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2158B1 -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2158B1
KR101872158B1 KR1020170078301A KR20170078301A KR101872158B1 KR 101872158 B1 KR101872158 B1 KR 101872158B1 KR 1020170078301 A KR1020170078301 A KR 1020170078301A KR 20170078301 A KR20170078301 A KR 20170078301A KR 101872158 B1 KR101872158 B1 KR 101872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eight
parts
soap
glycer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3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은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어코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어코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어코코
Priority to KR10201700783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1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02Boiling soap; Refi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16Shaping in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44Perfumes; Colouring materials; Brightening agents ; Bleaching ag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보습에 좋은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약알카리성 비누베이스에 트리에탄올아민(TEA)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보습력, 미백기능이 뛰어나고, 무엇보다도 경피독을 일으키는 계면활성제를 쓰지 않으면서도 거품성이 좋고, 나아가 탈모방지에도 유용한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Natural aromatic soap made method of natural aromatic essential oil}
본 발명은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보습에 좋은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약알카리성 비누베이스에 트리에탄올아민(TEA)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보습력, 미백기능이 뛰어나고, 무엇보다도 경피독을 일으키는 계면활성제를 쓰지 않으면서도 거품성이 좋고, 나아가 탈모방지에도 유용한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누는 식물성, 동물성, 광물성 등 유지(기름) 성분에 가성소다라 불리는 수산화나트륨(sodium hydroxide) 또는 가성카리라고 불리는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을 넣은 후, 한쪽 방향으로 잘 저어주어 응고시키며, 이 응고된 물질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고, 틀에다 넣어 모양을 만들어내는 제조 형태를 갖고 있다.
아울러, 폐기물로 발생하는 폐식용유로 세탁비누를 제조할 때에도 위와 동일한 원리와 방법을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비누 제조에 사용되는 가성소다는 예부터 잿물이라고 불렸으며, 볏짚을 태운 재를 시루에다 담아놓고 빗물을 내려, 짚이 타고 생긴 가성소다 성분인 잿물을 모아서 빨래를 하여 찌든 때를 빼기도 하고, 옷감을 하얗게 바래게 하여 옷을 지어입기를 즐겨하였다.
그러나 강알칼리 성분인 잿물은 약산성인 피부에 접촉하면 상당히 자극을 주어 피부 화상을 유발할 수도 있다.
하지만 어떠한 비누라도 강알칼리의 잿물 성분을 넣지 않으면 비누가 만들어지지 않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적정한 양을 첨가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알칼리성(비누가 약산과 강염기의 화학반응에 의한 생성물이기 때문) 비누를 사용한 후 얼굴을 닦으면 강하게 조이는 느낌을 받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피부표면이 순간적으로 알칼리성에서 산성으로 바뀌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전이적 현상이며, 이를 통해 피부에 스트레스가 가해지고, 건조해지며, 모공이 수축되어 막히는 과정으로 인하여 피지분비가 방해되는 결과를 유발할 수 있다.
비누는 보통 약 10-10.5 범위의 pH를 가지며, 과지방제(super fat)가 2 내지 5% 정도 함유된 경우에는 9.5 내지 10의 범위를 나타내며, 근본적으로 지방산 염이 갖는 화학적 특성(pH, 탈지력) 때문에 피부에 자극을 줄 뿐만 아니라, 센물(硬水)에서는 Ca2 +, Mg2 + 등의 금속이온과 결합하여 기포력을 저하시키는 금속비누를 만들고 물에 녹지 않는 비누때(soap scum)를 형성하여 용기를 더럽히는 부작용도 있다.
무엇보다도, 종래 비누는 거품성을 위해 필수적으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최근 '경피독'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주목되고 있어 이에 대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특히, 주로 화장품에 사용되는 트리에탈올아민(TEA)는 pH 조절 및 유화를 위해 비누에도 대부분 포함되고 있는데, 트리에탄올아민은 포름알데히드 혹은 아질산염이나 일부 단백질과 반응하여 발암물질인 '니트로소아민'을 생성하기 때문에 인체에 위험하며, 또한 식약처의 독성분류에 따르면 눈과 피부 그리고 호흡기에 자극적이라서 장시간 접촉시 피부에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배제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현재 시판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비누들은 합성유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테면, 우지, 돈지, 지방산의 합성과 프로필렌글리콜 등 화학성분에 에탄올, 파라핀왁스 등을 인위적으로 배합 조성한 것이어서 친환경적이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석유계 화학물질의 독성이라고 할 수 있는 경피독의 축적을 유발하고, 장기간 사용시 아토피, 피부암, 탈모, 알레르기 등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57530호(2017.05.25),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8586호(2016.12.15.),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0003호(2013.01.30.), '산야초 발효액을 이용한 천연비누 조성물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8299호(2012.03.13.), '생약숙성탕액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8361호(2012.03.13.), '차유를 이용한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4400호(2004.08.04.), '기능성 세정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천연 아로마 기능성 비누'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피부보습에 좋은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약알카리성 비누베이스에 트리에탄올아민(TEA)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보습력, 미백기능이 뛰어나고, 무엇보다도 경피독을 일으키는 계면활성제를 쓰지 않으면서도 거품성이 좋고, 나아가 탈모방지에도 유용한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비누화 단계(Saponification Step)와, 유용성분 첨가단계와, 글리세린 제거단계(Glycerine Removal Step)와, 비누 정제단계(Soap Purification Step)와, 마무리 단계(Finishing Step)를 거쳐 제조되는 수제 비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누화 단계는 팜오일 또는 코코넛오일을 정유한 지방산(Fatty Acid)을 수산화나트륨 및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pH 7.11-7.99를 유지하는 약알카리성 비누베이스를 만드는 단계이고; 상기 유용성분 첨가단계는 상기 비누베이스를 60-70℃로 가온(加溫)하여 겔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비누베이스 100중량부에 대해 라벤다 오일 1.5-2중량부와, 프랑킨센스 오일 1.5-2중량부와, 미르 오일 1.5-2중량부와, 제라늄 오일 1.5-2중량부와, 일랑 일랑 오일 2.5-3.5중량부와, 레몬 오일 0.5-1.5중량부와, 페퍼민트 오일 0.5-1.5중량부와, 로즈마리 오일 1.5-2중량부와, 레몬 그라스 오일 0.5-1.5중량부와, 멜라루카 오일 0.5-1.5중량부와, 시더우드 오일 1.5-2중량부와, 스트러스 오일 0.5-1.5중량부, 오렌지 오일 0.5-1.5중량부 및 어성초 추출물 3-6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배합하는 단계이며; 상기 글리세린 제거단계(Glycerine Removal Step)는 비누화 과정에서 생성된 글리세린을 분리 제거하는 단계이고; 상기 비누 정제단계(Soap Purification Step)는 글리세린이 제거된 비누베이스에 시트르산을 포함한 약산을 첨가하여 잔류되어 있는 수산화나트륨을 중화시켜 제거하는 단계이며; 상기 마무리 단계(Finishing Step)는 식용색소(Condimento Colorante)를 첨가하여 원하는 색상이 발현되게 한 상태에서 틀에 부어 일정 형상을 갖는 고형의 비누로 만드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글리세린 제거단계(Glycerine Removal Step)에서 글리세린 분리 제거는 유용성분이 첨가된 겔 상태의 비누베이스에 글리세린을 녹이는 성질을 가진 소금을 첨가하여 녹아 부상된 글리세린을 분리 제거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보습에 좋은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약알카리성 비누베이스에 트리에탄올아민(TEA)을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보습력, 미백기능이 뛰어나고, 무엇보다도 경피독을 일으키는 계면활성제를 쓰지 않으면서도 거품성이 좋고, 나아가 탈모방지에도 유용한 천연 수제 비누를 효과 있게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비누화 단계(Saponification Step)와, 유용성분 첨가단계와, 글리세린 제거단계(Glycerine Removal Step)와, 비누 정제단계(Soap Purification Step)와, 마무리 단계(Finishing Step)를 거쳐 제조되는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비누화 단계는 팜오일과 코코넛오일을 혼합 정유한 지방산(Fatty Acid)을 수산화나트륨 및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pH 7.11-7.99를 유지하는 약알카리성 비누베이스를 만드는 단계이다.
이 경우, 상기 팜오일과 코코넛오일을 혼합 정유한 지방산은 세정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하고, 약알카리성을 유지하는데 효과가 뛰어나며, 무엇보다도 글리세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합성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천연 거품성을 확보하면서 세안시 보습 기능을 강화시키게 된다.
특히, 팜오일은 비누의 굳기를 단단하게 하고 조밀한 거품을 발생시켜 보습력을 높이도록 하기 위해 첨가되며, 코코넛오일은 거품이 풍부하여 세정력을 향상시키면서 물에 잘 녹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와 같은 비누화단계에서 상기 팜오일과 코코넛오일을 혼합 정유한 지방산(이하 '지방산'이라 함)과 수산화나트륨 및 정제수의 혼합비율은 비누화값(SAP:Saponification Value)을 고려하고 pH 조절을 위해 1:0.14:0.33의 중량비를 유지하여야 한다.
예컨대, 지방산 650g을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지방산 650g에 수산화나트륨 91g, 정제수 214.5g을 혼합한 상태에서 이를 서서히 가열하면서 저어주게 되면 본 발명이 요구하는 기본 트레이스인 비누베이스가 생성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비누베이스는 유화제인 트리에탄올아민(TEA)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 특징이 있고, 특성 강화를 위해 히알루론산을 상기 지방산을 기준으로 1:0.05의 중량비로 더 첨가할 수 있다.
즉, 앞서 설명한 예시에 따르면, 상기 지방산 650g을 기준으로 할 때 히알루론산이 32.5g 첨가된다고 보면 된다.
이러한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은 생체에서 합성되는 천연물질로서, 수산화기가 많아 친수성 물질이며, 동물 등의 피부에서 보습작용을 하며, 인체의 피부에서는 상피세포에서 발현되는 CD44 단백질과 반응하여 다양한 생리적 작용을 조절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히알루론산의 특성중 특히, 피부보습작용 강화를 통한 피부 건조를 막고 촉촉한 상태로 탄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또한 피부재생기능과 모발 영양 공급에 따른 탈모 예방을 위해 첨가된다.
다만, 세안 등을 통해 피부내 흡수시 민감성 체질의 여성인 경우 생리불순과 트러블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상기 비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용성분 첨가단계는 상기 비누베이스를 60-70℃로 가온(加溫)하여 겔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비누베이스 100중량부에 대해 라벤다 오일 1.5-2중량부와, 프랑킨센스 오일 1.5-2중량부와, 미르 오일 1.5-2중량부와, 제라늄 오일 1.5-2중량부와, 일랑 일랑 오일 2.5-3.5중량부와, 레몬 오일 0.5-1.5중량부와, 페퍼민트 오일 0.5-1.5중량부와, 로즈마리 오일 1.5-2중량부와, 레몬 그라스 오일 0.5-1.5중량부와, 멜라루카 오일 0.5-1.5중량부와, 시더우드 오일 1.5-2중량부와, 스트러스 오일 0.5-1.5중량부, 오렌지 오일 0.5-1.5중량부 및 어성초 추출물 3-6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배합하는 단계이다.
이때, 첨가되는 오일들은 에센셜 오일들로서 과량 첨가시 응고시간을 지연시키므로 특성 발현에 필요한 양만큼씩 소량 첨가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비누베이스는 상기 온도범위로 가온하여 완전히 녹이는 것이 아니라 반용융상태, 즉 겔화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는 오일과의 혼합성을 좋게 하기 위함이며, 완전히 녹이게 되면 비누화과정을 다시 거쳐야 하므로 반드시 겔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더구나, 70℃를 초과하면 탄화되거나 눌러 붙어 불량이 발생하므로 반드시 70℃ 미만을 유지해야 하며, 60℃ 미만에서는 겔링이 늦어지고 미겔링부분이 많기 때문에 반드시 60℃ 이상으로 가온해야 한다.
한편, 상기 라벤다 오일은 주로 향수로 활용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항 바이러스 성분에 의해 세안시 피부 상처나 긁히 자국 등에 남은 균을 죽여 상처 부위를 세정하고 재생을 돕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프랑킨센스 오일은 피부 염증을 해독하는 기능이 있어 피부가 거칠어지거나 갈라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미르 오일은 몰약 종류로서 습진을 방지하고 상처를 아물게 하는 특성을 발현하기 위해 첨가되며; 상기 제라늄 오일은 피부트러블을 방지하고 억제하기 위해 첨가되고; 상기 일랑 일랑 오일은 주로 향 때문에 아로마테라피에 활용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비누의 천연 방부 역할을 하면서 탈모 예방에 기여하므로 첨가되며; 상기 레몬 오일은 피부 살균 작용을 위해 첨가되고; 상기 페퍼민트 오일도 주로 향수의 원료지만 본 발명에서는 피부 가려움증 해소와 독소 해소작용을 위해 첨가되며; 상기 로즈마리 오일은 피부 진정작용에 의해 피부 완화, 발진 억제를 위해 첨가되고; 상기 레몬 그라스 오일은 주로 모기 퇴치제로 활용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피부 가려움증 해소와 노폐물 제거 및 트러블 억제를 위해 첨가되며; 상기 멜라루카 오일은 지혈작용과 상처 재생효능을 위해 첨가되고; 상기 시더우스 오일은 천연 방부 기능 및 살균작용과 피부 진정 및 수렴작용을 비롯하여 건선 억제, 발모 촉진, 탈모방지, 피부궤양 억제 등의 기능을 위해 첨가되며; 상기 시트러스 오일은 이물제거, 피부 노폐물 제거 기능이 뛰어나므로 이를 위해 첨가되고; 상기 오렌지 오일은 림프 흐름을 자극하여 부은 조직의 치료를 돕고 셀룰라이트 처치에 유용하고, 염증 완화, 여드름 진정, 굳은 피부 연질화 작용을 위해 첨가된다.
덧붙여, 상기 어성초 추출물(Usungcho Extract)은 약모밀(Heartleaf Houttuynia)에서 추출한 것으로 생선 비린내가 난다고 하여 중국에서 붙여진 이름으로서, 예부터 미용초, 해독초로 알려진 풀이다.
본 발명에서는 어성초에 함유된 쿠에르치트런 성분에 의한 피부 노폐물 제거 효능과 탈모 예방 및 피부 개선, 그리고 어성초에 함유된 데카노일아세트알데히드에 의한 포두상구균 살균 효능을 화학적 합성 살균제를 사용하지 않고 천연적으로 발현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비누베이스 100중량부에 대해 와인팜 추출액 0.5-1.5중량부와, 끄라차이담 추출액 1.5-2.5중량부와, 모링가 추출액 1.5-2.5중량부 및 수용성 SiO3 0.5-1.5중량부 더 첨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인팜(Wine Palm)은 토디팜(Toddy Palm)으로도 불리우는 미얀마에서 서식하는 공작 야자수로서 본 발명에서는 그 추출물인 수액을 사용한다.
이러한 와인팜은 열대성 기후에서 자라는 팜 나무의 꽃에서 채취한 수액을 끓인 후 응결과 건조과정을 거친 일종의 정제되지 않은 천연 설탕으로서 백설탕보다 혈당량(백설탕에 비해 GI 지수가 1/2 이하)이 낮고, 항산화작용이 뛰어난 폴리페놀이 풍부하며, 그 외 미네랄과 비타민이 풍부하다.
무엇보다도, 와인팜에는 셀레늄이 함유되어 있는데, 셀레늄은 글루타티온 페록시다아제를 활성화시키는 성분이며, 글루타티온 페록시다아제는 피부의 괴사를 억제하며 중금속 배출 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여기에서, 와인팜 추출액을 만들 때 단순 증숙 추출로는 효과가 반감되므로 특성 발현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80-86℃의 온도로 6시간 스팀 중탕가압한 후 45-55℃로 온도를 낮춘 다음 다시 2시간 동안 숙성하되, 스팀 중탕가압시 압력은 0.1±0.05kgf/㎠로 유지하여야 한다. 만약, 이 압력과 온도를 유지하지 않게 되면 탄화에 의한 부작용은 물론 수액의 중요성분을 구성하는 세포 내 활성이 안되서 원하는 성분 추출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끄라차이담(Kaempferia Pafiflora)은 건기가 뚜렷한 열대지방인 태국이나 라오스 등지에서 서식하는 식물로서, 100여년전부터 태국왕실에만 특별히 공급될 만큼 희귀하고 특별한 식물이며, 해발 1,800미터 이상에서 채취한 자연산 끄라차이담은 폴리페놀, 아르기닌, 아연, 미네랄과 필수 아미노산을 풍부하게 포함하고 있어 피부 재생효과가 우수하고, 무엇보다도 함유된 리신(lysin)은 박테리아나 세포의 용균 또는 용해를 일으킬 수 있는 물질로서, '박테리오파지'를 사멸하는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므로 이 특성을 활용하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모링가(Moringa) 추출액은 콩과식물로 주로 북부 인도지방 등 열대와 아열대지방에서 자생하는 나무로서, 다량의 아미노산과 무기물, 비타민 등 90가지 이상의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주름/노화 방지, 상처 치료 개선 및 36가지 이상의 항염증 혼합물이 자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현지에서는 생명나무로 통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성 SiO3는 독성을 제거하여 인체 유해성을 없애기 위해 첨가되는데, 특히 6대 중금속 등의 유해물질을 제거하는데 유용하다.
한편, 상기 글리세린 제거단계(Glycerine Removal Step)는 비누화 과정에서 생성된 글리세린을 분리 제거하기 위해 유용성분이 첨가된 겔 상태의 비누베이스에 소금을 첨가하여 글리세린을 분리하는 단계이다.
이때, 소금을 첨가하는 이유는 비누는 소금에 녹지 않는 반면, 글리세린은 매우 잘 녹기 때문에 비누화 과정에서 생성된 글리세린을 소금으로 녹여 부상되게 하여 이를 분리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비누 정제단계(Soap Purification Step)는 글리세린이 제거된 비누베이스에 잔류되어 있는 수산화나트륨을 제거하기 위한 단계로서, 시트르산과 같은 약산을 첨가하여 중화시킨 다음 액상으로 부상된 부유물을 분리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마무리 단계(Finishing Step)는 식용색소(Condimento Colorante)를 첨가하여 원하는 색상이 발현되게 한 상태에서 틀에 부어 일정 형상을 갖는 고형의 비누로 만드는 단계이다.
이렇게 구성된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는 비누화 과정에서 각 성분들이 균일하게 분포 함유되므로 사용시 피부보호 기능은 물론 미백, 보습, 항균, 소염, 진정, 피부재생 등의 효과를 갖게 하여 준다.
특히,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자연생태적으로 존재하는 추출액을 사용함으로써 피부 트러블이나 알레르기가 없고, 경피독 생성이 없으며, 세발시 탈모를 억제하는 효능도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수제 비누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술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하되, 유용성분은 아래 발명예1과 같이 조성하여 첨가하였다.
이때, 발명예1의 유용성분은 비누베이스 100중량부에 대해 라벤다 오일 1.5중량부와, 프랑킨센스 오일 1.5중량부와, 미르 오일 1.5중량부와, 제라늄 오일 1.5중량부와, 일랑 일랑 오일 3.0중량부와, 레몬 오일 1.0중량부와, 페퍼민트 오일 1.0중량부와, 로즈마리 오일 1.5중량부와, 레몬 그라스 오일 1.0중량부와, 멜라루카 오일 1.0중량부와, 시더우드 오일 1.5중량부와, 스트러스 오일 1.0중량부, 오렌지 오일 1.0중량부 및 어성초 추출물 4중량부로 조성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되, 유용성분에 와인팜 추출액 1.5중량부와, 끄라차이담 추출액 2.0중량부와, 모링가 추출액 2.0중량부와 및 수용성 SiO3 1.0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조성하였고, 이를 발명예2로 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되, 유용성분 첨가단계에서 비누베이스를 90℃로 가온하였고, 이를 발명예3으로 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되, 비누화단계에서 팜오일과 코코넛오일을 혼합 정유한 지방산을 기준으로 히알루론산을 1:0.05의 중량비로 더 첨가하였고, 이를 발명예4로 하였다.
[종래예]
비교를 위해 시판중인 일반비누(예. 상표명 '도브')를 종래예로 선정하였다.
이때, 발명예3은 비누 제조과정에서 탄화되어 불량이 발생되었으므로 실험에서 배제하였다.
먼저, 발명예1,2,4와 종래예에 따른 비누가 약알카리성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리트머스 시험지를 이용하여 테스트하였다.
시험결과, 연한 하늘색으로 모두 바뀌었다. 따라서, 발명예1,2,4 및 종래예 모두 알카리성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피부자극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성인 여성(30대) 8명을 실험군으로 선정하여 상기 발명예1,2,4와 종래예를 사용하되, 각 2명씩 서로 다른 비누로 팔을 세정한 후 12시간 동안 유지하여 피부에서 홍반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확인 결과, 모두 홍반이 발생되지 않아 피부자극도 거의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실험군으로 하여금 30일동안 해당 비누만을 1일 3회씩 세안하게 하고, 30일 후 피부 상태를 체크하였다.
이때, 확인을 위해 실험군 모두 얼굴의 오른쪽 볼에 직경 1cm 크기로 원을 표시한 후 사용전 후의 표피 상태 변화를 스킨스캐너(Skinscanner)로 스캔하여 확인하였다.
확인결과, 발명예1을 사용한 실험군에서는 0.7 collagen/mg protein의 감소 변화와 조직 손상이 없고 습윤 상태가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발명예2에서는 2.8 collagen/mg protein의 감소 변화와 조직 손상이 없었으며 습윤 상태가 증가하였다.
또한, 발명예4는 1.1 collagen/mg protein의 감소 변화와 조직 손상이 없고 습윤 상태가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종래예의 경우에는 0.05 collagen/mg protein의 감소 변화와 조직 손상이 발견되었고 습윤 상태는 그대로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비누가 조직 손상을 예방하면서 보습 효능이 있음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GC/SIM 분석을 통해 발명예1,2,4 및 종래예에 대해 알레르기성 항원(35종)에 대한 분석시험을 실시한 결과, 발명예1,2,4에서는 35종 모두가 불검출되었으나, 종래예에서는 9종이 검출되어 사용자의 피부 특성에 따라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아울러, 발명예1,2,4 및 종래예의 거품성을 확인하기 위해 15℃의 물에 시료를 넣고 교반기로 교반하여 거품성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확인결과, 시료 모두 거품이 잘 일어났다. 따라서, 시료를 세정용 비누로 사용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발명예1,2,4의 경우 화학합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거품이 잘 일어 계면활성기능이 구현되므로 세정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것이고, 종래예는 화학합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므로 당연히 거품이 잘 일어날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비누가 사용되는데 전혀 문제 없음이 확인되었다.

Claims (2)

  1. 비누화 단계(Saponification Step)와, 유용성분 첨가단계와, 글리세린 제거단계(Glycerine Removal Step)와, 비누 정제단계(Soap Purification Step)와, 마무리 단계(Finishing Step)를 거쳐 제조되는 수제 비누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누화 단계는 팜오일 또는 코코넛오일을 정유한 지방산(Fatty Acid)을 수산화나트륨 및 정제수와 혼합한 후 가열하여 pH 7.11-7.99를 유지하는 약알카리성 비누베이스를 만드는 단계이고;
    상기 유용성분 첨가단계는 상기 비누베이스를 60-70℃로 가온(加溫)하여 겔화시킨 상태에서 상기 비누베이스 100중량부에 대해 라벤다 오일 1.5-2중량부와, 프랑킨센스 오일 1.5-2중량부와, 미르 오일 1.5-2중량부와, 제라늄 오일 1.5-2중량부와, 일랑 일랑 오일 2.5-3.5중량부와, 레몬 오일 0.5-1.5중량부와, 페퍼민트 오일 0.5-1.5중량부와, 로즈마리 오일 1.5-2중량부와, 레몬 그라스 오일 0.5-1.5중량부와, 멜라루카 오일 0.5-1.5중량부와, 시더우드 오일 1.5-2중량부와, 스트러스 오일 0.5-1.5중량부, 오렌지 오일 0.5-1.5중량부 및 어성초 추출물 3-6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배합하는 단계이며;
    상기 글리세린 제거단계(Glycerine Removal Step)는 비누화 과정에서 생성된 글리세린을 분리 제거하는 단계이고;
    상기 비누 정제단계(Soap Purification Step)는 글리세린이 제거된 비누베이스에 시트르산을 포함한 약산을 첨가하여 잔류되어 있는 수산화나트륨을 중화시켜 제거하는 단계이며;
    상기 마무리 단계(Finishing Step)는 식용색소(Condimento Colorante)를 첨가하여 원하는 색상이 발현되게 한 상태에서 틀에 부어 일정 형상을 갖는 고형의 비누로 만드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글리세린 제거단계(Glycerine Removal Step)에서 글리세린 분리 제거는 유용성분이 첨가된 겔 상태의 비누베이스에 글리세린을 녹이는 성질을 가진 소금을 첨가하여 녹아 부상된 글리세린을 분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

KR1020170078301A 2017-06-21 2017-06-21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 KR1018721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301A KR101872158B1 (ko) 2017-06-21 2017-06-21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301A KR101872158B1 (ko) 2017-06-21 2017-06-21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158B1 true KR101872158B1 (ko) 2018-06-27

Family

ID=62789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301A KR101872158B1 (ko) 2017-06-21 2017-06-21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15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133A (ko) 2019-04-17 2020-10-27 배관우 노폐물 제거와 피부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비누
KR20210066267A (ko) * 2019-11-28 2021-06-07 (주)아로마용 프랑킨센스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 오일세럼 조성물
KR20210088068A (ko) * 2020-01-06 2021-07-14 차순례 천연오일 성분이 함유된 탈모방지 기능성 비누
KR102434209B1 (ko) * 2022-01-28 2022-08-19 전기열 천연 오일을 함유한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KR20230166333A (ko)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바이옵트 아로마 오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64908B1 (ko) * 2023-05-04 2024-05-16 한국콜마주식회사 항균용 조성물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612B1 (ko) * 1992-01-23 1995-09-20 주식회사태평양 피부진균류에 대한 상승된 항균효과를 갖는 미용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
JP2530937B2 (ja) * 1990-09-06 1996-09-04 ライオン株式会社 石けん基剤と石けん組成物及び該石けん基剤の製造方法
US20010001666A1 (en) * 1999-02-11 2001-05-24 Marie Harbeck Liquid skin treatment
KR20010103094A (ko) * 2001-09-24 2001-11-23 최영범 오미자 엑기스 함유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0444400B1 (ko) 2003-12-30 2004-08-16 전영완 기능성 세정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천연 아로마 기능성 비누
KR101128299B1 (ko) 2012-01-05 2012-03-23 고은주 생약숙성탕액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128361B1 (ko) 2012-01-09 2012-03-23 조봉주 차유를 이용한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02033A (ko) * 2011-06-28 2013-01-07 오경희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
KR101230003B1 (ko) 2012-08-22 2013-02-05 강산농원영농조합법인 산야초 발효액을 이용한 천연비누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88586B1 (ko) 2014-09-26 2016-12-21 김신수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57530A (ko) 2015-11-17 2017-05-25 김경재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0937B2 (ja) * 1990-09-06 1996-09-04 ライオン株式会社 石けん基剤と石けん組成物及び該石けん基剤の製造方法
KR950010612B1 (ko) * 1992-01-23 1995-09-20 주식회사태평양 피부진균류에 대한 상승된 항균효과를 갖는 미용비누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10001666A1 (en) * 1999-02-11 2001-05-24 Marie Harbeck Liquid skin treatment
KR20010103094A (ko) * 2001-09-24 2001-11-23 최영범 오미자 엑기스 함유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0444400B1 (ko) 2003-12-30 2004-08-16 전영완 기능성 세정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천연 아로마 기능성 비누
KR20130002033A (ko) * 2011-06-28 2013-01-07 오경희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
KR101128299B1 (ko) 2012-01-05 2012-03-23 고은주 생약숙성탕액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128361B1 (ko) 2012-01-09 2012-03-23 조봉주 차유를 이용한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0003B1 (ko) 2012-08-22 2013-02-05 강산농원영농조합법인 산야초 발효액을 이용한 천연비누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88586B1 (ko) 2014-09-26 2016-12-21 김신수 오리 난황유 및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비누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57530A (ko) 2015-11-17 2017-05-25 김경재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133A (ko) 2019-04-17 2020-10-27 배관우 노폐물 제거와 피부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비누
KR102201395B1 (ko) * 2019-04-17 2021-01-11 배관우 노폐물 제거와 피부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비누
KR20210066267A (ko) * 2019-11-28 2021-06-07 (주)아로마용 프랑킨센스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 오일세럼 조성물
KR102316168B1 (ko) 2019-11-28 2021-10-22 (주)아로마용 프랑킨센스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 오일세럼 조성물
KR20210088068A (ko) * 2020-01-06 2021-07-14 차순례 천연오일 성분이 함유된 탈모방지 기능성 비누
KR102323659B1 (ko) * 2020-01-06 2021-11-12 차순례 천연오일 성분이 함유된 탈모방지 기능성 비누
KR102434209B1 (ko) * 2022-01-28 2022-08-19 전기열 천연 오일을 함유한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KR20230166333A (ko) 2022-05-30 2023-12-07 주식회사 바이옵트 아로마 오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64908B1 (ko) * 2023-05-04 2024-05-16 한국콜마주식회사 항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158B1 (ko)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
KR20170036397A (ko)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의 기능성 고형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비누 제조방법
KR102460827B1 (ko) 진피-메밀 복합 발효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천연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60206A (ko) 해양심층수 및 해양콜라겐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KR20170010490A (ko) 해조 추출물이 첨가된 비누와 그의 제조방법.
KR101064419B1 (ko) 수세미 열매 속 섬유질을 함유하는 천연 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65716B1 (ko) 천연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613632B (zh) 一种富含透明质酸或其盐的宠物洗护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252604B1 (ko) 코코넛 추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천연 샴푸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6774B1 (ko) 황기, 황정 및 솔잎 추출물이 포함되는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069759B1 (ko) 폴리사카라이드를 담체로 이용한 울금 추출물과 탄닌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48700A (ko) 검버섯 및 잔주름 개선기능을 갖는 생약숙성탕액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05030613B (zh) 一种抗菌缓解疲劳的天然植物精油洗脚液
CN104513733A (zh) 一种天然睡莲精油香皂
KR101498609B1 (ko) 한방약초농축액을 이용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조성물
KR101479499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KR20160046024A (ko) 두피질환 개선용 천연비누 조성물
KR101539744B1 (ko)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 주방용 항균 세제
CN108531319A (zh) 一种抑菌清洁产品及其制备方法
KR10192608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1932427B1 (ko) 케나프와 백토가 함유된 천연비누 제조용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비누 제조방법
JP2002363065A (ja) 薬草化粧石鹸及びローション
KR101711143B1 (ko) 천연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천연 비누
CN104250592A (zh) 天然野菊花婴儿防敏除菌洗衣液
CN107629900A (zh) 一种栀子美白祛痘型手工冷制皂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