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9263B1 -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장치 및 로딩 픽업 방법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장치 및 로딩 픽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9263B1
KR102239263B1 KR1020190075627A KR20190075627A KR102239263B1 KR 102239263 B1 KR102239263 B1 KR 102239263B1 KR 1020190075627 A KR1020190075627 A KR 1020190075627A KR 20190075627 A KR20190075627 A KR 20190075627A KR 102239263 B1 KR102239263 B1 KR 102239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elly roll
pair
guide
loading
fork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5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477A (ko
Inventor
김종성
고강호
김성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075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263B1/ko
Priority to PCT/KR2020/007822 priority patent/WO2020262877A1/ko
Publication of KR20210000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9Processes for forming or storing electrodes in the battery contai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장치 및 로딩 픽업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장치의 구성은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 상기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에 장착되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서 전후진되는 한 쌍의 포크부재; 상기 젤리롤을 파우치에 투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장치 및 로딩 픽업 방법{Secondary battery jelly roll loading pickup apparatus and loading pickup method}
본 발명은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장치 및 로딩 픽업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전지 제조를 위한 파우치에 젤리롤을 투입할 때에 젤리롤의 위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장치 및 로딩 픽업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전지케이스 내부에 전극조립체가 장착되며, 이차전지의 양쪽 단부 또는 한쪽 단부에 전극탭이 돌출되는 구조를 취한다. 이때, 복수장의 양극판과 음극판 사이에 세퍼레이터가 개재된 상태에서 와인딩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젤리롤이라 한다.
이차전지의 제조 공정에는 젤리롤을 이송하는 공정, 젤리롤을 픽업하여 파우치에 삽입하는 공정, 젤리롤이 삽입된 파우치 포장 공정과 같은 여러 가지 공정이 포함된다.
그런데, 이차전지 젤리롤의 이송이 된 이후에 픽업장치의 한 쌍의 포크에 의해 파우치를 그립하여 픽업한 다음 한 쌍의 포크를 다시 벌려서 아래쪽에 있는 파우치의 내부에 젤리롤을 투입하는데, 상기 한 쌍의 포크가 다시 벌려질 때에 파우치가 포크에 의해 끌리는 현상으로 인하여 젤리롤이 제위치에 똑바로 있지 못하고 위치가 틀어지는 현상(슬립 현상)이 발생하면서 파우치에 젤리롤이 제대로 투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생긴다. 즉, 한 쌍의 포크를 벌려서 젤리롤 낙하시에 포크에 의한 젤리롤의 슬립 현상을 방지하지 못하여서 젤리롤이 낙하시 틀어지게 되고, 낙하시 젤리롤이 틀어지면 파우치에 제대로 젤리롤을 투입하지 못하게 되며, 이처럼 젤리롤이 파우치에 제대로 투입되지 못한 상태에서 바로 실링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28006호(2015년06월04일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24970호(2014년10월28일 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27689호(2015년03월12일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0472510호(2005년02월07일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차전지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 중에서 파우치 내부에 젤리롤을 투입하는 공정 수행시에 젤리롤의 틀어짐을 방지하여 파우치 내부에 젤리롤이 제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구성의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한 쌍의 포크부재를 벌려서 젤리롤 낙하시에 포크에 의한 젤리롤의 슬립 현상이 생기더라도 젤리롤이 낙하시 틀어지지 않고 프론트 가이드와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와 리어 가이드 및 리어 사이드 가이드로 인하여 젤리롤이 낙하시 틀어지지 않게 되어서, 낙하시 젤리롤이 틀어지지 않고 파우치에 제대로 투입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젤리롤 로딩 픽업장치와 언로딩 지그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언로딩 지그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로딩 픽업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론트 가이드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은 도 4에 도시된 주요부의 엘엠 가이드가 결합된 부분의 확대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주요부의 캠팔로워가 결합된 부분의 확대된 도면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로딩 픽업장치의 프론트 가이드와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리어 가이드의 주요부의 엘엠 가이드가 결합된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리어 가이드의 주요부의 캠팔로워가 결합된 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리어 가이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로딩 픽업장치에 의해 젤리롤을 파우치 위에 이동시킨 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로딩 픽업장치에 의해 젤리롤을 파우치 내부에 투입할 때의 작동상태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장치는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과, 상기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에 장착되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서 전후진되는 한 쌍의 포크부재(32)를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포크부재(32)는 포크작동수단에 의해 서로 마주하는 방향에서 전후진하는 한 쌍의 포크부재(32)를 구비한다. 로딩 픽업 장치는 젤리롤(2)을 파우치에 투입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로딩 픽업 장치는 젤리롤(2)이 언로딩 지그(22) 위에 배치된 상태에서 언로딩 지그(22)에서 젤리롤(2)을 픽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젤리롤 로딩 픽업장치는 서포트 프레임(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젤리롤 로딩 픽업장치의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이 서포트 프레임(10)의 가로 프레임부에 가이드 레일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에 상기 한 쌍의 포크부재(32)와 가이드 유닛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서포트 프레임(10)에 가이드 레일을 따라 로딩 픽업장치(30)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구조가 된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10)을 따라 로딩 픽업장치(30)가 언로딩 지그 위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이 이동작동수단에 의해 서포트 프레임(10)을 따라 언로딩 지그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작동수단은 실린더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가 본 발명의 젤리롤 로딩 픽업장치의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에 연결되어,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가 전후진 작동함에 따라 상기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이 서포트 프레임(10)의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진하므로, 상기 서포트 프레임(10)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로딩 픽업장치를 언로딩 지그(22) 위로 이동시키거나 언로딩 지그(22)에서 벗어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포크부재(32)는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에 구비된 무빙 가이드(예를 들어, LM 가이드)에 한 쌍의 포크부재(32)가 결합되어, 상기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을 기준으로 한 쌍의 포크부재(32)가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되도록 구성된다. 무빙 가이드는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을 구성하는 무빙 가이드판과, 상기 무빙 가이드판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며 한 쌍의 포크부재(32)에 연결된 한 쌍의 무빙 가이드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무빙 가이드판을 따라 한 쌍의 무빙 가이드블록이 슬라이드되면, 한 쌍의 포크부재(32)가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을 기준으로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포크부재 무빙 작동체에 의해 한 쌍의 포크부재(32)가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을 기준으로 서로 벌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포크부재 무빙 작동체는 각각의 포크부재(32)에 연결되고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에 장착된 실린더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 쌍의 포크부재(32)를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서로 좁혀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모두 포크부재 무빙 작동체로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정면에서 볼 때에 한 쌍의 포크부재(32)는 좌우 양쪽에서 세워져서 배치되는데, 각각의 포크부재(32)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브릿지 포크(32BP)를 구비한다. 상기 브릿지 포크(32BP)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포크부재(3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로딩 픽업홀이 구비된다. 서로 이웃한 브릿지 포크(32BP) 사이에 로딩 픽업홀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포크부재(32)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포크(32PK)를 구비한다. 한 쌍의 포크부재(32)의 각각의 브릿지 포크(32BP)에 포크(32PK)가 연결되는데, 상기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정면에서 볼 때에 한 쌍의 포크부재(32)의 복수개의 브릿지 포크(32BP)들은 좌우 양쪽에서 세워져서 배치되고, 상기 포크(32PK)는 각각의 브릿지 포크(32BP)에서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사이드 가이드(132), 프론트 가이드(134), 리어 가이드(136)를 포함한다. 상기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전방과 후방에 인접된 위치에는 각각 프론트 가이드(134)와 리어 가이드(136)가 배치되고, 상기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양쪽 측방과 인접된 위치에는 프론트 가이드(134)와 리어 가이드(136)와 함께 무빙되는 사이드 가이드(132)가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 가이드(132)는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와 한 쌍의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로 구성된다.
상기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전방측에는 프론트 실린더(134SL)가 구비된다.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가이드 베이스(31GB) 위에 프론트 실린더(134SL)가 고정된다. 프론트 실린더(134SL)의 실린더 로드는 가이드 베이스(31GB)의 전단부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 실린더(134SL)에는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이 구비된다.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은 프론트 실린더(134SL)의 위쪽에 고정된다. 상기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에 프론트 연결부재(134FCM)가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에 볼트와 같은 연결구에 의해 프론트 연결부재(134FCM)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 연결부재(134FCM)에는 볼트와 같은 연결구에 의해 중간 프론트 연결부재(134MFCM)가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 연결부재(134FCM)는 중간 프론트 연결부재(134MFCM)로 인하여 위에서 볼 때에 티자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연결부재(134FCM)에 프론트 가이드(134)가 연결된다. 프론트 가이드(134)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프론트 가이드(134)의 상부가 프론트 연결부재(134FCM)에 연결된다. 프론트 연결부재(134FCM)에 복수개의 프론트 가이드(134)가 연결된다. 중간 프론트 연결부재(134MFCM)에 복수개의 프론트 가이드(134)가 연결되므로, 프론트 연결부재(134FCM)에 복수개의 프론트 가이드(134)가 연결된 구조가 된다. 상기 프론트 연결부재(134FCM)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프론트 가이드(134)는 세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베이스(31GB)의 전단부에서 프론트 가이드(134)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상기 프론트 가이드(134)는 프론트 실린더(134SL)의 실린더 로드가 전후진 작동함에 따라 가이드 베이스(31GB)의 전단부측에서 전후진된다. 상기 프론트 연결부재(134FCM)가 프론트 실린더(134SL)의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프론트 연결부재(134FCM)에 프론트 가이드(134)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프론트 실린더(134SL)의 실린더 로드가 전후진 작동하면 프론트 연결부재(134FCM)와 프론트 가이드(134)가 함께 전후진되므로, 상기 프론트 가이드(134)가 프론트 실린더(134SL)의 작동에 따라 전후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프론트 실린더(134SL)의 실린더 로드의 전후진 작동으로 프론트 가이드(134)를 전후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프론트 연결부재(134FCM)를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에 고정하도록 조여주었던 볼트를 풀어준다. 상기 볼트를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에 조여준 상태에서는 상기 볼트의 볼트 헤드가 프론트 연결부재(134FCM)의 이동 가이드홀의 주위에 배치된 볼트 헤드 걸림편을 눌러줌으로써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에 프론트 연결부재(134FCM)와 프론트 가이드(134)를 고정하는데, 상기 볼트를 풀어주면 볼트 헤드가 프론트 연결부재(134FCM)의 이동 가이드홀의 주위에 배치된 볼트 헤드 걸림편을 눌러주는 힘을 해제하므로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에서 프론트 연결부재(134FCM)와 프론트 가이드(134)가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처럼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에서 프론트 연결부재(134FCM)와 프론트 가이드(134)가 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실린더(134SL)의 실린더 로드를 전후진 작동시키면 상기 프론트 연결부재(134FCM)와 프론트 가이드(134)가 전후진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론트 실린더(134SL)는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가이드 베이스(31G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예를 들어, 프론트 실린더(134SL)가 엘엠 가이드를 매개로 가이드 베이스(31GB)에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프론트 실린더(134SL)는 미도시된 이동작동수단(예를 들어, 실린더 등)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 베이스(31G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진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실린더(134SL)에는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이 연결되고, 상기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에는 프론트 연결부재(134FCM)를 매개로 프론트 가이드(134)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프론트 실린더(134SL)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과 프론트 연결부재(134FCM) 및 프론트 가이드(134)가 함께 전후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에는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홀(134SGH)이 구비된다.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홀(134SGH)은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 한 쌍으로 배치된다. 이때,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홀(134SGH) 사이의 거리는 상기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점점 더 벌어진다. 상기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의 위에서 볼 때에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홀(134SGH)이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벌어지도록 배치된 구조가 된다.
상기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가이드 베이스(31GB)에는 서포트 바아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가이드 베이스(31GB)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서포트 바아의 상단부에는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 지지블록(134MSB)이 연결된다. 상기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 지지블록(134MSB)은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의 위쪽에 구비된다.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 지지블록(134MSB)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 지지블록(134MSB)에는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4MMB)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4MMB)은 엘엠 가이드를 매개로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 지지블록(134MS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4MMB)은 상기 프론트 가이드(134)와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가이드(134)가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가이드 베이스(31GB)의 전단부측에서 가이드 베이스(31GB)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4MMB)은 가이드 베이스(31GB)의 폭방향(프론트 가이드(134)의 전후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상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4MMB)은 내측단부와 인접된 위치에 캠팔로워(CMF)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캠팔로워(CMF)는 캠샤프트에 캠휘일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캠샤프트가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4MMB)의 내측단부와 인접된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4MMB)의 내측단부와 인접된 위치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캠팔로워(CMF)가 장착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4MMB)에 장착된 캠팔로워(CMF)는 상기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에 구비된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홀(134SGH)에 결합된다. 상기 캠팔로워(CMF)의 캠휘일이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홀(134SGH)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4MMB)에 각각 하나씩 장착된 한 쌍의 캠팔로워(CMF)가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의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무빙홀(134SGH)에 결합된 구조가 된다.
상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4MMB)에는 프론트 사이드 연결부재(134FSC)가 결합된다. 프론트 사이드 연결부재(134FSC)는 볼트와 같은 연결구에 의해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4MMB)에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4MMB)에 각각 하나씩 프론트 사이드 연결부재(134FSC)가 결합된다. 프론트 사이드 연결부재(134FSC)는 상하 방향으로 세워져서 배치된다. 상기 프론트 사이드 연결부재(134FSC)에는 중간 프론트 사이드 연결부재(134FSC)가 결합된다. 중간 프론트 사이드 연결부재(134FSC)는 볼트와 같은 연결구에 의해 상기 프론트 사이드 연결부재(134FSC)의 하단부측에 중간 프론트 사이드 연결부재(134FSC)가 연결된다. 상기 프론트 사이드 연결부재(134FSC)는 중간 프론트 사이드 연결부재(134FSC)로 인하여 옆에서 볼 때에 역티자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프론트 사이드 연결부재(134FSC)에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가 연결된다.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의 상부가 프론트 사이드 연결부재(134FSC)에 연결된다. 프론트 사이드 연결부재(134FSC)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중간 프론트 사이드 연결부재(134FSC)로 인하여 옆에서 볼 때에 역티자형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중간 프론트 사이드 연결부재(134FSC)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매개로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가 연결됨으로써, 프론트 사이드 연결부재(134FSC)에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가 연결된 구조가 된다. 상기 프론트 사이드 연결부재(134FSC)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도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좌우 양쪽 위치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한쪽 측면 위치에 두 개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가 구비되어 있어서, 총 네 개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가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좌우 양쪽 측면 위치에 세워져서 배치된다. 상기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가이드 베이스(31GB)의 좌우 양쪽 측면 위치에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가 세워져서 배치된다.
상기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후방측에는 리어 실린더(136SL)가 구비된다.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가이드 베이스(31GB) 위에 리어 실린더(136SL)가 고정된다. 리어 실린더(136SL)의 실린더 로드는 가이드 베이스(31GB)의 전단부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리어 실린더(136SL)에는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136FMB)이 구비된다.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136FMB)은 리어 실린더(136SL)의 위쪽에 고정된다. 상기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136FMB)에 리어 연결부재(136FCM)가 결합된다. 상기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136FMB)에 볼트와 같은 연결구에 의해 리어 연결부재(136FCM)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리어 연결부재(136FCM)에는 볼트와 같은 연결구에 의해 중간 리어 연결부재(136MFCM)가 결합된다. 상기 리어 연결부재(136FCM)는 중간 리어 연결부재(136MFCM)로 인하여 위에서 볼 때에 티자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어 연결부재(136FCM)에 리어 가이드(136)가 연결된다. 리어 가이드(136)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리어 가이드(136)의 상부가 리어 연결부재(136FCM)에 연결된다. 리어 연결부재(136FCM)에 복수개의 리어 가이드(136)가 연결된다. 중간 리어 연결부재(136MFCM)에 복수개의 리어 가이드(136)가 연결되므로, 리어 연결부재(136FCM)에 복수개의 리어 가이드(136)가 연결된 구조가 된다. 상기 리어 연결부재(136FCM)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고 리어 가이드(136)는 세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 베이스(31GB)의 전단부에서 리어 가이드(136)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상기 리어 가이드(136)는 리어 실린더(136SL)의 실린더 로드가 전후진 작동함에 따라 가이드 베이스(31GB)의 전단부측에서 전후진된다. 상기 리어 연결부재(136FCM)가 리어 실린더(136SL)의 실린더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리어 연결부재(136FCM)에 리어 가이드(136)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리어 실린더(136SL)의 실린더 로드가 전후진 작동하면 리어 연결부재(136FCM)와 리어 가이드(136)가 함께 전후진되므로, 상기 리어 가이드(136)가 리어 실린더(136SL)의 작동에 따라 전후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리어 실린더(136SL)의 실린더 로드의 전후진 작동으로 리어 가이드(136)를 전후진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리어 연결부재(136FCM)를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136FMB)에 고정하도록 조여주었던 볼트를 풀어준다. 상기 볼트를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136FMB)에 조여준 상태에서는 상기 볼트의 볼트 헤드가 리어 연결부재(136FCM)의 이동 가이드홀의 주위에 배치된 볼트 헤드 걸림편을 눌러줌으로써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136FMB)에 리어 연결부재(136FCM)와 리어 가이드(136)를 고정하는데, 상기 볼트를 풀어주면 볼트 헤드가 리어 연결부재(136FCM)의 이동 가이드홀의 주위에 배치된 볼트 헤드 걸림편을 눌러주는 힘을 해제하므로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136FMB)에서 리어 연결부재(136FCM)와 리어 가이드(136)가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처럼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136FMB)에서 리어 연결부재(136FCM)와 리어 가이드(136)가 이동할 수 있는 상태에서 상기 리어 실린더(136SL)의 실린더 로드를 전후진 작동시키면 상기 리어 연결부재(136FCM)와 리어 가이드(136)가 전후진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어 실린더(136SL)는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가이드 베이스(31G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예를 들어, 리어 실린더(136SL)가 엘엠 가이드를 매개로 가이드 베이스(31GB)에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리어 실린더(136SL)는 미도시된 이동작동수단(예를 들어, 실린더 등)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 베이스(31G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진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실린더(136SL)에는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136FMB)이 연결되고, 상기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136FMB)에는 리어 연결부재(136FCM)를 매개로 리어 가이드(136)가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리어 실린더(136SL)의 전후진 작동에 따라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136FMB)과 리어 연결부재(136FCM) 및 리어 가이드(136)가 함께 전후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136FMB)에는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홀(136SGH)이 구비된다.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홀(136SGH)은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136FMB)의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양쪽에 한 쌍으로 배치된다. 이때, 한 쌍의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홀(136SGH) 사이의 거리는 상기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136FMB)의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갈수록 점점 더 벌어진다. 상기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136FMB)의 위에서 볼 때에 한 쌍의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홀(136SGH)이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136FMB)의 길이 방향 중심선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벌어지도록 배치된 구조가 된다.
상기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가이드 베이스(31GB)에는 서포트 바아의 하단부가 연결되어 가이드 베이스(31GB)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서포트 바아의 상단부에는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 지지블록(136MSB)이 연결된다. 상기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 지지블록(136MSB)은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136FMB)의 위쪽에 구비된다.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 지지블록(136MSB)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 지지블록(136MSB)에는 한 쌍의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6MMB)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어, 상기 한 쌍의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6MMB)은 엘엠 가이드를 매개로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 지지블록(136MS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 쌍의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6MMB)은 상기 리어 가이드(136)와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리어 가이드(136)가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가이드 베이스(31GB)의 전단부측에서 가이드 베이스(31GB)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상기 한 쌍의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6MMB)은 가이드 베이스(31GB)의 폭방향(리어 가이드(136)의 전후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된다.
상기 한 쌍의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6MMB)은 내측단부와 인접된 위치에 캠팔로워(CMF)가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캠팔로워(CMF)는 캠샤프트에 캠휘일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캠샤프트가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6MMB)의 내측단부와 인접된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6MMB)의 내측단부와 인접된 위치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캠팔로워(CMF)가 장착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 한 쌍의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6MMB)에 장착된 캠팔로워(CMF)는 상기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136FMB)에 구비된 한 쌍의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홀(136SGH)에 결합된다. 상기 캠팔로워(CMF)의 캠휘일이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홀(136SGH)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6MMB)에 각각 하나씩 장착된 한 쌍의 캠팔로워(CMF)가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136FMB)의 한 쌍의 리어 사이드 무빙홀(136SGH)에 결합된 구조가 된다.
상기 한 쌍의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6MMB)에는 리어 사이드 연결부재(136FSC)가 결합된다. 리어 사이드 연결부재(136FSC)는 볼트와 같은 연결구에 의해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6MMB)에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6MMB)에 각각 하나씩 리어 사이드 연결부재(136FSC)가 결합된다. 리어 사이드 연결부재(136FSC)는 상하 방향으로 세워져서 배치된다. 상기 리어 사이드 연결부재(136FSC)에는 중간 리어 사이드 연결부재(136FSC)가 결합된다. 중간 리어 사이드 연결부재(136FSC)는 볼트와 같은 연결구에 의해 상기 리어 사이드 연결부재(136FSC)의 하단부측에 중간 리어 사이드 연결부재(136FSC)가 연결된다. 상기 리어 사이드 연결부재(136FSC)는 중간 리어 사이드 연결부재(136FSC)로 인하여 옆에서 볼 때에 역티자형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어 사이드 연결부재(136FSC)에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가 연결된다.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의 상부가 리어 사이드 연결부재(136FSC)에 연결된다. 리어 사이드 연결부재(136FSC)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중간 리어 사이드 연결부재(136FSC)로 인하여 옆에서 볼 때에 역티자형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중간 리어 사이드 연결부재(136FSC)에 볼트와 같은 체결구를 매개로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가 연결됨으로써, 리어 사이드 연결부재(136FSC)에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가 연결된 구조가 된다. 상기 리어 사이드 연결부재(136FSC)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도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는 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좌우 양쪽 위치에 세워진 상태로 배치된다.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한쪽 측면 위치에 두 개의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가 구비되어 있어서, 총 네 개의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가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좌우 양쪽 측면 위치에 세워져서 배치된다. 상기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가이드 베이스(31GB)의 좌우 양쪽 측면 위치에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가 세워져서 배치된다.
상기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는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의 가이드 베이스(31GB)의 전후단부 사이의 경로인 길이 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와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가 좌우측에서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에 장착된 한 쌍의 포크부재(32)에 의해 젤리롤(2)을 픽업하는 젤리롤 픽업 단계와, 상기 한 쌍의 포크부재(32)에 의해 픽업된 젤리롤(2)을 파우치 위로 이동시키는 젤리롤 이동 단계와, 상기 파우치 위로 이동된 젤리롤(2)을 한 쌍의 포크부재(32)를 벌려서 파우치 내부의 젤리롤 수용부에 투입하는 젤리롤 투입 단계와, 상기 젤리롤(2)을 가이드 유닛에 의해 가이드하여 파우치에 정위치에서 젤리롤(2)을 낙하 투입되도록 하는 젤리롤 투입 가이드 단계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장치에 의하면, 언로딩 지그(22) 위에 젤리롤(2)의 들어와 있는 상태에서 젤리롤(2)을 픽업한다. 상기 로딩 픽업장치(30)가 얼라인 장치(20)에서 벗어나 있는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로딩 픽업장치(30)를 서포트 프레임(10)을 따라 언로딩 지그(22) 위로 이동시키도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젤리롤 로딩 픽업장치가 언로딩 지그(22) 위로 이동한 다음에는 미도시된 승강장치에 의해 로딩 픽업장치(30)를 언로딩 지그(22) 쪽으로 하강시킨다. 상기 승강장치는 예를 들어 서포트 프레임(10)에 장착되어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에 실린더 로드가 연결된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 로드를 하강시키면 로딩 픽업장치가 언로딩 지그(22) 쪽으로 하강할 수 있다.
상기 로딩 픽업장치(30)의 한 쌍의 포크부재(32)의 복수개의 포크(32PK)가 젤리롤(2)의 저면보다 더 아래에 내려가 있고 벌어져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포크부재(32)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좁혀준다. 그러면, 한 쌍의 포크부재(32)의 포크(32PK)들이 언로딩 지그(22) 위에 있는 젤리롤(2)의 밑으로 들어간다. 상기 언로딩 지그(22)가 좌우 양쪽 측면에 복수개의 돌출블록을 구비하고, 복수개의 돌출블록 사이에는 포크 인서트홀이 구비된 경우, 본 발명의 젤리롤 로딩 픽업장치가 언로딩 지그(22) 위에서 하강한 상태에서는 좌우 측면 위치에 배치된 한 쌍의 포크부재(32)의 복수개의 브릿지 포크(32BP)들과 복수개의 포크(32PK)들은 상기 언로딩 지그(22) 양쪽 측면에 구비된 복수개의 포크 인서트홀에 들어온 다음, 상기 한 쌍의 포크부재(32)의 복수개의 포크(32PK)들은 젤리롤(2)의 양쪽 측면 아래를 지나서 젤리롤(2)의 저면보다 더 아래에 들어가게 된다.
상기 한 쌍의 포크부재(32)의 포크(32PK)들이 젤리롤(2)의 밑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전술한 실린더와 같은 승강장치에 의해 로딩 픽업장치(30)를 언로딩 지그(22) 위쪽으로 들어올린다. 그러면, 로딩 픽업장치(30)의 한 쌍의 포크부재(32)에서 포크(32PK)들이 젤리롤(2)을 아래에서 받쳐준 상태에서 언로딩 지그(22) 영역을 벗어나도록 위로 들어주게 된다.
상기 로딩 픽업장치(30)의 한 쌍의 포크부재(32)가 젤리롤(2)을 언로딩 지그(22) 위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로딩 픽업장치(30)를 이차전지용 파우치가 있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서포트 프레임(10)에 로딩 픽업장치(3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서포트 프레임(10)을 따라 로딩 픽업장치(30)를 이동시켜서 파위치 위쪽으로 이동시킨다. 로딩 픽업장치(30)가 파우치의 위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젤리롤(2)이 파우치 내부의 젤리롤 수용부 위쪽에 배치된다.
상기 로딩 픽업장치(30)가 파우치 위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파우치 내부의 젤리롤 수용부에 젤리롤(2)을 낙하시켜서 투입되도록 하는 젤리롤(2) 투입 공정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젤리롤(2) 투입 공정 수행중에 젤리롤(2)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고 제대로 파우치 내부의 젤리롤 수용부에 들어가도록 상기 가이드 유닛을 작동시킨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프론트 가이드(134)와 리어 가이드(136)와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 및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를 포함하는데, 상기 프론트 가이더와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를 연동시키고 상기 리어 가이드(136)와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를 연동시킨다.
상기 프론트 가이드(134)와 리어 가이드(136)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하고 좌우 양쪽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와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는 동작은 Wide 모드이고, 상기 프론트 가이드(134)와 리어 가이드(136)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진하고 좌우 양쪽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와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좁혀지는 동작은 Narrow 모드이다.
상기 Wide 모드에서는 프론트 실린더(134SL)와 리어 실린더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후진 동작이 이루어져서 프론트 실린더(134SL)와 리어 실린더에 각각 연결된 프론트 가이드(134)와 리어 가이드(136)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후진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프론트 가이드(134)와 리어 가이드(136)가 후진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프론트 실린더(134SL)와 리어 실린더의 좌우 양쪽 위치에 배치된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와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는 캠팔로워(CMF)에 의해 서로 벌어지게 된다.
프론트 가이드(134)와 리어 가이드(136)가 후진 동작이 이루어질 때에 상기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은 프론트 실린더(134SL)와 함께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과 리어 실린더에서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4MMB)에 장착된 한 쌍의 캠팔로워(CMF)는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에 구비된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홀(134SGH)에서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4MMB)의 타단부 쪽으로 이동하는데, 상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홀(134SGH)은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4MMB)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쪽으로 갈수록 거리가 점점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캠팔로워(CMF)가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홀(134SGH)을 따라 가면서 점점 벌어지게 되어 상기 한 쌍의 캠팔로워(CMF)가 각각 장착된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4MMB)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고, 상기 프론트 실린더(134SL)의 좌우 양쪽 위치에 세워져서 배치된 좌우측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 프론트 가이드(134)와 리어 가이드(136)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전진하고 좌우 양쪽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와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좁혀져 있는 Narrow 모드에서 상기 Wide 모드로 전환되는 것이다.
한편, 프론트 가이드(134)와 리어 가이드(136)가 후진 동작이 이루어질 때에 상기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은 리어 실린더와 함께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과 프론트 실린더(134SL)에서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 무빙블록에 장착된 한 쌍의 캠팔로워(CMF)는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에 구비된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 무빙홀에서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 무빙블록의 타단부 쪽으로 이동하는데, 상기 한 쌍의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 무빙홀은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 무빙블록의 일단부에서 타단부 쪽으로 갈수록 거리가 점점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캠팔로워(CMF)가 한 쌍의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 무빙홀을 따라 가면서 점점 벌어지게 되어 상기 한 쌍의 캠팔로워(CMF)가 각각 장착된 한 쌍의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 무빙블록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고, 상기 리어 실린더의 좌우 양쪽 위치에 세워져서 배치된 좌우측의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상기 프론트 가이드(134)와 리어 가이드(136)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좁혀지고 좌우 양쪽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와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좁혀진 Narrow 모드에서 상기 Narrow 모드로 전환되는 것이다. 상기 Wide 모드에서는 한 쌍의 포크부재(32)가 벌어지지 않아서 좌우측의 복수개의 포크(32PK)들이 젤리롤(2)을 밑에서 받치고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젤리롤(2)을 파우치 내부의 젤리롤 수용부에 투입하기 위해서 Wide 모드에서 Narrow 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Wide 모드에서 후진하여 있던 프론트 실린더(134SL)와 리어 실린더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진 동작이 이루어져서 프론트 실린더(134SL)와 리어 실린더에 각각 연결된 프론트 가이드(134)와 리어 가이드(136)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진 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프론트 가이드(134)와 리어 가이드(136)가 전진 동작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프론트 실린더(134SL)와 리어 실린더의 좌우 양쪽 위치에 배치된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와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는 캠팔로워(CMF)에 의해 서로 좁혀지게 된다.
프론트 가이드(134)와 리어 가이드(136)가 전진 동작이 이루어질 때에 상기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은 프론트 실린더(134SL)와 함께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과 리어 실린더에 좁혀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4MMB)에 장착된 한 쌍의 캠팔로워(CMF)는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134FMB)에 구비된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홀(134SGH)에서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4MMB)의 일단부 쪽으로 이동하는데, 상기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홀(134SGH)은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4MMB)의 타단부에서 일단부 쪽으로 갈수록 거리가 점점 좁혀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캠팔로워(CMF)가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홀(134SGH)을 따라 가면서 점점 좁혀지게 되어 상기 한 쌍의 캠팔로워(CMF)가 각각 장착된 한 쌍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블록(134MMB)이 서로 좁혀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프론트 실린더(134SL)의 좌우 양쪽 위치에 세워져서 배치된 좌우측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도 서로 좁혀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프론트 가이드(134)와 리어 가이드(136)가 서로 벌어지도록 후진하고 좌우 양쪽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와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가 서로 벌어져 있는 Wide 모드에서 프론트 가이드(134)와 리어 가이드(136)가 서로 좁아지도록 전진하고 좌우 양쪽의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와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가 서로 좁혀져 있는 Narrow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다.
상기 Narrow 모드에서는 프론트 가이드(134)와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와 리어 가이드(136) 및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는 아래에 있는 파우치의 젤리롤(2) 투입 기준 라인상에 있게 된다. 이러한 Narrow 모드에서 한 쌍의 좌우측의 포크부재(32)가 벌어지지도록 작동되어서 좌우측의 복수개의 포크(32PK)들이 젤리롤(2)의 밑에서 빠져나오게 되면서 젤리롤(2)이 아래의 파우치 내부의 젤리롤 수용부로 낙하하는데, 상기 프론트 가이드(134)와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와 리어 가이드(136) 및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는 아래에 있는 파우치의 젤리롤(2) 투입 기준 라인상에 있으므로 젤리롤(2)이 프론트 가이드(134)와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와 리어 가이드(136)와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를 따라 파우치 내부의 젤리롤 수용부로 제대로 낙하하여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한 쌍의 포크부재(32)를 벌려서 젤리롤(2) 낙하시에 포크(32PK)에 의한 젤리롤(2)의 슬립 현상이 생기더라도 젤리롤(2)이 낙하시 틀어지지 않고 상기 프론트 가이드(134)와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132FSG)와 리어 가이드(136) 및 리어 사이드 가이드(136RSG)로 인하여 젤리롤(2)이 낙하시 틀어지지 않게 되어서, 낙하시 젤리롤(2)이 틀어지지 않고 파우치에 제대로 투입되는 효과가 있다. 젤리롤(2)이 낙하시 틀어지지 않고 파우치 내부에 제대로 투입된 상태에서 실링 공정(파우치 실링 공정)을 거치게 되므로 불량(이차전지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언로딩 지그(22) 위에 젤리롤(2)이 배치된 상태에서 좌우측 한 쌍의 포크부재(32)를 좁혀서 한 쌍의 포크부재(32)에 구비된 포크(32PK)들에 의해 젤리롤(2)을 언로딩 지그(22) 위로 들어올리는 픽업을 하게 되는데, 상기 언로딩 지그(22)의 좌우측에는 복수개의 돌출블록(22PB) 사이에 포크 인서트홀이 확보되어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포크부재(32)를 좁혀줄 때에 각각의 브릿지 포크(32BP)와 포크(32PK)들이 언로딩 지그(22)의 돌출블록(22PB)에 걸리지 않고 포크 인서트홀을 통해서 들어가면서 한 쌍의 포크부재(32)가 좁혀질 수 있으므로, 상기 언로딩 지그(22)에서 젤리롤(2)을 위로 들어올리는 픽업 공정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2. 언로딩 지그 31. 픽업 서포트 프레임
31GB. 가이드 베이스 32. 포크부재
32BP. 브릿지 포크 32PK. 포크
132FSG.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132RSG. 리어 사이드 가이드
134. 프론트 가이드 134SL. 프론트 실린더
134FCM. 프론트 연결부재 134MFCM. 중간 프론트 연결부재
134FMB. 프론트 무빙 가이드 블록
134MSG.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 지지블록
134SGH. 프론트 사이드 가이드 무빙홀
136. 리어 가이드 136SL. 리어 실린더
136FCM. 리어 연결부재 136MFCM. 중간 리어 연결부재
136FMB. 리어 무빙 가이드 블록
136MSG.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 지지블록
136SGH. 리어 사이드 가이드 무빙홀

Claims (10)

  1. 로딩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
    상기 로딩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에 장착되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서 전후진되는 한 쌍의 포크부재(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로딩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은 서포트 프레임(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10)의 하부에 배치된 언로딩 지그(22)로 상기 로딩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과 상기 한 쌍의 포크부재(32)가 이동하여 상기 언로딩 지그(22)에 배치된 젤리롤을 상기 한 쌍의 포크부재(32)가 픽업하고,
    상기 한 쌍의 포크부재(32)는 로딩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어 서로 마주하는 방향에서 좁혀지거나 벌려지도록 구성되고, 한 쌍의 상기 포크부재(32)에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어 상기 언로딩 지그(22) 위에 있는 젤리롤(2)의 밑으로 들어가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포크(32PK)들이 구비되고,
    한 쌍의 상기 포크부재(32)의 복수개의 상기 포크(32PK)들이 젤리롤(2)의 밑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한 쌍의 상기 포크부재(32)는 상승하여 상기 젤리롤(2)이 상기 언로딩 지그(22)의 위로 들려지고,
    한 쌍의 상기 포크부재(32)가 상기 젤리롤(2)을 언로딩 지그(22) 위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포크부재(32)와 상기 젤리롤(2)이 이차전지용 파우치가 있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한 쌍의 상기 포크부재(32)가 벌어지지도록 작동되어서 복수개의 상기 포크(32PK)들이 상기 젤리롤(2)의 밑에서 빠져나오게 되면서 상기 젤리롤(2)이 아래의 파우치 내부의 젤리롤 수용부로 낙하되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로딩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에 장착된 한 쌍의 포크부재(32)에 의해 젤리롤을 픽업하는 젤리롤 픽업 단계;
    상기 한 쌍의 포크부재(32)에 의해 픽업된 젤리롤을 파우치 위로 이동시키는 젤리롤 이동 단계;
    상기 파우치 위로 이동된 젤리롤을 상기 한 쌍의 포크부재(32)를 벌려서 상기 파우치 내부의 젤리롤 수용부에 투입하는 젤리롤 투입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로딩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은 서포트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된 언로딩 지그(22)로 상기 로딩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과 상기 한 쌍의 포크부재(32)가 이동하여 상기 언로딩 지그(22)에 배치된 젤리롤을 상기 한 쌍의 포크부재(32)가 픽업하고,
    상기 한 쌍의 포크부재(32)는 로딩 로딩 픽업 서포트 프레임(31)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어 서로 마주하는 방향에서 좁혀지거나 벌려지도록 구성되고, 한 쌍의 상기 포크부재(3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포크(32PK)가 구비되고,
    복수개의 상기 포크(32PK)는 상기 한 쌍의 포크부재(32)에서 각각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수평 연장되고, 한 쌍의 상기 포크부재(32)의 복수개의 상기 포크(32PK)들이 언로딩 지그(22) 위에 있는 상기 젤리롤(2)의 밑으로 들어가도록 구성되고,
    한 쌍의 상기 포크부재(32)의 복수개의 상기 포크(32PK)들이 젤리롤(2)의 밑으로 들어가서 상기 젤리롤(2)을 아래에서 받쳐준 상태에서 상기 언로딩 지그(22) 위로 들어주고,
    한 쌍의 상기 포크부재(32)가 상기 젤리롤(2)을 언로딩 지그(22) 위로 들어올린 상태에서 상기 포크부재(32)와 상기 젤리롤(2)을 이차전지용 파우치가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한 쌍의 상기 포크부재(32)가 벌어지지도록 작동되어서 복수개의 상기 포크(32PK)들이 상기 젤리롤(2)의 밑에서 빠져나오게 되면서 상기 젤리롤(2)이 아래의 파우치 내부의 젤리롤 수용부로 낙하되어 수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젤리롤(2)을 가이드 유닛에 의해 가이드하여 상기 파우치에 정위치에서 상기 젤리롤(2)을 낙하 투입되도록 하는 젤리롤 투입 가이드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방법.
KR1020190075627A 2019-06-25 2019-06-25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장치 및 로딩 픽업 방법 KR102239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627A KR102239263B1 (ko) 2019-06-25 2019-06-25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장치 및 로딩 픽업 방법
PCT/KR2020/007822 WO2020262877A1 (ko) 2019-06-25 2020-06-17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장치 및 로딩 픽업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5627A KR102239263B1 (ko) 2019-06-25 2019-06-25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장치 및 로딩 픽업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477A KR20210000477A (ko) 2021-01-05
KR102239263B1 true KR102239263B1 (ko) 2021-04-12

Family

ID=74061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5627A KR102239263B1 (ko) 2019-06-25 2019-06-25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장치 및 로딩 픽업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39263B1 (ko)
WO (1) WO20202628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2673B1 (ko) * 2021-11-26 2024-03-29 주식회사 원익피앤이 대상체 승강이송장치 및 승강이송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949B1 (ko) * 1996-01-31 1999-01-15 배순훈 전지삽입장치
JPH09312169A (ja) * 1996-05-22 1997-1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鉛蓄電池用極板群の自動槽入れ装置
KR100472510B1 (ko) 2002-10-29 2005-03-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젤리-롤형의 전지부와, 이의 와인딩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리튬이차전지
KR100541228B1 (ko) * 2002-11-09 2006-01-11 (주)홍익 하이엠 축전지 극판집속체 운반용 취급장치
KR101528006B1 (ko) 2012-09-14 2015-06-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셀의 이송 캐리어
KR20140124970A (ko) 2013-04-17 2014-10-28 세방전지(주) 리튬이차전지 극판 이송 장치
KR20150027689A (ko) 2013-09-02 2015-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이송장치 및 이차전지의 안착불량 검출방법
KR101823198B1 (ko) * 2015-03-04 2018-03-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셀 정렬장치
KR20170085275A (ko) * 2016-01-14 2017-07-24 주식회사 에이비비코리아 납축전지용 극판적재 그리퍼 시스템 및 적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62877A1 (ko) 2020-12-30
KR20210000477A (ko) 202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1210A (en) Apparatus for feeding bars through a bending or like processing station
DE112007003720T5 (de) Überführungseinrichtung
KR102239263B1 (ko) 이차전지 젤리롤 로딩 픽업 장치 및 로딩 픽업 방법
WO2021018649A1 (de) Transportbehältergreifer
KR102204771B1 (ko) 이차전지 젤리롤 투입정도 개선 시스템
JP5147504B2 (ja) ワークのクランプ装置
CN115569873A (zh) 一种物流分拣系统及物流分拣方法
CN116873516B (zh) 一种芯片料管转向机构
DE3812127A1 (de) Vorrichtung zum handhaben von zu vernaehenden aermelzuschnitten
JPH06278857A (ja) 搬送装置
KR100392389B1 (ko) 반도체디바이스 검사장치용 유저트레이 적재장치
CN208316006U (zh) 一种pcb电子产品焊接组装用工装载具
CN109650294A (zh) 一种货叉机构
KR200449262Y1 (ko) 자동이송장치용 레일의 연결구
JP3911039B2 (ja) パレットを用いた搬送装置
KR200491959Y1 (ko) 용접용 횡이송장치
CN216271299U (zh) 搬运机器人
CN218138108U (zh) 一种用于运行托盘的多功能复合夹爪
KR100542128B1 (ko) 반도체 소자 테스트 핸들러의 트레이 스택커
KR102030488B1 (ko) 엘이디 리드프레임 사출성형장치의 런너 취출용 런너 고정장치
CN211959008U (zh) 一种转子装配设备
JPS62149152A (ja) ウエ−ハ移替装置
KR102585314B1 (ko) 공용 로딩/언로딩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인라인 장비
JPH0741485B2 (ja) ボルトセット装置
KR19980056229A (ko) 반도체 소자검사기의 소자 간격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