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303B1 -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및 시트 벨트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및 시트 벨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303B1
KR102210303B1 KR1020197002495A KR20197002495A KR102210303B1 KR 102210303 B1 KR102210303 B1 KR 102210303B1 KR 1020197002495 A KR1020197002495 A KR 1020197002495A KR 20197002495 A KR20197002495 A KR 20197002495A KR 102210303 B1 KR102210303 B1 KR 102210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ubstrate
channel
buckle
seat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2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1422A (ko
Inventor
고슈 카타오카
펑페이 니
스스무 나카시마
스리칸트 샨스말라파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190021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1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23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asten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engaging holes or the like in strap
    • A44B11/24Buckle with movable prong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69Safety mea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H01H1/36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 H01H1/44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by sliding with resilient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16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b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60R2022/4833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for sensing locking of retra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uckles (AREA)
  • Slide Switche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스위치 기판(42) 및 스위치 기판(42) 위를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더부(50)를 가지는 버클 스위치(40)와, 텅 플레이트(1)의 탈착 동작과 연동하는 이젝터(30)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대략
Figure 112019009025718-pct00007
자형 단면의 채널(20)을 구비하고, 스위치 기판(42)의 후단부인 다리부(43)가 기판 하우징(45)을 개재하여 채널(20)의 측벽(22A)에 고정됨으로써 채널(20)에 지지되고, 버클 스위치(40)와 채널(20)이 일체로 조립된다.

Description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및 시트 벨트 장치
본 발명은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및 시트 벨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등의 시트 벨트의 텅이 잠금 상태인지 아닌지를 검출하는 버클 스위치를 구비한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및 시트 벨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는 승차인이 시트 벨트 장치를 장착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지하는 버클 스위치를 내부에 구비하고, 시트 벨트의 장착 및 미장착에 의해 에어백의 전개 출력이나 시트 벨트 권취 모터 등의 제어를 실시하고 있다. 이 종류의 버클 스위치의 예로서는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을 버클 내에 구비하고, 텅 플레이트의 삽입에 따라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접촉하고, 접점 상태의 변화에 의해 벨트의 장착 및 미장착 상태를 검출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등 참조)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내는 종래의 버클 스위치(100)는 한쪽 면(채널(112)측)에 고정 접점(102)이 설치된 스위치 기판(101)과 도시하지 않은 가동 접점을 가지고, 스위치 기판(101) 위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슬라이더부(105)를 구비한다. 스위치 기판(101)은 길이 방향의 양단부가 하부 케이스(110)의 홈부(111)에 감합하여 위치가 정해지고, 채널(112)의 한쪽 측벽(113)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부(105)에서 측벽(113) 방향을 향하여 돌출하는 연결부(106)는 이젝터(115)의 분기 홈(116)에 걸려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젝터(115)는 도시하지 않은 텅 플레이트의 탈착 동작과 연동하여 채널(112)의 삽통홈(114)에 안내되어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텅 플레이트가 삽입됨으로써 이젝터(115)가 슬라이드하면 슬라이더부(105)가 가동 접점과 함께 스위치 기판(101)의 고정 접점(102) 위를 슬라이드하여 접점 상태가 전환된다.
JP 2009-240528 A
그러나 도 7에 나타내는 종래의 버클 스위치(100)에서는 텅 플레이트의 삽입에 따라 작동하는 여러 개의 버클 작동 부품이 설치된 채널(112)과 스위치 기판(101)이 각각 독립적으로 하부 케이스(11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버클 스위치(100)의 조립 때에 채널(112), 스위치 기판(101), 하부 케이스(110) 각각의 상대 위치를 조정하여 조립해야만 했고, 조립 공정수가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채널(112)과 스위치 기판(101)이 독립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가 비교적 커지게 되는 과제가 있다. 나아가 스위치 기판(101)은 하부 케이스(110)의 홈부(111) 내에 감합하여 고정되어 있다는 사실로부터, 버클 작동 부품의 미끄럼 이동에 동반하는 마모 분말이나 버클 내의 모래나 먼지가 스위치 기판(101)에 부착하고, 스위치 접점부(고정 접점(102)과 가동 접점의 접점)에서의 접촉 저항 저하의 가능성이 있어 대책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또한 고정 접점(102)은 스위치 기판(101)의 채널(112)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버클 작동 부품의 미끄럼 이동에 동반하여 마모 분말이 발생하면 마모 분말이 고정 접점(102)에 직접 부착하기 쉽고, 스위치 접점부의 이물질이 끼어들어가는 것에 의한 접촉 저항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은 전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를 소형화함과 동시에 버클 스위치의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버클 스위치의 신뢰성을 향상 가능한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및 시트 벨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스위치 기판과 상기 스위치 기판 위를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더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부가 텅의 탈착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스위치 기판 위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텅이 버클에 삽입되어 연결됐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버클 스위치와,
상기 텅의 탈착 동작과 연동하여 슬라이드하는 이젝터를 미끄럼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대략
Figure 112019009025718-pct00001
자형 단면의 채널
을 구비하는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로서,
상기 스위치 기판은 그 일단부가 상기 채널의 측벽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채널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2)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이젝터에 형성된 구멍부에 감합하는 핀을 구비하고,
상기 핀은 상기 슬라이더부의 슬라이더 방향 중간부보다도 상기 스위치 기판의 일단부측에 오프셋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3)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버클 스위치 및 상기 채널을 수용하는 케이스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기판의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 커버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버클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기판의 일단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채널의 측벽에 지지되는 기판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기판의 일단부는 상기 기판 하우징을 개재하여 상기 채널의 측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5) (3)에 있어서,
상기 버클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기판의 일단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채널의 측벽에 지지되는 기판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기판의 일단부는 상기 기판 하우징을 개재하여 상기 채널의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스위치 기판의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 커버와 접촉하는 제1 평면을 가지고,
상기 스위치 기판의 일단부는 상기 기판 하우징과 접촉하고, 상기 제1 평면과 동일 방향을 향하는 제2 평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6)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기판 하우징에는 상기 슬라이더부의 이동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 또는 오목한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 기판에는 상기 기판 하우징의 상기 볼록부와 당접하는 오목부 또는 상기 기판 하우징의 상기 오목부와 당접하는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7) (1)에 있어서,
상기 버클 스위치 및 상기 채널을 수용하는 케이스 커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기판의 일단부는 상기 채널에 캔틸레버 지지되고,
상기 스위치 기판의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기판 수용부에 접촉하지 않고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8) (7)에 있어서,
상기 버클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기판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채널의 측벽에 지지되는 기판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기판의 일단부는 상기 기판 하우징을 개재하여 상기 채널의 측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9) (1)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기판에는 고정 접점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부에는 가동 접점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부가 상기 텅의 탈착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스위치 기판 위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 대하여 접촉 또는 비접촉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10) (9)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은 상기 채널의 상기 측벽과 대향하는 면과 반대측의 상기 스위치 기판의 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11)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를 구비한 시트 벨트 장치.
본 발명의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에 의하면 스위치 기판의 일단부가 채널의 측벽에 고정됨으로써 채널에 지지되고, 스위치 기판과 채널이 일체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고, 또한 스위치 기판 및 채널을 케이스 커버에 조립해 넣을 때, 스위치 기판과 채널의 위치 조정이 불필요해지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구성은 버클 장치의 소형화에 의해, 종래와 같이 채널을 배치하는 케이스 커버 면 위에 홈부를 설치하고, 해당 홈부로 스위치 기판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도 스위치 기판을 지지할 수 있다.
도 1중, (a)는 본 발명에 관한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의 분해 사시도, (b)는 가동 접점을 가지는 슬라이더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스위치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3중, (a)는 기판 하우징의 사시도, (b)는 (a)의 기판 하우징을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중, (a)는 도 1(a)의 IV부를 상면에서 본 요부 확대도이고, (b)는 도 1(a)의 IV부의 스위치 기판의 후단부가 기판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a)의 V부인 스위치 기판의 전단부와 기판 수용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중, (a)는 변형예에 관한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b)는 (a)의 V부인 스위치 기판의 전단부와 기판 수용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중, (a)는 종래의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의 분해 사시도, (b)는 슬라이더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의 일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방향, 다시 말해 전방(Fr), 후방(Rr), 좌방(L), 우방(R), 상방(U), 하방(D)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화살표(A)는 텅 플레이트(1)의 삽입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10)는 텅 플레이트(1)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해제 버튼(11)이나 텅 플레이트(1)의 탈착 동작과 연동하여 작동하는 이젝터(30) 등의 버클 작동 부품이 조립되는 채널(20)과, 채널(20)의 측방에 배치되고 버클 장치(10)에 텅 플레이트(1)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전기를 통해 검지하는 버클 스위치(40)를 구비한다. 채널(20)과 버클 스위치(40)는 케이스 커버(60) 안에 수용되어 있다.
채널(20)은 강판을 대략
Figure 112019009025718-pct00002
자형 단면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고, 바닥판(25)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벽(22A, 22B)이 설치되어 있다. 채널(20)의 한쪽 측벽(22A)에는 버클 스위치(40)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23) 및 걸림 고정부(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채널(20)의 양측벽(22A, 22B)의 상부에는 바닥판(25)을 따라 텅 플레이트(1)의 삽입 방향으로 삽통 구멍(26)이 설치되어 있다.
삽통 구멍(26)에는 판 형상인 이젝터(30)의 좌우 양팔부(31)가 돌출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젝터(30)는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10)에 삽입되는 텅 플레이트(1)에 압압되고, 좌우 양팔부(31)가 삽통 구멍(26) 안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채널(20) 안에 배치되어 있다.
삽통 구멍(26)에서 버클 스위치(40)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이젝터(30)의 한쪽 팔부(31A)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더부(50)의 핀(54)이 계합하는 계합 구멍(32)이 형성되어 있다.
버클 스위치(40)는 도 2 및 도 3도 참조하여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된 스위치 기판(42)과 스위치 기판(42)의 일단부를 채널(20)에 고정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고정 접점(42a, 42b, 42c)의 각 단자에 접속된 리드선(71)(도 4(a) 참조)이 나와있는 수지제 기판 하우징(45)과 텅 플레이트(1)와 연동하여 스위치 기판(42) 위를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더부(50)를 구비한다.
스위치 기판(42)의 한쪽 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절연된 세 개의 고정 접점(42a, 42b, 42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위치 기판(42)은 그 후 단부에 하방으로 돌출하는 다리부(42)와 해당 다리부(43)보다 슬라이더부(50)의 이동 방향 후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는 후방 볼록부(41)를 가진다. 스위치 기판(42)은 다리부(43)가 기판 하우징(45)에 형성된 세로 홈(46)에 삽입되고, 또한 볼록부(41)가 기판 하우징(45)에 형성되어 슬라이더부(50)의 이동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49)에 삽입되어 기판 하우징(45)에 고정되어 있다. 스위치 기판(42)은 버클 스위치(40)가 채널(20)에 설치됐을 때, 세 개의 고정 접점(42a, 42b, 42c)이 채널(20)의 측벽(22A)에 대하여 반대측을 향한 상태가 되도록 기판 하우징(45)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 기판(42)은 기판 하우징(45)에서 돌출하는 돌출부(47)가 채널(20)의 구멍(23)에 감합함과 동시에, 기판 하우징(45)에서 연장 설치되는 걸림 고정조(爪)(48)가 채널(20)의 걸림 고정부(24)에 걸림 고정되고, 기판 하우징(45)을 개재하여 채널(20)의 측벽(22A)에 고정된다.
채널의 측벽(22A)에 고정된 스위치 기판(42)은 전단부(44)가 구속되어 있지 않고, 다리부(43) 및 볼록부(41)를 가진 후단부가 기판 하우징(45)을 개재하여 채널(20)의 측벽(22A)에 고정됨으로써 캔틸레버 지지되어 있다. 다시 말해, 스위치 기판(42)은 판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함으로써, 그 전단부(44)가 측벽(22A)에 대하여 접근 또는 이간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스위치 기판(42)의 전단부(44)는 제1 평면인 하부면(44a)을 가지고, 스위치 기판(42)의 후단부는 전단부(44)의 하부면(44a)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제2 평면인 볼록부(41)의 하부면(41a)을 가진다.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록부(41)의 하부면(41a)은 기판 하우징(45)의 오목부(49)의 바닥면(49a)과 당접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스위치 기판(42)의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41)의 후단면(41b)이 오목부(49)의 측벽(49b)과 당접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스위치 기판(42)의 전후 방향(슬라이더부(50)의 이동 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또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49)를 형성하는 측벽부(70)는 리드선(71)을 안내 가능하도록, 스위치 기판(42)에 대하여 채널측 부분(70a)이 채널측의 반대측 부분(70b)에 상대해 채널(20)측 및 전방측으로 펼쳐져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측벽부(70)의 채널측 부분(70a)의 외측면은 리드선(71)을 후방으로 안내하기 위해 상면부에서 보아 볼록상으로 완곡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49)에는 스위치 기판(42)이 삽입된 상태로 공간이 되는 가로 구멍(49c)이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49)는 상부면에서 보아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목부(49)에 가로 구멍(49c)을 설치함으로써 측벽부(70)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또한 채널(20)측 측벽부(70)가 변형되기 쉬워짐으로써 오목부(49)를 향하는 스위치 기판(42)의 볼록부(41)의 삽입성이 향상한다.
또한 도 4(a) 중, 부호(72)는 리드선(71)을 묶어서 지지하는 홀더이다.
도 1로 돌아가 슬라이더부(50)는 대략
Figure 112019009025718-pct00003
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수지제 부재로서, 도면 중, 상하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벽(51)의 내면에는 각각 가이드 홈(52)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홈(52)은 스위치 기판(42)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감합하고, 스위치 기판(4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더부(50)를 안내한다.
또한 슬라이더부(50)의 도면 중, 상방의 벽(51)에서 연장 설치된 연설부(53)에는 핀(54)이 하방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부(50)가 스위치 기판(42)에 조립되었을 때, 핀(54)은 스위치 기판(42)의 고정 접점(42a, 42b, 42c)이 설치된 면과는 반대측으로 배치된다. 또한 핀(54)은 슬라이더부(50)의 슬라이드 방향 중간부보다도 스위치 기판(42)의 일단부측에 오프셋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핀(54)이 오프셋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길이가 짧아지고 소형화된다.
슬라이더부(50)의 내면에는 여러 개의 접점을 가지는 가동 접점(55)이 고정되어 있고, 슬라이더부(50)와 함께 슬라이더함으로써 스위치 기판(42)의 고정 접점 42a와 42b, 또한 고정 접점42b와 42c를 합선시키고 접점 상태를 전환한다.
케이스 커버(60)는 도에 나타낸 상부 케이스 커버(61)와 상부 케이스 커버(61)와 조합되는 도시하지 않은 하부 케이스 커버로 이루어진다. 상부 케이스 커버(61)는 텅 플레이트(1)가 삽입 탈리되는 개구부(62)가 중앙부에 형성된 통상부(63)와, 통상부(63)에 연속하여 설치된 대략
Figure 112019009025718-pct00004
자 단면 형상의 후드부(64)를 가진다. 후드부(64)의 전방 모서리부에는 스위치 기판(42)의 전단부(44)를 비접촉으로 부유시켜 수용하는 기판 수용부(65)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 커버는 상부 케이스 커버(61)의 후드부(64)를 덮어 설치된다.
그리고 버클 스위치(40)는 슬라이더부(50)의 핀(54)을 이젝터(30)의 계합 구멍(32)에 삽통하고, 기판 하우징(45)의 돌출부(47)와 채널(20)의 구멍(23)을 감합함과 동시에, 기판 하우징(45)의 걸림 고정조(48)를 채널(20)의 걸림 고정부(24)에 걸림 고정시켜서 채널(20)의 측벽(22A)에 고정된다. 나아가 채널(20)과 일체로 조립된 버클 스위치(40)는 채널(20)과 함께 케이스 커버(60) 안에 조립된다. 이때, 자유 단부인 스위치 기판(42)의 전단부(44)는 상부 케이스 커버(61)의 기판 수용부(65)에 접촉하지 않고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기판(42)의 전단부(44)는 하부면(44a)이 기판 수용부(65)의 상부면(65a)과 약간의 틈새를 가지고 대향하고 있고, 또한 선단부면(44b)이 기판 수용부(65)의 측면(65b)과 약간의 틈새를 가지고 대향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여분의 하중이 스위치 기판(42)의 전단부(44)에 작용하지 않고, 스위치 기판(42)의 내구성을 확보 가능하다.
또한 스위치 기판(42)의 전단부(44)는 하단면(44a) 또는 선단부면(44b)이 기판 수용부(65)의 상면(65a) 또는 측면(65b)과 당접함으로써, 커다란 하중이 작용했을 경우에도 스위치 기판(42)의 변위를 규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10)는 텅 플레이트(1)가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10)에 삽입되면 이젝터(30)가 텅 플레이트(1)에 압압되어 채널(20)의 삽통 구멍(26) 안을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이젝터(30)의 계합 구멍(32)에 핀(54)이 계합하는 슬라이더부(50)는 텅 플레이트(1)의 탈착 동작과 연동하여 스위치 기판(42) 위를 슬라이드 이동한다.
그리고 가동 접점(55)이 고정 접점 42a, 42b, 또는 고정 접점 42b와 42c 사이를 접촉 또는 비접촉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하여 텅 플레이트(1)가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10)에 삽입되어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10)에 의하면 고정 접점(42a, 42b, 42c)이 설치되는 스위치 기판(42) 및 가동 접점(55)이 설치되어 스위치 기판(42) 위를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더부(50)를 가지는 버클 스위치(40)와, 텅 플레이트(1)의 탈착 동작과 연동하는 이젝터(30)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대략
Figure 112019009025718-pct00005
자형 단면의 채널(20)을 구비한다. 버클 스위치(40)는 다리부(43)가 기판 하우징(45)을 개재하여 채널(20)의 측벽(22A)에 고정됨으로써 채널(20)에 지지되고, 버클 스위치(40)와 채널(20)이 일체로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1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버클 스위치(40) 및 채널(20)을 케이스 커버(60)에 조립해 넣을 때, 스위치 기판(42)과 채널(20)의 위치 조정이 불필요해지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기판(42)의 다리부(43)는 채널(20)에 캔틸레버 지지되고, 스위치 기판(42)의 전단부(44)는 구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슬라이더부(50)의 움직임에 따라 판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고, 부착한 먼지 등의 이물질이 낙하하기 쉽고, 이물질에 의한 스위치 접점부에서의 접촉 저항의 저하를 억제하여 버클 스위치(40)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시트벨트용 버클 장치(10)는 버클 스위치(40) 및 채널(20)을 수용하는 케이스 커버(60)를 한층 더 구비하고, 스위치 기판(42)의 전단부(44)가 케이스 커버(60)의 기판 수용부(65)에 비접촉으로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치 기판(42)이 필요 이상으로 탄성 변형하는 것이 억제되고, 스위치 기판(4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버클 스위치(40)는 스위치 기판(42)의 다리부(43)에 설치됨과 동시에 채널(20)의 측벽(22A)에 지지되는 기판 하우징(45)을 구비하고, 스위치 기판(42)의 다리부(43)가 기판 하우징(45)을 개재하여 채널(20)의 측벽(22A)에 고정되기 때문에 스위치 기판(42)이 캔틸레버 지지된다.
또한 고정 접점(42a, 42b, 42c)은 채널(20)의 측벽(22A)과 대향하는 면과 반대측의 스위치 기판(42)의 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버클 작동 부품의 미끄럼 이동과 함께 마모 분말이 발생해도 마모 분말이 고정 접점(42a, 42b, 42c)에 부착하기 어렵고, 스위치 접점부에 이물질이 끼어들어가는 것에 의한 접촉 저항 저하가 방지되고, 버클 스위치(40)의 신뢰성이 향상한다.
나아가 슬라이더부(50)는 이젝터(30)에 형성된 계합 구멍(32)에 감합하는 핀(54)을 구비하고, 핀(54)은 슬라이더부(50)의 슬라이드 방향 중간부보다도 스위치 기판(42)의 일단부측에 오프셋하고 있기 때문에, 핀(54)이 오프셋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길이가 짧아지고,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10)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절히 변형, 개량 등이 가능하다.
스위치 기판의 일단부와 채널의 측벽의 고정 방법 특히 기판 하우징과 채널의 측벽의 고정 방법은 본 실시형태의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 기판(42)의 전단부(44)가 케이스 커버(60)의 기판 수용부(65)에 비접촉으로 수용되어 있지만, 도 6(a)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스위치 기판(42)의 전단부(44)는 케이스 커버(60)의 후드부(64)의 전방 모서리부에 설치된 기판 수용부(65)의 상면(65a)에 의해 지지되어도 된다. 이 경우, 스위치 기판(42)의 전단부(44)가 케이스 커버(60)의 기판 수용부(65)에서, 다리부(43) 및 볼록부(41)를 가지는 후단부가 채널(20)에서 각각 지지되고, 스위치 기판(42)이 그 양단부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케이스 커버(60)의 기판 수용부(65)의 상면(65a)은 지지 구멍이어도 되고 지지 홈이어도 된다.
이 경우,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 기판(42)의 전단부(44)에서는 하면(44a)이 기판 수용부(65)의 상면(65a)과 당접하고, 선단부면(44b)이 기판 수용부(65)의 측면(65b)과 당접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도 4(b)를 참조하여 스위치 기판(42)의 볼록부(41)의 하면(41a)은 기판 하우징(45)의 오목부(49)의 바닥면(49a)과 당접하고, 볼록부(41)의 후단면(41b)은 오목부(49)의 측벽(49b)과 당접한다. 이것에 의해 이 변형예에서는 스위치 기판(42)의 양단부에서 스위치 기판(42)의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전단부(44)의 판 두께 방향의 측면도 기판 수용부(65)의 대향면(65c)과 당접하기 때문에, 스위치 기판(42)의 판 두께 방향의 움직임도 규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 기판(42)의 전후 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기 위해 스위치 기판(42)에 볼록부(41)를 설치하고, 기판 하우징(45)에 오목부(49)를 설치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위치 기판(42)에 슬라이더부(50)의 이동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설치하고, 기판 하우징(45)에 이 오목부와 당접하는 볼록부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위치 기판에 고정 접점, 슬라이더부에 가동 접점을 각각 가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버클 스위치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버클 스위치는 예를 들어 스위치 기판과 슬라이더부의 한쪽에 코일을 인쇄하거나 자석을 심어 넣어 자기장을 발생시키고, 스위치 기판과 슬라이더부의 다른 쪽에 홀 소자 등의 검출 소자에 의해 자기장의 변화를 읽어내는 구성으로서, 텅이 버클에 삽입되어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출원은 2016년 8월 5일 출원한 일본특허출원(특허출원2016-154638)에 의거한 것으로서, 그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채택된다.
1 텅 플레이트
10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20 채널
22A, 22B 측벽
30 이젝터
32 계합 구멍(구멍부)
40 버클 스위치
42 스위치 기판
42a, 42b, 42c 고정 접점
43 다리부(일단부)
44 전단부(타단부)
45 기판 하우징
50 슬라이더부
52 가이드 홈
54 핀
55 가동 접점
60 케이스 커버
65 기판 수용부

Claims (11)

  1. 스위치 기판과 상기 스위치 기판 위를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더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더부가 텅의 탈착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스위치 기판 위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텅이 버클에 삽입되어 연결되어 있는가 여부를 검출하는 버클 스위치;
    상기 텅의 탈착 동작과 연동하여 슬라이드 하는 이젝터를 미끄럼 이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Figure 112020115486449-pct00006
    자형 단면의 채널; 및
    상기 버클 스위치와 상기 채널을 수용하는 케이스 커버; 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기판은,
    일단부는 상기 채널의 측벽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채널에 지지 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 커버로 지지 되거나,
    일단부는 상기 채널에 캔틸레버 지지 되고,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 커버의 기판 수용부에 접촉하지 않고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슬라이더부는 상기 이젝터에 형성된 구멍부에 감합하는 핀을 구비하고,
    상기 핀은 상기 슬라이더부의 슬라이더 방향 중간부보다도 상기 스위치 기판의 일단부측에 오프셋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버클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기판의 일단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채널의 측벽에 지지되는 기판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기판의 일단부는 상기 기판 하우징을 개재하여 상기 채널의 측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버클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기판의 일단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채널의 측벽에 지지되는 기판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기판의 일단부는 상기 기판 하우징을 개재하여 상기 채널의 측벽에 고정되고,
    상기 스위치 기판의 타단부는 상기 케이스 커버와 접촉하는 제1 평면을 가지고,
    상기 스위치 기판의 일단부는 상기 기판 하우징과 접촉하고, 상기 제1 평면과 동일 방향을 향하는 제2 평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6. 제4항에서,
    상기 기판 하우징에는 상기 슬라이더부의 이동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 또는 오목한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 기판에는 상기 기판 하우징의 상기 볼록부와 당접하는 오목부 또는 상기 기판 하우징의 상기 오목부와 당접하는 볼록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 스위치는 상기 스위치 기판의 일단부에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채널의 측벽에 지지되는 기판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기판의 일단부는 상기 기판 하우징을 개재하여 상기 채널의 측벽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9. 제1항에서,
    상기 스위치 기판에는 고정 접점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부에는 가동 접점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부가 상기 텅의 탈착 동작과 연동하여 상기 스위치 기판 위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에 대하여 접촉 또는 비접촉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점은 상기 채널의 상기 측벽과 대향하는 면과 반대측의 상기 스위치 기판의 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11. 제1항에 기재된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를 구비한 시트 벨트 장치.
KR1020197002495A 2016-08-05 2017-08-03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및 시트 벨트 장치 KR102210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54638 2016-08-05
JP2016154638 2016-08-05
PCT/JP2017/028311 WO2018025969A1 (ja) 2016-08-05 2017-08-03 シートベルト用バックル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1422A KR20190021422A (ko) 2019-03-05
KR102210303B1 true KR102210303B1 (ko) 2021-02-02

Family

ID=61072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2495A KR102210303B1 (ko) 2016-08-05 2017-08-03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및 시트 벨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54444B2 (ko)
EP (2) EP3868246B1 (ko)
JP (1) JP6714084B2 (ko)
KR (1) KR102210303B1 (ko)
CN (1) CN109475204B (ko)
WO (1) WO20180259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4415B2 (ja) * 2016-08-29 2018-03-1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ックル装置
KR102575155B1 (ko) * 2018-10-08 2023-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9912A (ja) * 2001-12-27 2003-07-08 Takata Corp バックル
JP2008041583A (ja) * 2006-08-10 2008-02-21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283Y2 (ja) * 1988-10-27 1995-07-2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オートマチツクシートベルト装置のスイツチ取付構造
CN1319786C (zh) * 2002-09-18 2007-06-06 德尔斐自动化系统星宇株式会社 多用途带扣传感组件
JP5102679B2 (ja) 2008-03-31 2012-12-19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バックルスイッチ及び車両用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
EP2353427B1 (en) * 2008-12-01 2014-08-20 Autoliv Development AB Switch-equipped buckle device
JP5052579B2 (ja) * 2009-09-18 2012-10-17 ホシデン株式会社 バックル装置用スライドスイッチ
CN102753050B (zh) * 2010-03-02 2015-09-09 奥托立夫开发公司 安全带锁扣装置
JP6110809B2 (ja) 2014-04-10 2017-04-0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装置
JP2016154638A (ja) 2015-02-24 2016-09-01 株式会社ケアコム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およびナースコール子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89912A (ja) * 2001-12-27 2003-07-08 Takata Corp バックル
JP2008041583A (ja) * 2006-08-10 2008-02-21 Tokai Rika Co Ltd スイッチ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61056A1 (en) 2019-05-30
EP3494825A1 (en) 2019-06-12
JP6714084B2 (ja) 2020-06-24
EP3494825B1 (en) 2021-11-03
KR20190021422A (ko) 2019-03-05
JPWO2018025969A1 (ja) 2019-06-06
EP3494825A4 (en) 2020-01-22
CN109475204A (zh) 2019-03-15
EP3868246B1 (en) 2022-10-19
EP3868246A1 (en) 2021-08-25
US10654444B2 (en) 2020-05-19
CN109475204B (zh) 2022-05-31
WO2018025969A1 (ja) 2018-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23147B (zh) 开关装置及其组装方法
US8523614B2 (en) Card socket
KR102210303B1 (ko) 시트 벨트용 버클 장치 및 시트 벨트 장치
US20140345410A1 (en) Shift device
EP2298611B1 (en) Slide switch for buckle apparatus
US11764015B2 (en) Electromagnetic relay
JPH10112922A (ja) ハーネス収納構造
CN110892598B (zh) 外装体与保护器的连接结构及线束
CN111787824B (zh) 拉链单元、移动引导装置及移动引导装置的制造方法
KR101119752B1 (ko) 커넥터
KR20130023089A (ko) 커넥터
US9539982B2 (en) Belt buckle switch
JP6068990B2 (ja) 液面レベルセンサの取付構造、及び液面レベルセンサ
US10910757B2 (en) Connector having slidable locking cover
KR20230022222A (ko) 커넥터 및 전자기기
JP7384313B2 (ja) コネクタ
KR20160134720A (ko) 시트벨트 장치의 벨트 버클용 스위치
JP7384314B2 (ja) コネクタ
US20230253172A1 (en) Electromagnetic relay
JP6110809B2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装置
CN112582217A (zh) 继电器
KR20090117627A (ko) 카드용 커넥터
CN114974788A (zh) 线圈部件
EP0901138A2 (en) Slide switch
CN113660881A (zh) 带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