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0631A -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 - Google Patents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0631A
KR20130060631A KR1020110126784A KR20110126784A KR20130060631A KR 20130060631 A KR20130060631 A KR 20130060631A KR 1020110126784 A KR1020110126784 A KR 1020110126784A KR 20110126784 A KR20110126784 A KR 20110126784A KR 20130060631 A KR20130060631 A KR 20130060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tba
trailing arm
stopper
insertion groove
arm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6201B1 (ko
Inventor
김성신
김정호
하태선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67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6201B1/ko
Publication of KR20130060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1Trailing arm twist beam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9Joining by deformation
    • B60G2206/82092Joining by deformation by press-fi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후, 상하 강성과 횡방향의 강성이 향상되고, 조종안정성이 개선된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는, 외부하우징(21)과, 상기 외부하우징(21)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내부하우징(22)과, 상기 외부하우징(21)과 내부하우징(22)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탄성부재(23)를 포함하고, CTBA의 트레일링암의 선단에 구비되는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20)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3)의 일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삽입홈(23a)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3a)에 압입되어 끼워지고, 상기 삽입홈(23a)의 외측내벽을 외부하우징(21)으로 지지하며, 상기 삽입홈(23a)의 내측내벽(23c)을 내부하우징(22)방향으로 지지하는 스토퍼(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Trailing arm bush for CTBA}
본 발명은 CTBA에 적용되는 트레일링암 부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후, 상하 강성과 횡방향의 강성이 향상되고, 조종안정성이 개선된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에 관한 것이다.
주로 소형차에 현가장치로 장착되는 CTBA는 다른 현가장치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소요되는 부품수가 적으며 경량화가 가능한 장점을 지지고 있다.
이러한 CTBA의 대략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폭방향으로 구비되는 토션빔(11)과, 상기 토션빔(1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트레일링암(12)과, 상기 트레일링암(12)의 단부에 후륜(RW)이 마운트되는 휠 마운트 브라켓(13) 및 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시트(14)를 포함한다.
상기 CTBA에서 트레일링암(12)의 선단에는 트레일링암(12)을 차체의 플로어에 설치되는 마운팅브라켓에 장착하고, CTBA가 지지되어 설치되도록 트레일링암 부시가 구비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트레일링암 부시의 구조를 간단히 살펴보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121)과 내부하우징(122)의 사이에 탄성부재(123)가 구비되는 형태이며, 상기 탄성부재(123)에 중공부(124)가 형성된다. 도 2에서와 같이, 탄성부재(123)의 내부에 둘레방향의 장공이 형성되어, 내부하우징(122)과 외부하우징(121)이 2부분을 통하여 연결되는 소위 '2-Leg'타입의 트레일링암 부시(120)에서는 상하방향(Z방향)의 특성은 우수하나, 이에 비하여, 좌우방향(Y방향)과 전후방향(X방향)의 특성이 낮고, 특히 전후방향의 특성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2-Leg타입의 트레일링암 부시(120)는 전후방향의 특성으로 인하여 조종안정성 측면에서 매우 불리한 단점이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121')과 내부하우징(122')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123')에 4개의 중공부가 형성된 '4-Leg'타입의 트레일링암 부시에서는 전후방향(X방향)과, 상하방향(Z방향)의 특성도 낮지만 좌우방향(Y방향)의 특성이 매우 낮아서, 2-Leg 타입에 비하여 승차감을 유리하지만, 횡강성이 매우 낮아 조종안정성이 불리한 단점이 있다.
특히, CTBA는 구조적으로 횡방향의 암이 없어서, 횡강성에서 불리하여, 횡력발생시 토우아웃이 발생하여 안정성에서 떨어지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트레일링암의 강성을 증가시키면 횡강성이 증대하고 토우값에 대한 특성이 우수해지지만, 이는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은 '이중 특성 트레일링암 부시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승차감과 부시의 내구력을 동시에 향상시키기 위한 이중 특성 트레일링암 부시의 구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KR 10-2008-0024739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CTBA 현가장치에서 승차감과 조종안정성이 서로 모순되는 관계가 해소되도록 횡강성에 특화된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는,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내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과 내부하우징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CTBA의 트레일링암의 선단에 구비되는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압입되어 끼워지고, 상기 삽입홈의 외측내벽을 외부하우징으로 지지하며, 상기 삽입홈의 내측내벽을 내부하우징방향으로 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퍼는, 스틸재질로 이루어지고 링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외측내벽에접하도록 끼워지는 스토퍼링과,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이어지게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링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공이 상기 삽입홈의 내측내벽에 접촉하는 스토퍼 러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스토퍼는 상기 삽입홈에 압입되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스토퍼와 반대측에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을 커버하는 외측플랜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측플랜지는, CTBA에 횡방향(Y) 하중이 작용하면 둘레일측이 상기 외부하우징에 접촉하도는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촉부는 18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에 따르면, CTBA의 횡강성에 대한 특성 증대로 인하여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의 특성은 종래의 승차감을 유지한 채 조종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CTBA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 및 도 3은 종래기술의 일례에 따른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를 도시한 정면도 및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종래기술의 다른 예에 따른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를 도시한 정면도 및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를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에서 스토퍼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에서 스토퍼 러버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를 도시한 후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를 도시한 배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하우징(21)과, 상기 외부하우징(21)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내부하우징(22)과, 상기 외부하우징(21)과 내부하우징(22)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탄성부재(23)를 포함하고, CTBA(10)의 트레일링암의 선단에 구비되는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20)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3)의 일측단에 둘레방향으로 삽입홈(23a)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23a)에 끼워지는 스토퍼(25)를 구비한다.
CTBA의 트레일링암(12)의 선단에 끼워지는 트레일링암 부시(20)는 외부하우징(21)과, 상기 외부하우징(21)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내부하우징(22)과, 상기 외부하우징(21)과 내부하우징(22)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탄성부재(23)를 구비한다.
이러한,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20)에 횡강성에 대한 특성이 개선되도록, 상기 트레일링암 부시(20)의 일측에 스토퍼(25)를 삽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스토퍼(25)가 트레일링암 부시(20)에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탄성부재(23)에는 삽입홈(23a)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3a)의 형태를 살펴보면, 상기 트레일링암 부시(20)의 일단에 탄성부재(23)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깊이를 갖고, 둘레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23a)에서 탄성부재(23)의 반경방향의 외측과 내측으로 각각 외측내벽(23b)와 내측내벽(23c)이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25)가 상기 외측내벽(23b)과 내측내벽(23c) 사이에 압입되어 삽입된다.
스토퍼(25)는 외부에 위치하는 금속재질의 스토퍼링(25a)과, 상기 스토퍼링(25a)의 내부에 위치하여 트레일링암 부시(20)의 특성을 결정하는 스토퍼 러버(25b)로 이루어진다.
스토퍼링(25a)은 스틸(steel)과 같은 금속재료를 재질로 하여, 링형태로 형성되고, 스토퍼(25)가 상기 삽입홈(23a)에 끼워졌을 때, 상기 삽입홈(23a)의 외측내벽에 접촉한다.
스토퍼 러버(25b)는 상기 스토퍼링(25a)의 내측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고무재질을 재료로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토퍼 러버(25b)는 중심에 관통공(25ba)이 형성되어, 탄성부재(23)의 내측내벽(23c)에 접촉한다. 상기 스토퍼 러버(25b)는 상기 관통공(25ba)에 의해서 탄성부재(23)의 내측내벽(23c)에 접함으로써, 외부에서 작용하는 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스토퍼 러버(25b)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공(25ba)과 연통되는 복수의 중공부(25bb)가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이때, 상기 중공부(25bb)의 간격은 서로 일정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중공부(25bb)의 간격은 횡방향에 대한 강성이 증대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부(25bb)가 스토퍼 러버(25b)에서 좌우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나, 개별 중공부(25bb)의 간격은 서로 일정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스토퍼링(25a)에 스토퍼 러버(25b)가 끼워져 스토퍼를 형성하고, 이러한 스토퍼(25)가 외부하우징(21), 내부하우징(22) 및 탄성부재(23)를 이루어지는 트레일링암 부시(20)에 후공정으로 압입된다.
외측플랜지(24)는 상기 탄성부재(23)의 타단, 즉 탄성부재(23)에서 상기 스토퍼(25)와 반대쪽 단부를 커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외측플랜지(24)는 횡방향(Y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면, 상기 탄성부재(23)의 압축에 의해서 외부하우징(21)에 접촉된다. 상기 외측플랜지(24)는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형성되되, 둘레 일측에 탄성부재(23)가 압축되면 외부하우징(21)에 접촉하는 접촉부(24a)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부(24a)는 바람직하게는 180도의 간격으로 형성되므로, 외측플랜지(24)는 디스크에서 접촉부(24a)를 제외한 부분이 제거된 것과 같은 형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에 의하면, 스토퍼(25), 특히 스토퍼 러버(25b)에 의해서 전후방향(X방향) 및 상하방향(Y방향)의 특성이 결정되고, 외측플랜지(24)에 의해서 횡방향(Y방향)에 대한 특성이 결정되며, 상기 스토퍼링(25a)에 의해서 내구력이 향상되는 구조를 갖는다.
10 : CTBA 11 : 토션빔
12 : 트레일링 암 13 : 휠마운트 브라켓
14 : 스프링시트 15 : 댐퍼브라켓
20 : 트레일링암 부시 21 : 외부하우징
22 : 내부하우징 23 : 탄성부재
23a : 삽입홈 23b : 외측내벽
23c : 내측내벽 24 : 외측플랜지
24a : 접촉부 25 : 스토퍼
25a : 스토퍼링 25b : 스토퍼 러버
25ba : 관통공 25bb : 중공부
120, 120' : 트레일링암 부시 121, 121' : 외부하우징
122, 122' : 내부하우징 123, 123' : 탄성부재
124, 124' : 중공부 RW : 후륜

Claims (6)

  1. 외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의 내부에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내부하우징과, 상기 외부하우징과 내부하우징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CTBA의 트레일링암의 선단에 구비되는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깊이를 갖도록 둘레방향을 따라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에 압입되어 끼워지고, 상기 삽입홈의 외측내벽을 외부하우징으로 지지하며, 상기 삽입홈의 내측내벽을 내부하우징방향으로 지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스틸재질로 이루어지고 링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외측내벽에접하도록 끼워지는 스토퍼링과,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이어지게 중심에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링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관통공이 상기 삽입홈의 내측내벽에 접촉하는 스토퍼 러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삽입홈에 압입되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스토퍼와 반대측에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을 커버하는 외측플랜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플랜지는,
    CTBA에 횡방향(Y) 하중이 작용하면 둘레일측이 상기 외부하우징에 접촉하도는 접촉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18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
KR1020110126784A 2011-11-30 2011-11-30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 KR101316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784A KR101316201B1 (ko) 2011-11-30 2011-11-30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784A KR101316201B1 (ko) 2011-11-30 2011-11-30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631A true KR20130060631A (ko) 2013-06-10
KR101316201B1 KR101316201B1 (ko) 2013-10-08

Family

ID=48859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784A KR101316201B1 (ko) 2011-11-30 2011-11-30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62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0367A (ko) 2014-12-10 2016-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요성 외부하우징을 갖는 차량용 부시
KR102257299B1 (ko) 2020-02-19 2021-05-27 평화산업주식회사 트레일링 암 부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80314A (ja) * 1996-04-17 1997-10-28 Bridgestone Corp 防振装置
JP2000280717A (ja) * 1999-03-31 2000-10-10 Tokai Rubber Ind Ltd サスペンションブッシュ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6201B1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99060A1 (en) Torsion beam axle suspension
KR20110013023A (ko) 멀티링크 타입 현가장치용 로어 암 장착유닛
KR20150080955A (ko)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
KR101316201B1 (ko) Ctba용 트레일링암 부시
KR100980877B1 (ko) 현가장치용 트레일링 암 어셈블리
KR20050070747A (ko) 후륜 서스펜션 장치
JP2016088418A (ja) 緩衝キャスター
CN217435925U (zh) 全地形车
US4087103A (en)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
JPH08198134A (ja) アルミニウム合金製クロスメンバ
KR100921810B1 (ko) 부시용 인슐레이터
CN210161862U (zh) 一种汽车摆臂结构
CN106585303B (zh) 汽车四连杆独立后悬架、汽车
KR20120126872A (ko) 차량의 횡치 리프 스프링 장치
KR101364981B1 (ko) 차량용 토션 빔과 이를 이용한 차량용 커플드 토션 빔 액슬
JPH0697049B2 (ja) 車両部品用弾性撓み型自在軸受
CA1067527A (en)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
KR100936986B1 (ko) 현가장치용 롤 억제유닛
CN216580028U (zh) 一种平衡悬架及车辆
JPH11208231A (ja) 自動車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
KR20100000794U (ko) 차량용 리어서스펜션
KR101045930B1 (ko)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KR100330042B1 (ko) 차량용 쇽업소버의 너클브라켓 구조
KR102418628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1573157B1 (ko) 견인용 리시버를 갖춘 차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