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299B1 - 트레일링 암 부시 - Google Patents

트레일링 암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299B1
KR102257299B1 KR1020200020706A KR20200020706A KR102257299B1 KR 102257299 B1 KR102257299 B1 KR 102257299B1 KR 1020200020706 A KR1020200020706 A KR 1020200020706A KR 20200020706 A KR20200020706 A KR 20200020706A KR 102257299 B1 KR102257299 B1 KR 102257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axis
bridges
trailing arm
degre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성
주영빈
Original Assignee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0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2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1Trailing arm twist beam ax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16F1/387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omp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 F16F1/3873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comprising means for modifying the rigidity in particular directions having holes o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30Rigid axle suspensions
    • B60G2200/34Stabilising mechanisms, e.g. for lateral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트레일링 암 부시는 외부 하우징과; 축장착 통공을 중심에 구비한 내부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며, 외부 하우징의 내벽에 접하는 둘레벽부 및 상기 둘레벽부와 상기 내부하우징을 잇는 4개의 브릿지를 구비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트레일링암 부시에 있어서,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 부시 기준 전후방향을 X축으로, 상하방향을 Y축으로, 축장착 통공의 중심을 0점으로 하고, 상기 전방향과 상방향이 이루는 1/4분면에 위치한 브릿지를 제 1 브릿지,상기 후방향과 상방향이 이루는 2/4분면에 위치한 브릿지를 제 2 브릿지, 상기 후방향과 하방향이 이루는 3/4분면에 위치한 브릿지를 제 3 브릿지, 상기 전방향과 하방향이 이루는 4/4분면에 위치한 브릿지를 제 4 브릿지라 하였을 때, 제 2,4 브릿지는 X축과 33~37도의 각도를 이루며, 제 1,3 브릿지는 X축과 18~22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레일링 암 부시{Trailing Arm Bush}
본 발명은 트레일링암 부시에 관한 것으로, CTBA 타입 현가장치의 양측 트레일링 암 선단에 형성된 부시 브라켓에 압입되는 트레일링 암 부시에 관한 것이다.
CTBA(Coupled Torsion Beam Axle) 타입의 현가장치(1)는 차량의 코너링과 브레이킹 시 조정 안정성 및 승차감 향상을 위해 차량의 후륜 휠 사이에 장착된다.
CTBA 타입 현가장치(1)는 차폭방향으로 토션 빔(3)이 구비되고, 상기 토션 빔(3)의 양단에는 트레일링 암(9)이 각각 고정되며, 트레일링 암(9)에는 트레일링 암 부시(100)를 장착하기 위한 부시 브라켓(5)이 구비되어 있다.
트레일링 암 부시(10)는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110), 축장착 통공(122)을 중심에 구비한 내부 하우징(120), 외부 하우징(110)의 내벽에 접하는 둘레벽부(135) 및 상기 둘레벽부(135)와 상기 내부 하우징(120)을 잇는 4개의 브릿지(131~134)를 구비한 탄성부재(130)로 이루어진다.
통상 이와 같은 브릿지는 2~4개 까지 형성되는데, 2축인 경우는 X축 또는 Y축 대칭, 3축인 경우 120도 씩 균등 배치, 4축인 경우 X축 대칭, Y축 대칭으로 설계·제작되는 경우가 많으며, 브릿지의 배치각도 및 두께 등이 부시의 특성(하중과 변위의 관계)을 좌우하게 되는 것이다.
부시의 전후방향 특성은 승차감에 관여되고, 상하방향 특성은 NVH 성능에 관여되며, 핸들링 성능은 전후방향과 상하로 35도 각도를 이루는 소위 P 방향 특성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부시의 구조상 전후방향 특성보다 P방향 특성이 낮을 수 밖에 없어 승차감과 핸들링의 조화를 이루는데 한계가 있었다.
KR 10-1316201 B1, 2013.10.08., 도면 4 KR 10-2018-0041422 A, 2018.04.24., 도면 1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승차감과 핸들링 성능을 동시에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레일링 암 부시는,
외부 하우징과; 축장착 통공을 중심에 구비한 내부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며, 외부 하우징의 내벽에 접하는 둘레벽부 및 상기 둘레벽부와 상기 내부하우징을 잇는 4개의 브릿지를 구비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트레일링암 부시에 있어서,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 부시 기준 전후방향을 X축으로, 상하방향을 Y축으로, 축장착 통공의 중심을 0점으로 하고,
상기 전방향과 상방향이 이루는 1/4분면에 위치한 브릿지를 제 1 브릿지,
상기 후방향과 상방향이 이루는 2/4분면에 위치한 브릿지를 제 2 브릿지,
상기 후방향과 하방향이 이루는 3/4분면에 위치한 브릿지를 제 3 브릿지,
상기 전방향과 하방향이 이루는 4/4분면에 위치한 브릿지를 제 4 브릿지라 하였을 때,
제 2,4 브릿지는 X축과 33~37도의 각도를 이루며,
제 1,3 브릿지는 X축과 18~22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3 브릿지의 폭은 제 2,4 브릿지의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승차감과 핸들링 성능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트레일링 암 부시의 장착 위치를 나타낸 도.
도 2,3은 종래의 트레일링 암 부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4,5는 본 발명 일 실시예 트레일링 암 부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5는 본 발명 일 실시예 물품의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트레일링 암 부시는 종래의 트레일링 암 부시와 같이 외부 하우징(110), 축장착 통공(122)을 구비한 내부 하우징(120), 외부 하우징(110)과 내부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부재(13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일 실시예 트레일링 암 부시의 브릿지는 총 4개가 구비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장착하였을 때 부시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을 X축이라 하고, 부시의 상하방향을 Y축으로, 축 장착 통공의 중심을 0점으로 하였을 때, 상기 전방향과 상방향이 이루는 1/4분면에 위치한 브릿지를 제 1 브릿지(131)로, 상기 후방향과 상방향이 이루는 2/4분면에 위치한 브릿지를 제 2 브릿지(132)로, 상기 후방향과 하방향이 이루는 3/4분면에 위치한 브릿지를 제 3 브릿지(133)로, 상기 전방향과 하방향이 이루는 4/4분면에 위치한 브릿지를 제 4 브릿지(134)로 칭하기로 한다.
통상 브릿지의 폭을 두껍게 하면, P방향 특성이 증대하지지만 , 전후/상하 방향의 특성도 증대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전후방향과 상하로 35도 각도를 이루는, 즉 X축과 상하로 35도 각도를 이루는 P방향 각도와 유사하게 제 2,4 브릿지(132,134)를 형성하고, 제 1,3 브릿지(131,133)는 그보다 작은 각도로 형성하였다.
제 2,4 브릿지(132,134)는 X축과 약 33~37도의 각도(도 5에서 a로 표시)를 이루고, 제 1,3 브릿지(131,133)은 X축과 약 18~22도의 각도(도 5에서 b로 표시)를 이루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제 1,3 브릿지(131,133)의 폭을 제 2,4 브릿지(132,134)의 폭보다 좁게 형성하였다.
제 1~4 브릿지를 모두 X축과 35도 각도로 형성하고, 그 폭이 13.7mm 인 종래의 트레일링 암 부시와; 폭 16.3mm인 제 2,4 브릿지(132, 134)는 X축과 3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고, 폭 12.1mm 인 제 1,3 브릿지(131,133)는 X축과 2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한 본 실시예 트레일링 암 부시에 대해 Ks (Kgf/mm, 하중/변위) 값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 표 1과 같다.

Ks (Kgf/mm)
구분 종래 부시 본 실시예 부시 변화율
전후 115.8 115.6 거의 유사
상하 86.0 83.5 -3%
P(35도) 107.3 118.1 +10%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후, 상하특성은 거의 변화가 없지만, P방향 특성은 10%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부시의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의 특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핸들링 성능과 관련된 P방향 특성을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현가장치 3 : 토션 빔 5 : 부시 브라켓 9 : 트레일링 암
100 : 트레일링 암 부시 110 : 외부 하우징 120 : 내부 하우징
122 : 축방향 통공 130 : 탄성부재
131, 132, 133, 134 : 제 1,2,3,4 브릿지 135 : 둘레벽부

Claims (2)

  1. 외부 하우징과; 축장착 통공을 중심에 구비한 내부하우징과; 상기 외부 하우징과 내부 하우징 사이에 구비되며, 외부 하우징의 내벽에 접하는 둘레벽부 및 상기 둘레벽부와 상기 내부하우징을 잇는 4개의 브릿지를 구비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트레일링암 부시에 있어서,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 부시 기준 전후방향을 X축으로, 상하방향을 Y축으로, 축장착 통공의 중심을 0점으로 하고,
    상기 전방향과 상방향이 이루는 1/4분면에 위치한 브릿지를 제 1 브릿지,
    상기 후방향과 상방향이 이루는 2/4분면에 위치한 브릿지를 제 2 브릿지,
    상기 후방향과 하방향이 이루는 3/4분면에 위치한 브릿지를 제 3 브릿지,
    상기 전방향과 하방향이 이루는 4/4분면에 위치한 브릿지를 제 4 브릿지라 하였을 때,

    제 2,4 브릿지는 X축과 33~37도의 각도를 이루며,
    제 1,3 브릿지는 X축과 18~22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링 암 부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3 브릿지의 폭은 제 2,4 브릿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링 암 부시.
KR1020200020706A 2020-02-19 2020-02-19 트레일링 암 부시 KR102257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706A KR102257299B1 (ko) 2020-02-19 2020-02-19 트레일링 암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706A KR102257299B1 (ko) 2020-02-19 2020-02-19 트레일링 암 부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299B1 true KR102257299B1 (ko) 2021-05-27

Family

ID=7613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706A KR102257299B1 (ko) 2020-02-19 2020-02-19 트레일링 암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2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3511B2 (en) * 2019-10-04 2022-04-05 K.M. Gehman Incorporated Bushing for use in a vehicle suspens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2346A (ko) * 2006-11-09 2008-05-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KR101316201B1 (ko) 2011-11-30 2013-10-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
KR101372085B1 (ko) * 2012-09-13 2014-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고무 부시
KR20150080955A (ko) * 2013-12-31 2015-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
KR20150118668A (ko) * 2014-04-14 2015-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레일링암 부시
KR20180041422A (ko) 2016-10-14 2018-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tba용 부시유닛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2346A (ko) * 2006-11-09 2008-05-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트레일링암 부시 어셈블리
KR101316201B1 (ko) 2011-11-30 2013-10-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
KR101372085B1 (ko) * 2012-09-13 2014-03-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고무 부시
KR20150080955A (ko) * 2013-12-31 2015-07-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
KR20150118668A (ko) * 2014-04-14 2015-10-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트레일링암 부시
KR20180041422A (ko) 2016-10-14 2018-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tba용 부시유닛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93511B2 (en) * 2019-10-04 2022-04-05 K.M. Gehman Incorporated Bushing for use in a vehicle suspension
US11603897B2 (en) 2019-10-04 2023-03-14 K.M. Gehman Incorporated Bushing for use in a vehicle suspension
US11953070B2 (en) 2019-10-04 2024-04-09 K.M. Gehman Incorporated Bushing for use in a vehicle suspens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5604B2 (en) Cross axis joint with elastomeric isolation
US6099005A (en) Rear suspension system of automobile discriminative of road irregularities and wheel braking
US5685556A (en) Vehicle suspension having bushings with different rigidities
KR102257299B1 (ko) 트레일링 암 부시
JP7140767B2 (ja) ブッシュ配置構造
JP2009149296A (ja) 自動車のリヤホイールのためのホイールサスペンション
JPS62234705A (ja) 自動車の懸架装置
CN108394243A (zh) 一种使用双杆端球头的直线导引前悬架系统
US3158365A (en) Mounting of wheel suspension arms of vehicles
GB2221433A (en) Rear suspension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JP7170577B2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US20180244120A1 (en) Vehicle axle arrangement
JP2007118672A (ja) 前輪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108382149A (zh) 一种使用双杆端关节轴承的直线导引前悬架系统
US4529221A (en) Vehicle rear suspension mechanism
US8272651B2 (en) Torsion beam type suspension
JP3111746B2 (ja) 懸架装置
KR102064273B1 (ko) 차량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차량용 볼 조인트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JP2005022424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H0516004Y2 (ko)
US20230286349A1 (en) Torsion beam suspension
KR20130060631A (ko)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
CN212400812U (zh) 一种扭力梁与制动器总成的连接结构
JP2020066308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車両
JP2020051466A (ja) ブッシ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