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9117B1 - 발효 수세미오이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효 수세미오이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9117B1
KR102279117B1 KR1020190156923A KR20190156923A KR102279117B1 KR 102279117 B1 KR102279117 B1 KR 102279117B1 KR 1020190156923 A KR1020190156923 A KR 1020190156923A KR 20190156923 A KR20190156923 A KR 20190156923A KR 102279117 B1 KR102279117 B1 KR 102279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loofah
weight
parts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6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7381A (ko
Inventor
정광환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마동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마동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마동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6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9117B1/ko
Publication of KR20210067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9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91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25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11D9/265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glycero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11D9/267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free fatty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과 편백나무 발효분말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를 사용하는 경우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각질 제거, 보습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의 제조방법은 시어버터 40 내지 80 중량부, 동백오일 10 내지 25 중량부, 라벤더 오일 30 내지 70 중량부, 솝누들 팜오일 400 내지 1100 중량부, 글리세린 35 내지 55 중량부, 비타민E 5 내지 25 중량부,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 20 내지 40 중량부, 수세미오이 발효분말 5 내지 55 중량부 및 편백나무 발효분말 2 내지 3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가온하고 응고시켜 천연비누를 제조한다.

Description

발효 수세미오이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 및 그 제조방법 {.}
본 발명은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를 제조하기 위해 시어버터 40 내지 80 중량부, 동백오일 10 내지 25 중량부, 라벤더 오일 30 내지 70 중량부, 솝누들 팜오일 400 내지 1100 중량부, 글리세린 35 내지 55 중량부, 비타민E 5 내지 25 중량부,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 20 내지 40 중량부, 수세미수액 80 내지 250 중량부, 수세미오이 발효분말 5 내지 55 중량부 및 편백나무 발효분말 2 내지 3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다음, 가온하고 응고시켜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세수 및 세안이나 입욕시 사용되는 비누는 기본적인 세정 기능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여드름을 비롯한 각종 피부트러블 방지 등과 같은 특수 기능을 갖는 것은 물론, 사용 시 자극을 줄이고, 피부 탄력을 유지할 수 있는 부가적인 원료가 첨가되어 제조된다.
특히, 미용 비누의 경우 식물성 유지와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고, 피부에 유익한 각종 기능성 물질을 첨가하여 다양한 효과를 갖는 비누가 만들어지고 있으며, 첨가한 기능성 물질에 따라 인삼비누, 우유비누, 쑥비누, 오이비누, 맥반석비누 등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그 종류가 많다.
이 같은 비누는 물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분해되면서 계면의 표면장력을 크게 떨어뜨려 노폐물이나 때 등을 계면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세정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분비된 피지가 완전히 세정되지 못하거나 모공이 각질이나 여러 가지 노폐물, 화장품이나 비누찌꺼기로 인해 막히면서 염증이 생기게 되면, 여드름을 비롯한 각종 피부트러블이 생긴다. 설령, 피지 분비가 많지 않더라도 누구나 피부노화에 따라 모공이 늘어나게 되어, 피부 탄력이 급격히 저하되기 시작하면서 모공을 조여주는 힘 또한 함께 떨어지게 된다.
상술한 외적인 피부트러블 외에도 여러 가지 환경적인 요인 즉, 산업화로 인한 환경 공해와 식생활 양식의 서구화로 인한 인스턴트 식품과 식품첨가물 사용의 증가, 서구식 주거 형태로 인한 카펫, 침대, 소파의 사용 증가와 실내 온도 상승으로 인한 집먼지 진드기 등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알레르겐)의 증가 등과 함께, 유전적인 소인, 면역학적 반응 및 피부보호막 이상 등의 원인으로 피부 건조증, 습진, 아토피 등과 같은 피부질환도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최근 상술한 각종 피부질환의 발병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해서는 어느 한두가지만의 효과가 아닌 보습, 항균, 항염, 피지분비억제, 혈행촉진 등 피부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효과들이 복합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데, 종래 대부분의 미용비누 제품들은 이러한 복합적인 효과를 나타내기 에는 미흡한 실정에 있다.
한편, 수세미(Luffa cylindrical)는 박과의 1년생 덩굴성 식물로 수세미외, 사과, 수과락, 수과, 만과, 천락사(天絡絲) 또는 천라(天羅) 라고도 한다.  줄기는 갈라지며 덩굴손을 내어 다른 물체를 감으면서 올라간다. 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오이잎과 비슷한 모양으로 어긋나며 꽃은 7~10월에 달린다. 수꽃은 각 앞 겨드랑이에 여러 개가 모여 피고, 암꽃은 잎겨드랑이에 1개씩 핀다. 열매는 10월에 익는데, 길이 30㎝~70㎝ 정도로 오이처럼 처음에는 녹색이다가 익으면 노랗게 변하며 겉에 세로로 얕은 골이 진다.
또한, 편백(Chamaecyparis Obtusa)나무는 잎은 항균작용을 하는 유효성분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구과목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나무이며, 피톤치드가 많이 나오는 나무로 알려져 있다. 한국과 일본에서 자생하며 높이 40m, 직경 2m가량 까지 자란다. 일본이 원산지이고 한반도 남부와 제주도에서 서식하는 온난대기후대 식물이다. 내한성이나 내염성은 약하나 내공해성엔 강한편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를 제조함으로써, 품질 및 소비자 기호도가 향상된 비누를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912064호 (2018. 10. 19.)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83994호 (2004. 10. 06.)
본 발명은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과 Lactobacillus plantarumLactobacillus casei를 혼합한 혼합균주를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편백나무 발효 분말과 알코올 발효균주 Saccharomyces bayanus(KCCM 11568)와 초산균주 Acetobacter pasteurianus(KCCM 12655)를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뛰어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각질 제거, 보습 효과를 가지는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를 제조하기 위해 시어버터 40 내지 80 중량부, 동백오일 10 내지 25 중량부, 라벤더 오일 30 내지 70 중량부, 솝누들 팜오일 400 내지 1100 중량부, 글리세린 35 내지 55 중량부, 비타민E 5 내지 25 중량부,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 20 내지 40 중량부, 수세미수액 80 내지 250 중량부, 수세미오이 발효분말 5 내지 55 중량부 및 편백나무 발효분말 2 내지 3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다음, 가온하고 응고시켜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각질 제거, 보습 효과를 갖는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가 제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수세미오이 발효분말은 수세미오이를 건조 및 분쇄한 다음 수세미오이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추출물에 Lactobacillus plantarumLactobacillus casei를 혼합한 혼합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다음 살균하고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수세미오이 발효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수세미오이 발효액을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수세미오이 발효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백나무 분말은 편백나무 잎을 건조 및 분쇄한 다음 편백나무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추출물에 알코올 발효균주 Saccharomyces bayanus(KCCM 11568)를 접종하여 1차 발효액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1차 발효액에 초산균주 Acetobacter pasteurianus(KCCM 12655)를 접종하여 초산발효 시킨 다음 살균하고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2차 발효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2차 발효액을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편백나무 발효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의 제조방법은 (a) 수세미오이 발효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편백나무 발효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a)단계의 제조된 수세미오이 발효분말과 상기 (b)단계의 제조된 편백나무 발효분말에 시어버터, 동백오일, 라벤더 오일, 솝누들 팜오일, 글리세린, 비타민E 및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 수세미수액을 첨가한 다음 혼합하여 비누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제조된 비누조성물을 가온하여 젤화시키는 단계, (e) 상기 (d)단계에서 젤화된 비누조성물을 식히고 응고시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수세미오이 발효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수세미오이를 선별 및 세척하는 전처리하고, 상기 전처리한 수세미오이를 건조한 다음, 건조된 수세미오이를 분쇄하여 수세미오이 분말을 제조하여 수세미오이 추출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수세미오이 추출물에 Lactobacillus plantarumLactobacillus casei를 혼합한 혼합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다음 살균하고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수세미오이 발효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수세미오이 발효액을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수세미오이 발효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b) 편백나무 발효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편백나무 잎을 선별 및 세척하는 전처리하고, 상기 전처리한 편백나무 잎을 건조한 다음, 건조된 편백나무를 분쇄하여 편백나무 분말을 제조하여 편백나무 추출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편백나무 추출물에 알코올 발효균주 Saccharomyces bayanus(KCCM 11568)를 접종한 다음 알코올 발효시키고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1차 발효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1차 발효액에 초산균주 Acetobacter pasteurianus(KCCM 12655)를 접종한 후 초산발효시킨 후 살균하고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2차 발효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편백나무 발효액을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편백나무 발효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단계에서 수세미오이 발효분말 5 내지 55 중량부에 편백나무 분말 2 내지 35 중량부, 시어버터 40 내지 80 중량부, 동백오일 10 내지 25 중량부, 라벤더 오일 30 내지 70 중량부, 솝누들 팜오일 400 내지 1100 중량부, 글리세린 35 내지 55 중량부, 비타민E 5 내지 25 중량부 및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 20 내지 40 중량부, 수세미수액 80 내지 250 중량부를 중량 비율로 첨가한 다음 혼합하여 비누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과 Lactobacillus plantarumLactobacillus casei를 혼합한 혼합균주를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를 제조하는 것으로,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를 사용하는 경우 아토피성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은 편백나무 발효 분말과 알코올 발효균주 Saccharomyces bayanus(KCCM 11568) 및 초산균주 Acetobacter pasteurianus(KCCM 12655)를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를 제조하는 것으로, 편백나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를 사용하는 경우 뛰어난 각질 제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세미오일 발효분말과 편백나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를 제조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를 사용하는 경우 탁월한 보습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실시 태양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를 제조하기 위해 시어버터 40 내지 80 중량부, 동백오일 10 내지 25 중량부, 라벤더 오일 30 내지 70 중량부, 솝누들 팜오일 400 내지 1100 중량부, 글리세린 35 내지 55 중량부, 비타민E 5 내지 25 중량부,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 20 내지 40 중량부, 수세미수액 80 내지 250 중량부, 수세미오이 발효분말 5 내지 55 중량부 및 편백나무 발효분말 2 내지 3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다음, 가온하고 응고시켜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를 제조가 제조된다.
이하에서는 위 각 단계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수세미오이 발효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수세미 오이를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하는 전처리 단계를 실시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의 제조과정에 이물질이 함유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세미 오이는 찬물에 5 ~ 30분 동안 세척하며 수세미 오이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한 후, 흐르는 물에 10 ~ 30초 동안 세척한 후, 물기를 제거한다.
또한 상기 수세미오이 세척시 30분을 초과하여 세척할 경우, 삼투압 현상에 의해 수세미오이 내부의 유용성분이 물에 빠져나올 수 있으므로 장시간 세척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며, 5분 미만으로 세척할 경우, 이물질이 완전히 잔류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세척한 수세미오이를 건조 및 분쇄하여 추출물을 제조 후, 발효 단계를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세미오이의 건조는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 방식으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연건조의 경우는 자연풍에 의해 햇빛으로 5일 정도 완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풍건조 방식은 상기 수세미오이를 온도 65 내지 80℃에서 2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상기 수세미오이는 70 내지 110 메쉬(mesh) 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80 내지 100 메쉬 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수세미 오이에 함유된 유용성분이 발효과정에 의해 제조되는 발효액에 함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세미오이의 크기가 110 메쉬를 초과하여 분쇄하게 되면, 수세미오이 내부에 함유된 유용성분이 발효단계에서 빠져나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장시간 발효하면 발효물에 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 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세미오이 추출물은 증류수 100 중량부에 상기 분쇄된 수세미오이 분말 4 내지 20 중량부를 1 내지 7시간 동안 약 50 내지 70℃의 온도로 가열 후 여과하여 수세미오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발효단계에서는 상기 제조된 수세미오이 추출물에 Lactobacillus plantarumLactobacillus casei를 혼합한 혼합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킬 수 있으며, MRS broth agar 배지에서 배양되었던 Lactobacillus plantarumLactobacillus casei를 혼합한 혼합균주를 접종하여 35℃의 온도에서 24∼96시간 동안 발효를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8∼72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발효단계가 종료된 후에는 115~125℃에서 25~35분 동안 살균하고 원심분리(10,000 rpm/10min) 및 여과하여 수세미오이 발효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수세미오이 발효액을 40~70%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수세미오이 발효분말을 얻을 수 있다.
동결건조란 수용액이나 물을 포함하는 시료를 동결하고 그 온도의 수증기압 이하로 감압하여 물을 승화시켜 건조하는 방법이다. 동결건조기는 미리 동결한 시료를 넣는 시료건조실, 진공펌프 또는 확산펌프, 양자의 중간에 두어 승화해 온 수증기를 응결하여 없애는 콘덴서(condenser) 등으로 구성된다. 동결건조는 저온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열에 의한 시료의 변질이 적고 건조 후 시료의 수용해성이 좋기 때문에 수용액의 농축에도 적합하다. 또한, 동결건조를 하면 함수 상태 또는 수용액 내에서 불안정한 생물학적 활성이 있는 시료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
2. 편백나무 발효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편백나무 잎을 선별 , 세척 및 건조하는 전처리하고, 상기 세척 및 건조한 편백나무를 분쇄하여 추출물 제조 후, 발효 단계를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백나무의 건조는 자연건조 또는 열풍건조 방식으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연건조의 경우는 자연풍에 의해 햇빛으로 5일 정도 완전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풍건조 방식은 상기 편백나무를 온도 25 내지 40℃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할 수 있다.
상기 편백나무는 70 내지 110 메쉬(mesh) 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80 내지 100 메쉬 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편백나무에 함유된 유용성분이 발효과정에 의해 제조되는 발효액에 함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편백나무의 크기가 110 메쉬를 초과하여 분쇄하게 되면, 편백나무 내부에 함유된 유용성분이 발효단계에서 빠져나오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장시간 발효하면 발효물에 오염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어 상기 크기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편백나무 추출물은 증류수 100 중량부에 상기 분쇄된 편백나무 분말 4 내지 20 중량부를 1 내지 3시간 동안 약 50 내지 70℃의 온도로 가열 후 여과하여 편백나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발효단계에서는 상기 제조된 편백나무 추출물에 알코올 발효균주 Saccharomyces bayanus(KCCM 11568)를 접종한 다음 25℃~37℃에서 5~7일 동안 알코올 함량 범위가 4~8%가 되도록 알코올 발효시키고 원심분리(10,000 rpm/10min) 및 여과하여 1차 발효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1차 발효액에 초산균주 Acetobacter pasteurianus(KCCM 12655)를 접종하여 25℃~37℃의 온도에서 250~350rpm으로 진탕배양하면서 5~9일 동안 발효시켜 초산 함량 범위가 2~5%가 되도록 발효시키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수 있다.
발효단계가 종료된 후에는 115~125℃에서 25~35분 동안 살균하고 원심분리(10,000 rpm/10min) 및 여과하여 편백나무 발효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편백나무 발효액을 40~70%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 형태의 편백나무 발효분말을 얻을 수 있다.
3. 비누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조된 수세미오이 발효분말과 편백나무 발효분말에 시어버터, 동백오일, 라벤더 오일, 솝누들 팜오일, 글리세린, 비타민E 및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 수세미수액을 첨가한 다음 혼합하여 비누조성물을 제조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세미오이 발효분말 5 내지 55 중량부에 편백나무 분말 2 내지 35 중량부, 시어버터 40 내지 80 중량부, 동백오일 10 내지 25 중량부, 라벤더 오일 30 내지 70 중량부, 솝누들 팜오일 400 내지 1100 중량부, 글리세린 35 내지 55 중량부, 비타민E 5 내지 25 중량부 및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 20 내지 40 중량부, 수세미수액 80 내지 250 중량부를 중량 비율로 첨가한 다음 혼합하여 비누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세미오이 발효분말 10 내지 25 중량부에 편백나무 분말 8 내지 20 중량부, 시어버터 50 내지 70 중량부, 동백오일 15 내지 20 중량부, 라벤더 오일 40 내지 60 중량부, 솝누들 팜오일 600 내지 900 중량부, 글리세린 45 내지 50 중량부, 비타민E 12 내지 17 중량부 및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 30 내지 35 중량부, 수세미수액 120 내지 180 중량부를 중량 비율로 첨가한 다음 혼합하여 비누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각질 제거, 보습 효과를 증대시키기위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하는 '솝누들 팜오일(parm oil)'이란 일반비누 제조 공정에서 사용하는 원료로 Soap Chip 또는 솝비누라 불리며, 팜이나 코코넛오일이 바로 생산되는 현지(말레이지아나 필리핀 등)항구에 보통은 플랜트 공장을 지어서 비누라는 형태의 덩어리 칩을 생산하는데, 이러한 비누덩어리를 솝누들이라 한다. 상기 솝누들 팜오일은 지방산 유지로서 비누가 단단해지도록 해주며, 조밀한 거품이 일어나게 하고, 올레산이 포함되어 있어 보습에도 도움을 준다.
상기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는 글루코닉애씨드(Gluconic Acid)의 마그네슘염 성분으로, 화학식은 C12H22MgO14 또는 C12H22MgO14ㅇ2H2O이며, 분자량은 414.61이고, 피부 상태를 건강하고 좋은 상태로 가꾸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수세미수액은 수세미줄기를 자르고 뿌리에서 이어지는 줄기 끝을 병에 넣고 수액이 모일때까지 기다려 채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비누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 기포제, 천연지방산, 보습제, 나트륨셀룰로오스, 염화나트륨, 가성소다(수산화나트륨), 가성카리(수산화칼륨), 색소, 향료, 계면활성제, 표백제, 방부제, 항산화제, 및 변색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포제(foaming agent)'란 안정인 거품을 형성시키기 위해, 용액 또는 원료에 첨가하는 물질로서 용액계의 기포제는 계면활성제의 일종이다. 그 예로는 소듐 라우레이트(sodium laurate), 소듐코코일 이세티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 소듐라우로일사르코시네이트(Sodium lauroyl sarcosinate), 사르코시아네이트(Sarcosinates), 포타슘라우레이트(Potassium laurate), 라우릭산(Lauricacid) 및 설포숙시네이트(sulfosuccinates), 글루탐산(glutamic acid) 등의 음이온 계면활성제; 코카미도 디에탄올아미드(Cocamido diethanolamide), 알킬 폴리글루코시드(alkyl polyglucoside), 폴리소르베이트20(polysorbate20), PEG-100 스테아레이트(Stearate) 및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코코아미도프로필 베타인(Cocoamidopropyl Betaine) 등의 양성계면활성제 등이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포제로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Sodium cocoyl isethionate), 소듐라우로일사르코시네이트(Sodium lauroyl sarcosinate) 및 포타슘라우레이트(Potassium laurate)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지방산'이란 천연 유래의 지방산으로 기포제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 미세하고 작은 기포가 풍부하게 발생될 수 있도록 하는 기포보조제 역할을 한다. 그 예로는, 미리스틱산(Myristic acid), 팔미틱산(Palmitic acid), 스테아릭산(Stearic acid), 라우릭산(Lauric acid) 등이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이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천연지방산으로는 라우릭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포제에 라우릭산의 혼합 사용하는 경우 미세한 작은 기포가 풍부하게 발생하여 피부 과지질, 각질, 화장 잔유물 등의 각종 노폐물과 흡착하는 능력이 커져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란 피부의 수분 유지력을 높이는 성분으로 갈락토아라비난(Galactoarabinan), 아르간 오일, 시어버터, 히아루론산, 글리세린 등이 있으며,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로 시어버터, 아르간 오일, 소듐히알루론산 및 글리세린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나트륨셀룰로오스'는 기포제에 함께 첨가 시에는 작은 기포의 유지 시간을 훨씬 길게 가져 갈 수 있어 피부에서 혼합 기포제의 유효 작용이 매우 높아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염화나트륨', '가성소다(수산화나트륨)', '가성카리(수산화칼륨)'는 비누를 딱딱하게 만들기 위한 고형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제조된 비누조성물을 50 내지 80℃의 온도로 가온하여 젤화시키고, 상기 젤화된 비누조성물을 식힌 다음 응고시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누조성물은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의 제형일 수 있으나, 비누조성물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타입의 제형도 포함하는 개념이며 특별히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통해 제조된 비누는 얇은 종이로 감싸는 속지 포장 단계와, 다시 속지 포장을 소박스인 카톤(Carton) 포장 단계를 거쳐 비누 제품으로 완성되어 시판될 수 있다.
<실시예>- 수세미오이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의 제조
수세미오이를 선별 및 세척하는 전처리하고, 상기 전처리한 수세미오이를 70℃에서 8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건조된 수세미오이를 분쇄하여 수세미오이 분말을 제조하여 증류수 1L에 상기 분쇄된 수세미오이 분말 100g을 2시간 동안 약 60℃의 온도로 가열 후 여과하여 수세미오이 추출물을 제조하고, MRS broth agar 배지에서 배양되었던 Lactobacillus plantarumLactobacillus casei를 혼합한 혼합균주를 접종하여 35℃의 온도에서 72시간 동안 발효를 진행하고 살균하고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수세미오이 발효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수세미오이 발효액을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수세미오이 발효분말을 제조하였다.
편백나무 잎을 선별 및 세척하는 전처리하고, 상기 전처리한 편백나무 잎을 70℃에서 8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건조된 편백나무를 분쇄하여 편백나무 분말을 제조하여 증류수 1L에 상기 분쇄된 수세미오이 분말 100g을 2시간 동안 약 60℃의 온도로 가열 후 여과하여 편백나무 추출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편백나무 추출물에 알코올 발효균주 Saccharomyces bayanus(KCCM 11568)를 접종한 다음 30℃에서 6일 동안 알코올 함량 범위가 5%가 되도록 알코올 발효시키고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1차 발효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1차 발효액에 초산균주 Acetobacter pasteurianus(KCCM 12655)를 접종하여 30℃의 온도에서 300rpm으로 진탕배양하면서 7일 동안 발효시켜 초산 함량 범위가 3%가 되도록 발효시킨 후 살균하고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2차 발효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편백나무 발효액을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편백나무 발효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세미오이 발효분말 10.7g, 상기 편백나무 분말 7.1g, 시어버터 42.9g, 동백오일 12.1ml, 라벤더 오일 35.7ml, 솝누들 팜오일 500g, 글리세린 32.1ml, 비타민E 10.7ml,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 22.9g, 수세미수액 103.8ml, 를 혼합하여 비누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제조된 비누조성물을 가온하여 젤화시키고, 젤화된 비누조성물을 식히고 응고시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수메이오이 발효분말 제조 시 Lactobacillus plantarum만을 사용하여 발효과정을 거쳤으며, 그 외의 과정은 상기 실시예의 제조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비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2는 수메이오이 발효분말 제조 시 Lactobacillus casei만을 사용하여 발효과정을 거쳤으며, 그 외의 과정은 상기 실시예의 제조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비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비교예 3은 편백나무 발효분말 제조 시 Saccharomyces bayanus(KCCM 11568)만을 사용하여 발효과정을 거쳤으며, 그 외의 과정은 상기 실시예의 제조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비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4는 편백나무 발효분말 제조 시 Acetobacter pasteurianus(KCCM 12655)만을 사용하여 발효과정을 거쳤으며, 그 외의 과정은 상기 실시예의 제조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비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비교예 5는 수세미오이 발효과정을 거치지 않고 건조 후 바로 분쇄하여 수세미오이 분말을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그 외의 과정은 상기 실시예의 제조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비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비교예 6은 편백나무 발효과정을 거치지 않고 건조 후 바로 분쇄하여 편백나무 분말을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그 외의 과정은 상기 실시예의 제조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비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비교예 7은 수세미오이와 편백나무의 발효과정을 거치지 않고 건조 후 바로 분쇄하여 수세미오이와 편백나무 분말을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그 외의 과정은 상기 실시예의 제조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비누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 각질 제거, 보습 효능 비교
본 발명의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실시예)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7의 보습력, 각질제거, 가려움증 완화,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 완화에 대하여 50 여명의 아토피 피부염을 가진 환자를 5명씩 나누어 10군으로 하여 아침, 저녁 두 번에 걸쳐서 아토피 피부염 증상을 보이는 부위에 사용하게 하여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때 평가는 매우우수 10점, 우수 8점, 보통 6점, 나쁨 4점, 매우나쁨 2점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고 이에 따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보습력, 각질제거, 가려움증 완화,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 완화 효과 평가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보습력 9.2 7.2 7.5 6.8 7.0 6.5 6.8 5.9
각질 제거 9.1 7.9 8.2 7.4 7.6 7.1 7.4 5.5
가려움증
완화
9.0 6.3 6.5 6.0 6.2 5.5 5.9 5.3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 완화
9.4 6.0 6.3 5.6 5.8 5.0 5.3 4.8
상기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의 경우 비교예와 대비하여 보습력, 각질제거, 가려움증 완화, 아토피성 피부염 증상 완화 효과가 탁월하게 증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상기 효과들로 인해 여드름성 피부와 건선에도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에 있어서,
    상기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는 시어버터 40 내지 80 중량부, 동백오일 10 내지 25 중량부, 라벤더 오일 30 내지 70 중량부, 솝누들 팜오일 400 내지 1100 중량부, 글리세린 35 내지 55 중량부, 비타민E 5 내지 25 중량부,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 20 내지 40 중량부, 수세미수액 103.8ml, 수세미오이 발효분말 5 내지 55 중량부 및 편백나무 발효분말 2 내지 35 중량부의 중량 비율로 포함하되,
    상기 편백나무 발효분말은 편백나무 잎을 건조 및 분쇄한 다음 편백나무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추출물에 알코올 발효균주 Saccharomyces bayanus(KCCM 11568)를 접종하여 1차 발효액을 제조하며, 상기 제조된 1차 발효액에 초산균주 Acetobacter pasteurianus(KCCM 12655)를 접종하여 초산발효 시킨 다음 살균하고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2차 발효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2차 발효액을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편백나무 발효분말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미오이 발효분말은 수세미오이를 건조 및 분쇄한 다음 수세미오이 추출물을 제조하고, 상기 제조된 추출물에 Lactobacillus plantarumLactobacillus casei를 혼합한 혼합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다음 살균하고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수세미오이 발효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수세미오이 발효액을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수세미오이 발효분말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
  3. 삭제
  4.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의 제조방법은
    (a) 수세미오이 발효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b) 편백나무 발효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a)단계의 제조된 수세미오이 발효분말과 상기 (b)단계의 제조된 편백나무 발효분말에 시어버터, 동백오일, 라벤더 오일, 솝누들 팜오일, 글리세린, 비타민E,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를 첨가한 다음 혼합하여 비누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제조된 비누조성물을 가온하여 젤화시키는 단계; 및
    (e) 상기 (d)단계에서 젤화된 비누조성물을 식히고 응고시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수세미오이 발효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수세미오이를 선별 및 세척하는 전처리하고, 상기 전처리한 수세미오이를 건조한 다음, 건조된 수세미오이를 분쇄하여 수세미오이 분말을 제조하여 수세미오이 추출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수세미오이 추출물에 Lactobacillus plantarumLactobacillus casei를 혼합한 혼합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다음 살균하고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수세미오이 발효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수세미오이 발효액을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수세미오이 발효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b) 편백나무 발효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는
    편백나무 잎을 선별 및 세척하는 전처리하고, 상기 전처리한 편백나무 잎을 건조한 다음, 건조된 편백나무를 분쇄하여 편백나무 분말을 제조하여 편백나무 추출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편백나무 추출물에 알코올 발효균주 Saccharomyces bayanus(KCCM 11568)를 접종한 다음 알코올 발효시키고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1차 발효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1차 발효액에 초산균주 Acetobacter pasteurianus(KCCM 12655)를 접종한 후 초산발효시킨 후 살균하고 원심분리 및 여과하여 2차 발효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편백나무 발효액을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편백나무 발효분말을 제조하며,
    상기 (c)단계에서 수세미오이 발효분말 5 내지 55 중량부에 편백나무 분말 2 내지 35 중량부, 시어버터 40 내지 80 중량부, 동백오일 10 내지 25 중량부, 라벤더 오일 30 내지 70 중량부, 솝누들 팜오일 400 내지 1100 중량부, 글리세린 35 내지 55 중량부, 비타민E 5 내지 25 중량부, 마그네슘 글루코네이트(Magnesium Gluconate) 20 내지 40 중량부, 수세미수액 80 내지 250 중량부를 중량 비율로 첨가한 다음 혼합하여 비누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미오이 발효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190156923A 2019-11-29 2019-11-29 발효 수세미오이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2279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923A KR102279117B1 (ko) 2019-11-29 2019-11-29 발효 수세미오이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6923A KR102279117B1 (ko) 2019-11-29 2019-11-29 발효 수세미오이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381A KR20210067381A (ko) 2021-06-08
KR102279117B1 true KR102279117B1 (ko) 2021-07-19

Family

ID=76399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6923A KR102279117B1 (ko) 2019-11-29 2019-11-29 발효 수세미오이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91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105B1 (ko) * 2021-08-13 2023-09-15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수세미오이 추출물의 효소적 전환을 통한 피부미백 개선, 자외선 차단 및 피부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12216A1 (en) * 2014-10-27 2017-11-02 Danjoungbio Co., Ltd.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nti-oxidation, anti-inflammation and atopic skin by using fermented black tea liquid as effective ingredien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2006708B1 (ko) * 2019-05-07 2019-08-02 양숙현 산양삼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3994A (ko) 2003-03-26 2004-10-06 황인준 한방비누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61902A (ko) * 2008-12-01 2010-06-10 송민규 수세미수액을 함유한 아토피치료 효과를 갖는 피부 화장료조성물
KR20120029116A (ko) * 2010-09-16 2012-03-26 김도연 편백나무 잎 발효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20150014742A (ko) * 2013-07-30 2015-02-09 박승춘 비누화 용액의 조성물 및 아토피개선 비누의 제조방법
KR101724601B1 (ko) * 2014-11-04 2017-04-10 주식회사 쎌바이오텍 아토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12064B1 (ko) 2018-03-22 2018-10-25 방중근 함초를 함유한 기능성 미용비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12216A1 (en) * 2014-10-27 2017-11-02 Danjoungbio Co., Ltd.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anti-oxidation, anti-inflammation and atopic skin by using fermented black tea liquid as effective ingredien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102006708B1 (ko) * 2019-05-07 2019-08-02 양숙현 산양삼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381A (ko)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8096B1 (ko) 피부개선, 여드름, 아토피 등 피부 트러블에 효과가 있는 유효성분이 함유된 여러 가지의 약용식물을 추출 및 발효하는 한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방원료 조성물
CN103952245A (zh) 天然清洁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006708B1 (ko) 산양삼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20190031983A (ko) 편백나무 잎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생활화학제품용 조성물
KR20210015975A (ko) 진피-메밀 복합 발효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천연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KR102226774B1 (ko) 황기, 황정 및 솔잎 추출물이 포함되는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3534A (ko) 유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CN104706561A (zh) 一种洁面乳
KR102279117B1 (ko) 발효 수세미오이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239630B1 (ko) 비누 및 그 제조 방법
CN104513733A (zh) 一种天然睡莲精油香皂
KR10216552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041593B1 (ko)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
CN112877153A (zh) 一种具有保湿杀菌功能的香皂及其制备方法
KR101926080B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1914623B1 (ko) 식물 유래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1908476B1 (ko) Rx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7795B1 (ko) 박대 껍질 성분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JP2000191513A (ja) アガリクス茸抽出液を含有する皮膚洗浄料
KR102249448B1 (ko) 홍삼박으로부터 유래한 올리고당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17761B1 (ko) 홍해삼 유래 저염 펩타이드 분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1706B1 (ko)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02420B1 (ko) Rx 콤플렉스 엠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1577B1 (ko) 고산지역에서 자란 로즈마리 오일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917606B1 (ko) 청유자 오일 유래 성분을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