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236B1 - 스피드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스피드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236B1
KR102256236B1 KR1020197000563A KR20197000563A KR102256236B1 KR 102256236 B1 KR102256236 B1 KR 102256236B1 KR 1020197000563 A KR1020197000563 A KR 1020197000563A KR 20197000563 A KR20197000563 A KR 20197000563A KR 102256236 B1 KR102256236 B1 KR 102256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speed controller
main body
port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313A (ko
Inventor
히로스케 야마다
나오유키 스가
아키호 니시무라
마사히코 요시와라
Original Assignee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21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 F15B11/04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 F15B11/04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speed
    • F15B11/04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speed by means in the feed line, i.e. "meter 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 F15B11/04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speed
    • F15B11/044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speed by means in the return line, i.e. "meter o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involving features specific to the use of a compressible medium, e.g. air,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05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low control means or valve
    • F15B2211/40515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low control means or valve with variable throttles or orif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05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low control means or valve
    • F15B2211/40576Assemblies of multiple valves
    • F15B2211/40584Assemblies of multiple valves the flow control means arranged in parallel with a check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80Other types of control related to particular problems or conditions
    • F15B2211/885Control specific to the type of fluid, e.g. specific to magnetorheological fluid
    • F15B2211/8855Compressible fluids, e.g. specific to pneuma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Valve Housings (AREA)
  • Actuator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과제) 유체압 실린더에 컴팩트하게 부착할 수 있는 스피드 컨트롤러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스피드 컨트롤러의 밸브 보디(11)가 제 1 축선(L1)을 따라 연장되는 메인 보디(12)와, 상기 메인 보디(12)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축선(L1)과 직교하는 제 2 축선(L2)을 따라 돌출되는 부착부(41)를 갖고, 상기 메인 보디(12)에는 제 1 포트(14)와, 니들 밸브(27) 및 체크 밸브(25)가 설치되고, 상기 부착부(41)는 실린더 포트(4)에 부착하기 위한 부분이며, 상기 부착부(41)에 제 2 포트(15)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41)가 상기 메인 보디(12)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위치는 상기 제 1 축선(L1) 및 제 2 축선(L2)과 직교하는 제 3 축선(L3) 방향으로 상기 제 1 축선(L1)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이다.

Description

스피드 컨트롤러
본 발명은 유체압 실린더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는 스피드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유체압 회로에 접속되어서 유체압 실린더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는 스피드 컨트롤러는 압력 유체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해서 역방향의 흐름은 저지하는 체크 밸브와, 압력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니들 밸브를 병렬로 조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고, 수나사가 깎인 부착부를 유체압 실린더의 암나사가 깎인 실린더 포트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상기 유체압 실린더에 직접 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5에는 공지의 일반적인 스피드 컨트롤러(60)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일반형의 스피드 컨트롤러(60)는 축선(L)을 따라 직렬로 늘어선 메인 보디(61) 및 부착부(62)와, 상기 메인 보디(61)의 측면에 직각으로 늘어선 배관 보디(63)를 갖고 있다. 상기 부착부(62)에는 접속 포트(65)가 설치되고, 상기 부착부(62)의 외주에는 수나사(62a)가 깎여 있고, 상기 배관 보디(63)의 선단에는 배관을 접속하기 위한 배관 포트(6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보디(61)의 내부에는 상기 접속 포트(65)와 배관 포트(66)를 연결하는 유로(67)의 일부를 이루는 제 1 유로(67a)와 제 2 유로(67b)가 서로 병렬로 설치되고, 상기 제 1 유로(67a)에는 압력 유체를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는 체크 밸브(68)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유로(67b)에는 압력 유체의 유량을 제한하는 니들 밸브(69)가 설치되고, 이들 체크 밸브(68)와 니들 밸브(69)는 상기 축선(L)을 따라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일반형의 스피드 컨트롤러(60)는 상기 메인 보디(61)와 상기 부착부(62)가 직렬로 늘어서 있기 때문에 암나사(4a)가 깎인 실린더 포트(4)에 상기 부착부(62)를 비틀어 넣음으로써 유체압 실린더(1)에 부착했을 때, 상기 축선(L)이 실린더 포트(4)의 중심축선(LP)과 같은 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상기 메인 보디(61)가 상기 유체압 실린더(1)의 측방으로 크게 돌출되게 된다. 이 때문에 이 일반형의 스피드 컨트롤러(60)를 부착한 유체압 실린더(1)를 산업용 로봇 등의 유체압 기기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 주변에 넓은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했다.
한편,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는 상기 일반형의 스피드 컨트롤러(60)보다 높이가 낮은 개량형의 스피드 컨트롤러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량형의 스피드 컨트롤러는 상기 일반형의 스피드 컨트롤러(60)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디(61)에 대한 상기 부착부(62)와 배관 보디(63)의 배치를 바꾼 형상을 하고 있고, 상기 메인 보디(61)와 배관 보디(63)가 축선(L)을 따라 직렬로 늘어서고, 상기 부착부(62)가 상기 메인 보디(61)의 측면에 직각으로 늘어서 있다.
상기 개량형의 스피드 컨트롤러는 유체압 실린더에 부착했을 때, 상기 일반형의 스피드 컨트롤러(60)와는 달리 메인 보디의 축선이 실린더 포트의 중심축선(LP)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유체압 실린더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현격히 낮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 때문에 상기 유체압 실린더에 대한 부착 스페이스는 작게 된다.
그러나, 상기 개량형의 스피드 컨트롤러는 실린더 포트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가 메인 보디의 측면에 상기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벽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스피드 컨트롤러를 유체압 실린더에 부착했을 때, 상기 돌출벽부의 분만큼 상기 유체압 실린더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높이가 커진다. 이 때문에 그 높이를 보다 낮게 하기 위한 더 나은 개량을 가할 필요가 있었다. 특히, 최근에서는 유체압 기기의 소형화나 정밀화 등에 따라 소형의 유체압 실린더를 보다 좁은 스페이스에 설치하는 것이 요구되게 되어 있고, 그것에 따라 스피드 컨트롤러를 상기 유체압 실린더에 지금까지 이상으로 컴팩트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특허 제5756984호 공보 일본특허공개 평 5-60253호 공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밸브 보디의 높이를 종래의 것보다 더욱 낮게 함으로써 유체압 실린더에 한층 컴팩트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한 합리적인 설계 구조를 갖는 스피드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포트와 제 2 포트를 연결하는 유체 유로 중의 압력 유체의 흐름의 방향을 제어하는 체크 밸브와, 유체압 실린더에 공급되거나 또는 유체압 실린더로부터 배출되는 압력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니들 밸브를 구비한 스피드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스피드 컨트롤러의 밸브 보디는 제 1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메인 보디와, 상기 유체압 실린더의 실린더 포트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갖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메인 보디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축선과 직교하는 제 2 축선을 따라 돌출되어 있고, 상기 메인 보디에 상기 제 1 포트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니들 밸브와 체크 밸브가 상기 제 1 축선을 따라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부착부에 상기 제 2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가 상기 메인 보디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는 상기 제 1 축선 및 제 2 축선과 직교하는 제 3 축선방향으로 상기 제 1 축선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구성 양태에 의하면 상기 메인 보디의 측면에 상기 제 3 축선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상기 부착부가 상기 제 2 축선을 따라 상기 돌출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 2 축선방향의 높이가 상기 메인 보디의 상기 제 2 축선방향의 지름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제 2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원형의 연결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구멍은 상기 유체 유로에 연통하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메인 보디와는 별체를 이루는 원통 형상의 부착용 보디에 형성되고, 상기 부착용 보디는 상기 연결 구멍 내에 감합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부착용 보디의 내부에 상기 제 2 포트와 상기 연결 구멍을 연결하는 유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 구멍이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고, 상기 연결부의 선단은 상기 연결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렌치 걸기용의 조작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 구멍이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고, 상기 연결부의 선단은 상기 연결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상기 연결부와 상기 돌출부를 로킹시키는 로킹 부재가 떼어내기 가능하게 부착됨으로써 상기 메인 보디와 상기 부착용 보디가 서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렌치 걸기용의 조작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메인 보디와 상기 부착용 보디는 상기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체적인 구성 양태에 의하면 상기 유체 유로가 서로 병렬을 이루는 제 1 유로와 제 2 유로로 분기되고, 상기 제 1 유로에 상기 체크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유로에 상기 니들 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구성 양태에 의하면 상기 메인 보디는 유체압 실린더로부터의 압력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구멍과, 상기 유체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배출 구멍에 연통하는 배출 유로와, 상기 배출 유로가 상기 유체 유로로부터 분기되는 위치에 형성된 밸브실과, 상기 밸브실 내의 서로 상대되는 위치에 상기 유체 유로 및 배출 유로를 각각 둘러싸도록 형성된 공급 밸브 시트 및 배출 밸브 시트를 갖고, 상기 밸브실 내의 상기 공급 밸브 시트와 배출 밸브 시트 사이의 위치에 상기 체크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제 1 포트로부터의 압력 유체가 작용하면 상기 배출 밸브 시트에 착좌해서 상기 제 1 포트와 제 2 포트를 서로 연통시킴과 아울러 상기 배출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 2 포트로부터의 압력 유체가 작용하면 상기 공급 밸브 시트에 착좌해서 상기 제 1 포트와 제 2 포트를 서로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포트를 상기 배출 유로에 연통시키도록 동작한다.
상기 체크 밸브는 원판형이다. 또한, 상기 배출 구멍은 상기 메인 보디의 측면에 형성된 중공의 배출부의 내부에 상기 제 1 축선에 직교하고 또한 제 2 축선과 평행하는 제 4 축선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 구멍의 내부에 다공질 부재로 이루어지는 사일런서가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배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상기 돌출부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부의 상기 제 4 축선방향의 높이는 상기 돌출부의 높이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구성 양태에 의하면 상기 니들 밸브는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제 1 축선을 따라 진퇴 운동하고, 상기 니들 밸브의 진퇴 운동에 의해 스로틀 구멍의 개구 면적이 조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니들 밸브를 진퇴 운동시키는 조작이 가능한 비로킹 위치와, 상기 니들 밸브를 진퇴 운동시키는 조작이 불가능한 로킹 위치로 변위가능하며, 상기 밸브 보디에는 상기 핸들이 로킹 위치 또는 비로킹 위치에 있는 것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부가 설치되어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스피드 컨트롤러는 유체압 실린더의 실린더 포트에 부착했을 때, 메인 보디의 중심축선인 제 1 축선이 상기 실린더 포트의 중심축선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상기 메인 보디가 상기 유체압 실린더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량은 상기 메인 보디의 제 2 축선방향의 폭과 거의 같은 정도가 되고, 이것은 종래의 스피드 컨트롤러에 비해 현격히 작다. 이 때문에 상기 스피드 컨트롤러를 상기 유체압 실린더에 지금까지 이상으로 컴팩트하게 부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드 컨트롤러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피드 컨트롤러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피드 컨트롤러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어서의 IV-IV선의 단면도이며, 핸들이 로킹 위치에 있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로부터 핸들을 비로킹 위치로 변위시켰을 경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있어서의 VI-VI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스피드 컨트롤러를 부착한 유체압 실린더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피드 컨트롤러로 유체압 실린더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는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피드 컨트롤러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스피드 컨트롤러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스피드 컨트롤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피드 컨트롤러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스피드 컨트롤러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피드 컨트롤러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과 동일 위치에서 단면으로 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드 컨트롤러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6과 동일 위치에서 단면으로 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드 컨트롤러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제 6 실시형태의 스피드 컨트롤러로 유체압 실린더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는 회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의한 스피드 컨트롤러의 제 7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스피드 컨트롤러의 하면도이다.
도 22은 도 20의 스피드 컨트롤러를 제 1 축선을 포함하는 수평면을 따라 절단해서 나타내는 횡단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에 있어서의 XXIII-XXIII선에 의한 단면도이며, 도면의 상하를 도 20의 상하와 같은 방향으로 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21에 있어서의 XXIV-XXIV선에 의한 단면도이며, 도면의 상하를 도 20의 상하와 같은 방향으로 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종래의 스피드 컨트롤러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피드 컨트롤러의 제 1 실시형태가 나타내어지고, 도 7에는 상기 스피드 컨트롤러(10A)를 유체압 실린더(1)에 부착한 상태가 나타내어지고, 도 8에는 상기 스피드 컨트롤러(10A)로 유체압 실린더(1)의 속도 제어를 행하는 유체압 회로의 일례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8 중의 부호 2는 5포트 전자 밸브를 나타내고, 부호 3은 압력 유체 공급원을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 압력 유체는 압축 공기이다.
상기 스피드 컨트롤러(10A)는 유체압 실린더(1)의 실린더 포트(4)에 직접 부착해서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유체압 실린더(1)에 공급되는 압력 유체의 공급 유량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유체압 실린더(1)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는 미터-인 제어 방식의 스피드 컨트롤러이다.
도 1~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스피드 컨트롤러(10A)는 밸브 보디(11)를 갖고 있다. 상기 밸브 보디(11)는 제 1 축선(L1)을 따라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한 메인 보디(12)와, 상기 메인 보디(12)의 측면에 상기 제 1 축선(L1)과 직교하는 제 2 축선(L2)을 따라 연장되도록 연결된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을 한 부착용 보디(13)를 갖고 있다.
상기 메인 보디(12)에는 전자 밸브(2)로부터의 배관(5)(도 8 참조)을 접속하기 위한 제 1 포트(14)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용 보디(13)에는 상기 유체압 실린더(1)의 실린더 포트(4)에 접속하기 위한 제 2 포트(15)가 형성되고, 이들 제 1 포트(14)와 제 2 포트(15)를 연결하는 유체 유로(16)가 상기 메인 보디(12) 및 부착용 보디(13)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 보디(12)는 상기 메인 보디(12)의 상기 제 1 축선(L1)을 따르는 방향의 한쪽 반부측에 형성된 밸브 수용부(12a)와, 다른쪽 반부측에 형성된 포트 형성부(12b)를 갖고 있고, 상기 포트 형성부(12b)에 상기 제 1 포트(14)가 상기 제 1 축선(L1)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 1 포트(14)에 간이 접속식의 관 이음매(17)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관 이음매(17)는 상기 배관(5)의 일단을 이 관 이음매(17)의 내부에 끼워 넣으면 복수의 로킹편(17a)이 상기 배관(5)의 외주에 파고 들어가 로킹됨으로써 상기 배관(5)을 빠짐 방지 상태로 하고, 릴리스 부시(17b)를 관 이음매(17)의 내부에 밀어 넣으면 상기 릴리스 부시(17b)의 선단이 상기 로킹편(17a)을 외측으로 벌려 상기 배관(5)으로부터 이간시킴으로써 상기 배관(5)을 빼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밸브 수용부(12a)의 중공부 내에는 원통 형상의 체크 밸브 홀더(20)와, 내경 및 외경이 복수 단계로 다른 원통 형상의 니들 밸브 홀더(21)가 상기 제 1 축선(L1)을 따라 직렬 또한 동축상으로 설치되고, 상기 체크 밸브 홀더(20)에 의해 상기 유체 유로(16)의 일부가 서로 병렬을 이루는 제 1 유로(16a)와 제 2 유로(16b)로 분기되어 있다. 도면 중의 부호 23은 시일 부재이다. 상기 체크 밸브 홀더(20)와 니들 밸브 홀더(21)는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유로(16a)는 상기 체크 밸브 홀더(20)의 외주와 상기 메인 보디(12)의 내주 사이에 형성된 환 형상의 유로이며, 상기 제 2 유로(16b)는 상기 체크 밸브 홀더(20)의 중심 구멍(22)을 통과하는 유로이다. 상기 제 1 유로(16a)와 제 2 유로(16b)는 상기 체크 밸브 홀더(20)와 니들 밸브 홀더(21) 사이의 합류부(16c)에서 합류하고, 상기 부착용 보디(13)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구멍(37)에 연통하고 있다.
상기 제 1 유로(16a) 내에는 상기 제 1 유로(16a) 내를 흐르는 압력 유체의 흐름의 방향을 한 방향으로만 제한하는 립형의 체크 밸브(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체크 밸브(25)는 상기 체크 밸브 홀더(20)의 외주에 형성된 오목부(20a) 내에 배치되어 있고, 압력 유체의 작용으로 변형되는 립(25a)를 갖고, 상기 립(25a)이 상기 메인 보디(12)의 내주의 시트부(26)에 접리됨으로써 상기 제 1 유로(16a)를 개폐하는 것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립(25a)이 상기 제 1 유로(16a)의 상류측, 즉 상기 제 1 포트(14)측으로 향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포트(14)로부터 제 2 포트(15)를 향하는 압력 유체의 순방향 흐름에 대해서는 상기 립(25a)이 상기 시트부(26)에 접촉해서 상기 제 1 유로(16a)를 폐쇄함으로써 이 순방향 흐름을 저지하고, 상기 제 2 포트(15)로부터 제 1 포트(14)를 향하는 압력 유체의 역방향 흐름에 대해서는 상기 립(25a)이 상기 시트부(26)로부터 이간되어 상기 제 1 유로(16a)를 개방함으로써 이 역방향 흐름을 허용한다.
또한, 상기 니들 밸브 홀더(21)의 내부의 밸브 구멍(21a) 내에는 니들 밸브(27)가 밸브 시일(28)을 통해 기밀하게 또한 상기 제 1 축선(L1)을 따라 진퇴 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니들 밸브(27)의 선단의 스로틀부(27a)가 상기 체크 밸브 홀더(20)의 중심 구멍(22) 내에 삽입되고, 상기 스로틀부(27a)의 측면에 스로틀 구멍(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로틀 구멍(29)은 상기 스로틀부(27a)의 선단측으로 감에 따라 점차 단면적이 확대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니들 밸브(27)가 전진해서 상기 중심 구멍(22)으로의 상기 스로틀부(27a)의 진입도가 커지면 상기 스로틀 구멍(29)(따라서 제 2 유로(16b))의 개구 면적이 작아지고, 상기 니들 밸브(27)가 후퇴해서 상기 중심 구멍(22)으로의 상기 스로틀부(27a)의 진입도가 작아지면 상기 스로틀 구멍(29)(따라서 제 2 유로(16b))의 개구 면적이 커지고, 그것에 의해 상기 제 2 유로(16b)를 흐르는 압력 유체의 유량이 제어된다.
상기 니들 밸브(27)를 진퇴 조작하기 위해 상기 니들 밸브(27)의 외주에는 수나사(30)가 깍이고, 이 수나사(30)가 상기 니들 밸브 홀더(21)의 내부에 고정된 니들 가이드(31)의 나사 구멍(31a)에 맞물리고, 상기 니들 밸브(27)의 단부에 캡형을 한 회전 조작용의 핸들(32)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핸들(32)은 상기 밸브 수용부(12a)로부터 돌출되는 니들 밸브 홀더(21)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핸들(32)의 중심에 형성된 조작 구멍(33)의 내부에 상기 니들 밸브(27)의 단부가 상기 제 1 축선(L1) 방향으로는 상대적으로 변위가능하지만 상기 제 1 축선(L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방향으로는 서로 고정된 상태로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핸들(32)을 정,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니들 밸브(27)가 정,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니들 가이드(31)에 가이드되어서 상기 제 1 축선(L1) 방향으로 진퇴 운동한다.
상기 핸들(32)의 외면에는 상기 핸들(32)의 회전방향과 니들 밸브(27)의 개도의 관계를 나타내는 표시(34)가 형성되고, 상기 핸들(32)의 측면에는 조작방향이나 조작 정도 등을 나타내는 지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돌기(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핸들(32)은 상기 제 1 축선(L1)을 따라 진퇴 운동가능하며, 도 4에 나타내는 로킹 위치(전진 위치)와, 도 5에 나타내는 비로킹 위치(후퇴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상기 핸들(32)에 의한 상기 니들 밸브(27)의 진퇴 조작은 상기 핸들(32)을 상기 비로킹 위치로 변위시킨 상태에서 행하고, 진퇴 조작이 종료된 후, 상기 핸들(32)을 전진시켜서 상기 로킹 위치로 변위시키면 상기 핸들(32)의 선단부내주의 돌기(32a)가 상기 니들 밸브 홀더(21)의 외주의 돌기(21b)에 로킹되어 상기 핸들(32)이 그 위치에 유지됨과 아울러, 상기 핸들(32)의 안쪽 단부 내주의 키(32b)가 상기 니들 밸브 홀더(21)의 선단부 외주의 키 홈(21c)에 로킹됨으로써 상기 핸들(32)의 회전이 규제되어 상기 니들 밸브(27)의 진퇴 조작을 행할 수 없게 된다.
상기 핸들(32)이 로킹 위치에 있는지 또는 비로킹 위치에 있는지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메인 보디(12)에는 인디케이터부(7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인디케이터부(70)는 도시한 예에서는 핸들(32)이 비로킹 위치에 있는 것을 표시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핸들(32)을 도 5의 비로킹 위치로 변위시켰을 때 상기 핸들(32)과 메인 보디(1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71)와, 니들 밸브 홀더(21)에 형성된 표지부(72)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71)를 통해서 상기 표지부(72)를 외부로부터 육안으로 봄으로써 상기 핸들(32)이 비로킹 위치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핸들(32)을 도 4의 로킹 위치로 변위시키면 상기 공간부(71)가 상기 핸들(32)에 의해 막히기 때문에 상기 표지부(72)를 육안으로 볼 수는 없다.
그러나, 상기 인디케이터부(70)는 상기 공간부(71)를 핸들(32)의 측면에 형성한 구멍이나 노치 등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핸들(32)을 상기 비로킹 위치로 변위시켰을 때, 이 공간부(71)에 상기 표지부(72)가 나타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인디케이터부(70)는 핸들(32)이 로킹 위치에 있는 것을 표시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핸들(32)이 형성한 구멍이나 노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공간부(71)에 상기 핸들(32)을 로킹 위치로 변위시켰을 때, 상기 표지부(72)가 나타나도록 하면 좋다.
상기 표지부(72)는 색이어도, 문자이어도 좋다. 상기 표지부(72)를 색으로 형성하는 경우는 니들 밸브 홀더(21)의 일부만을 다른 부분과는 다른 눈에 띄기 쉬운 색(예를 들면, 오렌지색이나 적색 등)으로 착색해도, 니들 밸브 홀더(21) 전체를 그러한 색으로 착색해도 상관없다. 또한, 이 표지부(72)는 니들 밸브 홀더(21)의 외면에 도료를 도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지만 도료를 니딩한 합성 수지로 니들 밸브 홀더(21)의 일부 또는 전부를 성형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고,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니들 밸브 홀더(21) 전체가 도료를 니딩한 합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표지부(72)를 문자로 형성하는 경우는 예를 들면, 「OPEN」이나 「UNLOCK」등의 문자를 상기 니들 밸브 홀더(21)의 측면에 붙여 상기 공간부를 통해 이 문자가 육안으로 보이도록 한다. 상기 문자는 눈에 띄기 쉬운 색으로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보디(12)에 있어서의 상기 밸브 수용부(12a)의 측면에는 상기 부착용 보디(13)를 연결하기 위한 돌출부(36)가 상기 제 1 축선(L1) 및 제 2 축선(L2)의 양쪽과 직교하는 제 3 축선(L3)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36)를 평면으로 볼 때의 형상은 반원 형상이며, 상기 돌출부(36)의 제 2 축선(L2) 방향의 높이(H)는 상기 밸브 수용부(12a)의 최대 직경, 즉 제 2 축선(L2) 방향의 지름(D)과 대략 동등하거나, 또는 그것보다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36)의 상기 제 2 축선(L2) 방향 일단측의 제 1 끝면(도면의 상단면)(36a), 및 그 반대측의 제 2 끝면(도면의 하단면)(36b)은 모두 상기 제 2 축선(L2)과 직교하는 평탄한 면이다.
상기 돌출부(36)의 내부에는 상기 제 1 축선(L1)으로부터 상기 제 3 축선(L3) 방향으로 일정 거리(X)만큼 떨어진 위치에 원형의 상기 연결 구멍(37)이 상기 돌출부(36)를 제 2 축선(L2)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구멍(37)은 상기 연결 구멍(37)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37a)를 통해 상기 밸브 수용부(12a)의 중공부, 즉 상기 제 1 유로(16a)와 제 2 유로(16b)가 합류하는 합류부(16c)에 연통하고 있고, 상기 연결 구멍(37) 내에 상기 부착용 보디(13)의 연결부(38)가 상기 개구부(37a)의 양측에 배치된 시일 부재(39)를 통해 기밀하게 삽입됨으로써 상기 메인 보디(1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부착용 보디(13)가 상기 메인 보디(12)에 연결되어 있는 위치는 상기 제 1 축선(L1)으로부터 상기 제 3 축선(L3) 방향으로 일정 거리(X)만큼 떨어진 위치이다. 이 거리(X)는 상기 보디(12)의 지름(D)의 1/2보다 크지만, 지름(D)과 동등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착용 보디(13)는 상기 메인 보디(12)와 별체를 이루는 부재이며, 길이방향(제 2 축선(L2) 방향)으로 순서대로 상기 연결부(38)와, 상기 돌출부(36)의 끝면에 접촉하는 시트부(40)와, 유체압 실린더(1)의 실린더 포트(4)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41)를 갖고, 상기 부착부(41)에 상기 제 2 포트(15)가 상기 제 2 축선(L2)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부착부(41)의 외주에는 수나사(41a)가 깎여 있고, 상기 부착부(41)를 내주에 암나사(4a)가 깎인 상기 실린더 포트(4) 내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상기 스피드 컨트롤러(10A)가 상기 유체압 실린더(1)에 직접 부착된다. 도면 중의 부호 45는 개스킷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부착용 보디(13)의 내부에는 상기 제 2 포트(15)에 연통하는 유로 구멍(42)이 상기 제 2 축선(L2)을 따라 상기 연결부(38)의 도중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부착용 보디(13)의 측면에는 상기 유로 구멍(42)을 상기 개구부(37a)에 연통시키는 복수의 연통 구멍(42a)이 방사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로 구멍(42), 연통 구멍(42a), 연결 구멍(37)은 상기 유체 유로(16)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38)의 제 2 축선(L2) 방향의 길이는 상기 연결 구멍(37)의 길이보다 약간 길고, 상기 부착부(41)의 제 2 축선(L2) 방향의 길이는 상기 연결부(38)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시트부(40)의 제 2 축선(L2) 방향의 길이(두께)는 상기 부착부(41)의 길이보다 짧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돌출부(36)의 높이(H)와 상기 시트부(40)의 두께를 더한 치수가 상기 보디(12)의 지름(D)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하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38)의 선단부(38a)의 외주에는 로킹 부재(43)를 떼어내기 가능하게 로킹시키기 위한 로킹 홈(38b)이 형성되고, 상기 선단부(38a)의 선단면에는 실린더 포트(4)에 부착할 때에 육각 렌치를 삽입해서 회전 조작하기 위한 육각형의 조작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40)의 외주는 렌치로 회전 조작할 수 있는 형상, 예를 들면 육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로킹 부재(43)는 대략 U자형을 한 클립(43A)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립(43A)은 탄성 변형가능한 좌우 한 쌍의 로킹편(46a, 46a)과, 상기 한 쌍의 로킹편(46a, 46a)의 기단부끼리가 이어진 부분에 형성된 반원 형상의 손잡이부(46b)를 갖고 있다. 상기 한 쌍의 로킹편(46a, 46a)의 중간 부분에는 바깥쪽을 향해 볼록형으로 만곡되는 만곡부(46c)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로킹편(46a, 46a)의 선단부(46d)는 앞쪽이 넓어지는 형상을 이루도록 구부러져 있다.
상기 클립(43A)을 도 2에 쇄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착용 보디(13)의 연결부(38)에 로킹시킬 때는 상기 한 쌍의 로킹편(46a, 46a)의 선단부(46d, 46d)를 상기 로킹 홈(38b)의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38)의 측면에 압박하여 그대로 상기 클립(43A)을 밀어 넣도록 한다. 그렇게 하면, 상기 한 쌍의 로킹편(46a, 46a)이 상기 연결부(38)에서 일단 탄력적으로 펴 넓혀진 후, 상기 만곡부(46c, 46c)가 상기 로킹 홈(38b)에 감합되는 위치까지 전진하고, 그 위치에서 상기 로킹 홈(38b)에 로킹된다.
한편, 상기 클립(43A)을 상기 연결부(38)로부터 떼어낼 때는 상기 손잡이부(46b)를 쥐고 상기 클립(43A)을 화살표 방향으로 강하게 잡아당긴다. 그렇게 하면, 상기 한 쌍의 로킹편(46a, 46a)이 상기 연결부(38)에 의해 일단 탄력적으로 펴 넓혀진 후, 상기 만곡부(46c, 46c)가 상기 로킹 홈(38b)으로부터 이탈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기 때문에 그대로 상기 클립(43A)을 상기 연결부(38)로부터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떼어낼 수 있다. 이 때, 상기 클립(43A)은 상기 연결부(38)로부터도 상기 돌출부(36)로부터도 완전히 분리된다.
상기 메인 보디(12)에 상기 부착용 보디(13)를 연결할 때는 상기 돌출부(36)의 연결 구멍(37) 내에 상기 연결부(38)를 상기 돌출부(36)의 하단면(36b)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상기 연결부(38)의 선단부(38a)를 상기 돌출부(36)의 상단면(36a)으로부터 외부로 돌출시키고, 상기 로킹 홈(38b)에 상기 로킹 부재(43)를 탄력적으로 장착해서 상기 로킹 부재(43)를 상기 돌출부(36)의 상단면(36a)에 로킹시키도록 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메인 보디(12)와 부착용 보디(13)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시트부(40)는 상기 돌출부(36)의 하단면(36b)에 접촉하고, 상기 부착부(41)는 상기 시트부(40)를 통해 상기 돌출부(36)의 하단면(36b)으로부터 상기 제 2 축선(L2)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스피드 컨트롤러(10A)는 도 1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부착부(41)를 유체압 실린더(1)의 실린더 포트(4)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상기 유체압 실린더(1)에 부착된다. 이 때, 미리 상기 부착용 보디(13)를 상기 메인 보디(12)로부터 떼어내고, 상기 부착용 보디(13)만을 먼저 상기 실린더 포트(4)에 부착하고, 그 후 상기 부착용 보디(13)에 상기 메인 보디(12)를 연결하도록 하면 좁은 작업 스페이스이어도 유체압 실린더(1)에 대한 상기 스피드 컨트롤러(10A)의 부착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그 때에 상기 부착용 보디(13)를 상기 메인 보디(12)로부터 떼어내는 작업은 우선 상기 로킹 부재(43)를 떼어내고, 이어서 상기 연결부(38)를 상기 연결 구멍(37)으로부터 빼냄으로써 행한다.
또한, 상기 부착용 보디(13)를 상기 실린더 포트(4)에 부착하는 작업은 상기 부착용 보디(13)의 상단면의 조작 구멍(44)에 육각 렌치를 끼워 넣고, 상기 육각 렌치로 상기 부착용 보디(13)를 회전시켜서 상기 부착부(41)를 상기 실린더 포트(4)에 비틀어 넣고, 상기 시트부(40)가 개스킷(45)을 통해 유체압 실린더(1)의 외면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완전히 비틀어 넣음으로써 행한다.
또한, 상기 부착용 보디(13)에 상기 메인 보디(12)를 연결하는 작업은 상기 메인 보디(12)의 연결 구멍(37) 내에 상기 부착용 보디(13)의 연결부(38)를 삽입하고, 상기 연결 구멍(37)으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연결부(38)의 선단부(38a)의 로킹 홈(38b)에 상기 로킹 부재(43)를 부착함으로써 행한다.
그러나, 상기 스피드 컨트롤러(10A)는 상기 메인 보디(12)와 상기 부착용 보디(13)를 서로 연결한 상태 그대로 상기 실린더 포트(4)에 부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40)가 렌치 걸기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을 때는 상기 시트부(40)를 이용해서 상기 부착부(41)를 실린더 포트(4)에 비틀어 넣을 수도 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 스피드 컨트롤러(10A)를 유체압 실린더(1)에 부착했을 때, 상기 메인 보디(12)(제 1 축선(L1))가 실린더 포트(4)의 중심축선(LP)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기 때문에 상기 유체압 실린더(1)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스피드 컨트롤러(10A)의 돌출량은 상기 메인 보디(12)의 제 2 축선(L2) 방향의 폭, 즉 직경(D)이라는 것이 된다. 이 돌출량은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일반형의 스피드 컨트롤러(60), 즉 메인 보디(61)가 실린더 포트(4)의 중심축선(LP) 방향을 향하는 것에 비해 현격히 작다.
게다가, 상기 부착부(41)가 상기 메인 보디(12)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는 상기 메인 보디(12)의 바로 아래가 아니라 상기 메인 보디(12)로부터 가로로 돌출되는 돌출부(36)의 하단면(36b)이기 때문에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개량형의 스피드 컨트롤러와 같이 메인 보디의 측면으로부터 바로 아래로 돌출되는 돌출벽부를 통해 부착부가 연결되어 있는 것에 비해서도 상기 돌출량은 작다. 이 때문에 상기 스피드 컨트롤러(10A)는 종래의 어느 스피드 컨트롤러에 비해서도 유체압 실린더(1)에 매우 컴팩트하게 부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시한 예에서는 상기 부착용 보디(13)의 선단부(38a)가 상기 메인 보디(12)보다 상방으로 약간 돌출되어 있지만 상기 돌출부(36)의 높이(H)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선단부(38a)가 메인 보디(12)보다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유체압 실린더(1)의 외형은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지만 외형이 원형인 유체압 실린더에 대해서도 상기 스피드 컨트롤러(10A)는 부착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인 보디(12)와 부착용 보디(13)는 서로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어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축선(L2)을 중심으로 해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회전가능한 각도는 90°나 180° 등으로 제한되어 있어도 좋지만, 360° 자유롭게 회전가능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기 스피드 컨트롤러(10A)를 유체압 실린더(1)에 부착한 후, 상기 제 1 포트(14)의 방향을 배관(5)의 접속방향에 맞춰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보디(12)는 상기 부착용 보디(13)에 대하여 상기 제 2 축선(L2) 방향(도 1의 상하방향)으로 반전시켜서 연결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즉, 상기 메인 보디(12)의 자세를 도 1의 상태로부터 상기 돌출부(36)의 제 1 끝면(36a)이 아래를 향하고 또한 제 2 끝면(36b)이 위를 향하는 자세로 반전시켜서 상기 부착용 보디(13)에 연결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면, 상기 메인 보디(12)의 돌출부(36) 및 연결 구멍(37)을 상기 제 1 축선(L1)을 포함해서 상기 제 2 축선(L2)에 수직인 가상 평면(S)(도 6 참조)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실현가능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도 3에 있어서 상기 부착용 보디(13)에 대한 상기 메인 보디(12)의 배치를 제 1 포트(14)에 대한 배관(5)의 접속방향에 맞춰 좌우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로킹 부재(43)가 U자형을 한 탄성 클립(43A)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로킹 부재(43)는 클립 이외의 부재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너트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로킹 부재(43)를 너트로 형성했을 경우, 상기 연결부(38)의 선단부(38a) 외주에는 수나사가 형성된다.
이어서, 상기 스피드 컨트롤러(10A)를 사용해서 유체압 실린더(1)의 속도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전자 밸브(2)가 비통전 때문에 제 1 위치(2a)로 스위칭되고, 유체압 실린더(1)의 피스톤(6)이 후퇴단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 때, 상기 유체압 실린더(1)의 로드측실(7b)에는 제 2 스피드 컨트롤러(10A2)의 니들 밸브(27)에 의해 압력 유체가 유량 제한된 상태에서 공급되고, 헤드측실(7a)은 제 1 스피드 컨트롤러(10A1)의 체크 밸브(25)를 통해 대기로 개방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상기 전자 밸브(2)가 통전에 의해 제 2 위치(2b)로 스위칭되면, 제 1 스피드 컨트롤러(10A1)의 제 1 포트(14)가 압력 유체원(3)에 접속됨과 아울러, 제 2 스피드 컨트롤러(10A2)의 제 1 포트(14)가 대기로 개방되기 때문에 상기 유체압 실린더(1)의 헤드측실(7a)에는 압력 유체가 상기 제 1 스피드 컨트롤러(10A1)의 제 1 유로(16a)의 니들 밸브(27)에 의해 유량 제한된 상태에서 공급되고, 로드측실(7b)의 압력 유체는 제 2 스피드 컨트롤러(10A2)의 제 2 유로(16b)의 체크 밸브(25)를 통해 자유 흐름의 상태에서 대기로 배출된다. 이 때문에 상기 유체압 실린더(1)의 피스톤(6)은 상기 공급 유체의 유량에 따른 속도로 전진한다.
상기 피스톤(6)이 전진단에 도달한 후, 상기 전자 밸브(2)가 다시 상기 제 1 위치(2a)로 스위칭되면 상기 제 1 스피드 컨트롤러(10A1) 및 제 2 스피드 컨트롤러(10A2)의 동작이 상기 피스톤(6)의 전진 행정 시와 역전되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6)은 도 9의 후퇴단의 위치로 후퇴한다.
상기 실시형태의 스피드 컨트롤러(10A)는 미터-인 제어 방식의 것이지만, 상기 체크 밸브(25)의 립(25a)을 도 4에 있어서 제 1 유로(16a)의 하류방향, 즉 상기 제 2 포트(15)측을 향하게 함으로써 미터-아웃 제어 방식의 스피드 컨트롤러로 변경할 수 있다. 이 미터-아웃 제어 방식의 스피드 컨트롤러는 상기 제 1 포트(14)로부터 제 2 포트(15)를 향하는 압력 유체의 순방향 흐름을 자유 흐름으로서 허용하고, 상기 제 2 포트(15)로부터 제 1 포트(14)를 향하는 압력 유체의 역방향 흐름의 유량을 제한한다.
도 9-도 11에는 스피드 컨트롤러의 제 2 실시형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제 2 실시형태의 스피드 컨트롤러(10B)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스피드 컨트롤러(10A)와 상위한 점은 메인 보디(12)의 포트 형성부(12b)가 제 1 축선(L1) 방향으로 연장되는 밸브 수용부(12a)에 대하여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이 포트 형성부(12b)는 제 3 축선(L3)과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어도 좋지만, 도시한 예에서는 제 1 축선(L1)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의 상기 이외의 구성과 변형예 및 작용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양자의 주요한 동일 구성 부분에 제 1 실시형태에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및 도 13에는 스피드 컨트롤러의 제 3 실시형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제 3 실시형태의 스피드 컨트롤러(10C)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스피드 컨트롤러(10A)와 상위한 점은 로킹 부재(43)를 형성하는 클립(43B)이 부착용 보디(13)의 연결부(38)로부터 떼어내졌을 때, 돌출부(36)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일 없이 상기 돌출부(36)에 클립(43B)의 일부가 로킹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클립(43B)을 상기 연결부(38)에 로킹시키거나 떼어내거나 할 때에 상기 클립(43B)이 탈락해서 분실되거나, 좁은 작업 공간 내에 낙하해서 떼어낼 수 없게 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돌출부(36)의 좌우 양측면의 제 2 축선(L2)을 사이에 두고 상대되는 위치에 볼록벽 형상을 한 홈 형성부(49)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홈 형성부(49)에 클립 로킹 홈(50)이 상기 돌출부(36)의 상단면(36a)으로부터 하단면(36b)에 이르기까지 상기 제 2 축선(L2)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립 로킹 홈(50)의 횡단면 형상은 편평인 C자형을 하고 있고, 제 3 축선(L3)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클립 로킹 홈(50)의 좌우의 측벽의 단부에는 홈 폭을 좁히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홈 가장자리(51a, 51b)가 각각 형성되고, 한 쌍의 홈 가장자리(51a, 51b) 사이에 개구부(5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홈 가장자리(51a, 51b)의 폭(돌출 높이)은 서로 같지 않고 상기 돌출부(36)의 기단측(메인 보디(12)측)에 위치하는 홈 가장자리(51b)의 폭보다 상기 돌출부(36)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홈 가장자리(51a)의 폭의 쪽이 크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50a)는 상기 클립 로킹 홈(50)의 홈 폭의 중간점보다 메인 보디(12)측에 접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클립(43B)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변형가능한 좌우 한 쌍의 로킹편(47a, 47b)과, 상기 한 쌍의 로킹편(47a, 47b)의 기단부끼리가 이어져 형성된 반원 형상의 탄성 변형부(47c)를 갖고, 상기 한 쌍의 로킹편(47a, 47b)에는 상기 연결부(38)의 로킹 홈(38b)에 감합, 로킹되는 만곡부(47d)가 바깥쪽을 향해 볼록형으로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로킹편(47a, 47b)에 각각 형성된 상기 만곡부(47d)의 원호의 길이는 서로 같지 않고 한쪽의 제 1 로킹편(47a)에 형성된 만곡부(47d)의 원호의 길이보다 다른 쪽의 제 2 로킹편(47b)에 형성된 만곡부(47d)의 원호의 길이의 쪽이 짧고, 그 길이는 상기 제 1 로킹편(47a)의 만곡부(47d)의 원호의 길이의 반분 정도이다.
상기 제 1 로킹편(47a)의 선단에는 상기 클립(43B)을 착탈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47e)가 제 2 로킹편(47b)측과는 반대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로킹편(47b)에는 상기 만곡부(47d)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제 1 로킹편(47a)의 만곡부(47d)의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연장되어서 한쪽의 클립 로킹 홈(50)까지 도달하는 수평 암부(47f)와, 상기 수평 암부(47f)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클립 로킹 홈(50) 내를 아래쪽으로 연장해서 상기 클립 로킹 홈(50)의 하단까지 도달하는 수직 암부(47g)와, 상기 수직 암부(47g)의 하단으로부터 수평으로 구부러져서 상기 클립 로킹 홈(50)의 하단부에 로킹되는 로킹부(47h)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클립(43B)은 상기 연결부(38)에 로킹되어 있지 않을 때, 도 13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 암부(47g)가 상기 돌출부(36)의 클립 로킹 홈(50) 내에 감합, 로킹된 상태에 있다. 이 상태로부터 상기 클립(43B)을 상기 연결부(38)에 로킹시킬 때는 상기 수직 암부(47g)를 지점으로 해서 상기 클립을 도면의 화살표(m)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한 쌍의 로킹편(47a, 47b)의 만곡부(47d)의 선단 부분을 상기 로킹 홈(38b)의 위치에서 상기 연결부(38)의 측면에 압박하여 그대로 상기 클립(43B)을 더 밀어 넣도록 한다. 그렇게 하면, 상기 한 쌍의 로킹편(47a, 47b)이 상기 연결부(38)에서 탄력적으로 펴 넓혀진 후, 상기 만곡부(47d)가 상기 로킹 홈(38b)에 감합되는 실선 위치까지 전진하고, 그 위치에서 상기 로킹 홈(38b)에 로킹된다.
상기 클립(43B)을 상기 연결부(38)로부터 떼어낼 때는 상기 제 1 로킹편(47a)의 선단의 조작부(47e)를 누름으로써 상기 클립(43B)을 상기 수직 암부(47g)를 지점으로 해서 도면의 화살표(n)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렇게 하면, 상기 탄성 변형부(47c)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로킹편(47a, 47b)의 만곡부(47d)가 상기 로킹 홈(38b)으로부터 빠지기 때문에 그대로 상기 클립(43B)은 쇄선 위치까지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클립(43B)은 상기 돌출부(36)에 로킹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탈락해서 분실되거나, 좁은 작업 공간 내에 낙하해서 떼어낼 수 없게 되거나 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클립(43B)은 상기 개구부(50a)를 통해 상기 클립 로킹 홈(50)으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보디(12)를 상하 반전시켜서 상기 부착용 보디(13)에 연결할 때는 상기 클립(43B)을 일단 상기 메인 보디(12)의 클립 로킹 홈(50)으로부터 떼어내고, 상기 메인 보디(12)를 상하 반전시킨 후, 상기 클립(43B)을 지금까지와는 반대측의 클립 로킹 홈(50)에 로킹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 3 실시형태의 상기 이외의 구성과 변형예 및 작용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양자의 주요한 동일 구성 부분에 제 1 실시형태에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에는 스피드 컨트롤러의 제 4 실시형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제 4 실시형태의 스피드 컨트롤러(10D)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스피드 컨트롤러(10A)와 상위한 점은 부착용 보디(13)의 연결부(38)의 길이가 연결 구멍(37)의 길이보다 짧고, 따라서 상기 연결부(38)의 선단은 상기 연결 구멍(37) 내의 중간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 및 상기 연결 구멍(37)이 개방되는 단부가 착탈가능한 플러그(48)로 막혀 있는 것이다. 도면 중의 부호 48a가 붙여진 부재는 시일 부재이다.
상기 부착용 보디(13)는 메인 보디(12)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며, 또한 상기 메인 보디(12)는 제 2 축선(L2) 방향으로 반전시켜서 상기 부착용 보디(13)에 연결가능하며, 상기 플러그(48)는 상기 연결 구멍(37)의 어느 쪽측의 단부에도 장착가능하다.
또한, 상기 부착용 보디(13)의 시트부(40)는 렌치가 걸리도록 육각형으로 형성되고, 이 시트부(40)를 이용해서 스피드 컨트롤러(10D)가 실린더 포트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4 실시형태의 상기 이외의 구성과 변형예 및 작용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양자의 주요한 동일 구성 부분에 제 1 실시형태에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에는 스피드 컨트롤러의 제 5 실시형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제 5 실시형태의 스피드 컨트롤러(10E)가 상기 제 4 실시형태의 스피드 컨트롤러(10D)와 상위한 점은 연결 구멍(37)이 돌출부(36)를 관통하고 있지 않은 점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 구멍(37)의 단부를 막는 플러그(48)(도 15 참조)는 불필요하며, 또한 메인 보디(12)는 제 2 축선(L2) 방향으로 반전시켜서 상기 부착용 보디(13)에 연결할 수 없다.
이 경우, 상기 부착용 보디(13)는 상기 메인 보디(12)와 별체로 형성하여 상기 메인 보디(12)에 연결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메인 보디(12)의 일부로서 상기 메인 보디(12)와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 5 실시형태의 상기 이외의 구성과 변형예 및 작용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4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양자의 주요한 동일 구성 부분에 제 4 실시형태에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7 및 도 18에는 스피드 컨트롤러의 제 6 실시형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제 6 실시형태의 스피드 컨트롤러(10F)가 상기 제 3 실시형태의 스피드 컨트롤러(10C)와 상위한 점은 유체압 실린더로부터 배출되는 압력 유체를 밸브 보디(11)에 형성한 배출 구멍(53)으로부터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이다.
이 때문에 메인 보디(12)에 있어서의 밸브 수용부(12a)의 측면에는 외부로 개방되는 복수의 상기 배출 구멍(53)이 니들 밸브 홀더(21)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출 구멍(53)이 제 1 포트(14)와 제 2 포트(15)를 연결하는 유체 유로(16)로부터 분기된 배출 유로(54)에 접속되어 있다. 도면 중의 부호 55가 붙여진 부재는 유체 배출 시의 소리를 없애기 위한 사일런서이며, 소결 금속이나 합성 수지제 발포체와 같은 다공질의 부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 유로(54)는 니들 밸브 홀더(21)의 중심 구멍(21d)으로부터 니들 밸브(27)에 형성된 스로틀 구멍(29), 상기 니들 밸브 홀더(21)에 방사방향으로 형성된 배출 연통 구멍(21e), 및 상기 니들 밸브 홀더(21)의 주위에 형성된 환 형상 배출로(58)를 거쳐 상기 배출 구멍(53)에 이르는 유로이며, 상기 배출 유로(54) 중에 상기 니들 밸브(27)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배출 유로(54)가 상기 유체 유로(16)로부터 분기되는 위치는 상기 메인 보디(12)의 내주에 형성된 환 형상의 격벽(12c)과, 상기 니들 밸브 홀더(21)의 선단부 사이에 형성된 밸브실(56)의 위치이다.
상기 격벽(12c)에는 상기 유체 유로(16)를 둘러싸는 환 형상의 공급 밸브 시트(57a)가 형성되고, 상기 니들 밸브 홀더(21)의 선단에는 상기 배출 유로(54)를 둘러싸는 환 형상의 배출 밸브 시트(57b)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 밸브 시트(57a)와 배출 밸브 시트(57b)는 제 1 축선(L1)을 따라 서로 상대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니들 밸브 홀더(21)의 선단의 상기 배출 밸브 시트(57b)를 둘러싸는 면(21f)은 외경측만큼 점차 상기 공급 밸브 시트(57a)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원뿔면을 이루고 있다.
상기 밸브실(56)의 내부에는 상기 공급 밸브 시트(57a)와 배출 밸브 시트(57b) 사이의 위치에 원판형을 한 체크 밸브(25A)가 축선(L1) 방향으로 변위가능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상기 밸브실(56)의 실벽, 즉 상기 메인 보디(12)의 내면에는 축선(L1)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안내 리브(59)가 인접하는 안내 리브(59, 59) 사이에 유로 홈(16d)이 되는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체크 밸브(25A)의 외주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안내 리브(59)에 의해 상기 체크 밸브(25A)의 변위가 안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로 홈(16d)은 상기 유체 유로(16)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체크 밸브(25A)는 상기 제 1 포트(14)로부터의 압력 유체가 상기 체크 밸브(25A)에 작용하면 상기 배출 밸브 시트(57b)에 착좌하는 제 1 위치를 차지하여 상기 배출 유로(54)를 폐쇄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포트(14)와 제 2 포트(15)를 연통시키고, 또한 상기 제 2 포트(15)로부터의 압력 유체가 상기 체크 밸브(25A)에 작용하면 상기 공급 밸브 시트(57a)에 착좌하는 제 2 위치를 차지하여 상기 제 1 포트(14)와 제 2 포트(15)를 서로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포트(15)를 상기 배출 유로(54)에 연통시킨다.
상기 체크 밸브(25A)는 합성 고무와 같은 시일성을 갖는 탄성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9에는 제 6 실시형태의 스피드 컨트롤러(10F)로 유체압 실린더(1)의 속도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회로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19는 전자 밸브(2)가 비통전 때문에 제 1 위치(2a)로 스위칭되고, 유체압 실린더(1)의 피스톤(6)이 후퇴단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 때, 로드측실(7b)에 접속된 제 2 스피드 컨트롤러(10F2)에 있어서는 상기 체크 밸브(25A)가 제 1 위치를 차지하여 제 1 포트(14)와 제 2 포트(15)가 연통하고, 헤드측실(7a)에 접속된 제 1 스피드 컨트롤러(10F1)에 있어서는 상기 체크 밸브(25A)가 제 2 위치를 차지하여 제 2 포트(15)가 배출 유로(54)에 연통한다. 이 때문에 상기 유체압 실린더(1)의 로드측실(7b)에는 상기 제 2 스피드 컨트롤러(10F2)를 통해 압력 유체가 자유 흐름의 상태에서 공급되고, 헤드측실(7a)은 상기 제 1 스피드 컨트롤러(10F1)의 니들 밸브(27) 및 배출 구멍(53)을 통해 대기로 개방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상기 전자 밸브(2)가 통전에 의해 제 2 위치(2b)로 스위칭되면 제 1 스피드 컨트롤러(10F1)의 제 1 포트(14)가 압력 유체원(3)에 접속됨과 아울러, 제 2 스피드 컨트롤러(10F2)의 제 1 포트(14)가 대기로 개방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스피드 컨트롤러(10F1)에 있어서는 상기 체크 밸브(25A)가 제 1 위치를 차지하여 제 1 포트(14)와 제 2 포트(15)가 연통하고, 상기 제 2 스피드 컨트롤러(10F2)에 있어서는 상기 체크 밸브(25A)가 제 2 위치를 차지하여 제 2 포트(15)가 배출 유로(54)에 연통한다. 이 때문에 상기 유체압 실린더(1)의 헤드측실(7a)에는 상기 제 1 스피드 컨트롤러(10F1)를 통해 압력 유체가 자유 흐름의 상태에서 공급되고, 로드측실(7b) 내의 압력 유체는 상기 제 2 스피드 컨트롤러(10F2)의 배출 유로(54)에 설치되어 이는 니들 밸브(27)에 의해 유량 제한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 구멍(53)을 통해 대기로 배출된다. 이 때문에 상기 유체압 실린더(1)의 피스톤(6)은 상기 배출 유체의 유량에 따른 속도로 전진한다.
상기 피스톤(6)이 전진단에 도달한 후, 상기 전자 밸브(2)가 다시 상기 제 1 위치(2a)로 스위칭되면 상기 제 1 스피드 컨트롤러(10A1) 및 제 2 스피드 컨트롤러(10A2)의 동작이 상기 피스톤(6)의 전진 행정 시와 역전되기 때문에 상기 피스톤(6)은 도 19의 후퇴단의 위치로 후퇴한다.
상기 제 6 실시형태의 상기 이외의 구성과 변형예 및 작용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3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양자의 주요한 동일 구성 부분에 제 3 실시형태에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제 3 실시형태에 개시되어 있지 않은 내부 구조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 6 실시형태의 스피드 컨트롤러(10F)의 메인 보디(12)에 대한 부착용 보디(13)의 부착 구조를 상기 제 1, 제 2, 제 4, 제 5 실시형태의 스피드 컨트롤러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0-도 24에는 스피드 컨트롤러의 제 7 실시형태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제 7 실시형태의 스피드 컨트롤러(10G)가 상기 제 6 실시형태의 스피드 컨트롤러(10F)와 상위한 점은 메인 보디(12)의 돌출부(36)에 부착용 보디(13)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구조, 및 메인 보디(12)에 형성된 배출 구멍(53)의 구조이다.
우선, 상기 돌출부(36)에 대한 부착용 보디(13)의 부착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부착용 보디(13)는 상기 돌출부(36)에 착탈가능이 아니라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부착용 보디(13)에 있어서의 연결부(38)의 외주에는 선단이 뾰족한 로킹용의 돌기(38c)가 상기 연결부(38)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부(38)를 상기 돌출부(36)의 연결 구멍(37) 내에 압입하고, 상기 돌기(38c)를 상기 연결 구멍(37)의 내면에 로킹시킴으로써 상기 부착용 보디(13)가 상기 돌출부(36)에 고정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부착용 보디(13)의 선단부(38a)는 상기 연결 구멍(37)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한편, 상기 배출 구멍(53)은 상기 메인 보디(12)의 측면에 형성된 중공의 배출부(74)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배출부(74)는 상기 돌출부(36)에 인접하는 위치에 상기 돌출부(36) 및 상기 메인 보디(12)의 양쪽과 일체를 이루고 또한 상기 돌출부(36)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74)의 내부에 상기 배출 구멍(53)이 제 1 축선(L1)과 직교하고 또한 제 2 축선(L2)과 평행을 이루는 제 4 축선(L4)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 구멍(53)의 상단은 상기 배출 구멍(53)에 압입이나 비틀어 넣기 등의 적당한 방법으로 부착된 짧은 원기둥 형상의 뚜껑체(75)에 의해 완전히 막히고, 상기 배출 구멍(53)의 하단은 메인 보디(12)측의 반원 부분이 단부벽(76)에 의해 막혀져 있고, 나머지의 반원 부분이 배출구(53a)로서 개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74)의 측면 하반부에는 상기 배출 구멍(53)을 외부로 개방하는 슬릿 형상을 한 복수의 긴 구멍(77)이 제 4 축선(L4)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되고, 이들의 긴 구멍(77)도 배출구(53a)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 구멍(53)의 내부에 합성 수지 발포체로 이루어지는 원기둥 형상의 사일런서(55)가 상기 뚜껑체(75)와 단부벽(76) 사이에 개재하도록 수용되어 있다. 상기 사일런서(55)는 원통이어도 좋다.
상기 배출부(74)의 제 4 축선(L4) 방향의 높이는 상기 돌출부(74)의 높이(H)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하이다.
상기 제 7 실시형태의 상기 이외의 구성과 변형예 및 작용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 6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기 때문에 양자의 주요한 동일 구성 부분에 제 6 실시형태에 붙인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배출 구멍(53)을 이렇게 배치함으로써 상기 제 6 실시형태의 스피드 컨트롤러(10F)와 같이 배출 구멍(53)을 메인 보디(12)의 측면에 제 1 축선(L1) 방향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하고, 상기 메인 보디(12)의 내부에 상기 배출 구멍(53)을 덮도록 사일런서(55)를 수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기 메인 보디(12)의 길이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7 실시형태의 스피드 컨트롤러(10G)의 메인 보디(12)에 대한 부착용 보디(13)의 부착 구조를 상기 제 1, 제 2, 제 4-제 6 실시형태의 스피드 컨트롤러와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1 유체압 실린더 4 실린더 포트
10A-10G, 10A1, 10A2 스피드 컨트롤러 11 밸브 보디
12 메인 보디 13 부착용 보디
14 제 1 포트 15 제 2 포트
16 유체 유로 16a 제 1 유로
16b 제 2 유로 25, 25A 체크 밸브
27 니들 밸브 29 스로틀 구멍
32 핸들 36 돌출부
37 연결 구멍 38 연결부
38a 선단부 41 부착부
42 유로 구멍 43 로킹 부재
44 조작 구멍 53 배출 구멍
54 배출 유로 55 사일런서
56 밸브실 57a 공급 밸브 시트
57b 배출 밸브 시트 70 인디케이터부
71 공간부 72 표지부
74 배출부 L1 제 1 축선
L2 제 2 축선 L3 제 3 축선
L4 제 4 축선 H 돌출부의 높이
D 메인 보디의 지름

Claims (13)

  1. 제 1 포트와 제 2 포트를 연결하는 유체 유로 중의 압력 유체의 흐름의 방향을 제어하는 체크 밸브와, 유체압 실린더에 공급되거나 또는 유체압 실린더로부터 배출되는 압력 유체의 유량을 제어하는 니들 밸브를 구비한 스피드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스피드 컨트롤러의 밸브 보디는 제 1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메인 보디와, 상기 유체압 실린더의 실린더 포트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갖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메인 보디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축선과 직교하는 제 2 축선을 따라 돌출되어 있고,
    상기 메인 보디에 상기 제 1 포트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니들 밸브와 체크 밸브가 상기 제 1 축선을 따라 동축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부착부에 상기 제 2 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부가 상기 메인 보디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는 상기 제 1 축선 및 제 2 축선과 직교하는 제 3 축선방향으로 상기 제 1 축선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컨트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디의 측면에 상기 제 3 축선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 상기 부착부가 상기 제 2 축선을 따라 상기 돌출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컨트롤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기 제 2 축선방향의 높이는 상기 메인 보디의 상기 제 2 축선방향의 지름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컨트롤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제 2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원형의 연결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구멍은 상기 유체 유로에 연통하고 있고,
    상기 부착부는 상기 메인 보디와는 별체를 이루는 원통 형상의 부착용 보디에 형성되고, 상기 부착용 보디에는 상기 연결 구멍 내에 감합되는 연결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 2 포트와 상기 연결 구멍을 연결하는 유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컨트롤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멍은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고, 상기 연결부의 선단은 상기 연결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렌치 걸기용의 조작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컨트롤러.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멍은 상기 돌출부를 관통하고, 상기 연결부의 선단은 상기 연결 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상기 연결부와 상기 돌출부를 로킹시키는 로킹 부재가 떼어내기 가능하게 부착됨으로써 상기 메인 보디와 상기 부착용 보디가 서로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의 선단에 렌치 걸기용의 조작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컨트롤러.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디와 상기 부착용 보디는 상기 제 2 축선을 중심으로 해서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컨트롤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유로는 서로 병렬을 이루는 제 1 유로와 제 2 유로로 분기되고, 상기 제 1 유로에 상기 체크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유로에 상기 니들 밸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컨트롤러.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디는 유체압 실린더로부터의 압력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구멍과, 상기 유체 유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배출 구멍에 연통하는 배출 유로와, 상기 배출 유로가 상기 유체 유로로부터 분기되는 위치에 형성된 밸브실과, 상기 밸브실 내의 서로 상대되는 위치에 상기 유체 유로 및 배출 유로를 각각 둘러싸도록 형성된 공급 밸브 시트 및 배출 밸브 시트를 갖고,
    상기 밸브실 내의 상기 공급 밸브 시트와 배출 밸브 시트 사이의 위치에 상기 체크 밸브가 배치되고, 상기 체크 밸브는 상기 제 1 포트로부터의 압력 유체가 작용하면 상기 배출 밸브 시트에 착좌해서 상기 제 1 포트와 제 2 포트를 서로 연통시킴과 아울러 상기 배출 유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 2 포트로부터의 압력 유체가 작용하면 상기 공급 밸브 시트에 착좌해서 상기 제 1 포트와 제 2 포트를 서로 차단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포트를 상기 배출 유로에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컨트롤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 밸브는 원판형을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컨트롤러.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구멍은 상기 메인 보디의 측면에 형성된 중공의 배출부의 내부에 상기 제 1 축선에 직교하고 또한 제 2 축선과 평행하는 제 4 축선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출 구멍의 내부에 다공질 부재로 이루어지는 사일런서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컨트롤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측면에 상기 돌출부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출부의 상기 제 4 축선방향의 높이는 상기 돌출부의 높이와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컨트롤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니들 밸브는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제 1 축선을 따라 진퇴 운동하고, 상기 니들 밸브의 진퇴 운동에 의해 스로틀 구멍의 개구 면적이 조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핸들은 상기 니들 밸브의 진퇴 운동 조작이 가능한 비로킹 위치와, 상기 니들 밸브의 진퇴 운동 조작이 불가능한 로킹 위치로 변위가능하며,
    상기 메인 보디에는 상기 핸들이 상기 로킹 위치 또는 비로킹 위치에 있는 것을 표시하는 인디케이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드 컨트롤러.
KR1020197000563A 2016-06-23 2017-04-12 스피드 컨트롤러 KR1022562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24126 2016-06-23
JPJP-P-2016-124126 2016-06-23
JP2016171193 2016-09-01
JPJP-P-2016-171193 2016-09-01
JP2016251884 2016-12-26
JPJP-P-2016-251884 2016-12-26
PCT/JP2017/014949 WO2017221524A1 (ja) 2016-06-23 2017-04-12 スピードコントロー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313A KR20190021313A (ko) 2019-03-05
KR102256236B1 true KR102256236B1 (ko) 2021-05-26

Family

ID=60784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563A KR102256236B1 (ko) 2016-06-23 2017-04-12 스피드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871175B2 (ko)
JP (1) JP6959485B2 (ko)
KR (1) KR102256236B1 (ko)
CN (1) CN109312764B (ko)
BR (1) BR112018076781A2 (ko)
DE (1) DE112017003127B4 (ko)
MX (1) MX2018015867A (ko)
RU (1) RU2732358C2 (ko)
TW (1) TWI706090B (ko)
WO (1) WO20172215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8872B1 (ko) 2020-10-26 2022-04-21 한국정밀기계(주) 일체형의 유체 흐름 및 속도 제어 장치
JP2022126927A (ja) * 2021-02-19 2022-08-31 Smc株式会社 エアシリンダの流体回路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7598B2 (ja) * 1996-07-19 2005-11-16 Smc株式会社 スピードコントローラ
JP3754134B2 (ja) * 1996-07-19 2006-03-08 Smc株式会社 スピードコントローラ
JP2009014069A (ja) * 2007-07-03 2009-01-22 Smc Corp シリン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52188A1 (fr) 1976-05-18 1977-12-16 Bouteille Daniel Dispositif de purge rapide d'une chambre d'un verin pneumatique
JPS54154909A (en) 1978-05-26 1979-12-06 Nec Corp Error supervisory system
JPS5756984A (en) 1980-09-23 1982-04-05 Mitsubishi Electric Corp Assembling method for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SU1481498A1 (ru) * 1986-07-02 1989-05-23 Московское Специ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Автоматических Линий И Агрегатных Станков Регул тор расхода
SU1751450A1 (ru) * 1990-05-03 1992-07-30 Головное Специальное Конструкторское Бюро По Автопогрузчикам Регул тор скорости опускани груза
JP2788809B2 (ja) * 1991-06-24 1998-08-20 エスエムシー 株式会社 スピードコントローラ
DE69204760T2 (de) 1991-06-24 1996-04-25 Smc Kk Geschwindigkeitssteuerung.
JP3778634B2 (ja) * 1996-11-22 2006-05-24 Smc株式会社 パイロットチェック弁付スピードコントローラ
JP3856922B2 (ja) * 1997-09-25 2006-12-13 Smc株式会社 速度制御機構付シリンダ
JP3558556B2 (ja) * 1999-03-10 2004-08-25 Smc株式会社 圧力流量制御弁
JP2001116008A (ja) * 1999-10-18 2001-04-27 Smc Corp 圧力調整機構
DE20106511U1 (de) * 2001-04-14 2001-08-02 Festo Ag & Co Ventileinheit mit entsperrbarem Rückschlagventil und damit ausgestatteter fluidbetätigter Antrieb
EP1580476B1 (de) 2004-03-22 2009-06-03 Festo AG & Co. KG Anschlussvorrichtung für Fluidleitungen
CN101893010B (zh) * 2009-05-21 2013-02-13 上海立新液压有限公司 一种液压平衡阀
JP5542379B2 (ja) 2009-07-21 2014-07-09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ノロジーズ 攪拌装置,攪拌方法、および遺伝子自動検査装置
JP5282196B2 (ja) 2010-01-21 2013-09-04 Smc株式会社 流量制御装置
CN202048037U (zh) * 2011-03-18 2011-11-23 常州联发凯迪机械有限公司 轮式拖拉机液压分配器
JP5867867B2 (ja) * 2012-12-28 2016-02-24 Eco−A株式会社 シリンダのポート部接続構造
DE112014003997B4 (de) * 2013-09-02 2023-07-06 Smc Corporation Fluidsteuerventil
JP5756984B1 (ja) 2014-08-01 2015-07-29 有限会社浜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スピードコントローラ
CN106537013B (zh) 2014-08-01 2019-01-08 浜国际有限公司 速度控制器
CN104747523B (zh) * 2015-04-02 2017-03-15 武汉船用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下放速度限制液压控制阀
CN205173105U (zh) * 2015-12-08 2016-04-20 河北睿智辰诚液压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调速阀
DE102016112356A1 (de) * 2016-07-06 2018-01-11 Smc Pneumatik Gmbh Ventilvorrichtung mit einer Ablassfunktion für einen Restdruck, Pneumatikzylindereinrichtung mit einer solchen sowie Verfahren zur Entlüftung einer solchen Pneumatikzylindereinrichtung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7598B2 (ja) * 1996-07-19 2005-11-16 Smc株式会社 スピードコントローラ
JP3754134B2 (ja) * 1996-07-19 2006-03-08 Smc株式会社 スピードコントローラ
JP2009014069A (ja) * 2007-07-03 2009-01-22 Smc Corp シリン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18015867A (es) 2019-03-28
RU2732358C2 (ru) 2020-09-15
DE112017003127T5 (de) 2019-03-07
DE112017003127B4 (de) 2024-02-08
KR20190021313A (ko) 2019-03-05
US10871175B2 (en) 2020-12-22
TWI706090B (zh) 2020-10-01
WO2017221524A1 (ja) 2017-12-28
CN109312764B (zh) 2020-09-25
RU2019101193A3 (ko) 2020-07-23
US20200182264A1 (en) 2020-06-11
JPWO2017221524A1 (ja) 2019-05-09
TW201804089A (zh) 2018-02-01
JP6959485B2 (ja) 2021-11-02
CN109312764A (zh) 2019-02-05
RU2019101193A (ru) 2020-07-23
BR112018076781A2 (pt) 201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5811B2 (en) Flow control device
KR102256236B1 (ko) 스피드 컨트롤러
US3162211A (en) Combination line penetrating valve device
US5666990A (en) Attachment member for engaging with different tire valves
US6905108B2 (en) Control valve flow adjustment device
US9086701B2 (en) Pressure reducing apparatus
US11118737B2 (en) Compact gas cylinder valve with residual pressure function
JP4355020B1 (ja) 管継手
KR20060135064A (ko) 개선된 행정 거리 측정 및 유체 이음쇠들을 가진 액체디스펜싱 밸브 및 방법
US20080011362A1 (en) Flow controller
JP2010531962A (ja) 制御弁
JP2010521601A (ja) 調整弁
US9752685B2 (en) Flow rate control apparatus
US10794403B2 (en) Composite valve for direct attachment to port of hydraulic apparatus
KR101198875B1 (ko) 유압 시스템
KR100526321B1 (ko) 진공 가압 밸브
US10155279B2 (en) Wire lock for rotary welding torch
EP0508380B1 (en) Pneumatic circuit fitting featuring a perfected air control valve device
CN212079791U (zh) 速度控制器
KR200402719Y1 (ko) 공압실린더 중 원형과 다른 횡단면의 실린더튜브를 가지는실린더
US20030038477A1 (en) Splitting device for pressure medium ducts and a duct component having same
KR20220143929A (ko) 초고압용 가스 밸브의 폐쇄 부재
CN116265789A (zh) 气门组件、截止阀及其制冷系统
RU64285U1 (ru) Клапан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CN115163893A (zh) 一种双向压力自适应开关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