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463B1 - 점착척의 점착 시트 교체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점착척의 점착 시트 교체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463B1
KR102217463B1 KR1020190043549A KR20190043549A KR102217463B1 KR 102217463 B1 KR102217463 B1 KR 102217463B1 KR 1020190043549 A KR1020190043549 A KR 1020190043549A KR 20190043549 A KR20190043549 A KR 20190043549A KR 102217463 B1 KR102217463 B1 KR 102217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eet
adhesive
roll
double
release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1407A (ko
Inventor
신동신
임호성
김민성
전옥철
이상민
윤경욱
장수창
최명운
정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야스
Priority to KR1020190043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463B1/ko
Publication of KR2020012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132Apparatus for placing on an insulating substrate, e.g. t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92Apparatus for mechanical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242Apparatus for monitoring, sorting or marking
    • H01L21/67259Position monitoring, e.g. misposition detection or presence de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50Tape automated bonding [TAB] connectors, i.e. film carrie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9Apparatus for Tape Automated Bonding [T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점착시트 부착, 제거, 검사 작업을 자동으로 작업 할 수 있게 하여, 작업 시간 증가 및 작업 에러율 증가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점착시트를 자동으로 부착, 제거 하기 위해, 직교 로봇 및 카트리지, 점착시트 누름/제거 툴, 모터를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작업 시 불량률을 줄이고자 검사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Description

점착척의 점착 시트 교체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Automatic system for replacement of adhesion sheets of adhesives chuck}
본 발명은 반도체, 디스플레이 제조기술 중 기판 이송을 위한 점착척의 점착시트 교체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점착척은 현재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대량생산체제에 적합한 기판 이송 수단으로써 상기 점착척에 부착되는 점착시트는 기판 이송 횟수에 따라 수명이 줄어들며 이에 주기적으로 교체가 필요하다.
등록특허 제1010588340000호는 점착척의 오염물을 세척하는 기술을 제안하나 이러한 방법도 한계가 있어 일정 시기에 다다르면 점착 시트의 교체를 요한다.
현재 점착 시트를 수작업으로 실시하고 있어 시간과 노력이 들어가면서도 불량발생으로 인한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점착시트 교체를 위해 자동화 설비를 구축하여 생산성 향상 및 작업능률을 확대시키고 자동화에 의해 수작업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량률을 감소시킴에 있다.
본발명은,
점착시트를 자동으로 부착하는 시스템으로서,
점착시트의 점착제를 원하는 위치에 부착하기 위해 직교 로봇에 의해 이동되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는 직교로봇;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점착제와 부착된 양면 캡톤 테이프와 점착제를 커버하는 이형지가 부착된 롤타입 점착시트를 공급하는 공급롤;
상기 공급롤로부터 연신된 롤타입 점착시트로부터 이형지를 분리하는 분리툴;
상기 분리툴에 의해 이형지가 분리되어 점착제가 노출된 점착시트를 가압하여 척 플레이트에 점착제를 부착하는 부착 롤;
상기 부착롤 근처에 설치된 점착시트 감지 센서;
상기 분리툴에 의해 분리된 이형지를 감아 회수하는 이형지 회수 롤; 및
상기 부착 롤의 가압에 의해 점착제가 척 플레이트로 분리 이탈된 점착시트의 양면캡톤 테이프를 감아 회수하는 양면캡톤 테이프 회수 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자동부착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점착시트 감지 센서에 의해 점착시트 유무를 감지하여 점착시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감지 시까지 공급롤을 구동하는 모터가 동작하여 점착시트가 감지될 때 공급롤이 정지하게 하고, 점착시트 감지 후 공급롤이 일정 길이만큼 더 진행하도록 모터가 다시 구동하여 부착 롤 하단에 점착시트가 위치되게 하며, 부착롤을 하강시켜 점착제를 가압하여 척 플레이트에 점착제가 붙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자동부착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점착시트의 장력 유지를 위해 장력 감지 센서를 부착롤 근처에 더 구비하여, 부착롤로 연신된 점착시트를 푸쉬하여 장력을 강화시키거나 후퇴하여 강한 장력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자동부착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 있어서, 부착롤에 의해 점착시트를 압착한 후 압착 해제 시 점착시트의 보호필름이 양면캡톤 테이프와 함께 점착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부착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방향 전환을 위한 모터를 구비하여 점착시트의 가로 또는 세로로의 배치 방향을 회전 변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자동부착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 있어서, 점착 시트의 부착 또는 제거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검사장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방향 전환을 위한 모터를 구비하여 점착 시트의 부착 또는 제거 상태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자동부착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하나 이상의 분리 유닛을 포함하여 점착시트가 소진된 분리 유닛이 자동으로 교체되거나, 점착시트가 소진된 카트리지 자체가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자동부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착시트를 자동으로 떼어내는 점착시트 자동제거시스템으로서,
단부에 블레이드 형상의 점착시트 제거 툴을 구비한 제거 유닛;
상기 제거 유닛에 인접 배치된 석션호스; 및
상기 제거유닛을 원하는 소정의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직교 로봇;을 포함하여,
척 플레이트에 부착되어있는 점착시트 단부에 상기 점착시트 제거 툴의 블레이드가 놓이고, 상기 제거 툴이 전진 구동되어 점착시트를 척 플레이트에서 떼어 냄과 동시에 석션호스가 점착제를 즉시 석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자동제거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직교로봇의 이송용 실린더는 점착시트 제거 툴 방향전환용 모터를 더 구비하여 점착시트 제거 툴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자동제거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는 양면테이프 이형지/양면테이프/양면 캡톤 테이프 이형지/양면 캡톤 테이프/점착제/보호필름/면 캡톤 테이프 적층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시트에 포함된 점착제는 소정 형상으로 가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자동부착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양면 테이프 이형지/양면테이프/양면 캡톤 테이프 이형지/양면 캡톤 테이프/점착제/보호필름의 적층구조를 갖는 점착제 시트;
상기 점착제 시트를 운송하는 컨베이어;
상기 점착제 시트를 소정 형상으로 가공하기 위한 점착제 가공기;
상기 점작제 가공기에 의해 소정 형상으로 가공된 점착제를 포함한 점착제 시트를 회수하는 가공된 점착제 회수롤; 및
상기 점작제 가공기에 의해 소정 형상으로 가공되고 남은 불필요한 점착제를 회수하는 불필요한 점착제 회수롤;을 포함하고,
컨베이어가 구동하고 점착제 가공기가 위아래로 움직여 점착제 시트에 형상을 가공한 후, 불필요한 점착제와 가공된 점착제가 각각 컨베이어에서 위아래로 분리 되어 불필요한 점착제 부분은 불필요한 점착제 회수롤에 감기고, 가공된 점착제는 가공된 점착제 회수롤에 감기며, 불필요하여 제거되는 부분을 이루는 층은 양면 캡톤 테이프/점착제/보호필름을 포함하고, 소정 형상으로 가공된 양면 캡톤 테이프/점착제/보호필름은 또 다른 양면 캡톤 테이프/이형지와 합지 된 상태로 회수롤에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가공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에 의해 가공된 점착시트를 공급하는 점착제 롤;
양면에 이형지를 부착한 양면 캡톤 테이프를 공급하는 양면 캡톤 테이프 롤;
양면 캡톤 테이프의 한쪽 이형지를 분리하는 이형지 분리롤;
분리된 이형지를 회수하는 이형지 회수롤;
양면 캡톤 테이프와 점착시트를 합지하는 두개의 합착롤 1과 합착롤 2; 및
합지된 점착시트를 회수하는 점착시트 회수롤;을 포함하고,
점착제 롤에 의해 점착시트는 합착롤 1과 합착롤 2에 공급되고,
양면 캡톤 테이프는 이형지 분리 롤을 통해 한쪽 이형지가 분리되고 분리 된 이형지는 이형지 회수 롤에 감기고, 한쪽 이형지가 제거된 양면 캡톤 테이프는 합착롤 1과 합착롤 2에 공급되어 가공된 점착시트와 합지되고, 합지된 점착시트는 점착시트 회수롤에 의해 감기며, 합지된 점착시트는,
양면테이프 이형지/양면테이프/양면 캡톤 테이프 이형지/양면 캡톤 테이프/점착제/보호필름/양면 캡톤 테이프 적층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제조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시트 교체 속도가 수작업 시보다 감소할 뿐만 아니라 검사장치를 통하여 불량률이 감소하여 정교한 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생산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직교 로봇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2는 점착시트 카트리지 및 점착시트를 플어 놓은 모식도,
점착시트 구조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자동 교체 시스템을 보여 준다.
도 4는 점착시트 자동 제거 유닛 모식도이다.
도 5는 검사 장치에 관한 모식도이다.
도 6은 원자재 점착제의 구조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7은 양면 캡톤 테이프의 구조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8은 양면 테이프의 구조에 대한 모식도이다.
도 9은 롤타입의 점착제와 양면 캡톤 테이프를 합지하는 모식도 이다.
도 10은 점착제와 양면 캡톤 테이프가 합지 된 점착제를 원하는 길이로 자르는 평면도 및 측면도 이다.
도 11은 도 10의 합지 된 점착제를 정밀하게 자르는 평면도 및 측면도 이다.
도 12는 도 11의 슬리팅 된 점착제와 양면테이프를 합지하는 모식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합지된 점착제를 가공하는 모식도이다.
도 14은 도 13의 가공된 점착제와 양면 캡톤 테이프를 합지하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교 로봇(200)을 평면도로 보여준다. 척 플레이트(100)의 점착시트(500)는 수량이 많아 수작업으로 부착 시 상당한 시간 및 인원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척 플레이트(100)의 점착시트(500) 부착 속도 증가를 위해 가로, 세로 움직임이 가능하고 속도 및 위치 제어가 가능한 직교 로봇(200)을 이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시트 자동 부착 유닛을 보여준다. 척 플레이트(100)에 점착시트(500)는 1개씩 개별로 부착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롤러를 다수 포함한 카트리지를 구성하고 점착시트(500) 1개씩 척 플레이트에 부착시키는 점착 시트 가압용 부착 롤(320)을 구성하였다.
도 2의 왼편에는 점착 시트(500)의 부착을 위한 카트리지 구성을 보이고, 중간에는 롤 타입의 점착시트(500)가 펼쳐진 것을, 그리고 오른편에는 점착 시트(500)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를 보여준다.
점착시트(500)는 이형지(340)가 점착제(350)에 부착되고, 점착제(350) 이면은 점착제 보호필름(360)이 부착되어 있고, 그 위에 양면캡톤 테이프(370)가 부착되어 있고 롤형태로 감겨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형지를 포함한 상태, 이형지를 벗겨낸 상태 모두 점착시트로 표기하고, 척 플레이트에 부착된 점착제 부분 역시 점착시트로 표기한다. 문맥을 통해 이들은 충분히 구별되고 이해될 수 있다.
직교 로봇(200)에 연결되어 특정 좌표에 해당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카트리지(300)는 모터(310)에 의해 구동되는 롤들을 구비하며, 공급롤(310-2), 양면캡톤테이프 회수 롤(310-1), 이형지 회수롤(310-3)과 하단에 점착 시트 가압 부착 롤(320) 및 그외 다수의 가이드 롤러(330)들을 구비한다.
롤 타입 점착시트(500)는 공급롤(310-2)에 장착되고, 초기에 점착시트(500)를 풀어 가이드 롤러를 지나 이형지(340)를 점착시트(500)에서 분리하여 점착제가 있는 부분은 점착 시트 가압 부착 롤(320)에 감은 후 양면캡톤테이프 회수 롤(310-2)에 감고, 분리된 이형지는 이형지 회수 롤(310-3)에 감아 세팅하여 준다.
동작은 다음과 같다.
공급롤(310-2) 및 모터와 양면캡톤테이프 회수 롤(310-1) 및 모터, 이형지 회수롤(310-3) 및 모터가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하며 가이드롤러(330)를 타고 연신된 점착시트는 이형지(340)를 분리하는 툴(396)에서 이형지(340)와 점착제 부분이 분리되어 척플레이트(100)위의 점착 시트 가압 부착 롤(320)에는 이형지 없이 양면캡톤테이프(370) 이하 점착제(350)까지 있는 점착 시트만이 위치 하게 된다. 이 때 점착시트 감지 센서(380)가 점착시트 유무를 감지하며 점착시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감지 시까지 모터가 계속 구동하여 점착시트가 감지될 때 정지하게 된다. 점착시트 감지 후 일정 길이만큼 진행하도록 다시 모터가 구동하여 점착시트 가압부착 롤(320) 하단에 점착시트가 위치하게 되며 이 때 액추에이터(390)가 하강하며 부착 롤(320)이 액추에이터(390)가 하강함에 따라 함께 하강 한 후 척 플레이트(100) 위에 점착시트가 부착 되며 더욱 강한 힘으로 점착제를 붙이기 위하여 카트리지(300)가 화살표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카트리지(300)는 직교로봇(200)과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위치 이동이 가능하며 구동 후 액추에이터(390)가 상승하며 부착 롤(320)도 같이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척플레이트와 점착제(350) 사이의 점착력이 롤타입 점착시트의 보호필름(360)과 양면캡톤 테이프(370) 사이의 점착력보다 강하여 척플레이트에는 보호필름(360)이 제거 된 점착제(350)만 부착이 되며 점착시트의 보호필름(360)은 양면캡톤 테이프(370)에 부착 되어 양면캡톤테이프 회수 롤(310-2)에 감기게 된다. 점착제 부착 시 장력이 풀어질 수 있어 장력 유지를 위해 장력 유지 감지 센서(395)를 적용하였으며 스프링이 적용되어 장력이 강할 경우에는 후진, 장력이 약할 경우에는 전진 되어 자동으로 장력이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장력 유지 감지 센서(395)는 점착시트의 장력을 감지하여 부착롤로 연신 된 점착시트를 푸쉬 하여 장력을 강화 시키거나 후퇴하여 강한 장력을 완화시킨다.
점착시트(500)는 부착될 위치에 따라 방향이 바뀌는데 모터(400)를 이용하여 회전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가로 세로의 길이와 형상이 다른 점착시트를 척 플레이트 형상에 따라 가로세로 방향을 맞추기 위해 점착 시트의 방향을 모터(370)를 이용하여 전환시킨다.
이와 같이 점착시트를 척 플레이트에 자동 부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자동 교체 시스템을 보여 준다.
카트리지 (300)에서 롤타입 점착시트(500)가 소진되면 수동으로 점착시트 (500) 교체를 해주어야 하며, 이로 인해 설비를 수동 운전으로 전환하여야 하므로 생산 일정이 차질을 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점착시트 (500)를 카트리지 (300)에 여러 개의 유닛에 나누어 탑재 시키고 상기 유닛을 자동으로 교체 하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카트리지 (300)는 점착시트 자동부착 모듈을 분리 가능한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하고, 점착시트가 취부 된 상태의 다른 유닛을 예비하여 점착시트 소진 시 다른 유닛으로 교체하여 준다.
도 3에 카트리지 분리 유닛 1 (300-1)과 분리 유닛 2 (300-2)를 도시하며, 각각의 카트리지 분리 유닛에 점착시트 (500)가 취부 되어 있다. 만일, 분리 유닛 (300-1)에서 점착시트가 소진된 경우, 분리 유닛 (300-1)을 분리 하고 새로운 점착시트가 취부 되어 있는 유닛 2 (300-1)을 결합하여 자동으로 점착시트(500) 교체가 이루어 지도록 구현 하였다.
또한, 카트리지 전체를 교체하는 방식도 적용할 수 있다. 카트리지 (300)는 앞서 설명한 분리 유닛 (300-1,2)과는 달리, 카트리지 (300) 자체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하나의 보관 장소에 여러 대의 카트리지가 예비되어 있으며 (여러 대의 카트리지는 소모되지 않은 점착시트(500)가 모두 취부 되어 있는 카트리지 이다.) 카트리지의 점착제가 소모가 다 되었을 시 카트리지 취부 유닛 (300-3)에서 카트리지 (300)가 분리되어 다른 카트리지로 교체되는 시스템이다.
다음은 점착제를 제거하는 설비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자동 제거 유닛을 보여준다. 도 2와 동일하게 직교 로봇(200)과 결합되어 있으며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플레이트(100)에서 점착제(350) 제거 시 한쪽면을 먼저 탈착 후 이동하며 점차적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점착제 제거 툴(600)이 약간 비스듬하게 세워져 있어야 한다. 제거 툴(600)은 단부가 블레이드 형상을 이루어 점착 시트와 척 플레이트 경계면에 침투되어 전진함으로써 점착제를 떼어낸다.
제거할 점착제(350) 위치 이동 후 액추에이터가(390)가 하강하여 직교 로봇(200)이 움직이며 이때 점착시트 제거 툴(600)에 의해 점착제(350)가 제거된다. 제거된 점착제는 다시 사용이 불가능하기에 별도 처리 가 필요하며 진공 석션을 통해 제거 된 점착시제(350)를 포집할 수 있도록 석션호스(410)를 구성하였다. 점착제 제거와 동시에 석션을 진행하며 석션호스(410) 또한 직교로봇(200)과 결합되어 있으며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하다. 점착제(350) 제거 시에도 방향이 바뀔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도 1과 같이 모터(400)를 구비하여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검사장치를 보여준다.
점착제(350) 부착 및 제거가 제대로 되지 않았을 경우를 대비하여 카메라(700)를 설치하였다. 카메라는 카트리지 (300)에 취부 되어 있으며 (카트리지 (300)는 직교로봇 (200)과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카트리지 (300)는 직교 로봇 (200)에 의해 위치 이동 하여 점착제(350)를 부착한 후 해당 위치를 카메라로 촬영하는 동작을 반복하거나 점착제를 소정 구간 부착 완료한 후 일괄적으로 해당 구간에 대해 촬영을 실시할 수 있다. 카트리지 (300)는 방향전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카트리지 (300)에 취부 되어 있는 검사 장치 또한 방향전환이 가능하다.
또한, 카트리지에 취부 하는 방식이 아닌 단독으로도 카메라를 지지체에 설치하여 검사 진행을 할 수 있다. 카메라 지지체도 직교 로봇(200)과 결합되어 있으며 검사 시작 위치 이동 후 움직이면서 점착제(350) 부착 영상 촬영한다.
점착제 제거 시에도 점착제 제거 툴에 카메라를 구비한 검사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점착제 제거 툴에 검사장치가 고정되지 않고 별도의 카메라 지지체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검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점착 제 부착 또는 제거 동작 실시 후 매번 촬영하는 방식보다 부착된 구간 또는 제거된 구간을 일괄 촬영하며 검사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
도 1과 도 2에서 설명했듯이 점착제(350)의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검사 장치 또한 방향전환이 필요하며 모터(400)를 이용하여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다음은 점착시트(500) 제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원자재 점착시트의 구조를 보여 준다.
가장 밑에 투명 이형지 (350-1)가 위치하며 그 위에 점착제 (350), 또 그 위에 점착제 보호필름 (360)이 위치하는 구조이다.
도 7은 양면 캡톤 테이프의 구조를 보여 준다.
가장 밑에 양면 캡톤 테이프의 흰색 이형지 (370-3)가 위치하며 그 위에 양면 캡톤 테이프 점착제 (370-4), 또 그 위에 양면 캡톤 테이프 투명 이형지 (370-1)가 위치하는 구조이다.
도 8은 양면 테이프의 구조를 보여 준다.
가장 밑에 양면 테이프의 투명 이형지 (420-3)가 위치하며 그 위에 양면 테이프 점착제(420-2), 또 그 위에 양면 테이프 종이 이형지 (420-1)가 위치하는 구조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롤타입 점착제 가공 1번째 공정을 보여준다.
공정 준비 작업으로 합지 기계에 가공되지 않은 롤타입의 감겨 있는 원자재 점착제 (350)를 점착제 롤(800-1)에 취부 후 점착제 투명 이형지 (350-1)를 일부 점착제와 분리하여 점착제 투명 이형지 분리 롤(800-2)을 거쳐 점착제 투명 이형지 회수 롤(800)에 고정 시키고 투명 이형지가 제거 된 점착제 (350-2)는 가이드 롤 (800-3)을 거쳐 합착롤 1 (800-4)과 합착롤 2 (800-5)사이에 거치 시킨다.
또한 양면 캡톤 테이프 (370)를 양면 캡톤 테이프 롤 (800-6)에 취부 후 양면 캡톤 테이프 투명 이형지 (370-1)를 일부 양면 캡톤 테이프와 분리하여 양면 캡톤 테이프 투명 이형지 분리 롤 (800-8)을 거쳐 양면 캡톤 테이프 투명 이형지 회수 롤 (800-7)에 고정 시키고 투명이형지가 제거 된 양면 캡톤 테이프 (370-2)는 가이드 롤 (800-9)를 거쳐 합착롤 1 (800-4)과 합착롤 2 (800-5)사이에 거치 시킨다.
상기와 같은 공정 준비 작업이 완료 된 후 합지 기계를 가동하게 될 시 모든 롤은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하게 되며 합착롤 1 (860-2)과 합착롤 2 (860-3)에 의해 투명 이형지 제거 된 된 점착제 (350-2)와 투명 이형지 제거 된 양면 캡톤 테이프 (370-2)는 합지 된다.
상기에서 합지 된 점착제 시트(350-3)는 회수롤 (800-10)에 의해 감기게 된다. 상기에서 점착제 시트(350-3)는 흰색 이형지/양면 캡톤 테이프/점착제/보호필름의 적층구조를 갖는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롤타입 점착제 가공 2번째 공정을 보여준다.
합지된 점착제 시트(350-3)는 폭이 매우 넓어 적절한 간격으로 잘라 주어야 한다. 커팅 거치대 (820)에 커팅 칼날 (810)을 원하는 간격으로 셋팅 하고 칼날 (810)을 회전 시키면 점착제 시트(350-3)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며 원하는 간격으로 잘려진다. 본 공정은 상기 1차 합지 공정 후에 실시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롤타입 점착제 가공 3번째 공정을 보여준다.
도 9의 커팅 작업 시 점착제 특성 상 점착제가 울게 되어 간격이 미세하게 틀어져,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슬리팅이라는 정교한 2차 커팅 작업이 필요하다.
도 9의 커팅 작업 후 슬리팅 칼날 (830)이 달려 있는 슬리팅용 봉 (840)에 점착제 시트(350-3)를 걸어 도 9의 공정과 마찬가지로 슬리팅 봉 (840)과 슬리팅 칼날 (830)이 회전을 하면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며 미세하게 원하는 간격으로 2차 커팅을 하게 됨과 동시에 회수롤 (850)에 감기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롤타입 점착제 가공 4번째 공정을 보여준다.
공정 준비 작업으로 합지 기계에서 1차 합지된 점착제 시트(350-3)를 점착제 롤(860)에 취부 후 가이드 롤(860-1)을 거쳐 합착롤 1 (860-2)과 합착롤 2 (860-3) 사이에 거치 시킨다.
또한 양면 테이프 (420)를 양면 테이프 롤 (860-4)에 취부 후 양면 테이프 종이 이형지 (420-1)를 일부 양면 테이프와 분리하여 양면 테이프 종이 이형지 분리 롤 (860-6)을 거쳐 양면 테이프 종이 이형지 회수 롤 (860-5)에 고정 시키고 종이 이형지가 분리된 양면 테이프 (420-4)를 가이드 롤 (860-7)를 거쳐 합착롤 1 (860-2)와 합착롤 2 (860-3)사이에 거치 시킨다. 상기와 같은 공정 준비 작업이 완료 된 후 합지 기계를 가동하게 될 시 모든 롤은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하게 되며 양면 테이프 (420)는 종이 이형지 분리 롤 (860-6)을 통해 종이 이형지 (420-1)는 분리되며 이 때 분리 된 흰색 종이 이형지 (420-1)는 이형지 회수 롤 (860-5)에 감기고, 종이 이형지가 제거된 양면 테이프 (420-4)는 가이드 롤 (860-7)을 타고 합착롤 1 (860-2)과 합착롤 2 (860-3)에 의해 1차 합지 된 점착제 시트(350-3)와 합지가 된다. 합지 된 점착제 (430)는 회수롤 (860-8)에 의해 감기게 된다. 합지 된 점착제 시트 (430)는 양면테이프 투명 이형지/ 양면 테이프/흰색 이형지/양면 캡톤 테이프/점착제/보호필름의 적층구조를 갖는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롤타입 점착제 가공 5번째 공정을 보여준다.
본 공정은 롤타입 점착제 가공 4번째 공정 이후 실시되며, 상기 공정이 완료 된 후 점착제 (350)와 양면 캡톤 테이프 (370)가 합지 된 점착제 시트(350-3)를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할 필요가 있으며, 가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점착제와 양면 캡톤 테이프가 합지 된 점착제 시트(350-3)을 놓고 컨베이어 롤러 (870-3)가 구동 되면, 컨베이어 (870-2) 또한 구동하게 되며 원하는 형상이 새겨져 있는 점착제 가공기 (880)가 위아래로 움직이며 점착제 시트(350-3)에 형상을 가공하게 된다. 가공 후 불필요한 점착제 (870-4)와 가공된 점착제 (870-5)는 컨베이어 (870-2)에서 위아래로 분리가 되며 불필요한 점착제 (870-4)는 회수롤 (870)에 감기고, 가공된 점착제 (870-5)도 회수롤 (870-1)에 감기게 된다. 여기서 불필요하여 제거되는 부분을 이루는 층은 보호필름과 점착제, 양면캡톤 테이프 부분이고, 소정 형상으로 가공된 보호필름과 점착제 부분은 양면 캡톤 테이프 및 그 이형지와 합지 된 상태로 회수롤(870-1)에 감긴다. 점착제 형상은 원형 등 다양한 기하학적 형상일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롤타입 점착제 가공 6번째 공정을 보여준다.
여기서 흰색 이형지/양면 캡톤 테이프/점착제/보호필름에서 점착제와 보호필름은 소정 형상으로 가공된 상태이다.
공정 준비 작업으로 합지 기계에 양면 캡톤 테이프 (370)를 양면 캡톤 테이프 롤(800-6)에 취부 후 흰색 이형지 (370-3)를 일부 점착제와 분리하여 흰색 이형지 분리 롤(800-12)을 거쳐 점착제 투명 이형지 회수 롤(800-11)에 고정 시킨다.
또한, 흰색 이형지가 제거 된 양면 캡톤 테이프 (370-5)를 가이드 롤 (800-9)를 거쳐 합착롤 1 (800-4)와 합착롤 2 (800-5)사이에 거치 시킨다.
또한, 가공된 점착제 (870-5) 를 가공 된 점착제 롤 (910)에 취부 후 가이드롤 (920)을 거쳐 합착롤 1 (800-4)와 합착롤 (800-5) 사이에 거치 시킨다.
상기와 같은 공정 준비 작업이 완료 된 후 합지 기계를 가동하게 될 시 모든 롤은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하게 되며 양면 캡톤 테이프 (370)는 흰색 이형지 분리 롤 (800-12)을 통해 흰색 이형지 (370-3)는 분리되며 이 때 분리 된 흰색 이형지 (370-3)는 이형지 회수 롤 (800-11)에 감기고, 이형지가 제거된 양면 캡톤 테이프 (370-5)는 가이드 롤 (800-9)을 타고 합착롤 1 (800-4)과 합착롤 2 (800-5)에 의해 가공된 점착제 (870-5)와 합지가 된다. 합지 된 점착시트 (500)는 회수롤 (930)에 의해 감기게 된다. 점착시트(500)는 양면테이프 투명 이형지/양면테이프 점착제/양면 캡톤 테이프 흰색 이형지/투명 이형지 제거된 양면 캡톤 테이프/점착제/보호필름/흰색 이형지 제거 된 양면 캡톤 테이프 적층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0 : 척 플레이트
200 : 직교 로봇
300 : 카트리지
300-1 : (카트리지) 분리 유닛 1
300-2 : (카트리지) 분리 유닛 2
300-3 : 카트리지 취부 유닛
310: 점착시트 구동 모터
310-1 : 양면캡톤 테이프 회수 롤
310-2 : 공급롤
310-3 : 이형지 회수 롤
320 : 부착 롤
330 : 가이드 롤러
340 : 이형지
350 : 점착제
350-1 : 점착제 투명 이형지
350-2 : 투명 이형지 제거된 점착제
350-3 : (점착제와 양면 캡톤 테이프가 합지 된) 점착제 시트
360 : (점착제) 보호필름
370 : 양면캡톤 테이프
370-1 : 양면 캡톤 테이프 (투명) 이형지
370-2 : (투명 이형지 제거 된) 양면 캡톤 테이프
370-3 : 양면 캡톤 테이프 (흰색) 이형지
370-4 : 양면 캡톤 테이프 (점착제)
370-5 : (흰색 이형지 제거 된) 양면 캡톤 테이프
380 : 점착시트 감지 센서
390 : 액추에이터
395 : 장력 감지 센서
396 : (이형지, 점착제) 분리 툴
400 : (회전) 모터
410 : 석션호스
420 : 양면 테이프
420-1 : 양면 테이프 (종이) 이형지
420-2 : 양면 테이프 점착제
420-3 : 양면 테이프 (투명) 이형지
420-4 : (종이 이형지 제거 된) 양면 테이프
430 : (양면 캡톤 테이프가 합지 된 점착제에 양면 테이프가 합지 된) 점착제
500 : (롤타입) 점착시트
600 : (점착시트) 제거 툴
700 : 카메라
800 : 점착제 (투명) 이형지 회수롤
800-1 : 점착제 롤
800-2 : 점착제 (투명) 이형지 분리롤
800-3 : 점착제 가이드 롤
800-4 : 합착롤 1
800-5 : 합착롤 2
800-6 : 양면 캡톤 테이프 롤
800-7 : 양면 캡톤 테이프 (투명) 이형지 회수 롤
800-8 : 양면 캡톤 테이프 (투명) 이형지 분리 롤
800-9 : 양면 캡톤 테이프 가이드 롤
800-10 : (점착제와 양면 캡톤 테이프가 합지 된) 점착제 회수 롤
800-11 : (양면 캡톤 테이프 흰색) 이형지 회수 롤
800-12 : (양면 캡톤 테이프 흰색) 이형지 분리 롤
810 : 커팅 칼날
820 : 커팅 거치대
830 : 슬리팅 칼날
840 : 슬리팅용 봉
850 : 슬리팅 회수롤
860 : (점착제와 양면 캡톤 테이프가 합지 된) 점착제 롤
860-1 : (점착제와 양면 캡톤 테이프가 합지 된) 점착제 가이드 롤
860-2 : 합착롤 1-1
860-3 : 합착롤 2-1
860-4 : 양면 테이프 롤
860-5 : 양면 테이프 (투명) 이형지 회수 롤
860-6 : 양면 테이프 (투명) 이형지 분리 롤
860-7 : 양면 테이프 가이드 롤
860-8 : (양면 캡톤 테이프가 합지 된 점착제에 양면 테이프가 합지 된) 점착제 회수 롤
870 : (가공 후) 불필요한 점착제 회수 롤
870-1 : 가공 된 점착제 회수 롤
870-2 : 컨베이어
870-3 : 컨베이어 롤러
870-4 : 가공 후 불필요한 점착제
870-5 : 가공 된 점착제
880 : 점착제 가공기
910 : 가공 된 점착제 롤
920 : 가공 된 점착제 가이드 롤
930 : 롤타입 점착제 회수 롤

Claims (12)

  1. 점착시트를 자동으로 부착하는 시스템으로서,
    점착시트의 점착제를 원하는 위치에 부착하기 위해 직교 로봇에 의해 이동되는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를 이동시키는 직교로봇;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점착제와 부착된 양면 캡톤 테이프와 점착제를 커버하는 이형지가 부착된 롤타입 점착시트를 공급하는 공급롤;
    상기 공급롤로부터 연신된 롤타입 점착시트로부터 이형지를 분리하는 분리툴;
    상기 분리툴에 의해 이형지가 분리되어 점착제가 노출된 점착시트를 가압하여 척 플레이트에 점착제를 부착하는 부착 롤;
    상기 부착롤 근처에 설치된 점착시트 감지 센서;
    상기 분리툴에 의해 분리된 이형지를 감아 회수하는 이형지 회수 롤; 및
    상기 부착 롤의 가압에 의해 점착제가 척 플레이트로 분리 이탈된 점착시트의 양면캡톤 테이프를 감아 회수하는 양면캡톤 테이프 회수 롤;을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점착시트 감지 센서에 의해 점착시트 유무를 감지하여 점착시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감지 시까지 공급롤을 구동하는 모터가 동작하여 점착시트가 감지될 때 공급롤이 정지하게 하고, 점착시트 감지 후 공급롤이 일정 길이만큼 더 진행하도록 모터가 다시 구동하여 부착 롤 하단에 점착시트가 위치되게 하며, 부착롤을 하강시켜 점착제를 가압하여 척 플레이트에 점착제가 붙게 하며, 점착제를 더 강한 힘으로 붙이기 위하여 카트리지를 소정 방향으로 움직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자동부착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점착시트의 장력 유지를 위해 장력 감지 센서를 부착롤 근처에 더 구비하여, 부착롤로 연신된 점착시트를 푸쉬하여 장력을 강화시키거나 후퇴하여 강한 장력을 완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자동부착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부착롤에 의해 점착시트를 압착한 후 압착 해제 시 점착시트의 보호필름이 양면캡톤 테이프와 함께 점착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자동부착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방향 전환을 위한 모터를 구비하여 점착시트의 가로 또는 세로로의 배치 방향을 회전 변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자동부착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점착 시트의 부착 또는 제거 상태를 검사하는 검사장치를 더 구비하며, 상기 검사장치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의 방향 전환을 위한 모터를 구비하여 점착 시트의 부착 또는 제거 상태를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자동부착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카트리지는 하나 이상의 분리 유닛을 포함하여 점착시트가 소진된 분리 유닛이 자동으로 교체되거나, 점착시트가 소진된 카트리지 자체가 교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시트 자동부착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시트는 양면테이프 이형지/양면테이프/양면 캡톤 테이프 이형지/양면 캡톤 테이프/점착제/보호필름/양면 캡톤 테이프 적층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점착시트에 포함된 점착제는 소정 형상으로 가공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시트 자동부착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KR1020190043549A 2019-04-15 2019-04-15 점착척의 점착 시트 교체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KR102217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549A KR102217463B1 (ko) 2019-04-15 2019-04-15 점착척의 점착 시트 교체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549A KR102217463B1 (ko) 2019-04-15 2019-04-15 점착척의 점착 시트 교체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407A KR20200121407A (ko) 2020-10-26
KR102217463B1 true KR102217463B1 (ko) 2021-02-22

Family

ID=73006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549A KR102217463B1 (ko) 2019-04-15 2019-04-15 점착척의 점착 시트 교체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4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5597A (ja) 2008-12-17 2010-07-01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光学フィルム貼付け装置、光学フィルム貼付け方法、および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2018111575A (ja) 2017-01-12 2018-07-19 日東電工株式会社 テープ貼付けカセットおよびテープ貼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4924B2 (ja) * 1988-06-29 1998-06-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
JPH03166969A (ja) * 1989-11-25 1991-07-18 Seiko Epson Corp テーププリンタ
KR100833258B1 (ko) * 2006-10-02 2008-05-28 주식회사 예선테크 표시장치용 가스켓 패드
KR20090132061A (ko) * 2008-06-20 2009-12-3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부재용 점착제전사테이프
KR101423106B1 (ko) * 2012-09-28 2014-07-25 인산디지켐 주식회사 다기능성 복합 구조 폼 테이프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5597A (ja) 2008-12-17 2010-07-01 Hitachi High-Technologies Corp 光学フィルム貼付け装置、光学フィルム貼付け方法、および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JP2018111575A (ja) 2017-01-12 2018-07-19 日東電工株式会社 テープ貼付けカセットおよびテープ貼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407A (ko) 2020-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59055C (zh) 保护带贴附方法和其装置以及保护带分离方法和其装置
KR100979859B1 (ko) 광학 부재 접합 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장치
JP2013139108A (ja) フィルム貼合装置
KR101459065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제작용 라미네이션 장치
KR20140088742A (ko) 배터리 셀 사이드 테이프 자동 부착 설비
KR101466343B1 (ko) 자동 밴딩 유닛 및 그것을 갖는 배터리 셀 사이드 테이프 자동 부착 설비
JP2017037910A (ja) 半導体ウエハの搬送方法および半導体ウエハの搬送装置
KR101554276B1 (ko) 불량영역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필름 라미네이트 장치
KR102217463B1 (ko) 점착척의 점착 시트 교체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KR102616414B1 (ko) 점착척의 점착 시트 교체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KR100548960B1 (ko) 편광판 부착장치
KR101557478B1 (ko) 불량영역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필름 라미네이트 장치
CN101588977B (zh) 基材处理装置及使用该基材处理装置的基材处理方法
KR101318179B1 (ko) 릴투패널 편광필름 부착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35071A (ko) 테이프 부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착방법
KR101278197B1 (ko) 백라이트 유닛 제조장치의 필름공급장치
CN213936280U (zh) 用于膜电极的贴合装置
KR102540347B1 (ko) 기판용 가접장치
CN210011449U (zh) 片体撕胶装置
JP6220137B2 (ja) ガラス基板用合紙異物検査装置
KR101762552B1 (ko) 전자기기용 테이프형 패키지원단 제조용 박막시트지 부착장치
JP2007145497A (ja) 積層体の剥離方法及び剥離装置
KR101666843B1 (ko) 필름 원단 및 이를 이용한 필름 부착 장치
CN220650501U (zh) 一种检测设备
KR101303603B1 (ko) 필름 자동 적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