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5155B1 -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5155B1
KR102575155B1 KR1020180119944A KR20180119944A KR102575155B1 KR 102575155 B1 KR102575155 B1 KR 102575155B1 KR 1020180119944 A KR1020180119944 A KR 1020180119944A KR 20180119944 A KR20180119944 A KR 20180119944A KR 102575155 B1 KR102575155 B1 KR 102575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buckle
button
coupled
e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0095A (ko
Inventor
이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9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5155B1/ko
Priority to CN201822087658.7U priority patent/CN210018095U/zh
Publication of KR20200040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5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5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48Control systems, alarms, or interlock systems, for the correct application of the belt or harness
    • B60R2022/4808Sensing means arrangemen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3Actuating a signal or alarm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 측으로 텅(Tongue)이 출입하는 텅 출입구를 형성하며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결합되며, 하면 플레이트와 양 측면 플레이트롤 포함하여 골격을 형성하는 내부 바디, 상기 양 측면 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된 이젝터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젝터, 일 측은 상기 텅 출입구 측으로 노출되며, 타 측은 상기 양 측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버튼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 상기 내부 바디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되되, 상기 텅 출입구로 삽입되는 텅에 형성된 락 홀을 관통하여 상기 텅을 체결시키는 락 플레이트 및 상기 내부 바디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텅 출입구로 삽입되는 텅이 상기 락 플레이트에 의해 정상적으로 체결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2 버클 워닝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로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벨트의 불완전 체결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BUCKLE APPARATUS OF A SEAT BELT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한 승객의 안전을 위한 안전벨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버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차량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서 안전벨트가 구비되며, 안전벨트는 운전자를 지탱시키기 위한 벨트(2)의 끝단에 결합되는 텅(T, tongue)이 시트(1)에 고정된 버클(10)과 결합함으로써 고정시킨다.
도 3a 내지 도 3b는 버클(10)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도 3a는 텅(T)이 버클(10)에 체결되지 않은 상태이며, 도 3b는 체결이 진행중인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3c는 체결이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참조되는 바와 같이, 텅(T)이 버클(10)에 형성된 텅 출입구를 통해 진입하게 되면, 텅(T)은 이젝터(121)를 밀어서 후퇴시키게 되고,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락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있던 락 플레이트(122)의 끝단은 텅(T)에 형성된 락 홀에 삽입되며, 락 스프링은 복원되게 된다.
체결을 완전히 이루게 되면, 락 핀(123)은 전진 이동하여(도시상 우측), 버클(10)의 하우징에 구성된 락 핀 홈에 삽입됨으로써, 결합된 텅(T)이 빠지지 않도록 체결시키게 된다.
이 후, 안전벨트를 풀기 위해서는 버튼(124)을 푸쉬하면 버튼(124)에 의해서 락 플레이트(122)가 도시상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텅(T)이 락 플레이트(122)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된다.
한편, 승객의 안전을 위해서는 도 1과 같이 미착용시에는 점등으로 표시되게 하고, 도 2와 같이 착용시에는 소등되도록 하는 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종래에 안전벨트의 착용 여부는 이젝터(121)의 이동을 감지하는 방식에 의하였다.
즉, 버클(10) 내에는 단자가 형성된 워닝 스위치(W/S)가 구비되고, 이젝터(121)와 결합된 슬라이더가 워닝 스위치 상에서 위치 이동됨에 따라 슬라이더에 형성된 전극과 워닝 스위치 상의 전극의 연결에 따라서 이젝터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이젝터의 위치에 따라 안전벨트의 착용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도 3b와 같은 상태, 즉 체결중인 상태 또는 불완전한 체결 상태에서도 안전벨트의 착용 여부가 이젝터의 위치를 감지하여 판단하게 되는 바, 이 경우에도 이젝터의 이동은 발생하므로 정상적으로 착용이 된 것으로 판단되고, 그에 따라 도 4에 정리된 바와 같이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게 된다.
이러한 불완전 체결은 이물질이나 부품의 결함에 의해서 발생할 수가 있는데, 탑승자가 불완전 체결을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만일의 사고에 대한 위험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이상의 배경기술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449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안전벨트의 불완전 체결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의한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는, 일 측으로 텅(Tongue)이 출입하는 텅 출입구를 형성하며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결합되며, 하면 플레이트와 양 측면 플레이트롤 포함하여 골격을 형성하는 내부 바디, 상기 양 측면 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된 이젝터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젝터, 일 측은 상기 텅 출입구 측으로 노출되며, 타 측은 상기 양 측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버튼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 상기 내부 바디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되되, 상기 텅 출입구로 삽입되는 텅에 형성된 락 홀을 관통하여 상기 텅을 체결시키는 락 플레이트 및 상기 내부 바디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텅 출입구로 삽입되는 텅이 상기 락 플레이트에 의해 정상적으로 체결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2 버클 워닝스위치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버클 워닝스위치는, 상기 내부 바디의 일 측에 결합되는 제2 스위치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스위치 플레이트 상에서 슬라이딩 동작되도록 결합되는 제2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의 측부에는 상기 제2 슬라이더와 결합되는 로드 형태의 버튼 후크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젝터에는 상기 버튼 후크를 푸쉬하기 위한 버튼 푸쉬 로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스위치 플레이트에는 각각 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위치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버튼의 측부 바디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버튼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더에 의해 상기 버튼의 최대 후퇴 이동은 제한되며, 상기 버튼 후크는 상기 가이더보다 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래서, 상기 텅에 의해 상기 이젝터는 후퇴하여 상기 버튼 푸쉬 로드가 상기 버튼 후크를 밀어서 상기 최대 후퇴 이동 지점까지 이동시키고, 후퇴 방향으로 계속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버튼 후크는 최대 후퇴 이동 후 상기 버튼 푸쉬 로드를 타 넘어 다시 전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결과, 상기 제2 버클 워닝스위치는 상기 최대 후퇴 이동 지점에서 상기 텅의 미체결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버튼 후크가 상기 버튼 푸쉬 로드를 타 넘어 전진하여 상기 버튼이 원위치시 체결 완료신호를 발생시켜 미체결 경고 신호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내부 바디의 상기 제2 버클 워닝스위치가 결합된 측과 다른 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젝터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제1 버클 워닝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버클 워닝스위치는, 상기 내부 바디의 상기 제2 버클 워닝스위치가 결합된 측과 다른 일 측에 결합되는 제1 스위치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스위치 플레이트 상에서 슬라이딩 동작되도록 결합되는 제1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상기 이젝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1 스위치 플레이트에는 각각 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위치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래서, 상기 최대 후퇴 이동 지점에서 상기 제1 버클 워닝스위치는 체결 완료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일 관점에 의한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는, 일 측으로 텅(Tongue)이 출입하는 텅 출입구를 형성하며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결합되며, 하면 플레이트와 양 측면 플레이트롤 포함하여 골격을 형성하는 내부 바디, 상기 양 측면 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된 이젝터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젝터, 일 측은 상기 텅 출입구 측으로 노출되며, 타 측은 상기 양 측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버튼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 상기 내부 바디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되되, 상기 텅 출입구로 삽입되는 텅에 형성된 락 홀을 관통하여 상기 텅을 체결시키는 락 플레이트, 상기 내부 바디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젝터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제1 버클 워닝스위치 및 상기 내부 바디의 상기 제1 버클 워닝스위치가 결합된 측과 다른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텅 출입구로 삽입되는 텅이 상기 락 플레이트에 의해 정상적으로 체결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2 버클 워닝스위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버클 워닝스위치 및 상기 제2 버클 워닝스위치가 모두 체결 완료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 한, 상기 제1 버클 워닝스위치 및 상기 제2 버클 워닝스위치와 연결된 제어부는 상기 텅이 정상적으로 체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텅이 상기 텅 출입구로 진입하여 상기 이젝터를 후퇴 이동시키면 상기 제1 버클 워닝스위치는 체결 완료신호를 발생시키지만, 상기 이젝터가 후퇴 이동하더라도 상기 텅이 완전히 체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2 버클 워닝스위치는 미체결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에 의하면, 안전벨트의 버클 체결 유무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이 가능하게 한다.
즉, 이물질이나 부품 결함 등에 의한 불완전 체결시에도 경고를 발생시켜 고객 안전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체결 상태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기존의 버클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안전벨트의 체결 및 해제 간에 경고 신호의 발생 여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의 경고를 위한 개념적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일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의 체결 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의 체결 중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의 체결 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에 의한 경고 제어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벨트의 체결 및 해제 간에 경고 신호의 발생 여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의 응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의 기술이나 반복적인 설명은 그 설명을 줄이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의 경고를 위한 개념적 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6의 일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는 기존의 인젝터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여 안전벨트의 착용 여부에 따라 운전자에 경고를 하던 것에 추가적인 감지 수단을 채용함으로써 안전벨트의 불완전 체결시에도 경고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6과 같이 기존과 같은 방식의 버클 워닝스위치 1(버클 W/S 1)에 버클 워닝스위치 2(버클 W/S 2)를 추가하여 스위치에 의해 체결 여부를 제어부가 감지함으로써 클러스터를 이용한 경고음이나 경고등(LAMP)이 점멸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버클 장치는 도 7과 같이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2)이 외관을 형성하고,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2)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부품의 거치, 결합 및 작동을 위한 내부 바다(3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부 하우징(11)과 하부 하우징(12)은 결합됨으로써 일 측에는 텅 출입구(도시상 약 2시 방향에 해당)가 형성되어 텅 출입구를 통해 텅(Tongue)이 출입하게 되고, 타 측에는 벨트 연결구(도시상 약 8시 방향에 해당)가 형성되어 이에 벨트가 연결되게 된다.
버클 내부에는 이젝터(21), 락 플레이트(22), 락 핀(23), 버튼(24) 제1 버클 워닝스위치와 제2 버클 워닝스위치가 구성된다.
도 8 및 도 도 9는 도 7의 일 부분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같이 참조하면 내부 바디(30)는 도시와 같이 하면 플레이트와 양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골격을 형성하고, 양 측면 플레이트의 중단에는 버튼 가이드 홈(31)이 형성되어, 버튼(24)이 버튼 가이드 홈(31)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게 한다.
그리고, 양 측면 플레이트의 상단에는 락 플레이트 거치 홈(32)이 형성되어, 락 플레이트(22)의 일 측이 락 플레이트 거치 홈(32)에 거치되어 이를 기준으로 회전 동작되게 한다.
또한, 양 측면 플레이트의 하단에는 이젝터 가이드 홈(33)이 형성되어, 이젝터(21)가 이젝터 가이드 홈(33)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게 한다.
이젝터(21)는 후방에 연결되는 스프링에 의해서 탄성 지지되고, 텅 출입구를 통해 삽입된 텅(T)에 의해 눌러져서 이젝터 가이드 홈(33)에 가이드 되면서 후퇴 이동한다.
이젝터(21)의 일 측부에는 버튼 푸쉬 로드(21a)가 돌출 형성되어, 후퇴시 후술한 버튼(24)을 푸쉬하게 된다.
그리고, 타 측부에는 버클 스위치 연동 암(21b)이 형성되어 제1 버클 워닝스위치의 제1 슬라이더(25)와 결합되어, 후퇴시 제1 슬라이더(25)를 위치 이동시키게 된다.
즉, 제1 버클 워닝스위치는 제1 스위치 플레이트(26)에 제1 슬라이더(25)가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된 형태로서 버클 장치의 내부 일 측에 결합된다.
이젝터(21)의 이동에 의해 제1 슬라이더(25)의 위치가 이동하게 되면 제1 슬라이더(25)와 제1 스위치 플레이트(26)의 전극간 결합의 변동에 따른 신호가 이와 연결된 제어부에 전달됨으로써 제어부가 버클의 체결 여부를 인지하게 되는 것이다.
제 1 슬라이더(25)는 제1 스위치 플레이트(26)에 결합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는 몸체와 몸체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제1 돌출부로 형성되어, 제1 돌출부를 버클 스위치 연동 암(21b)이 파지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이젝터(21)의 후퇴 동작 가이드를 위해서 내부 바디(30)의 하면 플레이트 상면에는 이젝터(21)를 가이드하기 위한 레일이 구성될 수 있다.
다음, 버튼(24)은 일 측은 텅 출입구 측에 노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를 누를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도시와 같이 상측 수평 브릿지가 내부 바디(30)의 양 측면 플레이트의 상면에 거치되어 가이드 되고, 버튼(24)의 측부 바디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더가 내부 바디(30)의 버튼 가이드 홈(31)에 삽입되어 가이드 된다.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서 전진 후진 방향(도시상 2시-8시 방향)으로 슬라이딩 동작하게 되고, 후퇴시에는 락 플레이트(22)를 밀어서 내부 바디(30)에 결합된 락 핀(23)을 해제시켜서 텅(T)이 이탈되게 한다.
본 발명에서 버튼(24)의 측부 바디에는 하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버튼 후크(24a)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 버클 워닝스위치는 제1 버클 워닝스위치와 반대 방향의 내부 바디(30)의 내측 일 측에 제2 스위치 플레이트(28)가 결합되며, 제2 슬라이더(27)가 제2 스위치 플레이트(28) 상에서 슬라이딩 동작되게 마련된다.
제2 슬라이더(27)는 제2 스위치 플레이트(28)에 결합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는 몸체와 몸체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제2 돌출부가 형성되어, 제2 돌출부가 버튼(24)의 버튼 후크(24a)와 연동하여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버튼 후크(24a)는 연장 형성된 로드 형태이고, 제2 돌출부는 버튼 후크(24a)가 끼워질 수 있는 암 결합부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텅(T)이 텅 출입구를 통해 진입하면 이젝터(21)의 전방을 밀어서 후퇴시키게 되고, 이젝터(21)의 일 측의 버클 스위치 연동 암(21b)은 제1 버클 워닝스위치의 제1 슬라이더(25)를 위치 변동시키게 되며, 이젝터(21)의 타 측의 버튼 푸쉬 로드(21a)는 버튼(24)의 버튼 후크(24a)를 밀게 되고, 버튼 후크(24a)와 결합된 제2 버클 워닝스위치의 제2 슬라이더(27)가 위치 변동되게 된다.
본 발명의 버클 장치는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추가적인 제2 버클 워닝스위치가 이젝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버튼의 위치에 따라 워닝 신호를 ON/OFF 함으로써 제1 버클 워닝스위치만에 의해서는 불가능하였던 불완전 체결시 경고가 가능하게 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이러한 동작 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9는 버클 장치의 체결 전 상태, 도 10은 버클 장치의 체결 중 상태, 그리고, 도 11은 버클 장치의 체결 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에서 각각의 (a)와 (b)는 버클 장치의 서로 다른 측 단면에 해당한다.
도 9의 체결 전 상태에서 이젝터(21) 상에 락 플레이트(22)가 거치된 상태가 되고, 락 핀(23)이 일 측에 결합된 락핀 로드는 락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면서 락 플레이트(22) 상에 거치된다.
또한, 버튼(24)의 락 체결부(24b)도 락 플레이트(22) 상에 거치된다.
이를 위해서, 락 플레이트(22)의 전방 일 측은 이젝터(21)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방향으로 절곡된 형태가 되고, 후방 타 측은 내부 바디(30)의 락 플레이트 거치 홈(32)에 거치되어 이를 기준으로 회전 동작할 수 있게 마련된다.
(b)를 참조하면 이젝터(21)의 버튼 푸쉬 로드(21a)와 버튼(24)의 버튼 후크(24a)는 아직은 이격된 상태가 된다.
(c)와 같이 이젝터(21)의 버클 스위치 연동 암(21b)은 제1 버클 워닝스위치의 제1 슬라이더(25)를 파지하는 형태로 결합되어 있고, (d)와 같이 버튼(24)의 버튼 후크(24a)는 제2 버클 워닝스위치의 제2 슬라이더(27)에 의해 파지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도 10은 체결 중 상태로서, 텅(T)이 이젝터(21)를 밀게 된다. 텅(T)이 이젝터(21)를 밀어 진입하게 되면, 텅에 형성된 락 홀을 락 플레이트(22)의 일 측이 관통하여 락 플레이트(22)는 체결 전에 비해 하향된 위치가 된다.
(c)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이젝터(21)의 버클 스위치 연동 암(21b)이 제1 버클 워닝스위치의 제1 슬라이더(25)를 후퇴시키게 되고, 제1 슬라이더(25)의 위치 이동에 따라 제1 버클 워닝스위치는 ON에서 OFF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b)와 (d)를 참조하면, 이젝터(21)의 버튼 푸쉬 로드(21a)가 버튼 후크(24a)를 후퇴시키고, 버튼 후크(24a)와 함께 제2 버클 워닝스위치의 제2 슬라이더(27) 또한 후퇴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2 버클 워닝스위치는 제1 버클 워닝스위치와 달리 OFF에서 ON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d)와 같이 버튼(24)의 버튼 후크(24a)는 제2 버클 워닝스위치의 제2 슬라이더(27)에 의해 파지되는 형태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도 11은 체결 후 상태로서, 텅(T)이 완전히 진입하여 완전히 체결이 되면, 도 10에 비해 락 플레이트(22)의 일 측은 더욱 하향하게 되고, 도시와 같이 락 핀이 전진함으로써 락 핀이 내부 바디(30)의 락 핀 삽입홈에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버튼(24)의 락 체결부(24b)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버튼(24)이 다시 전진 위치됨에 따라 회전 하향하고, 락 체결부(24b)의 끝단은 락핀 로드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버튼(24)이 고정되게 된다.
(c)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체결 후에도 이젝터(24)와 제1 슬라이더(25)의 관계는 체결 중의 상태와 동일하다.
그러나, (b), (d)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완전 체결 상태에서는 이젝터(21)의 버튼 푸쉬 로드(21a)는 버튼 후크(24a)를 타 넘어가게 된다.
이는 도시와 같이 버튼 푸쉬 로드(21a) 상측 일부만이 버튼 후크(24a)를 푸쉬하는 형태이기 때문이며, 버튼(24)의 측부 바디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더의 위치가 버튼 후크(24a)보다 후방이기 때문에 버튼(24)이 최대 후퇴한 상태에서 이젝터(21)가 계속 후퇴함으로써 버튼 푸쉬 로드(21a)가 버튼 후크(24a)를 계속적으로 푸쉬하다 일정 힘 이상시 버튼 후크(24a)를 타 넘어가서 더욱 후퇴하게 되는 것이다.
이 같이 버튼 푸쉬 로드(21a)가 버튼 후크(24a)를 타 넘어 가게 되면 버튼(24)과 이와 연동된 제2 슬라이더(27)는 다시 전진 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제2 버클 워닝스위치는 ON에서 다시 OFF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와 도 13에서 참조되는 바와 같이 체결이 완료되어야 제2 버클 워닝스위치는 OFF되게 되므로, 이에 의해 완전 체결시에는 경고신호가 ON이 되도록 제어가 된다.
추가적으로, 이에 따른 경고 제어를 도 12과 도 13을 참조하여 정리한다.
점화장치(IG)가 ON이 되면(S110), 제1 버클 워닝스위치와 제2 버클 워닝스위치의 신호가 입력되고(S120), 먼저 제1 버클 워닝스위치의 ON 여부를 확인한다(S130), 그리고, 제2 버클 워닝스위치의 ON 여부를 확인하고(S140), 제1, 제2 버클 워닝스위치 모두가 ON되면 버클 체결로 판정하여 경고를 중지하며(S150), 둘 중 하나의 스위치가 OFF인 경우에는 버클 미체결로 판정하여(S160) 경고를 발생시키게 된다.
점화장치가 OFF되면(S170), 워닝시스템은 종료되고, ON인 상태에서 워닝시스템은 반복된다.
제1 버클 워닝스위치와 제2 버클 워닝스위치의 ON/OFF 여부는 도 9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버클 워닝스위치는 체결 전이 ON 상태이고, 체결 중 및 체결 후에 OFF가 되며, 제2 버클 워닝스위치는 체결 전이 OFF 상태이고, 체결 중에 ON, 체결 후에 OFF로 변하게 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의 응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14의 응용예는 앞선 실시예에서 이젝터(21)의 버튼 푸쉬 로드(21a)가 버튼 후크(24a)를 직접 푸쉬하는 것과 달리 이젝터(21)가 제2 슬라이더(27′)를 이동시키고, 제2 슬라이더(27′)가 대신 버튼 후크(24b)를 푸쉬하며, 임계 이상 푸쉬하는 경우에 타 넘어가는 형태로 구현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구성시에는 버튼 후크(24b)의 형상과 제2 슬라이더(27′)의 형상이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도 15와 같이 버튼 후크(24a)가 스프링 지지됨으로써 버튼 푸쉬 로드(21a)가 버튼 후크(24a)를 보다 용이하게 타 넘어가는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 상부 하우징 12 : 하부 하우징
30 : 내부 바디
31 : 버튼 가이드 홈
32 : 락 플레이트 거치 홈
33 : 이젝터 가이드 홈
21 : 이젝터
21a : 버튼 푸쉬 로드
21b : 버클 스위치 연동 암
22 : 락 플레이트 23 : 락핀
24 : 버튼
24a : 버튼 후크 24d : 락 체결부
25 : 제1 슬라이더 26 : 제1 스위치 플레이트
27 : 제2 슬라이더 28 : 제2 스위치 플레이트

Claims (13)

  1. 일 측으로 텅(Tongue)이 출입하는 텅 출입구를 형성하며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결합되며, 하면 플레이트와 양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골격을 형성하는 내부 바디;
    상기 양 측면 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된 이젝터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젝터;
    일 측은 상기 텅 출입구 측으로 노출되며, 타 측은 상기 양 측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버튼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
    상기 내부 바디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되되, 상기 텅 출입구로 삽입되는 텅에 형성된 락 홀을 관통하여 상기 텅을 체결시키는 락 플레이트; 및
    상기 내부 바디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텅 출입구로 삽입되는 텅이 상기 락 플레이트에 의해 정상적으로 체결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2 버클 워닝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젝터가 상기 버튼의 일측을 밀어서 상기 버튼의 최대 후퇴 이동 지점까지 이동시키고, 후퇴 방향으로 계속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버튼이 상기 이젝터를 타 넘어 다시 전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클 워닝스위치는,
    상기 내부 바디의 일 측에 결합되는 제2 스위치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스위치 플레이트 상에서 슬라이딩 동작되도록 결합되는 제2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의 측부에는 상기 제2 슬라이더와 결합되는 로드 형태의 버튼 후크가 연장 형성되고,
    상기 이젝터에는 상기 버튼 후크를 푸쉬하기 위한 버튼 푸쉬 로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스위치 플레이트에는 각각 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위치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측부 바디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버튼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더에 의해 상기 버튼의 최대 후퇴 이동은 제한되며, 상기 버튼 후크는 상기 가이더보다 전방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텅에 의해 상기 이젝터는 후퇴하여 상기 버튼 푸쉬 로드가 상기 버튼 후크를 밀어서 상기 최대 후퇴 이동 지점까지 이동시키고, 후퇴 방향으로 계속 작용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버튼 후크는 최대 후퇴 이동 후 상기 버튼 푸쉬 로드를 타 넘어 다시 전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클 워닝스위치는 상기 최대 후퇴 이동 지점에서 상기 텅의 미체결 경고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버튼 후크가 상기 버튼 푸쉬 로드를 타 넘어 전진하여 상기 버튼이 원위치시 체결 완료신호를 발생시켜 미체결 경고 신호를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바디의 상기 제2 버클 워닝스위치가 결합된 측과 다른 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젝터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제1 버클 워닝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클 워닝스위치는,
    상기 내부 바디의 상기 제2 버클 워닝스위치가 결합된 측과 다른 일 측에 결합되는 제1 스위치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스위치 플레이트 상에서 슬라이딩 동작되도록 결합되는 제1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더는 상기 이젝터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더 및 상기 제1 스위치 플레이트에는 각각 단자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위치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최대 후퇴 이동 지점에서 상기 제1 버클 워닝스위치는 체결 완료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
  11. 일 측으로 텅(Tongue)이 출입하는 텅 출입구를 형성하며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
    상기 상부 하우징 및 하부 하우징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 결합되며, 하면 플레이트와 양 측면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골격을 형성하는 내부 바디;
    상기 양 측면 플레이트의 하단에 형성된 이젝터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젝터;
    일 측은 상기 텅 출입구 측으로 노출되며, 타 측은 상기 양 측면 플레이트에 형성된 버튼 가이드 홈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버튼;
    상기 내부 바디에 회전 가능하도록 거치되되, 상기 텅 출입구로 삽입되는 텅에 형성된 락 홀을 관통하여 상기 텅을 체결시키는 락 플레이트;
    상기 내부 바디의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이젝터의 위치 변화를 감지하는 제1 버클 워닝스위치; 및
    상기 내부 바디의 상기 제1 버클 워닝스위치가 결합된 측과 다른 일 측에 결합되어, 상기 텅 출입구로 삽입되는 텅이 상기 락 플레이트에 의해 정상적으로 체결되었는지를 감지하는 제2 버클 워닝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텅이 상기 텅 출입구로 진입하여 상기 이젝터를 후퇴 이동시키면 상기 제1 버클 워닝스위치는 체결 완료신호를 발생시키지만, 상기 이젝터가 후퇴 이동하더라도 상기 텅이 완전히 체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2 버클 워닝스위치는 미체결 경고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클 워닝스위치 및 상기 제2 버클 워닝스위치가 모두 체결 완료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 한, 상기 제1 버클 워닝스위치 및 상기 제2 버클 워닝스위치와 연결된 제어부는 상기 텅이 정상적으로 체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
  13. 삭제
KR1020180119944A 2018-10-08 2018-10-08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 KR102575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944A KR102575155B1 (ko) 2018-10-08 2018-10-08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
CN201822087658.7U CN210018095U (zh) 2018-10-08 2018-12-12 车辆用安全带的插扣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944A KR102575155B1 (ko) 2018-10-08 2018-10-08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095A KR20200040095A (ko) 2020-04-17
KR102575155B1 true KR102575155B1 (ko) 2023-09-06

Family

ID=69343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944A KR102575155B1 (ko) 2018-10-08 2018-10-08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5155B1 (ko)
CN (1) CN210018095U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630B1 (ko) * 2016-04-18 2017-09-15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분리방지유닛을 포함하는 시트벨트용 버클
WO2018025969A1 (ja) * 2016-08-05 2018-02-0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用バックル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497A (ko) * 2004-12-03 2006-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의 경고 스위치 구조
KR20100004496A (ko) 2008-07-04 2010-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용 불완전 체결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630B1 (ko) * 2016-04-18 2017-09-15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분리방지유닛을 포함하는 시트벨트용 버클
WO2018025969A1 (ja) * 2016-08-05 2018-02-0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用バックル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095A (ko) 2020-04-17
CN210018095U (zh) 202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5478B2 (ja) コネクタ
DE60306596T2 (de) Mehrzweck- Sensoranordnung für Sicherheitsgurt
DE602005006028T2 (de) Montageanker für ein Kraftfahrzeug
US20160145894A1 (en) Latch system for door
CN103311732A (zh) 连接器、连接器组件及其组装方法
JP3887692B2 (ja) コネクタ
KR102575155B1 (ko) 차량용 안전벨트의 버클 장치
US10837206B2 (en) Lock device for vehicles
JP2009037835A (ja) コネクタ
US6638098B2 (en) Connection detecting connector
US20220154517A1 (en) Switch device
US4984994A (en) Card connector
JP2003346983A (ja) コネクタ
JP4075288B2 (ja) コネクタ
JP2018192193A (ja) バックル装置
KR101347264B1 (ko) 시트벨트 버클 장치
JPH11149956A (ja) カードコネクタ
CN112960031A (zh) 婴儿车
US20030040211A1 (en) Connector
JPH10239378A (ja) オートロック式導通検査ユニット
CN109131202B (zh) 一种汽车安全带锁扣手动滑移装置
KR101383230B1 (ko) 시트벨트 버클 장치
KR101545177B1 (ko) 차량용 암레스트의 록킹 확인장치
KR101598713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0452781B1 (ko)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