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9377B1 - 전기집진장치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전기집진장치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9377B1
KR102199377B1 KR1020140085435A KR20140085435A KR102199377B1 KR 102199377 B1 KR102199377 B1 KR 102199377B1 KR 1020140085435 A KR1020140085435 A KR 1020140085435A KR 20140085435 A KR20140085435 A KR 20140085435A KR 102199377 B1 KR102199377 B1 KR 102199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s
discharge electrode
filter unit
ai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6062A (ko
Inventor
이양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5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377B1/ko
Priority to EP15818174.3A priority patent/EP3166728B1/en
Priority to US15/324,601 priority patent/US10537901B2/en
Priority to PCT/KR2015/006990 priority patent/WO2016006906A1/en
Priority to CN201580048090.4A priority patent/CN106660055B/zh
Publication of KR2016000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separation of ionising and collec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25Combinations of electrostatic separators, e.g. in parallel or in series, stacked separators, dry-wet separator combin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08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presence of stationary flat electrodes arranged with their flat surfaces parallel to the gas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de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04Ionising electrode being a wi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와; 이격된 복수개의 방전전극판을 포함하고 복수개의 방전전극판 사이에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 제1필터부와; 공기 유동 방향으로 복수개 방전 전극판의 후류에 위치하고, 접지와 연결되어 방전 전극판과 코로나 방전을 형성하며 대전된 입자가 포집되는 제2필터부를 포함하여,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제1필터부의 통로를 통과하여 제2필터부에 집진되고, 제1필터부와 제2필터부 사이에서 대전된 먼지입자가 제2필터부에 집진되므로, 대전율 및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전기집진장치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Filte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집진장치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기 중의 먼지 입자가 다단 대전되어 포집되는 전기집진장치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집진장치는 공기청정기나 냉방기나 난방기 등의 공기조화기에 장착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대전시켜 집진하는 장치이다.
전기집진장치는 크게 전기장을 형성하는 대전부와,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집진되는 집진부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기가 대전부를 통과한 후 집진부를 통과하는 동안 공기 중의 먼지가 집진부에 포집될 수 있다.
대전부는 방전전극들과, 방전전극들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대향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고, 먼지는 서로 마주보는 방전전극과 대향전극 사이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는 사용이 계속됨에 따라, 집진부에 이물질이 점차 쌓일 수 있고, 집진부의 세척 등의 서비스작업이 용이할수록 그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KR 10-2011-0045851 (2011년05월04일 공개)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는 집진부가 고전압전극과 저전압전극을 포함하여, 집진부의 분리 및 세척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서비스가 용이하고 대전율 및 집진효율이 높은 전기집진장치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는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와; 이격된 복수개의 방전전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방전전극판 사이에 상기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 제1필터부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 방전 전극판의 후류에 위치하고, 접지와 연결되어 상기 방전 전극판과 코로나 방전을 형성하며, 대전된 입자가 포집되는 제2필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방전전극판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대전부 후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방전전극판은 공기 유동방향으로 후단이 상기 제2필터부를 마주볼 수 있다.
상기 제1필터부는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 사이에 빈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대전부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방전전극판 이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온발생기는 상기 복수개의 방전전극판의 최외곽 방전전극판 사이의 폭 보다 짧은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온발생기는 상기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의 이격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 수 있다.
상기 대전부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와이어 방전극과, 상기 와이어 방전극과 이격되고 접지 연결되는 대향 전극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대향 전극판 사이에는 상기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 사이의 통로를 마주보는 프론트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부는 접지 연결된 금속 메쉬일 수 있다.
상기 제2필터부는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 사이의 제1간격은 상기 복수개 방전 전극판 사이의 제2간격 보다 짧을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은 상기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 보다 개수가 많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켜 포집하는 전기집진장치와; 공기를 전기집진장치로 송풍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와; 이격된 복수개의 방전전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방전전극판 사이에 상기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 제1필터부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 방전 전극판의 후류에 위치하고, 접지와 연결되어 상기 방전 전극판과 코로나 방전을 형성하며, 대전된 입자가 포집되는 제2필터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개의 방전전극판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대전부 후류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대전부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방전전극판 이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전부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와이어 방전극과, 상기 와이어 방전극과 이격되고 접지 연결되는 대향 전극판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대향 전극판 사이에는 상기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 사이의 통로을 마주보는 프론트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제1필터부의 통로를 통과하여 제2필터부에 집진되고, 제1필터부와 제2필터부 사이에서 대전된 먼지입자가 제2필터부에 집진되므로, 대전율 및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필터부가 방전 전극판이나 방전 와이어를 포함하지 않고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을 포함하여, 대전부와 제1필터부를 분리하지 않고 제2필터부만을 분리하여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고, 서비스의 편의성이 높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1실시예의 주요 구성이 도시된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1실시예가 먼지를 집진할 때의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1실시예의 주요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1실시예의 단면이 도시된 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2실시예의 주요 구성이 도시된 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2실시예가 먼지를 집진할 때의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2실시예의 주요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2실시예의 단면이 도시된 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3실시예의 주요 구성이 도시된 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3실시예가 먼지를 집진할 때의 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3실시예의 주요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3실시예의 단면이 도시된 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1실시예의 주요 구성이 도시된 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1실시예가 먼지를 집진할 때의 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1실시예의 주요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1실시예의 단면이 도시된 도이다.
전기집진장치는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키는 대전부(1)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는 이격된 복수개의 방전전극판(11)(12)(13)(14)(15)을 포함하는 제1필터부(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필터부(2)는 복수개의 방전전극판(11)(12)(13)(14)(15) 사이에 대전부(1)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통과하는 통로(P1)(P2)(P3)(P4)가 형성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는 공기 유동 방향(A)으로 복수개 방전 전극판(11)(12)(13)(14)(15)의 후류에 위치하는 제2필터부(4)를 포함한다. 제2필터부(4)는 접지(G)와 연결되어 방전 전극판(11)(12)(13)(14)(15)과 코로나 방전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과 제2필터부(4) 사이에는 전기장(E)이 형성될 수 있고, 제1필터부(2)와 제2필터부(4) 사이(P5)에는 코로나 방전이 형성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는 공기 중의 먼지를 다단으로 대전시켜 포집할 수 있다. 제1필터부(2)와 제2필터부(4)는 대전부(1)와 별도로 추가 대전부를 구성할 수 있다. 대전부(1)가 제1대전부일 경우, 제1필터부(2)와 제2필터부(4)는 함께 제2대전부를 구성할 수 있다. 대전부(1)는 공기 유동 방향(A)으로 전류(前流)에 위치하는 제1대전부일 수 있고, 제1필터부(2)와 제2필터부(4)는 공기 유동 방향(A)으로 후류(後流)에 위치하는 제2대전부일 수 있다.
제2필터부(4)에는 대전부(1)에서 발생된 양이온 또는 음이온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포집될 수 있다. 대전부(1)에서 발생된 양이온 또는 음이온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n)는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 사이의 통로(P1)(P2)(P3)(P4)를 통과하여 제2필터부(4)로 유동될 수 있고, 이러한 먼지입자는 접지(G)와 연결된 제2필터부(4)에 포집될 수 있다. 제2필터부(4)에는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과 사이에 형성된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m)가 포집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과 제2필터부(4) 사이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m)는 접지(G)와 연결된 제2필터부(4)에 포집될 수 있다.
즉, 제2필터부(4)에는 대전부(1)에 의해 대전된 후 통로(P1)(P2)(P3)(P4)를 통과한 먼지입자(n)가 포집될 수 있고,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과 제2필터부(4) 사이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m)가 포집될 수 있다.
공기 중의 먼지입자(m)(n)는 대전부(1)에 의해 1차로 대전될 수 있고, 제1필터부(2)와 2필터부(4)에 의해 2차로 대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다단으로 대전된 먼지입자(m)(n)는 제2필터부(4)에 포집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가 대전부(1)와 제1필터부(2)와 제2필터부(4)를 모두 포함하게 되면, 전기집진장치는 대전부(1)와 제2필터부(4)를 포함하되 제1필터부(2)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보다 다량의 먼지입자가 제2필터부(4)에 효율적으로 포집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가 대전부(1)와 제1필터부(2)와 제2필터부(4)를 모두 포함하게 되면, 전기집진장치는 제1필터부(2)와 제2필터부(4)를 포함하되 대전부(1)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보다 다량의 먼지입자가 제2필터부(4)에 효율적으로 포집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는 대전부(1)에 의한 확산대전과, 제1필터부(2)와 제2필터부(4)에 의한 대전에 의해 먼지입자(m)(n)의 대전율이 향상될 수 있고, 보다 다량의 먼지입자(m)(n)가 제2필터부(4)에 포집될 수 있다.
이하, 대전부(1)와 제1필터부(2)와 제2필터부(4)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전부(1)는 공기 유동 방향(A)으로 복수개의 방전전극판(11)(12)(13)(14)(15) 이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발생기(1)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대전부(1)와 이온발생기(1)를 동일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온발생기(1)는 공기 유동 방향(A)으로 복수개의 방전전극판(11)(12)(13)(14)(15) 이전에 위치할 수 있고, 확산 대전을 이용하여 공기 유동 방향(A)으로 복수개의 방전전극판(11)(12)(13)(14)(15) 이전의 공간 상에 이온을 방출하여 먼지입자(n)를 대전할 수 있다. 이온발생기(1)는 그 크기가 제1필터부(2)의 전체 크기 보다 작을 수 있다. 이온발생기(1)는 코로나 방전을 하는 카본 파이버 전극(30)을 포함할 수 있고, 이온 발생량을 최대화할 수 있다. 카본 파이버 전극(30)은 브러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카본 파이버 전극(30)은 공기 유동 방향(A)으로 제1필터부(2)의 이전에 위치될 수 있다. 카본 파이버 전극(30)은 고전압이 인가되면, 방전되어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할 수 있고, OH-, O- 등의 음이온 또는 H+ 등의 양이온이 발생할 수 있다. 카본 파이버 전극(30)은 극세의 카본 파이버가 복수개가 브러시 다발로 묶인 것이 바람직하다. 카본 파이버 전극(30)는 공기 유동 방향(A)과 직교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카본 파이버 전극(30)에서 발생한 이온은 공기 중의 이물질을 하전한다. 음이온은 이물질에 전자를 제공하여 이물질을 음극으로 하전시킬 수 있다. 양이온은 이물질로부터 전자를 빼앗아 이물질을 양극으로 하전시킬 수 있다. 이온발생기(1)는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의 이격 방향(Y1)과 나란한 방향(Y2)으로 길 수 있다.
이온발생기(1)는 후술하는 고전압 발생기(6)에서 발생된 고전압에 의해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하여 이온을 발생할 수 있다. 이온발생기(1)는 카본 파이버 전극(30)에서 방전하여 공기 중 분자를 이온화하고, 이렇게 발생된 이온은 공기 중의 먼지입자(n)를 대전할 수 있다. 이온발생기(1)는 카본 파이버 전극(30)을 보호하는 전극 하우징(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온발생기(1)는 전극 하우징(32)이 공기조화기에 장착될 수 있다. 전극 하우징(32)에는 카본 파이버 전극(30)이 연결된 피시비(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카본 파이버 전극(30)은 별도의 와이어를 통해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피시비에 직접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온발생기(1)는 카본 파이버 전극(30)과 전극 하우징(32)과 피시비가 이온 발생모듈이 될 수 있다.
이온발생기(1)는 공기조화기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바디(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 이온발생기(1)는 전극 하우징(32)이 흡입바디에 장착될 수 있다.
이온발생기(1)는 한 쌍의 이온발생기(1A)(1B)가 함께 구비될 수 있고, 한 쌍의 이온발생기(1A)(1B)는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이온발생기(1A)(1B)는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의 이격 방향(Y1)과 나란한 방향(Y2)으로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이온발생기(1A)(1B)가 공기조화기에 설치될 경우 복수개의 방전전극판(11)(12)(13)(14)(15)의 최외곽 방전전극판(11)(15) 사이의 폭(L1) 보다 짧은 간격(L2)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전전극판(11)(12)(13)(14)(15)은 공기 유동 방향(A)으로 대전부(1) 후류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은 공기(Air)의 유동 방향(A)과 직교한 방향(Y1)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전전극판(11)(12)(13)(14)(15)은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전전극판(11)(12)(13)(14)(15)은 공기 유동방향(A)으로 후단(2B)이 제2필터부(4)를 마주볼 수 있다. 제1필터부(2)는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 사이에 빈 통로(P1)(P2)(P3)(P4)가 형성될 수 있고, 빈 통로(P1)(P2)(P3)(P4)는 대전부(1)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통과하는 유로가 될 수 있다. 제1필터부(2)의 빈 통로(P1)(P2)(P3)(P4)는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이 공기(Air)를 분산시키는 분산유로로 기능할 수 있다. 제1필터부(2)는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 사이에 별도의 대향 전극(접지 전극)이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필터부(2)는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의 사이에 별도의 대향 전극(즉, 접지 전극)이 설치되는 경우 보다 더 많은 방전 전극판(11)(12)(13)(14)(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필터부(2)가 차지하는 전체 공간이 동일할 경우, 제1필터부(2)가 별도의 대향 전극 없이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들(11)(12)(13)(14)(15)만 설치되면, 제1필터부(2)는 방전 전극판(11)(13)(15)과 대향 전극(미도시)을 교대로 설치하는 경우 보다 더 많은 방전 전극판들(11)(12)(13)(14)(1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은 그 사이에 대향 전극이 설치되지 않기 때문에,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들(11)(12)(13)(14)(15)끼리 서로 직접 마주볼 수 있다.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의 각각은 고전압 발생기(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필터부(2)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방전 전극판(11)(12)(13)(14)(15)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방전전극판(11)(12)(13)(14)(15)이 배치되는 제1필터케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전전극판(11)(12)(13)(14)(15)은 제1필터케이스(20) 내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제1필터케이스(20)는 복수개의 방전전극판(11)(12)(13)(14)(15)을 보호할 수 있다. 즉, 제1필터케이스(20)는 복수개의 방전전극판(11)(12)(13)(14)(15)을 보호하는 방전전극판 케이스일 수 있다.
제1필터케이스(20)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필터케이스(20)의 케이스부재는 공기(Air)가 통과하는 제1흡입 케이스(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흡입 케이스(21)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될 수 있고, 공기흡입구에는 흡입그릴(22)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Air)는 흡입케이스(21)의 흡입그릴(22)을 통과하여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제1필터케이스(20)의 케이스부재는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 사이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한 토출되는 제1토출케이스(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제1토출케이스(23)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고, 공기토출구에는 토출그릴(24)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는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 사이를 통과한 후 제1토출케이스(23)의 토출그릴(24)을 통과하여 제1토출케이스(23)를 빠져나올 수 있다.
제2필터부(4)는 공기 유동 방향(A)으로 제1필터부(2)의 후류에 위치될 수 있다. 제2필터부(4)는 접지(G)와 연결되어 방전 전극판(11)(12)(13)(14)(15)과 코로나 방전을 형성할 수 있다. 제2필터부(4)는 접지(G)와 연결되어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m)(n)가 집진될 수 있다. 고전압 발생기(6)에서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에 고전압을 인가하면,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의 각각과 제2필터부(4)의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될 수 있고, 공기 중의 입자(m))는 이러한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대전된 먼지입자(m)는 접지(G)와 연결된 제2필터부(4)에 붙는다.
제2필터부(4)는 공기의 유동 방향(A)으로 선단(4A)이 제1필터부(2)의 후단(2B)과 이격될 수 있다.
제2필터부(4)는 복수개 방전 전극판(11)(12)(13)(14)(15)의 이격 방향(Y1)과 나란한 방향(Y3)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필터부(4)는 금속 메쉬일 수 있다. 제2필터부(4)는 접지선(5)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는 제1필터부(2)와 제2필터부(4) 중 제2필터부(4)에만 이물질이 집진될 수 있고, 사용자 등의 작업자는 제2필터부(4)만을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서비스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2필터부(4)는 금속 메쉬로 구성될 경우, 제1필터부(2)의 제1필터케이스(20)와 이격되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제1필터부(2)의 제1필터케이스(20)에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1필터케이스(20)에는 제2필터부(4)가 착탈될 수 있는 제2필터부 착탈부(26)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경우 접지선(5)은 제1필터케이스(2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필터케이스(20)가 제1흡입케이스(21)와 제1토출케이스(23)를 모두 포함할 경우, 제2필터부 착탈부(26)는 제1토출 케이스(23)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접지선(5)은 제1토출 케이스(23)에 장착될 수 있다. 제2필터부 착탈부(26)는 제2필터(4)가 제1토출 케이스(23)에 슬라이딩 착탈되도록 제1토출 케이스(23)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필터부 착탈부(26)는 제2필터(4)가 제1토출 케이스(23)에 탄성 결합되도록 제1토출 케이스(23)에 형성된 후크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2필터부(4)는 제2필터부 착탈부(26)에 장착 완료되었을 때, 접지선(5)과 연결될 수 있고, 제2필터부 착탈부(26)에서 탈거될 때, 접진선(5)과 분리될 수 있다. 접지선(5)에는 제2필터부(4)와 접촉될 수 있는 접지단자(9)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접지단자(9)는 제2필터부(4)의 장착시 제2필터부(4)와 면접촉될 수 있는 면상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전압 발생기(6)는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 각각으로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고전압 발생기(6)는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과 고전압인가선(7)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전압인가선(7)은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과 상시 접촉될 수 있다.
고전압 발생기(6)는 하나가 이온발생기(1)와 제1필터부(2)의 각각으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기집진장치는 이온발생기(1)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제1고전압 발생기와, 제1필터부(2)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제2고전압 발생기를 각각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필터부(4)가 제2필터부 장착부(26)에 장착되었을때, 제2필터부(4)는 접지선(5)과 연결될 수 있다. 제2필터부(4)가 접지 연결된 상태에서, 고전압 발생기(6)가 작동되면, 고전압 발생기(6)는 제1필터부(2)의 복수개 방전 전극판(11)(12)(13)(14)(15) 각각으로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한편, 고전압 발생기(6)는 이온발생기(1)로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이온발생기(1)로 고전압이 인가되면, 이온발생기(1)는 확산 대전에 의해 음이온 또는 양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온발생기(1)에서 발생된 음이온 또는 양이온은 주변으로 확산될 수 있다.
복수개 방전 전극판(11)(12)(13)(14)(15)의 각각으로 고전압이 인가되면, 복수개 방전 전극판(11)(12)(13)(14)(15)의 각각과 제2필터부(4)의 사이에는 코로나 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
공기(Air)는 공기(Air)의 유동 방향(A)으로 제1필터부(2)의 이전을 통과할 수 있고, 이때, 이온발생기(1)에서 발생된 음이온 또는 양이온은 공기 중의 먼지입자를 대전할 수 있다. 공기 중의 먼지입자는 제1필터부(2)를 향해 유동되어, 복수개의 방전전극판(11)(12)(13)(14)(15)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로(P1)(P2)(P3)(P4)를 통과할 수 있고, 공기 중의 먼지입자는 복수개의 방전전극판(11)(12)(13)(14)(15)와 제2필터부(4) 사이(P5)에 형성된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될 수 있다. 이온발생기(1)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와 복수개의 방전전극판(11)(12)(13)(14)(15)와 제2필터부(4) 사이(P5)에서 대전된 먼지입자는 제2필터부(4)로 유동될 수 있고, 접지 연결된 제2필터부(4)에 부착되어 제2필터부(4)에 집진될 수 있다.
먼지입자(m)(n)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먼지입자(m)와,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먼지입자(n)가 공기중에 함께 혼합되어 유동될 수 있는데, 크기가 작은 먼지입자(n)는 이온발생기(1)에 의해 대전된 후 제2필터부(4)에 집진될 수 있고, 크기가 큰 먼지입자(m)은 복수개의 방전전극판(11)(12)(13)(14)(15) 사이(P5)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된 후 제2필터부(4)에 집진될 수 있다. 즉, 전기집진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먼지입자(m)(n)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2필터부(4)에 집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2실시예의 주요 구성이 도시된 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2실시예가 먼지를 집진할 때의 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2실시예의 주요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2실시예의 단면이 도시된 도이다.
본 실시예의 제2필터부(4')는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41)(42)(43)(44)(45)(46)(47)(48)(49)을 포함할 수 있고, 제2필터부(4')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1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필터부(4')는 공기(Air)의 유동 방향(A)으로 제1필터부(2)의 후류에 위치할 수 있고, 제2필터부(4')의 선단(4A)은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의 후단(2B)과 공기(Air)의 유동 방향(A)으로 이격될 수 있다.
제2필터부(4')는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41)(42)(43)(44)(45)(46)(47)(48)(49) 사이 각각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41)(42)(43)(44)(45)(46)(47)(48)(49)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측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 전극판의 하면과 하측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 전극판의 상면은 서로 마주볼 수 있다. 복수개의 접진 전극판(41)(42)(43)(44)(45)(46)(47)(48)(49)은 공기(Air)의 유동방향(A)으로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41)(42)(43)(44)(45)(46)(47)(48)(49)의 제1간격(D1)은 복수개 방전 전극판(11)(12)(13)(14)(15) 사이의 제2간격(D2) 보다 짧을 수 있다.
접지 전극판(41)(42)(43)(44)(45)(46)(47)(48)(49)은 방전 전극판(11)(12)(13)(14)(15) 보다 개수가 많을 수 있다.
제2필터부(4)는 공기 유동 방향(A)으로 선단(4A)이 제1필터부(2)의 빈 공간(S1)(S2)(S3)(S4)을 향하는 접지 전극판(42)(44)(46)(48)을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41)(42)(43)(44)(45)(46)(47)(48)(49)은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과 나란한 방향(A)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은 공기 유동 방향(A)과 나란할 수 있고,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41)(42)(43)(44)(45)(46)(47)(48)(49)은 공기 유동 방향(A)과 나란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41)(42)(43)(44)(45)(46)(47)(48)(49)은 복수개 방전 전극판(11)(12)(13)(14)(15)과 같이, 공기 유동 방향(A)과 직교한 방향(Y3)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41)(42)(43)(44)(45)(46)(47)(48)(49)은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이 서로 이격되는 방향(Y1)과 나란한 방향(Y3)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는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41)(42)(43)(44)(45)(46)(47)(48)(49)이 설치되는 제2필터케이스(5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41)(42)(43)(44)(45)(46)(47)(48)(49)은 제2필터케이스(5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2필터케이스(50)는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41)(42)(43)(44)(45)(46)(47)(48)(49)을 보호할 수 있다. 제2필터케이스(50)은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41)(42)(43)(44)(45)(46)(47)(48)(49)을 보호하는 접지 전극판 케이스일 수 있다.
제2필터케이스(50)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필터케이스(50)의 케이스부재(51)(53)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제2흡입 케이스(51)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기흡입구에는 흡입그릴(52)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Air)는 제2흡입케이스(51)의 흡입그릴(52)을 통과하여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41)(42)(43)(44)(45)(46)(47)(48)(49)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제2필터케이스(50)의 케이스부재는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41)(42)(43)(44)(45)(46)(47)(48)(49) 사이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한 토출되는 제2토출케이스(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제2토출케이스(53)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고, 공기토출구에는 토출그릴(54)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는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41)(42)(43)(44)(45)(46)(47)(48)(49) 사이를 통과한 후 제2토출케이스(53)의 토출그릴(54)을 통과하여 제2필터케이스(50)를 빠져 나올 수 있다.
제2필터부(4')는 접지선(5)과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는 제1필터부(2)와 제2필터부(4') 중 제2필터부(4')에만 이물질이 집진될 수 있고, 사용자 등의 작업자는 제2필터부(4')만을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서비스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제2필터부(4')에는 제1접지선(5A)이 연결될 수 있다. 제1접지선(5A)은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41)(42)(43)(44)(45)(46)(47)(48)(49)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는 접지(G)와 연결된 제2접지선(5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접지선(5A)과 제2접지선(5B)는 연결,분리될 수 있다. 제1접지선(5A)은 제2필터케이스(50)에 설치될 수 있다. 제2접지선(5B)은 제2필터케이스(50)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필터케이스(50)는 제1필터케이스(20)에 착탈되는 것이 가능하고, 제1필터케이스(20) 이외에 후술하는 필터가이드(미도시)에 착탈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필터케이스(50)가 제1토출 케이스(23)에 착탈될 경우, 제1토출 케이스(23)에는 제2필터케이스(50)가 장착되는 제2필터케이스 착탈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접지선(5B)은 제2필터케이스 착탈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2필터케이스 착탈부는 제2필터케이스(50)가 제1토출케이스(23)에 슬라이딩 착탈되도록 제1토출케이스(23)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2필터 케이스 착탈부는 제2필터케이스(50)가 제1토출 케이스(23)에 탄성 결합되도록 제1토출 케이스(23)에 형성된 후크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제1접지선(5A)과 제2접지선(5B)은 제2필터케이스(50)가 제2필터부 착탈부에 장착 완료되었을 때, 연결될 수 있고, 제2필터케이스(50)가 제2필터부 착탈부에 에서 탈거될 때,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제1접지선(5A)에는 제1접지단자(9A)가 연결되는 것이 가능하고, 제2접지선(5B)에는 제1접지단자(9A)가 접촉,분리되는 제2접지단자(9B)가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기집진장치는 고전압 발생기(6)의 작동시 공기(Air) 중의 먼지입자가 본 발명 일실시예와 같이, 이온발생기(1)에 의해 확산 대전될 수 있고, 복수개 방전전극판(11)(12)(13)(14)(15)과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41)(42)(43)(44)(45)(46)(47)(48)(49) 사이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될 수 있다. 이온발생기(1)에 의해 확산대전된 먼지입자(m)와, 제1필터부(2)와 제2필터부(4') 사이(D5)에서 대전된 먼지입자(n)는 접지(G)와 연결된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41)(42)(43)(44)(45)(46)(47)(48)(49)에 분산되어 집집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3실시예의 주요 구성이 도시된 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3실시예가 먼지를 집진할 때의 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3실시예의 주요 구성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 제3실시예의 단면이 도시된 도이다.
대전부(1')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와이어 방전극(34)(35)과, 와이어 방전극(34)(35)과 이격되고 접지 연결되는 대향 전극판(36)(37)(38)을 포함할 수 있고, 대전부(1') 이외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개의 대향 전극판(36)(37)(38) 사이에는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11)(12)(13)(14)(15) 사이의 통로(P1)(P2)(P3)(P4)를 마주보는 프론트 공간(S1)(S2)이 형성될 수 있다.
전기집진장치는 와이어 방전극(34)(35)과, 대향 전극판(36)(37)(38)이 설치되는 제3필터케이스(7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방전극(34)(35)과, 대향 전극판(36)(37)(38)은 제3필터케이스(7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3필터케이스(70)는 와이어 방전극(34)(35)과, 대향 전극판(36)(37)(38)을 보호할 수 있다. 제3필터케이스(70)은 와이어 방전극(34)(35)과, 대향 전극판(36)(37)(38)을 보호하는 대전부 케이스일 수 있다.
제3필터케이스(70)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3필터케이스(70)의 케이스부재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흡입구가 형성된 제3흡입 케이스(71)를 포함할 수 있고, 공기흡입구에는 흡입그릴(72)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Air)는 제3흡입케이스(71)의 흡입그릴(72)을 통과하여 복수개의 대향 전극판(36)(37)(38) 사이를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제3필터케이스(70)의 케이스부재는 복수개의 대향 전극판(36)(37)(38) 사이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한 토출되는 제3토출케이스(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제3토출케이스(73)에는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토출구가 형성될 수 있고, 공기토출구에는 토출그릴(74)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는 복수개의 대향 전극판(36)(37)(38) 사이를 통과하면서,와이어 방전극(34)(35)과 대향 전극판(36)(37)(38) 사이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대전되고, 이후 한 후 제3 출케이스(7)의 토출그릴(7)을 통과하여 제3 터케이스(7)를 빠져 나올 수 있다.
대전부(1')는 고전압 발생기(6)에 연결될 수 있다. 대전부(1')는 와이어 방전극(34)(35) 각각이 고전압 발생기(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대향 전극판(36)(37)(38)이 접지(G)와 연결될 수 있다.
고전압 발생기(6)는 하나가 대전부(1')의 와이어 방전극(34)(35)과,
제1필터부(2)의 방전전극판(11)(12)(13)(14)(15)으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기집진장치는 대전부(1')의 와이어 방전극(34)(35)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제1고전압 발생기와, 제1필터부(2)의 방전전극판(11)(12)(13)(14)(15)으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제2고전압 발생기를 각각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기집진장치는 고전압 발생기(6)의 작동시 대전부(1')의 와이어 방전극(34)(35)와, 대전부(1')의 대향 전극판(36)(37)(38)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필터부(2)의 복수개 방전전극판(11)(12)(13)(14)(15)과 제2필터부(4) 사이에 또 다른 코로나 방전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중의 먼지입자는 대전부(1')를 통과하면서 1차적으로 대전될 수 있고, 이렇게 대전된 먼지입자는 복수개 방전전극판(11)(12)(13)(14)(15) 사이의 빈 통로(P1)(P2)(P3)(P4)를 통과하여, 복수개 방전전극판(11)(12)(13)(14)(15)과 제2필터부(4)의 사이로 유동될 수 있다.대전부(1')에서 1차적으로 대전된 먼지입자는 제1필터부(2)의 복수개 방전전극판(11)(12)(13)(14)(15)과 제2필터부(4) 사이를 통과하면서 2차적으로 대전될 수 있고, 이렇게 대전된 먼지입자는 접지 연결된 제2필터부(4)에 집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집진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일실시예가 도시된 도이다.
전기집진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전기집진장치로 송풍시키는 송풍기(80)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80)는 실내의 공기(Air)를 대전부(1)(1')와 제1필터부(2)와 제2필터부(4)(4')의 순서로 유동시킬 수 있다. 송풍기(80)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대전부(1)(1')를 향해 유동되고, 이후 제1필터부(2)와, 제2필터부(4)(4')의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I)와,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토출구(O)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청정시키는 공기청정기로 구성될 경우, 전기집진장치와, 송풍기(8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청정시킬 수 있고, 실내를 냉방시키는 공기청정 냉방기로 구성될 경우, 전기집진장치와, 송풍기(80)를 포함할 수 있고,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청정시킬 수 있고, 실내를 난방시키는 공기청정 난방기로 구성될 경우, 전기집진장치와, 송풍기(80)를 포함할 수 있고,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90)와, 전기로 열을 발생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흡입구(I)가 형성되고, 전기집진장치(1)가 착탈되는 필터 가이드(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 가이드(100)는 본 발명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전기집진장치의 제1필터케이스(20)가 착탈되는 제1필터케이스 착탈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제1필터케이스(20)는 필터 가이드(100)에 장착될 수 있고, 필터 가이드(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필터 가이드(100)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제2필터케이스(50)가 착탈되는 제2필터케이스 착탈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제2필터케이스(50)는 필터 가이드(100)에 장착될 수 있고, 필터 가이드(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필터 가이드(100)는 본 발명 제3실시예의 제3필터케이스(70)가 착탈되는 제3필터케이스 착탈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제3필터케이스(70)는 필터 가이드(100)에 장착될 수 있고, 필터 가이드(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제2필터부(4)는 제1필터케이스(20)에 착탈되지 않고, 공기조화기의 필터 가이드(100)에 장착될 수 있고, 필터 가이드(100)에서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공기(Air)의 유동방향(A)으로 공기흡입구(I)와, 대전부(1)(1‘)와, 제1필터부(2)와, 제2필터부(4)와, 송풍기(80)와, 공기토출구(O)의 순서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청정시킨 후 실내로 다시 토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Air)의 유동방향(A)으로 대전부(1)(1‘)와, 공기흡입구(I)와, 제1필터부(2)와, 제2필터부(4)와, 송풍기(80)와, 공기토출구(O)의 순서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청정시킨 후 실내로 다시 토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Air)의 유동 방향(A)으로 대전부(1)와 제1필터부(4)의 사이에 위치되는 프리필터(110)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공기조화기는 공기(Air)의 유동방향(A)으로 대전부(1)(1‘)와, 공기흡입구(I)와, 프리필터(110)와, 제1필터부(2)와, 제2필터부(4)와, 송풍기(80)와, 공기토출구(O)의 순서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공기(Air)의 유동 방향(A)으로 대전부(1‘) 이전에 위치되는 프리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공기조화기는 송풍기(80)의 작동시, 고전압발생기(6)가 온되는 것이 가능하고, 전기집진장치는 송풍기(8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켜 집진할 수 있다.
1, 1': 대전부 2: 제1필터부
4,4': 제2필터부 6: 고전압발생기
11,12,13,14,15: 방전 전극판
41,42,43,44,45,46,47,48,49: 접지 전극판

Claims (15)

  1.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와;
    이격된 복수개의 방전전극판을 갖고 상기 복수개의 방전전극판 사이에 상기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 제1필터부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 방전 전극판의 후류에 위치하고, 접지와 연결되어 상기 방전 전극판과 코로나 방전을 형성하며 대전된 입자가 포집되는 제2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방전전극판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대전부 후류에 위치하는 전기집진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방전전극판은 공기 유동방향으로 후단이 상기 제2필터부를 마주보는 전기집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필터부는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 사이에 빈 통로가 형성된 전기집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방전전극판 이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발생기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온발생기는 상기 복수개의 방전전극판의 최외곽 방전전극판 사이의 폭 보다 짧은 간격으로 이격된 한 쌍을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이온발생기는 상기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의 이격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긴 전기집진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와이어 방전극과, 상기 와이어 방전극과 이격되고 접지 연결되는 대향 전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대향 전극판 사이에는 상기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 사이의 통로를 마주보는 프론트 공간이 형성된 전기집진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부는 접지 연결된 금속 메쉬인 전기집진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필터부는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을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 사이의 제1간격은 상기 복수개 방전 전극판 사이의 제2간격 보다 짧고,
    상기 복수개의 접지 전극판은 상기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 보다 개수가 많은 전기집진장치.
  12.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켜 포집하는 전기집진장치와; 공기를 전기집진장치로 송풍시키는 송풍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공기 중의 먼지를 대전시키는 대전부와;
    이격된 복수개의 방전전극판을 갖고 상기 복수개의 방전전극판 사이에 상기 대전부에 의해 대전된 먼지입자가 통과하는 통로가 형성된 제1필터부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 방전 전극판의 후류에 위치하고, 접지와 연결되어 상기 방전 전극판과 코로나 방전을 형성하며 대전된 입자가 포집되는 제2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방전전극판은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대전부 후류에 위치하는 전기집진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13. 삭제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는 공기 유동 방향으로 상기 복수개의 방전전극판 이전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이온발생기를 포함하는 전기집진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부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와이어 방전극과, 상기 와이어 방전극과 이격되고 접지 연결되는 대향 전극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대향 전극판 사이에는 상기 복수개의 방전 전극판 사이의 통로을 마주보는 프론트 공간이 형성된 전기집진장치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0140085435A 2014-07-08 2014-07-08 전기집진장치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199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435A KR102199377B1 (ko) 2014-07-08 2014-07-08 전기집진장치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EP15818174.3A EP3166728B1 (en) 2014-07-08 2015-07-07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US15/324,601 US10537901B2 (en) 2014-07-08 2015-07-07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PCT/KR2015/006990 WO2016006906A1 (en) 2014-07-08 2015-07-07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CN201580048090.4A CN106660055B (zh) 2014-07-08 2015-07-07 电集尘装置和包括其的空气调节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435A KR102199377B1 (ko) 2014-07-08 2014-07-08 전기집진장치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062A KR20160006062A (ko) 2016-01-18
KR102199377B1 true KR102199377B1 (ko) 2021-01-06

Family

ID=55064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435A KR102199377B1 (ko) 2014-07-08 2014-07-08 전기집진장치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37901B2 (ko)
EP (1) EP3166728B1 (ko)
KR (1) KR102199377B1 (ko)
CN (1) CN106660055B (ko)
WO (1) WO20160069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43339A1 (en) * 2016-06-06 2019-05-16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harger, electric dust collector, ventilator, and air cleaner
KR102167328B1 (ko) * 2017-04-27 2020-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WO2019132554A1 (en) * 2017-12-27 2019-07-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rging apparatus and precipitator
KR102216411B1 (ko) 2018-05-25 202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집진 필터
CN109579145A (zh) * 2018-11-28 2019-04-05 云森威尔智能环境(深圳)有限公司 一种新型鲜风空调室内机
DE102018220720A1 (de) * 2018-11-30 2020-06-04 BSH Hausgeräte GmbH Elektrostatisches Filtermodul für Luftreiniger und Luftreiniger
US11541343B2 (en) * 2018-12-14 2023-01-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ical appliance with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device using carbon fiber
KR102616653B1 (ko) 2018-12-14 2023-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섬유 대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가전기기
TWI695163B (zh) * 2018-12-19 2020-06-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粒狀物感測裝置
KR102306438B1 (ko) 2019-05-02 2021-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집진 장치
SE543657C2 (sv) * 2019-10-04 2021-05-18 Renluftsteknik I Goeteborg Ab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en joniseringsstav, samt joniseringsstav framställd enligt förfarandet
KR20220113718A (ko) * 2019-12-27 2022-08-16 가부시키가이샤 크리에이티브 테크놀러지 전기 집진기
KR102269279B1 (ko) * 2020-03-18 2021-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WO2023090595A1 (ko) * 2021-11-17 2023-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132315A (ko) * 2022-03-08 2023-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78066A (en) * 1959-05-07 1961-04-04 Honeywell Regulator Co Gas cleaning apparatus
US4231766A (en) * 1978-12-11 1980-11-04 United Air Specialists, Inc. Two stage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electric field induced airflow
US4689056A (en) * 1983-11-23 1987-08-25 Nippon Soken, Inc. Air cleaner using ionic wind
JPS60122062A (ja) * 1983-12-05 1985-06-29 Nippon Soken Inc 空気清浄器
JPS60132661A (ja) * 1983-12-20 1985-07-15 Nippon Soken Inc 空気清浄器
DE3888785T2 (de) * 1987-05-21 1994-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taubsammelelektrode.
JPH054056A (ja) * 1990-11-30 1993-01-14 Toshiba Corp 電気集塵機
JP3358008B2 (ja) 1994-01-31 2002-12-16 株式会社エルデック 電気集塵装置
US5707428A (en) * 1995-08-07 1998-01-13 Environmental Elements Corp. Laminar flow electrostatic precipitation system
JPH1043629A (ja) * 1996-08-08 1998-02-17 Daikin Ind Ltd 空気清浄機
US6152988A (en) 1997-10-22 2000-11-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nhancement of electrostatic precipitation with precharged particles and electrostatic field augmented fabric filtration
US6245126B1 (en) 1999-03-22 2001-06-12 Enviromental Elements Corp. Method for enhancing collection efficiency and providing surface sterilization of an air filter
US6635106B2 (en) * 2000-03-03 2003-10-21 Matsushita Seiko Co., Ltd.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US7381381B2 (en) 2002-02-12 2008-06-03 Sharper Image Corporation Air treatment apparatus having an interstitial electrode operable to affect particle flow
JP3997941B2 (ja) * 2003-03-28 2007-10-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集塵装置
CN2776556Y (zh) * 2005-03-26 2006-05-03 麦翠媚 紧凑型卧式空气清新器
JP2006281135A (ja) * 2005-04-01 2006-10-19 Denso Corp 集塵装置
WO2006135353A1 (en) * 2005-04-29 2006-12-21 Kronos Advanced Technologies, Inc. Electrostatic air cleaning device
CN102123794B (zh) * 2008-08-21 2013-06-1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集尘器
KR101860489B1 (ko) * 2009-10-28 2018-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US20120000627A1 (en) 2010-06-30 2012-01-05 Tessera, Inc. Electrostatic precipitator pre-filter for electrohydrodynamic fluid mover
WO2013065206A1 (ja) * 2011-11-02 2013-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微生物・ウイルスの捕捉・不活化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989098B1 (ko) * 2012-07-05 2019-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집진장치
CN203291964U (zh) * 2013-06-17 2013-11-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气净化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062A (ko) 2016-01-18
EP3166728A4 (en) 2018-03-21
US20170203305A1 (en) 2017-07-20
US10537901B2 (en) 2020-01-21
CN106660055B (zh) 2019-06-18
CN106660055A (zh) 2017-05-10
EP3166728B1 (en) 2022-02-16
WO2016006906A1 (en) 2016-01-14
EP3166728A1 (en) 2017-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377B1 (ko) 전기집진장치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242769B1 (ko) 전기집진장치 및 그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199381B1 (ko) 공기조화기용 공기청정기구
KR102407846B1 (ko) 공기조화장치
KR100859840B1 (ko) 토출구측에 이온발생기가 장착된 전기집진방식의공기정화장치
KR102102759B1 (ko) 이온발생기 및 이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1989098B1 (ko) 집진장치
KR101936632B1 (ko) 공기조화기
WO2007145330A1 (ja) 集塵装置
WO2016163335A1 (ja) 荷電装置及び電気集塵機
KR20160094615A (ko) 전기집진기 및 그 전기집진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 시스템
KR102205159B1 (ko) 집진 필터
CN111318372A (zh) 具有使用碳纤维的静电集尘装置的电器
KR20160090459A (ko) 공기체류시간을 연장한 공기청정기
JP4451740B2 (ja) 空気清浄器及び空気調和機
JPS59209664A (ja) 送風装置
KR102245951B1 (ko) 전기집진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5696718B2 (ja) 放電ユニット及び空気清浄機
CN207667825U (zh) 一种基于电凝并的空气净化装置
JP6508356B2 (ja) 放電デバイス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CN209084924U (zh) 一种除尘组件及其空调器
KR20180007766A (ko) 전기집진장치
JP2001179130A (ja) 空気清浄装置
CN109967238B (zh) 一种基于电凝并技术的微颗粒净化装置
JP2022147333A (ja) 荷電装置及び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