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32061A - 액정 디스플레이 부재용 점착제전사테이프 - Google Patents

액정 디스플레이 부재용 점착제전사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32061A
KR20090132061A KR1020080058131A KR20080058131A KR20090132061A KR 20090132061 A KR20090132061 A KR 20090132061A KR 1020080058131 A KR1020080058131 A KR 1020080058131A KR 20080058131 A KR20080058131 A KR 20080058131A KR 20090132061 A KR20090132061 A KR 20090132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sensitive adhesive
release film
pressur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민
최영식
송승원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8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32061A/ko
Publication of KR20090132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0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09J7/4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박리이형필름층, 점착제층 및 중박리이형필름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점착제전사테이프로서, 점착제층에 대한 경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과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 및 경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W2)에 대하여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W1)의 박리력 비율[W1/W2]을 특정범위로 유지하여, 종래 경박리 및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에 따른 실리콘(Si)배면전사와 이형필름(SP)미박리 문제를 한번에 해결하면서 공정불량을 개선한 점착제전사테이프와, 상기 점착제전사테이프를 적용한 편광판, 위상차판 등의 액정 디스플레이용 부재, 및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용 부재가 구비된 액정소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점착제전사테이프, 편광판, 위상차판, 이형필름

Description

액정 디스플레이 부재용 점착제전사테이프{Pressure sensitive adhesive transfer-tape used in article for 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실리콘(Si)배면전사, 이형필름(SP)미박리 및 공정불량 등을 개선한 점착제전사테이프와, 상기 점착제전사테이프를 적용한 편광판, 위상차판 등의 액정 디스플레이용 부재, 및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용 부재가 구비된 액정소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 등의 액정 디스플레이용 부재의 적층체를 납기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하여 점착 가공 후에 점착제의 숙성에 필요한 시간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우선시 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구체적으로 점착제를 박리 레벨이 다른 2장의 박리 필름 사이에 끼우는 구조를 가지는 점착제 전사 테이프를 이용하여 편광판 적층체 또는 위상차판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5-023169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3-147288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3-177241호].
그러나, 이 같은 점착제전사테이프는 편광판 및 위상차판에 직접 도공을 수행하는 직접도공법을 실시하는 경우에 비해 필연적으로 이형필름을 추가로 한 장 더 사용하게 되므로 하기와 같은 점착제전사테이프만의 근본적인 문제를 내제하게 된다.
먼저, 점착제전사테이프는 폴리에스테르필름과 경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을 포함하는 경박리실리콘이형필름층을 사용하므로, 박리력을 낮게 유지하기 위해 실리콘오일과 같은 별도의 성분을 추가하는 공정이 요구되거나, 이러한 공정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경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의 응집파괴가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추가공정 및 경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의 응집파괴 현상은 이형필름의 권취상태에서 실리콘이 배면에 전사되는 실리콘(Si)배면전사문제를 일으키게 되어 잉크마킹불량 및 중박리이형필름층 배면의 테이프접착력 하락의 문제를 도출하게 된다. 여기서 중박리이형필름층 배면의 테이프접착력 하락은 편광판 적층체를 고객사의 인 라인 공정에서 액정 셀에 접합하기 위해 테이프를 이용하여 중박리이형필름층을 벗기게 되는데, 이때 실리콘(Si)배면전사가 발생한 경우는 테이프와 접착력이 약하여 공정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점착제전사테이프는 고속박리 시 중박리이형필름층에서 점착제의 탈락(이하, 점착제이형박리불량이라 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점착제에 대한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W1)/경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W2)의 박리력 비율을 높게 유지한다. 따라서,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이 높을 수 밖에 없고, 이는 경시적으로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이 올라가 고객사에서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가 어 렵게 되며, 실리콘(Si)배면전사문제와 결부되어 고객사에서 테이프를 이용한 초기박리에 실패하여 라인스톱이 발생하거나 테이프의 교체주기가 빨라지는 등의 이형필름 미박리 문제의 발생빈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기존의 문헌에서 제시되고 있는 점착제전사테이프는 점착제이형박리불량만을 고려하여 W1/W2의 박리력 비율을 1.5 내지 5배 범위까지 폭넓게 적용하였을 뿐[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5-023169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3-147288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3-177241호], 실리콘(Si)배면전사문제 및 고객사에서 현실적으로 요구되는 낮은 하중에서의 이형필름박리 문제에 대해서는 대응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때, 점착제이형박리불량이란 점착제전사테이프의 경박리이형필름층을 박리할 때 중박리이형필름층에 남아 있어야 할 점착제가 경박리이형필름 쪽에 남아 있는 경우를 말하며, 특히, 고속박리 시 자주 발생하는 현상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실리콘(Si)배면전사가 거의 일어나지 않으면서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을 낮게 한정함으로써, 낮은 경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실리콘(Si)배면전사와 높은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으로 인해 초래되는 이형필름(SP)미박리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여 제조사 및 고객사에서의 공정불량을 크게 줄일 수 있는 점착제전사테이프를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리콘(Si)배면전사는 경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이 낮을수록 유리하므로 이러한 낮은 박리력 유지를 위해서는 경박리조절제를 별도로 첨가해야 하는 바, 이는 블리드아웃이 잘 일어나게 되어 이형필름의 배면으로 쉽게 전사되어 배면부분의 이형필름을 벗길 때 사용하는 테이프와의 밀착력을 낮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와의 밀착력이 떨어지면 연속공정에 지장을 주거나 테이프 박리 실패로 인하여 라인이 멈추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실리콘(Si)배면전사를 막기 위해서는 적절한 경박리이형필름층이 요구되는 데 나끼와가레방지를 위해서는 상기 경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에 비례해서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도 증가해야 된다. 그러나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이 너무 높게 되면 이형필름을 벗길 때 사용하는 테이프 박리 시 박리실패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점착제층에 대한 경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과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 및 경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W2)에 대하여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W1)의 박리력 비율[W1/W2]을 특정범위로 유지하여 상기의 문제를 개선한 점착제전사테이 프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전사테이프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부재의 적층체 및 상기 적층제가 구비된 액정소자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경박리이형필름층, 점착제층 및 중박리이형필름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점착제전사테이프로서, 상기 점착제층에 대하여, 경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은 2g/25㎜ 내지 3.5g/25㎜ 범위이고,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은 4g/25㎜ 내지 8.75g/25㎜ 범위이며, 상기 경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W2)에 대하여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W1)의 박리력 비율[W1/W2]은 2 내지 2.5배 범위인 점착제전사테이프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전사테이프가 구비된 액정 디스플레이용 부재와, 상기 액정디스플레이용 부재가 구비된 액정소자장치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점착제에 대한 특정의 범위의 박리력을 갖는 경박리이형필름층 및 중박리이형필름층을 구비하고, 상기 경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W2)에 대하여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W1)의 박리력 비율[W1/W2]을 특정범위로 한정하여, 종래 낮은 경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실리콘(Si)배면전사와, 높은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으로 인해 초래되는 이형필름(SP)미박리를 동시에 해 결하면서, 제조사 및 고객사에서의 공정불량으로 인한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어 편광판 및 위상차판 등의 액정 디스플레이용 부재 분야에 유용하게 사용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것으로 폴리에스테르필름(1)의 일면에, 중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2), 점착제층(3), 경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4) 및 폴리에스테르필름(5) 순으로 적층된 점착제전사테이프(111)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필름(1)의 일면에 중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2)을 코팅하고, 상기 코팅된 상면에 점착제층(3)을 도포한다. 별도의 폴리에스테르필름(5)의 일면에 경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4)를 코팅한 후, 상기에서 제조된 점착제 상면과 경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4)의 상면을 적층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은 경박리이형필름층, 점착제층 및 중박리이형필름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점착제전사테이프로서, 상기 점착제층에 대하여, 경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은 2g/25㎜ 내지 3.5g/25㎜ 범위이고,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은 4g/25㎜ 내지 8.75g/25㎜ 범위이며, 상기 경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W2)에 대하여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W1)의 박리력 비율[W1/W2]은 2 내지 2.5배 범위인 점착제전사테이프에 기술구성상의 특징이 있는 바,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 상기 경박리이형필름층과 중박리이형필름층은 통상적으로 기재필름에 경박리 및 중박리이형제를 코팅하여 형성된다.
상기 기재필름은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학용 투명기재필름으로 투명성이 있는 플라스틱 필름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르보르넨계 또는 다환 노르보르넨계 단량체 등과 같은 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단위를 갖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로,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에틸렌-아세트산비닐셀룰로오스공중합체,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및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또는 폴리시클로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및 에폭시 등의 열가소성 고분자 중에서 선택된 단일화합물 또는 2종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미연신(未延伸), 1축 또는 2축 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들은 1축 또는 2축 연신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지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블렌드하여 사용하여도 좋으나, 내열성이나 표면에 실리콘 이형처리가 용이하다는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 레이트 등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비용면을 고려한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재필름은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너무 얇으면 강도가 저하되어 가공성이 뒤떨어지게 되고, 반면에 너무 두꺼운 경우에는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편광판의 중량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사용시 취급의 편리성 및 가격 등의 관점을 고려하여 10 내지 100㎛ 범위인 것을 사용한다.
상기 기재필름의 표면에 코팅되는 경박리이형제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기는 않으나, 기재의 내열성을 고려하여 실리콘계 이형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비교적 저온에서 경화되는 부가반응형 실리콘계 이형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열과 자외선 경화를 병행할 수 있는 이형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박리이형제가 코팅된 경박리이형필름층은 점착제층에 대한 박리력이 2g/25㎜ 내지 3.5g/25㎜ 범위를 유지하는 바, 상기 박리력이 2g/25㎜ 미만이면 경박리이형코팅층의 밀착력이 약해 실리콘(Si)배면전사가 발생하여 잉크마킹성이 떨어지고 테이프에 대한 배면접착력이 떨어져 공정성이 나빠질 수 있으며, 3.5g/25㎜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중박리이형코팅층의 박리력을 높게 잡아야 하며 이로 인하여 이형필름(SP)미박리 문제가 발생하고, 라인에서 고속박리 시 W1/W2의 비율이 2.0 내지 2.5배 사이라 하더라도 경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이 3.5g/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속도에 따른 박리력 상승으로 인해 점착제이형박리불량이 발생할 수 있어 상기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례로 상기 경박리이형제필름층은 1축 연신 폴리에스테르필름에 부가형 실리콘 이형제를 도포하여 사용하는 바, 이때 건조는 130℃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 건조 및 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가 13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열수축하거나, 배향축이 뒤틀리거나 하는 문제가 있어서, 편광판의 이물 검사에서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우려된다. 또한, 열을 가하지 않는 실리콘계 이형제로는, 자외선 경화타입의 아크릴 실리콘, 메르캅토기 함유 실리콘 및 에폭시기 함유 실리콘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의 표면에 코팅되는 중박리이형제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편광판이나 위상차판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벗기는 때에 점착제 표면을 훼손하여 편광판이나 위상차판을 유리 등에 접착한 때에 외관이 나빠지지 않도록 잔류 접착성을 떨어뜨리지 않은 범위에서 박리가 쉬운 이형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리콘계 이형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박리이형제가 기재필름에 코팅되어 형성된 중박리이형필름층은 점착제층에 대한 박리력이 4g/25㎜ 내지 8.75g/25㎜ 범위를 유지하는 바, 상기 박리력이 4g/25㎜ 미만이면 점착제이형박리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적정한 박리력 비율(W1/W2)를 유지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경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이 2g/25㎜ 이하로 떨어지게 되어 Si배면전사의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고, 8.75g/25㎜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중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이 너무 높아 고객사에서 박리 시 박리실패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상기와 같은 경박리 및 중박리이형제필름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도입되는 이형제의 도공량은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박리 성능을 고려하여 0.03 내지 2g/㎡ 범위, 바람직하기로는 0.05 내지 0.4g/㎡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기재의 종류에 따라서 박리력은 다르게 나타나게 되나, 상기 도공량이 0.03g/㎡ 미만이면 박리 성능이 부족할 수 있고, 2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편광판이나 위상차판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벗기는 때에 점착제 표면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의 경박리 및 중박리이형제필름층의 형성은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팅법으로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그라비아 코팅, 메이어 바 코팅, 에어나이프코팅 및 닥터나이프 코팅 등의 여러 가지의 방법에 의하여 이형제를 기재필름에 도포한 뒤, 가열 처리, 자외선 조사 등의 방법으로 건조, 경화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층에 대한 각각의 경박리 및 중박리이형제필름층의 박리력 이외에도 이들의 상관관계, 구체적으로 경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W2)에 대한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W1)을 나타내는 박리력 비율[W1/W2]을 특정범위로 유지하는 바, 상기 박리력 비율[W1/W2]은 2 내지 2.5배 범위로 유지한다. 상기 박리력 비율이 2배 미만이면 롤 형태의 점착제 전사 테이프의 경박리이형제코팅층과 점착제층이 분리되도록 풀면서,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에 점착제층을 적층하는 공정에서, 중박리이형제코팅층과 점착제층이 분리되는 점착제이형박리불량이 발생할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박리력 비율이 2.5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중박리이형제코 팅층과 점착제층이 분리되는 문제는 일으키지는 않으나, 점착제층에 적층되는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을 적층할 때에 중박리이형제코팅층과 기재필름이 함유된 중박리이형필름층을 인라인 접합 시 테이프를 이용하여 박리 및 제거하게 되는데, 상대적으로 중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이 강하면 테이프로 실시하는 초기박리에 실패하여 라인이 멈출 수 있으며, 사용횟수에 따른 테이프의 잔류접착률이 떨어져 사용횟수(교체주기)가 짧아지게 되어 생산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점착제전사테이프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점착제가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용은 적용 가능한 점착제의 구체적인 예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의 주성분으로는, 여러 가지 형태의 아크릴계, 실리콘계, 고무계, 우레탄계, 폴리에스터계 및 에폭시계의 1종의 단일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기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례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아지리딘계, 아민계 및 황계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의 가교제 1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로는 가교제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90 내지 10℃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호모폴리머 제조용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이소시아네이트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단량체, 및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아크릴계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은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타)아크릴"이란 "메타크릴" 또는 "아크릴"을 의미한다.
상기 -90 내지 10℃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호모폴리머 제조용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내에 이소시아네이트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응집력을 보강하여 점착 내구성과 절단성을 향상시키거나, 반대로 응력완화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90 내지 10℃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호모폴리머 제조용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호모폴리머 제조용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들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 내에 85 내지 99.9 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90 내지 95중량부를 투입하여 공중합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량체의 함량이 99.9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착제 내구성의 약화를 초래할 수 있으며, 85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초기 점착력과 응력 완화 작용이 약화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 내에 0.1 내지 15중량부가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 중량부를 투입하여 공중합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상기 가교 관능기를 함유한 단량체의 함량이 1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잔류응력 완화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고, 0.1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점착제의 응집력이 작게 되어 점착 내구성 및 절단성의 물성을 해치게 된다.
상기 그 밖의 아크릴계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 내에 0.1 내지 15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8 중량부를 투입하여 공중합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그 밖의 아크릴계 단량체의 함량이 1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잔류응력 완화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고, 0.1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점착제의 응집력이 작게 되어 점착 내구성 및 절단성의 물성을 해치는 결과가 된다.
상기 -90 내지 10℃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호모폴리머 제조용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로는 구체적으로, n-옥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노닐아크릴레이트, 펜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타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타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3-메틸부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n-옥틸메타크릴레이트 및 n-테트라데실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단량체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단량체의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인산,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수산기, 카르복실기 또는 이미드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단량체는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단량체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조성의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점착 특성 및 코팅성 등을 고려하여 중량평균분자량 200,000 내지 2,500,000 범위의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용액중합법, 광중합법, 벌크중합법, 서스펜션중합법 또는 에멀젼 중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용액중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며, 중합온도는 50 내지 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단량체를 균일하게 혼합한 상태에서 개시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응집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공지의 가교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가교제의 예로써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예컨대 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 또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이러한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티롤프로판과 같은 다가 알코올계 화합물과의 어덕트체가 사용될 수 있고; 멜라민 유도체, 예컨대 헥사메티롤멜라민,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헥사부톡시메틸멜라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에폭시 화합물, 예컨대 비스페놀 A·에피클로로히드린 축합체형의 에폭시 화합물,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의 폴리그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 디- 또는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테트라글리시딜크실렌디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아지리딘의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게 좋으며, 이들은 서로 혼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들의 사용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5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중량부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사용량이 1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다 가교반응에 의한 잔류응력 완화에 문제가 있고, 1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부족한 가교도로 인해 응집력이 작게 되어 점착 내구성 및 절단성의 물성을 해치는 결과를 준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공지의 실란계 커플링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상기 실란계 커플링제로는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실란계 커플링제가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사용될 수 있다. 실란계 커플링제 분자 내의 에폭시기는 공중합체의 반응성 작용기와 결합하고, 알콕시실란 부분은 점착제가 적용되는 기재, 예컨대 액정셀의 유리기판과 강하게 결합함으로써, 점착제와 기재, 예컨대 액정셀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여 접착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내열내습 특성을 보다 향상시키며, 특히 고온 고습하에서 장시간 방치되었을 경우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실란계 커플링제의 함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최적의 물성 균형을 고려할 때, 점착제의 가교밀도가 5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언급된 가교밀도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아크릴계 점착제의 겔 함량 측정법을 통하여 용매에 용해되지 않은 가교구조를 형성한 부분의 양을 측정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점착 성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점착성부여수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a) 공중합체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성부여 수지가 10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면 점착제의 상용성 또는 응집력을 감소시키는 경우가 있어 주의하여 적절하게 첨가하여야 한다. 상기 점착성부여 수지는 구체적으로 (수첨)하이드로카본계수지, (수첨)로진수지, (수첨)로진에스터수지, (수첨)터펜수지, (수첨)터펜페놀수지, 중합로진수지, 중합로진에스터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가소제, 에폭시 레진 및 경화제 등을 추가로 혼합 사용할 수 있고,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등을 일반적인 목적에 따라 적절히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은 대전방지 성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전방지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공지의 대전방지제를 점착제 조성에 첨가할 수 있다.
점착제의 도포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포법으로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며 구체적으로 다이코터, 그라비아롤코타, 콤마 코터, 에어 나이프 코터 등을 이용하고 수행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5 내지 100㎛ 범위,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30㎛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력은 유리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으로, 1N/25㎜ 내지 25N/25㎜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 며, 광학 용도로 사용하므로 투과율(전 광선 투과율)이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투과율은, 점착제 전사 테이프의 점착제를 두께 3㎜의 석영판에 접착하고, 박리 필름을 박리한 상태로 투과율을 측정한 값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조된 점착제전사테이프가 구비된 액정 디스플레이용 부재 및 상기 액정디스플레이용 부재가 구비된 액정소자장치에 기술구성상의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액정디스플레이용 부재는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것으로, 폴리에스테르필름(1)의 일면에, 중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2), 점착제(3), 보호필름(9), 편광자(8), 보호필름(7) 및 표면보호필름(6) 순으로 적층된 편광판(222)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편광판(222)은 상기 도 1의 점착제전사테이프(111)의 폴리에스테르필름(5)과 경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4)이 포함된 경박리이형필름을 박리하여 편광판의 보호필름면에 적층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때, 점착제면 혹은 편광판의 보호필름면에 밀착성향상을 위해 코로나 혹은 플라즈마 처리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간단하게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점착제층이 적층된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의 적층체는 중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으로부터 박리필름을 박리하여 액정 셀에 붙임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 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실시예 : 이형필름의 제조
실시예 1
두께가 38㎛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1축 횡연신 필름인 에스테르 K1581(동양방적주식회사)의 편면에, 부가반응형 실리콘계 이형제인 SRX-211(토우레·다우코닝실리콘주식회사) 100중량부에, 촉매로서 SRX-212(토우레·다우코닝실리콘주식회사) 2중량부를 첨가하고, 이형 첨가제로서 X92-128(신에쓰화학공업주식회사) 20중량부를 첨가한 박리제를, 베이커 어플리케이터를 장착한 자동 도공기를 이용하여, 고형분이 0.2g/m2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이후에 110℃의 열풍순환식 건조로에서 60초간 건조하여 중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2)을 폴리에스테르필름(1) 위에 도입하여 중SP박리력 4g/25㎜인 중박리이형필름을 얻었다.
또 다른 폴리에스테르필름 위에, SRX-211(토우레·다우코닝실리콘주식회사) 100중량부에 촉매로서 SRX-212(토우레·다우코닝실리콘주식회사) 2중량부를 첨가하고, 고형분이 0.2g/m2 이 되도록 도포하였다. 이후에 110℃의 열풍순환식건조로에서 60초간 건조하여 경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4)을 폴리에스테르필름(4)위에 도입하여, 경SP박리력 2g/25㎜인 경박리이형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박리 및 중박리 이형코팅층과 점착제의 구성성분 및 조성비를 달리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착제에 대한 경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W2),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W1)을 갖는 각각의 이형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 : 점착제용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4-넥 재킷(neck jacket) 반응기(1L)에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적하 로트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장치하고, 에틸아세테이트 164g, n-부틸아크릴레이트 126g, 메틸메타크릴산 10g, 아크릴산 4g, 2-히드록시에틸아크릴산 5g를 투입하고, 반응기의 외부온도를 50℃로 승온하였다. 이후에 에틸아세테이트 10g에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14g을 완전히 용해한 용액을 적가하였다. 이후에 재킷 외부온도를 50℃로 유지하면서 추가적으로 5시간 반응 후, 에틸아세테이트 90g을 1시간 동안 적하로트를 이용하여 천천히 적하하였다. 또한 동일 온도에서 6시간의 추가적인 교반 후, 에틸아세테이트 304g을 가하고, 다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고형분 농도 20중량%, GPC법에 의한 중량 평균 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 약 150만의 측쇄에 유기산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얻었다.
제조예 2 : 점착제 전사 테이프의 제조 및 편광판에 접합
상기에서 얻어진 20중량%의 농도로 아크릴계 고분자가 포함된 공중합체 500g(고형분 100중량부)에, 가교제로 10중량% 농도로 N,N,N'N'-테트라글리시딜크실렌디아민(TETRAD-X 제품)가 포함된 에틸아세테이트 용액 10g(고형분에 대하여 1중량부), 10중량% 농도로 코로네이트-L(일본폴리우레탄공업사)가 포함된 에틸아세테이트 용액 10g(고형분에 대하여 1중량부)및 실란커플링제로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KBM-403, >95% 순도) 0.3g을 가하고, 30분간 강하게 교반하여 균일한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배합액을 각각의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7에서 제조된 중박리이형필름(350㎜×500㎜) 위에 건조막 두께가 25㎛이고 면적이 310㎜×470㎜이 되도록 도공하고, 100℃×2분의 조건으로 건조한 후, 경박리이형필름을 적층하여 25℃, 50%의 항온항습기에서 14일 양생하여 중박리 및 경박리력이 서로 다른 점착제전사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이후에, 상기 각각의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7에 따라 제조된 점착제전사테이프의 경박리이형필름을 박리하고, 점착제층을 편광판에 적층하면서, 라미네이터로 점합하여 하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점착제/편광판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7의 중박리 및 경박리 이형필름의 조성 및 도포량과 점착제의 종류 등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다.
항목 중박리 (중량부) 점착제 경박리 (중량부)
주제 촉매 박리제 도포량 (g/㎡) 주제 촉매 박리제 도포량 (g/㎡)
실시예 1 SRX-211 (100) SRX-212 (2) X92-128 (20) 0.2 아크릴계 SRX-211 (100) SRX-212 (2) - 0.2
실시예 2 SRX-211 (100) SRX-212 (2) X92-128 (30) 0.2 아크릴계 SRX-211 (100) SRX-212 (2) X92-128 (15) 0.3
비교예 1 SRX-211 (100) SRX-212 (2) X92-128 (35) 0.2 아크릴계 SRX-211 (100) SRX-212 (2) X92-128 (15) 0.3
비교예 2 KS-778 (100) SRX-212 (2) - 0.2 아크릴계 KS-778 (100) SRX-212 (2) KF-965 (5) 0.2
비교예 3 KS-778 (100) SRX-212 (2) KF-965 (7) 0.2 아크릴계 KS-778 (100) SRX-212 (2) KF-965 (5) 0.2
비교예 4 KS-778 (100) SRX-212 (2) KF-965 (9) 0.2 아크릴계 KS-778 (100) SRX-212 (2) KF-965 (5) 0.2
비교예 5 SRX-211 (100) SRX-212 (2) X92-128 (33) 0.2 아크릴계 SRX-211 (100) SRX-212 (2) X92-128 (15) 0.3
비교예 6 SRX-211 (100) SRX-212 (2) - 0.2 아크릴계 KS-778 (100) SRX-212 (2) KF-965 (5) 0.2
비교예 7 SRX-211 (100) SRX-212 (2) X92-128 (29) 0.2 아크릴계 SRX-211 (100) SRX-212 (2) X92-128 (13) 0.3
SRX-211 : 토우레·다우코닝실리콘주식회사 KS-778 : 신에쓰화학공업주식회사 SRX-212 : 토우레·다우코닝실리콘주식회사 X92-128 : 신에쓰화학공업주식회사 KF-965 : 신에쓰화학공업주식회사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7의 중박리 및 경박리 이형필름을 사용하여 제조된 편광판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측정방법]
1) 실리콘(Si) 배면전사 평가
제조된 점착제전사테이프 및 점착제전사테이프와 합지한 편광판에서 각각 샘플을 10㎝×10㎝로 채취하여 중박리이형필름면에 매직으로 10회 마킹 테스트를 실시하여 마킹이 양호성을 평가함.
◎ : 마킹성이 우수(Si 배면전사가 없음)
× : 마킹성이 나쁨(Si 배면전사가 많음)
2) 점착제이형박리불량(20m/min 박리시) 평가
제조된 점착제전사테이프를 300㎜×220㎜로 커팅한 후, 경박리이형필름의 일부를 박리한 후, 중박리이형필름쪽을 글라스쪽에 고정하여 고속박리기(SJTA-034-HSD 세진시험기술제조)에 장착하고 경박리이형필름을 20m/min의 속도로 박리하면서 점착제전사테이프에서 점착제이형박리불량의 여부를 판별하고 편광판에 접합을 실시한 후에 점착제가 탈락되는 불량을 판별함.
◎ : 없음
× : 발생
3) 이형필름(SP)미박리 평가
점착제전사테이프를 합지한 편광판을 300㎜×220㎜로 커팅한 후, 커팅 단변이 폭방향으로 25㎜가 되게 하여 25㎜(커팅 단변 쪽)×250㎜(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다음, 샘플과 글래스(Glass)사이를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손으로 가볍게 눌러 접합한다. 그후, 샘플의 커팅 단변부의 중박리이형필름 쪽에 100×16㎜의 NITTO 31B 테이프를 10㎜만 중박리이형필름에 손으로 가볍게 눌러 접합한다. 인장력시험기의 하부 로드셀 지그부분에 글래스를 고정시키고 상부 로드셀 지그부분에 NITTO 31B 테이프를 고정시킨 후, 180° 박리테스트(TEST)를 300㎜/min으로 실시하여 초기 최대박리값을 읽는다.
◎ : 없음
(초기박리력(MAX값)이 50g/25㎜ 이하이면 SP미박리가 없음으로 간주)
× : 발생
(초기박리력(MAX값)이 50g/25㎜ 초과이면 SP미박리가 발생으로 간주)
구분 중SP박리력 경SP박리력 W1/W2 Si 배면전사 점착제이형박리불량 SP미박리
(g/25㎜)W1 (g/25㎜)W2 (20m/min박리시)
실시예 1 4.00 2.00 2.00
실시예 2 8.75 3.50 2.50
비교예 1 10.00 3.50 2.86 ×
비교예 2 3.00 1.00 3.00 ×
비교예 3 1.50 1.00 1.50 × ×
비교예 4 1.80 1.00 1.80 × ×
비교예 5 9.10 3.50 2.60 ×
비교예 6 2.00 1.00 2.00 ×
비교예 7 8.70 3.70 2.35 ×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특정의 중박리 및 경박리 이형필름을 사용한 경우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에서 제조된 중박리 및 경박리 이형필름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실리콘(Si) 배면전사, 점착제이형박리불량 및 이형필름(SP)미박리 등의 물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비교예 6과 비교예 7를 보면 동일한 W1/W2=2 내지 2.5 범위를 유지하면서 경 또는 중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값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로, Si 배면전사 혹은 경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이 높아 고속박리시 속도영향으로 박리값이 상승하여 점착제이형박리불량이 발생하였다.
즉, Si 배면전사, 점착제이형박리불량 및 이형필름(SP)미박리 등의 물성은 점착제에 대한 경박리 및 중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 범위뿐 아니라 이들의 박리력 비율의 동시 제어가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폴리에스테르필름(1)의 일면에, 중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2), 점착제층(3), 경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4) 및 폴리에스테르필름(5) 순으로 적층된 점착제전사테이프(111)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점착제전사테이프(111)의 폴리에스테르필름(5)과 경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4)이 포함된 경박리이형필름을 박리하여 편광판에 접합한 것으로, 폴리에스테르필름(1)의 일면에, 중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2), 점착제(3), 보호필름(9), 편광자(8), 보호필름(7) 및 표면보호필름(6) 순으로 적층된 편광판(222)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5 : 폴리에스테르 필름 2 : 중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
3 : 점착제층 4 : 경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
6 : 표면보호필름 7, 9 : 보호필름
8 : 편광자

Claims (7)

  1. 경박리이형필름층, 점착제층 및 중박리이형필름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진 점착제전사테이프로서,
    상기 점착제에 대하여, 경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은 2g/25㎜ 내지 3.5g/25㎜ 범위이고,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은 4g/25㎜ 내지 8.75g/25㎜ 범위이며,
    상기 경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W2)에 대하여 중박리이형필름층의 박리력(W1)의 박리력 비율[W1/W2]은 2 내지 2.5배 범위인 점착제전사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박리이형필름층은 기재필름에 경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이 적층된 것인 점착제전사테이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박리이형필름층은 기재필름에 중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이 적층된 것인 점착제전사테이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전사테이프는
    2장의 기재필름 사이에,
    점착제층에 대한 박리력이 2g/25㎜ 내지 3.5g/25㎜ 범위인 경박리이형코팅층; 상기 경박리이형코팅층 상면에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 상면에 점착제층에 대한 박리력이 4g/25㎜ 내지 8.75g/25㎜ 범위인 중박리이형코팅층이 적층된 구조인 점착전사테이프.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의 점착제전사테이프가 구비된 액정 디스플레이용 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디스플레이용 부재는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인 액정디스플레이용 부재.
  7. 제 6 항의 액정디스플레이용 부재가 구비된 액정소자장치.
KR1020080058131A 2008-06-20 2008-06-20 액정 디스플레이 부재용 점착제전사테이프 KR200901320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131A KR20090132061A (ko) 2008-06-20 2008-06-20 액정 디스플레이 부재용 점착제전사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131A KR20090132061A (ko) 2008-06-20 2008-06-20 액정 디스플레이 부재용 점착제전사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061A true KR20090132061A (ko) 2009-12-30

Family

ID=41691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131A KR20090132061A (ko) 2008-06-20 2008-06-20 액정 디스플레이 부재용 점착제전사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320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590A (ko) * 2012-10-08 2014-04-2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점착필름용 이형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19151099A (ja) * 2018-03-02 2019-09-12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KR20200121407A (ko) * 2019-04-15 2020-10-26 주식회사 야스 점착척의 점착 시트 교체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KR20220021085A (ko) * 2020-08-12 2022-02-22 주식회사 야스 점착척의 점착 시트 교체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6590A (ko) * 2012-10-08 2014-04-2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점착필름용 이형 필름 및 그 제조방법
JP2019151099A (ja) * 2018-03-02 2019-09-12 住友化学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KR20200121407A (ko) * 2019-04-15 2020-10-26 주식회사 야스 점착척의 점착 시트 교체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KR20220021085A (ko) * 2020-08-12 2022-02-22 주식회사 야스 점착척의 점착 시트 교체를 위한 자동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51828B2 (ja)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3880418B2 (ja)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の表示装置への貼着固定方法
CN103764777B (zh) 压敏粘合剂
KR100594514B1 (ko)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5179491B2 (ja) 光学補償された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これを含む偏光板及び液晶表示素子
JP6071224B2 (ja) 粘着シート
KR20180088277A (ko) 광학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60107113A (ko)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JP2013068942A (ja) 保護フィルムおよび保護フィルム付偏光板
KR20160107112A (ko)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KR20160115765A (ko)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KR20130078388A (ko) 무기재 점착테이프
KR20090132061A (ko) 액정 디스플레이 부재용 점착제전사테이프
KR20100077771A (ko) 박막형 편광판의 제조방법, 박막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20080087971A (ko) 액정 디스플레이용 부재에 사용되는 점착제 전사 테이프
KR20090132116A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220146681A (ko) 양면 점착제를 구비한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60107114A (ko)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
KR20110005114A (ko)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
CN113242987A (zh) 带粘合剂层的偏振膜
JP7407229B2 (ja)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画像表示装置、及び粘着剤層付き偏光板
JP7407228B2 (ja)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層、画像表示装置、及び粘着剤層付き偏光板
KR100528807B1 (ko) 편광판용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US20070244255A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nd method for improving weatherability thereof
KR102469376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