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415B1 - 중량물 운반지그 - Google Patents

중량물 운반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415B1
KR102281415B1 KR1020210039060A KR20210039060A KR102281415B1 KR 102281415 B1 KR102281415 B1 KR 102281415B1 KR 1020210039060 A KR1020210039060 A KR 1020210039060A KR 20210039060 A KR20210039060 A KR 20210039060A KR 102281415 B1 KR102281415 B1 KR 102281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ping
link
horizontal bar
gripping arm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9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대원
Original Assignee
현대스텐레스철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스텐레스철강(주) filed Critical 현대스텐레스철강(주)
Priority to KR1020210039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4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4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B66C1/30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and also arranged to grip the sides of the loads
    • B66C1/32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and also arranged to grip the sides of the loads of piled or stack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 운반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부피가 작거나 큰 중량물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 다수의 인원을 동원하지 않고 작업자 1인이 상기 중량물을 상하차할 수 있고, 나아가, 작업자 1인이 반대쪽의 상황을 보지 않고도 제 1, 2링크부의 벌어진 각도 확인만으로도 제 1, 2파지부의 일측 파지암 및 타측 파지암이 정확히 중량물에 끼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협착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량물 운반지그{Heavy goods transport jig}
본 발명은 부피가 작거나 큰 중량물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 다수의 인원을 동원하지 않고 작업자 1인이 상기 중량물을 상하차할 수 있고, 나아가, 작업자 1인이 반대쪽의 상황을 보지 않고도 제 1, 2링크부의 벌어진 각도 확인만으로도 제 1, 2파지부의 일측 파지암 및 타측 파지암이 정확히 중량물에 끼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협착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중량물 운반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판, 화물을 안착지지하는 파렛트 등의 중량물은 트럭 또는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221866호 등으로 제안된 지게차 등의 운송수단을 이용하여 운반하거나 작업자가 직접 운송수단으로부터 중량물을 상하차하여 운반하는 것이 현실이었다.
그러나, 1인 사업을 하는 사람들과 같이 주변에 도와줄 사람이 없을 경우 반드시 지게차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상하차해야 하거나 다수의 인원이 동원되어 중량물을 상하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분리된 지그를 이용하여 중량물을 상하차할수도 있겠으나, 이 경우, 분리된 지그를 2인 1조로 양쪽에서 중량물에 끼워 움직이지 않도록 붙잡고 있어야 하며, 만일, 지그가 중량물 하부에 정확히 끼워지지 않았을 경우, 지그가 중량물로부터 이탈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한쪽에서 지그를 고정하는 1인이 운전을 동시에 하게 될 경우, 중량물 반대쪽에서 고정하는 작업자를 볼 수 없어 보통 발목 끼임 사고 또는 중량물이 흔들려 옆 화물 사이에 끼이는 협착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22186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부피가 작거나 큰 중량물을 용이하게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음은 물론 다수의 인원을 동원하지 않고 작업자 1인이 상기 중량물을 상하차할 수 있고, 나아가, 작업자 1인이 반대쪽의 상황을 보지 않고도 제 1, 2링크부의 벌어진 각도 확인만으로도 제 1, 2파지부의 일측 파지암 및 타측 파지암이 정확히 중량물에 끼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협착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중량물 운반지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수평바와, 상기 제 1수평바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고정되는 일측 파지암 및 타측 파지암을 포함하는 제 1파지부와; 상기 제 1수평바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 2수평바와, 상기 제 2수평바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고정되는 일측 파지암 및 타측 파지암을 포함하는 제 2파지부와; 하단부가 상기 제 1수평바의 중간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 1링크부와, 하단부가 상기 제 2수평바의 중간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 1링크부의 상단부에 회전결합되는 제 2링크부와, 상기 제 1링크부와 상기 제 2링크부 사이에 설치되는 인장스프링과, 하단부가 상기 제 2파지부의 중간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중간부가 상기 제 1링크부의 상부에 거치되어 하측으로 작용하는 외압에 의해 상기 제 1링크부와 상기 제 2링크부 사이의 각도를 크게 조절하는 폭조절대를 포함하는 파지폭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반지그를 제공한다.
여기서, 후크에 고정되고, 각 모서리의 하부가 상기 제 1파지부의 일측 파지암의 상부와 타측 파지암의 상부 및 상기 제 2파지부의 일측 파지암의 상부와 타측 파지암의 상부에 각각 구비된 고정고리에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사각틀 구조의 상부고정프레임;이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고정프레임의 각 모서리에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하부에 상기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고정고리가 각각 구비되는 경사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 1파지부의 일측 파지암과 타측 파지암의 고정위치를 각각 조절한 상태로 상기 제 1파지부의 일측 파지암과 타측 파지암을 제 1수평바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고정 및 상기 제 2파지부의 일측 파지암과 타측 파지암의 고정위치를 각각 조절한 상태로 상기 제 2파지부의 일측 파지암과 타측 파지암을 제 2수평바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고정하는 위치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제 1파지부의 일측 파지암의 상부 외면과 타측 파지암의 상부 외면 및 상기 제 2파지부의 일측 파지암의 상부 외면과 타측 파지암의 상부 외면에 각각 형성되고, 일측과 타측을 상기 제 1수평바와 제 2수평바가 각각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제 1고정프레임 및 제 2고정프레임과; 상기 제 1고정프레임의 중간부 및 상기 제 2고정프레임의 중간부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1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1수평바의 외면 및 상기 제 2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2수평바의 외면에 밀착고정되는 제 1볼트부재 및 제 2볼트부재와; 상기 제 1고정프레임의 중간부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되는 상기 제 1볼트부재의 전측에 일측이 연결되는 제 1핸들부재와; 상기 제 2고정프레임의 중간부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되는 상기 제 2볼트부재의 후측에 일측이 연결되는 제 2핸들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제 1링크부는 상기 제 1수평바의 중간부에 하단부가 각각 회전되도록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1수평바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제 1일측 링크부 및 제 1타측 링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링크부는 상기 제 2수평바의 중간부에 하단부가 각각 회전되도록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2수평바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제 2일측 링크부 및 제 2타측 링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 1일측 링크부의 상단부와 상기 제 2일측 링크부의 상단부가 일측에 결합 및 상기 제 1타측 링크부의 상단부와 상기 제 2타측 링크부의 상단부가 타측에 결합되는 간격유지봉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지폭 조절부의 폭조절대의 하부방향의 상기 제 1일측 링크부의 상부와 상기 제 1타측 링크부의 상부 사이에 상기 폭조절대의 중간부가 거치되는 가이드롤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폭조절대는 상기 제 2파지부의 제 2수평바의 중간부에 하단부가 각각 회전되도록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2수평바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일측 폭조절대 및 타측 폭조절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측 폭조절대의 상부와 상기 타측 폭조절대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축에 상부가 연결되는 와이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강판, 화물을 안착지지하는 파렛트 등의 중량물을 각각 파지하는 제 1파지부 및 제 2파지부와 상기 제 1파지부와 제 2파지부 사이의 전후파지폭을 조절하는 파지폭 조절부를 통해 부피가 작거나 큰 중량물을 보다 용이하게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게차 또는 다수의 인원을 동원하지 않고도 작업자 1인이 트럭 등의 운송수단의 적재함으로 상기 중량물을 상차 및 상기 적재함으로부터 상기 중량물을 하차할 수 있고, 나아가 작업자 1인이 반대쪽의 상황을 보지 않아도 제 1, 2링크부의 벌어진 각도 확인만으로도 제 1, 2파지부의 일측 파지암 및 타측 파지암이 정확히 중량물에 끼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협착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중량물 운반지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파지부와 제 2파지부가 벌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11은 중량물을 운반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폭조절대에 와이어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중량물 운반지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제 1파지부와 제 2파지부가 벌어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중량물 운반지그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파지부(10), 제 2파지부(20) 및 파지폭 조절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제 1파지부(10)는 크게, 제 1수평바(110), 일측 파지암(120) 및 타측 파지암(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수평바(110)는 강판, 화물을 안착지지하는 파렛트 등 다양한 종류의 중량물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파지암(120)과 상기 타측 파지암(130)은 상기 제 1수평바(1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파지암(120)과 상기 타측 파지암(130) 사이의 상기 제 1수평바(110)의 중간부 부위에 연결플레이트(111)가 상기 제 1수평바(1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파지암(120)과 상기 타측 파지암(130) 사이의 상기 제 1수평바(110) 부위가 상기 연결플레이트(111)의 전측을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연결플레이트(111)의 전측은 상기 일측 파지암(120)과 상기 타측 파지암(130) 사이의 상기 제 1수평바(110) 부위에 일정간격으로 용접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파지암(120)의 하부와 상기 타측 파지암(130)의 하부에는 상기 일측 파지암(12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어 강판, 화물을 안착지지하는 파렛트 등 다양한 종류의 중량물을 안착지지하기 위한 지지턱(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량물이 복수개로 상하적층된 경우, 상기 지지턱(150)이 어느 하나의 중량물과 다른 하나의 중량물 사이로 보다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턱(15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하부에 경사면(1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151)은 상기 지지턱(15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턱(150)의 후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2파지부(20)는 크게, 제 2수평바(210), 일측 파지암(220) 및 타측 파지암(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수평바(210)는 상기 제 1수평바(110)를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수평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수평바(210)는 상기 제 1수평바(110)로부터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제 1수평바(1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파지암(220)과 상기 타측 파지암(230)은 상기 제 2수평바(2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파지암(220)과 상기 타측 파지암(230) 사이의 상기 제 2수평바(210)의 중간부 부위에 연결플레이트(211)가 상기 제 2수평바(2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파지암(220)과 상기 타측 파지암(230) 사이의 상기 제 2수평바(210) 부위가 상기 연결플레이트(211)의 후측을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연결플레이트(211)의 후측은 상기 일측 파지암(220)과 상기 타측 파지암(230) 사이의 상기 제 2수평바(210) 부위에 일정간격으로 용접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레이트(211) 사이의 상기 제 2수평바(210) 부위에는 상기 연결플레이트(211)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보조연결플레이트(212)가 상기 제 2수평바(2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레이트(211) 사이의 상기 제 2수평바(210) 부위가 상기 보조연결플레이트(212)의 후측을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보조연결플레이트(212)의 후측은 상기 연결플레이트(211) 사이의 상기 제 2수평바(210) 부위에 일정간격으로 용접고정, 볼트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파지암(220)의 하부와 상기 타측 파지암(230)의 하부에는 상기 일측 파지암(220)의 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연장형성되어 강판, 화물을 안착지지하는 파렛트 등 다양한 종류의 중량물을 안착지지하기 위한 지지턱(2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량물이 복수개로 상하적층된 경우, 상기 지지턱(250)이 어느 하나의 중량물과 다른 하나의 중량물 사이로 보다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지지턱(250)의 전측 하부에 경사면(2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51)은 상기 지지턱(250)의 후측에서 전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턱(250)의 전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파지폭 조절부(30)는 크게, 제 1링크부(310), 제 2링크부(320), 인장스프링(330) 및 폭조절대(3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링크부(310)의 하단부는 상기 제 1수평바(110)의 중간부의 연결플레이트(111)의 후측에 회전되도록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링크부(320)의 하단부는 상기 제 2수평바(210)의 중간부의 연결플레이트(211)의 전측에 회전되도록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링크부(320)의 상단부는 상기 제 1링크부(310)의 상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인장스프링(33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제 1링크부(310)의 중간부와 상기 제 2링크부(320)의 중간부 사이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 1링크부(310)와 상기 제 2링크부(320) 사이에 상기 인장스프링(330)이 수평설치될 수 있다.
상기 폭조절대(340)의 하단부는 상기 제 2파지부(20)의 제 2수평바(210)의 중간부의 보조연결플레이트(212)의 전측에 회전되도록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폭조절대(340)의 중간부가 상기 제 1링크부(310)의 상부에 거치된 상태에서 상기 폭조절대(340)의 하단부를 기준으로 상기 폭조절대(340)의 상단부가 작업자에 의해 상기 폭조절대(340)의 하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되도록 작용하는 외압에 의해 상기 제 1링크부(310)와 상기 제 2링크부(320) 사이의 전후각도(α)가 크게 조절되면서 상기 제 1링크부(310)와 상기 제 2링크부(320)가 서로 벌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파지폭 조절부(30)의 상부방향에 크레인, 호이스트 등의 양중장비에 구비된 후크(2)에 고정되는 상부고정프레임(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고정프레임(40)의 전측 하부와 상기 제 1파지부(10) 사이 및 상기 상부고정프레임(40)이 후측 하부와 상기 제 2파지부(20)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는 와이어, 로프 등의 연결줄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파지부(10)의 일측 파지암(120)의 상부와 타측 파지암(130)의 상부에 각각 고정고리(140)의 하부가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파지부(20)의 일측 파지암(220)의 상부와 타측 파지암(230)의 상부에도 고정고리(240)의 하부가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의 하부는 상기 고정고리(140, 240)의 상부에 각각 감김고정, 묶음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의 상부는 상기 후크(2)에 각각 감김고정, 묶음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겠으나, 상기 제 1, 2파지부(10, 20)가 부피가 큰 중량물을 더욱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 2링크부(310, 320) 사이의 전후각도(α)가 더욱 커지면서 상기 제 1, 2링크부(310, 320)가 상기 제 1, 2파지부(10, 20)와 함께 서로 벌어질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재(5)의 상부가 상기 상부고정프레임(40)의 각 모서리 부위의 하부에 연결고정되는 것이 좋다.
일예로, 상기 상부고정프레임(40)의 각 모서리 부위에 경사 고정부(4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경사 고정부(410)의 하부에 각각 고정고리(411)의 상부가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의 상부는 상기 고정고리(411)의 하부에 각각 감김고정, 묶음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경사 고정부(410)는 상기 상부고정프레임(40)이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상부고정프레임(40)의 내측 상부방향으로 점차 상향경사질 수 있고, 이와 같은 상기 경사 고정부(410)로 인해 상기 제 1, 2링크부(310, 320) 사이의 전후각도(α)가 더더욱 커질 수 있게 되어 상기 제 1, 2파지부(10, 20)가 부피가 큰 중량물을 더더욱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고정프레임(40)의 경사 고정부(410)의 상부에 각각 고정고리(412)의 하부가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경사고정부(410)의 상부에 고정된 상기 고정고리(412)와 상기 후크(2) 사이에 보조연결부재(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연결부재(7)는 와이어, 로프 등의 연결줄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조연결부재(7)의 하부는 상기 경사고정부(410)의 상부에 고정된 상기 고정고리(412)의 상부에 각각 감김고정, 묶음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조연결부재(7)의 상부는 상기 후크(2)의 하부에 감김고정, 묶음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중량물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에 따라 상기 제 1파지부(10)의 일측 파지암(120)과 타측 파지암(130)의 고정위치 및 상기 제 2파지부(20)의 일측 파지암(220)과 타측 파지암(230)의 고정위치가 각각 조절되어 상기 제 1, 2파지부(10, 20)가 부피가 큰 중량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 2파지부(10, 20)의 일측 파지암(120, 220)과 타측 파지암(130, 230)의 고정위치를 조절한 상태로 상기 일측 파지암(120, 220)과 상기 타측 파지암(130, 230)을 상기 제 1, 2수평바(110, 2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고정하기 위한 위치고정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부(5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고정프레임(510), 제 2고정프레임(520), 제 1볼트부재(530), 제 2볼트부재(540), 제 1핸들부재(550) 및 제 2핸들부재(5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고정프레임(510)은 상기 제 1파지부(10)의 일측 파지암(120)의 상부 전측 외면과 타측 파지암(130)의 상부 전측 외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수평바(110)는 상기 제 1고정프레임(510)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 2고정프레임(520)은 상기 제 2파지부(20)의 일측 파지암(220)의 상부 전측의 반대측인 상후 후측 외면과 타측 파지암(230)의 상부 전측의 반대측인 상부 후측 외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수평바(210)는 상기 제 2고정프레임(520)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제 1볼트부재(530)는 상기 제 1고정프레임(510)의 중간부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1고정프레임(5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1수평바(110)의 전측 외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볼트부재(540)는 상기 제 2고정프레임(520)의 중간부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2고정프레임(5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2수평바(2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외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핸들부재(550)의 일측은 상기 제 1고정프레임(510)의 중간부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되는 상기 제 1볼트부재(530)의 전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핸들부재(560)의 일측은 상기 제 2고정프레임(520)의 중간부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되는 상기 제 2볼트부재(540)의 후측에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제 1, 2핸들부재(550, 560)의 타측이 각각 상기 제 1, 2고정프레임(510, 520)의 상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될 경우, 상기 제 1, 2볼트부재(530, 540)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 1수평바(110)의 전측 외면에 밀착고정되는 상기 제 1볼트부재(530)의 후측의 밀착고정상태 및 상기 제 2수평바(210)의 후측 외면에 밀착고정되는 상기 제 2볼트부재(540)의 전측의 밀착고정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상기 제 1, 2파지부(10, 20)의 일측 파지암(120, 220)과 타측 파지암(130, 230)이 상기 중량물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에 따라 상기 제 1, 2수평바(110, 2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하여 위치조절될 수 있다.
작업자에 의해 상기 제 1, 2핸들부재(550, 560)의 타측이 각각 상기 제 1, 2고정프레임(510, 520)의 하부방향으로 회전이동될 경우, 상기 제 1, 2볼트부재(530, 540)이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제 1볼트부재(530)의 후측이 상기 제 1수평바(110)의 전측 외면에 밀착고정 및 상기 제 2볼트부재(540)의 전측이 상기 제 2수평바(210)의 후측 외면에 밀착고정된 상태로 상기 제 1, 2파지부(10, 20)의 일측 파지암(120, 220)과 타측 파지암(130, 230)이 위치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수평바(110)의 일측과 상기 제 2수평바(210)의 일측 사이의 전후폭 및 상기 제 1수평바(110)의 타측과 상기 제 2수평바(210)의 타측 사이의 전후폭이 균일하게 벌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파지폭 조절부(30)의 제 1링크부(31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1일측 링크부(311)와 제 1타측 링크부(3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 링크부(311)의 하단부와 상기 제 1타측 링크부(312)의 하단부가 각각 상기 제 1수평바(110)의 중간부의 연결플레이트(111)의 후측에 회전되도록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1일측 링크부(311)와 상기 제 1타측 링크부(312)는 상기 제 1수평바(1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폭 조절부(30)의 제 2링크부(32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제 2일측 링크부(321)와 제 2타측 링크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일측 링크부(321)의 하단부와 상기 제 2타측 링크부(322)의 하단부가 각각 상기 제 2수평바(210)의 중간부의 연결플레이트(211)의 전측에 회전되도록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2일측 링크부(321)와 상기 제 2타측 링크부(322)는 상기 제 2수평바(2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일측 링크부(311)의 일측 중간부와 상기 제 2일측 링크부(321)의 일측 중간부에 상기 인장스프링(33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타측 링크부(312)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중간부와 상기 제 2타측 링크부(322)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중간부에도 상기 인장스프링(33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볼트고정,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일측 링크부(311)와 제 1타측 링크부(312) 사이의 좌우간격 및 상기 제 2일측 링크부(321)와 상기 제 2타측 링크부(322) 사이의 좌우간격을 균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간격유지봉(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봉(60)의 일측이 상기 제 1일측 링크부(311)의 상단부와 상기 제 2일측 링크부(321)의 상단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간격유지봉(60)의 일측에 상기 제 1일측 링크부(311)의 상단부와 상기 제 2일측 링크부(321)의 상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봉(60)의 타측이 상기 제 1타측 링크부(312)의 상단부와 상기 제 2타측 링크부(322)의 상단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한 상태로 상기 간격유지봉(60)의 타측에 상기 제 1타측 링크부(312)의 상단부와 상기 제 2타측 링크부(322)의 상단부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봉(60)의 이탈방지를 위해 상기 간격유지봉(6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너트부재(610)가 나사결합될 수 있고, 상기 너트부재(610) 사이에 상기 제 1일측 링크부(311)의 상단부와 상기 제 2일측 링크부(321)의 상단부 및 상기 제 1타측 링크부(312)의 상단부와 상기 제 2타측 링크부(322)의 상단부가 일정간격으로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지폭 조절부(30)의 폭조절대(340)의 하부방향의 상기 제 1일측 링크부(311)의 상부와 상기 제 1타측 링크부(312)의 상부 사이에 가이드롤러부(70)가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부(70)의 일측은 상기 폭조절대(340)의 하부방향의 상기 제 1일측 링크부(311)의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부(70)의 타측은 상기 폭조절대(340)의 하부방향의 상기 제 1타측 링크부(312)의 상부에 축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부(70)의 상부 중간부에 상기 폭조절대(340)의 중간부가 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파지폭 조절부(30)의 폭조절대(340)를 통해 상기 제 1수평바(110)의 일측과 상기 제 2수평바(210)의 일측 사이의 전후폭 및 상기 제 1수평바(110)의 타측과 상기 제 2수평바(210)의 타측 사이의 전후폭이 균일하게 벌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폭조절대(340)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 폭조절대(341)와 타측 폭조절대(3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폭조절대(341)의 하단부와 상기 타측 폭조절대(342)의 하단부가 각각 상기 제 2수평바(210)의 중간부의 보조연결플레이트(212)의 전측에 회전되도록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일측 폭조절대(341)와 상기 타측 폭조절대(342)는 상기 제 2수평바(2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1은 중량물을 운반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후크(2)가 구비된 크레인, 호이스트 등의 양중장비에 의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파지부(10), 제 2파지부(20) 및 상기 파지폭 조절부(30)가 복수개로 상하적층된 강판, 파렛트 등 다양한 종류의 중량물(3)의 상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제 1링크부(310)의 상부에 거치된 상기 폭조절대(340)의 상단부를 상기 폭조절대(340)의 하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평상시 수축상태였던 상기 인장스프링(330)이 팽창 및 상기 제 1파지부(10) 및 상기 제 1링크부(310)와 상기 제 2파지부(20) 및 상기 제 2링크부(320)가 상기 중량물(3)의 전측 외부방향과 후측방향으로 각각 회전이동되면서 서로 벌어질 수 있다.
이 후, 상기 제 1파지부(10)의 일측 파지암(120)의 하부와 타측 파지암(130)의 하부가 운반하고자 하는 상기 중량물(3)의 전측방향에 위치 및 상기 제 2파지부(20)의 일측 파지암(220)의 하부와 타측 파지암(230)의 하부가 운반하고자 하는 상기 중량물(3)의 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후크(2)가 구비된 크레인, 호이스트 등의 양중장비에 의해 상기 제 1파지부(10), 제 2파지부(20) 및 상기 파지폭 조절부(30)가 하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폭조절대(340)의 상단부가 상기 폭조절대(340)의 하측방향으로 회전이동되도록 작업자에 의해 상기 폭조절대(340)의 상단부에 가해진 외압이 제거된 경우, 팽창상태였던 상기 인장스프링(330)이 수축되면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폭조절대(340)의 상단부가 상기 폭조절대(340)의 상측방향으로 회전이동 및 상기 제 1파지부(10) 및 상기 제 1링크부(310)와 상기 제 2파지부(20) 및 상기 제 2링크부(320)가 상기 운반하고자 하는 상기 중량물(3)의 전측방향 및 후측방향으로 각각 회전이동하면서 서로 좁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일측 파지암(120, 220)의 하부 및 상기 타측 파지암(130, 230)의 하부에 각각 형성된 지지턱(150, 250)이 운반하고자 하는 상기 중량물(3)의 전측 하부방향 및 후측 하부방향으로 각각 인입되면서 운반하고자 하는 상기 중량물(3)의 전측 하부와 후측 하부를 안정적으로 안착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후크(2)가 구비된 크레인, 호이스트 등의 양중장비에 의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파지부(10), 제 2파지부(20), 상기 파지폭 조절부(30)와 함께 운반하고자 하는 상기 중량물(3)이 일정높이로 상승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후크(2)가 구비된 크레인, 호이스트 등의 양중장비에 의해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파지부(10), 제 2파지부(20), 상기 파지폭 조절부(30)와 함께 운반하고자 하는 상기 중량물(3)이 운반장소로 상부방향으로 일정높이로 이동된 후 운반장소의 바닥면으로 하강될 수 있다.
이 후, 운반장소로 운반완료된 상기 중량물(3)을 안착지지하는 상기 지지턱(150, 250)의 지지상태를 해제하기 위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폭조절대(340)의 상단부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폭조절대(340)의 하측방향으로 다시 회전이동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수축상태였던 상기 인장스프링(330)이 다시 팽창 및 상기 제 1파지부(10) 및 상기 제 1링크부(310)와 상기 제 2파지부(20) 및 상기 제 2링크부(320)가 운반장소로의 운반이 완료된 상기 중량물(3)의 전측 외부방향과 후측방향으로 각각 다시 회전이동되면서 서로 벌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복수개로 상하적층된 강판, 파렛트 등 다양한 종류의 중량물(3)을 운반장소로 순차적으로 운반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1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운반하고자 하는 상기 중량물(3)의 상부에 화물이 올려져 있을 수도 있으며, 화물과 함께 상기 중량물(3)을 운반장소로 함께 운반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2는 폭조절대에 와이어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폭조절대(341)의 상부와 상기 타측 폭조절대(342)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축(343)에 와이어(80)의 상부가 감김고정, 묶음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80)는 상기 폭조절대(34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상하연장될 수 있다.
작업자가 상기 폭조절대(340)의 상단부를 상기 폭조절대(340)의 하측방향으로 회전이동시키기가 여의치 않을 정도로 작업자가 상기 폭조절대(340)보다 낮은 위치에 있어도 작업자는 상기 와이어(80)를 상기 폭조절대(340)의 하부방향으로 당겨 상기 폭조절대(340)의 상단부를 상기 폭조절대(340)의 하측방향으로 용이하게 회전이동시키며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강판, 화물을 안착지지하는 파렛트 등의 중량물(3)을 각각 파지하는 상기 제 1파지부(10) 및 제 2파지부(20)와 상기 제 1파지부(10)와 제 2파지부(20) 사이의 전후파지폭을 조절하는 상기 파지폭 조절부(30)를 통해 부피가 작거나 큰 중량물(3)을 보다 용이하게 파지하여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게차 또는 다수의 인원을 동원하지 않고도 작업자 1인이 트럭 등의 운송수단의 적재함으로 상기 중량물(3)을 상차 및 상기 적재함으로부터 상기 중량물(3)을 하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 1인이 반대쪽의 상황을 보지 않아도 제 1, 2링크부(310, 320)의 벌어진 각도(α) 확인만으로도 제 1, 2파지부(10, 20)의 일측 파지암(120, 220)과 타측 파지암(130, 230)이 정확히 중량물(3)에 끼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협착 사고로부터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제 1파지부, 20; 제 2파지부,
30; 파지폭 조절부.

Claims (10)

  1. 제 1수평바와, 상기 제 1수평바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고정되는 일측 파지암 및 타측 파지암을 포함하는 제 1파지부와;
    상기 제 1수평바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 2수평바와, 상기 제 2수평바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고정되는 일측 파지암 및 타측 파지암을 포함하는 제 2파지부와;
    하단부가 상기 제 1수평바의 중간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 1링크부와, 하단부가 상기 제 2수평바의 중간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 1링크부의 상단부에 회전결합되는 제 2링크부와, 상기 제 1링크부와 상기 제 2링크부 사이에 설치되는 인장스프링과, 하단부가 상기 제 2파지부의 중간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중간부가 상기 제 1링크부의 상부에 거치되어 하측으로 작용하는 외압에 의해 상기 제 1링크부와 상기 제 2링크부 사이의 각도를 크게 조절하는 폭조절대를 포함하는 파지폭 조절부와;
    후크에 고정되고, 각 모서리의 하부가 상기 제 1파지부의 일측 파지암의 상부와 타측 파지암의 상부 및 상기 제 2파지부의 일측 파지암의 상부와 타측 파지암의 상부에 각각 구비된 고정고리에 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는 사각틀 구조의 상부고정프레임과;
    상기 상부고정프레임의 각 모서리에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경사지도록 배치되고, 하부에 상기 연결부재가 고정되는 고정고리가 각각 구비되는 경사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반지그.
  2. 제 1수평바와, 상기 제 1수평바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고정되는 일측 파지암 및 타측 파지암을 포함하는 제 1파지부와;
    상기 제 1수평바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 2수평바와, 상기 제 2수평바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고정되는 일측 파지암 및 타측 파지암을 포함하는 제 2파지부와;
    하단부가 상기 제 1수평바의 중간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 1링크부와, 하단부가 상기 제 2수평바의 중간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 1링크부의 상단부에 회전결합되는 제 2링크부와, 상기 제 1링크부와 상기 제 2링크부 사이에 설치되는 인장스프링과, 하단부가 상기 제 2파지부의 중간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중간부가 상기 제 1링크부의 상부에 거치되어 하측으로 작용하는 외압에 의해 상기 제 1링크부와 상기 제 2링크부 사이의 각도를 크게 조절하는 폭조절대를 포함하는 파지폭 조절부와;
    상기 제 1파지부의 일측 파지암과 타측 파지암의 고정위치를 각각 조절한 상태로 상기 제 1파지부의 일측 파지암과 타측 파지암을 제 1수평바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고정 및 상기 제 2파지부의 일측 파지암과 타측 파지암의 고정위치를 각각 조절한 상태로 상기 제 2파지부의 일측 파지암과 타측 파지암을 제 2수평바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위치고정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반지그.
  3. 제 1수평바와, 상기 제 1수평바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고정되는 일측 파지암 및 타측 파지암을 포함하는 제 1파지부와;
    상기 제 1수평바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 2수평바와, 상기 제 2수평바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고정되는 일측 파지암 및 타측 파지암을 포함하는 제 2파지부와;
    하단부가 상기 제 1수평바의 중간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 1링크부와, 하단부가 상기 제 2수평바의 중간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 1링크부의 상단부에 회전결합되는 제 2링크부와, 상기 제 1링크부와 상기 제 2링크부 사이에 설치되는 인장스프링과, 하단부가 상기 제 2파지부의 중간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중간부가 상기 제 1링크부의 상부에 거치되어 하측으로 작용하는 외압에 의해 상기 제 1링크부와 상기 제 2링크부 사이의 각도를 크게 조절하는 폭조절대를 포함하는 파지폭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링크부는 상기 제 1수평바의 중간부에 하단부가 각각 회전되도록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1수평바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제 1일측 링크부 및 제 1타측 링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2링크부는 상기 제 2수평바의 중간부에 하단부가 각각 회전되도록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2수평바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제 2일측 링크부 및 제 2타측 링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파지폭 조절부의 폭조절대의 하부방향의 상기 제 1일측 링크부의 상부와 상기 제 1타측 링크부의 상부 사이에 상기 폭조절대의 중간부가 거치되는 가이드롤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반지그.
  4. 제 1수평바와, 상기 제 1수평바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고정되는 일측 파지암 및 타측 파지암을 포함하는 제 1파지부와;
    상기 제 1수평바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 2수평바와, 상기 제 2수평바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위치고정되는 일측 파지암 및 타측 파지암을 포함하는 제 2파지부와;
    하단부가 상기 제 1수평바의 중간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제 1링크부와, 하단부가 상기 제 2수평바의 중간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 1링크부의 상단부에 회전결합되는 제 2링크부와, 상기 제 1링크부와 상기 제 2링크부 사이에 설치되는 인장스프링과, 하단부가 상기 제 2파지부의 중간부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중간부가 상기 제 1링크부의 상부에 거치되어 하측으로 작용하는 외압에 의해 상기 제 1링크부와 상기 제 2링크부 사이의 각도를 크게 조절하는 폭조절대를 포함하는 파지폭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폭조절대는 상기 제 2파지부의 제 2수평바의 중간부에 하단부가 각각 회전되도록 결합된 상태로 상기 제 2수평바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일측 폭조절대 및 타측 폭조절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반지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제 1파지부의 일측 파지암의 상부 외면과 타측 파지암의 상부 외면 및 상기 제 2파지부의 일측 파지암의 상부 외면과 타측 파지암의 상부 외면에 각각 형성되고, 일측과 타측을 상기 제 1수평바와 제 2수평바가 각각 순차적으로 관통하는 제 1고정프레임 및 제 2고정프레임과;
    상기 제 1고정프레임의 중간부 및 상기 제 2고정프레임의 중간부에 각각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 1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1수평바의 외면 및 상기 제 2고정프레임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2수평바의 외면에 밀착고정되는 제 1볼트부재 및 제 2볼트부재와;
    상기 제 1고정프레임의 중간부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되는 상기 제 1볼트부재의 전측에 일측이 연결되는 제 1핸들부재와;
    상기 제 2고정프레임의 중간부 외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노출되는 상기 제 2볼트부재의 후측에 일측이 연결되는 제 2핸들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반지그.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일측 링크부의 상단부와 상기 제 2일측 링크부의 상단부가 일측에 결합 및 상기 제 1타측 링크부의 상단부와 상기 제 2타측 링크부의 상단부가 타측에 결합되는 간격유지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반지그.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폭조절대의 상부와 상기 타측 폭조절대의 상부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축에 상부가 연결되는 와이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물 운반지그.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39060A 2021-03-25 2021-03-25 중량물 운반지그 KR102281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060A KR102281415B1 (ko) 2021-03-25 2021-03-25 중량물 운반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9060A KR102281415B1 (ko) 2021-03-25 2021-03-25 중량물 운반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1415B1 true KR102281415B1 (ko) 2021-07-26

Family

ID=77125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9060A KR102281415B1 (ko) 2021-03-25 2021-03-25 중량물 운반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41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9279U (ko) * 1984-09-21 1986-04-21
KR20060017008A (ko) * 2004-08-19 2006-02-23 (주)신우콘크리트산업 블록 파지장치
KR20090000266U (ko) * 2007-07-06 2009-01-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마스트 운반용 집게장치
WO2011142659A1 (en) * 2010-05-13 2011-11-17 Marcus Johannes Cornelis Verhoeven Reinforcing steel mat clamp
KR102221866B1 (ko) 2020-07-09 2021-03-03 김광현 지게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9279U (ko) * 1984-09-21 1986-04-21
KR20060017008A (ko) * 2004-08-19 2006-02-23 (주)신우콘크리트산업 블록 파지장치
KR20090000266U (ko) * 2007-07-06 2009-01-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게차 마스트 운반용 집게장치
WO2011142659A1 (en) * 2010-05-13 2011-11-17 Marcus Johannes Cornelis Verhoeven Reinforcing steel mat clamp
KR102221866B1 (ko) 2020-07-09 2021-03-03 김광현 지게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79785A2 (en) Container crane
US10556783B2 (en) Forklift adapter
WO2020106765A1 (en) Rack and hoist system
US7290815B1 (en) Hoist sling
US17727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metal
CA2489314C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uck tarp loading
KR102281415B1 (ko) 중량물 운반지그
US3244291A (en) Timber-carrying grab for overhead crane
JP4663253B2 (ja) 吊り具
US12006198B2 (en) Cooler panel lifting assembly
US5230599A (en) Trailer chassis handling apparatus
US1615813A (en) Method of handling material
US6881023B1 (en) Pallet fork carriage with a load securing D-ring and method of using
US1615812A (en) Apparatus for handling metal
US5297832A (en) Log lifting beam assembly
US202000021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rrying elongate construction elements
US2998892A (en) Clamping attachment for industrial trucks
JP4967525B2 (ja) ガラス板またはパレット積載用搬送台車及び該搬送台車の移送装置
US6619905B2 (en) Drum handling device
CN213387663U (zh) 一种多层水果筐无托盘装卸、搬运装置
US111489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heavy load
US11427443B2 (en) Load-moving equipment
KR101970286B1 (ko) 고정기능을 구비하는 적재함 이송 및 승, 하강장치
US202301924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ading and loading a transport unit
JP4514277B2 (ja) 製品コイルの船積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