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1866B1 - 지게차 - Google Patents

지게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1866B1
KR102221866B1 KR1020200084522A KR20200084522A KR102221866B1 KR 102221866 B1 KR102221866 B1 KR 102221866B1 KR 1020200084522 A KR1020200084522 A KR 1020200084522A KR 20200084522 A KR20200084522 A KR 20200084522A KR 102221866 B1 KR102221866 B1 KR 102221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pair
horizontal bar
forks
fork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현
Original Assignee
김광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현 filed Critical 김광현
Priority to KR102020008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18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1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1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6Side shift, i.e. both forks move together sideways relative to fork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8Masts; Guides;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8Load gripping or ret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차체부; 및 상기 차체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운반할 화물을 적재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지게차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지게차{FORKLIFT TRUCK}
본 발명은 지게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물을 들어올리고 내리거나 또는 이것을 제한된 공간 내에서 원하는 위치로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지게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짐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사용하는 산업용 트럭의 특수한 형태로서, 산업 현장이나 창고에서 사람이 운반하기 어려운 무거운 짐을 유용하게 적재 운반할 수 있다.
이러한 지게차는 모터 등의 차량 구동원이 장착되는 차체프레임, 차체프레임의 전방에 구비되는 마스트(Mast)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트는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마스트 레일(Mast Rail)과 마스트 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되는 캐리지(Carriage)를 구비한다. 상기 캐리지는 리프트 체인(Lift Chain)에 의해 상하로 승강되며, 캐리지의 전방에는 화물을 들어올리는 한 쌍의 포크(Fork)가 장착되어 있다.
차체프레임의 상부에는 운전석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상부에는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한 오버헤드 가드(Overhead Guar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차체프레임의 전방에는 전륜이 장착되고, 후방에는 후륜이 장착되며, 상기 후륜의 상부에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가 설치된다. 상기 카운터웨이트는 차체의 전방에 집중되는 화물의 무게중심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하물을 안정적으로 운송 및 승하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지게차는 크기 및 용도별로 적절한 적재 하중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지게차 이용 시 적재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미숙운전 또는 화물의 무게편중 등으로 인해 지게차의 화물 낙하로 인한 대인 또는 대물사고, 지게차의 전도 및 전복 사고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지게차 보유 현황 및 사용 현황을 전산화하여 관리하는 지게차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화물이 적재되는 수평 바아의 전단에 단턱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지게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한 쌍의 포크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고정 블록을 포함하는 지게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포크 가장자리를 따라 점등되는 점등 유닛을 포함하는 지게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게차는 차체부; 및 상기 차체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운반할 화물을 적재하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차체부는, 전방구동륜과 후방조향륜에 의해 지지되며, 운전석 및 차량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기 이송부는, 하단이 상기 전방구동륜을 지지하는 구동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하게 마련되는 레일; 상기 레일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캐리지; 및 상기 캐리지의 전방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화물이 안착되는 한 쌍의 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한 쌍의 포크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사이드 쉬프터 및 상기 한 쌍의 포크 간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포크 포지셔너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포크는, 각각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마련되어 상기 캐리지에 설치되는 수직 바아; 및 상기 수직 바아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측에 화물이 안착되는 수평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바아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은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장홈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홈을 하단 부분에 형성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한 쌍의 포크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홈에 대응하는 한 쌍의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포크가 서로 맞닿도록 간격이 조절된 상태에서 각 날개부가 상기 한 쌍의 포크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내삽되어 상기 한 쌍의 포크를 결속시키는 고정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포크는, 상기 수평 바아의 전단에 상기 수평 바아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수평 바아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 바아에 화물이 안착되는 경우, 상측으로 직선 이동하여 상기 수평 바아의 전단에 단턱을 형성하는 보조 바아; 상기 수평 바아의 전단 부분의 저면에 형성되고, 'ㄴ'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평 바아의 전단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수평 바아의 전단 부분에 설치되어 상측에 상기 보조 바아가 배치되는 연결부; 및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상기 보조 바아의 저면 및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보조 바아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에 대해 상기 보조 바아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페달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로부터 조작 가능한 구성으로 구비되는 푸시부; 및 양단이 각각 상기 보조 바아의 저면 및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고, 상기 푸시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 바아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단계별로 직선 이동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어 개구된 입구가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실린더에 결합되고, 상기 푸시부와 연결되어 상기 푸시부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측 또는 하측으로 직선 이동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바아는, 상기 수평 바아의 전단과 맞닿는 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바아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포크는, 상기 보조 바아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가 상기 보조 바아가 상측으로 직선 이동하는 경우, 상기 보조 바아로부터 출몰하여 상기 보조 바아 및 상기 수평 바아를 연결하는 슬라이딩 바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포크는, 상기 수평 바아의 길이 방향 모서리부분을 따라 설치되며,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점등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점등 유닛은, 상기 수평 바아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수평 바아의 모서리부에 내장되도록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평 바아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경우, 상기 수평 바아의 모서리 경계 부분을 표시하는 점등부; 및 상기 점등부가 상기 수평 바아에 설치된 상태로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점등부는, 상기 수평 바아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고,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야광봉 또는 발광관으로 구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상기 수평 바아에 삽입되어 상기 돌출부를 상기 수평 바아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는 설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부는, 상기 돌출부의 하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마련되고,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사 플레이트; 및 상기 경사 플레이트의 단부로부터 상기 수평 바아와 나란하게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가 관통할 복수의 체결 홀을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수평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게차는, 임대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게차 관리 시스템에 의해 임대용으로 관리되고,
상기 지게차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 지게차 임대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지게차의 상세 정보를 저장하고, 상세 정보가 저장된 지게차 리스트를 생성하고, 지게차 리스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하여 지게차 사용자가 상기 지게차 리스트 중 특정 지게차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지게차 임대에 대한 전자계약을 체결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지게차를 이용한 작업 정보를 입력받고, 작업 정보 및 상세 정보를 비교하여 작업 정보에 맞는 지게차의 임대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하고, 지게차 사용자가 추출한 지게차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지게차 임대에 대한 전자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게차 임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게차 보유 현황 및 사용 현황을 전산화하여 관리하여 지게차 임대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방 턱을 형성하여 화물이 전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포크 가장자리를 점등하여 야간에도 화물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고,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에 포함되는 고정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포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바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점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1)는 산업용 차량의 일종으로, 고중량의 화물을 들어올려 근거리로 운반하거나 차량에 화물을 적재 및 하역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서, 제조, 토목 및 건설분야 등 산업 전반에 걸쳐 폭넓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1)는 차체부(100) 및 이송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차체부(100)는 전방구동륜과 후방조향륜에 의해 지지되며, 운전석 및 모터 등의 차량 구동원을 구비할 수 있다.
이송부(200)는 차체부(100)의 전방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레일(210), 캐리지(220) 및 한 쌍의 포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210)은 차체부(100)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레일(210)은 하단이 전방구동륜을 지지하는 구동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캐리지(220)는 레일(210)의 전방에 장착되어, 레일(210)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다.
한 쌍의 포크(230)는 캐리지(220)의 전방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화물이 안착될 수 있다.
한 쌍의 포크(23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포크(230a) 및 제2 포크(230b)를 포함할 수 있다. 캐리지(220)는 이러한 한 쌍의 포크(230)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는 사이드 쉬프터(Side Shifter) 및 한 쌍의 포크(230)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포크 포지셔너(Fork Positioner)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지(220)에 의해 한 쌍의 포크(23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좌우 이동 및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1)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포크(230a) 및 제2 포크(230b)가 완전히 맞닿도록 간격이 조절되는 경우, 그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고정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에 포함되는 고정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포크(230a)는 하단 부분에 가이드 홈(253)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포크(230a)는 캐리지(220)에 설치되는 수직 바아 및 수직 바아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는 수평 바아를 포함할 수 있는데, 수직 바아에서 제2 포크(230b)와 마주하는 면에 가이드 홈(253)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포크(230a)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제2 포크(230b) 또한 마찬가지로 가이드 홈(253)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블록(250)은 제1 포크(230a) 및 제2 포크(230b)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홈(253)에 내삽되어 제1 포크(230a) 및 제2 포크(230b)를 결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 홈(253)은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은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장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블록(250)은 가이드 홈(253)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홈(253)에 대응하는 한 쌍의 날개부를 가질 수 있으며, 각 날개부가 제1 포크(230a) 및 제2 포크(230b)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홈(253)에 내삽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포크(230a) 및 제2 포크(230b)가 서로 맞닿도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제어된 상태에서 고정 블록(250)을 삽입하여 제1 포크(230a) 및 제2 포크(230b)를 결속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포크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포크(230)는 수직 바아(231) 및 수평 바아(2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수직 바아(231)는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마련되어 캐리지(22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수평 바아(232)는 수직 바아(231)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 바아(232) 상측에 화물이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크(230)는 수평 바아(232)의 전단에 수평 바아(232)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보조 바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조 바아는 수평 바아(232)와 일직선을 이룬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가, 수평 바아(232)에 화물이 적재되는 경우, 상방으로 절곡됨으로써 전방 턱을 형성하여 화물이 전방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 바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포크(230)는 도 5에 도시된 수직 바아(231) 및 수평 바아(232)에 더하여, 보조 바아(233), 연결부(234) 및 구동부(2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바아(233)는 수평 바아(232)의 전단에 수평 바아(232)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보조 바아(233)는 수평 바아(232) 보다 짧은 길이, 예컨대, 1/10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234)는 수평 바아(232)의 전단 부분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234)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부가 수평 바아(232)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수평 바아(232)의 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바아(232)의 전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부(234)의 상측에 보조 바아(233)가 배치될 것이다.
구동부(235)는 상부 및 하부가 각각 보조 바아(233)의 저면 및 연결부(234)에 설치되어, 연결부(234)와 보조 바아(233)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구동부(235)는 연결부(234)에 대해 보조 바아(233)를 승하강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구동부(235)는 푸시부(235a) 및 승하강부(235b)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시부(235a)는 사용자로부터 조작 가능한 구성으로, 페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수동 또는 전자장치를 통한 자동제어가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승하강부(235b)는 양단이 각각 보조 바아(233)의 저면 및 연결부(234)에 설치되고, 푸시부(235a)의 제어에 따라 보조 바아(233)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단계별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승하강부(235b)는 전기의 공급을 통해 작동되는 전동방식은 물론, 공압, 유압을 이용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승하강부(235b)는 연결부(234)에 설치되어 개구된 입구가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실린더에 결합되고, 푸시부(235a)와 연결되어 푸시부(235a)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측 또는 하측으로 직선 이동 가능한 피스톤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포크(230)는 슬라이딩 바아(2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바아(236)는 보조 바아(233)의 내측 공간에 수용되어 있다가 보조 바아(233)가 상측으로 직선 이동하는 경우, 작업자에 의해 보조 바아(233)로부터 꺼내져서 보조 바아(233)와 수평 바아(232)를 연결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조 바아(233)는 수평 바아(232)의 전단과 맞닿는 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바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포크(230)는 수평 바아(232)에 화물이 적재되는 경우, 보조 바아(233)를 상측으로 직선 이동시켜 수평 바아(232)의 전단에 단턱을 형성함으로써 수평 바아(232)에 적재된 화물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포크(230)는 보조 바아(233)에 더하여 점등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점등 유닛은 수평 바아(232)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될 수 있으며,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점등되어 야간에도 화물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고,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등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점등 유닛(240)은 포크(2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되어, 포크(230)의 경계선을 나타낼 수 있도록 점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점등 유닛(240)은 수평 바아(232)의 가장자리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점등 유닛(240)은 점등부(241) 및 체결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점등부(241)는 수평 바아(232)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어, 수평 바아(232)의 모서리부에 내장되도록 설치되되, 적어도 일부가 수평 바아(232)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점등되는 경우, 수평 바아(232)의 경계 부분을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점등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점등부(241)는 돌출부(2411) 및 설치부(2412)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2411)는 수평 바아(232)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구비되는 구성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2411)는 특정 파장의 빛을 방출하도록 광을 축적하였다가 발광하는 야광봉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내부에 발광하는 다수의 전구가 구비된 발광관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설치부(2412)는 돌출부(24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 바아(232)에 삽입되어 돌출부(2411)를 수평 바아(232)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설치부(2412)는 돌출부(2411)와 연결되는 경사 플레이트(2412a) 및 경사 플레이트(2412a)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수평 플레이트(2412b)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 플레이트(2412a)는 돌출부(2411)의 하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경사 플레이트(2412a)는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출부(2411)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돌출부(2411)의 둘레면에 접착 수단을 통해 부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수평 플레이트(2412b)는 경사 플레이트(2412a)의 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 바아(232)와 나란하게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설치부(2412)는 돌출부(2411)가 수평 바아(232)의 모서리부를 따라 배치되도록 수평 바아(232)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수평 플레이트(2412b)는 수평 바아(232)의 내측에서 수평 바아(232)의 상측면과 나란히 배치될 것이다.
여기에서, 수평 플레이트(2412b)는 복수의 체결 홀(2412c)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체결 홀(2412c)은 후술하는 체결부(242)가 관통되어 수평 플레이트(2412b)의 삽입 설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때, 복수의 체결 홀(2412c)은 체결부(242)가 원활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돌출부(2411)의 길이 방향의 장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부(242)는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수평 바아(232)의 상측에서 등간격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복수의 체결 홀(2412c)에 각각 관통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체결부(242)는 헤드부 및 몸체부(242a)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242a)는 헤드부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관리 시스템(1000)은 지게차 임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게차 보유 현황 및 사용 현황을 전산화하여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사용자 단말(300) 및 관리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0)은 통신이 가능하고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장치로, 예를 들면, PC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임대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가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300)로 임대용 지게차의 상세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고, 지게차 임대 서비스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임대용 지게차는 도 1 내지 도 10에 따른 지게차(1)가 적용될 수 있다.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지게차 임대 관리자로부터 임대용 지게차의 성능, 보유 현황, 사용 현황 등을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0)는 상세 정보가 저장된 임대용 지게차 리스트를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출력하여 지게차 사용자가 지게차 리스트 중 임대할 지게차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지게차 리스트 중 특정 지게차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지게차 임대에 대한 전자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또는,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작업 종류, 위치, 임대 시간, 적재 하중 등을 포함하는 작업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작업 정보 및 상세 정보를 비교하여 작업 정보에 맞는 지게차를 추출할 수 있다.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단말(300)로 추출한 지게차의 임대를 추천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해당 지게차가 선택되는 경우, 해당 지게차 임대에 대한 전자계약을 체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게차 관리 시스템(1000)은 지게차 임대 관리를 용이하게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지게차
100: 차체부
200: 이송부
210: 레일
220: 캐리지
230: 포크
300: 사용자 단말
400: 관리 서버
1000: 지게차 관리 시스템

Claims (2)

  1. 차체부; 및
    상기 차체부의 전방에 설치되며 운반할 화물을 적재하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차체부는,
    전방구동륜과 후방조향륜에 의해 지지되며, 운전석 및 차량 구동원을 구비하고,
    상기 이송부는,
    하단이 상기 전방구동륜을 지지하는 구동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하게 마련되는 레일;
    상기 레일의 전방에 장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승하강하는 캐리지; 및
    상기 캐리지의 전방 하부에 결합되며, 상부에 화물이 안착되는 한 쌍의 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는,
    상기 한 쌍의 포크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사이드 쉬프터 및 상기 한 쌍의 포크 간의 간격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포크 포지셔너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포크는,
    각각 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마련되어 상기 캐리지에 설치되는 수직 바아; 및
    상기 수직 바아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측에 화물이 안착되는 수평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바아는,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은 안착 공간을 제공하는 장홈으로 구비되는 가이드 홈을 하단 부분에 형성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한 쌍의 포크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홈에 대응하는 한 쌍의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포크가 서로 맞닿도록 간격이 조절된 상태에서 각 날개부가 상기 한 쌍의 포크에 각각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내삽되어 상기 한 쌍의 포크를 결속시키는 고정 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포크는,
    상기 수평 바아의 전단에 상기 수평 바아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수평 바아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며, 상기 수평 바아에 화물이 안착되는 경우, 상측으로 직선 이동하여 상기 수평 바아의 전단에 단턱을 형성하는 보조 바아;
    상기 수평 바아의 전단 부분의 저면에 형성되고, 'ㄴ'자 형상으로 구비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평 바아의 전단 부분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상기 수평 바아의 전단 부분에 설치되어 상측에 상기 보조 바아가 배치되는 연결부; 및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상기 보조 바아의 저면 및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와 상기 보조 바아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에 대해 상기 보조 바아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페달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로부터 조작 가능한 구성으로 구비되는 푸시부; 및
    양단이 각각 상기 보조 바아의 저면 및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고, 상기 푸시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보조 바아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단계별로 직선 이동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어 개구된 입구가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실린더에 결합되고, 상기 푸시부와 연결되어 상기 푸시부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측 또는 하측으로 직선 이동하는 피스톤을 포함하고,
    상기 보조 바아는,
    상기 수평 바아의 전단과 맞닿는 단부가 개방된 중공의 바아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포크는,
    상기 보조 바아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다가 상기 보조 바아가 상측으로 직선 이동하는 경우, 상기 보조 바아로부터 출몰하여 상기 보조 바아 및 상기 수평 바아를 연결하는 슬라이딩 바아;를 더 포함하는, 지게차.
  2. 삭제
KR1020200084522A 2020-07-09 2020-07-09 지게차 KR102221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522A KR102221866B1 (ko) 2020-07-09 2020-07-09 지게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522A KR102221866B1 (ko) 2020-07-09 2020-07-09 지게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1866B1 true KR102221866B1 (ko) 2021-03-03

Family

ID=75151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522A KR102221866B1 (ko) 2020-07-09 2020-07-09 지게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1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415B1 (ko) 2021-03-25 2021-07-26 현대스텐레스철강(주) 중량물 운반지그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798A (ja) * 1996-12-17 1998-06-30 Nippon Yusoki Co Ltd フォークリフトのサイドシフト装置
KR20040033547A (ko) * 2002-10-15 2004-04-28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지게차용 포크 이송장치를 구비한 사이드 시프트 캐리지
KR100534374B1 (ko) * 2004-09-17 2005-12-08 중경산업기계(주) 지게차용 포크 포지셔너 캐리지
KR20120069075A (ko) * 2010-12-20 2012-06-28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
KR20130040464A (ko) * 2011-10-14 2013-04-24 이창엽 지게차용 사이드 쉬프트 장치
JP2013193800A (ja) * 2012-03-16 2013-09-30 Unicarriers Corp フォークシフト装置
US20180362311A1 (en) * 2013-06-28 2018-12-20 Rightline Equipment, Inc. Side Shifter with Actuator Embedded in Load Bearing Structures of the Side Shifter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798A (ja) * 1996-12-17 1998-06-30 Nippon Yusoki Co Ltd フォークリフトのサイドシフト装置
KR20040033547A (ko) * 2002-10-15 2004-04-28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지게차용 포크 이송장치를 구비한 사이드 시프트 캐리지
KR100534374B1 (ko) * 2004-09-17 2005-12-08 중경산업기계(주) 지게차용 포크 포지셔너 캐리지
KR20120069075A (ko) * 2010-12-20 2012-06-28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
KR20130040464A (ko) * 2011-10-14 2013-04-24 이창엽 지게차용 사이드 쉬프트 장치
JP2013193800A (ja) * 2012-03-16 2013-09-30 Unicarriers Corp フォークシフト装置
US20180362311A1 (en) * 2013-06-28 2018-12-20 Rightline Equipment, Inc. Side Shifter with Actuator Embedded in Load Bearing Structures of the Side Shift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415B1 (ko) 2021-03-25 2021-07-26 현대스텐레스철강(주) 중량물 운반지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331B1 (ko) 포크리프트용 컨베이어 파렛트
EP1829815B1 (en) A forklift truck
KR102221866B1 (ko) 지게차
US7255202B2 (en) Truck mounted forklift with double-acting freelift mast
DE102010027284A1 (de) Hubgerüst für ein Flurförderzeug
EP0553086B1 (en) Self elevating forklift truck
US20060070816A1 (en) Lift truck with central mast
KR20210026927A (ko) 지게차용 무인운반차
KR101858589B1 (ko) 전동 지게차 배터리 교환장치
JP2017095235A (ja) フォークカバー
KR102475610B1 (ko) 가동 케이블 텐션 유지를 위한 사이드 롤러 구조를 포함하는 자율 주행 지게차
KR200322579Y1 (ko) 크레인 리프트 트럭
CN205590242U (zh) 两级门架单链条起升机构
JP2002362892A (ja) ロードスタビライザ付きフォークリフト
KR20120017707A (ko) 지게차용 사이드 쉬프트 캐리지
KR102006394B1 (ko) 화물차량 일체형 지게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지게장치 일체형 기능성 화물차량
KR200360337Y1 (ko) 포크레인 결착용 지게포크
JP2003212486A (ja) 荷役車両のパレット固定方法
KR950000489B1 (ko) 주차 시스템
US5575356A (en) Lift
CZ308346B6 (cs) Rám zvedacího zařízení k připojení na zdvižný vozík
JP2008056001A (ja) 車両の荷おろし装置
JP2011255760A (ja) 運搬台車
JP2001130891A (ja) フォークリフト
KR20240012097A (ko) 자율 모바일 로봇용 팔렛무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