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531B1 -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531B1
KR102210531B1 KR1020187026578A KR20187026578A KR102210531B1 KR 102210531 B1 KR102210531 B1 KR 102210531B1 KR 1020187026578 A KR1020187026578 A KR 1020187026578A KR 20187026578 A KR20187026578 A KR 20187026578A KR 102210531 B1 KR102210531 B1 KR 102210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housing
fixing
contact elemen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429A (ko
Inventor
틸 브레드벡
Original Assignee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로젠버거 호흐프리쿠벤츠테흐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02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4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clamping member, e.g. screw fasten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specially adapted to a specific shape of cables, e.g. corrugated cables, twisted pair cables, cables with two screens or hollow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4Connections between or with conductive parts having primarily a non-electric function, e.g. frame, casing, ra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12Connections to an additional grounding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7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resilient member, e.g. spr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1)를 구비하는 플러그 연결장치로서, 상기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1)는 하우징(3), 케이블(6)의 외부 도체(5)에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몸체(4)와, 상기 케이블(6)의 내부 도체(9)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도체부(8)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3)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몸체(4)를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10)을 구비하며, 콘택트 요소(13)의 전방 영역(13a)이, 상기 하우징(3) 내로 삽입된, 상기 플러그 몸체(4)의 외주 상에서, 상기 플러그 몸체(4)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3) 내로 플러그-고정가능한 콘택트 요소(3)가 제공되며, 상기 콘택트 요소(13)는, 상기 케이블(6)과 독립적으로, 다른 구성요소(24)에 접지 연결을 수립하도록 고정수단(2)에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된 플러그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한 플러그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플러그 커넥터는 하우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몸체, 및 케이블의 내부 도체와 연결하기 위한 내부 도체부를 구비한다.
케이블 조립체에서, 일반적으로 도체는 플러그 커넥터를 사용하여 연결된다.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소켓 또는 어댑터일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용어인 플러그 커넥터는 모든 변형예들을 대표한다.
플러그 커넥터는 각각의 보완적인 추가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수립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블을 플러그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연결된 플러그 몸체가 제공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는 케이블의 내부 도체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도체부를 구비한다. 내부 도체들(inner conductors), 또는 내부 도체부들(inner conductor parts)의 수는 현재 제한되지 않고, 보통의 플러그 커넥터들, 특히 HF 플러그 커넥터들 또는 동축 케이블용 플러그 커넥터들은 각각 대부분의 경우에 케이블의 내부 도체에 연결된 하나의 내부 도체부를 구비한다.
공지된 플러그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몸체를 삽입하기 위한 리셉터클(a receptacle)을 갖는 하우징,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하우징을 구비한다.
플러그 몸체를 케이블의 외부 도체 또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도체부를 케이블의 내부 도체에 각각 연결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납땜/브레이징(soldering/brazing), 접착 결합(adhesive bonding), 클램핑(clamping) 또는 압착(crimping)을 통해 공지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에 대한 케이블의 연결은 제1단계에서, 케이블의 케이블 재킷 세그먼트(a segment of the cable jacket)가 벗겨지도록 수립될 수 있다. 이 때문에, 외부 도체가 노출된다. 외부 도체는 예를 들어 편조된 케이블 실드(a braided cable shield)일 수 있다. 이어서, 지지 슬리브는 편조된 케이블 실드 상에 압착되는데, 특히 편조된 케이블 실드가 지지 슬리브를 넘어 돌출하는 방식으로 압착된다. 다음 동작 단계에서, 돌출된 편조된 케이블 실드는 후방으로 접혀서 지지 슬리브 위에 놓일 수 있다. 이어서, 케이블의 선단부는 케이블의 내부 도체가 노출되도록 더 벗겨질 수 있다. 이어서, 노출된 케이블의 내부 도체는 바람직하게는 내부 도체부가 압착되는 방식으로 플러그 커넥터의 내부 도체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어서, 벗겨진 케이블의 선단부는 플러그 몸체에 삽입된다. 플러그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케이블의 외부 도체 상에 압착되거나 바람직하게는 각각 지지 슬리브에 다시 접혀진 편조된 케이블 실드 상에 압착된다. 따라서, 플러그 몸체는 압착(crimping)에 의해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연결되고, 내부 도체부는 플러그 몸체 내에서 보호되도록 위치된다.
이어서, 케이블의 재킷은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커넥터 후방을 10 내지 15mm를 벗겨내고, 금속 클램프(metal clamp)는 케이블의 편조된 케이블 실드에 직접 압착된다(crimped). 배터리의 음극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예를 들어 차량의 몸체에 대한 신뢰성이 있거나 저-저항의 접지 연결은 플러그가 차량에 사용될 때, 금속 클램프에 의해 수립된다.
금속 클램프를 케이블의 편조된 실드(braided shield)에 직접 부착하는 것은 우선 편조된 케이블 실드와 임의의 접촉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케이블 재킷이 추가로 훼손되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차량에서의 사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차량이라는 용어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임의의 운송수단, 특히 우주선을 포함한 지상, 항해 또는 항공 차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특정 플러그 연결장치, 또는 특정 플러그 커넥터에 각각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HF 케이블을 조립하는 데 특히 적합하다. 여기에서, 플러그 커넥터는 바람직하게 HF 플러그 커넥터, 특히 PL 플러그 커넥터, BNC 플러그 커넥터, TNC 플러그 커넥터, SMBA(FAKRA) 플러그 커넥터, N 플러그 커넥터, 7/16 플러그 커넥터, SMA 플러그 커넥터, SMB 플러그 커넥터, SMS 플러그 커넥터, SMC 플러그 커넥터, 또는 SMP 플러그 커넥터가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는 SMB 연결을 위해 소위 FAKRA 표준화 계획(FAKRA=Fachkreis Automobiltechnik[Automobile Expert Group])(standardization scheme)에 부합하는 소위 FAKRA 플러그 커넥터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몸체를 유지하고 그리고 보호하며, 플라스틱 하우징을 가진 다른 플러그 커넥터에 플러깅 처리(plugging procedure)를 위한 플러그 몸체를 사전 배치하는 플라스틱 하우징이 여기에 제공된다. 하우징은, 일치하는 하우스(houses)들만이 서로 플러깅(plugged)될 수 있도록 기계적인 코딩 피쳐(mechanical coding feature)들을 추가로 가질 수 있다.
SMB 연결을 위해 소위 FAKRA 표준화 계획에 따른 플라스틱 하우징을 갖는 동축 플러그 커넥터는 US2003/0176104A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FAKRA 하우징들로 또한 언급되는 동축 플러그 커넥터들용 플라스틱 하우징들은 자동차 산업에서 데이터 전송 케이블들로 사용된다. 이러한 데이터 전송 케이블들은 대개 동축 케이블들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차폐되고 단일 전기 도체를 기반으로 하는 케이블들이다. 인터페이스 영역에서, 즉 2개의 플라스틱 하우징들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을 수립하도록 보완 플러그 커넥터와 상호 작용하는 하우징의 축붕향 부분에서의 이러한 유형의 FAKRA 하우징들의 기계적인 치수들은 DIN 72594-1의 2004년 10월 판에 발표되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유형의 플러그 커넥터들에 적합하다.
플러그 본체가 하우징, 예를 들어 FAKRA 하우징에 삽입될 때, 보완 커넥터가 임의의 손상을 일으키지 않고, 플러그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신호 전송이 최적이 되도록 하기 위해 연결 치수들이 적절히 준수되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 기술에서, 플러그-인(plugged-in) 플러그 몸체를 단자 위치에 고정시키기도록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종래 기술에서 이차 고정 피쳐(a secondary securing feature)로 언급된 고정요소가 알려져 있다. 여기에서, 이차 고정 피쳐는 플러그 몸체의 플러그-인 방향에 직각으로 하우징에 삽입된다.
공지된 플러그 커넥터들, 특히 FAKRA 표준화 계획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들은 보완 플러그 커넥터에 안전하고 신뢰성있는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케이블의 외부 도체, 특히 편조 실드(braided shield)가 접촉하기 위해서 접지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케이블 재킷이 추가적으로 훼손되어야 하는 하나의 단점이 있다. 더욱이, 편조 실드를 접촉시키고 케이블 재킷을 벗기는 것은 조립체에서 대응하는 노력을 요구하며, 기능적인 신뢰도에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플러그 연결장치의 조립을 단순화하고 기능적인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설계 실시예들은 추가적인 청구항들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플러그 커넥터는 하우징과,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몸체와, 케이블의 내부 도체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도체부를 구비한다.
플러그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외부 도체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내부 도체부는 바람직하게는 케이블의 내부 도체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다.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는 바람직하게는 단지 하나의 플러그 몸체를 구비하며, 그러나,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에 복수의 플러그 몸체들을 할당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플러그 커넥터의 설계 실시예에 따라, 플러그 커넥터는 케이블의 하나 또는 복수의 내부 도체 부분들에 연결하기 위한 하나 또는 복수의 내부 도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케이블의 내부 도체에 연결하기 위한 정확히 하나의 내부 도체부를 구비한 구성은 플러그 커넥터의 바람직하게 제공된 구성, 특히 또한 FAKRA 플러그 커넥터로 특히 적합하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디자인 설계는 플러그 커넥터가 동축 케이블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되는 때,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의 "플러그 몸체"의 특징은 하나의 플러그 몸체뿐만 아니라 각각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에 할당된 복수의 플러그 몸체들을 둘다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내부 도체부"는 하나의 내부 도체부 또는 케이블의 대응하는 수의 내부 도체에 연결되고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에 집합적으로 할당되는 복수의 내부 도체부를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몸체를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을 구비하도록 제공된다. 원칙적으로, 하우징은, 복수의 플러그 몸체를 삽입하기 위한 복수의 리셉터클을 하우징이 갖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바람직한 설계 실시예에서, 특히 하우징이 소위 FAKRA 하우징일 때, 하나의 플러그 몸체를 삽입하기 위한 단지 하나의 리셉터클이 제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택트 요소의 전방 영역이, 상기 플러그 몸체의 외주 상에서, 상기 하우징 내로 삽입된, 상기 플러그 몸체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 내로 플러그-고정 가능한(plug-fittable) 콘택트 요소가 제공되며, 콘택트 요소는 케이블과는 독립적으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접지 연결을 수립하도록 고정수단에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해결책으로 인해 플러그 연결장치의 조립이 용이해지고, 기능적인 신뢰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케이블의 외부 도체 및 접지 링크 사이의 연결을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콘택트 요소는, 하우징 내로 삽입되고 본 발명에 따라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연결되는 플러그 몸체와 접촉하고, 이로 인해 고정수단에 전기적인 연결을 수립한다. 이러한 연결을 수립하기 위하여, 케이블 재킷이 하우징의 외부로 벗겨지거나 접지 단자 클램프가 케이블의 편조 실드에 압착(crimp)될 필요가 더 이상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추가적인 케이블-스트리핑 절차(cable-stripping procedure)가 요구되지 않고 하우징 내에서 연결이 수립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케이블의 외부 도체가 플러그 몸체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플러그 몸체는 플러그 몸체에 추가적인 플러그 또는 케이블 등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택트 요소가 그 외주에서 플러그 몸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추가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접지 연결인 추가 연결을 수립하도록 제공된다. 추가적인 구성요소는 접지 부품, 예를 들어 차량 접지(몸체, 음극 배터리 단자 등)가 될 수 있다.
케이블을 상보적인 또는 매칭하는 각각의 플러그 커넥터에 연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의 커넥터 영역 상에 제공되어, 예를 들어 케이블을 전방 케이블에 연결하거나, 또는 회로기판 또는 전기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플러그 몸체의 외주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콘택트 요소를 통해 그리고 고정수단에 의해 케이블의 외부 도체는 추가적인 접지 연결을 달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구성요소에 추가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케이블의 외부 도체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콘택트 요소 또는 고정수단을 통해 추가적인 구성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기 신호 전송 품질은 접지 연결로 인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개선된 차폐(shielding)가 보장될 수 있고, 전기적인 연결은 전반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 내로 플러그-고정 가능하고 추가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접지 연결을 수립하도록 형성된 콘택트 요소 때문에, 이차 고정 피쳐(secondary securing feature)가 접지 연결과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이차 고정 피쳐는 조립 기술자에게 플러그 커넥터에 비례하여 및/또는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에 비례하여 정확한 위치 설정을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차 고정 피쳐는 정확한 위치 설정의 경우에만 바람직하게는 플러그-고정 가능하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커넥터의 부품들이 상호 정렬되거나 대응하는 방식으로 서로 플러그(plug)되는 때에만 콘택트 요소를 플러그-고정하기 위한 변위 경로가 완전히 접근 가능하다는 점에서 보장될 수 있다.
고정수단은 임의의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고정수단은, 예를 들어 차량의 몸체 또는 다른 적합한 구성요소에 대한 간단한 접지 연결을 수립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수단은, 예를 들어 스크류-고정 또는 유사한 수단(similar measures)에 의해 차량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고정수단은 간단한 접지 연결을 수립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고정수단은 그 자체가 추가적인 구성요소, 예를 들어 차량의 몸체에 직접적으로 고정될 필요는 없다. 고정수단은 그 자체로 추가적인 구성요소에 기계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콘택트 요소와 추가적인 구성요소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수립하는 역할을 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의 기계적인 고정이 제공되는 한, 이것은 선택적으로 추가적인 홀더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하나의 설계 실시예에서, 고정수단(fastening means)은 직접적으로 또는 고정요소들(fixing elements)에 의해 기계적으로 고정 또는 고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고정수단(fastening means)은 그 자체가 이미 형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각각의 고정(fixing) 또는 고정(fastening)은 접지 연결이 또한 수립되는 추가적인 구성요소에서 또는 구성요소에 대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수단에 의한 플러그 커넥터의 고정은 임의의 그리고 선택적으로 비 전도성 구성요소(non conducting construction element)에 대해 수행되는 것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장치는 임의의 플러그 커넥터들, 특히 이미 언급된 플러그 커넥터들에 적합하고, 바람직하게는 모든 HSD 플러그 커넥터들, FAKRA 플러그 커넥터들 및 금속성을 가지는 고전압 플러그 커넥터들, 특히 차폐성 외부 도체에 사용될 수 있다.
접촉 요소의 전방 영역이 형상-고정 방식(form-fitting method)으로 플러그 몸체의 외주의 적어도 부분에 연결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양호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전기적인 접촉은 형상-고정 연결(form-fitting connection)에 의해 보장된다. 또한, 형상-고정 연결은 하우징 내의 플러그 몸체의 이차 고정 피쳐의 작업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며, 이로써 연결 치수가 또한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택트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몸체의 길이방향 또는 축방향 축(axial axis)과 직각인 각도로 하우징 내로 삽입되고, 직각 정렬로 플러그 몸체에 형상-고정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로 인해, 특히 적합한 이차 고정 피쳐가 수립된다.
플러그 몸체를 하우징에 연결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임의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플러그 몸체가 플러그 몸체의 축방향으로 하우징의 리셉터클에 플러그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리셉터클은 바람직하게는 보어(bore)로서, 특히 하우징 내의 축방향 보어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콘택트 요소에 의한 특히 유리한 이차 고정 피쳐는 플러그 몸체가 하우징에 연결되는 이러한 유형의 경우에 수립될 수 있고, 그러한 이유로 플러그 몸체가 더 이상 우연히 또는 자동 방식으로 각각 하우징으로부터 해제되지 않도록 약간의 노력을 함으로써 보장되고, 특히 연결 치수는 또한 그 때문에 정의된다.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플러그 몸체 및 리셉터클은 플러그 몸체의 단자 위치가 하우징의 리셉터클 내에 수립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유형의 플러그 몸체 및 리셉터클의 설계는 접촉 요소가 하우징 내로 플러깅되기 전에 플러그 몸체가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바람직하게는 이차 고정 피쳐를 보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몸체가 제공된 단자 위치 내에 래칭(latches)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며, 예를 들어, 스냅-고정 연결(a snap-fit connection), 특히 스냅-고정 부재(a snap-fit member) 또는 스냅-고정 후크(a snap-fit hook)가 사용되어 플러그 몸체를 밀려 들어가게 하지만, 플러그 몸체가 플러그-인 방향(plug-in direction)의 반대(counter)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하우징 또는 그 리셉터클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또는 리셉터클이 플러그 몸체를 위한 일차 고정 피쳐(primary securing feature)로서 기능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여기에서, 일차 고정 피쳐(primary securing feature)는 바람직하게는 해제 가능하도록 설계된다.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유형의 일차 고정 피쳐를 이미 구비할 수 있는 FAKRA 하우징으로 형성된다.
플러그 커넥터는 고정요소에 대한 하우징의 이동이 적어도 하나의 자유도로 제한되는 방식으로 하우징의 절개부(cutout)에 결합될 수 있는 고정요소(securing element)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콘택트 요소와 마찬가지로, 고정요소(securing element)는 플러그 몸체가 제공된 단자 위치에 도달하자마자 플러그 몸체를 하우징 또는 하우징의 리셉터클 내에 각각 고정하는 이차 고정 피쳐로서 기능할 수 있다.
고정요소(securing element)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몸체의 축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몸체에 제공되므로, 이로 인해 유리한 고정 피쳐가 생기게 된다.
고정요소(securing element)의 적어도 부분은 하우징 내에 결합된 플러그 몸체의 변위 경로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플러그 몸체의 축방향 축(axial axis)을 따르는 이동에 의한 플러그 몸체가 하우징의 리셉터클 내로 밀려 들어가게 할 때, 고정요소(securing element)의 부분이 하우징 내에 결합된 플러그 몸체의 변위 경로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고정요소(securing element)가 형성되어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이 특히 적합하다. 이것은 플러그 몸체가 축소부(a diminution), 리세스(a recess), 오목부(a concavity), 또는 톱니부(an indentation)를 구비할 때, 플러그 몸체가 다시 당겨지거나 및/또는 리셉터클 내로 더 밀려 들어가는 것을 피하도록 고정요소(securing element)의 적어도 부분이 끼워질 수 있는 경우에 특히 유리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덜 적합하지만, 플러그 몸체는 또한 고정요소(securing element)의 부분에 의해 차단되는 돌출부(a protrusion) 또는 볼록부(a convexity)를 가질 수 있다.
고정요소(securing element)는 래칭 후크(latching hook) 등을 가질 수 있으며, 이것은 하우징의 각각의 적합한 리세스에 래칭하여, 고정요소(securing element)가 플러그 몸체를 각각 고정(secures) 또는 고정(fixes)하도록 고정요소가 멀리 밀려 들어갈 때, 고정요소(securing element)가 다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한다. 대안적으로, 하우징은 래칭 후크를 또한 가질 수 있고, 고정요소(securing element)는 대응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셉터클 또는 하우징 각각은 고정요소(securing element)가 선택적으로 다시 제거되고 플러그 몸체가 하우징으로부터 다시 당겨지도록 선택적으로 추가로 일차 고정 피쳐를 해제할 때, 래칭 후크는 다시 해제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유리한 설계 실시예에서, 고정요소(securing element)와 함께 콘택트 요소는 플러그 몸체를 리셉터클의 단자 위치에 고정(fixing) 및 고정(securing)하기 위한 이차 고정 피쳐로서 기능한다.
플러그 몸체가 고정되기 위해서는, 플러그 몸체가 외주 상에, 콘택트 요소 및 바람직하게는 또한 고정요소(securing element) 또는 고정요소(securing element)의 일부(part)가 각각 결합하는 축소부(a diminution)를 가질 때 특히 유리하다. 여기에서, 축소부는 환형으로 둘러싸인 축소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몸체의 설계에 따라, 플러그 몸체는 두 부분 또는 다수의 부분인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콘택트 요소 및/또는 고정요소(securing element)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축소부가 플러그 몸체의 두 부분의 연결 점(connection point)에서 형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콘택트 요소와 플러그 몸체 사이에 특히 적합한 연결이 수립되도록 콘택트 요소의 적어도 전방 영역은 단자 클램프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자 클램프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몸체의 외주 상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러그 몸체를 포함하는 2개의 단자 클램프 암을 가질 수 있다. 단자 클램프는 상기 단자 클램프가 2개의 서브링-형상(subring-shaped)의 단자 클램프 암들(terminal clamp arms)을 가지며, 단자 클램프가 플러그 몸체의 외주 상에서 측면으로 또는 반경방향으로부터 각각 밀려 들어가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단자 클램프는 바람직하게는 그 사이의 상기 단자 클램프가 플러그 몸체의 외주의 적어도 부분을 막히게 하고(jams), 이로 인해 상기 플러그 몸체를 고정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단자 클램프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몸체의 외주의 180°보다 큰 환형부를 포함한다.
콘택트 요소의 특정 설계와는 독립적으로, 그러나 특히 전방 영역이 단자 클램프로서 형성되는 방식으로 콘택트 요소의 설계 실시예의 경우에, 콘택트 요소가 플러그 몸체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고정요소(securing element)가 형상-고정 방식(a form-fitting manner)으로 콘택트 요소에 연결될 때 유리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특히 고정요소(securing element)는 간극(clearance)을 가지며, 적어도 전방 영역에서 콘택트 요소는 단자 클램프로서 형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자 클램프는 간극을 통해 돌출될 수 있으며, 콘택트 요소는 콘택트 요소가 간극 내에서 팽창하여 간극에 형상-고정 방식으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요구하게 된다. 여기에서, 콘택트 요소는 간극의 영역에 위치되는 함몰부(depression) 또는 리세스를 가지는 것이 특히 유리하며, 그 결과 고정요소(securing element)의 간극의 주변부는 콘택트 요소의 함몰부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형상-고정(form-fit)이 수립된다.
또한, 리세스 대신에 단자 클램프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으며, 간극은 보완적인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콘택트 요소 및 고정요소(securing element)는 형상-고정 방식으로 연결될 때, 하나의 구성요소로서 취급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 실시예에서, 콘택트 요소와 고정수단(fastening means) 사이의 전기 전도성 연결이 고정요소에 의해 수립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정요소(securing element)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으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금속적으로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콘택트 요소 및 고정요소(securing element)는 각각 고정수단(fastening means)에 특히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하나의 설계 실시예에서, 콘택트 요소는 고정수단(fastening means)과의 어떠한 접촉도 수행되지 않고 고정수단의 간극 내에 위치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 실시예에서, 고정요소(securing element)는 적어도 콘택트 요소 및 고정요소(securing element)가 예정된 방식으로 하우징 내로 도입될 때 고정수단에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되고, 콘택트 요소는 플러그 몸체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 실시예에서, 고정요소(securing element)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금속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전기적으로 전도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고정요소(securing element) 및 고정수단(fastening means) 사이의 연결은 고정요소가 예를 들어, 스냅-고정 연결(snap-fit connection)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고정수단에 연결되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하나의 설계 실시예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만이 예를 들어, 스냅-고정 연결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고정수단에 연결되고, 고정요소(securing element)가 하우징 및 고정수단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고정요소(securing element)와의 접촉 영역에서의 고정수단은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 또는 하우징의 고정 후에 고정수단에 대한 고정요소가 각각 하우징 및 고정수단에 막히게 되도록 플레이트-형상의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전기 전도 방식으로 고정수단에 연결된다. 따라서, 플러그 몸체와 고정수단 사이의 전기 전도성 연결은, 콘택트 요소가 플러그 몸체와 전기적으로 접촉하기 때문에 각각 고정요소와 함께 고정요소 사이의 전기 전도성, 바람직하게는 형상-고정 연결로 인해 단자 클램프 또는 콘택트 요소 및 고정요소에 의해 수립된다.
이러한 유형의 설계 실시예는 특히 구현이 간단하고 단순한 조립 단계들만을 요구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콘택트 요소는 고정수단의 간극에 형상-고정 방식으로 삽입되거나 고정수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고정요소(securing element)에 의해 콘택트 요소(contact element) 및 고정요소(fastening element) 사이에 전기 전도성 연결을 수립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콘택트 요소는 고정수단(fastening means)에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전기 전도성 연결이 수립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고정요소(fastening element)는 고정요소(securing element)의 간극에 의해 콘택트 요소의 잠재적인 연결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콘택트 요소가 삽입되는 간극을 가질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형상-고정 및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한 연결은 고정수단 및 콘택트 요소 사이에 수립된다. 연결은 간단한 측정 방법에 의해 빠르고 안정적으로 수립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콘택트 요소는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납땜/브레이징(soldering/brazing), 접착 결합(adhesive bonding), 리벳팅(riveting) 등에 의해 고정수단에 연결되는 것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콘택트 요소는 고정수단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고정요소(securing element)는 특히 콘택트 요소 및 고정요소(fastening element)의 일체형 구성요소의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
특히 콘택트 요소가 전기 전도 방식으로 고정수단에 직접 연결될 때, 고정요소의 금속 구성이 배제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 실시예에서, 고정요소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러한 설계 실시예에서, 고정요소가 콘택트 요소를 삽입하고 콘택트 요소를 플러그 몸체에 연결하는 전방 영역을 연결하기 위한 통로를 가지는 것이 더욱 적합하다.
이러한 설계 실시예에서, 고정요소는 먼저 하우징 내에 삽입되고, 예를 들어 하우징 내에 사전 조립(preassembled)된다. 그 이전 또는 그 이후에, 플러그 하우징은 예정된 단자 위치까지 하우징의 리셉터클 내로 밀려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이어서, 고정요소는 상기 고정요소가 리셉터클 내의 플러그 몸체의 위치를 고정할 때까지,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이차 고정 피쳐로 기능할 때까지 바람직하게는 이미 설명한 방식으로 더 밀려 들어가게 할 수 있다. 그 위에 콘택트 요소는 임의의 위치에서 하우징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콘택트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택트 요소의 전방 영역이 플러그 몸체에 연결되도록 콘택트 요소가 멀리 밀려 들어가는 방식으로 고정요소의 통로에 삽입된다.
그 이전의 콘택트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형상-고정 방식으로 고정수단에 연결되고, 하우징은 콘택트 요소 상에 클립-고정됨으로써 수행되는 하우징에 대한 연결을 위해 적합하며, 이로 인해 하우징은 바람직하게는 한편으로는 고정수단에 부착되고, 플러그 몸체는 전방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다른 한편으로는 단자 클램프로 형성된 콘택트 요소 상에 클립-고정된다.
물론, 고정요소 및 콘택트 요소를 하우징에 연결하는 것은 다른 순서로 또한 수행될 수 있다.
고정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 또는 전기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다. 고정수단은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 형성된다.
콘택트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금속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전기적으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다. 콘택트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몸체가 플러그 몸체의 외주 상에 신뢰성있게 포함되도록 탄성 특성을 가지는 단자 클램프의 형상으로 전체적으로 형성된다.
고정수단(fastening means)은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냅-고정 연결부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고정수단이 지지부와 스냅-고정 연결부를 둘 다 가지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스냅-고정 연결부는 예를 들어 하우징의 적합한 카운터 요소(a counter element)에 끼워지고 예상된 위치에서 고정수단에 하우징을 고정시키는 스냅-고정 후크(snat-fit hook)로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우징은 고정수단의 적합한 카운터부(counter part)에 결합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스냅-고정 후크들을 가질 수 있다. 고정수단의 지지부는, 예를 들어 판형 돌출부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의 하부면을 지지하기 위한 정의된 방식으로 수용하기 위한 적합한 주변 돌출부를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개선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스냅-고정 연결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및 고정수단 사이의 축방향(또는 플러그-인 방향)으로 형상-고정 연결을 형성하도록 하우징의 외측의 홈으로 끼워지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2개의 스냅-고정 연결부들은 바람직하게는 스냅-고정 후크들의 방식으로 제공된다. 여기에서, 스냅-고정 후크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을 2개의 대향하는 외부면에 포함할 수 있다. 스냅-고정 후크들은 스냅-고정 후크들이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외주에 푸시-고정(push-fitted)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여기서, 그 사이의 스냅-고정 후크들은 바람직하게 하우징 상에 고정수단을 (해제 가능하게)고정하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외주의 잼 부분(jam part)이다.
고정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렛(eyelet)을 가질 수 있다. 아이렛은 고정수단과 접지 부품, 예를 들어 차량 접지 사이의 연결을 수립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스크류는 아이렛을 통해 밀려 들어갈 수 있고, 예를 들어, 고정수단은 대응하는 방식으로 스크류-고정(screw-fitted)될 수 있다. 다른 연결 가능성들은 고정수단이 접지 부품으로부터 쉽게 해제될 수 있는 방식으로 특히 해제 가능한 연결들이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저-저항 전기 접지 연결(A low-resistance electrical ground connection)은 바람직하게 수립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개선예에서, 고정수단은 추가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접지 연결을 각각 수립하거나 형성하도록 연결요소들을 가지는 것이 특히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연결요소는 전술한 아이렛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수단은 각각 연결요소들 또는 하나의 연결요소들로부터 각각 형성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고정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고정요소가 각각 추가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접지 연결을 수립하도록 또는 상기 연결을 가능하게 하도록 연결요소들을 가지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고정수단은 바람직하게는 고정수단이 하우징 상에 정의된 방식으로 고정되는 방식으로 상기 고정수단이 고정수단을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설계를 가지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콘택트 요소의 고정과 관련하여 하우징 상의 고정수단의 정확한 위치 설정이 이루어진다.
또한,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수단이 추가적인 구성요소, 예를 들어 추가적인 구성요소에 고정수단을 기계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수단을 가지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선택 사항이다. 주요 초점은 추가적인 구성요소에 고정수단을 기계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추가적인 구성요소에 고정수단의 고정이 제1위치에 제공되는 경우, 이것은 다른 수단에 의해 또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콘택트 요소는 고정수단에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되고, 고정수단은 콘택트 요소와 추가적인 구성요소 사이에 전기 전도성 연결을 수립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며, 연결은 접지 연결로 형성된다.
특히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연결요소들은 접지 커넥터 케이블을 고정수단에 연결할 수 있도록 압착 연결(a crimp connection)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추가적인 구성요소에 대한 접지 연결은 각각 간단한 방식으로 수립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고정수단과 추가적인 구성요소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로서 접지 연결 케이블의 사용은 취급 측면에서 특히 유연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여기에서, 접지 커넥터 케이블은 예를 들어 하나, 둘, 또는 그 이상의 압착 단자 클램프들(crimp terminal clamps)을 통해 기계적으로 견고한 방식으로 고정수단의 커넥터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추가적인 구성요소 또는 접지부에 각각 연결되기 위해, 고정수단에 연결되지 않은 단부의 접지 커넥터 케이블은 예를 들어 아이렛(an eyelet), 케이블 슈(a cable shoe) 등을 가질 수 있고, 이것은 예를 들어 접지 커넥터 케이블에 압착-고정(crimp-fitted)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접지 커넥터 케이블은 추가적인 구성요소에 스크류-고정(screw-fitted)될 수 있거나 예를 들어, 추가적인 구성요소의 연결 위치에 플러그-고정(plug-fitted)될 수 있다.
접지 커넥터 케이블은 추가적인 구성요소 또는 접지부에 각각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접착 결합(adhesive bonding), 납땜/브레이징(soldering/brazing) 또는 클램핑(clamping)으로 연결될 수 있다.
고정수단에 대한 접지 커넥터 케이블의 연결은 다른 수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요소들은 납땜 연결들, 접착면들 및/또는 클램핑면들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고정수단, 적어도 하나의 스냅-고정 연결부, 콘택트 요소, 그리고 접지 연결용 연결요소들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특히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요소를 가지는 고정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일체형 금속 시트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고정수단은 펀칭 및 빈딩 기술에 의해 바람작하게 제조될 수 있다.
하나의 개선예에서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 및 고정수단은, 상기 고정수단이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 내에 삽입될 때, 고정수단이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외부면을 넘어 돌출하지 않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고정수단이 금속 시트로 형성될 때, 금속 시트는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의 외주를 따라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할당된 외측면들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또는 하우징의 할당된 외측면들에 대해 리세스 되도록).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는 컴팩트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고정수단은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고정수단은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를 고정하고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여기에서, 전기적인 접촉은 고정수단의 부분일 수 있거나 이미 설명한 방식으로 고정수단에 연결 가능한 콘택트 요소들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들은 바람직하게는 다른 옆에 평행하도록 고정수단에 삽입 가능하거나, 고정수단에 각각 연결 가능할 수 있다.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들을 수용하기 위한 고정수단의 하나의 설계 실시예에서, 2개 또는 그 이상의 연결 가능성들, 특히 아이렛들(eyelets)이 고정수단을 접지부, 예를 들어 차량 접지에 고정시키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고정요소와 조합된 본 발명에 따른 콘택트 요소는 유리하게는 이차 고정 피쳐의 작업을 맡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각각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여기서 또한 연결치수를 보장할 수 있고,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접지부 사이의 연결을 수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장치가 차량에서 사용될 때, 접지부는, 특히 차량 배터리의 음극 단자에 대한 간접적인 전기적 연결을 수립하기 위해 차량 접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는 특히 고주파 애플리케이션들(high-frequency applications)에 대해 데이터 전송 케이블(data transmission cable)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아래에서 원칙적으로 도면에 의해 예시될 것이다.
도면들은 각각의 경우에 본 발명의 개별적인 특징이 서로 결합되어 도시되는 바람직한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들은 또한 동일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른 특징과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더욱 의도된 조합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당업자에 의해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의 특징과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을 통해 수직으로 연장된 종단면을 가지고, 플러그 몸체가 단면 없이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플러그 연결장치의 배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Ⅲ)의 방향에서 본 플러그 연결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에 따른 플러그 연결장치의 수평 종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콘택트 요소(a contact element) 및 고정요소(a securing element)를 갖는 고정수단(fastening means)의 정면으로부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배면으로부터의 도 5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7은 제2실시예에서, 콘택트 요소 및 고정요소를 갖는 고정수단의 정면으로부터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 내의 플러그 몸체 및 고정요소의 잠재적인 조립체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9는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들을 고정하고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의 배면으로부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도 9에 따른 고정수단의 정면으로부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들을 고정하고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의 배면으로부터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2는 일체형 고정수단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도 12에 따른 일체형 고정수단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플러그 커넥터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도 12에 따른 삽입된 고정수단을 갖는 도 13의 특히 바람직한 플러그 커넥터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장치는 소위 FAKRA 표준화 계획(FAKRA standardization scheme)에 의해 도시되며, 여기에서, 본 발명에 필수적인 특징들만이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잠재적인 실시예들 및 변형예들은 DIN 72594로부터 유도된다.
그러나, 본 발명 및 도시된 예시의 실시예는 각각 FAKRA 플러그 커넥터 또는 FAKRA 하우징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임의의 플러그 커넥터에 적합하다.
이하에서 기술된 도 1 내지 도 14의 특징들은 기술적으로 배제되지 않는 한 임의의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이한 변형예들로 구현 가능하다. 2개의 변형예들은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예시적인 방식으로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11은 제1변형예를 보여주는 데, 여기서 고정수단(2, fastening means) 및 콘택트 요소(13, contact means)가 서로 분리되어 서로 플러깅될(plugged)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도면들에서 고정수단(2)은, 고정수단이 추가적인 구성요소/구성에 기계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방식으로 또한 형성된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변형예를 보여주는 데, 이것에 따르면 고정수단(2)이 콘택트 요소(13)와 일체로 형성된다. 고정수단(2)을 추가적인(임의의) 구성요소에 기계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은 도 12 내지 도 14의 고정수단(2)에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또한 가능하다. 고정수단(2)과 콘택트 요소(13)의 일체형 구성이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의무적이지 않다. 또한, 고정수단(2)과 콘택트 요소(13)는 독립적인 요소들로 형성될 수 있고, 오직 전기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서로 기계적으로도 연결될 수 있다.
도 1은 플러그 커넥터(1) 및 고정수단(2)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연결장치의 수직 종단면을 도시한다.
플러그 커넥터(1, plug connector)는 하우징(3)을 구비하는 데, 이것은 또한 도 2 내지 도 4와, 도 8 내지 도 11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여기에서, 이것은 플러그 커넥터(1)의 소위 FAKRA 하우징이 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는 거기로부터 다소 벗어난 하우징(3)의 변형예를 도시하지만, 바람직하게는 FAKRA 표준화 계획과 호환되도록 똑같이 형성된다.
하우징(3)은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는 도 1에서 개략적인 방식으로 도시된 케이블(6)의 외부도체(5)에 연결된 플러그 몸체(4)를 구비한다. 플러그 몸체(4)를 외부도체(5)에 연결하는 것은 공지의 방법, 예를 들어 납땜/브레이징(soldering/brazing), 접착 결합(adhesive bonding), 클램핑(clamping) 또는 압착(crimping)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플러그 몸체(4)가 외부도체(5)에 압착-고정(crimp-fitted)된 것이 제공된다(도면에 더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 이러한 목적을 위해, 플러그 몸체(4)는 선택적으로 다수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몸체(4)의 적어도 일부는 바람직하게는 외부도체(5)에 압착-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편조된 실드(braided shield)가 될 수 있는 외부도체(5)가 노출되도록 케이블(6)의 케이블 재킷(7)이 벗겨지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플러그 몸체(4)는 편조된 실드에 압착-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지지 슬리브(미도시)가 외부도체(5), 특히 편조된 실드에 압착-고정되고, 이어서 편조된 실드가 지지 슬리브 위에서 후방으로 접혀지고, 플러그 몸체(4)의 일부 또는 플러그 몸체(4) 또는 플러그 몸체(4)에 일체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피스(a connection piece)가, 후방으로 접혀진 외부도체(5)에 오직 압착-고정되거나,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외부도체(5)에 연결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1)는 케이블(6)의 내부도체(9)에 연결하기 위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내부도체부(inner conductor part; 8, 도 4 참조)를 구비한다. 여기에서의 연결은 예를 들어, 납땜/브레이징(soldering/brazing), 접착 결합(adhesive bonding), 클램핑 또는 압착(crimping)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내부도체부(8)가 케이블(6)의 내부도체(9)에 압착-고정되는 것을 제공한다. 내부도체부(8)는 케이블(6)의 내부도체(9)에 연결되는 데, 케이블(6)의 외부도체(5)가 노출되고 바람직하게 후방으로 접혀진 후에, 그리고 플러그 몸체(4)가 외부도체(5)에 압착 고정되기 전이 바람직하다. 내부도체부(8)는 내부도체(9)에 고정되기 위해, 내부도체(9)는 우선 벗겨질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단면으로 그리고 예시적인 방식으로 플러그 몸체(4) 내부의 내부도체부(8)의 형상 및 배치를 도시한다. 도 1과 함께 볼 때, 도면은 플러그 커넥터(1)가 다른 상보적인 플러그 커넥터(complementary plug connector, 미도시)를 부착하고 상보적인 플러그 커넥터를 내부도체부(8)와 플러그 몸체(4)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플러그 커넥터(1)의 경우에, 케이블(6, 여기서는 미도시)의 외부도체(5)에 대한 연결 및 케이블(6)의 내부도체(9)의 내부도체부(8)에 대한 연결은 원칙적으로 유사하거나 동일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플러그 몸체(4)가 단일 내부도체부(8)를 수용하는 것이 도시된다. 물론, 플러그 몸체(4)는 대응하는 수(number)의 내부도체(9)에 연결된 복수의 내부도체부(8)를 또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가 하나의 플러그 몸체(4)를 수용하는 것이 도시된다. 원칙적으로 플러그 커넥터(1)가 복수의 플러그 몸체들(4)을 수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유사한 방식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 특히 도 1, 4, 8, 및 도 13으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3)은 플러그 몸체(4)를 삽입하기 위한 리셉터클(10)을 구비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리셉터클(10)은 하우징(3)을 통해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보어(bore)로서 형성된다. 또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플러그 몸체(4)는, 플러그 몸체(4)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이동 또는 축방향(A)으로의 이동 각각에 의해, 하우징(3) 또는 하우징(3)의 리셉터클(10)에 각각 플러깅되는(plugged) 것이 또한 제공된다(도 13 참조). 여기에서, 플러그 몸체(4) 및 리셉터클(10)은, 리셉터클(10) 내에서의 플러그 몸체(4)의 단자 위치가 수립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단자 위치가 수립되도록 하기 위해, 단자 위치에서 플러그 몸체(4)는 인지 가능한(perceivable) 방식으로 리셉터클(10)에 래칭(latches)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하우징(3)은 적어도 하나의 래칭요소(11, latching element)를 구비하는 데, 래칭요소는 푸싱시(push)에 플러그 몸체 내에서 측방향 또는 반경방향으로 각각 휘어지고 플러그 몸체(4)가 들어가게 하지만, 플러그 몸체(4)의 단자 위치 도달시에 상기 래칭요소(11)의 이전 또는 비 편향 위치(non-deflected position) 각각으로 복귀 또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백(spring back)하고,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몸체가 푸시-인(push-in) 방향으로 반대(counter)로 당겨질 때, 래칭요소(11)가 플러그 몸체(4)의 경로를 차단하는 방식의 예시적 실시예가 제공된다. 래칭요소(11)는 바람직하게는 래칭요소(11)가 작동 가능하고 따라서 예를 들어 스크류드라이버(screwdriver)로 가압(pushing)하는 것에 의해 선택적으로 편항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필요에 따라 다시 플러그 몸체(4)를 하우징(3) 또는 리셉터클(10)로부터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몸체(4)는, 플러그 몸체(4)가 리셉터클(10)의 단자 위치에 도달할 때, 래칭요소(11)가 끼워지는 축소부(diminution, 12)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또한, 이것은 임의의 리세스(recess), 함몰부(depression)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 환형으로 둘러싸인 축소부(12)의 구성은 특히 적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축소부(12)는, 예를 들어, 플러그 몸체(4)가 2개 또는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된 구조를 가지며, 축소부(12)는 바람직하게는 플러그 몸체(4)의 2개의 부품 사이의 연결 영역에 형성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리셉터클(10)과 플러그 몸체(4)는 기계적인 코딩 특성(mechanical coding features)을 가져, 하우징(3)에 의도되지 않은 플러그 몸체(4)의 플러그-고정(plug-fitting)이 기계적으로 방지되는, 예시적인 실시예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콘택트 요소(13)의 전방영역(13a)이 플러그 몸체(4)의 외주에서, 하우징(3)에 삽입된 플러그 몸체(4)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하우징(3) 내에 플러그-고정 가능한 콘택트 요소(13)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콘택트 요소(13)는 전기 전도 방식으로 고정수단(2,fastening means)에 연결된다. 이를 고려하여, 추가적인 구성요소(24, 도 14 참조), 예를 들어 차량의 전도체 부분에 대한 접지 연결은 케이블(6)과 독립적으로 수립될 수 있다. 콘택트 요소(13)의 전방영역(13a)은, 상기 전방영역이 플러그 몸체(4)의 외부 둘레를 포함하는데, 특히 도 1, 7 및 도 12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수평 종단면의 도 4는 콘택트 요소(13)의 전방영역(13a)의 짧은 부분만을 도시하고 있는데, 그렇지 않으면 콘택트 요소(13)는 단면도에 도시된 플러그 몸체(4)에 의해 불명료하게 된다.
도 5, 도 7, 도 9, 도 10 및 도 12는 플러그-인(plugged-in)된 플러그 몸체(4) 없이, 콘택트 요소(13), 특히 콘택트 요소(13)의 전방영역(13a)을 도시한다.
고정수단(2)에 콘택트 요소(13)의 연결은 특히 도 2, 도 6, 도 7, 도 9, 도 10 및 도 11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그러나, 도 12 내지 도 14의 변형예에서, 콘택트 요소(13)는 바람직하게는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고정수단(2)에 일체로 형성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콘택트 요소(13)의 전방영역(13a)은 플러그 몸체(4)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형상-고정(form-fitting) 방식으로 연결된다. 여기에서, 콘택트 요소(13)의 전방영역(13a)은 단자 클램프(13a)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단자 클램프(13a)는 2개의 단자 클램프 암(terminal clamp arms)을 가지는데, 단자 클램프 암은 바람직하게는 튀어나오도록(to be sprung) 형성되고, 플러그 몸체(4)의 외주에 연결하기 위해, 단자 클램프 암의 응력 해제 위치(de-stressed position)로부터 편향되며, 플러그 몸체(4)의 외주에 연결시에 가능한 한 다시 스프링백(spring back)하고, 이로 인해 이들 사이에서 각각 플러그 몸체(4)를 수용 또는 포함한다.
콘택트 요소(13)는 임의의 위치에서 원칙적으로 플러그 몸체(4)와 접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콘택트 요소(13) 또는 이의 단자 클램프(13a)는 플러그 몸체(4)의 축소부(12)에 맞물린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래칭요소(11) 또한 동일한 축소부(12)에 맞물리지만, 이것은 의무적인 것이 아니다. 또한, 이것들은 다른 축소부들, 함몰부들(depressions), 리세스들(recesses) 또는 유사한 것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축소부(12)의 사용은 구조의 측면에서 그리고 이에 따라 경제적 측면에서 유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플러그 몸체(4)가 그 단자 위치에 도달할 때, 콘택트 요소(13)가 축소부(12)에 맞물리는 방식으로, 콘택트 요소(13)가 하우징(3) 내에 위치되고, 이로 인해 또한 플러그 몸체(4)의 연결 치수도 보장된다.
또한, 도 1 내지 도 11로부터 더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변형예에서 플러그 커넥터(1)는, 고정요소(14)에 대한 하우징(3)의 이동이 적어도 하나의 자유도(at least one degree of freedom)로 제한되는 방식으로, 하우징의 간극(15)(도 4 및 도 8 참조)에 결합될(incorporated) 수 있는 고정요소(14)를 구비한다. 적어도 하나의 자유도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플러그 몸체(4)를 안밖으로 가압하기 위한 이동 방향으로의 고정요소(14)에 대한 하우징(3)의 이동의 제한은, 고정요소(14)가 고정수단(2)에 직접 및/또는 콘택트 요소(13)에 의해 고정될 때, 특히 유리하다. 이러한 경우, 고정수단(2)에 대한 하우징(3)의 이동은 고정요소(14)에 의해 제한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언급된 이동방향 또는 길이방향 또는 하우징(3)의 축방향(A)으로 각각 제한된다.
하우징(3)의 고정요소(14) 및 간극(15)은, 하우징(3)의 이동의 측면에서 고정요소(14)에 대한 하우징(3)이 추가적인 자유도로 제한되는 방식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요소(14)가 간극(15) 내로 완전히 푸싱될(pushed) 때, 고정요소(14)는 하우징(3)의 제공된 단자 위치에 래칭(latches)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래칭 후크(a latching hook)가 제공될 수 있다. 래칭 후크는, 간극(15) 또는 하우징(3) 각각으로부터 고정요소(14)를 다시 회수하기 위해 해제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극(15) 및 래칭 후크 내에 실질적으로 형상-고정방식으로 고정요소(14)를 수용함으로써, 고정요소(14) 및 하우징(3)은 실질적으로 이동하지 않게 상호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도 4의 도면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요소(14)의 적어도 일부(14a)는 하우징(3) 내에 결합된 플러그 몸체(4)의 변위 경로 내로 돌출한다. 여기에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정요소(14)의 일부(14a)는 축소부(12) 내로 돌출되어, 플러그 몸체(4)를 하우징(3) 밖으로 또는 리셉터클(10) 밖으로 각각 당기는 것이 상기 고정요소(14)의 일부(14a)에 의해 다시 차단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콘택트 요소(13) 및 고정요소(14)는 둘다 직각 이동(orthogonal movement)을 통해 플러그 몸체(4)에 연결되는 것이 예시된다.
따라서 콘택트 요소(13) 및 고정요소(14)는, 플러그 몸체(4)가 하우징(3)의 단자 위치에 삽입될 때, 플러그 몸체(4)를 향한 방향으로 직각으로 연장된다.
고정요소(14)의 일부(14a)는, 또한 단자 클램프(13a) 및 래칭요소(11)와 같이, 동일한 축소부(12)로 돌출된다. 그러나, 이것은 선택사항이다.
특히 도 2, 도 6, 도 8,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11의 변형예에서 콘택트 요소(13)는 고정수단(2)의 간극(17) 내에 형상-고정 방식으로 삽입된다. 대안적으로, 콘택트 요소(13)는, 임의의 방식으로, 예들 들어 납땜/브레이징(soldering/brazing), 접착 결합(adhesive bonding), 또는 리벳팅(riveting)에 의해, 고정수단(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콘택트 요소(13)는, 하나의 부품인 고정수단(2)과 결합하여 형성되거나, 고정수단과 일체가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체형 구성은 도 12 내지 도 14의 변형예에 도시된다.
콘택트 요소(13) 및 고정수단(2) 사이의 양호한 기계 및 전기적인 전도 연결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형상-고정 연결에 의해 수립된다.
모든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정수단(2) 및 콘택트 요소(13)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적으로 도전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고정수단(2) 및 콘택트 요소(13)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적으로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된다. 고정수단(2) 및/또는 콘택트 요소(13)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적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금속으로 형성된다.
콘택트 요소(13)가 고정수단(2)의 간극(17)에 형상-고정 연결하는 것은, 콘택트 요소(13)가 튀어나오도록(to be sprung) 형성되고, 간극(17) 내에 콘택트 요소(13)이 고정되도록 간극(17)의 주변부가 결합하는(engage) 축소부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게 수립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택트 요소(13)는 바람직하게는 상호 거울-대칭 방식(mutually mirror-symmetrical manner)으로 움직이는 2개의 단자 클램프 암을 갖는 설계 실시예를 가지며, 각각의 경우에,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간극(17)의 주변부가 결합되는 하나의 축소부(18)를 가진다.
대안적으로, 또한, 콘택트 요소(13)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고, 간극(17)은 형상-고정 연결이 수립되도록 대응하여 상보적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 8 및 도 9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요소(14)는 콘택트 요소(13)를 삽입하기 위한 통로(19) 그리고 콘택트 요소(13)의 전방영역, 즉 단자 클램프(13a)를 플러그 몸체(4)에 연결하기 위한 통로(19)를 구비할 수 있다. 이것은 하우징(3)이 콘택트 요소(13)을 수용하기 위한 임의의 추가적인 간극을 가질 필요가 없다는 이점을 가지지만, 통로(19)는 하우징(3)의 간극(15)에 이미 위치된 고정요소(14)에서 간단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콘택트 요소(13)는 고정요소(14) 내의 통로(19)의 존재로 인해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하우징(3) 내에 플러깅된다(plugged).
도 1 내지 도 11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로(19)는 2개의 부분들로 형성되어, 하나의 통로는 콘택트 요소(13)의 각 단자 클램핑 암에 대해 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고정요소(14)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고정요소(14)는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성이 아니다.
도 7은 고정요소(14)의 대안적인 설계 실시예를 도시한다. 고정요소(14)의 비교적 평평한(flat) 구성은 도 7에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현재의 주요 초점이 아니다. 도 7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콘택트 요소(13)가 고정요소(14)의 간극(20)에 삽입된다는 점에서 이미 언급한 예시적인 실시예와 실실적으로 다르다. 콘택트 요소(13)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고정요소(14)의 간극(20)의 주변부는, 간극(20) 내에서 콘택트 요소(13)을 형상-고정 방식으로 수용하도록, 콘택트 요소(13)의 축소부(18) 또는 거울-대칭 방식으로 움직이는 콘택트 요소(13)의 단자 클램프 암들 각각과 결합한다.
콘택트 요소(13)와 고정수단(2) 사이의 직접적인 연결은 도 7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공되지 않는다. 도 7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콘택트 요소(13) 및 고정수단(2)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은 고정요소(14)를 통해 수행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고정요소(1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기적으로 전도성이 되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금속으로 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금속으로 형성된다. 콘택트 요소(13)는 고정수단(2)의 간극(17)에 느슨하게(loosely) 위치될 수 있다. 고정요소(14)는 예를 들어, 스냅-고정(snap-fit) 연결에 의해 고정수단(2)에 연결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은 또한, 다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고정요소(14) 및 고정수단(2) 사이의 고정 연결은 또한,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 특히 이것은, 고정요소(14)가 하우징(3)과 고정수단(2) 사이에 걸리고(jammed), 이것 때문에 상응하게 고정되는 방식으로, 하우징(3)이 고정수단(2)에 연결될 때 가능하다.
원칙적으로, 도 7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정요소(14)는 또한, 고정요소(14)에 대한 하우징(3)의 이동이 적어도 하나의 자유도로 제한되는 방식으로, 하우징(3)의 간극(15)에 삽입될 수 있다. 도 7에 따른 실시예에서 고정요소(14)는 또한, 고정요소(14)가 적절히 위치될 때, 하우징(3)에 결합된 플러그 몸체(4)의 변위 경로 내로 끼워지는 부분(14a)을 갖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도 1 내지 도 11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고정수단(2)은 플러그 커넥터(1)의 하우징(3)을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21)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냅-고정 연결부(22, snap-fit connection part)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의 변형예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3)의 하부 측이 지지될 수 있는 지지부(21) 및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냅-고정 후크(snap-fit hook)으로 형성된 스냅-고정 연결부(22, snap-fit connection part)가 둘다 제공된다. 여기에서, 지지부(21)는 특히 하우징(3)의 수평 이동의 범위를 추가로 한정하도록 고정 에지(securing edge)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2)은, 접지부분 또는 추가적인 구성요소(24), 예를 들어 차량 접지 또는 유사한 것에 고정수단(2)을 전기 및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는 복수의 아이렛들(23) 또는 적어도 하나의 아이렛(23, eyelet)을 구비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1)를 수용하여 고정하고 그리고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한 고정수단(2)의 설계 실시예를 도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서는, 3개의 플러그 커넥터들(1)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고정수단(2)이 수용할 수 있는 플러그 커넥터들(1)의 특정 개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9 내지 도 11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정수단(2)은 2개의 아이렛들(23)을 가진다. 대안적으로, 단지 하나 또는 복수의 아이렛들(23)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아이렛들(23)의 디자인 또는 아이렛들(23)의 존재는 모든 고정수단(2)의 경우에서 선택적이다. 선택적으로, 아이렛들(23)은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수단(2)이 접지부분 또는 추가적인 구성요소(24)에 각각 간단한 방식으로 부착되도록 고정수단(2)이 연결요소들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1 내지 도 11의 변형예에 관한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러그 몸체(4)를 고정하는 것은, 고정요소(14) 및 콘택트 요소(13)가 아직 플러그 몸체(14)에 제공되지 않는 동안에는, 하우징(3)의 대응 설계에 의해 특히 래칭요소(1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것은 일차 고정 피쳐(primary securing feature)라고 지칭된다.
고정요소(14) 및/또는 콘택트 요소(13)가 그 단자 위치로 푸싱된 후에, 상기 고정요소(14) 및/또는 상기 콘택트 요소(13)에 의해, 하우징(3) 내에 이전에 위치된 플러그 몸체(4)가 고정될 수 있다. 이것은 이차 고정 피쳐(secondary securing feature)라고 지칭되는 데, 여기서 콘택트 요소(13)의 상호작용 및 고정요소(14)의 상호 작용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특히 적합하다. 여기에서, 콘택트 요소(13) 및 고정요소(14)는 또한, 하우징(3) 내의 플러그 몸체(4)의 위치적으로 정확한 자리를 결정할 수 있고, 따라서 상보적인 플러그 커넥터(보다 상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치수들을 보장할 수 있다.
도 8은 소위 선-래칭 위치(pre-latching position)에 있는 고정요소(14)를 도시한다. 고정요소(14)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3)에 미리 조립된다. 플러그 몸체(4)가 조립되기 위해서는, 플러그 몸체(4)가 먼저 하우징(3)에 플러깅되고(plugged), 이어서 플러그 몸체(4)가 하우징(3) 내의 그 단자 위치에 도달할 때, 이차 고정 피쳐(14)가 이차 고정 피쳐(14)의 단자 래칭 위치까지 가압되도록 제공된다.
도 9 및 도 10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는, 이어서 고정수단(2)에 이미 연결된 콘택트 요소(13) 위에 클립-고정(clip-fitted)될 수 있다.
고정요소(14)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생략될 수 있다.
도 12는 고정수단(2)의 특정 변형예를 도시하는데, 상기 변형예는 원칙적으로 바람직하다. 도 13은 이 변형예에 적합한 하우징(3)을 도시하고, 도 14는 조립 위치에서 고정수단(2) 및 하우징(3)을 도시한다. 위에서 언급한 모든 특징들은, 기술적으로 배제되지 않는 한, 이 변형예의 특징과 여기에서 물론 결합될 수 있다.
이 변형예의 고정수단(2)은 마찬가지로 콘택트 요소(13)를 구비하지만, 바람직하게는 고정수단(2)과 일체로 형성된다. 플러그 커넥터(1)의 하우징(3)을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스냅-고정 연결부들(22)이 더 제공되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스냅-고정 연결부들(22)은 그 외측으로 하우징(3)을 둘러싸고 있다. 외측의 하우징은 하우징(3) 및 고정수단(3) 사이의 축방향(A)으로 형상-고정 연결을 형성하도록 스냅-고정 연결부들(22)이 끼워질 수 있는 그루브(25)를 구비한다. 또한, 스냅-고정 연결부들(22)은 바람직하게는 고정수단(2)과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스냅-고정 연결부들(22)은 임의의 연결요소들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스냅-고정 연결부들(22)이 하우징(3) 내로 끼워져 그로 인해 특히 고정수단(2) 및 하우징(3) 사이의 기계적인 형상-고정(form-fitting) 및/또는 힘-고정(force-fitting) 연결을 수립하는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수단(2)은 추가적인 구성요소(24)에 대한 접지 연결을 형성하도록 마지막으로 연결요소들(26)을 구비한다. 연결요소들은 현재 압착 연결부(26, a crimp connection)로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고정수단(2)과 일체로 되어 있다.
추가적인 구성요소(24, 도 14 참조)에 대한 접지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접지 연결 케이블(27)은 바람직하게는 압착 연결부(26)를 통해 고정수단(2)에 압착-고정(crimp-fitted)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고정수단(2)에 압착-고정되지 않은 단부의 접지 커넥터 케이블(27)은 바람직하게는 추가적인 구성요소(24)에 대한 전기 및 기계적인 고정을 위한 케이블 슈(a cable shoe, 28)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고정수단(2)은 도 12 내지 도 14의 변형예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얇은 금속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수단(2)은 천공 및 굴곡 부분(a punched and bent part)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1)의 하우징 및 고정수단(2)은 바람직하게는 고정수단(2)이 플러그 커넥터(1)의 하우징(3)의 외측들을 지나 돌출하지 않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수단이 플러그 커넥터(1)의 하우징(3) 내에 삽입될 때, 오목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 13 및 도 14에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3)은 적합한 함몰부들 및/또는 리세스들(depressions and/or recesses)을 구비할 수 있다.

Claims (20)

  1.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1)를 구비하는 플러그 연결장치로서, 상기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1)는 하우징(3), 케이블(6)의 외부 도체(5)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몸체(4)와, 상기 케이블(6)의 내부 도체(9)에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내부 도체부(8)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3)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몸체(4)를 삽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셉터클(10)을 구비하며,
    콘택트 요소(13)의 전방 영역(13a)이, 상기 하우징(3) 내로 삽입된, 상기 플러그 몸체(4)의 외주 상에서, 상기 플러그 몸체(4)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3) 내로 플러그-고정가능한(plug-fittable) 콘택트 요소(13)가 제공되며, 상기 콘택트 요소(13)는 상기 케이블(6)과 독립적으로, 다른 구성요소(24)에 접지 연결을 수립하도록 고정수단(2)에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1)는 고정요소(14)에 대한 상기 하우징(3)의 이동이 적어도 하나의 자유도로 제한되는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3)의 절개부(15, cutout)에 결합될 수 있는 고정요소(14)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요소(14)는 상기 하우징(3) 내의 그 단부 위치에서 상기 플러그-고정되는 플러그 몸체(4)를 고정하며,
    상기 고정요소(14)는 상기 콘택트 요소(13)에 형상-고정(form-fitting) 방식으로 연결되며, 또한 상기 고정요소(14)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요소(14)는, 상기 콘택트 요소(13)를 삽입하고 상기 콘택트 요소(13)의 상기 전방영역(13a)을 상기 플러그 몸체(4)에 연결하기 위한 통로(19)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요소(13)의 상기 전방 영역(13a)은 상기 플러그 몸체(4)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에 형상-고정 방식으로 연결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몸체(4) 및 상기 리셉터클(10)은 상기 리셉터클(10) 내의 상기 플러그 몸체(4)의 단자 위치가 수립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몸체(4)는 그 외주상에 상기 콘택트 요소(13)가 결합하는 축소부(1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요소(1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우징(3)에 결합된 상기 플러그 몸체(4)의 변위 경로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요소(14)에 의한 상기 콘택트 요소(13)는 상기 고정수단(2)에 전기 전도 방식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요소(13)는 상기 고정수단(2)의 간극(17)에 형상-고정 방식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상기 고정수단(2)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요소(13)의 상기 전방영역(13a)은 단자 클램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요소(14)의 부분(14a)은 상기 축소부(12)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1)의 상기 하우징(3)을 고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21)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스냅-고정 연결부(22, snap-fit connection part)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냅-고정 연결부(22)는 상기 하우징(3) 및 상기 고정수단(2) 사이에서 축방향(A)으로 형상-고정 연결부(form-fitting connection)를 형성하도록 상기 하우징(3)의 외측의 그루브(groove, 2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렛(23, eyelet)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은 추가적인 구성요소(24)에 대한 접지 연결을 수립하도록 연결요소들(2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요소들은 상기 고정수단(2)에 접지 커넥터 케이블(27)을 연결하도록 압착 연결부(26, a crimp connection)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냅-고정 연결부(22), 상기 콘택트 요소(13), 및 접지 연결을 위한 연결요소들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1)의 상기 하우징(3) 및 상기 고정수단(2)은, 상기 고정수단(2)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1)의 상기 하우징(3) 내로 삽입될 때, 상기 고정수단(2)이 상기 플러그 커넥터(1)의 상기 하우징(3)의 외측들을 지나 돌출하지 않는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2)은 복수의 플러그 커넥터들(1)을 고정하고 전기적으로 접촉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87026578A 2016-05-06 2017-05-05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KR102210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08402.6 2016-05-06
DE102016108402 2016-05-06
DE102016109266.5 2016-05-20
DE102016109266.5A DE102016109266A1 (de) 2016-05-06 2016-05-20 Steckverbindungsvorrichtung mit wenigstens einem Steckverbinder
PCT/EP2017/060797 WO2017191309A1 (de) 2016-05-06 2017-05-05 Steckverbindungsvorrichtung mit wenigstens einem steckverbin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429A KR20190002429A (ko) 2019-01-08
KR102210531B1 true KR102210531B1 (ko) 2021-02-01

Family

ID=6011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578A KR102210531B1 (ko) 2016-05-06 2017-05-05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784615B2 (ko)
EP (2) EP3332451B1 (ko)
JP (1) JP2019515457A (ko)
KR (1) KR102210531B1 (ko)
CN (1) CN108780955B (ko)
DE (1) DE102016109266A1 (ko)
WO (1) WO20171913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09266A1 (de) * 2016-05-06 2017-11-0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ungsvorrichtung mit wenigstens einem Steckverbinder
KR102614278B1 (ko) * 2016-10-17 2023-12-1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주파 커넥터
EP3907830B1 (de) * 2018-03-15 2024-02-21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Aussenleiteranordnung
DE102019104754A1 (de) 2018-03-15 2019-09-1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Außenleiteranordnung
US11075488B2 (en) 2019-11-25 2021-07-27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Impedance control connector with dielectric seperator rib
US11146010B2 (en) 2019-12-09 2021-10-12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Overmolded contact assembly
US11011875B1 (en) 2019-12-10 2021-05-18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Electrical cable braid positioning clip
US10978832B1 (en) 2020-02-07 2021-04-13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Protection member to protect resilient arms of a contact assembly from stubbing
US11296464B2 (en) 2020-02-14 2022-04-05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Impedance control connector
DE102020132962A1 (de) * 2020-12-10 2022-06-15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ochstromsteckverbinder für Batteriemanagementsystem
DE202021100405U1 (de) 2021-01-28 2021-02-09 Md Elektronik Gmbh Steckverbindung und Steckverbindungsanordnu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63296A1 (de) * 2001-01-04 2002-10-24 Sumitomo Wiring Systems Abschirmanschluß und ein damit Versehener Verbinder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752Y2 (ko) * 1975-09-16 1981-03-17
JPH0113344Y2 (ko) * 1984-10-03 1989-04-19
US4741703A (en) * 1986-08-12 1988-05-03 Amp Incorporated PCB mounted triaxial connector assembly
GB2251985B (en) * 1991-01-16 1994-10-05 Omega Engineering A groundable electrical connector
JPH0527977A (ja) 1991-07-19 1993-02-05 Meidensha Corp エキスパートシステムにおける使用ルール表示方法
US5240425A (en) * 1991-09-20 1993-08-31 Hirose Electric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2501040Y2 (ja) * 1991-09-20 1996-06-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構造
EP0586841A1 (de) * 1992-07-30 1994-03-16 Reichle + De-Massari AG Elektro-Ingenieure Printplatte und Montagemodul für einen Anschluss abgeschirmter Leiter und Verteilersysteme im Schwachstrom-Anlagebau
DE69218223T2 (de) * 1992-12-02 1997-06-26 Molex Inc Elektrisches Steckverbindungssystem
JPH09147991A (ja) * 1995-11-22 1997-06-06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シールド線用アースコネクタ
JPH1167362A (ja) * 1997-08-19 1999-03-09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3311997B2 (ja) 1998-07-06 2002-08-0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606436B2 (ja) * 1999-11-29 2005-01-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US20030176104A1 (en) 2002-03-13 2003-09-18 Hall John W.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ical connector cable retention
US20040229516A1 (en) * 2003-05-14 2004-11-18 Shin-Nan Kan Connector of a power source
JP2005108756A (ja) * 2003-10-01 2005-04-21 Yazaki Corp 車両用アース接続構造及び車両用アース接続構造の組立方法
US7261581B2 (en) * 2003-12-01 2007-08-28 Corning Gilbert Inc.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US7223131B2 (en) * 2005-09-02 2007-05-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Three positio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4978784B2 (ja) * 2007-07-03 2012-07-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70021B2 (ja) * 2007-12-05 2012-11-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DE202007017309U1 (de) * 2007-12-12 2008-02-28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Koaxialsteckverbinder
DE202008014541U1 (de) * 2008-11-03 2009-01-2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er mit einem Kodiergehäuse
US8834196B2 (en) * 2009-09-28 2014-09-16 Molex Incorporated Shielded modular jack assembly
US8100704B1 (en) * 2011-07-27 2012-01-24 Ezconn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JP6086381B2 (ja) * 2013-01-28 2017-03-01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構造
DE202014004431U1 (de) * 2014-05-27 2014-06-12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Kontakthalteteil mit gesicherter Zugsicherung
CN204067733U (zh) * 2014-07-28 2014-12-31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
CN205026616U (zh) * 2015-08-10 2016-02-10 东莞市荣文照明电气有限公司 一种nema产品接口的改良结构
DE102016109266A1 (de) * 2016-05-06 2017-11-0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Steckverbindungsvorrichtung mit wenigstens einem Steckverbinder
JP6708025B2 (ja) * 2016-07-04 2020-06-1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シールドコネクタ
TWI716662B (zh) * 2018-01-19 2021-01-21 葵谷科技實業有限公司 具有閂扣結構之連接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63296A1 (de) * 2001-01-04 2002-10-24 Sumitomo Wiring Systems Abschirmanschluß und ein damit Versehener Verb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9933B1 (de) 2022-06-22
DE102016109266A1 (de) 2017-11-09
US20190058296A1 (en) 2019-02-21
EP3332451A1 (de) 2018-06-13
US11942749B2 (en) 2024-03-26
EP3332451B1 (de) 2020-07-29
CN108780955A (zh) 2018-11-09
WO2017191309A1 (de) 2017-11-09
US10784615B2 (en) 2020-09-22
EP3719933A1 (de) 2020-10-07
US20200403347A1 (en) 2020-12-24
KR20190002429A (ko) 2019-01-08
JP2019515457A (ja) 2019-06-06
CN108780955B (zh)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531B1 (ko)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플러그 연결장치
CN109962358B (zh) 连接器
EP3159970B1 (en) Cable assembly, connec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ble assembly
US8466367B2 (en) Lead-through terminal
CN107851919B (zh) 端子接头件
CN108352629B (zh) 电连接夹具
CN108808289B (zh) 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装置
CN107925183B (zh) 插拔连接器
KR101701587B1 (ko) 플러그 커넥터의 절연 바디
JP6943175B2 (ja) 端子金具及びコネクタ
US10014619B2 (en) Angle connector
WO2014175176A1 (ja) コネクタ
US9401553B2 (en) Connector device
KR20140024808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및 조립 방법
US20140094052A1 (en) Wrong insertion preventive structure of connector
US6305980B2 (en) Cable end connector having accurately positioned connection terminal therein
US6361383B1 (en) Cable end connector reliably positioning a shell
JP4915880B2 (ja) シェル付き電気コネクタ
US6371806B1 (en) Cable end connector having accurately positioned connection terminal therein
KR102550876B1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CN108808395B (zh) 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装置
TW201340478A (zh) 支座,附帶扁形導體支座及該附帶扁形導體支座與電連接器之組合體
CN110635257B (zh) 电连接器及电连接器的制造方法
US20150340779A1 (en) Wire lug connector
CN118137224A (zh) 插接连接器、配合插接连接器和插接连接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