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8567A - 전기 집진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송풍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집진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송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8567A
KR20080098567A KR1020080092219A KR20080092219A KR20080098567A KR 20080098567 A KR20080098567 A KR 20080098567A KR 1020080092219 A KR1020080092219 A KR 1020080092219A KR 20080092219 A KR20080092219 A KR 20080092219A KR 20080098567 A KR20080098567 A KR 20080098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llecting
ground electrode
electrode
discharge electrod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4364B1 (ko
Inventor
이쿠오 아카미네
츠기오 구보
도시유키 이마사카
요시아키 우치다
야스아키 마츠모토
히로후미 노마
마키코 도쿠라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98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8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66Applications of electricity supply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08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presence of stationary flat electrodes arranged with their flat surfaces parallel to the gas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09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presence of stationary flat electrodes arranged with their flat surfaces at right angles to the gas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the additional use of mechanical effects, e.g. gravity
    • B03C3/155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60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 B03C3/64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synthetic resins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 효율이 높은 전기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 집진 장치는, 하전(荷電)부의 접지 전극이, 집진 필터와 접촉 배치되는 제 1 접지 전극과, 침 형상 방전 전극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또한 제 1 접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지 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코로나 방전이 방전 전극과 제 1 접지 전극 사이와, 방전 전극과 제 2 접지 전극 사이에 형성되어, 보다 광범위한 방전 영역을 형성하여, 고효율적으로 진애 입자를 집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집진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송풍 장치{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VENTILATION APPARATUS USING 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전기 집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의 집진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의 집진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의 집진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의 집진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의 집진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서의 집진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서의 집진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에서의 집진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서의 집진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종래의 전기 집진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 집진 장치 2 : 집진 유닛
3 : 본체 유닛 4 : 실내 공기
5 : 전원 6 : 손잡이
7 : 고압 접속선 9 : 접지 접속선
11 : 집진 유닛 외부 프레임 12 : 침 형성 방전 전극
13 : 제 1 접지 전극 14 : 제 2 접지 전극
15 : 집진 필터 16 : 경계판
본 발명은 공기 중의 진애 등을 포집(捕集)하는 전기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조화기나 공기 청정기 등에 이용할 수 있는 집진 효율이 높은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전기 집진 장치와 집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 집진 장치는, 주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켜 통과하는 진애 입자를 대전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하전(荷電)부와, 대전한 진애 입자를 포획하는 집진부로 이루어지며,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의 공기 흡입구나, 공기 청정기의 공기 흡입구에 설치된다.
종래의 전기 집진 장치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 11-151452 호 공 보의 발명을 들 수 있다. 이것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하전부(501)를 구성하는 방전 전극(503)과 대향 전극(504)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켜, 거기에 송풍되어 온 공기 중에 부유하는 진애를 대전시켜서, 그것을 송풍 회로 하류에 배치된 접지 전극(505)과 고압 전극(506)으로 구성된 집진부(502)에서 전기적으로 포집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방전 전극(503)은 선 형상의 와이어나 니들(needle)로 구성되며, 대향 전극(504)과의 간격을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집진부(502)는 전기적으로 집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대전 필터 등을 배치하여 진애를 포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사례도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구성에서는, 하전부를 방전 전극과 대향 전극으로, 또한 집진부를 접지 전극과 고압 전극으로 구성한다고 하는, 소위 2단 하전 방식이기 때문에, 전원을 방전 전극부와 대향 전극부, 및 접지 전극부와 고압 전극부에 공급해야 하여,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고 하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의 전기 집진 장치는,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하전부를 침 형상 방전 전극과 제 1 접지 전극과 또한 침 형상 방전 전극의 주위를 둘러싸고 제 1 접지 전극과 접속되는 제 2 접지 전극으로 구성하고, 또한 집진부를 제 1 접지 전극과 접촉 배치되는 집진 필터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집진 장치는 침 형상 방전 전극의 주위에 방전 확대를 제어하는 차폐판을 마련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 집진 장치는 침 형상 방전 전극의 선단 부분을 제 1 접지 전극측으로 절곡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침 형상 방전 전극에 고압 전위를, 또한 제 1 및 제 2 접지 전극에 접지 전위를 인가함으로써, 방전 전극과 접지 전극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형성되어, 이 코로나 방전 영역을 공기가 통과할 때에 공기 중에 포함되는 미립자를 대전시켜, 이 대전한 미립자가 하류측에 배치된 집진 필터에 의해 우수한 효율로 포집되어, 집진 효율이 높은 집진을 실현할 수 있고, 또한 불필요 부분으로의 대전 현상을 억제하여 안정한 운전이 가능한 전기 집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종래의 전기 집진 장치의 과제를 해결하여, 간단한 구성인 1단 하전 방식에 의해 효율적으로 진애를 대전시키고, 또한 유닛으로부터 외부 공간으로의 방전에 의한 대전 현상을 억제한 전기 집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전기 집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집진 장치(1)는 집진 유닛(2)과 본체 유닛(3)으로 구성되며, 본체 유닛(3)내에 집진 유닛(2)이 수납되고,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내 등에 설치 되어 있다. 실내로부터 흡입된 실내 공기(4)는 집진 유닛(2)을 통과하는 동안에, 실내 공기(4)에 포함되는 진애 입자가 집진되고, 그 후에 실내기의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되어 실내로 내뿜어진다.
본체 유닛(3)에는 집진 유닛(2)으로의 전원 공급을 행하는 전원(5)이 장착되어 있다. 집진 유닛(2)은 본체 유닛(3)으로부터 손잡이(6)에 의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체 유닛(3)에는, 전원(5)으로부터, 전원(5)으로부터의 고압 전위가 고압 접속선(7)을 지나서 고압측 접점(8A)에 접속되는 한편, 접지 전위가 접지 접속선(9)을 지나서 접지 접속점(10A)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집진 유닛(2)에는, 본체 유닛(3)에 집진 유닛(2)이 장착된 상태에서, 본체 유닛(3)의 고압측 접점(8A)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고압측 접점(8B)과 본체 유닛(3)의 접지 접속점(10A)과 접속되는 접지 접속점(10B)이 마련되어 있다.
집진 유닛(2)은, 수지 재료의 성형품 등에 의해서 구성된 집진 유닛 외부 프레임(11)과, 스테인레스 등으로 구성되는 니들 형상의 복수개의 침 형상 방전 전극(12)과, 침 형상 방전 전극(12)의 하류측에 마련되고 흡입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통풍 저항이 작은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료로 구성되는 그물 형상의 제 1 접지 전극(13)과, 또한 각각의 침 형상 방전 전극(12)의 주위에 마련된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 재료로 구성된 제 2 접지 전극(14)으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침 형상 방전 전극(12)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지지체(17)에 의해서 외부 프레임(11)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침 형상 방전 전극(12)은 고압측 접점(8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제 1 접지 전극(13)과 제 2 접지 전극(14)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접지측 접 점(10B)에 접속되어 있다. 이 침 형상 방전 전극(12)과 제 1 접지 전극(13) 및 제 2 접지 전극(14)으로 하전부를 구성하며, 이 공간에서 코로나 방전을 형성하고 있다. 흡입 공기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고 집진 효율이 높은 형상으로서, 벌집 형상의 집진 필터(15)로 집진부를 구성하고, 제 1 접지 전극(13)과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전부의 각각의 블럭 사이에는, 침 형상 방전 전극(2)으로부터의 코로나 방전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경계판(16)이 마련되어 있다. 이들 하전부와 집진부는 집진 유닛 외부 프레임(11)에 의해 일체화되고, 또한 집진 유닛 외부 프레임(11)에는 손잡이(6)가 접합되어 집진 유닛(2)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집진부에서의 집진 필터(15)는 집진 유닛(2)을 구성하는 다른 부분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공기 중에 포함되는 미립자를 포집하여 더러워졌을 때에는 세정 가능하거나 또는 교환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장기간 사용하고 있더라도, 집진 필터의 세정이나 교환 등의 유지 보수를 간단히 실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본체 유닛(3)의 전원(5)보다 고압측에 부(負)의 전압이 인가되면, 하전부에서의 침 형상 방전 전극(12)과 제 1 접지 전극(13) 사이, 및 침 형상 방전 전극(12)과 제 2 접지 전극(14)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형성된다. 이 코로나 방전 영역에 흡입측으로부터 유입되어 온 실내 공기(4)가 통과하면, 그 때 공기 중에 포함되는 미립자를 대전시킨다. 그리고, 이 대전한 미립자가 집진부인 집진 필터(15)를 통과할 때에, 집진 필터(15)에 양호한 효율로 포집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압측을 부(負)로 인가시켜 미립자를 부(負)로 대전시키 고 있지만, 반대로 고압측을 정(正)으로 인가하여 미립자를 정(正)으로 대전시키더라도 된다. 고압측을 부로 인가하면, 공기 이온을 부로 대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마이너스 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마이너스 이온은 인체에 대하여 이완(relax) 효과가 있다고들 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접지 전극(13)의 형상으로서 그물 형상을 이용하고 있지만, 접지 전극의 형상으로서는, 유입 공기가 통과할 수 있고 또한 침 형상 방전 전극(12)과의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형성되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의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컨대, 복수의 원형 또는 사각 형태의 개구부를 갖는 판 형상의 것 또는 슬릿 형상의 것이나 격자 형상과 같은 것이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집진 필터(15)로서 벌집 형상으로 할 수 있었던 필터를 이용하고 있지만, 필터 형상으로서는, 유입 공기가 통과할 수 있고 또한 제 1 접지 전극(13)과 접촉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된다. 예컨대, 플리트 형상의 집진 필터라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전부를 고전압이 인가되는 침 형상 방전 전극(12), 제 1 접지 전극(13) 및 제 2 접지 전극(14)으로 구성하며, 집진부를 집진 필터(15)로 구성하고, 또한 하전부와 집진부를 일체화시키는 외부 프레임(11)에 의해 집진 유닛(2)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접지 전극으로서, 집진 필터(15)와 접촉 배치되는 제 1 접지 전극(13)과, 침 형상 방전 전극(12)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또한 제 1 접지 전극(13)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지 전극(14)으로 구성한 것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집진 유닛(2)은 경계판(16)에 의해 복수의 블럭으로 구분되고, 또한 제 2 접지 전극(14)이, 각 블럭에 마련된 침 형상 방전 전극(12)과 거의 평행하게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접지 전극(14)은 대략 M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성에 따르면, 하전부에서, 침 형상 방전 전극(12)과 제 1 접지 전극(13) 사이와, 또한 침 형상 방전 전극(12)과 그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접지 전극(14)과의 사이의 양쪽 공간에서 코로나 방전이 형성되기 때문에, 보다 광범위한 방전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집진 유닛(2)을 침 형상 방전 전극(12)마다 복수의 블럭으로 구분하고, 또한 그 블럭의 양측에 제 2 접지 전극(14)을 대략 M자 형상으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서로 이웃하는 각 침 형상 방전 전극(12)으로부터의 상호 영향이 없는 상태에서, 각 침 형상 방전 전극(12)으로부터의 방전이 제 2 접지 전극(14)에 의해서 집진 유닛(2)의 바깥쪽으로 향하더라도 확대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흡입 공기가 집진 유닛을 통과할 때에, 그 공기 중에 포함되는 미립자를 양호한 효율로 대전시킬 수 있어,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집진 필터에 의해 고효율적으로 미립자를 포집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실시예 2에 대해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집진 유닛의 사시도이다.
하전부에서의 접지 전극을 제 1 접지 전극(13)과, 침 형상 방전 전극(12)의 선단부(18)보다 외측에 배치된 제 3 접지 전극(19)으로 구성하고, 제 1 접지 전극(13)과 제 3 접지 전극(19)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집진 유닛(2)의, 그 긴 변 방향으로 복수개로 분할된 블럭내에서, 제 3 접지 전극(19)이 집진 유닛(2)의 짧은 변 방향으로 설치된 침 형상 방전 전극(12)의 선단부(18)보다도 더 외측에 마련되어 있다.
본체 유닛(3)의 전원(5)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침 형상 방전 전극(2)과 제 1 접지 전극(13) 사이, 및 침 형상 방전 전극(12)과 제 3 접지 전극(19)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집진 유닛(2)의 전 영역에 걸쳐 방전이 형성되므로, 집진 유닛(2)의 전면(全面)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코로나 방전 영역을 공기가 통과할 때에, 공기 중에 포함되는 미립자를 양호한 효율로 대전시켜, 집진 필터(5)에 의해 대전한 미립자를 양호한 효율로 포집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실시예 3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집진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3에서, 하전부의 접지 전극을 제 1 접지 전극(13)과, 도전성의 수지 재료로 구성되는 제 2 접지 전극(20)으로 구성하며, 제 1 접지 전극(13)과 도전성 수지 로 이루어진 제 2 접지 전극(20)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4에서도 마찬가지로, 하전부의 접지 전극을 제 1 접지 전극(3)과, 도전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 3 접지 전극(2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도전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 2 접지 전극(20) 및 제 3 접지 전극(21)은 집진 유닛(2)을 구성하는 외부 프레임(11)의 표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외부 프레임(11)과 일체화되어 있다.
본체 유닛(3)의 전원(5)으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면, 침 형상 방전 전극(12)과 제 1 접지 전극(13) 사이, 및 침 형상 방전 전극(12)과 제 2 접지 전극(20) 사이에서, 또한 마찬가지로 침 형상 방전 전극(12)과 제 1 접지 전극(13) 사이, 및 침 형상 방전 전극(12)과 제 3 접지 전극(21)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이 형성된다. 이 코로나 방전 영역을 공기가 통과할 때에, 공기 중에 포함되는 미립자를 대전시켜, 집진 필터(15)에 의해 대전한 미립자를 양호한 효율로 포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2 접지 전극(20) 및 제 3 접지 전극(21)을 도전성 수지로 구성함으로써, 금속에 비하여 형상의 자유도를 크게 취할 수 있어, 외부 프레임(11)의 표면에 배치하거나 또는 외부 프레임(11)과 일체화할 수 있는 등이 형상적인 자유도가 크고, 또한 수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제조도 보다 간편하다. 또한, 외부 프레임(11)과 일체화하여 구성함으로써, 코로나 방전의 방전 영역을 집진 유닛(2)의 전체에 걸쳐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져, 집진 효율이 우수한 전기 집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4)
다음에, 실시예 4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나타내는 집진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 단면을 나타낸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침 형상 방전 전극(12)의 상부, 즉 집진 유닛(2)에 들어가는 실내 공기(4)의 상류측에, 침 형상 방전 전극(12)을 덮는 제 1 차폐판(22)을 외부 프레임(11)에 마련하고 있다. 집진 유닛(2)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하전부에서, 코로나 방전은 침 형상 방전 전극(12)과 제 1 접지 전극(13) 사이, 및 침 형상 방전 전극(12)과 제 2 접지 전극(14) 사이에서 형성된다. 침 형상 방전 전극(12)으로부터의 방전은 침 형상 방전 전극(12)의 전면에 발생하기 때문에, 침 형상 방전 전극(12)의 상류측의 공간으로의 방전도 일부 존재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류측 공간에 배치된 부품 등에 전기적 노이즈를 부여하는 등의 불량을 발생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차폐판(22)을 외부 프레임(11)에 마련함으로써, 침 형상 방전 전극(12)으로부터 실내 공기가 흐르는 상류측 공간으로의 방전이 제 1 차폐판(22)에 의해 억제되어, 그 결과, 상류측 공간에 있는 부품 등으로의 대전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장치적으로 안정한 운전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5)
다음에, 실시예 5에 대해 도 7 및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를 나타내는 집진 유닛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A-A 단면을 나타낸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4에서 설명한 차폐판(22)에 측방(側方)부에 차폐벽(23)을 더 마련하고 있다. 집진 유닛(2)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하전부에서, 코로나 방전은 침 형상 방전 전극(12)과 제 1 접지 전극(13) 사이, 및 침 형상 방전 전극(12)과 제 2 접지 전극(14) 사이에서 형성되지만, 침 형상 방전 전극(12)으로부터 실내 공기의 상류측 또는 측방 공간으로의 방전도 일부 존재하고 있다. 이 때, 제 1 차폐판(22)에, 그의 측방부에 차폐벽(23)을 더 마련함으로써, 침 형상 방전 전극(12)으로부터 실내 공기가 흐르는 상류측 공간으로의 방전이 제 1 차폐판(22)과 차폐벽(23)에 의해서 억제되어, 그 결과, 상류측 공간에 있는 부품 등으로의 대전 현상을 억제할 수 있어, 장치적으로 안정한 운전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6)
다음에, 실시예 6에 대해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6을 나타내는 집진 유닛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침 형상 방전 전극(12)의 선단 부분을 제 1 접지 전극(13)측으로 절곡한 절곡 침 형상 방전 전극(24)을 마련하고 있다. 집진 유닛(2)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코로나 방전은 절곡 침 형상 방전 전극(24)과 제 1 접지 전극(13) 사이, 및 절곡 침 형상 방전 전극(24)과 제 2 접지 전극(14) 사이에서 형성되며, 절곡 침 형상 방전 전극(24)으로부터 상류측 공간으로의 방전은 침 선단부를 흡입측과는 반대측으로 절곡하고 있기 때문에, 낮게 억제되어 있다. 그 결과, 상류측 공간에 있는 다른 물체로의 대전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7)
다음에, 실시예 7에 대해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을 나타내는 집진 유닛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7과 마찬가지로, 침 형상 방전 전극(12)의 선단 부분을 제 1 접지 전극(13)측으로 절곡한 절곡 침 형상 방전 전극(24)을 마련하고, 또한 이 절곡 침 형상 방전 전극(24)의 선단 부근에 절곡 침 형상 방전 전극(24)과 접합한 제 2 차폐판(25)을 마련한 것이다. 집진 유닛(2)의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이다.
코로나 방전은 절곡 침 형상 방전 전극(24)과 제 1 접지 전극(13) 사이, 및 절곡 침 형상 방전 전극(24)과 제 2 접지 전극(14) 사이에서 형성되며, 절곡 침 형 상 방전 전극(24)으로부터 상류측 공간으로의 방전은 침 선단부에 마련된 제 2 차폐판(25)에 의해 억제되어 있다. 그 결과, 흡입측 상부 공간에 있는 다른 물체로의 대전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들 집진 장치를 송풍 장치에 적용하고 있다. 집진 유닛(2)과 본체 유닛(3)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집진 장치(1)를 적어도 송풍 팬과 송풍 경로에 의해 구성된 송풍 장치의 송풍 경로내에 배치하여, 공기 조화 장치나 공기 청정기 등을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전기 집진 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전기 집진 장치 전면에 걸쳐 방전을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매우 통풍이 작고 또한 구조가 간단하며, 외부 전자 기기 등으로의 영향이 없는 높은 집진 효율을 갖는 공기 조화 장치 또는 공기 청정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전부를 고전압이 인가되는 침 형상 방전 전극과 접지 전극으로 구성하고, 집진부를 집진 필터로 구성하며, 또한 하전부와 집진부를 일체화하는 외부 프레임에 의해 집진 유닛을 구성하고, 접지 전극은 집진 필터와 접촉 배치되는 제 1 접지 전극과, 침 형상 방전 전극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또한 제 1 접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지 전극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 결과, 하전부에서, 침 형상 방전 전극과 제 1 접지 전극 사이, 또한 침 형상 방전 전극과 그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제 2 접지 전극과의 사이의 양쪽의 공 간에서 코로나 방전이 형성되므로, 보다 광범위한 방전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흡입 공기가 집진 유닛을 통과할 때에, 그 공기 중에 포함되는 미립자를 양호한 효율로 대전시킬 수 있어,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집진 필터에 의해 고효율적으로 미립자를 포집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0)

  1. 전기 집진 장치로서,
    하전부와,
    집진 필터로 이루어지는 집진부와,
    상기 하전부와 상기 집진부를 일체화하는 외부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는 집진 유닛
    을 구비하되,
    상기 하전부는 상기 집진 유닛내에 침 형상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방전 전극과 접지 전극으로 구성되고,
    상기 접지 전극은 상기 집진 필터와 접촉 배치되는 제 1 접지 전극과 상기 방전 전극의 주위에 마련된 제 2 접지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집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집진 유닛내에는 방전 전극이 복수개 마련되고, 또한 상기 방전 전극에 대응하여 집진 유닛을 분할하는 경계 부재를 갖고 있는 전기 집진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접지 전극은 제 1 접지 전극보다도 방전 전극측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전기 집진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2 접지 전극은 방전 전극 선단보다도 집진 유닛의 외측부에 위치하는 전기 집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접지 전극은 도전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적어도 집진 유닛의 외부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전기 집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집진 유닛은 송풍 경로내에 배치되고,
    방전 전극은 상기 송풍 경로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집진부는 상기 송풍 경로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방전 전극의 상류측에 상기 방전 전극의 적어도 선단부를 덮는 차폐판을 마련한
    전기 집진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차폐판은 송풍 경로의 하류측에 개구한 오목부를 갖는 전기 집진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전 전극의 선단부가 제 1 접지 전극측으로 향하고 있는 전기 집진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방전 전극의 선단부의 송풍 경로 상류측에 제 2 차폐판을 마련한 전기 집진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집진 유닛으로부터 집진부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전기 집진 장치.
  11. 송풍 장치로서,
    송풍 팬과,
    송풍 경로와,
    상기 송풍 경로내에 전기 집진 장치
    를 구비하되,
    상기 전기 집진 장치는, 하전부와, 집진 필터로 이루어지는 집진부와, 상기 하전부와 상기 집진부를 일체화하는 외부 프레임에 의해 구성되는 집진 유닛을 갖고,
    상기 하전부는 상기 집진 유닛내에서 침 형상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방전 전극과 접지 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접지 전극은 상기 집진 필터와 접촉 배치되는 제 1 접지 전극과 상기 방전 전극의 주위에 마련된 제 2 접지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송풍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집진 유닛내에는 방전 전극이 복수개 마련되고, 또한 상기 방전 전극에 대응하여 집진 유닛을 분할하는 경계 부재를 갖고 있는 송풍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제 2 접지 전극은 제 1 접지 전극보다도 방전 전극측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는 송풍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제 2 접지 전극은 방전 전극 선단보다도 집진 유닛의 외측부에 위치하는 송풍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제 2 접지 전극은 도전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적어도 집진 유닛의 외부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송풍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집진 유닛은 송풍 경로내에 배치되고,
    방전 전극은 상기 송풍 경로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집진부는 상기 송풍 경로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방전 전극의 상류측에 상기 방전 전극의 적어도 선단부를 덮는 차폐판을 마련한
    송풍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차폐판은 송풍 경로의 하류측에 개구한 오목부를 갖는 송풍 장치.
  18. 제 1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전 전극의 선단부가 제 1 접지 전극측으로 향하고 있는 송풍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방전 전극의 선단부의 송풍 경로 상류측에 제 2 차폐판을 마련한 송풍 장치.
  20. 제 11 항에 있어서,
    집진 유닛으로부터 집진부가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송풍 장치.
KR1020080092219A 2001-08-31 2008-09-19 전기 집진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송풍 장치 KR100914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63260 2001-08-31
JP2001263260A JP3818101B2 (ja) 2001-08-31 2001-08-31 電気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送風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907A Division KR100869628B1 (ko) 2001-08-31 2002-08-30 전기 집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8567A true KR20080098567A (ko) 2008-11-11
KR100914364B1 KR100914364B1 (ko) 2009-08-28

Family

ID=190900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907A KR100869628B1 (ko) 2001-08-31 2002-08-30 전기 집진 장치
KR1020080092219A KR100914364B1 (ko) 2001-08-31 2008-09-19 전기 집진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송풍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907A KR100869628B1 (ko) 2001-08-31 2002-08-30 전기 집진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291086B1 (ko)
JP (1) JP3818101B2 (ko)
KR (2) KR100869628B1 (ko)
CN (2) CN1257775C (ko)
ES (1) ES2350682T3 (ko)
MY (1) MY16853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0162B2 (en) 2013-08-09 2016-02-02 Ut-Battelle, Llc Direct impact aerosol sampling by electrostatic precipitation
WO2017135539A1 (ko) * 2016-02-04 2017-08-10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전기 집진필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집진필터
US10369576B2 (en) 2015-11-03 2019-08-06 Hyundai Motor Company Electrical dust-collecting fil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8101B2 (ja) * 2001-08-31 2006-09-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送風装置
JP2006068580A (ja) * 2004-08-31 2006-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または空気洗浄装置
JP2006068581A (ja) * 2004-08-31 2006-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装置または空気清浄装置
JP4830317B2 (ja) * 2005-03-08 2011-12-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気集塵ユニット
JP2007107803A (ja) * 2005-10-13 2007-04-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100749054B1 (ko) 2005-10-25 2007-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EP2039432B1 (en) * 2006-06-15 2011-09-07 Daikin Industries, Ltd. Dust collector
JP2008023444A (ja) * 2006-07-20 2008-02-07 Daikin Ind Ltd 集塵装置
US20140003964A1 (en) * 2012-05-29 2014-01-02 Tessera, Inc. Electrohydrodynamic (ehd) fluid mover with field blunting structures in flow channel for spatially selective suppression of ion generation
CN109772587A (zh) * 2019-01-22 2019-05-21 厚联环境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电集一体集尘材料及净化装置
SE544046C2 (en) * 2019-06-28 2021-11-16 Cabinair Sweden Ab Air purification device with a filter medium comprising a conductive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26189A (en) * 1940-09-03 1949-07-11 American Air Filter Co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 gas cleaners
US4744910A (en) * 1986-04-22 1988-05-17 Voyager Technologies, Inc. Electrostatic filter
JPH02251257A (ja) * 1989-03-23 1990-10-09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清浄機
JPH03296453A (ja) * 1990-04-12 1991-12-27 Matsushita Seiko Co Ltd 空気清浄機
US5403383A (en) * 1992-08-26 1995-04-04 Jaisinghani; Rajan Safe ionizing field electrically enhanced filter and process for safely ionizing a field of an electrically enhanced filter
US5549735C1 (en) * 1994-06-09 2001-08-14 Coppom Technologies Electrostatic fibrous filter
KR100201651B1 (ko) * 1995-06-20 1999-06-15 구자홍 공기정화기의 전기 집진 필터
JPH11104516A (ja) * 1997-10-07 1999-04-20 Calsonic Corp 静電式空気清浄機
JP3360582B2 (ja) * 1997-10-15 2002-12-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装置の集塵エレメント
JPH11151452A (ja) * 1997-11-20 1999-06-08 Midori Anzen Co Ltd 電気集塵装置
KR200178327Y1 (ko) * 1999-11-16 2000-04-15 김장하 음이온 발생식 공기 청정기
JP3818101B2 (ja) * 2001-08-31 2006-09-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送風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0162B2 (en) 2013-08-09 2016-02-02 Ut-Battelle, Llc Direct impact aerosol sampling by electrostatic precipitation
US10369576B2 (en) 2015-11-03 2019-08-06 Hyundai Motor Company Electrical dust-collecting filter
WO2017135539A1 (ko) * 2016-02-04 2017-08-10 주식회사 엔아이티코리아 전기 집진필터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기 집진필터
US11084078B2 (en) 2016-02-04 2021-08-10 Nit Korea Co., Ltd Electrical dust filter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ical dust filter manufactured thereb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68533A (en) 2018-11-12
CN1406671A (zh) 2003-04-02
EP1291086A3 (en) 2005-11-23
CN1257775C (zh) 2006-05-31
KR100869628B1 (ko) 2008-11-21
JP2003071321A (ja) 2003-03-11
EP1291086A2 (en) 2003-03-12
KR100914364B1 (ko) 2009-08-28
KR20030019252A (ko) 2003-03-06
CN2613317Y (zh) 2004-04-28
EP1291086B1 (en) 2010-09-15
ES2350682T3 (es) 2011-01-26
JP3818101B2 (ja) 200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4364B1 (ko) 전기 집진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송풍 장치
KR101156349B1 (ko) 집진장치
US7090717B2 (en) Air purifier
JP2007007589A (ja) 電気集塵デバイス及びこれを組込んだ空気清浄装置
KR101082713B1 (ko) 집진장치
CN1743079A (zh) 电子集尘装置及使用该装置的空调装置和空气净化装置
EP1629894A1 (en) Electric dust collector, and air conditioner and air purifier incorporating therein the dust collector
JP2007029845A (ja) 電気集塵デバイス及び該電気集塵デバイスを搭載した空気処理装置
JP2009165957A (ja) 電気集塵機
JP4451740B2 (ja) 空気清浄器及び空気調和機
KR101981011B1 (ko) 공기청정기
EP1652587A2 (en) Air conditioner with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JP2008018425A (ja) 集塵装置
JP2006132928A (ja) 空気調和機
JP2004286418A (ja) 空気浄化装置
JP4354884B2 (ja) 空気清浄器及び空気清浄装置及び空気調和機
JPS59209664A (ja) 送風装置
KR100457253B1 (ko) 에어컨 및 공기청정기용 카트리지식 필터 조립체
KR101549600B1 (ko) 유해나노입자 제거장치
JPH04135661A (ja) 電気集塵器
JP2002136893A (ja) エアクリーナー
JP2001179130A (ja) 空気清浄装置
KR20030077156A (ko) 공기청정기의 전기식 집진장치
JP2005270980A (ja) 電気集塵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送風装置
KR20240035316A (ko) 공기 조화기 및 전기 집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