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753B1 - 지붕막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지붕막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753B1
KR102247753B1 KR1020200116017A KR20200116017A KR102247753B1 KR 102247753 B1 KR102247753 B1 KR 102247753B1 KR 1020200116017 A KR1020200116017 A KR 1020200116017A KR 20200116017 A KR20200116017 A KR 20200116017A KR 102247753 B1 KR102247753 B1 KR 102247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fixing
roof
waterproof
buffe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6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우
Original Assignee
(주)타이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타이가 filed Critical (주)타이가
Priority to KR1020200116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7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7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4Suspended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막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나란하게 복수 개가 배치되는 철골빔, 동일한 철골빔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 1막재, 동일한 철골빔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 2막재, 제 1막재와 제 2막재의 인접한 가장자리끼리를 덮어 제 1막재와 제 2막재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막, 방수막의 내측에서 제 1막재와 제 2막재가 철골빔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연결고정부, 및 방수막의 외측에서 연결고정부에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철골빔의 처짐에 대한 보강을 위해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철골빔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이웃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막재를 덮어 방수하는 방수막으로 이루어진 지붕에 있어, 지붕의 강성을 증대하기 위해 설치되는 케이블을 방수막의 하측에 배치되는 철골빔에 견고하게 연결 고정함에 따라, 막재와 방수막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지붕의 강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붕막의 연결장치{JOINT MODULE OF MEMBRANE}
본 발명은 지붕막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철골빔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이웃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막재를 덮어 방수하는 방수막으로 이루어진 지붕에 있어, 지붕의 강성을 증대하기 위해 설치되는 케이블을 방수막의 하측에 배치되는 철골빔에 견고하게 연결 고정함에 따라, 막재와 방수막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지붕의 강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는 지붕막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구장을 비롯한 운동경기장이나 일반적인 건축물의 지붕과 에어돔의 지붕으로 막 형상의 막재를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막재를 사용하는 막구조물은 골조 막구조물, 공기 막구조물 그리고 텐션 막구조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막재로 이루어진 지붕구조는 수시로 방향이 변하는 바람의 힘을 잘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지반이 약하고, 바람이 센 지방에서 합리적인 인장구조로 선택된다.
이와 같은 지붕막은 바람 등에 의하여 막재가 날아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막재와는 별도로 케이블을 설치하여 막재의 구조 강성을 보강하게 된다.
관련 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74043호(2012.08.08: 등록)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방수 처리한 채 막재와 막재를 상호 연결시켜주는 작업과, 막재와 케이블을 연결시켜주는 작업이 어렵고, 작업 공정과 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철골빔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이웃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막재를 덮어 방수하는 방수막으로 이루어진 지붕막에 있어, 지붕의 강성을 증대하기 위해 설치되는 케이블을 방수막의 하측에 배치되는 철골빔에 견고하게 연결 고정함에 따라, 막재와 방수막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지붕의 강성을 더욱 확보하고자 하는 지붕막의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붕막의 연결장치는: 나란하게 복수 개가 배치되는 철골빔; 동일한 상기 철골빔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 1막재; 동일한 상기 철골빔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 2막재; 상기 제 1막재와 상기 제 2막재의 인접한 가장자리끼리를 덮어, 상기 제 1막재와 상기 제 2막재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막; 상기 방수막의 내측에서 상기 제 1막재와 상기 제 2막재가 상기 철골빔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연결고정부; 및 상기 방수막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고정부에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조인트부를 포함한다.
상기 철골빔은 축 방향을 따라 상측에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고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면접되게 배치되고, 완충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제 1막재와 상기 제 2막재의 가장자리가 접하여 지지되는 하부완충패드; 대응되는 상기 제 1막재와 상기 제 2막재가 놓인 상기 하부완충패드 각각의 상측에 구비되고, 완충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상부완충패드; 상기 상부완충패드 각각의 상측면에 면접되게 구비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 적층된 상기 베이스부재, 상기 하부완충패드, 상기 상부완충패드, 상기 고정브라켓을 결속하는 결속부재; 및 상기 제 1막재와 상기 제 2막재가 각각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고정브라켓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1막재와 상기 제 2막재의 가장자리에 감싸여지는 엣지로프를 포함한다.
상기 조인트부는, 상기 방수막에 면접되거나 대향하게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조인트패널; 상기 조인트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걸고리; 및 상기 방수막에 삽입되어, 대응되는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조인트패널을 상호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속부재를 연장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결속부재와 별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방수막과 설정 거리 유격을 위해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인트패널은 동일한 상기 베이스부재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에 걸쳐지는 평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붕막의 연결장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철골빔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이웃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막재를 덮어 방수하는 방수막으로 이루어진 지붕에 있어, 지붕의 강성을 증대하기 위해 설치되는 케이블을 방수막의 하측에 배치되는 철골빔에 견고하게 연결 고정함에 따라, 막재와 방수막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지붕의 강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의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의 연결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의 연결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의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의 연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의 연결장치의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의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붕막의 연결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의 연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의 연결장치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의 연결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의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의 연결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의 연결장치의 요부 확대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10)의 연결장치는 철골빔(20), 막재(32,34), 방수막(40), 연결고정부(100) 및 조인트부(200)를 포함한다.
철골빔(20)은 에어돔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막재(32,34), 방수막(40), 연결고정부(100) 및 조인트부(200)를 연결 지지한다.
특히, 철골빔(20)은 금속 등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메인빔(22), 리브(24) 및 베이스부재(26)를 포함한다.
메인빔(22)은 지붕막(10)의 궤적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각각이 원형 또는 다각형의 기둥이나 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편의상, 메인빔(22)은 원형관 형상인 것으로 한다.
리브(24)는 메인빔(22) 각각에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유격되게 배치된 채 상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물론, 리브(2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베이스부재(26)는 메인빔(22) 각각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리브(24)에 고정되어 메인빔(22)과 유격된다. 베이스부재(26)는 적어도 상면이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막재(32,34)는 철골빔(20) 사이를 덮는 지붕막(10) 역할을 한다.
이때, 막재는 동일한 메인빔(22)의 축 방향에 대해 가장자리가 베이스부재(26)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 1막재(32), 및 동일한 메인빔(22)의 축 방향에 대해 가장자리가 베이스부재(26)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 2막재(34)로 구성된다.
그래서, 지붕막(10)은 메인빔(22)을 기준으로 제 1막재(32)와 제 2막재(34)로 나뉘어진다.
편의상, 하나의 메인빔(22)과 하나씩의 제 1막재(32)와 제 2막재(34)만이 도시된다.
방수막(40)은 하나의 메인빔(22)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 배치되는 제 1막재(32)의 가장자리와, 타측에 배치되는 제 2막재(34)의 가장자리를 덮음으로써, 제 1막재(32)와 제 2막재(34) 사이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방수막(40)은 양측 가장자리가 대응되는 제 1막재(32) 및 제 2막재(34)와 레이저 융착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고정 연결된다.
또한, 연결고정부(100)는 방수막(40)의 내측(하측)에서, 제 1막재(32)와 제 2막재(34)가 철골빔(20)의 메인빔(22)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제 1막재(32)와 제 2막재(34)는 연결고정부(100)에 의해 장력이 작용함에 따라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지붕막(10)을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연결고정부(100)는 제 1하부완충패드(112), 제 2하부완충패드(114), 제 1상부완충패드(122), 제 2상부완충패드(124), 제 1고정브라켓(132), 제 2고정브라켓(134), 제 1결속부재(142), 제 2결속부재(144), 제 1엣지로프(152) 및 제 2엣지로프(154)를 포함한다.
제 1하부완충패드(112)는 메인빔(22) 각각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 또는 비연속되게 놓여지고, 고무 등 완충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1막재(32)는 가장자리가 제 1하부완충패드(112)의 상측면에 접하게 된다. 제 1하부완충패드(11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제 2하부완충패드(114)는 메인빔(22) 각각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 또는 비연속되게 놓여지고, 고무 등 완충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2막재(34)는 가장자리가 제 2하부완충패드(114)의 상측면에 접하게 된다. 제 2하부완충패드(11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1상부완충패드(122)는 메인빔(22)의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 또는 비연속되게 배치되고, 제 1막재(32)가 놓여진 제 1하부완충패드(112)의 상측에 포개지게 구비된다. 제 1상부완충패드(122)는 고무 등 완충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제 2상부완충패드(124)는 메인빔(22)의 타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속 또는 비연속되게 배치되고, 제 2막재(34)가 놓여진 제 2하부완충패드(114)의 상측에 포개지게 구비된다. 제 2상부완충패드(124)는 고무 등 완충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제 1막재(32)가 제 1하부완충패드(112)와 제 1상부완충패드(122)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찢어짐이 방지되는 등 파손이나 변형으로부터 보호된다. 아울러, 제 2막재(34)가 제 2하부완충패드(114)와 제 2상부완충패드(124)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찢어짐이 방지되는 등 파손이나 변형으로부터 보호된다.
제 1고정브라켓(132)은 제 1상부완충패드(122)의 상측면에 면접되게 적층된다. 이때, 제 1고정브라켓(132)은 메인빔(22)의 축 방향을 따라 연속 또는 비연속되게 배치되고, 금속 등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제 1고정브라켓(132)은 평판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제 2고정브라켓(134)은 제 2상부완충패드(124)의 상측면에 면접되게 적층된다. 이때, 제 2고정브라켓(134)은 메인빔(22)의 축 방향을 따라 연속 또는 비연속되게 배치되고, 금속 등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제 2고정브라켓(134)은 평판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제 1결속부재(142)는 적층된 베이스부재(26), 제 1하부완충패드(112), 제 1막재(32), 제 1상부완충패드(122) 및 제 1고정브라켓(132)을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제 1결속부재(142)는 베이스부재(26)의 하측에서 베이스부재(26), 제 1하부완충패드(112), 제 1막재(32), 제 1상부완충패드(122) 및 제 1고정브라켓(132)에 순서대로 삽입되며 상호 결속한다. 이때, 메인빔(22)과 베이스부재(26)가 유격됨에 따라, 제 1결속부재(142)는 베이스부재(26)의 하측으로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다.
아울러, 제 2결속부재(144)는 적층된 베이스부재(26), 제 2하부완충패드(114), 제 2막재(34), 제 2상부완충패드(124) 및 제 2고정브라켓(134)을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제 2결속부재(144)는 베이스부재(26)의 하측에서 베이스부재(26), 제 2하부완충패드(114), 제 2막재(34), 제 2상부완충패드(124) 및 제 2고정브라켓(134)에 순서대로 삽입되며 상호 결속한다. 이때, 메인빔(22)과 베이스부재(26)가 유격됨에 따라, 제 2결속부재(144)는 베이스부재(26)의 하측으로 삽입되는 것이 용이하다.
제 1엣지로프(152)는 제 2막재(34) 측으로 노출되는 제 1막재(32)의 가장자리에 감싸여진다. 그래서, 제 1엣지로프(152)는 제 1고정브라켓(132)에 걸린 상태가 됨에 따라, 제 1막재(32)는 제 1하부완충패드(112)와 제 1상부완충패드(122) 사이에서 장력이 발생되는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제 2엣지로프(154)는 제 1막재(32) 측으로 노출되는 제 2막재(34)의 가장자리에 감싸여진다. 그래서, 제 2엣지로프(154)는 제 2고정브라켓(134)에 걸린 상태가 됨에 따라, 제 2막재(34)는 제 2하부완충패드(114)와 제 2상부완충패드(124) 사이에서 장력이 발생되는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조인트부(200)는 방수막(40)의 외측(상측)에서 연결고정부(100)에 지지된 채 견고하게 고정되고, 연결부재(2)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연결부재(2)는 철골빔(20)의 처짐에 대한 보강을 위해 구비되는 와이어인 것으로 한다.
상세히, 조인트부(200)는 조인트패널(210), 걸고리(220), 제 1고정부재(230) 및 제 2고정부재(240)를 포함한다.
조인트패널(210)은 방수막(40)의 상측에서 방수막(40)에 면접되거나 대향하게 배치된다.
이때, 조인트패널(210)은 하나의 메인빔(22)의 양측에 대응되는 제 1고정브라켓(132)과 제 2고정브라켓(134)에 걸쳐지게 구비된다.
즉, 조인트패널(210)은 동일한 베이스부재(26)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제 1고정브라켓(132)과 제 2고정브라켓(134)에 걸쳐지는 평면적을 갖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물론, 조인트패널(210)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메인빔(22)의 축 방향을 따라 연속 또는 비연속되게 배치된다. 특히, 조인트패널(210)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걸고리(220)는 조인트패널(210)에 구비되어 연결부재(2)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걸고리(22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조인트패널(210)에 일체 또는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하나의 메인빔(22)의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조인트패널(210)에 구비되는 걸고리(220)의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 1고정부재(230)는 베이스부재(26), 제 1하부완충패드(112), 제 1막재(32), 제 1상부완충패드(122), 제 1고정브라켓(132), 방수막(40) 및 조인트패널(210)을 결속하여 상호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제 2고정부재(240)는 베이스부재(26), 제 2하부완충패드(114), 제 2막재(34), 제 2상부완충패드(124), 제 2고정브라켓(134), 방수막(40) 및 조인트패널(210)을 결속하여 상호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제 1고정부재(230)는 제 1결속부재(142)에 일체로 연결되어 제 1결속부재(142)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제 1결속부재(142)와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고정부재(240)는 제 2결속부재(144)에 일체로 연결되어 제 2결속부재(144)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고, 제 2결속부재(144)와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편의상, 고정부재(230,240)는 대응되는 결속부재(142,144)와 별개로 구비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 1결속부재(142)은 방수막(40)과 설정 거리 유격을 위해 제 1스페이서(133)를 구비하고, 제 2결속부재(144)은 방수막(40)과 설정 거리 유격을 위해 제 2스페이서(135)를 구비한다.
이때, 제 1스페이서(133)는 제 1고정브라켓(132)의 상부로 노출되는 제 1결속부재(142)에 나사 결합되는 죄임너트인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 2스페이서(135)는 제 2고정브라켓(134)의 상부로 노출되는 제 2결속부재(144)에 나사 결합되는 죄임너트인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방수막(40)은 양측 가장자리가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눈 등 이물질이 쌓이지 않게 된다.
아울러, 조인트패널(210)의 상부로 노출되는 제 1고정부재(230)는 제 1너트(232)가 죄여지고, 조인트패널(210)의 상부로 노출되는 제 2고정부재(240)는 제 2너트(242)가 죄여진다.
그래서, 제 1고정부재(230)가 방수막(40) 하측의 베이스부재(26)와 방수막(40) 상측의 조인트패널(210)을 결속하고, 제 2고정부재(240)가 방수막(40) 하측의 베이스부재(26)와 방수막(40) 상측의 조인트패널(210)을 결속함에 따라, 연결부재(2)를 연결한 조인트패널(210)은 지붕막(10)에 견고하게 지지 연결된다.
아울러, 조인트패널(210)이 하나의 베이스부재(26)에 지지되는 제 1고정브라켓(132)과 제 2고정브라켓(134)에 걸쳐지는 평면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연결부재(2)에 발생되는 장력이 제 1고정브라켓(132)과 제 2고정브라켓(134)에 분산됨으로써, 연결부재(2)에 대한 지지력이 증가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의 연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붕막(10)의 연결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철골빔(20), 막재(32,34), 방수막(40), 연결고정부(100) 및 조인트부(200)를 포함한다.
한편, 조인트부(200)는 방수막(40)의 외측(상측)에서 연결고정부(100)에 지지된 채 견고하게 고정되고, 연결부재(2)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연결부재(2)는 조인트패널(210)을 따라 배치되는 제설파이프인 것으로 한다. 제설파이프인 연결부재(2)는 제 1막재(32)와 제 2막재(34)에 눈이 쌓일 경우 염수나 온수를 분사하여 쌓인 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연결부재(2)는 결속브라켓(250)이 조인트패널(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위치 고정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연결부재 10: 지붕막
20: 철골빔 26: 베이스부재
32: 제 1막재 34: 제 2막재
40: 방수막 100: 연결고정부
112: 제 1하부완충패드 114: 제 2하부완충패드
122: 제 1상부완충패드 124: 제 2상부완충패드
132: 제 1고정브라켓 133: 제 1스페이서
134: 제 2고정브라켓 135: 제 2스페이서
142: 제 1결속부재 144: 제 2결속부재
200: 조인트부 210: 조인트패널
220: 걸고리 230: 제 1고정부재
240: 제 2고정부재

Claims (6)

  1. 나란하게 복수 개가 배치되고, 축 방향을 따라 상측에 평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베이스부재를 갖는 철골빔; 동일한 상기 철골빔의 축 방향을 따라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 1막재; 동일한 상기 철골빔의 축 방향을 따라 타측에서 연장되는 제 2막재; 상기 제 1막재와 상기 제 2막재의 인접한 가장자리끼리를 덮어, 상기 제 1막재와 상기 제 2막재 사이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막; 상기 방수막의 내측에서 상기 제 1막재와 상기 제 2막재가 상기 철골빔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연결고정부; 및 상기 방수막의 외측에서 상기 연결고정부에 지지되도록 구비되고,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고정부는, 동일한 상기 베이스부재의 축 방향을 따라 양측 가장자리에 면접되게 배치되고, 완충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상측면에 대응되는 상기 제 1막재와 상기 제 2막재의 가장자리가 접하여 지지되는 하부완충패드; 대응되는 상기 제 1막재와 상기 제 2막재가 놓인 상기 하부완충패드 각각의 상측에 구비되고, 완충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상부완충패드; 상기 상부완충패드 각각의 상측면에 면접되게 구비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브라켓; 적층된 상기 베이스부재, 상기 하부완충패드, 상기 상부완충패드, 상기 고정브라켓을 결속하는 결속부재; 및 상기 제 1막재와 상기 제 2막재가 각각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고정브라켓 사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1막재와 상기 제 2막재의 가장자리에 감싸여지는 엣지로프를 포함하며,
    상기 조인트부는, 조인트패널; 상기 조인트패널에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걸고리; 및 상기 방수막에 삽입되어, 대응되는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조인트패널을 상호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대응되는 상기 결속부재를 연장 형성하며,
    상기 조인트패널은 상기 방수막의 외측에 배치된 채 상기 결속부재에서 연장되는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양측이 상기 베이스부재에 결속되고, 연결된 상기 연결부재에 작용하는 장력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동일한 상기 베이스부재에 이웃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브라켓에 걸쳐지는 평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막의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방수막과 설정 거리 유격을 위해 스페이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막의 연결장치.
  6. 삭제
KR1020200116017A 2020-09-10 2020-09-10 지붕막의 연결장치 KR102247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017A KR102247753B1 (ko) 2020-09-10 2020-09-10 지붕막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6017A KR102247753B1 (ko) 2020-09-10 2020-09-10 지붕막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753B1 true KR102247753B1 (ko) 2021-05-04

Family

ID=75913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6017A KR102247753B1 (ko) 2020-09-10 2020-09-10 지붕막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75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46U (ja) * 1992-03-03 1994-01-14 清水建設株式会社 膜屋根構造物の避雷設備
JPH09317251A (ja) * 1996-05-27 1997-12-09 Taisei Corp 膜構造屋根の補助膜の支持構造
JPH1082213A (ja) * 1996-09-09 1998-03-31 Taiyo Kogyo Kk 膜端定着部の支持構造及び同構造に用いる定着ボル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46U (ja) * 1992-03-03 1994-01-14 清水建設株式会社 膜屋根構造物の避雷設備
JPH09317251A (ja) * 1996-05-27 1997-12-09 Taisei Corp 膜構造屋根の補助膜の支持構造
JPH1082213A (ja) * 1996-09-09 1998-03-31 Taiyo Kogyo Kk 膜端定着部の支持構造及び同構造に用いる定着ボル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7753B1 (ko) 지붕막의 연결장치
WO2021161372A1 (ja) 非固定型太陽光発電パネル支持架台用の気体整流部材
JP5939443B2 (ja) 勾配屋根の補強構造
KR101632155B1 (ko) 설치가 간편한 케노피 구조물
JP7449078B2 (ja) 建物
JP6621035B2 (ja) 雪庇発生防止装置
JP2001003461A (ja) 伸縮継手装置
JP2737530B2 (ja) ドーム構造
JP3756275B2 (ja) 屋根パネル端部の防水部材および屋根パネル接合部の防水構造並びにその防水方法
JP4255175B2 (ja) 母屋の取付け構造
WO2016199336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フレーム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3023986A (ja) 鉄骨軸組工法の建物
JP3049440B2 (ja) 馳折屋根の葺継ぎ工法
JP7254646B2 (ja) 屋根の配線構造
JPH1193335A (ja) 折板屋根の採光用屋根部材
JPH09317251A (ja) 膜構造屋根の補助膜の支持構造
JP3234480B2 (ja) 簡易屋根の小屋組
JP6480361B2 (ja) 屋根設置物を備えたユニット式建物
JPH082329Y2 (ja) 屋根構造
JP2000080773A (ja) 太陽電池付屋根
JPH08246611A (ja) 建築用板の継手構造
JP3170456B2 (ja) 二重屋根
SU1096351A1 (ru) Купольное покрытие
JP3966488B2 (ja) 屋根の構造
JPH07127272A (ja) 建物ユニットの屋外保管用防水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