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249B1 -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 - Google Patents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249B1
KR102210249B1 KR1020200033675A KR20200033675A KR102210249B1 KR 102210249 B1 KR102210249 B1 KR 102210249B1 KR 1020200033675 A KR1020200033675 A KR 1020200033675A KR 20200033675 A KR20200033675 A KR 20200033675A KR 102210249 B1 KR102210249 B1 KR 102210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cycle
seat
fixing plate
cushion member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자
Original Assignee
홍성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자 filed Critical 홍성자
Priority to KR1020200033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28Other additional equipment, e.g. back-rests for childr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오토바이의 좌석 후방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꼬리뼈 부위가 지지됨에 따라 보다 편안한 자세로 오토바이의 운행이 가능해 운전자의 피로감이 저하될 수 있음은 물론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으며, 운전자의 기호에 맞게 탈부착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도 및 크기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는 오토바이의 좌석 후방에 면접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하측은 상기 고정플레이트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상측은 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되 오토바이 좌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엉덩이 부위에 밀착 지지되는 쿠션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Description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SUPPLEMENTARY BACK FOR MOTORCYCLE}
개시된 내용은 오토바이 좌석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꼬리뼈 부위를 지지해 주는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에 관련된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토바이는 종류에 따라 두 개에서 네 개까지의 바퀴가 구비되며 내연기관을 통해 얻은 동력으로 바퀴를 굴리는 이동수단으로 자동차의 일종이다. 국제적으로는 보통 모터사이클(motorcycle), 모터바이크(motorbike)라는 명칭이 사용되는데 일본에서는 오토바이(オトバイ) 또는 바이크(バイク)라고 하며 일본의 영향을 받은 한국에서는 '오토바이'라는 명칭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바이크에는 스쿠터(scooter), 네이키드(naked), 투어러(tourer),크루저(cruiser) 등 다양한 장르의 모델이 있다.
스쿠터는 근거리 이동에 적합하며 자동차로 치면 경차와 비슷하다. 125cc 이하 소형 모델이 주류를 이루는데, 리터당 30~50km에 이르는 고연비로 경제성이 뛰어나 일상에서 다양한 용도로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스쿠터 중에는 500cc가 넘는 대형 모델도 있지만, 배기량에 상관없이 모두 자동기어를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네이키드는 오토바이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는데, 그 명칭에서 알 수 있듯이 차체를 감싸는 외장부가 별도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엔진이 외부로 노출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정비편의성이 뛰어나고 다루기도 쉬운 장점이 있다. 소형부터 대형까지 비교적 선택의 폭이 넓어 범용성이 좋은 특징이 있다.
투어러는 여행을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오토바이이다.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수납공간이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탑승인원 모두에게 편안한 승차환경을 제공한다. 배기량 또한 1,000cc 이상으로 넉넉한 편이라 장거리 주행에 무난하다. 그만큼 여행에 최적화 되어있지만 차체가 비교적 대형이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사용하기는 적절하지 않다.
크루저는 미국을 최대시장으로 하고 있어 일명‘아메리칸 바이크’라고도 불리우는데 일반적으로 1,500cc 내지 2,000cc의 배기량에 특유의 배기음을 갖는 공랭식 엔진이 사용된다. 효율이 좋지 못한것으로 인식되는 공랭식 엔진과 큰 차체와 배기량을 갖고 있지만 연비는 리터당 15~18km 정도로 비교적 뛰어난 편이다. 크루저의 대표 브랜드로 미국의 할리 데이비슨(Harley-Davidson)이 있으며 빠른 스피드를 즐기기 보다는 엔진 특유의 배기음과 진동을 느끼면서 느긋한 속도로 달리는 즐거움을 느끼기에 적합한 모델이다.
한편, 크루저는 다른 오토바이들과 비교해 좌석이 비교적 후방에 위치해 있고 양 발과 양 손을 전방으로 곧게 뻗은 자세로 운전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러한 운전자세는 자연스럽게 운전자의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쏠리하는데, 종래의 크루저의 좌석에는 운전자의 후방에서 운전자의 신체부위가 지지되게 하는 별도의 지지대가 없는 실정이었다.
이는 오토바이를 장시간 운행할 때 운전자에게 피로감으로 직결될 수 있고 안전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어 운전자는 개인적으로 오토바이에 보조등받이를 설치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보조등받이는 오토바이 프레임에 용접등의 방법으로 설치하여 오토바이의 외관을 저해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 탈부착이 불가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탑승자의 기호에 맞게 등받이의 크기나 방향이 제어될수 없는 등 많은 단점을 갖고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12912호(2011.01.27) 2.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1998-0061701호(1998.11.16) 3.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264613호(2002.02.02)
오토바이의 좌석 후방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꼬리뼈 부위가 지지되며, 운전자의 기호에 맞게 탈부착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도 및 크기조절이 가능한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오토바이의 좌석 후방에 면접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와, 하측은 상기 고정플레이트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상측은 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되 오토바이 좌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엉덩이 부위에 밀착 지지되는 쿠션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개시된 내용에서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측은 운전자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거나, 운전자 방향으로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오토바이의 좌석 후방에 면접 설치되는 제 1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의 전방에서 연장 형성되며 오토바이의 좌석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 2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 및 제 2 고정플레이트의 연결부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삽입공이 형성된 수직프레임과, 하측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삽입공 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측은 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삽입프레임과, 상기 삽입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되 오토바이 좌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엉덩이 부위에 밀착 지지되는 쿠션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개시된 내용에서 상기 쿠션부재 양측과 상부에는 운전자의 옆구리와 허리부분이 지지되는 보조지지대가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삽입프레임 상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에 따르면 오토바이의 좌석 후방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꼬리뼈 부위가 지지됨에 따라 보다 편안한 자세로 오토바이의 운행이 가능해 운전자의 피로감이 저하될 수 있음은 물론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으며, 운전자의 기호에 맞게 탈부착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도 및 크기조절이 가능한 탁월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보조지지대의 사시도.
도 2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보조지지대의 다른 사시도.
도 3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보조지지대의 설치도.
도 4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보조지지대의 사시도.
도 5는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보조지지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보조지지대의 작동도.
도 7은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보조지지대의 설치도.
도 8은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보조지지대의 사용상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가 도시된다. 도 1 및 도 2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설치도이다.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1)의 구성부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정플레이트(10)가 구비된다. 이 고정플레이트(10)는 보조등받이를 오토바이 차체 상에 위치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정플레이트(10)는 오토바이의 너비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평판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조되며 오토바이의 좌석 후방에 면접되게 설치된다. 고정플레이트(10) 설치부위에는 오토바이의 보조좌석이 설치되어 해당부위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가려질 수 있다. 그리고 그 양측에 장공 형상의 체결공(11)이 관통 형성되되 오토바이 차체에 형성된 나사공에 대응되게 위치되며 나사공 및 체결공(11)을 관통하는 체결볼트(2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전술한 고정플레이트(10) 상에는 수직프레임(50)이 연장 형성된다. 이 수직프레임(50)은 추후에 설명될 쿠션부재(70)가 오토바이 좌석 상측에 고정위치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수직프레임(50)은 그 하측이 고정플레이트(10)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상측은 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수직프레임(50)의 하측이 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은 그 단부가 쿠션부재(70) 배면 측에 설치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수직프레임(50)의 상측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운전자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운전자 방향으로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길게 형성될 경우 쿠션부재(70)가 좌석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고 짧게 형성될 경우 쿠션부재(70)가 좌석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의 기호나 신체 사이즈에 따라 수직프레임(50)의 길이가 다른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1)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개시된 내용에서는 수직프레임(50)의 길이가 다른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1)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수직프레임(5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어 운전자에 대한 쿠션부재(70)의 전후방 위치조절이 가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수직프레임(50)의 상측 단부에는 쿠션부재(70)가 구비된다. 이 쿠션부재(70)는 오토바이 좌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엉덩이 부위 꼬리뼈가 밀착 지지되게 하여 보다 편안한 자세로 오토바이의 운행이 가능해 운전자의 피로감이 저하될 수 있음은 물론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쿠션부재(70)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우레탄이나 압축스펀지 또는 라텍스 재질로 형성되며 그 외부에는 가죽이나 합성수지와 같은 외피로 덮여진다. 이때 외피는 가급적 오토바이 좌석의 외피와 동일한 색상과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8에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된다. 도 4은 사시도이고, 도 5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6은 작동도이고, 도 7은 설치도이며, 도 8은 사용상태도이다. 여기서 전술한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1)와 동일한 구성부재에 대해서는 동일부호가 사용됨을 밝혀둔다.
이하에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1')의 구성부재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 1 고정플레이트(30)가 구비된다. 이 제 1 고정플레이트(30)는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플레이트(10)와 동일한 것으로, 보조등받이를 오토바이 차체 상에 위치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1 고정플레이트(30)는 오토바이의 너비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평판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조되며 오토바이의 좌석 후방에 면접되게 설치된다. 제 1 고정플레이트(30) 설치부위에는 오토바이의 보조좌석이 설치되어 해당부위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가려질 수 있다. 그리고 그 양측에 장공 형상의 체결공(31)이 관통 형성되되 오토바이 차체에 형성된 나사공에 대응되게 위치되며 나사공 및 체결공(31)을 관통하는 체결볼트(2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다.
전술한 제 1 고정플레이트(30)의 전방에는 제 2 고정플레이트(40)가 연장 형성된다. 이 제 2 고정플레이트(40)는 제 1 고정플레이트(30)와 함께 보조등받이를 오토바이 차체 상에 위치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2 고정플레이트(40)는 제 1 고정플레이트(30)에서 하향 경사지게 위치되며 양측에는 장공 형상의 체결공(41)이 관통 형성되어 오토바이 차체에 형성된 나사공에 대응되게 위치되며 나사공 및 체결공(41)을 관통하는 체결볼트(20)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된다.
제 1 고정플레이트(30)와 제 2 고정플레이트(40) 연결부에는 수직프레임(50)이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 수직프레임(50)은 추후에 설명될 쿠션부재(70)가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 및 고정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수직프레임(50) 내부에는 삽입공(51)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직프레임(50)은 쿠션부재(70)가 설치되는 추후에 설명될 삽입프레임(60)이 제거되었을 때 오토바이 좌석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그 상단 높이는 오토바이 좌석의 상단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전술한 수직프레임(50)의 삽입공(51)에는 삽입프레임(60)이 삽입된다. 이 삽입프레임(60)은 쿠션부재(70)가 오토바이 좌석 상측에 고정위치될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삽입프레임(60)은 그 하측이 삽입공(51) 내에 삽입되며 상측은 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수직프레임(50)의 하측이 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것은 그 단부가 쿠션부재(70) 배면 측에 설치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삽입프레임(60)의 상측 단부에는 쿠션부재(70)가 구비된다. 이 쿠션부재(70)는 오토바이 좌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엉덩이 부위 꼬리뼈가 밀착 지지되게 하여 보다 편안한 자세로 오토바이의 운행이 가능해 운전자의 피로감이 저하될 수 있음은 물론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쿠션부재(70)는 탄성복원력을 갖는 우레탄이나 압축스펀지 또는 라텍스 재질로 형성되며 그 외부에는 가죽이나 합성수지와 같은 외피로 덮여진다. 이때 외피는 가급적 오토바이 좌석의 외피와 동일한 색상과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술한 쿠션부재(70) 양측과 상부에는 보조지지대(71)가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보조지지대(71)는 운전자의 기호나 신체 특징에 따라 운전자의 옆구리 또는 허리부분이 지지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쿠션부재(70) 외에 허리부분의 지지력이 더 필요한 운전자의 경우 쿠션부재(70) 양측에 내장된 보조지지대(71)를 인출해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엉덩이 꼬리뼈보다 상측 허리부분의 지지가 필요한 운전자의 경우 쿠션부재(70) 상측에 내장된 보조지지대(71)를 인출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지지대(71)는 길이조절 가능하게 인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쿠션부재(70)는 삽입프레임(60)의 상측 단부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는 운전자의 신체가 보다 편안하게 지지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쿠선부재 배면에는 틸팅힌지(72)가 구비되며 이 틸팅힌지(72)에 삽입프레임(60) 상측 단부가 고정 설치된다. 쿠션부재(70)의 각도는 다단으로 제어될 수 있는데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도 있고, 운전 중 운전자의 움직임에 대응되도록 실시간으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에 따르면 오토바이의 좌석 후방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꼬리뼈 부위가 지지됨에 따라 보다 편안한 자세로 오토바이의 운행이 가능해 운전자의 피로감이 저하될 수 있음은 물론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으며, 운전자의 기호에 맞게 탈부착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도 및 크기조절이 가능하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1' :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
10 : 고정플레이트
11,31,41 : 체결공
20 : 체결볼트
30 : 제 1 고정플레이트
40 : 제 2 고정플레이트
50 : 수직프레임
51 : 삽입공
60 : 삽입프레임
70 : 쿠션부재
71 : 보조지지대
72 : 틸팅힌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오토바이의 좌석 후방에 면접 설치되는 제 1 고정플레이트;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의 전방에서 연장 형성되며 오토바이의 좌석 하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 2 고정플레이트;
    상기 제 1 고정플레이트 및 제 2 고정플레이트의 연결부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삽입공이 형성된 수직프레임;
    하측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삽입공 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측은 전방을 향해 수평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삽입프레임; 및
    상기 삽입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되 오토바이 좌석에 착석한 운전자의 엉덩이 부위에 밀착 지지되는 쿠션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수직프레임은 상기 쿠션부재가 설치되는 삽입프레임의 제거 시에 오토바이 좌석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그 상단 높이는 오토바이 좌석의 상단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쿠션부재의 양측과 상부에는 운전자의 옆구리와 허리부분이 지지되는 보조지지대가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되되 길이조절 가능하게 인출입되며,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삽입프레임 상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
  4. 삭제
  5. 삭제
KR1020200033675A 2020-03-19 2020-03-19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 KR102210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675A KR102210249B1 (ko) 2020-03-19 2020-03-19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675A KR102210249B1 (ko) 2020-03-19 2020-03-19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249B1 true KR102210249B1 (ko) 2021-02-01

Family

ID=74571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675A KR102210249B1 (ko) 2020-03-19 2020-03-19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249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701U (ko) 1997-03-27 1998-11-16 선계섭 오토바이용 등받이대
KR200264613Y1 (ko) 2001-11-05 2002-02-16 오석민 짐받이로의 변환구조를 갖는 오토바이용 보조 시트
JP3091937U (ja) * 2002-08-06 2003-02-21 家▲いー▼ 黄 オートバイの可動式背もたれ
US6983988B1 (en) * 2004-11-23 2006-01-10 Fortune Institute Of Technology Backrest adjusting device for a bicycle
KR20100037831A (ko) * 2008-10-02 2010-04-12 최홍석 모터사이클의 보조등받이
US20110115266A1 (en) * 2009-11-17 2011-05-19 Revell John R Backrest for motorcycles
CA2833230A1 (en) * 2012-10-31 2014-04-30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Backrest for a straddle-seat vehicle
CN106828690A (zh) * 2015-12-03 2017-06-13 重庆爵狼摩托车配件有限公司 一种摩托车靠背
CN108778917A (zh) * 2018-05-04 2018-11-09 苏州江左盟网络科技有限公司 可以调节角度的电动车靠背
US20190264470A1 (en) * 2018-02-23 2019-08-29 Ralph William Dixon Motorcycle backrest locking device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1701U (ko) 1997-03-27 1998-11-16 선계섭 오토바이용 등받이대
KR200264613Y1 (ko) 2001-11-05 2002-02-16 오석민 짐받이로의 변환구조를 갖는 오토바이용 보조 시트
JP3091937U (ja) * 2002-08-06 2003-02-21 家▲いー▼ 黄 オートバイの可動式背もたれ
US6983988B1 (en) * 2004-11-23 2006-01-10 Fortune Institute Of Technology Backrest adjusting device for a bicycle
KR20100037831A (ko) * 2008-10-02 2010-04-12 최홍석 모터사이클의 보조등받이
KR101012912B1 (ko) 2008-10-02 2011-02-08 최홍석 모터사이클의 보조등받이
US20110115266A1 (en) * 2009-11-17 2011-05-19 Revell John R Backrest for motorcycles
CA2833230A1 (en) * 2012-10-31 2014-04-30 Bombardier Recreational Products Inc. Backrest for a straddle-seat vehicle
CN106828690A (zh) * 2015-12-03 2017-06-13 重庆爵狼摩托车配件有限公司 一种摩托车靠背
US20190264470A1 (en) * 2018-02-23 2019-08-29 Ralph William Dixon Motorcycle backrest locking device
CN108778917A (zh) * 2018-05-04 2018-11-09 苏州江左盟网络科技有限公司 可以调节角度的电动车靠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70213B2 (en) Wheeled vehicle with foot rest
EP2085304B1 (en) Floor structure of scooter type vehicle
JP4020264B2 (ja) 鞍乗型車両におけるシート支持構造
US6868584B2 (en) Handle accessory for vehicle
GB2093774A (en) Vehicle floor
EP2228288B1 (en) Cowling structure of saddle riding type vehicle
JP4567083B2 (ja) 鞍乗型車両
KR102210249B1 (ko) 오토바이용 보조등받이
JP5307636B2 (ja) 鞍乗り型車両におけるステップの配置構造
JPH11263265A (ja) 自動二輪車のステップ構造
JP2007276548A (ja) 自動二輪車
JP2003170880A (ja) 車両の車体構造
WO2020031450A1 (ja) 鞍乗型車両
US6435585B1 (en) Article storage device of motorcycle
JP2011148446A (ja) 鞍乗り型車両の後部構造
JP5460563B2 (ja) 鞍乗り型車両のシート
JP3549085B2 (ja) 自動二輪車のリヤキャリア装置
TW200610692A (en) Scooter type motorcycle
US20160304145A1 (en) Straddle-type vehicle
JP4027658B2 (ja) 自動2輪車用バックレスト装置
CN217864468U (zh) 三轮车鞍座
JPH11180365A (ja) スクータ型車両のフロア構造
CN113474244B (zh) 用于两轮车辆的脚踏组件
WO2023084875A1 (ja) 収納部構造
CA2419169A1 (en) Handle accessory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