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1671B1 - 디스크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디스크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1671B1
KR102211671B1 KR1020187033859A KR20187033859A KR102211671B1 KR 102211671 B1 KR102211671 B1 KR 102211671B1 KR 1020187033859 A KR1020187033859 A KR 1020187033859A KR 20187033859 A KR20187033859 A KR 20187033859A KR 102211671 B1 KR102211671 B1 KR 102211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otational linear
cylinder
rotational
electric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7544A (ko
Inventor
다카야스 사카시타
Original Assignee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히다치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18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drawing members together, e.g. fo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5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 F16D65/56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 F16D65/567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one direction for adjusting excessive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for mounting on a disc b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38Slack adjusters
    • F16D65/40Slack adjusters mechanical
    • F16D65/62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both directions for adjusting excessive and insufficient play
    • F16D65/66Slack adjusters mechanical self-acting in both directions for adjusting excessive and insufficient play with screw-thread and n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58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 B60T13/585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comprising friction brakes and retarders
    • B60T13/586Combined or convertible systems comprising friction brakes and retarders the retarders being of the electr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2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 F16D55/22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 F16D55/225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 F16D55/22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clamping an axially-located rotating disc between movable braking members, e.g. movable brake discs or brake pads with a common actuating member for the braking members the braking members being brake pads in which the common actuating member is moved axially, e.g. floating caliper disc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10Automatic or semi-automatic parking a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3/00Multiple operation fo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20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 F16D2125/34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 F16D2125/36Helical cams, Ball-rotating r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20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 F16D2125/34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axis of rotation
    • F16D2125/40Screw-and-nu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025/2062Arrangements for driving the actuator
    • F16H2025/2075Coaxial drive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 개수가 적고 간소한 구성으로 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한다.
디스크 브레이크는 피스톤 추진 기구를 구비한다. 피스톤 추진 기구는, 실린더 내를 피스톤의 돌출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배치되는 입력 부재로서, 입력 부재의 둘레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전동 모터로부터의 토크가 전달되어 회전하는 입력 부재와, 입력 부재의 나사부에 맞물리는 결합 나사부를 가지며, 입력 부재의 회전에 의해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피스톤에 전동 모터의 토크를 전달하는 통형의 회전 직동 부재와, 캘리퍼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회전 직동 부재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통형의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와 회전 직동 부재 사이에, 지지 부재와 회전 직동 부재에 결합한 상태로 배치되는 전동체로서, 입력 부재의 회전에 의해 회전 직동 부재가 회전할 때, 회전 직동 부재에 회전 저항을 부여하여 회전 직동 부재를 입력 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키면서 직동시키는 전동체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디스크 브레이크
본 발명은 차량의 제동에 이용되는 디스크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스크 브레이크에는, 주차 브레이크 시 등에, 피스톤을 추진시켜 그 제동 위치에서 유지하기 위한 파킹 브레이크 기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파킹 브레이크 기구는, 볼 앤드 램프 기구와 나사 기구를 가지고, 전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볼 앤드 램프 기구 및 나사 기구가 작동함으로써, 피스톤을 제동 위치에 이동시키고, 나사 기구에 의해 피스톤을 상기 제동 위치에 유지하는 구성이 채용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2-22979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서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때에는, 볼 앤드 램프 기구 및 나사 기구로 추력을 발생시켜, 제동 위치에서 유지하는 구성이고, 또한 피스톤과 너트 사이의 간극 조정을, 어플라이 초기의 너트와 푸쉬 로드 사이의 나사 기구의 상대 회전에 의해 실시할 수 있는 구성이고, 게다가 전동 모터로부터의 회전 토크에 따라, 볼 앤드 램프 기구 및 나사 기구의 작동을 전환하기 위해 스프링 클러치나 웨이브 클립을 가지고 있어, 이들 구성을 구축하기 위한 부품 개수가 많다.
본 발명은 부품 개수가 적고 간소한 구성으로 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는, 로터를 사이에 끼워 그 로터의 축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패드 중 한쪽을 상기 로터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실린더를 갖는 캘리퍼 본체와, 상기 캘리퍼 본체에 마련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캘리퍼 본체의 상기 실린더 내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을 추진하는 피스톤 추진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피스톤 추진 기구는, 상기 실린더 내를 상기 피스톤의 돌출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배치되는 입력 부재로서, 상기 입력 부재의 둘레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의 토크가 전달되어 회전하는 입력 부재와, 상기 입력 부재의 상기 나사부에 맞물리는 결합 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입력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피스톤에 상기 전동 모터의 토크를 전달하는 통형의 회전 직동(直動) 부재와, 상기 캘리퍼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회전 직동 부재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통형의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회전 직동 부재 사이에,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회전 직동 부재에 결합한 상태로 배치되는 전동체(轉動體)로서, 상기 입력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 직동 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회전 직동 부재에 회전 저항을 부여하여 상기 회전 직동 부재를 상기 입력 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키면서 직동시키는 전동체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는, 로터에 패드를 압박하는 피스톤을 갖는 캘리퍼 본체로서, 상기 피스톤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실린더 보어가 형성되는 캘리퍼 본체와, 상기 캘리퍼 본체에 부착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실린더 보어 내에 마련되어, 상기 전동 모터의 토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추진하는 피스톤 추진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피스톤 추진 기구는, 상기 전동 모터의 토크에 의한 회전을 직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2개의 나사 기구를, 상기 실린더 보어의 직경 방향의 내측과 외측에 구비한다. 상기 외측의 나사 기구는, 상기 내측의 나사 기구보다 높은 기계 효율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부품 개수가 적고 간소한 구성으로 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디스크 브레이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채용한 피스톤 추진 기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채용한 피스톤 추진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있어서,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때의 작용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채용한 피스톤 추진 기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에 채용한 피스톤 추진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8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제1~제3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a~1c)를 각각 설명한다. 먼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a)를 도 1~도 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a)에는, 차량의 회전부에 부착된 디스크 로터(D)를 사이에 끼워 축방향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이너 브레이크 패드(2) 및 아우터 브레이크 패드(3)와, 캘리퍼(4)가 마련되어 있다. 본 디스크 브레이크(1a)는, 캘리퍼 부동형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이너 브레이크 패드(2) 및 아우터 브레이크 패드(3)와, 캘리퍼(4)는, 차량의 너클 등의 비회전부에 고정된 브래킷(도시 생략)에 디스크 로터(D)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면의 우측을 일단측으로 하고, 좌측을 타단측으로 하여 적절하게 설명한다.
캘리퍼(4)의 주체인 캘리퍼 본체(6)는, 차량 내측의 이너 브레이크 패드(2)에 대향하는 기단측에 배치되는 실린더부(7)와, 차량 외측의 아우터 브레이크 패드(3)에 대향하는 선단측에 배치되는 클릭(8)을 가지고 있다. 실린더부(7)에는, 이너 브레이크 패드(2)측이 개구되는 대직경 개구부(9a)가 되고, 그 반대측이 구멍부(10)를 갖는 바닥벽(11)에 의해 폐쇄된 바닥을 갖는 실린더(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15) 내의 바닥벽(11)측은, 대직경 개구부(9a)와 연달아 마련되어 상기 대직경 개구부(9a)보다 소직경이 되는 소직경 개구부(9b)가 형성된다. 실린더(15)의 대직경 개구부(9a)의 내벽면에, 피스톤 시일(16)이 배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18)은, 바닥부(19)와 원통부(20)로 이루어지는 바닥을 갖는 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18)은, 그 바닥부(19)가 이너 브레이크 패드(2)에 대향하도록 실린더(15) 내에 들어가 있다. 피스톤(18)은, 피스톤 시일(16)에 접촉한 상태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실린더(15)의 대직경 개구부(9a)에 내장되어 있다. 이 피스톤(18)과 실린더(15)의 바닥벽(11) 사이는, 액압실(21)로서 피스톤 시일(16)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 액압실(21)에는, 실린더부(7)에 마련한 도시 생략된 포트를 통하여, 마스터 실린더나 액압 제어 유닛 등의 도시 생략된 액압원으로부터 액압이 공급되게 되어 있다.
피스톤(18)의 바닥부(19)의, 이너 브레이크 패드(2)에 대향하는 타단면의 외주측에 오목부(2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오목부(25)는, 이너 브레이크 패드(2)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26)가 결합하고 있고, 이 결합에 의해 피스톤(18)이 실린더(15), 나아가서는 캘리퍼 본체(6)에 대하여 회전 차단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18)의 바닥부(19)의 외벽면과, 실린더(15)의 대직경 개구부(9a)의 내벽면 사이에는, 상기 실린더(15) 내에의 이물의 진입을 막는 더스트 부츠(27)가 개재되어 있다. 피스톤(18)의 바닥부(19)의, 피스톤 추진 기구(43)와 대향하는 일단면은, 그 직경 방향 중앙부에 마련한 원형 오목부(30)와, 상기 원형 오목부(30)의 일단으로부터 연속하여 피스톤(18)의 내벽면을 향하여 직경 확장하도록 연장되는 환형 경사부(31)가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15)의 바닥벽(11)측에는 기밀적으로 하우징(35)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35)의 일단 개구에는 기밀적으로 커버(36)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5)과 실린더부(7)는 시일 부재(37)에 의해 기밀성이 유지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5)과 커버(36)는 시일 부재(38)에 의해 기밀성이 유지되어 있다. 하우징(35)에는, 캘리퍼 본체(6)와 배열되도록, 전동 모터(40)가 시일 부재(41)를 통해 밀폐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동 모터(40)를 하우징(35)의 외측에 배치하였지만, 전동 모터(40)를 덮도록 하우징(35)을 형성하고, 하우징(35) 내에 전동 모터(40)를 수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시일 부재(41)가 불필요해져, 조립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5)과 커버(36)를 용착 접합하여도 좋다. 이 경우, 시일 부재(38)가 불필요해져, 조립 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다.
캘리퍼 본체(6)에는, 전동 모터(40)에 의한 회전을 증력하는 평치 다단 감속 기구(44)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와, 상기 평치 다단 감속 기구(44)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로부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여, 피스톤(18)을 추진시키는 피스톤 추진 기구(43)가 구비되어 있다.
평치 다단 감속 기구(44)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는, 하우징(35) 내에 수납되어 있다. 평치 다단 감속 기구(44)는, 피니언 기어(46)와, 제1 감속 기어(47)와, 제2 감속 기어(48)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46)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동 모터(40)의 전동축(轉動軸)(40a)에 압입 고정되는 구멍부(50)와, 외벽면에 형성되는 기어(51)를 가지고 있다. 제1 감속 기어(47)는, 피니언 기어(46)의 기어(51)에 맞물리는 대직경의 기어 휠(53)과, 기어 휠(53)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는 소직경의 피니언(54)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감속 기어(47)는, 일단이 하우징(35)에 지지되며 타단이 커버(36)에 지지된 샤프트(5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 감속 기어(48)는, 제1 감속 기어(47)의 피니언(54)에 맞물리는 대직경의 기어 휠(56)과, 기어 휠(56)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소직경의 선 기어(57)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선 기어(57)는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 제2 감속 기어(48)는, 커버(36)에 지지된 샤프트(5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는, 선 기어(57)와, 복수개(예컨대, 3개)의 플래니터리 기어(60)와, 인터널 기어(61)와, 캐리어(62)를 갖는다. 플래니터리 기어(60)는, 제2 감속 기어(48)의 선 기어(57)에 맞물리는 기어(63)와, 캐리어(62)로부터 세워서 설치되는 핀(65)을 삽입 관통하는 구멍부(64)를 가지고 있다. 3개의 플래니터리 기어(60)는, 캐리어(62)의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캐리어(62)는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캐리어(62)의 직경 방향 중심에는, 스핀들 로드(80)의 다각형 축부(93)가 감합하는 다각형 구멍(68)이 형성된다. 상기 다각형 구멍(68)에, 스핀들 로드(80)의 다각형 축부(93)가 감합함으로써, 캐리어(62)와 스핀들 로드(80) 사이에서 서로 회전 토크를 전달할 수 있다. 캐리어(62)의 외주측에는 복수의 핀용 구멍(6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핀용 구멍(69)에, 각 플래니터리 기어(6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핀(65)이 압입 고정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62) 및 각 플래니터리 기어(60)는, 하우징(35)의 개구부(35a) 주변으로부터 일단측에 돌출 설치한 벽면(35b)과, 인터널 기어(61)의 제2 감속 기어(48)측에 일체적으로 마련한 환형 벽부(72)에 의해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리어(62)에 마련한 다각형 구멍(68)에 의해 스핀들 로드(80)와의 상대적인 회전을 규제하고 있지만, 스플라인이나 키 등 회전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기계 요소를 채용하여도 좋다.
인터널 기어(61)는, 각 플래니터리 기어(60)의 기어(63)가 각각 맞물리는 내치(71)와, 이 내치(71)로부터 연속하여 제2 감속 기어(48)측에 일체적으로 마련되어 플래니터리 기어(60)의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환형 벽부(72)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터널 기어(61)는, 하우징(35) 내에 압입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피스톤(18)을 추진하는 회전 토크를 얻기 위해, 전동 모터(40)에 의한 회전을 증력하는 감속 기구로서의 평치 다단 감속 기구(44)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를 마련하고 있지만, 상기 회전 토크를 출력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감속 기구를 생략하여도 좋다.
피스톤 추진 기구(43)는, 평치 다단 감속 기구(44)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로부터의 회전 운동, 즉 전동 모터(40)로부터의 회전을 직선 방향의 운동(이하, 직동이라고 함)으로 변환하여, 피스톤(18)에 추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또한, 피스톤 추진 기구(43)는, 피스톤(18)을 추진시킨 후, 상기 피스톤(18)을 제동 위치에서 유지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피스톤 추진 기구(43)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린더(15) 내에서, 실린더(15)의 바닥벽(11)과 피스톤(18)의 바닥부(19)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 추진 기구(43)는, 입력 부재 또는 축 부재로서의 스핀들 로드(80)와, 회전 직동 부재 또는 통형 부재로서의 어저스터 너트(81)와, 지지 부재 또는 고정 부재로서의 링 샤프트(82)와, 전동체 및 전동축으로서의 복수의 플래니터리 로드(83)를 가지고 있다. 또한, 피스톤 추진 기구(43)는, 스핀들 로드(80)와 어저스터 너트(81)로 이루어지는 내측의 나사 기구[제1 나사 감합부(126)]와, 어저스터 너트(81), 링 샤프트(82) 및 복수의 플래니터리 로드(83)로 이루어지는 외측의 나사 기구[제2 나사 감합부(168)]를 구비하고 있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핀들 로드(80)는, 실린더(1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평치 다단 감속 기구(44)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를 통해 전동 모터(40)로부터의 회전 운동이 전달된다. 상기 스핀들 로드(80)는, 후술하는 링 샤프트(82)의 대직경 링 샤프트부(158)의 내경보다 소직경의 외경을 갖는 원판형부(90)와, 상기 원판형부(90)의 직경 방향 중앙부로부터 일체적으로 일단측으로 연장되는 토크 전달 축부(91)와, 원판형부(90)의 직경 방향 중앙부로부터 일체적으로 타단측으로 연장되는 나사 결합 축부(92)를 가지고 있다. 토크 전달 축부(91)의 선단은, 다각형으로 모따기된 다각형 축부(93)로 형성되어 있다. 토크 전달 축부(91)와 다각형 축부(93) 사이에 환형 홈(99)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결합 축부(92)의 외벽면에는, 수나사부(95)가 축방향 대략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스핀들 로드(80)의 원판형부(90)의 타단면에서, 나사 결합 축부(92)의 둘레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 볼록부(96)가 형성된다. 각 걸림 볼록부(96)는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실린더(15)의 바닥벽(11)에, 원환형의 베이스 플레이트(100)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직경 방향 중앙부에 스핀들 로드(80)의 토크 전달 축부(91)가 삽입 관통되는 삽통 구멍(100a)이 형성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회전 규제용 돌기부(101)가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 설치된다. 각 회전 규제용 돌기부(101)의 외벽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 홈부(102)가 각각 형성된다. 각 회전 규제용 돌기부(101) 중 어느 하나의 일단면에 결합 오목부(103)가 형성된다. 실린더(15)의 바닥면에는, 핀 부재(104)가 실린더(15) 내로 돌출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핀 부재(104)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회전 규제용 돌기부(101)에 마련한 결합 오목부(103)에 결합된다. 이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실린더(15)의 바닥벽(11)에 대한 상대적인 회전이 규제된다. 스핀들 로드(80)의 토크 전달 축부(91)는, 후술하는 제1 스러스트 베어링(110)의 삽입 관통 구멍(110a),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삽입 관통 구멍(100a) 및 실린더(15)의 바닥벽(11)에 마련한 구멍부(10)의 각각에 삽입 관통된다. 다각형 축부(93)가 하우징(35)의 개구부(35a)를 삽입 관통하여 캐리어(62)의 다각형 구멍(68)에 감합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다각형 축부(93)는 육각형 축부로 형성되고, 다각형 구멍(68)이 육각형 구멍으로 형성된다. 또한, 다각형 축부(93)는, 육각형 외에, 삼각, 사각, 오각, 칠각, 팔각 등의 다각형으로 하여도 좋고, 또한 2모따기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스핀들 로드(80)의 토크 전달 축부(91)의 외벽면과, 실린더(15)의 바닥벽(11)의 구멍부(10)의 내벽면 사이에는, 시일 부재(105) 및 슬리브(106)가 마련된다. 슬리브(106)가 일단측에 배치되고, 시일 부재(105)가 타단측에 배치된다. 이들 시일 부재(105) 및 슬리브(106)는, 액압실(21)의 액밀성을 유지하고, 스핀들 로드(80)의 토크 전달 축부(91)를 회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스핀들 로드(80)의 환형 홈(99)에 스냅 링(107)이 장착된다. 상기 스냅 링(107)에 의해, 스핀들 로드(80)의, 실린더(15) 내에의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0)와 스핀들 로드(80)의 원판형부(90) 사이에, 삽입 관통 구멍(110a)을 갖는 원환형의 제1 스러스트 베어링(110)이 배치된다. 그리고, 스핀들 로드(80)의 원판형부(90)는, 제1 스러스트 베어링(1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지지된다. 또한, 제1 스러스트 베어링(110)은, 후술하는 링 샤프트(82)의 대직경 링 샤프트부(158)로 직경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지지되지만, 스핀들 로드(80)의 토크 전달 축부(91)에, 제1 스러스트 베어링(110)의 삽입 관통 구멍(110a)의 내경에 대략 일치하는 대직경 축부를 형성하여, 제1 스러스트 베어링(110)을 이 대직경 축부에 의해 직경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여 지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스핀들 로드(80)의 나사 결합 축부(92)의 수나사부(95)에, 어저스터 너트(81)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상기 어저스터 너트(81)는, 일단측에 위치하여 스핀들 로드(80)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부(120)와, 상기 너트부(120)로부터 타단측에 연속하여 일체적으로 마련되는 원통형의 중간 통부(121)와, 상기 중간 통부(121)로부터 타단측에 연속하여 일체적으로 마련되는 원환형의 푸셔부(122)를 갖는다. 너트부(120)의 내벽면에는, 스핀들 로드(80)의 수나사부(95)와 나사 결합하는, 결합부로서의 암나사부(125)가 형성된다.
스핀들 로드(80)의 수나사부(95)와 어저스터 너트(81)의 너트부(120)의 암나사부(125) 사이의 제1 나사 감합부(내측의 나사 기구)(126)는, 피스톤(18)으로부터 어저스터 너트(81)에 전달되는 축방향 하중에 의해 스핀들 로드(80)가 회전하지 않도록, 그 역효율이 0 이하가 되도록, 불가역성을 갖는 나사 감합부로서 구성된다. 즉, 제1 나사 감합부(126)는, 전동 모터(40)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18)을 이동시키며, 전동 모터(40)의 회전이 정지하였을 때에, 피스톤(18)을 이동한 위치에 유지하는 나사 기구로 되어 있다. 너트부(120)에는, 그 일단측의 외벽면에 환형 홈부(130)가 축방향에 복수 연달아 마련되어 구성되는 제1 태양 축부(131)와, 그 타단측의 외벽면에 축방향을 따르는 세로 홈부(132)가 둘레 방향에 복수 연달아 마련되어 구성되는 제2 태양 축부(133)가 형성된다. 제2 태양 축부(133)의 외경은, 제1 태양 축부(131)의 외경보다 대직경으로 형성된다.
중간 통부(121)의 외경은, 제2 태양 축부(133)의 외경보다 대직경으로 형성된다. 중간 통부(121)와 너트부(120) 사이의 외벽면은, 일단을 향하여 직경 축소되는 만곡면(134)으로 형성된다. 중간 통부(121)의 삽입 관통 구멍(121a)의 내경은, 암나사부(125)의 내경보다 대직경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중간 통부(121)의 삽입 관통 구멍(121a)의 내벽면과 너트부(120)의 내벽면 사이에 환형 벽면(135)이 형성된다. 중간 통부(121)의 둘레벽부에는,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유통 구멍(140)이 직경 방향을 따라 관통된다. 상기 유통 구멍(140)은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각 유통 구멍(140)은 브레이크액의 유통을 위해 마련되어 있다. 푸셔부(122)의 외경은, 중간 통부(121)의 외경보다 대직경으로 형성된다.
푸셔부(122)의 삽입 관통 구멍(122a)의 내경은, 중간 통부(121)의 삽입 관통 구멍(121a)의 내경보다 소직경으로 형성된다. 이에 의해, 중간 통부(121)의 삽입 관통 구멍(121a)의 내벽면과, 푸셔부(122)의 삽입 관통 구멍(122a)의 내벽면 사이에 환형 단차부(141)가 형성된다. 또한, 중간 통부(121)의 삽입 관통 구멍(121a) 및 푸셔부(122)의 삽입 관통 구멍(122a) 각각의 내벽면과, 스핀들 로드(80)의 나사 결합 축부(92)[수나사부(95)]의 외벽면 사이에 환형 공간(142)이 형성된다. 어저스터 너트(81)의 일단면, 자세히는 너트부(120)의 일단면에는,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 오목부(143)가 형성된다. 또한, 어저스터 너트(81)의 일단면에 마련한 각 걸림 오목부(143)가, 스핀들 로드(80)의 원판형부(90)의 타단면에 마련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각 걸림 볼록부(96)에 각각 결합함으로써, 어저스터 너트(81)의 암나사부(125)의, 스핀들 로드(80)의 수나사부(95)에의 과도한 밀어넣기를 억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어저스터 너트(81)의 너트부(120)의 둘레에는, 복수의 플래니터리 로드(83)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래니터리 로드(83)가 6개 배치되어 있다. 각 플래니터리 로드(83)는, 일단측의 외벽면에 환형 홈부(147)가 축방향으로 복수 연달아 마련되어 구성되는 제1 플래니터리 로드부(148)와, 타단측의 외벽면에 축방향을 따르는 세로 홈부(149)가 둘레 방향으로 복수 연달아 마련되어 구성되는 제2 플래니터리 로드부(150)로 구성된다. 제1 플래니터리 로드부(148)의 외경은, 제2 플래니터리 로드부(150)의 외경보다 대직경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의 제1 플래니터리 로드부(148)의 각 환형 홈부(147)가, 어저스터 너트(81)[너트부(120)]의 제1 태양 축부(131)의 각 환형 홈부(130)에 감합하며,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의 제2 플래니터리 로드부(150)의 각 세로 홈부(149)가, 어저스터 너트(81)[너트부(120)]의 제2 태양 축부(133)의 각 세로 홈부(132)에 기어 감합하고 있다. 그리고,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의 제1 플래니터리 로드부(148)의 각 환형 홈부(147)와, 어저스터 너트(81)의 제1 태양 축부(131)의 각 환형 홈부(130)의 감합에 의해, 양자(81, 83)의 상대적인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의 제2 플래니터리 로드부(150)의 각 세로 홈부(149)와, 어저스터 너트(81)의 제2 태양 축부(133)의 각 세로 홈부(132)의 기어 감합에 의해, 어저스터 너트(81)로부터의 회전 토크가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각 플래니터리 로드(83)는, 어저스터 너트(81)의 회전에 의해, 어저스터 너트(81)의 제1 및 제2 태양 축부(131, 133)의 둘레를 자전하면서 공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각 플래니터리 로드(8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케이지(153)가 마련된다. 상기 케이지(153)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케이지(153)는, 일단측에 위치하는 소직경 케이지부(154)와, 상기 소직경 케이지부(154)로부터 연속하여 타단측에 위치하는 대직경 케이지부(155)로 구성된다. 소직경 케이지부(154)의 내벽면이 어저스터 너트(81)의 제1 태양 축부(131)의 외벽면에 접촉함으로써, 케이지(153)는, 직경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대직경 케이지부(155)의 외경은, 어저스터 너트(81)의 중간 통부(121)의 외경보다 소직경이다. 대직경 케이지부(155)의 둘레벽부에는,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지지 구멍(156)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 구멍(156)은 플래니터리 로드(83)에 대응한 수량이 형성된다. 지지 구멍(156)은, 축방향으로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 지지 구멍(156)의 축방향을 따르는 거리가 플래니터리 로드(83)의 전체 길이에 대략 일치하며, 각 지지 구멍(156)의 둘레 방향을 따르는 거리가 플래니터리 로드(83)의 제1 플래니터리 로드부(148)의 외경에 대략 일치한다. 이에 의해, 각 지지 구멍(156)에 각 플래니터리 로드(83)가 회전 가능하게 각각 지지된다. 대직경 케이지부(155)의 둘레벽부에 있어서의 인접하는 지지 구멍(156)의 사이에는, 축방향 연신부(157)가 마련되고, 축방향 연신부(157)는 외주면에 대하여 움패며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 케이지(153)의 강성을 확보하고 있다.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의 둘레에 링 샤프트(82)가 배치된다. 상기 링 샤프트(82)는, 실린더(15)의 바닥벽(11)으로부터 피스톤(18) 내를 향하여 배치된다. 링 샤프트(82)는, 일단측에 위치하는 대직경 링 샤프트부(158)와, 상기 대직경 링 샤프트부(158)로부터 타단측으로 연속하여 일체적으로 연장되는 소직경 링 샤프트부(159)로 구성된다. 대직경 링 샤프트부(158)의 외경은, 실린더(15) 내의 소직경 개구부(9b)의 내경보다 소직경이다. 소직경 링 샤프트부(159)의 외경은, 피스톤(18)의 내경보다 소직경이다. 대직경 링 샤프트부(158)의 일단면에는,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 오목부(162)가 형성된다. 대직경 링 샤프트부(158)의 일단 외벽면에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각 회전 규제용 돌기부(101)의 외벽면에 마련한 수용 홈부(102)와 연속하는 수용 홈부(163)가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대직경 링 샤프트부(158)의 각 걸림 오목부(162)에,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마련한 각 회전 규제용 돌기부(101)가 결합된다. 이에 의해, 대직경 링 샤프트부(158)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대적인 회전이 규제된다. 또한, 대직경 링 샤프트부(158)의 수용 홈부(163)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각 회전 규제용 돌기부(101)에 마련한 수용 홈부(102)에 리테이닝 링(165)이 조립된다. 리테이닝 링(165)은 C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닝 링(165)은 직경 확장됨으로써, 직경 방향으로 내측을 향하는 편향력이 생기는 탄성 부재이다. 이에 의해, 리테이닝 링(165)이, 대직경 링 샤프트부(158)의 수용 홈부(163)의 바닥면에 밀착하며,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각 회전 규제용 돌기부(101)의 수용 홈부(102)의 바닥면에 밀착하여, 대직경 링 샤프트부(158)와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축방향을 따르는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된다. 대직경 링 샤프트부(158)의 둘레벽부에는, 직경 방향을 따라 관통하는 유통 구멍(164)이 둘레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다. 각 유통 구멍(164)은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각 유통 구멍(164)은, 브레이크액의 유통을 위해 마련되어 있다.
소직경 링 샤프트부(159)의 내벽면에는,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의 제1 플래니터리 로드부(148)의 각 환형 홈부(147)가 각각 맞물리는 암나사부(167)가 형성된다. 또한,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의 제1 플래니터리 로드부(148)의 환형 홈부(147)와, 소직경 링 샤프트부(159)의 암나사부(167)의 맞물림 조건은, 제1 플래니터리 로드부(148)의 각 환형 홈부(147)의 피치와, 소직경 링 샤프트부(159)의 암나사부(167)의 피치를 동일하게 하여, 암나사부(167)의 줄수를 플래니터리 로드(83)의 개수의 배수로 설정한다. 예컨대, 피치가 1 ㎜인 각 환형 홈부(147)를 갖는 플래니터리 로드(83)를 3개 배치하는 경우, 소직경 링 샤프트부(159)의 암나사부(167)는, 피치가 1 ㎜이며, 줄수가 6(3개×2배), 즉 리드가 6으로 설정된다.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의 제1 플래니터리 로드부(148)의 각 환형 홈부(147)와, 소직경 링 샤프트부(159)의 암나사부(167) 사이의 제2 나사 감합부(외측의 나사 기구)(168)는, 피스톤(18)으로부터 어저스터 너트(81)에 전달되는 축방향 하중에 의해 각 플래니터리 로드(83)가 공전하도록, 그 역효율이 0 이상이 되도록, 가역성이 있는 나사 감합부, 즉 기계 효율이 높은 나사 기구로서 구성된다. 또한, 제2 나사 감합부(168)는, 제1 나사 감합부(126)와 역방향의 나사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나사 감합부(168)가 좌나사, 제1 나사 감합부(126)가 우나사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실린더(15) 내에서 직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슬라이딩 나사인 제1 나사 감합부(126)보다 외측에 배치되는 제2 나사 감합부(168)는, 제1 나사 감합부(126)보다 기계 효율이 높은 나사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소직경 링 샤프트부(159)의 외경과, 어저스터 너트(81)의 푸셔부(122)의 외경은 대략 동일하다. 소직경 링 샤프트부(159)의 타단면에 근접하도록, 어저스터 너트(81)의 푸셔부(122)가 배치된다. 푸셔부(122)의 타단면에 접촉하도록, 원환형의 제2 스러스트 베어링(170)이 배치된다. 제2 스러스트 베어링(170)은 니들 베어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스러스트 베어링(170)의 타단면에 접촉하도록 원환형의 푸셔 부재(171)가 배치된다. 이 제2 스러스트 베어링(170)은, 어저스터 너트(81)에 대하여 푸셔 부재(17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즉, 어저스터 너트(81)의 회전력은, 제2 스러스트 베어링(170)에 의해 억제되어, 피스톤(18)에는 전달되지 않게 되어 있다. 상기 푸셔 부재(171)의 타단면의 외주부에는, 피스톤(18)의 바닥부(19)에 마련한 환형 경사부(31)에 접촉하는 구형면(173)이 형성된다. 푸셔 부재(171)의 외벽면에는, 브레이크액의 유통을 위한 유통 오목부(174)가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된다. 또한, 푸셔 부재(171)의 외경과, 제2 스러스트 베어링(170)의 외경과, 어저스터 너트(81)의 푸셔부(122)의 외경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푸셔 부재(171)의 삽입 관통 구멍(171a)의 내경과, 제2 스러스트 베어링(170)의 삽입 관통 구멍(170a)의 내경과, 어저스터 너트(81)의 푸셔부(122)의 삽입 관통 구멍(122a)의 내경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2 스러스트 베어링(170)을, 니들 베어링에 의해 구성하고 있지만, 피스톤(18)에의 어저스터 너트(81)의 회전력을 억제하는 것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볼 베어링이나 테이퍼 롤러 베어링의 스러스트 베어링을 이용하여도 좋다.
이들 푸셔 부재(171) 및 제2 스러스트 베어링(170)은, 베어링 홀더(176)에 의해 어저스터 너트(81)에 유지된다. 상기 베어링 홀더(176)는, 얇은 벽 두께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베어링 홀더(176)의 외경이, 푸셔 부재(171)의 삽입 관통 구멍(171a)의 내경, 제2 스러스트 베어링(170)의 삽입 관통 구멍(170a)의 내경 및 푸셔부(122)의 삽입 관통 구멍(122a)의 내경에 대략 일치하고 있다. 베어링 홀더(176)는, 그 타단에 위치하여 직경 방향으로 돌출 설치되는 수취부(177)가 형성된다. 베어링 홀더(176)의 일단측의 외벽면에는,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 부재(178)가 형성된다. 각 걸림 부재(178)는,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그 일단이 베어링 홀더(176)의 둘레벽부에 접속되도록, 그 주변을 절결하여 형성된다. 각 걸림 부재(178)는, 그 타단이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설치된다.
그리고, 베어링 홀더(176)의 일단측[수취부(177)와 반대측]을, 푸셔 부재(171)의 타단으로부터, 푸셔 부재(171)의 삽입 관통 구멍(171a)의 내벽면, 제2 스러스트 베어링(170)의 삽입 관통 구멍(170a)의 내벽면, 푸셔부(122)의 삽입 관통 구멍(122a)의 내벽면 및 중간 통부(121)의 삽입 관통 구멍(121a)의 내벽면과, 스핀들 로드(80)의 나사 결합 축부(92) 사이의 환형 공간(142)에 삽입한다. 그렇게 하면, 베어링 홀더(176)의 각 걸림 부재(178)가, 그 외벽면이 베어링 홀더(176)의 둘레벽부의 외벽면과 일치하도록 내측을 향하여 탄성 변형하면서, 베어링 홀더(176)의 외벽면이, 푸셔 부재(171)의 삽입 관통 구멍(171a)의 내벽면, 제2 스러스트 베어링(170)의 삽입 관통 구멍(170a)의 내벽면 및 푸셔부(122)의 삽입 관통 구멍(122a)의 내벽면에 순차 접촉하면서 삽입된다.
그 결과, 베어링 홀더(176)의 수취부(177)가 푸셔 부재(171)의 타단면에 접촉하며, 베어링 홀더(176)의 일단면이, 중간 통부(121)의 삽입 관통 구멍(121a)의 내벽면과 너트부(120)의 내벽면 사이의 환형 벽면(135)에 근접한다. 이때, 각 걸림 부재(178)는 중간 통부(121) 내에 위치하며, 각 걸림 부재(178)의 타단이 직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복원하여, 그 타단면이 중간 통부(121)의 삽입 관통 구멍(121a)의 내벽면과 푸셔부(122)의 삽입 관통 구멍(122a)의 내벽면 사이의 환형 단차부(141)에 접촉된다. 이 베어링 홀더(176)에 의해, 푸셔 부재(171) 및 제2 스러스트 베어링(170)은, 그 직경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고, 어저스터 너트(81)에 대하여, 축방향의 상대적인 이동이 규제되어 유지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모터(40)에는, 전동 모터(40)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 수단인 전자 제어 장치로 이루어지는 ECU(210)가 접속되어 있다. ECU(210)에는,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해제를 지시하도록 조작되는 파킹 스위치(211)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ECU(210)는, 도시 생략된 차량측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파킹 스위치(211)의 조작에 의하지 않고 작동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a)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브레이크 페달(도시 생략)의 조작에 의한 통상의 액압 브레이크로서의 디스크 브레이크(1a)의 제동 시에 있어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운전자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이 밟히면, 브레이크 페달의 답력에 따른 액압이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액압 회로(모두 도시 생략)를 거쳐 캘리퍼(4) 내의 액압실(21)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피스톤(18)이 피스톤 시일(16)을 탄성 변형시키면서 비제동 시의 원위치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이동하여 이너 브레이크 패드(2)를 디스크 로터(D)에 압박한다. 그리고, 캘리퍼 본체(6)는, 피스톤(18)의 압박력의 반력에 의해 브래킷에 대하여 도 1에 있어서의 일단측을 향하여 이동하여, 클릭부(8)에 부착된 아우터 브레이크 패드(3)를 디스크 로터(D)에 압박한다. 이 결과, 디스크 로터(D)가 한 쌍의 이너 및 아우터 브레이크 패드(2, 3)에 의해 사이에 끼워져 마찰력이 발생하고, 나아가서는, 차량의 제동력이 발생한다.
그리고,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해방하면, 마스터 실린더로부터의 액압의 공급이 끊어져 액압실(21) 내의 액압이 저하한다. 이에 의해, 피스톤(18)은, 피스톤 시일(16)의 탄성 변형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까지 후퇴하여 제동력이 해제된다. 덧붙여서, 이너 및 아우터 브레이크 패드(2, 3)의 마모에 따라 피스톤(18)의 이동량이 증대하여 피스톤 시일(16)의 탄성 변형의 한계를 넘으면, 피스톤(18)과 피스톤 시일(16) 사이에 미끄러짐이 생긴다. 이 미끄러짐에 의해 캘리퍼 본체(6)에 대한 피스톤(18)의 원위치가 이동함으로써, 브레이크 패드(2, 3)가 마모한 경우라도, 패드 클리어런스가 일정하게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차량의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주차 브레이크로서의 작용을 도 4에 기초하여, 도 1~도 3도 적절하게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도 4의 (a) 및 (b)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킬(어플라이시킬) 때의 작용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먼저,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상태로부터 파킹 스위치(211)가 조작되어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시킬 때에, ECU(210)는, 전동 모터(40)를 구동시켜, 평치 다단 감속 기구(44)를 통해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의 선 기어(57)를 어플라이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선 기어(57)의 어플라이 방향에의 회전에 의해, 각 플래니터리 기어(60)를 통해 캐리어(62)가 어플라이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캐리어(62)로부터의 회전, 즉 전동 모터(40)의 회전이 스핀들 로드(80)에 전달된다.
다음에, 도 4의 (a)의 상태로부터, 스핀들 로드(80)가 어플라이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어플라이 방향에의 회전 토크가 어저스터 너트(81)에 전달된다. 그 후, 어저스터 너트(81)에 전달된 어플라이 방향의 회전 토크는,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의 제2 플래니터리 로드부(150)와 어저스터 너트(81)의 제2 태양 축부(133)의 기어 감합에 의해,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에 전달된다.
그리고,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에 전달된 어플라이 방향의 회전 토크에 의해, 링 샤프트(82)가 실린더(15)의 바닥벽(11)에 지지된 베이스 플레이트(100)에 대하여 축방향으로의 이동 및 상대 회전이 규제되고 있기 때문에,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의 제1 플래니터리 로드부(148)의 각 환형 홈부(147)와 링 샤프트(82)의 암나사부(167) 사이의 제2 나사 감합부(168)가 상대 회전하여, 각 플래니터리 로드(83)가 어저스터 너트(81)의 제1 및 제2 태양 축부(131, 133)와 링 샤프트(82)의 암나사부(167) 사이를 자전하면서 공전하면서 타단측을 향하여 이동하며, 어저스터 너트(81)가 어플라이 방향으로 스핀들 로드(8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서 타단측으로 이동한다.
즉, 어저스터 너트(81)는, 스핀들 로드(80)로부터의 회전 토크에 대하여,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의 동작에 의한 회전 저항 토크가 반력으로서 부여됨으로써, 스핀들 로드(8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서 타단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문에, 어저스터 너트(81)를 직동시키기 위한 회전 차단부를 피스톤(18)에 마련할 필요가 없어, 피스톤(18)의 내주 형상을 간이하게 할 수 있어, 디스크 브레이크의 제조 효율이 향상된다.
그 결과,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저스터 너트(81)(회전하면서), 케이지(153)를 포함하는 각 플래니터리 로드(83)(공전하면서), 제2 스러스트 베어링(170) 및 푸셔 부재(171)가 일체가 되어, 피스톤(18)의 바닥부(19)를 향하여 이동하여, 푸셔 부재(171)의 구형면(173)이 피스톤(18)의 바닥부(19)의 환형 경사부(31)에 접촉한다. 이 접촉에 의해, 피스톤(18)이 전진하여, 피스톤(18)의 바닥부(19)의 일단면이 이너 브레이크 패드(2)에 접촉하여, 압박한다.
이때, 피스톤(18)에는, 어저스터 너트(81)를 통해, 스핀들 로드(80)의 수나사부(95)와 어저스터 너트(81)의 암나사부(125) 사이의 제1 나사 감합부(126)에서 발생하는 추력에,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의 제1 플래니터리 로드부(148)의 각 환형 홈부(147)와 링 샤프트(82)의 암나사부(167) 사이의 제2 나사 감합부(168)에서 발생하는 추력을 더한 추력이 부여된다.
또한, 피스톤(18)에의 추력 부여 시에, 어저스터 너트(81)의 회전력은, 제2 스러스트 베어링(170)에 의해 억제되어, 피스톤(18)에는 전달되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스핀들 로드(80)를 어플라이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어저스터 너트(81), 각 플래니터리 로드(83), 제2 스러스트 베어링(170) 및 푸셔 부재(171)가 일체가 되어, 피스톤(18)의 바닥부(19)를 향하여 이동하여 그 바닥부(19)에 접촉하고, 피스톤(18)을 타단측으로 이동시켜 디스크 로터(D)에의 압박력을 얻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이너 및 아우터 브레이크 패드(2, 3)의 경시적인 마모에 의해, 실린더(11)에 대한 피스톤(18)의 위치가 변화하여도, 피스톤(18)에 대한 어저스터 너트(81)의 원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ECU(210)는, 한 쌍의 이너 및 아우터 브레이크 패드(2, 3)로부터 디스크 로터(D)에의 압박력(제동력)이 소정값에 도달할 때까지, 예컨대 전동 모터(40)의 전류값이 소정값에 달할 때까지 전동 모터(40)를 구동한다. 그 후, ECU(210)는, 디스크 로터(D)에의 압박력이 소정값에 도달한 것을 전동 모터(40)의 전류값이 소정값에 달함으로써 검출하면, 전동 모터(40)에의 통전을 정지한다. 그렇게 되면, 스핀들 로드(80)의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회전이 정지되기 때문에, 어저스터 너트(81)의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회전이 정지된다.
또한, 스핀들 로드(80)의 수나사부(95)와 어저스터 너트(81)의 암나사부(125) 사이의 제1 나사 감합부(126)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로터(D)로부터의 압박력의 반력이 작용하여도, 스핀들 로드(80)와 어저스터 너트(81) 사이에서 역작동하지 않는 나사 감합부로서 구성된다. 이로써, 어저스터 너트(81)에, 디스크 로터(D)부터의 압박력의 반력이 작용하여도, 어저스터 너트(81)의 정지 상태가 유지되어, 피스톤(18)이 제동 위치에 유지되어,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이 완료한다.
여기서, 슬라이딩 나사인 제1 나사 감합부(내측의 나사 기구)(126)는 실린더(15) 내의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의 유효경이 작아진다. 이에 의해, 역효율이 0 이하로 되어 있어도 정효율이 비교적 양호해진다. 이 때문에, 제1 나사 감합부(126)라도 비교적 높은 추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슬라이딩 나사를 실린더(15) 내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한 경우, 나사의 유효경이 커짐으로써 정효율이 비교적 악화하여, 비교적 낮은 추력밖에 발생시킬 수 없다. 이들 발생 추력의 고저는, 전동 모터(18)가 정지하였을 때의 유지 추력에 영향을 끼치게 되어, 슬라이딩 나사를 실린더(15) 내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한 경우에는, 슬라이딩 나사를 실린더(15) 내의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한 경우보다 추력이 크게 저하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 나사인 제1 나사 감합부(126)를 실린더(15) 내의 직경 방향 내측에 마련함으로써, 전동 모터(18)가 정지하였을 때의 유지 추력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차량을 주차 상태로 할 수 있다.
주차 브레이크의 작동이 완료한 상태에 있어서는, 디스크 로터(D)로부터의 압박력의 반력이, 푸셔 부재(171), 제2 스러스트 베어링(170), 어저스터 너트(81), 스핀들 로드(80), 제1 스러스트 베어링(110),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통해 실린더(15)의 바닥벽(11)에 전달되어 피스톤(18)의 유지력으로 되고 있다.
다음에, 주차 브레이크를 해제(릴리스)할 때에는, 파킹 스위치(211)의 파킹 해제 조작에 기초하여, ECU(210)는, 피스톤(18)을 되돌리는, 즉 피스톤(18)을 디스크 로터(D)로부터 이격시키는 릴리스 방향으로 전동 모터(40)를 회전 구동한다. 이에 의해, 평치 다단 감속 기구(44)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가 피스톤(18)을 되돌리는 릴리스 방향으로 회전하여, 캐리어(62)를 통해 스핀들 로드(80)에 그 회전이 전달된다.
다음에, 스핀들 로드(80)가 릴리스 방향으로 회전하면, 전술한 어플라이 방향으로의 회전에 따른 동작의 역동작하게 되어, 그 릴리스 방향으로의 회전 토크가 어저스터 너트(81)를 통해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에 전달된다. 그리고,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에 전달된 릴리스 방향의 회전 토크에 의해,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의 제1 플래니터리 로드부(148)의 각 환형 홈부(147)와 링 샤프트(82)의 암나사부(167) 사이의 제2 나사 감합부(168)가 상대 회전하여, 각 플래니터리 로드(83)가 어저스터 너트(81)의 제1 및 제2 태양 축부(131, 133)와 링 샤프트(82)의 암나사부(167) 사이를 자전하면서 공전하면서 일단측을 향하여 이동하며, 어저스터 너트(81)가 릴리스 방향으로 스핀들 로드(8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서 일단측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어저스터 너트(81)(회전하면서), 케이지(153)를 포함하는 각 플래니터리 로드(83)(공전하면서), 제2 스러스트 베어링(170) 및 푸셔 부재(171)가 일체가 되어, 피스톤(18)의 바닥부(19)로부터 떨어지도록 일단측으로 이동하여, 푸셔 부재(171)의 구형면(173)이 피스톤(18)의 바닥부(19)의 환형 경사부(31)로부터 이격된다. 그리고, ECU(210)는, 어저스터 너트(81)의 구형면(173)과, 피스톤(18)의 바닥부(19)에 마련한 환형 경사부(31) 사이가 소정 간극을 갖는 초기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전동 모터(40)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피스톤(18)은, 피스톤 시일(16)의 탄성 변형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까지 후퇴하여 제동력이 완전히 해제된다.
또한, 전술한 릴리스 시, 어저스터 너트(81)가 스핀들 로드(8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서 일단측으로 이동하지만, 어저스터 너트(81)의 일단면에 마련한 각 걸림 오목부(143)가, 스핀들 로드(80)의 원판형부(90)의 타단면에 마련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각 걸림 볼록부(96)에 각각 결합한 시점에서 서로의 상대 회전이 규제되기 때문에, 어저스터 너트(81)의 암나사부(125)의, 스핀들 로드(80)의 수나사부(95)에의 과도한 밀어넣기를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a)에서는, 주차 브레이크를 작동 및 해제할 때, 전동 모터(40)로부터의 회전 토크에 의해,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의 제1 플래니터리 로드부(148)의 각 환형 홈부(147)와 링 샤프트(82)의 암나사부(167) 사이의 제2 나사 감합부(168)가 상대 회전함으로써, 어저스터 너트(81)가 스핀들 로드(8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여, 어저스터 너트(81)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다수의 구성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아, 부품 개수이 적고 간소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b)를 도 5~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b)를 설명할 때에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a)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어저스터 너트(81)의 너트부(120)는, 일단측의 외벽면에 환형 홈부(130)가 축방향으로 복수 연달아 마련되어 구성되는 태양 축부(180)와, 그 타단측의 외벽면에 축방향을 따르는 지지 세로 홈부(183)가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는 지지축부(181)로 구성된다. 지지축부(181)의 외경이 태양 축부(180)의 외경보다 대직경으로 형성된다. 중간 통부(121)의 외벽면과 지지축부(181)의 외벽면 사이에 환형 지지면(182)이 형성된다. 각 플래니터리 로드(83)는, 그 외벽면에, 환형 홈부(147)가 축방향 전역에 걸쳐 복수 연달아 마련되어 구성된다.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의 각 환형 홈부(147)가, 어저스터 너트(81)의 태양 축부(180)의 각 환형 홈부(130)에 맞물리게 된다. 또한, 편향 부재인 웨이브 스프링 와셔(185)가, 어저스터 너트(81)의 환형 지지면(182)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원환형의 스프링 시트(186)가, 웨이브 스프링 와셔(185)의 일단면에 접촉하며, 케이지(153)의 타단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스프링 시트(186)의 내벽면에는,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돌기부(187)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시트(186)의 각 돌기부(187)가 어저스터 너트(81)의 지지축부(181)의 지지 세로 홈부(183)에 결합된다. 그리고, 스프링 시트(186)는, 어저스터 너트(81)에 대하여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스프링 시트(186)에 의해 케이지(153)로부터의 회전 토크가 웨이브 스프링 와셔(185)에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웨이브 스프링 와셔(185)의 외경은, 스프링 시트(186)의 외경 및 어저스터 너트(81)의 중간 통부(121)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며, 케이지(153)의 대직경 케이지부(155)의 외경보다 대직경이다. 또한, 케이지(153)의 대직경 케이지부(155)의 둘레벽부에는,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유통 구멍(188)이 직경 방향을 따라 관통된다. 각 유통 구멍(188)은 각 지지 구멍(156)의 타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유통 구멍(188)은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된다. 각 유통 구멍(188)은 브레이크액의 유통을 위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 디스크 브레이크(1b)에서는, 웨이브 스프링 와셔(185)를 채용하였지만, 코일 스프링 등, 축방향을 향하여 편향하는 편향 부재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각 플래니터리 로드(83)는, 케이지(153)의 각 지지 구멍(15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지만, 웨이브 스프링 와셔(185)의 편향력에 의해 케이지(153)가 일단측으로 편향됨으로써, 각 지지 구멍(156)이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의 타단면에 접촉하며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의 각 환형 홈부(147)와 어저스터 너트(81)의 태양 축부(180)의 각 환형 홈부(130) 사이의 감합부의 회전 저항 토크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어저스터 너트(81)로부터의 회전 토크를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어플라이 시, 디스크 로터(D)로부터의 축방향을 따르는 반력에 의해,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와 어저스터 너트(81)의 태양 축부(180)의 회전 저항 토크가 증대하기 때문에, 이 웨이브 스프링 와셔(185)의 편향력은 비교적 작은 것이어도 좋다.
또한,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a)에서는, 어저스터 너트(81)로부터의 회전 토크를,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의 제2 플래니터리 로드부(150)와 어저스터 너트(81)의 제2 태양 축부(133)의 기어 감합에 의해,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에 전달하고 있다. 한편,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b)에서는, 어저스터 너트(81)로부터의 회전 토크를,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와 어저스터 너트(81)의 태양 축부(180)의 회전 저항에 의해,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에 전달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b)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a)에서 채용한, 각 플래니터리 로드(83)의 제2 플래니터리 로드부(150)를 채용하지 않고, 어저스터 너트(81)의 너트부(120)의 제2 태양 축부(133)를 채용하는 일없이, 웨이브 스프링 와셔(185) 및 스프링 시트(186)를 채용하였기 때문에,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a)에 비해서, 제조, 조립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c)를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c)를 설명할 때에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a)와의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어저스터 너트(81)는, 스핀들 로드(80)와 나사 결합하는 너트부(120)와, 그 너트부(120)로부터 타단측에 연속하여 일체적으로 마련되는 원환형의 푸셔부(122)를 갖는다. 푸셔부(122)의 외경은 너트부(120)의 외경보다 대직경으로 형성된다. 너트부(120)의 외벽면에는, 그 축방향 전역에 걸쳐 볼 홈(190)이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링 샤프트(82)의 소직경 링 샤프트부(159)의 타단측 내벽면에는, 볼 홈(191)이 나선형으로 형성된다. 너트부(120)의 볼 홈(190)과, 링 샤프트(82)의 볼 홈(191) 사이에 복수의 전동체인 볼(192)이 개재되어 있다. 이들로 구성되는 외측의 나사 기구인 볼나사 감합부(195)는, 내측의 나사 기구인 제1 나사 감합부(126)의 역방향의 나사로 되어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좌나사로서 구성된다. 또한, 내측의 나사 기구인 제1 나사 감합부(126)가 슬라이딩 나사로 구성되는 데 비하여, 외측의 나사 기구인 볼 나사 감합부(195)는 슬라이딩 나사보다 기계 효율이 높은 나사 기구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c)에서는, 스핀들 로드(80)를 회전시켜, 그 회전 토크가 어저스터 너트(81)에 부여되면, 어저스터 너트(81)와 링 샤프트(82) 사이의 볼나사 감합부(195)가 상대 회전하며 어저스터 너트(81)에 회전 저항 토크가 부여됨으로써, 어저스터 너트(81)가 스핀들 로드(8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c)에서는, 어플라이 시, 피스톤(18)에, 어저스터 너트(81)를 통해, 스핀들 로드(80)의 수나사부(95)와 어저스터 너트(81)의 암나사부(125) 사이의 제1 나사 감합부(126)에서 발생하는 추력에, 어저스터 너트(81)와 링 샤프트(82) 사이의 볼나사 감합부(195)에서 발생하는 추력을 더한 추력이 부여된다.
이상 설명한,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c)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a, 1b)에서 채용한 복수의 플래니터리 로드(83)를 채용하는 일없이, 어저스터 너트(81)의 너트부(120)와 링 샤프트(82) 사이에 볼나사 감합부(195)를 채용하였기 때문에,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a, 1b)에 비해서, 제조, 조립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제3 실시형태에 따른 디스크 브레이크(1a~1c)에서는, 감속 기구로서 평치 다단 감속 기구(44) 및 유성 기어 감속 기구(45)를 채용하였지만, 사이클로이드 감속기나 파동 감속기 등, 다른 공지의 감속 기구를 채용하여도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의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작용의 일례인, 주차 브레이크를 예로, 피스톤 추진 기구(43)의 작동을 설명하였지만, 주차 브레이크 이외의 경우, 예컨대 언덕길에서의 차량의 발진을 보조하기 위한 힐 스타트 어시스트나 힐 다운 어시스트, 액셀레이터 오프에서 정차 상태에 있을 때의 오토 스톱 시 등의 경우에, 주차 브레이크 기구인 피스톤 추진 기구(43)를 작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기초한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예컨대 이하에 서술하는 양태의 것이 고려된다.
제1 양태로서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제공된다. 이 디스크 브레이크는, 로터를 사이에 두고 그 로터의 축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패드 중 한쪽을 상기 로터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실린더를 갖는 캘리퍼 본체와, 상기 캘리퍼 본체에 마련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캘리퍼 본체의 상기 실린더 내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을 추진하는 피스톤 추진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피스톤 추진 기구는, 상기 실린더 내를 상기 피스톤의 돌출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배치되는 입력 부재로서, 상기 입력 부재의 둘레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의 토크가 전달되어 회전하는 입력 부재와, 상기 입력 부재의 상기 나사부에 맞물리는 결합 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입력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피스톤에 상기 전동 모터의 토크를 전달하는 통형의 회전 직동 부재와, 상기 캘리퍼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회전 직동 부재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통형의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회전 직동 부재 사이에,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회전 직동 부재에 결합한 상태로 배치되는 전동체로서, 상기 입력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 직동 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회전 직동 부재에 회전 저항을 부여하여 상기 회전 직동 부재를 상기 입력 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키면서 직동시키는 전동체를 구비한다.
제2 양태로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동체는, 축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상기 회전 직동 부재의 외주면과 감합되는 전동축이고, 상기 전동축의 외주면은, 상기 지지 부재의 내주면과 나사 감합된다.
제3 양태로서는, 제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동축의 상기 외주면은, 상기 회전 직동 부재의 상기 외주면과 기어 감합된다.
제4 양태로서는, 제2 양태에 있어서, 디스크 브레이크는, 상기 전동축을, 상기 전동축과 상기 회전 직동 부재 사이의 감합부의 회전 저항 토크를 증대시키도록 축방향을 따라 편향하는 편향 부재를 구비한다.
제5 양태로서는, 제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전동체는, 상기 지지 부재의 내벽면에 마련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볼 홈과, 상기 회전 직동 부재의 외주면에 마련한 나선형으로 연장되는 볼 홈 사이에 개재되는 볼이다.
제6 양태로서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제공된다. 이 디스크 브레이크는, 로터에 패드를 압박하는 피스톤을 갖는 캘리퍼 본체로서, 상기 피스톤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실린더 보어가 형성되는 캘리퍼 본체와, 상기 캘리퍼 본체에 부착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실린더 보어 내에 마련되어, 상기 전동 모터의 토크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추진하는 피스톤 추진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피스톤 추진 기구는, 상기 전동 모터의 토크에 의한 회전을 직동 운동으로 변환하는 2개의 나사 기구를, 상기 실린더 보어의 직경 방향의 내측과 외측에 구비한다. 상기 외측의 나사 기구는, 상기 내측의 나사 기구보다 높은 기계 효율을 갖는다.
제7 양태로서는, 제6 양태에 있어서, 상기 내측의 나사 기구 및 상기 외측의 나사 기구는,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켜, 상기 전동 모터의 회전이 정지하였을 때에, 상기 내측의 나사 기구가, 상기 피스톤을 소정 위치에 유지한다.
제8 양태로서는, 제6 또는 제7 양태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추진 기구는, 상기 전동 모터의 토크에 의해 회전하는 축 부재와, 내주면을 갖는 통형 부재로서, 상기 축 부재에 상기 내주면에서 나사 감합하여 직동하는 통형 부재와, 상기 캘리퍼 본체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통형 부재의 외주면에 나사 감합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내측의 나사 기구가, 상기 축 부재와 상기 통형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의 나사 기구가, 상기 통형 부재와 상기 고정 부재로 형성되고, 상기 외측의 나사 기구는, 상기 통형 부재에 회전 저항력을 부여한다.
제9 양태로서는, 제6 내지 제8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통형 부재와 상기 피스톤 사이에는, 상기 피스톤에의 상기 통형 부재의 회전력의 전달을 억제하는 스러스트 베어링이 배치되어 있다.
제10 양태로서는, 제6 내지 제9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상기 외측의 나사 기구는,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통형 부재 사이에, 상기 고정 부재와 상기 통형 부재에 결합한 상태로 배치되는 전동체로서, 상기 축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통형 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통형 부재에 회전 저항을 부여하여 상기 통형 부재를 상기 축 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키면서 직동시키는 전동체를 구비한다.
이상,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여 왔지만, 전술한 발명의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그 취지를 일탈하는 일없이, 변경, 개량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는 그 균등물이 포함된다. 또한, 전술한 과제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할 수 있는 범위, 또는 효과 중 적어도 일부를 발휘하는 범위에 있어서, 청구범위 및 명세서에 기재된 각 구성 요소의 임의의 조합 또는 생략이 가능하다.
본원은 2016년 6월 28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16-127898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한다. 2016년 6월 28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2016-127898호의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 및 요약서를 포함하는 모든 개시 내용은, 참조에 의해 전체로서 본원에 편입된다.
1a, 1b, 1c : 디스크 브레이크 2 : 이너 브레이크 패드
3 : 아우터 브레이크 패드 4 : 캘리퍼
6 : 캘리퍼 본체 7 : 실린더부
15 : 실린더 18 : 피스톤
19 : 바닥부 40 : 전동 모터
43 : 피스톤 추진 기구
80 : 스핀들 로드(입력 부재, 축 부재)
81 : 어저스터 너트(회전 직동 부재, 통형 부재)
82 : 링 샤프트(지지 부재, 고정 부재)
83 : 플래니터리 로드(전동체, 전동축)
95 : 수나사부(스핀들 로드)
125 : 암나사부(결합부, 어저스터 너트)
126 : 제1 나사 감합부 130 : 환형 홈부(어저스터 너트)
131 : 제1 태양 축부 132 : 세로 홈부(어저스터 너트)
133 : 제2 태양 축부 147 : 환형 홈부(플래니터리 로드)
148 : 제1 플래니터리 로드부 149 : 세로 홈부(플래니터리 로드)
150 : 제2 플래니터리 로드부 167 : 암나사부(링 샤프트)
168 : 제2 나사 감합부
170 : 제2 스러스트 베어링(스러스트 베어링)
185 : 웨이브 스프링 와셔(편향 부재)
190 : 볼 홈(어저스터 너트) 191 : 볼 홈(링 샤프트)
192 : 볼(전동체) D : 디스크 로터

Claims (10)

  1. 디스크 브레이크로서,
    로터를 사이에 끼워 상기 로터의 축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패드 중 한쪽을 상기 로터의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이 돌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실린더를 갖는 캘리퍼 본체와,
    상기 캘리퍼 본체에 마련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캘리퍼 본체의 상기 실린더 내에 마련되어, 상기 피스톤을 추진하는 피스톤 추진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피스톤 추진 기구는,
    상기 실린더 내를 상기 피스톤의 돌출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배치되는 입력 부재로서, 상기 입력 부재의 둘레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전동 모터로부터의 토크가 전달되어 회전하는 입력 부재와,
    상기 입력 부재의 상기 나사부에 맞물리는 결합 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입력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실린더의 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피스톤에 상기 전동 모터의 토크를 전달하는 통형의 회전 직동 부재와,
    상기 캘리퍼 본체에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회전 직동 부재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통형의 지지 부재와,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회전 직동 부재 사이에, 상기 지지 부재와 상기 회전 직동 부재에 결합한 상태로 배치되는 전동체(轉動體)로서, 상기 입력 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 직동 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회전 직동 부재에 회전 저항을 부여하여 상기 회전 직동 부재를 상기 입력 부재에 대하여 상대 회전시키면서 직동시키는 전동체
    를 구비하고,
    상기 전동체는, 축방향을 따라 상대 이동 불가능하게 상기 회전 직동 부재의 외주면과 감합되는 전동축(轉動軸)이고, 상기 전동축의 외주면은, 상기 지지 부재의 내주면과 나사 감합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축의 상기 외주면은, 상기 회전 직동 부재의 상기 외주면과 기어 감합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축을, 상기 전동축과 상기 회전 직동 부재 사이의 감합부의 회전 저항 토크를 증대시키도록 축방향을 따라 편향시키는 편향 부재를 구비하는 것인 디스크 브레이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7033859A 2016-06-28 2017-06-01 디스크 브레이크 KR102211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27898 2016-06-28
JPJP-P-2016-127898 2016-06-28
PCT/JP2017/020402 WO2018003393A1 (ja) 2016-06-28 2017-06-01 ディスクブレーキ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544A KR20180137544A (ko) 2018-12-27
KR102211671B1 true KR102211671B1 (ko) 2021-02-02

Family

ID=60786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859A KR102211671B1 (ko) 2016-06-28 2017-06-01 디스크 브레이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26941B2 (ko)
JP (1) JP6559349B2 (ko)
KR (1) KR102211671B1 (ko)
CN (1) CN109219544B (ko)
DE (1) DE112017003240T5 (ko)
WO (1) WO20180033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61931B2 (ja) * 2018-12-19 2022-10-27 日立Astemo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JP7122242B2 (ja) * 2018-12-19 2022-08-19 日立Astemo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20133693A (ja) * 2019-02-14 2020-08-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作変換機構、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動ブレーキアクチュエータ
FR3097023B1 (fr) * 2019-06-04 2021-06-25 Foundation Brakes France Réducteur épicycloïdal comprenant au moins une pièce de transmission d’effort axial formant un chemin d’effort radialement excentré
DE102019209425A1 (de) * 2019-06-27 2020-12-31 Robert Bosch Gmbh Fremdkraft-Bremsdruckerzeuger für eine hydraulische Fahrzeugbremsanlage
JP7222834B2 (ja) * 2019-07-04 2023-02-15 日立Astemo株式会社 電動ブレーキ装置
JP7201544B2 (ja) * 2019-07-04 2023-01-10 日立Astemo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EP4253787A4 (en) * 2020-12-24 2024-05-29 Huawei Technologies Co., Ltd. HYDRAULIC DEVICE, BRAKING DEVICE, BRAKING SYSTEM AND BRAKING CONTROL METHOD
TW202314138A (zh) 2021-09-15 2023-04-01 捷加企業股份有限公司 煞車卡鉗
JP2024054790A (ja) * 2022-10-05 2024-04-17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電動制動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9161A (ja) 2005-05-19 2006-12-28 Hitachi Ltd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7085387A (ja) * 2005-09-20 2007-04-05 Nissan Motor Co Ltd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07205400A (ja) * 2006-01-31 2007-08-16 Hitachi Ltd ディスクブレーキ
US20080264735A1 (en) 2007-03-27 2008-10-30 Nissin Kogyo Co., Ltd. Disk brake fo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434025U1 (de) * 1984-11-20 1986-03-27 Lucas Industries P.L.C., Birmingham, West Midlands Bremsbetätigungsvorrichtung
DE19511287B4 (de) * 1994-07-21 2004-05-0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echanische betätigbare Scheibenbremse
DE19628804B4 (de) * 1996-07-17 2005-09-0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echanisch betätigbare Scheibenbremse
DE19740867A1 (de) * 1997-09-16 1999-03-18 Itt Mfg Enterprises Inc Elektromechanisch betätigbare Scheibenbremse
DE19747074A1 (de) * 1997-10-24 1999-04-29 Schaeffler Waelzlager Ohg Lageranordnung
JP2003083373A (ja) * 2001-09-07 2003-03-19 Akebono Brake Ind Co Ltd 電動ブレーキ制御方法
AU2003903927A0 (en) * 2003-07-28 2003-08-14 Pbr Australia Pty Ltd Brake assembly and actuating mechanism
EP1701825A4 (en) * 2003-12-30 2007-04-18 Strider Labs Inc ROBOTIC HAND WITH EXTENSIBLE HANDLE
JP5943628B2 (ja) * 2011-04-13 2016-07-0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4190347A (ja) * 2013-03-26 2014-10-06 Akebono Brake Ind Co Ltd 電動式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6124669B2 (ja) 2013-04-26 2017-05-10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JP6182407B2 (ja) * 2013-09-13 2017-08-16 アズビル株式会社 遮断弁
FR3024516B1 (fr) * 2014-07-30 2018-01-19 Chassis Brakes International B.V. Reducteur de couple
JP6488131B2 (ja) 2015-01-09 2019-03-20 ヤマハ株式会社 足運動検出サポータ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49161A (ja) 2005-05-19 2006-12-28 Hitachi Ltd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07085387A (ja) * 2005-09-20 2007-04-05 Nissan Motor Co Ltd 電動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JP2007205400A (ja) * 2006-01-31 2007-08-16 Hitachi Ltd ディスクブレーキ
US20080264735A1 (en) 2007-03-27 2008-10-30 Nissin Kogyo Co., Ltd. Disk brak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626941B2 (en) 2020-04-21
DE112017003240T5 (de) 2019-03-21
CN109219544A (zh) 2019-01-15
JP6559349B2 (ja) 2019-08-14
JPWO2018003393A1 (ja) 2019-02-14
US20190249734A1 (en) 2019-08-15
CN109219544B (zh) 2021-04-23
WO2018003393A1 (ja) 2018-01-04
KR20180137544A (ko)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1671B1 (ko) 디스크 브레이크
JP6937895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及び遊星歯車減速機構
KR102228030B1 (ko) 디스크 브레이크
US9086108B2 (en) Disk brake
JP6276133B2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装置
US20130075205A1 (en) Disk brake apparatus
US20140090933A1 (en) Disc brake
US20110315492A1 (en) Disk brake
JP6376883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102150154B1 (ko) 디스크 브레이크
JP596819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7034023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44836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20034044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722029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719041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WO2018003191A1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16125547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6305264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2022026755A (ja) ディスクブレーキ及び遊星歯車減速機構
JP2016125534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