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951B1 - 전기집진장치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집진장치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951B1
KR102245951B1 KR1020140117222A KR20140117222A KR102245951B1 KR 102245951 B1 KR102245951 B1 KR 102245951B1 KR 1020140117222 A KR1020140117222 A KR 1020140117222A KR 20140117222 A KR20140117222 A KR 20140117222A KR 102245951 B1 KR102245951 B1 KR 102245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voltage
electrode
ground
hot melt
voltag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7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8294A (ko
Inventor
현옥천
이양화
김상윤
안지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7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951B1/ko
Publication of KR20160028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8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개의 고전압전극과; 복수개의 고전압전극과 교대로 배치되고 고전압전극과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접지전극; 및 고전압전극의 선단 및 접지전극의 선단을 이격되게 고정시키거나 고전압전극의 후단 및 접지전극의 후단을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핫 멜트를 포함하여, 고전압전극과 접지전극이 핫 멜트에 의해 일체화되어 조립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고, 고전압전극과 접지전극의 흔들림이나 떨림이 최소화되어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집진장치 및 그 조립방법{Filter and Assemb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집진장치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전압전극과 접지전극을 갖는 전기집진장치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집진장치는 공기청정기나 냉방기나 난방기 등의 공기조화기에 장착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대전시켜 집진하는 장치이다.
전기집진장치는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와,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집진되는 집진부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기는 대전부를 통과한 후 집진부를 통과할 수 있고, 공기 중의 먼지 입자는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후 집진부에 포집될 수 있다.
대전부는 방전전극들과, 방전전극들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대향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고, 먼지는 서로 마주보는 방전전극과 대향전극 사이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될 수 있다.
집진부는 고전압전극과, 접지전극과, 고전압전극 및 접지전극이 고정되는 집진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 케이스에는 고전압전극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과 접지전극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US 8,580,017 B2 (2013년11월12일 등록)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는 컬렉터 케이스 내부에 전극을 서로 이격되게 지지시키기 위한 전극지지요소가 형성되어 컬렉터 케이스의 구조가 복잡하고, 복수개의 전극 각각을 전극지지요소에 지지시키면서 컬렉터 케이스와 조립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고전압전극과; 상기 복수개의 고전압전극과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고전압전극과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접지전극; 및 상기 고전압전극의 선단 및 접지전극의 선단을 이격되게 고정시키거나 상기 고전압전극의 후단 및 접지전극의 후단을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핫 멜트를 포함한다.
상기 핫 멜트는 일부가 상기 고전압전극과 접지전극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전압전극은 상기 접지전극과 나란할 수 있고, 상기 핫 멜트는 상기 고전압전극의 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 수 있다.
상기 핫 멜트는 공기 유동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길 수 있다.
상기 핫 멜트는 복수개가 상기 고전압전극과 접지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장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고전압전극과 접지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핫 멜트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는 상기 고전압전극과 접지전극 각각에 공기 유동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부는 상기 고전압전극과 접지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선단 및 후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핫 멜트는 상기 고전압전극의 선단과 접지전극의 선단을 잇는 프론트 핫 멜트와, 상기 고전압전극의 후단과 접지전극의 후단을 잇는 리어 핫 멜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전압전극과; 상기 고전압전극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고전압전극과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접지전극; 및 상기 고전압전극 및 접지전극을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핫 멜트를 포함한다.
상기 고전압전극과 접지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핫 멜트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핫 멜트는 상기 고전압전극의 장방향 및 상기 접지전극의 장방향 각각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 수 있다.
상기 핫 멜트는 복수개가 상기 고전압전극의 장방향 및 상기 접지전극의 장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전압전극과 접지전극 사이에 스페이서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고전압전극 및 접지전극에 핫 멜트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핫 멜트가 경화되면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스페이서의 장방향으로 빼내는 단계와; 상기 고전압전극에 고전압 인가단자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접지전극에 접지단자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핫 멜트는 상기 고전압전극 및 접지전극의 복수 위치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핫 멜트는 상기 고전압전극의 선단과 접지전극의 선단을 잇게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고전압전극의 후단과 접지전극의 후단을 잇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핫 멜트는 공기유동방향 및 상기 고전압전극의 장방향 각각과 직교한 방향으로 길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장방향 길이가 상기 고전압전극의 장방향 길이 및 상기 접지전극의 장방향 길이 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는 단방향의 폭이 상기 고전압전극의 단방향 폭 및 상기 접지전극의 단방향 폭 보다 짧을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전압전극과 접지전극의 흔들림이나 떨림이 최소화되어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전압전극과 접지전극이 핫 멜트에 의해 일체화되어 조립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일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일실시예의 집진부의 내부가 도시된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일실시예가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예가 도시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조립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조립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조립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일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일실시예의 집진부의 내부가 도시된 도이다.
전기집진장치는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대전시키는 대전부(2)와, 대전부(2)에서 대전된 먼지입자가 집진되는 집진부(4)를 포함할 수 있다.
대전부(2)는 방전극(11)과 방전대응극(12)으로 구성되어, 방전극(11)과 방전대응극(12) 사이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대전시킬 수 있다.
방전극(11)은 와이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방전극(11)은 와이어 방전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방전대응극(12)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접지(G)와 연결된 접지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방전대응극(12)은 복수개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방전극(11)과 방전대응극(12)은 공기가 통과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교대 배치될 수 있다. 방전극(11)은 서로 이격된 방전 대응극(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는 방전극(11)으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발생기(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발생기(6)에서 방전극(11)으로 고전압이 인가되면, 방전극(11)과 방전대응극(12) 사이에는 전기장이 형성되고, 공기 중의 먼지입자는 방전극(12)과 방전대응극(12) 사이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될 수 있다.
한편, 대전부(2)는 와이어 형상의 방전극(11)과 판 형상의 방전대응극(12) 대신에, 카본 브러시 파이버의 다발로 구성된 카본 브러시 전극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 카본 브러시 전극은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확산 대전시킬 수 있다.
대전부(2)는 방전극(11)과 방전대응극(12)이 수용되는 대전 케이스(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전 케이스(30)는 공기가 대전 케이스(3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흡입구(32)가 형성될 수 있다. 대전 케이스(3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전 케이스(30)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공기는 대전 케이스(30)의 공기흡입구(32)를 통과하여 방전극(11)과 방전 대응극(12)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방전극(11)과 방전 대응극(12)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는 집진부(4)로 유입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는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과,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을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핫 멜트(4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 및 적어도 하나의 핫 멜트(43)는 함께 집진부(4)를 구성할 수 있다.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은 적어도 하나의 핫 멜트(43)에 의해 일체화될 수 있고 후술하는 집진 결합체(S)가 될 수 있다.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 및 적어도 하나의 핫 멜트(43)는 함께 집진 케이스(70)에 착탈될 수 있다.
고전압전극(41)은 띠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전압전극(41)은 그 전체가 사각 판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적어도 일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고전압전극(41)은 전도체(51)와, 전도체(51) 주변의 유전체(5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전압전극(41)의 전도체(51)는 카본 소재로 구성된 카본 전극일 수 있다. 고전압전극(41)의 전도체(51)는 고전압전극(41)의 유전체(52) 내부에 형성된 카본 패턴이 카본 전극을 구성할 수 있다. 고전압전극(41)의 전도체(51)는 두께가 10-100um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전압전극(41)의 전도체(51)는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나머지가 고전압전극(41)의 유전체(5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고전압전극(41)은 전도체(51) 중 유전체(52)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부분이 노출될 수 있고, 이렇게 노출된 부분에 고전압 연결부(47)가 연결될 수 있다. 고전압 연결부(47)는 고전압전극(41)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전압 인가단자일 수 있다. 고전압 연결부(47)는 판 형상이고 고전압이 인가되는 고전압 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전압 연결부(47)는 와이어 형성상이고 고전압이 인가되는 고전압인가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전압전극(41)의 전도체(51)는 양단부 중 어느 한 단부가 고전압전극(41)의 유전체(52)에 의해 둘러싸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전압 연결부(47)는 외부로 노출된 단자부에 접촉되어 전도체(51)와 연결될 수 있고, 전도체(51)로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고전압전극(41)의 유전체(52)는 고전압전극(41)의 전도체(51)를 둘러싸는 유전체 필름일 수 있다. 고전압전극(41)의 유전체(52)는 고전압전극(41)의 전도체(51) 중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모두 둘러쌀 수 있다. 유전체(52)는 2개의 유전체 필름이 전도체(51)를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유전체 필름은 PP, PET, PEN, PU 등의 소재로 TiO2, Al2O3, SiO2 등의 나노필러를 포함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100-1500um일 수 있다. 고전압전극(41)의 전도체(51)는 한 쌍의 유전체 필름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스크린 프린팅된 카본 패턴일 수 있고, 한 쌍의 유전체 필름 중 다른 하나는 카본 패턴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덮으면서 한 쌍의 유전체 필름 중 어느 하나와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잇다.
고전압전극(4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동방향(R)과 나란한 방향으로 단방향(Y)일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동방향(R)과 직교한 방향으로 장방향(X)일 수 있다.
고전압전극(41)은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고전압전극(41)은 서로 이격되면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접지전극(42)은 고전압전극(41)과 나란할 수 있다. 고전압전극(41)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경우, 접지전극(42)은 고전압전극(41)과 나란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전압전극(41)이 사각 판 형상으로 배치될 경우, 접지전극(42)도 사각 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전압전극(41)의 적어도 일부가 라운드질 경우, 접지전극(42)은 고전압전극(41)을 마주보는 부분이 고전압전극(41)과 같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접지전극(42)은 고전압전극(41)과 동일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접지전극(42)은 전도체(61)와; 전도체(61) 주변의 유전체(6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전극(42)의 전도체(61)는 고전압전극(41)의 전도체(51)와 같이, 카본 소재로 구성된 카본 전극일 수 있고, 접지전극(42)의 유전체(62) 내부에 형성된 카본 패턴이 카본 전극을 구성할 수 있으며, 두께는 10-100u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지전극(42)의 전도체(61)는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나머지가 유전체(6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접지전극(42)은 전도체(61) 중 유전체(62)에 의해 둘러싸이지 않는 부분이 노출될 수 있고, 이렇게 노출된 부분에 접지 연결부(48)가 연결될 수 있다. 접지 연결부(48)는 접지전극(42)이 접지(G)와 연결되기 위한 접지단자일 수 있다. 접지 연결부(48)는 판 형상이고 접지(G)와 연결되는 접지 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접지 연결부(48)는 와이어 형상이고 접지(G)와 연결되는 접지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접지전극(42)의 전도체(61)는 양단부 중 어느 한 단부가 유전체(62)에 의해 둘러싸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로 구성될 수 있고, 접지 연결부(48)는 외부로 노출된 단자부에 접촉되어 전도체(61)와 연결될 수 있다.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은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가 서로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전압전극(41)의 단자부가 고전압전극(41)의 좌측 영역에 위치될 경우, 접지전극(42)의 단자부는 접지전극(42)의 우측에 위치될 수 있으며, 고전압전극(41)의 단자부가 고전압전극(41)의 우측 영역에 위치될 경우, 접지전극(42)의 단자부는 접지전극(42)의 좌측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접지전극(42)의 유전체(62)는 전도체(61)를 둘러싸는 유전체 필름일 수 있다. 접지전극(42)의 유전체(62)는 전도체(61)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모두 둘러쌀 수 있다. 접지전극(42)의 유전체(62)는 2개의 유전체 필름이 전도체(61)를 사이에 두고 접합되어 구성될 수 있고, 유전체 필름은 PP, PET, PEN, PU 등의 소재로 TiO2, Al2O3, SiO2 등의 나노필러를 포함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100-1500um일 수 있다.
접지전극(42)의 전도체(61)는 한 쌍의 유전체 필름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스크린 프린팅된 카본 패턴일 수 있고, 한 쌍의 유전체 필름 중 다른 하나는 카본 패턴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를 덮으면서 한 쌍의 유전체 필름 중 어느 하나와 접착제로 접착될 수 있다.
접지전극(42)은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접지전극(42)은 서로 이격되면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는 복수개의 고전압전극(41)과 복수개의 접지전극(42)이 적어도 하나의 핫 멜트(43)와 함께 하나의 집진부(4)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전압전극(41)과 복수개의 접지전극(42)은 교대로 배치될 수 있고, 복수개의 고전압전극(41)과 복수개의 접지전극(42) 사이에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P)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핫 멜트(43)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44)(45)가 형성될 수 있다.
홈부(44)(45)는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 각각에 공기유동방향(R)과 직교한 방향(Z)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홈부는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 중 적어도 하나의 선단 및 후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홈부(44)는 고전압전극(41)의 선단 및 후단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전압전극(41)의 선단은 공기가 고전압전극(41)과 가장 먼저 접촉되는 일단일 수 있고, 고전압전극(41)의 후단은 공기유동방향(R)으로 고전압전극(41)의 선단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단일 수 있다. 홈부(44)는 고전압전극(41) 중 전도체(51)에 형성되지 않고 고전압전극(41)의 유전체(52)에 형성될 수 있다.
홈부(45)는 접지전극(42)의 선단 및 후단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접지전극(42)의 선단은 공기가 접지전극(42)과 가장 먼저 접촉되는 일단일 수 있고, 접지전극(42)의 후단은 공기유동방향(R)으로 접지전극(42)의 선단 반대편에 위치하는 타단일 수 있다. 홈부(45)는 접지전극(42) 중 전도체(61)에 형성되지 않고 접지전극(42)의 유전체(62)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전압전극(41)에 형성된 홈부(44)와, 저전압 전극(42)에 형성된 홈부(45)는 공기유동방향(R)과 직교한 방향(Z)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홈부(44)(45)는 핫 멜트(43)를 부착하는 작업시, 핫 멜트 부착위치를 표식하는 표식부로 기능할 수 있고,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의 고정 위치를 정렬할 수 있는 위치 정렬부로 기능할 수 있다. 홈부(44)(45)는 사각 형상 또는 라운드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핫 멜트(43)의 접착면적은 홈부(44)(45)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보다 증대될 수 있다.
핫 멜트(43, hot melt)는 열가소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열에 의해 용융되고 냉각시 고화되어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을 고정시키는 접착제로 기능할 수 있다. 핫 멜트(43)는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을 서로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전극 홀더일 수 있다. 핫 멜트(43)는 서로 상이한 전극(41)(42)을 이격되게 지지 및 고정시킬 수 있다.
핫 멜트(43)는 고전압전극(41)의 선단(41A) 및 접지전극(42)의 선단(42A)을 이격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핫 멜트(43)는 고전압전극(41)의 후단(41B) 및 접지전극(42)의 후단(42B)을 이격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전압전극(41) 및 접지전극(42)은 그 각각의 일부가 후술하는 집진 케이스(70)에 돌출 형성된 끼움리브에 끼워지는 것이 가능할 수 있으나, 이 경우 고전압전극(41) 및 접지전극(42)은 공기 등에 의해 일부가 떨리거나 흔들릴 수 있고, 그로인해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반면에,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이 핫 멜트(43)에 의해 서로 고정되면,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의 떨림이나 소음은 최소화될 수 있고, 집진 케이스(70)에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을 끼우기 위한 끼움리브를 별도로 형성할 필요 없게 된다.
핫 멜트(43)는 일부가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핫 멜트(43)는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을 잇는 브릿지로 기능할 수 있고,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과 핫 멜트(43)는 서로를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핫 멜트(43)는 고전압전극(41)의 장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Z)으로 길 수 있다. 핫 멜트(43)는 접지전극(42)의 장방향(X)과 직교하는 방향(Z)으로 길 수 있다. 핫 멜트(43)는 공기유동방향(R)과 직교한 방향(Z)으로 길 수 있다. 핫 멜트(42)는 적어도 2개의 고전압전극(41)과 적어도 2개의 접지전극(42)을 한꺼번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핫 멜트(4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복수개의 핫 멜트(43)는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 중 적어도 하나의 장방향(X)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핫 멜트(43)는 고전압전극(41)의 선단(41A)과 접지전극(42)의 선단(42A)을 잇는 프론트 핫 멜트(43A)를 포함할 수 있다. 핫 멜트(43)는 고전압전극(41)의 후단(41B)과 접지전극(42)의 후단(42B)을 잇는 리어 핫 멜트(43B)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핫 멜트(43A)와, 리어 핫 멜트(43B)는 공기유동방향(R)으로 이격될 수 있다.
집진부(4)는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과, 핫 멜트(43)의 결합체(C, 이하, 집진 결합체라 칭함)를 보호하는 집진 케이스(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집진 케이스(70)는 공기유동방향(R)으로 대전 케이스(30)의 후류에 위치될 수 있다. 집진 케이스(70)는 대전 케이스(30)와 착탈되는 것이 가능하다. 집진 케이스(70)는 대전 케이스(30)와 공기유동방향(R)으로 이격되면서 대전 케이스(30)와 별도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집진 케이스(70)는 집진 결합체(S) 보다 크기가 클 수 있다. 집진 결합체(S)는 집진 케이스(7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집진 결합체(S)는 고전압 연결부(47)와 접지 연결부(48)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된 상태에서 집진 케이스(7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집진부(4)는 집진 결합체(S)가 집진 케이스(70) 내부로 먼저 삽입된 상태에서 고전압 연결부(47)와 접지 연결부(48)가 집진 케이스(70)에 장착됨과 아울러 집진 결합체(S)와 연결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집진 케이스(70)는 집진 결합체(S)를 통과한 공기가 집진 케이스(70)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토출구(72)가 형성될 수 있다. 집진 케이스(7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집진 케이스(70)에는 고전압 연결부(47)가 관통되는 고전압 연결부 관통부(74)가 형성될 수 있다. 집진 케이스(70)는 접지 연결부(48)가 관통되는 접지 연결부 관통부(76)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일실시예가 공기조화기에 설치된 예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전기집진장치(1)는 공기조화기에 설치될 수 있고, 전기집진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전기집진장치(1)로 송풍시키는 송풍기(102)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02)는 실내의 공기(Air)를 대전부(2)와 집진부(4)의 순서로 유동시킬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I)와,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토출구(O)가 형성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청정시키는 공기청정기로 구성될 경우, 전기집진장치(1)와, 송풍기(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청정시킬 수 있고, 실내를 냉방시키는 공기청정 냉방기로 구성될 경우, 전기집진장치(1)와, 송풍기(102)를 포함할 수 있고,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청정시킬 수 있고, 실내를 난방시키는 공기청정 난방기로 구성될 경우, 전기집진장치(1)와, 송풍기(102)를 포함할 수 있고,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044)와, 전기로 열을 발생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I)가 형성되고, 전기집진장치(1)가 착탈되는 전기집진장치 가이드(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 가이드(106)는 대전부(2)가 착탈되는 대전부 착탈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대전 케이스(30)는 전기집진장치 가이드(106)에 장착될 수 있고, 전기집진장치 가이드(106)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 가이드(106)는 집진부(4)가 착탈되는 집진부 착탈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집진 케이스(70)는 전기집진장치 가이드(106)에 장착될 수 있고, 전기집진장치 가이드(106)에서 분리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공기(Air)의 공기유동방향(R)으로 공기흡입구(I)와, 대전부(2)와, 집진부(4)와, 송풍기(102)와, 공기토출구(O)의 순서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청정시킨 후 실내로 다시 토출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공기(Air)의 유동 방향(R)으로 대전부(2)의 이전에 위치되는 프리필터(108)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전기집진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송풍기(102)의 작동시, 고전압발생기(6)가 온되는 것이 가능하고, 전기집진장치(1)는 송풍기(102)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켜 집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조립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조립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조립방법 일실시예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의 (a)는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의 사이에 스페이서(200)가 개재된 정면도이고, 도 6의 (f)는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의 사이에 스페이서(200)가 개재된 측면도이다.
도 5의 (b)는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에 핫 멜트(43이 부착된 정면도이고, 도 6의 (g)는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에 핫 멜트(43이 부착된 측면도이다.
도 5의 (c)는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의 사이에서 스페이서(200)가 외부로 인출될 때의 정면도이다.
도 5의 (d)는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의 사이에서 스페이서(200)가 외부로 인출된 이후의 정면도이고, 도 6의 (h)는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의 사이에서 스페이서(200)가 외부로 인출된 이후의 측면도이다.
도 5의 (e)는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와 핫 멜트(43)의 조립체가 집진 케이스(70)에 장착되었을 때의 정면도이고, 도 6의 (i)는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와 핫 멜트(43)의 집진 결합체(S)가 집진 케이스(70)에 장착되었을 때 집진부 내부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전기집진장치의 조립방법은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 사이에 스페이서(200)를 위치시키는 단계(S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S1)는 접지전극(42)과 스페이서(200)와 고전압전극(41)을 집진부(4) 외각 크기를 맞추면서 접지전극(42)과 스페이서(200)과 고전압전극(41) 순서로 적층하는 적층단계일 수 있다.
스페이서(200)는 핫 멜트(43)의 부착 및 고화 전에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해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의 사이에 개재되는 간격 유지부재로서,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의 사이 각각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페이서(20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장방향 길이(L1)가 고전압전극(41)의 장방향 길이(L2) 및 접지전극(42)의 장방향 길이(L3) 보다 길 수 있다. 스페이스(200)는 그 장방향 길이(L1)가 고전압전극(41) 및 접지전극(42) 보다 길기 때문에, 후술하는 스페이서(200)의 인출 작업시 스페이스(200)의 인출이 용이할 수 있다.
스페이서(200)는 도 5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방향의 폭(D1)이 고전압전극(41)의 단방향 폭(D2) 및 접지전극(42)의 단방향 폭(D3) 보다 각각 짧을 수 있다. 핫 멜트(43)는 고전압전극(41)과 접지전극(42)에만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페이서(200)에 부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200)는 단방향의 폭(D1)이 고전압전극의 단방향 폭(D2) 및 접지전극의 단방향 폭(D3) 보다 짧기 때문에, 핫 멜트(43) 부착 작업시 핫 멜트(43)가 스페이서(200)에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스페이서(200)는 가장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그 위에 고전압전극(41), 스페이서(200), 접지전극(42)이 순차적으로 적층될 수 있고, 도 5의 (a) 및 도 6의 (f)와 같이, 스페이서(200)-> 고전압전극(41) -> 스페이서(200) -> 접지전극(42)의 순서로 적층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의 조립방법은 고전압전극(41) 및 접지전극(42)에 핫 멜트(43)를 부착하는 단계(S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핫 멜트(43)로 고전압전극(41) 및 접지전극(42)을 고정시키는 고정단계일 수 있다.
핫 멜트(43)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전극(41) 및 접지전극(42)의 복수 위치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핫 멜트(43)는 도 6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전극(41)의 선단과 접지전극(42)의 선단을 잇게 부착될 수 있다. 핫 멜트(43)는 도 6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전극(41)의 후단과 접지전극(42)의 후단을 잇게 부착될 수 있다. 고전압전극(41)의 선단과 접지전극(42)의 선단을 잇게 부착되는 핫 멜트(43A)와, 고전압전극(42)의 후단과 접지전극(42)의 후단을 잇게 부착되는 핫 멜트(43B)는 공기유동방향(R)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핫 멜트(43)는 도 5의 (b) 및 도 6의 (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유동방향(R) 및 고전압전극(41)의 장방향(X) 각각과 직교한 방향(Z)으로 길게 부착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의 조립방법은 핫 멜트(43)가 경화되면 스페이서(200)를 스페이서(200)의 장방향으로 빼내는 단계(S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스페이서를 고전압 인가단자(41)와 접지단자(42)의 사이에서 빼내는 스페이서 인출단계일 수 있다.
스페이서(200)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전압 인가단자(41)와 접지단자(42)의 사이에서 옆으로 빠져나올 수 있고, 이때, 스페이서(200)는 핫 멜트(43)에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다.
스페이서(200)가 고전압 인가단자(41)와 접지단자(42)의 사이를 빠져나오면, 고전압 인가단자(41)와 접지단자(42)와 핫 멜트(43)는 도 5의 (d) 및 도 6의 (h)와 같이, 집진 결합체(S)를 구성할 수 있고, 고전압 인가단자(41)와 접지단자(42)와 핫 멜트(43)는 일체화될 수 있다. 집진 결합체(S)는 고전압 인가단자(41)와 접지단자(42)의 사이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P)를 형성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의 조립방법은 고전압전극(41)에 고전압 인가단자(47)를 연결함과 아울러 접지전극(42)에 접지단자(48)를 연결하는 단계(S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는 집진 결합체(C)에 단자를 연결하는 단자연결단계일 수 있다.
집진 결합체(S)는 도 6의 (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 케이스(7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처리될 수 있다. 집진 결합체(S) 중 고전압 인가단자(41)는 집진 케이스(70) 내부에서 고전압 인가단자(47)에 연결될 수 있고, 집진 결합체(S) 중 집진단자(42)는 집진 케이스(70) 내부에서 접지단자(48)에 연결될 수 있다.
2: 대전부 4: 집진부
6: 고전압발생기 41: 고전압전극
42: 접지전극 43: 핫멜트
43A: 프론트 핫멜트 43B: 리어 핫멜트
44,45: 홈부 47: 고전압 연결부
48: 접지 연결부 70: 집진 케이스

Claims (19)

  1. 복수개의 고전압전극과;
    상기 복수개의 고전압전극과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고전압전극과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접지전극;
    상기 고전압전극의 선단 및 접지전극의 선단을 이격되게 고정시키거나 상기 고전압전극의 후단 및 접지전극의 후단을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핫 멜트;
    판 형상이고 상기 복수의 고전압전극 각각의 일단과 연결되는 고전압 연결부; 및
    판 형상이고 상기 복수의 접지전극 각각의 일단과 연결되는 접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전압전극은 상기 복수의 접지전극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핫 멜트는 상기 고전압연결부와 상기 접지연결부 사이에서 상기 고전압전극의 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기집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는 일부가 상기 고전압전극과 접지전극의 사이에 위치되는 전기집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전극은 상기 접지전극과 나란하고,
    상기 핫 멜트는 상기 고전압전극의 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전기집진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는 공기 유동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긴 전기집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는 복수개가 상기 고전압전극과 접지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장방향으로 이격되는 전기집진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전극과 접지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핫 멜트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된 전기집진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고전압전극과 접지전극 각각에 공기 유동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전기집진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고전압전극과 접지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선단 및 후단에 각각 형성된 전기집진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는 상기 고전압전극의 선단과 접지전극의 선단을 잇는 프론트 핫 멜트와
    상기 고전압전극의 후단과 접지전극의 후단을 잇는 리어 핫 멜트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10. 복수개의 고전압전극과;
    상기 고전압전극과 마주보게 배치되고 상기 고전압전극과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접지전극;
    상기 고전압전극 및 접지전극을 이격되게 고정시키는 핫 멜트;
    판 형상이고 상기 복수의 고전압전극 각각의 일단과 연결되는 고전압 연결부; 및
    판 형상이고 상기 복수의 접지전극 각각의 일단과 연결되는 접지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고전압전극은 상기 복수의 접지전극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핫 멜트는 상기 고전압연결부와 상기 접지연결부 사이에서 상기 고전압전극의 장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전기집진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압전극과 접지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핫 멜트가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홈부가 형성된 전기집진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는 상기 고전압전극의 장방향 및 상기 접지전극의 장방향 각각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전기집진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는 복수개가 상기 고전압전극의 장방향 및 상기 접지전극의 장방향으로 이격되는 전기집진장치.
  14. 접지전극과 스페이서와 고전압전극 순서로 적층되도록, 고전압전극과 접지전극 사이에 스페이서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고전압전극 및 접지전극에 핫 멜트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핫 멜트가 경화되면 상기 스페이서를 상기 스페이서의 장방향으로 빼내는 단계와;
    상기 고전압전극의 일단에 고전압 인가단자를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접지전극의 일단에 접지단자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전압 인가단자와 상기 접지단자는, 상기 핫 멜트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배치되는 전기집진장치의 조립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는 상기 고전압전극 및 접지전극의 복수 위치에 각각 부착되는 전기집진장치의 조립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는 상기 고전압전극의 선단과 접지전극의 선단을 잇게 부착됨과 아울러 상기 고전압전극의 후단과 접지전극의 후단을 잇게 부착되는 전기집진장치의 조립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는 공기유동방향 및 상기 고전압전극의 장방향 각각과 직교한 방향으로 길게 부착되는 전기집진장치의 조립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장방향 길이가 상기 고전압전극의 장방향 길이 및 상기 접지전극의 장방향 길이 보다 긴 전기집진장치의 조립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단방향의 폭이 상기 고전압전극의 단방향 폭 및 상기 접지전극의 단방향 폭 보다 짧은 전기집진장치의 조립방법.
KR1020140117222A 2014-09-03 2014-09-03 전기집진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2245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222A KR102245951B1 (ko) 2014-09-03 2014-09-03 전기집진장치 및 그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7222A KR102245951B1 (ko) 2014-09-03 2014-09-03 전기집진장치 및 그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294A KR20160028294A (ko) 2016-03-11
KR102245951B1 true KR102245951B1 (ko) 2021-04-28

Family

ID=55582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7222A KR102245951B1 (ko) 2014-09-03 2014-09-03 전기집진장치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9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9876A (ko) * 2019-08-13 2021-02-23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집진기
KR102333283B1 (ko) * 2019-12-30 2021-11-30 재단법인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 가변형 전기집진기
KR20220013067A (ko) * 2020-07-24 2022-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집진 필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598935U (zh) * 2013-07-23 2014-05-21 霍尼韦尔环境自控产品(天津)有限公司 空气净化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8047A (ja) * 1983-08-09 1985-02-27 Zojirushi Vacuum Bottle Co 空気清浄機
JPH05261313A (ja) * 1992-03-18 1993-10-12 Daikin Ind Ltd 電気集塵エレメント
KR101858940B1 (ko) 2011-06-10 2018-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598935U (zh) * 2013-07-23 2014-05-21 霍尼韦尔环境自控产品(天津)有限公司 空气净化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8294A (ko) 2016-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377B1 (ko) 전기집진장치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EP2960590B1 (en) Air conditioner
CN110732411B (zh) 电集尘用带电装置及包括其的车辆用空调机
JP5774212B2 (ja) コロナ放電装置及び空気調和機
KR102199381B1 (ko) 공기조화기용 공기청정기구
KR102245951B1 (ko) 전기집진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2102759B1 (ko) 이온발생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KR20180072749A (ko) 공기 정화 디바이스 및 장치
JP2007038220A (ja) 空調機用浮遊粒子イオン化装置
KR20080098567A (ko) 전기 집진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송풍 장치
KR102205159B1 (ko) 집진 필터
CN114258324A (zh) 空气净化装置
JP6922396B2 (ja) 換気装置
JP4451740B2 (ja) 空気清浄器及び空気調和機
JP2020151634A (ja) 集塵装置
KR102278181B1 (ko) 전기집진장치
CN209885989U (zh) 一种新型静电集尘器
JP6834133B2 (ja) 空気清浄機
JP4354884B2 (ja) 空気清浄器及び空気清浄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H0333379B2 (ko)
US20140109768A1 (en) Electrostatic filter and method of installation
CN115151347A (zh) 静电集尘设备及其制造方法
JP7200604B2 (ja) 電気集塵機の集塵部
JP5817808B2 (ja) 空気清浄装置、空気調和装置
JP7314477B2 (ja) 電気集塵機の集塵部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