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2338B1 - 골조 마감형 방음시설 - Google Patents

골조 마감형 방음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2338B1
KR102232338B1 KR1020200154392A KR20200154392A KR102232338B1 KR 102232338 B1 KR102232338 B1 KR 102232338B1 KR 1020200154392 A KR1020200154392 A KR 1020200154392A KR 20200154392 A KR20200154392 A KR 20200154392A KR 102232338 B1 KR102232338 B1 KR 102232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uter plate
flange
web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희
유현승
김안수
이창현
임용희
김근필
김보경
Original Assignee
다스코 주식회사
가스코 주식회사
세라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스코 주식회사, 가스코 주식회사, 세라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54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2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2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2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형강 등으로 구축된 골조(50)에 다수의 방음판(55)이 설치되는 방음벽 또는 방음터널 등의 방음시설에 관한 것으로, 다중 절곡된 판체인 외판(20) 및 내판(30)이 조합되어 골조(50)의 플랜지(52)에 결합되고, 측단부에 부착부(11)가 형성된 마감판(10)이 상기 외판(20)에 부착되어, 골조(50)의 노출부를 피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방음시설 골조(50)의 노출부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마감 처리할 수 있으며, 이로써 방음시설의 미관을 개선하고 방음시설 골조(50)의 내화성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조 마감형 방음시설{FRAME COVERING TYPE SOUNDPROOF FACILITIES}
본 발명은 형강 등으로 구축된 골조(50)에 다수의 방음판(55)이 설치되는 방음벽 또는 방음터널 등의 방음시설에 관한 것으로, 다중 절곡된 판체인 외판(20) 및 내판(30)이 조합되어 골조(50)의 플랜지(52)에 결합되고, 측단부에 부착부(11)가 형성된 마감판(10)이 상기 외판(20)에 부착되어, 골조(50)의 노출부를 피복하는 것이다.
도로 또는 철도 등 소음원의 측면부 또는 상부를 폐합하여 소음의 전파를 차단하는 방음벽 또는 방음터널 등의 방음시설은 주거지 또는 도심지 등 교통 소음으로 인한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시설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음벽 또는 방음터널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2119837호 등을 들 수 있다.
특허 제2119837호를 비롯한 종래의 방음시설은 도 1에서와 같이, 강제 형강 등으로 구축된 골조(50)에 다수의 방음판(55)이 설치되어 구성되는데, 골조(50)를 형성하는 형강으로는 통상의 철골 구조물에서와 같이 H빔 형식의 부재가 주로 활용되며, 방음판(55)으로는 흡음성 또는 차음성 판재가 적용되어 다수의 방음판(55)이 조합되어 골조(50)에 부착됨으로써 도로 또는 철도 등의 소음원을 폐합하게 된다.
이러한 방음시설에 있어서 골조(50)와 방음판(55)간의 고정은 방음판(55) 또는 방음판(55)의 조합체 측단부가 골조(50)에 브래킷 또는 기타 연결 수단에 의하여 부착되는 방식으로 수행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브(51) 양단에 각각 플랜지(52)가 형성된 H빔이 골조(50)로 적용되는 경우 방음판(55)의 말단부가 웨브(51)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방음판(55)과 골조(50)가 연결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브(51)와 한쌍의 플랜지(52)로 구성되는 골조(50)에 방음판(55)을 부착함에 있어서는 한쌍의 플랜지(52) 사이의 웨브(51) 표면부에 방음판(55)의 말단부를 접합하게 되는 바, 방음시설의 내부 또는 외부를 막론하고 골조(50)를 구성하는 플랜지(52)는 노출될 수 밖에 없다.
즉, 종래의 방음시설에서는 방음벽 또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은 방음터널 내부에 위치한 운전자 등의 시점(視點)에서 골조(50)를 구성하는 플랜지(52)가 그대로 노출될 수 밖에 없으며, 방음벽 또는 방음터널 외부에 위치한 관찰자의 시점에서도 상기 플랜지(52)의 타측 플랜지(52)가 완전히 노출될 수 밖에 없는 구조인 것이다.
이러한 골조(50) 플랜지(52)의 완전 노출 구조는 미관 측면에서 뿐 아니라, 당해 방음시설의 안전성 및 내구성 측면에서도 불리하게 작용할 수 밖에 없는데, 이는 골조(50)의 표면적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플랜지(52) 표면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됨에 따라 분진 및 매연 등 외부 오염물 침착이 불가피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골조(50)의 부식이 가속됨에서 기인된다 할 수 있다.
특히, 방음시설이 구축된 도로에서 차량 화재 등의 사고 발생시 화재로 인한 열 및 화염이 골조(50)의 외부 노출부에 직접 접촉될 수 밖에 없는데, 화재로 인한 손상시 방음시설을 구성하는 방음판(55)은 비교적 용이한 교체가 가능한 반면, 화재로 인한 열변성이 초래된 골조(50)의 경우 보수 내지 교체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에, 골조(50)의 노출부에 내화성 도료를 도포하는 등의 처리가 수행되고 있으나, 미세한 피막이 골조(50) 표면에 직접 밀착되어 형성되는 특성상 골조(50)의 열변성 방지 효과가 미미할 뿐 아니라, 내화성 도료 또는 내열성 도료는 도막의 형성 과정에서 열처리 또는 전착(電着) 등 고도의 처리가 요구되는 바, 기설 방음시설 현장에서 도장 작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당한 애로점이 상존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웨브(51) 단부에 플랜지(52)가 접합된 골조(50)에 다수의 방음판(55)이 설치되는 방음시설에 있어서, 골조(50)의 플랜지(52) 말단부에는 절곡된 판체인 외판(20) 및 내판(30)이 조합되어 결합되되, 외판(20)은 플랜지(52)의 웨브(51)측 면에 접하는 외판접부(21)와, 외판접부(21)가 웨브(51) 타측으로 절곡되어 웨브(51)와 평행을 이루는 외판직부(22)와, 외판직부(22)가 골조(50) 중심측으로 절곡되어 플랜지(52)와 평행을 이루는 외판평부(23)와, 외판평부(23)가 웨브(51) 타측으로 절곡되어 웨브(51)와 평행을 이루는 외판착부(24)로 구성되고, 내판(30)은 플랜지(52)의 웨브(51) 타측 면에 접하는 내판접부(31)와, 내판접부(31)가 웨브(51)측으로 절곡되어 웨브(51)와 평행을 이루는 내판직부(32)와, 내판직부(32)가 골조(50) 외측으로 절곡되어 플랜지(52)와 평행을 이루는 내판평부(33)와, 내판접부(31)의 내판직부(32) 타측 부위가 웨브(51) 타측으로 절곡되어 웨브(51)와 평행을 이루는 내판착부(34)로 구성되어, 외판(20)의 외판접부(21)와, 내판(30)의 내판접부(31)가 각각 플랜지(52)의 웨브(51)측 면 및 웨브(51) 타측 면에 밀착되고, 내판(30)의 내판직부(32)는 플랜지(52)의 말단에 밀착되며, 외판착부(24) 및 내판착부(34)가 상호 밀착되면서, 외판(20) 및 내판(30)이 플랜지(52)에 고정되고, 외판(20)의 외판직부(22)에는 마감판(10) 측단부의 부착부(11)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마감형 방음시설이다.
또한, 상기 외판접부(21)와 외판직부(22)의 사이각은 예각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마감형 방음시설 또는, 상기 내판접부(31)와 내판착부(34)의 사이각은 예각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마감형 방음시설이다.
또한, 상기 상기 외판접부(21)의 말단부에는 웨브(51)측으로 만곡된 유도곡부(25)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마감형 방음시설 또는, 상기 내판착부(34)의 말단부에는 플랜지(52)측으로 절곡된 구속곡부(35)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마감형 방음시설이다.
또한, 상기 마감판(10)에는 내화성 판체가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마감형 방음시설.
본 발명을 통하여, 방음시설 골조(50)의 노출부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마감 처리할 수 있으며, 이로써 방음시설의 미관을 개선하고 방음시설 골조(50)의 내화성 및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방음시설의 골조(50)와 마감판(10)을 부착함에 있어서, 기설 방음시설 또는 신설 방음시설을 막론하고 간편하고 신속한 작업이 가능하며, 숙련된 기술자 또는 대형 장비의 동원 없이도 용이한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내화 처리된 마감판(10)을 적용함으로써, 화재에 취약한 종래 방음시설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시 골조(50)의 열변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방음시설의 대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적용 방음터널의 대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부분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대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외판 및 내판 결합 방식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외판 및 내판이 결합된 상태의 골조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마감판 부착 방식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마감판이 부착된 상태의 골조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외판 및 내판의 상태별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시공과정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마감판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배후연결판 설명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이 방음터널에 적용된 상태를 예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통하여 골조(50)의 방음터널 내측 노출부가 마감판(10)으로 피복되어 보호될 수 있으며, 이로써 분진 또는 매연 등 오염물의 골조(50) 노출부 침착을 억제할 수 있고, 마감판(10)으로서 내열성 내지 내화성 판체를 적용할 경우 화재 발생시 골조(50)의 열변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마감판(10)이 방음터널 골조(50)의 내측 노출부 즉, 웨브(51)의 양단에 각각 플랜지(52) 중심부가 접합되는 H빔이 골조(50)로 적용됨에 있어서 방음터널 내측의 플랜지(52)에 마감판(10)이 부착되고 있으나, 동일한 부착 방식으로 방음터널 외측의 플랜지에도 마감판(10)이 부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양측 플랜지(52) 모두에 마감판(10)이 부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방음시설 중 지주용 골조(50) 부위를 발췌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골조(50)의 내측 플랜지(52)를 피복하여 보호하는 마감판(10)이 설치되어 있으며, 마감판(10)은 평면상 U자형 단면을 이루는 판체로서, 양측 단부가 만곡되어 웨브(51)와 평행한 부착부(11)가 형성되고, 이들 부착부(11)가 플랜지(52) 말단에 장착되는 내판(30) 및 외판(20)에 부착되어 고정된다.
즉, 본 발명은 도 4의 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다중 절곡된 판체인 외판(20) 및 역시 다중 절곡된 판체인 내판(30)이 상호 조합되어 골조(50)의 플랜지(52) 말단부에 결합, 고정된 후, 마감판(10) 측단부에 형성되는 부착부(11)가 외판(20)에 고정나사(41)를 통하여 부착되는 것으로, 도 5에서와 같이, 1조를 이루는 외판(20) 및 내판(30)이 각각 플랜지(52)의 양측 단부에 대칭으로 결합되어, 도 6에서와 같이 플랜지(52) 양측 단부에 외판(20)과 내판(30)이 조합되어 고정된 연후, 도 7에서와 같이 마감판(10)이 외판(20)에 부착됨으로써 마감판(10)과 골조(50)가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마감판(10) 부착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도 8에서와 같이, 골조(50)의 플랜지(52) 노출부가 완전하게 은폐되어 피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오염물 또는 화염으로부터 골조(50)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7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외판(20) 및 내판(30) 조합체의 설치 부위에 단일 마감판(10)이 아닌 마감판(10)간 연결 부위가 고정되고 있는데, 이로써 마감판(10)의 단순 고정 뿐 아니라 연속된 다수의 마감판(10)을 상호 연결하는 기능 역시 본 발명의 외판(20) 및 내판(30)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외판(20) 및 내판(30) 조합체 및 이들을 통한 골조(50) 플랜지(52)와 마감판(10)의 연결 고정은 다중 절곡 판체인 외판(20) 및 내판(30) 특유의 절곡 구조 및 이들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웨브(51) 단부에 플랜지(52)가 접합된 골조(50)에 다수의 방음판(55)이 설치되는 방음시설에 관한 것으로, 골조(50)의 플랜지(52) 말단부에는 절곡된 판체인 외판(20) 및 내판(30)이 조합되어 결합된다.
도 4의 원내 확대부 및 도 9에서와 같이, 외판(20)은 플랜지(52)의 이면(裏面) 즉, 플랜지(52)의 웨브(51)측 면에 접하는 외판접부(21)와, 외판접부(21)가 웨브(51) 타측으로 절곡되어 웨브(51)와 평행을 이루는 외판직부(22)와, 외판직부(22)가 골조(50) 중심측으로 절곡되어 플랜지(52)와 평행을 이루는 외판평부(23)와, 외판평부(23)가 웨브(51) 타측으로 절곡되어 웨브(51)와 평행을 이루는 외판착부(24)로 구성된다.
또한, 내판(30)은 플랜지(52)의 표면 즉, 플랜지(52)의 웨브(51) 타측 면에 접하는 내판접부(31)와, 내판접부(31)가 웨브(51)측으로 절곡되어 웨브(51)와 평행을 이루는 내판직부(32)와, 내판직부(32)가 골조(50) 외측으로 절곡되어 플랜지(52)와 평행을 이루는 내판평부(33)와, 내판접부(31)의 내판직부(32) 타측 부위가 웨브(51) 타측으로 절곡되어 웨브(51)와 평행을 이루는 내판착부(34)로 구성된다.
즉, 도 4의 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외판(20)은 전체적으로 플랜지(52) 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절곡되는 판체이고, 내판(30)은 플랜지(52)의 웨브(51) 타측 표면에 밀착되는 판체로서, 내판(30)이 외판(20) 내부에 수납되어 결합되는 형태로 조합되고, 이 조합체가 플랜지(52)의 말단부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외판(20)의 외판접부(21)와, 내판(30)의 내판접부(31)가 각각 플랜지(52)의 웨브(51)측 면 및 웨브(51) 타측 면에 밀착되고, 내판(30)의 내판직부(32)는 플랜지(52)의 말단에 밀착되며, 외판착부(24) 및 내판착부(34)가 상호 밀착되면서, 외판(20) 및 내판(30)이 플랜지(52)에 견고하게 고정되는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외판착부(24)와 내판착부(34)간 밀착 접합에 있어서, 이들 외판착부(24) 및 내판착부(34)를 볼트 및 너트로 결착하고 있으나, 이 밖에도 리벳을 적용할 수도 있으며 특히, 일방 작업이 가능한 블라인드 리벳을 적용할 경우 일층 용이한 작업이 가능하다.
이렇듯, 외판(20) 및 내판(30) 조합체가 플랜지(52) 말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도 4의 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외판(20)의 외판직부(22)에는 마감판(10) 측단부의 부착부(11)가 부착되는데, 마감판(10)의 부착부(11)와 외판직부(22)간 부착은 고정나사(41)를 통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동 도면에서와 같이, 고정나사(41)의 선단이 내판(30)의 내판직부(32)를 압박함으로써 외판(20) 및 내판(30) 조합체의 일층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최종적인 설치 대상물은 웨브(51)와 플랜지(52)로 구성되는 골조(50)를 보호하는 마감판(10)이라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마감판(10)은 양측 단부에 웨브(51)와 평행하고 플랜지(52)와는 직교하는 부착부(11)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U자형 단면을 이루는 판체로서, 이러한 마감판(10)은 골조(50)에 직접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일단 골조(50)의 플랜지(52) 말단부에 다중 절곡 판체인 외판(20) 및 내판(30)을 결합, 고정한 후, 외판(20)에 마감판(10)을 부착하게 되는 바, 시공상 작업의 관건은 외판(20) 및 내판(30)의 플랜지(52) 결합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랜지(52)에 외판(20) 및 내판(30)을 결합함에 있어서의 편의성 및 견고성이 요구될 수 밖에 없는데, 이를 위해서는 외판(20) 및 내판(30)의 최초 플랜지(52) 결합시 이들 외판(20) 및 내판(30)간 결착을 위한 볼트 등의 수단을 설치하기 이전에도 외판(20) 및 내판(30)의 자체 탄성 내지 결합 구조를 통하여 플랜지(52)에 대한 결합 및 고정 상태가 유지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5 및 도 9에서와 같이, 플랜지(52)와의 결합전 자유상태의 외판(20)과 내판(30)에 있어서 추후 플랜지(52)와 직접 접촉되는 부위에 경사를 부여함으로써, 플랜지(52) 말단부에 외판(20) 및 내판(30) 조합체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 부여 부위가 변형됨에 따라, 외판(20) 및 내판(30) 판체의 탄성에 의하여 해당 부위가 플랜지(52)의 표면 및 이면에 강력하게 압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 9에서와 같이, 외판(20)의 외판접부(21)에 경사를 부여하거나, 내판(30)의 내판접부(31)에 경사를 부여하는 것으로, 도 4의 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내판(30)의 내판접부(31)는 플랜지(52)의 노출측 표면인 웨브(51) 타측 표면에 밀착되고, 외판(20)의 외판접부(21)는 플랜지(52)의 이면인 플랜지(52)의 웨브(51)측 면에 밀착되는 구성으로서, 이들 구성에 각각 플랜지(52)를 압착하는 방향으로 경사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는 판체를 절곡 가공함에 있어서 절곡 각도를 직각이 아닌 예각을 적용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도 9에서와 같이, 외판(20)의 경우 외판접부(21)와 외판직부(22)의 사이각(θ)을 예각으로 설정하고, 내판(30)의 경우 내판접부(31)와 내판착부(34)의 사이각(θ')을 예각으로 설정하게 된다.
단, 상기 외판접부(21)와 외판직부(22)의 사이각(θ) 및 내판접부(31)와 내판착부(34)의 사이각(θ')을 예각으로 형성함에 있어서, 과도한 절곡시 인력에 의한 작업이 불가능함은 물론, 플랜지(52)와의 결합시 과도한 변형이 야기되어 외판(20) 또는 내판(30)이 파손되거나 그 기능이 상실될 수도 있으므로, 외판접부(21)와 외판직부(22)의 사이각(θ) 및 내판접부(31)와 내판착부(34)의 사이각(θ') 공히 84도 내지 89도의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듯, 플랜지(52) 접촉 부위에 경사가 부여된 본 발명의 외판(20) 및 내판(30)은 도 10에서와 같은 과정으로 플랜지(52) 단부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으며, 이로써 외판(20)의 외판착부(24)와 내판(30)의 내판착부(34)간 인위적 결착 없이도, 자체 탄성에 의하여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외판(20) 및 내판(30) 조합체와 플랜지(52)의 1차 결합은 외판(20) 및 내판(30) 조합체에 있어서 개구부를 형성하는 외판접부(21) 및 내판접부(31) 사이의 공간으로 플랜지(52) 말단부가 진입하도록 외판(20) 및 내판(30) 조합체를 플랜지(52) 말단에 결합하는 작업으로 개시되는데, 이때 원활간 결합이 가능하도록, 외판접부(21)의 말단부에는 웨브(51)측으로 만곡된 유도곡부(25)를 형성하여 진입구를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에서와 같이, 외판(20) 및 내판(30) 조합체와 플랜지(52)의 결합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이들 조합된 외판(20) 및 내판(30)이 상호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판착부(34)의 말단부에는 플랜지(52)측으로 절곡된 구속곡부(35)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1은 다양한 형태의 마감판(10)이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형태 외에도 미관 또는 기능상 필요한 다양한 변형이 마감판(10)에 가능하며, 이로서 마감판(10)의 외형을 다채롭게 연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마감판(10)을 장착함으로써 마감판(10)과 골조(50)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포켓(air pocket)의 형태 및 크기 역시 변동될 수 있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감판(10)에는 내화성 도료의 도포, 내화성 소재의 적용 내지 적층, 또는 기타 내화 처리가 이루어진 내화성 판체가 적용되어, 골조(50)의 화재 피해를 획기적으로 경감할 수 있는데, 이는 내화성 판체가 적용된 마감판(10) 자체의 내화성 뿐 아니라, 마감판(10)으로 인한 화염 및 복사열의 차폐와 동시에 마감판(10)과 골조(50)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포켓을 통한 열 전달 차단 효과가 조합되어 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마감판(10)은 도 11에 예시된 평면상 단면 형상이 변형된 형태의 마감판(10) 뿐 아니라,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마감판(10)에서와 같이, 양 측단부에 부착부(11)가 굴곡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평면상 U자형 단면 형상이 부여되는 바, 마감판(10)과 골조(50)의 부착시 골조(50)의 표면과 마감판(10)의 이면 사이에 상당량의 공기가 수용되는 에어포켓이 형성되며, 이 에어포켓이 화재로 인하여 발생된 열의 전달을 차단하는 단열층 역할을 수행하여, 본 발명 적용 방음시설의 내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2는 전술한 외판(20) 및 내판(30) 조합체를 통하여 기 고정된 마감판(10)을 전제로, 다수의 마감판(10)을 연속하여 연결하는 방식을 예시한 것으로, 마감판(10)의 배면에 마감판(10)의 배면 형상과 일치하는 표면 형상을 가지는 배후연결판(19)을 부착하고, 이 배후연결판(19)의 표면에 새로운 마감판(10)을 부착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로써 다수의 마감판(10)이 축방향으로 연속 배열되는 구조에 있어서, 매 마감판(10)에 대하여 외판(20) 및 내판(30) 조합체를 설치하지 않고도 본 발명 적용 방음시설의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10 : 마감판
11 : 부착부
19 : 배후연결판
20 : 외판
21 : 외판접부
22 : 외판직부
23 : 외판평부
24 : 외판착부
25 : 유도곡부
30 : 내판
31 : 내판접부
32 : 내판직부
33 : 내판평부
34 : 내판착부
35 : 구속곡부
41 : 고정나사
50 : 골조
51 : 웨브
52 : 플랜지
55 : 방음판

Claims (6)

  1. 웨브(51) 단부에 플랜지(52)가 접합된 골조(50)에 다수의 방음판(55)이 설치되는 방음시설에 있어서,
    골조(50)의 플랜지(52) 말단부에는 절곡된 판체인 외판(20) 및 내판(30)이 조합되어 결합되되;
    외판(20)은 플랜지(52)의 웨브(51)측 면에 접하는 외판접부(21)와, 외판접부(21)가 웨브(51) 타측으로 절곡되어 웨브(51)와 평행을 이루는 외판직부(22)와, 외판직부(22)가 골조(50) 중심측으로 절곡되어 플랜지(52)와 평행을 이루는 외판평부(23)와, 외판평부(23)가 웨브(51) 타측으로 절곡되어 웨브(51)와 평행을 이루는 외판착부(24)로 구성되고;
    내판(30)은 플랜지(52)의 웨브(51) 타측 면에 접하는 내판접부(31)와, 내판접부(31)가 웨브(51)측으로 절곡되어 웨브(51)와 평행을 이루는 내판직부(32)와, 내판직부(32)가 골조(50) 외측으로 절곡되어 플랜지(52)와 평행을 이루는 내판평부(33)와, 내판접부(31)의 내판직부(32) 타측 부위가 웨브(51) 타측으로 절곡되어 웨브(51)와 평행을 이루는 내판착부(34)로 구성되어;
    외판(20)의 외판접부(21)와, 내판(30)의 내판접부(31)가 각각 플랜지(52)의 웨브(51)측 면 및 웨브(51) 타측 면에 밀착되고, 내판(30)의 내판직부(32)는 플랜지(52)의 말단에 밀착되며, 외판착부(24) 및 내판착부(34)가 상호 밀착되면서, 외판(20) 및 내판(30)이 플랜지(52)에 고정되고, 외판(20)의 외판직부(22)에는 마감판(10) 측단부의 부착부(11)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마감형 방음시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외판접부(21)와 외판직부(22)의 사이각은 예각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마감형 방음시설.
  3. 청구항 1에 있어서,
    내판접부(31)와 내판착부(34)의 사이각은 예각임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마감형 방음시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외판접부(21)의 말단부에는 웨브(51)측으로 만곡된 유도곡부(25)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마감형 방음시설.
  5. 청구항 1에 있어서,
    내판착부(34)의 말단부에는 플랜지(52)측으로 절곡된 구속곡부(35)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마감형 방음시설.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마감판(10)에는 내화성 판체가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골조 마감형 방음시설.
KR1020200154392A 2020-11-18 2020-11-18 골조 마감형 방음시설 KR102232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392A KR102232338B1 (ko) 2020-11-18 2020-11-18 골조 마감형 방음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392A KR102232338B1 (ko) 2020-11-18 2020-11-18 골조 마감형 방음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2338B1 true KR102232338B1 (ko) 2021-03-26

Family

ID=75259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392A KR102232338B1 (ko) 2020-11-18 2020-11-18 골조 마감형 방음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23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0923A (ja) * 2004-06-09 2005-12-22 Sankyo Alum Ind Co Ltd パネル体
KR101144060B1 (ko) * 2009-12-23 2012-05-23 주식회사 부림씨앤에스 방음판용 에이치빔의 전면 가림판
KR101849171B1 (ko) * 2017-04-19 2018-04-16 박춘종 H빔에 흡음기능을 구비시킨 방음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50923A (ja) * 2004-06-09 2005-12-22 Sankyo Alum Ind Co Ltd パネル体
KR101144060B1 (ko) * 2009-12-23 2012-05-23 주식회사 부림씨앤에스 방음판용 에이치빔의 전면 가림판
KR101849171B1 (ko) * 2017-04-19 2018-04-16 박춘종 H빔에 흡음기능을 구비시킨 방음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19870B2 (ja) エレベ―タの壁構体およびエレベ―タカ―
ES2206841T3 (es) Estructura de pared.
CN212983653U (zh) 声屏障凹凸重叠系统
KR20160123567A (ko) 조립식 방음터널
KR102232338B1 (ko) 골조 마감형 방음시설
JP2006299698A (ja) 防音パネル及び防音壁
JP3506828B2 (ja) 外囲体の音鳴防止構造
JP6996899B2 (ja) 反射部材及びトンネルの内装構造
JP3543909B2 (ja) トンネル用内装パネル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KR101238328B1 (ko) 방음벽 결합구조
JPH09177041A (ja) 電波透過型防音パネル
KR101057935B1 (ko) 조립식 방음벽
JP3499468B2 (ja) 道路用遮音壁
JP2009516106A (ja) 壁構造体
KR20200123345A (ko) 외벽마감용 불연외장패널 및 그 시공방법
RU149226U1 (ru) Акустическая панель шумозащит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200449620Y1 (ko) 표면 만곡형 방음벽
CN217232370U (zh) 一种大空间grg弧形组合天花
JP2001193024A (ja) 防音パネルを構造物の壁面に取付けるための取付金具及びその取付金具を用いた防音パネルの取付構造
JP3289233B2 (ja) 透光性吸音パネル
KR200234619Y1 (ko) 방음 판
KR101139926B1 (ko) 조립식 방음벽모듈
JP2017128864A (ja) トンネルの補強構造、補強パネル及び連結具
CN113981844A (zh) 声屏障凹凸重叠系统
KR20160123568A (ko) 터널형 방음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