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832B1 - 시설 감시 시스템 및 시설 감시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시설 감시 시스템 및 시설 감시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832B1
KR102234832B1 KR1020190159767A KR20190159767A KR102234832B1 KR 102234832 B1 KR102234832 B1 KR 102234832B1 KR 1020190159767 A KR1020190159767 A KR 1020190159767A KR 20190159767 A KR20190159767 A KR 20190159767A KR 102234832 B1 KR102234832 B1 KR 102234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er
controllers
monitoring
operation system
system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8599A (ko
Inventor
요시오 마키
Original Assignee
아즈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즈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즈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68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8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8Safety,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02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interconnections or communication control functionality are redunda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03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 G06F11/3006Monito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the computing system or computing system component being monitored where the computing system is distributed, e.g. networked systems, clusters, multiprocessor systems
    • H04L61/2007
    • H04L61/205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07Internet protocol [IP] addr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53Lease time; Renewal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4Pc safety
    • G05B2219/24024Safety, surveillance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계 컨트롤러의 배의 대수의 대기계 컨트롤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중화를 실현할 수 있는 시설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복수대의 컨트롤러(2)는,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21)와, 1대의 대기계 컨트롤러(22)를 포함하고,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21)는, 각각 유효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가지며, 상기 유효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감시 포인트 및 감시 장치(1)와 통신을 행하고, 대기계 컨트롤러(22)는,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21) 각각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무효 상태로 하여 유지하고,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어느 것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 무효 상태로 했던 상기 장해가 발생한 가동계 컨트롤러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유효 상태로 하고, 상기 유효 상태로 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감시 포인트 및 감시 장치(1)와 통신을 행한다.

Description

시설 감시 시스템 및 시설 감시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FACILITY MONITORING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IN FACILITY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시설 내에 설치된 기기의 감시 또는 제어를 행하는 시설 감시 시스템으로서, 이중화된 시설 감시 시스템 및 상기 시설 감시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시설 내의 기기의 감시 또는 제어를 행하는 시설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가동계의 장치와, 상기 가동계의 장치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상기 가동계의 장치의 예비 장치가 되는 대기계의 장치를 설치하여 이중화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에는, 빌딩 설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와 접속되는 서버에 관해, 가동계 서버와 대기계 서버의 이중화된 서버를 갖도록 한 빌딩 관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28573호 공보
전술한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기술로 대표되는 종래 기술에 있어서 서버에 채용되고 있는 바와 같은 이중화의 구조에서는, 하나의 가동계의 장치에 대하여 하나의 대기계의 장치를 구비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시설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기기의 제어 등을 행하는 컨트롤러에 이중화의 구조를 채용하고자 한 경우, 단순히 가동계 컨트롤러의 배의 대수의 컨트롤러를, 대기계 컨트롤러로서 준비할 필요가 있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시설 내의 기기의 감시 또는 제어를 행하는 시설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가동계 컨트롤러의 배의 대수의 대기계 컨트롤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중화를 실현할 수 있는 시설 감시 시스템 및 시설 감시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시설 감시 시스템은, 시설 내의 복수의 감시 포인트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복수대의 컨트롤러와,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감시 장치를 구비한 시설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대의 컨트롤러는,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와, 1대의 대기계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는, 각각 유효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가지며, 상기 유효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감시 포인트 및 감시 장치와 통신을 행하고, 대기계 컨트롤러는,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 각각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무효 상태로 하여 유지하고,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의 어느 것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 무효 상태로 했던 상기 장해가 발생한 가동계 컨트롤러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유효 상태로 하고, 상기 유효 상태로 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감시 포인트 및 감시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설 내의 기기의 감시 또는 제어를 행하는 시설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가동계 컨트롤러의 배의 대수의 대기계 컨트롤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중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시설 감시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시설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갖는 IP 어드레스의 일례, 및, 가동계 컨트롤러가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가동계 컨트롤러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대기계 컨트롤러가 가동계 컨트롤러로 전환되는 구조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시설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갖는 IP 어드레스의 일례, 및, 가동계 컨트롤러가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가동계 컨트롤러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대기계 컨트롤러가 가동계 컨트롤러로 전환되는 구조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장해 발생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시설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컨트롤러가 갖는 IP 어드레스의 일례, 및, 가동계 컨트롤러가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가동계 컨트롤러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대기계 컨트롤러가 가동계 컨트롤러로 전환되는 구조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복구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컨트롤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5a는 가동계 컨트롤러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도 5b는 대기계 컨트롤러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시설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가동계 컨트롤러가, 자신의 이상을 검지하여 이상이 발생했다는 취지를 대기계 컨트롤러에 통지하고, 대기계 컨트롤러는, 가동계 컨트롤러로부터의 통지에 의해, 가동계 컨트롤러에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하도록 한 경우의 가동계 컨트롤러 및 대기계 컨트롤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a는, 가동계 컨트롤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대기계 컨트롤러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시설 감시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형태 1에 관한 시설 감시 시스템은, 예컨대 BA 시스템(Building Automation System)에 적용된다.
시설 감시 시스템은, 감시 장치(1)와, 컨트롤러(2)와, 기기(3)와, 기억 장치(4)를 구비한다.
감시 장치(1)와, 컨트롤러(2)와, 기기(3)와, 기억 장치(4)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다.
도 1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컨트롤러(2)는 1대만 도시하고 있지만, 시설 감시 시스템은 적어도 3대의 컨트롤러(2)를 구비한다.
적어도 3대의 컨트롤러 중, 1대는 대기계 컨트롤러(22)(후술하는 도 2 참조)이며, 그 외에는 가동계 컨트롤러(21)(후술하는 도 2 참조)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21)를, 단순히 「가동계 컨트롤러(21)」라고도 하기로 한다.
또한, 도 1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기기(3)는 하나만 도시하고 있지만, 시설 감시 시스템은 복수의 기기(3)를 구비한다. 1대의 가동계 컨트롤러(21)에는 하나 이상의 기기(3)가 접속된다. 또, 기기(3)는, 센서, 조명, 스위치, 모터 등이며, 시설 내에 설치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하나 이상의 기기(3) 또는 복수의 기기(3)를, 단순히 「기기(3)」라고도 하기로 한다.
가동계 컨트롤러(21)는 기기(3)의 감시 또는 제어를 행한다.
가동계 컨트롤러(21)는, 네트워크를 통해, 기기(3)로부터, 상기 기기(3)가 취득하는 계측치 등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가동계 컨트롤러(21)가 수집한 데이터는, 가동계 컨트롤러(21)가 구비하는 제1 기억부(215)(도 5a를 이용하여 후술)에 기억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감시 장치(1)에 수집된다. 감시 장치(1)에서는, 예컨대, 관리자 등으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여, 가동계 컨트롤러(21)로부터 수집한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표시 장치(도시 생략)에 표시한다. 관리자 등은, 표시 장치에 표시된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시설 감시 시스템의 감시 등을 행한다. 이하, 실시형태 1에서는, 가동계 컨트롤러(21)가 감시 또는 제어하는 기기(3)를 감시 포인트라고도 하고, 상기 감시 포인트가 취득하는 데이터를 감시 포인트 데이터라고도 한다.
가동계 컨트롤러(21)는, 자신의 고유 IP 어드레스와는 별도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감시 장치(1) 및 감시 포인트와의 통신을 행한다. 가상 IP 어드레스는, 가동계 컨트롤러(21)마다 관리자 등에 의해 설정된다. 가상 IP 어드레스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가동계 컨트롤러(21)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가동계 컨트롤러(21)가 갖는 가동계 컨트롤러(21)에 관한 정보(이하 「컨트롤러 정보」라고 함)를 기억 장치(4)에 기억시킨다. 가동계 컨트롤러(21)가 기억 장치(4)에 기억시키는 컨트롤러 정보에는, 상기 가동계 컨트롤러(21)가 수집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표시 장치에 표시시킬 때에 사용하는 그래픽 데이터, 또는, 감시 포인트에 대한 제어에 관한 정보 등, 감시 포인트의 감시 또는 제어에 이용되는 여러가지 정보가 포함된다.
가동계 컨트롤러(21)는, 감시 포인트의 감시 또는 제어라는 특정한 용도에 특화한 기능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구조 기기이며, 가동계 컨트롤러(21)가 구비하는 제1 기억부(215)의 용량은 수십 기가바이트 정도이다. 따라서, 가동계 컨트롤러(21)가, 감시 또는 제어하고 있는 감시 포인트의 과거 수십년분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 등, 대용량의 데이터를 가동계 컨트롤러(21)에 내부적으로 기억시켜 놓고자 하면, 자신이 구비하는 제1 기억부(215)의 용량으로는 부족하다. 따라서, 가동계 컨트롤러(21)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컨트롤러 정보를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외부의 기억 장치(4)로 옮겨, 기억 장치(4)에서 컨트롤러 정보를 기억시키도록 하고 있다.
가동계 컨트롤러(21)는, 기억 장치(4)에 컨트롤러 정보를 기억시킬 때에는, 장치 ID 등, 상기 컨트롤러 정보는 어느 가동계 컨트롤러(21)가 기억시킨 것인지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부여하도록 한다. 실시형태 1에서는, 가동계 컨트롤러(21)는, 컨트롤러 정보에 자신의 장치 ID를 부여하여 기억시키는 것으로 한다. 이것은 일례에 불과하며, 컨트롤러 정보에는, 어느 가동계 컨트롤러(21)가 기억시킨 컨트롤러 정보인지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가 부여되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또, 실시형태 1에서, 장치 ID는, 컨트롤러(2)가 각각 갖는 컨트롤러(2) 고유의 정보이다.
감시 장치(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계 컨트롤러(21)를 통해 감시 포인트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표시 장치에 표시한다.
또한, 감시 장치(1)는, 가동계 컨트롤러(21)를 통해 감시 포인트의 제어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감시 장치(1)는, 예컨대, 관리자 등으로부터 감시 포인트의 감시 또는 제어를 행하기 위한 제어 지시를 접수하고, 접수한 제어 지시를 가동계 컨트롤러(21)에 송신한다. 감시 장치(1)가 가동계 컨트롤러(21)에 송신한 제어 지시는, 가동계 컨트롤러(21)를 통해 감시 포인트에 송신되고, 가동계 컨트롤러(21)는, 감시 장치(1)로부터 송신된 제어 지시에 기초하여 감시 포인트의 감시 또는 제어를 행한다.
대기계 컨트롤러(22)는,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사활 감시를 행한다. 대기계 컨트롤러(22)가 행하는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사활 감시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대기계 컨트롤러(22)는, 사활 감시를 행한 결과, 가동계 컨트롤러(21)에 장해가 발생하지 않은 동안은, 감시 장치(1), 감시 포인트 및 기억 장치(4)와는 통신을 행하지 않는다. 대기계 컨트롤러(22)는, 사활 감시를 행한 결과,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어느 것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장해가 발생한 가동계 컨트롤러(21)로 전환되고, 가동계 컨트롤러(21)로서 가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대기계 컨트롤러(22)는 가동계 컨트롤러(21)로 전환되고, 감시 장치(1) 또는 감시 포인트와, 상기 가동계 컨트롤러(21)가 갖는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또한, 대기계 컨트롤러(22)는, 가동계 컨트롤러(21)로 전환될 때에는, 기억 장치(4)로부터, 장해가 발생한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컨트롤러 정보를 취득하고, 장해가 발생한 가동계 컨트롤러(21)로부터, 감시 포인트의 감시 또는 제어에 필요한 컨트롤러 정보를 이어받는다.
가동계 컨트롤러(21)와 대기계 컨트롤러(22)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가동계 컨트롤러(21) 및 대기계 컨트롤러(22)의 구체적인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도 2, 도 3 및 도 4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시설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컨트롤러(2)가 갖는 IP 어드레스의 일례, 및, 가동계 컨트롤러(21)가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하고, 상기 가동계 컨트롤러(21)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 대기계 컨트롤러(22)가 가동계 컨트롤러(21)로 전환되는 구조에 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도 2∼도 4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시설 감시 시스템에서는, 2대의 가동계 컨트롤러(21)와 1대의 대기계 컨트롤러(22)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고, 2대의 가동계 컨트롤러(21) 중의 한쪽을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 다른쪽을 제2 가동계 컨트롤러(21B)로 하고 있다.
또한,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에는 장치 ID 「1111」, 제2 가동계 컨트롤러(21B)에는 장치 ID 「1112」, 대기계 컨트롤러(22)에는 장치 ID 「1113」가 부여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도 2는, 어느 가동계 컨트롤러(21)에도 장해가 발생하지 않은 상태(이하 「정상 상태」라고 함)를 나타내고, 도 3은,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에서 장해가 발생한 상태(이하 「장해 발생 상태」라고 함)를 나타내고, 도 4는, 도 3에서 장해가 발생한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가 복구된 후의 상태(이하 「복구후 상태」라고 함)를 나타내고 있다.
우선, 정상 상태에서의 각 컨트롤러(2)에 관해 설명한다.
컨트롤러(2)는, 각각 유효한 고유 IP 어드레스를 갖는다. 여기서는,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는 고유 IP 어드레스 「172.16.10.11」를 가지며, 제2 가동계 컨트롤러(21B)는 고유 IP 어드레스 「172.16.10.12」를 가지며, 대기계 컨트롤러(22)는 고유 IP 어드레스 「172.16.10.13」를 갖고 있다.
또한, 컨트롤러(2)는, 가동계 컨트롤러(21)로서 동작하는 경우, 각각 유효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갖는다. 도 2의 예에서 말하면,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는 가상 IP 어드레스 「172.16.10.1」를 가지며, 제2 가동계 컨트롤러(21B)는 가상 IP 어드레스 「172.16.10.2」를 갖고 있다.
한편, 컨트롤러(2)는, 대기계 컨트롤러(22)로서 동작하는 경우, 시설 감시 시스템이 구비하는 모든 가동계 컨트롤러(21)가 갖는 가상 IP 어드레스를, 무효 상태로 하여 유지한다. 예컨대, 도 2의 예에서 말하면, 대기계 컨트롤러(22)는,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가 갖는 가상 IP 어드레스 「172.16.10.1」를 무효 상태로 하여 유지하고, 제2 가동계 컨트롤러(21B)가 갖는 가상 IP 어드레스 「172.16.10.2」를 무효 상태로 하여 유지하고 있다.
가동계 컨트롤러(21)는, 감시 장치(1) 또는 감시 포인트와 통신을 행할 때, 고유 IP 어드레스가 아니라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한다. 예컨대,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가 감시 포인트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할 때, 감시 포인트는,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의 가상 IP 어드레스 「172.16.10.1」에 대하여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예컨대, 제2 가동계 컨트롤러(21B)가 감시 장치(1)로부터 감시 포인트의 제어 지시를 수신할 때, 감시 장치(1)는, 제2 가동계 컨트롤러의 가상 IP 어드레스 「172.16.10.2」에 대하여 제어 지시를 송신한다.
이 때, 대기계 컨트롤러(22)가 유지하고 있는 가상 IP 어드레스 「172.16.10.1」 및 「172.16.10.2」는 무효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대기계 컨트롤러(22)와 감시 장치(1), 또는, 대기계 컨트롤러(22)와 감시 포인트의 사이의 통신은 행해지지 않는다.
어느 컨트롤러(2)를 가동계 컨트롤러(21) 또는 대기계 컨트롤러(22)로서 동작시키는지는, 시설 감시 시스템의 도입시 등에, 관리자 등이 적절하게 설정한다. 그 때, 관리자 등은, 가동계 컨트롤러(21)로서 동작시키는 컨트롤러(2)에는, 상기 가동계 컨트롤러(21) 자신의 고유 IP 어드레스 및 상기 가동계 컨트롤러(21) 자신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또한, 관리자 등은, 대기계 컨트롤러(22)로서 동작시키는 컨트롤러(2)에는, 상기 대기계 컨트롤러(22) 자신의 고유 어드레스를 설정한다. 또한, 관리자 등은, 대기계 컨트롤러(22)로서 동작시키는 컨트롤러(2)에는, 시설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가동계 컨트롤러(21)로 한 모든 컨트롤러(2)에 설정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각각 무효 상태로 하여 설정한다.
여기서, 도 2의 상태로부터, 예컨대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가 고장나, 장해 발생 상태가 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대기계 컨트롤러(22)는,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에서 장해가 발생한 것을 판정하고, 무효 상태로 했던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의 가상 IP 어드레스 「172.16.10.1」를 유효 상태로 한다. 대기계 컨트롤러(22)에 있어서, 가동계 컨트롤러(21)의 가상 IP 어드레스는, 예컨대 장치 ID와 연관되어 유지되어 있고, 대기계 컨트롤러(22)는, 장치 ID로부터, 어느 가상 IP 어드레스를 유효 상태로 할지 판단하면 된다.
대기계 컨트롤러(22)가,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의 가상 IP 어드레스 「172.16.10.1」를 유효 상태로 한 결과, 예컨대, 감시 장치(1) 또는 감시 포인트가 가상 IP 어드레스 「172.16.10.1」에 대하여 송신했던 제어 지시 또는 감시 포인트 데이터는, 대기계 컨트롤러(22)에 대하여 송신되게 된다. 바꿔 말하면,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가 전환되고, 정상 상태에서 대기계 컨트롤러(22)로서 동작했던 장치 ID 1113의 컨트롤러(2)가,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로서 동작하게 된다(도 3 참조).
대기계 컨트롤러(22)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상 상태에 있어서,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사활 감시를 행하고 있다(도 2 참조).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대기계 컨트롤러(22)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 및 제2 가동계 컨트롤러(21B)에 대하여, 각각 생존 확인 커맨드를 송신한다. 생존 확인 커맨드가 송신된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 및 제2 가동계 컨트롤러(21B)는, 상기 생존 확인 커맨드를 수신하면, 상기 생존 확인 커맨드에 대한 응답 커맨드를 대기계 컨트롤러(22)에 대하여 송신한다.
만약 가동계 컨트롤러(21)에서 장해가 발생한 경우, 상기 장해가 발생한 가동계 컨트롤러(21)는 응답 커맨드를 송신할 수 없다. 대기계 컨트롤러(22)는, 응답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것에 의해, 가동계 컨트롤러(21)에서 장해가 발생한 것을 판정한다. 여기서는,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에서 장해가 발생했기 때문에, 대기계 컨트롤러(22)는,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로부터 응답 커맨드가 송신되지 않음으로써,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에서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한다.
또, 전술한 컨트롤러(2) 사이의 생존 확인 커맨드의 송수신 및 응답 커맨드의 송수신은, 고유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대기계 컨트롤러(22)는,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로 전환될 때, 기억 장치(4)에 기억되어 있는 장해 발생전의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의 컨트롤러 정보를 취득한다. 그리고, 대기계 컨트롤러(22)는, 취득한 컨트롤러 정보를 이용하여,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로서 감시 포인트의 감시 또는 제어를 행한다.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기억 장치(4)에 컨트롤러 정보를 기억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대기계 컨트롤러(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억 장치(4)로부터 장해 발생전의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의 컨트롤러 정보를 이어받을 수 있고,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를 대신하여 감시 포인트의 감시 또는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장해 발생 상태에 있어서, 대기계 컨트롤러(22)가, 무효 상태로 했던 가상 IP 어드레스를 유효로 하고,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로 전환되어 가동을 시작할 때, 대기계 컨트롤러(22)는, 무효 상태로 한 장해가 발생한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 이외의 가동계 컨트롤러(21)의 가상 IP 어드레스는 삭제하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기계 컨트롤러(22)는, 가상 IP 어드레스 「172.16.10.1」를 유효 상태로 하고, 가상 IP 어드레스 「172.16.10.2」는 삭제한다. 그러나, 이것은 일례에 불과하며, 대기계 컨트롤러(22)는,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로서 가동하게 되더라도, 무효 상태로 했던 장해가 발생한 가동계 컨트롤러(21) 이외의 가동계 컨트롤러(21)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무효 상태인 채로 유지하도록 해도 좋다.
대기계 컨트롤러(22)는,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로 전환될 때, 상기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유효 상태로 하면, 상기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와 통신하고 있는 감시 장치(1) 및 감시 포인트에 대하여, 자신(대기계 컨트롤러(22))과 통신시키기 위한 정보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대기계 컨트롤러(22)는, 감시 장치(1) 및 감시 포인트에 대하여, GARP(Gratuitous ARP)를 송신하고, ARP 캐쉬를 갱신시키는 지시를 송신한다. 감시 장치(1) 및 감시 포인트에서는, GARP을 수신하면, ARP 테이블을 갱신하고, 상기 ARP 테이블의 가상 IP 어드레스에는, 대기계 컨트롤러(22)의 MAC 어드레스가 설정된다.
따라서, 감시 장치(1) 및 감시 포인트는,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도, 상기 장해가 발생하기까지와 동일하게, 가상 IP 어드레스 「172.16.10.1」를 이용한 통신을 행한다. 그 때문에, 감시 장치(1) 및 감시 포인트는, 대기계 컨트롤러(22)가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로 전환된 것을 의식하지 않고, 대기계 컨트롤러(22)를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로서, 상기 컨트롤러(2)와의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즉, 관리자 등은, 감시 장치(1) 및 감시 포인트에 대하여,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가 전환된 것에 대한 어떠한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없다.
장해가 발생한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장치 ID 1111의 컨트롤러(2))는, 예컨대, 관리자 등에 의해 시설 감시 시스템에서의 접속이 일단 해제되고, 관리자 등은 상기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의 수리를 행한다. 그리고, 수리 완료후, 관리자 등은 다시 상기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를 시설 감시 시스템에 접속한다.
이 경우, 관리자 등은, 수리후의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는, 대기계 컨트롤러(22)로서 시설 감시 시스템에 접속한다. 즉, 복구후 상태에서, 장치 ID 1111의 컨트롤러(2)가 대기계 컨트롤러(22)가 된다(도 4 참조).
이와 같이 함으로써, 관리자 등은, 대기계 컨트롤러(22)로부터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로 전환된 장치 ID 1113의 컨트롤러(2)를, 다시 대기계 컨트롤러(22)로 하는 등의 전환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실시형태 1에 관한 컨트롤러(2)의 구성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실시형태 1에 관한 컨트롤러(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5a는 가동계 컨트롤러(21)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도 5b는 대기계 컨트롤러(22)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5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가동계 컨트롤러(21) 및 대기계 컨트롤러(22)에 관해, 각각, 가동계 컨트롤러(21)인 경우에 기능하는 구성부 및 대기계 컨트롤러(22)인 경우에 기능하는 구성부만을 나타내도록 하고 있지만, 가동계 컨트롤러(21)와 대기계 컨트롤러(22)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가동계 컨트롤러(21)는,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은 대기계 컨트롤러(22)가 갖는 구성부도 구비하고 있고, 대기계 컨트롤러(22)는,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동계 컨트롤러(21)가 갖는 구성부도 구비하고 있다.
컨트롤러(2)는, 소프트웨어에 기초하는 CPU를 이용한 프로그램 처리에 의해 실행된다. 또한, 컨트롤러(2)는, 다른 컨트롤러(2) 또는 감시 장치(1) 등의 외부 기기와의 통신을 행하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도시 생략) 및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도시 생략)를 갖는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계 컨트롤러(21)는, 생존 확인 커맨드 수신부(211), 응답 커맨드 송신부(212), 통신부, 기억 제어부(214) 및 기억부를 구비한다. 이하, 가동계 컨트롤러(21)의 통신부를 제1 통신부(213)라고도 한다. 또한, 가동계 컨트롤러(21)의 기억부를 제1 기억부(215)라고도 한다.
생존 확인 커맨드 수신부(211)는, 대기계 컨트롤러(22)로부터 송신되는 생존 확인 커맨드를 수신한다.
생존 확인 커맨드 수신부(211)는, 생존 확인 커맨드를 수신하면, 상기 생존 확인 커맨드를 수신했다는 취지의 정보를 응답 커맨드 송신부(212)에 출력한다.
응답 커맨드 송신부(212)는, 생존 확인 커맨드 수신부(211)로부터, 생존 확인 커맨드를 수신했다는 취지의 정보가 출력되면, 대기계 컨트롤러(22)에 대하여, 생존 확인 커맨드에 응답하는 응답 커맨드를 송신한다. 또, 이 때, 응답 커맨드 송신부(212)는, 응답 커맨드에, 장치 ID 등 가동계 컨트롤러(21)를 특정 가능한 정보를 부여하도록 한다.
제1 통신부(213)는, 감시 포인트 또는 감시 장치(1)와의 통신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통신부(213)는, 예컨대, 감시 포인트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한다. 제1 통신부(213)는, 수집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제1 기억부(215)에 기억시킨다. 또한, 제1 통신부(213)는, 예컨대, 감시 장치(1)로부터 송신된 감시 포인트의 제어 지시를 수신한다. 제1 통신부(213)는, 필요에 따라서, 감시 포인트에 대하여 행한 제어에 관한 정보를 제1 기억부(215)에 기억시킨다.
기억 제어부(214)는, 미리 설정된 주기가 되면, 제1 기억부(215)에 기억되어 있는 컨트롤러 정보를 기억 장치(4)에 기억시킨다.
제1 기억부(215)는,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지며, 컨트롤러 정보를 기억한다.
실시형태 1에서, 제1 기억부(215)는, 가동계 컨트롤러(21)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지만, 이것은 일례에 불과하며, 제1 기억부(215)는,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외부의, 가동계 컨트롤러(21) 및 기억 장치(4)가 참조 가능한 장소에 구비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도 5a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가동계 컨트롤러(21)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제어부는, 예컨대, 제1 통신부(213)가 수신한 제어 지시에 기초하여 감시 포인트를 제어한다.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기계 컨트롤러(22)는, 생존 확인 커맨드 송신부(221), 응답 커맨드 수신부(222), 생존 판정부(223), 전환 제어부(224), 통신부, 데이터 취득부(226) 및 기억부를 구비한다. 이하, 대기계 컨트롤러(22)의 통신부를 제2 통신부(225)라고도 한다. 또한, 대기계 컨트롤러(22)의 기억부를 제2 기억부(227)라고도 한다.
생존 확인 커맨드 송신부(221)는, 가동계 컨트롤러(21)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생존 확인 커맨드를 송신한다.
응답 커맨드 수신부(222)는, 가동계 컨트롤러(21) 각각으로부터, 생존 확인 커맨드 송신부(221)가 송신한 생존 확인 커맨드에 응답하는 응답 커맨드를 수신한다.
응답 커맨드 수신부(222)는, 수신한 응답 커맨드를 생존 판정부(223)에 출력한다.
생존 판정부(223)는,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어느 것에 장해가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생존 판정부(223)는, 응답 커맨드 수신부(222)가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어느 것으로부터 응답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응답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가동계 컨트롤러(21)에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한다. 생존 판정부(223)는, 응답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가동계 컨트롤러(21)를, 응답 커맨드 수신부(222)가 수신한 응답 커맨드에 부여되어 있는 장치 ID로부터 특정할 수 있다.
생존 판정부(223)는,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어느 것에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한 경우, 가동계 컨트롤러(21)에 장해가 발생했다는 취지의 장해 발생 정보를, 전환 제어부(224) 및 데이터 취득부(226)에 출력한다. 장해 발생 정보는,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된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장치 ID의 정보를 포함한다.
전환 제어부(224)는, 생존 판정부(223)로부터 장해 발생 정보가 출력된 경우, 생존 판정부(223)가,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한 가동계 컨트롤러(21)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유효 상태로 한다.
이 때, 전환 제어부(224)는, 유효 상태로 하지 않은 가동계 컨트롤러(21)의 가상 IP 어드레스는 삭제해도 좋고, 무효 상태인 채로 기억해 두어도 좋다. 또, 대기계 컨트롤러(22)는, 예컨대, 제2 기억부(227)에 가동계 컨트롤러(21)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기억하고 있다.
또한, 전환 제어부(224)는, 후술하는 제2 통신부(225)를 통해, 감시 장치(1) 및 감시 포인트에 대하여 컨트롤러(2)의 어드레스로서 자신(대기계 컨트롤러(22))과 통신시키기 위한 정보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전환 제어부(224)는, 제2 통신부(225)를 통해, 감시 장치(1) 및 감시 포인트에 대하여 GARP를 송신하고, ARP 캐쉬를 갱신시키는 지시를 송신한다.
전환 제어부(224)가, 전술한 동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대기계 컨트롤러(22)가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한 가동계 컨트롤러(21)로 전환된다.
제2 통신부(225)는, 전환 제어부(224)가 유효 상태로 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감시 포인트 및 감시 장치(1)와의 통신을 행한다.
데이터 취득부(226)는, 생존 판정부(223)로부터 장해 발생 정보가 출력된 경우, 기억 장치(4)를 참조하여,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된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컨트롤러 정보를 취득한다. 또, 데이터 취득부(226)는, 대기계 컨트롤러(22)가 가동계 컨트롤러(21)로 전환된 시점에서, 감시 포인트의 감시 또는 제어를 위해 필요한 최저한의 컨트롤러 정보를 취득하면 된다.
제2 기억부(227)는, 가동계 컨트롤러(21)의 가상 IP 어드레스 등을 기억한다.
실시형태 1에서, 제2 기억부(227)는, 대기계 컨트롤러(22)에 구비되는 것으로 하지만, 이것은 일례에 불과하며, 제2 기억부(227)는, 대기계 컨트롤러(22)의 외부의, 대기계 컨트롤러(22)가 참조 가능한 장소에 구비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 도 5b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대기계 컨트롤러(22)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제어부는, 예컨대, 생존 판정부(223)가,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어느 것에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하고, 전환 제어부(224)가,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한 가동계 컨트롤러(21)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유효 상태로 하여 가동계 컨트롤러(21)로의 전환을 행한 후, 데이터 취득부(226)가 컨트롤러 정보를 취득하면, 취득한 컨트롤러 정보에 기초하여 감시 포인트를 제어한다.
다음으로, 실시형태 1에 관한 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대기계 컨트롤러(22)는,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사활 감시를 행한다(단계 ST601). 구체적으로는, 미리 설정된 주기가 되면, 대기계 컨트롤러(22)의 생존 확인 커맨드 송신부(221)는, 가동계 컨트롤러(21) 각각에 대하여 생존 확인 커맨드를 송신한다.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생존 확인 커맨드 수신부(211)는, 대기계 컨트롤러(22)로부터 송신되는 생존 확인 커맨드를 수신하고, 응답 커맨드 송신부(212)는, 대기계 컨트롤러(22)에 대하여 생존 확인 커맨드에 응답하는 응답 커맨드를 송신한다.
대기계 컨트롤러(22)의 생존 판정부(223)는,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어느 것에 장해가 발생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T602). 생존 판정부(223)는, 응답 커맨드 수신부(222)가,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어느 것으로부터 응답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상기 응답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가동계 컨트롤러(21)에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한다.
한편, 생존 판정부(223)는, 모든 가동계 컨트롤러(21)로부터 응답 커맨드를 수신한 경우, 가동계 컨트롤러(21)에는 장해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단계 ST602에서, 생존 판정부(223)가, 가동계 컨트롤러(21)에 장해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T602의 "NO"의 경우), 가동계 컨트롤러(21) 및 감시 장치(1)는 감시 포인트의 감시 또는 제어를 행한다(단계 ST603). 이 때, 가동계 컨트롤러(21)와 감시 포인트, 및, 가동계 컨트롤러(21)와 감시 장치(1)는, 가동계 컨트롤러(21)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행한다.
가동계 컨트롤러(21)의 기억 제어부(214)는, 미리 설정된 주기가 되면(단계 ST604의 "YES"의 경우), 제1 기억부(215)에 기억되어 있는 컨트롤러 정보를 기억 장치(4)에 기억시킨다(단계 ST605). 그리고, 단계 ST601로 되돌아간다.
가동계 컨트롤러(21)의 기억 제어부(214)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T604의 "NO"의 경우), 단계 ST604는 스킵하고 단계 ST601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 ST602에서, 대기계 컨트롤러(22)의 생존 판정부(223)가 가동계 컨트롤러(21)에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한 경우(단계 ST602의 "YES"의 경우), 바꿔 말하면, 생존 판정부(223)가,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어느 것으로부터 응답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대기계 컨트롤러(22)는 컨트롤러(2)의 전환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대기계 컨트롤러(22)에 있어서, 전환 제어부(224)는,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된 가동계 컨트롤러(21)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유효 상태로 한다. 그리고, 전환 제어부(224)는, 후술하는 제2 통신부(225)를 통해, 감시 장치(1) 및 감시 포인트에 대하여, 컨트롤러(2)의 어드레스로서 자신과 통신시키기 위한 정보를 송신한다. 제2 통신부(225)는, 전환 제어부(224)가 유효 상태로 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감시 포인트 및 감시 장치(1)와의 통신을 행한다.
그리고, 데이터 취득부(226)는, 기억 장치(4)를 참조하여,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된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컨트롤러 정보를 취득한다.
그 후, 단계 ST606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 1에 관한 시설 감시 시스템에서는, 2대 이상의 가동계 컨트롤러(21)에 대하여, 상기 2대 이상의 가동계 컨트롤러(21) 전부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유지하는 1대의 대기계 컨트롤러(22)를 준비하도록 했다. 그리고, 상기 1대의 대기계 컨트롤러(22)가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사활 감시를 행하여,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어느 것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1대의 대기계 컨트롤러(22)가, 장해가 발생한 가동계 컨트롤러(21)로 전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중화를 실현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을 이용하여, 감시 포인트의 감시 또는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2)에 이중화 구조를 채용하고자 한 경우, 단순히 가동계 컨트롤러(21)의 배의 대수의 컨트롤러(2)를 대기계 컨트롤러(22)로서 준비할 필요가 있다. 그 결과, 기기 비용이 든다.
또한, 1대의 가동계 컨트롤러(21)가 감시 또는 제어할 수 있는 감시 포인트의 수에는 한계가 있다. 예컨대, 시설 감시 시스템이 대규모 시설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시설 내에 설치된 방대한 감시 포인트를 감시 또는 제어하기 위해서는,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수도 늘려야 하다. 그렇게 하면, 가동계 컨트롤러(21)의 배의 대수의 대기계 컨트롤러(22)를 준비하게 되고, 기기 비용도 더 증대된다.
한편, 컨트롤러(2)는 구조 기기이며, 예컨대, PC(Personal Computer)와 같이 범용 용도로, 다종 다양한 기능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기기와 비교하면, 고장날 확률은 낮다. 컨트롤러(2)에는, 예컨대, 10년간 연속 가동할 수 있는 품질을 보증하는 것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동계 컨트롤러(21)의 배의 대수의 대기계 컨트롤러(22)를 준비하는 것은, 상기 대기계 컨트롤러(22) 때문에 필요없는 기기 비용이 든다고도 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실시형태 1에 관한 시설 감시 시스템은, 2대 이상의 가동계 컨트롤러(21)에 대하여, 상기 2대 이상의 가동계 컨트롤러(21) 전부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유지하는 1대의 대기계 컨트롤러(22)를 준비함으로써, 시설 감시 시스템의 이중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했다. 실시형태 1에 관한 시설 감시 시스템은, 이것에 의해, 2대 이상의 가동계 컨트롤러(21) 중의 어느 것에서 장해가 발생하더라도, 감시 포인트의 감시 및 제어를 계속할 수 있다.
또, 구조 기기인 컨트롤러(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장날 확률이 낮은 것이기 때문에, 동시에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21)가 고장날 가능성은 매우 낮다.
실시형태 1에 관한 시설 감시 시스템은, 컨트롤러(2)의 고신뢰성을 살린 비용 절감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1에 관한 시설 감시 시스템에서는, 가동계 컨트롤러(21)는, 각각 유효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감시 장치(1) 및 감시 포인트와 통신하고, 감시 포인트의 감시 또는 제어를 행한다.
감시 장치(1) 및 감시 포인트는, 가동계 컨트롤러(21)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 상기 장해가 발생하기 전에도, 상기 장해가 발생하여 가동계 컨트롤러(21)가 전환된 후에도, 동일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가동계 컨트롤러(21)와의 통신을 행하기 때문에, 상기 가동계 컨트롤러(21)가 전환된 것을 의식할 필요가 없다. 즉, 관리자 등은, 감시 장치(1) 및 감시 포인트에 대하여, 제1 가동계 컨트롤러(21A)가 전환된 것에 대한 어떠한 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없다.
이상의 실시형태 1에서는, 대기계 컨트롤러(22)는, 가동계 컨트롤러(21)에 대하여 생존 확인 커맨드를 송신하고, 가동계 컨트롤러(21)로부터 상기 생존 확인 커맨드에 대한 응답 커맨드가 송신되지 않는 것에 의해, 가동계 컨트롤러(21)에 장해가 발생한 것을 판정하도록 했다.
그러나, 이것은 일례에 불과하며, 대기계 컨트롤러(22)는, 그 밖의 방법으로, 가동계 컨트롤러(21)에 장해가 발생한 것을 판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동계 컨트롤러(21a)(후술하는 도 7 참조)가, 자신(가동계 컨트롤러(21a))의 이상을 검지하고, 상기 이상을 검지했다는 취지를 대기계 컨트롤러(22a)(후술하는 도 7 참조)에 통지한다. 그리고, 대기계 컨트롤러(22a)는, 가동계 컨트롤러(21a)에서의 이상을 검지했다는 취지의 통지를 받아, 가동계 컨트롤러(21a)에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하도록 해도 좋다.
도 7은, 실시형태 1에 관한 시설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가동계 컨트롤러(21a)가, 자신의 이상을 검지하여 이상이 발생했다는 취지를 대기계 컨트롤러(22a)에 통지하고, 대기계 컨트롤러(22a)는, 가동계 컨트롤러(21a)에서의 통지에 의해, 가동계 컨트롤러(21a)에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하도록 한 경우의 가동계 컨트롤러(21a) 및 대기계 컨트롤러(22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a는, 가동계 컨트롤러(21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대기계 컨트롤러(22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에서, 도 5a를 이용하여 설명한 가동계 컨트롤러(21)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7b에서, 도 5b를 이용하여 설명한 대기계 컨트롤러(22)와 동일한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7a에 나타내는 가동계 컨트롤러(21a)는, 도 5a를 이용하여 설명한 가동계 컨트롤러(21)와 비교하면, 생존 확인 커맨드 수신부(211) 및 응답 커맨드 송신부(212) 대신에, 이상 검지부(216) 및 이상 통지부(217)를 구비하는 점이 상이하다.
이상 검지부(216)는 자신의 이상을 검지한다.
이상 검지부(216)는, 이상을 검지한 경우, 이상을 검지했다는 취지의 정보를 이상 통지부(217)에 출력한다.
이상 통지부(217)는, 이상의 발생을 통지하는 이상 발생 통지 정보를 대기계 컨트롤러(22a)에 송신한다. 이상 발생 통지 정보에는, 상기 이상 발생 통지 정보를 송신한 가동계 컨트롤러(21a)를 특정 가능한 정보가 포함된다.
또, 이상 통지부(217)로부터 대기계 컨트롤러(22a)로의 이상 발생 통지 정보의 송신은, 고유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행해진다.
도 7b에 나타내는 대기계 컨트롤러(22a)는, 도 5b를 이용하여 설명한 대기계 컨트롤러(22)와 비교하면, 생존 확인 커맨드 송신부(221) 및 응답 커맨드 수신부(222) 대신에 이상 통지 수신부(228)를 구비하는 점이 상이하다.
이상 통지 수신부(228)는, 가동계 컨트롤러(21a)로부터 송신된 이상 발생 통지 정보를 수신한다.
이상 통지 수신부(228)는, 이상 발생 통지 정보를 수신한 경우, 이상 발생 통지 정보를 생존 판정부(223a)에 출력한다.
대기계 컨트롤러(22a)에서는, 생존 판정부(223a)는, 이상 통지 수신부(228)로부터 이상 발생 통지 정보가 출력된 경우에, 가동계 컨트롤러(21a)에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한다. 또, 어느 가동계 컨트롤러(21a)에 장해가 발생했는지는, 이상 발생 통지 정보로부터 특정할 수 있다.
가동계 컨트롤러(21a) 및 대기계 컨트롤러(22a)를, 각각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의 시설 감시 시스템의 동작은,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 동작에서, 단계 ST601 및 단계 ST602의 구체적인 동작 내용이 바뀔 뿐이다.
구체적으로는, 단계 ST601에서, 대기계 컨트롤러(22a)는, 가동계 컨트롤러(21a)의 사활 감시를, 가동계 컨트롤러(21a)로부터 이상 발생 통지 정보를 수신했는지 아닌지에 의해 행한다.
그리고, 단계 ST602에서, 대기계 컨트롤러(22a)는, 가동계 컨트롤러(21a)로부터 이상 발생 통지 정보를 수신한 경우, 가동계 컨트롤러(21a)에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하고(단계 ST602의 "YES"의 경우), 가동계 컨트롤러(21a)로부터 이상 발생 통지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 가동계 컨트롤러(21a)에 장해는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한다(단계 ST602의 "NO"의 경우).
단계 ST603∼단계 ST605의 동작은 이미 설명했기 때문에,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이, 가동계 컨트롤러(21a)가, 자신의 이상을 검지하여, 상기 이상을 검지했다는 취지를 대기계 컨트롤러(22a)에 통지하고, 대기계 컨트롤러(22a)는, 가동계 컨트롤러(21a)로부터 이상을 검지했다는 취지의 통지를 받아, 가동계 컨트롤러(21a)에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1에 관한 시설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가동계 컨트롤러(21)가, 도 5a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도 7a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이상 검지부(216) 및 이상 통지부(217)를 더 구비하고, 대기계 컨트롤러(22)가, 도 5b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도 7b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이상 통지 수신부(228)를 더 구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 1에서는, 시설 감시 시스템은 기억 장치(4)를 구비하고, 가동계 컨트롤러(21)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컨트롤러 정보를 기억 장치(4)에 기억시키는 것으로 했다.
그러나, 이것은 일례에 불과하며, 시설 감시 시스템은 기억 장치(4)를 구비하지 않고, 가동계 컨트롤러(21)는, 컨트롤러 정보를 자신(가동계 컨트롤러(21))이 구비하는 제1 기억부(215)에 기억시켜 놓는 것만으로 해도 좋다.
예컨대, 가동계 컨트롤러(21)가, 감시 포인트의 감시 또는 제어에 현재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만을 사용하는 경우, 가동계 컨트롤러(21)가 유지해 두어야 하는 정보는 현재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만이며, 상기 현재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기억시켜 놓기 위한 용량은, 가동계 컨트롤러(21)가 구비하는 제1 기억부(215)의 용량으로 충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설 감시 시스템은, 기억 장치(4)를 구비하는 것을 필수로 하지 않는다.
가동계 컨트롤러(21)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 대기계 컨트롤러(22)는, 장해가 발생한 가동계 컨트롤러(21)로 전환되면, 감시 포인트로부터 현재의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한 감시 포인트 데이터에 기초하여 감시 포인트의 감시 또는 제어를 계속시킨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 1에서, 컨트롤러(2)는, 상위 컨트롤러 및 하위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상위 컨트롤러는, 상위 네트워크를 통해 감시 장치(1)와 접속되고, 감시 장치(1)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하위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하위 컨트롤러를 감시 또는 제어한다. 하위 컨트롤러는, 하위 네트워크를 통해 상위 컨트롤러와 접속되고, 상위 컨트롤러에 의한 제어에 따라서, 하위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복수의 감시 포인트를 제어한다. 이 경우도, 상위 컨트롤러 및 하위 컨트롤러에, 이상의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2대 이상의 가동계 컨트롤러(21)와 1대의 대기계 컨트롤러(22)를 준비하고, 1대의 대기계 컨트롤러(22)가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사활 감시를 행하여,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어느 것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1대의 대기계 컨트롤러(22)가, 장해가 발생한 가동계 컨트롤러(21)로 전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중화를 실현하는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 1에 의하면, 시설 내의 복수의 감시 포인트(기기(3))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복수대의 컨트롤러(2)와, 상기 복수의 컨트롤러(2)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감시 장치(1)를 구비한 시설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대의 컨트롤러(2)는,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21)와, 1대의 대기계 컨트롤러(22)를 포함하고,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21)는, 각각 유효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가지며, 상기 유효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감시 포인트 및 감시 장치(1)와 통신을 행하고, 대기계 컨트롤러(22)는,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21) 각각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무효 상태로 하여 유지하고,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어느 것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 무효 상태로 했던, 상기 장해가 발생한 가동계 컨트롤러(21)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유효 상태로 하고, 상기 유효 상태로 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감시 포인트 및 감시 장치(1)와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했다. 이와 같이, 1대의 대기계 컨트롤러(22)가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사활 감시를 행하여,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어느 것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1대의 대기계 컨트롤러(22)가, 장해가 발생한 가동계 컨트롤러(21)로 전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에 의해, 가동계 컨트롤러의 배의 대수의 대기계 컨트롤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중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시설 감시 시스템은, 복수대의 컨트롤러(2)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기억 장치(4)를 구비하고, 기억 장치(4)는,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21)에 관한 정보(컨트롤러 정보)를 기억하고, 대기계 컨트롤러(22)는,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21)의 어느 것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 기억 장치(4)로부터 상기 장해가 발생한 가동계 컨트롤러(21)에 관한 데이터를 취득하도록 했다. 이것에 의해, 대기계 컨트롤러(22)는, 기억 장치(4)를 통해, 장해 발생전의 가동계 컨트롤러(21)가 감시 포인트의 감시 또는 제어를 행하기 위해 필요한 컨트롤러 정보를 이어받을 수 있고, 가동계 컨트롤러(21)로 전환되어 감시 포인트의 감시 또는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실시형태의 임의의 구성 요소의 변형 혹은 실시형태의 임의의 구성 요소의 생략이 가능하다.
1 : 감시 장치
2 : 컨트롤러
21, 21a : 가동계 컨트롤러
21A : 제1 가동계 컨트롤러
21B : 제2 가동계 컨트롤러
22, 22a : 대기계 컨트롤러
3 : 기기
4 : 기억 장치
211 : 생존 확인 커맨드 수신부
212 : 응답 커맨드 송신부
213 : 제1 통신부
214 : 기억 제어부
215 : 제1 기억부
216 : 이상 검지부
217 : 이상 통지부
221 : 생존 확인 커맨드 송신부
222 : 응답 커맨드 수신부
223, 223a : 생존 판정부
224 : 전환 제어부
225 : 제2 통신부
226 : 데이터 취득부
227 : 제2 기억부
228 : 이상 통지 수신부

Claims (6)

  1. 시설 내의 복수의 감시 포인트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복수대의 컨트롤러와, 상기 복수대의 컨트롤러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감시 장치를 구비한 시설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대의 컨트롤러는,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와, 1대의 대기계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는, 각각 유효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가지며, 상기 유효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 포인트 및 상기 감시 장치와 통신을 행하고,
    상기 대기계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 각각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무효 상태로 하여 유지하고, 상기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 중의 어느 가동계 컨트롤러에 장해가 발생했는지를 판정하고, 무효 상태로 했던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된 가동계 컨트롤러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유효 상태로 하고, 상기 유효 상태로 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 포인트 및 상기 감시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대의 컨트롤러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기억 장치는, 상기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대기계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 중의 어느 것에 상기 장해가 발생한 경우,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장해가 발생한 가동계 컨트롤러에 관한 데이터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감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는, 상기 감시 포인트로부터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기억 장치가 기억하는 상기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에 관한 정보는, 상기 감시 포인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감시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는,
    상기 대기계 컨트롤러로부터 송신되는 생존 확인 커맨드를 수신하는 생존 확인 커맨드 수신부와,
    상기 생존 확인 커맨드 수신부가 수신한 상기 생존 확인 커맨드에 응답하는 응답 커맨드를 송신하는 응답 커맨드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기계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 각각에 대하여 상기 생존 확인 커맨드를 송신하는 생존 확인 커맨드 송신부와,
    상기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 각각으로부터, 상기 생존 확인 커맨드 송신부가 송신한 생존 확인 커맨드에 응답하는 상기 응답 커맨드를 수신하는 응답 커맨드 수신부와,
    상기 응답 커맨드 수신부가, 상기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 중의 어느 가동계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응답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응답 커맨드를 수신하지 않은 가동계 컨트롤러에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하는 생존 판정부와,
    상기 생존 판정부가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생존 판정부가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한 가동계 컨트롤러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유효 상태로 하는 전환 제어부와,
    상기 전환 제어부가 상기 유효 상태로 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 포인트 및 상기 감시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감시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동계 컨트롤러는, 각각,
    상기 복수의 가동계 컨트롤러 자신의 이상을 검지하는 이상 검지부와,
    상기 이상 검지부가 상기 이상을 검지한 경우에, 상기 이상의 발생을 상기 대기계 컨트롤러에 통지하는 이상 통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대기계 컨트롤러는,
    상기 이상 통지부로부터 상기 이상의 발생이 통지된 경우에, 상기 이상의 발생을 통지한 가동계 컨트롤러에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하는 생존 판정부와,
    상기 생존 판정부가,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한 가동계 컨트롤러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유효 상태로 하는 전환 제어부와,
    상기 전환 제어부가 상기 유효 상태로 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 포인트 및 상기 감시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감시 시스템.
  6. 시설 내의 복수의 감시 포인트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복수대의 컨트롤러와, 상기 복수대의 컨트롤러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감시 장치를 구비한 시설 감시 시스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대의 컨트롤러는,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와, 1대의 대기계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는, 각각 유효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가지며, 상기 유효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 포인트 및 상기 감시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단계를 가지며,
    상기 대기계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 각각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무효 상태로 하여 유지하고, 상기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대의 가동계 컨트롤러 중의 어느 가동계 컨트롤러에 장해가 발생했는지를 판정하고, 무효 상태로 했던 상기 장해가 발생했다고 판정된 가동계 컨트롤러의 가상 IP 어드레스를 유효 상태로 하고, 상기 유효 상태로 한 가상 IP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상기 감시 포인트 및 상기 감시 장치와 통신을 행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 감시 시스템의 통신 방법.
KR1020190159767A 2018-12-05 2019-12-04 시설 감시 시스템 및 시설 감시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KR1022348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27782 2018-12-05
JP2018227782A JP7316779B2 (ja) 2018-12-05 2018-12-05 施設監視システム、および、施設監視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8599A KR20200068599A (ko) 2020-06-15
KR102234832B1 true KR102234832B1 (ko) 2021-04-01

Family

ID=70998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767A KR102234832B1 (ko) 2018-12-05 2019-12-04 시설 감시 시스템 및 시설 감시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16779B2 (ko)
KR (1) KR102234832B1 (ko)
CN (1) CN1112735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62633B (zh) * 2020-11-27 2022-08-26 中国船舶集团有限公司系统工程研究院 一种智能设备集成指挥监控系统、方法和介质
CN112637374B (zh) * 2020-12-15 2022-07-01 杭州迪普科技股份有限公司 转换地址处理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240B1 (ko) * 2007-09-18 2010-03-11 주식회사 어니언텍 부하 분산구조형 이중화 시스템
JP2013025365A (ja) 2011-07-15 2013-02-04 Nec Corp 二重化システムにおける予備装置の障害通知方法
KR101853245B1 (ko) 2015-04-22 2018-04-2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슬레이브 기기 및 이중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9735A (ja) * 1991-06-19 1992-12-22 Toshiba Corp 計算機システムのバックアップ方式
JP3085239B2 (ja) * 1997-03-28 2000-09-04 日本電気株式会社 基本処理装置の二重化方式
JP3609599B2 (ja) * 1998-01-30 2005-01-12 富士通株式会社 ノード代理システム、ノード監視システム、それらの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1344125A (ja) 2000-06-05 2001-12-14 Nec Soft Ltd 2重化ノードシステム
US6944785B2 (en) * 2001-07-23 2005-09-13 Network Appliance, Inc. High-availability cluster virtual server system
US7152179B1 (en) * 2002-09-19 2006-12-19 Cisco Technology, Inc. IP redundancy with improved failover notification
JP2004171370A (ja) 2002-11-21 2004-06-17 Nec Corp 冗長構成におけるクライアント/サーバ間のアドレス制御方式および方法
US6996502B2 (en) * 2004-01-20 2006-02-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mote enterprise management of high availability systems
JP2006129094A (ja) 2004-10-28 2006-05-18 Fuji Xerox Co Ltd 冗長サーバ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
JP2009003491A (ja) 2007-06-19 2009-01-08 Hitachi Ltd クラスタシステムにおけるサーバ切り替え方法
JP2011250033A (ja) 2010-05-25 2011-12-08 Toshiba Corp 監視システム及びサーバ切替方法
JP2012060293A (ja) 2010-09-07 2012-03-22 Yamatake Corp 施設管理システムおよび施設管理方法
JP2012128573A (ja) 2010-12-14 2012-07-05 Mitsubishi Electric Corp 二重化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を用いたビル管理システム
JP2012208706A (ja) 2011-03-29 2012-10-25 Azbil Corp 冗長コントローラ
JP2013012187A (ja) 2011-06-03 2013-01-17 Panasonic Corp 負荷分散サーバシステム
JP2014032576A (ja) 2012-08-06 2014-02-20 Hitachi Solutions Ltd ネットワーク装置又はサーバ装置の多重化方式
WO2016157507A1 (ja) * 2015-04-02 2016-10-06 三菱電機株式会社 冗長化システム及び通信ユニット
JP2018036938A (ja) * 2016-09-01 2018-03-08 アズビル株式会社 施設管理システム、施設管理装置、コントローラ、および、施設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240B1 (ko) * 2007-09-18 2010-03-11 주식회사 어니언텍 부하 분산구조형 이중화 시스템
JP2013025365A (ja) 2011-07-15 2013-02-04 Nec Corp 二重化システムにおける予備装置の障害通知方法
KR101853245B1 (ko) 2015-04-22 2018-04-2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 슬레이브 기기 및 이중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91618A (ja) 2020-06-11
CN111273577B (zh) 2023-12-01
JP7316779B2 (ja) 2023-07-28
CN111273577A (zh) 2020-06-12
KR20200068599A (ko) 202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4509B2 (ja) フィールド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取り可能な記憶媒体
KR102234832B1 (ko) 시설 감시 시스템 및 시설 감시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
CN103955188A (zh) 支持冗余切换功能的控制系统及方法
JP2004021556A (ja) 記憶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299640B2 (ja) 通信装置
JP2013161216A (ja) プラント監視制御装置及びプラント監視制御方法
JP2012128573A (ja) 二重化システムおよびそのシステムを用いたビル管理システム
CN110554935B (zh) 设施监视系统、以及设施监视系统中的通信方法
CN108954702B (zh) 一种空调的控制方法、装置、空调和存储介质
KR20140140719A (ko) 가상 머신 동기화 장치 및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장애 처리 방법
JPH08185330A (ja) 冗長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切り替え方法
JP4788597B2 (ja)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二重化システム
JP7361508B2 (ja) 情報記憶装置、情報出力方法、および、冗長化システム
JP2008204113A (ja) 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
JP2008197907A (ja) 監視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バックアップ方法
JP2013207674A (ja) 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ネットワーク監視方法、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268278A (ja) 遠隔保守コンピュータ保守システム
JP5609272B2 (ja) サーバ装置、サーバシステム及びサーバ装置の制御方法
JP6428273B2 (ja) コマンド処理システム及びコマンド処理方法
KR102145470B1 (ko) 감시 시스템, 감시 방법 및 상위 장치
JP2013250732A (ja) ブレードサーバシステム
JP7431034B2 (ja) コントローラ及び施設監視システム
US10652203B2 (en) Network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nd address setting method
JP2000188605A (ja) Lan接続装置の多重化方式及びその方法
JPH06214601A (ja) 設備制御装置のバックア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