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159B1 - 집진 필터 - Google Patents

집진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159B1
KR102205159B1 KR1020180059893A KR20180059893A KR102205159B1 KR 102205159 B1 KR102205159 B1 KR 102205159B1 KR 1020180059893 A KR1020180059893 A KR 1020180059893A KR 20180059893 A KR20180059893 A KR 20180059893A KR 102205159 B1 KR102205159 B1 KR 102205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dust collecting
dielectric filter
electrode
ground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362A (ko
Inventor
현옥천
민준호
백승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9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5159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가 들어오는 제1 면과 들어온 공기가 배출되는 제2 면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필터링 하는 유전체 여과재와; 상기 제1 면의 상류(upstream)에 배치되는 방전전극 및 상기 방전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면 방향으로 이온을 방출하여 상기 유전체 여과재의 분극을 유도하는 이온발생장치와; 상기 제2 면의 하류(downstream)에 배치되는 전도성 재질의 접지전극으로 구성되어, 항상 일정한 정전기력을 갖게 됨으로써 집진 성능이 지속되는 집진 필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집진 필터 {Electric dust collector}
본 발명은 집진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온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유전체 필터의 분극을 유도하는 집진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진 필터는 공기청정기, 냉방기나 난방기 등의 공기조화기에 장착되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집진 필터는 정전기 처리된 유전체 여과재를 이용하거나, 유전체 여과재를 메쉬스크린(mesh screen)과 같은 금속망 형태의 전극 사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전극 사이에 일정크기의 전압을 인가하는 방식이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정전기가 처리된 유전체 여과재를 이용한 집진 필터는 실사용시 먼지가 포집됨에 따라 정전기력이 손실되어 급격한 성능 저하가 나타난다. 유전체 여과재를 전극 사이에 위치시키는 집진 필터로 성능 저하 현상을 개선할 수 있으나, 이는 유전체 여과재 전, 후방의 전체면에 접촉하는 전극으로 인한 압력 손실의 증가로 소정의 공기유량 만들기 위해 송풍기의 전력 소비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전체 여과재의 전, 후방의 전극은 전극사이의 접촉문제 해결을 위해 절연 코팅을 요하여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유전체 여과재의 전면적의 두께가 고르게 형성될 수 없기 때문에 전기장이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집진 편차가 크게되는 문제가 있다.
KR1020110128465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정의 집진 성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집진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유전체 여과재를 간단한 방법으로 분극화 할 수 있는 집진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집진 필터의 전, 후방 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차이를 감소하여 송풍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이 감소될 수 있는 집진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유전체 여과재의 전체면에 걸쳐서 분극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집진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제조 공정이 단순화 될 수 있는 집진 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집진 필터는 공기가 들어오는 제1 면과 들어온 공기가 배출되는 제2 면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유전체 여과재; 상기 제1 면을 향하여 이온이 방출 되도록 상기 제1 면의 상류(upstream)에 배치되는 방전전극과 상기 방전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를 포함하는 이온발생장치; 및 상기 제2 면의 하류(downstream)에 배치되는 전도성 재질의 접지전극; 을 포함한다.
상기 유전체 여과재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전체 여과재는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복수의 골이 구비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전전극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면에 구비된 복수의 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전극은 상기 제2 면에 구비된 복수의 골에 대응하는 위치에 공기유동 방향과 수평한 평판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전극은 상기 제2 면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지전극은 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구조를 갖는 기공성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접지전극은 전도성 섬유를 패터닝한 기공성 전극일 수 있다.
상기 고전압 발생기는 상기 방전전극에 펄스 네거티브(pulse negative)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집진 필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유전체 여과재의 상류에 이온을 발생하는 이온발생장치가 배치되고, 하류에 접지전극이 배치되어 공기가 들어오는 유전체 여과재의 제1 면에 상기 이온발생장치에 의하여 발생되는 이온이 쌓이게 되므로, 유전체 여과재에 소정의 정전기력이 발생되어 집진성능이 지속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유전체 여과재에 이온이 쌓이게 됨으로써, 유전체 여과재가 간단하게 분극화 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유전체 여과재의 상류측에 방전전극과 하류측에 기공성 접지전극이 배치되므로 집진 필터의 전, 후방 사이에 발생되는 압력의 차이를 감소하여 송풍장치에 공급되는 전력이 감소되는 장점도 있다.
넷째, 유전체 여과재의 전체면에 걸쳐, 이온발생장치의 방전전극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됨과 아울러, 이온발생장치에 의하여 발생되는 이온을 유도하는 접지전극이 부직포 구조로 배치되기 때문에 유전체 여과재는 전체면에 걸쳐서 분극상태가 균일하고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장점도 있다.
다섯째, 유전체 여과재의 상류에 이온발생장치가 배치되고, 하류에 접지전극이 배치되며, 유전체 여과재는 상기 접지전극에 지지되어 설치되므로, 집진필터의 제조 공정이 단순화 되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1의 유전체 여과재와 접지전극의 단면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는 접지전극의 일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는 접지전극의 부직포 구조의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이미지(SEM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전극의 전도성 섬유와 이를 패터닝한 접지전극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를 갖는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집진 필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10)는, 공기에 함유된 먼지등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유전체 여과재(30)와,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장치(20)와, 상기 유전체 여과재(30)를 사이에 두고 이온발생장치(20)와 대향되게 배치된 접지전극(40)을 포함한다.
한편, 집진 필터(10)에 의하여 여과되는 공기는 후술하는 소정의 송풍기에 의하여 집진 필터(10)를 통과한다. 유전체 여과재(30) 또는 접지전극(40)이 부착된 유전체 여과재(30)는 필터 케이스(미도시)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유전체 여과재(30)는 유전체 재질의 파이버(33)로 제조될 수 있고, 공기가 들어오는 제1 면(31)과 공기가 배출되는 제2 면(32)을 구비한다. 유전체 여과재(30)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유전체 여과재(30)는 정전기 처리된 유전체 여과재일 수 있다.
이온발생장치(20)는 유전체 여과재(30)의 상류측에 제1 면(31)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방전전극(21)과, 방전전극(21)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22)를 포함하고, 방전전극(21)에 고전압이 인가되면 유전체 여과재(30)의 제1 면(31)을 향하여 이동되는 공기에 함유된 물질의 분자가 대전되어 이온이 발생된다.
고전압 발생기(22)는 방전전극(21)에 펄스 네거티브(pulse negative) 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방전전극(21)에 펄스 네거티브(pulse negative)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양의 전압을 인가하는 방전에 비해 방전개시 전압이 낮고, 불꽃 방전개시 전압이 높으며, 안정성이 있으므로 보다 많은 코로나 전류를 흘릴 수 있어 보다 큰 전계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방전전극(21)은 제1 면(31)에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고, 제1 면(31) 방향으로 이온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이온 중 음이온은 방전전극(21)에 인가된 음전압에 의하여 제1 면(3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은 유전체 여과재(30)의 분극을 유도할 수 있다. 방전전극(21)은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방전전극(21)은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전전극(21)의 상기 전도성 소재는 카본 파이버, Steel use stainless(이하, SUS라 함), 또는 텅스텐 소재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접지전극(40)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지전극(40)은 유전체 여과재(30)와 접촉하게 설계될 수 있고, 제2 면(32)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유전체 여과재(30)를 지지할 수 있다. 접지전극(40)은 접지되어, 이온발생장치(20)에서 발생된 이온이 유전체 여과재(30) 방향으로 방출 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제1 면(31)과 제2 면(32)의 전위차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2는 도1의 유전체 여과재와 접지전극의 단면의 확대도이다.
이온발생장치에서 방출된 음이온은 유전체 여과재의 제1 면(31) 또는 유전체 여과재를 이루는 유전체 파이버(33)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에 의하여 유전체 파이버(33)는 제1 면(31)방향으로 +극, 제2 면 방향으로 -극으로 분극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는 접지전극의 일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는 접지전극의 부직포 구조의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이미지(SEM 이미지)로서, 도 4 (a)는 Metal 파이버를 이용한 다양한 형상의 부직포 구조이고, 도 4 (b)는 카본 파이버를 이용한 부직포 구조이다. 상기 카본 파이버는 그래핀 파이버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전극의 전도성 섬유와 이를 패터닝한 접지전극의 정면도이다.
접지전극(40)은 전도성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접지전극은 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구조의 기공성 전극(40a)일 수 있고, 전도성 섬유를 패터닝한 기공성 전극(40b)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섬유는 카본파이버 또는 메탈파이버일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10)는 공기에 함유된 먼지등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유전체 여과재(300)와, 유전체 여과재(300)의 상류측에 제1 면(310)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방전전극(210a, 210b)을 포함하는 이온발생장치(20)와, 상기 유전체 여과재(300)를 사이에 두고 이온발생장치(20)와 대향되게 배치된 접지전극(400a)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전체 여과재(300)는 공기가 들어오는 제1 면(310)과 공기가 배출되는 제2 면(320)을 구비할 수 있다. 유전체 여과재(300)는 유전체 파이버(330)로 형성될 수 있다. 유전체 여과재(300)는 제1 면(310) 및 제2 면(320)에 복수의 골이 구비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방전전극(21)의 상기 전도성 소재는 카본 파이버를 포함 할 수 있다. 카본 파이버 소재의 방전전극(210a)은 브러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면(310)의 골에 대응하는 위치에 격자 방식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카본 파이버 소재의 방전전극(210a)은 극세의 카본 파이버가 복수개가 브러시 다발로 묶인 것이 바람직하다.
방전전극(21)의 상기 전도성 소재는 SUS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방전전극(210b)은 봉 형상, 침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면(310)의 골에 대응하는 위치에 격자 방식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접지전극(400a)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지전극(400a)은 유전체 여과재(300)와 맞물리도록, 제2 면(320)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유전체 여과재(300)의 절곡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와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의 차이점은 유전체 여과재가 제1 면(310) 및 제2 면(320)에 복수의 골을 갖도록 절곡되어 형성된 점에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공기중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는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10)는 유전체 여과재(300)의 상류측에 제1 면(310)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방전전극(210c)을 포함하는 이온발생장치(20)와, 상기 유전체 여과재(300)를 사이에 두고 이온발생장치(20)와 대향되게 배치된 접지전극(40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1 또는 제2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전전극(210c)은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전전극(210c)의 전도성 소재는 SUS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방전전극(210c)은 평판 형상으로 제1면(310)의 골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복수의 골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방전전극(210c)이 평판 형상인 경우, 고전압 발생기에서 펄스 포지티브(pulse positive)의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펄스 포지티브(pulse positive)의 고전압이 인가될 경우, 펄스 네거티브(pulse negative)의 고전압이 인가될 경우에 비해 오존 발생량이 감소 할 수 있다.
접지전극(400b)은 제2 면(320)에 구비된 복수의 골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 면(320)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접지전극(400b)은 평판형상의 접지전극(400b)으로, 제2 면(320)에 구비된 골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평판형상의 접지전극(400b)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평판형상의 접지전극(400b)은 접지되어, 이온발생장치(20)에서 발생된 이온이 유전체 여과재(30) 방향으로 방출 되도록 유도할 수 있고, 제1 면(310)과 제2 면(320)의 전위차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방전전극(210d)은 전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방전전극(210d)은 텅스텐 소재의 와이어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와이어 전극은 제1 면(310)의 골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복수의 골에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개의 와이어 전극이 배치될 수 있다.
방전전극(210d)이 와이어 전극인 경우, 고전압 발생기에서 펄스 포지티브(pulse positive)의 고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외의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 제3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동일부호를 사용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필터를 갖는 공기조화기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집진 필터(10)를 갖는 공기조화기(100)는 유전체 여과재(30)가 배치되는 필터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는 공기조화기의 전원이 꺼진 상태로 공기조화기로부터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공기를 집진 필터(10)로 송풍시키는 송풍기(102)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02)는 실내의 공기를 이온발생장치(20)와 유전체 여과재의 제1 면(31), 제2 면(32), 과 접지전극(40)의 순서로 유동시킬 수 있다. 송풍기(102)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이온발생장치(20)를 향해 유동되고, 이후 제1 면(31), 제2 면(32)과 접지전극(40)을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실내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구(I)와, 공기조화기 내부에서 공조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토출구(O)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공기를 청정시키는 공기청정기로 구성될 경우, 집진 필터(10)와, 송풍기(102)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00)는 공기를 청정시킬 수 있고, 실내를 냉방시키는 공기청정 냉방기로 구성될 경우, 집진 필터(10)와, 송풍기(102)를 포함할 수 있고,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를 청정시킬 수 있고, 실내를 난방시키는 공기청정 난방기로 구성될 경우, 집진 필터(10)와, 송풍기(102)를 포함할 수 있고, 냉매를 공기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04)와, 전기로 열을 발생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의 유동방향(A)으로 공기흡입구(I)와, 이온발생장치(20)와, 제1 면(31)과, 제2 면(32)과, 송풍기(102)와, 공기토출구(O)의 순서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청정시킨 후 실내로 다시 토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공기의 유동 방향(A)으로 이온발생장치(20) 이전에 위치되는 프리필터(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 공기조화기는 공기의 유동방향(A)으로 공기흡입구(I)와, 프리필터(미도시)와, 이온발생장치(20)와, 제1 면(31)과, 제2 면(32)과, 접지전극과, 송풍기(102)와, 공기토출구(O)의 순서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공기조화기는 송풍기(102)의 작동시, 고전압 발생기(22)가 온되는 것이 가능하고, 집진 필터는 송풍기(102)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집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집진 필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접지전극(40)이 접지된 상태에서, 고전압 발생기(22)가 작동되면, 고전압 발생기(22)는 방전전극(21)으로 펄스 네거티브(pulse negative)의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다.
방전전극(21)으로 펄스 네거티브(pulse negative)의 고전압이 인가되면, 방전전극(21)과 접지전극(40)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코로나 방전에 공기에 함유된 물질의 분자가 대전되어 음이온 또는 양이온이 발생되고, 방전전극(21)에 인가된 음전압과 제 2면의 접지전극의 전위차에 의해 음이온이 제 1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1 면(31)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음이온은 제1 면(31)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에 의한 제1 면(31) 과 접지전극(40)의 전위차에 의한 전기장으로 인하여 유전체 파이버(33)는 제1 면(31)방향으로 +극, 제2 면 방향으로 -극으로 분극될 수 있다. 이온발생장치에서 방출된 음이온은 유전체 여과재의 유전체 파이버(33)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에 의하여 유전체 파이버(33)는 제1 면(31)방향으로 +극, 제2 면 방향으로 -극으로 분극될 수 있다.
공기는 공기의 유동 방향(A)으로 방전전극(21)를 통과할 수 있다. 공기에 함유된 먼지등의 이물질은 이온발생장치에서 발생된 이온이 불규칙한 열운동으로 확산하게 되어 상기 이물질에 부착되는 확산대전에 의해 대전될 수 있고, 대전되지 않은 채 유전체 필터로 흐를 수 있다.
공기 중의 대전된 이물질은 제1 면(31)을 향해 유동되어 분극된 유전체 파이버(33)에 부착되어 유전체 여과재(30)에 포집될 수 있다. 공기 중의 대전되지 않은 이물질은 분극된 유전체 파이버(33)에 접근하면서, 분극이 일어나게 되어 일시적으로 쌍극자 모멘트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대전되지 않은 이물질 또한 분극된 유전체 파이버(33)에 부착되어 유전체 여과재(30)에 포집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집진 필터 20 : 이온발생장치
21 : 방전전극 22 : 고전압 발생기
30 : 유전체 여과재 31 : 제1 면
32 : 제2 면 33 : 유전체 파이버
40 : 접지전극 100 : 공기조화기
102 : 송풍기 104 : 열교환기
I : 공기흡입구 O : 공기토출구

Claims (10)

  1. 공기가 들어오는 제1 면과 들어온 공기가 배출되는 제2 면을 구비하고, 상기 공기에 함유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유전체 여과재;
    상기 제1 면을 향하여 이온이 방출되도록 상기 제1 면의 상류(upstream)에 배치되는 방전전극과 상기 방전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기를 포함하는 이온발생장치; 및
    상기 제2 면의 하류(downstream)에 배치되는 전도성 재질의 접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여과재는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복수의 골이 구비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방전전극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1 면에 구비된 복수의 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접지전극은 상기 유전체 여과재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2 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유전체 여과재의 절곡을 지지하며,
    상기 고전압 발생기는 상기 방전전극에 펄스 네거티브(pulse negative) 전압을 인가하는 집진 필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전극은 전도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구조를 갖는 기공성 전극인 집진 필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전극은 전도성 섬유를 패터닝한 기공성 전극인 집진 필터.
  8. 삭제
  9. 제 1항, 제 6항 및 제 7항 중 어느한 항에 따른 집진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0. 제 1항, 제 6항 및 제 7항 중 어느한 항에 따른 집진 필터; 및
    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0180059893A 2018-05-25 2018-05-25 집진 필터 KR102205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893A KR102205159B1 (ko) 2018-05-25 2018-05-25 집진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893A KR102205159B1 (ko) 2018-05-25 2018-05-25 집진 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62A KR20190134362A (ko) 2019-12-04
KR102205159B1 true KR102205159B1 (ko) 2021-01-19

Family

ID=6900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893A KR102205159B1 (ko) 2018-05-25 2018-05-25 집진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51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33800A1 (en) * 2021-04-16 2022-10-20 Joy Design Company Limited Air filter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4976A (ko) * 2020-07-30 2022-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2233758B1 (ko) * 2020-11-27 2021-03-30 주식회사 휴라인텍 마스크형 공기청정기
WO2023090595A1 (ko) * 2021-11-17 2023-05-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7297B1 (ko) * 1999-02-18 2001-12-22 구자홍 전기 집진장치
JP3242695B2 (ja) * 1992-05-29 2001-12-25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集塵機電極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0470A (en) * 1988-03-23 1990-07-10 American Filtrona Corporation Single field ionizing electrically stimulated filter
KR101181546B1 (ko) * 2005-11-02 2012-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전식모 섬유를 포함하는 공기정화기
KR101231574B1 (ko) 2010-05-24 2013-02-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기공성 전극 적용 공기정화용 필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2695B2 (ja) * 1992-05-29 2001-12-25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集塵機電極
KR100317297B1 (ko) * 1999-02-18 2001-12-22 구자홍 전기 집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333800A1 (en) * 2021-04-16 2022-10-20 Joy Design Company Limited Air filter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62A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159B1 (ko) 집진 필터
EP3166728B1 (en)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US6635106B2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JP4927558B2 (ja) 改善された効力を有する、電気的に向上された空気濾過
KR102199381B1 (ko) 공기조화기용 공기청정기구
CN114345554A (zh) 用于极化空气净化器的波纹状过滤介质
US7141098B2 (en) Air filtration system using point ionization sources
US6758884B2 (en) Air filtration system using point ionization sources
CN110769938B (zh) 集尘设备及空气调节机
KR102087722B1 (ko) 미세먼지 제거용 필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제거용 공기청정 시스템
KR102216411B1 (ko) 집진 필터
KR102127839B1 (ko) 집진 필터
KR102306438B1 (ko) 집진 장치
KR102326412B1 (ko) 유분기가 있는 먼지 제거를 위한 정전식 공기 청정 장치
KR102407748B1 (ko) 전기 집진 장치
US20230249113A1 (en) Dust collecting fil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ust collecting filter
CN114870997A (zh) 一种驻极瓦楞状集尘极及其制作方法
JPH07853A (ja) 空気清浄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ファンヒーター
KR20220013067A (ko) 집진 필터
KR200331088Y1 (ko) 정전필터 제조장치
KR100571182B1 (ko) 정전필터 제조장치 및 그 방법
JP2021000601A (ja) 集塵装置
JPH06320046A (ja) ディスポーザブル集塵極シートを有する電気集塵機及びこれを具備する空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