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383B1 - 절연 변위 접점을 포함한 플러그 타입 커넥터 - Google Patents

절연 변위 접점을 포함한 플러그 타입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383B1
KR102248383B1 KR1020197036790A KR20197036790A KR102248383B1 KR 102248383 B1 KR102248383 B1 KR 102248383B1 KR 1020197036790 A KR1020197036790 A KR 1020197036790A KR 20197036790 A KR20197036790 A KR 20197036790A KR 102248383 B1 KR102248383 B1 KR 102248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ember
wire
curved edge
edge portion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413A (ko
Inventor
요아힘 첼르너
마티아스 융벡
에른스트 클레스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하르팅 에렉트로닉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00004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3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01R24/64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for high frequency, e.g. RJ 4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한 케이블을 각각의 플러그 접점(42)과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플러그 타입 커넥터는, 하나 이상의 플러그 접점(42) 및 상기 각각의 플러그 접점(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와이어를 위한 커터 인입 방향(Z)을 갖는 삽입 슬롯을 가짐으로써 각각의 와이어를 그 내부에 클램핑하여 파지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절연 변위 단자(40)를 포함하며 제1 하우징 부재 종축(X)을 갖는 제1 하우징 부재(1); 각각의 와이어의 안내를 위한 각각의 와이어 채널(32)을 구비한 연결 블록(3); 및 이 연결 블록(3)을 에워싸고 제2 하우징 부재 종축을 갖는 제2 하우징 부재(2);를 포함하며, 제1 하우징 부재(1)와 제2 하우징 부재(2)는 회전축을 갖는 공통 힌지 연결부를 통해 상호 연결되며; 힌지 연결부는, 제2 하우징 부재(2)가 제1 하우징 부재(1) 쪽을 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1 위치에서 각각의 와이어는 연결 블록(3)의 각각의 와이어 채널(32)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제2 위치에서는 제2 하우징 부재(2)가 곧바로 각각의 와이어 채널(32) 내에서 안내되는 각각의 와이어를 포함한 연결 블록(3)을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 쪽으로 압착시키기 시작하며; 힌지 연결부는, 제2 위치로부터, 각각의 와이어 채널(32) 내에서 안내되는 각각의 와이어를 포함한 연결 블록(3)이 완전히 하나 이상의 절연 변위 단자 상으로 압착되는 제3 위치로, 제2 하우징 부재(2)가 제1 하우징 부재(1) 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며; 힌지 연결부는, 그 밖에도, 제2 하우징 부재(2)가 제1 하우징 부재(1) 쪽을 향하는 커터 인입 방향(Z)으로 오직 병진 운동 방식으로만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 내로 각각의 와이어를 삽입하도록,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의 삽입 운동을 허용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절연 변위 접점을 포함한 플러그 타입 커넥터
본 발명은 절연 변위 접점(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을 구비한 플러그 타입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플러그 타입 커넥터는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를 포함한다.
절연 변위 접점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플러그 타입 커넥터들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들의 경우 케이블의 각각의 와이어들이 조립 시 하우징 부재들을 압착함으로써 최대한 동일하게 함께 상응하는 절연 변위 접점들 내로 압입되어 접촉된다. 간단하게는 절연 변위 단자라고도 지칭되는 절연 변위 접점들이 점점 더 소형화됨에 따라,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들 내로의 각각의 와이어의 정밀한 삽입에 대한 요구도 동시에 높아지고 있으며, 이 경우 와이어 피복이 동시에 절단되어, 그 내측에 놓이는 전기 와이어가 신뢰성 있게 접촉되어야 한다. 이와 동시에, 예컨대 RJ45 플러그 타입 커넥터들을 포함하는 케이블 장치의 개수가 증가할 경우 비용 측면도 중요하다.
WO2013/111083A1호는, 와이어들이 접촉 인쇄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있는 절연 변위 단자들 내로 적합한 별도의 압착 부재에 의해 압입되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그에 뒤이어, 접촉 인쇄회로기판은 절연 변위 단자들 및 별도의 압착 부재와 함께 제1 하우징 부재 내로 삽입되고 제2 하우징 부재에 의해 폐쇄된다. 전체적으로, 플러그 타입 커넥터는 비용이 많이 드는 복수의 개별 부재들을 포함한다.
DE102013209327B4호는 절연 변위 단자들을 포함하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3개의 복잡한 부재로 구성되고, 2개의 하우징 부재는 제1 하우징 부재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1 하우징 부재를 중심으로 하는 2개의 하우징 부재의 회전 운동을 통해,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 내로 와이어들을 클램핑(clamping)할 때 원형 삽입 운동이 유도되며, 그에 따라 절연 변위 단자들과 와이어들이 불가피하게 좌굴(buckling)되게 된다. 그로 인해,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와 와이어가 불필요한 하중을 받게 되어, 접촉 연결의 신뢰성에 악영향을 미친다.
WO2008/071917A1호도 마찬가지로 절연 변위 단자들을 포함하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3개의 복잡한 부재로 구성되고, 2개의 하우징 부재는 제1 하우징 부재 상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여기서도, 원형 운동이 절연 변위 단자의 좌굴을 발생시키거나, 클램핑 또는 압입 시 절연 변위 단자 내에서 와이어가 이리저리 움직이게 한다.
WO2008071917A1호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접힐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 하우징 부재를 포함한 커넥터 하우징을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 부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형으로 회전하면서 절연 변위 단자들을 포함한 제2 커넥터 하우징 부재 상으로 압입될 수 있다.
DE102016004429A1호는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는 2개의 커넥터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개시하고 있으며, 상기 커넥터 하우징 부재들은 각각 절연 변위 단자들을 구비하고, 베이스 부재로부터 각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를 향해 회동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메커니즘이 복잡하며, 와이어들이 절연 변위 단자들 내로 정확히 하나의 기결정 삽입 방향으로 삽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각각의 케이블 와이어가 압입 동안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 내로 상기 절연 변위 단자의 커터 인입 방향(cutter inlet direction)으로 최대한 직선으로 안내될 수 있게 하면서, 최대한 소수의 부재를 포함하며, 간단하면서도 비용 효과적으로 구성되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과제는, 독립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에 따른 플러그 타입 커넥터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타입 커넥터가 제공되며, 케이블은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가지고, 플러그 타입 커넥터 내의 각각의 플러그 접점(42)과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 타입 커넥터는:
하나 이상의 플러그 접점(42) 및 상기 각각의 플러그 접점(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와이어를 위한 커터 인입 방향(Z)을 갖는 삽입 슬롯을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와이어를 그 내부에 클램핑하여 파지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절연 변위 단자(40)를 포함하며 제1 하우징 부재 종축(X)을 갖는 제1 하우징 부재(1);
각각의 와이어의 안내를 위한 각각의 와이어 채널(32)을 구비한 연결 블록(3); 및
상기 연결 블록(3)을 에워싸고 제2 하우징 부재 종축을 갖는 제2 하우징 부재(2);를 포함하며,
제1 하우징 부재(1)와 제2 하우징 부재(2)는 회전축을 갖는 공통 힌지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힌지 연결부는, 제2 하우징 부재(2)가 제1 하우징 부재(1) 쪽을 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1 위치에서 각각의 와이어는 연결 블록(3)의 각각의 와이어 채널(32)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제2 위치에서는 제2 하우징 부재(2)가 곧바로 각각의 와이어 채널(32) 내에서 안내되는 각각의 와이어를 포함한 연결 블록(3)을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 쪽으로 압착하기 시작하며;
힌지 연결부는, 제2 위치로부터, 각각의 와이어 채널(32) 내에서 안내되는 각각의 와이어를 포함한 연결 블록(3)이 하나 이상의 절연 변위 단자 상으로 완전히 압착되는 제3 위치로, 제2 하우징 부재(2)가 제1 하우징 부재(1) 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며;
힌지 연결부는, 그 밖에도, 제2 하우징 부재(2)가 제1 하우징 부재(1) 쪽을 향하는 커터 인입 방향(Z)으로 오직 병진 운동 방식으로만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 내로 각각의 와이어를 삽입하도록,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의 삽입 운동을 허용하도록 형성된다.
제2 위치에서부터 제1 위치로의 힌지 운동이 이제부터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추가로 원형 삽입 운동이 아닌, 오직 병진 운동 방식의 삽입 운동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와이어들은 정확하게 커터 인입 방향으로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 내로 안내될 수 있다. 절연 변위 단자들은 바람직하게,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고 비용 절약적인 직선 삽입 슬롯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이렇게 각각의 와이어의 피복부 또는 절연부는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의 삽입 슬롯을 따라서 정확하게 절단되어 서로 갈라져서 벌어질 수 있으며, 중앙 도체가 절연 변위 단자와 접촉되거나, 그 내로 삽입되고 압입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 존재하는 단점들은, 와이어가 절연 변위 단자 내로 압입될 뿐만 아니라 그에 대해 수직으로도 변위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통해 해소된다. 오직 병진 운동 방식의 삽입 운동을 통해, 와이어는 오직 병진 운동 방식으로만 절연 변위 단자의 삽입 슬롯 내로 삽입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타입 커넥터를 통해, 종래 기술에 따른 원형 삽입 운동의 경우에서와 같은 절연 변위 단자 또는 와이어의 불필요한 좌굴이 방지된다. 이 경우, 삽입 운동 시 절연 변위 단자 상으로 슬라이딩되는, 연결 블록 내 절연 변위 단자 리세스도 훨씬 더 협폭으로 절연 변위 단자에 매칭될 수 있고, 이때 끼임(jamming)이 발생하지 않으며, 외부 윤곽은 절연 변위 단자의 단부 섹션을 따라 바람직하게 직선이고 평행하다. 절연 변위 단자 리세스가 보다 더 협폭으로 절연 변위 단자에 접함으로써, 전문 지식을 가진 통상의 기술자가 기하구조 및 삼각법(trigonometry)과 관련하여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처럼, 와이어도 더 정확하게, 그리고 더 작은 유격으로 절연 변위 단자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1 위치와 제3 위치 사이에서 오직 병진 운동 방식의 삽입 운동을 통해, 특히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 리세스를 포함하는 연결 블록은 더 간단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블록 및 제2 하우징 부재는, 조립 시 여타의 경우 소실될 수도 있는 독립 부재들이 훨씬 덜 필요하도록, 서로 통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플러그 타입 커넥터 내의 힌지 연결부가 바람직하게 2개의 래칭 핀(latching pin) 및 각각의 제1 리세스로 형성됨으로써,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가능성이 용이하게 생성된다. 각각의 제1 리세스를 갖는 제1 또는 제2 하우징 부재가 바람직하게 각각의 제2 리세스도 구비하여 형성되고, 이 경우 래칭 핀이 제3 위치에서 상기 제2 리세스 내로 이동됨으로써, 제1 하우징 부재와 관련하여 제2 하우징 부재의 회전 운동뿐만 아니라 병진 운동도 허용하는, 간단하고 정밀하며 비용 효과적인 실시예가 가능해진다. 각각의 제1 리세스와 제2 리세스 사이에 바람직하게 형성된 채널은 직선을 따라서 또는 커터 인입 방향에 상응하는 방향으로 각각의 래칭 핀을 안내한다.
그 밖의 장점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후속하는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부에 명시되어 있지만, 상기 실시예들로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제1 하우징 부재 및 제2 하우징 부재와 이들 사이의 연결 블록을 포함하는 바람직한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좌측이 도 1에서의 바람직한 커넥터 하우징의 잘라낸 한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고, 우측은 좌측에 도시된 것과 같은 바람직한 커넥터 하우징의 잘라낸 한 부분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하우징 부재, 제2 하우징 부재, 및 제2 하우징 부재와 통합 연결된 연결 블록을 포함하는, 도 1에서의 바람직한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도이며, 여기서 제2 커넥터 하우징은 3개의 위치로 도시되어 있고, 도면에서 상부는 제1 위치 또는 시작 위치에 있으며, 중앙부는 제2 위치에 있으며, 하부는 제1 및 제2 하우징 부재가 상호 완전히 연결되어 있는 제3 위치에 있다.
도 4는 도 1의 제2 하우징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 및 도 3의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며, 여기서 제2 하우징 부재는 제1 하우징 부재와 완전히 연결되어 있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장력 및 압착 완화부가 배치되어 있는 후방 섹션에 엔드캡(end cap)이 나사로 조여져 있다.
도 6은 절연 변위 단자들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도 1의 제1 하우징 부재를 밑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제2 하우징 부재를 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이며, 여기서는 절연 변위 단자들이 제2 위치에서부터 인입되는 절연 변위 단자 리세스들을 포함한 연결 블록을 볼 수 있다.
도 8은 도 1 및 도 3의 제2 하우징 부재의 사시도이며, 여기서 연결 블록은 제2 하우징 부재와 통합 연결되어 있고, 바깥쪽으로 돌출된 와이어들 또는 케이블 와이어들을 포함한 케이블이 연결 블록 내로 삽입되어 있다.
도 9는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제1 위치에 있는 도 1의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바람직한 장력 및 압착 완화 수단이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도 1의 제1 하우징 부재의 후방 섹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의 바람직한 장력 완화 수단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또 다른 바람직한 장력 및 압착 완화 수단의 2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각각 표시된 중심 수직선들과, 장력 및 압착 완화 수단들 위쪽에 위치하는 케이블 채널축을 포함한, 도 12의 장력 및 압착 완화 수단의 측면도이다.
케이블이 연결되어야 하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는 하나 이상의 플러그 접점(42)을 포함하며, 이 플러그 접점에는 케이블의 각각의 와이어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은 단일 와이어 또는 복수의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와이어는 각각 도체와 절연부 또는 와이어 피복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도체는 각각 하나의 코어, 또는 코어들의 다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케이블은 플러그 타입 커넥터와 장력 및 압착 안정적으로 연결된다. 본원의 플러그 타입 커넥터는, 도 1에서처럼,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하기 특징을 갖는다:
a) 바람직하게는 제1 하우징 부재 종축(X)을 따라서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플러그 접점(42) 및 상기 각각의 플러그 접점(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절연 변위 단자(40)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부재(1). 이 경우, 절연 변위 단자는, 각각의 와이어를 그 내부에 클램핑하여 파지하기 위해, 각각의 와이어가 삽입되는 방향인 커터 인입 방향(Z)을 갖는 삽입 슬롯을 포함한다;
b) 각각의 와이어의 안내를 위한 각각의 와이어 채널(32)을 구비한 연결 블록(3); 및
c) 제2 하우징 부재 종축을 따라서 형성되고 연결 블록(3)이 그에 연결되는 제2 하우징 부재(2). 이 경우, 제2 하우징 부재(2)와 연결 블록(3)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별도의 부재들로서 구성될 수도 있거나, 또는 제2 하우징 부재와 연결 블록이 일체형 부재로서 형성된다. 예컨대 제2 하우징 부재(2)와 연결 블록(3)은, 예컨대 클램핑 및/또는 래칭 및/또는 스냅 결합을 통해 서로 끼워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 블록(3)은, 제2 하우징 부재(2) 내의 상응하는 구멍들 내로 클립 고정될 수 있는 래칭 러그들(33)을 포함할 수 있다.
d) 제1 하우징 부재(1)와 제2 하우징 부재(2)는 공통 회전축을 갖는 공통 힌지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e) 이 경우, 힌지 연결부는, 제2 하우징 부재(2)가 제1 하우징 부재(1) 쪽을 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 위치에서 각각의 와이어는 연결 블록(3)의 각각의 와이어 채널(3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은 바람직하게는 제2 커넥터 하우징(2)과 연결되거나, 와이어들이 연결 블록(3) 내에서 올바른 위치에 유지되도록, 제1 커넥터 하우징(1)과 제2 커넥터 하우징(2) 사이에 파지된다. 제1 하우징 부재(1)와 관련한 제2 하우징 부재(2)의 제2 위치는, 각각의 와이어 채널(32) 내에서 안내되는 각각의 와이어를 포함한 연결 블록(3)이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 쪽으로 압착되기 시작하거나, 그와 접촉하기 시작할 때의 위치에서 시작된다.
f) 힌지 연결부는, 제2 위치로부터, 각각의 와이어 채널(32) 내에서 안내되는 각각의 와이어를 포함한 연결 블록(3)이 하나 이상의 절연 변위 단자 상으로 완전히 압착되는 제3 위치로, 제2 하우징 부재(2)를 제1 하우징 부재(1) 상으로 움직일 수 있거나 압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g) 본 발명에 따라서, 힌지 연결부는 그 밖에도, 제2 하우징 부재(2)가 제1 하우징 부재(1) 쪽을 향하는 커터 인입 방향(Z)으로 오직 병진 운동 방식으로만 변위될 수 있도록, 그리고 이때 각각의 와이어도 마찬가지로 오직 병진 운동 방식으로만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 내로 삽입되도록,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의 삽입 운동을 허용하도록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힌지 연결부는, 바람직하게 제1 하우징 부재(1)가 회전축 영역에서 각각 바깥쪽 측면으로 서로 대향하여 제1 리세스(11)를 포함하고, 이들 제1 리세스가 함께 자신들 사이에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형성된다. 제2 하우징 부재(2)는 회전축 영역에, 상기 제1 하우징 부재(1)를 회전축 영역에서 둘러싸는 2개의 레그와, 회전축을 따라서 서로를 향해 안쪽으로 연장되는 2개의 래칭 핀(21)을 포함한다. 이 경우, 래칭 핀들(21)은, 제1 하우징 부재(1)의 각각의 제1 리세스(11) 내로 각각 맞물리면서 회전축을 갖는 힌지 연결부의 일부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고 형성된다.
도 2에는, 도 1에서의 바람직한 힌지 연결부의 잘라낸 부분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제1 리세스들(11)이 보다 더 분명하게 확인되며, 도면의 우측에는 좌측 모습에 대해 90°만큼 회전된 모습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이 단면도에서는 제1 하우징 부재(1) 내의 제1 리세스(11)의 함몰부가 확인된다. 바람직하게 제1 리세스(11)의 지름은, 일반적으로 제2 하우징 부재(2)가 최대한 작은 유격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각각의 래칭 핀(21)에 맞추어 조정된다.
도 1에 따른 바람직한 플러그 타입 커넥터는, 일련의 플러그 접점들(42)이 배치된 전방 섹션(1a), 절연 변위 단자들(40)이 배치된 중간 섹션(1b), 그리고 장력 및 압착 완화부를 포함하는 후방 섹션을 갖는다. 예로서, 도 1에는 RJ45 플러그 타입 커넥터가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플러그 타입 커넥터는 중간 섹션(1b)에 절단 수단들(41)도 포함하고, 이들 절단 수단은 와이어 절단을 위한 외부의 예리한 에지부를 가지며,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의 뒤쪽으로 돌출하는 각각의 와이어의 섹션이 제3 위치로의 삽입 운동 중에 자동으로 절단되도록 배치된다.
도 3에는, 상부에, 제2 하우징 부재(2)가 완전히 외측으로 젖혀져 있는 제1 위치에서 바람직한 플러그 타입 커넥터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때 절연 변위 단자(40)는 제1 하우징 부재(1)로부터 인출되어 커터 인입 방향(Z)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가운데 도면부에는, 바람직한 플러그 타입 커넥터가 제2 위치에 도시되어 있고, 하부 도면부에는 제3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제1 하우징 부재(1)는 상부의 제1 외부면(14)을 가지며, 상기 제1 외부면은, 제1 하우징 부재(1)와 제2 하우징 부재(2)가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 쪽으로 압착되는 커터 인입 방향(Z)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직을 이룬다. 제2 하우징 부재(2)는 하부의 제2 외부면(24)을 가지며, 상기 제2 외부면은 커터 인입 방향(Z)에 대해 바람직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직을 이룬다.
도 4에는, 바람직하게는 제1 하우징 부재의 각각의 중간 섹션(1b)과 후방 섹션(1c)의 위쪽에 위치하는 대응하는 제2 중간 섹션(2b) 및 제2 후방 섹션(2c)을 포가진 바람직한 제2 하우징 부재(2)가 도시되어 있다. 장력 및 압착 완화 수단의 영역에서, 제1 하우징 부재(1) 및/또는 제2 하우징 부재(2)는 바람직하게 상응하는 장력 및 압착 완화부와 연결될 수 있는 제2 기계적 접촉 요소(15)를 포함한다. 제2 기계적 접촉 요소(15)와의 연결을 위해, 장력 및 압착 완화 수단은 바람직하게 도 5에는, 제1 및 제2 후방 섹션 상에 나사로 조여져 있는 엔드캡을 구비한 바람직한 플러그 타입 커넥터가 제3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은, 내부에 배치된 절연 변위 단자들(40)과; 상기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들(40) 옆에서,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의 삽입 운동 중에 연결 블록(3)에 의해 안내되면서 돌출하는 각 와이어의 각각의 섹션을 옆에서 절단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절단 수단들(41);을 포함하는, 도 1의 바람직한 제1 하우징 부재(1)를 밑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는, 도 1의 바람직한 제2 하우징 부재(2) 및 연결 블록(3)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연결 블록(3)은, 삽입 운동 중에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의 각각의 단부 섹션을 그 내에 수용하는 절연 변위 단자 리세스들(30)을 구비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바람직한 실시예는, 삽입 운동 동안 절단 수단들(41)을 수용하고, 절단 수단(41)의 예리한 에지부 쪽으로 양측에서 각각의 와이어를 압착하도록 형성된 절단 수단 리세스들(31)도 포함한다. 각각의 와이어 채널들(32)은 파선에서 식별되며, 각각의 와이어 채널의 제1 채널 섹션은 바람직하게 각각의 와이어가 통과하여 안내되는 보어로서 형성되고, 제2 채널 섹션은 그 내에서 와이어들이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는 중공부로서 형성되며, 각각의 와이어 채널의 제3 채널 섹션은, 절연 변위 단자(40) 및 바람직하게는 절단 수단(41)의 영역에서 와이어를 안내하는 방식으로 파지하기 위해, 측면 클램핑 가이드를 구비하여 실질적으로 상부 방향으로 절반이 개방된 보어를 포함한다. 도면 하부에서는, 연결 블록(3)을 포함한 제2 하우징 부재(2)가 도면의 상부에서와 같지만, 여기서는 와이어가 삽입된 상태를 볼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연결 블록(3)을 포함한 제2 하우징 부재(2)의 사시도이며, 여기서는, 연결 블록 내로 삽입되어 그에 의해 클램핑 파지되는, 바깥쪽으로 돌출된 와이어들 또는 케이블 와이어들을 포함한 케이블이 장착되어 있다.
도 9에는, 제1 위치에 있는, 도 1의 바람직한 플러그 타입 커넥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는 제1 하우징 부재(1)와 제2 하우징 부재(2)와 연결 블록(3)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연결 블록(3) 내에는, 바람직하게는 보어로서 형성된 각각의 제1 섹션을 구비한 와이어 채널들(32)이 도시되어 있다. 제1 하우징 부재(1)의 제1 후방 섹션(1c) 내부와 제2 하우징 부재(2)의 제2 후방 섹션(2c) 내부에 각각 장력 및 압착 완화부가 배치된 것을 볼 수 있다.
바람직하게 힌지 연결부는, 제1 하우징 부재(1)가 회전축 영역에서, 각각 바깥쪽 측면으로 서로 대향하여, 각각 회전축을 따라서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각각의 제1 리세스(11) 내로 맞물리는 래칭 핀(21)을 포함하고; 제2 하우징 부재(2)는 회전축 영역에, 제1 하우징 부재(1)를 회전축 영역에서 둘러싸고 서로 안쪽을 향하여 각각의 제1 리세스(11)를 구비하는 2개의 레그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바람직하게 힌지 연결부는, 제2 하우징 부재(2)가 회전축 영역에서, 각각 바깥쪽 측면으로 서로 대향하여, 회전축을 따라 형성되어 제1 하우징 부재(1)의 각각의 래칭 핀(21)을 수용하는 제1 리세스(11)를 포함하고; 제1 하우징 부재(1)는 회전축 영역에, 상기 제2 하우징 부재(2)를 회전축 영역에서 둘러싸고 각각의 래칭 핀(21)을 구비한 2개의 레그를 가지며, 상기 2개의 래칭 핀(21)이 서로를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 대안으로 바람직하게 힌지 연결부는, 제2 하우징 부재(2)가 회전축 영역에서, 각각 바깥쪽 측면으로 서로 대향하여, 각각 회전축을 따라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각각의 제1 리세스(11) 내로 맞물리는 래칭 핀(21)을 포함하고; 제1 하우징 부재(1)는 회전축 영역에, 상기 제2 하우징 부재(2)를 회전축 영역에서 둘러싸고 서로 안쪽을 향하여 각각의 제1 리세스(11)를 구비하는 2개의 레그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2개의 제1 리세스(11)를 갖는 제1 하우징 부재(1) 또는 제2 하우징 부재(2)는 2개의 제2 리세스(12)를 가지며, 이들 제2 리세스는 제1 리세스들(11)에 상대적으로, 두 래칭 핀(21)이 제3 위치에서 2개의 제2 리세스(12) 내에 수용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한 각각의 래칭 핀(21)은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즉, 각각의 제1 리세스(11)로부터 각각의 제2 리세스(12) 내로 이동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제1 리세스(11)와 제2 리세스(12) 사이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 하나의 채널이,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각각의 래칭 핀(21)을 안내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각각의 래칭 핀(21)은 커터 인입 방향(Z)으로 직선으로 안내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채널은 각각의 제1 리세스(11)와 제2 리세스(12) 사이에,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상대적 융기부(13)를 갖는데, 상기 상대적 융기부는, 리세스들 내부에서 각각의 래칭 핀(21)을 안내하기 위해, 제1 리세스(11) 및 제2 리세스(12)의 바깥쪽 레벨보다는 더 깊게 위치한다. 달리 말하면, 각각의 상대적 융기부(13)는 각각의 제1 리세스(11) 및 제2 리세스(12)보다는 덜 깊지만, 항시 래칭 핀(21)이 채널 밖으로 튀어나오지 않고 채널에 의해 안내되는 상태가 유지될 정도의 깊이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제1 리세스(11)는 최대 깊이 영역의 안쪽 레벨에서부터 상대적 융기부(13) 쪽으로 제2 사면부(13a)를 포함하며, 제2 사면부(13a)는 안쪽 레벨에서부터 1 ~ 60°의 램프 각도(ramp angle)를 갖는 램프부(ramp)로서 형성된다. 즉, 1°의 램프 각도는 거의 평평한 것을 의미할 수 있는 반면, 90°의 램프 각도는 수직 에지부를 의미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제2 리세스(12)는 최대 깊이 영역의 안쪽 레벨에서부터 상대적 융기부(13) 쪽을 향해 60°보다 작은 램프 각도를 갖는 제3 사면부(13b)를 포함한다. 이 경우, 램프 각도는 제2 리세스(12)의 안쪽 레벨에서부터의 기울기를 의미한다. 그 대안으로, 바람직하게 제2 리세스(12)는 안쪽 레벨에서부터 상대적 융기부(13) 쪽을 향해 60°보다 큰 램프 각도를 갖는 제3 사면부(13b)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2 리세스(12)는, 실질적으로 제1 리세스(11)의 맞은편에 놓인 외면 쪽을 향해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4 사면부(12a)를 포함하며, 이 제4 사면부는, 상기 제4 사면부(12a)와 각각의 래칭 핀(21) 사이에 소정의 간극 폭을 갖는 간극이 생기도록 형성되며, 이때 간극 폭은 0.3 ~ 1㎜의 범위이거나, 그보다 더 크다. 이 경우, 제4 사면부(12a)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제2 리세스(12)에서부터 다시 각각의 제1 리세스(11) 쪽으로 각각의 래칭 핀(21)을 밀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스크루드라이버가 삽입되어 각각 타측 하우징 부재가 들어올려질 수 있을 정도의 폭을 갖는 간극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제1 리세스들(11)을 구비한 제1 하우징 부재(1) 또는 제2 하우징 부재(2)는, 각각의 제1 리세스(11)의 외부 테두리에서부터 측면으로 바깥쪽을 향해 하강하는 제1 사면부(11a)를 가지며, 상기 제1 사면부(11a)는 각각의 제1 리세스(11)의 외부 테두리에서부터 각각의 제1 리세스(11)의 안쪽 레벨에 상응하는 레벨로 하강한다. 그렇게 하여, 제1 하우징 부재(1)와 제2 하우징 부재(2)를 서로 밀어 넣을 때, 각각의 래칭 핀(21)이 외부 테두리를 넘어 제1 리세스(11) 내에 스냅 고정될 때까지 장력(tension)의 증가 하에 외측에서부터 각각의 제1 리세스(11)의 방향으로 각각의 제1 사면부(11a)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힌지 연결부의 레그들이 측면 쪽으로 회전축을 향해 탄성적으로 형성되거나, 래칭 핀들(21)이 탄성 융기부를 가질 수 있고, 예컨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힌지 연결부는, 제2 하우징 부재(2)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 쪽을 향해 커터 인입 방향에 상응하는 접선 운동 방향을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 하우징 부재 및/또는 제2 하우징 부재(2) 및/또는 연결 블록(3)은 실질적으로, 금속, 플라스틱,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듀로플라스틱(duroplastic),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들 중 하나로, 또는 상기 재료들의 혼합물로, 또는 상기 재료들의 복합 재료로 구성되거나, 절연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 하우징 부재(1) 및/또는 제2 하우징 부재(2) 및/또는 연결 블록(3)은 사출 성형품이다.
바람직하게 연결 블록(3) 내의 가이드는, 제2 위치에서 각각의 와이어의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 섹션이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의 삽입 슬롯의 각각의 와이어 삽입 개구부 바로 위쪽에 위치하고, 그에 따라 이어서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 섹션이 커터 인입 방향(Z)으로 직접 삽입 슬롯 내로 안내되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 하우징 부재(1)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절연 변위 단자(40)에 대해,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를 위한 모든 커터 인입 방향(Z)과 수직을 이루는 하나의 공통 평면을 갖는다. 달리 말하면,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의 모든 커터 인입 방향(Z)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공통 평면은 제1 하우징 부재 종축(X)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제2 하우징 부재(2)의 제2 하우징 부재 종축은 제2 위치에서 제1 하우징 부재(1)의 제1 하우징 부재 종축(X)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하우징 부재(1)의 제1 외부면(14) 또는 제1 외부면(14)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이 커터 인입 방향(Z)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제2 하우징 부재(2)의 제2 외부면(24) 또는 제2 외부면(24)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이 제2 위치에서 커터 인입 방향(Z)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제1 하우징 부재(1)는 제1 하우징 부재 종축(X)을 따라서 전방 섹션(1a), 중간 섹션(1b) 및 후방 섹션(1c)을 가지며, 전방 섹션(1a)에는 각각의 플러그 접점(42)이 배치되고, 중간 섹션(1b)에는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가 배치되며, 후방 섹션(1c)에는 케이블을 클램핑하기 위한 장력 및 압착 완화 수단이 배치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명확히 하자면,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는 항상 절연 변위 단자들(40) 중 단 하나의 또는 복수의 절연 변위 단자를 의미한다는 점을 주지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와이어 삽입 개구부와, 각각의 와이어가 절연 변위 단자(40) 내로 삽입되어야 하는 각각의 기결정 와이어 삽입 평면을 가진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는, 각각의 와이어 삽입 평면이 제1 하우징 부재 종축(X)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고, 이때 각도는 30°보다 크도록, 제1 하우징 부재(1) 내에 배치된다. 그렇게 하여, 각각의 와이어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 상의 측면에서 인출되고, 플러그 타입 커넥터 상에서 각각의 초과 길이는 와이어를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를 통해 통과시킨 후에 측면에서 절단될 수 있다. 명확히 하자면, 와이어 삽입 평면은, 커터 인입 방향으로 와이어의 직선 클램핑 섹션을 삽입할 때 형성되는 평면이다.
바람직하게 연결 블록(3) 내 각각의 와이어 채널(32)은, 각각의 와이어의 유입을 위한 제1 채널 섹션, 각각의 와이어의 인출을 위한 각각의 제3 채널 섹션, 그리고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각각의 제2 채널 섹션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이 경우, 각각의 제1 채널 섹션은, 실질적으로 각각의 와이어가 인출되는 곳인 케이블 단부 섹션의 케이블 종축의 방향으로 각각의 와이어를 안내한다. 각각의 제2 채널 섹션은, 바람직하게 각각의 제1 채널 섹션의 제1 지름과 각각의 제2 채널 섹션의 제2 지름보다 더 큰 제2 지름 또는 내부 폭을 가진 중공부를 형성한다. 그렇게 하여, 각각의 와이어는 그 내부에서 자유롭게 구부러지고, 제1 채널 섹션으로부터 각각의 제3 채널 섹션 내로 넘어간다. 각각의 제3 채널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유입 개구부 위쪽에, 그리고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의 각각의 삽입 슬롯 위쪽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제3 채널 섹션은 실질적으로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의 각각의 와이어 삽입 평면 내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 제1 하우징 부재(1) 내에는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 외에도, 각각의 와이어의 초과 길이를 절단하기 위한 각각의 절단 수단(41)이, 절연 변위 단자(40) 뒤로 돌출하는 각각의 와이어의 각각의 초과 길이를 절단하기 위해, 각각의 와이어 삽입 평면이 절단되도록 배치되고 형성된다. 명확히 하자면, 초과 길이는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를 통과한 후에 각각의 와이어의 인출구 후방 영역에서 시작된다. 즉, 절연 변위 단자 바로 뒤에서 절단되지 않아도 되며, 초과 길이는 바람직하게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까지의 기결정 거리 이내에서 절단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절단 수단(41)은 제1 하우징 부재(1) 내에 고정 배치되고, 연결 블록(3)은 상응하는 각각의 절단 수단 리세스(31)를 포함하며, 이 절단 수단 리세스 내에는 각각의 절단 수단(41)이 제3 위치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바람직하게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는 각각의 플러그 접점(42)과,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각각의 접촉 코어를 통해, 또는 일체형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본원의 플러그 타입 커넥터는 하나 또는 복수의 접속 접점(42) 및 와이어를 포함하는 RJ45 플러그 타입 커넥터이다.
바람직하게 연결 블록(3)은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제2 하우징 부재(2) 내에 삽입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그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 블록(3)은 제2 하우징 부재(2)와 통합 연결되거나 그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 하우징 부재(1) 및/또는 제2 하우징 부재(2)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 내에서 케이블을 장력 및 압착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장력 및 압착 완화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제1 하우징 부재(1)와 제2 하우징 부재(2)는, 그들 사이에 케이블 채널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케이블 채널은 케이블 채널 종축을 따라서 케이블 가이드 방향을 결정하고, 케이블 채널 내에는 케이블의 장력 및 압착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장력 및 압착 완화 수단이 배치된다. 이 경우, 제1 하우징 부재(1)와 제2 하우징 부재(2)는, 바람직하게 제1 위치에 존재하는 미조립 상태에서 케이블 삽입을 위해 케이블 채널을 측면으로 개방하고, 바람직하게 제3 위치에 존재하는 조립 상태에서는 폐쇄하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장력 및 압착 완화 수단은, 중앙부(50)와 이로부터 각각 만곡된 제1 측면부(52) 및 제2 측면부(52b)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판 스프링 요소(5)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1 측면부(52)는 중앙부(50)에서부터 제1 만곡 에지부(51)(bending edge)를 통해, 그리고 제2 측면부(52b)는 중앙부(50)에서부터, 상기 중앙부(50) 상에서 제1 만곡 에지부(51)의 맞은편에 놓인 제2 만곡 에지부(51b)를 통해 탄성적으로 구부러진다.
이 경우, 중앙부(50)는 제1 만곡 에지부(51)와 제2 만곡 에지부(51b) 사이에서 중앙부 종축을 따라 연장되며, 제1 만곡 에지부(51)와 제2 만곡 에지부(51b)는 각각 중앙부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중앙부 종축은 실질적으로 케이블 채널 종축과의 공통 평면 내에 놓인다.
이 경우, 각각 중앙부(50) 쪽을 향해, 제1 측면부(52)는 제1 가변 예각을 취할 수 있고, 제2 측면부(52b)는 제2 가변 예각을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만곡 에지부(51)의 맞은편에 놓인, 제1 측면부(52)의 제1 단부 섹션(53)은 중앙부(50) 쪽을 향해 제1 가변 높이를 취할 수 있으며; 제2 만곡 에지부(51b)의 맞은편에 놓인, 제2 측면부(52b)의 제2 단부 섹션(53b)은 중앙부(50) 쪽을 향해 제2 가변 높이를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측면부(52)와 제2 측면부(52b)는, 커넥터 하우징의 조립 상태에서 케이블의 삽입 시, 각각의 제1 단부 섹션(53)과 제2 단부 섹션(53b)이 각각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블 쪽으로 압착되고, 그렇게 해서 케이블의 장력 및 압착 안정적인 고정을 구현할 정도의 폭으로 케이블 채널을 좁힌다. 이 경우, 장력 및 압착에 안정적인 고정은 바람직하게, 각각의 단부 섹션들(53, 53a)이 바람직하게 탄성 스프링 힘에 의해, 바람직하게 가요성인 케이블의 케이블 피복 내로 맞물리는 것을 통해 구현된다. 탄성 스프링 힘은 바람직하게는 탄성 판 스프링 요소(5)에서 기인하는데, 그 이유는 제1 측면부(52) 및 제2 측면부(52b)가, 그들 사이에 케이블이 클램핑될 때, 탄성적으로 구부러지기 때문이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판 스프링 요소(5)는, 케이블이 2개의 대향하는 판 스프링 요소(5) 사이에, 또는 각각의 판 스프링 요소(5)와 그에 대향하는 케이블 채널의 벽 섹션 사이에 클램핑되도록, 케이블 채널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는 판 스프링 요소(5)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단부 섹션(53)은 추가 만곡 에지부를 통해 제1 측면부(52)에서부터 구부러지며, 이완된 상태에서 케이블 채널 종축에 대해 0 ~ 30°의 각도를 갖는 제1 중심 수직선을 가진 제1 단부 섹션 면을 형성한다. 도 13에서, 제1 중심 수직선은 일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제2 단부 섹션(53b)은 제2 추가 만곡 에지부를 통해 제2 측면부(52b)에서부터 구부러지며, 이완된 상태에서 케이블 채널 종축에 대해 0 ~ 30°의 각도를 갖는 제2 중심 수직선을 가진 제2 단부 섹션 면을 형성한다. 도 13에서, 제2 중심 수직선은 일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추가 만곡 에지부 또는 제2 추가 만곡 에지부는 각각의 제1 만곡 에지부(51) 또는 제2 만곡 에지부(52b)에 대해 평행하다.
바람직하게 중앙부(50)는, 케이블 채널 내부에서, 홀-핀 결합(hole-pin connection), 접착 결합, 용접, 납땜, 나사 결합, 리벳 결합, 클램핑 결합, 리세스 내에서의 클램핑 결합, 가황 결합, 그루브-핀 결합(groove-pin connection)과 같은 결합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제1 하우징 부재(1) 및/또는 제2 하우징 부재(2)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 장력 및 압착 완화 수단은, 예컨대 홀, 핀, 거친 표면, 2개의 대향하는 에지부, 또는 보어일 수 있는 제1 기계적 접촉 요소(57)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 제1 하우징 부재(1) 및/또는 제2 하우징 부재(2)는 제1 기계적 접촉 요소(57)에 대응하는 제2 기계적 접촉 요소(15)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중앙부(50)는 제1 하우징 부재(1) 및/또는 제2 하우징 부재(2)와 통합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중앙부(50)는, 케이블 채널 종축에 대해 70°~ 90°범위의 각도를 형성하는 중심 수직선을 갖는다. 도 13에서, 중앙부(50)의 중심 수직선은 일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중앙부 종축은 케이블 채널 종축에 대해 평행하거나, 또는 그에 대해 0°~ 20°의 각도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중앙부(50)는 제1 만곡 에지부(51)와 제2 만곡 에지부(51b) 사이에서 평평하게, 그리고 실질적으로 중앙부 평면 내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제1 만곡 에지부(51)는,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플러그 접점(42)과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와이어가 인출되는 곳인 제1 케이블 단부의 방향으로 향하며, 제2 만곡 에지부(51b)는 대향하는 제2 케이블 단부의 방향으로 향하며, 이때 제2 케이블 단부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제1 만곡 에지부(51)와 제2 만곡 에지부(51b)는 각각 하나의 직선을 따라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제1 만곡 에지부(51)와 제2 만곡 에지부(51b)는 각각 탄성 만곡 에지부이다.
바람직하게, 이완된 상태에서 제1 가변 예각은 30 ~ 45°의 범위이거나, 또는 45°~ 60°의 범위이거나, 또는 60°~ 70°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 이완된 상태에서 제2 가변 예각은 30 ~ 45°의 범위이거나, 또는 45°~ 60°의 범위이거나, 또는 60°~ 70°의 범위이다.
바람직하게 제1 가변 높이는 실질적으로 제1 가변 각도에 의해 형성되고, 제2 가변 높이는 실질적으로 제2 가변 각도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판 스프링 요소(5)는 중앙부(50)와 제1 측면부(52) 및 제2 측면부(52b)를 따라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다.
도 10 및 도 11에는, 연결 섹션(54)을 통해 일체형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판 스프링 요소(5) 및 제2 판 스프링 요소(5)를 포함하는 바람직한 장력 및 압착 완화 수단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판 스프링 요소(5)의 제1 중앙부(50)는 측면에서 중앙부 종축에 대해 평행하게 제3 만곡 에지부(55)를 갖고, 상기 제3 만곡 에지부는 동시에 연결 섹션(54)으로의 연결부를 형성한다. 연결 섹션(54)은 중앙부 종축에 대해 평행한 연결 섹션 종축을 갖는다. 이 경우, 연결 섹션(54)은 제3 만곡 에지부(55)의 맞은편에 놓인 측면에 그에 대해 평행한 제4 만곡 에지부(56)를 갖고, 상기 제4 만곡 에지부는 동시에 제2 판 스프링 요소(5)의 제2 중앙부(50)로의 연결부를 형성한다. 이 경우, 제2 중앙부(50)의 제2 중앙부 종축은 연결 섹션 종축과 제1 중앙부 종축에 대해 평행하다. 따라서, 제1 및 제2 판 스프링 요소(5)는 각각의 중앙부(50)의 각각의 중심 수직선이 케이블 채널 종축으로 향하도록, 각각의 제3 만곡 에지부(55) 및 제4 만곡 에지부(56)를 통해 서로를 향해 구부러진다. 명확히 하자면, 중앙부(50)의 각각의 중심 수직선은 중앙부(50)의 각각의 기하학적 중심점에서 상기 중앙부의 각각의 면에 대해 수직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장력 및 압착 완화 수단은, 일체형으로 그리고 중간에 개재된 연결 섹션 없이 직접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판 스프링 요소(5)와 하나 이상의 추가 판 스프링 요소(5)를 포함한다. 제1 판 스프링 요소(5)의 제1 중앙부(50)는 측면에서 중앙부 종축에 대해 평행하게 제3 만곡 에지부(55)를 가지며, 상기 제3 만곡 에지부는 동시에 추가 판 스프링 요소(5)의 각각의 추가 중앙부(50)의 바로 다음 측면으로의 연결부를 형성한다. 이 경우, 모든 각각의 중심 수직선은 서로 평행하다. 제1 및 추가 판 스프링 요소(5)는, 각각의 중앙부(50)의 각각의 중심 수직선이 케이블 채널 종축으로 향하도록, 제3 만곡 에지부(55)를 통해 서로를 향해 구부러진다. 바람직하게는 이런 방식으로 복수의 판 스프링 요소(5)가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 제1 기계적 접촉 요소(57)는 중앙부들(50) 중 하나 내에, 또는 연결 섹션들(54) 중 하나 내에 배치된다.
명확히 하자면, "상부", "하부", "상부면", "하부면" 및 여타의 상대 공간 위치 서술과 같은 특징들은, 그리고 도면들에 도시된 것처럼, 다른 방향으로 기술되지 않는 한,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명확히 하자면, 절연 변위 단자(40) 내로의 와이어의 삽입과, 절연 변위 단자(40) 내로의 와이어의 압입은 동일한 의미이다.
명확히 하자면, 커터 인입 방향(Z)과, 와이어가 삽입되거나 압입되는 절연 변위 단자(40)의 삽입 슬롯의 종방향은 동일한 배향을 갖는다. 와이어 자체는 클램핑된 상태에서 바람직하게 커터 인입 방향(Z)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며, 이 경우 종래 기술을 통해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것과 같이 편차가 고려될 수 있다.
명확히 하자면, 플러그 접점은 바람직하게, 본원의 플러그 타입 커넥터에 대응하는 다른 플러그 타입 커넥터의 부합하는 다른 플러그 접점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자기계식 플러그 접점을 의미한다. 명확히 하자면, 각각의 플러그 접점은 조립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와 기계적으로도 그리고 전기적으로도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절연 변위 단자라는 용어는 절연 변위 접촉자와 동일한 의미이다. 명확히 하자면, 와이어는 하나 이상의 코어 및 하나의 외부 절연부를 포함한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형태들은 하기 청구범위에 기술되어 있다. 특히 앞서 기술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특징들도, 기술적으로 배제되지 않는 점에 한해,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청구범위에서 언급되는 도면부호들은 단지 더 나은 이해를 위해서만 이용될 뿐, 청구범위를 어떠한 방식으로도 도면들에 도시된 형태로 제한하지 않는다.
1: 제1 하우징 부재
1a: 전방 섹션
1b: 중간 섹션
1c: 후방 섹션
11: 제1 리세스
11a: 제1 사면부
11b: 외부 테두리
12: 제2 리세스
12a: 제4 사면부
13: 상대적 융기부
13a: 제2 사면부
13b: 제3 사면부
14: 제1 외부면
15: 제2 기계적 접촉 요소
2: 제2 하우징 부재(바람직하게는 회동 가능한 하우징 커버)
2b: 제2 중간 섹션
2c: 제2 후방 섹션
21: 래칭 핀
24: 제2 외부면
3: 연결 블록
30: 절연 변위 단자 리세스
31: 절단 수단 리세스
32: 와이어 채널
33: 래칭 러그
40: 절연 변위 단자
41: 절단 수단
42: 플러그 접점
5: 판 스프링 요소
51: 중앙부
52: 제1 측면부
52b: 제2 측면부
53: 제1 만곡 에지부
54: 연결 섹션
55: 제2 만곡 에지부
56: 제3 만곡 에지부
57: 제1 기계적 접촉 요소
X: 제1 하우징 부재 종축
Z: 커터 인입 방향

Claims (15)

  1. 각각의 플러그 접점(42)과,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한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 타입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 타입 커넥터는,
    a) 하나 이상의 플러그 접점(42) 및 상기 각각의 플러그 접점(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와이어를 위한 커터 인입 방향(Z)을 갖는 삽입 슬롯을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와이어를 그 내부에 클램핑하여 파지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절연 변위 단자(40)를 포함하고 제1 하우징 부재 종축(X)을 갖는 제1 하우징 부재(1);
    b) 각각의 와이어의 안내를 위한 각각의 와이어 채널(32)을 구비한 연결 블록(3); 및
    c) 상기 연결 블록(3)을 에워싸고 제2 하우징 부재 종축을 갖는 제2 하우징 부재(2);를 포함하며,
    d) 이때, 제1 하우징 부재(1)와 제2 하우징 부재(2)는 회전축을 갖는 공통 힌지 연결부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e) 힌지 연결부는, 제2 하우징 부재(2)가 제1 하우징 부재(1) 쪽을 향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제1 위치에서 각각의 와이어는 연결 블록(3)의 각각의 와이어 채널(32)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제2 위치에서는 제2 하우징 부재(2)가 곧바로 각각의 와이어 채널(32) 내에서 안내되는 각각의 와이어를 포함한 연결 블록(3)을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 쪽으로 압착하기 시작하며; 그리고
    f) 힌지 연결부는, 제2 위치로부터, 각각의 와이어 채널(32) 내에서 안내되는 각각의 와이어를 포함한 연결 블록(3)이 하나 이상의 절연 변위 단자 상으로 완전히 압착되는 제3 위치로, 제2 하우징 부재(2)가 제1 하우징 부재(1) 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되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에 있어서,
    g) 상기 힌지 연결부는 그 밖에도, 제2 하우징 부재(2)가 상기 제1 하우징 부재(1) 쪽을 향하는 커터 인입 방향(Z)으로 오직 병진 운동 방식으로만 변위될 수 있도록, 그리고 이때 각각의 와이어도 마찬가지로 오직 병진 운동 방식으로만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 내로 삽입되도록,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의 삽입 운동을 허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연결부는,
    제1 하우징 부재(1)가 회전축 영역에서 각각 바깥쪽 측면으로 서로 대향하여, 회전축을 따라 형성되어 제2 하우징 부재(2)의 각각의 래칭 핀(21)을 수용하는 제1 리세스(11)를 포함하고; 제2 하우징 부재(2)는 회전축 영역에, 상기 제1 하우징 부재(1)를 회전축 영역에서 둘러싸고 각각의 래칭 핀(21)을 구비한 2개의 레그를 가지며, 상기 2개의 래칭 핀(21)이 서로를 향해 연장되거나, 또는
    제1 하우징 부재(1)가 회전축 영역에서, 각각 바깥쪽 측면으로 서로 대향하여, 각각 회전축을 따라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각각의 제1 리세스(11) 내로 맞물리는 래칭 핀(21)을 포함하고; 제2 하우징 부재(2)는 회전축 영역에, 제1 하우징 부재(1)를 회전축 영역에서 둘러싸고 서로 안쪽을 향하여 각각의 제1 리세스(11)를 구비하는 2개의 레그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2 하우징 부재(2)가 회전축 영역에서 각각 바깥쪽 측면에서 서로 대향하여, 회전축을 따라 형성되어 제1 하우징 부재(1)의 각각의 래칭 핀(21)을 수용하는 제1 리세스(11)를 포함하고; 제1 하우징 부재(1)는 회전축 영역에, 상기 제2 하우징 부재(2)를 회전축 영역에서 둘러싸고 각각의 래칭 핀(21)을 구비한 2개의 레그를 가지며, 상기 2개의 래칭 핀(21)이 서로를 향해 연장되거나, 또는
    제2 하우징 부재(2)가 회전축 영역에서, 각각 바깥쪽 측면으로 서로 대향하여, 각각 회전축을 따라서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각각의 제1 리세스(11) 내로 맞물리는 래칭 핀(21)을 포함하고; 제1 하우징 부재(1)는 회전축 영역에, 상기 제2 하우징 부재(2)를 회전축 영역에서 둘러싸고 서로 안쪽을 향하여 각각의 제1 리세스(11)를 구비하는 2개의 레그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2개의 제1 리세스(11)를 갖는 제1 하우징 부재(1) 또는 제2 하우징 부재(2)가 2개의 제2 리세스(12)를 가지며, 상기 제2 리세스들은 제1 리세스들(11)에 상대적으로, 두 래칭 핀(21)이 제3 위치에서 상기 2개의 제2 리세스(12)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제1 리세스들(11)과 제2 리세스들(12) 사이에 각각 하나의 채널이, 커터 인입 방향(Z)으로 제2 위치로부터 제3 위치로 각각의 래칭 핀(21)을 직선으로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은 각각의 제1 리세스(11)와 제2 리세스(12) 사이에 상대적 융기부(13)를 가지며, 상기 상대적 융기부는, 리세스들 내부에서 각각의 래칭 핀(21)을 안내하기 위해, 제1 리세스(11) 및 제2 리세스(12)의 바깥쪽 레벨보다는 더 깊게 위치하고; 그리고/또는
    제1 리세스(11)는 안쪽 레벨에서부터 상대적 융기부(13) 쪽을 향해 60° 미만의 램프 각도를 갖는 제2 사면부(13a)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제2 리세스(12)는 안쪽 레벨에서부터 상대적 융기부(13) 쪽을 향해 60° 미만의 램프 각도를 갖는 제3 사면부(13b)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2 리세스(12)는 안쪽 레벨에서부터 상대적 융기부(13) 쪽을 향해 60°보다 큰 램프 각도를 갖는 제3 사면부(13b)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제2 리세스(12)는 실질적으로 제1 리세스(11)의 맞은편에 놓인 외면 쪽을 향해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제4 사면부(12a)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사면부는, 상기 제4 사면부(12a)와 각각의 래칭 핀(21) 사이에 소정의 간극 폭을 갖는 간극이 형성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간극 폭은 0.3 ~ 1㎜의 범위이거나 그보다 더 큰, 플러그 타입 커넥터.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리세스들(11)을 구비한 제1 하우징 부재(1) 또는 제2 하우징 부재(2)는, 각각의 제1 리세스(11)의 외부 테두리에서부터 측면으로 바깥쪽을 향해 하강하는 제1 사면부(11a)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사면부(11a)가 각각의 제1 리세스(11)의 외부 테두리에서부터 각각의 제1 리세스(11)의 안쪽 레벨에 상응하는 레벨로 하강함에 따라, 제1 하우징 부재(1)와 제2 하우징 부재(2)를 서로 밀어 넣을 때, 래칭 핀(21)이 외부 테두리를 넘어 제1 리세스들(11) 내에 스냅 고정될 때까지 장력의 증가 하에 외측에서부터 제1 사면부(11a)를 따라 이동하고; 그리고/또는
    상기 힌지 연결부는, 제2 하우징 부재(2)가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 쪽을 향해 커터 인입 방향에 상응하는 접선 운동 방향을 갖도록 형성되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부재(1) 및/또는 제2 하우징 부재(2) 및/또는 연결 블록(3)이 실질적으로, 금속, 플라스틱,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듀로플라스틱(duroplastic), 열가소성 플라스틱과 같은 재료들 중 하나로, 또는 상기 재료들의 혼합물로, 또는 상기 재료들의 복합 재료로 구성되거나, 절연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리고/또는
    제1 하우징 부재(1) 및/또는 제2 하우징 부재(2)는 힌지 연결부의 영역에서 탄성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연결 블록(3) 내의 가이드는, 제2 위치에서 각각의 와이어의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 섹션이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의 각각의 와이어 삽입 개구 바로 위쪽에 위치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커터 인입 방향(Z)으로 바로 와이어 삽입 개구부 내로 안내되도록, 형성되며; 그리고/또는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를 위한 커터 인입 방향(Z)과 수직으로 서 있는 하나의 공통 평면이 제1 하우징 부재 종축(X)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제2 하우징 부재(2)의 제2 하우징 부재 종축은 제2 위치에서 제1 하우징 부재(1)의 제1 하우징 부재 종축(X)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제1 하우징 부재(1)의 제1 외부면(14)은 커터 인입 방향(Z)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제2 하우징 부재(2)의 제2 외부면(24)은 제2 위치에서 커터 인입 방향(Z)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제1 하우징 부재(1)는 제1 하우징 부재 종축(X)을 따라서 전방 섹션(1a), 중간 섹션(1b) 및 후방 섹션(1c)을 포함하며, 상기 전방 섹션(1a)에는 각각의 플러그 접점(42)이 배치되고, 상기 중간 섹션(1b)에는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가 배치되며, 후방 섹션(1c)에는 케이블을 클램핑하기 위한, 더 정확하게는 케이블이 장력 및 압착에 대항하여 단단히 파지되게 하는 장력 및 압착 완화 수단이 배치되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와이어 삽입 개구부와; 각각의 와이어가 절연 변위 단자(40) 내로 삽입되어야 하는 각각의 기결정 와이어 삽입 평면;을 가진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는, 각각의 와이어 삽입 평면이 제1 하우징 부재 종축(X)에 대해 30°보다 큰 각도를 형성하도록, 제1 하우징 부재(1) 내에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각각의 와이어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 상의 측면에서 인출되고, 플러그 타입 커넥터 상에서 초과 길이는 상기 와이어를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를 통해 통과시킨 후에 측면에서 절단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연결 블록(3) 내의 각각의 와이어 채널(32)은, 각각의 와이어의 유입을 위한 제1 채널 섹션, 각각의 와이어의 인출을 위한 각각의 제3 채널 섹션, 그리고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각각의 제2 채널 섹션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채널 섹션이, 실질적으로 각각의 와이어가 인출되는 곳인 케이블 단부 섹션의 케이블 종축의 방향으로 각각의 와이어를 안내하도록, 그리고/또는 제2 채널 섹션이, 각각의 제1 채널 섹션의 제1 지름과 각각의 제2 채널 섹션의 제2 지름보다 더 큰 제2 지름을 가진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각각의 와이어는 그 내부에서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고, 이때 제3 채널 섹션은 유입 개구부 위쪽에, 그리고 실질적으로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의 와이어 삽입 평면 내에 위치하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부재(1)에서는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 외에도, 각각의 와이어의 초과 길이를 절단하기 위한 각각의 절단 수단(41)이, 상기 절연 변위 단자(40) 뒤로 돌출하는 각각의 와이어의 각각의 초과 길이를 부분적으로 절단하도록,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 옆에 그리고 관련 와이어 삽입 평면 내에 배치되고 형성되며; 그리고/또는
    상기 각각의 절단 수단(41)은 제1 하우징 부재(1) 내에 고정 배치되고, 연결 블록(3)은 상응하는 각각의 절단 수단 리세스(31)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 수단 리세스는 제3 위치에서 각각의 절단 수단(41)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고; 그리고/또는
    각각의 절연 변위 단자(40)는, 인쇄회로기판을 통해, 각각의 접촉 와이어를 통해 또는 일체로, 각각의 플러그 접점(4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상기 플러그 타입 커넥터는 RJ45 플러그 타입 커넥터이고; 그리고/또는
    제1 하우징 부재(1) 및/또는 제2 하우징 부재(2)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 내에서 케이블을 장력 및 압착에 대항하여 파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장력 및 압착 완화 수단을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연결 블록(3)이 별도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제2 하우징 부재(2) 내에 삽입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그와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연결 블록(3)이 제2 하우징 부재(2)와 통합 연결되거나 그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부재(1)와 제2 하우징 부재(2)는 그들 사이에 케이블 채널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채널은 케이블 채널 종축을 따라서 케이블 가이드 방향을 결정하고 상기 케이블을 장력 및 압착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력 및 압착 완화 수단을 포함하며, 이때 제1 하우징 부재(1)와 제2 하우징 부재(2)가 미조립 상태에서는 케이블 삽입을 위해 케이블 채널을 측면으로 개방하고, 조립 상태에서는 폐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장력 및 압착 완화 수단은,
    a) 중앙부(50)와 이로부터 각각 만곡된 제1 측면부(52) 및 제2 측면부(52b)를 구비한 하나 이상의 판 스프링 요소(5)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면부(52)는 중앙부(50)에서부터 제1 만곡 에지부(51)를 통해, 그리고 상기 제2 측면부(52b)는 중앙부(50)에서부터, 중앙부(50) 상에서 제1 만곡 에지부(51)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2 만곡 에지부(51b)를 통해 탄성적으로 구부러지며;
    b) 상기 중앙부(50)는 제1 만곡 에지부(51)와 제2 만곡 에지부(51b) 사이에서 중앙부 종축을 따라서 연장되며, 상기 제1 만곡 에지부(51)와 상기 제2 만곡 에지부(51b)는 각각 중앙부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중앙부 종축은 실질적으로 케이블 채널 종축과의 공통 평면 내에 놓이며;
    c) 각각 중앙부(50) 쪽을 향해, 제1 측면부(52)는 제1 가변 예각을 취할 수 있고, 제2 측면부(52b)는 제2 가변 예각을 취할 수 있으며, 제1 만곡 에지부(51)의 맞은편에 놓인, 제1 측면부(52)의 제1 단부 섹션(53)은 중앙부(50) 쪽을 향해 제1 가변 높이를 취할 수 있고, 제2 만곡 에지부(51b)의 맞은편에 놓인, 제2 측면부(52b)의 제2 단부 섹션(53b)은 중앙부(50) 쪽을 향해 제2 가변 높이를 취할 수 있으며;
    d) 제1 측면부(52)와 제2 측면부(52b)는, 커넥터 하우징의 조립 상태에서 케이블의 삽입 시, 각각의 제1 단부 섹션(53)과 제2 단부 섹션(53b)이 각각의 탄성력에 의해 케이블 쪽으로 압착되고, 그렇게 해서 케이블의 장력 및 압착 안정적인 고정을 구현할 정도로 케이블 채널을 좁히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단부 섹션(53)은 추가 만곡 에지부를 통해 제1 측면부(52)에서부터 구부러지며, 이완된 상태에서 케이블 채널 종축에 대해 0 ~ 30°의 각도를 형성하는 제1 중심 수직선을 가진 제1 단부 섹션 면을 형성하고; 그리고/또는
    제2 단부 섹션(53b)은 제2 추가 만곡 에지부를 통해 제2 측면부(52b)에서부터 구부러지며, 이완된 상태에서 케이블 채널 종축에 대해 0 ~ 30°의 각도를 형성하는 제2 중심 수직선을 가진 제2 단부 섹션 면을 형성하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만곡 에지부 또는 상기 제2 추가 만곡 에지부는 각각의 제1 만곡 에지부(51) 또는 제2 만곡 에지부(52b)에 대해 평행한, 플러그 타입 커넥터.
  13. 제10항에 있어서, 중앙부(50)는, 케이블 채널 내부에서, 홀-핀 결합, 접착 결합, 용접, 납땜, 나사 결합, 리벳 결합, 클램핑 결합, 리세스 내에서의 클램핑 결합, 가황 결합, 그루브-핀 결합과 같은 결합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제1 하우징 부재(1) 및/또는 제2 하우징 부재(2)와 연결되고; 그리고/또는
    중앙부(50)가 제1 하우징 부재(1) 및/또는 제2 하우징 부재(2)와 통합 연결되고; 그리고/또는
    중앙부(50)가, 케이블 채널 종축에 대해 70°~ 90°의 범위 내 각도를 형성하는 중심 수직선을 가지며; 그리고/또는
    상기 중앙부 종축이 케이블 채널 종축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거나, 그에 대해 0° ~ 20°의 각도를 가지며; 그리고/또는
    중앙부(50)가 제1 만곡 에지부(51)와 제2 만곡 에지부(51b)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중앙부 평면 내에서 평탄하게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제1 만곡 에지부(51)는, 커넥터 하우징 내에서 플러그 접점(42)과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와이어가 인출되는 곳인 제1 케이블 단부의 방향으로 향하고, 제2 만곡 에지부(51b)는,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장력 및 압착 안정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케이블로서 인출되는 제2 케이블 단부의 방향을 향하며; 그리고/또는
    제1 만곡 에지부(51)와 제2 만곡 에지부(51b)는 각각 하나의 직선을 따라서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제1 만곡 에지부(51)와 제2 만곡 에지부(51b)는 각각 탄성 만곡 에지부이고; 그리고/또는
    이완된 상태에서 제1 가변 예각은 30 ~ 45°의 범위이거나, 또는 45° ~ 60°의 범위이거나, 또는 60° ~ 70°의 범위이고; 그리고/또는
    이완된 상태에서 제2 가변 예각은 30 ~ 45°의 범위이거나, 또는 45° ~ 60°의 범위이거나, 또는 60° ~ 70°의 범위이고; 그리고/또는
    제1 가변 높이는 실질적으로 제1 가변 각도에 의해 형성되고, 제2 가변 높이는 실질적으로 제2 가변 각도에 의해 형성되며; 그리고/또는
    판 스프링 요소(5)는 중앙부(50)와 제1 측면부(52) 및 제2 측면부(52b)를 따라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폭을 갖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장력 및 압착 완화 수단은 연결 섹션(54)을 통해 일체형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판 스프링 요소(5) 및 제2 판 스프링 요소(5)를 포함하며,
    제1 판 스프링 요소(5)의 제1 중앙부(50)는 측면에서 중앙부 종축에 대해 평행하게 제3 만곡 에지부(55)를 갖고, 상기 제3 만곡 에지부는 동시에 그에 평행한 연결 섹션 종축을 갖는 연결 섹션(54)으로의 연결부를 형성하며,
    상기 연결 섹션(54)은 제3 만곡 에지부(55)의 맞은편에 놓인 측면에 그에 대해 평행한 제4 만곡 에지부(56)를 갖고, 상기 제4 만곡 에지부는 동시에 제2 판 스프링 요소(5)의 제2 중앙부(50)로의 연결부를 형성하며,
    그럼으로써 각각의 중앙부 종축들과 연결 섹션 종축이 서로 평행하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판 스프링 요소(5)는 각각의 중앙부(50)의 각각의 중심 수직선이 케이블 채널 종축으로 향하도록, 각각의 제3 만곡 에지부(55) 및 제4 만곡 에지부(56)를 통해 서로를 향해 구부러지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장력 및 압착 완화 수단은 적어도, 일체형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1 판 스프링 요소(5) 및 하나 이상의 추가 판 스프링 요소(5)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판 스프링 요소(5)의 제1 중앙부(50)는 측면에서 중앙부 종축에 대해 평행하게 제3 만곡 에지부(55)를 가지며, 상기 제3 만곡 에지부는 동시에 상기 추가 판 스프링 요소(5)의 각각의 추가 중앙부(50)의 바로 다음 측면으로의 연결부를 형성하고, 모든 각각의 중심 수직선은 서로 평행하며,
    상기 제1 및 추가 판 스프링 요소(5)는, 상기 각각의 중앙부(50)의 각각의 중심 수직선이 케이블 채널 종축으로 향하도록, 상기 제3 만곡 에지부(55)를 통해 서로를 향해 구부러지는, 플러그 타입 커넥터.
KR1020197036790A 2017-05-15 2018-05-14 절연 변위 접점을 포함한 플러그 타입 커넥터 KR1022483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10544.1 2017-05-15
DE102017110544.1A DE102017110544B3 (de) 2017-05-15 2017-05-15 Steckverbinder mit Schneidklemmkontakt
PCT/EP2018/062322 WO2018210716A1 (de) 2017-05-15 2018-05-14 Steckverbinder mit schneidklemmkontak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413A KR20200004413A (ko) 2020-01-13
KR102248383B1 true KR102248383B1 (ko) 2021-05-06

Family

ID=62222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790A KR102248383B1 (ko) 2017-05-15 2018-05-14 절연 변위 접점을 포함한 플러그 타입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011859B1 (ko)
EP (1) EP3625858B1 (ko)
KR (1) KR102248383B1 (ko)
CN (1) CN110622369B (ko)
DE (1) DE102017110544B3 (ko)
WO (1) WO20182107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2169S1 (en) * 2019-03-29 2022-08-30 Jyh Eng Technology Co., Ltd. Network cable plug
DE102019131596B3 (de) * 2019-11-22 2021-01-28 Telegärtner Karl Gärtner GmbH Steckverbinder
DE102020110495A1 (de) 2020-04-17 2021-10-21 Metz Connect Tech Gmbh Stecker für Datenkabel
KR102503426B1 (ko) 2021-09-14 2023-02-23 허인철 Sns 기반의 상품 주문 제작 서버
DE102021004953B3 (de) 2021-09-29 2022-11-10 Telegärtner Karl Gärtner GmbH Steckverbinder und Gegensteckverbinder
WO2024040011A1 (en) * 2022-08-15 2024-02-2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Devices, assemblies, and methods for delivering powdered agents
CN117374635B (zh) * 2023-12-08 2024-03-26 东莞市康顺连接科技有限公司 一种防水连接器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7861A (ja) 2009-05-28 2010-12-09 Hirose Electric Co Ltd モジュラープラグ
WO2013111083A1 (de) 2012-01-25 2013-08-01 Zellner Gmbh Mehradriges kabel mit anschlusskomponente
US20140273605A1 (en) 2013-03-12 2014-09-18 Telebox Industries Corp. Connector
JP2016522549A (ja) 2013-05-21 2016-07-28 ティーイー コネクティビティ ジャーマニ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クTE Connectivity Germany GmbH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7181B2 (ja) * 1998-06-15 2008-03-26 スリーエム カンパニー 圧接結線用コネクタとその圧接方法
DE50210105D1 (de) * 2001-07-30 2007-06-21 Harting Electronics Gmbh & Co Elektrischer Steckverbinder
GB0625061D0 (en) 2006-12-15 2007-01-24 Tyco Electronics Amp Es Sa A connector for use in terminating communications cables
DE102007008465B4 (de) * 2007-02-19 2008-10-16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s Steckermodul insbesondere für eine RJ 45-Steckverbindung
DE102008057554B3 (de) * 2008-11-15 2010-04-22 Tyco Electronics Amp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mit Litzenführung
DE102010014295A1 (de) * 2010-04-08 2011-10-13 Phoenix Contact Gmbh & Co. Kg Steckverbinder zur Aufnahme eines mehradrigen Kabels
US8702444B2 (en) * 2010-10-18 2014-04-22 Panduit Corp. Communication plug with improved cable manager
US9130283B1 (en) * 2014-02-18 2015-09-08 Jyh Eng Technology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multi-direction cable installation capability
DE202014010869U1 (de) * 2014-07-17 2016-12-14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s Steckverbinderteil
DE102016004429B4 (de) 2016-04-12 2019-03-28 Dätwyler Cabling Solutions Ag Steckbuchsenmodul für Datenübertragungskabel und Montageverfahren zum Verbinden des Steckbuchsenmoduls mit dem Datenübertragungskabel
TWM536801U (zh) * 2016-10-21 2017-02-11 Jyh Eng Technology Co Ltd 網路插頭結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7861A (ja) 2009-05-28 2010-12-09 Hirose Electric Co Ltd モジュラープラグ
WO2013111083A1 (de) 2012-01-25 2013-08-01 Zellner Gmbh Mehradriges kabel mit anschlusskomponente
US20140273605A1 (en) 2013-03-12 2014-09-18 Telebox Industries Corp. Connector
JP2016522549A (ja) 2013-05-21 2016-07-28 ティーイー コネクティビティ ジャーマニ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クTE Connectivity Germany GmbH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22369B (zh) 2021-02-26
EP3625858A1 (de) 2020-03-25
EP3625858B1 (de) 2021-04-28
CN110622369A (zh) 2019-12-27
US11011859B1 (en) 2021-05-18
US20210151908A1 (en) 2021-05-20
DE102017110544B3 (de) 2018-07-19
KR20200004413A (ko) 2020-01-13
WO2018210716A1 (de)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383B1 (ko) 절연 변위 접점을 포함한 플러그 타입 커넥터
EP1914844B1 (en) Steckverbinder mit einer verbesserten Kabelzugentlastung
US8834196B2 (en) Shielded modular jack assembly
US5425657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terminating a multi-conductor cable
JP5053338B2 (ja) 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WO2014187862A1 (en) Electrical connector
US6604956B2 (en) Self-stripping connecting device for two electric cables
US9362656B2 (en) Insertion-type connector having an insulating part
US5807133A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US8944836B2 (en) Wire line connector
US6626696B2 (en) Electric wire holding structure for connection box
US6840822B1 (en) Cable connector
US7347717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system
KR101643218B1 (ko) 커넥터용 터미널 및 이를 갖는 커넥터
WO2012004170A1 (en) An arrangement, in particular a plug and a method for production
US7413465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system
EP3654453B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and insulation displacement contact assembly for high performance electrical connections
KR20060060622A (ko) 전기 커넥터
CN111602300B (zh) 用于整体应变消除的具有绝缘移位连接接触件的导线对导线连接件
JP7353921B2 (ja) 接続構造体、ハウジング付接続構造体、及び、端子
JP7126936B2 (ja) 金属端子、及び、端子付き電線
US20040248456A1 (en) End-processing structure of flat cable and method of end-processing of flat cable
KR20060065666A (ko) 와이어 단자 요소
EP3648259A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atches an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projections provided on hinged cover
EP3739688A1 (en) Electric wire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