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153B1 - 직류 절연 특성이 개선된 연질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 Google Patents

직류 절연 특성이 개선된 연질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153B1
KR102209153B1 KR1020190140824A KR20190140824A KR102209153B1 KR 102209153 B1 KR102209153 B1 KR 102209153B1 KR 1020190140824 A KR1020190140824 A KR 1020190140824A KR 20190140824 A KR20190140824 A KR 20190140824A KR 102209153 B1 KR102209153 B1 KR 102209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polyolefin resin
resin composition
rubber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웅
김봉석
전용성
Original Assignee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토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토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0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153B1/ko
Priority to EP20203545.7A priority patent/EP3819337A1/en
Priority to JP2020183440A priority patent/JP7104124B2/ja
Priority to US17/087,771 priority patent/US11566128B2/en
Priority to CN202011217809.1A priority patent/CN112778649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1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3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1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lk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08L2203/202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use in electrical wires or wire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질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내 충격 특성, 내 가열 변형,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전기적 특성이 양호하여 직류 절연체로 적합하며, 가교되지 않기 때문에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다.

Description

직류 절연 특성이 개선된 연질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Soft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DC Insulation Characteristics and Article Molded Therefrom}
본 발명은 직류 절연 특성이 개선된 연질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직류 절연 특성이 개선된 연질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우수한 강성과 높은 내열성, 화학 약품에 대한 안정성과 높은 절연 특성으로 인해, 전자 제품의 중요 부품의 포장, 자동차용 전기 부품의 하우징, 전기 제품의 주요 부위의 보호, 소형 전열기 표면 등 높은 전압에 대한 절연 특성 및 내열성을 동시에 요구하는 제품에 널리 이용된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강성이 높고, 굴곡 시 백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굴곡이 있는 부품에 적용하기 곤란하고, 충격에 취약하며, 특히 낮은 온도에서 쉽게 파괴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야외 환경이나 굴곡이 많은 부위에 설치 및 사용이 곤란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이런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ethylene-propylene rubber; EPR), 에틸렌 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ethylene α-olefin rubber),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 공중합체(ethylene-propylene-diene rubber; EPDM) 등을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위에서 언급한 고무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조성물의 연질성이나 충격성을 개선하려고 하는 경우, 상분리가 발생하여 폴리프로필렌과 고무 사이에 계면이 생성됨으로써 전기 절연 특성이 저하되거나 내열 특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무 성분의 선정 및 함량의 선택에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폴리프로필렌 수지 대신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density polyethylene; HDPE)을 사용하거나, 이를 가교시켜 사용하려는 시도도 있다.
그런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가교시켜 사용하는 경우, 가교 잔사에 의해 직류 절연체의 절연 성능을 감소시키는 공간 전하가 누적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사용 수명이 다한 후 가교에 의한 재활용이 어려우므로 소각이나 폐기해야 하고, 재활용 시 별도의 설비 비용이 추가로 발생한다. 가교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교 부산물에 의한 환경 오염의 가능성이 크고, 수가교에 의한 제품의 건조 과정이 추가로 필요하며, 압출 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과도하게 가교될 경우 가공성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 연질성 및 내한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절연 특성 및 전기 특성을 개선하려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국제출원공개 제2013/148028호는 폴리프로필렌에 에틸렌, α-올레핀, EPDM 등을 혼합하여 냉각 속도에 따른 교류 파괴 전압 강도의 변화에 대하여 개시하였지만, 조성물의 내열성 및 연질성을 개선하려는 시도는 없었다. 국제출원공개 제2014/029447호는 절연체로 사용되는 가교 폴리에틸렌 수지에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나노 필러를 혼합하여 직류 절연 파괴 강도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지만, 해당 가교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과 친환경성에서 우수하지 않다.
또한, 일본 특허 제3424050호에서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에 카르복실기를 포함하는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를 첨가하여 직류 절연체를 성형함으로써 절연 파괴 강도를 개선하려고 하였고, 국제출원공개 제2013/030206호에서는 나노 크기의 촉매 시스템을 적용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직류 절연 특성을 개선하려고 하였다.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2011-0110928호에서는 폴리에틸렌 혹은 폴리프로필렌 절연 수지에 나노 무기 입자(산화마그네슘, 탄소입자, 산화규소, 이산화티탄 등)를 혼합하여 부피 비저항이 우수하고, 절연 파괴 강도가 우수한 절연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나노 입자를 폴리올레핀 상에 균일하게 분산하기가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2014-0040082호에는 α-올레핀 공단량체 고무상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를 혼합하여 연질성을 확보한 열가소성 고분자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고무상의 함량이 적으면 절연 소재로서 사용 시 연질성이 저하되어 가설 및 설치가 어렵고, 고무상의 함량이 높으면 기계적 물성을 좌우하는 폴리프로필렌의 장점이 없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2014-0102407호에는 폴리프로필렌에 절연 유체를 첨가하여 절연 특성이 향상되고 재활용이 가능한 절연체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2014-0053204호에는 결정 크기를 줄이기 위해 유기 핵제를 첨가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절연체에 사용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폴리프로필렌의 높은 강성으로 인해 가요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량의 고무를 추가적으로 혼련하였기 때문에 불균일한 혼련에 의한 부분적인 물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결정 크기를 줄이기 위해 첨가한 유기 핵제로 인한 원가 상승과 이로부터 유발되는 결점들이 존재하게 되어, 전연체로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특허 제246138호에는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 수지 혹은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로 구성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었다. 하지만 -40℃에서 내한 충격 개선에 대한 실제 결과가 개시되어 있지 않으며, 연질성 확보를 위해 혼합하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혹은 에틸렌-α-올레핀 고무의 함량이 증가하면 인장특성 및 기계적 물성, 가열 변형이 심하다.
국제출원공개 제2013/148028호 국제출원공개 제2013/030206호 일본 특허 제3424050호 국제출원공개 제2013/030206호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2011-0110928호 대한한국 특허출원공개 제2014-0040082호 대한한국 특허출원공개 제2014-0102407호 대한한국 특허출원공개 제2014-0053204호 대한한국 특허 제246138호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절연 특성,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연질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서, 성분 (A) 내지 성분 (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A)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가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되어 얻어지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0~95 중량%; (B)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4.8~40 중량%; 및 (C)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 0.2~10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로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중의 고무 성분은 동역학 측정장치로 측정 시 유리전이온도가 -60~-40℃에서 나타나고,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2.16 kg의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0.5~20 g/10분이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중의 고무 성분은 동역학 측정장치로 측정 시 유리전이온도가 -60~-40℃에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이 제공된다.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의 용융온도(Tm)가 145~170℃일 수 있다.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는 2.16 kg의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0.5~20 g/10분일 수 있다.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는 자일렌 용제로 상온에서 추출 시 추출되는 고무 성분의 함량이 1~5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5~45 중량%일 수 있다.
이때, 자일렌 용제로 추출된 고무 성분의 135℃ 데칼린 용매에서 측정되는 고유점도가 1.0~3.0 ㎗/g일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1-부텐 고무, 에틸렌-부틸렌 고무, 에틸렌-1-펜텐 고무, 에틸렌-1-헥센 고무, 에틸렌-1-헵텐 고무, 에틸렌-1-옥텐 고무 및 에틸렌-4-메틸-1-펜텐 고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는 에틸렌 함량이 5~9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5~80 중량%일 수 있다.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C) 중의 극성 단량체는 아세테이트기, 아크릴레이트기, 카르복실레이트기 및 케톤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극성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자일렌 용제로 상온에서 추출 시 추출되는 고무 성분의 함량이 10~5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5~40 중량%일 수 있다.
이때, 추출된 고무 성분의 135℃ 데칼린 용매에서 측정된 고유점도가 1.0~3.0 ㎗/g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용융온도(Tm)가 145~17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중화제, UV안정제, 장기 내열안정제,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보강재, 충진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핵제, 안료 및 염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첨가제의 함량은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라서, 위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굴곡탄성률이 500 MPa 이하이고, -40℃에서 IZOD 충격강도가 5 kgf ㎝/㎝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신율이 400% 이상이고, 동일 시편을 135℃에서 10일 동안 가열(aging)한 후의 신율이 초기(가열 전) 신율 대비 75%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체적 저항이 1016 Ω㎝ 이상이고, 동일 시편을 135℃에서 10일 동안 가열(aging)한 후의 체적 저항 역시 1016 Ω㎝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직류 절연 파괴 강도가 100 kV/㎜ 이상이고, 동일 시편을 135℃에서 10일 동안 가열(aging)한 후의 직류 절연 파괴 강도 역시 100 kV/㎜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고압 전력 기기의 절연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내 충격 특성, 내 가열 변형,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전기적 특성이 양호하여 직류 절연체로 적합하며, 가교되지 않기 때문에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성물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성분 (A) 내지 성분 (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A)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가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되어 얻어지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0~95 중량%; (B)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4.8~40 중량%; 및 (C)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 0.2~10 중량%를 포함한다.
(A)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포함한다. 이때,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가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되어 얻어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먼저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matrix)가 중합되고, 이어서 이 폴리프로필렌계 매트릭스에 에틸렌-프로필렌 고무가 블록 공중합되어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수지가 제조될 수 있다.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는 용융온도(Tm)가 145~170℃일 수 있다. 이 용융온도가 145℃보다 낮으면 내열성이 충분하지 않고, 열에 의한 수지의 변성이 발생할 수 있고, 성형품의 치수가 붕괴될수 있어서, 높은 온도에서 사용되는 전기 기기에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는 ASTM D1238에 의거하여 2.16 kg의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0.5~20 g/10분일 수 있다.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의 용융지수가 0.5 g/10분 미만이면 압출 공정에 적합하지 않으며, 20 g/10분을 초과하면 분자량이 적어서 내전압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는 자일렌 용제로 상온에서 추출 시 추출되는 고무 성분(즉, 용제 추출물)의 함량이 1~5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5~45 중량%일 수 있다. 이 고무 성분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강도가 높아 가요성이 떨어지며, 고무 성분의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면 가열변형율이 높고 인장 및 신율 강도가 낮아 내열특성 및 가공성이 떨어진다.
여기서, 자일렌 용제로 추출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중의 고무 성분은 동역학 측정장치(dynamic mechanical analyzer; DMA)로 측정 시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가 -60~-40℃에서 나타난다. 이 경우, -40℃에서 측정되는 성형품의 내한타격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자일렌 용제로 추출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중의 고무 성분은 135℃ 데칼린 용매에서 측정되는 고유점도가 1.0~3.0 ㎗/g일 수 있다. 이 고유점도가 1.0 ㎗/g 미만일 경우 충격 강도가 좋지 않으며, 3.0 ㎗/g을 초과할 경우 고무 성분의 뭉침이 발생할 수 있고, 계면의 면적이 저하되어 공간 전하가 쉽게 누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성분 (A) 내지 성분 (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위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50~9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한다.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의 함량이 95%를 초과하는 경우 연질성이 떨어져 가요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 함량이 50% 미만이면 내열성이 떨어지고 가열변형 특성이 저하되어 고온의 운전에서 외형의 변화가 심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그대로 또는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벌크(bulk) 반응기 2기와 기상 반응기 2기가 직렬로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중합할 수 있는 미츠이(Mitsui)사 하이폴 제조공정(Hypol process)을 이용하여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중합 방법에 의하여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1단과 2단 혹은 3단 반응기에서는 프로필렌을 단독 주입하여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생성하거나 에틸렌을 추가로 주입하여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생성할 수 있다.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의 중합 시에는 각 중합 반응기에서 동량의 에틸렌이 공중합될 수 있다. 4단 혹은 3단과 4단 반응기에서는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투입하여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를 중합함으로써 최종적인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생성되는 공중합체의 용융지수는 각 반응기에 수소를 주입하여 제어할 수 있다.
위 중합 단계에서 촉매는 당업계에 공지된 촉매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지글러-나타(Ziegler-Natta)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촉매는 디알콕시마그네슘 담체에 티타늄화합물과 프탈레이트계 내부전자 공여체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에 조촉매로서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예컨대, 트리에틸알루미늄) 및 외부전자 공여체로서 디알킬디알콕시실란계 화합물(예컨대, 디시클로펜틸디메톡시실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를 포함한다.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1-부텐 고무, 에틸렌-부틸렌 고무, 에틸렌-1-펜텐 고무, 에틸렌-1-헥센 고무, 에틸렌-1-헵텐 고무, 에틸렌-1-옥텐 고무 및 에틸렌-4-메틸-1-펜텐 고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일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는 에틸렌 함량이 5~9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5~80 중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를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기로 측정 시 에틸렌 함량이 5~90 중량%, 바람직하게는 5~80 중량%이다. 에틸렌 함량이 5 중량% 미만일 경우,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가 결정화되어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내한 충격 강도가 감소하며, 에틸렌 함량이 90 중량%를 초과하면 고무 공중합체가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성분 (A) 내지 성분 (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위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를 4.8~4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한다.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의 함량이 4.8 중량% 미만이면 연질성이 충분히 개선되지 않으며, 4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내열 특성이 급격히 감소한다.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는 하이폴 제조공정의 기상 반응기에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의 존재하에 올레핀 단량체를 추가로 공급하여 중합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하이폴 제조공정에서 얻어진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에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를 블렌딩함으로써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B)는 Versify(DOW), Vistamaxx(ExxonMobil), Tafmer(Mitsui), KEP(금호석유화학), Engage(DOW), Exact (ExxonMobil), Lucene(LG화학), Solumer(SK화학)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C)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C)를 포함한다.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C) 중의 극성 단량체는 아세테이트기, 아크릴레이트기, 카르복실레이트기 및 케톤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극성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C)는 한화토탈, 아르케마 등에 의해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성분 (A) 내지 성분 (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C)를 0.2~1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한다.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C)의 함량이 0.2 중량% 미만이면, 계면에 전자 이동을 제어하는 트랩이 형성되지 않아 부피 비 저항 및 절연 파괴강도가 개선되지 않는다. 이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성형품의 내열 특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블렌딩 방법을 그대로 또는 적절히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위에서 언급한 각 수지들과 후술하는 첨가제를 필요한 양만큼 니더(kneader), 롤(roll), 밴버리 믹서(Banbury mixer) 등의 혼련기 또는 1축/2축 압출기 등에 투입한 후 이들 기기들을 사용하여 투입된 원료들을 블렌딩하는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용융온도(Tm)가 145~170℃일 수 있다. 이 용융온도가 145℃보다 낮으면 내열성이 충분하지 않고 열에 의한 수지의 변성이 발생하여, 운전 온도 및 순간 온도가 130℃ 이상까지 상승하는 고전압 고내열 전력 기기의 절연체에 적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ASTM D1238에 의거하여 2.16 kg의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0.5~20 g/10분이다. 이 용융지수가 0.5 g/10분 미만일 경우 압출 온도와 부하가 상승하여 생산성이 저하되고 탄화물이 발생하며, 20 g/10분을 초과하면 압출물 형성 시 처짐 현상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자일렌 용제로 상온에서 추출 시 추출되는 고무 성분(즉, 용제 추출물)의 함량이 10~5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15~40 중량%일 수 있다. 이 고무 성분의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연질성이 저하되어 제품 설치에 제한이 있고, 50 중량%를 초과하면 내열 특성이 저하되어 고온의 내열성을 요구하는 절연체로서 적합하지 않다.
여기서, 자일렌 용제로 추출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중의 고무 성분은 동역학 측정장치(dynamic mechanical analyzer; DMA)로 측정 시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가 -60~-40℃에서 나타난다. 이 경우, -40℃에서 측정되는 성형품의 내한타격 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자일렌 용제로 추출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중의 고무 성분은 135℃ 데칼린 용매에서 측정되는 고유점도가 1.0~3.0 ㎗/g일 수 있다. 이 고유점도가 1.0 ㎗/g 미만일 경우 충격 강도가 좋지 않으며, 3.0 ㎗/g을 초과할 경우 고무 성분의 뭉침이 발생할 수 있고, 계면의 면적이 저하되어 공간 전하의 누적을 제어하는 트랩이 충분히 생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중화제, UV안정제, 장기 내열안정제,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보강재, 충진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핵제, 난연제, 안료 및 염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내열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산화방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등이 이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테트라키스(메틸렌(3,5-디-t-부틸-4-히드록시)히드로실릴네이트), 펜타에리쓰리톨 테트라키스(3-(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1,3,5-트리메틸-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젠)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촉매 잔사를 제거하기 위한 중화제로서 하이드로탈사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첨가제의 함량은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성형품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라서, 위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로부터 성형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사출성형, 압출성형, 캐스팅성형 등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성형하여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굴곡탄성률이 500 MPa 이하이고, -40℃에서 충격강도가 5 kgf ㎝/㎝ 이상일 수 있다. 굴곡탄성률이 500 MPa보다 높을 경우 연질성이 저하되며, -40℃에서 측정한 충격강도가 5 kgf ㎝/㎝ 미만이면, 동절기 성형품의 설치 및 운송 시 파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신율이 400% 이상이고, 동일 시편을 135℃에서 10일 동안 가열(aging)한 후의 신율이 초기(가열 전) 신율 대비 75% 이상일 수 있다. 신율이 400% 미만일 경우 성형품의 굽힘 부의 최외곽 부위에서 파단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체적 저항이 1016 Ω㎝ 이상이고, 동일 시편을 135℃에서 10일 동안 가열한 후의 체적 저항 역시 1016 Ω㎝ 이상일 수 있다. 체적 저항이 이 범위 내일 경우 성형품이 절연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직류 절연 파괴 강도가 100 kV/㎜ 이상이고, 동일 시편을 135℃에서 10일 동안 가열한 후의 직류 절연 파괴 강도 역시 100 kV/㎜ 이상일 수 있다. 직류 절연 파괴 강도가 이 범위일 경우 성형품의 내전압 특성이 우수하여 절연체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은 전기 절연체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사용된 수지 성분 (A) 내지 (C)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 또는 입수하였다.
실시예 1
위에서 언급한 하이폴 공정과 촉매를 이용하여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제조하였다. 이때, 벌크 반응기인 1단과 2단 반응기의 운전 온도와 압력은 각각 68 내지 75℃, 30 내지 40 kg/㎠과 68 내지 75℃, 25 내지 35 kg/㎠의 범위였고, 기상 반응기인 3단과 4단 반응기의 운전 온도와 압력은 각각 75 내지 82℃, 15 내지 20 kg/㎠과 68 내지 75℃, 10 내지 17 kg/㎠의 범위였다.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로는 표 1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C)로서는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고분자(아르케마사의 로트릴 17BA04)와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고분자(한화토탈사의 E156W)를 각각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에틸렌과 프로필렌 함량을 변화시켜 표 1의 조성을 가지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얻었다.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B)와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C)로는 표 1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에틸렌과 프로필렌 함량을 변화시켜 표 1의 조성을 가지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얻었다. 에틸렌-옥텐 고무 공중합체(B)와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C)로는 표 1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사용하였고,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B)로는 표 2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사용하였고, 에틸렌-부텐 고무 공중합체(B)와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C)로는 표 2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3
수지 (A)로는 한화토탈사의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CF335)를 사용하였고, 에틸렌-옥텐 고무 공중합체(B)와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C)로는 표 2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4
수지 (A)로는 한화토탈사의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블록 공중합체(CF330)를 사용하였고,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C)로는 표 2에 기재된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하에서 에틸렌과 프로필렌 함량을 변화시켜 표 1의 조성을 가지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얻었다. 에틸렌-부텐 고무 공중합체(B)와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C)로는 표 2에 기재된 조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위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조성물 및 성형품 시편의 물성을 아래와 같은 방법 및 기준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아래 표 1과 표 2에 나타내었다.
(1) 용융지수(melt index)
ASTM D 1238의 방법에 따라서 2.16 kg의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하였다.
(2) 용제 추출물(xylene soluble) 함량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자일렌(xylene)에 1% 농도로 140℃에서 1시간 동안 녹인 후, 상온에서 2시간 경과 후 추출하여 그 무게를 측정하고, 폴리프로필렌 수지 전체 중량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3) 용제 추출물의 고유점도
점도측정기를 이용하여 135℃의 데칼린 용매에서 용제 추출물의 고유점도를 측정하였다.
(4) 용융온도
TA Instrument Q2000 시차주사열량계(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를 이용하여 샘플을 200℃에서 10분간 등온으로 유지하여 열이력을 제거한 후, 200℃로부터 30℃까지 분당 10℃씩 냉각하며 결정화시켜 동일한 열이력을 갖도록 한 후, 30℃에서 10분간 등온 유지하였고, 다시 분당 10℃씩 승온시키며 피크 온도로부터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 Tm)를 구하였다.
(5) 유리전이온도
동역학 측정장치(dynamic mechanical analyzer; DMA; TA instrument Q800)를 이용하여 -140℃로부터 2℃/분의 속도로 145℃까지 승온시켜 응력이완곡선(stress relaxation curve)으로부터 고무 성분의 유리전이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를 구하였다.
(6) 굴곡탄성율(flexural modulus; FM)
ASTM D 790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사출 시편의 규격은 100 ㎜ × 10 ㎜ × 3 ㎜이었다.
(7) 가열 변형
사출온도 240℃에서 길이 30 ㎜, 너비 15 ㎜, 두께 2 ㎜ 규격의 시편을 사출하였으며, KS C IEC 60811-508의 방법에 따라서 130℃, 6시간 동안 1.6 kg 하중을 가하여 변형된 두께를 얻었으며, 변형된 두께를 초기 두께로 나누어 변형율을 얻었다. 가열 변형율이 50% 미만이면 통과, 그 이상이면 실패로 평가하였다.
(8) 아이조드(IZOD) 충격 강도
ASTM D 256의 방법에 따라서 -40℃에서 측정하였다.
(9) 파단 신율
IEC 60811-501의 방법에 따라서 25 ㎜/분으로 측정하였다. 노화 후 실험은 135℃ 컨벡션 오븐에서 10일간 가열한 후 신율을 측정하였으며, 신율 잔율은 이 값을 초기 신율로 나누어 구하였다.
(10) 직류 절연 파괴 전압
폴리프로필렌 시편은 실험용 압출기(HAAKE extruder)를 이용하여 200 ㎛ 두께의 시트를 제작하였고, 가교 폴리에틸렌(XLPE) 시편은 180℃에서 200 ㎛ 두께로 프레스 성형하여 준비하였다. ASTM D 149-92의 방법에 따라서 직경이 12.7 ㎜인 구대구 전극(sphere electrodes)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직류 절연 파괴 전압을 측정하였다. 노화 후 실험은 135℃ 컨벡션 오븐에서 10일간 가열한 후 직류 절연 파괴 전압을 측정하였다.
(11) 체적 저항
240℃ 사출 온도에서 10 ㎝ × 10 ㎝ × 2 ㎜ 규격의 사출 시편을 제조하고 이를 2일간 상온에서 가열한 후 ASTM D257에 따라 측정하였다. 노화 후 실험은 135℃ 컨벡션 오븐에서 10일간 가열한 후 체적 저항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2 3
조성물의 수지 구성 성분 (A)의 구성:
프로필렌 함량(중량%)
에틸렌 함량(중량%)
용융온도(Tm; ℃)
용융지수(g/10분)
용제추출물 함량(중량%)
용제추출물 유리전이온도(℃)
용제추출물 고유점도(㎗/g)
85
90
10
151
3
25
-53
2.8
75
85
15
153
2
32
-51
2.9
84
90
10
161
15
26
-49
2.2
성분 (B)의 구성:
프로필렌 함량(중량%)
에틸렌 함량(중량%)
옥텐 함량(중량%)
부텐 함량(중량%)
14
85
15
-
-
20
-
60
40
-
15
85
10
5
-
성분 (C)의 구성: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

-
5

-
1
-
조성물 물성 용융지수(g/10분, 230℃)
용제추출물 함량(중량%)
용제추출물 고유점도(㎗/g)
2.0
35
2.0
5.0
39
2.3
10.0
34
1.5
열적 거동:
용융온도(Tm; ℃)
유리전이온도 #1(℃)
유리전이온도 #2(℃)

152
-31
-53

151
-30
-52

161
-33
-48
성형품 물성 굴곡탄성율(MPa)
가열변형(%)
IZOD 충격강도(kgf ㎝/㎝)
파단 신율(%)
신율 잔율(%)
체적 저항(Ω㎝)
노화 후 체적 저항(Ω㎝)
직류 절연 파괴 강도(kV/㎜)
노화 후 절연파괴강도(kV/㎜)
350
21
9
490
90
3×1016
4×1016
121
119
430
24
NB
520
88
1×1016
2×1016
112
103
380
14
6
480
85
1×1017
2×1017
127
131
비교예
1 2 3 4 5
조성물의 수지 구성 성분 (A)의 구성:
프로필렌 함량(중량%)
에틸렌 함량(중량%)
용융온도(Tm; ℃)
용융지수(g/10분)
용제추출물 함량(중량%)
용제추출물 유리전이온도(℃)
용제추출물 고유점도(㎗/g)
85
90
10
151
3
25
-53
2.8
85
90
10
151
3
25
-53
2.7
75
85
15
161
7
32
-51
2.9
90
90
10
161
10
25
-53
2.8
50
80
20
151
2
40
-53
3.4
성분 (B)의 구성:
프로필렌 함량(중량%)
에틸렌 함량(중량%)
옥텐 함량(중량%)
부텐 함량(중량%)
15
85
15
-
-
14.9
-
60
40
-
10
85
10
5
-
-
-
-
-
-
40

90
-
10
성분 (C)의 구성:
에틸렌-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
-
-
0.1

-
15

-
10
-
10

-
조성물 물성 용융지수(g/10분, 230℃)
용제추출물 함량(중량%)
용제추출물 고유점도(㎗/g)
2.1
35
1.9
5.0
36
2.4
1.3
40
5.2
9.0
18
2.7
4.3
63
2.1
열적 거동:
용융온도(Tm; ℃)
유리전이온도 #1(℃)
유리전이온도 #2(℃)

153
-30
-53

152
-
-51

162
-30
-54

163
-28
-

151
-30
-52
성형품 물성 굴곡탄성율(MPa)
가열변형(%)
IZOD 충격강도(kgf ㎝/㎝)
파단 신율(%)
신율 잔율(%)
체적 저항(Ω㎝)
노화 후 체적 저항(Ω㎝)
직류 절연 파괴 강도(kV/㎜)
노화 후 절연파괴강도(kV/㎜)
330
20
8
460
88
6×1015
2×1016
107
112
520
18
NB
430
90
4×1015
9×1015
98
92
480
17
12
310
92
6×1014
2×1014
111
82
700
4
3
440
94
1×1017
2×1017
103
92
160
85
NB
520
62
3×1014
7×1013
82
61
위 표 1과 표 2에서, 성분 (A)의 유리전이온도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에 존재하는 고무 성분의 유리전이온도를 의미하고, 조성물(열적 거동 항목)의 유리전이온도는 조성물 내에 존재하는 고무 성분의 유리전이온도를 의미한다.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 #2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 중 고무 성분의 유리전이온도와 함께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이해되며, 조성물의 유리전이온도 #1은 성분 (B)의 영향으로 나타나는 유리전이온도로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된다.
위 표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실시예에서 얻어진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연질 특성을 나타내는 굴곡 탄성율이 낮고, 내충격강도가 높으며, 동시에 절연 특성이 우수하였다. 특히,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은 내열성이 우수하여 고온에서 장기간 노화 후 측정한 물성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절연 저항이 낮고 직류 절연 파괴 강도도 낮아서 절연체로 사용시 두꺼운 절연체를 형성해야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비교예 4와 5의 경우 내열성이 떨어져 고온에서 노화 시 물성이 급격하게 저하되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내한 내 충격강도, 내 가열 변형,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전기적 특성이 양호하여 직류 절연체로 적합하며, 가교되지 않기 때문에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다.

Claims (19)

  1. 성분 (A) 내지 성분 (C)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A)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공중합체가 반응기 내에서 단계적으로 중합되어 얻어지는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50~95 중량%; (B)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 4.8~40 중량%; 및 (C)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 0.2~10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로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 중의 고무 성분은 동역학 측정장치로 측정 시 유리전이온도가 -60~-40℃에서 나타나고,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자일렌 용제로 상온에서 추출 시 추출되는 고무 성분의 135℃ 데칼린 용매에서 측정되는 고유점도가 1.0~2.9 dl/g이고,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은 2.16 kg의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0.5~20 g/10분이며,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중의 고무 성분은 동역학 측정장치로 측정 시 유리전이온도가 -60~-40℃에서 나타나며, 이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이 1016 Ω㎝ 이상의 체적 저항 및 200 ㎛ 두께 기준으로 100 kV/㎜ 이상의 직류 절연 파괴 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의 용융온도(Tm)가 145~170℃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의 2.16 kg의 하중으로 230℃에서 측정 시 용융지수가 0.5~20 g/10분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프로필렌 블록 공중합체(A)를 자일렌 용제로 상온에서 추출 시 추출되는 고무 성분의 함량이 1~50 중량%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에틸렌-1-부텐 고무, 에틸렌-부틸렌 고무, 에틸렌-1-펜텐 고무, 에틸렌-1-헥센 고무, 에틸렌-1-헵텐 고무, 에틸렌-1-옥텐 고무 및 에틸렌-4-메틸-1-펜텐 고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α-올레핀 고무 공중합체(B) 중의 에틸렌 함량이 5~90 중량%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과 극성 단량체의 공중합체(C) 중의 극성 단량체가 아세테이트기, 아크릴레이트기, 카르복실레이트기 및 케톤기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극성기를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자일렌 용제로 상온에서 추출 시 추출되는 고무 성분의 함량이 10~50 중량%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추출된 고무 성분의 135℃ 데칼린 용매에서 측정된 고유점도가 1.0~3.0 ㎗/g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용융온도(Tm)가 145~170℃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중화제, UV안정제, 장기 내열안정제, 슬립제, 블로킹방지제, 보강재, 충진재, 내후안정제, 대전방지제, 활제, 핵제, 난연제, 안료 및 염료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첨가제의 함량이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5 중량% 이하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되는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15. 제14항에 있어서, 굴곡탄성률이 500 MPa 이하이고, -40℃에서 충격강도가 5 kgf ㎝/㎝ 이상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16. 제14항에 있어서, 신율이 400% 이상이고, 동일 시편을 135℃에서 10일 동안 가열(aging)한 후의 신율이 초기(가열 전) 신율 대비 75% 이상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17. 제14항에 있어서, 체적 저항이 1016 Ω㎝ 이상이고, 동일 시편을 135℃에서 10일 동안 가열한 후의 체적 저항이 1016 Ω㎝ 이상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18. 제14항에 있어서, 성형품 두께 200 ㎛ 기준으로 직류 절연 파괴 강도가 100 kV/㎜ 이상이고, 동일 시편을 135℃에서 10일 동안 가열한 후의 직류 절연 파괴 강도가 100 kV/㎜ 이상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19. 제14항에 있어서, 고압 전력 기기의 절연체인 폴리올레핀 수지 성형품.
KR1020190140824A 2019-11-06 2019-11-06 직류 절연 특성이 개선된 연질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209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824A KR102209153B1 (ko) 2019-11-06 2019-11-06 직류 절연 특성이 개선된 연질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EP20203545.7A EP3819337A1 (en) 2019-11-06 2020-10-23 Soft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direct-current insulation characteristics and article molded therefrom
JP2020183440A JP7104124B2 (ja) 2019-11-06 2020-11-02 直流絶縁特性が改善された軟質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成形品
US17/087,771 US11566128B2 (en) 2019-11-06 2020-11-03 Soft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direct-current insulation characteristics and article molded therefrom
CN202011217809.1A CN112778649A (zh) 2019-11-06 2020-11-04 直流绝缘特性得到改善的软质聚烯烃树脂组合物及由其制成的成型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824A KR102209153B1 (ko) 2019-11-06 2019-11-06 직류 절연 특성이 개선된 연질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9153B1 true KR102209153B1 (ko) 2021-01-28

Family

ID=73014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824A KR102209153B1 (ko) 2019-11-06 2019-11-06 직류 절연 특성이 개선된 연질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66128B2 (ko)
EP (1) EP3819337A1 (ko)
JP (1) JP7104124B2 (ko)
KR (1) KR102209153B1 (ko)
CN (1) CN1127786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225A (ko) * 2021-08-31 2023-03-08 한화토탈에너지스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30039165A (ko) * 2021-09-14 2023-03-21 한화토탈에너지스 주식회사 절연 특성이 우수한 전력 케이블용 연질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065628A (ja) * 2020-10-15 2022-04-27 ハンファ トータル ペトロケミカル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耐電圧特性に優れた絶縁体用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成形品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6138B1 (ko) 1997-11-29 2000-03-15 정몽규 자동차 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JP3424050B2 (ja) 1994-06-14 2003-07-07 新日本石油化学株式会社 直流ケーブル用絶縁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絶縁層とした直流ケーブル
KR20100025211A (ko) * 2008-08-27 2010-03-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기반 난연성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KR20110110928A (ko) 2010-04-02 2011-10-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직류용 전력 케이블용 절연 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케이블
KR20130030206A (ko) 2011-09-16 2013-03-2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하우징리스 커넥터
JP2013148028A (ja) 2012-01-20 2013-08-01 Bosch Corp 還元剤供給装置
KR20140040082A (ko) 2010-12-23 2014-04-02 프리즈미안 에스피에이 안정화된 유전 저항을 가진 에너지 케이블
KR20140053204A (ko) 2011-08-04 2014-05-07 프리즈미안 에스피에이 열가소성 전기 절연층을 구비한 에너지 케이블
KR20140102407A (ko) 2013-02-14 2014-08-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KR101985611B1 (ko) * 2018-01-16 2019-06-03 한화토탈 주식회사 전선 절연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95603A (ja) * 1989-01-24 1990-08-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発泡絶縁電線
KR980009364A (ko) 1996-07-16 1998-04-30 조규향 고청격, 고강성 특성을 갖는 열가고성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CN1120857C (zh) 1998-09-16 2003-09-10 日本聚烯烃株式会社 电绝缘材料用树脂材料、以其制备的电绝缘材料及电线和电缆
IT1318429B1 (it) * 2000-03-28 2003-08-25 Montech Usa Inc Miscele di elastomeri termoplastici e di polimeri polari.
KR100756786B1 (ko) * 2000-03-31 2007-09-07 스미토모덴키고교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절연성 수지 조성물 및 그것으로 피복해서이루어지는 전선 또는 케이블
US8367805B2 (en) 2004-11-12 2013-02-05 Xencor, Inc. Fc variants with altered binding to FcRn
JP5135280B2 (ja) 2009-05-13 2013-02-06 日本ポリプロ株式会社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よりなる成形体
WO2011132656A1 (ja) * 2010-04-20 2011-10-27 三井化学株式会社 熱可塑性重合体組成物、それからなる成形体並びに電線
KR101299356B1 (ko) 2011-04-13 2013-08-22 삼성토탈 주식회사 도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A2845079C (en) 2011-08-30 2016-10-11 Borealis Ag Power cable comprising polypropylene
CA2868550C (en) 2012-03-29 2020-04-0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rocess for producing polypropylene blends for thermoplastic insulation
WO2014029447A1 (en) 2012-08-24 2014-02-27 Abb Research Ltd A high voltage direct current cable product
CN104558845A (zh) * 2014-12-26 2015-04-29 上海金发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免火焰处理仪表板用聚丙烯复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187968B1 (ko) 2017-12-20 2020-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4050B2 (ja) 1994-06-14 2003-07-07 新日本石油化学株式会社 直流ケーブル用絶縁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絶縁層とした直流ケーブル
KR100246138B1 (ko) 1997-11-29 2000-03-15 정몽규 자동차 부품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00025211A (ko) * 2008-08-27 2010-03-0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기반 난연성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KR20110110928A (ko) 2010-04-02 2011-10-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직류용 전력 케이블용 절연 재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케이블
KR20140040082A (ko) 2010-12-23 2014-04-02 프리즈미안 에스피에이 안정화된 유전 저항을 가진 에너지 케이블
KR20140053204A (ko) 2011-08-04 2014-05-07 프리즈미안 에스피에이 열가소성 전기 절연층을 구비한 에너지 케이블
KR20130030206A (ko) 2011-09-16 2013-03-26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하우징리스 커넥터
JP2013148028A (ja) 2012-01-20 2013-08-01 Bosch Corp 還元剤供給装置
KR20140102407A (ko) 2013-02-14 2014-08-2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력 케이블
KR101985611B1 (ko) * 2018-01-16 2019-06-03 한화토탈 주식회사 전선 절연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3225A (ko) * 2021-08-31 2023-03-08 한화토탈에너지스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587753B1 (ko) 2021-08-31 2023-10-11 한화토탈에너지스 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30039165A (ko) * 2021-09-14 2023-03-21 한화토탈에너지스 주식회사 절연 특성이 우수한 전력 케이블용 연질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595967B1 (ko) * 2021-09-14 2023-10-30 한화토탈에너지스 주식회사 절연 특성이 우수한 전력 케이블용 연질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19337A1 (en) 2021-05-12
JP2021075709A (ja) 2021-05-20
US20210130601A1 (en) 2021-05-06
JP7104124B2 (ja) 2022-07-20
CN112778649A (zh) 2021-05-11
US11566128B2 (en)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611B1 (ko) 전선 절연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EP3342816B1 (en) Power cable comprising a polypropylene resin in an insulation layer
KR102209153B1 (ko) 직류 절연 특성이 개선된 연질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1957049B1 (ko) 전력 케이블 절연체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EP3498773B1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different rubber components for insulating electric cables
KR20200004061A (ko) 전력 케이블
EP3544026A1 (en) Power cable
US11866540B2 (en) Polypropylene resin for insulating electric cables
KR102595967B1 (ko) 절연 특성이 우수한 전력 케이블용 연질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220050035A (ko) 내전압 특성이 우수한 절연체용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US20220119634A1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For Insulation With High Breakdown Voltage And Article Molded Therefrom
US20230080608A1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With High Resistance To Tracking And Article Molded Therefrom
KR101949643B1 (ko) 반도전성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반도전층을 갖는 전력 케이블
KR20220068022A (ko) 전력 케이블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