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167B1 -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167B1
KR102213167B1 KR1020190178530A KR20190178530A KR102213167B1 KR 102213167 B1 KR102213167 B1 KR 102213167B1 KR 1020190178530 A KR1020190178530 A KR 1020190178530A KR 20190178530 A KR20190178530 A KR 20190178530A KR 102213167 B1 KR102213167 B1 KR 102213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ode
cooking
food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중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90178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1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47J27/092Device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before open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47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 H05B6/6464Method of operation or details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related to the use of detectors or sensors using weight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조리 기기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반 모드 및 과중량 모드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요리 모드들 중 선택된 요리 모드로 동작하는 조리 기기는, 조리물이 안치되는 내솥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조리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센서, 조리물의 한계 중량에 대한 한계 중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조리물의 중량 측정 값 및 한계 중량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요리 모드의 일반 모드 및 과중량 모드 중 선택된 모드를 수행하도록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과중량 모드에서의 가열부의 가열 출력 레벨은 일반 모드에서의 사열부의 가열 출력 레벨보다 낮고, 과중량 모드에서의 가열부의 가열 구간의 길이는 일반 모드에서의 가열부의 가열 구간의 길이보다 길다.

Description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COOKER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 정보 제공 기능이 구비된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 예를 들어, 전기 압력 밥솥은 전기를 가열원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조리를 수행하는 전기기구로써, 조리물이 수용되는 내솥, 내솥이 안착되는 본체, 본체의 상부를 개폐하는 뚜껑, 내솥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등을 구비하여 조리물을 취식 가능한 형태로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전기 압력 밥솥은 조리 기능뿐만 아니라 생성된 요리를 일정 시간 보관하는 보온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최근의 조리 기기는 단순히 미곡 또는 잡속에 의한 취사 기능뿐 아니라, 탕류의 음식, 찜류의 음식 등과 같은 다양한 요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능이 추가 및 향상되고 있다. 종래에는 요리 모드 수행 시에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에 따라 모드를 변경하지 않아 조리물이 끓어 넘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리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한 조리 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반 모드 및 과중량 모드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요리 모드들 중 선택된 요리 모드로 동작하는 조리 기기는, 조리물이 안치되는 내솥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조리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센서, 조리물의 한계 중량에 대한 한계 중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조리물의 중량 측정 값 및 한계 중량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요리 모드의 일반 모드 및 과중량 모드 중 선택된 모드를 수행하도록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과중량 모드에서의 가열부의 가열 출력 레벨은 일반 모드에서의 사열부의 가열 출력 레벨보다 낮고, 과중량 모드에서의 가열부의 가열 구간의 길이는 일반 모드에서의 가열부의 가열 구간의 길이보다 길다.
일 실시 예에서, 내솥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고, 과중량 모드 및 일반 모드는 밸브의 개폐 시점 및 밸브의 개방 구간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사용자로부터 중량 정보 제공 기능의 설정 입력을 획득하는 제1 조작부 및 중량 센서 영점 조정의 설정 입력을 획득하는 제2 조작부를 포함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는 중량 정보 제공 기능의 설정 입력이 입력되면 중량 센서가 조리물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중량 센서 영점 조정의 설정 입력이 입력되면 중량 센서가 영점 조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계 중량 정보는 복수의 요리 모드들 각각에 대응하는 한계 중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한계 중량 정보는 복수의 요리 모드들 각각에 대응하는 액체 재료의 액체 한계 중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중량 센서는 조리물 중 액체 재료의 중량을 측정하고, 제어부는 액체 재료의 중량 측정 값 및 한계 중량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요리 모드의 일반 모드 및 과중량 모드 중 선택된 모드를 수행하도록 가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중량 정보 제공 기능을 제공하는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중량 정보 제공 기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조리물의 중량이 한계 중량 이하이면 일반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및 조리물의 중량이 한계 중량을 초과하면 과중량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과중량 모드에서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 출력 레벨은 일반 모드에서의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 출력 레벨보다 낮고, 과중량 모드에서의 내솥의 가열 구간의 길이는 일반 모드에서의 내솥의 가열 구간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조리물의 중량이 한계 중량을 초과하면 조리물의 중량 측정 값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과중량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과중량 모드의 수행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과중량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는, 중량 센서 영점 조정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중량 센서를 영점 조정하는 단계, 영점 조정된 이후에 상기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영점 조정된 이후에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 측정 값 및 내솥에 수용된 전체 조리물의 중량 측정 값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는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 중 액체 재료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과중량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액체 재료의 중량 측정 값이 액체 한계 중량을 초과하면 과중량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 기기는,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들이 한계 중량을 초과하는 과중량 상태를 미리 감지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과중량 상태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조리 기기는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들이 한계 중량을 초과하는 과중량 상태를 미리 감지할 수 있고, 과중량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 기기는 조리물이 내솥으로부터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밸브를 막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상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한계 중량 정보를 나타낸 룩업 테이블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한계 중량 정보를 나타낸 룩업 테이블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 예들로 인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를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부호는 시종 동일한 요소를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개념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이 때, 조리 기기(100)는 예를 들어, 전기 압력 밥솥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 기기(100)는 입력부(110), 표시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가열부(150), 밸브(160), 알림부(170) 및 센서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조리 기기(100)의 동작을 조작하기 위해 제공되는 구성일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설정 입력을 획득하면, 입력부(110)는 설정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조리 기기(100)의 동작과 관련된 버튼, 조그 다이얼, 터치 스크린 등의 조작부를 구비하여, 사용자는 조작부를 통하여 원하는 기능을 입력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입력부(110) 및 표시부(120)는 터치 스크린으로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복수의 요리 모드들 중 조리 기기(100)가 수행할 요리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요리 모드가 선택되면 요리 모드 선택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요리 모드들은 조리 기기(10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밥 취사 모드, 찜 모드, 조림 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조리 기기(100)의 중량 정보 제공 기능을 사용할지 선택할 수 있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중량 정보 제공 기능에 대한 설정 입력을 획득할 수 있고, 입력부(110)는 상기 설정 입력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중량 센서(183)의 영점을 조정할 수 있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중량 센서(183)를 영점 조정에 대한 설정 입력을 획득할 수 있고, 입력부(110)는 상기 영점 조정에 대한 설정 입력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영점 조정에 대한 설정 입력에 대응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중량 센서(183)의 영점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입력부(110)는 사용자가 조리물 중 액체 재료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는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조리물 중 액체 재료를 내솥에 투입하기 전에 상기 조작부를 조작할 수 있고, 입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액체 재료의 중량 측정에 대한 설정 입력을 획득할 수 있고, 입력부(110)는 상기 액체 재료의 중량 측정에 대한 설정 입력에 대응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상기 액체 재료의 중량 측정에 대한 설정 입력에 대응되는 신호에 응답하여, 중량 센서(183)가 내솥에 수용되는 액체 재료에 대한 중량을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조리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20)는 조리 기기(100)가 복수의 요리 모드들 중 수행 중인 요리 모드를 표시할 수 있고, 요리 모드의 수행의 완료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중량 정보 제공 기능을 수행 중인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고,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을 측정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20)는 중량 센서(183)가 영점 조정된 이후에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을 표시할 수 있고, 또는 예를 들어, 표시부(120)는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 전체의 중량을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표시부(120)는 조리물의 중량이 한계 중량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20)는 사용자에게 조리물의 중량이 한계 중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내솥의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을 감소시키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조리 기기(1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고, 다른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입력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 의도를 수신하면, 그에 대응하여 조리 기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고, 표시부(120)를 제어함으로써 제어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가열부(150) 및 밸브(160)의 동작을 제어하여 조리 기기(100)가 조리 또는 보온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부(110)가 사용자로부터 설정 입력을 획득하고, 상기 설정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제어부(130)는 상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가열부(150) 및 밸브(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입력부(110)로부터 요리 모드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요리 모드 선택 신호에 기초하여 대응하는 요리 모드로 동작하도록 가열부(150) 및 밸브(16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가열부(150) 및 밸브(160)의 동작을 제어하여 조리 기기(100)가 일반 모드의 요리 모드 및 과중량 모드의 요리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복수의 요리 모드들 각각은 일반 모드 및 과중량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동일한 요리 모드의 일반 모드 및 과중량 모드는 조리 기기(100)를 이용하여 동일한 요리를 완성하기 위한 모드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복수의 요리 모드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요리 모드를 수행함에 있어서,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이 한계 중량을 초과하지 않으면 일반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하고,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이 한계 중량을 초과면 과중량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과중량 모드에서는 일반 모드에서보다 가열부(150)의 가열 출력 레벨이 낮아지고, 가열부(150)의 가열 구간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일반 모드 및 과중량 모드 각각에서의 밸브(160)의 개폐 시점 및 밸브(160)가 개방되는 구간의 길이도 달라질 수 있다.
저장부(140)에는 제어부(130)가 복수의 요리 모드들을 수행하기 위한 요리 모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리 모드 정보는 대응하는 요리 모드에서 가열 출력에 대한 정보 및 밸브 개폐 시점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가열 출력에 대한 정보는 가열 출력의 레벨 및 가열 구간의 길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밸브 개폐 시점에 대한 정보는 밸브(160)의 개폐 시점 및 밸브(160)가 개방되는 구간의 길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요리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요리 모드들 각각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는 한계 중량 정보(141)가 저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한계 중량 정보(141)는 복수의 요리 모드들 각각에 대응하는 한계 중량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한계 중량 정보(141)는 복수의 요리 모드들 중 가장 많은 중량이 요구되는 요리 모드의 한계 중량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한계 중량 정보(141)는 복수의 요리 모드들 각각에 대응하는 액체의 한계 중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한계 중량 정보(141)는 도 3의 제1 룩업 테이블(141_1) 및 도 6의 제2 룩업 테이블(141_2)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한계 중량 정보(141)에 기초하여, 일반 모드 및 과중량 모드 중 하나의 모드의 수행을 결정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 및 저장부(140)는 마이크로 컴퓨터, 즉, 마이컴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열부(150)는 조리물이 수용된 내솥을 가열할 수 있다. 가열부(150)는 인가되는 전압/전류에 의해 열에너지 또는 전자기 에너지를 출력하여,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을 가열하는 모든 수단을 통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부(150)는 유도 가열 코일, 전기저항성 발열체, 전자기파 발생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유도 가열 코일, 전기저항성 발열체, 전자기파 발생기 등에 전류 또는 전압을 공급하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가열부(150)는 복수의 가열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기기(100)는 내솥의 뚜껑부, 내솥의 측면부 및 내솥의 바닥부 각각에 배치되는 가열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요리 모드에 따라 서로 다른 가열부들 각각의 가열 출력의 레벨 및 가열 구간의 길이가 서로 달라질 수 있다.
밸브(160)는 내솥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 조절 장치이다. 밸브(16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개폐가 조절되고, 밸브(160)의 개폐에 따라 내솥 내부의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160)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다. 제어부(130)의 제어에 의해 솔레노이드 코어에 전원이 인가되고, 솔레노이드 코어에 발생하는 자력에 의해 증기공이 개방되며, 개방된 증기공 및 증기공과 연결된 증기 배출 통로를 통해 내솥 내부의 증기가 배출될 수 있다.
알림부(17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조리 기기(100)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청각적으로 알리도록 알림음을 송출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알림부(170)는 조리물의 중량이 한계 중량을 초과할 경우 알림음을 송출할 수 있고, 과중량 모드로 동작 시에 알림음을 송출할 수 있다. 이외에도 알림부(170)는 표시부(120)에서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내용을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센서부(180)는 온도 센서(181) 및 중량 센서(183)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181)는 내솥의 온도, 내솥 내부 공간의 온도 및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 센서(181)는 측정된 온도 값을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조리 기기(100)는 복수의 온도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중량 센서(183)는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량 센서(183)는 요리 모드가 시작되면 영점 조정될 수 있고, 내솥에 수용되는 조리물의 중량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중량 센서(183)는 영점 조정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부(110)를 통해 수신되면 영점 조정될 수 있고, 영점 조정된 이후에 내솥에 수용되는 조리물의 중량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사용자의 무선 단말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기기(100)는 통신을 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무선 통신부에서 수신한 무선 신호 또는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를 신호 변환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전술한 표시부(120) 및 알림부(170)를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조리 기기(100)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무선 통신부 및 신호 처리부를 통해 무선 통신으로 사용자의 단말기에 제공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S10 단계에서 조리 기기(100)는, 중량 정보 제공 기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중량 정보 제공 기능의 수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중량 정보 제공 기능의 조작부를 선택하면 중량 정보 제공 기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10 단계 전 후로 조리 기기(100)는 요리 모드 선택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요리 모드들 중 하나의 요리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밥 취사, 찜 요리, 조림 요리 등의 복수의 요리 모드들 중 하나의 요리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선택된 요리 모드에 대응하도록 S20 단계 내지 S9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중량 정보 제공 기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S20 단계에서 조리 기기(100)는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량 정보 제공 기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중량 센서(183)는 영점 조정될 수 있고,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을 측정한 측정 값을 제어부(130)로 제공할 수 있다.
S30 단계에서 조리 기기(100)는 측정된 조리물의 중량이 한계 중량을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기기(10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한계 중량 정보(141)에 기초하여, 측정된 조리물 중량이 한계 중량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한계 중량은 앞서 선택된 요리 모드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또는, 한계 중량은 복수의 요리 모드들에 대해 일정한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또는, 조리 기기(100)는 S30 단계에서 측정된 조리물 중 액체의 중량이 한계 중량을 초과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S40 단계에서 조리 기기(100)는 조리물의 중량이 한계 중량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조리물의 중량 측정 값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기기(100)는 표시부(120) 및 알림부(17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조리물의 중량이 적절함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조리 기기(100)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조리물의 중량이 적절함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S50 단계에서 조리 기기(100)는 일반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기기(100)는 복수의 요리 모드들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일반 모드의 요리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조리물의 중량이 한계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S60 단계에서 조리 기기(100)는 조리물의 중량 측정 값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기기(100)는 표시부(120) 및 알림부(17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조리물의 중량이 부적절함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조리 기기(100)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조리물의 중량이 부적절함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S70 단계에서 조리 기기(100)는 요리 모드 수행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즉, S70 단계에서 조리 기기(100)는 사용자에게 과중량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할 것인지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안내할 수 있고, 사용자로부터 과중량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한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요리 모드 수행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조리 기기(100)는 요리 모드를 수행하지 않고, 다시 S30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조리물 중량이 한계 중량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요리 모드 수행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조리 기기(100)는 S80 단계에서, 과중량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중량 모드의 요리 모드는 일반 모드의 요리 모드에 비해 가열 출력의 레벨이 낮고, 가열 구간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조리 기기(100)는 조리물의 용량이 한계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초과 사실을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조리물의 중량을 감소시키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과중량 상태로 일반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함으로써, 조리물이 내솥으로부터 넘치거나 밸브(160)를 막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상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리물의 용량이 한계 용량을 초과하였다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였음에도, 조리물의 중량이 감소되지 않고, 요리 모드를 수행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조리 기기(100)는 과중량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함으로써, 조리물이 내솥으로부터 넘치거나 밸브(160)를 막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상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S10 단계에서 조리 기기(100)는, 중량 정보 제공 기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으면, 일반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한계 중량 정보를 나타낸 룩업 테이블로서, 조리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한계 중량 정보(141)는 요리 모드에 따른 한계 중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제1 룩업 테이블(141_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의 한계 중량은 대응하는 요리 모드에 사용되는 조리물의 전체 중량의 한계 중량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요리 모드들 중 제1 모드에서는 제1 한계 중량(TW1)이 설정되고, 제2 모드에서는 제2 한계 중량(TW2)이 설정되고, 제3 모드에서는 제3 한계 중량(TW3)이 설정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3개의 요리 모드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제1 룩업 테이블(141_1)에 저장되는 요리 모드 및 이에 대응하는 한계 중량의 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조리 기기(1000)에서 수행되는 요리 모드에 따라 가열부(150)의 가열 출력 레벨, 가열부(150)의 가열 구간의 길이, 밸브(160)의 개폐시점 및 밸브(160)의 개방 구간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부(150)의 가열 출력이 고레벨에서 긴 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이 상대적으로 쉽게 끓어넘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조리물이 내솥으로부터 넘치거나 밸브(160)를 막음으로써 안전 사고가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조리 기기(1000)는 복수의 요리 모드들 각각의 동작 특성에 따라 한계 중량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조리물이 내솥으로부터 넘치거나 밸브(160)를 막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상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에 따른 조리 기기(1000)는 요리 모드에 따른 한계 중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제1 룩업 테이블(141_1)이 저장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에는 복수의 요리 모드들 중 가장 많은 중량이 요구되는 요리 모드에 대응하는 한계 중량이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130)는 복수의 요리 모드들 각각을 수행할 때 동일한 한계 중량을 적용하여 일반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할 지 또는 과중량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할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의 S20 단계는 도 2의 S20 단계의 예시적 실시 예로서, S21 단계 내지 S29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S21 단계에서 조리 기기(100)는, 중량 센서(183)의 영점을 조정할 수 있다. S23 단계에서 조리 기기(100)는 영점 조정 이후에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S25 단계에서 조리 기기(100)는 영점 조정 이후에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 측정 값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20) 및 알림부(17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조리물의 중량 측정 값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조리 기기(100)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조리물의 중량 측정 값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S27 단계에서 조리 기기(100)는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전체 중량 측정 값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20) 및 알림부(17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조리물의 전체 중량 측정 값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조리 기기(100)는 무선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기로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전체 중량 측정 값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조리 기기(100)는 개별적으로 조리물들 각각의 중량을 측정하는 동시에 측정된 값들을 합산함으로써,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 전체 중량 측정 값을 획득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 기기(100)는 요리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서로 다른 조리물 각각의 중량 정보를 제공하는 동시에, 조리물 전체의 중량 정보를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S29 단계에서 조리 기기(100)는 중량 센서 영점 조정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중량 센서 영점 조정의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조리 기기(100)는 다시 중량 센서(138)의 영점을 조정하는 S21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조리 기기(100)는 요리 모드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서로 다른 조리물 각각의 중량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또한, 내솥에 수용된 전체 조리물의 중량에 대한 정보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 기기(100)는 선택된 요리 모드를 수행하는 데에 필요한 서로 다른 조리물들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고, 요리 모드 수행 하는 데에 필요한 조리물들 각각의 중량을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조리물의 중량 측정을 위한 별도의 센서가 없더라도 조리 기기(100)를 이용하여 조리물들 각각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요리의 수행이 용이해질 수 있다. 더불어, 사용자는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들 전체 중량 정보도 함께 획득할 수 있으므로, 조리 기기(100)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의 S20A 단계는 도 2의 S20 단계의 예시적 실시 예로서, S21A 단계 내지 S29A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S21A 단계에서 조리 기기(100)는 액체 재료 중량 측정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는 액체 재료 중량 측정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액체 재료 중량 측정을 위한 조작부를 선택하면 액체 재료 중량 측정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조리 기기(100)는 요리 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서로 다른 조리물들 중 액체 재료를 가장 마지막에 투입할 것을 표시부(120), 알림부(170) 및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또는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조리 기기(100)는 액체 재료를 내솥에 투입 전에, 사용자가 액체 재료 중량 측정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조작부를 조작하도록 미리 표시부(120), 알림부(170) 및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S23A 단계에서 조리 기기(100)는, 중량 센서(183)의 영점을 조정할 수 있다. S25A단계에서 조리 기기(100)는 영점 조정 이후에 내솥에 수용된 액체 재료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S27 단계에서 조리 기기(100)는, 내솥에 수용된 액체 재료의 중량 측정 값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120) 및 알림부(17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조리물의 중량 측정 값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조리 기기(100)가 S21A 단계 내지 S27A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요리 모드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액체 재료의 중량이 측정될 수 있고, 조리 기기(100)는 도 2의 S30 단계에서 액체 재료의 중량이 액체 한계 용랑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에 따라 도 2의 S40 단계 내지 S8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액체 한계 용량은 도 6의 제2 룩업 테이블(141_2)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조리물 중 액체 재료의 중량이 증가할수록 조리물이 내솥으로부터 넘치거나 밸브(160)를 막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상의 사고가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재료의 중량을 측정한 후 액체 재료의 중량을 액체 한계 용량으로 제한하거나, 액체 재료의 중량이 액체 한계 용량을 초과할 경우 과중량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함으로써, 안전상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액체 재료 중량 측정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S28 단계에서 조리 기기(100)는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전체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S29 단계에서 조리 기기(100)는 표시부(120), 알림부(170) 및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전체 중량 측정 값을 사용자에게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알릴 수 있다.
조리 기기(100)가 S28A 단계 및 S29A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요리 모드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는 조리물의 전체 중량이 측정될 수 있고, 조리 기기(100)는 도 2의 S30 단계에서 조리물의 전체 중량이 한계 용랑을 초과하는지 판단할 수 있고, 판단 결과에 따라 도 2의 S40 단계 내지 S8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한계 용량은 도 3의 제1 룩업 테이블(141_1)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저장부에 저장된 한계 중량 정보를 나타낸 룩업 테이블로서, 조리 기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룩업 테이블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한계 중량 정보(141)는 요리 모드에 따른 액체 한계 중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제2 룩업 테이블(141_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의 액체 한계 중량은 대응하는 요리 모드에 사용되는 서로 다른 조리물들 중 액체 재료의 한계 중량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요리 모드들 중 제1 모드에서는 제1 액체 한계 중량(TWL1)이 설정되고, 제2 모드에서는 제2 액체 한계 중량(TWL2)이 설정되고, 제3 모드에서는 제3 액체 한계 중량(TWL3)이 설정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3개의 요리 모드를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제2 룩업 테이블(141_2)에 저장되는 요리 모드 및 이에 대응하는 액체 한계 중량의 수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조리 기기(1000)에서 수행되는 요리 모드에 따라 가열부(150)의 가열 출력 레벨, 가열부(150)의 가열 구간의 길이, 밸브(160)의 개폐시점 및 밸브(160)의 개방 구간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부(150)의 가열 출력이 고레벨에서 긴 시간 동안 유지될 경우,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이 상대적으로 쉽게 끓어넘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조리물이 내솥으로부터 넘치거나 밸브(160)를 막음으로써 안전 사고가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조리 기기(1000)는 복수의 요리 모드들 각각의 동작 특성에 따라 액체 한계 중량을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조리물이 내솥으로부터 넘치거나 밸브(160)를 막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상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에 따른 조리 기기(1000)는 요리 모드에 따른 액체 한계 중량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제2 룩업 테이블(141_2)이 저장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에는 복수의 요리 모드들 중 가장 많은 액체 재료의 투입이 요구되는 요리 모드에 대응하는 액체 한계 중량이 저장될 수 있고, 제어부(130)는 복수의 요리 모드들 각각을 수행할 때 동일한 액체 한계 중량을 적용하여 일반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할 지 또는 과중량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할지를 결정할 수도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기술 용어와 과학 용어를 포함하여 본 발명 개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바와 같은 용어들은 관련되는 기술의 맥락에서 이들이 의미하는 바와 일관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여기에 명시적으로 정의하지 않는 한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임은 이해될 것이다.
100: 조리 기기
110: 입력부
120: 표시부
130: 제어부
140: 저장부
150: 가열부
160: 밸브
170: 알림부
180: 센서부
181: 온도 센서
183: 중량 센서

Claims (11)

  1. 일반 모드 및 과중량 모드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요리 모드들 중 선택된 요리 모드로 동작하는 조리 기기로서,
    조리물이 안치되는 내솥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부;
    상기 조리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중량 센서;
    상기 조리물의 한계 중량에 대한 한계 중량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조리물의 중량 측정 값 및 상기 한계 중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요리 모드의 일반 모드 및 과중량 모드 중 선택된 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과중량 모드에서의 상기 가열부의 가열 출력 레벨은 상기 일반 모드에서의 상기 가열부의 가열 출력 레벨보다 낮고, 상기 과중량 모드에서의 상기 가열부의 가열 구간의 길이는 상기 일반 모드에서의 상기 가열부의 가열 구간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 내부의 증기를 배출하는 밸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과중량 모드 및 상기 일반 모드는 상기 밸브의 개폐 시점 및 상기 밸브의 개방 구간의 길이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중량 정보 제공 기능의 설정 입력을 획득하는 제1 조작부 및 중량 센서 영점 조정의 설정 입력을 획득하는 제2 조작부를 포함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 정보 제공 기능의 설정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중량 센서가 상기 조리물의 중량을 측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중량 센서 영점 조정의 설정 입력이 입력되면 상기 중량 센서가 영점 조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 중량 정보는 상기 복수의 요리 모드들 각각에 대응하는 한계 중량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 중량 정보는 상기 복수의 요리 모드들 각각에 대응하는 액체 재료의 액체 한계 중량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 센서는 상기 조리물 중 액체 재료의 중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액체 재료의 중량 측정 값 및 상기 한계 중량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요리 모드의 일반 모드 및 과중량 모드 중 선택된 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가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
  7. 중량 정보 제공 기능을 제공하는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중량 정보 제공 기능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조리물의 중량이 한계 중량 이하이면 일반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조리물의 중량이 한계 중량을 초과하면 과중량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과중량 모드에서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 출력 레벨은 상기 일반 모드에서의 상기 내솥을 가열하는 가열 출력 레벨보다 낮고, 상기 과중량 모드에서의 상기 내솥의 가열 구간의 길이는 상기 일반 모드에서의 상기 내솥의 가열 구간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물의 중량이 한계 중량을 초과하면 상기 조리물의 중량 측정 값에 대한 정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과중량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과중량 모드의 수행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과중량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는,
    중량 센서 영점 조정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중량 센서를 영점 조정하는 단계;
    영점 조정된 이후에 상기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 및
    영점 조정된 이후에 상기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 측정 값 및 상기 내솥에 수용된 전체 조리물의 중량 측정 값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내솥에 수용된 조리물 중 액체 재료의 중량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과중량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액체 재료의 중량 측정 값이 액체 한계 중량을 초과하면 상기 과중량 모드의 요리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 기기의 동작 방법.
KR1020190178530A 2019-12-30 2019-12-30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213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530A KR102213167B1 (ko) 2019-12-30 2019-12-30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530A KR102213167B1 (ko) 2019-12-30 2019-12-30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167B1 true KR102213167B1 (ko) 2021-02-05

Family

ID=74559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530A KR102213167B1 (ko) 2019-12-30 2019-12-30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1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223Y1 (ko) * 1993-11-02 1999-03-20 구자홍 전기 보온 밥솥의 취반량 감지 장치
JP2013167522A (ja) * 2012-02-15 2013-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重量検知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JP2018196418A (ja) * 2017-05-23 2018-12-13 三浦工業株式会社 蒸気釜
JP6786712B2 (ja) * 2017-05-12 2020-11-18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223Y1 (ko) * 1993-11-02 1999-03-20 구자홍 전기 보온 밥솥의 취반량 감지 장치
JP2013167522A (ja) * 2012-02-15 2013-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重量検知装置および加熱調理器
JP6786712B2 (ja) * 2017-05-12 2020-11-18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システム
JP2018196418A (ja) * 2017-05-23 2018-12-13 三浦工業株式会社 蒸気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8950B2 (en) Heating device capable of eliminating noise and adjusting desired heat quality or heating temperature by controlling frequency difference between two induction coils during a first time interval and disabling one of two induction coils during a second time interval
US11703928B2 (en) Digital power supply with wireless monitoring and control
CN108567312B (zh) 用于烹饪器具的煮粥控制方法及烹饪器具
AU2015342728A1 (en) Cooktop
WO2019184188A1 (zh) 用于压力烹饪器具的控制设备、方法及压力烹饪器具
JP6982826B2 (ja) 炊飯器および炊飯器の制御方法
EP1646828B1 (en) Electric oven and method for controlling such an oven
KR102213167B1 (ko)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080057170A1 (en) Bak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for controlling a reliable browning level
KR102201068B1 (ko) 복수의 취식 모드들을 제공하는 조리 기기
KR102299436B1 (ko)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AU2021200734B2 (en) Digital power supply with wireless monitoring and control
KR100746393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사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8147054A (ja) 加熱装置
KR102201067B1 (ko) 복수의 취식 모드들을 제공하는 조리 기기
CN109976399B (zh) 烹饪器具的控制方法、系统、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275840B1 (ko) 모드에 따라서 출력을 제어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2383767B1 (ko)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KR100828640B1 (ko) 전기압력밥솥의 예약취사 제어방법
KR102201064B1 (ko) 조리 기기 및 조리 기기의 재취사 방법
JP5909376B2 (ja) 加熱調理器
JP5592410B2 (ja)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2119809A (ja) 調理器
KR20220142211A (ko) 조리 기기의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4008297A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