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4400B1 - 기능성 세정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천연 아로마 기능성 비누 - Google Patents

기능성 세정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천연 아로마 기능성 비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400B1
KR100444400B1 KR1020030099797A KR20030099797A KR100444400B1 KR 100444400 B1 KR100444400 B1 KR 100444400B1 KR 1020030099797 A KR1020030099797 A KR 1020030099797A KR 20030099797 A KR20030099797 A KR 20030099797A KR 100444400 B1 KR100444400 B1 KR 100444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group
weight
functional
so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완
한종우
Original Assignee
전영완
한종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영완, 한종우 filed Critical 전영완
Priority to KR1020030099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44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4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40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11D7/44Vegetable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24Hydrocarbons
    • C11D7/248Terp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나무(Cinnamomum camphora) 목재의 구성성분에 함유되는 모노테르펜 중의 하나인 캄포아를 피로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로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유효성분으로서 페퍼민트 및/또는 지방분해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비누 원료 혼합물에 상기의 세정 조성물을 배합하여 성형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후 피로회복을 위한 천연 아로마 스포츠 기능성 비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아로마 기능성 비누에 따르면, 근피로, 근육통, 근육경직 등의 운동 피로현상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아울러 각종 알레르기성 피부염을 진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운동후 회복과정의 유산소과정(EPOC 현상)에서 체지방 분해를 촉진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Description

기능성 세정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천연 아로마 기능성 비누{Functional Cleaning Compositions and Natural Aroma Functional Soaps containing them}
본 발명은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녹나무(Cinnamomum camphora) 목재의 구성성분에 함유되는 모노테르펜 중의 하나인 캄포아를 피로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더 나아가 천연 아로마 기능성 비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장비누는 피부를 청결하게 세척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세정 기능을 극대화함으로서 피부의 청결과 피부건강에 중점을 두었다. 이로 인하여 세척과정에서 피부 상피조직에 축적된 피지성분들을 필요 이상 과도하게 제거함으로서 피부가 거칠어지거나 건조해짐으로서 오히려 피부 건강을 해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각종 화학성분으로 제조된 비누가 지니고 있는 단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천연성분이나 천연 광물분말과 그 추출물 등이 함유된 비누가 개발되어 각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공개특허공보 제1999-16684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포제, 진통제, 흥분제, 구충제 등의 의약품, 음료용품, 화장품 등에 첨가하여 청량제나 향료로 쓰이고 있으면서 피부 가려움증 해소에도 사용되고 있는 멘톨성분을 화장비누에 첨가하고 있다. 이러한 공개 공보에서는 상기 멘톨성분을 함유시킴으로서 종래 비누의 세척력, 피부미용 등의 효과 이외에 피부 가려움 해소, 피로회복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2001-85122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투명비누에 시원한 느낌을 주는 멘톨성분과 아로마향을 첨가하여 화장비누를 제조함으로서 세정력과 피부보습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품을 사용한 후에 사용자에게 시원한 청량감을 주어 몸의 열을 낮추는 효과와 함께 운동이나 노동후에 오는 근육의 통증을 일부 감소시켜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공개특허공보에서는 단순하게 멘톨성분을 비누에 사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만을 제시하였고 이러한 비누를 사용할 경우 구체적인 사용자들의 운동적용 전·후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율 및 제지방량에 대한 변량분석의 결과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다. 더 나아가 운동적용 전·후 사용자의 세포내액, 세포외액, 단백질량 및 미네랄양에 대한 변량분석의 결과에 대해서는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으므로 멘톨의 사용효과에 대해서는 의약품이나 화장품의 효과를 유추하여 추상적으로 서술하고 있을 뿐이고 그 효과에 대해서도 불충분하다 할 것이다.
또한, 이들 공개특허공보에는 캄포어, 페퍼민트, 사이프러 등을 첨가한 세정조성물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으며, 이들 성분을 함께 사용하여 피로회복에 시너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해서도 전혀 언급이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캄포어, 페퍼민트, 사이프러스 등을 첨가하여 운동후 피로회복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세정 조성물, 특히 천연 아로마 기능성비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 양태로서 본 발명의 기능성 세정 조성물은 녹나무(Cinnamomum camphora) 목재의 구성성분에 함유되는 모노테르펜 중의 하나인 캄포아를 심리적 긴장을 완화시키기 위한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의 기능성 세정 조성물은 피로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유효성분으로서 페퍼민트 및/또는 인체 활동후 체내지방의 분해를 촉진하는 체지방 분해촉진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지방 분해촉진물질은 사이프러스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 세정 조성물은 조성물 전 중량을 대하여 상기 캄포아가 1 내지 5중량%이고, 페퍼민트가 1 내지 5중량%이며, 사이프러스가 0.3 내지 3.0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범위를 벗어나면 제조비용이 상승하거나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일반적인 비누 원료 혼합물에 상기 세정 조성물을 배합하여 성형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후 피로회복을 위한 천연 아로마 기능성 비누를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성 비누는 보습제인 셰어버터 0.3 내지 3.0중량%, 및 호호바오일 1.0 내지 3.0중량%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퍼민트는 멘톨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피로현상(fatigue appearance)은 격렬한 스포츠 활동 직후 나타나는 생리적 혼란생태를 말하며, 현재까지 피로의 원인은 에너지원의 소모, 젖산을 비롯한 부산물의 축적, 신경기능의 장애 등으로 보고 되고 있다. 특히, 운동으로 인한 피로는 운동의 형태에 따라 구분된다. 즉, 20초 이내의 짧은 시간동안 수행되는 격렬한 운동시 피로는 ATP와 PC의 고갈이라고 할 수 있으며, 2분 이상의 격렬한 운동수행시의 원인은 주로 젖산축적과 관련이 있다. 한편, 장시간 운동시 일어나는 피로의 원인을 글리코겐의 고갈과 신경기능의 장애가 주된 요인이 되며 심리적 피로가 이러한 생리적 피로현상보다 선행되는 경우도 있다.
구체적으로 피로는 근육의 수축과 이완 반응 중에서 한 과정이라도 정상이 아닐 때 발생되는데, 일련의 과정을 저해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들을 종합해 보면 에너지원의 소모, 젖산 축적, 항상성의 혼란, 신경의 조절기능 저하 등이 주요 원인으로 요약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능성 세정 조성물, 나아가 기능성 비누는 운동 직후 인체에 초래될 수 있는 부정적인 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원료에 오일(팜오일, 코코넛오일)과 솔비톨, 호호바 오일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함유시켜 피부 보습과 보호를 돕게 하였으며, 캄포어를 함유시켜 심리적인 긴장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고, 사이프러스와 셰어버터(Sheabutter)를 함유시켜 지방분해를 촉진하고, 피부의 노화를 예방하려고 하였다. 또한, 페퍼민트 또는 멘톨을 함유시켜 근육이완, 근육통 완화 및 피부염을 완화하고 체온을 떨어트려 피로회복을 촉진하게 하였다.
본 발명에서 저온법(cold processing)에 의하여 제조되는 비누에 사용되는 구체적인 구성성분의 특성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팜오일(palm oil)은 지방산 유지(油脂)로서 비누의 성분 중 비누의 특징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팜오일의 가장 큰 특징은 비누가 단단해지도록 해주며, 조밀한 거품을 일어나게 하는 것이다. 또 오레인산이 포함되어 있어 보습에도 도움을 준다.
코코넛 오일은 코코야자에서 채취하는 오일로 섭씨 25℃ 이상에서는 액체상태로 유지되지만, 그 이하의 온도에서는 백색의 고체 상태이다. 비누에 배합하는 목적은 거품이 풍부하게 나도록 하며,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여 안정화시키는 작용과 함께 비누를 단단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올리브오일은 올리브 열매에서 채취하는 오일로 오레인산이 많이 들어 있어 보습효과가 뛰어나다. 올리브 오일의 정제와 압착 정도에 따라 분류되는데, 비누를 제조할 때는 퓨어나 퍼미스 등급을 많이 쓴다.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TEA)은 우수한 생분해성과 매우 낮은 자극성을 가진 환경친화적 계면활성제로 광범위하게 이용이 가능하며, 특히 피부사용감이 우수하다고 알려진 물질이다.
상기 저온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비누의 성분 함량은 팜오일 지방산 30 - 40중량%, 코코넛 오일 지방산 30 - 40중량%, 올리브유 3 - 5중량%, 트리에탄올아민 5 - 10중량%, 나트륨(4Na) 0.2중량%, 증류수 10 - 15중량%, 수산화나트륨 10 - 15중량% 범위내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에서 다양한 기능성 효과를 부여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유효성분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캄포어(Camphor)는 녹나무(Cinnamomum camphora) 목재(木材)의 구성성분에 함유되는 모노테르펜 중의 하나로서, 특유한 냄새가 나는 부드러운 백색결정이며 융점 179∼184℃이다. 특히 화이트 캄포어는 스킨케어용으로 여드름, 염증, 지성피부 등에 사용되며 순환, 근육 및 관절과 관련된 질병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성분이다.
페퍼민트(Peppermint: 학명 Mentha piperrita)는 강하게 스며드는 예리한 멘톨(박하)향기가 나는 식물에서 얻어진 성분이다. 이의 정유의 주요 성분인 멘톨(menthol)은 피부와 점막을 시원하게 해주고, 항균과 통증 완화에 효과적이어서 식용과 약용 및 방향제로, 원기 강화제와 목욕 첨가제로 사용하였다. 정신적 피로와 우울증, 신경성 발작 등에 효과가 있고, 더울 때에는 차갑게 해주고 추울 때에는 따뜻하게 해주는 성분이 점액의 유출을 막아주고 해열과 발한을 돕는다고 알려져 있다.
사이프러스(Cypress)는 땀을 흘리기 쉬운 지방성 피부나 노화된 피부를 당겨주어 적당한 수분을 유지시켜준다. 또한 셀룰라이트성 비만자에게 체지방 감소를 촉진하는데 효과를 주고, 부수적으로 지성 피부나 운동으로 손상된 피부, 수분이부족한 피부에도 효과를 준다고 알려진 물질이다.
솔비톨은 6개의 수산기(-OH)를 가진 당알콜로서 D-소르비톨 또는 D-글루시톨이라고도 불리어지는데, 자연계에 광범위하게 존재하며 특히 과실(1∼2%), 해조류(13%)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순수한 솔비톨은 물에 매우 잘 용해되고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증가하는데 20℃에서의 포화된 수용액은 중량비로 약 70%의 순수 솔비톨과 30%의 물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수분을 강하게 흡수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습윤조정제 또는 보습제 등에 사용된다.
폴리에틸렌글리콜(PEG 400)은 녹는점이 6-60℃를 나타내며, 점도는 중합도의 차이에 따라서 다르며(PEG-X에서 X는 분자량을 의미한다), 보통 분자량은 200- 8000까지 형성하고, 카제인, 젤라틴, 폴리비닐알콜 등에 가소제로 사용된다.
이외에 본 발명의 세정 조성물에 항균과 보습의 효과 등을 주기 위하여 추가로 다음의 물질들이 사용된다.
호호바 오일(Jojoba oil)은 주성분으로는 지방산과 알코올의 왁스 구조로서 피부의 피지와 지방산의 구조와 유사하여 피부친화성이 좋고 잘 흡수되어, 항균작용이 있어 여드름 피부의 관리에 이용된다. 식물 왁스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를 부드럽고 촉촉하게 해주며 모발과 피부보호용으로 적합하다. 마사지, 피부관리에 가장 널리 쓰이며 잡티가 많은 피부, 지성피부에 좋고 모공을 줄여 주며 막힌 모공을 씻어주는 효과가 있다.
셰어 버터(Shea butter)는 아프리카 셰어나무에서 추출된 하얗고 끈적끈적한 오일로, 보습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에 그대로 건조한 피부에 발라도 효과적이다. 부드럽고 풍부한 거품을 내기 때문에 비누 기능에도 탁월한 도움을 준다.
이들 성분들은 캄포어 1 - 5중량%, 페퍼민트 또는 멘톨 1 - 5중량%, 사이프러스 0.3 - 3.0 중량%, 쉐어버터 0.3 - 3.0중량%, 및 호호바 오일 1.0 - 3.0중량%범위내에서 함유될 수 있으며, 이 범위내를 벗어나면 효과적이지 못하거나 경제적이지 못하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준비과정)
(1) 코코넛 오일 지방산, 팜오일 지방산, 올리브유 및 트리에탄올아민으로 이루어진 베이스 오일(80g)을 용기에 넣고 60∼70℃(70℃)를 유지한 상태에서 교반한다.
(2) 증류수(9g)에 4Na(2g)를 넣고 완전히 풀어질 때까지 녹인다.
(3) NaOH(9g)를 증류수에 넣고 완전히 녹인 다음, 온도가 35℃ 정도에 이를 때까지 서서히 식힌다.
(CP 비누의 제조공정)
(1) 상기 준비과정의 두 번째와 세 번때 단계에서 얻어진 물질을 혼합하여 잘 풀어질 때까지 교반한다. 이어서 얻어진 혼합물(20g)을 상기 준비과정의 첫 번째 단계의 베이스 오일(80g)에 넣고 완전히 혼합하여 완전한 트레이스(trace) 상태가 될 때까지 장시간 교반한다. 이 과정에서 덩어리가 생기지 않도록 한쪽방향으로잘 저어야 한다.
(2) 교반이 잘 이루어졌으면, 준비한 용기나 몰드에 붓은 다음, 숙성실(햇빛이 들지 않고 건조가 잘되는 장소)에서 2∼8주 동안 숙성 및 건조를 시킨다. 2∼7일쯤 되었을 때 용기나 몰드에서 숙성되고 있는 비누를 빼내어 얇게 잘라서 건조를 시킨다. 이때 수분이 거의 제거될 때까지 건조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3) 저온법으로 만든 CP비누는 화학적인 합성계면활성제를 첨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인체나 자연오염을 훼손시키지 않는 자연친화적인 고기능성 비누이다. 하지만 형타를 치는 성형과정이 수작업으로 복잡하고 장시간을 요하는 불편이 있어 대량생산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딱딱해진 CP비누를 분말로 만드는 공정과정을 한번 더 실시한다.
(4) 딱딱해진 고체 CP비누를 분쇄기에 넣고 아주 곱게 분쇄를 해 가루로 만든다. 이때 작은 덩어리가 생기지 않도록 완전한 분말형태로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기능성 비누의 제조공정)
(1) 분말형태로 된 CP 비누가루(100g)에 기능성 첨가원료로서 캄포어 3.5중량%, 페퍼민트 0.5중량%, 사이프러스 0.5중량%, 쉐어버터 0.5중량%, 및 호호바 오일 2.0중량%, 폴리에틸렌글리콜(PEG 400) 5중량%, 및 솔비톨 3.0중량%을 넣고 잘 혼합(mixing)한다.
(2) 혼합(mixing)이 끝난 비누를 반죽기에 넣고 끈적끈적한 반액체 상태로까지 반죽을 한다. 물성이 변화되면 탱크 노즐을 통해 반액체 상태의 CP 비누가 흘러나오면 비누 판매정량으로 컷팅하여 금형을 이용해 판매할 외형으로 프린팅한다.
(3) 제품 출시를 위해 사전 고안된 형태로 포장을 한다.
상기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기능성 비누를 시판되고 있는 일반 화장비누와 비교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1) 피부보습 효과에서는 기존의 비누의 경우 피부 당김 현상이 있으나, 본 발명의 제품은 세안 후 피부 당김 현상이 없고 보습 효과가 뛰어났다.
(2) 알칼리성 정도에서는 기존의 비누는 pH 11 이상의 강알칼리성 비누이나 본 제품은 10이하로 피부 자극이 적어 피부손상을 방지하는 우수함을 가지고 있었다.
(3) 염분함량에서는 기존비누는 염분을 0.6∼0.9% 정도를 내포하고 있어 피부당김이나 세안후 피부가 건조함을 느낄수 있으나 본 제품은 염분성분을 전혀 포함하지 않고 있어 그러한 현상이 전혀 없고 오히려 피부보습제 원료가 많이 들어 있어 피부노화와 윤택함을 유지하는데 크게 효과가 있었다.
(4) 순도면에서는 본 제품은 생산기법이 아주 어렵고 까다로운 저온법(CP) 과정과 장기간의 숙성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손으로 만든 비누로 원료에 포함된 모든 불순물을 정제한 고순도 제품이었다.
(5) 순식물성면에서는 본 제품은 천연원료를 주원료로 사용하여 만든 것으로 화학적 계면활성제가 전혀 포함되지 않아 환경오염의 주범인 환경호르몬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식물성 원료를 장기간 숙성해야하는 제조과정이 어렵긴 하나 피부에 부드럼움과 깨끗함, 스포츠후의 회복과정에서 상쾌함을 크게 느낄 수 있었다.
(6) 기타 본 발명의 비누는 비누를 만드는 초기원료로 베이스 자체를 천연성분에서 고도로 정제된 야자유와 종려유(palm oil)을 사용하여 천연성을 유지 강화한 것이 장점이 있었다.
이하, 상기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비누를 대상자에게 사용한 임상실험 방법과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비누의 임상실험)
실험기간은 2003년 11월 1부터 12월 1일 한 달간으로 설정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소재 S병원 운동처방센터에 정기적으로 내원하는 남자 회원들 중 연구대상자 조건과 제외조건에 의하여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총 40명으로 10명씩 네 집단(A, B, C, D)으로 구분하였다. 구체적으로 A집단은 본 발명의 비누의 사용과 함께 운동을 수행한 집단, B집단은 본 발명의 비누를 사용하지 않고 운동만을 수행한 집단, C집단은 본 발명의 비누를 사용하되, 운동을 수행하지 않은 집단, 그리고 D집단은 본 발명의 비누를 사용하지 않고 운동도 수행하지 않은 집단으로 세분화하였다. 실험 전 이들의 신체적 특성은 <표 1>와 같다.
표1. 대상자의 신체적 특성 . 평균(±SD)
집단 사람 수 나이(년) 키(㎝) 체중(㎏) 지방도(%)
A 10 30.01(±6.21) 173.60(±7.73) 75.81(±13.08) 18.23(±4.81)
B 10 29.70(±4.81) 171.40(±4.47) 72.35(±7.49) 19.79(±2.93)
C 10 28.60(±3.68) 171.30(±5.67) 69.62(±6.81) 18.73(±4.38)
D 10 28.22(±3.76) 171.80(±6.51) 73.37(±9.74) 19.23(±3.08)
1) 연구대상의 조건 기준
연구 대상자의 조건은 규칙적인 운동에 참여해 오고 있지 않으며,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를 수락한 자들로, 특별한 질환이 없고, 약물복용이나 수술을 하지 않았으며,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한 다른 신체적, 정신적 질환이 없는 자들이었다.
2) 연구설계 및 실험절차
연구설계는 총 40명의 연구 대상자들을 각 10명씩 네 집단으로 구분하여 실험 시작 전과 4주 후 동일한 방식의 설문지를 작성하고, 신체조성(body composition)에 대한 변인들을 생체전기 임피던스 방식으로 각각 2회씩 조사하였다.
3) 운동 프로그램
운동 시작 전 혈압과 심박수, 체중, 컨디션과 같은 기초적인 이학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아래 <표 2>에 제시된 운동 프로그램에 따라 일주일은 컨디션닝을 목적으로 본 운동의 10% 부족한 운동량을 적용하였고, 이후에는 연구에서 선정한 처방프로그램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학검사 실시 후 준비운동을 5∼10분간 실시하였다. 이후 본 운동으로써 최대 심박수의 60%에 해당하는 운동 강도에서 트레드밀 보행 및 조깅을 30∼45분간 실시하도록 하였다. 이때 운동량은 약 200∼350㎉ 소모기준으로 하였으며, 주당 5일 간을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한편, 근력 운동으로는 대근육군을 중심으로 한 머신에서의 중량부하 운동을실시하도록 하였다. 운동순서는 격일로 하여 월, 수, 금에는 레그프레스 (Leg-press), 레그이스텐션(Leg-extension), 레그컬(Leg-curl), 백익스텐션 (Back - extension), 및 업도멘컬(Abdomen-curl)을, 화, 목, 토에는 시티드벤치프레스(Seated bench-press), 암컬(Arm-curl), 트리셉스(Triceps) 및 래트풀다운(Lat pull-down)을 각각 1RM(repetition maximum)의 60%강도로 10회를 3세트 실시하도록 하였다. 본 운동이 끝난 후 정리운동을 10∼15분 가량의 유연체조와 스트레칭을 실시하도록 하였다.
표 2. 운동집단용 운동프로그램
항목 운동기간
0∼1wk 2∼4wk
준비운동 5∼10min 5∼10min
실행 트레드밀 HRmax 60%×25∼40min HRmax 60%×30∼45min
웨이트 트레이닝 1RM 55%×10reps×3sets 1RM 60%×0reps×3sets
정리운동 10∼15min 10∼15min
4) 신체조성 변인의 측정방법
신체조성 변인에 대한 성분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생체전기 임피던스법(Bioelectrical Impidance Analysis)을 이용하였다. 검사방법은 모든 피험자들이 받침대 위에 올라선 후 양손으로 손잡이를 잡고 있으면 신장, 체중, 근육량, 체지방량, 체지방율, 제지방량 및 복부지방율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기기인 체성분검사기 인바디3.0(Inbody 3.0; Biospace, Korea, 1999)을 이용하였는데, 이 분석법은 인체에 무해한 고주파수(500∼800KHz)를 전도시켜 지방조직과 비지방조직의 전기저항 차이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써 지방량을 추적할 수 있다.
5) 자료처리 방법
실험에서 얻어진 모든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package SPSS/pc+ 10.0)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자료처리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⑴ 최초 실험(baseline)과 4주 후에 나타난 모든 자료에 대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⑵ 신체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집단별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⑶ 모든 변인들은 집단간(between subject) 설계와 총 2회에 대한 검사시점 변인의 집단내(within subject) 설계이었으며, 이와 같은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분석으로 일원배치법(one way ANOVA)를 이용하였고, 사후분석 검증을 위하여 두칸법(Duncan Method)를 적용하였다;
⑷ 모든 변인은 유의도 α=0.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6) 연구결과
⑴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율 및 제지방량의 변화
4주간 운동적용 전·후 네 집단의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율 및 제지방량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는 <표 3>과 같고, 구체적인 변인 변화와 이에 대한 변량분석의 결과들은 아래와 같다.
표 3. 신체 조성변인의 차이 평균(±SD)
집단 체중(㎏) 지방량(㎏) 지방율(%) 제지방율(%)
baseline post 4wk baseline post 4wk baseline post 4wk baseline post 4wk
A 75.81a(±13.08) 74.57a(±12.62) 13.81a(±4.08) 12.56b(±3.40) 18.23a(±4.81) 16.09b(±4.28) 61.99a(±11.13) 62.76a(±10.80)
B 72.35a(±7.49) 72.16a(±8.33) 14.43a(±2.73) 13.74a(±2.50) 19.79a(±2.93) 19.17a(±2.61) 58.89a(±7.70) 59.67a(±7.18)
C 70.09a(±6.57) 69.62b(±6.81) 13.88a(±3.12) 12.70b(±2.84) 18.73a(±4.38) 16.91b(±3.80) 58.86a(±7.13) 59.11a(±6.90)
D 73.14a(±9.32) 73.37a(±9.74) 14.84a(±2.70) 14.97a(±2.72) 19.23a(±3.08) 19.78a(±3.08) 61.99a(±11.13) 61.54a(±11.14)
a, b : 집단간 사후 검증(post hoc mark)
<표 3>에서 운동 전 체중은 A집단이 75.81(± 13.08)㎏, B집단이 72.35(± 7.49)㎏, C집단이 70.09(± 6.57)㎏, D집단이 73.14(± 9.32)㎏이었으나, 운동 후에는 각각 74.57(± 12.62)㎏, 72.16(± 8.33)㎏, 69.62(± 6.81)㎏과 73.37(± 9.74)㎏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운동 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표 3-1), 운동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표 3-2). 즉, C집단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표 3-1. 최초실험에서 체중에 대한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167.133 3 55.711 0.623 0.605
집단내 3220.247 36 89.451
합계 3387.380 39
표 3-2. 4주후 체중에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134.322 3 144.774 4.484 0.036
집단내 3333.362 36 192.593
합계 3467.684 39
<표 3>에서 체지방량은 운동 전 A집단이 13.81(± 4.08)㎏, B집단이 14.43(± 2.73)㎏, C집단이 13.88(± 3.12)㎏, D집단이 14.84(± 2.70)㎏이었으나, 운동후에는 각각 12.56(± 3.40)㎏, 13.74(± 2.50)㎏, 12.70(± 2.84)㎏과 14.97(± 2.72)㎏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운동 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표 3-3), 운동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표 3-4). 즉, A집단과 C집단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표 3-3, 최초실험에서 체중에 대한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7.111 3 2.370 0.230 0.875
집단내 370.517 36 10.292
합계 377.628 39
표 3-4. 4주후 체중에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137.339 3 112.446 3.490 0.037
집단내 300.679 36 201.352
합계 338.018 39
〈표 3〉에서 체지방율은 운동 전 A집단이 18.23(± 4.81)%, B집단이 19.79(± 2.93)%, C집단이 18.73(± 4.38)%, D집단이 19.23(± 3.08)%이었으나, 운동 후에는 각각 17.09(± 4.28)%, 19.17(± 2.61)%, 16.91(± 3.80)%과 19.78(± 3.08)%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운동 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표 3-5), 운동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표 3-6). 즉, A집단과 C집단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표 3-5. 최초실험에서 체중에 대한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13.427 3 4.476 0.296 0.828
집단내 544.812 36 15.134
합계 558.239 39
표 3-6. 4주후 체중에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163.098 3 221.033 4.712 0.042
집단내 442.172 36 112.283
합계 505.269 39
<표 3>에서 제지방량은 운동 전 A집단이 58.70(± 10.65)%, B집단이 54.92(± 9.24)%, C집단이 58.70(± 10.65)%, D집단이 58.70(± 10.65)%이었으나, 운동 후에는 각각 60.23(± 11.02)%, 55.65(± 8.91)%, 58.61(± 10.57)%과 57.85(± 10.61)%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운동 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표 3-7), 운동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표 3-8).
표 3-7. 최초실험에서 체중에 대한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97.037 3 32.346 0.361 0.781
집단내 3222.851 36 89.524
합계 3319.888 39
표 3-8. 4주후 체중에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85.217 3 28.406 0.334 0.801
집단내 3062.609 36 89.072
합계 3147.826 39
⑵ 세포내액, 세포외액, 단백질량 및 미네랄양의 변화
4주간 운동적용 전·후 네 집단의 세포내액, 세포외액, 단백질량 및 미네랄양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는 <표 4>과 같고, 구체적인 변인 변화와 이에 대한 변량분석의 결과들은 아래와 같다.
표 4. 신체조성 변인의 차이 평균(±SD)
집단 세포내액(ℓ) 세포외액(ℓ) 단백질량(㎏) 미네랄양(㎏)
baseline post 4wk baseline post 4wk baseline post 4wk baseline post 4wk
A 29.26a(±5.20) 29.24a(±5.29) 13.79a(±2.63) 14.10a(±2.64) 15.70a(±2.84) 16.38a(±3.21) 3.27a(±0.48) 3.27a(±0.48)
B 27.17a(±4.23) 27.41a(±4.38) 12.72a(±1.95) 12.92a(±1.89) 14.14a(±2.21) 14.48a(±2.14) 3.23a(±0.47) 3.22a(±0.48)
C 29.06a(±5.22) 28.23a(±4.67) 13.14a(±1.82) 13.01a(±1.36) 15.00a(±1.97) 14.98a(±1.44) 3.15a(±0.40) 3.14a(±0.40)
D 27.57a(±4.12) 27.52a(±4.16) 13.14a(±1.64) 13.32a(±1.56) 14.39a(±1.98) 14.41a(±1.55) 3.29a(±0.45) 3.29a(±0.44)
a, b : 집단간 사후 검증
<표 4>에서 운동 전 세포내액은 A집단이 29.26(± 5.20)ℓ, B집단이 27.17(± 4.23)ℓ, C집단이 29.06(± 5.22)ℓ, D집단이 27.57(± 4.12)ℓ이었으나, 운동 후에는 각각 29.24(± 5.29)ℓ, 27.41(± 4.38)ℓ, 28.23(± 4.67)ℓ과 27.52(± 4.16)ℓ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운동 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표 4-1), 운동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표 4-2).
표 4-1. 최초실험에서 체중에 대한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33.041 3 11.014 0.493 0.689
집단내 804.430 36 22.345
합계 837.471 39
표 4-2. 4주후 체중에 일원배치법의 결과.
Source SS DF MS F Pr > F
Between Subjects 21.290 3 7.097 0.328 0.805
Within Subjects 778.330 36 21.620
Sum 799.620 39
<표 4>에서 운동 전 세포외액은 A집단이 13.79(± 2.63)ℓ, B집단이 12.72(± 1.95)ℓ, C집단이 13.14(± 1.82)ℓ, D집단이 13.14(± 1.64)ℓ이었으나, 운동 후에는 각각 14.10(± 2.64)ℓ, 12.92(± 1.89)ℓ, 13.01(± 1.36)ℓ과 13.32(± 1.56)ℓ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운동 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표 4-3), 운동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표 4-4).
표 4-3. 최초실험에서 체중에 대한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5.857 3 1.952 0.465 0.708
집단내 151.133 36 4.198
합계 156.990 39
표 4-4. 4주후 체중에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8.632 3 2.877 0.770 0.518
집단내 134.461 36 3.735
합계 143.093 39
<표 4>에서 운동 전 단백질량은 A집단이 15.70(± 2.84)㎏, B집단이 14.14(± 2.21)㎏, C집단이 15.00(± 1.97)㎏, D집단이 14.39(± 1.98)㎏이었으나, 운동 후에는 각각 16.38(± 3.21)㎏, 14.48(± 2.14)㎏, 14.98(± 1.44)㎏과 14.41(± 1.55)㎏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운동 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표 4-5), 운동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표 4-6).
표 4-5. 최초실험에서 체중에 대한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14.535 3 4.845 0.929 0.437
집단내 187.713 36 5.214
합계 202.248 39
표 4-6. 4주후 체중에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25.077 3 8.359 1.720 0.180
집단내 174.997 36 4.861
합계 200.074 39
<표 4>에서 운동 전 미네랄양은 A집단이 3.27(± 0.48)㎏, B집단이 3.23(± 0.47)㎏, C집단이 3.15(± 0.40)㎏, D집단이 3.29(± 0.45)㎏이었으나, 운동 후에는 각각 3.27(± 0.48)㎏, 3.22(± 0.48)㎏, 3.14(± 0.40)㎏과 3.29(± 0.44)㎏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운동 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표 4-7), 운동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표 4-8).
표 4-7. 최초실험에서 체중에 대한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0.115 3 3.827E-02 0.184 0.906
집단내 7.477 36 0.208
합계 7.592 39
표 4-8. 4주후 체중에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0.138 3 4.605E-02 0.222 0.880
집단내 7.457 36 0.207
합계 7.595 39
⑶ WHR(복부비만율), 비만도(obesity degree), BMI(신체질량지수) 및 BMR(기초대사율)의 변화
4주간 운동적용 전·후 네 집단의 WHR, obesity degree, BMI 및 BMR에 대한 평균 및 표준편차는 <표 5>과 같고, 구체적인 변인 변화와 이에 대한 변량분석의 결과들은 아래와 같다.
표 5. 신체 조성 변인의 차이 평균(±SD)
집단 WHR 비만도(%) BMI(㎏/㎡) BMR(㎉)
baseline post 4wk baseline post 4wk baseline post 4wk baseline post 4wk
A 0.85a(±0.05) 0.83a(±0.04) 114.30a(±11.95) 109.70a(±10.26) 25.02a(±2.90) 23.64a(±2.33) 1829.18a(±395.73) 1850.41a(±392.48)
B 0.85a(±0.03) 0.84a(±0.03) 115.10a(±8.07) 112.40a(±7.32) 24.76a(±2.14) 23.94a(±1.82) 1692.71b(±268.32) 1705.64b(±262.48)
C 0.85a(±0.02) 0.83a(±0.03) 116.70a(±7.70) 110.60a(±10.77) 24.42a(±2.83) 23.52a(±2.43) 1817.94a(±400.54) 1808.03a(±402.47)
D 0.83a(±0.03) 0.84a(±0.03) 117.50a(±8.24) 117.98a(±8.45) 24.28a(±2.22) 24.54a(±1.99) 1847.48a(±381.04) 1799.53b(±362.31)
a, b : 집단간 사후 검증
<표 5>에서 운동 전 WHR은 A집단이 0.85(± 0.05), B집단이 27.17(± 4.23), C집단이 29.06(± 5.22), D집단이 27.57(± 4.12)이었으나, 운동 후에는 각각 29.24(± 5.29), 27.41(± 4.38), 28.23(± 4.67)과 27.52(± 4.16)로 나타났다.이러한 변화는 운동 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표 5-1), 운동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표 5-2).
표 5-1. 최초실험에서 체중에 대한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3.648E-03 3 1.216E-03 0.838 0.482
집단내 5.223E-02 36 1.451E-03
합계 5.588E-02 39
표 5-2. 4주후 체중에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1.687E-03 3 5.625E-04 0.460 0.712
집단내 4.401E-02 36 1.222E-03
합계 4.570E-02 39
<표 5>에서 운동 전 비만도는 A집단이 114.30(± 11.95)%, B집단이 115.10(± 8.07)%, C집단이 116.70(± 7.70)%, D집단이 117.50(± 8.24)%이었으나, 운동 후에는 각각 109.70(± 10.26)%, 112.40(± 7.32)%, 110.60(± 10.77)%과 117.98(± 8.45)%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운동 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표 5-3), 운동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표 5-4).
표 5-3. 최초실험에서 체중에 대한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64.000 3 21.333 0.254 0.858
집단내 3019.600 36 83.878
합계 3083.600 39
표 5-4. 4주후 체중에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413.748 3 137.916 1.592 0.208
집단내 3118.696 36 86.630
합계 3532.444 39
<표 5>에서 운동 전 BMI는 A집단이 25.02(± 2.90)㎏/㎡, B집단이 24.76(± 2.14)㎏/㎡, C집단이 24.42(± 2.83)㎏/㎡, D집단이 24.28(± 2.22)㎏/㎡이었으나,운동 후에는 각각 23.64(± 2.33)㎏/㎡, 23.94(± 1.82)㎏/㎡, 23.52(± 2.43)㎏/㎡과 24.54(± 1.99)㎏/㎡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운동 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표 5-5), 운동 후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표 5-6).
표 5-5. 최초실험에서 체중에 대한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3.352 3 1.117 0.172 0.915
집단내 234.052 36 6.501
합계 237.404 39
표 5-6. 4주후 체중에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6.228 3 2.076 0.444 0.723
집단내 168.408 36 4.678
합계 174.636 39
<표 5>에서 운동 전 BMR은 A집단이 1829.18(± 395.73)㎉, B집단이 1692.71(± 268.32)㎉, C집단이 1817.94(± 400.54)㎉, D집단이 1847.48(± 381.04)㎉이었으나, 운동 후에는 각각 1850.41(± 392.48)㎉, 1705.64(± 262.48)㎉, 1808.03(± 402.47)㎉과 1799.53(± 362.31)㎉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는 운동 전에 B집단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표 5-7), 운동 후에는 B집단과 D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표 5-8).
표 5-7. 최초실험에서 체중에 대한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148985.5 3 49661.838 5.372 0.040
집단내 4808042 36 133556.7
합계 4957027 39
표 5-8. 4주후 체중에 일원배치법의 결과.
설계 SS DF MS F Pr > F
집단간 111786.2 3 37262.072 6.289 0.031
집단내 4645874 36 129052.0
합계 4757660 39
궁극적으로 통계적 유의성을 보인 변인은 체중, 체지방량, 체지방율 및 기초대사율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체중은 비누만을 사용한 집단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체지방량과 체지방율은 운동과 비누를 함께 사용한 집단과 비누만을 사용한 집단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한편, 기초대사율은 실험 전부터 B집단(비누를 사용하지 않고 운동만 실시한 집단)에서 그 비율이 낮았던 이유에 의해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으나, 운동 후 향상된 경향을 보였으며, 운동에 전혀 참여하지 않았던 D집단에 경우는 오히려 기초대사율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즉, 운동은 기초대사율에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비누 사용여부에 따른 결과에서 비누에 포함된 페퍼민트나 캄포어 등은 4주간의 지방제거 실험에서 유의한 효과를 보였다고 할 수 있으나, 기타 신체조성의 변인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아 좀더 장기적인 사용이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연 아로마 기능성 비누에 따르면, 근피로, 근육통, 근육경직 등의 운동 피로현상을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아울러 각종 알레르기성 피부염을 진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운동후 회복과정의 유산소과정(EPOC 현상)에서 체지방 분해를 촉진하는데 효과가 있었다.
또한, 운동후 높아진 체온을 떨어뜨리는데 큰 효과가 있으며 쿨링한 느낌으로 상쾌함을 주면서, 운동시 받은 심한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해소에 좋은 영향을 주는 작용을 하였다.
더 나아가 피부보호 및 피부보습, 피부노화 예방으로 건강미를 탁월하게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Claims (7)

  1. 삭제
  2. 기능성 세정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서,
    (1)녹나무(Cinnamomum camphora) 목재의 구성성분에 함유되는 모노테르펜중의 하나이면서 심리적 긴장을 완화시키기 위한 물질인 캄포아;
    (2)근육피로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물질로서 페퍼민트 및
    (3)인체활동 후 체내 지방의 분해를 촉진하는 체지방 분해촉진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세정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지방 분해촉진물질이 사이프러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세정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세정 조성물 전 중량에 대하여 상기 캄포아가 1 내지 5중량%이고, 페퍼민트가 1 내지 5중량%이며, 사이프러스가 0.3 내지 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세정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세정 조성물 전 중량에 대하여 상기 캄포아가 1 내지 5중량%이고, 상기 페퍼민트 대신에 이의 정유 성분인 멘톨이 1 내지 5중량%이며, 사이프러스가 0.3 내지 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세정 조성물.
  6. 일반적인 비누 원료 혼합물에 제2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청구한 세정 조성물을 배합하여 성형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후 피로회복을 위한 천연 아로마 기능성 비누.
  7. 제6항에 있어서, 보습제인 셰어버터 0.3 내지 3.0중량%, 및 호호바오일 1.0 내지 3.0중량%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아로마 기능성 비누.
KR1020030099797A 2003-12-30 2003-12-30 기능성 세정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천연 아로마 기능성 비누 KR100444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797A KR100444400B1 (ko) 2003-12-30 2003-12-30 기능성 세정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천연 아로마 기능성 비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797A KR100444400B1 (ko) 2003-12-30 2003-12-30 기능성 세정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천연 아로마 기능성 비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4400B1 true KR100444400B1 (ko) 2004-08-16

Family

ID=37362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797A KR100444400B1 (ko) 2003-12-30 2003-12-30 기능성 세정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천연 아로마 기능성 비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44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134B1 (ko) * 2005-08-12 2007-04-12 한국 한의학 연구원 녹나무 잎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0114215A2 (ko) * 2009-04-01 2010-10-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캠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이상지방혈증, 지방간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2158B1 (ko) 2017-06-21 2018-06-27 주식회사 퓨어코코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
KR20200122133A (ko) 2019-04-17 2020-10-27 배관우 노폐물 제거와 피부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비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134B1 (ko) * 2005-08-12 2007-04-12 한국 한의학 연구원 녹나무 잎 추출물 또는 그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0114215A2 (ko) * 2009-04-01 2010-10-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캠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이상지방혈증, 지방간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0114215A3 (ko) * 2009-04-01 2010-11-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캠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이상지방혈증, 지방간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32313B1 (ko) 2009-04-01 2011-05-06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캠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이상지방혈증, 지방간 또는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72158B1 (ko) 2017-06-21 2018-06-27 주식회사 퓨어코코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
KR20200122133A (ko) 2019-04-17 2020-10-27 배관우 노폐물 제거와 피부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비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2163B2 (en) Natural soap using herbal medicine mature decoc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N103520053B (zh) 洗发沐浴粉
CN106333898A (zh) 一种多重保湿双层卸妆液及其制备方法
CN105902418A (zh) 一种仿皮脂基质、包含仿皮脂基质的外用制剂及其应用
CN110420152A (zh) 一种清爽温和的双层卸妆液及其制备方法
CN106236690A (zh) 一种含多种植物成分的氨基酸洁面膏
CN107308057B (zh) 一种柔顺滋养头发且无毒的软发膏及其制备方法
CN106309165A (zh) 一种植物精油护肤霜及其制备方法
CN105997620A (zh) 一种含中草药成分的卸妆油及其制备方法
KR102244147B1 (ko) 스피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근육의 피로 해소, 예방의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444400B1 (ko) 기능성 세정조성물과 이를 함유한 천연 아로마 기능성 비누
CN107693439A (zh) 一种沙棘亮白保湿沐浴露
CN104644535A (zh) 洗发沐浴粉
CN107779320A (zh) 一种核桃青皮洁肤产品及其制备方法
CN102743506A (zh) 一种山茶油痤疮露及其制备方法
CN113278477A (zh) 一种美白保湿滋润抑菌的沐浴皂及其制备方法
CN105997645A (zh) 一种多重保湿卸妆乳及其制备方法
KR102427998B1 (ko) 피부 붓기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용 크림
Rose Herbal Body Book: The Herbal Way to Natural Beauty & Health for Men & Women
RU2799443C2 (ru) Средство для очищения и ухода за волосами и кожей волосистой части головы
RU2186561C2 (ru) Крем для сухой и нормальной кожи лица
KR102673065B1 (ko) 입욕제 조성물
RU2163118C1 (ru) Крем массажный
KR102588898B1 (ko) 두피 케어용 그린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RU2755125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массаж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