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213B1 - 가정용 자동 두부제조기 - Google Patents

가정용 자동 두부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213B1
KR102208213B1 KR1020200045536A KR20200045536A KR102208213B1 KR 102208213 B1 KR102208213 B1 KR 102208213B1 KR 1020200045536 A KR1020200045536 A KR 1020200045536A KR 20200045536 A KR20200045536 A KR 20200045536A KR 102208213 B1 KR102208213 B1 KR 102208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fu
protrusion
button
container
bean cu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중
Original Assignee
김원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중 filed Critical 김원중
Priority to KR1020200045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2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8Driving mechanisms
    • A47J43/085Driving mechanism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부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두부, 두유, 비지, 죽 등을 제조할 수 있도록 원재료인 대두의 각종 곡물 및 야채의 분쇄수단 및 가열수단을 일체로 형성하여 보다 편리하게 두부, 두유, 비지, 죽 등을 제조할 수 있는 가정 등에서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 두부제조기를 형성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가정용 자동 두부제조기{Automatic tofu maker for home use}
본 발명은 두부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두부, 두유, 비지, 죽 등을 제조할 수 있도록 원재료인 대두의 각종 곡물 및 야채의 분쇄수단 및 가열수단을 일체로 형성하여 보다 편리하게 두부, 두유, 비지, 죽 등을 제조할 수 있는 가정용 두부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두부는 체내의 신진대사와 성장발육에 꼭 필요한 아미노산, 칼슘, 철분 등 무기질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단백질 식품으로 맛뿐만 아니라 영양면에서 더할 수 없이 훌륭한 식품이며 콩 단백질인 글리시닌과 알부민 등을 응고시켜 만든 두부의 소화율은 콩의 소화율 65%보다 높은 95%에 달한다.
단백질 섭취가 중요하지만 고기 섭취로 인한 콜레스테롤 증가로 합병증이 우려되는 당뇨병 환자들에게 적극 권할 만하며 두부의 원료가 되는 콩 속의 성분 덕분에 항암, 골다공증 예방, 고혈압 예방,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 뛰어난 소화흡수율에도 불구하고 열량이 낮아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좋은 효과를 발휘한다.
두유는 통상적으로 두부의 제조공정의 중간단계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콩을 갈아서 만든 콜로이드 상태의 음료로 우유와 거의 비슷한 영양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동맥경화증 등 성인병을 일으킬 수 있는 포화지방산이 아닌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체질의 산성화를 막는 데 효과가 있는 알칼리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비지는 두유와 마찬가지로 두부의 제조공정의 중간단계에서 생산되는 것으로 두부의 제조를 위하여 가용성 단백질이 대부분 제거되었기 때문에 영양가치가 높지 않지만 비지에는 섬유질이 많고 콩의 단백질과 지방질이 남아 있고 특유한 풍미가 있어 각종 요리법을 통하여 요리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통상 찌개 상태로 요리하여 먹고 있는 실정이며 최근에는 다양한 요리법이 개발되어 식재료의 하나로 정착되고 있는 실정이다.
두부, 두유, 비지 등을 콩을 원료로 하여 콩을 분쇄하여 제조되는 콩 가공 식품으로 다양한 음식물의 재료로 사용되거나 영양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재래식으로 두부를 제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콩을 깨끗이 씻은 후 세척된 콩을 분쇄가 용이하도록 몇 시간 정도 물에 넣어 불린다. 불린 콩을 맷돌이나 믹서를 이용하여 분쇄한 후 분쇄된 콩즙을 고운 체나 천을 이용하여 비지와 단백질 즙으로 분리한다. 분리된 단백질 즙만을 솥 또는 별도의 용기에 넣고 끓이는데, 이때 거품이 필연적으로 발생하여 용기에 넘쳐흐르게 되므로 거품이 넘쳐흐르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불의 화력을 인위적으로 반복하여 조절하면서 끓이게 된다. 단백질 즙을 충분히 끓인 후에 설탕, 소금 등의 첨가물을 넣으면 음용 가능한 두유가 제조되고, 응고제인 황산칼슘 등을 첨가하여 저어준 다음 몇분이 지나게 되면 응고상태의 순두부가 만들어지게 되며 순두부를 일정한 성형장치에 넣어 압착, 성형하게 되면 두부가 만들어지며 단백질 즙이 분리되고 남은 찌꺼기들이 비지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두부 제조방법은 개개의 공정들이 별개로 이루어지게 됨으로 불편한 점이 많고, 제조과정이 복잡하며 시간도 많이 걸려 비능률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두부의 중간과정에서 얻어지는 두유는 단백질 즙의 회수율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청결상태를 관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비지 또한 대부분의 영양분이 두부 또는 두유로 빠져나가 비지 자체에는 섬유질 이외의 약간의 단백질과 지방질만 남아 있으므로 그 영양적 측면에는 매우 빈약한 문제점이 있으며 가정에서 비지를 만들어 먹고자 할 때에는 필수적으로 두부의 제조공정으로 만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두부, 두유, 비지의 제조시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대두로부터 두부, 두유, 비지를 제조할 수 있으며 재래식 두부제조 방법에 비하여 제조 공정 및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가정용 두부제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병자나 회복기 환자의 병인식 또는 회복식으로 많이 사용되고 노인이나 어린이의 보양을 위하여 또는 입맛 없을 때의 식욕증진식, 때로는 식량이 부족할 때의 구황식품 또는 다이어트 식품으로 사용되는 죽을 두부제조기를 이용하여 가정에서 손쉽게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은 외부몸체(10)의 내부에 결합 분리 형태로 삽입되어 있으며, 용기 내면에 눈금부가 표시되어 있고, 소정량의 물이 투입되어 보관되도록 상측이 개방된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 이동을 위한 용기 손잡이(24, 24')가 마련되며 상측 개구부 양단에 걸림장치가 마련되는 스테인레스 내부용기(20); 상기 내부용기(20)의 상측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그 하면이 형성되고 외측 양단에 상기 걸림장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걸림장치에 의해 가압되는 걸림쇄(32)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내부용기(2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회전축(52)의 단부에 분쇄날(50)이 마련된 모터가 내설되며 상기 분쇄날(50)의 외측으로 물을 가열하는 히터(40)가 마련되며 내측으로 상기 모터 및 상기 히터(40)를 제어하는 제어부(70)가 마련되는 상부뚜껑부(60); 및 대두 원료가 담겨지도록 상측이 개방된 망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상기 분쇄날(50)이 삽입되도록 상기 상부뚜껑부(60)의 하측에 결합되는 걸름망(3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두부제조기는 두부, 두유, 비지, 죽 등의 제조시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두부, 두유, 비지, 죽을 제조할 수 있으며 재래식 두부제조 방법에 비하여 제조 공정 및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본 발명의 자동 두부제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동 두부제조기를 내부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동 두부제조기를 거름망을 형성한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 두부제조기를 거름망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자동 두부제조기를 나타낸 전체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자동 두부제조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디른 실시예의 자동 두부제조기를 도시한 투입구의 개폐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자동 두부제조기의 가이드돌출돌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자동 두부제조기의 분쇄날을 도시한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자동 두부제조기를 도시한 거름망의 개폐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함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은 외부몸체(10)의 내부에 결합 분리 형태로 삽입되어 있으며, 용기 내면에 눈금부(22)가 표시되어 있고, 소정량의 물이 투입되어 보관되도록 상측이 개방된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 이동을 위한 용기 손잡이(24, 24')가 마련되며 상측 개구부 양단에 걸림장치가 마련되는 스테인레스 내부용기(20); 상기 내부용기(20)의 상측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그 하면이 형성되고 외측 양단에 상기 걸림장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걸림장치에 의해 가압되는 걸림쇄(32)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내부용기(2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회전축(52)의 단부에 분쇄날(50)이 마련된 모터가 내설되며 상기 분쇄날(50)의 외측으로 물을 가열하는 히터(40)가 마련되며 내측으로 상기 모터 및 상기 히터(40)를 제어하는 제어부(70)가 마련되는 상부뚜껑부(60); 및
대두 원료가 담겨지도록 상측이 개방된 망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상기 분쇄날(50)이 삽입되도록 상기 상부뚜껑부(60)의 하측에 결합되는 걸름망(3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뚜껑부(60)에 두부, 두유, 비지 및 죽의 제조를 선택하는 선택버튼과 작동시간을 예약하는 예약버튼과 제조된 음식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보온버튼과 음식을 제조한 후에 자체적인 세척을 위한 세척버튼의 기능 버튼이 마련되며, 예약·보온 또는 음식 제조시에 경과 시간 또는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63)가 구비되는 조절패널이 마련되도록 한 특징이 있다.
도 1 내지 도 10과 같이 본 발명에서 스테인레스 내부용기(20)는 외부몸체(10)의 내부에 결합 분리 형태로 삽입되어 있으며, 용기 내면에 눈금부(22)가 표시되어 있고, 소정량의 물이 투입되어 보관되도록 상측이 개방된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 이동을 위한 용기 손잡이(24, 24')가 마련되며 상측 개구부 양단에 걸림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부뚜껑부(60)는 상기 내부용기(20)의 상측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그 하면이 형성되고 외측 양단에 상기 걸림장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걸림장치에 의해 가압되는 걸림쇄(32)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내부용기(2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회전축(52)의 단부에 분쇄날(50)이 마련된 모터가 내설되며 상기 분쇄날(50)의 외측으로 물을 가열하는 히터(40)가 마련되며 내측으로 상기 모터 및 상기 히터(40)를 제어하는 제어부(70)가 마련되며, 걸름망(30)은 대두 원료가 담겨지도록 상측이 개방된 망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상기 분쇄날(50)이 삽입되도록 상기 상부뚜껑부(60)의 하측에 결합되는 걸름망(3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상부뚜껑부(60)에 두부, 두유, 비지 및 죽의 제조를 선택하는 선택버튼과 작동시간을 예약하는 예약버튼과 제조된 음식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보온버튼과 음식을 제조한 후에 자체적인 세척을 위한 세척버튼의 기능 버튼이 마련되며, 예약·보온 또는 음식 제조시에 경과 시간 또는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조절패널이 마련되어 두부, 두유, 비지, 죽의 제조시 보다 간편하고 편리하게 두부, 두유, 비지, 죽을 제조할 수 있으며 재래식 두부제조 방법에 비하여 제조 공정 및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있다.
도 7과 도 8에 도시한 상기 콩을 상부뚜껑부(60)에 형성한 투입구에 콩을 넣으며, 불림기능과 가열기능과 분쇄기능을 포함하여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또한, 가열시에 투입구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하여 집중가열과 수증기의 배출을 선택하여 사용함으로 콩의 비린냄새를 최소화한 특징이 있다.
상기 상부뚜껑부(60)에 형성한 중앙에 형성한 디스플레부(63)가 장착된 돌출부(67)는 테두리면의 양측면에 형성한 투입구(62)를 형성하였다. 상기 투입구(62)를 막을 수 있도록 돌출부(67)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개폐도어(71)와, 상기 돌출부(67)를 회전하여 투입구(62)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가정용 자동 두부제조기는 필요에 따라서 파쇄한 콩비지를 일부를 배출하여 두부를 제조하거나 순두부를 농도를 조절시에 개폐하도록 형성하였다. 특히 거름망을 청소가 필요시에는 개방하여 청소하므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걸름망(30)은 원통의 몸체(30-1)와 콩을 분쇄시에 배출되는 콩비지를 걸러내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30-2)와 배출도어(30-6)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30-1)의 측면에 형성한 배출구(30-2)와,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면에 가이드홈(30-3)이 형성된 문틀(30-4); 상기 문틀(30-4)의 가이드홈(30-3)에 끼워지도록 망이 형성되고 측면에 도어틀(30-5)을 형성한 도어(30-6)로 이루어져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10: 외부몸체 20: 내부용기
30: 걸름망 40: 히터
60: 상부뚜껑부 62: 투입구

Claims (3)

  1. 가정용 자동 두부제조기에 있어서,
    외부몸체(10)의 내부에 결합 분리 형태로 삽입되어 있으며, 용기 내면에 눈금부(22)가 표시되어 있고, 소정량의 물이 투입되어 보관되도록 상측이 개방된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 이동을 위한 용기 손잡이(24, 24')가 마련되며 상측 개구부 양단에 걸림장치가 마련되는 스테인레스 내부용기(20);
    상기 내부용기(20)의 상측 개구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그 하면이 형성되고 외측 양단에 상기 걸림장치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걸림장치에 의해 가압되는 걸림쇄(32)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내부용기(2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회전축(52)의 단부에 분쇄날(50)이 마련된 모터가 내설되며 상기 분쇄날(50)의 외측으로 물을 가열하는 히터(40)가 마련되며 내측으로 상기 모터 및 상기 히터(40)를 제어하는 제어부(70); 중앙에 형성한 디스플레이부(63)가 장착된 돌출부(67)를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67)는 테두리면의 양측면에 형성한 투입구(62)와, 상기 투입구(62)를 막을 수 있도록 돌출부(67)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개폐도어(71)와, 상기 돌출부(67)를 회전하여 투입구(62)를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형성한 상부뚜껑부(60);
    대두 원료가 담겨지도록 상측이 개방된 망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상기 분쇄날(50)이 삽입되도록 상기 상부뚜껑부(60)의 하측에 결합되며,
    원통의 몸체(30-1)와 콩을 분쇄시에 배출되는 콩비지를 걸러내거나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30-2)와 배출도어(30-6)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30-1)의 측면에 형성한 배출구(30-2)와, 상기 배출구의 테두리면에 가이드홈(30-3)이 형성된 문틀(30-4)과, 상기 문틀(30-4)의 가이드홈(30-3)에 끼워지도록 망이 형성되고 측면에 틀(30-5)을 형성한 도어(30-6)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걸름망(30);
    상기 상부뚜껑부(60)에 두부, 두유, 비지 및 죽의 제조를 선택하는 선택버튼과 작동시간을 예약하는 예약버튼과 제조된 음식을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키기 위한 보온버튼과 음식을 제조한 후에 자체적인 세척을 위한 세척버튼의 기능 버튼이 마련되며, 예약·보온 또는 음식 제조시에 경과 시간 또는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63)가 구비되는 조절패널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자동 두부제조기.
  2. 삭제
  3. 삭제
KR1020200045536A 2020-04-14 2020-04-14 가정용 자동 두부제조기 KR102208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536A KR102208213B1 (ko) 2020-04-14 2020-04-14 가정용 자동 두부제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536A KR102208213B1 (ko) 2020-04-14 2020-04-14 가정용 자동 두부제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8213B1 true KR102208213B1 (ko) 2021-01-27

Family

ID=7423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536A KR102208213B1 (ko) 2020-04-14 2020-04-14 가정용 자동 두부제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2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780Y1 (ko) * 2004-04-28 2004-07-08 김홍배 음식물 제조기구용 걸름망 장치
KR20050032273A (ko) * 2003-10-01 2005-04-07 주식회사 이온맥 가정용 비지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비지 제조방법
KR20060029313A (ko) * 2004-10-01 2006-04-06 주식회사 로닉 가정용 죽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죽 제조방법
KR101162968B1 (ko) * 2011-10-20 2012-07-05 이상완 자동 조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2273A (ko) * 2003-10-01 2005-04-07 주식회사 이온맥 가정용 비지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비지 제조방법
KR200355780Y1 (ko) * 2004-04-28 2004-07-08 김홍배 음식물 제조기구용 걸름망 장치
KR20060029313A (ko) * 2004-10-01 2006-04-06 주식회사 로닉 가정용 죽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죽 제조방법
KR101162968B1 (ko) * 2011-10-20 2012-07-05 이상완 자동 조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49646A (zh) 一种卤豆腐制备方法
CN102657265A (zh) 营养蛋五谷豆腐及其制作方法
CN103190489A (zh) 一种保健豆腐的制作方法
KR101165525B1 (ko) 두부 제조기
KR102208213B1 (ko) 가정용 자동 두부제조기
KR100675948B1 (ko) 가정용 간접가열식 식재료 가공기
CN103461526A (zh) 一种山楂味豆腐
KR100632832B1 (ko) 가정용 간접가열식 식재료 가공기
CN112352921A (zh) 一种豆腐丸子及其制备方法
EP3962327B1 (en) Plant-based milk maker and blender, especially for home use
CN113693230A (zh) 食用桑蚕产品及其制作工艺
CN209234898U (zh) 一种大豆膳食纤维油炸产品生产线
CN209234897U (zh) 一种大豆膳食纤维成品生产系统
KR100675952B1 (ko) 가정용 직접가열식 식재료 가공기
KR102599185B1 (ko) 두부를 이용한 누룽지 및 그 제조방법
TWI526180B (zh) Food and beverage making machine
CN1961693B (zh) 预包装豆制品的生产方法
KR20060126051A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두부 및 순두부 제조 방법
KR102660321B1 (ko) 두부용 콩 분쇄물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콩 분쇄물 제조방법
CN108850197A (zh) 一种豆腐及其制作方法
KR102551848B1 (ko) 가정용 가열식 두부 제조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두부 제조방법
JP2003339335A (ja) 滋養豆腐及び滋養豆腐の製造方法
JP2001333722A (ja) 副食材が混入されてなる豆腐及びそれの製造方法
CN205512022U (zh) 家用豆腐机
KR20050035415A (ko) 가정용 두부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음식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