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075A -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075A
KR20120069075A KR1020100130457A KR20100130457A KR20120069075A KR 20120069075 A KR20120069075 A KR 20120069075A KR 1020100130457 A KR1020100130457 A KR 1020100130457A KR 20100130457 A KR20100130457 A KR 20100130457A KR 20120069075 A KR20120069075 A KR 201200690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cage
carriage
base plate
fork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3004B1 (ko
Inventor
이기호
Original Assignee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0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004B1/ko
Publication of KR20120069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1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with shuttle-typ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는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2a,2b)와, 상기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와 각각 고정되고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레일(2c,2d)을 포함하는 캐리지 프레임(2); 상기 캐리지 프레임(2)의 후측부에 제공되고 마스트조립체의 양측 마스트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캐리지 활주유닛(3); 상기 캐리지 프레임(2)의 전측부에 단독으로 제공되고 포크(22)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일(2c,2d)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포크 케이지(20); 및 하우징측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2a,2b) 중의 하나에 고정되고 로드측 단부가 상기 포크 케이지(20)에 가변식 어댑터(30)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는 유압실린더(21);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식 어댑터(30)는 상기 유압실린더(21)의 로드측 단부와 결합되는 상기 포크 케이지(20)의 위치를 상기 캐리지 프레임(2)의 안측 또는 바깥측으로 가변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Device for adjusting fork transfer section for a forklift truck}
본 발명은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크 캐리지의 두 포크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중량물을 운반할 수 있게 하는 것 외에도, 램(Ram) 기능을 하는 하나의 포크를 이용하여 환봉, 강판 코일 등과 같은 중량물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는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중량체의 하물을 들어올리거나 또는 내릴 수 있게 하는 산업용 차량의 일종으로서, 고중량의 하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해당 하물을 각종 운반차량에 적재 또는 그로부터 하차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지게차를 간략히 살펴보면, 지게차의 차체는 전방구동륜과 후방조향륜에 의해 지지되며 전방에는 마스트조립체가 설치된다. 이 마스트조립체는 그 하단이 상기 전방구동륜을 지지하는 구동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수직으로 설치된 마스트레일이 구비되며 이 마스트레일에는 상기 마스트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포크 캐리지가 장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캐리지를 보여주는 개략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캐리지의 개략 배면 확대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캐리지(1)는 캐리지 프레임(2), 캐리지 활주유닛(3), 제1 및 제2 유압실린더(4,5), 제1 및 제2 포크 케이지(6,7) 및 제1 및 제2 포크(8,9)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캐리지 프레임(2)은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2a,2b), 상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상부 및 하부 레일(2c,2d)로 구성된다. 상기 캐리지 활주유닛(3)은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프레임(3a)에 복수의 활주롤러(3b)가 제공되어 있어 마스트조립체의 양측 마스트레일(미도시)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1 유압실린더(4)는 하우징측 단부가 상기 제1 측면 플레이트(2a)에 고정되고 로드측 단부가 상기 제1 포크 케이지(6)와 연결된다. 상기 제2 유압실린더(5)는 하우징측 단부가 상기 제2 측면 플레이트(2b)에 고정되고 로드측 단부가 상기 제2 포크 케이지(7)와 연결된다. 상기 각 제1 및 제2 포크 케이지(6,7)는 상단부가 상기 상부레일(2c)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레일(2d)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제1 및 제2 포크 케이지(6,7)에는 상기 제1 및 제2 포크(8,9)가 각각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제1 및 제2 포크 케이지(6,7)에 제1 및 제2 포크(8,9)를 결합시킨 후 조작레버(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유압실린더(4,5)를 작동시키면, 상기 각 제1 및 제2 포크 케이지(6,7)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포크(8,9)를 상기 캐리지 프레임(2) 내에서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캐리지(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유압실린더(4,5)의 로드측 단부와 제1 및 제2 포크 케이지(6,7)의 대응부분이 각각 고정식 어댑터(10)로 고정되었다. 상기 고정식 어댑터(10)는 유압실린더의 로드측 단부와 포크 케이지를 오직 기 설정된 한 위치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 때문에, 종래 기술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캐리지(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포크 케이지(6,7)의 제1 및 제2 포크(8,9) 간의 간격이 환봉, 강판 코일 등과 같은 중량물(미도시)의 중앙공에 비해 너무 넓어 상기 제1 및 제2 포크(8,9)가 상기 중량물의 중앙공 안으로 들어갈 수 없어 위와 같은 중량물을 들어 올리고자할 때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평상적인 작업 시 포크 캐리지의 포크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중량물을 운반할 수 있게 하고, 필요 시 포크 캐리지의 포크 중의 하나를 램(Ram) 형태로 이용하여 환봉, 강판 코일 등과 같은 중량물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게 하는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적인 측면에서 콤팩트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제작단가도 낮은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와 각각 고정되고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레일을 포함하는 캐리지 프레임;
상기 캐리지 프레임의 후측부에 제공되고 마스트조립체의 양측 마스트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캐리지 활주유닛;
상기 캐리지 프레임의 전측부에 단독으로 제공되고 포크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포크 케이지; 및
하우징측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 중의 하나에 고정되고 로드측 단부가 상기 포크 케이지에 가변식 어댑터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식 어댑터는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측 단부와 결합되는 상기 포크 케이지의 위치를 상기 캐리지 프레임의 안측 또는 바깥측으로 가변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인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변식 어댑터는 길이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적어도 2열의 6개 결합공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외면에 제공되고 상기 유압실린더의 로드측 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벗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기 적어도 2열의 6개 결합공 중의 4개를 통해 상기 포크 케이지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포크 케이지를 고정시키는 패스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포크 케이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포크 케이지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패스너가 관통하는 보조 플레이트가 더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포크 케이지의 후측부와 유압실린더의 로드측 단부 사이에 가변식 어댑터를 제공하여, 평상적인 작업 시 포크 캐리지의 포크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중량물을 운반할 수 있게 하고, 필요 시 포크 캐리지의 두 포크 중의 하나와 해당 포크 케이지를 제거하고 나머지 하나를 램(Ram) 형태로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 하여 환봉, 강판 코일 등과 같은 중량물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포크 캐리지의 두 포크 중의 하나를 제거한 상태에서 가변식 어댑터 외에는 나머지 하나의 포크를 기존의 사양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구조적인 측면에서 콤팩트하고 설치가 용이하며, 제작단가도 낮은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캐리지를 보여주는 개략 정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캐리지의 개략 배면 확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를 보여주는 개략 배면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의 램 기능을 하는 포크가 중앙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의 램 기능을 하는 포크가 중앙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정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캐리지 프레임(2), 캐리지 활주유닛(3), 포크 케이지(20), 가변식 어댑터(30) 및 유압실린더(21)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캐리지 프레임(2)은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2a,2b)와, 상기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와 각각 고정되고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레일(2c,2d)을 포함한다. 상기 캐리지 활주유닛(3)은 상기 캐리지 프레임(2)의 후측부에 제공되고 마스트조립체의 양측 마스트레일(미도시)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포크 케이지(20)는 상기 캐리지 프레임(2)의 전측부에 단독으로 제공되고 포크(22)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일(2c,2d)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유압실린더(21)는 하우징측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2a,2b) 중의 하나에 고정되고 로드측 단부가 상기 포크 케이지(20)에 상기 가변식 어댑터(30)를 매개로 하여 고정된다. 상기 가변식 어댑터(30)는 상기 유압실린더(21)의 로드측 단부와 결합되는 상기 포크 케이지(20)의 위치를 상기 캐리지 프레임(2)의 안측 또는 바깥측으로 가변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는 두 포크 중의 하나를 램(Ram) 형태로 이용하여 환봉, 강판 코일 등과 같은 중량물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게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기 때문에, 나머지 하나의 포크와 포크 케이지는 제거되고 그 보조 구성요소는 미리 제거되거나 장착된 상태로 상기 램 기능을 하는 포크를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는 유압실린더(21)의 로드측 단부와 포크 케이지(20)의 대응부분 사이에 가변식 어댑터(30)를 제공하여, 상기 유압실린더(21)의 로드측 단부와 결합되는 상기 포크 케이지(20)의 위치를 상기 캐리지 프레임(2)의 중앙부분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필요 시 포크 캐리지(1a)의 포크 중의 하나를 램 형태로 이용하여 환봉, 강판 코일 등과 같은 중량물을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은 기본구성에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로 더 한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가변식 어댑터(30)는 길이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적어도 2열의 6개 결합공(31a)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의 외면에 제공되고 상기 유압실린더(21)의 로드측 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벗부(3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의 상기 적어도 2열의 6개 결합공(31a) 중의 4개를 통해 상기 포크 케이지(20)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와 상기 포크 케이지(20)를 고정시키는 패스너(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2열 6개 결합공(31a)을 갖는 형태 외에도, 필요 시 2열 8개 결합공, 또는 그 이상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스너(33)는 상기 포크 케이지(20)에 나사결합되는 볼트, 나사 등일 수 있으며, 이들이 상기 포크 케이지(20)를 완전히 관통하는 형태로 결합되는 경우 그 반대편에는 너트가 더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가변식 어댑터 구조는 비교적 간단하게 상기 유압실린더(21)의 로드측 단부와 결합되는 상기 포크 케이지(20)의 위치를 상기 캐리지 프레임(2)의 안측 또는 바깥측으로 용이하게 가변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포크 케이지(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와 상기 포크 케이지(20)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패스너(33)가 관통하는 보조 플레이트(34)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플레이트 추가구조는 비교적 간단하게 상기 각 패스너(33)의 체결길이를 증대시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와 상기 포크 케이지(20) 간의 결합력을 용이하게 증대시킬 수 있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의 작동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포크 캐리지(1a)의 두 포크 케이지 중의 하나의 후측부와 두 유압실린더 중의 하나의 로드측 단부를 가변식 어댑터(30)를 매개로 하여 결합한 지게차를 준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지게차를 시동시켜 팔레트의 상부에 적재되고 속이 차있는 중량물을 들어올리고자 할 경우, 조절레버(미도시)의 제어 하에 포크 캐리지(1a)의 두 포크를 상기 팔레트에 맞게 조절한 후 상기 포크 캐리지(1a)의 두 포크를 이용하여 상기 중량물을 들어올려 원하는 장소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량물과는 달리, 환봉, 강판 코일 등과 같은 중량물을 들어올리고자 할 경우, 상기 가변식 어댑터(30) 및 그 보조 구성요소의 반대편에 위치한 포크 케이지와 포크를 상기 포크 캐리지(1a)로부터 제거한다(도 3 내지 도 5 참조).
이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와 상기 포크 케이지(20) 간의 기 설정 결합을 해제시킨 후, 상기 가변식 어댑터(30)와 대응하는 포크 케이지(20)를 기 설정 위치보다 상기 포크 캐리지(1a)의 캐리지 프레임(2)의 내측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의 적어도 2열의 6개 결합공(31a) 중의 내측 4개 결합공과 패스너(33)를 이용하여 상기 포크 케이지(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를 고정한다(도 3 참조). 이때, 상기 포크 케이지(20)에는 램 기능을 하는 포크(22)가 기 장착되어 있거나, 기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포크(22)가 장착된다. 상기 포크(22)의 외면에는 중량물에 손상이 가해지지 않도록 연성재질의 충격 완충캡이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레버(미도시)의 제어 하에 상기 램 기능을 하는 포크(22)를 상기 캐리지 프레임(2)의 중앙부분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포크(22)를 환봉, 강판 코일 등과 같은 중량물(미도시)의 중앙공에 끼워 상기 중량물을 들어올려 원하는 장소로 운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2: 캐리지 프레임 2a: 제1 측면 플레이트
2b: 제2 측면 플레이트 2c: 상부레일
2d: 하부레일 3: 캐리지 활주유닛
1a: 포크 캐리지 20: 포크 케이지
21: 유압실린더 22: 포크
30: 가변식 어댑터 31a: 결합공
31: 베이스 플레이트 32: 피벗부
33: 패스너 34: 보조 플레이트

Claims (3)

  1.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2a,2b)와, 상기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와 각각 고정되고 상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상부 및 하부 레일(2c,2d)을 포함하는 캐리지 프레임(2);
    상기 캐리지 프레임(2)의 후측부에 제공되고 마스트조립체의 양측 마스트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한 캐리지 활주유닛(3);
    상기 캐리지 프레임(2)의 전측부에 단독으로 제공되고 포크(22)를 분리 가능하게 수용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레일(2c,2d)을 따라 좌우로 이동 가능한 포크 케이지(20); 및
    하우징측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측면 플레이트(2a,2b) 중의 하나에 고정되고 로드측 단부가 상기 포크 케이지(20)에 가변식 어댑터(30)를 매개로 하여 고정되는 유압실린더(21);를 포함하며,
    상기 가변식 어댑터(30)는 상기 유압실린더(21)의 로드측 단부와 결합되는 상기 포크 케이지(20)의 위치를 상기 캐리지 프레임(2)의 안측 또는 바깥측으로 가변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인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식 어댑터(30)는 길이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적어도 2열의 6개 결합공(31a)이 형성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1)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의 외면에 제공되고 상기 유압실린더(21)의 로드측 단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벗부(3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의 상기 적어도 2열의 6개 결합공(31a) 중의 4개를 통해 상기 포크 케이지(20)와 각각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와 상기 포크 케이지(20)를 고정시키는 패스너(33)로 구성된 것인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포크 케이지(20)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31)와 상기 포크 케이지(20)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패스너(33)가 관통하는 보조 플레이트(34)가 더 제공된 것인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
KR1020100130457A 2010-12-20 2010-12-20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 KR101643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457A KR101643004B1 (ko) 2010-12-20 2010-12-20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457A KR101643004B1 (ko) 2010-12-20 2010-12-20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075A true KR20120069075A (ko) 2012-06-28
KR101643004B1 KR101643004B1 (ko) 2016-07-26

Family

ID=46687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457A KR101643004B1 (ko) 2010-12-20 2010-12-20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00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5119A (zh) * 2017-09-25 2017-12-08 安徽合力股份有限公司 一种叉车用全滚动宽视野的挂钩式侧移装置
CN108715425A (zh) * 2018-08-06 2018-10-30 安徽合力股份有限公司 叉车夹具
KR102221866B1 (ko) * 2020-07-09 2021-03-03 김광현 지게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813A (ko) * 2001-07-20 2003-01-29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지게차용 보조 캐리지 장치
KR20040033547A (ko) * 2002-10-15 2004-04-28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지게차용 포크 이송장치를 구비한 사이드 시프트 캐리지
JP2010111496A (ja) * 2008-11-10 2010-05-20 Tcm Corp 荷役車両の荷役装置
JP2010150014A (ja) * 2008-12-26 2010-07-08 Tcm Corp フォーク固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8813A (ko) * 2001-07-20 2003-01-29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지게차용 보조 캐리지 장치
KR20040033547A (ko) * 2002-10-15 2004-04-28 대우종합기계 주식회사 지게차용 포크 이송장치를 구비한 사이드 시프트 캐리지
JP2010111496A (ja) * 2008-11-10 2010-05-20 Tcm Corp 荷役車両の荷役装置
JP2010150014A (ja) * 2008-12-26 2010-07-08 Tcm Corp フォーク固定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5119A (zh) * 2017-09-25 2017-12-08 安徽合力股份有限公司 一种叉车用全滚动宽视野的挂钩式侧移装置
CN108715425A (zh) * 2018-08-06 2018-10-30 安徽合力股份有限公司 叉车夹具
KR102221866B1 (ko) * 2020-07-09 2021-03-03 김광현 지게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004B1 (ko) 2016-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9948A (en) Multipurpose lift apparatus and method
RU2547024C2 (ru) Рычажный механизм вилочного погрузчика
US2678746A (en) Industrial lifting truck
US10118809B2 (en) Load manipulator
CA3000875C (en) An improved linkage system for a forklift truck
KR20020025962A (ko) 컨테이너 취급 장치 또는 크래들
KR20120069075A (ko)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
US6379104B1 (en) Single side entry container lifting device
JP4507913B2 (ja) 重量物の搬送載置方法
CN214087548U (zh) 一种便于搬运用翻转式叉车
EP3868701B1 (en) Lift chain tension relieving devices and methods
CN110217279A (zh) 一种纤维加工用运输装置
AU2013333711B2 (en) Base unit for a vehicle
CN105253816A (zh) 一种手动电气箱安装专用叉车
US9415933B2 (en) Article storage device and article transfer method
US20150003946A1 (en) Platform for order picker
CN205133062U (zh) 一种手动电气箱安装专用叉车
CN201325364Y (zh) 车辆运输车
KR200473493Y1 (ko) 전도방지용 핸드파레트 트럭
CN108444733B (zh) 一种多功能叉车调试试验器具
KR20160103793A (ko) 농기계 상하차용 리프트
CN218539155U (zh) 一种agv小车升降装置
CN214776020U (zh) 一种锂电池极片轧机加工用辊件安全转运设备
CN212954172U (zh) 一种具有安全防护功能的喷塑产品装载用合力叉车
CN218594827U (zh) 一种供应链仓储用托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