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741B1 - 복합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고체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복합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고체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741B1
KR102219741B1 KR1020190025370A KR20190025370A KR102219741B1 KR 102219741 B1 KR102219741 B1 KR 102219741B1 KR 1020190025370 A KR1020190025370 A KR 1020190025370A KR 20190025370 A KR20190025370 A KR 20190025370A KR 102219741 B1 KR102219741 B1 KR 102219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solid electrolyte
composite
ion conductive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760A (ko
Inventor
김재광
Original Assignee
김재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광 filed Critical 김재광
Priority to KR1020190025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741B1/ko
Priority to US17/434,771 priority patent/US20220140383A1/en
Priority to PCT/KR2020/002579 priority patent/WO2020180030A1/ko
Publication of KR20200106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4Accumulators with insertion or intercalation of metals other than lithium, e.g. with magnesium or 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45Room temperature molten salt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01M2300/0071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82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1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안전성과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복합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전고체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를 용매와 혼합하여 슬러리로 만든 후 전기 방사를 통하여 그물구조의 형태를 만든다. 건조 후 액체전해질을 공극에 흡수시켜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세라믹과 고분자와 액체 전해질로 된 복합 고체 전해질을 제작한다. 이러한 구조의 복합 고체 전해질은 이차전지의 안전성은 물론 전기화학적 특성도 향상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고체 이차전지{Preparation of Hybrid Solid Electrolyte and All Solid state Batter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고체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를 용매와 혼합하여 슬러리를 만든 후, 이 슬러리를 전기 방사하여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로 된 복합 섬유가 교차하여 형성된 그물 구조의 필름을 만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 그물 구조의 필름에 액체 전해질을 흡수시켜 이온 전도도가 높은 복합 고체 전해질을 만드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 복합 고체 전해질을 이용한 전고체 이차전지는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을 갖는다.
휴대폰, 노트북, 캠코더 등의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의 적용 분야가 날로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양극부, 음극부, 이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과 고분자의 분리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이차전지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이다. 리튬 이온 이차전지는 액체 상태의 전해질, 특히 비수계 유기용매에 염을 용해한 이온 전도성 유기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액체 상태의 전해질은 본질적으로 열과 충격에 약하고 가연성이 높다. 그래서 리튬 이온 이차전지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져 파손되거나 이차전지의 온도가 올라가면 폭발하거나 연소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액체 전해질을 세라믹 고체 전해질, 고분자 전해질과 같은 고체 전해질로 대체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고체 전해질은 안정성은 높지만 상온에서 이온전도도가 낮으며 전극과의 계면 저항이 커서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저하시키는 다른 문제가 있다.
고체 전해질이 갖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과 같이 세라믹과 고분자를 혼합하여 복합 고체 전해질을 만들거나, 세라믹, 고분자, 액체 전해질을 혼합하여 복합 고체 전해질을 만들어 전극 사이에 위치시키려는 시도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고체 전해질은 높은 계면저항으로 인해 전기화학적 특성이 낮다. 유기물과 무기물을 혼합한 복합 고체 전해질 또한 고체 전해질보다는 낮지만 여전히 높은 계면저항을 갖고, 고율 특성과 수명 특성도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존 복합 전해질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온전도성 세라믹 함량이 높은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의 혼합물을 전기 방사법을 이용하여 공극률이 높은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가 혼합된 섬유 형태의 복합 필름을 만들어 복합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기존 복합 전해질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온전도성 세라믹 함량이 높은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의 혼합물을 전기 방사법을 이용하여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가 혼합된 섬유 형태의 복합 필름의 공극률을 높이고, 이 공극 사이에 액체 전해질을 채워 넣어 복합 전해질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고체 전해질 또는 복합 고체 전해질로 제작된 전고체 이차전지는 안전성은 우수하지만 계면 저항이 높으며 고율 특성과 수명 특성이 낮아 액체 전해질을 대체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따라서 전고체 이차전지의 계면 저항과 고율 특성 및 수명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기방사 방법을 통하여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가 혼합된 섬유(파이버) 형태의 복합 필름을 만들고, 이 섬유들 사이의 공극에 액체 전해질을 흡수시켜 이온전도도가 높은 복합 고체 전해질을 제작하려는 것이다. 이온전도성 세라믹은 다량 사용하고(>60 중량%), 고분자는 소량 사용한다(<40 중량%). 이렇게 제작한 복합 고체 전해질은 다량의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소량의 고분자가 섬유 형태를 이루며 그물 구조 필름을 형성하고 있어 공극률이 높고, 이 공극에 채워진 액체 전해질은 세라믹 사이의 저항과 전극과 복합고체 전해질 사이의 계면 저항을 감소시켜 주어 전고체 전지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전기방사법으로 만든 세라믹과 고분자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복합 필름은 높은 공극률을 가지고 있어 계면 저항을 줄이기에 유리한 구조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전기방사법으로 만든 세라믹과 고분자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복합 필름은 높은 공극률을 가지고 있어 충분한 액체 전해질을 흡수할 수 있다. 그 결과 전고체 이차전지의 충전 속도와 수명 특성 등 전기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세라믹과 고분자를 혼합하여 만든 종래의 복합 고체 전해질이다.
도 2는 이온 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로 이루어진 섬유가 모여 형성된 부직포 필름 형태의 복합 고체 전해질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이온 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의 복합 섬유를 전기방사법으로 부직포 형태의 복합 고체 전해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이온 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형태의 복합 필름의 SEM 사진이다. 왼쪽은 LAGP와 PNA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형태의 복합 필름의 SEM 사진이고, 오른쪽은 LATP와 PVdF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형태의 복합 필름의 SEM 사진이다.
도 5는 이온 전도성 세라믹(LAGP)와 고분자(PAN)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형태의 복합 필름의 TEM 사진이다.
도 6은 LAGP 80 중량%와 PAN 20 중량%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복합 필름을 압착한 후 찍은 단면 SEM 사진이다.
도 7은 LAGP 80 중량%와 PAN 20 중량%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복합 필름에 이 복합 필름의 100%에 달하는 EC/DEC 중 1M LiPF6 액체 전해질을 흡수시켜 만든 복합 고체 전해질의 온도에 따른 이온전도도 그래프이다.
도 8은 LAGP 80 중량%와 PAN 20 중량%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복합 필름에 EC/DEC 중 1M LiPF6 액체 전해질 100 중량%를 흡수시켜 제작한 복합 고체 전해질과 LiFePO4 양극, 리튬 음극으로 구성된 이차전지의 충전-방전 그래프이다.
도 9는 LATP 80 중량%와 PVdF 20 중량%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복합 필름에 EC/DEC 중 1M LiPF6 액체 전해질 120 중량%를 흡수시켜 제작한 복합 고체 전해질과 LiFePO4 양극, 리튬 음극으로 구성된 이차전지의 충전-방전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고체 전해질과 상용화된 액체 전해질을 80℃에서 0.1 C-rate(방전율)로 사이클 수에 따라 방전 용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로 이루어진 섬유들이 교차하여 형성된 부직포 형태의 복합 필름을 제작한 후 액체 전해질을 흡수시킨 복합 고체 전해질의 개략도이다.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로 이루어진 섬유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이온전도성 세락믹은 β-Al2O3, (La,Li)TiO3(LLTO)((La,Li)=La 또는 Li), Li5La3Ta2O12, Li6La2CaTa2O12, Li4SiO4, Li3BO2.5N0.5, Li9SiAlO, Li6La2ANb2O12(A=Ca 또는 Sr), Li2Nd3TeSbO12, Li7La3Zr2O12(LLZO), Li5La3Ta2O12, Li9SiAlO8와 같이 결정 구조에 산소를 포함하는 리튬산화물계, Li10GeP2S12, Li7P2S11, Li3.25Ge0.25P0.75S4(LGPS), Li2S-Si2S5, Li2S-Ga2S3-GeS2, Li2S-Sb2S3-GeS2, Li2S-P2S5, Li2S-P2S5-Li4SiO4, Li3.25-Ge0.25-P0.75S4(Thio-LISICON)과 같이 결정 구조에 황을 포함하는 리튬황화물계, LAGP(Li1+xAlxGe2-x(PO4)3)(0<x<2, 바람직하게는 0<x<1), LTAP(Li1+xTi2-xAlx(PO4)3)(0<x<2, 바람직하게는 0<x<1), Li1+xTi2-xAlxSiy(PO4)3-y(0<x<2, 0<y<3, 바람직하게는 0<x<1, 0<y<1), LiAlxZr2-x(PO4)3(0<x<2, 바람직하게는 0<x<1), LiTixZr2-x(PO4)3(0<x<2, 바람직하게는 0<x<1)와 같이 결정 구조에 인을 포함하는 리튬인산계, 인계 유리(phosphorous-based glass), 산화물계 유리(oxide-based glass), 산화물-황화물계 유리(oxide-sulfide based glass)와 같은 비정질 이온 전도도 물질, 나시콘(NASICON), Na10GeP2S12, Na7P2S11, Na3.25Ge0.25P0.75S4, Na2S-Si2S5, Na2S-Ga2S3-GeS2, Na2S-Sb2S3-GeS2, Na2S-P2S5, Na2S-P2S5-Na4SiO4, Na3.25-Ge0.25-P0.75S4,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나트륨황화물계, 또는 Na3Zr2Si2PO12와 같은 나트륨산화물계일 수 있으며, 이들의 조합일 수도 있다.
전기방사를 이용하여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로 이루어진 섬유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고분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코-트리플루오로에틸렌]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PEO)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PVP)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이미드(PI)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PE)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우레탄(PU)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PP)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PO)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이민)(PEI)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설파이드)(PES)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VAc)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PESc)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아민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설파이드계 또는 그 공중합체, 실록산(Siloxane-based)계 또는 그 공중합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계 또는 그 공중합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CMC)계 또는 그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를 혼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매는 DMF(디메틸포름아미드), NMP (N-메틸-2-피롤리돈),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아세톤,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증류수, 디메틸카르보네이트(DMC), 테트라히드로푸란(THF), 헥산올, 클로로포름, 디에틸카르보네이트(DEC), 또는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의 섬유로 이루어진 복합 필름에 흡수시키는 액체 전해질은 비수성 유기 용매 또는 이온성 액체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리튬염 또는 나트륨염을 용해시킨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액체 전해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수성 유기 용매는 카르보네이트계, 에스테르계, 에테르계, 케톤계, 알코올계, 포스페이트계, 비양성자성 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이온성 액체 용매는 이미다졸륨계(imidazolium), 피리디늄계(pyridinium), 피롤리디늄계(pyrrolidinium), 설포늄계(sulfonium), 피라졸륨계(pyrazolium), 암모늄계(ammonium), 몰포리늄계(Morpholinium), 포스포늄계(Phosphonium), 피페리디늄계(piperidinium) 양이온의 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액체 전해질에 사용되는 리튬염은 LiClO4, LiPF6, CF3SO2NLiSO2CF3(LiTFSI), Li[N(SO2F)2](LiFSI), Li[B(C2O4)2](LiBOB), LiBF4, LiAsF6, 리튬플루오로술포닐-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LiFTFSI) 또는 이들의 조합일수 있다. 상기 액체 전해질에 사용되는 나트륨염은 NaClO4, NaPF4, NaBF4, NaPF6, NaAsF6, NaTFSI, Na[(C2F5)3PF3](NaFAP), Na[B(C2O4)2](NaBOB), Na[N(SO2F)2](NaFSI), NaBeti(NaN[SO2C2F5]2)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의 혼합 슬러리에서 이온전도성 세라믹의 양은 60 중량% 내지 90 중량%가 바람직하고, 70 중량% 내지 80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의 혼합 슬러리에서 고분자의 양은 10 중량% 내지 40 중량%가 바람직하고, 20 중량% 내지 30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의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형태의 필름에 흡수되는 액체 전해질의 양은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의 합계 중량에 대해 50 중량% 내지 300 중량%가 바람직하고, 60 중량% 내지 200 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전기방사로 만들어진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의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형태의 필름의 공극률은 50% 내지 300%가 바람직하고, 80% 내지 200%가 더욱 바람직하다.
공극률은 부직포 형태의 필름을 n-부탄올에 1시간 동안 담그는 n-부탄올 흡수법으로 계산한다. 공극률을 계산하는 식은 아래 화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19022612265-pat00001
화학식 1에서, P는 공극률이고, MBuOH는 n-부탄올의 흡수된 중량이고, ρBuOH는 n-부탄올의 밀도이고, Mm은 건조시킨 부직포 형태의 필름의 중량이고, ρP는 고분자의 밀도이다.
상기 부직포 형태의 필름의 두께는 20~100 ㎛가 바람직하다.
도 3은 전기 방사를 이용한 부직포 형태의 복합 고체 전해질의 제조 공정이다. 이온 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를 용매를 사용하여 고르게 혼합한 후, 겔 상태의 슬러리를 전기 방사한다. 전기방사에 의하여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의 섬유는 그물 모양의 부직포 필름을 형성하게 된다. 부직포 필름을 24시간 건조시켜 용매를 제거하고, 불활성 분위기에서 부직포 필름에 액체 전해질을 흡수시켜 복합 고체 전해질을 제작한다.
공정의 편의를 위하여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의 혼합 용액을 전극 위에 바로 전기방사 시킴으로써 전극에 일체화된 부직포 형태의 복합 고체 전해질을 제조할 수도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
실시예 1
이온전도성 세라믹 LAGP 80 중량%와 고분자 PAN 20 중량%를 DMF 용매에 혼합하여 슬러리를 만든 후 전기 방사하여 용매를 건조시킨 LAGP와 PAN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형태 필름의 SEM 사진(왼쪽)과 이온전도성 세라믹 LATP 80 중량%와 고분자 PVdF 20 중량%를 DMAc와 아세톤의 혼합 용매에 혼합하여 슬러리를 만든 후 전기 방사하여 용매를 건조시킨 LATP와 PVdF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형태 필름의 SEM 사진(오른쪽)을 도 4에 나타내었다. 공극률은 130%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만든 LAGP 80 중량%와 PAN 20 중량%의 복합 섬유의 TEM 사진을 도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만든 LAGP 80 중량%와 PAN 20 중량%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복합 필름을 1 톤 압력으로 압착한 후의 단면 SEM 사진을 도 6에 나타내었다. 두께는 약 40㎛이다.
실시예 4
전기방사로 복합 고체 전해질을 제조하는 공정은 다음과 같다.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 분말을 100℃ 이상에서 한 시간 이상 진공건조한다. 용매(DMF)에 건조된 세라믹과 고분자를 넣어 혼합한다. 혼합된 용액을 0.6 mm 지름의 바늘이 달린 주사기에 넣고 분당 0.1 ml씩 압축한다. 이때 전기 방사에 걸어주는 전압은 18 kV 이다. 분사되어 모아진 복합 섬유의 필름을 60℃ 이상에서 12시간 이상 건조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한다.
실시예 5
LAGP 80 중량%와 PAN 20 중량%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복합 필름에 이 복합 필름의 100 중량%에 달하는 EC/DEC 중 1M LiPF6 액체 전해질을 흡수시켜 복합 고체 전해질을 만들었다. 이 복합 고체 전해질의 온도에 따른 이온전도도 그래프를 도 7에 나타내었다. 30℃에서 9 x 10-3 S/cm라는 높은 수치를 보인다.
실시예 6
LAGP 80 중량%와 PAN 20 중량%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복합 필름에 EC/DEC 중 1M LiPF6 액체 전해질 100 중량%를 흡수시켜 복합 고체 전해질을 만들었다. 이 복합 고체 전해질과 LiFePO4 양극, 리튬 금속 음극으로 이루어진 이차전지의 충전-방전 곡선을 도 8에 나타내었다. 0.5C의 전류 밀도를 흘려주었을 때 초기 147 mAh/g의 가역 용량을 보인다.
실시예 7
LATP 80 중량%와 PVdF 20 중량%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복합 필름에 EC/DEC 중 1M LiPF6 액체 전해질 120 중량%를 흡수시켜 만든 복합 고체 전해질을 만들었다. 이 복합 고체 전해질과 LiFePO4 양극, 리튬 금속 음극으로 이루어진 전지의 충전-방전 곡선을 도 9에 나타내었다. 0.5C의 전류 밀도를 흘려주었을 때 초기 152 mAh/g의 가역 용량을 보인다.
실시예 8
LAGP 80 중량%와 PAN 20 중량%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복합 필름에 EC/DEC 중 1M LiPF6 액체 전해질 100 중량%를 흡수시켜 복합 고체 전해질을 만들었다. 이것과 상용화된 액체 전해질을 80℃에서 0.1 C-rate(방전율)로 사이클 수에 따라 방전 용량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상용화된 액체 전해질은 80℃에서는 작동이 거의 되지 않으나, 본원 발명의 복합 고체 전해질은 80℃에서도 잘 작동함을 알 수 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제시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Claims (22)

  1.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를 용매를 사용해 혼합한 후 전기방사시켜 얻은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형태의 복합 필름에 액체 전해질을 흡수시켜 제작한 복합 고체 전해질.
  2.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를 용매를 사용해 혼합한 후 전기방사시켜 얻은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공극률이 50% 내지 300%인 부직포 형태의 복합 필름에 액체 전해질을 흡수시켜 제작한 복합 고체 전해질.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를 100 중량%로 잡았을 때 상기 세라믹의 함량은 60 중량% 내지 90 중량%인, 복합 고체 전해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를 100 중량%로 잡았을 때 상기 고분자의 함량은 10 중량% 내지 40 중량%인, 복합 고체 전해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필름에 흡수시키는 액체 전해질의 양은 복합 필름을 100 중량%라고 했을 때 복합 필름의 50 중량% 내지 300 중량%인, 복합 고체 전해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되는 액체 전해질은 비수성 유기 용매 또는 이온성 액체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리튬염 또는 나트륨염을 용해시킨 것인, 복합 고체 전해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수성 유기 용매는 카르보네이트계, 에스테르계, 에테르계, 케톤계, 알코올계, 포스페이트계, 비양성자성 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인, 복합 고체 전해질.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 용매는 이미다졸륨계(imidazolium), 피리디늄계(pyridinium), 피롤리디늄계(pyrrolidinium), 설포늄계(sulfonium), 피라졸륨계(pyrazolium), 암모늄계(ammonium), 몰포리늄계(Morpholinium), 포스포늄계(Phosphonium), 피페리디늄계(piperidinium)의 양이온의 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인, 복합 고체 전해질.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LiClO4, LiPF6, CF3SO2NLiSO2CF3(LiTFSI), Li[N(SO2F)2](LiFSI), Li[B(C2O4)2](LiBOB), LiBF4, LiAsF6, 리튬플루오로술포닐-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LiFTFSI) 또는 이들의 조합인, 복합 고체 전해질.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나트륨염은 NaClO4, NaPF4, NaBF4, NaPF6, NaAsF6, NaTFSI, Na[(C2F5)3PF3](NaFAP), Na[B(C2O4)2](NaBOB), Na[N(SO2F)2](NaFSI), NaBeti(NaN[SO2C2F5]2) 또는 이들의 조합인, 복합 고체 전해질.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 물질은 리튬산화물계, 리튬황화물계, 리튬인산계, 비정질 이온 전도도 물질, 나시콘(NASICON), 나트륨황화물계, 나트륨산화물계, 또는 이들의 조합인, 복합 고체 전해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산화물계 이온전도성 세라믹은 β-Al2O3, (La,Li)TiO3(LLTO)((La,Li)=La 또는 Li), Li5La3Ta2O12, Li6La2CaTa2O12, Li4SiO4, Li3BO2.5N0.5, Li9SiAlO, Li6La2ANb2O12(A=Ca 또는 Sr), Li2Nd3TeSbO12, Li7La3Zr2O12(LLZO), Li5La3Ta2O12, Li9SiAlO8, 또는 이들의 조합인, 복합 고체 전해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황화물계 이온전도성 세라믹은 Li10GeP2S12, Li7P2S11, Li3 . 25Ge0 .25P0. 75S4(LGPS), Li2S-Si2S5, Li2S-Ga2S3-GeS2, Li2S-Sb2S3-GeS2, Li2S-P2S5, Li2S-P2S5-Li4SiO4, Li3.25-Ge0.25-P0.75S4(Thio-LISICON), 또는 이들의 조합인, 복합 고체 전해질.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인산계 이온전도성 세라믹은 LAGP(Li1 + xAlxGe2 -x(PO4)3)(0<x<2), LTAP(Li1 + xTi2 - xAlx(PO4)3)(0<x<2), Li1 + xTi2 - xAlxSiy(PO4)3 -y(0<x<2, 0<y<3), LiAlxZr2-x(PO4)3(0<x<2), LiTixZr2-x(PO4)3(0<x<2), 또는 이들의 조합인, 복합 고체 전해질.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 이온 전도도 물질은 인계 유리(phosphorousbased glass), 산화물계 유리(oxide-based glass), 또는 산화물-황화물계 유리(oxide-sulfide based glass)인, 복합 고체 전해질.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나트륨황화물계 전도성 세라믹 물질은 Na10GeP2S12, Na7P2S11, Na3.25Ge0.25P0.75S4, Na2S-Si2S5, Na2S-Ga2S3-GeS2, Na2S-Sb2S3-GeS2, Na2S-P2S5, Na2S-P2S5-Na4SiO4, Na3.25-Ge0.25-P0.75S4, 또는 이들의 조합인, 복합 고체 전해질.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나트륨산화물계 전도성 세라믹 물질은 Na3Zr2Si2PO12인, 복합 고체 전해질.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코-트리플루오로에틸렌]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글리콜(PEO)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PVP)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이미드(PI)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PE)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우레탄(PU)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PP)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PO)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이민)(PEI)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설파이드)(PES)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비닐 아세테이트)(PVAc)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숙시네이트)(PESc)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에스테르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아민계 또는 그 공중합체, 폴리설파이드계 또는 그 공중합체, 실록산(Siloxane-based)계 또는 그 공중합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계 또는 그 공중합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CMC)계 또는 그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조합인, 복합 고체 전해질.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의 복합 필름을 만든 후 압착하여 두께를 20 내지 100㎛로 한, 복합 고체 전해질.
  21. 제1항 또는 제2항의 복합 고체 전해질을 사용한 이차전지.
  22.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의 혼합 용액을 전극 위에 바로 전기방사시켜 이온전도성 세라믹과 고분자의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 형태의 복합 필름을 얻고, 이 복합 필름에 액체 전해질을 흡수시킴으로써 전극에 복합 고체 전해질을 일체화시킨 이차전지.
KR1020190025370A 2019-03-05 2019-03-05 복합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고체 이차전지 KR102219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370A KR102219741B1 (ko) 2019-03-05 2019-03-05 복합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고체 이차전지
US17/434,771 US20220140383A1 (en) 2019-03-05 2020-02-21 Preparation of composite solid electrolyte and all-solid-state battery using the same
PCT/KR2020/002579 WO2020180030A1 (ko) 2019-03-05 2020-02-21 복합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고체 이차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370A KR102219741B1 (ko) 2019-03-05 2019-03-05 복합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고체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760A KR20200106760A (ko) 2020-09-15
KR102219741B1 true KR102219741B1 (ko) 2021-02-23

Family

ID=72337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370A KR102219741B1 (ko) 2019-03-05 2019-03-05 복합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고체 이차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140383A1 (ko)
KR (1) KR102219741B1 (ko)
WO (1) WO20201800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6611B (zh) * 2020-09-29 2022-09-23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隔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421184B (zh) * 2020-11-18 2023-04-07 中国科学院近代物理研究所 一种基于核孔膜的固态电解质隔膜及其制备方法
WO2022203407A1 (ko) * 2021-03-23 2022-09-29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복합 섬유, 이를 포함하는 고체 전해질, 및 이의 대량 제조 공정
CN113201861B (zh) * 2021-04-28 2022-08-19 浙江理工大学 集成化正极-电解质及其静电纺丝制备方法
US20220407182A1 (en) * 2021-05-19 2022-12-22 Global Graphene Group, Inc. Polymer Composite Separator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CN114361713B (zh) * 2022-03-11 2022-08-30 宁德卓高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纳米涂层及具有其的隔膜及隔膜的制备方法及应用
CN117457995B (zh) * 2023-12-22 2024-03-08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电力科学研究院 复合固态电解质及其制备方法与用其制备的锂离子电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6540A (ko) * 2003-07-09 2005-01-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초극세 섬유상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을 포함하는리튬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512170B1 (ko) * 2012-07-30 2015-04-16 한국전기연구원 리튬이차전지용 고체 전해질 복합 부직포 분리막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41792B1 (ko) * 2013-10-28 2018-03-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분리막 복합체의 제조방법,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극-분리막 복합체 및 그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1777397B1 (ko) * 2015-03-03 2017-09-11 울산과학기술원 복합 전해질 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화학 소자
KR101879503B1 (ko) * 2016-09-21 2018-07-18 주식회사 세븐킹에너지 이차 전지용 복합 고체 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0030A1 (ko) 2020-09-10
US20220140383A1 (en) 2022-05-05
WO2020180030A9 (ko) 2021-10-21
KR20200106760A (ko)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741B1 (ko) 복합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고체 이차전지
EP3336931B1 (en) Composite electrolyte structure and lithium metal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2047300B1 (ko) 복합 고체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JP7100120B2 (ja) 一体型全固体二次電池{Integral All-Solid State Rechargeable Batteries}
EP2667443B1 (en) Electrolyte for an electrochemical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electrochemical device including same
KR101946644B1 (ko) 축전 소자
JP5723016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
KR101640134B1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WO2015034257A1 (ko) 고용량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첨가제
KR101879503B1 (ko) 이차 전지용 복합 고체 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13605A (ko) 전고체 전지용 복합 고체 전해질 막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WO2001089022A1 (en)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super fine fibrous polymer separator film and its fabrication method
KR20030065074A (ko) 전기화학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3153014A1 (en) Layer system for electrochemical cells
WO2021189161A1 (en) All solid-state electrolyte composite based on functionalized metal-organic framework materials for li thoum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41165A (ko) 복합 전해질막 및 상기 복합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US11996523B2 (en) Secondary battery
KR20170113333A (ko)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KR20200036639A (ko) 고분자계 고체 전해질을 포함하는 전극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전극
KR102661427B1 (ko) 고체 전해질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KR20200134883A (ko) 전고체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KR20210031038A (ko)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KR101288907B1 (ko) 리튬 이차전지
KR101417282B1 (ko) 리튬황 배터리의 유황전극과 이의 제조방법, 및 유황전극을 적용한 리튬황 배터리
KR102491164B1 (ko) 고체 전해질막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