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706B1 -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706B1
KR101581706B1 KR1020120149530A KR20120149530A KR101581706B1 KR 101581706 B1 KR101581706 B1 KR 101581706B1 KR 1020120149530 A KR1020120149530 A KR 1020120149530A KR 20120149530 A KR20120149530 A KR 20120149530A KR 101581706 B1 KR101581706 B1 KR 101581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xtract
hot water
bracken
oil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9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0095A (ko
Inventor
강은영
강소영
Original Assignee
강은영
강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은영, 강소영 filed Critical 강은영
Priority to KR1020120149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706B1/ko
Publication of KR20140080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41Pteridophyta [f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또는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에 녹차 열수추출물 및 편백 열수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천연물을 이용한 유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또는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 열수추출물 및 편백 열수추출물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이 고보습, 항균 활성 또는 풍부한 거품 형성, 항균 활성 효과를 가지므로, 유아용 친환경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bracken hot water soluble extracts and manufacture of the same}
본 발명은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또는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에 녹차 열수추출물 및 편백 열수추출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천연물을 이용한 유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고사리는 지구상에 존재하는 식물 중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졌다. 전 세계적으로 열대에서 온대까지 분포하고 약 60속, 1500종이 분포한다. 그 중 12속 33종이 약용으로 사용되며 주로 근경류와 엽류 부위가 활용된다. 한국의 고사리 분포는 남부와 제주도에 많이 분포하고 지혈약 8종, 해독약 14종, 청열(淸熱)약 24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생약으로는 지상부를 사용하며 지상부에 플라보노이드(flavonoid)로 아스트라갈린(astragalin), 이소퀘레세틴(isoquerecetin), 루틴(rutin) 및 타닌(tannin)이 포함되어 있다 (Medicinal Botany Rec. Soc. Korean, 2001).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고사리(Pteridium aquilinum)는 잔고사리과(Dennsteadtiaceae) 고사리속(Pteridium)에 속한다. 식물 전체에 털이 있고 근경(뿌리 줄기)은 땅 속 깊이 포복하고 잎이 드문드문 난다. 고사리의 수확 시기는 4~5월이며 어린 잎만을 취하여 삶아서 말린 후 건 고사리로 만들어 저장하여 놓았다가 식용으로 사용하거나 삶은 후 말리지 않고 바로 식품으로 사용하고 있다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2011). 한방에서는 어린잎을 궐(蕨)이라하고 뿌리를 궐근(蕨根)이라 칭하며 열을 내리고 오장을 윤택하게 하고 몸속의 독을 풀어주고 가래를 삭이는 효능이 있다고 하였다. 황달이나 목이 아플 때, 고열이 날 때 가을에 줄기를 뿌리째 캐어 햇볕에 말려서 약으로 처방하였다. 흉년에 대비한 구황식량을 묵나물이라 하며 일반적으로 고사리, 고비, 도라지를 들 수 있다. 고사리의 다당류에서 미역이나 다시마 등의 해조류에서 보이는 항암성 다당류와 유사 기작을 확인한 결과와, 생고사리에서 독성이 나타나나 익힌 고사리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는 고사리의 독성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고된 바 있다.
녹차에는 염증과 세균 감염 억제효과로 위궤양이나 위 점막 출혈을 비롯하여 각종 부종을 억제하고 치료 효과가 있으며, 헬리코박터, 장티푸스, 이질 등의 전염성 세균이나 장 속의 세균들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항산화 작용을 하는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노화를 억제시키고 다양한 비타민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레몬의 5배나 되는 비타민C 등이 풍부) 피부가 거칠어지는 것을 막고 탄력성을 주며 보습성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편백나무(Chamaecyparis obtusa)는 상록침엽수 교목으로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나무이며 히노끼 또는 노송이라 불린다. 편백나무의 강한 향은 살균, 탈취, 혈액순환 및 신진대사를 촉진하여 피부미용과 감기 등에 효능이 있으며, 공기를 통해서 흡입된 피톤치드에 의해 삼림욕과 같은 효능을 내어 피로 회복 효과가 있다. 편백나무는 훌륭한 목재로 사용되며, 피톤치드의 기능성으로 욕조로 만들어 사용시 피부를 통해 인체에 흡수되어 건강 증진되어 아토피 질환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벽지로 만들어 실내 천장과 벽에 바를 경우 새집 증후군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이다. 밀폐된 공간인 영화관에서 두 시간 이상의 영화를 보는 동안 머리를 맑게 하기 위해서 국내 유명영화관은 천연 피톤치드의 방향효과(편백나무의 향을 이용)를 사용하고 있다.
올리브유는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oleic acid)이 65∼80%로 기름 중에서는 가장 높으며, 포화지방산(팔미드산 구성)과 리놀레산은 20%이하이다. 비누화 물질은 0.5∼1.3%로서 피토스테롤을 함유하고 있다. 비중은 0.909∼0.915, 산값은 0.2∼6, 비누화 값은 187∼196이며 10 ℃에서 혼탁해지고 0 ℃에서 연고상태로 된다. 담황색이며 냄새가 없고 담백한 맛이 난다. 공업용으로는 비누·섬유윤활용·머릿기름·포마드용, 의약용으로는 도찰제(塗擦劑)·관장제·연고·주사용 용제로 이용된다. 식용유로는 샐러드나 기름 절임용에 주로 쓰이고, 비타민 A, B, C, D, E, K 등과 리놀레산, 토코페롤, 스쿠알렌 등의 항산화 물질 또 미네랄을 비롯한 40여 가지의 각종 효소가 풍부하게 들어 있다. 올리브유의 다양한 효능을 살펴보면 노화 방지에 도움을 준다. 단순불포화 지방산과 항산화 성분인 비타민 E, 토코페롤, 스쿠알렌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노화예방에 도움을 준다.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올리브오일에 포함된 아젤직산 성분과 비타민E가 피부노화를 막고 노페물을 배출시켜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고 탈모와 임신선 발생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피부의 보습과 피부 트러블을 진정 시키는 작용을 한다. 올리브오일은 세균에 대한 항균력도 높고 보습성분도 있어 비누 스킨 화장품을 만드는데 많이 사용되어진다.
호호바유는 호호바의 종자로부터 얻어지며 다른 식물유와는 다르게 천연식물성 유지로서 유일하게 액상 에스테르유이다. 불포화고급지방산과 불포화고급알코올의 에스테르 혼합물이고 탄소수의 합계가 34-50에 이르고, 탄소수 38-44의 에스테르가 전체의 95%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주성분은 탄소수 42의 도코세닐에이코세노에트(37%)이다. 호호바유는 원주민에 의해 옛날부터 피부의 치료제로 사용되어져 왔고, 각종 약용의 목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현재에도 인디언은 상처의 아픔을 억제해주는 진통제로서 이용하고 있다. 호호바유는 다른 식물유에 비해 유성감이 적은 유지로서, 피지의 한 성분인 왁스에스테르의 구조를 갖고있기 때문에, 피부와 친숙하기 쉽다. 피지와 유사한 호호바유를 피부에 도포함으로서 피지선에서 피지의 분비를 억제 등에 의해 여드름치료에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호호바유가 두피에 흡수가 쉽고 피부의 유연성을 주어 피지의 과분비를 억제하기 때문에 비듬을 방지하는 효과 및 모발의 성장을 촉진한다고도 한다. 또 호호바유는 마우스에 대한 급성독성시험결과, 생리적 한계를 훨씬 초월한 투여량에서도 사망한 예가 없고, 또한 눈 점막 자극이나 피부자극성도 없는 매우 안정성이 높은 유지이다 .천연 식물유로서 안전성, 안정성, 감촉 면에서 우수하고, 유액, 크림, 바디오일, 핸드로션 등의 기초화장품을 중심으로서, 스킨케어 제품, 립스틱, 파운데이션 등의 메이크업 제품의 유상원료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코코넛유는 코코야자 열매의 핵을 건조한 코프라(copra)로부터 채취한 유지로써 라우트산, 미리스트산, 카프린산 등 저중급지방산의 트리글리세리드가 주성분이다. 비누 및 환원알코올용의 원료가 되며, 융점 24~27℃이다. 중사실지방산의 하나인 라우르산(Lauric Acid)은 인간의 모유성분에 포함된 성분으로 자연 식품 중에서 우유의 지방과 버터에 3% 함유되어 있다. 코코넛유에는 라우르산이 50%를 차지하고 있어 아이에게 알맞은 오일이며, 알러지 반응을 줄여주는 효과로 맛사지 오일로 많이 사용한다. 한편, 피부의 노화방지로 건조한 피부를 보호해주며 상처살균의 효과가 있고 노화 피부, 잔주름의 원인인 프리라디칼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달맞이꽃씨유는 북미지방의 인디언이 1000년 전부터 진해, 진통약으로 내복하고 외상에는 외용약으로 사용해왔었다. 달맞이꽃씨유의 성분을 살펴보면 리놀렌산 67.5%, 감마-리놀렌산 7.5%, 그 밖의 지방산이 25%로 구성(감마-리놀레산은 모유, 달맞이꽃씨, 블랙커런트씨, 보리지 등 극히 제한적으로 함유되어 있는 성분임)되어 있으며, 달맞이꽃 종자유의 효능에는 감마리놀렌산의 효능으로 볼 수 있다. 아토피성 피부염이 다발하는 이유 중에 하나가 바로 감마리놀렌산의 부족으로, 영국의 프리스톨 대학에서는 수유기의 유아들이 모유를 먹지 않아 모유속에 들어있는 감마 리놀렌산이 부족하여 아토피성피부염이 생긴다고 보고 아기들에게 달맞이꽃오일을 처방해서 매우 좋은 치료 효과를 올리고 있다고 발표했다.
들깨유에는 꿀풀과 식물인 들깨에서 추출한 유지로써, 알파리놀렌산등 인체에 필수불가결한 리놀렌산(오메가 3 지방산)이 60~70% 함유돼 있다. 세계에서 리놀레산의 함유율은 들깨유에 가장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리놀렌산은 수분증발을 막아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비타민E와 F가 풍부하여 피부의 재생력을 높여 손상된 피부의 재생을 돕고 피부를 보호해 준다.
인체의 최외각, 최대면적으로 분포하는 피부는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수분조절, 면역반응, 체온조절, 노폐물 분비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피부의 구성 조직을 보면 표피, 진피, 피하지방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표피의 가장 최외각층을 각질층이라 하며 피부보습의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각질층은 피부를 통한 수분과 전해질의 손실을 억제하며, 미생물 및 자외선 등의 외부자극에 대한 방어역할을 하여 피부의 정상적인 생리활성을 유지하는데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피부보습제는 피부지질 성분을 혼합한 제형을 피부장벽 회복 및 강화에 이용하며, 천연보습인자 또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등과 같은 폴리올류를 적용하여 보습제를 개발하는 경우, 각질 세포분화를 촉진하여 피부보습제를 개발하는 방법이 많이 이루어져 있다. 한편, 천연재료를 이용하여 피부보습제를 개발하면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 아니라, 최근 천연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호응이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원료로서 개발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유아의 피부는 피부의 산성 보호막이 미발달되어 외부 세균에 취약하고 피지선이 제 기능을 못하기 때문에 쉽게 건조해진다. 또한 얇은 피하 지방층 때문에 추위 및 충격에 약한 특징을 지니며, 몸무게 대비 피부 표면의 넓이가 성인의 2배로 피부를 통해 더 많은 양의 수분이 증발되고 동시에 피부로 흡수되는 물질의 양도 많다. 생후 0-3개월에는 청결유지에 신경 써야하며 생후 6개월부터 피지선이 발달하므로 보습에 신경을 써야한다. 유아기에는 피부의 pH가 일반적으로 정상보다 높으므로 알칼리성 비누보다 중성의 세정제를 사용하여 청결유지를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또는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에 녹차 열수추출물 및 편백 열수추출물을 혼합한 천연 추출물, 및 다양한 유성류를 이용하여 친환경 유아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였으며, 본 발명의 로션 및 클렌저의 기능 및 항균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으므로, 자극적이지 않은 친환경 유아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수성류로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에 추가로 동일 비율의 녹차 열수추출물 및 편백 열수추출물을 수성류로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로션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수성류로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에 추가로 동일 비율의 녹차 열수추출물 및 편백 열수추출물을 수성류로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로션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또는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에 녹차 열수추출물 및 편백 열수추출물을 혼합한 천연 추출물, 및 다양한 유성류를 이용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항균 활성, 로션으로서의 수분 보유 능력 및 클렌저로서의 거품 특징을 확인하였으므로, 유아용 친환경 화장료 조성물로써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쌀뜨물에서의 발효 전·후 쌀뜨물에서의 미생물 분포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A 및 B: 쌀뜨물 발효 전 미생물; 및
C 및 D: 쌀뜨물 발효 후 미생물.
도 2는 잔디병원균 Pythium graminicola에 대한 발효 후 선발된 미생물의 항진균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A: Paenibacillus polymyxa;
B: Lactobacillus plantarums ; 및
C: Lactococcus latis .
도 3은 잔디병원균 Rhizoctonia solani AG-1(1B)에 대한 발효 후 선발된 미생물의 항진균 효과에 대한 항진균 효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A: Paenibacillus polymyxa;
B: Lactobacillus plantarums ; 및
C: Lactococcus latis .
도 4는 본 발명의 클렌저의 색상 및 이를 이용하여 발생시킨 거품의 형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클렌저 B: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클렌저;
클렌저 C: 녹차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클렌저;
클렌저 D: 편백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클렌저; 및
클렌저 E: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 열수추출물 및 편백 열수추출물을 1:1:1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클렌저.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수성류로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은
1) 쌀뜨물을 제조하는 단계;
2)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1)의 쌀뜨물, 상기 단계 2)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및 쌀뜨물 유래 세균 현탁액을 혼합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쌀뜨물 유래 세균은 쌀뜨물에서 분리된 유산균인 것이 바람직하며, Lactobacillus plantarums (DSM 21380) 및 Lactococcus latis (KFCC 11510P)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은 동결건조, 진공건조, 제습건조 및 열풍건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으로 건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에 추가로 녹차 열수추출물 및 편백 열수추출물을 수성류로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 열수추출물 및 편백 열수추출물은 1:1:1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로션 및 바디클린저의 제형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해당되는데,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스핑고 지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의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 화장료 조성물이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클렌저, 모발 화장료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수성류를 준비하는 단계;
2) 유성류를 준비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유성류를 60 내지 80 ℃까지 가열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의 가열한 유성류를 상기 단계 1)의 수성류와 혼합 및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션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2)의 유성류는 아마인유, 오동유, 해바라기유, 양귀비유, 들깨씨유, 참깨씨유, 유채유, 쌀겨기름, 호박씨유, 카렌듈라유, 콩유, 미강유, 동백유, 스윗아몬드 오일, 달맞이유, 포도씨유, 호호바씨 오일 또는 올리브 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호호바씨 오일, 들깨씨유, 달맞이유, 올리브 오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수성류는 분자내의 전자 분포에 치우침이 있어 극성이므로 물에 잘 용해되는 수성(水性) 원료를 의미한다.
상기에서 유성류는 비극성으로 물에 잘 용해되지 않는 성질을 가지는 지용성 원료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1) 유성류를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유성류에 정제수, 가성가리 및 설탕을 첨가하여 액체형 비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액체형 비누 베이스를 숙성하는 단계; 및
4)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용매로 하여 상기 단계 3)의 숙성된 액체형 비누 베이스를 녹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의 유성류는 옥수수기름, 면실유, 땅콩기름, 팜유, 피마자유, 코코넛유, 달맞이유, 올리브오일, 대두유, 미강유 및 팜유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코코넛유, 달맞이유, 올리브 오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3)의 숙성 단계는 2 내지 6주 동안 숙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숙성은 밀봉하여 18 내지 40 ℃의 조건으로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단계 3)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에 추가로 녹차 열수추출물 및 편백 열수추출물을 용매로서 함유하는 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 열수추출물 및 편백 열수추출물은 1:1:1의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 열수추출물 및 편백 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이들 각각 또는 이들의 1:1:1의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로서 대표적인 로션 및 클렌저를 제조하였다 (표 2 및 표 5 참조). 제조된 로션은 수분 보유 능력이 우수한 고보습 효과 (표 7 및 표 8 참조) 및 항균 효과를 보였으며 (표 6 참조), 제조된 클렌저는 풍부한 거품 형성 효과 및 우수한 항균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9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따라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및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 열수추출물 및 편백 열수추출물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로션 및 클렌저가 친환경적이면서 항균 활성 및 우수한 특징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제조
<1-1> 고사리 열수추출물 제조
본 발명자들은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4~5월에 채취된 어린 고사리(재배: 제주시 표선)를 물 1.0 L당 고사리 1.0 kg의 비율로, 90 ℃의 물에 넣어 15분 동안 끓였다. 끓인 고사리는 건조되어 가공품으로 사용되고, 이 외에 폐부산물로 남은 고사리 열수추출액을 준비하였다. 준비된 추출액을 90 ℃로 유지하고 상기와 동일한 양의 고사리를 다시 넣어 동일하게 끓인 후, 고사리를 분리하였다. 90 ℃의 끓는 물에 고사리를 총 4회 넣었으며, 4회째 고사리를 분리한 후 최종 고사리 열수추출액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추출물을 밀폐용기에 담아 -20 ℃의 냉동실에서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또한,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동결건조기(PVTFD10A, (주)일신랩, Korea)로 -70 ℃에서 24시간 동안 냉동시키고 72시간 동안 건조시켜 분말화하였다. 평균 분말의 수율은 4.85%(취득분말무게/채취시료무게)이다. 분말화된 시료를 밀폐용기에 담아 냉동실에서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1-2> 발효균 선발 및 동정
본 발명자들은 쌀뜨물에서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발효하기 위한 발효균을 선발 및 동정하였다.
구체적으로, 500 g의 무농약 재배 쌀(생토미, 경북울진군, 제12-3-117)을 1000 ml의 멸균수를 넣어 2회의 쌀 씻는 과정을 통해 쌀뜨물을 준비하였다. 상기 쌀뜨물을 멸균된 병에 넣고 10%의 설탕(sugar)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28 ℃의 항온기에서 1000 rpm으로 7일 동안 배양하여 발효한 쌀뜨물을 제조하였다. 쌀뜨물의 발효 전 및 후의 미생물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쌀뜨물 및 발효한 쌀뜨물을 TSA 배지에 도말하였으며, 그 결과, 쌀뜨물 발효 전·후에 미생물 분포가 다른 양상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 그 후, 상기 발효한 쌀뜨물에서,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발효 쌀뜨물을 멸균수가 9 ml씩 들어간 테스트 튜브에 넣어 10-1 내지 10-5로 희석하였으며, 상기 희석액 중 10-3, 10-4, 10-5의 희석액을 100 ㎕씩 추출하여 TSA(Tryptic Soy Agar) 배지에 도말하여 28 ℃의 항온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TSA 배지에 자란 쌀뜨물 유래 미생물 중 육안으로 서로 다른 모양 및 색깔로 자란 콜로니를 구분한 뒤, 새로운 TSA 배지에 분주하여 단세포 분리함으로써 총 12 종류의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미생물을 PDA(potato dextros agar) 배지에서 Korea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에서 분양받은 잔디병원균 Pythium graminicola, Pythium ㎕timum, Rhizoctonia cerealis, Rhizoctonia solani AG-1(1A), Rhizoctonia solani AG-1(1B) 및 Rhizoctonia solani AG-2-2에 대해 대치 배양하였다.
그 결과, 항진균 효과를 보이는 세균 2종을 선발하였으며 (도 2 및 3), 상기 분리 세균의 DNA를 Ausubel 등 (1987)에 제시된 방법에 따라 추출하고 총 DNA에서 rDNA의 ITS(internal transcribe spaces) 염기서열을 universal 프라이머 38r: 5’-CCG GGT TTC CCC ATT CGG-3’ 및 72f: 5’-TGC GGC TGG ATC TCC TT-3’ (Gurtler and Stanisich, 2001)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잔디병원균에 대해 항진균 효과를 나타낸 세균들은 Lactobacillus plantarums (DSM 21380) 및 Lactococcus latis (KFCC 11510P)로 동정되었다.
<1-3> 고사리 열수추출물의 발효
본 발명자들은 쌀뜨물에서 분리된 발효균 및 쌀뜨물을 이용하여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1 내지 10%의 설탕이 함유된 고사리 열수추출물 2.0L에 쌀뜨물 500 ml을 첨가한 후, 상기 실시예 <4-1>에서 분리한 쌀뜨물 유래 미생물 Lactobacillus plantarumsLactococcus latis의 현탁액을 첨가하여 20 ℃에서 40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결과 만들어진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70 ℃에서 24시간 동안 냉동시키고 72시간 동안 동결건조기(PVTFD10A, (주)일신랩, Korea)로 건조시켜 분말화한 뒤, 밀폐용기에 담아 냉동실에서 보관하였다.
< 실시예 2> 녹차 및 편백나무 열수추출물 제조
<2-1> 녹차 열수추출물 제조
본 발명자들은 녹차 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유기재배로 키워진 녹차식물체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청초영농조합법인)의 금년도에 생성된 잎과 줄기를 채취하여 물 10.0L 당 식물체 2.0 kg의 비율로, 80 ℃의 물에 3일(7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물의 양이 5.0 L 될 때까지 가열하여 열수추출물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열수추출물을 밀폐용기에 담아 -20 ℃의 냉동실에서 보관하였다.
<2-2> 편백나무 열수추출물 제조
본 발명자들은 편백나무 열수추출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유기재배로 키워진 편백나무 (제주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청초영농조합법인)의 금년도에 생성된 잎과 줄기를 채취하여 상기 실시예 <2-1>의 녹차 열수추출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편백나무 열수추출물을 수집하였다.
< 실시예 3> 고보습 유아용 로션 제조
본 발명자들은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 열수추출물, 편백 열수추출물 및 이의 혼합용액을 수성 원료로 하여 유아용 고보습 로션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수성 원료인 정제수 (대조군),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 열수추출물, 편백 열수추출물 및 이의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여 정제한 혼합 용액을 각각 다른 비이커에 67.6 g 및 알로에베라겔 2.0 g을 넣어 혼합하였으며, 70 ℃까지 가온하였다. 그 후, 다른 비이커에 유성 원료인 올리브오일, 호호바씨오일, 들깨씨유 및 달맞이유를 각각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첨가하였다. 수성 원료가 들어있는 비이커 각각에 각기 다른 오일류의 조합을 첨가하여 200 rpm으로 1분 동안 교반하였다. 각각의 혼합물에 잔탄검 0.4 g을 넣은 뒤 200 rpm으로 2분 동안 2차 교반하였다.
그 결과, 로션 A, B, C, D 및 E 로션을 제조하였다 (표 2).
Figure 112012105932917-pat00001
재료 1 유성류 30.0g 재료 1과 2를 혼합하여 교반(2000rpm, 1분) 후 재료 3을 넣어 최종 교반(2000rpm, 2분)하여 제조함
재료 2 수성류 69.6g
재료 3 유화제 0.4g
고보습을 위한 천연추출물이 함유된 로션
로션 A 로션 B 로션 C 로션 D 로션 E
수성류 정제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
열수추출물
편백
열수추출물
혼합용액(1:1:1)
색상 white
(흰색)
greenish brown
(녹갈색)
light brown
(황갈색)
redish brown
(붉은 갈색)
yellowish
brown
(베이지색)
< 실시예 4> 고보습 유아용 클렌저 제조
<4-1> 액체형 비누베이스 제조 및 선별
본 발명자들은 고보습 유아용 클렌저를 제조하기 위해 다양한 유성류의 액체형 비누베이스를 제조하고 거품 유지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성류의 종류 또는 혼합 비율을 표 3과 같이 달리하여 액체형 비누베이스 제조한 뒤 지퍼백에 담아 15±2 ℃의 음지에서 6주 동안 숙성하였다. 숙성된 비누베이스와 정제수를 2:8 비율로 혼합하여 액체형 비누 베이스를 제조하였다. 그 후, 액체형 비누베이스 A, B, C 및 D를 각각 5 ml 씩 코니칼 튜브에 넣어 VOLTEX로 200 rpm으로 30초 동안 교반한 뒤, 1분 경과 시점에서 거품량을 확인하였으며, 각각의 액체형 비누베이스 A, B, C 및 D가 담겨진 150 ml 거품용기를 사용하여 펌핑하여 페트리디쉬에 거품을 만들었다. 총 6회를 실시하였으며, 30분 뒤 거품이 남아있는 정도를 관찰하여 거품 유지 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액체형 비누베이스 (A)에 비해 액체형 비누베이스 (B), 액체형 비누베이스 (C), 액체형 비누베이스 (D)가 풍성한 거품을 생성하였으며 (A<B<C<D), 액체형 비누베이스 D가 거품형성이 가장 뛰어났다 (표 4).
Figure 112012105932917-pat00002
액체형 비누베이스 A B C D
코코넛 팜유, 피마자 올리브유 올리브유, 코코넛유, 달맞이오일 올리브유, 코코넛유, 달맞이오일
거품의 특성
및 지속정도
작은 거품이 소량으로 형성 작은 거품이 다량으로 형성 큰거품이 다량 형성되지만 유지 안됨(30분 경과 후 1/2정도 남음), 큰거품이 다량 형성, 오랫동안 유지됨(30분 경과 후 2/3정도 남음)
거품의 양 (ml) 14.0±3.5 23.3±2.6 31.7±2.6 32.5 ±2.6
<4-2> 고보습 유아용 클렌저 제조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4-1>의 액체형 비누베이스 D와,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 열수추출물, 편백 열수추출물 및 이의 혼합용액을 수성 원료로 하여 고보습 유아용 클렌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 열수추출물, 편백 열수추출물, 및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 열수추출물 및 편백 열수추출물을 1:1:1로 혼합한 혼합용액을 용매로 사용하여 상기 실시예 <4-1>의 액체형 비누베이스 D와 혼합하였다.
그 결과, 고보습을 위한 유아용 클렌저 A, B, C, D 및 E를 제조하였다 (표 5).
클렌저 A 클렌저 B 클렌저 C 클렌저 D 클렌저 E
용매 정제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
열수추출물
편백
열수추출물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녹차 열수추출물+편백 열수추출물=1:1:1
pH 9.29 7.27 7.45 7.55 7.01
색상 white
(흰색)
dark-brown
(어두운 갈색)
brown
(갈색)
redish brown
(붉은 갈색)
deep-brown
(붉은기미의 짙은 갈색)
< 실험예 1> 고보습 유아용 로션의 효과 확인
<1-1> 로션의 용적크기 측정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로션의 용적 크기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피부에 접촉된 로션의 발림성(결과 미제시)에 기초하여 평균적인 성향을 나타내는 로션 (A)를 표준으로 정한 뒤, (A), 로션 (B), 로션 (C), 로션 (D) 및 로션 (E)를 저온에서 7일 숙성 경과 후 페트리디쉬에 10 ㎕을 떨어뜨려 용적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표 6).
<1-2> 천연추출물이 함유된 로션의 항균실험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로션 (A), (B), (C), (D) 및 (E)의 항균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Korea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에서 분양받은 병원균 Staphylococcus aureus(황색포도상구균: 병원균 A) 및 Klebsiella pneumoniae(폐렴균: 병원균 B)를 각각 TSA(Tryptic Soy Agar)배지에 옮긴 후 병원균에 맞는 적온 (병원균 A: 36 ℃, 병원균 B: 30 ℃)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동안 36 ℃에서 배양된 병원균 A를 멸균수로 조정하여 1.0×106 cfu/ml의 현탁액을 준비하였으며, TSA 배지에 병원균 A의 현탁액 50 ㎕를 넣어 도말하였다. 30분 경과 후 병원균이 도말된 배지에 정제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열수추출물, 편백 열수추출물 및 이의 혼합용액을 각각 10 ㎕ 올려놓고 용액이 배지에 흡수되면 병원균의 적온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정제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열수추출물, 편백 열수추출물 및 이의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3>의 로션액을 병원균이 도말된 배지에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 10 ㎕씩 올려놓고 로션액이 배지에 흡수되면 36 ℃ (병원균 A의 적온)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관찰하였다 (병원균 A에 대한 항균성). 또한, 병원균 B도 병원균 A와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 실험하였으며, 배양온도는 30 ℃ 였다 (병원균 B에 대한 항균성).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로션액 모두에서 항균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표 6).
로션 A 로션 B 로션 C 로션 D 로션 E
수성류 정제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
열수추출물
편백
열수추출물
혼합용액(1:1:1)
용적
크기
4.0mm 3.0mm 2.5mm 3.5mm 4.5mm
병원균 A에 대한 항균성 - ++ ++ ++ ++
병원균 B에 대한 항균성) - + ++ + ++
<1-3> 수분 보유 능력 평가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로션 (A), (B), (C), (D) 및 (E)의 수분 보유 능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조군으로 정제수를 이용하여 제조한 로션 (A)를 사용하였으며, 실험군으로 고사리 열수추출물의 발효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로션 (B), 녹차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로션 (C) 및 편백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로션 (D)를 3일 동안 30 ℃에서 30% 수분 함량의 건조한 조건 및 60% 수분 함량의 습한 조건에서 하루에 2회씩 (10시 및 18시) 무게를 측정하여 증발된 물의 양을 계산하여 수분 보유 능력을 평가하였다 (로션에서의 증발한 수분의 무게=(n+1)-n, n: 전 단계에서 측정된 로션의 무게). 각각의 실험은 3개씩 반복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 7 및 표 8에서와 같이, 건조한 조건 (표 7) 및 습한 조건 (표 8)에서 모두, 대조군인 로션 A에 비해 천연 추출물이 함유된 로션의 증발된 물의 양이 유의미하게 적었으며, 특히,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로션 B가 가장 효과적이었다.
시간 로션 A 로션 B 로션 C 로션 D
정제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
열수추출물
편백
열수추출물
1일 오전(00시간)
1일 오후(08시간) 0.113 0.009 0.011 0.043
2일 오전(24시간) 0.247 0.012 0.017 0.056
2일 오후(32시간) 0.150 0.004 0.012 0.061
3일 오전(48시간) 0.075 0.0010 0.027 0.060
3일 오후(56시간) 0.078 0.004 0.018 0.046
시간 로션 A 로션 B 로션 C 로션 D
정제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
열수추출물
편백
열수추출물
1일 오전(00시간)
1일 오후(08시간) 0.016 0.003 0.006 0.009
2일 오전(24시간) 0.038 0.009 0.010 0.012
2일 오후(32시간) 0.008 0.002 0.002 0.005
3일 오전(48시간) 0.014 0.009 0.009 0.012
3일 오후(56시간) 0.009 0.002 0.002 0.006
< 실험예 2> 고보습 유아용 클렌저 효과 확인
<2-1> 고보습 유아용 클렌저 거품량 평가
본 발명자들은 <실시예 4>에서 제조한 클렌저의 거품량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 열수추출물, 편백 열수추출물 및 이의 혼합 용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4>의 클렌저를 각각 5 ml 씩 코니칼 튜브에 넣어 VOLTEX를 이용하여 200 rpm으로 30초 동안 교반한 뒤, 1분 경과 시점에서 거품량을 확인하였다 (표 9 및 도 4).
<2-2> 고보습 유아용 클렌저 항균력 평가
구체적으로, Korea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에서 분양받은 병원균 Staphylococcus aureus(황색포도상구균: 병원균 A) 및 Klebsiella pneumoniae(폐렴균: 병원균 B)를 각각 TSA(Tryptic Soy Agar)배지에 옮긴 후 병원균에 맞는 적온 (병원균 A: 36 ℃, 병원균 B: 30 ℃)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동안 36 ℃에서 배양된 병원균 A를 멸균수로 조정하여 1.0×106 cfu/ml의 현탁액을 준비하였으며, TSA 배지에 병원균 A의 현탁액 50 ㎕를 넣어 도말하였다. 30분 경과 후 병원균이 도말된 배지에 정제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열수추출물, 편백 열수추출물 및 이의 혼합용액을 각각 10 ㎕ 올려놓고 용액이 배지에 흡수되면 병원균의 적온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정제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열수추출물, 편백 열수추출물 및 이의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4>의 클렌저를 병원균이 도말된 배지에 일정한 간격으로 각각 10 ㎕씩 올려놓고 클렌저가 배지에 흡수되면 병원균의 적온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관찰하였다 (병원균 A에 대한 항균성). 또한, 병원균 B도 병원균 A와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 실험하였으며, 배양온도는 30 ℃ 였다 (병원균 B에 대한 항균성).
그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 4>의 클렌저 모두가 항균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및 혼합용액을 이용하여 제조한 클렌저 (B) 및 (E)가 가장 우수한 항균 효과를 보였다 (표 9).
클렌저 A 클렌저 B 클렌저 C 클렌저 D 클렌저 E
용매 정제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
녹차
열수추출물
편백
열수추출물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녹차 열수추출물+편백 열수추출물=1:1:1
pH 9.29 7.27 7.45 7.55 7.01
색상 white
(흰색)
dark-brown
(어두운 갈색)
brown
(갈색)
redish brown
(붉은 갈색)
deep-brown
(붉은기미의 짙은 갈색)
거품
크기
크기가 작은 거품 발생 작은 거품이 다량으로 풍성하게 발생 작은 거품이 다량으로 발생 크고 작은 거품이 풍성하게 발생 크고 작은 거품이 풍성하게 발생
거품
유지
1/2, 거품이 빨리 사라짐. 2/3, 거품이 오래 유지됨 2/3, 거품이 오래 유지됨 1/2
거품이 빨리 사라짐
2/3. 거품이 오래 유지됨
거품량 평가
(ml)
25.5±4.4 26.7±2.6 32.5±2.7 36.7±2.6 36.7±4.1
병원균 A에 대한 항균성 - ++ ++ +++ +++
병원균 B에 대한 항균성 - ++ + + ++

Claims (9)

  1.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수성류로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은
    1) 쌀뜨물을 제조하는 단계;
    2)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3) 상기 단계 1)의 쌀뜨물, 상기 단계 2)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및 쌀뜨물에서 분리된 유산균인 Lactobacillus plantarums (DSM 21380) 및 Lactococcus latis (KFCC 11510P)의 현탁액을 혼합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에 추가로 동일 비율의 녹차 열수추출물 및 편백 열수추출물을 수성류로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또는 클렌저인 화장료 조성물.
  5. 1)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수성류로서 준비하는 단계;
    2) 호호바씨 오일, 들깨씨유, 달맞이유, 호박씨유 및 올리브 오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성류를 준비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유성류를 60 내지 80 ℃까지 가열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의 가열한 유성류를 상기 단계 1)의 수성류와 혼합 및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로션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단계 1)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은
    ⅰ) 쌀뜨물을 제조하는 단계;
    ⅱ)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ⅲ) 상기 단계 ⅰ)의 쌀뜨물, 상기 단계 ⅱ)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및 쌀뜨물에서 분리된 유산균인 Lactobacillus plantarums (DSM 21380) 및 Lactococcus latis (KFCC 11510P)의 현탁액을 혼합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션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삭제
  7. 1) 코코넛유, 팜유, 피마자유, 올리브 오일 및 달맞이 오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유성류를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의 유성류에 정제수, 수산화칼륨 및 설탕을 첨가하여 액체형 비누 베이스를 제조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의 액체형 비누 베이스를 숙성하는 단계; 및
    4)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용매로 하여 상기 단계 3)의 숙성된 액체형 비누 베이스를 녹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단계 4)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은
    ⅰ) 쌀뜨물을 제조하는 단계;
    ⅱ) 고사리 열수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ⅲ) 상기 단계 ⅰ)의 쌀뜨물, 상기 단계 ⅱ)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및 쌀뜨물에서 분리된 유산균인 Lactobacillus plantarums (DSM 21380) 및 Lactococcus latis (KFCC 11510P)의 현탁액을 혼합하여 배양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4)의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에 추가로 동일 비율의 녹차 열수추출물 및 편백 열수추출물을 용매로서 함유하는 클렌저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삭제
KR1020120149530A 2012-12-20 2012-12-20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1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530A KR101581706B1 (ko) 2012-12-20 2012-12-20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9530A KR101581706B1 (ko) 2012-12-20 2012-12-20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095A KR20140080095A (ko) 2014-06-30
KR101581706B1 true KR101581706B1 (ko) 2016-01-11

Family

ID=51130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9530A KR101581706B1 (ko) 2012-12-20 2012-12-20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7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405B1 (ko) * 2020-10-19 2021-05-07 한국콜마주식회사 넉줄고사리 추출물 및 편백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8406B1 (ko) * 2020-10-19 2021-05-07 한국콜마주식회사 넉줄고사리 추출물, 편백잎 추출물 및 초피나무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910A (ja) 2001-09-20 2003-04-03 Kose Corp 皮膚外用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052B1 (ko) * 2003-02-24 2005-02-21 (주)애지바이오화장품 천연 생약 발효를 이용한 화장품 조성물
KR100829832B1 (ko) * 2006-01-04 2008-05-16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두릅나무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1782B1 (ko) * 2010-10-25 2019-02-25 (주)아모레퍼시픽 녹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5910A (ja) 2001-09-20 2003-04-03 Kose Corp 皮膚外用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095A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521B1 (ko) 산초, 백두옹, 이끼, 팔각회향, 에키나시아 및 프로폴리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23526B1 (ko)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8096B1 (ko) 피부개선, 여드름, 아토피 등 피부 트러블에 효과가 있는 유효성분이 함유된 여러 가지의 약용식물을 추출 및 발효하는 한방원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방원료 조성물
KR101985354B1 (ko) 여드름 병변 예방 및 개선효과가 있는 한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780863B1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86249B1 (ko) 관중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천연 항균, 방부제 조성물.
KR101123146B1 (ko) 노니 추출물을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9260054B (zh) 一种植物防蚊止痒膏及其制备方法
KR20210017590A (ko) 발효 식물성 오일 및 발효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29045B1 (ko) 연꽃, 연잎, 연줄기, 연근, 연자육의 열수 추출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제조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9830A (ko) 비누풀, 유카, 퀼라야 추출물이 함유된 천연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33624B1 (ko) 항균 활성을 갖는 가락지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81706B1 (ko) 고사리 열수추출물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66747B1 (ko) 녹용의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629031B1 (ko) 담자균류로 발효시킨 장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01236B1 (ko) 도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생물 균총 개선용 조성물
KR100817781B1 (ko) 토코페롤을 이용하여 추출한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2520908B1 (ko) 영여자 숙성액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영여자 숙성액
KR20200051228A (ko) 해양 갈조류 유래 디플로르에톡하이드록시카르말롤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균 조성물
KR102506821B1 (ko) 무스 제형의 잡티 및 여드름 개선 화장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6912B1 (ko) 모과, 레몬밤 또는 오렌지블러썸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45792B1 (ko) 남극 메켈 빙어 추출물 또는 남극 대리석무늬 암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180666B1 (ko) 애플민트, 유자 및 꽃송이버섯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