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114A -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114A
KR20110005114A KR1020090062644A KR20090062644A KR20110005114A KR 20110005114 A KR20110005114 A KR 20110005114A KR 1020090062644 A KR1020090062644 A KR 1020090062644A KR 20090062644 A KR20090062644 A KR 20090062644A KR 20110005114 A KR20110005114 A KR 20110005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ease
pressure
release film
sensitive adhesive
p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2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주열
최영식
최한영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2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5114A/ko
Publication of KR20110005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1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32B2037/268Release lay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박리이형필름, 점착제층 및 제2 박리이형필름을 포함하는 점착제전사테이프의 박리력 비율에 상관없이 점착제층의 저장탄성율에 따라 상기 제1 박리이형필름을 박리하여 편광판과 점착제층을 접합시키는 공정의 패스 라인을 변경함으로써, 종래 이형필름의 박리력 및 박리력 비율에 따른 점착제이형박리불량(나키와카레), 실리콘(Si) 배면전사 및 이형필름(SP) 미박리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여 공정불량을 개선할 수 있는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점착제전사테이프, 편광판, 저장탄성율, 박리이형필름

Description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POLARIZING PLATE WITH ADHESIVE}
본 발명은 점착제이형박리불량(나키와카레), 실리콘(Si) 배면전사 및 이형필름(SP) 미박리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광판 또는 위상차판 등의 액정표시장치용 부재의 적층체를 납기 내에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하여 점착 가공 후에 점착제의 숙성에 필요한 시간적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우선시 되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는, 구체적으로 점착제층을 박리 레벨이 다른 2장의 박리 필름 사이에 끼우는 구조를 가지는 점착제전사테이프를 이용하여 편광판 적층체 또는 위상차판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일본공개특허 제2005-023169호, 일본공개특허 제2003-147288호, 일본공개특허 제2003-177241호].
그러나, 이와 같은 점착제전사테이프는 편광판 및 위상차판에 직접 도공을 수행하는 직접 도공법을 실시하는 경우에 비해 필연적으로 이형필름을 추가로 한 장 더 사용하게 되므로 하기와 같은 점착제전사테이프만의 근본적인 문제를 내제하게 된다.
먼저, 점착제전사테이프는 폴리에스테르계 필름과 경박리실리콘이형코팅층을 포함하는 경박리실리콘이형필름을 사용하므로, 박리력을 낮게 유지하기 위해 실리콘 오일과 같은 별도의 성분을 추가하는 공정이 요구된다. 이러한 추가공정은 이형필름의 권취상태에서 실리콘이 배면에 전사되는 실리콘(Si) 배면전사 문제를 일으키게 되어 잉크마킹불량 및 중박리이형필름 배면의 테이프 접착력 하락의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여기서, 중박리이형필름 배면의 테이프 접착력 하락은 편광판 적층체를 고객사의 인라인(in-line) 공정에서 셀글라스에 접합하기 위해 테이프를 이용하여 중박리이형필름을 벗기게 되는데, 이때 실리콘 배면전사가 발생한 경우는 테이프와의 접착력이 약하여 공정성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점착제전사테이프의 경박리이형필름을 박리할 때 중박리이형필름에 남아 있어야 할 점착제층이 경박리이형필름 쪽에 남아 있게 되는 현상, 특히 고속박리시 자주 발생하는 점착제이형박리불량(또는 “나키와카레”라 함)을 방지하기 위하여 점착제에 대한 중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W2)/경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W1)의 박리력 비율을 높게 유지한다. 따라서, 중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이 높을 수 밖에 없고, 그 결과 고객사에서 중박리이형필름의 박리가 어렵게 되며 실리콘 배면전사문제와 결부되어 고객사에서 테이프를 이용한 초기 박리에 실패하여 라인스톱(line-stop)이 발생하거나 테이프의 교체주기가 빨라지는 등의 이형필름 미박 리 문제의 발생빈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기존의 문헌에서 제시되고 있는 점착제전사테이프는 점착제이형박리불량(나키와카레)만을 고려하여 W2/W1의 박리력 비율을 1.5 내지 5배 범위까지 폭넓게 적용하고 있다[일본공개특허 제2005-023169호, 일본공개특허 제2003-147288호, 일본공개특허 제2003-177241호].
그러나, 상기와 같이 박리력 비율의 조절로는 점착제이형박리불량은 해결할 수 있지만 경박리이형필름의 실리콘 배면전사 문제 및 중박리이형필름의 미박리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는 어려우며, 박리력을 조절하는 경우에도 경시에 의해 경박리 또는 중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이 같아지거나 또는 역전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원하는 효과를 얻기는 어렵다.
본 발명은 이형필름의 박리력 또는 경시에 의한 경박리 또는 중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의 변화에 상관없이 점착제층의 저장탄성율에 따라 점착제전사테이프와 편광판의 접합공정 패스 라인을 변경함으로써, 박리력 비율이 낮은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점착제이형박리불량(나키와카레) 문제를 해결하고, 경박리이형필름의 낮은 박리력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실리콘(Si) 배면전사 문제와 중박리이형필름의 높은 박리력으로 인해 초래되는 이형필름(SP) 미박리 문제도 동시에 해결하여, 제조사 및 고객사에서의 공정불량으로 인한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 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의 한 면에 적층된 제1 박리이형필름 및 상기 점착제층의 다른 한 면에 적층된 제2 박리이형필름을 포함하는 점착제전사테이프로부터 상기 제1 박리이형필름을 박리하여 상기 점착제층을 편광판에 접합하는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저장탄성율(G')이 하기 (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박리이형필름을 들어올려 상기 점착제전사테이프로부터 박리하고, 상기 점착제층의 저장탄성율(G')이 하기 (ⅱ)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점착제층 및 제2 박리이형필름을 들어올려 상기 점착제전사테이프로부터 분리시킨 후 남은 상기 제1 박리이형필름을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ⅰ) 2×105 ≤ 저장탄성율(G', 23℃) < 2×106
(ⅱ) 2×106 ≤ 저장탄성율(G', 23℃) ≤ 2×107
본 발명에 따르면, 점착제전사테이프를 구성하고 있는 이형필름의 경박리 또는 중박리이형코팅층의 박리력 또는 경시에 따른 박리력의 변화에 상관없이 점착제층의 저장탄성율에 따라 상기 점착제전사테이프와 편광판의 접합공정 패스 라인을 변경하여, 종래 박리력 비율이 낮은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점착제이형박리불량(나키와카레) 문제를 해결하고 경박리이형필름의 낮은 박리력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실리콘(Si) 배면전사 문제와 중박리이형필름의 높은 박리력으로 인해 초래되는 이형필름(SP) 미박리 문제도 동시에 해결하여, 제조사 및 고객사에서의 공정불량으로 인한 손실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점착제이형박리불량(나키와카레), 실리콘(Si) 배면전사 및 이형필름(SP) 미박리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은 점착제층, 점착제층의 한 면에 적층된 제1 박리이형필름 및 점착제층의 다른 한 면에 적층된 제2 박리이형필름을 포함하는 점착제전사테이프로부터 제1 박리이형필름을 박리하여 점착제층을 편광판에 접합하되, 점착제층의 저장탄성율(G')에 따라 점착제전사테이프의 제1 박리이형필름을 박리하는 방법을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상세하게, 점착제층의 저장탄성율(G')이 하기 (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1 박리이형필름을 들어올려 점착제전사테이프로부터 박리하고, 점착제층의 저장탄성율(G')이 하기 (ⅱ)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점착제층 및 제2 박리이형필 름을 들어올려 점착제전사테이프로부터 분리시킨 후 남은 제1 박리이형필름을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ⅰ) 2×105 ≤ 저장탄성율(G', 23℃) < 2×106
(ⅱ) 2×106 ≤ 저장탄성율(G', 23℃) ≤ 2×107
본 발명의 점착제전사테이프는 점착제층, 점착제층의 한 면에 적층된 제1 박리이형필름 및 점착제층의 다른 한 면에 적층된 제2 박리이형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제1 박리이형필름 및 제2 박리이형필름은 통상적으로 기재필름에 이형제를 코팅하여 형성된다.
기재필름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학용 투명기재필름으로 투명성이 있는 플라스틱 필름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노르보르넨계 또는 다환 노르보르넨계 단량체 등과 같은 시클로올레핀을 포함하는 단량체의 단위를 갖는 시클로올레핀계 유도체;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에틸렌-아세트산비닐셀룰로오스공중합체,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및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또는 폴리시클로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아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아크릴,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술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아세탈,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 술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우레탄 및 에폭시 등의 열가소성 고분자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미연신(未延伸), 1축 또는 2축 연신된 필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기재필름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 된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들은 1축 또는 2축 연신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수지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블렌드하여 사용하여도 좋으나, 내열성이나 표면에 실리콘 이형처리가 용이하다는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비용면을 고려한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재필름은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너무 얇으면 강도가 저하되어 가공성이 뒤떨어지게 되고, 반면에 너무 두꺼운 경우에는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편광판의 중량이 커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사용시 취급의 편리성 및 가격 등의 관점을 고려하여 10 내지 100㎛ 범위인 것을 사용한다.
기재필름의 표면에 코팅되는 이형제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기재의 내열성을 고려하여 실리콘계 이형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비교적 저온에서 경화되는 부가반응형 실리콘계 이형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열과 자외선 경화를 병행할 수 있는 이형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제전사테이프(11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필름(1), 실리콘이형코팅층(2), 점착제층(3), 실리콘이형코팅층(4) 및 폴리에스테르필름(5)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폴리에스테르 필름(1)의 한 면에 실리콘이형코팅층(2)이 형성된 것은 제1 박리이형필름(11)이고, 다른 폴리에스테르 필름(5)의 한 면에 실리콘이형코팅층(4)이 형성된 것이 제2 박리이형필름(12)이다. 이러한 점착제전사테이프(111)는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5)의 한 면에 실리콘이형코팅층(4)을 형성시키고, 형성된 실리콘이형코팅층(4)의 상면에 점착제층(3)을 도포한다. 별도의 폴리에스테르 필름(1)의 한 면에 실리콘이형코팅층(2)을 형성시킨 후, 상기에서 제조된 점착제층(3)의 상면과 실리콘이형코팅층(2)의 상면을 적층하여 제조한다.
본 발명은 일례로 제1 박리이형필름으로 기재필름의 표면에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이형제를 도포하여 사용하는 바, 편광판이나 위상차판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벗기는 때에 점착제 표면을 훼손하여 편광판이나 위상차판을 유리 등에 접착한 때에 외관이 나빠지지 않도록 잔류 접착성을 떨어뜨리지 않은 범위에서 박리가 쉬운 이형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실리콘계 이형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례로 제2 박리이형필름은 1축 연신 폴리에스테르필름에 부가형 실리콘 이형제를 도포하여 사용하는 바, 이때 건조는 130℃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 건조 및 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가 13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열수축하거나 또는 배향축이 뒤틀리는 문제가 있어서 편광판 의 이물 검사에서 정밀도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우려된다. 또한, 열을 가하지 않는 실리콘계 이형제로는 자외선 경화타입의 아크릴 실리콘, 메르캅토기 함유 실리콘 및 에폭시기 함유 실리콘도 사용할 수 있다.
제1 박리이형필름 및 제2 박리이형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도입되는 이형제의 도공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박리 성능을 고려하여 0.03 내지 2g/㎡ 범위,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4g/㎡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기재의 종류에 따라서 박리력은 다르게 나타나게 되나, 상기 도공량이 0.03g/㎡ 미만이면 박리 성능이 부족할 수 있고, 2g/㎡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편광판이나 위상차판으로부터 박리 필름을 벗기는 때에 점착제 표면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
또한, 제1 박리이형필름 및 제2 박리이형필름의 제조방법으로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팅법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그라비아 코팅, 메이어 바 코팅, 에어나이프 코팅 및 닥터나이프 코팅 등의 여러 가지의 방법에 의하여 이형제를 기재필름에 도포한 뒤, 가열 처리, 자외선 조사 등의 방법으로 건조, 경화시킴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박리이형제가 코팅된 제1 박리이형필름 및 제2 박리이형필름의 점착제에 대한 박리력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으며, 박리력이 서로 다른 경우에는 제1 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W1)이 제2 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W2) 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제1 박리이형필름 및 제2 박리이형필름의 점착제층에 대한 박리력은 3g/25㎜ 내지 10g/25㎜인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박리력이 3g/25㎜ 미만인 경우에는 박리이형코팅에 실리콘 오일이 사용되어 실리콘(Si) 배면전사가 발생하여 잉크마킹성이 떨어지고 테이프에 대한 배면 접착력이 저하되어 공정성이 나빠질 수 있으며, 10g/2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형필름(SP) 미박리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전사테이프의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점착제는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점착제가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 설명되는 내용은 적용 가능한 점착제의 구체적인 예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의 주성분으로는, 여러 가지 형태의 아크릴계, 실리콘계, 고무계, 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에폭시계의 1종의 단일 또는 2종 이상의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일례로,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로는 가교제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90 내지 10℃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호모폴리머 제조용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 이소시아네이트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단량체, 및 필요에 따라 그 밖의 아크릴계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얻은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메타)아크릴”이란 “메타크릴” 또는 “아크릴”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90 내지 10℃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호모폴리머 제조용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공중합체 내에 이소시아네이트와 가교 가 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응집력을 보강하여 점착 내구성과 절단성을 향상시키거나, 반대로 응력완화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90 내지 10℃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호모폴리머 제조용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로는 구체적으로, n-옥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노닐아크릴레이트, 펜틸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n-데실메타크릴레이트, n-도데실메타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 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3-메틸부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n-옥틸메타크릴레이트 및 n-테트라데실메타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단량체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90 내지 10℃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호모폴리머 제조용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호모폴리머 제조용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를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들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 내에 85 내지 99.9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90 내지 95중량부를 투입하여 공중합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단량체의 함량이 8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초기 점착력과 응력 완화 작용이 약화될 수 있으며, 99.9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착제 내구성의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단량체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이량체, 이타콘산, 말레인산, 2-히드록시에 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아미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에도 수산기, 카르복시기 또는 이미드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단량체는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단량체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 내에 0.1 내지 15중량부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중량부를 투입하여 공중합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상기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함유한 단량체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점착제의 응집력이 작게 되어 점착 내구성 및 절단성의 물성을 해치게 되며, 1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잔류응력 완화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그 밖의 아크릴계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 내에 0.1 내지 15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 내지 8 중량부를 투입하여 공중합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그 밖의 아크릴계 단량체의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점착제의 응집력이 작게 되어 점착 내구성 및 절단성의 물성을 해치는 결과가 되며, 1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잔류응력 완화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조성의 단량체를 공중합하여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는데,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용액중합법, 광중합법, 벌크중합법, 현탁중합법 또는 유화중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공 중합체는 용액중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며, 중합온도는 50 내지 1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단량체를 균일하게 혼합한 상태에서 개시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점착 특성 및 코팅성 등을 고려하여 중량평균분자량 200,000 내지 2,500,000 범위의 값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는 점착제 조성물의 응집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지의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교제의 예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예컨대 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 또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이러한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과 같은 다가 알코올계 화합물과의 어덕트체가 사용될 수 있고; 멜라민 유도체, 예컨대 헥사메틸올멜라민,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헥사부톡시메틸멜라민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폴리에폭시 화합물, 예컨대 비스페놀 A·에피클로로히드린 축합체형의 에폭시 화합물,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 디- 또는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테트라글리시딜크실렌디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아지리딘의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고형분 함량 기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5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중량부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상기 사용량이 1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부족한 가교도로 인 해 응집력이 작게 되어 점착 내구성 및 절단성의 물성을 해칠 수 있으며, 1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다 가교반응에 의한 잔류응력 완화에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점착제 조성물에는 저장탄성율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중에 혼합 및 분산되어 균일하고 높은 저장탄성율을 부여할 수 있는 미립자 또는 셀룰로오스 수지 등을 첨가할 수 있다.
미립자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굴절율이 같은 것으로서, 실리카, 탄산칼륨,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이산화티탄 등의 무기입자;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에폭시 수지로 된 유기입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스티렌-아크릴 공중합체 수지로 된 미립자가 아크릴계 공중합체에 대한 분산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로 된 입자가 좋다. 미립자는 아크릴계 공중합체(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70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중량부인 것이 좋다. 상기 사용량이 1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저장탄성율 조절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7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착성능이 떨어져 내구성이 저하된다.
셀룰로오스 수지는 구체적으로,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CA),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rate, CAB),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arboxymethyl cellulose, CMC), 셀룰로오스 니트레이 트(cellullose nitrate, CN), 셀룰로오스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propionate, CP), 에틸 셀룰로오스(ethyl cellulose, EC),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carboxymethyl cellulose acetate butyrate, CMCAB)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 수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70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점착제 조성물에 첨가되는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10 내지 65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60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좋다. 상기 사용량이 1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저장탄성율 조절 효과를 얻기 어려우며, 7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착성능이 떨어져 내구성이 저하된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에는 공지의 실란계 커플링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실란계 커플링제로는 에폭시기를 함유하는 실란계 커플링제가 바람직한데, 예를 들면 감마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사용될 수 있다. 실란계 커플링제 분자 내의 에폭시기는 공중합체의 반응성 작용기와 결합하고, 알콕시실란 부분은 점착제가 적용되는 기재, 예컨대 액정셀의 유리기판과 강하게 결합함으로써, 점착제와 기재, 예컨대 액정셀을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여 접착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내열내습 특성을 보다 향상시키며, 특히 고온 고습 하에서 장시간 방치되었을 경우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한다. 실란계 커플링제는 아크릴계 공중합체(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점착 성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점착성부여 수지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점착성부여 수지는 구체적으로 (수첨)하 이드로카본계 수지, (수첨)로진 수지, (수첨)로진에스테르 수지, (수첨)터펜 수지, (수첨)터펜페놀 수지, 중합로진 수지, 중합로진에스테르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점착성 부여 수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성부여 수지가 100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면 점착제의 상용성 또는 응집력을 감소시키는 경우가 있어 주의하여 적절하게 첨가하여야 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가소제, 에폭시 수지 및 경화제 등을 추가로 혼합 사용할 수 있고,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대전방지제 등을 일반적인 목적에 따라 적절히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최적의 물성 균형을 고려할 때, 점착제의 가교밀도가 5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 언급된 가교밀도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아크릴계 점착제의 겔 함량 측정법을 통하여 용매에 용해되지 않은 가교구조를 형성한 부분의 양을 측정하여 얻을 수 있다.
점착제의 도포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포법으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구체적으로 다이코터, 그라비아롤 코터, 콤마 코터, 에어 나이프 코터 등을 이용하고 수행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5 내지 100㎛ 범위,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30㎛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점착제층의 점착력은 유리 피착체에 대한 점착력으로, 100g/25㎜ 내지 2500g/25㎜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광학 용도로 사용하므로 투과율(전광선 투과율)이 9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투과율은, 점착제 전사 테이프의 점착제층을 두께 3㎜의 석영판에 접합하고, 박리 필름을 박리한 상태로 투과율을 측정한 값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제1 박리이형필름, 점착제층 및 제2 박리이형필름을 포함하는 점착제전사테이프의 제1 박리이형필름을 박리하고 점착제층을 편광판에 접합하여 점착제 부착 편광판을 제조한다. 특히, 본 발명은 제1 박리이형필름 및 제2 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의 크기 및 비율에 상관없이 점착제층의 저장탄성율(G') 범위에 따라 제1 박리이형필름을 박리하는 방법을 다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점착제층의 저장탄성율(G')이 (ⅰ) 2×105 ≤ 저장탄성율(G', 23℃) < 2×106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제1 박리이형필름을 들어올려 점착제전사테이프로부터 박리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점착제전사테이프(111)는 이송롤(120)을 이용하여 이송되고 장력 인가 장치(130)로 장력이 인가되는데, 제1 박리이형필름(11)은 진행방향으로 수평상태로 이송되는 점착제전사테이프(111)의 제1 박리이형필름(11)의 상부 방향으로 들어올려져 점착제전사테이프(111)로부터 분리되어 박리된다. 즉, 제1 박리이형필름(11)은 점착제전사테이 프(111)의 진행방향과 일정 각도(분리각도, θ1)를 이루도록 들어올려져서(구부려져) 분리됨으로써 박리되고, 별도의 롤에 권취되는 것이다. 제1 박리이형필름(11)이 분리된 후 나머지 점착제층이 적층된 제2 박리이형필름(12')은 점착제전사테이프(111)의 진행방향으로 그대로 이송된 후 별도로 이송된 편광판(13)과 접합되어 점착제 부착 편광판(222)으로 제조된다.
제1 박리이형필름(11)이 들어올려져서 분리되는 분리각도(θ1)는 하기와 같이 설명된다. 제1 박리이형필름(11)은 롤에 접촉되어 들어올려지는데, 이때 제1 박리이형필름(11)과 롤의 접촉되는 끝부분을 정점(A)이라 하고, 정점(A)을 연장하여 제1 박리이형필름(11)이 박리된 후의 점착제층이 적층된 제2 박리이형필름(12')과 만나게 되는 지점을 접점(B)라 하였을 때, 정점(A)과 접점(B)을 연결한 선과 진행방향이 이루게 되는 각도(θ1)를 의미한다. 여기서, 진행방향은 초기의 점착제전사테이프(111)가 이송된 방향, 또는 제1 박리이형필름(11)이 박리된 이후 점착제층이 적층된 제2 박리이형필름(12')이 이송되는 방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분리각도(θ1)는 40° 내지 1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각도(θ1)가 40° 미만인 경우에는 분리될 때의 박리력이 높아져 점착제이형박리불량(나키와카레)이 발생하고, 1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1 박리이형필름(11)뿐만 아니라 점착제층이 적층된 제2 박리이형필름(12')도 들어올려져서 분리되기 때문에 여전히 점착제이형박리불량(나키와카레)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제1 박리이형필름(11)에 인가되는 장력은 점착제층이 적층된 제2 박리이형필름(12')에 인가되는 장력보다 더 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점착제이형박리불량(나키와카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점착제전사테이프의 박리방법 및 장력을 조절하게 되면 제1 박리이형필름(11)을 원래 치수보다 팽창시켜 응력이 발생하게 되며, 저장탄성율(G')이 (ⅰ) 2×105 ≤ 저장탄성율(G', 23℃) < 2×106을 만족하는 점착제층은 발생된 응력을 완화시켜 제2 박리이형필름에 전달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1 박리이형필름(11)과 점착제층 표면에 발생하는 응력차이가 제2 박리이형필름(12')과 점착제층의 표면에 발생하는 응력차이보다 크게 되어 박리가 제1 박리이형필름(11)과 점착제층 사이에서 일어나게 되며 점착제이형박리불량(나키와카레)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점착제층의 저장탄성율(G')이 (ⅱ) 2×106 ≤ 저장탄성율(G', 23℃) ≤ 2×107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제1 박리이형필름이 아닌 점착제층 및 제2 박리이형필름을 들어올려 점착제전사테이프(111)로부터 분리시키고, 분리되고 남은 제1 박리이형필름을 박리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점착제전사테이프(111)는 이송되며, 점착제층이 적층된 제2 박리이형필름(12')은 진행방향으로 수평상태로 이송되는 점착제전사테이프(111)의 제2 박리이형필름의 상부 방향(12')으로 들어올려져 분리되고, 이와 분리된 나머지 제1 박리이형필름(11)은 진행방향 으로 수평상태로 이송된 후 별도의 롤에 권취된다. 즉, 점착제층이 적층된 제2 박리이형필름(12')은 점착제전사테이프(111)의 진행방향과 일정 각도(분리각도, θ2)를 이루도록 들어올려져(구부려져) 점착제전사테이프로부터 분리되어 이송된 후 별도로 이송된 편광판(15)과 접합되어 점착제 부착 편광판(222)으로 제조된다.
점착제층이 적층된 제2 박리이형필름(12')이 들어올려져서 분리되는 분리각도(θ2)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1 박리이형필름(11)의 분리각도(θ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되며, 그 각도는 40° 내지 18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리각도(θ2)가 40° 미만인 경우에는 분리될 때의 박리력이 높아져 점착제이형박리불량(나키와카레)이 발생하고, 18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착제층이 적층된 제2 박리이형필름(12')뿐만 아니라 제1 박리이형필름(11)도 들어올려져서 분리되기 때문에 여전히 점착제이형박리불량(나키와카레)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점착제층이 적층된 제2 박리이형필름(12')에 인가되는 장력은 제1 박리이형필름(11)에 인가되는 장력보다 더 크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점착제이형박리불량(나키와카레)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르면, 점착제층이 적층된 제2 박리이형필름(12')의 제2 박리이형필름을 원래 치수보다 팽창시켜 응력이 발생하게 되며, 저장탄성율(G')이 2×106 ≤ 저장탄성율(G', 23℃) ≤ 2×107을 만족하는 점착제층은 발생된 응력을 그대로 제1 박리이형필름(11)에 전달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2 박리이형필름과 점착제층 표면에 발생하는 응력차이가 제1 박리이형필름(11)과 점착제층 표면에 발생하는 응력차이보다 작아지게 되어 박리가 제1 박리이형필름(11)과 점착제층 사이에서 일어나게 되며 점착제이형박리불량(나키와카레)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점착제층의 저장탄성율(G')에 따라 제1 박리이형필름을 박리하는 방법을 다르게 하여 편광판과 점착제층을 접합하는 공정을 변화시킴으로써, 점착제이형박리불량(나키와카레), 실리콘(Si) 배면전사 및 이형필름(SP) 미박리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종래의 방법과는 다르게, 제1 박리이형필름 및 제2 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이 3g/25㎜ 내지 10g/25㎜의 범위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박리력의 크기 또는 비율에 상관없이 과제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점착제 부착 편광판을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부착 편광판(222)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에스테르필름(5), 실리콘이형코팅층(4), 점착제층(3), 보호필름(6), 편광자(7), 보호필름(8) 및 표면보호필름(9)의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편광판(222)은 도 1에 나타낸 점착제전사테이프(111)의 폴리에스테르 필름(1)에 실리콘이형코팅층(2)이 형성된 제1 박리이형필름(11)을 박리한 후 점착제층(3) 및 제2 박리이형필름(12)을 편광판의 보호필름 상에 적층하여 제조한 것이다. 이때, 편광판과 접합되는 점착제층면 또는 편광판의 보호필름면에 밀착성향상을 위해 코로나 또는 플라즈마 처리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간단하게 점착제층 부착 편광판과 같은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보호필름(6), 편광자(7), 보호필름(8) 및 표면보호필름(9)의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 편광판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나, 편광판의 구조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편광판 이외의 위상차판 적층체와 같은 다른 액정표시장치용 부재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 부착 편광판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액정표시장치는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2 박리이형필름을 박리한 후 점착제층을 액정 패널에 붙이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실시예]
제조예 1: 박리이형필름A-E 제조
제조예 1.1: 박리이형필름A 제조
두께가 38㎛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1축 횡연신 필름인 에스테르 K1581(동양방적주식회사)의 일면에, 주제인 부가반응형 실리콘계 이형제인 KS- 778(신에쓰화학공업주식회사) 100중량부에 촉매인 SRX-212(토우레·다우코닝실리콘주식회사) 2중량부 및 박리제인 KF-965(신에쓰화학공업주식회사) 5중량부를 첨가하고, 이 조성물을 베이커 어플리케이터를 장착한 자동 도공기를 이용하여 고형분이 0.2g/㎡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이후에 110℃의 열풍순환식 건조로에서 60초간 건조하여 이형코팅층이 형성된 박리이형필름A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1.2-1.5: 박리이형필름B-E 제조
상기 제조예 1.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박리이형코팅층의 형성시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사용하였다.
구분 박리이형코팅층 성분 (중량부)
주제 촉매 박리제 도포량(g/㎡)
이형필름
(A)
KS-778
(100)
SRX-212
(2)
XF-965
(5)
0.2
이형필름
(B)
SRX-211
(100)
SRX-212
(2)
X90-128
(15)
0.3
이형필름
(C)
SRX-211
(100)
SRX-212
(2)
X90-128
(10)
0.3
이형필름
(D)
SRX-211
(100)
SRX-212
(2)
X90-128
(20)
0.2
이형필름
(E)
SRX-211
(100)
SRX-212
(2)
X90-128
(35)
0.2
KS-778: 신에쓰화학공업주식회사
SRX-211: 토우레·다우코닝실리콘주식회사
SRX-212: 토우레·다우코닝실리콘주식회사
XF-965: 신에쓰화학공업주식회사
X90-128: 신에쓰화학공업주식회사
제조예 2: 아크릴계 공중합체 제조
4-넥 재킷(neck jacket) 반응기(1L)에 교반기, 온도계, 환류 냉각관, 적하 로트 및 질소 가스 도입관을 장치하고, 반응장치에 질소가스를 투입하여 치환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 164중량부, n-부틸아크릴레이트 126중량부, 아크릴산 0.5중량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1.3중량부를 투입하고, 반응기의 외부온도를 50℃로 승온하였다. 이어서, 반응기에 에틸아세테이트 10중량부에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14중량부를 완전히 용해한 용액을 적하하였다. 재킷 외부 온도를 50℃로 유지하면서 추가적으로 5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 90중량부를 1시간 동안 적하 로트를 이용하여 천천히 적하하였다. 또한, 동일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추가적으로 교반한 후 에틸아세테이트 304중량부를 가하고, 다시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최종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고형분 함량이 20%이고, GPC법에 의한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500,000이었다.
제조예 3: 점착제전사테이프Ⅰ-Ⅵ 제조
제조예 3.1-3.4: 점착제전사테이프Ⅰ-Ⅳ 제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고형분) 100중량부에 가교제인 트리메틸올프로판-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Coronate L, Nippon Polyurethane Industry사 제조) 0.8중량부, 실란커플링제인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KBM-403) 0.15중량부를 에틸아세테이트 용매에 분산시킨 용액을 투입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하기 표 2와 같이 제2 박리이형필름(350㎝×500㎝) 상에 건조막 두께가 25㎛이고 면적이 310㎝×470㎝이 되도록 도공하고 100℃에서 2분간 건조한 후, 제1 박리이형필름을 적층하여 25℃, 50%RH의 항온항습기에서 14일간 양생하여 점착제전사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5-3.6: 점착제전사테이프Ⅴ-Ⅵ 제조
제조예 2에서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고형분) 100중량부에 가교제인 트리메틸올프로판-변성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Coronate L, Nippon Polyurethane Industry사 제조) 0.8중량부, 실란커플링제인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KBM-403) 0.15중량부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입자(평균입자직경:10㎛) 50중량부를 에틸아세테이트 용매에 분산시킨 용액을 투입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예 3.1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점착제전사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점착제전사
테이프
제1 박리이형필름 제2 박리이형필름 박리비(W2/W1)
종류 박리력(W1) 종류 박리력(W2)
A 1.0 B 3.5 3.5
B 3.5 E 12 3.4
B 3.5 C 4.5 1.3
D 7.5 C 4.5 0.6
B 3.7 C 4.7 1.3
D 7.7 C 4.7 0.6
실시예: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
실시예 1-6 및 비교예 1-2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점착제 부착 편광판을 제조하기 위하여, 보호필름, 편광자, 보호필름 및 표면보호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된 통상의 편광판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점착제전사테이프의 저장탄성율(G')에 따라 하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법,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법(방법 1) 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법(도 3)으로 점착제 부착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제1 박리이형필름을 각도(θ1)가 130°가 되도록 들어올려 분리시켜 박리시키고, 점착제층이 적층된 제2 박리이형필름은 진행방향으로 수평상태로 이동시킨 후 점착제층과 편광판의 보호필름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합하여 점착제 부착 편광판을 제조하였다(방법 1). 또는, 점착제층이 적층된 제2 박리이형필름을 각도(θ2)가 130°가 되도록 들어올려서 제1 박리이형필름과 분리시키고, 분리된 제1 박리이형필름은 박리시켰다. 점착제층이 적층된 제2 박리이형필름은 이동시킨 후 점착제층과 편광판의 보호필름이 서로 마주하도록 접합하여 점착제 부착 편광판을 제조하였다(방법 2).
구분 점착제전사테이프 박리방법 장력
종류 저장탄성율(G') 제1박리이형필름 제2박리이형필름
실시예 1 5.5×105 방법1
실시예 2 5.5×105 방법1
실시예 3 4.0×106 방법2
실시예 4 4.0×106 방법2
실시예 5 5.5×105 방법1
실시예 6 5.5×105 방법1
비교예 1 5.5×105 방법2
비교예 2 4.0×106 방법1
시험예
상기 제조된 점착제전사테이프 및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1) 점착제이형박리불량(나키와카레)
제조된 점착제전사테이프를 롤 형상으로 권취된 제품을 재권취할 수 있는 리와인더장치에 장착하고 제1 박리이형필름을 20m/min의 속도로 박리하면서 인라인상에서 점착제이형박리불량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하기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판정1: 점착제이형박리불량이 전혀 발생하지 않음.
판정2: 점착제층의 끝단이 약간 들뜸.
판정3: 점착제층의 끝단에서 미세하게 점착제이형박리불량이 발생, 1% 미만으로 점착제가 제1 박리이형필름 쪽으로 전사됨.
판정4: 1% 이상-5% 미만으로 점착제가 제1 박리이형필름 쪽으로 전사됨.
판정5: 편광판 접합 불가. 5% 이상으로 점착제가 제1 박리이형필름 쪽으로 전사됨.
2) 실리콘(Si) 배면전사 평가
제조된 점착제전사테이프 및 점착제 부착 편광판에서 각각 샘플을 10㎝×10㎝로 채취하여 제2 박리이형필름면에 매직으로 10회 마킹 테스트를 실시하여 마킹의 양호성을 확인하고, 하기 기준에 의거하여 평가하였다.
◎: 마킹성이 우수(Si 배면전사가 없음)
△: 마킹성이 보통(Si 배면전사 다소 발생)
×: 마킹성이 나쁨(Si 배면전사가 많음)
3) 이형필름(SP) 미박리 평가
점착제 부착 편광판을 32인치의 크기로 커팅한 후, 커팅 단면이 폭방향으로 25㎜가 되게 하여 25㎜(커팅 단면 쪽)×250㎜(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다음, 글래스(Glass)에 2㎏의 하중으로 간이 접합하였다. 그 후, 커팅 단면부의 제2 박리이형필름 쪽에 100㎜×16㎜의 NITTO 31B 테이프를 10㎜만 제2 박리이형필름에 손으로 가볍게 눌러 접합한다. 인장력시험기의 하부 로드셀 지그부분에 글래스를 고정시키고 상부 로드셀 지그부분에 NITTO 31B 테이프를 고정시킨 후, 180° 박리테스트(TEST)를 300㎜/min으로 실시하여 초기 최대박리값을 읽는다.
◎: SP 미박리 없음(초기박리력(MAX값) < 40g/25㎜)
△: SP 미박리가 간헐적으로 발생(40g/25㎜ ≤ 초기박리력(MAX값) < 60g/25㎜)
×: SP 미박리 발생(60g/25㎜ ≤ 초기박리력(MAX값))
구분 점착제이형박리불량
(나키와카레)
실리콘(Si)
배면전사
이형필름(SP)
미박리
실시예 1 1
실시예 2 2
실시예 3 1
실시예 4 2
실시예 5 1
실시예 6 1
비교예 1 5
비교예 2 5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점착제 부착 편광판은 비교예에서 제조된 것과 비교하여 점착제이형박리불량, 실리콘(Si) 배면전사 및 이형필름(SP) 미박리 문제를 동시에 방지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2 및 4는 종래와 다르게 제1 박리이형필름 및 제2 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이 역전되어 박리비가 크게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박리력 또는 박리력 비율에 상관없이 점착제의 저장탄성율(G')에 따라 제조방법을 다르게 함으로써 상기 문제와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5와 6을 통하여 제1 및 제2 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 범위가 3g/25㎜ 내지 10g/25㎜인 경우 실리콘(Si) 배면전사 문제도 보다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점착제이형박리불량(나키와카레), 실리콘(Si) 배면전사 및 이형필름(SP) 미박리 문제와 같은 공정불량의 개선이 요구되는 점착제 부착 편광판 및 각종 화상표시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제전사테이프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점착제층의 저장탄성율(G')이 (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의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 공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점착제층의 저장탄성율(G')이 (ⅱ)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의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5: 폴리에스테르 필름 2, 4: 실리콘이형코팅층
3: 점착제층 6, 8: 보호필름
7: 편광자 9: 표면보호필름
11: 제1 박리이형필름 12: 제2 박리이형필름
12': 점착제 적층 제2 박리이형필름
13: 편광판 111: 점착제전사테이프
120: 이송롤 130: 장력 인가 장치
222: 점착제 부착 편광판

Claims (8)

  1. 점착제층, 상기 점착제층의 한 면에 적층된 제1 박리이형필름 및 상기 점착제층의 다른 한 면에 적층된 제2 박리이형필름을 포함하는 점착제전사테이프로부터 상기 제1 박리이형필름을 박리하여 상기 점착제층을 편광판에 접합하는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저장탄성율(G')이 하기 (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박리이형필름을 들어올려 상기 점착제전사테이프로부터 박리하고,
    상기 점착제층의 저장탄성율(G')이 하기 (ⅱ)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점착제층 및 제2 박리이형필름을 들어올려 상기 점착제전사테이프로부터 분리시킨 후 남은 상기 제1 박리이형필름을 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
    (ⅰ) 2×105 ≤ 저장탄성율(G', 23℃) < 2×106
    (ⅱ) 2×106 ≤ 저장탄성율(G', 23℃) ≤ 2×107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박리이형필름을 들어올리는 박리각도(θ1)는 수평상태의 점착제전사테이프를 기준으로 제1 박리이형필름 방향으로 40° 내지 180°이고, 상기 점착 제층 및 제2 박리이형필름을 들어올리는 박리각도(θ2)는 수평상태의 점착제전사테이프를 기준으로 제2 박리이형필름 방향으로 40° 내지 180°인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ⅰ)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점착제층 및 제2 박리이형필름보다 상기 제1 박리이형필름에 더 큰 장력을 인가하고, 상기 (ⅱ)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제1 박리이형필름보다 상기 점착제층 및 제2 박리이형필름에 더 큰 장력을 인가하는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W1)과 제2 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W2)은 3g/25㎜ 내지 10g/25㎜인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 .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W1)과 상기 제2 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W2)은 서로 같은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W1)보다 상기 제2 박리이형필름의 박리력(W2)이 작은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은 두께가 5 내지 100㎛이고, 유리 피착제에 대한 점착력이 100g/25㎜ 내지 2500g/25㎜이며, 투과율이 95% 이상인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박리이형필름 또는 제 2 박리이형필름은 폴리에스테르필름 및 상기 폴리에스테르필름의 한 면에 적층된 실리콘이형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인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
KR1020090062644A 2009-07-09 2009-07-09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 KR201100051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644A KR20110005114A (ko) 2009-07-09 2009-07-09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2644A KR20110005114A (ko) 2009-07-09 2009-07-09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114A true KR20110005114A (ko) 2011-01-17

Family

ID=43612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2644A KR20110005114A (ko) 2009-07-09 2009-07-09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51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8047A3 (ko) * 2011-08-25 2013-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KR101441003B1 (ko) * 2012-12-04 2014-09-17 (주)리가테크 접착력이 향상된 양면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28047A3 (ko) * 2011-08-25 2013-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CN103764777A (zh) * 2011-08-25 2014-04-30 Lg化学株式会社 粘合剂
CN103764777B (zh) * 2011-08-25 2016-08-17 Lg化学株式会社 压敏粘合剂
US9903990B2 (en) 2011-08-25 2018-02-27 Lg Chem, Ltd. Pressure-sensitive adhesive
KR101441003B1 (ko) * 2012-12-04 2014-09-17 (주)리가테크 접착력이 향상된 양면 점착 테이프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50259B (zh) 圖像顯示裝置
JP5446732B2 (ja) 偏光板の製造方法
JP5446933B2 (ja) 偏光板の製造方法
JP4151828B2 (ja) 両面粘着シートおよ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5470048B2 (ja) 高弾性率粘着剤層を有する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KR20100002638A (ko) 광학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이용한 광학필름 및액정표시장치
KR20100078564A (ko) 박막형 편광판 및 이것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
TW200303911A (en)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method for sticking and fixing touch panel to display device
KR101738741B1 (ko) 점착제가 부착된 광학 부재의 제조 방법
JP6463192B2 (ja) 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TWI691569B (zh) 黏著性組成物、黏著劑、黏著片以及附有黏著劑層之光學薄膜
CN106318282B (zh) 粘着剂、粘着片以及附有粘着剂层的光学薄膜
KR20160107112A (ko)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KR20160150187A (ko) 편광판,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N116515457A (zh) 粘合剂层、其制造方法、粘合片、带粘合剂层的光学膜和图像显示装置
WO2017047408A1 (ja) 複合偏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パネル
JP6444793B2 (ja) 粘着剤、粘着シートおよび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JP6495067B2 (ja) 粘着剤層付き光学フィルム
KR20160115765A (ko) 점착제층 부착 광학 필름
KR20130078388A (ko) 무기재 점착테이프
JP2019172839A (ja) 粘着剤層、粘着剤層付片保護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KR20090132061A (ko) 액정 디스플레이 부재용 점착제전사테이프
KR20110005114A (ko)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방법
KR20080087971A (ko) 액정 디스플레이용 부재에 사용되는 점착제 전사 테이프
WO2018181715A1 (ja) 粘着剤層、粘着剤層付片保護偏光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連続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