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288B1 - 경화형 도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경화형 도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288B1
KR102220288B1 KR1020180150211A KR20180150211A KR102220288B1 KR 102220288 B1 KR102220288 B1 KR 102220288B1 KR 1020180150211 A KR1020180150211 A KR 1020180150211A KR 20180150211 A KR20180150211 A KR 20180150211A KR 102220288 B1 KR102220288 B1 KR 102220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ating composition
curable coating
weight
polyester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3919A (ko
Inventor
손인석
김의훈
김동건
조익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80150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288B1/ko
Priority to CN201911005837.4A priority patent/CN111234663A/zh
Priority to EP19206760.1A priority patent/EP3660063A1/en
Publication of KR20200063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2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80Masked polyisocyanates
    • C08G18/8061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807Masked polyisocyanates masked with 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with 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G18/808Mono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 C08G18/24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tin salts of carboxylic acids
    • C08G18/246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tin salts of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lso tin-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2Polycondensates having carboxylic or carbonic ester groups in the main chain
    • C08G18/4202Two or more polyesters of different physical or chemical n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7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tanium
    • C08K2003/2241Titanium di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 선영성 및 도료에 요구되는 물성이 모두 우수한 라미네이트 강판용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화형 도료 조성물{Curable Coating Composition}
본 발명은 외관 선영성 및 도료에 요구되는 물성이 모두 우수한 라미네이트 강판용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강판에 합성 수지 필름을 피복하여 형성된 라미네이트 강판은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부식에 강하여 쉽게 녹슬지 않고 색상 변형이 적으며 외관이 미려하여 각종 내외장재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라미네이트 강판은 일반적으로 아연이나 크롬 등이 도금된 강판 위에 접착 조성물을 도포한 후, 폴리염화비닐(PVC) 필름을 접착하여 제조된다. PVC 필름을 사용할 경우 우수한 선영성을 갖는 라미네이트 강판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PVC 필름 제조 시 사용되는 납, 유기주석, 아연 등의 첨가제로 인해 다이옥신 및 독성 첨가제가 배출되어, 여러 국가에서 PVC를 포함한 제품에 대한 환경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8-0104883호는 염소를 포함하지 않는 친환경 열용융 필름 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조성물을 적용한 라미네이트 강판은 충분한 선영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어, 우수한 접착력을 가짐과 동시에 우수한 선영성을 갖는 접착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외관 선영성 및 도료에 요구되는 기본 물성(부착력 등)이 우수한 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관 선영성 및 부착력 등 도료에 요구되는 기본 물성이 우수한 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PVC 필름을 적용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광택, 선영성 및 가공 물성을 가지는 친환경성 라미네이트 강판 제조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적용할 경우, PVC 필름 사용 시 필요한 가소제(프탈레이트)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단순화된 공정으로 두께가 일정한 필름을 친환경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기존의 라미네이트 강판의 제조 원가를 20% 이상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수지의 분자량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것이며, 예를 들어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것이며, 예를 들어 시차주사열량분석법(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내용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 구성요소가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선택적으로 혼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보조 수지, 경화제, 안료, 촉매, 용매 또는 경화형 도료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지
본 발명에 따른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주(主) 수지로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한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적용한 필름의 가공 시, 연신률과 외관의 선영성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가지형 폴리에스테르 수지 또는 선형 폴리에스테르 수지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고분자 말단에 수산기(-OH)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는 글리콜과 디카르복실산을 촉매 및 용매 하에서 중합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글리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1,2-부틸렌글리콜(1,2-Butylene glycol), 네오펜틸글리콜(Neopentyl glycol), 1,6-핵산디올(1,6-Haxanediol), 글리세롤(Glycer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이소프탈산(Isophthalic acid), 1,4-사이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1,4-Cyclohexane dicarboxylic acid), 아디프산(Adipic acid), 세바식산(Sebacic acid), 무수프탈산(Phthalic anhydride), 트리멜리트산무수물(Trimellitic anhydride), 벤조산(Benzoic acid), 테트라하이드로무수프탈산(Tetrahydrophthlic anhydrid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제, 아세테이트계 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8119189653-pat00001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10,000의 정수이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평균분자량은 8,000 내지 14,000, 예를 들어 8,000 내지 9,000일 수 있고, 유리전이온도(Tg)는 -20 내지 40 ℃, 예를 들어 0 내지 20 ℃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평균분자량 및 유리전이온도가 전술한 범위 미만인 경우 경화형 도료 조성물의 가공 밀착성 및 접착성이 저하될 수 있고, 전술한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피도장물 표면의 선영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는 0 내지 10 mgKOH/g, 예를 들어 0 내지 4 mgKOH/g일 수 있고, 수산기가는 10 내지 25 mgKOH/g, 예를 들어 16 내지 20 mgKOH/g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산가 및 수산기가가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도료의 레벨링성 및 작업성이 우수하고, 외관 특성이 우수한 도막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은 경화형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40 내지 75 중량%, 예를 들어 50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고형분 함량은 40 내지 60 중량%, 예를 들어 45 내지 55 중량%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도막의 기본 물성이 양호하며, 우수한 내식성, 내약품성 및 외관 특성을 발현하고, 금속층과의 부착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외에 보조 수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혼용되어 경화도료 조성물의 내열탕성 및 부착성을 보완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수지는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에폭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수지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수지 총량(고형분 기준)의 40 중량% 이하, 예를 들어 1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경화제
본 발명에 따른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경화제로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한다. 상기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경화반응을 일으켜 열에 의한 변형을 막고, 도막의 부착강도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상기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는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디메틸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메틸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페놀계, 케톤계, 옥심계 및 카프로락탐계 블록킹 에이전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으로 블록킹한 것일 수 있다.
상기 블록 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은 경화형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블록 이소시아네이트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도막의 내수성 저하 없이 가교 밀도가 향상되어 도막의 장기 내식성, 부착성, 레벨링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화형 도료 조성물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블록 이소시아네이트의 관능기 비(NCO/OH)는 0.5 내지 1.5, 예를 들어 0.6 내지 1.1일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블록 이소시아네이트의 관능기 비(NCO/OH)가 0.5 미만인 경우 도막의 미경화로 인해 오렌지 필이 발생하는 등 외관이 불량해질 수 있으며, 1.5를 초과하는 경우 열탕성 및 부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안료
본 발명에 따른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상기 도료 조성물의 고유 특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경화도료 분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안료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료는 도료에 원하는 색상(유색)을 발현하거나 도막의 강도나 광택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안료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기 안료, 무기 안료, 메탈릭 안료, 알루미늄-페이스트(Al-paste), 펄(pearl)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용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안료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조계, 프탈로시아닌계, 산화철계, 코발트계, 탄산염계, 황산염계, 규산염계, 크롬산염계 안료 등이 있으며, 예컨대, 티타늄 디옥사이드, 징크 옥사이드, 비스무스 바나데이트, 시아닌 그린, 카본 블랙, 산화철적, 산화철황, 네이비 블루, 시아닌 블루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이 있다.
상기 안료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경화형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30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안료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일 경우, 본 발명의 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적용한 도막의 색상 발현이 우수하고, 도막의 은폐성 및 기계적 물성(부착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촉매
본 발명의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고유 특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경화형 도료 조성물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촉매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주(主) 수지인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간의 반응을 촉진시키는 물질로서, 건조 도막 형성시 가공성 및 도장 밀착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촉매로는 이미다졸계 촉매, 포스포늄계 촉매, 아민계 촉매, 금속계 촉매 등이 있는데,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촉매로 금속계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계 촉매로는 코발트, 구리, 아연, 철, 니켈, 망간, 주석 등의 유기 금속 착체 또는 유기 금속염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금속 착체의 예로는, 코발트(Ⅱ) 아세틸아세토네이트, 코발트(Ⅲ)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의 유기 코발트 착체, 구리(Ⅱ)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의 유기 구리 착체, 아연(Ⅱ)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의 유기 아연 착체, 철(Ⅲ)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의 유기 철 착체, 니켈(Ⅱ)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의 유기 니켈 착체, 망간(Ⅱ) 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의 유기 망간 착체 등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유기 금속염의 예로는, 옥틸산 아연, 옥틸산 주석, 나프텐산 아연, 나프텐산 코발트, 스테아르산 주석, 스테아르산 아연, 라우르산 주석 등을 들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례로, 상기 촉매는 옥틸산 주석, 스테아르산 주석 및 라우르산 주석 등의 주석 산화물일 수 있다. 촉매로 주석 산화물을 사용하는 경우, 도장 환경에 적합한 경화 밀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촉매 반응 속도가 빨라 소량으로도 저온에서 우수한 경화도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촉매의 함량은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블록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성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촉매의 함량은 경화형 도료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 중량%, 예를 들어 0.1 내지 0.2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촉매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를 벗어날 경우, 도막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용매
본 발명에 따른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용매로서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유기용매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로는 방향족 탄화수소계 용매, 에스테르계 용매, 에테르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사용 가능한 유기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를 들면, 코코솔 #100(Kocosol #100, K-100, SK에너지주식회사), 코코솔 #150(Kocosol #150, K-150, SK에너지주식회사), 시클로헥사논, 자일렌, 톨루엔,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디베이직에스터,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n-부틸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아세테이트, 3-메톡시 부틸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에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아밀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기용매의 함량은 상기 경화형 도료 조성물 총 중량(예컨대, 100 중량%)을 만족시키는 잔량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경화형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용매의 함량이 전술한 범위에 해당될 경우 작업성이 개선되고 도막의 우수한 물성을 발휘할 수 있다.
첨가제
본 발명에 따른 경화형 도료 조성물은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도료 조성물 분야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 가능한 첨가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분산제, 부착개선제, 경화지연제, 표면조정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유연제, 증점제, 내후성 첨가제, 건조제, 외관 조절제, 레벨링제, 흡습제, 커플링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분산제는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재료들을 분산시키고 거리 유지를 통해 재응집을 막아 도막의 균일한 물성을 발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산제로는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고분자량의 블록 공중합체 타입의 분산제 등이 있다.
부착개선제는 도막의 소지와의 부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 가능한 부착개선제의 예로는, 실란계 부착개선제, 폴리에스터계 부착개선제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소포제는 친유체와 폴리실록산의 혼합물로서 도장 시 발생되는 기포를 억제함으로써 도막의 외관 특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소포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폴리실록산 타입의 소포제를 사용할 수 있다.
레벨링제는 도료 조성물이 평탄하고 매끄럽게 코팅되도록 레벨링함으로써, 조성물 내의 접착력을 증진시키면서 도막의 외관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벨링제로는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것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례로 아크릴계, 실리콘계, 폴리에스테르계, 아민계 레벨링제 등이 있다.
상기 첨가제는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일례로 상기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경화형 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전술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를, 필요에 따라 보조 수지, 안료, 촉매, 용매 및 기타 첨가제와 함께 디졸버, 교반기 등과 같은 혼합용 장비에 투입한 후, 적절한 온도(예컨대 상온)에서 혼합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1 및 비교예 1-8]
하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수지, 경화제, 안료, 촉매, 용매 및 첨가제를 혼합하여 실시예 1-11 및 비교예 1-8의 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 및 표 2에서 각 조성물의 사용량 단위는 중량%이다.
Figure 112018119189653-pat00002
Figure 112018119189653-pat00003
수지 1: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Tg 10 ℃, Mn 8,000, 수산기가 12 mgKOH/g) 99 중량% 및 에폭시 변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Tg -55 ℃, Mn 2,300, 수산기가 100 mgKOH/g) 1 중량%의 혼합 수지
수지 2: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Tg 10 ℃, Mn 8,000, 수산기가 12 mgKOH/g) 95 중량% 및 에폭시 변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Tg -55 ℃, Mn 2,300, 수산기가 100 mgKOH/g) 5 중량%의 혼합 수지
수지 3: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Tg 0 ℃, Mn 8,000, 수산기가 12 mgKOH/g)
수지 4: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Tg 20 ℃, Mn 10,000, 수산기가 12 mgKOH/g)
수지 5: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Tg 10 ℃, Mn 13,000, 수산기가 12 mgKOH/g)
수지 6: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Tg 70 ℃, Mn 8,000, 수산기가 12 mgKOH/g)
수지 7: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Tg 50 ℃, Mn 9,000, 수산기가 12 mgKOH/g)
수지 8: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Tg 50 ℃, Mn 5,000, 수산기가 12 mgKOH/g)
수지 9: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Tg 40 ℃, Mn 6,000, 수산기가 12 mgKOH/g)
수지 10: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Tg 30 ℃, Mn 7,000, 수산기가 12 mgKOH/g)
수지 11: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Tg 20 ℃, Mn 6,000, 수산기가 12 mgKOH/g)
경화제: 블록 이소시아네이트(PL350, 바이엘/COVESTRO社, NCO 함량 11.5%)
안료: TiO2(TRONNOX社) 및 카본블랙(ORION ENGINEERED CARBONS社)
촉매: Dibutyltin Diluarate(DBTDL)
용매: Methyl ethyl ketone(MEK) 1 중량%, Prop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PMA) 8 중량%, Cyclohexanol 10 중량%, KOCOSOL #100(SK에너지주식회사) 2.5 중량%, RPDE(RHODIASOLV RPDE K, Solvay社, DIMETHYL GLUTARATE 62.2 중량%, DIMETHYL SUCCINATE 23.8 중량% 및 DIMETHYL ADIIPATE 14.0 중량%) 4 중량%의 혼합 용매
첨가제: 아크릴계 레벨링제
[물성 평가]
실시예 1-11 및 비교예 1-8에서 각각 제조된 경화형 도료 조성물의 물성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으며, 이의 결과를 하기 표 3 및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편 제조
전기아연도금강판(EGI) 위에 각각의 경화형 도료 조성물을 10 내지 12 um 두께로 도장한 후, PMT(Peak metal temp) 232℃ 조건에서 건조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외관(선영성)
WAVESCAN(BYK社)을 사용하여 CF(외관면 품질, combined factor)값을 측정하였다. CF값이 높을수록 선영성이 우수하다.(◎: CF값 30 초과, ○: CF값 27 초과 30 이하, △: CF값 25 초과 27 이하, X: CF값 25 미만)
가공 부착성
5 mm×5 mm 에릭슨 6 mm 가공 후 도막의 박리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1차로 가공 부착성을 측정하였다. 이후 상기와 같이 가공된 시편을 비등수(80℃)내에 30분 방치한 후, 도막의 박리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Figure 112018119189653-pat00004
(◎: 매우 우수, ○: 우수, △: 보통, X: 불량)
Figure 112018119189653-pat00005
(◎: 매우 우수, ○: 우수, △: 보통, X: 불량)
상기 표 3 및 표 4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1의 경화형 도료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은 비교예 1-8의 도료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에 비해 전반적으로 물성이 우수하였다. 특히 실시예 1-11의 도료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은 우수한 외관(선영성) 및 가공 부착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4)

  1.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및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경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수평균분자량이 8,000 내지 9,000이고, 유리전이온도(Tg)가 -20 내지 40℃이고, 수산기가가 10 내지 25 mgKOH/g이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상기 블록 이소시아네이트의 관능기 비(NCO/OH)가 0.5 내지 1.5인 라미네이트 강판용 경화형 도료 조성물로서,
    상기 경화형 도료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 40 내지 75 중량% 및 상기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수지는 보조 수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수지는 에폭시 변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강판용 경화형 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수지인 라미네이트 강판용 경화형 도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상기 보조 수지를 수지 총량(고형분 기준)의 40 중량% 이하로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강판용 경화형 도료 조성물.
  4. 삭제
KR1020180150211A 2018-11-28 2018-11-28 경화형 도료 조성물 KR102220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211A KR102220288B1 (ko) 2018-11-28 2018-11-28 경화형 도료 조성물
CN201911005837.4A CN111234663A (zh) 2018-11-28 2019-10-22 固化型涂料组合物
EP19206760.1A EP3660063A1 (en) 2018-11-28 2019-11-01 Curable coating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211A KR102220288B1 (ko) 2018-11-28 2018-11-28 경화형 도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919A KR20200063919A (ko) 2020-06-05
KR102220288B1 true KR102220288B1 (ko) 2021-02-25

Family

ID=6842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211A KR102220288B1 (ko) 2018-11-28 2018-11-28 경화형 도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660063A1 (ko)
KR (1) KR102220288B1 (ko)
CN (1) CN11123466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5209A (ja) * 2007-04-23 2008-11-06 Nippon Steel Corp プレコート金属板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5080B2 (ja) * 1995-07-05 2007-01-10 東洋紡績株式会社 塗料用樹脂組成物
DE19646640A1 (de) * 1996-11-12 1998-05-14 Huels Chemische Werke Ag Organosol-Polyesterlacke sowie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E10332723A1 (de) * 2003-07-18 2005-02-03 Degussa Ag Lösungsmittelhaltige Beschichtungszusammensetzungen
KR101637484B1 (ko) * 2010-04-29 2016-07-08 주식회사 케이씨씨 육안 선영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 함유하는 pcm용 도료 조성물
CN103305171B (zh) * 2013-06-26 2014-11-19 广州慧谷工程材料有限公司 一种pp覆膜胶水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1916869B1 (ko) 2017-03-14 2018-11-0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층 금속 시트
CN107674388B (zh) * 2017-09-12 2019-10-08 广东生益科技股份有限公司 无卤树脂组合物以及由其制备的胶膜、覆盖膜和覆铜板
CN107828363A (zh) * 2017-11-24 2018-03-23 广东莱尔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热固化的钢板覆膜胶及其制备方法
CN108130036B (zh) * 2017-12-18 2021-02-02 深圳市思迈科新材料有限公司 柔性粘接导电胶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5209A (ja) * 2007-04-23 2008-11-06 Nippon Steel Corp プレコート金属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60063A1 (en) 2020-06-03
KR20200063919A (ko) 2020-06-05
CN111234663A (zh)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14216B1 (ja) 加飾成形用積層フィルム、ポリウレタン樹脂および加飾成形体の製造方法
JPWO2009060838A1 (ja) 印刷インキバインダー用ポリウレタン、その製造方法および印刷インキ
KR100692931B1 (ko) 환경친화형 피씨엠용 도료조성물
JP5918323B2 (ja) 印刷インキ用バインダー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インキ
KR101958984B1 (ko) Pcm 다색 강판의 상도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강판
KR102220288B1 (ko) 경화형 도료 조성물
JP2017178976A (ja) 印刷インキ用バインダー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インキ
KR102383359B1 (ko) 투명 도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도장방법
KR20120068699A (ko) 폴리프로필렌카보네이트 도료조성물
EP4025626B1 (en) Coating composition with easy-clean performance
JP2015028159A (ja) 印刷インキ用バインダー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インキ
JP2003192761A (ja) アクリル変性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90796B1 (ko) 폴리알킬렌 카보네이트를 이용한 용제형 그라비아 잉크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H10251594A (ja) ポリウレタン樹脂と塩素化ポリオレフィンとからなるバインダー組成物
KR101854595B1 (ko) Pcm 다색 강판의 하도용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장 강판
JP2977742B2 (ja) ポリエステル樹脂系粉体塗料
JP3981775B2 (ja) 印刷インキ用バインダー
CN112513194B (zh) 用于金属基板的改善的防腐蚀性的热固性涂层组合物
KR101637486B1 (ko) 피씨엠 이면 코팅용 하이브리드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
JP2640161B2 (ja) 印刷インキ用バインダー
KR102217676B1 (ko) 중도용 도료 조성물
JP2019507216A (ja) 内蔵部品用ハイグロシ塗料組成物
TW202116862A (zh) 具易清潔性能之塗料組合物
KR101992531B1 (ko) 바이오 클린 기능을 갖는 피씨엠용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도장강판
JP2016166259A (ja) 印刷インキ用バインダー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イン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