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033A -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033A
KR20130002033A KR1020110063024A KR20110063024A KR20130002033A KR 20130002033 A KR20130002033 A KR 20130002033A KR 1020110063024 A KR1020110063024 A KR 1020110063024A KR 20110063024 A KR20110063024 A KR 20110063024A KR 20130002033 A KR20130002033 A KR 201300020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oap
mixture
mixed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5878B1 (ko
Inventor
오경희
Original Assignee
오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경희 filed Critical 오경희
Priority to KR1020110063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878B1/ko
Publication of KR20130002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16Shaping in moul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06Inorganic compounds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자연건조물의 미세분말을 혼합하여 첨가함으로써, 천연 재료를 이용한 비누를 제공하여 민감한 피부에 사용이 가능하고, 트러블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은 피마자 오일과 이산화티탄 분말을 혼합한 이산화티탄 혼합액을 생성하는 제 1단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과 오일혼합액을 혼합한 비누액을 생성하는 제 2단계; 상기 비누액 중 소정 용량의 제 1비누액과 상기 이산화티탄 혼합액을 혼합하여 제 1비누 혼합액을 생성하고, 상기 비누액 중 상기 제 1비누액을 제외한 제 2비누액과 천연 분말을 혼합하여 제 2비누 혼합액을 생성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1비누 혼합액 또는 상기 제 2비누 혼합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 또는 혼합하여 하나 이상의 컬러 혼합액을 생성하는 제 4단계; 하나 이상의 기능성 추출물을 혼합한 추출 혼합액을 상기 하나 이상의 컬러 혼합액에 각각 다른 비율로 혼합하는 제 5단계; 및 몰드에 상기 하나 이상의 컬러 혼합액을 순차적으로 주입한 후, 경화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natural soap containing vegetable material}
본 발명은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자연건조물의 미세분말을 혼합하여 첨가함으로써, 천연 재료를 이용한 비누를 제공하여 민감한 피부에 사용이 가능하고, 트러블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누는 우지 또는 야자유(팜유) 등의 동식물 유지에서 팔미틴산과 스테아린산 등의 지방산과 글리세린으로 미리 가수분해를 실시한 다음, 지방산을 가성소다 또는 탄산 소다로 중화하여 제조하고 있다. 이렇게 얻어진 비누에 각종 배합제를 넣고 가공하여 각종의 비누 제품이 완성되며, 보통 용도에 따라 화장비누, 세탁비누, 공업용 비누, 약용 비누 등으로 나뉜다.
이러한 비누는 부패방지를 위해 인공방부제를 사용하거나, 미네랄 오일 또는 석유계(페트롤라텀) 오일을 사용한다. 또한, 물러짐 방지를 위해 인공 경화제를 사용하기도 하고, 비누의 향을 위해 화학적 원료를 첨가하기도 한다.
이러한 화학 성분의 첨가로 인하여 피부에 트러블이 발생하거나 피부가 건조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부를 세정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 피부의 세정 이외에 트러블 완화, 가려움 방지 등에 대한 기능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자연건조물의 미세분말을 혼합하여 첨가함으로써, 천연 재료를 이용한 비누를 제공하여 민감한 피부에 사용이 가능하고, 트러블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하는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피마자 오일과 이산화티탄 분말을 혼합한 이산화티탄 혼합액을 생성하는 제 1단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과 오일혼합액을 혼합한 비누액을 생성하는 제 2단계; 상기 비누액 중 소정 용량의 제 1비누액과 상기 이산화티탄 혼합액을 혼합하여 제 1비누 혼합액을 생성하고, 상기 비누액 중 상기 제 1비누액을 제외한 제 2비누액과 천연 분말을 혼합하여 제 2비누 혼합액을 생성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1비누 혼합액 또는 상기 제 2비누 혼합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 또는 혼합하여 하나 이상의 컬러 혼합액을 생성하는 제 4단계; 하나 이상의 기능성 추출물을 혼합한 추출 혼합액을 상기 하나 이상의 컬러 혼합액에 각각 다른 비율로 혼합하는 제 5단계; 및 몰드에 상기 하나 이상의 컬러 혼합액을 순차적으로 주입한 후, 경화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이산화티탄 혼합액은 0.3중량% 내지 1중량%의 비율로, 상기 피마자 오일은 0.2중량% 내지 0.6중량%, 이산화티탄 분말은 0.1중량% 내지 0.4중량%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은 정제수와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한 것으로, 혼합된 상기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온도가 40℃ 내지 70℃일 때, 상기 제 2단계의 오일 혼합액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오일혼합액은 코코넛 오일 15중량% 내지 22.5중량% 및 팜 오일 15중량% 내지 22.5중량%를 20℃ 내지 40℃ 온도에서 혼합하고 유지한 후, 포도씨 오일 및 하나 이상의 혼합 오일을 20중량% 내지 30중량%의 비율로 더 첨가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은 자연건조물의 미세분말을 혼합하여 첨가함으로써, 천연 재료를 이용한 비누를 제공하여 민감한 피부에 사용이 가능하고, 트러블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누의 재료인 오일을 가열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건조함으로써, 산폐율이 높지 않아 건강에 이로운 다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천연 비누를 제조하기 위해 피마자 오일과 이산화티탄 분말을 혼합하여 이산화티탄 혼합액을 생성한다(S1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20중량% 내지 35중량%와 오일혼합액 50중량% 내지 80중량%를 혼합한 비누액을 생성한다(S12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은 정제수 15중량% 내지 20중량%에 수산화나트륨 5중량% 내지 10중량%을 혼합한 것으로, 혼합하기 전에 수산화나트륨과 정제수는 상온의 온도이나, 혼합하면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온도가 평균적으로 100℃이상 올라가며, 100℃이상 올라간 온도가 40℃ 내지 70℃의 온도가 될 때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다른 물질과 혼합하는데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일혼합액은 코코넛 오일 15중량% 내지 22.5중량%와 팜 오일 15중량% 내지 22.5중량%를 20℃ 내지 40℃ 온도로 유지한 후, 포도씨 오일을 첨가한다. 이때, 천연 비누를 만드는 특성에 따라 하나 이상의 오일이 더 첨가되며, 포도씨 오일을 포함한 하나 이상의 오일 비율은 20중량% 내지 35중량%임이 바람직하다.
비누액을 이용하여 천연 비누에 색상을 첨가한 하나 이상의 컬러 혼합액을 생성하기 위한 것으로, 용액을 하나 이상으로 나누고 일부 비누액 용액에 이산화티탄 혼합액을 혼합한 제 1비누 혼합액과 다른 일부 비누액에 천연 분말을 혼합하여 제 2비누 혼합액을 생성한다.
제 1비누 혼합액과 제 2비누 혼합액을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하나 이상의 컬러 혼합액을 구성한다(S130).
하나 이상의 컬러 혼합액에 추출 혼합액을 혼합하며(S140), 추출 혼합액을 동일한 비율로 혼합할 수도 있고, 각 컬러 혼합액마다 다른 비율로 혼합할 수도 있다.
추출 혼합액이 혼합된 하나 이상의 컬러 혼합액을 몰드에 순차적으로 주입한 후, 경화되도록 하며(S150), 이때 각 컬러 혼합액이 혼합되지 않고, 각 층마다의 색상이 나타날 수 있도록 한다. 컬러 혼합액을 몰드에 순차적으로 주입하면 컬러 혼합액은 40℃ 내지 70℃의 온도가 발생하며, 경화할 때, 컬러 혼합액에서 발생한 40℃ 내지 70℃ 온도를 유지시키면 경화가 빠르게 진행된다. 또한,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보온 박스 등의 온도유지부재를 이용한다.
일반적으로, 비누를 경화시키기 위해 특정 경화물질을 첨가하나 본 발명은 자연적으로 경화되도록 온도만 유지시켜준다.
본 발명에서 3가지의 천연 비누를 실시예로 조성물을 나타내도록 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첫 번째로는 로즈핑크클레이 비누로 민감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피부의 각질과 노폐물을 제거하도록 한다. 로즈핑크클레이 비누에 포함되는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은 피부에 충분한 보습을 공급하고, 세포를 재생시키며 피부 조직을 부드럽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자연에서 만들어지는 핑크클레이는 건조하고 민감한 피부의 노폐물을 부드럽게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다.
로즈핑크클레이 비누에 추출 혼합액은 천연 비누의 특징이 되는 기능성 추출물들을 혼합한 것으로, 예를 들어 로즈핑크클레이 비누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로즈마리에센셜 오일, 로즈 프래그런스 오일, 로즈제라늄에센셜 오일, 제라늄 프래그런스 오일, 세라마이드, 히아루론산, 당근 콜라겐, 백년초 추출물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능성 추출물에 유화제인 솔루빌라이저(TW-80)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또한, 로즈핑크클레이 비누에는 각질층에 존재하는 세라마이드, 진피층에 존재하는 보습물질인 히알루론산, 피부의 탄력을 유지하기 위한 당근 콜라겐, 피부의 수분을 위한 백년초 추출물 등이 포함되며, 추출 혼합액에 함께 혼합된다.
로즈핑크클레이 비누에서 오일혼합액은 코코넛 오일과 팜 오일을 20℃ 내지 40℃ 온도로 유지한 후, 포도씨 오일과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미강 오일을 함께 첨가하며, 포도씨 오일은 3중량% 내지 7중량%,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8중량% 내지 15중량% 및 미강 오일 9중량% 내지 13중량%의 비율로, 전체 비율의 20중량% 내지 35중량%를 차지한다.
제 1비누액은 비누액 1/2에 이산화티탄혼합액을 혼합한 것이고, 제 2비누액은 비누액 1/2에 핑크클레이 0.5중량% 내지 1중량%를 혼합한 것으로, 로즈핑크클레이의 컬러 혼합액은 실시예로 3개의 층으로 분류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1컬러 혼합액은 제 1비누액 2/3, 제 2컬러 혼합액은 제 1비누액 1/3과 제 2비누액 1/3, 제 3컬러 혼합액은 제 2비누액 2/3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각각의 컬러 혼합액에 추출 혼합액을 혼합함에 있어서, 추출 혼합액의 비율을 제 1컬러 혼합액은 1중량% 내지 1.5중량%, 제 2컬러 혼합액은 0.7중량% 내지 1.2중량%, 제 3컬러 혼합액은 0.3중량% 내지 0.8중량%로 혼합한다.
각 컬러 혼합액을 순차적으로 몰드에 넣은 후, 상위층에는 로즈 꽃잎을 0.1중량% 내지 0.5중량% 뿌려준다.
두 번째는 진주, 율피 & 자스민 비누로, 미백에 좋은 오일과 식물원료를 혼합하여 피부에 자극 없이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비누이다. 진주, 율피 & 자스민 비누에 첨가되는 진주분말은 아미노산과 여러 가지 미네랄을 포함하고 있어서 피부가 정화되고, 민감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며 혈색을 좋게 한다. 율피분말은 밤 속의 껍질을 분말로 만든 것으로, 탄닌성분이 풍부하여 모공의 수축효과, 미백, 기미, 노화방지 및 각질제거에 도움이 된다. 상백피 추출물은 뽕나무의 뿌리껍질을 말린 것으로, 미백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를 하얗게 해주고, 항산화작용이 있어 노화예방에 도움이 된다.
또한, 감초 추출물에서 글리실리산 성분은 소염작용, 항균작용을 하고 있으며, 글라브리딘 성분은 항산화작용,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다. 토마토 추출물은 비타민 C가 풍부하여 피부에 탄력을 주고, 잔주름을 예방하며, 멜라닌 색소의 생성을 억제하여 기미예방의 효과가 좋다. 또한, 여러 가지 유기산이 포함되어 있어 피부에 윤기를 주고, 각질제거에도 효과가 있다.
자스민 에센셜 오일은 세포를 재생하는 효과가 있으며, 살구씨 오일은 불포화지방산, 비타민 A, E가 풍부하여 피부를 진정시키고, 수분보충, 주름개선에 도움이 된다.
이러한 진주, 율피 & 자스민 비누도 도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나, 구체적인 비율에 대해 살펴보면, 추출 혼합액은 자스민 에센셜 오일, 호호바 오일, 메이챙 에센셜 오일, 오렌지 에센셜 오일, 자스민 프래그런스 오일, 상백피 추출물, 감초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등을 유화제인 솔루빌라이저(TW-80)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으로, 2중량% 내지 5중량%의 비율을 갖으며, 상기에 나열된 오일 또는 추출물 이외의 다른 성분이 포함될 수도 있다.
진주, 율피 & 자스민 비누에서 오일혼합액은 코코넛 오일과 팜 오일을 20℃ 내지 40℃ 온도로 유지한 후, 포도씨 오일과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살구씨 오일, 피마자 오일을 함께 첨가하며, 포도씨 오일은 5중량% 내지 8중량%,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3중량% 내지 6중량%, 살구씨 오일 7중량% 내지 13중량% 및 피마자 오일 5중량% 내지 8중량%의 비율로, 전체 비율의 20중량% 내지 35중량%를 차지한다.
진주, 율피 & 자스민 비누의 제 1비누액은 비누액 1/3에 이산화티탄혼합액을 혼합한 것이고, 제 2비누액은 비누액 2/3에 율피분말 0.3중량% 내지 0.65중량% 및 진주분말 0.2중량% 내지 0.35중량%를 혼합한 것으로, 진주, 율피 & 자스민 비누의 컬러 혼합액은 실시예로 3개의 층으로 분류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1컬러 혼합액은 제 2비누액 9/10, 제 2컬러 혼합액은 제 1비누액, 제 3컬러 혼합액은 제 2비누액 1/10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각각의 컬러 혼합액에 추출 혼합액을 혼합함에 있어서, 추출 혼합액의 비율을 제 1컬러 혼합액은 1.3중량% 내지 2중량%, 제 2컬러 혼합액은 0.7중량% 내지 1.5중량%로 혼합한다.
세 번째로 참숯, 일랑일랑 비누로, 이 비누는 피지의 과잉생산으로 인한 과도한 각질을 제고하고, 노폐물 흡착, 피지를 조절하는 효과를 가진 원료를 이용하여 지성과 여드름에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참숯, 일랑일랑 비누에 첨가되는 참숯 분말은 피지 분비를 컨트롤하고, 피부의 노폐물을 제거하는데 효과를 주며, 녹차추출물은 폴리페놀, 카테킨, EGCG(Epigallocatechin gallate)같은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에 수렴작용, 진정작용에 효과가 있다.
AHA(Alpha hydroxy acid) 추출물은 과일산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피부 각질제거에 효과가 있으며, 어성초 추출물은 해독작용, 항균작용을 하여 트러블 진정에 효과가 있다. 또한, 일랑일랑 에센셜 오일은 피지균형 효과가 있어 지성 피부와 여드름 피부에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참숯, 일랑일랑 비누도 도 1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나, 구체적인 비율에 대해 살펴보면, 구체적인 비율에 대해 살펴보면, 추출 혼합액은 레몬 에센셜 오일, 시더우드 에센셜 오일, 일랑일랑 에센셜 오일, 일랑일랑 프래그런스 오일, 어성초 추출물, 녹차 추출물, AHA 추출물 등을 유화제인 솔루빌라이저(TW-80)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으로, 2중량% 내지 5중량%의 비율을 갖으며, 상기에 나열된 오일 또는 추출물 이외의 다른 성분이 포함될 수도 있다.
참숯, 일랑일랑 비누에서 오일혼합액은 코코넛 오일과 팜 오일을 20℃ 내지 40℃ 온도로 유지한 후, 포도씨 오일과 해바라기씨 오일, 피마자 오일을 함께 첨가하며, 포도씨 오일은 8중량% 내지 13중량%, 해바라기씨 오일 8중량% 내지 13중량% 및 피마자 오일 4중량% 내지 9중량%의 비율로, 전체 비율의 20중량% 내지 35중량%를 차지한다.
참숯, 일랑일랑 비누의 제 1비누액은 비누액 1/3에 이산화티탄혼합액을 혼합한 것이고, 제 2비누액은 비누액 2/3에 참숯분말 0.5중량% 내지 1중량%를 혼합한 것으로, 참숯, 일랑일랑 비누의 컬러 혼합액은 실시예로 2개의 층으로 분류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1컬러 혼합액은 제 2비누액, 제 2컬러 혼합액은 제 1비누액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각각의 컬러 혼합액에 추출 혼합액을 혼합함에 있어서, 추출 혼합액의 비율을 제 1컬러 혼합액은 1.6중량% 내지 2중량%, 제 2컬러 혼합액은 0.4중량% 내지 1.5중량%로 혼합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피마자 오일과 이산화티탄 분말을 혼합한 이산화티탄 혼합액을 생성하는 제 1단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과 오일혼합액을 혼합한 비누액을 생성하는 제 2단계;
    상기 비누액 중 소정 용량의 제 1비누액과 상기 이산화티탄 혼합액을 혼합하여 제 1비누 혼합액을 생성하고, 상기 비누액 중 상기 제 1비누액을 제외한 제 2비누액과 천연 분말을 혼합하여 제 2비누 혼합액을 생성하는 제 3단계;
    상기 제 1비누 혼합액 또는 상기 제 2비누 혼합액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 또는 혼합하여 하나 이상의 컬러 혼합액을 생성하는 제 4단계;
    하나 이상의 기능성 추출물을 혼합한 추출 혼합액을 상기 하나 이상의 컬러 혼합액에 각각 다른 비율로 혼합하는 제 5단계; 및
    몰드에 상기 하나 이상의 컬러 혼합액을 순차적으로 주입한 후, 경화하는 제 6단계
    를 포함하는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 혼합액은 0.3중량% 내지 1중량%의 비율로, 상기 피마자 오일은 0.2중량% 내지 0.6중량%, 이산화티탄 분말은 0.1중량% 내지 0.4중량%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은 정제수와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한 것으로, 혼합된 상기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온도가 40℃ 내지 70℃일 때, 상기 제 2단계의 오일 혼합액과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혼합액은 코코넛 오일 15중량% 내지 22.5중량% 및 팜 오일 15중량% 내지 22.5중량%를 20℃ 내지 40℃ 온도에서 혼합하고 유지한 후, 포도씨 오일 및 하나 이상의 혼합 오일을 20중량% 내지 30중량%의 비율로 더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혼합 오일은 해바라기씨 오일과 피마자 오일을 혼합한 제 1오일, 살구씨 오일,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및 피마자 오일을 혼합한 제 2오일,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 및 피마자 오일을 혼합한 제 3오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서 상기 천연 분말은 핑크클레이, 율피분말, 진주분말 또는 참숯분말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혼합액은 유화제인 솔루빌라이저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혼합액은 로즈마리에센셜 오일, 로즈 프래그런스 오일, 로즈제라늄에센셜 오일, 제라늄 프래그런스 오일, 세라마이드, 히아루론산, 당근 콜라겐, 백년초 추출물, 자스민 에센셜 오일, 호호바 오일, 메이챙 에센셜 오일, 오렌지 에센셜 오일, 자스민 프래그런스 오일, 상백피 추출물, 감초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레몬 에센셜 오일, 시더우드 에센셜 오일, 일랑일랑 에센셜 오일, 일랑일랑 프래그런스 오일, 어성초 추출물, 녹차 추출물 또는 AHA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컬러 혼합액은 40℃ 내지 70℃의 온도를 유지하고 있어, 상기 경화는 상기 40℃ 내지 70℃의 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온도유지부재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
KR1020110063024A 2011-06-28 2011-06-28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 KR101335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024A KR101335878B1 (ko) 2011-06-28 2011-06-28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024A KR101335878B1 (ko) 2011-06-28 2011-06-28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033A true KR20130002033A (ko) 2013-01-07
KR101335878B1 KR101335878B1 (ko) 2013-12-02

Family

ID=47834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024A KR101335878B1 (ko) 2011-06-28 2011-06-28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8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158B1 (ko) * 2017-06-21 2018-06-27 주식회사 퓨어코코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156B1 (ko) 2018-09-07 2019-02-21 고가인 금화규가 함유된 비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금화규 비누
KR102278423B1 (ko) 2019-12-04 2021-07-16 박선민 천연재료를 이용한 기능성 천연 비누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156707B1 (ko) 2020-01-29 2020-09-17 김복술 꾸지뽕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꾸지뽕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
KR102358581B1 (ko) 2020-10-16 2022-02-07 이은경 밀랍 비누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5132A (ko) * 2004-09-14 2004-10-07 이현숙 진주분말과 나노 은이 함유된 기능성 비누 및 그 제조방법
JP2007063376A (ja) 2005-08-30 2007-03-15 Max:Kk 固形石鹸組成物
KR100880661B1 (ko) * 2007-04-05 2009-02-04 농업회사법인(주)맛가마식품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JP2009040818A (ja) 2007-08-07 2009-02-26 Shoichi Nakamura 固形石鹸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158B1 (ko) * 2017-06-21 2018-06-27 주식회사 퓨어코코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 이루어진 천연 아로마 수제 비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878B1 (ko) 2013-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0661B1 (ko) 청국장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335878B1 (ko) 식물성 원료를 함유한 천연 비누의 제조 방법
CN104164301B (zh) 一种功效性薰衣草香精及其配制方法
CN100418509C (zh) 精油添加型护肤品
KR101096774B1 (ko) 오소리 오일을 이용한 천연비누 제조방법
CN103215149B (zh) 天然生态丝瓜夹心花瓣皂及其制备方法
CN101411679A (zh) 含花瓣成份的化学用品及其制备方法
KR101533331B1 (ko) 천연 미용액상비누의 제조방법
CN105816366A (zh) 一种含植物花瓣的舒缓镇静型卸妆水及其制备方法
KR20160112865A (ko) 약산성 비누 조성물과, 이 조정물을 이용한 약산성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약산성 비누
KR102460827B1 (ko) 진피-메밀 복합 발효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천연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CN103932949A (zh) 一种含果酸的毛孔细致卸妆油及其制备方法
CN105062725A (zh) 一种具有祛痘美肤性能的手工皂及其制备方法
KR100621676B1 (ko) 클렌징 바 및 그 제조방법
CN103865691A (zh) 一种固体精油香皂
CN111196954A (zh) 一种具有柑橘香气的甘油皂的制备方法
KR101925358B1 (ko) 싸리나무추출물을 주요성분으로 하는 액상거품 세안제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CN104946434A (zh) 一种纯天然护肤香皂及其制备方法
KR100889390B1 (ko) 검은콩 분말이 함유된 흑비누의 제조방법
KR100446542B1 (ko) 홍삼허브 비누의 제조방법
KR100944258B1 (ko) 닥나무 잿물을 이용한 천연 약산성 비누 및 제조방법
KR100970743B1 (ko) 천연 토코페롤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제조된 천연 토코페롤 비누
KR20170120781A (ko) 에센스 오일 화장료 조성물
CN106497713B (zh) 可调节皮脂分泌的祛痘皂及其制备方法
KR20130072545A (ko) 식물 씨앗 추출 오일로 만든 미용비누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