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4817B1 - 합성 수지제 관이음 - Google Patents

합성 수지제 관이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4817B1
KR102204817B1 KR1020167005653A KR20167005653A KR102204817B1 KR 102204817 B1 KR102204817 B1 KR 102204817B1 KR 1020167005653 A KR1020167005653 A KR 1020167005653A KR 20167005653 A KR20167005653 A KR 20167005653A KR 102204817 B1 KR102204817 B1 KR 102204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on nut
engaging
synthetic resin
protrusion
facing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1985A (ko
Inventor
마코토 후지이
도시히데 이이다
Original Assignee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61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1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4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4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0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comprising locking means for the thread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5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 F16L19/02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the collars or flanges being obtained by deformation of the pipe wall
    • F16L19/0283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the pipe ends having integral collars or flanges the collars or flanges being obtained by deformation of the pipe wall and having a bell-mouthed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4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16L19/041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using additional rigid rings, sealing directly on at least one pipe end, which is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the ring being an inse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16L47/041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the plastic pipe end being flared either before or during the making of the conn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유니온 너트의 조임 양을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는 합성 수지제 관이음을 제공한다. 합성 수지제 관이음(1)의 이음 본체(2)에는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면인 제1 대향면(27)이 설치되고, 유니온 너트(3)에는 제1 대향면(27)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34)이 설치되어 있다. 제2 대향면(34)에는, 제1 대향면(27)을 향해 돌출되는 걸어맞춤 볼록부(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대향면(27)에는, 유니온 너트(3)가 적정 위치까지 조여진 시점에서 걸어맞춤 볼록부(6)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오목부(5)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합성 수지제 관이음{PIPE JOINT MADE OF SYNTHETIC RESIN}
본 발명은, 펌프, 밸브, 필터 등의 유체 기기나 유체 경로인 합성 수지제 튜브의 접속 구조로서 사용되는 합성 수지제 관이음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반도체 제조 장치 및 액정 제조 장치 등의 내약품성 등이 요구되는 배관 경로에 있어서는, 불소 수지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튜브나 관이음이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이음으로서, 튜브의 선단부에 장착되는 이음 본체와, 이 이음 본체의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조여지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유니온 너트를 구비하고, 유니온 너트를 이음 본체의 외주에 조임으로써, 이음 본체와 튜브의 실링 성능(sealing performance)을 확보하는 구조의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수지제 관이음에 있어서는, 합성 수지제의 튜브(관 부재)의 선단부에, 내주부가 유체 통로로 되고, 또한 직경 방향 외측에 융기된 팽출부를 가지는 이너링(끼움결합부)이 압입(壓入)되어 있다. 이너링의 팽출부가 압입되어 확경(擴徑) 변형된 튜브는, 이음 본체의 수취구에 삽입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이음 본체의 외주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유니온 너트(압륜)의 내주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나사결합함으로써, 유니온 너트에 의해 튜브가 이너링과 함께 축 방향으로 가압되어, 이음 본체에 튜브가 접속된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양호한 실링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음 본체에 대한 유니온 너트의 조임 양이 적정한 값이 되도록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 조임 양의 관리 방법으로서는, 스패너 등의 공구를 사용하여 유니온 너트를 조금씩 조이면서 조임 토크(torque)를 관리하는 방법이나, 간극 게이지 등에 의해 조임 치수를 반복 측정하면서 관리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공개특허 평10-54489호 공보
최근, 반도체 제조 장치 등의 소형화가 진행되고, 장치 내부에 장비(裝備)되는 부품의 집적도가 상승하고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는, 좁은 공간에서 어림으로 유니온 너트의 조임 양의 관리를 강요당하는 것이 현 실정이다.
또한, 상기 조임 양의 관리 방법에 있어서는, 각각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긴다. 즉, 조임 토크의 관리 방법에서는, 사용하는 공구마다 토크 오차가 생기므로, 조임 양에 불균일이 생기기 쉽다. 또한, 간극 치수의 관리 방법에서는, 유니온 너트의 회전각에 대한 축 방향으로 진행되는 거리가 미소하기 때문에, 어느 시점에서 조임 완료로 할 것인지는 작업자에 따라 개인차가 생겨, 조임 양에 불균일이 생기기 쉽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유니온 너트의 조임 양을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는 합성 수지제 관이음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 관이음은, 합성 수지제의 튜브의 선단부 내에 압입되는 팽출부가 축 방향 일단부의 외주로 돌출되어 형성된 이너링과, 상기 팽출부가 상기 튜브의 선단부 내에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링의 축 방향 타단부가 압입되는 환형의 실링 홈이 내주 측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외주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합성 수지제의 이음 본체와, 상기 이너링의 상기 축 방향 타단부를 상기 실링 홈에 압입한 상태에서 상기 이음 본체의 수나사부에 조여지는 암나사부가 내주에 형성된 합성 수지제의 유니온 너트를 구비한 합성 수지제 관이음으로서, 상기 이음 본체 측에는,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면인 제1 대향면이 설치되고, 상기 유니온 너트 측에는, 상기 제1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대향면 및 상기 제2 대향면 중 한쪽의 대향면에 설치되고, 다른 쪽의 대향면을 향해 돌출되는 걸어맞춤 볼록부와, 상기 다른 쪽의 대향면에 설치되고, 상기 유니온 너트가 적정 위치까지 조여진 시점에서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오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니온 너트가 적정 위치까지 조여진 시점에서, 걸어맞춤 볼록부가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추어지므로, 작업자는, 그 걸어맞춤에 의해 유니온 너트의 조임 양이 적정한 값으로 된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유니온 너트의 조임 관리를 적절히 행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수지제 관이음은,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추어기지 직전에 상기 다른 쪽의 대향면과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니온 너트가 적정 위치의 직전까지 조여지면, 걸어맞춤 볼록부가 대향면과 맞닿음으로써, 그 조임 저항이 증가하므로, 유니온 너트가 적정 위치의 직전까지 조여진 것을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수지제 관이음은, 상기 다른 쪽의 대향면의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인접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대향면을 향해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추어진 상태로부터 조임 방향으로 나사로 조여지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규제부에 의하여, 유니온 너트가 적정 위치로부터 더 조여지는 것을 규제할 수 있으므로, 유니온 너트의 조임 양이 적정한 값이 되었을 때, 그 조임을 확실하게 완료시킬 수 있다.
상기 합성 수지제 관이음은, 상기 이음 본체 측의 외주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유니온 너트 측의 외주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추어진 시점에서, 서로의 주위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니온 너트가 적정 위치까지 조여진 시점에서,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의 주위 방향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므로, 이것을 육안에 의해 확인함으로써, 유니온 너트의 조임 양이 적정한 값으로 된 것을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조임 양을 점검할 때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의 주위 방향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는 것을 육안에 의해 확인함으로써, 유니온 너트가 적정 위치에 있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점검 작업도 용이해진다.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대향면의 일부로 된 이음 본체 측 단면(側端面)을 가지고, 상기 제1 대향면에 설치되는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일부가, 상기 이음 본체 측 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걸어맞춤 오목부는, 그 일부가 제1 돌출부의 이음 본체 측 단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대향면의 이음 본체 측 단면 이외에만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써,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걸어맞춤 오목부의 반복 사용에 의한 내구성(耐久性)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대향면의 일부로 된 유니온 너트 측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2 대향면에 설치되는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일부가, 상기 유니온 너트 측 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걸어맞춤 오목부는, 그 일부가 제2 돌출부의 유니온 너트 측 단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대향면의 유니온 너트 측 단면 이외에만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써,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걸어맞춤 오목부의 반복 사용에 의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 관이음에 의하면, 유니온 너트의 조임 양을 적절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합성 수지제 관이음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상기 합성 수지제 관이음의 이음 본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이음 본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합성 수지제 관이음의 유니온 너트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상기 유니온 너트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유니온 너트의 조임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유니온 너트를 적정 위치까지 조인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합성 수지제 관이음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합성 수지제 관이음을 나타낸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합성 수지제 관이음에서의 유니온 너트의 이음 도중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 관이음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합성 수지제 관이음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합성 수지제 관이음(1)은, 합성 수지(PFA 등)제의 튜브(10)의 선단부의 외주 측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의 엘보형의 이음 본체(2)와, 이 이음 본체(2)의 외주 측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의 유니온 너트(3)와, 튜브(10)의 선단부의 내주 측에 장착되는 합성 수지제의 이너링(4)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수지제 관이음(1)은, 최고 사용 압력이 0.4MPa, 최고 사용 온도가 100℃ 이하의 환경 하에서 사용된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음 본체(2)의 절곡 부분으로부터 양단부 개구를 향하는 방향을 축 방향 외측(外側))이라 하고, 이음 본체(2)의 양단부 개구로부터 절곡 부분을 향하는 방향을 축 방향 내측(內側)이라 한다.
이너링(4)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경(內徑)은 유체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튜브(10)의 내경과 대략 동일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너링(4)의 축 방향 외측 단부(축 방향 일단부)의 외주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팽출부(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팽출부(4a)는, 튜브(10)의 선단부 내에 압입되어 그 선단부의 직경을 확대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너링(4)의 축 방향 내측 단부(축 방향 타단부)에는, 튜브(10)의 선단부로부터 축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원통형의 실링 돌출부(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링 돌출부(4b)의 내주 측에는, 외경이 축 방향 내측을 향해 점차 직경이 작아지는 경사 돌기(4c)가 형성되어 있다. 실링 돌출부(4b)의 외경은, 튜브(10)의 선단의 외경과 대략 동일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음 본체(2)는, PVC, PA, PP, PE 또는 불소 수지(PFA 또는 PTFE 등)의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음 본체(2)의 내경은, 이너링(4)의 내경과 대략 동일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이음 본체(2)의 축 방향 외측 단부에는, 이너링(4)이 압입된 튜브(10)의 선단부를, 이음 본체(2)에 삽입하기 위한 수취구 개구부(21)이 형성되어 있다. 수취구 개구부(21)의 외주에는, 사다리꼴 나사로 이루어지는 수나사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이음 본체(2)에는, 수취구 개구부(21)의 축 방향 내측 단부보다 직경 방향 내측에 있어서, 원통형의 실링 통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실링 통부(23)의 축 방향 외측 단부에는, 내경이 축 방향 외측을 향해 점차 직경이 커지는 경사면(23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링 통부(23)의 외주면과, 이에 대향하는 수취구 개구부(21)의 내주면 사이에는, 이너링(4)의 실링 돌출부(4b)가 삽입되는 환형의 실링 홈(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링 홈(24)의 저부(底部)에는, 상기 실링 돌출부(4b)의 선단부가 접촉 또는 근접하게 되어 있다.
유니온 너트(3)는, 이음 본체(2)와 마찬가지로, PVC, PA, PP, PE 또는 불소 수지(PFA 또는 PTFE 등)의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니온 너트(3)의 내경은 튜브(10)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고, 튜브(10)의 선단부에 이음 본체(2)를 장착할 때, 유니온 너트(3)에 튜브(10)의 선단부(직경이 확대되어 있지 않은 부분)가 삽통되도록 되어 있다.
유니온 너트(3)는, 축 방향 외측 단부에 있어서 직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가압부(31)와, 축 방향 중앙부의 내주에 형성된 사다리꼴 나사로 이루어지는 암나사부(32)를 가지고 있다. 암나사부(32)는, 이음 본체(2)의 수나사부(22)에 조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수나사부(22) 및 암나사부(3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니온 너트(3)를 수동으로 조이기 위하여, 유니온 너트(3)를 적은 회전수(예를 들면, 1.5 회전)로 조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튜브(10)에 압입된 이너링(4)의 실링 돌출부(4b)를, 이음 본체(2)의 수취구 개구부(21)에 삽입한 상태에서, 유니온 너트(3)를 이음 본체(2)의 축 방향 내측으로 조임으로써, 튜브(10)를 이음 본체(2)에 접속할 수 있다. 그 때, 유니온 너트(3)의 가압부(31)는, 튜브(10)의 외주면에서의 상기 팽출부(4a)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한 확경부(擴徑部)(10a)를 축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실링 돌출부(4b)의 선단부가 실링 홈(24)의 저부에 접촉 또는 근접한다. 또한, 경사 돌기(4c)의 외주면이 실링 통부(23)의 축 방향 외측 단부의 경사면(23a)을 압접(壓接)하고, 또한 실링 돌출부(4b)의 내주면이 실링 통부(23)의 외주면에 압접하고, 실링 돌출부(4b)의 외주면이 수취구 개구부(21)의 내주면에 압접함으로써, 유체의 실링 성능가 확보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수지제 관이음(1)에 의하면, 이너링(4)의 실링 돌출부(4b)를 이음 본체(2)의 실링 홈(24)에 꽂는 타입으로 함으로써, 실링 돌출부(4b)의 직경 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의 가압력(押壓力)을 이용하여 실링 성능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유니온 너트(3)를 축 방향 내측으로 강하게 조일 필요가 없다. 따라서, 합성 수지제 관이음(1)은, 상기 사용 환경 하에서 있으면, 유니온 너트(3)를 수동으로 조임으로써 실링 성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스패너 등의 조임 공구가 불필요하게 되어, 조임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2는 이음 본체(2)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한, 도 3은 이음 본체(2)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이음 본체(2)의 외주에는, 수나사부(22)보다 축 방향 내측에 있어서 대략 원환형(圓環形)의 플랜지부(2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25)의 외주면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26)가 주위 방향의 소정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1 돌출부(26)는, 플랜지부(25)의 외주면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180°의 간격을 두고 2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25)의 외주면에는, 주위 방향의 소정 위치에 평탄부(25b)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돌출부(26)는, 플랜지부(25)의 축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제1 돌출부(26)의 축 방향 외측의 단면(이음 본체 측 단면)(26a)은, 플랜지부(25)의 축 방향 외측의 단면(25a)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양 단면(25a, 26a)은,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면인 제1 대향면(27)을 구성하고 있다. 제1 대향면(27)에는, 축 방향 내측으로 움푹 들어간 걸어맞춤 오목부(5)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걸어맞춤 오목부(5)는, 상기 양 단면(25a, 26a)을 절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의 걸어맞춤 오목부(5)는, 제1 대향면(27)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180°의 간격을 두고 2개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오목부(5)는, 평면에서 볼 때 제1 돌출부(26)의 외주면에 개구되고,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해 연장되는 긴 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걸어맞춤 오목부(5)는, 그 일부가 제1 돌출부(26)의 단면(26a)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대향면(27)의 단면(25a)에만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걸어맞춤 오목부(5)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써, 걸어맞춤 오목부(5)의 반복 사용에 의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대향면(27)에서의 각 걸어맞춤 오목부(5)의 인접 위치에는, 축 방향 외측을 향해 돌출되는 규제부(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7)는, 각 걸어맞춤 오목부(5)에 대하여 유니온 너트(3)의 나사 조임 방향(도 3의 화살표 a 방향)의 아래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규제부(7)에서의 걸어맞춤 오목부(5) 측의 측면(7a)은, 걸어맞춤 오목부(5)에서의 규제부(7) 측의 측면(5a)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걸어맞춤 볼록부(6)가 맞닿는 접촉면으로 되어 있다.
도 4는 유니온 너트(3)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또한, 도 5는 유니온 너트(3)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유니온 너트(3)의 외주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33)가 주위 방향의 소정 위치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제2 돌출부(33)는, 유니온 너트(3)의 외주면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180°의 간격을 두고 2개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돌출부(33)는, 유니온 너트(3)의 축 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유니온 너트(3)를 수동으로 조일 때 파지(把持)되는 파지부로서 이용된다. 이음 본체(2)의 제1 돌출부(26) 및 유니온 너트(3)의 제2 돌출부(33)는, 후술하는 걸어맞춤 볼록부(6)가 걸어맞춤 오목부(5)에 걸어맞추어진 시점에서, 서로의 주위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7 참조).
제2 돌출부(33)의 축 방향 내측(도면 중 하측)의 단면(유니온 너트 측 단면)(33a)은, 유니온 너트(3)의 축 방향 내측의 단면(3a)과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양 단면(3a, 33a)은,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면이며, 또한 제1 대향면(27)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34)을 구성하고 있다(도 1 참조). 제2 대향면(34)에는, 축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는 걸어맞춤 볼록부(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의 걸어맞춤 볼록부(6)는, 제2 돌출부(33)의 단면(33a)의 직경 방향 외측 단으로부터 유니온 너트(3)의 단면(3a)까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의 걸어맞춤 볼록부(6)는, 제2 대향면(34)에 있어서 주위 방향으로 180°의 간격을 두고 2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걸어맞춤 볼록부(6)는, 그 일부가 제2 돌출부(33)의 단면(33a)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대향면(34)의 단면(3a)에만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걸어맞춤 볼록부(6)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로써, 걸어맞춤 볼록부(6)의 반복 사용에 의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6)는, 이음 본체(2) 측의 걸어맞춤 오목부(5)에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6)의 축 방향 내측으로의 돌출량은, 걸어맞춤 볼록부(6)가 걸어맞춤 오목부(5)에 걸어맞추어지기 직전(바로 앞)에 있어서 제1 대향면(27)과 맞닿도록 설정되어 있다. 걸어맞춤 볼록부(6)는, 걸어맞춤 오목부(5)에 걸어맞추어졌을 때 규제부(7)의 접촉면(7a)에 맞닿는 측면(6a)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유니온 너트(3)의 조임 순서에 대하여,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음 본체(2)에 대하여 유니온 너트(3)의 수동 조임을 개시하고 나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니온 너트(3)가, 그 조임 양이 적정해지는 적정 위치의 직전, 즉 걸어맞춤 볼록부(6)가 걸어맞춤 오목부(5)에 걸어맞추어지기 직전까지 조여지면, 걸어맞춤 볼록부(6)의 선단면이 제1 대향면(27)에 접촉된다. 이로써, 유니온 너트(3)의 조임 저항이 급증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유니온 너트(3)가 적정 위치의 직전까지 조여진 것을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조임 저항에 저항하여 유니온 너트(3)를 더 조이면, 걸어맞춤 볼록부(6)는 제1 대향면(27)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유니온 너트(3)와 함께 조여지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어맞춤 오목부(5)에 걸어맞추어진다. 이 때, 걸어맞춤 볼록부(6)는 제1 대향면(27)과의 슬라이딩 접촉 저항으로부터 해방되므로, 유니온 너트(3)의 조임 저항은 급격하게 감소한다. 이로써, 작업자는, 유니온 너트(3)의 조임 양이 적정한 값으로 된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유니온 너트(3)의 조임 관리를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 볼록부(6)가 걸어맞춤 오목부(5)에 걸어맞추어졌을 때, 제1 돌출부(26)의 주위 방향의 위치가 제2 돌출부(33)의 주위 방향의 위치와 일치한다. 따라서, 이 일치한 상태를 육안에 의해 확인함으로써, 유니온 너트(3)의 조임 양이 적정한 값으로 된 것을 더욱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기적으로 유니온 너트(3)의 조임 양을 점검할 때는, 제1 돌출부(26) 및 제2 돌출부(33)의 주위 방향의 위치가 서로 일치하는 것을 육안에 의해 확인함으로써, 유니온 너트(3)가 적정 위치에 있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점검 작업도 용이해진다.
또한, 걸어맞춤 볼록부(6)가 걸어맞춤 오목부(5)에 걸어맞추어졌을 때, 걸어맞춤 볼록부(6)의 측면(6a)이 규제부(7)의 접촉면(7a)과 맞닿는다. 이로써, 유니온 너트(3)가 적정 위치로부터 더욱 조임 방향으로 조여지는 것을 규제할 수 있으므로, 유니온 너트(3)의 조임 양이 적정한 값이 되었을 때, 그 조임을 확실하게 완료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합성 수지제 관이음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는, 그 합성 수지제 관이음을 나타낸 주요부 측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의 합성 수지제 관이음(1)에서는, 스트레이트형의 이음 본체(2)의 외주에, 플랜지부 대신에 원환형의 게이지 링(8)이 별도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음 본체(2)의 축 방향 중앙부로부터 축 방향 양단부의 개구를 향하는 방향을 축 방향 외측이라 하고, 이음 본체(2)의 축 방향 양단부의 개구로부터의 축 방향 중앙부를 향하는 방향을 축 방향 내측이라 한다.
게이지 링(8)에는, 주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긴 구멍(8a)이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 있다. 게이지 링(8)의 축 방향 외측의 단면(8b)은, 유니온 너트(3)의 제2 대향면(34)에 대향하는 제1 대향면(27)으로 되어 있다. 게이지 링(8)의 제1 대향면(27)에는, 긴 구멍(8a)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축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어맞춤 볼록부(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유니온 너트(3)의 제2 대향면(34)에는,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6)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오목부(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대향면(34)에는, 걸어맞춤 오목부(5)의 주위 방향 양측의 인접 위치에, 축 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돌기부(9)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유니온 너트(3)의 조임 순서에 대하여,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음 본체(2)에 대하여 유니온 너트(3)의 수동 조임을 개시하고 나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니온 너트(3)가, 적정 위치의 직전, 즉 걸어맞춤 볼록부(6)가 걸어맞춤 오목부(5)에 걸어맞추어지기 직전까지 나사로 조여지면, 돌기부(9)가 걸어맞춤 볼록부(6)의 선단부와 맞닿는다. 이로써, 작업자는, 유니온 너트(3)가 적정 위치의 직전까지 조여진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유니온 너트(3)를 더 조이면, 돌기부(9)가 걸어맞춤 볼록부(6)를 타고 넘어 걸어맞춤 오목부(5)에 걸어맞추어진다. 이 걸어맞춤 볼록부(6)를 타고 넘을 때, 유니온 너트(3)의 조임 저항이 급증하고, 돌기부(9)를 타고 넘은 시점에서 유니온 너트(3)의 조임 저항이 급격하게 감소한다. 이로써, 작업자는, 유니온 너트(3)의 조임 양이 적정한 값으로 된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유니온 너트(3)의 조임 관리를 적절히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음 본체(2) 측에 걸어맞춤 오목부(5) 및 규제부(7)를 설치하고, 유니온 너트(3) 측에 걸어맞춤 볼록부(6)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음 본체(2) 측에 걸어맞춤 볼록부(6)를 설치하고, 유니온 너트(3) 측에 걸어맞춤 오목부(5) 및 규제부(7)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이음 본체(2) 측에 걸어맞춤 볼록부(6)를 설치하고, 유니온 너트(3) 측에 걸어맞춤 오목부(5) 및 돌기부(9)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음 본체(2) 측에 걸어맞춤 오목부(5) 및 돌기부(9)를 설치하고, 유니온 너트(3) 측에 걸어맞춤 볼록부(6)를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합성 수지제 관이음(1)은,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돌출부(26), 제2 돌출부(33) 또는 규제부(7)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제1 실시 형태의 이음 본체(2)는, 엘보형 이외에 스트레이트형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되고, 제2 실시 형태의 이음 본체(2)는, 스트레이트형 이외에 엘보형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1 : 합성 수지제 관이음
2 : 이음 본체
3 : 유니온 너트
4 : 이너링
4a : 팽출부
5 : 걸어맞춤 오목부
6 : 걸어맞춤 볼록부
7 : 규제부
8 : 게이지 링
10 : 튜브
22 : 수나사부
24 : 실링 홈
26 : 제1 돌출부
26a : 단면(이음 본체 측 단면)
27 : 제1 대향면
32 : 암나사부
33 : 제2 돌출부
33a : 단면(유니온 너트 측 단면)
34 : 제2 대향면

Claims (6)

  1. 합성 수지제의 튜브의 선단부 내에 압입되는 팽출부가 축 방향 일단부의 외주로 돌출되어 형성된 이너링,
    상기 팽출부가 상기 튜브의 선단부 내에 압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너링의 축 방향 타단부가 압입되는 환형의 실링 홈이 내주 측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외주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합성 수지제의 이음 본체, 및
    상기 이너링의 상기 축 방향 타단부를 상기 실링 홈에 압입한 상태에서 상기 이음 본체의 수나사부에 조여지는 암나사부가 내주에 형성된 합성 수지제의 유니온 너트
    를 구비한 합성 수지제 관이음으로서,
    상기 이음 본체 측에는,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면인 제1 대향면이 설치되고,
    상기 유니온 너트 측에는, 상기 제1 대향면에 대향하는 제2 대향면이 설치되고,
    상기 제1 대향면 및 상기 제2 대향면 중 한쪽의 대향면에 설치되고, 다른 쪽의 대향면을 향해 돌출되는 걸어맞춤 볼록부, 및
    상기 다른 쪽의 대향면에 설치되고, 상기 유니온 너트가 적정 위치까지 조여진 시점에서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오목부
    를 구비하고,
    상기 다른 쪽의 대향면의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인접 위치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대향면을 향해 돌출되어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조임 방향으로 조여지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의 상기 다른 쪽의 대향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량은,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추어지기 직전에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가 상기 다른 쪽의 대향면에 맞닿도록 설정되고,
    상기 규제부의 상기 한쪽의 대향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량은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의 상기 돌출량의 설정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 상태에서 발생하고,
    상기 한쪽의 대향면과 상기 다른 쪽의 대향면 사이의 간극에 상기 규제부가 들어가도록 설정되어 있는, 합성 수지제 관이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 본체 측의 외주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유니온 너트 측의 외주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고, 직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추어진 시점에서, 서로의 주위 방향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합성 수지제 관이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1 대향면의 일부로 된 이음 본체 측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1 대향면에 설치되는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일부가, 상기 이음 본체 측 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합성 수지제 관이음.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대향면의 일부로 된 유니온 너트 측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2 대향면에 설치되는 상기 걸어맞춤 볼록부 또는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의 일부가, 상기 유니온 너트 측 단면에 형성되어 있는, 합성 수지제 관이음.
  5. 삭제
  6. 삭제
KR1020167005653A 2013-10-01 2014-09-26 합성 수지제 관이음 KR1022048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06468 2013-10-01
JP2013206468A JP6240455B2 (ja) 2013-10-01 2013-10-01 合成樹脂製管継手
PCT/JP2014/075607 WO2015050052A1 (ja) 2013-10-01 2014-09-26 合成樹脂製管継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1985A KR20160061985A (ko) 2016-06-01
KR102204817B1 true KR102204817B1 (ko) 2021-01-18

Family

ID=5277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5653A KR102204817B1 (ko) 2013-10-01 2014-09-26 합성 수지제 관이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139028B2 (ko)
JP (1) JP6240455B2 (ko)
KR (1) KR102204817B1 (ko)
CN (1) CN105556190B (ko)
TW (1) TWI635236B (ko)
WO (1) WO20150500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8143B2 (ja) 2013-05-08 2016-03-08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管継手
JP6240455B2 (ja) 2013-10-01 2017-11-29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管継手
GB2539456A (en) * 2015-06-16 2016-12-21 Woodford Heating & Energy Ltd A pipe for connection with a pipe fitting
KR101808705B1 (ko) * 2016-05-16 2017-12-15 주식회사유한훌로텍 합성수지관 이음부의 누출 방지구조
JP6259873B1 (ja) * 2016-08-02 2018-01-10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の製造方法
US11306852B2 (en) * 2017-08-07 2022-04-19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Fluid fitting
US11300234B2 (en) 2017-08-07 2022-04-12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Fluid fitting
JP7344766B2 (ja) * 2019-11-15 2023-09-14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管継手
JP7308727B2 (ja) * 2019-11-18 2023-07-14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流路継手構造
DE112020006247T5 (de) * 2020-01-28 2022-10-13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Harzanschlussstück, Kanalblock und Fluidsteuervorrichtung
KR102500288B1 (ko) * 2020-11-20 2023-02-15 (주)광주금형 유체이송관 연결장치
WO2023122816A1 (en) * 2021-12-29 2023-07-06 Systems IP Pty Ltd Universal connector
CN114382969B (zh) * 2022-02-08 2023-07-21 西安保力强液压传动有限公司 基于流通软管的波纹接头
KR102622037B1 (ko) * 2023-09-14 2024-01-10 (주) 케이투앤 배관 연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7975A1 (en) * 2005-01-17 2006-07-20 Nippon Pillar Parking Co., Ltd. Double-pipe joint
JP2009085286A (ja) * 2007-09-28 2009-04-23 Inoue Sudare Kk ヘッダー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15791C1 (ko) * 1991-05-10 1992-09-03 Mannesmann Ag, 4000 Duesseldorf, De
IT223227Z2 (it) 1991-07-17 1995-06-13 Saiag Ind Spa Dispositivo di serraggio a tenuta di un tubo flessibile calzato a for-zamento su un accordo tubolare.
US5388871A (en) 1992-05-22 1995-02-14 Kakizaki Manufacturing Co., Ltd. Fittings with box nuts
JP2549747Y2 (ja) * 1992-11-05 1997-09-30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継手
JP3188002B2 (ja) * 1992-12-28 2001-07-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管継手
US5452748A (en) 1994-01-07 1995-09-26 Simmons; John M. Synchronized dual thread connector
TW309581B (ko) 1994-09-15 1997-07-01 Environ Prod Inc
DE69614244T2 (de) 1995-02-01 2002-05-08 Novo Nordisk As Schraubverbindung für zwei rohrförmige kunststoffteile
JP3644749B2 (ja) * 1996-03-22 2005-05-11 Smc株式会社 管継手
JP2799562B2 (ja) 1996-08-09 1998-09-17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
JP3044612B2 (ja) 1997-09-19 2000-05-22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継手用締付部材の合成樹脂製締付規制具
JP3148857B2 (ja) * 1997-11-10 2001-03-26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
JP2949577B2 (ja) * 1998-02-20 1999-09-13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製管継手
GB9806642D0 (en) 1998-03-27 1998-05-27 Guest John 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be coupling
JP2961532B1 (ja) 1998-03-27 1999-10-12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継手用締付部材の合成樹脂製締付規制具
US6896299B1 (en) * 1998-11-05 2005-05-24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Resin pipe joint
JP3430237B2 (ja) * 1999-07-02 2003-07-28 Smc株式会社 管継手
US7237810B2 (en) 2000-09-15 2007-07-03 Hollingsworth Elmont E Plastic pipe adhesive joint
GB0103774D0 (en) 2001-02-15 2001-04-04 Guest John Int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be couplings
JP3875087B2 (ja) 2001-11-30 2007-01-31 タイガースポリマー株式会社 ドレンホースの接続構造
GB0221076D0 (en) 2002-09-11 2002-10-23 Guest John Int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ube couplings
JP3947971B2 (ja) 2002-11-25 2007-07-25 Smc株式会社 管継手
EP1477717B1 (en) 2003-05-16 2008-01-02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Tube device, and piping system including the tube device
JP3943070B2 (ja) 2003-10-03 2007-07-11 井上スダレ株式会社 管継手
JP2006308000A (ja) 2005-04-28 2006-11-09 Miraial Kk 樹脂製管継手ユニット
US7563993B2 (en) 2006-09-22 2009-07-21 Lapp Engineering & Co. Insert for an opening of an appliance
JP4445987B2 (ja) 2007-09-06 2010-04-07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流体機器と継手との接続構造
KR101361228B1 (ko) 2008-08-05 2014-02-10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수지관 이음매
US9109728B2 (en) 2008-08-05 2015-08-18 Nippon Pillar Packaging Co., Ltd. Resinous pipe joint
JP5028394B2 (ja) 2008-11-28 2012-09-19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樹脂管継手
EP2372214B1 (en) * 2008-12-01 2018-10-03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Resin pipe joint
JP2010223291A (ja) 2009-03-23 2010-10-07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樹脂管継手
JP2010223347A (ja) 2009-03-24 2010-10-07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樹脂管継手
JP2010261499A (ja) 2009-05-01 2010-11-18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樹脂管継手
JP2010261520A (ja) 2009-05-08 2010-11-18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樹脂管継手
JP5300783B2 (ja) * 2010-05-07 2013-09-25 株式会社宮田工業所 管継手
JP5878143B2 (ja) 2013-05-08 2016-03-08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管継手
JP6240455B2 (ja) 2013-10-01 2017-11-29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管継手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57975A1 (en) * 2005-01-17 2006-07-20 Nippon Pillar Parking Co., Ltd. Double-pipe joint
JP2009085286A (ja) * 2007-09-28 2009-04-23 Inoue Sudare Kk ヘッダ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30036A (zh) 2015-08-01
CN105556190A (zh) 2016-05-04
US20160215912A1 (en) 2016-07-28
JP6240455B2 (ja) 2017-11-29
JP2015068500A (ja) 2015-04-13
KR20160061985A (ko) 2016-06-01
TWI635236B (zh) 2018-09-11
US10139028B2 (en) 2018-11-27
WO2015050052A1 (ja) 2015-04-09
US20190024836A1 (en) 2019-01-24
CN105556190B (zh) 2017-12-08
US10801650B2 (en) 202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4817B1 (ko) 합성 수지제 관이음
US9791084B2 (en) Pipe joint made of synthetic resin
JP5891537B2 (ja) 管継手
WO2018179678A1 (ja) 樹脂製管継手
JP5996000B2 (ja) 樹脂製管継手構造
KR20200024752A (ko)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US20160138739A1 (en) Seal ring structure for high-pressure pipe joint
WO2018079633A1 (ja) シール構造およびシール方法ならびにこのシール構造を備えた継手
CN110735978A (zh) 用于流体管路组件的联接器
TWI807082B (zh) 流路接頭構造
JP6420882B2 (ja) 合成樹脂製管継手
JP7175701B2 (ja) 流路継手構造
WO2021095366A1 (ja) 管継手
KR200470676Y1 (ko) 관이음용 인서트 부재
KR20240018062A (ko) 플렉시블 구조를 갖는 배관 이음용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