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493B1 - 약용 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 비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약용 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 비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493B1
KR102214493B1 KR1020200094433A KR20200094433A KR102214493B1 KR 102214493 B1 KR102214493 B1 KR 102214493B1 KR 1020200094433 A KR1020200094433 A KR 1020200094433A KR 20200094433 A KR20200094433 A KR 20200094433A KR 102214493 B1 KR102214493 B1 KR 102214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inal plant
roasting
medicinal
soap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재영
Original Assignee
진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글로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성글로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4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4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약용 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 비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용 식물이 가진 유효 성분을 높은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비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약용 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 비누 제조방법{BRASS COLOURING METHOD}
본 발명은 약용 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 비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약용 식물이 가진 유효 성분을 높은 함량으로 포함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는, 비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누는 주로 인체의 때를 씻어내어 청결한 위생을 위한 세정제의 하나로 기름에 잘 섞이는 소수기와 물에 잘 녹는 친수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비누는 알칼리와 유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유지는 지방 또는 기름을 의미하며, 알칼리는 수산화 나트륨 또는 수산화 칼륨 등을 이용된다. 상기 알칼리와 유지를 이용하여 비누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가열법, 가수분해법, 반가열법 등이 있다.
최근, 인체의 때를 제거하는 목적 이외에도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인간의 본성에 의해, 미백이나 항균 등의 다양한 목적에도 사용되고 있어 여러 종류의 비누가 생산 및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여러 종류의 비누 중, 세제를 통한 환경오염 및 아토피 등의 피부 질환 문제로 인해 천연 물질을 이용한 비누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수요 또한 함께 높아지고 있다. 상기 천연 비누는 직접 만들어서 사용하거나 핸드 메이드 제품으로 판매하는 경우도 빈번하여 손쉽게 비누를 만드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렇게 천연 비누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크게 비누 베이스를 녹여 오일 및 각종 첨가제를 섞어 원하는 틀에 부어 비누를 만드는 MP법(Melt and Pour), 유지와 강알칼리를 이용하여 비누 베이스까지도 손수 만드는 저온법(CP, Cold Process), 및 계속 열을 가하여 비누화를 가속시켜 비누를 만드는 고온법(HP, Hot Process)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있다.
한편, 친환경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됨에 따라 자연 친화적인 제품의 개발 및 사용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상기 자연 친화적인 제품 개발의 일 예로서, 유용한 미생물(Effective Microogarnisms, EM)에 대한 관심 및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EM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많은 미생물 가운데 사람이나 자연에 유익한 미생물을 조합하여 배양한 것으로, 상기 EM을 이용하여 작물 재배, 축산 경영, 쓰레기 처리 등의 산업 분야 등에 널리 활용하고 있다.
이에, 상기 EM 등을 이용하여 천연 비누 등을 제조할 수 있으나, 상기 천연 비누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미백, 항균 등의 원하는 특정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추출물 등을 첨가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원료가 가지고 있는 유효 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해내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 추출 방법으로는 증류 추출, 저온 탕전(low temperature bain marie) 추출, 초음파 추출, 초임계(super critical) 추출 등이 있는데, 만약 상기 원료의 추출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경우 추출 수율이 너무 낮아 원하는 효과를 발휘해내지 못하거나, 원료의 성분이 쉽게 변이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3285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약용 식물의 유효 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높은 함량으로 포함하고, 상기 추출된 유효 성분이 쉽게 변이되지 않아 보존 기간을 늘릴 수 있는, 약용 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 비누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은, 약용 식물을 준비하여 세척 및 절단하는 단계; 상기 세척 및 절단한 약용 식물을 수증기를 이용하여 찌는 단계; 상기 수증기로 찐 약용 식물을 100℃ 내지 250℃의 온도 범위에서 1차 덖음 처리하는 단계; 상기 1차 덖음 처리한 약용 식물을 미생물과 혼합 후 발효하는 단계; 상기 발효된 약용 식물을 상기 1차 덖음 처리한 온도보다 낮은 온도 범위에서 2차 덖음 처리하는 단계; 상기 2차 덖음 처리한 약용 식물을 열수 추출하여 약용 식물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약용 식물 추출물, 가성소다, 및 증류수를 혼합 및 교반하여 유화수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유화수를 식물성 유지와 혼합 교반하여 비누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누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수 추출은, 상기 2차 덖음 처리한 약용 식물 중량의 5 배 내지 50 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1 시간 내지 12 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생물은, 고초균, 광합성균, 유산균, 효모균, 방선균, 버섯종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약리 효과를 갖는 유효 성분을 변이가 일어나는 현상 없이 높은 수율로 추출할 수 있으며, 상기 높은 수율로 추출된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를 유화수와 유지를 혼합 교반 시킴으로써 안전하고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누는 유용 미생물을 함유하고 있어 미생물의 항산화 작용으로 인한 활성산소 제거 효과가 탁월하며, 추출물의 변이가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보존 기간이 길다는 효과를 갖는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누 제조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또한,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지며, 상충되는 경우에는,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의 기재가 우선할 것이다.
도면에서 제안된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기술한 "부"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의 단위 또는 블록을 의미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제1, 제2,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의 이러한 구현예 및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본원의 일 측면은, 약용 식물을 준비하여 세척 및 절단하는 단계; 상기 세척 및 절단한 약용 식물을 수증기를 이용하여 찌는 단계; 상기 수증기로 찐 약용 식물을 100℃ 내지 250℃의 온도 범위에서 1차 덖음 처리하는 단계; 상기 1차 덖음 처리한 약용 식물을 미생물과 혼합 후 발효하는 단계; 상기 발효된 약용 식물을 상기 1차 덖음 처리한 온도보다 낮은 온도 범위에서 2차 덖음 처리하는 단계; 상기 2차 덖음 처리한 약용 식물을 열수 추출하여 약용 식물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약용 식물 추출물, 가성소다, 및 증류수를 혼합 및 교반하여 유화수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유화수를 식물성 유지와 혼합 교반하여 비누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누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약용 식물을 준비하여 세척 및 절단한다. 상기 약용 식물은 약리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약초, 허브 등의 식물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황칠 나무, 감초, 갈근, 구기자, 맥문동, 백붕령, 속새, 오가피, 인진쑥, 작약, 지구자, 차전초, 홍삼, 구기자, 산수유, 오미자, 진피, 울금, 하수오, 연자육, 건지황, 한련초, 당귀, 지골피, 행인, 승마, 감초, 여정실, 생강, 백선피, 고삼, 오배자, 유근피, 화피, 창이자, 투골초, 형개, 사상자, 마치현, 율피, 산약, 구절초, 민들레, 국화, 목단, 인동초, 로즈마리, 솔잎, 지구옆초, 아카시아, 음양곽, 숙지황,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세척 및 절단된 약용 식물은 추후 찌거나 덖음 처리하는 단계, 또는 추출하는 단계에서 증류수 등에 잘 침지될 수 있도록 약 50 메쉬(mesh) 이상의 분말 상태로 분쇄될 수 있다.
상기 세척 및 절단된 약용 식물은 수증기, 예를 들어 약 80℃ 이상의 수증기를 이용하여 찐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용 식물을 찌는 단계는 상기 약용 식물의 부분에 따라 분류되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약용 식물의 잎, 줄기, 및 뿌리를 분류하고 각각을 세척 및 절단한 뒤, 상대적으로 더 굵고 질긴 줄기와 뿌리를 연한 잎과 구분하여 각각 찌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수증기로 찐 약용 식물을 약 100℃ 내지 약 250℃의 온도 범위에서 1차 덖음 처리한다. 상기 덖음 처리는 덖음기 또는 덖음솥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덖음기 또는 덖음솥에서 약용 식물을 비비고 흩어 뿌리기를 반복하여 약용 식물이 가진 수분이 모두 제거될 때까지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1차 덖음 처리가 약 100℃ 미만에서 수행될 경우 상기 약용 식물에서 풋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약 25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될 경우 상기 약용 식물이 충분히 덖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타버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1차 덖음 처리는 약 100℃ 내지 약 250℃, 약 100℃ 내지 약 200℃, 약 100℃ 내지 약 150℃, 약 150℃ 내지 약 250℃, 약 150℃ 내지 약 200℃, 또는 약 200℃ 내지 약 25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로 찐 약용 식물을 덖음 처리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약용 식물을 동결건조하여 수분을 일부 증발시키는 단계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결건조는 -10℃ 내지 -30℃의 저온에서 감압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수분을 승화시켜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추가 포함하여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찐 약용 식물 표면에 있는 물기가 열에 의해 수증기로 변하면서 약용 식물이 잘 덖어지지 않고 부분적으로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거칠고 단단한 표면을 가진 약용 식물을 가공하기 부드럽게 만들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약용 식물이 포함하는 유효 성분을 더욱 높은 효율로 추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용 식물을 수증기로 찌는 단계, 동결건조하는 단계, 및 1차 덖음 처리하는 단계는 2회 내지 10회 반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약용 식물을 수증기로 찌는 단계, 동결건조하는 단계, 및 1차 덖음 처리하는 단계를 반복해서 수행함에 따라, 상기 단계들을 1회만 수행했을 때보다 약용 식물이 포함하는 유효 성분의 추출 수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1차 덖음 처리된 약용 식물을 미생물과 함께 혼합한 뒤 발효한다. 상기 미생물은 인간에게 유용한 작용을 하는 미생물로,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지되어 있는 통성 혐기성 미생물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고초균, 광합성균, 유산균, 효모균, 방선균, 버섯종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을 약용 식물과 혼합한 뒤 발효시킴으로써,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고 해로운 중금속 이온이 체내에 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노출된 인체를 정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상기 혼합된 미생물이 잘 생육할 수 있는 온도 및 습도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약 25℃ 내지 약 37℃의 온도 범위 및 약 60% 이상의 습도에서 약 12 시간 내지 약 96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용 식물 및 미생물을 혼합한 뒤 발효하는 단계에서, 미생물과 함께 미생물의 먹이로서 이용될 수 있는 유기물이 함께 혼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물은 당류 또는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발효된 약용 식물을 2차 덖음 처리한다. 상기 2차 덖음 처리는 상기 1차 덖음 처리한 온도보다 낮은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발효 과정에서 발생한 수분을 증발시키면서도 발효에 의해 증가한 유용 미생물을 모두 살균시키지 않고 일정 부분 유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2차 덖음 처리는 약 60℃ 내지 약 8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만약 약 60℃ 미만일 경우 상기 2차 덖음 단계에서 풋내가 발생할 수 있고, 약 80℃를 초과할 경우 상기 미생물들이 모두 살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용 식물을 미생물과 혼합 후 발효하는 단계, 및 2차 덖음 처리하는 단계는 2회 내지 4회 반복해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약용 식물을 미생물과 혼합 후 발효하는 단계, 및 2차 덖음 처리하는 단계를 반복해서 수행함에 따라, 미처 발효되지 않은 약용 식물을 충분히 발효시킴으로써 추후 추출 단계에서의 유효 성분의 추출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2차 덖음 처리한 약용 식물을 열수 추출하여 약용 식물 추출물을 수득한다. 상기 열수 추출은 상기 2차 덖음 처리한 약용 식물 중량의 약 5 배 내지 약 50 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가열하여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열수 추출은 상기 발효 후 2차 덖음 처리한 약용 식물의 유효 성분이 용해되어 나올 수 있을 정도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약 1 시간 내지 약 12 시간 동안 가열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열수 추출이 약 1 시간 미만으로 수행될 경우, 상기 약용 식물에 포함된 유효 성분이 용매인 증류수에 충분히 용해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12 시간을 초과하여 수행될 경우 상기 증류수에 불쾌한 향이 포함되거나 열수 추출이 충분히 일어나기 이전에 증류수가 모두 기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은 상이한 온도에서 2회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수 추출은 약 60℃ 내지 약 85℃의 온도 범위에서 1차 열수 추출된 후, 약 100℃ 내지 약 160℃의 온도 범위에서 2차 열수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1차 열수 추출에 의하여 상기 약용 식물에 포함된 사포닌 등의 열에 약한 유효 성분이 추출될 수 있으며, 사포닌 등이 추출된 후 수행되는 2차 열수 추출에서 그 이외의 유효 성분이 마저 추출되는 것일 수 있다.
만약, 상기 1차 열수 추출이 약 60℃ 미만에서 수행될 경우 약용 식물의 유효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80℃를 초과할 경우 사포닌 등 열에 약한 유효 성분이 추출되지 못하고 파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열수 추출이 약 100℃ 미만에서 수행될 경우 높은 온도에서만 추출될 수 있는 유효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지 못할 수 있으며, 약 180℃를 초과할 경우 유효 성분이 충분히 추출되기 이전에 용매인 증류수가 모두 증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 시 증류수와 함께 상기 2차 덖음 처리한 약용 식물 중량의 약 0.5 배 내지 약 2 배의 유기산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산성을 나타내는 유기 화합물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세트산(acetic acid), 부티르산(butyr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옥살산(oxalic acid), 타타르산(tartar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락트산(lactic acid), 말레산(maleic acid),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팔미트산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의 함량에 따라 상기 추출 후 수득되는 약용 식물 추출물의 성분 변이가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유기산의 함량에 의하여 상기 용매인 증류수의 pH가 변화되며, 이는 상기 약용 식물 추출물의 안정성에 영향을 미쳐 결과적으로는 상기 약용 식물 추출물의 성분이 변이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의 함량은 상기 2차 덖음 처리한 약용 식물 중량의 약 0.5 배 내지 약 2 배일 수 있으며, 만약 상기 유기산의 함량이 상기 약용 식물 중량 대비 약 0.5 배 미만일 경우 상기 추출물의 변이 방지 효과를 발휘되지 못할 수 있으며, 약 2 배를 초과할 경우 pH가 급격히 변화하여 추출 수율이 감소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 시 증류수와 함께 상기 2차 덖음 처리한 약용 식물 중량의 약 0.01 배 내지 약 0.5 배의 백금 촉매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백금 촉매는 백금 카보닐 사이클로비닐메틸실록산 복합체, 백금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복합체, 백금 사이클로비닐메틸실록산 복합체, 백금 옥탄알데히드/옥탄올 복합체,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백금 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 복합체로서 칼스테트 촉매(Karstedt's catalyst)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 시 백금 촉매를 상기 2차 덖음 처리한 약용 식물 중량의 약 0.01 배 내지 약 0.5 배로 포함함에 따라, 상기 열수 추출의 수율이 증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백금 촉매가 상기 2차 덖음 처리한 약용 식물 중량의 약 0.01 배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백금 촉매에 의한 추출 수율의 향상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0.5 배를 초과할 경우 불필요한 침전물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 시 증류수와 함께 상기 2차 덖음 처리한 약용 식물 중량의 약 0.01 배 내지 약 0.5 배의 은 분말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은 분말은 강력한 살균력을 가지는 천연 항균제로서, 상기 열수 추출 시 상기 2차 덖음 처리한 약용 식물 중량의 약 0.01 배 내지 약 0.5 배의 은 분말을 추가 포함함에 따라, 상기 발효에 사용되었던 미생물을 사균화하고, 뿐만 아니라 상기 발효 시 발생할 수 있는 해로운 병원균 등을 제거하여 제조되는 비누의 보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만약, 상기 은 분말이 상기 2차 덖음 처리한 약용 식물 중량의 약 0.01 배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은 분말 포함에 의한 항균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0.5 배를 초과할 경우 추후 비누 경화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약용 식물 추출물, 가성소다, 및 증류수를 혼합 및 교반하여 유화수를 수득한다. 예를 들어, 상기 교반은 상기 약용 식물 추출물, 가성소다, 및 증류수가 침전물 없이 충분히 혼합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약 1 시간 내지 약 6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증류수는 상기 유화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40 내지 약 6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증류수는 상기 유화수의 전체적인 농도 및 작업성을 조절하기 위해 포함되는 것으로서, 만약 상기 증류수가 상기 유화수 100 중량부 대비 약 4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가성소다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안전성 문제가 발생하거나 추후 비누 제조 시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 작업성이 하락할 수 있으며, 약 6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추후 비누 제조 시 경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성소다는 상기 유화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10 내지 약 2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성소다는 강알칼리성을 나타내어 상기 미생물을 사균화하고, 추후 유화수가 유지와 반응하여 비누를 생성하게 만드는 주요 성분으로, 만약 상기 가성소다가 상기 유화수 100 중량부 대비 약 10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추후 비누 제조 시 경화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약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안전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용 식물 추출물은 상기 유화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약용 식물 추출물이 만약 상기 유화수 100 중량부 대비 약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기 약용 식물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나타나는 약리적 효과가 발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약 1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침전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약용 식물 추출물은 상기 유화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약 0.1 내지 약 1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수득된 유화수를 필터링하여 사균화된 미생물 등을 걸러 분리해낸 뒤, 걸러낸 유화수를 식물성 유지와 혼합 교반하여 비누를 수득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화수와 식물성 유지가 서로 잘 용해될 수 있도록 약 40℃ 내지 약 70℃의 온도 범위에서 천천히 섞어준 뒤, 트레이스(trace)가 생길 때까지 교반한다. 교반이 완료된 후에는 실온에서 자연 경화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약 3 일 내지 약 15 일 정도 경화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유지는 비누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코코넛유, 팜유, 목화씨유, 카리테열매유, 올리브유, 포도씨유, 면실유, 대두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약용 식물로서 황칠 나무를 준비하여 잎, 줄기, 뿌리를 세척한 뒤, 줄기와 뿌리를 잘게 절단하고, 잎과 구분하여 추출기에 넣고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수증기를 이용해 쪄 주었다. 상기 찐 황칠 나무는 180℃의 덖음솥으로 옮겨 1차 덖음 처리하여 수분을 증발시켰다. 상기 찌는 단계와 덖음 처리하는 단계를 6회 반복한 뒤, 상기 황칠 나무에 미생물을 혼합하여 35℃의 온도에서 약 48 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발효된 약용 식물은 75℃의 덖음솥에서 2차 덖음 처리되었으며, 상기 발효 단계와 2차 덖음 처리 단계를 3회 반복하였다. 다음으로, 2차 덖음 처리된 황칠 나무에 상기 2차 덖음 처리된 황칠 나무 중량의 10 배의 증류수를 가한 뒤 80℃의 온도 범위에서 8 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열수 추출을 진행하고, 120℃의 온도 범위에서 4 시간 동안 가열하여 2차 열수 추출을 진행하여 황칠 나무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열수 추출 후, 수득된 상기 황칠 나무 추출물을 상기 황칠 나무 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50 중량부의 가성소다, 및 60 중량부의 증류수와 혼합하여 교반함으로써 유화수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유화수는 필터링 한 뒤 식물성 유지와 혼합 교반함으로써 비누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실시예 1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2]
약용 식물로서 황칠 나무를 준비하여 잎, 줄기, 뿌리를 세척한 뒤, 줄기와 뿌리를 잘게 절단하고, 잎과 구분하여 추출기에 넣고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수증기를 이용해 쪄 주었다. 상기 찐 황칠 나무는 -25℃의 저온에서 동결건조하였으며, 동결건조한 황칠 나무를 180℃의 덖음솥으로 옮겨 1차 덖음 처리하여 수분을 증발시켰다. 상기 찌는 단계, 동결건조하는 단계, 및 덖음 처리하는 단계를 6회 반복한 뒤, 상기 황칠 나무에 미생물을 혼합하여 35℃의 온도에서 약 48 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발효된 약용 식물은 75℃의 덖음솥에서 2차 덖음 처리되었으며, 상기 발효 단계와 2차 덖음 처리 단계를 3회 반복하였다. 다음으로, 2차 덖음 처리된 황칠 나무에 상기 2차 덖음 처리된 황칠 나무 중량의 10 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80℃의 온도 범위에서 8 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열수 추출을 진행하고, 120℃의 온도 범위에서 4 시간 동안 가열하여 2차 열수 추출을 진행하여 황칠 나무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열수 추출 후, 수득된 상기 황칠 나무 추출물을 상기 황칠 나무 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50 중량부의 가성소다, 및 60 중량부의 증류수와 혼합하여 교반함으로써 유화수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유화수는 필터링 한 뒤 식물성 유지와 혼합 교반함으로써 비누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실시예 2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의 방법과 동일하되, 열수 추출 단계에서 상기 2차 덖음 처리된 황칠 나무 중량의 10 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상기 2차 덖음 처리된 황칠 나무 중량의 1.2 배의 팔미트산, 및 0.02 배의 칼스테트 촉매를 추가한 뒤 열수 추출을 진행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명명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2의 방법과 동일하되, 열수 추출 단계에서 상기 2차 덖음 처리된 황칠 나무 중량의 10 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상기 2차 덖음 처리된 황칠 나무 중량의 1.2 배의 팔미트산, 0.02 배의 칼스테트 촉매, 및 0.03 배의 은 분말을 추가한 뒤 열수 추출을 진행하였고, 이를 실시예 3으로 명명하였다.
[비교예]
약용 식물로서 황칠 나무를 준비하여 잎, 줄기, 뿌리를 세척한 뒤, 줄기와 뿌리를 잘게 절단하고, 잎과 구분하여 추출기에 넣고 1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수증기를 이용해 쪄 주었다. 상기 찐 황칠 나무는 180℃의 덖음솥으로 옮겨 덖음 처리하여 수분을 증발시켰다. 상기 찌는 단계, 동결건조하는 단계, 및 덖음 처리하는 단계를 6회 반복한 뒤, 상기 황칠 나무에 미생물을 혼합하여 35℃의 온도에서 약 48 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발효된 약용 식물에 상기 덖음 처리된 황칠 나무 중량의 10 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120℃의 온도 범위에서 12 시간 동안 가열하여 열수 추출을 진행하여 황칠 나무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열수 추출 후, 수득된 상기 황칠 나무 추출물을 상기 황칠 나무 추출물 100 중량부 대비 50 중량부의 가성소다, 및 60 중량부의 증류수와 혼합하여 교반함으로써 유화수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유화수는 필터링 한 뒤 식물성 유지와 혼합 교반함으로써 비누를 제조하였으며, 이를 비교예로 명명하였다.
[실험예 1: 추출 수율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의 약용 식물 추출물에 대하여, 식약청 원료 추출 표준화 프로세스(제조공정 표준화)에 제시된 방법에 준하여 최적 추출 조건을 수행하였다. 최종 원료 모니터링을 통한 반복시험을 통해 하기 표 1과 같은 추출 수율 결과를 도출하였다.
분류 추출 수율(%)
실시예 1 36.79±0.14
실시예 2 41.85±6.90
실시예 3 46.87±6.85
실시예 4 48.96±3.52
비교예 24.74±5.53
상기 표 1의 추출 수율 측정 결과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수득된 황칠 나무 추출물의 경우, 비교예에 비하여 모두 높은 추출 수율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비누들의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안정성 평가는 제조된 비누들을 각각 상온(25℃) 및 상온 이상(50℃)에서 3 개월 동안 방치하였을 때 성분의 분리 현상이 나타나는지를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판정 기준은 성분의 분리 현상이 일어난 경우 '불안정', 분리 현상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 '안정'으로 기재하였다. 안정성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온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25℃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50℃ 안정 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비누의 경우, 50℃의 온도에서 3 개월 동안 방치 시 분리 현상이 일어난 비교예의 비누와 달리 상온 및 상온 이상에서 장기 보관 시에도 분리 현상 없이 안정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기호도 조사]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비누들 각각에 대하여, 기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기호도 조사는 만 19세 내지 30세의 남녀 총 35 명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비누를 4 주간 사용한 뒤 제품의 향, 촉촉함, 세정력, 및 사용 후 피부의 매끄러움 정도를 포함한 전반적 사용감에 대하여 피험자가 느끼는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은 매우 만족(4점), 만족(3점), 보통(2점), 나쁨(1점), 매우 나쁨(0점)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매우 만족(4점) 6 명 10 명 15 명 17 명 1 명
만족(3점) 5 명 12 명 11 명 13 명 4 명
보통(2점) 19 명 10 명 7 명 4 명 20 명
나쁨(1점) 3 명 2 명 2 명 1 명 6 명
매우 나쁨(0점) 2 명 1 명 0 명 0 명 4 명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비누의 경우 비교예와 달리 피험자의 80% 이상이 향, 촉촉함, 세정력, 및 피부 매끄러움 정도를 포함하는 전반적 사용감에 대하여 보통 이상으로 평가하였다. 특히, 실시예 4의 경우 피험자의 약 50%가 매우 만족(4점)으로 평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항균력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비누들 각각에 대한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측정 방법은 Disc diffusion assay법을 이용하였으며, 배지는 MHA를 이용하고 판별 균주는 대장균을 사용하였다. 6 mm 페이퍼디스크에 각 실시예 및 비교예의 비누들을 증류수에 용해시킨 샘플 용액들을 침지시킨 후, 시간 경과에 따른 항균력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분류 항균력 측정 결과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비교예 -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비누의 경우, 비교예와 달리 대장균에 대한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시예 4의 경우 가장 강력한 항균력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다양한 실시예 가운데 몇 개의 예만을 들어 설명하는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3)

  1. 약용 식물을 준비하여 세척 및 절단하는 단계;
    상기 세척 및 절단한 약용 식물을 수증기를 이용하여 찌는 단계;
    상기 수증기로 찐 약용 식물을 -10℃ 내지 -30℃의 온도 범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상기 동결건조한 약용 식물을 100℃ 내지 250℃의 온도 범위에서 1차 덖음 처리하는 단계;
    상기 1차 덖음 처리한 약용 식물을 미생물과 혼합 후 발효하는 단계;
    상기 발효된 약용 식물을 상기 1차 덖음 처리한 온도보다 낮은 60℃ 내지 80℃의 온도 범위에서 2차 덖음 처리하는 단계;
    상기 2차 덖음 처리한 약용 식물에 상기 2차 덖음 처리한 약용 식물 중량 대비 5 배 내지 50 배의 증류수, 0.5 배 내지 2 배의 팔미트산, 및 0.01 배 내지 0.5 배의 칼스테트 촉매를 가하고 60℃ 내지 85℃의 온도 범위에서 1 시간 내지 12 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 열수 추출하는 단계;
    상기 1차 열수 추출한 약용 식물을 100℃ 내지 160℃의 온도 범위에서 2차 열수 추출하여 약용 식물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약용 식물 추출물, 가성소다, 및 증류수를 혼합 및 교반하여 유화수를 수득하는 단계; 및
    상기 유화수를 식물성 유지와 혼합 교반하여 비누를 수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비누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고초균, 광합성균, 유산균, 효모균, 방선균, 버섯종균, 및 이들의 조합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비누 제조방법.
  3. 삭제
KR1020200094433A 2020-07-29 2020-07-29 약용 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 비누 제조방법 KR102214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433A KR102214493B1 (ko) 2020-07-29 2020-07-29 약용 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 비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433A KR102214493B1 (ko) 2020-07-29 2020-07-29 약용 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 비누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493B1 true KR102214493B1 (ko) 2021-02-09

Family

ID=74559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433A KR102214493B1 (ko) 2020-07-29 2020-07-29 약용 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 비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4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790B1 (ko) * 2023-11-23 2024-04-17 주식회사 뜰꽃 천연추출물이 함유된 피부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62972B1 (ko) * 2023-11-23 2024-05-03 주식회사 뜰꽃 목주름 및 입술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2858A (ko) 2013-05-08 2014-11-19 최정란 녹차 및 어성초를 포함하는 비누의 제조방법
KR101469646B1 (ko) * 2014-02-11 2014-12-05 농업회사법인(주)장수채 땅콩새싹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1626A (ko) * 2016-06-24 2018-01-05 주식회사 한라산 황칠나무잎 추출물을 이용한 술의 제조방법
KR102074080B1 (ko) * 2018-10-22 2020-02-05 서숙녀 땅콩새싹 추출물을 이용한 세정액 원료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2858A (ko) 2013-05-08 2014-11-19 최정란 녹차 및 어성초를 포함하는 비누의 제조방법
KR101469646B1 (ko) * 2014-02-11 2014-12-05 농업회사법인(주)장수채 땅콩새싹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01626A (ko) * 2016-06-24 2018-01-05 주식회사 한라산 황칠나무잎 추출물을 이용한 술의 제조방법
KR102074080B1 (ko) * 2018-10-22 2020-02-05 서숙녀 땅콩새싹 추출물을 이용한 세정액 원료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7790B1 (ko) * 2023-11-23 2024-04-17 주식회사 뜰꽃 천연추출물이 함유된 피부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62972B1 (ko) * 2023-11-23 2024-05-03 주식회사 뜰꽃 목주름 및 입술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493B1 (ko) 약용 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한 비누 제조방법
KR102079360B1 (ko) 여성 의류용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872158B1 (ko)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
KR102159169B1 (ko) 항균, 살균 및 피부진정 기능을 통해 알러지, 염증, 아토피 또는 새집증후군에 따른 피부염의 피부 트러블 예방 및 개선을 위한 기능성 직물의 제조 방법 및 그 기능성 직물
KR102460827B1 (ko) 진피-메밀 복합 발효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천연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102468317B1 (ko) 신규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및 이의 용도
CN107519112B (zh) 一种桑叶保健功能的纯天然保鲜洗发水及其制备方法
KR102235334B1 (ko) 전복, 굴껍질을 이용한 칼슘분말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칼슘분말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화장료, 의약품
KR102226774B1 (ko) 황기, 황정 및 솔잎 추출물이 포함되는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127595B1 (ko) 친환경 섬유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1465696B1 (ko) 항균 및 방충 조성물
KR10192608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2123830B1 (ko) 제올라이트와 숯을 이용한 편백수 제조방법
CN109403142A (zh) 一种用于鞋内除臭灭菌的香薰纸及其制备方法
KR102265007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기능을 갖는 모발 세정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40958B1 (ko) 박하, 계피, 오레가노, 생강 추출물을 함유하여 항균효과를 갖는 기능성 샴푸 제조방법
KR102279117B1 (ko) 발효 수세미오이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2266968B1 (ko) 염색전용 트리트먼트 조성물
CN107412076A (zh) 一种抑汗剂及其应用
KR102183639B1 (ko) 오레가노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진정, 두피 건강, 비듬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20850C (zh) 疤痕净美容霜及其制法
KR101432996B1 (ko) 불미나리, 인진쑥 및 인진쑥 꽃의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그것의 사용 방법 및 제조 방법
JP2003119499A (ja) 柿の葉粉末を配合した固形石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23132A (ko) 아토피 피부용 조성물
KR102524795B1 (ko) 입욕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