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390B1 - 버스 바 - Google Patents

버스 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390B1
KR102244390B1 KR1020190109697A KR20190109697A KR102244390B1 KR 102244390 B1 KR102244390 B1 KR 102244390B1 KR 1020190109697 A KR1020190109697 A KR 1020190109697A KR 20190109697 A KR20190109697 A KR 20190109697A KR 102244390 B1 KR102244390 B1 KR 102244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bus bar
bent
bar body
hem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8510A (ko
Inventor
마상영
Original Assignee
대산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산전자(주) filed Critical 대산전자(주)
Priority to KR1020190109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3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28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8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 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판상으로 형성된 버스바 본체, 상기 버스바 본체의 일단부에 천공 형성된 접속 홀 및 상기 접속 홀에 인접되는 상기 버스바 본체의 중간 부위에 상기 버스바 본체의 방열 단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비된 헤밍 절곡부를 포함함으로써 버스바 본체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버스 바{BUS-BAR}
본 발명은 버스 바에 관한 것으로서,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버스 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에너지의 공급을 위해 전원의 공급 및 분배를 위한 매개체로써 버스 바(bus-bar)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버스 바는 가요성이 없어 가공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나 케이블보다 많은 양의 전기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고, 기계적 강도가 매우 큰 장점이 있다.
전력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전력 사용량이 증가되고, 고전압의 전력을 사용함에 따라 사용 전력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매체가 기본적으로 사용된다. 아울러, 고전력의 흐름으로 인한 버스 바 자체의 발열에 의한 온도 상승 문제도 해결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버스 바는, 사용 안정성을 위하여 외부에 절연부가 구비되는 것이 통상이므로, 자체 방열 문제를 쉽게 해소할 수 없다. 특히, 전기적인 저항이 많은 접속부의 접속 홀 주변으로 많은 양의 발열이 예상되는 데, 절연부에 감싸여지지 않은 노출 부위의 단면적만으로는 충분한 방열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버스 바의 접속 부분에 인접되는 부위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헤밍 절곡부가 마련된 버스 바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정된 폭 범위 내에서 헤밍 절곡부를 마련함으로써 주변의 다른 버스 바와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버스 바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의 일 실시예는, 판상으로 형성된 버스바 본체, 상기 버스바 본체의 일단부에 천공 형성된 접속 홀 및 상기 접속 홀에 인접되는 상기 버스바 본체의 중간 부위에 상기 버스바 본체의 방열 단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비된 헤밍 절곡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헤밍 절곡부는, 상기 버스바 본체의 일면으로 절곡되어 접철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밍 절곡부는, 상기 버스바 본체의 폭보다 내측에 해당하는 상기 버스바 본체의 일면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밍 절곡부는, 상기 버스바 본체의 폭방향 일측단부에서 상기 버스바 본체의 일면으로 적어도 1회 절곡된 제1방열 접철부 및 상기 버스바 본체의 폭방향 타측단부에서 상기 버스바 본체의 일면으로 적어도 1회 절곡된 제2방열 접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방열 접철부는, 상기 제2방열 접철부보다 먼저 절곡 형성되되, 상기 버스바 본체의 폭방향 일측단부와 연결되고 폭방향 타측단부를 향하여 180도 절곡된 제1-1방열부, 상기 제1-1방열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1-1방열부의 내측으로 180도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2방열부 및 상기 제1-2방열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1-1방열부와 제1-2방열부 사이로 위치되도록 180도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3방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방열 접철부는, 상기 제1방열 접철부의 외측면을 덮도록 상기 폭방향 타측단부에서 연장되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방열 접철부는, 상기 제1방열 접철부의 외측면을 덮도록 상기 버스바 본체의 폭방향 타측단부에서 180도 절곡된 제2-1방열부 및 상기 제2-1방열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2-1방열부의 내측으로 180도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2방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방열 접철부와 상기 제2방열 접철부는, 접철되는 공간 상에서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밍 절곡부의 내측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방열을 위한 방열 이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 이격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방열 접철부 또는 제2방열 접철부의 일면에는 상기 방열 이격공간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 돌기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 본체와 상기 헤밍 절곡부 사이에는 상기 헤밍 절곡부의 폭의 길이가 상기 버스바 본체의 폭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도록 가이드 슬릿이 가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밍 절곡부는, 헤밍 금형 제조 방식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바 본체의 일부를 감싸는 절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밍 절곡부는, 상기 절연부에 의하여 감싸여지지 않는 노출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첫째, 버스 바의 자체 발열 집중 부위를 효과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으므로, 전기적인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버스 바의 폭의 길이의 변화 없이 헤밍 절곡부가 구비됨으로써 주변 구성품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기존의 사양을 변경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가진다.
셋째, 헤밍 절곡부를 버스 바의 일면으로 편중하여 형성함으로써 버스 바의 설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변형례이고,
도 5는 도 3의 제2변형례이며,
도 6은 도 1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1변형례이며, 도 5는 도 3의 제2변형례이고, 도 6은 도 1의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바(1)는, 도 1 내지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형성된 버스바 본체(10)와, 버스바 본체(10)의 일단부에 천공 형성된 접속 홀(15)과, 접속 홀(15)에 인접되는 버스바 본체(10)의 중간 부위에 버스바 본체(10)의 방열 단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비된 헤밍 절곡부(20)를 포함한다.
버스바 본체(10)는, 헤밍 절곡부(20)가 형성되는 중간 부분(도면부호 미표기)과, 중간 부분의 길이방향 일측에 해당하는 일측 연결단(10a)과, 중간 부분의 길이방향 타측에 해당하는 타측 연결단(10b)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접속 홀(15)은 일측 연결단(10a)과 타측 연결단(10b) 중 어느 하나에 홀 형태로 천공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접속 홀(15)이 버스바 본체(10)의 일측 연결단(10a)과 타측 연결단(10b) 중 일측 연결단(10a)에 형성된 것으로 채용하였으나, 반드시 일측 연결단(10a)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타측 연결단(10b)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일측 연결단(10a)과 타측 연결단(10b)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측 연결단(10a) 및 타측 연결단(10b) 모두에 접속 홀(15)이 각각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접속 홀(15)이 형성된 일측 연결단(10a)은 미도시의 전기 접속 나사 등을 통해 해당 전원부(미도시)에 연결되고, 접속 홀(15)이 구비되지 않은 타측 연결단(10b)은 용접 또는 솔더 결합 방식으로 전원선(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헤밍 절곡부(2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버스바 본체(10)의 폭방향 일측단부와 폭방향 타측단부에서 각각 버스바 본체(1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폭방향으로 소정길이 일체로 연장 형성된 판상의 소재 부분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바 본체(10)는, 동일한 두께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대략 "+"자 형상의 판재로 구비되고, 4개의 단부 중 각각 대향하는 방향의 2개의 단부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정의할 경우, 길이방향에 직교되는 폭방향으로 연장된 나머지 2개의 단부가 구성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헤밍 절곡부(20)는, 폭방향으로 연장된 나머지 2개의 단부가 각각 버스바 본체(10)의 일면으로 절곡되어 접철되도록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여기서, 헤밍 절곡부(20)는, 그 명칭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헤밍 금형 방식으로 가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헤밍 금형 방식의 가공은, 일반적으로 프리 펀치(Pre-punch) 또는 메인 펀치(Main-punch) 중 어느 하나의 펀칭 가공에 의하여 완성되는 밴딩 가공법으로써, 일직선 이동되는 각각의 펀치가 상호 상이한 방위에서 펀칭 동작을 수행하여 원하는 밴딩 각도를 형성하도록 소재를 절곡시키는 구성이다.
헤밍 절곡부(20)는, 상술한 헤밍 금형 방식의 가공을 통해 가공 형성됨으로써, 보다 간편하게 형성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이와 같은 헤밍 절곡부(20)가 형성됨으로써, 버스바 본체(10)를 통하여 흐르는 고압의 전류 흐름에 의하여 생성된 열이 보다 확장된 방열 단면적을 확보하면서 방열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바(1)의 방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헤밍 절곡부(90)는 가능한 한 접속 홀(15)에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접속 홀(15) 부위는 타 전원부 또는 전원선과 연결되는 부분이므로, 전기적인 저항에 의한 발열량이 다른 부위보다 더 많을 수 있는데, 헤밍 절곡부(90)를 접속 홀(15)에 근접되게 설계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방열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헤밍 절곡부(20)는, 버스바 본체(10)의 폭보다 내측에 해당하는 버스바 본체(10)의 일면으로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버스바 본체(10)의 폭보다 내측이라 함은, 버스바 본체(10)의 폭방향 일측단부의 끝(일측단) 및 폭방향 타측단부의 끝(타측단)과의 사이에 헤밍 절곡부(20)가 위치되고, 그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헤밍 절곡부(20)가 버스바 본체(10)의 폭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절곡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바(1)의 전체 폭이 헤밍 절곡부(20)에 의하여 증가되지 않게 되므로, 종래의 버스 바의 외형 폭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헤밍 절곡부(20)에 의한 방열 기능이 더 향상되는 이점을 가진다. 버스 바(1)의 전체 폭이 증가되지 않는 구성은 종래의 결합 설계를 변경하지 않고서도 주변의 부품(다른 버스 바)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
헤밍 절곡부(20)는, 도 1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버스바 본체(10)의 폭방향 일측단부에서 버스바 본체(10)의 일면으로 적어도 1회 절곡된 제1방열 접철부(21)와, 버스바 본체(10)의 폭방향 타측단부에서 버스바 본체(10)의 일면으로 적어도 1회 절곡된 제2방열 접철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방열 접철부(21)와 제2방열 접철부(25)가 각각 버스바 본체(10)의 일면으로만 절곡 형성됨으로써, 버스바 본체(10)의 타면을 통해 안정적이고도 균일한 지지면을 확보할 수 있고, 헤밍 절곡부(20)가 형성된 버스바 본체(10)의 일면을 방열 방향으로 노출시킴으로써 보다 향상된 방열 설계가 가능해진다.
제1방열 접철부(21)는, 헤밍 금형을 통하여 제2방열 접철부(25)보다 먼저 절곡 형성되되, 버스바 본체(10)의 일면 측으로 3회 절곡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방열 접철부(21)는, 도 1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버스바 본체(10)의 폭방향 일측단부와 연결되고 폭방향 타측단부를 향하여 180도 절곡된 제1-1방열부(22)와, 제1-1방열부(22)의 선단부에서 제1-1방열부(22)의 내측으로 180도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2방열부(23)와, 제1-2방열부(23)의 선단부에서 제1-1방열부(22)와 제1-2방열부(23) 사이로 위치되도록 180도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3방열부(24)를 포함할 수 있다.
완성된 형태의 헤밍 절곡부(20)의 형상을 기준으로 제1방열 접철부(21)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실제로 헤밍 금형을 통해 절곡 형성되는 순서는, 그 반대가 될 것이다. 즉, 헤밍 금형을 통해 제1방열 접철부(21)의 선단부에 해당하는 제1-3방열부(24) 부위를 180도 절곡한 후, 제1-2방열부(23) 부위를 제1-3방열부(24)가 내측에 위치되도록 권선하는 형태로 180도 절곡한 다음, 마지막으로 버스바 본체(10)의 폭방향 일측단부 외측에 위치한 제1-1방열부(22) 부위를 버스바 본체(10)의 일면 측으로 180도 절곡하여 제1방열 접철부(21) 전부가 버스바 본체(10)의 일면 내측에 위치하도록 가공할 수 있다.
한편, 제2방열 접철부(25)는, 도 1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헤밍 금형에 의한 제1방열 접철부(21)의 버스바 본체(10)의 일면에 대한 절곡 형성이 완성된 후에, 헤밍 금형을 통해 제1방열 접철부(21)의 외측면을 덮도록 폭방향 타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 때에도, 제2방열 접철부(25)는, 버스바 본체(10)의 폭방향 타측단보다 내측에 위치되도록 절곡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방열 접철부(21) 및 제2방열 접철부(25)로 구비된 헤밍 절곡부(20) 각각이 버스바 본체(10)의 폭방향 일측단과 폭방향 타측단 사이의 범위에 가공 형성되도록, 버스바 본체(10)와 헤밍 절곡부(20) 사이에는 가이드 슬릿(17)이 가공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슬릿(17)은, 버스바 본체(10)의 일측 연결단(10a) 및 헤밍 절곡부(20)가 만나는 지점과, 버스바 본체(10)의 타측 연결단(10b) 및 헤밍 절곡부(20)가 만나는 지점을 미리 소정 깊이 절개한 구성을 의미한다. 따라서, 헤밍 금형을 이용하여 제1방열 접철부(21) 및 제2방열 접철부(25)를 절곡 가공할 경우, 가이드 슬릿(17)의 절개 깊이만큼 제1방열 접철부(21)의 외측단 및 제2방열 접철부(25)의 외측단이 유입되면서 라운드지게 절곡되어, 헤밍 절곡부(20)의 폭의 길이가 버스바 본체(10)의 폭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도록 형성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헤밍 절곡부(20)의 내측에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의 방열을 위한 방열 이격공간(30)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방열 이격공간(30)은, 도 3 및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방열 접철부(21)의 제1-1방열부(22)를 형성하는 라운드부의 내측단과 제1방열 접철부(21)의 제1-3방열부(24)를 형성하는 라운드부의 외측단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방열 접철부(25)를 형성하는 라운드부의 내측단과 제1방열 접철부(21)의 제1-2방열부(23)를 형성하는 라운드부의 외측단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열 이격공간(30)을 통해, 버스바 본체(10)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효과적으로 방열될 수 있음은 물론, 방열 이격공간(30)과는 무관한 헤밍 절곡부(20)의 외측면을 통해 버스바 본체(10)의 열이 효과적으로 방열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바(1)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방열 이격공간(30)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 돌기(28)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 돌기(28)는, 제1방열 접철부(21)의 일면에 형성된 것으로써, 제1-1방열부(22)를 형성하기 위한 라운드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제1-3방열부(24)를 형성하기 위한 라운드부의 외측단과의 사이의 방열 이격공간(30)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제2방열 접철부(25)의 일면에 형성된 것으로써, 제2방열 접철부(25)를 형성하기 위한 라운드부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제1방열 접철부(21)의 제1-2방열부(23)를 형성하기 위한 라운드부의 외측단과의 사이의 방열 이격공간(30)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이격 돌기(28)는, 제1방열 접철부(21)와 제2방열 접철부(25)에 대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별도의 돌기체가 절곡 형성되기 전의 제1방열 접철부(21) 및 제2방열 접철부(25)에 리벳팅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1방열 접철부(21)와 제2방열 접철부(25)는, 접철되는 공간 상에서 상호 소정거리(D) 이격되게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4에 참조된 헤밍 절곡부(20)는, 제1방열 접철부(21)의 제1-1방열부(22)의 상면은 제2방열 접철부(25)의 하면과 면접되고, 제1방열 접철부(21)의 제1-1방열부(22)의 하면은 제1-3방열부(24)의 상면과 면접되며, 제1방열 접철부(21)의 제1-2방열부(23)의 하면은 버스바 본체(10)의 일면에 면접되고, 제1방열 접철부(21)의 제1-2방열부(23)의 상면은 제1-3방열부(24)의 하면과 면접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 5에 참조된 변형례는, 상술한 면접 부위가 모두 소정거리(D)를 유지하도록 슬릿 공간(40)을 형성함으로써, 슬릿 공간(40)을 통해 방열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바(1)는,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슬릿 공간(40)을 유지하도록 제1방열 접철부(21) 및 제2방열 접철부(25)에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 유지 돌기(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릿 유지 돌기(29)는, 헤밍 금형을 이용한 절곡 형성과는 무관한 부위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바(1)는, 제2방열 접철부(25)가, 제1방열 접철부(21)와는 달리, 헤밍 금형에 의하여 1회 절곡 형성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2방열 접철부(25)는 버스바 본체(10)의 예상 발열량을 고려하여 2회 절곡되는 다른 실시예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바(100)는, 도 7 및 도 8에 참조된 바와 같이, 제2방열 접철부(25)가 2회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방열 접철부(25)는, 제1방열 접철부(21)의 외측면을 덮도록 버스바 본체(10)의 폭방향 타측단부에서 180도 절곡된 제2-1방열부(26)와, 제2-1방열부(26)의 선단부에서 제2-1방열부(26)의 내측으로 180도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2방열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완성된 형태의 헤밍 절곡부(20)의 형상을 기준으로 제2방열 접철부(25)의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실제로 헤밍 금형을 통해 절곡 형성되는 순서는, 그 반대가 될 것이다. 즉, 헤밍 금형을 통해 제2방열 접철부(25)의 선단부에 해당하는 제2-2방열부(27) 부위를 180도 절곡한 후, 버스바 본체(10)의 폭방향 타측단부 외측에 위치한 제2-1방열부(26) 부위를 버스바 본체(10)의 일면 측으로 180도 절곡하여 제2방열 접철부(25) 전부가 버스바 본체(10)의 일면 내측에 위치하도록 가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바(1,10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버스바 본체(10)의 일부를 감싸는 절연부를 더 포함할 경우, 헤밍 절곡부(20)는, 절연부에 의하여 감싸여지지 않는 노출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헤밍 절곡부(20)를 통해 외기와 닿는 방열 단면적을 향상시킴으로써 보다 향상된 방열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 바(1,100)는, 버스바 본체(10)의 자체 발열을 헤밍 절곡부(20)를 이용하여 손쉽게 외부 방열을 도모함으로써 전체적인 제품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바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100: 버스 바 10: 버스바 본체
10a: 일측 연결단 10b: 타측 연결단
20: 헤밍 절곡부 21: 제1방열 접철부
22: 제1-1방열부 23: 제1-2방열부
24: 제1-3방열부 25: 제2방열 접철부
26: 제2-1방열부 27: 제2-2방열부
28: 이격 돌기 29: 슬릿 유지 돌기
30: 방열 이격공간 40: 슬릿 공간
D: 소정거리

Claims (12)

  1. 판상으로 형성된 버스바 본체;
    상기 버스바 본체의 일단부에 천공 형성된 접속 홀; 및
    상기 접속 홀에 인접되는 상기 버스바 본체의 중간 부위에 상기 버스바 본체의 방열 단면적을 증가시키도록 구비되되, 상기 버스바 본체의 폭방향 일측단부에서 상기 버스바 본체의 일면으로 적어도 1회 절곡된 제1방열 접철부; 및 상기 버스바 본체의 폭방향 타측단부에서 상기 버스바 본체의 일면으로 적어도 1회 절곡된 제2방열 접철부;를 포함하는 헤밍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방열 접철부는, 상기 제2방열 접철부보다 먼저 절곡 형성되되,
    상기 버스바 본체의 폭방향 일측단부와 연결되고 폭방향 타측단부를 향하여 180도 절곡된 제1-1방열부;
    상기 제1-1방열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1-1방열부의 내측으로 180도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2방열부; 및
    상기 제1-2방열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1-1방열부와 제1-2방열부 사이로 위치되도록 180도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3방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방열 접철부는, 상기 제1방열 접철부의 외측면을 덮도록 상기 폭방향 타측단부에서 연장되어 절곡 형성되는, 버스 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밍 절곡부는,
    상기 버스바 본체의 일면으로 절곡되어 접철되도록 형성된, 버스 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밍 절곡부는,
    상기 버스바 본체의 폭보다 내측에 해당하는 상기 버스바 본체의 일면으로 절곡 형성된, 버스 바.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방열 접철부는,
    상기 제1방열 접철부의 외측면을 덮도록 상기 버스바 본체의 폭방향 타측단부에서 180도 절곡된 제2-1방열부; 및
    상기 제2-1방열부의 선단부에서 상기 제2-1방열부의 내측으로 180도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2-2방열부; 를 포함하는, 버스 바.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방열 접철부와 상기 제2방열 접철부는, 접철되는 공간 상에서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게 절곡 형성된, 버스 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밍 절곡부의 내측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방열을 위한 방열 이격공간이 형성된, 버스 바.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방열 이격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방열 접철부 또는 제2방열 접철부의 일면에는 상기 방열 이격공간을 유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 돌기가 각각 형성된, 버스 바.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본체와 상기 헤밍 절곡부 사이에는 상기 헤밍 절곡부의 폭의 길이가 상기 버스바 본체의 폭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도록 가이드 슬릿이 가공 형성된, 버스 바.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밍 절곡부는, 헤밍 금형 제조 방식에 의하여 형성되는, 버스 바.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스바 본체의 일부를 감싸는 절연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밍 절곡부는, 상기 절연부에 의하여 감싸여지지 않는 노출 부위에 형성된, 버스 바.
KR1020190109697A 2019-09-04 2019-09-04 버스 바 KR102244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697A KR102244390B1 (ko) 2019-09-04 2019-09-04 버스 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697A KR102244390B1 (ko) 2019-09-04 2019-09-04 버스 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510A KR20210028510A (ko) 2021-03-12
KR102244390B1 true KR102244390B1 (ko) 2021-04-26

Family

ID=7517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697A KR102244390B1 (ko) 2019-09-04 2019-09-04 버스 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3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7631B2 (ja) * 2008-10-08 2013-02-20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7631B2 (ko) * 1972-09-29 1976-12-16
JP6075784B2 (ja) * 2012-12-28 2017-02-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バスバー及びバスバーモジュール、並びにバスバー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47631B2 (ja) * 2008-10-08 2013-02-20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8510A (ko) 2021-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96287B (zh) 母线模块
JP2016501441A (ja) 少なくとも2つのプリント基板領域を備えた角度設定可能な又は角度設定されたプリント基板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13102961A1 (ja) 誘導モータ用のバスバー
JP5944188B2 (ja) 電子部品基板の製造方法
JP6488752B2 (ja) 基板ユニット
KR102244390B1 (ko) 버스 바
KR20190139287A (ko) 회로 구성체
JP4321400B2 (ja) バスバー
JP5776707B2 (ja) 半導体装置
JP2012151929A (ja) ワイヤハーネス
JP2006318680A (ja) シールド導電体
JP6596915B2 (ja) 導体接続部の冷却構造
JP2008282867A (ja) 電力半導体装置、電子機器及びリードフレーム部材並びに電力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7201183A (ja) 電力型抵抗器の取付構造
JP6493025B2 (ja) リアクトル
JP2019175817A (ja) ワイヤハーネス
JP5561527B2 (ja) 回路構成体および電気接続箱
JP6255518B2 (ja) 半導体装置
JP5088879B2 (ja) 分電盤
JP5028200B2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2016195064A (ja) 電線モジュール及び電線モジュール製造方法
JP5366507B2 (ja) 電力用半導体装置および電力用半導体装置の実装方法
KR101788565B1 (ko) 연결장치
JP2021093299A (ja) コネクタ
WO2020183939A1 (ja) 電磁シールド部材及びワイヤハーネ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