(51)의 회전에 따라,
    상기 타공 유닛(30)은 상기 제1캠 종동체(53a)와 상기 제2캠 종동체(53b)에 결합되어 수평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상기 공급 유닛(20)에 의해 공급되는 꼬치 대상물의 양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타공하도록 하며,
    상기 절단 유닛(40)은 상기 제3캠 종동체(53c)에 결합되어 승하강하면서 상기 공급 유닛(20)에 의해 공급되는 꼬치 대상물을 절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공 유닛(30)은,
    일측이 상기 제1캠, 제2캠 종동체(53a, 53b)에 각각 결합되어 직선 왕복 운동하는 제1, 제2 커넥팅로드(31a, 31b),
    일 단부가 제1, 제2 메인링크 지지부(32a, 32b)에 각각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 제2 메인링크 지지부(32a, 32b)로부터 소정 거리에 위치한 중간부(33a, 33b)는 상기 제1, 제2 커넥팅로드(31a, 31b)의 타측에 각각 힌지결합되어서, 상기 제1, 제2 커넥팅로드(31a, 31b)의 왕복 운동에 따라 상기 제1, 제2 메인링크 지지부(32a, 32b)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하는 제1, 제2 메인링크(34a, 34b), 및
    상기 제1, 제2 메인링크(34a, 34b)의 타 단부 각각에 제1, 제2 커플러(35a, 35b)에 의해 결합되어서, 상기 제1, 제2 메인링크(34a, 34b)의 회전에 따라 각각 수평으로 왕복 운동하면서 꼬치 대상물을 타공하는 제1, 제2 타공침(36a, 36b)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캠, 제2캠 주동체(52a, 52b)의 캠 키를 다르게 하여, 상기 제1캠, 제2캠 주동체(52a, 52b)의 회전에 따라 제1캠, 제2캠 종동체(53a, 53b)가 소정 시간 차이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되고 상기 제1, 제2 커넥팅로드(31a, 31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 제2 타공침(36a, 36b) 사이의 간격이 좁아질 때에 상기 제1, 제2 타공침(36a, 36b) 사이에 놓인 꼬치 대상물에 타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 유닛(40)은,
    상기 제3캠 종동체(53c)의 일측에 결합되어 함께 승하강하되 상측으로 연장되어 수직링크(41),
    상기 수직링크(41)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함께 승하강하는 수평링크(42),
    상기 수평링크(42)를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승하강 가이드홀(43)에 체결되어 상기 수평링크(42)의 승하강 운동을 가이드하는 수직가이드링크(44), 및
    상기 수평링크(42)에 결합되어 함께 승하강하면서 꼬치 대상물을 절단하는 절단칼(45)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평링크(42)의 하측으로 상기 수직가이드링크(44)를 따라 스프링수단(46)이 구비되어 하강된 상기 수평링크(42)의 상승 복귀를 지원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 유닛(20)은,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되 소정 두께의 판 형상으로 정돈된 꼬치 대상물을 투입받아 일측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제1 이송부(21),
    상기 제1 이송부(21)의 이동 방향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1 이송부(21)에 의해 이송된 꼬치 대상물을 개방된 상부를 통해 수용하고, 내부에 구비된 푸시로드(29)에 의해 꼬치로 구성하고자 하는 소정 길이씩 꼬치 대상물을 수평 이송하는 제2 이송부(22),
    상기 제2 이송부(22)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이송부(22)에 의해 이송되는 꼬치 대상물을 절단하는 절단부(26),
    상기 제2 이송부(22)의 이동 방향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절단부(26)에 의해 절단된 꼬치 대상물을 개방된 상부를 통해 전달받은 후, 상기 타공 유닛(30)으로 이동하는 제3 이송부(23), 및
    상기 제3 이송부(23)로부터 꼬치 대상물을 전달받아 상기 구동축(51)의 1회전에 대응하는 소정 시간 간격으로 상기 타공 유닛(30)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타공 유닛(30)은 하나 이상이 구비되고, 상기 타공 유닛(30)마다 상기 공급부(27)가 구비되며,
    상기 제3 이송부(23)는 수평상에서 작동되는 좌우 및 전후 구동수단(24, 25)을 구비하되,
    상기 절단부(26)에 의해 절단된 꼬치 대상물을 전달받아 상기 좌우 구동수단(24)에 의해 어느 하나의 상기 타공 유닛(30)으로 이동한 후에 상기 전후 구동수단(25)에 의해 상기 공급부(27)로 꼬치 대상물을 전달하고, 다시 좌우에 위치한 다른 상기 타공 유닛(30)으로 이동하는 동작을 반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공 유닛(30) 및 상기 절단 유닛(40)을 거친 꼬치 대상물이 낙하하여 미끄럼 하강하도록 하는 경사판(61)과 상기 경사판(61)의 하부를 통과한 꼬치 대상물이 아래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수납하는 적재박스(62)를 포함하는 적재 유닛(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꼬치 제조 장치.


KR1020190076228A 2019-06-26 2019-06-26 꼬치 제조 장치 KR102257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228A KR102257543B1 (ko) 2019-06-26 2019-06-26 꼬치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228A KR102257543B1 (ko) 2019-06-26 2019-06-26 꼬치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935A KR20210000935A (ko) 2021-01-06
KR102257543B1 true KR102257543B1 (ko) 2021-05-31

Family

ID=7412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228A KR102257543B1 (ko) 2019-06-26 2019-06-26 꼬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54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734B1 (ko) 2009-03-10 2010-02-23 (주)이에스푸드 꼬치 제조장치
KR200468421Y1 (ko) 2013-05-27 2013-08-16 한승희 꼬치봉 삽입구멍 성형장치
KR101691337B1 (ko) 2016-10-25 2016-12-29 조성구 꼬치 제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321B1 (ko) 2009-10-21 2012-03-13 (주)이에스푸드 형틀 투입형 꼬치 제조장치
KR101239410B1 (ko) 2012-11-06 2013-03-11 윤성열 어묵꼬치 자동 제조장치
KR20190027569A (ko) * 2017-09-07 2019-03-15 김종노 연속 꼬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734B1 (ko) 2009-03-10 2010-02-23 (주)이에스푸드 꼬치 제조장치
KR200468421Y1 (ko) 2013-05-27 2013-08-16 한승희 꼬치봉 삽입구멍 성형장치
KR101691337B1 (ko) 2016-10-25 2016-12-29 조성구 꼬치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935A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2267912B2 (en) Machine and method for high speed cutting and portioning of extruded products
US5740722A (en) Machine for the automatic production of meat and/or vegetable kebabs
EP2836076B1 (en) Improved skewer machine for continuously producing food on skewers
KR200472759Y1 (ko) 김밥용 단무지 절단장치
KR102024843B1 (ko) 고기 꼬치 제조장치
US20130228057A1 (en) Article Slicer with Integral Pick and Placer
KR20190027569A (ko) 연속 꼬치 제조장치
KR102257543B1 (ko) 꼬치 제조 장치
KR102307702B1 (ko) 육류 가공 장치
EP3187318A1 (en) Apparatus for staggering or separating slices
US11678674B1 (en) Patty forming machine for forming heated food patties
KR101223165B1 (ko) 할란기
US20170223972A1 (en) Hamburger press patty express
KR101435026B1 (ko) 취급의 편리성을 갖는 꼬치 꽂이용 유닛
KR101695401B1 (ko) 연속 조리가 가능한 식품 조리 장치
JP2019010684A (ja) 食品加工装置及び食品の製造方法
KR20090075647A (ko) 칼날의 직선 왕복운동을 이용한 연질 식품 세절 방법
KR102311092B1 (ko) 식재료가공컨베이어
CN212260384U (zh) 一种肠粉制作机
JP6516253B2 (ja) 被加工物の切断装置
CN111838533A (zh) 一种肠粉制作机
JP2012115974A (ja) 食肉スライサーおよび食肉スライス方法
CN215282298U (zh) 一种家禽切条装置
CN105309532B (zh) 油炸食品的制造方法
BE1026221B1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produceren van chipolat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