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461B1 - 피가공물의 분리 가공용 기계 및 피가공물 부분의 배출 방법 - Google Patents

피가공물의 분리 가공용 기계 및 피가공물 부분의 배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461B1
KR102219461B1 KR1020187036097A KR20187036097A KR102219461B1 KR 102219461 B1 KR102219461 B1 KR 102219461B1 KR 1020187036097 A KR1020187036097 A KR 1020187036097A KR 20187036097 A KR20187036097 A KR 20187036097A KR 102219461 B1 KR102219461 B1 KR 102219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gap
chute
support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6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1252A (ko
Inventor
페터 에퍼레인
마르크 크린크하메르
요하네스 크람프페르트
오스카르 나호즈키
프랑크 슈마우데르
Original Assignee
트룸프 베르크초이그마쉬넨 게엠베하 +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룸프 베르크초이그마쉬넨 게엠베하 + 코. 카게 filed Critical 트룸프 베르크초이그마쉬넨 게엠베하 +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11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1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8Cat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0/00Welding or cutting by means of a plasm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23K37/0235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the guide member forming part of a por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8Carriages forming part of a cut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for plana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46Devices for removing chips by su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006Ej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2Sor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04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treating only selected parts of a surface, e.g. for carving stone or glass
    • B24C1/045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treating only selected parts of a surface, e.g. for carving stone or glass f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3806Cutting-out; Stamping-out wherein relative movements of tool head and work during cutting have a component tangential to the work surface
    • B26F1/3813Cutting-out; Stamping-out wherein relative movements of tool head and work during cutting have a component tangential to the work surface wherein the tool head is moved in a plane parallel to the work in a coordinate system fixed with respect to the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3/00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 B26F3/004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pparatus therefor by means of a fluid jet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 빔(3)에 의해 판형 피가공물(2)을 분리 가공하기 위한 기계(1)로서, 피가공물(2)을 제 1 방향(X)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이동 유닛(7); 상기 가공 빔(3)을 상기 피가공물(2) 상에 향하게 하는 가공 헤드(9)를 제 2 방향(Y)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이동 유닛(11); 상기 피가공물(2)을 지지하기 위한 2개의 피가공물 지지면(4, 5); 상기 2개의 피가공물 지지면(4, 5)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방향(Y)으로 연장되는 갭(6)을 갖는 기계에 관한 것으로, 제 1 위치(S1)와 제 2 위치(S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제 2 위치(S2)에서 부재 슈트(17)의 슈트면(17a)이 상기 갭(6)에 배열되어, 상기 피가공물(2)로부터 절단 유리되고 상기 갭(6)으로 떨어지는 피가공물 부분(2a)을 측 방향으로 갭(6)의 옆쪽으로 이동시키는 부재 슈트(17); 상기 제 2 방향(Y)으로 전달 위치(Yup)에서 상기 피가공물 부분(2a)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달 위치(Yup)에서 수용된 피가공물 부분(2a)을 상기 제 2 방향(Y)을 따라 상기 기계(1)의 상이한 배출 위치(YA1, YA2, …)로 전달하기 위한, 제 2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한 수용 유닛(18)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기계(1)로부터 피가공물 부분(2a)을 배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가공물의 분리 가공용 기계 및 피가공물 부분의 배출 방법
본 발명은 가공 빔에 의해 판형 피가공물을 분리 가공하는 기계에 관한 것으로, 피가공물을 제 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이동 유닛, 특히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제 2 방향으로 상기 가공 빔을 상기 피가공물 상에 정렬시키는 가공 헤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이동 유닛, 상기 피가공물을 지지하기 위한 2개의 피가공물 지지면, 또한 상기 2개의 피가공물 지지면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갭을 갖는다. 본 발명은 또한 가공 빔에 의한 판형 피가공물의 분리 가공을 위한 기계로부터 피가공물 부분을 배출하는 관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판형 피가공물의 분리 가공용 기계가 DE 10 2013 226 818 B4에 개시되어 있다. 피가공물이 제 1 방향(X-방향)으로 이동되고 가공 헤드가 제 2 방향(Y-방향)으로 이동되는 하이브리드 이동 제어를 갖는 이러한 유형의 기계상에서, 가공 헤드의 이동 범위에 유지되는 피가공물이 가공 빔에 의한 손상을 피하기 위해 차단된다. 따라서 Y-방향의 갭은 2개의 피가공물 지지면 사이에서 지지되는 피가공물로 연장된다. 피가공물 및 임의의 슬래그 및 발생하는 절단 폐기물을 관통한 가공 빔은 상기 갭을 통해 배출된다. 가공 빔은 레이저 빔일 수 있지만, 예를 들어 플라즈마 아크 또는 워터 제트 형태의 임의의 다른 유형의 고 에너지 빔의 사용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기계에서, 잔여 피가공물(시트 골격)로부터 절단되어 유리되고 충분히 작은 피가공물 부분은 갭을 통해 아래로 배출될 수 있다.
DE 10 2013 226 818 B4에서는, 제 2 방향으로 상호 독립적인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는 적어도 2개의 지지 슬라이드가 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슬라이드는 각각의 경우에 분리 가공 중에 절단된 피가공물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하나의 지지면을 갖는다. 절단되어 유리되는 피가공물 부분이 배출되도록, 지지 슬라이드의 지지면 또는 지지 슬라이드 자체가 피가공물 지지면 아래로 하강될 수 있다. 지지면 상에 피가공물 부분을 갖는 하강된 지지면 또는 지지 슬라이드는 각각 갭 내의 배출 위치로 재배치될 수 있으며, 피가공물 부분이 배출 위치에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2개의 지지 슬라이드 사이의 공간이 확대되어 피가공물 부분이 2개의 지지 슬라이드 사이에서 아래로 떨어질 수 있다.
갭을 통해 자유로이 떨어지는 스크랩 부분으로부터 양호한 부분을 분리하기 위한 대안적인 가능성으로서, DE 10 2013 226 818 B4에서는, 지지 슬라이드 중 하나의 지지면에 인접하여 부착된 소-부재 슈트(small-parts chute)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소-부재 슈트는 피가공물 부분(양호한 부분) 아래로 이동하여 후자가 절단되어 유리되기 직전에 절단되어 유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피가공물 부분에 대한 지지 슬라이드의 동적 이동에 의해, 피기공물 부분이 측 방향으로 변위되어, 피가공물 부분이 스마트-부재 슈트 상으로 자유 낙하로 이상적으로 떨어질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피가공물 부분이 소-부재 슈트를 따라 미끄러져 갭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배출된다.
레이저 가공 기계용 제품을 제거하기 위한 기계가 WO 90/00952에 기술되어 있다. 상기 기계에서는 피가공물을 지지하기 위한 테이블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진행하는 갭이 형성되어 있다. 갭은 또한 레이저 가공 기계의 프레임의 하측에 부착된 가공 헤드의 이동 방향을 따라 진행된다. 블로어에 연결되고 밀봉된 구조를 갖는 집진 챔버가 갭 아래에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선회 가능한 부재 슈트는 제품의 전달 방향에 대해 하류에 있는 가공 헤드의 측부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제 1 슈트 및 제 2 슈트를 갖는 부재 슈트가 JP 2000 233 293 A에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제 2 슈트는 제 1 슈트의 레이저 가공면에 조인트에 의해 선회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제 2 슈트는 수평 위치로부터 선회될 수 있는 한편, 제 1 슈트는 동시에 수평 위치로 유지된다. 선회된 위치에서, 작은 피가공물 부분은 레이저 가공 헤드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 2 슈트 상에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피가공물 부분을 기계로부터 배출할 수 있다. 레이저 가공 헤드 아래에 형성된 덕트의 측벽은 제 2 슈트의 선회 운동에서 함께 선회된다.
특히 양호한 부분 및 스크랩을 각각 분리 또는 분류하기 위한 양호한 부분 및 스크랩을 위한 슈터(shooter) 장비는 JP 2002 187 042 A에 기술되어 있다. 슈터 장비는 분진 트랩 덕트 내로 선회될 수 있는 분류 슈터를 갖는다. 피가공물 부분은 분진 트랩 덕트 내로 선회되는 위치로 분류 슈터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고, 상기 피가공물 부분은 분진 트랩 덕트로부터 측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분류 슈터는 조인트에 의해 분진 트랩 덕트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으며, 레이저 빔에 의해 피가공물을 가공하는 동안 수직 위치로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품이 보관소의 복수의 저장 구획 내에 여러 가지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는 가공 기계가 JP 2001-191233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기계는 제 1 위치에서 테이블의 개구 영역으로 작동 가능하고 제 2 선회 위치에서 각각의 제품을 수용하는 제품 수용 요소에 인접하는 선회 가능한 슈트를 갖는다. 제품 수용 요소는 용기의 선택된 저장 구획에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품 수용 요소는 제품 수용 요소로부터 선택된 저장 구획으로 제품이 공급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판형 피가공물의 분리 가공용 기계, 특히 레이저 가공기, 및 절단 유리되는(cut free) 피가공물 부분의 단순화된 배출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양태에 따른 상기 목적은, 처음에 언급된 유형의 기계에 의해 달성되는 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부재 슈트로서, 제 2 위치에서 부재 슈트의 슈트면이 상기 갭에 배열되어, 상기 피가공물로부터 절단 유리되고 상기 갭의 측 방향 옆쪽의 갭으로 떨어지는 피가공물 부분을 이동시키는 부재 슈트; 및 상기 제 2 방향으로 (가변) 전달 위치에서 상기 피가공물 부분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달 위치에서 수용된 피가공물 부분을 상기 제 2 방향으로 상기 기계의 상이한 배출 위치로 전달하기 위한, 제 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수용 유닛을 포함한다. 제 1 위치에서, 부재 슈트는 갭 내로 돌출하지 않거나 갭 내로 단지 부분적으로만 돌출한다. 두번째 경우에, 부재 슈트는 전형적으로, 적어도 갭 내의 가공 빔의 X-방향 및 Y-방향의 모든 잠재적 위치에 의해 정의되는 갭 내의 가공 빔의 이동 범위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갭 내로 단지 멀리 돌출된다. 즉, 제 1 위치에서의 부재 슈트는 가공 빔의 이동 범위 내로 돌출하지 않고, X 방향으로의 상기 이동 범위는 갭의 폭보다 잠재적으로 더 작다. 제 1 방향 또는 제 2 방향으로의 이동은 각각 포지티브 뿐만 아니라 네거티브의 제 1 또는 제 2 방향으로의 이동인 것으로 이해된다.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부재 슈트의 이동은 복수의 중간 위치 사이에서 무단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충분히 작은, 즉 적어도 한 방향으로의 치수가 갭의 폭보다 작은 피가공물 부분은 갭을 통해 기계로부터 아래로 배출될 수 있다. 갭을 통해 떨어지기에 충분히 작은 피가공물 부분은 예를 들어 160mm x 160mm 이하의 치수를 가질 수 있으며, 이들 치수는 당연히 갭의 폭에 의존한다.
갭으로 떨어지는 피가공물 부분은 양호한 부분 또는 스크랩일 수 있다. 양호한 부분과 스크랩 간의 분리는 부재 슈트의 도움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부재 슈트는, 스크랩 형태의 피가공물 부분이 갭 내로 떨어질 때 제 1 위치에 유지되고, 단지 양호한 부분이 갭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배출되어 갭 옆의 전달 위치로 이동될 때만 제 2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재 슈트는 양호한 부분과 스크랩을 각각 분류 또는 분리하기 위한 부분 턴아웃(turnout)의 기능을 수행한다.
부재 슈트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이동은 전형적으로 단지 절단의 완료 후에, 즉 가공 빔, 예컨대 레이저 빔이 스위치 오프된 후에 수행된다. 부재 슈트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이동은 전형적으로, 부재 슈트의 오염이 최소화되도록 하기 위하여, 또는 피가공물 지지면 아래의 갭에 배치되고 부재 슈트의 제 2 위치로의 이동에서 전형적으로 환경과 관련하여 더 이상 밀봉되지 않는 흡입 박스로부터 절단 슬래그, 가스 또는 분진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지 가공 빔이 스위치 오프된 후에 수행된다. 그런데, 각각, 절단되거나 절단 유리되는 피가공물 부분의 크기, 수 및 배열에 따라, 부재 슈트의 제 2 위치로의 이동은 또한 피가공물 부분을 배출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최소화되도록 가공 빔이 스위치 오프되기 전에 이미 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재 슈트는, 마이크로 웹(마이크로 조인트)에 의해 잔여 피가공물에 연결되는 개별 또는 복수의 피가공물 부분이 (공통의) 최종 분리 절단으로 절단되기 전에 이미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부재 슈트는, 피가공물 부분이 슈트면을 이탈하자마자 곧 다시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될 수 있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부재 슈트의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의 이동이 슈트면에 지지되는 피가공물 부분이 갭의 옆으로 전달되는 효과를 갖는 경우, 예를 들어 슈트면이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의 이동으로 인해 더 가파르게(그러나, 과도하게 가파르지는 않게) 되도록 정렬될 때 더 이른 시점에 이미 다시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의 이동의 개시를 위해 적절한 시점이 결정되도록, 기계는 센서 유닛을 가질 수 있다. 센서 유닛은, 예를 들어 피가공물 부분에 의해 전달 위치의 달성 또는 슈트면으로부터의 이탈을 각각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센서 유닛은 예를 들어 라이트 그리드(light grid) 등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흡입 영역으로부터 피가공물 부분의 탈출, 또는 슈트면으로부터 이탈할 때 갭으로부터의 피가공물 부분의 측 방향 탈출을 각각 검출한다. 기계의 제어 유닛은, 피가공물 부분에 의한 슈트면으로부터의 이탈 또는 전달 위치의 달성이 각각 검출되는 즉시 부재 슈트의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의 이동을 촉발할 수 있다.
센서 유닛에 의해 부재 슈트의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의 이동의 시작 시점을 검출하는 것의 대안으로서, 피가공물 부분이 피가공물 지지면으로부터 제 2 위치에 위치되는 부재 슈트의 슈트면에 도달하기 까지의 하강 시간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피가공물 부분이 슈트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데 필요한 시간이 선택적으로 마찬가지로 고려될 수 있다.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의 부재 슈트의 이상적인 조기 이동은, 단지 부재 슈트가 적어도 대략 제 1 위치로 되돌아오면 절단 공정이 전형적으로 계속될 수 있고, 부재의 배출로 인한 절단 공정의 중단은 이상적으로 짧아야 하기 때문에 유리하다.
부재의 배출로 인한 절단 공정의 중단이 최소화되고 부재의 분류가 가능하도록, 기계는, 피가공물 부분을 전달 위치에서 수용하고 또한 수용된 피가공물 부분을 제 2 방향을 따라 기계의 다른 배출 위치로 전달하기 위한,(적어도) 제 2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수용 유닛을 갖는다. 전술한 DE 10 2013 226 818 B4에서, 피가공물 부분을 갭을 따라 상이한 배출 위치로 전달하기 위해, 지지면상에 지지되는 절단 유리된 피가공물 부분을 갖는 2개의 지지 슬라이드가 갭 내의 배출 위치로 변위되는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기계에서는, 예를 들어, 상부를 향해 또는 부재 슈트를 향해 각각 개방되는 부재 용기(각각 수집 캐리지 또는 분류 캐리지)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수용 유닛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용된다. 이는, 주 시간과 병행하여 그리고 또한 지지 슬라이드의 이동 범위 외부 또는 기계의 가공 범위 외부에 있는 배출 위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부재의 분류를 가능하게 한다.
수용 유닛의 목적은, 피가공물 부분을 전달 위치에서 수용하고, 상기 피가공물 부분을 갭을 따라 원하는 배출 위치에서 기계로부터 배출하는, 예를 들어 피가공물 부분이 그곳에 위치된 박스에 배치되거나 상기 박스로 각각 분류되게 하는 것이다.
전달 위치는, 피가공물 부분이 잔여 피가공물로부터 분리되는 갭을 따르는 절단 유리 위치에 전형적으로 대략 대응한다. 수용 유닛은 피가공물의 분리 가공 중에 이미 전달 위치에 배열될 수 있고, 상기 피가공물 부분이 슈트면을 이탈하자마자 전달 위치에서 피가공물 부분을 수용한다. 수용 유닛은 전형적으로 상기 피가공물 부분이 부재 슈트의 슈트면을 따라 슬라이딩된 후에 전달 위치에서 피가공물 부분을 견고하게 포획할 수 있도록 제 2 방향으로 충분한 범위를 갖는다. 다른 한편으로, 수용 유닛 또는 포획 캐리지의 과도한 범위는 각각 높은 중량 및 그에 따라 피가공물 부분을 수용 유닛에 의해 다른 배출 위치로 이동할 때 제한된 분류 속도로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범위는 가능한 한 작게 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수용 유닛의 도움으로 상이한 배출 위치에서 또는 예를 들어 박스 형태의 상이한 수집 용기로 피가공물 부분을 분류하는 것은, 피가공물의 절단 동안 주 시간과 병행하여 수행될 수 있다 .
배출 위치는 전형적으로 갭을 따라 제 2 방향(Y-방향)으로 미리 정의된 위치이다. 예를 들어 수용 유닛으로부터 배출되는 피가공물 부분을 포획하기 위해서, 수집 용기 등이 각각의 배출 위치에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집 용기는 제 2 방향을 따라 하나의 열로 배열되어, 피가공물 부분이 포획되거나 수집 용기로 각각 분류되도록 갭의 옆에 측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가장 단순한 경우에, 예를 들어 수집 캐리지 방식의 수용 유닛은, 하나의 열로 배열되는 수집 용기에 피가공물 부분이 위치되도록 갭을 따라 측 방향으로 하나의 축 방향(Y-방향)으로만 변위될 수 있다. 그러나, 수용 유닛은, 제 2 방향으로, 즉 갭과 평행하게, 뿐만 아니라 갭을 가로 지르는 추가의 방향(예를 들어, X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 경우, 2열 이상의 수집 용기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갭의 옆에 측 방향이 되도록 피가공물 지지면 아래에 배열된다. 따라서, 상이한 배출 위치가 제 2 방향뿐만 아니라 추가 방향으로 기계에 제공될 수 있어, 보다 많은 수의 수집 용기 또는 박스가 각각 채워질 수 있다. 수집 용기가 기계로부터 회수되고 상기 수집 용기가 외부로부터 기계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수집 용기가 배치되어 있는 박스 캐리지가 사용될 수 있다.
기계는, 예를 들어 앞에서 인용한 DE 10 2013 226 818 B4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갭 내의 제 1 방향(X-방향)으로 가공 헤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추가의 이동 유닛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가공 헤드의 이동 범위는 전형적으로 갭으로 제한되는 바, 즉 갭의 폭은 가공 헤드의 X 방향으로의 이동 범위보다 크거나 정확히 대응한다.
일 실시형태에서, 수용 유닛은, 피가공물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제 1 위치와 피가공물 부분을 배출하기 위한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 유닛을 갖는다. 배출 유닛의 이동은 부재 슈트의 이동과 같이 기계의 제어 장치의 도움으로 제어할 수 있다. 수용 유닛은 배출 유닛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전형적으로 원하는 배출 위치로 초기에 변위되어, 배출 위치에 있는 피가공물 부분이 예를 들어 그곳에 배열된 수집 용기에 위치되도록 하거나, 또는 피가공물 부분이 그곳에 배열된 수집 용기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거나 한다.
하나의 구체화에서, 제 1 위치에서의 배출 유닛은 수용 유닛 하측의 적어도 하나의 서브영역(subarea)을 형성하고, 제 2 위치에서는 적어도 베이스 영역의 서브영역에서 개구를 노출한다. 수용 유닛은, 예를 들어 (제 1 위치에서) 배출 유닛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바닥면을 갖는 부재 용기의 형태로 수집 캐리지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재 용기는, 부재 용기의 가장 깊은 지점을 향하여 또는 바닥면을 향하여 깔때기 방식으로 피가공물 부분이 통과되도록 하기 위해 경사를 갖는 측벽을 가질 수 있다.
배출 유닛은 예를 들어, 제 1 위치에서 피가공물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바닥면 또는 바닥면의 서브영역을 각각 형성하고, 제 2 위치에서 측 방향으로 변위되어, 제 2 위치의 지지면이 수용 유닛의 바닥면 외측에 배열되고, 피가공물 부분이 수용 유닛으로부터 아래로 배출될 수 있는 개구가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더일 수 있다. 특히, 2개의 슬라이더가 베이스 영역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동기식의 대향하는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어, 제 2 방향으로의 상기 슬라이더의 간격이 확대되고, 피가공물 부분이 관통하여 배출될 수 있는 개구가 2개의 슬라이더 사이에 형성된다. 피가공물 부분을 배출하기 위한 슬라이더의 사용 대신에, 배출 유닛은 예를 들어, 제 1 위치에서 피가공물 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하고 (실질적으로) 수평 방식으로 정렬되며 제 2 위치에서는 전형적으로 수용 유닛의 바닥면에서 개구를 노출하도록 아래로 선회되는 선회 가능한 플랩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동기식으로 선회되어 피가공물 부분을 아래로 배출하는 2개의 플랩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기계는 갭에서 제 2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고 분리 가공 중에 절단된 피가공물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슬라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슬라이드 및 /또는 지지면은 바람직하게는 피가공물 지지면에 의해 형성되는 피가공물 지지 평면 아래에서 지지 슬라이드에 대해 하강할 수 있다. 앞에서 인용되었고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는 DE 10 2013 226 818 B4에 기술된 바와 같이, 분리 가공 동안, 특히 절단 유리할 때, 예를 들어 절단 유리된 후 상기 피가공물 부분이 제어되지 않은 방식으로 갭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가공물 부분이 지지 슬라이드에 의해 또는 지지 슬라이드의 지지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면(들) 또는 지지면들과 함께 지지 슬라이드(들)의 제어된 하강에 의해 각각 지지면 또는 지지면들 상에 지지되는 피가공물 부분은 캔팅(canting) 없이 잔여 피가공물로부터 이상적인 방식으로 해제될 수 있다. 부재 슈트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이동은 특히 피가공물 지지 평면 아래의 지지 슬라이드(들)의 하강과 일시적으로 병행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기계는 전달 위치로뿐만 아니라 제 2 방향으로의 기계의 상이한 배출 위치로 수용 유닛을 제어된 방식으로 이동 시키도록 각각 구성되거나 프로그래밍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수용 유닛에 부가하여 제어 유닛은 전형적으로 또한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부재 슈트 및 배출 유닛의 이동을 제어한다. 제어 유닛은 기계의 추가 구성요소, 특히 후술하는 구성요소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목적을 위한 제어 유닛은 구성요소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각각의 액츄에이터 또는 드라이브에 각각 작용한다. 따라서, 제어 유닛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부재 슈트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공압 실린더 등에 작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제어 유닛은, 2개의 지지 슬라이드를 서로 이웃하도록 배열하여 피가공물 부분이 절단 유리될 때 이를 지지하게 하고 제 2 방향으로 2개의 지지 슬라이드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여 피가공물 부분이 갭 내로 떨어지게 하도록 구성 또는 프로그래밍된다. 이 경우, 피가공물 부분은 절단 유리될 때 지지 슬라이드의 지지면 중 적어도 하나, 전형적으로 양쪽 모두에 지지된다. 절단 유리될 때 피가공물의 가공은 전형적으로 2개의 지지 슬라이드 사이에 형성된 절단 영역에서 수행되기 때문에, 갭 내에서 서로 인접하도록 배열된 2개의 지지 슬라이드는 선택적으로 서로 직접적으로 인접하지 않는다. 갭에서 서로 인접한 2개의 지지 슬라이드의 배열은 Y-방향으로 전형적으로 대략 5 mm의 작은 간격에서의 지지 슬라이드의 배열인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DE 10 2013 226 818 B4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절단 유리가 수행될 수 있는 지지면에 상기 지지 슬라이드가 2개의 상호 마주하는 틈새를 갖는다면, 절단 유리될 때 2개의 지지 슬라이드는 또한 직접 서로 인접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2개의 지지 슬라이드 사이의 간격은 절단 유리된 피가공물 부분이 갭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확대된다. 지지 슬라이드 사이의 간격은 전형적으로 크게 확대되어 절단 유리된 피가공물 부분이 지지 슬라이드의 지지면에 의해 지지를 잃고 지지 슬라이드 사이에서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간격의 확대는 2개의 지지 슬라이드의 동기 대향 및 대칭 이동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데, 즉 상기 지지 슬라이드는 동일한 (및 전형적으로는 높은) 속도 또는 가속도로 각각 분리되어 피가공물 부분이 이상적으로는 간격의 확대에서 측 방향으로 변위되지 않고 자유 낙하로 갭으로 떨어진다.
절단 유리된 피가공물 부분을 갭으로 떨어지게 하는 다른 가능성이 또한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절단 유리된 피가공물 부분은 동적 이동에 의해 Y-방향으로 변위되는 하나의 지지 슬라이드의 지지면에서만 지지될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지지면에 지지되는 피가공물 부분에 대해 지지 슬라이드의 이동이 생성된다. 피가공물 부분이 지지 슬라이드의 동적 이동을 따라갈 수 없어 지지 슬라이드가 피가공물 부분에 대해 측 방향으로 옵셋되고 피가공물 부분이 갭으로 떨어진다. 하나 또는 복수의 지지 슬라이드 및 /또는 그의 지지면은 또한 절단 유리된 피가공물 부분이 갭으로 떨어지도록 하기 위해 하향으로 선회 가능할 수 있다.
추가의 구체예에서, 제어 유닛은, 피가공물 부분이 절단 유리될 때 제 2 방향을 따라 피가공물 부분의 무게 중심 위치에 의존하도록 수용 유닛의 전달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각각 구성되거나 프로그래밍된다. 전달 위치는 피가공물이 부재 슈트로부터 이탈하는 위치와 이상적으로 일치해야 한다. 절단 유리시 피가공물 부분이 제 2 방향으로 임의의 측 방향 오프셋을 겪지 않는다면, 수용 유닛의 전달 위치는 피가공물 부분의 무게 중심 위치와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이 경우, 전달 위치의 수용 유닛은 무게 중심 위치에 대하여 중심이 되도록 제 2 방향으로 이상적으로 배열되어야 한다.
절단 유리의 시점에서 갭을 가로 지르는 피가공물 부분의 원래 위치에 대한 제 2 방향으로의 피가공물 부분의 측 방향 오프셋은, 전형적으로 피가공물 부분이 절단 유리되는 것과 부재 슈트로부너 이탈되는 것 사이에서 피가공물 부분의 경로를 따라 발생한다. 측 방향 오프셋은 특히, 부재 슈트 상의 피가공물 부분에 의해 덮인 경로의 길이에, 예를 들어 지지 슬라이드(들)에 의해 피가공물 부분을 갭 내로 떨어뜨리거나 해제하는 방식에, 그리고 제 2 방향으로의 힘이 피가공물 부분 상에 선택적으로 가해질 수 있는 부재 슈트에 대한 피가공물 부분의 영향에 의존한다. 이러한 측 방향 비-결정론적 오프셋은 절단 유리된 피가공물 부분이 부재 슈트로부터 이탈하는 제 2 방향으로 위치의 확산(spread)을 유도하여, 부재 슈트로부터 이탈할 때 피가공물 부분의 위치의 확산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모든 피가공물 부분이 포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배출 유닛이 갭을 따라 일정 범위를 가져야 한다. 제 2 방향의 무게 중심 위치로부터 피가공물 부분의 측 방향 오프셋은 전형적으로 음의 Y-방향뿐만 아니라 양의 Y-방향으로 동일한 정도로 발생하기 때문에, 피가공물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유닛은 전형적으로 전달 위치가 Y-방향으로 수용 유닛의 길이 방향 범위의 중심에 위치되도록 배열된다.
하나의 추가 실시형태에서, 제어 유닛은, 피가공물 부분이 절단 유리될 때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2개의 지지 슬라이드의 지지면의 서로 대향하는 에지의 중심 위치와, 절단 유리된 피가공물 부분의 무게 중심 위치 사이의 간격에 의존하여 수용 유닛의 전달 위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 유닛은 제 2 방향으로 과도한 정도를 가져서는 안되며, 이는 수신 유닛의 무게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수신 유닛의 제 2 방향으로의 변위 이동의 동적 거동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제 2 방향에서의 수용 유닛의 범위의 확대 대신에, 제 2 방향에서의 피가공물 부분의 (결정론적인) 측 방향 오프셋이 이상적으로 완전한 방식으로 보상되도록 배출 유닛을 사전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질적으로 결정론적인 측 방향 오프셋은, 예를 들어, 2개의 지지 슬라이드 사이의 간격이 확대되어 절단 유리될 때 지지 슬라이드의 지지면에 지지되는 피가공물 부분이 갭 내로 떨어지게 될 때, 그리고 피가공물 부분의 무게 중심 위치가 지지면 사이의 중심 위치와 일치하지 않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피가공물 부분의 위치,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가공물 부분이 절단 유리될 때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2개의 지지 슬라이드의 지지면의 서로 대향하는 에지의 중심 위치와 피가공물 부분의 무게 중심 위치 사이의 간격은, 피가공물 부분이 갭을 통해 배출될 때 피가공물 부분의 측 방향 오프셋에 영향을 미친다. 피가공물 부분은, 간격의 확대로 인해, 또는 지지 슬라이드의 분리 이동 및 각각의 지지면과 그에 지지되는 피가공물 부분 사이의 마찰력으로 인해 지지 슬라이드 또는 지지 슬라이드들에 의해 각각 제 2 방향으로 동반된다. 지지 슬라이드가 분리되기 전에 피가공물 부분이 단지 지지 슬라이드의 지지면상에 정확히 중심이 아니라, 예를 들어 상기 피가공물 부분의 대부분의 면에 의해 지지된다면, 상기 피가공물 부분은 상기 지지 슬라이드의 변위 방향(양 또는 음의 Y-방향)으로 각각 동반되거나 함께 이동된다. 따라서, 피가공물 부분이 절단 유리될 때 이의 원래 위치에 대한 것이고 부재 슈트로부터 이탈될 때 피가공물 부분이 아마도 가질 수 있는 측 방향 오프셋은, 지지 슬라이드의 지지면의 가장자리에 대한 그러한 피가공물 부분의 위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피가공물 부분이 확실히 수용되도록 하기 위해, 기대되는 상기 측 방향 오프셋을 고려하면서 수용 유닛은 피가공물 부분이 아마도 부재 슈트로부터 이탈하게 될 적절한 전달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2개의 지지 슬라이드의 지지면의 서로 마주보는 에지는 제 1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의무적으로 정렬되지는 않지만, 상기 서로 마주보는 에지는 또한 특히 특정 각도로, 즉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정렬될 수 있다. 제 2 방향에서의 지지면의 서로 마주보는 엣지들 사이의 중앙 위치는 이 경우에 제 1 방향으로의 지지면의 중심 위치에서, 즉 전형적으로 갭의 중심에서 전형적으로 측정된다.
피가공물 부분이 실질적으로 단지 2개의 지지 슬라이드 중 하나의 지지면에만 지지된다면, 상기 지지 슬라이드의 이동에 있어서의 상기 피가공물 부분은 양 또는 음의 Y-방향으로 동반된다. 이 경우, 전달 위치는, 예를 들어 피가공물 부분의 무게 중심과 중심 위치 사이의 간격이 계산되므로 결정될 수 있고, 중심 위치로부터 진행하는 전달 위치는, 피가공물 부분이 수용 유닛의 도움으로 포획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간격을 두 배로 하여 양 또는 음의 Y-방향으로 측 방향으로 오프셋된다. 그러나, 피가공물 부분의 무게 중심 위치에 더하여, 피가공물 부분의 추가의 기하학적 특성, 예를 들어 상기 피가공물 부분의 X 방향 및 특히 Y-방향으로의 (최대) 치수가 또한, 갭을 통해 배출될 때 피가공물 부분의 측 방향 오프셋이 정확하게 결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기계는 피가공물 지지 평면 아래의 갭에 배열된 흡입 박스를 구비한다. 흡입 박스는 전형적으로 블로어(blower)에 연결되고, 절단시 형성되는 가스, 뿐만 아니라 흡입 박스에 형성된 흡입 영역으로부터의 재(cinder)를 흡입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흡입 박스 내의 흡입 영역은 전형적으로 모든 면에서 폐쇄되어, 재, 가스 또는 연기의 탈출을 방지하고 흡입 성능을 최적화 시키며, 상기 흡입 영역은 단지 상부를 향해 개구를 가져 갭 또는 피가공물 지지 평면으로 각각 유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부재 슈트는 갭 내에서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되어 양호한 부재 형태의 피가공물 부분을 흡입 영역 또는 갭으로부터 운송한다. 따라서, 제 2 위치에서 부재 슈트의 슈트면은 흡입 박스의 흡입 영역 내로 돌출한다. 흡입 박스가 부재 슈트의 제 1 위치에서 폐쇄된 채로 유지되는 것, 즉 제 1 위치에서 흡입 박스가 환경에 대해 밀봉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 유리하다. 부재 슈트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및 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다수의 가능성이 있다 .
일 실시형태에서, 부재 슈트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선회 가능 및/또는 변위 가능하며, 제 1 위치에서 부재 슈트는 바람직하게는 흡입 박스의 측벽의 일부를 형성한다. 제 2 위치에서의 슈트 부분 및 그에 따라 그의 슈트면은 갭 내로 돌출하고, 전형적으로 갭으로 떨어지는 피가공물 부분이 슈트면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선택된 수평과의 각도를 둘러싸서 측 방향으로 갭에 이웃하게 된다.
부재 슈트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부재 슈트는 예를 들어 공압 실린더 형태의 액추에이터 또는 액츄에이터들이 그 말단에 사용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조인트를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부재 슈트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선회될 때, 부재 슈트는 예를 들어 쐐기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쐐기형 단면의 넓은 말단에서 슈트 부분은 양측에 샤프트 스터브(stub)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 스터브는 기계의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 1 위치에서의 부재 슈트는 예를 들어 상기 부재 슈트가 갭 또는 흡입 영역으로 각각 돌출하지 않도록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위치에서의 슈트 부분은 제 1 위치에서 밀봉 방식으로 상기 흡입 박스를 폐쇄하도록 상기 흡입 박스의 측벽을 형성할 수 있다.
선회와는 달리, 부재 슈트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선형 방식으로, 예를 들어 수평 방향으로 또는 수평에 대해 기울어진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 경우, 슈트면에 더하여, 부재 슈트는, 예를 들어 수직 방향으로 슈트면에 인접하게 진행하며 제 1 위치에서 흡입 박스의 측벽을 형성하는 벽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흡입 박스는 전형적으로 개구를 가지고 이를 통해 부재 슈트의 슈트면이 흡입 박스 외부의 제 1 위치로부터 흡입 박스 내의 제 2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밀봉 효과를 최적화하기 위해, 폐쇄될 때 부재 슈트가 선회되거나 변위되는 시일(seal)은(따라서 상기 부재 슈트가 흡입 영역을 밀봉함) 제 1 위치에서 부재 슈트에 의해 폐쇄되는 흡입 영역의 개구에 대하여 모든 면에 부착될 수 있다.
하나의 구체화에서, 흡입 박스는 갭을 가로 지르는 방향, 즉 전형적으로 X 방향 및/또는 높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이것은 흡입 박스의 측벽의 어떠한 부분도 형성하지 않는 부재 슈트의 경우에 특히 유리한데, 이는 전형적으로 절단 동안에 흡입 박스의 흡입 영역이 흡입 박스의 변위에 의해 주변 환경에 대해 밀봉되는 것을 마찬가지로 보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부재 슈트의 이동은 흡입 박스의 이동에 결합되거나, 또는 후자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결합 이동을 위한 부재 슈트는 예를 들어 흡입 박스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부재 슈트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및 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흡입 박스가 기울어지는 것 또한 가능하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부재 슈트는 제 2 방향으로 갭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제 2 방향의 임의 위치에서 피가공물 부분을 배출하기 위해 단일 부재 슈트만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다. 대안적으로, 2개 이상의 부재 슈트가 제 2 방향으로 서로 옆에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부재 슈트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및 그 반대로)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2개의 인접한 부재 슈트 사이의 전이에 가깝게 절단 유리된 피가공물 부분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2개의 인접한 부재 슈트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및 역으로) 동기식으로 이동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어 복잡성은 전형적으로 증가된다.
추가의 실시형태에서, 부재 슈트는 절단 유리된 피가공물 부분의 슈트면에 대한 충격을 감쇠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감쇠 층을 갖는다. 부재 슈트의 슈트면은,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로부터 예를 들어 구조화된 금속 시트의 형태로 형성되어, 피가공물 부분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고, 피가공물 부분에 대한 손상을 피하며, 부재 슈트의 마모를 감소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한편으로는 피가공물 부분을 떨어 뜨림으로써 소음 발생을 감소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피가공물 부분의 낙하 충격을 감쇠시키고 이러한 방식으로 피가공물 부분의 손상을 회피하는 적어도 하나의 댐핑 층 또는 댐핑 중간 단(tier)이, 예를 들어 금속 시트 상에 형성될 수 있는 슈트면 아래에 부착된다. 구리 시트는 부재 슈트의 후방 측에, 즉 슈트면으로부터 멀리 향하는 면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리 시트의 과제는 재가 거기에 부착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고, 단 제 1 위치에서 부재 슈트는 흡입 박스의 측벽의 일부를 형성한다. 부재 슈트는 선택적으로 또한 컨베이어 벨트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즉 슈트면이 컨베이어 벨트의 일부분을 형성하고, 피가공물 부분이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에 의해 슈트면과 함께 이동하여 슈트면이 덜 가파른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양태는, 앞에서 언급한 유형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특히 상기한 기계상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방법은, 부재 슈트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위치에서의 상기 부재 슈트는 피가공물을 지지하기 위한 2개의 피가공물 지지면 사이의 갭으로 돌출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상기 갭에서의 상기 가공 빔의 이동 범위 내로 돌출하지 않으며, 상기 제 2 위치에서의 상기 부재 슈트의 슈트면은 상기 피가공물로부터 절단 유리되고 상기 갭으로 떨어지는 피가공물 부분을 상기 갭의 옆으로 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갭 내에 배열되는 것인 단계; 상기 수용된 피가공물 부분을 상기 갭을 따라 배출 위치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갭을 따라 수용 유닛을 변위시키는 단계; 상기 배출 위치에서 상기 수용 유닛으로부터 상기 피가공물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특히 예를 들어 레이저 가공 기계인 전술한 기계 상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제 1 위치에서의 부재 슈트는 적어도 갭 내로 그렇게 멀리 돌출하여 갭에서의 가공 빔의 경로가 부재 슈트에 의해 영향받거나 손상되지 않는 바, 즉, 제 1 위치에서의 부재 슈트는 제 1 위치에서의 부재 슈트가 가공 빔에 부딪치지 않도록 가공 빔의 이동 범위의 외부에 배치된다.
하나의 변형예에서, 상기 방법은, 피가공물 부분이 절단-유리 위치에서 절단 유리될 때 상기 피가공물 부분을 전형적으로 지지 슬라이드 사이에 지지하기 위해 갭 내에서 변위될 수 있는 2개의 지지 슬라이드를 갭에서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절단-유리된 피가공물 부분을 갭 내로 떨어뜨리기 위해 상기 2개의 지지 슬라이드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 슬라이드 및/또는 각각의 지지 슬라이드에 대한 지지면은 바람직하게는 피가공물 지지면에 의해 형성되는 피가공물 지지 평면 아래로 하강될 수 있다. 지지 슬라이드의 하강 이동은 2개의 지지 슬라이드 사이의 간격을 확대하기 전에 또는 선택적으로 확대하는 동안 수행될 수 있다. 피가공물 부분은 지지 슬라이드를 하강시킴으로써 피가공물 또는 시트 골격으로부터 각각 배출될 수 있다.
일 변형예에서, 수용 유닛의 전달 위치는 피가공물 부분이 절단 유리될 때 제 2 방향을 따르는 피가공물 부분의 무게 중심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전달 위치는 피가공물 부분의 무게 중심 위치와 일치하거나,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2개의 지지 슬라이드의 지지면의 두 가장자리 사이의 중심 위치와 일치하거나, 또는 선택적으로 절단-유리 위치와 일치할 수 있다. 특히 2개의 지지 슬라이드 사이의 간격의 확대에 의해 피가공물 부분이 갭으로 떨어지게 될 때, 중심 위치와 전달 위치 사이에서 측 방향 오프셋이 수행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단, 피가공물 부분은 중심 위치와 관련하여 완전히 중심이 되도록 지지면상에 지지되지 않는다.
이 변형예의 일 구체화에서, 수용 유닛의 전달 위치는, 피가공물 부분이 절단 유리될 때 인접하도록 서로 인접하게 배열된 2개의 지지 슬라이드의 지지면의 서로 마주보는 에지 사이의 중심 위치와 절단-유리된 피가공물 부분의 무게 중심 위치 사이의 간격에 의존하여 결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방식으로, 전달 위치는, 피가공물 부분이 슈트면으로부터 갭에 측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나아가는 것이 예상되는 위치에 수용 유닛이 이상적으로 위치되는 방식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이점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도출된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특징 및 아직 설명되지 않은 특징은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임의의 복수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되고 기술된 실시형태들은 포괄적인 열거로서 이해되어서는 안 되고, 오히려 본 발명이 가시화될 수 있도록 예시적인 특성을 갖는다.
도 1은 2개의 피가공물 지지면 사이에 형성된 갭을 갖는 레이저 절단 기계의 형태로 판형 피가공물의 분리 가공을 위한 기계의 예시적인 실시형태의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기계의 상세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갭을 따라 연장되고 갭 외부의 위치에 배열되며, 즉 상기 갭 내로 돌출하지 않으며, 도 2b에 도시된 위치에서 갭 내로 선회되는 부재 슈트를 구비하고, 또한 갭에 평행하게 변위될 수 있는 수집 캐리지 형태의 수용 유닛을 구비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전달 위치로부터 복수의 배출 위치 중 하나로 갭을 따라 측 방향으로 이동하는 수집 캐리지를 도시한 것으로, 각 경우에 하나의 수집 용기는 상기 배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4a 및 도 4b는 갭에서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열 2개의 지지 슬라이드 사이의 중앙 위치에 대한 측 방향 오프셋, 및 수집 캐리지 내로의 전달 중에 피가공물 부분의 위치의 확산을 갖는 전달 위치에서의 수집 캐리지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갭에 배치된 흡입 박스를 가지고, 또한 제 1 위치에서 또는 제 2 위치에서 각각 도 2a, 도 2b의 부재 슈트를 갖는 갭의 단면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a, 도 5b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여기서 부재 슈트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이동에서 선형 방식으로 변위된다.
도 7a 및 도 7b는 도 5a, 도 5b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여기서 흡입 박스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부재 슈트의 이동에서 하방으로 변위된다.
도 8a 및 도 8b는 도 5a, 도 5b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여기서 흡입 박스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부재 슈트의 이동에서 측 방향으로 또한 변위된다.
도 9a 및 도 9b는 도 5a, 도 5b의 도면과 유사한 도면으로서, 여기서 부재 슈트는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부재 슈트의 이동에서 텔레스코프(telescope) 방식으로 연장된다.
도면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각각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동등한 기능의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된다.
도 1은 여기에 특정되지 않은 레이저 공급원에 의해 생성되는 레이저 빔(3) 형태의 가공 빔에 의해 판상의 피가공물(2)(점선으로 도시됨)의 분리 가공용, 특히 레이저 절단용 기계(1)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피가공물(2)이 절단되기 위해서는, 레이저 빔(3) 대신에 다른 유형의 열적 가공 빔, 예를 들어 플라즈마 제트 또는 워터 제트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가공될 때 피가공물(2)은, 도시된 예에서는 2개의 피가공물 테이블의 상부면을 형성하고 피가공물(2)을 지지하기 위한 피가공물 지지 평면(E)(XYZ 좌표계의 X-Y 평면)을 규정하는 2개의 정지된 피가공물 지지면(4, 5)에 지지된다. 피가공물 지지면(4, 5)은 테이블 면에 의해 또는 핀(pin) 형상의 지지요소(핀), 지지 벨트, 브러쉬, 롤러, 볼, 에어 쿠션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파가공물(2)을 고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클램핑 조(clamping jaws) 형태의 구동(drive) 및 클램핑 장치를 갖는 통상적인 이동 및 유지(holding) 유닛(7)에 의해 피가공물(2)은 피가공물 지지면(4, 5)상에 제 1 방향(X)(이하, X-방향 )으로 제어된 방식으로 변위되고 소정의 피가공물 위치(Xw)로 이동될 수 있다. X-방향으로의 피가공물(2)의 이동이 용이해지도록 하기 위해, 실제 피가공물 지지면(4, 5)을 나타내는 브러시, 볼 또는 슬라이드 롤러가 도 1에 도시된 피가공물 테이블에 부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피가공물(2)이 X-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또는 피가공물(2)의 상기 이동이 X-방향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예를 들어 피가공물 지지면(4, 5) 자체가 예를 들어 본 출원인의 DE 10 2011 051 170 A1에 기재된 바와 같은 (순환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형태 또는 JP 06170469에 기재된 바와 같은 피가공물 지지(bearing)의 형태의 이동 유닛으로서 설계되는 가능하다.
정지 피가공물 지지면(4, 5)에 의해 측 방향으로 구획된 갭(6)은 2개의 정지 피가공물 지지면(4, 5) 사이에 형성된다. 갭(6)은 2개의 피가공물 지지면(4,5)의 전체 폭을 따라 제 2 방향(이하 Y-방향)으로 연장된다. 레이저 빔(3)을 피가공물(2) 상으로 유도하고 집중시키는 레이저 절단 헤드(9)는 이동 유닛으로서 역할하고 고정 갠트리(10) 상에 안내되는 구동 슬라이드(11)에 의해 Y-방향으로 제어된 방식으로 변위 가능하다. 도시된 예에서의 레이저 절단 헤드(9)는 X-방향으로 추가로 또한 변위 가능하고, 또한 슬라이드(11)에 부착되는 예를 들어 선형 드라이브 형태의 부가적인 이동 유닛(12)의 도움으로 X-방향으로 제어된 방식으로 변위될 수 있다. 상호 보완적인 이동 유닛(11, 12)의 도움으로 레이저 절단 헤드(9)는 갭(6) 내의 원하는 절단 헤드 위치(Xs, Ys)에서 X-방향 뿐만 아니라 Y-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피가공물(2)을 부가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그리고 분리 가공 중에 절단된 피가공물 부분을 지지하기 위해, 2개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는 도 1에 도시된 갭(6)에 배치된다. 2개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는 각각의 경우에 갭(6)의 전체 폭(b)을 가로 질러 연장되고 갭(6)에서 Y-방향으로 제어되고 상호 독립적인 방식으로 변위 가능하다. 정지 피가공물 지지면(4, 5)의 측 방향 에지 사이에서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의 제어된 이동은 예를 들어 스핀들 드라이브의 도움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스핀들 너트는 각각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에 부착되고 드라이브 모터 뿐만 아니라 스핀들은 2개의 정지된 피가공물 지지(4, 5) 중 하나에 부착된다. 지지 슬라이드(14a, 14b)의 제어된 이동은 또한 다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지지 슬라이드(14a, 14b)는 각 경우에 제 2 Y-방향을 따라 갭(6)의 원하는 위치(Yua, Yub)로 이동되어, 거기서, 도 2a, 2b에 보다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에 설치된 지지면(15a, 15b)에 의해 각각 피가공물(2)을,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가공물(2)로부터 절단-유리되거나 가공시에 절단된 피가공물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경우에서, Z-방향으로의 각각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의 지지면(15a, 15b)은 피가공물 지지면(4, 5)과 동일 평면이 되도록(to be flush) 종결되고, 즉 지지 슬라이드(14a, 14b)의 지지면(15a, 15b)이 피가공물(2)에 대한 지지 평면(E)에 위치된다. 지지면(15a, 15b)은 내열성 재료로 제조된 제 1 서브영역, 및 제 1 서브영역에 인접하고 예를 들어 브러시 베어링으로서 구성될 수 있는 제 2 서브영역을 가질 수 있다.
지지 슬라이드(14a, 14b)의 이동은 동기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즉 제 2 방향(Y-방향)으로 제 1 지지 슬라이드(14a)의 위치(Yua)와 제 2 지지 슬라이드(14b)의 위치(Yub)의 간격은 이동 중에 일정하다. 또한 제 1 지지 슬라이드(14a)의 이동은 제 2 지지 슬라이드(14b)의 이동과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즉 제 1 지지 슬라이드(14a)의 위치(Yua)와 제 2 지지 슬라이드(14b)의 위치(Yub) 사이의 간격은 Y-방향으로의 이동 중에 변하며, 이는 이하에서 보다 자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각 경우에, 2개의 피가공물 지지면(4, 5) 사이의 갭(6)을 커버하기 위한 하나의 지지 요소(13a, 13b) 및 하나의 커버 요소(24a, 24b; 이 중 제 1 커버 요소(24a)만이 도 2a, 2b에 도시되어 있다)는 지지 슬라이드(14a, 14b)에, 보다 정확하게는 지지면(15a, 15b)의 측 방향 에지에 부착되며, 상기 측 방향 에지는 X-방향으로 진행하고 서로 멀어지는 쪽을 향한다. 지지 요소(13a, 13b) 및 커버 요소(24a, 24b)는 갭(6)의 전체 폭(b)을 가로 질러 연장되고, Y-방향으로 지지 슬라이드(14a, 14b)의 이동과 함께 이동한다. 도시된 예에서 커버 요소(24a, 24b)는 롤러 블라인드의 방식으로 구성되지만, 또한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텔레스코픽(telescopic), 겹침(imbricated), 권취된(rolled up) 벨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 요소(13a, 13b) 및 커버 요소(24a, 24b)의 상부면(15a, 15b)은 각각 지지 슬라이드(14a, 14b) 또는 피가공물 지지면(4, 5)의 지지면(15a, 15b)과 수평이다. 지지 요소(13a, 13b) 및 커버 요소(24a, 24b)는, 갭(6) 내로 돌출하고 휨에 있어서 강성이지 않으며 그러한 지지(bearing)가 없다면 지지 슬라이드(14a, 14b)와 잠재적으로 충돌할 수 있는 (잔여) 피가공물(2)의 서브영역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절단 가공을 제어하기 위해, 기계(1)는 도 1에 도시된 제어 유닛(16)을 구비하는 바, 이는 피가공물(2), 레이저 절단 헤드(9) 및 지지 슬라이드(14a, 14b)의 이동을 조정하여 소정의 절단 외형의 절단을 가능하도록 원하는 피가공물 위치(Xw), 원하는 절단 헤드 위치(Xs, Ys) 및 지지 슬라이드(14a, 14b)의 원하는 위치(Yua, Yub)를 설정하는 역할, 및 필요에 따라 피가공물(2)을 갭(6)에 가깝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시된 예에서 제어 유닛(16)은 또한 도 2a, 2b에 도시된 부재 슈트(17)를 제어된 방식으로 이동시키고, 또한 부재 슈트(17)로부터 피가공물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수집 캐리지 형태의 수용 유닛(18)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부재 슈트(17)는 도 2a에서 제 1 수직 위치(S1)에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부재 슈트(17)는 갭(6) 내로 돌출하지 않아, 절단 공정에서 생성되는 스크랩 부분, 절단 폐기물 및 재(cinder)가 갭(6)의 피가공물 지지 평면(E) 아래에 배치된 흡입 박스(20)로 떨어지게 된다. 흡입 박스(20)에는, 절단 폐기물 및 스크랩 부분이 쌓이고 비우기 위해 기계(1) 외부로 당겨질 수 있는 변위 가능한 수집 통(tub)(8)이 배치되어 있다. 흡입 박스(20)는 흡입 박스(20) 내에 형성된 흡입 영역으로부터 재, 가스 및 연기를 흡입하도록 블로어에 연결된다. 도 2a, 2b에 마찬가지로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입 박스(20)는 환경에 대해 많이 기밀하게 되도록 흡입 영역을 폐쇄하며, 즉 흡입 박스(20)는 피가공물 지지 평면(E)을 향해 상향으로 단지 하나의 개구를 가지며, 상기 개구는 커버 요소(24a, 24b)에 의해 또한 지지 슬라이드(14a, 14b)에 의해 많이 커버된다. 도 2a, 2b에 마찬가지로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입 박스(20)는 제 1 수직 방향으로 진행하는 측벽(20a) 및 제 2 수직 방향으로 진행하는 측벽(20b)을 구비하며, 이들 사이에 흡입 영역이 위치된다. 도 2a에 도시된 제 1 위치에서의 부재 슈트(17), 보다 구체적으로 슈트면(17a)으로부터 먼쪽으로 향하는 부재 슈트(17)의 후방면(17b)은 흡입 박스(20)의 제 1 수직 측벽(20a)의 일부를 형성하는 한편, 흡입 박스(20)의 제 2 수직 측벽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벽(20a, 20b) 및 흡입 박스(20)의 베이스는 서로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서로에 대해 밀봉된 별도의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제 2 위치(S2)에서의 부재 슈트(17)는 갭(6) 내로 선회되어, 피가공물(2)의 절단에서 형성되고 갭(6) 내로 또는 흡입 영역으로 각각 떨어지는 피가공물 부분이 부재 슈트(17),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재 슈트의 슈트면(17a)에 충돌하게 된다. 제 2 위치(S2)에서의 부재 슈트(17)의 슈트면(17a)은 피가공물 지지 평면(E)에 대해 각이 지게 배치되어, 중력의 영향으로 슈트면(17a)에 충돌하고 슈트면(17a)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피가공물 부분이 갭(6)으로부터 측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고, 갭(6) 옆에 측 방향으로 배열된 수집 캐리지(18)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기계(1)에서, 부재 슈트(17)를 제 1 위치(S1)로부터 제 2 위치(S2)로 그리고 그 반대로 선회시키기 위해 공압 실린더(21) 형태의 액추에이터가 제공되며, 상기 공압 실린더(21)는, 부재 슈트(17)가 제 1 위치(S1)를 취하는 제 1 말단 위치와, 부재 슈트(17)가 제 2 위치(S2)를 취하는 제 2 말단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다. 부재 슈트(17)의 이동을 위한 구동은 또한 다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부재 슈트(17)의 제 1 위치(S1)로부터 제 2 위치(S2) 로의 이동은 전형적으로 절단의 완료가 수행되는 시점에서만 수행되며, 즉 피가공물 부분이 (잔여) 피가공물로부터 절단 유리되는 즉시, 레이저 빔(3),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이저 빔(3)을 생성하기 위한 레이저 공급원이 스위치 오프된다. 부재 슈트(17)는 제 1 위치(S1)로부터 제 2 위치(S2)로 선회될 수 있으며, 여기서 2개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의 피가공물 지지 평면(E) 아래로의 하강 운동이 이와 병행하여 수행된다. 이러한지지 슬라이드(14a, 14b)의 하강 운동은 (잔여) 피가공물(2)로부터 절단 유리된 피가공물 부분이 배출 가능하도록 한다. 피가공물 부분(2a)은 지지 슬라이드(14a, 14b)의 후속적인 대향 외측 이동으로 인해 부재 슈트(17) 상으로 떨어진다. 와이퍼(wiper) 요소(예를 들어, 이미지에 보이지 않는 브러시)가 지지 요소(13a, 13b)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퍼 요소는 지지 요소(13a, 13b) 아래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의 이동에서 지지 슬라이드(14a, 14b)로부터 피가공물 부분(2a)을 밀어낸다.
부재 슈트(17)가 제 1 위치(S1)로부터 제 2 위치(S2)로 이동되고 흡입 박스(20)에서의 개구가 노출될 때, 각각, 부재 슈트(17)의 오염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또는 흡입 박스(20)로부터의 절단 폐기물, 가스 또는 연기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재 슈트(17)의 선회는 전형적으로 오직 레이저 빔(3)이 스위치 오프되면 수행된다. 배출될 피가공물 부분(2a)의 유형, 크기 및 배열에 따라, 제 2 위치(S2)로의 부재 슈트(17)의 이동은 또한 최종 분리 절단 이전에 또는 도중에 이미 개시되어, 피가공물 부분(2a)의 배출에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키도록 할 수 있다.
부재 슈트(17)가 제 2 위치(S2)로부터 제 1 위치(S1)로 선회하여 되돌아 갈 수 있는 가장 이른 가능한 시점이 확인되도록 하기 위하여, 어느 시점에서 피가공물 부분이 부재 슈트(17)로부터 이탈하는지를 확인하는 센서 유닛(도시되지 않음)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 유닛은 흡입 박스(20)에 형성된 흡입 영역으로부터 피가공물 부분의 탈출을 검출하기 위해, 예를 들어 하나 또는 복수의 라이트 배리어 또는 라이트 그리드를 각각 가질 수 있다. 상기 탈출이 확인되면, 제어 유닛(16)은 부재 슈트(17)의 제 2 위치(S2)로부터 제 1 위치(S1)로의 선회를 촉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피가공물 부분의 낙하 시간, 즉 피가공물 지지 평면(E)으로부터 부재 슈트(17)로 나아 가기 위해 피가공물에 의해 요구되는 지속시간, 또한 임의적으로 부재 슈트(17)의 슈트면(17a)을 따라 슬라이딩하기 위해 그리고 부재 슈트로부터 수집 캐리지(18)에 대한 방향으로 이탈하기 위해 피가공물에 의해 요구되는 추가적인 지속시간이 결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부재 슈트(17)의 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제어 유닛(16)은, 상이한 피가공물 부분, 예를 들어 상이한 피가공물 형상, 피가공물 재료 및 피가공물 두께에 대한 각각의 실험 특성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에 임의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부재 슈트(17)의 제 2 위치(S2)로부터 제 1 위치(S1)로의 선회는, 가능한 빨리 절단 공정을 계속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기계(1)의 생산성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능한 한 빨리 수행되어야 한다. 부재 슈트(17)로부터의 피가공물 부분의 전달이 가속되도록 하기 위해, 부재 슈트(17)의 제 2 위치(S2)로부터 제 1 위치(S1)로의 이동의 개시는, 제 2 위치(S2)로부터 제 1 위치(S1)로의 이동에서의 부재 슈트(17)가 보다 가파르게 되도록 설정되기 때문에, 피가공물 부분이 부재 슈트 또는 슈트면(17a)에 각각 충돌하는 시점에서 임의적으로 이미 수행될 수 있으며, 따라서 피가공물 부분의 전달이 촉진된다.
도 2a,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재 슈트(17)는 실질적으로 쐐기형 단면을 갖는 기다란 프로파일을 갖는다. 양측의 쐐기형 단면의 넓은 단부에 있는 부재 슈트(17)는 기계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샤프트 스터드(stud)를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부재 슈트(17)의 슈트면(17a)은, 피가공물 부분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여 피가공물 부분의 손상을 방지하고 부재 슈트(17)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구조화된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 시트에 의해 형성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단(tier)을 형성하고 피가공물 부분의 낙하에 의한 소음 발생을 감소시키도록 의도된 댐핑 층(17c)이 슈트면(17a)을 형성하는 구조화된 금속 시트 아래에 부착된다. 또한, 피가공물 부분의 낙하 충격은 이러한 유형의 댐핑 층(17c)에 의해 감쇠될 수 있고, 따라서 피가공물 부분에 대한 손상이 회피될 수 있다. 구리 시트는 부재 슈트(17)의 후방 측(17b)에 설치되며, 상기 구리 시트의 과제는, 상기 부재 슈트(17)가 흡입 박스를 폐쇄하는 제 1 위치(S1)에 부재 슈트가 위치될 때 부재 슈트(17)에 재(cinder)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밀봉 효과가 최적화되도록, 시일(이에 대해 부재 슈트(17)가 제 1 위치(S1)로의 이동에서 선회된다)은, 부재 슈트(17)에 의해 폐쇄되는 흡입 박스(20)의 흡입 영역의 개구 둘레의 모든 측면에 제공된다. 도 2a, 2b에 마찬가지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예에서, 부재 슈트(17)는 2개의 피가공물 지지면(4, 5) 사이의 갭(6)의 전체 길이(L)를 가로 질러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재 슈트(17)는 갭(6)을 따라 임의의 위치에서 절단-유리된 피가공물 부분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피가공물 부분을 측 방향으로 갭(6) 옆에 전달할 수 있다.
제 2 방향(Y)으로의 수집 캐리지(18)의 제어된 이동을 위해, 기계(1)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레일(23)(분류 축)을 따라 갭의 옆으로 측 방향으로 수집 캐리지(18)가 변위되도록 할 수 있는 선형 드라이브(22) 형태의 액츄에이터를 갖는다. 각각의 전달 위치(Yup)에서의 수집 캐리지(18)는 이러한 방식으로, 갭(6)으로부터 상이한 위치(도 3a 내지 3c 참조)에서 배출된 피가공물 부분(2a)을 각각 수용하거나 포획할 수 있고, 상기 피가공물 부분(2a)을 갭(6)을 따라 원하는 배출 위치(YA1, YA2, …)로 이동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각각의 경우에 부품 박스 형태의 하나의 수집 용기(25)가 배치된다. 따라서, 수집 캐리지(18)는 예를 들어 부재 슈트(17)로부터 배출된 피가공물 부분(2a)이 상기 피가공물 부분(2a)의 크기, 기하 형상 등에 따라 상이한 수집 용기(25)로 분류되도록 한다. 도 2a 및 도 2b에 마찬가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 용기(25)는 박스 트럭(26) 상에 하나의 열로 Y-방향으로 배열되고, 박스 트럭(26)은 수집 용기(25) 또는 박스를 각각 기계(1)로부터 회수할 수 있으며, 여기서 박스 트럭(26)은 상기 기계(1)를 비우기 위해 Y-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수집 용기(25)가 박스 트럭(26)의 이동에 의해 기계(1)에 공급되어, 상기 수집 용기(25)가 갭(6)의 옆에 측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a 내지 3c는 매우 개략적인 방식으로, 피가공물(2)로부터 절단 유리된 피가공물 부분(2a)이 수집 캐리지(18)에 의해 수용되는 전달 위치(Yup)로부터 갭(6)을 따라 총 7개의 배출 위치(YA1, YA2, …) 중 제 2 배출 위치(YA2)로 수집 캐리지(18)의 변위 이동을 도시한다. 수집 용기(25) 열의 제 2 수집 용기(25)는 제 2 배출 위치(YA2)에 배치된다. 수집 캐리지(18)는 전형적으로 레이저 빔(3)에 의해 피가공물 부분(2a)의 절단 동안 이미 전달 위치(Yup)에 위치되며, 상기 전달 위치(Yup)는 갭(6)을 따라 제 2 (Y-)방향으로 절단-유리된 피가공물 부분(2a)의 절단-유리 위치에 의존하며, 따라서 지지 슬라이드(14a, 14b)의 위치에도 전형적으로 의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가공물(2)의 절단은, 절단-유리된 피가공물 부분(2a)이 수집 캐리지(18)에 의해 포획되었을 때 또는 선택적으로 이전 시점(상기 참조)에서 이미 재개될 수 있다. 따라서, 피가공물 부분(2a)의 다른 수집 용기(25) 또는 박스로의 분류는 각각 수집 캐리지(18)의 도움으로 주 시간과 병행하여, 즉 레이저 빔(3)에 의한 피가공물(2)의 절단과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된 피가공물 부분(2a)을 갖는 수집 캐리지(18)는 먼저 이 목적을 위해 각각의 원하는 수집 용기(25) 위로, 즉 갭(6)을 따라 복수의 배출 위치(YA1, YA2, …) 중의 하나로 이동하고, 수용된 피가공물 부분(2a)을 각각의 수집 용기(25) 내로 배출하며, 여기서 피가공물 부분(2a)은 수집 용기(25) 내로 떨어지게 된다.
피가공물 부분(2a)이 수집 용기(25) 내로 떨어지도록 하기 위해, 수집 캐리지(18)는 그 바닥면(27)에, 측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슬라이더(28a, 28b)의 형태로 구성되고 각각의 제 1 위치(S1)와 각각의 제 2 위치(S2) 사이에서 수평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2개의 배출 유닛을 갖는다. 슬라이더(28a, 28b)는 그 제 1 위치(S1)에서 바닥면(27)의 각각의 서브 영역을 덮고, 제 2 위치(S2)에서는 제 1 위치(S1)에서 덮인 바닥면(27)의 서브 영역에서의 개구(29)를 노출한다. 도 3a 내지 3c에 도시된 예에서, 2개의 슬라이더(28a, 28b)는 동기식이고 대향하는 방식으로, 즉 제 1 위치(S1)로부터 제 2 위치(S2)로 각각 음의 방향 및 양의 Y-방향으로 변위되며, 이로 인해,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들(28a, 28b) 사이의 간격은 확대되고, 실질적으로 전체 바닥면(27)에 걸쳐 연장되는 개구(29)는 바닥면(27)에 형성된다.
제어 유닛(16)은 제 1 위치(S1)로부터 제 2 위치(S2)로 (및 그 역으로) 슬라이더(28a, 28b)의 제어된 이동을 위한 각각의 드라이브를 갖는다. 배출 유닛(들)은 또한 여기에 도시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구성 및/또는 이동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배출 유닛(들)은 절단-유리된 피가공물 부분(2a)이 배출되도록, 예를 들어 아래쪽으로 선회 가능한 플랩으로 구성될 수 있다. 2개의 슬라이더(28a, 28b) 대신에 오직 단일 슬라이더 또는 단일 플랩이 선택적으로 배출 유닛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2a, 2b 및 도 3a, 3b, 3c에 도시된 예들의 경우에, 수집 캐리지(18)는 단지 Y-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수집 캐리지(18)는 부가적으로 또한 선택적으로 X-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 경우, 예를 들여 Y-방향의 각 배출 위치(YA1, YA2, …)에 X-방향의 2 이상의 배출 위치를 할당하여, X-방향의 2 이상의 열에서 서로 옆에 배치된 수집 용기(25)에 절단-유리된 피가공물(2a)을 놓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가공물 부분(2a)의 더 많은 수의 수집 용기(25)로의 분류가 수행될 수 있다.
도 3a 내지 3c에 마찬가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 캐리지(18)는 절단-유리된 피가공물(2a)을 수집 캐리지(18)의 가장 낮은 지점으로, 즉 2개의 슬라이더(28a, 28b)가 배치되어 있는 바닥면(27)을 향해 통과시키도록 깔대기의 방식으로 작용하는 측 방향 경사를 갖는다. 슬라이더(28a, 28b) 사이의 간격의 확대로 인해 기계(1)로부터 피가공물 부분(2a)을 배출하는 것은, 절단 유리후 피가공물 부분(2a)이 갭(6)으로 떨어지도록 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수행되며, 이는 이하에서 도 4a, 4b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4a는, 도시된 예에서 삼각형인 피가공물 부분(2a)을 (잔여) 피가공물(2)(도 4a 및 4b에는 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절단 유리하기 위해 갭(5)에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어 있는 2개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를 도시한다. 인접한 배열에서, 2개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는 전형적으로 대략 5mm의 간격(A)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이 위치에서 2개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 사이에, 절단-유리 위치(FP)에서 레이저 빔(3)의 도움으로 피가공물 부분(2a)이 (잔여) 피가공물(2)로부터 절단되는 좁은 절단 영역이 형성된다. 레이저 빔(3)이 스위치 오프된 후에, 각각 음의 방향 및 양의 Y-방향으로 대향하는 동기식 이동에서 2개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는 도 4a에 도시된 인접 위치로부터 이동되며, 이로 인해, 절단-유리된 피가공물 부분(2a)이 2개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 사이의 갭(6) 내로 떨어지고 상기 갭(6)으로 선회된 부재 슈트(17)에 충돌할 때까지, 2개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 사이의 간격(A)이 확대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유리된 피가공물 부분(2a)은, 반드시 절단-유리 위치(FP)에서 부재 슈트(17)로부터 이탈하거나, 또는 도 4a에 도시된 인접 위치에 있는 2개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의 서로 마주 보는 에지(30a, 30b) 사이의 중심 위치(YM)에 근접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절단-유리된 피가공물 부분(2a)이 부재 슈트(17)로부터 이탈하는 위치는 Y-방향으로 변할 수 있는 바, 즉, 이 위치는 전형적으로 결정론적 방식으로 예측될 수 없는 확산(spread)을 갖는다. 절단-유리된 피가공물 부분(2a)이 견고하게 포획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수집 캐리지(18)는 예를 들어 대략 50cm일 수 있는 Y-방향으로의 길이(Lw)를 갖는다. Y-방향으로의 수집 캐리지(18)의 길이(Lw)는 수집 캐리지(18)가 과도한 중량을 갖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과도하게 선택되어서는 안되며, 이는 피가공물 부분(2a)을 수송할 때 수집 캐리지(18)의 이동의 동적 거동을 감소시킨다.
수집 캐리지(18)는 이상적으로는, 부재 슈트(17)로부터 이탈하는 절단-유리된 피가공물 부분(2a)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Y-방향의 전달 위치(Yup)에 위치되는 것이 이해된다. 절단-유리된 피가공물(2a)이 지지 슬라이드(14a, 14b)의 지지면(15a, 15b) 상에 Y-방향으로 중심 또는 실질적으로 중심이 되도록 지지되면, 전달 위치(Yup)는 절단 유리할 때 지지 슬라이드(14a, 14b)의 중심 위치(YM)와 일치할 수 있다. 그러나, 절단-유리된 피가공물 부분(2a)이 2개의 지지면(15a, 15b) 중 하나에 완전히 또는 거의 완전히 지지된다면, 중앙 위치(YM)와 전달 위치(Yup) 사이에 측 방향 오프셋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측 방향 오프셋은 Y-방향으로 피가공물 부분(2a)의 무게 중심 위치(Yws)와 2개의 지지 슬라이드 (14a, 14b)의 중심 위치(YM) 사이의 간격 |Yws - YM|을 고려한다. 전달 위치(Yup), 즉 Y-방향으로의 수집 캐리지(18)의 중심 위치는, Y-방향으로 중심 위치(YM)에 대해 예들 들어 상기 간격 |YM - Yws|의 2 배만큼 이동될 수 있다.
피가공물 부분(2a)이 주로 예를 들어 제 2 지지 슬라이드(14b)의 지지면(15b)에 지지된다면, 전달 위치(Yup)는 양의 Y-방향으로 측 방향 오프셋된다. 측 방향 오프셋에 의해, 마찰력에 의해 제 2 지지 슬라이드(14b)의 지지면(15b)에 지지되는 피가공물 부분(2a)이 양의 Y-방향으로의 제 2 지지 슬라이드(14b)의 이동에 동반되어, 상기 피가공물 부분(2a)이 Y-방향으로 (실질적으로 결정론적인) 측 방향 오프셋을 부여 받는다. 절단-유리된 피가공물 부분(2a)이 제 1지지 슬라이드(14a)의 지지면(15a)에 주로 지지된다면, 음의 Y-방향으로의 전달 위치(Yup)의 측 방향 오프셋은 유사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Y-방향으로의 무게 중심 위치(Yws)에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최적의 전달 위치(Yup) 또는 지지 슬라이드(14a, 14b)의 중앙 위치(YM)에 대한 측 방향 오프셋을 결정하기 위해, 피가공물 부분(2a)의 다른 기하학적 특성들, 예를 들어 피가공물 부분(2a)의 최대 길이 및 최대 폭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도 2a 및 2b의 문맥에서 기술된 제 1 위치(S1)와 제 2 위치(S1) 사이의 부재 슈트(17)의 선회 외에, 또한 두 위치(S1, S2) 사이에서 부재 슈트(17)를 이동시키는 다른 가능성이 존재하며, 그 중 예시적인 방식으로 복수의 가능성이 도 5a,5b 내지 도 9a,9b의 문맥에서 보다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도 5a 내지 도 9a는 각 경우에 제 1 위치(S1)에서의 부재 슈트(17)를 도시하는 한편, 도 5b 내지 도 9b는 각 경우에 제 2 위치(S2)에서의 부재 슈트(17)를 도시한다. 2개의 피가공물 지지면(4, 5), 또한 제 2 지지 슬라이드(14b)는 각 경우에 도 5a,5b 내지 도 9a,9b에 도시되며, 도 5a 내지 9a에서의 상기 제 2 지지 슬라이드, 및 도 5b 내지 도 9b에서의 상기 제 2 지지 슬라이드 상에 지지되는 절단-유리된 피가공물 부분(2b)은 피가공물 지지 평면(E) 아래로 하강되고 Y-방향으로 재배치되어, 피가공물 부분(2a)이 갭(6) 내로 떨어지고 각각 제 2 위치(S2)에 위치한 부재 슈트(17)와 충돌하거나 상기 부재 슈트(17)의 슈트면(17a)에 충돌한다.
도 2a, 2b와 유사한 방식으로 도 5a, 5b는 부재 슈트(17)를 제 1 위치(S1)와 제 2 위치(S2) 사이에서 선회시키는 가능성을 도시한다. 도 2a, 2b에 도시된 예와는 대조적으로. 제 1 위치(S1)의 부재 슈트(17)는 흡입 박스(20)의 제 1 측벽(20a)의 거의 전체를 형성한다. 도 5a, 5b에 도시된 것과 대조적으로, 흡입 박스(20)는 전형적으로 평평한(flush) 방식으로 각각의 지지면(4, 5)에 인접하여, 환경으로의 재, 가스 및 연기의 방출을 방지한다.
도 6a, 6b는 제 1 위치(S1)와 제 2 위치(S2) 사이의 부재 슈트(17)의 선형 수평 이동의 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에서 부재 슈트(17)는 경사진 슈트면(17a)에 부가하여, Z-방향, 즉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1 위치(S1)에서 흡입 박스(20)의 제 1 측벽(20a)을 형성하는 벽부(31)를 갖는다. 제 2 위치(S2)에서, 갭(6) 내로 변위되고, Z-방향으로 연장되는 벽부(31)가 흡입 박스(20)의 제 2 측벽(20b)상에 지지되도록 가져오게 되어, 절단-유리된 피가공물 부분(2a)이 슈트면(17a)에 충돌할 수 있다. 슈트면(17a)을 포함하는 부재 슈트(17)의 경사진 부분은 벽부(31)와 일체적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슈트면(17a)을 갖는 부재 슈트(17)와 벽부(31)가 상호 분리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도 7a, 7b의 부재 슈트(17)는 도 6a, 6b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 1 위치(S1)에서 제 2 위치(S2)로 수평 방향으로 변위되며, 이 경우에 부재 슈트(17)는 흡입 박스(20)의 측벽(20a)의 어떠한 부분도 형성하지 않지만, 흡입 박스(20)는 부재 슈트(17)가 제 1 위치(S1)로부터 제 2 위치(S2)로 그리고 그 반대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하강하게 된다.
도 8a, 8b는 부재 슈트(17)의 선형 이동의 예를 도시하며, 상기 이동은 도 6a, 6b 및 도 7a, 7b에서와 같이 X-방향으로 수행되며, 도 8a, 8b에 도시된 예에서 부재 슈트(17)는 흡입 박스(20)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흡입 박스와 함께 X-방향으로 멀리 변위되어 제 2 방향(S2)의 피가공물 부분(2a)이 부재 슈트(17)의 슈트면(17a)에 충동될 수 있다.
도 9a, 9b는 최종적으로 부재 슈트(17)의 선형 이동의 예를 도시하는데, 여기서 제 1 위치의 부재 슈트가 흡입 박스(20)에 인접한 컨베이어 벨트(32)에 통합된다. 이 예의 경우에 부재 슈트(17)는, 갭(6)에 슈트면(17a)이 형성되는 제 2 위치(S2)에 부재 슈트(17)가 도달할 때까지 컨베이어 벨트(32)로부터 떠밀려진다. 도 9a, 9b에 도시된 예의 경우에, 부재 슈트(17)는 마찬가지로 슈트면(17a)에 접하는 수직 벽부(31)를 갖는다. 도 9a, 9b에 도시된 예의 경우에 수직 벽부(31)는 상당히 더 작아서 흡입 박스(20)의 제 1 측벽(20a)에서의 개구를 덮으며, 부재 슈트는 상기 개구를 통해 흡입 박스(20) 내로 후퇴된다.
도 9a, 9b에 도시된 제 1 위치(S1)와 제 2 위치(S2) 사이에서 부재 슈트(17)를 이동시킬 가능성은, 일단 부재 슈트(17)가 제 2 위치(S2)에 도달하기만 하면, 수집 캐리지(18)가 전달 위치(Yup)에 위치되는 한, 임의적으로 컨베이어 벨트(32)의 사용 없이, 즉 부재 슈트의 정지 서브영역(32)을 사용하여 또한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된다.
유사하게, 부재 슈트(17)가 2개의 위치(S1, S2) 사이에서 이동하기 위해서는 여기에 기술된 것 이외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제 1 위치(S1)에서의 부재 슈트(17)는 또한 예를 들어 도 9a에 파선으로 도시된 변형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갭(6) 내로 약간 돌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벽부(31)는 생략되어 있다. 이 경우에 부재 슈트(17)는 단지 갭(6)에서 가공 빔(3)의 이동 범위(33)의 외부에 부재 슈트(17)가 위치하도록 갭(6) 내로 돌출하며, 단지 X-방향으로의 상기 갭(6)의 범위만이 도 9a에 예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2개의 위치(S1, S2) 사이에서 부재 슈트(17)의 이동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기술된 수집 캐리지(18)에 대한 대안으로서, 피가공물 부분(2a)이 갭(6)을 따라 Y-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컨베이어 벨트가 또한 임의적으로 피가공물 부분(2a)에 대한 수용 유닛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다른 배출 위치에서 피가공물 부분(2a)을 분류하기 위해, 추가의 수단, 예를 들어 떠밀려지거나 선회될 수 있고 거기서 피가공물 부분이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그 옆에 있는 부재 박스 내로 와이핑될 수 있는, 컨베이어 벨트를 따른 플랩의 제공이 요구된다.

Claims (17)

  1. 가공 빔(3)에 의해 판형 피가공물(2)을 분리 가공하기 위한 분리 가공용 기계(1)에 있어서,
    피가공물(2)을 제 1 방향(X)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이동 유닛(7);
    상기 가공 빔(3)을 상기 피가공물(2) 상에 향하게 하는 가공 헤드(9)를 제 2 방향(Y)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이동 유닛(11);
    상기 피가공물(2)을 지지하기 위한 2개의 피가공물 지지면(4, 5);
    상기 2개의 피가공물 지지면(4, 5)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방향(Y)을 따라 연장되는 갭(6; gap);
    제 1 위치(S1)와 제 2 위치(S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부재 슈트(parts chute)로서, 상기 피가공물(2)로부터 절단 유리되어 상기 갭(6) 안으로 떨어지는 피가공물 부분(2a)을 측 방향으로 갭(6)의 옆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제 2 위치(S2)에서 부재 슈트(17)의 슈트면(17a)이 상기 갭(6) 내에 배치되는 것인, 부재 슈트(17); 및
    상기 제 2 방향(Y)에 있어 전달 위치(Yup)에서 상기 피가공물 부분(2a)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달 위치(Yup)에서 수용된 피가공물 부분(2a)을 상기 제 2 방향(Y)을 따라 상기 분리 가공용 기계(1)의 상이한 배출 위치(YA1, YA2, …)로 전달하기 위한, 제 2 방향(Y)으로 이동 가능한 수용 유닛(1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공용 기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유닛(18)은, 상기 피가공물 부분(2a)을 지지하기 위한 제 1 위치(S1)와 상기 피가공물 부분(2a)을 배출하기 위한 제 2 위치(S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배출 유닛(28a, 28b)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공용 기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닛(28a, 28b)은, 상기 제 1 위치(S1)에서는 적어도 상기 수용 유닛(18)의 바닥면(27)의 서브영역(subarea)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위치(S2)에서는 적어도 상기 바닥면(27)의 서브영역에서 개구(29)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공용 기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갭(6)에서 상기 제 2 방향(Y)으로 변위 가능하고, 분리 가공 동안에 절단된 피가공물 부분(2a)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면(15a, 15b)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
    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지지 슬라이드(14a, 14b), 상기 지지면(l5a, 15b), 또는 양자 모두는 하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공용 기계.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유닛(18)을 제어된 방식으로 분리 가공용 기계(1)의 전달 위치(Yup)로 그리고 상이한 배출 위치(YA1, YA2, …)로 제 2 방향(Y)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 유닛(16)
    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공용 기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16)은,
    피가공물 부분(2a)이 절단 유리될 때 피가공물 부분(2a)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갭(6) 내에서 상기 제 2 방향(Y)으로 변위 가능한 2개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를 서로 인접하게 배열시키도록, 그리고
    상기 피가공물 부분(2a)을 상기 갭(6) 내로 떨어뜨리기 위하여, 상기 제 2 방향(Y)으로 상기 2개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 사이의 간격(A)을 확대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공용 기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16)은, 상기 피가공물 부분(2a)이 절단 유리될 때 상기 제 2 방향(Y)을 따르는 상기 피가공물 부분(2a)의 무게 중심 위치(Yws)에 의존하여 상기 수용 유닛(18)의 전달 위치(Yup)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공용 기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16)은, 상기 피가공물 부분(2a)이 절단 유리될 때 서로 옆에 배치된 2개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의 지지면(15a, 15b)의 서로 마주 보는 에지(30a, 30b) 사이의 중심 위치(YM)에 대해 상기 제 2 방향(Y)으로 오프셋되도록 상기 수용 유닛(18)의 전달 위치(Yup)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공용 기계.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가공물 지지 평면(E) 아래로 상기 갭(6) 내에 배열되는 흡입 박스(20)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공용 기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슈트(17)는 상기 제 1 위치(S1)에서 상기 제 2 위치(S2)로 선회 가능하거나, 변위 가능하거나, 또는 선회 및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공용 기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박스(20)는 상기 갭(6)을 가로지르는 방향(X)으로 변위 가능하거나, 높이 방향(Z)으로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공용 기계.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슈트(17)는 상기 갭(6)의 전체 길이(L)를 따라 상기 제 2 방향(Y)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공용 기계.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슈트(17)는, 상기 슈트면(17a)에 대한 절단 유리된 피가공물 부분(2a)의 충격을 감쇠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감쇠 층(17c)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공용 기계.
  14. 가공 빔(3)에 의해 판형 피가공물(2)을 분리 가공하기 위한 기계(1)로부터 피가공물 부분(2a)을 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부재 슈트(17)를 제 1 위치(S1)로부터 제 2 위치(S2)로 이동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 1 위치(S1)에서 상기 부재 슈트(17)는 피가공물(2)을 지지하기 위한 2개의 피가공물 지지면(4, 5) 사이의 갭(6) 안으로 돌출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상기 갭(6) 내에서의 상기 가공 빔(3)의 이동 범위(33) 안으로 돌출하지 않으며, 상기 피가공물(2)로부터 절단 유리되어 상기 갭(6) 안으로 떨어지는 피가공물 부분(2a)을 측 방향으로 상기 갭(6)의 옆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위치(S2)에서 상기 부재 슈트(17)의 슈트면(17a)이 상기 갭(6) 내에 배치되는 것인 단계;
    상기 갭(6) 옆의 전달 위치(Yup)에서 수용 유닛(18)에 의해 상기 피가공물 부분(2a)을 수용하는 단계;
    수용된 상기 피가공물 부분(2a)을 상기 갭(6)을 따라 배출 위치(YA2)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갭(6)을 따라 수용 유닛(18)을 변위시키는 단계;
    상기 배출 위치(YA2)에서, 상기 수용 유닛(18)으로부터 상기 피가공물(2a)을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공용 기계(1)로부터 피가공물 부분(2a)을 배출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공물 부분(2a)이 절단 유리 위치(FP)에서 절단 유리될 때 상기 피가공물 부분(2a)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갭(6) 내에서 변위될 수 있는 2개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를 상기 갭(6) 내에서 서로 인접하도록 배열하는 단계;
    상기 절단 유리된 피가공물 부분(2a)을 상기 갭(6) 내로 떨어뜨리기 위해 상기 2개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 사이의 간격(A)을 확대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공용 기계(1)로부터 피가공물 부분(2a)을 배출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유닛(18)의 전달 위치(Yup)는, 상기 피가공물 부분(2a)이 절단 유리될 때 상기 갭(6)을 따르는 상기 피가공물 부분(2a)의 무게 중심 위치(Yws)에 따라, 상기 무게 중심 위치(Yws)로부터 오프셋되도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공용 기계(1)로부터 피가공물 부분(2a)을 배출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유닛(18)의 전달 위치(Yup)는, 상기 피가공물 부분(2a)이 절단 유리될 때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상기 2개의 지지 슬라이드(14a, 14b)의 지지면(15a, 15b)의 서로 마주보는 에지(30a, 30b) 사이의 중심 위치(YM)와, 상기 절단 유리된 피가공물 부분(2a)의 무게 중심 위치(Yws) 사이의 간격(|Yws - YM|)에 의존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 가공용 기계(1)로부터 피가공물 부분(2a)을 배출하는 방법.
KR1020187036097A 2016-06-01 2017-05-24 피가공물의 분리 가공용 기계 및 피가공물 부분의 배출 방법 KR1022194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09550.1 2016-06-01
DE102016209550.1A DE102016209550B4 (de) 2016-06-01 2016-06-01 Maschine zum trennenden Bearbeiten eines Werkstücks und Verfahren zum Ausschleusen von Werkstückteilen
PCT/EP2017/062544 WO2017207388A1 (de) 2016-06-01 2017-05-24 Maschine zum trennenden bearbeiten eines werkstücks und verfahren zum ausschleusen von werkstücktei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1252A KR20190011252A (ko) 2019-02-01
KR102219461B1 true KR102219461B1 (ko) 2021-02-25

Family

ID=58992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6097A KR102219461B1 (ko) 2016-06-01 2017-05-24 피가공물의 분리 가공용 기계 및 피가공물 부분의 배출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167387B2 (ko)
EP (1) EP3463735B1 (ko)
JP (1) JP6780027B2 (ko)
KR (1) KR102219461B1 (ko)
CN (1) CN109562482B (ko)
DE (1) DE102016209550B4 (ko)
PL (1) PL3463735T3 (ko)
WO (1) WO20172073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5214A (zh) * 2018-08-13 2018-10-26 深圳市博硕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套位切割自动排废激光机
DE102018215738A1 (de) * 2018-09-17 2020-03-19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nehmen eines Werkstückteils aus einem Restwerkstück
DE102018217487A1 (de) * 2018-10-12 2020-04-16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Maschine zum trennenden Bearbeiten eines plattenförmigen Werkstücks
DE102018132638A1 (de) * 2018-12-18 2020-06-1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Bearbeitungswerkzeug, insbesondere Presse, zum Bearbeiten von Werkstücken sowi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chen Bearbeitungswerkzeugs
DE102019115571B4 (de) * 2019-06-07 2021-11-11 Bystronic Laser Ag Schnelles Abtransportieren von geschnittenen Teilen aus einer Verarbeitungsanlage
JP7313773B2 (ja) * 2019-07-29 2023-07-25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ワーク回収装置
CN110340583B (zh) * 2019-08-09 2020-12-08 中俄国际医学研究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牙科托槽的铅银焊接设备
CN111069791B (zh) * 2019-12-09 2022-09-02 广州文冲船厂有限责任公司 一种舾装零件的切割方法
CN111136395A (zh) * 2020-02-25 2020-05-12 六安正辉优产机电科技有限公司 激光雕刻机的自定心夹持组件
KR102373166B1 (ko) * 2020-03-11 2022-03-10 주식회사 포스코 금속시료 가공장치
CN112496829B (zh) * 2020-11-26 2022-09-06 佛山市南海万格士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太阳能支架智能化生产线
DE102021105035A1 (de) 2021-03-02 2022-09-08 Cericom GmbH Vorrichtung zum Bearbeiten eines Werkstücks
CN113369705B (zh) * 2021-05-31 2022-11-18 浙江宝业建材科技有限公司 一种激光切割机的卸料装置
DE102021123520A1 (de) 2021-09-10 2023-03-16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Verfahren zum Ausschneiden wenigstens eines Werkstücks aus einer Blechtafel
DE102022112048A1 (de) * 2022-05-13 2023-11-16 TRUMPF Werkzeugmaschinen SE + Co. KG Absortiervorrichtung, Vereinzelungssystem sowie assoziierte Verfahr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1233A (ja) * 2000-01-06 2001-07-17 Amada Co Ltd 板材加工機
WO2015091347A1 (de) * 2013-12-20 2015-06-25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Maschine zum trennenden bearbeiten von plattenförmigen werkstücke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069Y2 (ja) 1988-07-20 1994-09-0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レーザー加工機の製品取出し装置
JPH0811390B2 (ja) 1989-04-14 1996-02-07 株式会社川上製作所 積層シートの裁断装置
JP3183735B2 (ja) 1992-12-08 2001-07-09 株式会社アマダ 板材加工機のワークテーブル装置
JPH0866789A (ja) * 1994-08-26 1996-03-12 Daihen Corp レ−ザ加工機
US5763852A (en) * 1996-09-04 1998-06-09 W.A. Whitney Co. Punch press with auxillary high-energy thermal cutting device and improved slag collection system
JPH11147192A (ja) * 1997-11-12 1999-06-02 Koike Sanso Kogyo Co Ltd レーザー切断装置
JP2000233293A (ja) 1999-02-15 2000-08-29 Komatsu Ltd 熱切断加工機およびワーク搬出方法
US6229112B1 (en) * 1999-04-30 2001-05-08 W. A. Whitney Co. Air handling system for a laser-equipped machine tool
JP4905905B2 (ja) 2000-12-18 2012-03-28 株式会社アマダ ワークシュータ装置及び製品・スクラップ搬出方法
JP2004074254A (ja) * 2002-08-21 2004-03-11 Komatsu Sanki Kk プラズマアークまたはレーザによる切断加工機、およびその切断方法
AT502420B1 (de) * 2005-09-09 2007-08-15 Fronius Int Gmbh Kupplungsvorrichtung für ein wasserdampf-schneidgerät
DE102007027987B3 (de) * 2007-06-14 2008-10-30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Vorrichtung zur Aufnahme von plattenförmigen Materialien für zumindest einen Trennvorgang
US9000321B2 (en) * 2007-06-22 2015-04-07 Komatsu Industries Corporation Thermal cutter with sound absorbent walls
CN102378665B (zh) * 2009-04-07 2015-01-21 通快公司 具有加工头的工件加工机、抽吸管和用于输送加工机的结构性连接机架部分
DE102011051170B4 (de) 2011-06-17 2015-12-24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Werkstückauflage für eine Bearbeitungsmaschine sowie Bearbeitungsmaschine
CN203418239U (zh) * 2013-07-31 2014-02-05 武汉高能激光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金属激光切割机
DE102013226816A1 (de) * 2013-12-20 2015-06-25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Maschine zum trennenden Bearbeiten von plattenförmigen Werkstück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1233A (ja) * 2000-01-06 2001-07-17 Amada Co Ltd 板材加工機
WO2015091347A1 (de) * 2013-12-20 2015-06-25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Maschine zum trennenden bearbeiten von plattenförmigen werkstück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562482A (zh) 2019-04-02
CN109562482B (zh) 2021-06-11
KR20190011252A (ko) 2019-02-01
PL3463735T3 (pl) 2022-02-28
DE102016209550B4 (de) 2018-09-13
EP3463735B1 (de) 2021-11-10
EP3463735A1 (de) 2019-04-10
US11167387B2 (en) 2021-11-09
JP6780027B2 (ja) 2020-11-04
DE102016209550A1 (de) 2017-12-07
WO2017207388A1 (de) 2017-12-07
US20190091817A1 (en) 2019-03-28
JP2019517391A (ja) 2019-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461B1 (ko) 피가공물의 분리 가공용 기계 및 피가공물 부분의 배출 방법
US10220475B2 (en) Machines for the separative machining of plate-shaped workpieces
US10232467B2 (en) Machines for the separative machining of plate-shaped workpieces
JP6556098B2 (ja) 工作機械及びワークパーツを排出する方法
WO2013053569A1 (de) Werkzeug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erkstücken
US20160311069A1 (en) Machines for the Separative Machining of Plate-Shaped Workpieces
JP2019516558A (ja) 板状のワークピースを分離加工するための機械、および切り離されたワークピース部分を押し出すための方法
US9505096B2 (en) Machining tools, waste remov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20140216223A1 (en) Methods for Producing Workpieces from a Plate-Shaped Material
CN101873909B (zh) 用于支撑板状材料和用于处理从其上分离的部分的方法和装置
US20230241721A1 (en) Method and machine for cutting and removing workpiece parts from a plate-shaped material
EP2079327A1 (en) Tray emptying method for tobacco industry
US11253965B2 (en) Supporting a workpiece on support slats of a workpiece support
US11298778B2 (en) Suction device, laser processing machine, and method for suctioning
JP3999933B2 (ja) 集積製品の塵埃除去装置
US11298803B2 (en) Supporting machining workpieces
JP2006159032A (ja) 除塵装置
JP2019529124A (ja) 特に板金である板状工作物の加工のための方法および工具機械
RU2242350C2 (ru) Линия резки длинномерных изделий
JP2002126908A (ja) 棒材供給機および端材供給装置
JP2000071140A (ja) 軸部の一端が拡径するワークの工作機械からの排出装置
JPH04253591A (ja) レーザ加工装置
JPH074429U (ja) ワーク姿勢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