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317B1 - 신규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신규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317B1
KR102468317B1 KR1020200119412A KR20200119412A KR102468317B1 KR 102468317 B1 KR102468317 B1 KR 102468317B1 KR 1020200119412 A KR1020200119412 A KR 1020200119412A KR 20200119412 A KR20200119412 A KR 20200119412A KR 102468317 B1 KR102468317 B1 KR 102468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skin
fermented product
pullula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6790A (ko
Inventor
윤성훈
김하영
정해민
황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200119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8317B1/ko
Priority to CN202111086400.5A priority patent/CN114262667A/zh
Priority to JP2021151055A priority patent/JP2022049690A/ja
Publication of KR20220036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4Polysaccharides, i.e.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bonds
    • C12P19/10Pullula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645Fungi ; Processes using fungi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rd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 OFY11-1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풀루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 및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풀루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및 이의 용도{Novel Aureobasidium pullulans strain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 OFY11-1 균주;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풀루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 및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풀루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풀루란(Pullulan)은 진균에 의한 세포 외 분비 다당류로서, 보통 흑효모인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 균주로부터 생산되는 물질이며, 상기 균주를 발효하여 생산된 당을 분리한 후, 정제 과정을 거쳐 얻어진다. 풀루란은 물에 녹기 쉽고 점도가 낮지만 점착력이 강력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수분 보유력이 우수하고 유화 안정성을 증진시키는 특성에 기반하여 제품의 제형 및 촉감을 향상시키는 화장품 첨가물로도 사용된다. 또한, 식용 물질이기도 하여 양갱 및 두부와 같은 식품에 포함되기도 한다.
이러한 풀루란 뿐만 아니라, 상기 균주 자체의 추출물 및 발효물도 화장료 조성물로 개발되었으며, 상기 균주의 식물 발효물은 종류에 따라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보습 등의 피부 개선 효과가 있음이 알려진 바 있다(한국 등록특허 10-2107193호).
그러나, 상기 균주는 멜라닌 색소를 생산하기 때문에 균주의 배양액은 황색을 거쳐 결국 흑색을 띠게 되며, 이로 인하여 균주의 추출물, 발효물, 또는 풀루란을 포함하는 제품의 생산 시에 필수적으로 정제/탈색 과정이 포함되어 제품 생산 공정이 복잡해지고 효율성 및 경제성이 부족한 단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효과가 우수하면서도, 제품 생산 시에 별도의 정제/탈색 공정이 필요하지 않은 균주를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덴드로비움 속 식물 유래의 신규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를 발굴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 OFY11-1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풀루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풀루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기탁번호 KCTC 14158BP 로 기탁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 OFY11-1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는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효모-유사 진균(yeast-like fungus)으로서, 피부 및 손톱에서 사물 기생균(saprophyte)으로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풀루란을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멜라닌 색소 역시 생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에 속하는 신규한 균주를 개발하여 이를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OFY11-1로 명명하였고, 이를 기탁번호 KCTC 14158BP 로 기탁하였다. 상기 균주를 덴드로비움(Dendrobium) 속 식물에서 분리하여 얻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균주는 흑색 색소를 생산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덴드로비움(Dendrobium)"은 덴드로븀으로 혼용될 수 있으며 주로 열대 아시아에 분포하는 난초 과의 여러해살이 식물로서, 대부분 나무의 줄기 또는 가지에서 자라는 착생란이다. 남부, 동부 및 동남 아시아에 걸쳐 다양한 종이 서식하며, 뿌리가 일반적으로 나무 또는 바위의 표면에 얽혀 자라고 드물게는 토양에 뿌리를 내린다. 그 중에서도 노란 덴드로비움(Dendrobium spp.)은 NASA(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stration)가 공기정화식물로 지정한 바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덴드로비움 속 식물은 덴드로비움 속 유래라면 그 종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목적상 노란 덴드로비움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덴드로비움 속 식물로부터 상기 균주를 분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 또는 유사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상기 기탁균주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 균주를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흑색 색소"는 흑색을 발하게 하는 색소를 의미하며 멜라닌 색소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는 일반적으로 흑색 색소를 생성하여 균주의 배양액 및 발효물은 흑색이 되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OFY11-1 균주는 흑색 색소를 생산하지 않아 배양액 및 발효물이 흑색보다 투명에 가까운 색을 띠며, 구체적으로는 투명한 용액(약한 노란빛)을 나타내어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제품을 제조할 때 정제/탈색 공정 없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로,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OFY11-1 균주는 풀루란(Pullulan)을 생산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풀루란(Pullulan)"은 말토트리오스(maltotriose) 단위가 연결된 다당류로서, 포도당 단위가 α-1,4 결합으로 연결되어 말토트리오스가 생성되며, 말토트리오스 단위가 α-1,6 결합으로 연결되어 풀루란이 생성된다. 풀루란은 진균에 의해 세포 외 분비된 다당류로서, 풀루란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본 발명의 목적상 흑효모인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 OFY11-1 균주로부터 생산되며, 균주를 발효하여 생산된 당을 분리한 후 정제 과정을 거쳐 얻어질 수 있다. 풀루란은 다른 다당류에 비해 물에 녹기 쉽고 점도가 낮지만 강력한 점착력이 있는 특성이 알려져 있으며, 수분 보유력이 우수하고 유화 안정성을 증진시켜 제품의 제형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첨가물로도 사용된다. 식용으로 사용될 수 있어 양갱 및 두부와 같은 식품에도 사용되고, 화장료 조성물에는 피막을 형성하여 표면을 부드럽게 감싸는 역할을 하는 원료로 사용되며, 분말로 된 화장품 원료들을 결합시키고 정제나 케이크 형태로 압축하는 과정 또는 압축 후 점착성을 제공하는 용도로도 사용된다. 이러한 특성으로, 화장품 뿐만 아니라 식품, 제약, 인쇄산업 등 많은 부분에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OFY11-1 균주 역시 풀루란을 생산할 수 있으며, 풀루란 생산 과정에서 흑색 색소를 생산하지 않아 풀루란 생산시 별도의 탈색/정제 공정이 불필요해 경제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하나의 구체예로,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OFY11-1균주는 피부 유익균 증진, 피부 유해균 억제, 피부 진정, 피부 염증 개선, 피부 미백,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특징을 갖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피부 유익균"은 피부의 상재균 중 염증 완화, 유해균 생육 억제와 같이 피부에 도움을 주는 균주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유익균은 스테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 스테필로코커스 와르네리(Staphylococcus warneri), 스트렙토코커스 미티스(Streptococcus mitis),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Micrococcus luteus), 아시네토박터 존소니(Acinetobacter johnsonii) 등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테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유익균은 스테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Staphylococcus epidermidi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스테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는 피부표피세포로부터의 항균펩타이드(Antimicrobial peptide, AMP) 발현을 유도하고 피부 재생 효과를 증진시킴으로써 피부 방어력을 증진시키고; 스테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가 분비하는 성분인 PSM(Phenol soluble modulin) 처리 시, 유해균의 세포막 파괴(사멸) 및 생장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재생을 증진시키고; 스테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가 분비하는 성분인 Butyric acid로 인해 자외선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인자의 발현이 억제되어 피부 진정 효과를 나타내고; 생균을 피부에 도포 시, 피부 수분량 증진 및 수분 손실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생균을 피부에 도포 시, 피부 pH가 약산성화되어 pH 환경이 개선될 수 있는 바, 상기 유익균인 스테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의 증진 효과를 갖는 물질은 피부에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피부 유익균 증진"은 전술한 유익균의 성장을 촉진 또는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유익균의 증진은 스테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의 증진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OFY11-1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이 스테필로코커스 에피더미디스를 증진시킴을 확인하였는 바,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OFY11-1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은 피부 유익균 증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본 발명에서 용어 "피부 유해균"은 염증, 여드름과 같이 피부에 유해한 영향을 끼치는 균을 의미한다. 상기 "유해균"은 스테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Propionibacterium acnes), 코리네박테리움 미누티시뭄(Corynebacterium minutissimum)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유해균 억제"은 전술한 유해균의 사멸 또는 성장을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유해균의 억제는 스테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의 억제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OFY11-1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이 스테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를 억제시킴을 확인하였는 바,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OFY11-1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은 피부 유해균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본 발명에서 용어 “진정”은 홍반 또는 자극받은 피부 부위 등을 완화시키고 가라앉히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데, 상기 피부 진정은 경피 수분 손실 감소 또는 피부 붉은기 완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용어 "염증"은 어떤 자극에 대한 생체 조직의 방어반응의 하나로, 조직 변질, 순환 장애와 삼출, 조직 증식의 세가지를 병발하는 복잡한 병변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염증은 선천성 면역의 일부이며 다른 동물에서와 같이 인간의 선천성 면역은 병원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세포 표면의 패턴을 인식한다. 식세포는 그런 표면을 가진 세포를 비자기로 인식하고 병원체를 공격한다. 병원균이 신체의 물리적 장벽을 깨고 유입된 경우 염증반응이 일어나며, 상처부위에 침입한 미생물에 대한 적대 환경을 만드는 비특이적인 방어작용이라고 할 수 있다. 염증반응에서 상처가 나거나 외부 감염체가 체내로 침입했을 때, 초기단계의 면역반응을 담당하는 백혈구가 접근하여 사이토카인을 발현한다. 따라서, 세포 내 사이토카인의 발현량이 염증반응 활성화의 지표가 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피부 염증 개선"은 피부에서 발병된 염증을 억제 또는 완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OFY11-1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이 대표적인 붉은기 유발 물질이며 염증 물질인 나이트릭 옥사이드(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는 바,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OFY11-1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은 피부 진정 및 염증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5)
본발명에서 용어 "피부 미백"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피부톤을 밝게할 뿐만 아니라,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 또는 주근깨 등의 피부 과색소 침착을 개선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시균주에 비해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OFY11-1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이 멜라닌 합성을 저해함을 확인하였으며, 피부 미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6).
본 발명에서 용어 “피부 재생”은 피부 외부 및 내부 원인에 의한 손상에 대해 피부 조직의 회복 과정을 의미한다. 상기 외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자외선, 외부 오염 물질, 창상, 외상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내부 원인에 의한 손상은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상처”는 생체가 손상된 것을 모두 아우르는 의미로서, 생체가 손상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상처 치유”는 생체의 손상이 회복되는 것을 의미하며, 상처치유의 과정은 급성기, 수복기, 및 반흔화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급성기는 삼출기라고도 하며, 조직 파괴 또는 이물질이 혼합된 손상된 부위에서 이들을 제거하기 위한 일련의 반응이 일어나는 단계로서, 이때 염증반응 및 혈액응고 반응이 수반될 수 있다. 수복기는 증식기라고도 하며, 혈관이 신생되고 손상된 부위의 회복이 일어나는 단계로서, 이 시기에는 활발한 세포증식 또는 결합조직의 일종인 육아조직내의 세포간 물질인 콜라겐이나 프로테오글라이칸의 활발한 합성이 이루어져 표피 세포가 가동성을 획득하고, 분열증식하여 표피조직을 재생할 수 있다. 반흔화 단계는 세포의 증식 속도는 감소하고 콜라겐 섬유가 가교되면서 손상 부위의 물리적 강도가 증대되는 단계로서, 최종적으로, 혈관계도 퇴축하고 주위의 정상 조직과는 다른 조직이 손상 부위에 자리잡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와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상처가 치유될 수 있으나, 상기 상처 치유는 생체의 손상이 회복되는 한 과정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공시 균주에 비해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이 피부 세포를 더욱 활성화시킴을 확인하였는 바,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은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7).
하나의 구체예로, 상기 균주는 덴드로비움 속 식물 유래일 수 있으나, 기탁균주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OFY11-1와 동일한 특성을 갖는 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덴드로비움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 OFY11-1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균주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발효"는 미생물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 중 부패반응이 아닌 것을 의미한다. 발효 반응과 부패 반응은 비슷한 과정에 의해 진행되지만, 분해 결과 유용한 물질이 만들어지면 발효라 하고 악취가 나거나 유해한 물질이 만들어지면 부패라고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균주로부터 발효물을 수득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분야 또는 유사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효물을 수득하는 방법은 균주의 에너지원인 당에 상기 분리된 균주를 처리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수득하는 것일 수 있으나, 상기 발효 공정의 온도, 발효 시간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발효 전구체 물질, 발효 조건, 발효물로부터 얻고자 하는 물질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효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8℃내외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일 내지 10일동안, 보다 바람직하게는 4일 내지 8일동안,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6일 내외의 기간동안 발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균주로부터 수득한 발효물은 발효된 물질 자체뿐만 아니라, 균주 및 배양물이 공존하는 균주의 배양 배지, 상기 배양 배지로부터 균주를 여과시킨 발효물, 상기 배양 배지로부터 균주을 멸균처리하고 이를 여과시킨 발효물, 상기 발효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배양 배지를 추출한 추출물, 상기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희석시킨 희석액, 상기 발효물 또는 이의 추출물을 건조시킨 건조물, 상기 균주의 균체를 포집해서 파쇄시킨 용해물 등, 상기 균주로부터 발생한 발효물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의 조성은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목적상 풀루란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풀루란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하나의 구체예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용인 것으로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 유익균 증진, 피부 유해균 억제, 피부 진정, 피부 염증 개선, 피부 미백,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유익균 증진, 피부 유해균 억제, 피부 진정, 피부 염증 개선, 피부 미백,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는 바, 피부 유익균 증진, 피부 유해균 억제, 피부 진정, 피부 염증 개선, 피부 미백,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용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실시예 4 내지 8). 또한,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안정성도 확인되어 화장료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실시예 9).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 OFY11-1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90%, 보다 바람직 하게는 0.01-30%,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10%로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 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데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종 이상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기재된 모든 성분이 바람직하게는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 및 중국 '화장품 안전·기술 규범'에서 규정한 최대 사용치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 OFY11-1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용인 것으로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 유익균 증진, 피부 유해균 억제, 피부 진정, 피부 염증 개선, 피부 미백,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의약외품 조성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균주, 이의 발효물, 피부상태 개선, 피부 유익균 증진, 피부 유해균 억제, 피부 진정, 피부 염증 개선, 피부 미백,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용어 "의약외품"은 바디 클렌저, 소독 청결제, 세정제, 주방용 세정제, 청소용 세정제, 치약, 가글제, 물티슈, 세제, 비누, 핸드워시, 헤어 세정제, 헤어 유연제, 가습기 충전제, 마스크, 연고제, 및 필터 충진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외에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 한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스, 슈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말티톨, 전분, 젤라틴, 글리세린,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칼슘포스페이트, 칼슘카보네이트, 칼슘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식물성 오일,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위텝솔,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리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을 의약외품으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예컨대, 공지의 피부 유익균 증진, 피부 유해균 억제, 피부 진정, 피부 염증 개선, 피부 미백, 피부 재생, 상처 치유성분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인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트러블 개선, 피부 보습 성분을 포함하게 되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주름 개선, 피부 미백, 피부 트러블 개선, 피부보습 효과는 더욱 증가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성분 추가 시에는 복합 사용에 따른 피부 안전성, 제형화의 용이성, 유효성분들의 안정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당업계에 공지된 피부 노화 방지 성분으로서, 레티노산, TGF,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베툴린산 및 클로렐라 추출물; 당업계에 공지된 항염증 성분으로서, 비스테로이드계로 플루페남산, 이부프로펜, 벤지다민, 인도메타신, 프레드니솔론, 덱사메타손, 알란토인, 아즈엔, 하이드로코티손; 및 이들의 유도체와 각종 식물 추출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성분은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함량 범위는 피부 안전성, 본 발명의 균주 또는 발효물의 제형화 시의 용이성 등의 요건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의약외품의 제제화 방법, 용량, 이용방법, 구성성분 등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 OFY11-1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에서 분리된 풀루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 풀루란 및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 OFY11-1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에서 분리된 풀루란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 풀루란 및 의약외품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 OFY11-1 균주를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균주, 발효, 및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탈색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나, 일반적인 흑효모 균주는 흑색 색소를 생산하여, 흑효모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제품의 품질 향상을 위해 추가적인 정제/탈색 과정이 필요한 반면, 본 발명의 균주는 일반적인 흑효모 균주와 달리 흑색 색소를 생산하지 않아 균주의 발효 후 추가적인 정제/탈색 과정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 OFY11-1 균주를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균주, 발효, 및 의약외품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탈색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의약외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균주는 일반적인 흑효모 균주와 달리 흑색 색소를 생산하지 않아 균주의 발효 후 추가적인 정제/탈색 과정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 OFY11-1 균주를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풀루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풀루란을 발효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으로서, 탈색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균주, 발효, 및 풀루란은 전술한 바와 같다. 풀루란의 제조방법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나, 상기 균주는 일반적인 흑효모 균주와 달리 흑색 색소를 생산하지 않아 균주의 발효 후 추가적인 정제/탈색 과정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피부 유익균 증진, 피부 유해균 억제, 피부 진정, 피부 염증 개선, 피부 미백,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 효능이 우수하여 화장료 조성물, 의약외품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균주는 흑색 색소를 생산하지 않는 우수한 효능이 있어 볼 발명의 조성물 및 풀루란을 생산하는 데에 별도의 탈색/정제 과정이 필요하지 않아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상기 조성물 또는 풀루란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OFY11-1 균주의 발효액과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공시 균주의 발효액의 색상 비교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덴드로비움( Dendrobium )에서 분리한 신규 균주 발굴
본 발명자들은 풀루란을 생산하는 미생물로 알려진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 미생물 중에서도 흑색 색소를 생산하지 않는 미생물을 발굴하기 위해,
NASA(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가 지정한 공기정화식물에 포함된 덴드로비움(Dendrobium) 속의 식물에서 분리한 균주로서, 풀루란(Pullulan)을 생산하는 신규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 균주를 분리하였다.
상기 분리된 균주의 하기 ITS 서열을 NCBI blast 분석한 결과, 기존 균주들과의 일치도가 98.54 내지 99.26%의 동일성을 가지므로, 상기 분리된 균주는 기존 균주들과 상이한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OFY11-1 균주의 ITS 서열(서열번호 1):
TACTGGCAACCTACTGATCGAGGTCAACCTAGAAAATAAAGGTTTCAGTCGGCAGAAGTCCTCTCCTTTGACAGACGTTCGAATAAATTCTACTACGCCTAAAGCCGGTGAGGCCTCGCCGAGGTCTTTAAGGCGCGCCCAACTAAGGACGGCACCCAATACCAAGCATAGCTTGAGTGGTGTAATGACGCTCGAACAGGCATGCCCCTCGGAATACCAAGGGGCGCAATGTGCGTTCAAAGATTCGATGATTCACTGAATTCTGCAATTCACATTACTTATCGCATTTCGCTGCGTTCTTCATCGATGCGAGAACCAAGAGATCCGTTGTTGAAAGTTTTGATTTATTCAAAATTTTAACTCAGACGACCGGTTTGATAACAAGAGTTTGGTTTAACTCTGGCGGGCGCTCGCCTGGGACGAATCCCCAGCGGCTCGAGACCGAGCGGTCCCGCCAAAGCAACAAGGTAGTTTTAACAACAAAGGGTTGGAGGTCGGGCGCTGAGCACCCTTACTCTTTAATGATCCTTCCGCAGGTTACCCTTACGGAAG
또한, Dendrobium officinale에서 분리된 공지 균주에 해당하는, 아우레오바시디움 플루란스 균주(NCBI GenBank accession number: KP050667.1)와 유전자 서열을 비교한 결과, 99.06%의 일치도를 나타내므로, 실시예 1에서 발굴한 균주는 상기 공지 균주와 다른 신규한 균주임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상기 신규 균주는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OFY11-1로 명명하였으며, 부다페스트 조약 하의 국제기탁기관인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CTC)에 2020년 3월 26일자로 국제 기탁하여, 2020.04.08자로 기탁번호 KCTC 14158BP 를 부여 받았다.
실시예 2: 신규 균주 발효물의 제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신규 균주의 발효물을 제조하기 위해 신규 균주인 OFY11-1 균의 전배양 및 본배양을 5일 내지 7일동안 실시하였다. 전배양은 상용배지 PDB (Potato Dextrose Broth)를 포함하는 용기에 OFY11-1 균을 접종하고, 28℃에서 160rpm으로 진탕 배양하였다. 이후, 본배양 배지를 포함한 용기에 전배양액을 접종하여 28℃에서 160rpm으로 진탕 배양하였다.
<본배양 배지 (pH 6.5)>
수크로스(sucrose) 40 g/L, 효모 추출물 1g/L, (NH4)2SO4 0.3 g/L, NaCl 1 g/L, K2HPO4 5 g/L, MgSO4 0.2 g/L
이후, 본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한 결과, 상기 OFY11-1 균의 배양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배양액은 OFY11-1이 유기화합물을 분해한 결과로 제조되는 것이므로 발효물로 혼용할 수 있다.
실시예 3: 신규 균주 발효물의 흑색 색소 미생산 확인
덴드로비움 속의 식물에서 분리한 신규 균주가 흑색 색소를 생산하지 않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공시균주의 발효물을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신규 균주 발효물과 상기 공시 균주 발효물의 색상을 비교하였다.
- 공시 균주: Aureobasidium pullulans KCTC 6459
- 신규 균주: Aureobasidium pullulans OFY11-1
그 결과, 공시 균주 발효물은 흑색이고 세포를 제거한 발효물은 탁한 노란색으로서 화장료 또는 의약외품 등의 제품에 적용할 때 추가 정제/탈색 공정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반면, 신규 균주 발효물은 연분홍색이고 세포를 제거한 발효물은 연노란색으로서, 제품에 적용할 때 추가적인 정제/탈색 공정이 필요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도 1).
즉, 균 배양액, 발효물, 추출물, 분획물, 및 발효산물 등을 제품에 적용할 때, 공시 균주에 비해 덴드로비움 속의 식물에서 분리한 신규 균주를 이용하는 것이 더욱 경제적이고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신규 균주 발효물의 In vitro 프리바이오틱 능력 평가
신규 균주 발효물의 In vitro 프리바이오틱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상기 발효물 처리 전후에서 피부상재균 중의 유익균 증진 및 유해균 억제 정도를 비교하였다. 대표적인 유익균으로 Staphylococcus epidermidis를 선정하고, 대표적인 유해균으로 Staphylococcus aureus를 선정하였으며, 상기 발효물 처리 전후로 유익균 및 유해균의 생장속도를 비교하였다.
유익균의 생장속도 평가
유익균의 생장 속도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상용 TSB(Tryptic soy broth) 배지를 이용하여 멸균 액상 배지를 제조하였으며, S. epidermidis 글리세롤 보존액을 멸균 액상 TSB 배지에 접종하여, 30-37℃에서 6-18 시간 동안 전배양하였다. 이러한 전배양은 1-2회 실시하였다. 이후, 멸균 액상 TSB 배지에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균 발효물을 10%로 첨가하고, 상기 전배양 용액을 접종하여, 30-37℃에서 6-1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접종 직후의 흡광도(OD)와 생장정체기(stationary phase) 때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 값의 비율(생장률)을 통계의 변수로 사용하였다. 상기 발효물을 처리 하지 않은 대조군 대비, 상기 발효물을 처리한 실험군의 생장률을 비교하여, 시료가 균의 생장에 유의미한 효과를 주는지 판단하였다. 평가는 3-6회 이상 진행하고, 복수 회의 생장률의 평균값, 표준편차 등을 산출한 후, t-test를 통해 유의미성을 검증하였다.
유해균의 생장속도 평가
유익균의 평가와는 별개로, 별도의 실험으로 유해균의 생장속도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표적인 유해균인 S.aureus의 생장속도를 평가하였으며, 평가 조건 및 방법은 상기 유익균의 생장속도 평가 조건 및 방법과 동일하다.
상기 유익균 및 유해균 각각의 생장속도 평가 결과는 하기 표 1에 통합하여 나타내었다.
In vitro prebiotic 평가 OFY11-1 발효물 10%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aphylococcus aureus
Result 9.19% -27.75%
p-value 0.001 0.007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신규 균주 발효물이 우수한 유익균 증진 효과가 있으며 27.75%에 달하는 유해균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신규 균주 발효물의 피부 진정 및 염증 개선 효과 평가(NO Assay)
신규 균주 발효물의 피부진정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신규 균주 발효물 및 공시 균주 발효물의 NO 생성 억제 효과를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신규 균주 발효물, 공시 균주 발효물, 및 양성대조군 시료를 농도별로 희석하여 30분동안 전처리한 후, 1mg/ml의 LPS를 처리하고 24시간을 배양하였다. 이후, NO 정량 키트를 이용하여 NO 생성 억제능을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 공시 균주: A. pullulans KCTC 6459
- 양성대조군: L-NMMA 20mg/mL
- NO 생성 억제능(%)={1-(시료 첨가시 NO생성량/시료 무첨가시 NO생성량)}x100
무처리군 대비
NO 생성 억제능(%)
양성대조군 OFY11-1 발효물 0.01% 공시 균주 발효물 0.01%
항염(NO 생성 억제능) 62.6 46.2 13.7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시 균주 발효물은 양성대조군에 비해 효과가 미미한 반면, 신규 균주 발효물은 공시 균주 발효물에 대비하여 약 3.4배에 이르는 피부 진정 및 염증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신규 균주 발효물의 미백 효과 평가(Melanin test)
상기 발효물의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멜라닌 세포(Melanocyte)에 신규 균주 발효물 및 공시 균주 발효물을 각각 처리했을 때 멜라닌 세포 내의 멜라닌(Melanin) 색소의 양이 감소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균 발효물, 공시 균주 발효물, 및 양성대조군 시료를 농도별로 희석하여 B16f10 멜라닌세포에 처리하고 72시간동안 배양한 후, 멜라닌을 정량하여 미백 효능을 평가하였다. 멜라닌 함량은 총 단백질량을 대비하여 계산한 후, DMSO 대조군을 기준으로 하여 %로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 공시 균주: A. pullulans KCTC 6459
- 양성대조군: 알부틴(Arbutin) 500ppm (Lim YJ et al., 2009, Arch Pharm Res.)
무처리군 대비
멜라닌 합성 저해(%)
양성대조군 OFY11-1 발효물 0.1% 공시 균주 발효물 0.1%
27.2 41.2 16.7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시 균주 발효물은 양성대조군에 비해 효과가 미미한 반면, 덴드로비움 유래의 신규 균주 발효물은 공시 균주 발효물에 대비하여 약 2.5배에 이르는 미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신규 균주 발효물의 피부세포 활성 효과 평가
신규 균주 발효물의 피부세포 활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인간 섬유아세포 배양(Human fibroblast culture)을 이용하여 신규 균주 발효물 및 공시 균주 발효물의 세포 활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신규 균주 발효물, 및 양성대조군 시료를 농도별로 희석하여 48시간동안 처리한 후, CCK-8 키트를 사용하여 세포활성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세포활성 값은 대조군(serum 0% 함유 DMEM)에 대비하여 증가한 비율을 계산하여 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 양성대조군: FBS 3%
무처리군 대비
피부세포활성(%)
양성대조군 OFY11-1 발효물 0.01% OFY11-1 발효물 0.1%
29.86 14.06 18.96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발효물 0.01% 은 우수한 피부세포 활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발효물 0.1% 의 세포활성 효과도 확인한 결과, 더욱 우수한 피부 세포 활성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신규 균주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풀루란의 효능 평가
신규 균주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풀루란의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 신규 균주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풀루란의 유해균 억제, 항염, 미백, 및 세포 활성 효과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실시예 4 내지 7과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의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효능 OFY11-1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플루란
유해균 억제 1% 처리 시, 유해균(S. aureus)17.08% 생장 억제
항염 0.01% 처리 시, 44.1% 수준
미백 0.1% 처리 시, 27.5% 수준
세포활성 0.1% 처리 시, 22.12% 수준
0.01% 처리 시 11.5 % 수준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OFY11-1 발효물로부터 분리된 풀루란 역시 우수한 피부 유해균 억제, 항염, 미백, 및 세포 활성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신규 균주의 발효물 및 신규 균주가 생산하는 풀루란의 적용 가능성 확인
안전성 면에서 풀루란 뿐만 아니라 신규 균의 발효물도 화장료 또는 의약외품 등의 형태로 개체에 적용이 가능한지 평가하였다.
안전성 평가를 위해 패치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시험 부위에 피부 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 지원자 20인을 연구 대상자로 모집; 패치 테스트 단위(patch test unit)의 각 챔버(chamber)에 적정량의 시료 도포; 시료가 도포된 패치 테스트 단위를 시험 부위에 부착; 일정시간 후 패치 테스트 단위 제거; 및 상기 패치 테스트 단위 제거 2시간 후 피부 자극반응 평가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원자 20명에 대해 상기 신규 균주 발효물(1% 및 3%) 및 상기 신규 균주 발효물에서 분리한 풀루란(0.5% 및 1.5%)에 대해 밀폐 첩포 시험법으로 패치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신규 균주의 발효물 및 풀루란 모두 유의한 수준의 자극을 보인 시료는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풀루란뿐만 아니라 신규 균주의 발효물까지도 화장료 또는 의약외품 등의 형태로 개체에 적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출원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출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4158BP 20200326
<110>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120> Novel Aureobasidium pullulans strain and use thereof <130> KPA200459-KR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552 <212> DNA <213> Unknown <220> <223> OFY-11 <400> 1 tactggcaac ctactgatcg aggtcaacct agaaaataaa ggtttcagtc ggcagaagtc 60 ctctcctttg acagacgttc gaataaattc tactacgcct aaagccggtg aggcctcgcc 120 gaggtcttta aggcgcgccc aactaaggac ggcacccaat accaagcata gcttgagtgg 180 tgtaatgacg ctcgaacagg catgcccctc ggaataccaa ggggcgcaat gtgcgttcaa 240 agattcgatg attcactgaa ttctgcaatt cacattactt atcgcatttc gctgcgttct 300 tcatcgatgc gagaaccaag agatccgttg ttgaaagttt tgatttattc aaaattttaa 360 ctcagacgac cggtttgata acaagagttt ggtttaactc tggcgggcgc tcgcctggga 420 cgaatcccca gcggctcgag accgagcggt cccgccaaag caacaaggta gttttaacaa 480 caaagggttg gaggtcgggc gctgagcacc cttactcttt aatgatcctt ccgcaggtta 540 cccttacgga ag 552

Claims (17)

  1. 기탁번호 KCTC 14158BP 로 기탁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Aureobasidium pullulans) OFY11-1 균주로서,
    상기 균주는 피부 미백의 특징을 갖는 것인,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흑색 색소를 생산하지 않는 것인, 균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풀루란(Pullulan)을 생산하는 것인, 균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피부 유익균 증진, 피부 유해균 억제, 피부 진정, 피부 염증 개선,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특징을 추가로 갖는 것인, 균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덴드로비움(Dendrobium spp.) 유래인 것인, 균주.
  6.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용인 것으로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 유익균 증진, 피부 유해균 억제, 피부 진정, 피부 염증 개선, 피부 미백,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화장료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세포를 활성시키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은 풀루란을 포함하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피부 상태 개선용인 것으로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 유익균 증진, 피부 유해균 억제, 피부 진정, 피부 염증 개선, 피부 미백,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의약외품 조성물.
  12. 풀루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풀루란은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에서 분리된 것인, 화장료 조성물.
  13. 풀루란을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로서, 상기 풀루란은 제1항의 균주 또는 이의 발효물에서 분리된 것인, 의약외품 조성물.
  14. 제1항의 균주를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조방법은 탈색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항의 균주를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약외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조방법은 탈색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항의 균주를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풀루란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조방법은 탈색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풀루란을 발효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KR1020200119412A 2020-09-16 2020-09-16 신규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468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412A KR102468317B1 (ko) 2020-09-16 2020-09-16 신규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및 이의 용도
CN202111086400.5A CN114262667A (zh) 2020-09-16 2021-09-16 新型出芽短梗霉菌株及其用途
JP2021151055A JP2022049690A (ja) 2020-09-16 2021-09-16 新規なアウレオバシジウムプルランス菌株及びその使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412A KR102468317B1 (ko) 2020-09-16 2020-09-16 신규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790A KR20220036790A (ko) 2022-03-23
KR102468317B1 true KR102468317B1 (ko) 2022-11-17

Family

ID=8082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412A KR102468317B1 (ko) 2020-09-16 2020-09-16 신규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2049690A (ko)
KR (1) KR102468317B1 (ko)
CN (1) CN11426266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87196A (zh) * 2022-04-13 2022-11-04 自然资源部第三海洋研究所 一株出芽短梗霉及其在生产胞外多糖中的应用
CN115521959A (zh) * 2022-10-12 2022-12-27 江苏力凡胶囊有限公司 一种普鲁兰多糖的提取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9514A (en) 1985-11-05 1991-05-28 Consortium Fur Elektrochemische Industrie Gmbh Aureobasidium pullulans strain,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use thereof
CN103881927A (zh) 2014-03-04 2014-06-25 江西省科学院微生物研究所 一种高产无色素普鲁兰多糖的茁芽短梗霉及其培养和制备普鲁兰多糖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95941A1 (en) * 2010-06-17 2013-08-01 Hayashibara Co., Ltd. Pullulan-containing powder,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KR102096545B1 (ko) * 2019-08-27 2020-04-03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멜라닌색소를 생산하지 않는 베타-글루칸 고생산성 오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를 이용한 피부 보습, 주름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9514A (en) 1985-11-05 1991-05-28 Consortium Fur Elektrochemische Industrie Gmbh Aureobasidium pullulans strain, process for its preparation, and use thereof
CN103881927A (zh) 2014-03-04 2014-06-25 江西省科学院微生物研究所 一种高产无色素普鲁兰多糖的茁芽短梗霉及其培养和制备普鲁兰多糖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262667A (zh) 2022-04-01
KR20220036790A (ko) 2022-03-23
JP2022049690A (ja)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67106B2 (ja) 緑豆発酵−酵素抽出液を含む皮膚老化防止用化粧料組成物
KR100847104B1 (ko)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2362055B1 (ko) 다당류, 효모추출물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균주 발효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5412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68317B1 (ko) 신규한 아우레오바시디움 풀루란스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70140B1 (ko) 락토바실러스 퍼멘튬 hk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라케케 발효 추출물
KR20180048408A (ko) 쉰다리 전통 발효 기술에 의해 피부 미백 효능이 증진된 삼백초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07194B1 (ko) 우방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18523A (ko) 다당류, 효모추출물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균주 발효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5172A (ko) 중머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3171950A (ja) 抗老化剤、抗酸化剤、抗炎症剤、及び美白剤、並びに、化粧料
KR20130001842A (ko) 쪽동백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방법
KR101917711B1 (ko) 방가지똥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41191A (ko) 닥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보습, 피부 장벽 강화, 피부 재생 촉진 및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125409B1 (ko) 백당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322B1 (ko) 닥나무 및 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65250B1 (ko) 효소처리된 카카두플럼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항산화, 항염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720741B1 (ko) 떡윤노리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57435B1 (ko)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누에고치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67606B1 (ko) 예덕나무 발효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2379A (ko) 동치미 원료를 이용한 복합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20210067567A (ko) 와일드프란지파니꽃 및 진퍼리하늘나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5091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53167B1 (ko) 식물성 세라마이드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8335B1 (ko) 꽃에서 분리한 효모균으로부터 수득한 발효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