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282B1 - 릴레이 상태 검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릴레이 상태 검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282B1
KR102210282B1 KR1020140065960A KR20140065960A KR102210282B1 KR 102210282 B1 KR102210282 B1 KR 102210282B1 KR 1020140065960 A KR1020140065960 A KR 1020140065960A KR 20140065960 A KR20140065960 A KR 20140065960A KR 102210282 B1 KR102210282 B1 KR 102210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lay
resistor
relays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677A (ko
Inventor
전진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5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282B1/ko
Priority to US14/573,833 priority patent/US9851405B2/en
Publication of KR20150137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G01R31/3278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of relays, solenoids or reed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7/00Measuring arrangements involving comparison with a reference value, e.g. bridge
    • G01R17/02Arrangements in which the value to be measured is automatically compared with a reference valu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릴레이 상태 검출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상태 검출 장치는 배터리와 부하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값을 갖는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융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릴레이 상태 검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CONDITION OF RELAY}
아래의 실시 예들은 릴레이 상태 검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환경문제와 에너지 자원 문제가 중요시되는 가운데 전기 자동차 (Electric Vehicle)가 미래의 운송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충방전이 가능한 다수의 2차 전지(cell)가 하나의 팩(pack)으로 형성된 배터리를 주동력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배기가스가 전혀 없으며 소음이 아주 작은 장점이 있다.
전기 자동차에서 배터리는 가솔린 자동차의 엔진 및 연료 탱크와 같은 역할을 하므로, 전기 자동차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최근에는, 보다 정확하게 배터리의 상태를 검출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상태 검출 장치는, 배터리와 부하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값을 갖는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출력부; 및 상기 전압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융착 여부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릴레이는, 상기 배터리의 양극(anode)과 연결된 제1 릴레이; 상기 배터리의 음극(cathode)과 연결된 제2 릴레이; 및 상기 제1 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되고, 보조 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제3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 출력부는, 연산 증폭기; 및 상기 연산 증폭기의 반전 단자 또는 비반전 단자와 연결된 복수의 저항을 포함하고,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서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저항은, 상기 제1 릴레이 또는 상기 제3 릴레이와 상기 반전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1 저항; 상기 반전 단자와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2 저항; 상기 비반전 단자와 외부 전원 사이에 연결된 제3 저항; 상기 제2 릴레이와 상기 비반전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4 저항; 및 상기 제1 릴레이 또는 상기 제3 릴레이와 상기 제1 저항 사이의 도선과 접지부에 연결된 제5 저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릴레이 내지 제3 릴레이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저항, 상기 제2 저항 및 상기 제5 저항에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전압 출력부는,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과 상기 제2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간의 차동 전압(differential voltage)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릴레이가 온(on) 상태이고, 상기 제1 릴레이 및 제3 릴레이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저항 내지 상기 제5 저항에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전압 출력부는, 상기 제4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제2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간의 차동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릴레이 및 상기 제3 릴레이가 온(on) 상태이고, 상기 제1 릴레이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저항 내지 제5 저항 및 상기 보조 저항에 상기 배터리의 전압 및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전압 출력부는, 상기 제4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제2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간의 차동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릴레이 및 상기 제2 릴레이가 온(on) 상태이고, 상기 제3 릴레이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저항 내지 제4 저항에 상기 배터리의 전압 및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전압 출력부는, 상기 제4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제2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간의 차동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값과 상기 배터리의 전압값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상태 검출 장치는, 상기 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전압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상태 검출 장치는, 상기 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전압 전송부에 입력 가능한 전압으로 조절하는 전압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상태 검출 장치는,상기 전압 전송부와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절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압 전송부는, 상기 절연부에 의해 상기 전압 전송부와 상기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분리된 경우, 상기 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제어부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과 미리 정해진 참조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융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과 상기 전압 출력부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고, 상기 전압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과 상기 전압 출력부 사이의 연결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값을 갖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외부에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융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상태 검출 방법은, 배터리와 부하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값을 갖는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융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릴레이는, 상기 배터리의 양극과 연결된 제1 릴레이; 상기 배터리의 음극과 연결된 제2 릴레이; 및 상기 제1 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되고, 보조 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제3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융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되는 전압과 미리 정해진 참조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융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상태 검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상태 검출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100)은 배터리(110), 배터리 제어 장치(120), 릴레이 장치(130) 및 부하(1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10)는 배터리 시스템(100)이 장착된 구동 수단(예를 들어, 전기 자동차, 전기 자전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배터리 모듈은 리튬 이온 배터리와 같은 2차 전지일 수 있다. 복수의 배터리 모듈의 용량 또는 전압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배터리 시스템(100)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Energy Storage System: ESS)를 의미할 수 있다.
배터리 제어 장치(120)는 배터리(11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배터리(110)를 제어할 수 있다. 배터리 제어 장치(12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제어 장치(120)는 배터리(110)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 모듈의 열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제어 장치(120)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의 과충전 및 과방전을 방지하고, 셀 밸런싱을 수행하여 복수의 배터리 모듈간의 충전 상태가 균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배터리 모듈의 에너지 효율이 높아지고, 복수의 배터리 모듈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제어 장치(120)는 배터리(110)의 수명 상태(State of Health: SoH),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 기능 상태(State of Function: SoF)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수명 상태는 배터리(110)의 성능이 제조 시에 비해 어느 정도 열화되었는지를 나타내고, 충전 상태는 배터리(110)에 수용된 전하량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고, 기능 상태는 배터리(110)의 성능이 미리 정해진 조건에 얼마나 부합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배터리 제어 장치(120)는 수명 상태, 충전 상태, 기능 상태를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제어 장치(120)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통신을 이용하여 전자 제어 장치(Electronic Control Unit: ECU)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배터리(110)에 포함된 복수의 배터리 모듈은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터리 모듈과 제2 배터리 모듈은 직렬로 연결되고, 배터리(110)의 상단은 양극(anode)을 나타낼 수 있고, 배터리(110)의 하단은 음극(cathode)을 나타낼 수 있다.
릴레이 장치(130)는 배터리(110)와 부하(140)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여 배터리(110)로부터 부하(140)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 장치(130)는 배터리 시스템(100)이 장착된 구동 수단의 이그니션 키(ignition key)가 온(on) 상태인 경우, 배터리(110)와 부하(140)사이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110)가 방전되어 부하(140)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수단의 이그니션 키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릴레이 장치(130)는 배터리(110)와 부하(140) 사이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배터리(110)가 오작동하는 경우(예를 들어, 배터리(110)에서 과전력이 발생하는 경우), 릴레이 장치(130)는 배터리(110)와 부하(140) 사이의 연결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릴레이 장치(130)는 배터리 제어 장치(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릴레이 장치(130)는 복수의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제어 장치(120)는 릴레이 장치(130) 각각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릴레이 장치(130)에 포함된 복수의 릴레이에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인가되는 경우, 복수의 릴레이는 융착(welding)될 수 있다. 융착된 릴레이는 스위칭 동작을 수행할 수 없어, 배터리(110)로부터 부하(140)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없다. 이에 따라, 배터리(110)가 오작동하는 경우에 릴레이 장치(130)가 배터리(110)와 부하(140) 사이의 연결을 차단할 수 없게 되어, 부하(140)에 과전압 또는 과전류가 인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터리 제어 장치(120)는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융착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상태 검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배터리 시스템(200)는 배터리(210), 릴레이 장치(220) 및 릴레이 검출 장치(230)를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검출 장치(230)는 전압 출력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210)는 배터리 시스템(200)이 장착된 구동 수단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210)는 복수의 배터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배터리 모듈 각각은 복수의 셀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셀은 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210)의 상단은 양극을 나타낼 수 있고, 배터리(210)의 하단은 음극을 나타낼 수 있다.
릴레이 장치(220)는 배터리(210)와 부하(미도시)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여 배터리(210)로부터 부하(미도시)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릴레이 장치(220)는 전력을 부하(미도시)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릴레이 장치(220)는 복수의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릴레이 장치(220)는 배터리(210)의 양극과 연결된 제1 릴레이, 배터리(210)의 음극과 연결된 제2 릴레이 및 제1 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되고, 보조 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제3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릴레이 장치(220)는 릴레이 어셈블리를 나타낼 수 있고, 제1 릴레이 및 제2 릴레이는 메인 릴레이를 나타낼 수 있으며, 제3 릴레이는 프리차지(precharge) 릴레이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250)는 복수의 릴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시스템(200)이 장착된 구동 수단의 이그니션 키가 온 상태인 경우, 제어부(250)는 소프트 차징(soft charging)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1 릴레이와 제3 릴레이를 온 상태로 스위칭하고, 제2 릴레이를 오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제3 릴레이가 온 상태가 됨에 따라, 제3 릴레이와 직렬로 연결된 보조 저항에 배터리(210)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어, 부하(미도시)에 공급되는 전압은 배터리(210)에서 공급되는 전압보다 작을 수 있다. 이후, 제어부(250)는 제2 릴레이를 온 상태로 스위칭하고, 제3 릴레이를 오프 상태로 스위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릴레이가 온 상태일때보다 높은 전압이 부하(미도시)에 공급될 수 있다.
전압 출력부(240)는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값을 갖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압 출력부(240)는 연산 증폭기와 연산 증폭기의 반전 단자 또는 비반전 단자와 연결된 복수의 저항을 포함할 수 있고, 전압 출력부(240)는 연산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서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연산 증폭기 및 복수의 저항은 복수의 릴레이와 연결될 수 있고,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상태에 따라, 복수의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 및 연산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릴레이 내지 제3 릴레이가 오프 상태인 경우와 제1 릴레이 및 제2 릴레이가 온 상태이고 제3 릴레이가 오프 상태인 경우, 각 경우마다 복수의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은 가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연산 증폭기의 출력 단자에서 출력되는 전압 역시 가변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복수의 릴레이를 제어하여 복수의 릴레이 각각과 전압 출력부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압 출력부(240)는 복수의 릴레이 각각과 전압 출력부(240) 사이의 연결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값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전압 출력부(24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융착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상태에 따라 전압 출력부(240)에서 출력하는 전압값은 서로 다를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부(250)는 서로 다른 전압값을 이용하여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융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50)는 전압 출력부(240)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미리 정해진 참조 정보를 비교하여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융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참조 정보는 전압 출력부(240)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매핑되는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전압 출력부(240)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매핑되는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상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전압 출력부(240)에서 출력되는 전압으로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여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룩업 테이블에는 제1 릴레이 내지 제3 릴레이가 모두 오프 상태인 경우와 매핑되는 전압값이 5V로 저장될 수 있고, 제2 릴레이가 온 상태이고 제1 릴레이 및 제3 릴레이가 오프 상태인 경우와 매핑되는 전압값이 3V로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250)는 릴레이 장치(220)를 제어하여 제1 릴레이 내지 제3 릴레이를 오프시킬 수 있고, 이 때, 전압 출력부(240)에서 출력되는 전압의 전압값이 3V로 측정될 수 있다. 룩업 테이블에서 3V는 제2 릴레이가 온 상태이고 제1 릴레이 및 제3 릴레이가 오프 상태인 경우와 매핑될 수 있으므로, 제어부(250)가 제1 릴레이 내지 제3 릴레이가 모두 오프시켰음에도 3V의 전압값이 측정되는 것은 제2 릴레이가 융착된 상태임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50)는 제2 릴레이가 융착된 상태이고, 제1 릴레이 및 제3 릴레이가 정상 상태라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250)는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융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외부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50)는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융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자 제어 장치(ECU) 또는 모터 제어 장치(Motor Control Unit: MCU)에 전송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e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면, 배터리 시스템(300)은 배터리(310), 릴레이 장치(320), 전압 출력부(330) 및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압 출력부(330) 및 제어부(350)는 배터리 제어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배터리(310)는 복수의 셀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셀은 상호간에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310)의 상단은 양극을 나타낼 수 있고, 배터리(310)의 하단은 음극을 나타낼 수 있다. 릴레이 장치(320)는 배터리(310)와 부하(미도시)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할 수 있다. 릴레이 장치(320)는 제1 릴레이(321), 제2 릴레이(322) 및 제3 릴레이(3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릴레이(321)는 배터리(310)의 양극과 연결될 수 있고, 제2 릴레이(322)는 배터리(310)의 음극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릴레이(323)는 제1 릴레이(321)와 병렬로 연결되고, 보조 저항(324)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보조 저항(324)은 배터리(310)의 양극 및 제3 릴레이(32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전압 출력부(330)는 연산 증폭기(340) 및 복수의 저항(331 내지 33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저항(331)은 제1 릴레이(321) 또는 제3 릴레이(323)와 연산 증폭기(340)의 반전 단자 사이에 연결되고, 제2 저항(332)은 연산 증폭기(340)의 반전 단자(342)와 출력 단자(343) 사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저항(333)은 비반전 단자(341)와 외부 전원(예를 들어, 납축 전지)(336)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저항(334)은 제2 릴레이(322)와 비반전 단자(341)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제5 저항(335)은 제1 릴레이(321) 또는 제3 릴레이(323)와 제1 저항(331) 사이의 도선과 접지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전원(336)의 전압값과 배터리(310)의 전압값은 동일할 수 있다.
전압 출력부(330)는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값을 갖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릴레이(321), 제2 릴레이(322) 및 제3 릴레이(323)가 오프 상태인 경우, 연산 증폭기(340) 및 복수의 저항(331 내지 335)은 도 3b와 같은 등가 회로로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제4 저항(334)은 접지될 수 없고, 이에 따라, 제1 저항(331), 제2 저항(332) 및 제5 저항(335)에 외부 전원(336)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연산 증폭기(340)는 외부 전원(336)의 전압과 제2 저항(332)에 인가되는 전압간의 차동 전압(differential voltage)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릴레이(321), 제2 릴레이(322) 및 제3 릴레이(323)가 오프 상태인 경우, 연산 증폭기(340)의 출력 전압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4051500695-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14051500695-pat00002
은 연산 증폭기(340)의 출력 전압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03
는 외부 전원(336)의 전압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04
은 제1 저항(331)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05
는 제2 저항(332)를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06
는 제5 저항(335)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2 릴레이(322)가 온 상태이고, 제1 릴레이(321) 및 제3 릴레이(323)이 오프 상태인 경우, 전압 출력부(330)의 연산 증폭기(340) 및 복수의 저항(331 내지 335)은 도 3c와 같은 등가 회로로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제4 저항(324)는 배터리(310)의 하단과 연결되어 접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저항(331), 제2 저항(332), 제3 저항(333), 제4 저항(334) 및 제5 저항(335)에 외부 전원(336)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연산 증폭기(340)는 제4 저항(334)에 인가되는 전압과 제2 저항(332)에 인가되는 전압간의 차동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릴레이(322)가 온 상태이고, 제1 릴레이(321) 및 제3 릴레이(323)이 오프 상태인 경우, 연산 증폭기(340)의 출력 전압은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4051500695-pat00007

여기서,
Figure 112014051500695-pat00008
은 연산 증폭기(340)의 출력 전압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09
는 외부 전원(336)의 전압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10
은 제1 저항(331)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11
는 제2 저항(332)를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12
는 제3 저항(333)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13
는 제4 저항(334)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14
는 제5 저항(335)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2 릴레이(322) 및 제3 릴레이(323)가 온 상태이고, 제1 릴레이(321)이 오프 상태인 경우, 전압 출력부(330)의 연산 증폭기(340) 및 복수의 저항(331 내지 335)은 도 3d와 같은 등가 회로로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310)의 전압은 보조 저항(324)을 경유하여 전압 출력부(330)에 연결될 수 있고, 제1 저항(331), 제2 저항(332), 제3 저항(333), 제4 저항(334), 제5 저항(335) 및 보조 저항(324)에 배터리(310)의 전압 및 외부 전원(336)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연산 증폭기(340)는 제4 저항(334)에 인가되는 전압과 제2 저항(332)에 인가되는 전압간의 차동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2 릴레이(322) 및 제3 릴레이(323)가 온 상태이고, 제1 릴레이(321)이 오프 상태인 경우, 연산 증폭기(340)의 출력 전압은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14051500695-pat00015

여기서,
Figure 112014051500695-pat00016
은 연산 증폭기(340)의 출력 전압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17
은 배터리(310)의 전압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18
는 외부 전압(336)의 전압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19
은 제1 저항(331)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20
는 제2 저항(332)를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21
는 제3 저항(333)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22
는 제4 저항(334)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23
는 제5 저항(335)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24
는 보조 저항(324)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310)의 전압과 외부 전원(326)의 전압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산 증폭기(340)의 출력 전압은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14051500695-pat00025

여기서,
Figure 112014051500695-pat00026
은 연산 증폭기(340)의 출력 전압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27
은 배터리(310)의 전압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28
은 제1 저항(331)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29
는 제2 저항(332)를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30
는 제3 저항(333)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31
는 제4 저항(334)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32
는 제5 저항(335)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33
는 보조 저항(324)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1 릴레이(321) 및 제2 릴레이(322)가 온 상태이고, 제3 릴레이(323)가 오프 상태인 경우, 전압 출력부(330)의 연산 증폭기(340) 및 복수의 저항(331 내지 335)은 도 3e와 같은 등가 회로로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310)의 전압은 전압 출력부(330)에 연결될 수 있고, 배터리(310)와 제5 저항(335)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저항(331), 제2 저항(332), 제3 저항(333) 및 제4 저항(334)에 배터리(310)의 전압 및 외부 전원(326)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연산 증폭기(340)는 제4 저항(334)에 인가되는 전압과 제2 저항(332)에 인가되는 전압간의 차동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제1 릴레이(321) 및 제2 릴레이(322)가 온 상태이고, 제3 릴레이(323)가 오프 상태인 경우, 연산 증폭기(340)의 출력 전압은 아래의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수학식 5]
Figure 112014051500695-pat00034

여기서,
Figure 112014051500695-pat00035
은 연산 증폭기(340)의 출력 전압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36
은 배터리(310)의 전압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37
는 외부 전압(336)의 전압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38
은 제1 저항(331)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39
는 제2 저항(332)를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40
는 제3 저항(333)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41
는 제4 저항(334)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310)의 전압과 외부 전원(326)의 전압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산 증폭기(340)의 출력 전압은 아래의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날 수 있다.
[수학식 6]
Figure 112014051500695-pat00042

여기서,
Figure 112014051500695-pat00043
은 연산 증폭기(340)의 출력 전압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44
은 배터리(310)의 전압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45
은 제1 저항(331)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46
는 제2 저항(332)를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47
는 제3 저항(333)을 나타내고,
Figure 112014051500695-pat00048
는 제4 저항(334)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시스템(330)는 전압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전송부(미도시)는 전압 출력부(3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부(350)에 전송할 수 있다. 전압 전송부(미도시)는 전압 출력부(330)와 제어부(350)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전압 전송부(미도시)는 전압 출력부(3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부(350)에 입력 가능한 전압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에 입력 가능한 전압이 5V 이하일 때, 전압 출력부(3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이 5V를 초과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압 전송부(미도시)는 전압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전압 출력부(3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5V 이하로 변환할 수 있다. 예로써, 복수의 릴레이의 상태에 따라, 전압 출력부(330)가 각각 15V, 12V, 9V, 6V의 전압을 출력하는 경우, 전압 전송부(미도시)는 전압 출력부(330)가 출력하는 전압을 각각 5V, 4V, 3V, 2V로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전압 출력부(33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복수의 릴레이(321 내지 323) 각각의 융착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50)는 전압 출력부(330)에서 출력되는 전압과 미리 정해진 참조 정보를 비교하여 복수의 릴레이(321 내지 323) 중 적어도 하나가 융착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50)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제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배터리 시스템(400)은 배터리(410), 릴레이 장치(420), 전압 출력부(430), 전압 전송부(450), 절연부(460) 및 제어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압 출력부(430), 전압 전송부(450), 절연부(460) 및 제어부(470)는 배터리 제어 장치에 포함될 수 있다.
릴레이 장치(420)는 배터리(410)와 부하(미도시)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할 수 있다. 릴레이 장치(420)는 제1 릴레이(421), 제2 릴레이(422) 및 제3 릴레이(4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릴레이(421)는 배터리(410)의 양극과 연결될 수 있고, 제2 릴레이(422)는 배터리(410)의 음극과 연결될 수 있다. 제3 릴레이(423)는 제1 릴레이(421)와 병렬로 연결되고, 보조 저항(424)과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보조 저항(424)은 배터리(410)의 양극 및 제3 릴레이(423)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전압 출력부(430)는 연산 증폭기(440) 및 복수의 저항(431 내지 435)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저항(431)은 제1 릴레이(421) 또는 제3 릴레이(423)와 반전 단자(442) 사이에 연결되고, 제2 저항(432)은 반전 단자(442)와 출력 단자(443) 사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3 저항(433)은 연산 증폭기(440)의 비반전 단자(441)와 외부 전원(436)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저항(434)은 제2 릴레이(422)와 비반전 단자(441) 사이에 연결될 수 있고, 제5 저항(435)은 제1 릴레이(421) 또는 제3 릴레이(423)와 제1 저항(431) 사이의 도선과 접지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전원(436)의 전압값과 배터리(410)의 전압값은 동일할 수 있다.
전압 출력부(430)는 복수의 릴레이(421 내지 423) 각각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값을 갖는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전압 출력부(4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은 전압 전송부(450)에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전압 조절부(437)는 전압 출력부(4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전압 전송부(450)에 입력 가능한 전압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상태에 따라, 전압 출력부(430)가 각각 6V, 4V, 2V, 1V의 전압을 출력하고, 전압 전송부(450)가 5V 이하의 전압만을 입력받을 수 있는 경우, 전압 조절부(437)는 제너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6V의 전압을 5V로 강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압 전송부(450)는 복수의 릴레이(421 내지 423) 각각의 상태에 따라 각각 5V, 4V, 2V, 1V의 전압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전압 전송부(450)는 제어부(470)에 전압 출력부(4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압 전송부(450)는 배터리(410)과 연결되어 고전압일 수 있고, 제어부(470)는 저전압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압 전송부(450)가 제어부(470)에 전압 출력부(4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전송하게 되면, 전압 전송에 따른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압 전송부(450)와 제어부(470)가 전기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압 전송부(450)가 제어부(470)에 전압 출력부(430)에서 출력되는 전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 제어부(470)가 접지된 그라운드(미도시)의 전위가 흔들릴 수 있다. 제어부(470)가 접지된 그라운드(미도시)의 전위가 흔들림에 따라, 전압 전송부(450)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오류가 발생되어, 제어부(470)는 전압 출력부(4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획득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절연부(460)는 전압 전송부(450)와 제어부(470) 사이에 연결되고, 전압 전송부(450)와 제어부(470)를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절연부(460)에 의하여 전압 전송부(450)와 제어부(470)가 전기적으로 분리된 경우, 전압 전송부(450)는 전압 출력부(430)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제어부(470)에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470)는 전압 출력부(43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복수의 릴레이(421 내지 423)의 각각의 융착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470)는 MCU(Micro Controller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상태 검출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 제어 장치는 배터리와 부하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값을 갖는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510). 여기서, 복수의 릴레이는 배터리의 양극과 연결된 제1 릴레이, 배터리의 음극과 연결된 제2 릴레이 및 제1 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되고, 보조 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제3 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제어 장치는 검출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융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520).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 제어 장치는 검출되는 전압과 미리 정해진 참조 정보를 비교하여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융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릴레이 상태 검출 방법에는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9)

  1. 배터리와 부하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값을 갖는 전압을 출력하는 전압 출력부; 및
    상기 전압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융착 여부를 검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릴레이는,
    상기 배터리의 양극(anode)과 연결된 제1 릴레이;
    상기 배터리의 음극(cathode)과 연결된 제2 릴레이; 및
    상기 제1 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되고, 보조 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제3 릴레이
    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값을 출력 단자를 통해서 출력하는 연산 증폭기; 및
    상기 연산 증폭기의 반전 단자 또는 비반전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값을 갖도록 배치된 복수의 저항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저항은,
    상기 제1 릴레이 또는 상기 제3 릴레이와 상기 반전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1 저항;
    상기 반전 단자와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2 저항;
    상기 비반전 단자와 외부 전원 사이에 연결된 제3 저항;
    상기 제2 릴레이와 상기 비반전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4 저항; 및
    상기 제1 릴레이 또는 상기 제3 릴레이와 상기 제1 저항 사이의 도선과 접지부에 연결된 제5 저항
    을 포함하는,
    릴레이 상태 검출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릴레이 내지 제3 릴레이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저항, 상기 제2 저항 및 상기 제5 저항에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전압 출력부는,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과 상기 제2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간의 차동 전압(differential voltage)을 출력하는,
    릴레이 상태 검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릴레이가 온(on) 상태이고, 상기 제1 릴레이 및 제3 릴레이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저항 내지 상기 제5 저항에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전압 출력부는,
    상기 제4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제2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간의 차동 전압을 출력하는,
    릴레이 상태 검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릴레이 및 상기 제3 릴레이가 온(on) 상태이고, 상기 제1 릴레이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저항 내지 제5 저항 및 상기 보조 저항에 상기 배터리의 전압 및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전압 출력부는,
    상기 제4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제2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간의 차동 전압을 출력하는,
    릴레이 상태 검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릴레이 및 상기 제2 릴레이가 온(on) 상태이고, 상기 제3 릴레이가 오프(off)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저항 내지 제4 저항에 상기 배터리의 전압 및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전압 출력부는,
    상기 제4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과 상기 제2 저항에 인가되는 전압간의 차동 전압을 출력하는,
    릴레이 상태 검출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의 전압값과 상기 배터리의 전압값은 동일한,
    릴레이 상태 검출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전압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상태 검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전압 전송부에 입력 가능한 전압으로 조절하는 전압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릴레이 상태 검출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전송부와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절연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압 전송부는,
    상기 절연부에 의해 상기 전압 전송부와 상기 제어부가 전기적으로 분리된 경우, 상기 전압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상기 제어부에 전송하는,
    릴레이 상태 검출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압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압과 미리 정해진 참조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융착 여부를 결정하는,
    릴레이 상태 검출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과 상기 전압 출력부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고,
    상기 전압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과 상기 전압 출력부 사이의 연결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값을 갖는 전압을 출력하는,
    릴레이 상태 검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외부에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융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릴레이 상태 검출 장치.
  16. 전압 출력부에서 배터리와 부하 사이의 연결을 스위칭하는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값을 갖는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 및
    제어부에서 상기 검출되는 전압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융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릴레이는,
    상기 배터리의 양극과 연결된 제1 릴레이;
    상기 배터리의 음극과 연결된 제2 릴레이; 및
    상기 제1 릴레이와 병렬로 연결되고, 보조 저항과 직렬로 연결된 제3 릴레이
    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값을 출력 단자를 통해서 출력하는 연산 증폭기; 및
    상기 연산 증폭기의 반전 단자 또는 비반전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상태에 따라 서로 다른 전압값을 갖도록 배치된 복수의 저항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저항은,
    상기 제1 릴레이 또는 상기 제3 릴레이와 상기 반전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1 저항;
    상기 반전 단자와 상기 연산 증폭기의 출력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2 저항;
    상기 비반전 단자와 외부 전원 사이에 연결된 제3 저항;
    상기 제2 릴레이와 상기 비반전 단자 사이에 연결된 제4 저항; 및
    상기 제1 릴레이 또는 상기 제3 릴레이와 상기 제1 저항 사이의 도선과 접지부에 연결된 제5 저항
    을 포함하는,
    릴레이 상태 검출 방법.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융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되는 전압과 미리 정해진 참조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복수의 릴레이 각각의 융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릴레이 상태 검출 방법.
  19. 제16항 및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065960A 2014-05-30 2014-05-30 릴레이 상태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2210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960A KR102210282B1 (ko) 2014-05-30 2014-05-30 릴레이 상태 검출 방법 및 장치
US14/573,833 US9851405B2 (en) 2014-05-30 2014-12-17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tate of re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960A KR102210282B1 (ko) 2014-05-30 2014-05-30 릴레이 상태 검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677A KR20150137677A (ko) 2015-12-09
KR102210282B1 true KR102210282B1 (ko) 2021-02-01

Family

ID=5470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960A KR102210282B1 (ko) 2014-05-30 2014-05-30 릴레이 상태 검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851405B2 (ko)
KR (1) KR1022102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8319B2 (en) * 2014-11-07 2017-10-03 Nxp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witch health determination
US9897633B2 (en) 2014-12-17 2018-02-20 Nxp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switch status detection
US9835687B2 (en) * 2014-12-17 2017-12-05 Nxp Usa, Inc. System and method for switch status detection
KR101673822B1 (ko) * 2015-11-18 2016-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1689993B1 (ko) * 2016-04-27 2016-12-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릴레이 오작동 검출 장치
KR102131479B1 (ko) * 2016-06-16 2020-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논리 연산을 이용한 릴레이 다중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194985B1 (ko) * 2016-09-07 2020-12-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보호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102044598B1 (ko) * 2016-09-09 2019-1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고장 검출 장치 및 방법
KR102058198B1 (ko) 2016-12-12 2019-12-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상시 전원 공급을 위한 병렬 회로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릴레이의 고장을 진단하는 장치 및 방법
CN108627765A (zh) * 2017-03-20 2018-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检测电路、方法和装置
KR102258558B1 (ko) * 2017-03-29 2021-06-0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개방 회로 전압을 이용한 릴레이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2322753B1 (ko) * 2017-04-13 2021-11-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차량용 릴레이의 고장 진단 시스템
JP2018196285A (ja) * 2017-05-19 2018-12-0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源制御装置、溶着検出方法およびリレー溶着検出装置
KR102364459B1 (ko) * 2017-11-24 2022-02-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팩의 액추에이터 이상 검출 장치 및 방법
JP6448825B1 (ja) * 2018-01-11 2019-01-09 三菱電機株式会社 充電制御装置
JP7060435B2 (ja) 2018-04-19 2022-04-26 Fdk株式会社 故障検知機能付き充電器、及び故障検知方法
KR20200119516A (ko) 2019-04-10 2020-10-2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릴레이 진단 장치
KR20210080070A (ko)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병렬 배터리 릴레이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2333709B1 (ko) * 2020-07-31 2021-12-01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자장치 내부의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외부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
US20220242692A1 (en) * 2021-02-01 2022-08-04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witch monitor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0219A (ja) * 2005-05-02 2006-11-09 Nissan Motor Co Ltd リレー溶着検出装置
JP2013242858A (ja) * 2012-04-27 2013-12-05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電源回路、及び電源回路を用いた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6076A (en) * 1982-09-17 1985-05-07 The Singer Company Fault detection arrangement for relay switching system
US5748427A (en) 1996-12-19 1998-05-05 Physio-Contro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relay failure
JP3536716B2 (ja) 1999-03-19 2004-06-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リレーの溶着検出装置
KR100750463B1 (ko) * 2003-03-31 2007-08-22 후지 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릴레이 접점의 용착의 검출 방법 및 장치
JP4760723B2 (ja) * 2006-11-20 2011-08-3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源回路の制御装置
CA2693300C (en) 2007-07-24 2012-10-2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Charging monitor
GB2464820A (en) * 2008-10-28 2010-05-05 Champion Aerospace Inc Regulation of aircraft power supply
JP5164806B2 (ja) 2008-11-12 2013-03-21 サンデン株式会社 車両用通信制御装置
JP5205356B2 (ja) * 2009-10-09 2013-06-0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源装置とコンタクタ溶着判定方法
KR101750073B1 (ko) 2011-10-13 2017-07-03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릴레이 융착 모니터링 회로
KR101241226B1 (ko) 2011-10-27 2013-03-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차량의 메인 릴레이 모니터링장치 및 방법
JP2013145735A (ja) 2011-12-16 2013-07-25 Toyota Motor Corp 蓄電システム
KR20130096481A (ko) 2012-02-22 2013-08-3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릴레이 시퀀스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119666A (ko) 2012-04-24 2013-11-01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릴레이 융착 위치 판단 회로
KR102044737B1 (ko) * 2012-08-21 2019-11-1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릴레이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4142470A (zh) * 2013-05-10 2014-11-12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继电器检测装置及其操作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0219A (ja) * 2005-05-02 2006-11-09 Nissan Motor Co Ltd リレー溶着検出装置
JP2013242858A (ja) * 2012-04-27 2013-12-05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電源回路、及び電源回路を用いた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677A (ko) 2015-12-09
US20150346282A1 (en) 2015-12-03
US9851405B2 (en) 201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282B1 (ko) 릴레이 상태 검출 방법 및 장치
KR102165937B1 (ko) 배터리 관리 방법 및 장치
EP3561940B1 (en) Master battery management unit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KR102205841B1 (ko) 배터리의 상태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10999023B (zh) 用于平衡电池系统的各个电池的充电状态的方法和设备
US9696380B2 (en) Relay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JP5858306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連結制御装置及び方法
KR101673822B1 (ko) 친환경 차량의 릴레이 융착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US9789784B2 (en) Maintaining a vehicle battery
JP5747900B2 (ja) 電池監視装置
JP2017123327A (ja) バッテリ制御装置及びバッテリ制御システム
EP3354511B1 (en) Driving circuit for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50229144A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EP3624250B1 (en) Battery pack
US201601874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current
CN103312018A (zh) 使用电池充电信息调节发电机
EP3915827B1 (en) Charging remaining time calcul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2458525B1 (ko) 체결 인식 기능을 갖춘 배터리 팩
KR102256095B1 (ko) 배터리 팩
KR20190049272A (ko) 배터리 soc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2171102B1 (ko) 안전 플러그의 상태를 검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817396B1 (ko) 배터리 잔존수명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2256100B1 (ko) 배터리 팩
JP6530136B2 (ja) バッテリパック状態の並列モニタリング装置
US11233281B2 (en)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