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593B1 -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593B1
KR102041593B1 KR1020190039029A KR20190039029A KR102041593B1 KR 102041593 B1 KR102041593 B1 KR 102041593B1 KR 1020190039029 A KR1020190039029 A KR 1020190039029A KR 20190039029 A KR20190039029 A KR 20190039029A KR 102041593 B1 KR102041593 B1 KR 1020415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extract
natural
oil
sti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숙
Original Assignee
김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숙 filed Critical 김정숙
Priority to KR1020190039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5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06Inorganic compounds
    • C11D9/08Water-solubl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06Inorganic compounds
    • C11D9/18Water-insolubl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11D9/265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glycerol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0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40Prote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이스 오일,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e Micro-organisms) 용액, 가성소다, 포도당, 글리세린, 포졸란, 미백제, 천연 오일, 수용성 규소, 천연 추출물 및 이산화규소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세정력이 우수하면서도 피부 자극이 없고, 항균, 항염, 보습, 미백 등의 피부 미용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NATURAL SOAP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e Micro-organisms), 천연 오일, 천연 추출물, 수용성 규소, 이산화규소 분말 등을 포함함으로써, 세정력이 우수하고, 항균, 항염, 보습, 미백, 각질제거 등의 효과가 우수한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누는 피부의 찌든 때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세정제로 단지 세정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만 생각할 수도 있지만,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한다는 점을 생각하면 피부에 유익한 성분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수도 있고, 반대로 피부 트러블이나 피부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비누를 단순히 세정제로만 생각하지 않고 화장품과 같은 미용용품 또는 피부질환으로부터 보호하는 건강용품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렇게 비누가 피부의 건강에 중요한 것으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피부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성 물질들을 함유시킨 비누가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96882호에는 갈조류분말을 비누에 포함함으로써 보습력과 세정력을 높인 비누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51954호에는 대나무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추출한 죽력을 첨가함으로써 피부미용효과, 보습효과, 각질제거효과 등이 우수한 비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단순히 하나의 기능성 물질만을 비누베이스에 첨가하는 방법만으로는 비누에 충분한 미용 효과를 부여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KR 10-0996882 B1 KR 10-0851954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용 미생물군, 천연 오일, 천연 추출물, 수용성 규소, 이산화규소 분말 등을 이용함으로써, 미세먼지 등에 대한 세정력이 우수하면서도 항균, 항염, 보습, 미백, 각질제거 등의 효과가 우수한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작용이 없이 인체에 안정적인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천연 비누는, 베이스 오일,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e Micro-organisms) 용액, 가성소다, 포도당, 글리세린, 포졸란, 미백제, 천연 오일, 수용성 규소, 천연 추출물 및 이산화규소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e Micro-organisms) 용액 5~15중량%, 가성소다 3~8중량%, 포도당 8~23중량%, 글리세린 3~6중량%, 포졸란 1~3중량%, 미백제 0.1~0.2중량%, 천연 오일 1~6중량%, 수용성 규소 1~3중량%, 천연 추출물 1~10중량%, 이산화규소 분말 1~5중량% 및 잔부의 베이스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로마 에센셜 오일 0.5~1.5중량%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오일은 팜 오일, 코코넛 오일 및 올리브 오일 중 1종 이상의 것이고, 상기 미백제는 알부틴 및 나이아신아마이드 중 1종 이상의 것이며, 상기 천연 오일은 달맞이 오일, 홍화씨 오일, 올리브 오일 및 호호바 오일 중 1종 이상의 것이고, 상기 천연 추출물은 인삼 추출물, 황칠 추출물, 측백나무잎 추출물, 치자 추출물, 녹차 추출물, 동충하초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 중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천연 비누의 제조방법은, (a)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e Micro-organisms) 용액에 가성소다를 혼합하고, 20~30시간 숙성하는 단계와, (b) 베이스 오일을 40~60℃로 가열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의 가열된 베이스 오일에 상기 (a) 단계의 숙성물과 포도당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의 교반물에 글리세린, 포졸란 및 미백제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e) 상기 (d) 단계의 교반물에 천연 오일 및 수용성 규소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f) 상기 (e) 단계의 교반물에 천연 추출물 및 수용성 규소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g) 상기 (f) 단계의 교반물에 이산화규소 분말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h) 상기 (g) 단계의 교반물을 성형 및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재료의 사용량은, 상기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e Micro-organisms) 용액 5~15중량%, 가성소다 3~8중량%, 포도당 8~23중량%, 글리세린 3~6중량%, 포졸란 1~3중량%, 미백제 0.1~0.2중량%, 천연 오일 1~6중량%, 수용성 규소 1~3중량%, 천연 추출물 1~10중량%, 이산화규소 분말 1~5중량% 및 잔부의 베이스 오일이며, 상기 수용성 규소는 상기 (e) 단계와 상기 (f) 단계에 1:0.5~1.5 중량비로 나누어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g) 단계 후, 상기 (g) 단계의 교반물에 아로마 에센셜 오일 0.5~2중량%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세정력이 우수하면서도 피부 자극이 없고, 항균, 항염, 보습, 미백 등의 피부 미용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천연 비누의 제조공정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천연 비누는, 베이스 오일,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e Micro-organisms) 용액, 가성소다, 포도당, 글리세린, 포졸란, 미백제, 천연 오일, 수용성 규소, 천연 추출물 및 이산화규소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베이스 오일은 비누의 기본 재료로서, 팜 오일, 코코넛 오일 및 올리브 오일 중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는바, 가장 바람직하게는 팜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팜 오일은 비누가 단단해지도록 하고, 조밀한 거품일 일어나도록 하며, 올레산이 포함되어 있어 보습 효과에도 도움을 준다.
상기 EM 용액은 EM 원액을 발효한 것, 즉 EM 활성액을 의미한다. 상기 EM이란 자연계에 존재하는 많은 미생물 중에서 사람에게 유익한 미생물 수십 종을 조합 및 배양한 복합 미생물제제로서, 예를 들면, 유산균, 효모균, 광합성 세균, 방선균 및 사상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복합 미생물제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EM 활성액은 EM 원액 100g을 기준으로, EM 원액에 물 8~12kg, 당밀 50~100g 및 소금 20~30g을 투입하고, 25℃~37℃의 온도에서 7~15일 정도 발효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를 반드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쌀뜨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EM 용액은 피부 노폐물, 미세먼지 등에 대한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항산화 효과를 통한 피부노화 방지의 기능도 할 수 있다. 또한, 보습 효과 역시 부여한다.
상기 가성소다는 비누화 반응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일반적으로 비누의 제조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포도당은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고, 보습력을 부여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글리세린은 우수한 보습제로서, 피부에 보습감을 부여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포졸란은 1 억년 전 백악기에 형성된 화성암으로, 각종 유기물 및 미네랄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게르마늄 함량이 풍부하다. 따라서, 흡착성이 우수하여 피부 노폐물 및 모공 속의 모낭충을 흡수할 수 있으며, 항산화 효과가 탁월하고, 각질제거 효과 역시 우수하다.
상기 미백제는 멜라닌 세포의 생성을 억제하는 성분으로, 예시적으로 알부틴 및 나이아신아마이드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부틴 및 나이아신아마이드은 멜라민 세포의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톤을 균일하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천연 오일은 항산화 작용을 통한 노화방지, 수분공급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달맞이 오일, 홍화씨 오일, 올리브 오일 및 호호바 오일 중 1종 이상의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한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달맞이 오일, 홍화씨 오일 및 올리브 오일의 3종을 사용하거나, 4종 모두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달맞이 오일은 항염증 및 노화방지의 작용을 하며, 상기 홍화씨 오일은 풍부한 비타민 E 성분을 통한 항산화작용으로 세포의 노화를 방지하고, 상기 올리브 오일은 수분 공급, 노화 방지, 피부자극 완화의 작용을 하고, 상기 호호바 오일은 피지 조절, 피부 보습의 작용을 한다.
상기 수용성 규소는 항균, 항염 활성이 우수하며, 미세먼지 제거, 모낭충 제거, 무좀, 피부암 예방, 탈모 방지, 노화 방지 등의 효과를 갖는 것은 물론, 유, 수분의 혼합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비누에 기능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인삼 추출물, 황칠 추출물, 측백나무잎 추출물, 치자 추출물, 녹차 추출물, 동충하초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 중 1종 이상의 것, 가장 바람직하게는 7종 모두를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인삼 추출물은 6년근 인삼의 추출물을 의미하는바, 피부 세포의 재생을 돕고, 항균 작용을 통해 트러블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황칠 추출물은 피부 재생의 역할을 하며, 측백나무잎 추출물은 항균 및 항산화 작용을 하고, 상기 치자 추출물은 피부 진정 작용을 하며, 상기 녹차 추출물은 항산화, 살균, 세균방식 억제, 모공수축 등의 역할을 하며, 상기 동충하초 추출물은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피부를 부드럽게 해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어성초 추출물은 피부를 유연하게 하고, 트러블을 완화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공지된 다양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면 족한바, 그 예로서 60~90℃에서 추출용매에 시료(상기한 재료)를 넣고 환류하여 추출하는 방법, 20~70℃에서 추출용매에 시료를 넣고 초음파를 조사하여 추출하는 방법 등을 사용 가능하며, 상기한 방법 이외의 방법을 통해서 추출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방법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추출용매로는 물,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추출용매의 사용량은 제한하지 않는바, 통상 시료의 5~30중량배 정도면 족하다. 또한, 상기 시료는 건조물일 수도 있으며, 건조되지 않은 상태일 수도 있고, 건조 및 분쇄된 상태일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이산화규소 분말은 모공 속 피지 및 노폐물을 제거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각 성분의 혼합비는, 상기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e Micro-organisms) 용액 5~15중량%, 가성소다 3~8중량%, 포도당 8~23중량%, 글리세린 3~6중량%, 포졸란 1~3중량%, 미백제 0.1~0.2중량%, 천연 오일 1~6중량%, 수용성 규소 1~3중량%, 천연 추출물 1~10중량%, 이산화규소 분말 1~5중량% 및 잔부의 베이스 오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러한 혼합비가 가장 우수한 항산화, 항균, 항염, 미백, 보습, 미세먼지 제거, 각질 제거, 노화방지 등의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천연 비누는 아로마 에센셜 오일 0.5~2중량%를 더 포함할 수도 있는바, 아로마 에센셜 오일을 통해 향을 좋게 하며, 에센셜 오일 특유의 기능성을 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에센셜 오일로는 로즈메리, 라벤더 및 시더우드 중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이외 향 성분을 0.5~1.5중량%만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천연 비누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정력이 우수하고, 항균, 항염, 보습, 미백, 각질제거 등의 효과가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천연 비누의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천연 비누의 제조방법은, (a)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e Micro-organisms) 용액에 가성소다를 혼합하고, 20~30시간 숙성하는 단계와, (b) 베이스 오일을 40~60℃로 가열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의 가열된 베이스 오일에 상기 (a) 단계의 숙성물과 포도당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의 교반물에 글리세린, 포졸란 및 미백제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e) 상기 (d) 단계의 교반물에 천연 오일 및 수용성 규소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f) 상기 (e) 단계의 교반물에 천연 추출물 및 수용성 규소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g) 상기 (f) 단계의 교반물에 이산화규소 분말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h) 상기 (g) 단계의 교반물을 성형 및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유용 미생물군 ( EM , Effective Micro-organisms) 용액에 가성소다를 혼합하고, 20~30시간 숙성하는 단계
먼저, EM 용액을 준비한다. 상기 EM 용액은, 시판 상품인 EM 원액에 물, 당밀 및 소금을 투입하고, 발효하여 제조할 수 있으나, 그 방법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쌀뜨물을 이용하는 등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EM 용액에 가성소다를 혼합한 후 20~30시간 숙성한다. 상기 EM 용액에 가성소다를 혼합하면, 상기 가성소다가 EM 용액에 녹으면서 발열 반응이 일어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렇게 발열반응이 일어난 혼합 용액을 20~30℃에서 20~30시간 숙성시켜 안정화시킨다.
(b) 베이스 오일을 40~60℃로 가열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a)단계와는 별도로, 베이스 오일을 준비하고, 비누화 반응을 위해 이를 40~60℃가 되도록 서서히 가열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 오일은 팜 오일, 코코넛 오일 및 올리브 오일 중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c) 상기 (b) 단계의 가열된 베이스 오일에 상기 (a) 단계의 숙성물과 포도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b) 단계의 가열된 베이스 오일에 상기 (a) 단계의 숙성물 및 포도당을 투입하고, 40~6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1~3시간 교반하여 비누화 반응이 일어나도록 한다.
(d) 상기 (c) 단계의 교반물에 글리세린, 포졸란 미백제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d) 단계의 교반물에 글리세린, 포졸란 및 미백제를 투입하고, 다시 교반한다. 이때, 상기 교반물의 온도는 계속해서 40~60℃ 정도를 유지하며, 교반시간은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미백제는 알부틴 및 나이아신아마이드 중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e) 상기 (d) 단계의 교반물에 천연 오일 및 수용성 규소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d) 단계의 교반물에 천연 오일 및 수용성 규소를 투입하여 1~3시간 충분히 교반한다. 이때, 상기 교반물의 온도는 계속해서 40~60℃ 정도를 유지해준다. 상기 천연 오일은 달맞이 오일, 홍화씨 오일, 올리브 오일 및 호호바 오일 중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f) 상기 (e) 단계의 교반물에 천연 추출물 및 수용성 규소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그리고 다시 상기 (f) 단계의 교반물에 천연 추출물 및 수용성 규소를 투입하여 1~3시간 충분히 교반한다. 이때, 상기 교반물의 온도는 계속해서 40~60℃ 정도를 유지해준다. 이때, 상기 천연 추출물은 인삼 추출물, 황칠 추출물, 측백나무잎 추출물, 치자 추출물, 녹차 추출물, 동충하초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 중 1종 이상의 것일 수 있다.
(g) 상기 (f) 단계의 교반물에 이산화규소 분말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
다음으로, 상기 (f) 단계의 교반물에 이산화규소 분말을 투입하고, 다시 1~3시간 동안 교반한다. 이때, 상기 교반물의 온도는 계속해서 40~60℃ 정도를 유지해준다.
(h) 상기 (g) 단계의 교반물을 성형 및 냉각하는 단계
최종적으로, 상기 (g) 단계의 교반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성형 및 냉각한다. 이때, 상기 (g) 단계의 교반물은 온도가 40~60℃ 정도이므로, 이를 어느 정도 냉각한 후 성형하고, 성형된 성형물을 최종 냉각할 수도 있는 것으로, 그 순서를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최종 제조된 비누를 상온에서 10~30시간 숙성한다.
본 발명에서 각 재료를 상기와 같은 순서로 투입하는 이유는, 물질의 안정화 및 원활한 비누화 반응을 위한 것으로, 고품질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투입 순서를 변경하거나 한꺼번에 투입할 경우, 제품의 제조가 불가능하거나, 제품의 품질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때, 각 재료의 사용량은 앞서 천연 비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e Micro-organisms) 용액 5~15중량%, 가성소다 3~8중량%, 포도당 8~23중량%, 글리세린 3~6중량%, 포졸란 1~3중량%, 미백제 0.1~0.2중량%, 천연 오일 1~6중량%, 수용성 규소 1~3중량%, 천연 추출물 1~10중량%, 이산화규소 분말 1~5중량% 및 잔부의 베이스 오일이며, 상기 수용성 규소는 상기 (e) 단계와 상기 (f) 단계에 1:0.5~1.5 중량비로 나누어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g) 단계 후, 상기 (g) 단계의 교반물에 향기 성분인 아로마 에센셜 오일 0.5~2중량%를 투입하여 교반한 후, 이를 성형 및 냉각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아로마 에센셜 오일과 함께 향 성분을 0.5~1.5중량%로 더 투입할 수도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먼저, EM 용액을 준비한다. 상기 EM 용액은 EM 원액(에버미라클사) 10g, 물 1kg, 당밀 10g 및 소금 2.5g을 투입하고, 28℃에서 10일간 발효하여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EM 용액 1.2kg에 가성소다 600g을 혼합한 후, 25℃에서 24시간 숙성하였다. 다음으로, 팜 오일 3.6kg을 60℃로 가열한 후, 이에 상기 숙성액 1.8kg과 포도당 1.8kg을 투입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이에 글리세린 500g, 포졸란 200g 및 미백제로서 나이아신아마이드 15g을 투입하여 10분간 교반하고, 이에 다시 달맞이 오일 200g, 홍화씨 오일 100g, 올리브 오일 100g, 호호바 오일 100g, 수용성 규소 100g을 투입하여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그리고 다시 인삼 추출물 100g, 황칠 추출물 100g, 측백나무잎 추출물 100g, 치자 추출물 100g, 녹차 추출물 100g, 동충하초 추출물 100g, 어성초 추출물 100g 및 수용성 규소 100g를 투입하여 2시간 동안 교반한 후, 이산화규소 분말 300g을 투입하여 다시 2시간 교반하였다. 이때, 교반시의 온도는 계속 55℃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교반물을 실온에서 40℃까지 냉각한 후, 이를 성형틀에 넣고, 다시 실온에서 냉각하고, 성형틀을 제거한 후, 포장하였다.
이때, 상기 인삼 추출물, 황칠 추출물, 측백나무잎 추출물, 치자 추출물, 녹차 추출물, 동충하초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은, 각 시료에 10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90℃에서 5시간 동안 환류하여 추출하고, 이를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제조하였으며, 상기 인삼 추출물의 시료로는 6년근 인삼의 건조물을 100mesh로 분쇄한 것을, 상기 황칠 추출물의 시료로는 황칠나무의 잎과 가지의 건조물을 1:1 중량비로 혼합하고, 이를 100mesh로 분쇄한 것을, 상기 측백나무잎 추출물은 측백나무잎의 건조물을 100mesh로 분쇄한 것을, 상기 치자 추출물은 치자열매의 건조물을 100mesh로 분쇄한 것을, 상기 녹차 추출물은 녹차의 건잎을 100mesh로 분쇄한 것을, 상기 동충하초 추출물은 동충하초의 건조물을 100mesh로 분쇄한 것을, 상기 어성초 추출물은 어성초잎의 건조물을 100mesh로 분쇄한 것을 이용하였다.
또한, 상기 포졸란과 이산화규소는 300mesh의 입도로 분쇄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이산화규소 분말의 투입, 교반 후, 아로마 에센셜 오일(로즈마리) 200g을 더 투입하여 10분간 교반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EM 용액을 대신하여 물을 사용하였으며, 포졸란, 천연 오일, 수용성 규소, 천연 추출물 및 이산화규소 분말을 사용하지 않았다.
(시험예 1)
상기와 같이 제조된 천연 비누의 자극성, 세정력, 보습, 트러블 완화(항염), 항균, 각질제거 및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피부에 민감한 임의의 남성 60명(20세 이상 30명, 10세 이상 20세 미만 30명)과 여성 60명(20세 이상 30명, 10세 이상 20세 미만 30명)을 선발하여 세 그룹으로 나누고, 제1그룹은 실시예 1의 비누를, 제2그룹은 실시예 2의 비누를, 제3그룹은 비교예 1의 비누를 1개월간 사용하게 하고, 1개월 후 자극성, 세정력, 보습, 트러블 완화(항염), 항균, 각질제거 및 미백 효과를 조사하였다.
효과 조사는 5점 측정법(1:문제 있음, 2:효과 없음, 3:보통, 4:효과 있음, 5:매우 효과 있음)으로, 자극성은 있음, 없음으로 실시하였고, 그 평균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결과
구분 자극성 세정력 보습 트러블
완화
항균 각질제거 미백
실시예 1 없음 3.8 3.7 4.1 4.1 3.8 3.2
실시예 2 없음 3.8 3.8 4.2 4.0 3.7 3.3
비교예 1 없음 3.0 2.1 2.0 2.0 3.0 2.0
상기 표 1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및 2가 비교예 1보다 세정력, 보습, 트러블 완화, 항균, 각질제거 및 미백의 모든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실시예 1, 2 모두 자극성은 없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천연 비누는 자극성이 없을 뿐 아니라, 세정력이 우수하고, 보습, 트러블 완화, 항균, 각질제거 및 미백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본 발명의 항균력을 더 입증하기 위하여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의 항균성을 측정하였다.
항균성은 디스크확산법을 적용하며, 전 배양된 여드름균을 디스크 확산법 측정용 평판배지(Reinforced clostridial medium DifcoUSA)에 100 ㎕씩 분주하여 도말한 후,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을 멸균된 페이퍼 디스크에 5mg/disc의 농도로 시료를 점적한 후 배지 위에 올려놓았다. 이 평판배지를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생육저지환(Clean Zone)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항균성(mm) 18 17 32
상기 표 2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2는 비교예 1보다 생육저지환의 크기가 작아 항균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6)

  1. 올리브 오일을 포함하는 베이스 오일;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e Micro-organisms) 용액;
    가성소다;
    포도당;
    글리세린;
    포졸란;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제;
    달맞이 오일, 홍화씨 오일, 올리브 오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천연 오일;
    수용성 규소;
    인삼 추출물, 황칠 추출물, 측백나무잎 추출물, 치자 추출물, 동충하초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천연 추출물; 및
    이산화규소 분말;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비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e Micro-organisms) 용액 5~15중량%, 가성소다 3~8중량%, 포도당 8~23중량%, 글리세린 3~6중량%, 포졸란 1~3중량%, 미백제 0.1~0.2중량%, 천연 오일 1~6중량%, 수용성 규소 1~3중량%, 천연 추출물 1~10중량%, 이산화규소 분말 1~5중량% 및 잔부의 베이스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비누.
  3. 제2항에 있어서,
    아로마 에센셜 오일 0.5~2중량%를 더 포함하는 천연 비누.
  4. (a)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e Micro-organisms) 용액에 가성소다를 혼합하고, 20~30시간 숙성하는 단계와,
    (b) 올리브 오일을 포함하는 베이스 오일을 40~60℃로 가열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의 가열된 베이스 오일에 상기 (a) 단계의 숙성물과 포도당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의 교반물에 글리세린, 포졸란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제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e) 상기 (d) 단계의 교반물에 달맞이 오일, 홍화씨 오일, 올리브 오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천연 오일 및 수용성 규소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f) 상기 (e) 단계의 교반물에 인삼 추출물, 황칠 추출물, 측백나무잎 추출물, 치자 추출물, 동충하초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천연 추출물 및 수용성 규소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g) 상기 (f) 단계의 교반물에 이산화규소 분말을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와,
    (h) 상기 (g) 단계의 교반물을 성형 및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비누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각 재료의 사용량은,
    상기 유용 미생물군(EM, Effective Micro-organisms) 용액 5~15중량%, 가성소다 3~8중량%, 포도당 8~23중량%, 글리세린 3~6중량%, 포졸란 1~3중량%, 미백제 0.1~0.2중량%, 천연 오일 1~6중량%, 수용성 규소 1~3중량%, 천연 추출물 1~10중량%, 이산화규소 분말 1~5중량% 및 잔부의 베이스 오일이며,
    상기 수용성 규소는 상기 (e) 단계와 상기 (f) 단계에 1:0.5~1.5 중량비로 나누어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비누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후,
    상기 (g) 단계의 교반물에 아로마 에센셜 오일 0.5~2중량%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천연 비누의 제조방법.
KR1020190039029A 2019-04-03 2019-04-03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2041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029A KR102041593B1 (ko) 2019-04-03 2019-04-03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9029A KR102041593B1 (ko) 2019-04-03 2019-04-03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593B1 true KR102041593B1 (ko) 2019-11-06

Family

ID=6854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9029A KR102041593B1 (ko) 2019-04-03 2019-04-03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5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528B1 (ko) * 2021-01-08 2021-01-29 안연옥 몬모릴로나이트를 이용한 비누 조성물
CN115778859A (zh) * 2022-12-23 2023-03-14 李克明 一种肤质调理剂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954B1 (ko) 2007-03-30 2008-08-12 권세환 죽력이 첨가된 비누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비누
KR20100035005A (ko) * 2008-09-25 2010-04-02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보습력이 우수한 어린이용 화장품 조성물
KR100996882B1 (ko) 2009-11-19 2010-11-26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미용조성물용 갈조류분말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미용조성물용 갈조류분말, 상기 갈조류분말함유 비누조성물 및 상기 비누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비누
KR20130030061A (ko) * 2011-09-16 2013-03-26 유미경 천연비누 제조방법
KR101812675B1 (ko) * 2016-10-31 2018-01-30 주식회사 더해피트리 천연 비누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0307B1 (ko) * 2017-03-08 2018-05-2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수용성 규소가 포함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954B1 (ko) 2007-03-30 2008-08-12 권세환 죽력이 첨가된 비누의 제조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비누
KR20100035005A (ko) * 2008-09-25 2010-04-02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보습력이 우수한 어린이용 화장품 조성물
KR100996882B1 (ko) 2009-11-19 2010-11-26 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미용조성물용 갈조류분말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미용조성물용 갈조류분말, 상기 갈조류분말함유 비누조성물 및 상기 비누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비누
KR20130030061A (ko) * 2011-09-16 2013-03-26 유미경 천연비누 제조방법
KR101812675B1 (ko) * 2016-10-31 2018-01-30 주식회사 더해피트리 천연 비누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0307B1 (ko) * 2017-03-08 2018-05-2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수용성 규소가 포함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528B1 (ko) * 2021-01-08 2021-01-29 안연옥 몬모릴로나이트를 이용한 비누 조성물
CN115778859A (zh) * 2022-12-23 2023-03-14 李克明 一种肤质调理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6415B1 (ko) 유색미 미강 발효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JP3966924B2 (ja) 植物抽出物含有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
KR100634816B1 (ko) 한방 세안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01258A (ko)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의 발효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조성물
KR102084158B1 (ko) 천연소재의 맞춤형 추출공법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 및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54378B1 (ko) 한방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32214B1 (ko) 연꽃, 쌀, 개똥쑥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1593B1 (ko) 천연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7963A (ko) 씀바귀, 선복화 및 민들레를 유산균으로 발효한 항염활성, 피부개선에 유용한 발효 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906263B1 (ko) 식물성 자연 비누와 그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940926B1 (ko) 죽염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45455A (ko) 갈대 추출물의 발효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4297B1 (ko) 허브추출물을 포함한 클렌징 화장료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0952902B1 (ko) 숙성된 솔잎 성분이 함유된 화장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9231244A1 (ko) 비누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비누
KR102355539B1 (ko) 당근을 이용한 비누 조성물
KR20090132285A (ko) 과실 식초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5513B1 (ko) 머드스톤 함유 마사지 기능, 피부관리기능 및 온천 세정용의 다기능성 클렌징 폼 조성물
KR102279117B1 (ko) 발효 수세미오이 분말을 이용한 천연 아토피 개선용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0534074B1 (ko) 곡류 추출물 및 곡류발아 상황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품
KR20160043621A (ko) 우수한 보습성 및 항염증성을 갖는 괴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26948A (ko) 백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크림 화장료 조성물
KR102604678B1 (ko) 개선된 피부 재생 효과 및 보습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24795B1 (ko) 입욕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