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4752A -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752A
KR20200024752A KR1020197031399A KR20197031399A KR20200024752A KR 20200024752 A KR20200024752 A KR 20200024752A KR 1020197031399 A KR1020197031399 A KR 1020197031399A KR 20197031399 A KR20197031399 A KR 20197031399A KR 20200024752 A KR20200024752 A KR 20200024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member
fluid
receiving
fluid device
receiv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1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6389B1 (ko
Inventor
도시히데 이이다
다츠야 후지이
가츠노리 스기타
다카히토 고니시
도모유키 고이케
Original Assignee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30825A external-priority patent/JP69135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30824A external-priority patent/JP69135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30823A external-priority patent/JP6913539B2/ja
Application filed by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필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4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6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6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2Joints for pipes being spaced apart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6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 F16L19/06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in which radial clamping is obtained by wedging action on non-deformed pipe ends the wedging action being effected by means of a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in the radial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 F16L37/107Bayonet-type 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 F16L37/11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the male part having lugs on its periphery penetrating into the corresponding slots provided in the femal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 F16L37/24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 F16L37/25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the male part having lugs on its periphery penetrating in the corresponding slots provided in the female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4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a swivel nut or collar engag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14Flang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Non-Disconnectible Joints And Screw-Threaded Joints (AREA)

Abstract

유체 기기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를 제공한다.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제 1 유체 기기(1)에 그 제 1 유체 유로(21)와 연통하도록 마련된 통형상의 제 1 받이구부(11)와, 제 2 유체 기기(2)에 그 제 2 유체 유로(25)와 연통하도록 마련된 통형상의 제 2 받이구부(12)와, 제 1 계합부(53)을 갖고, 제 1 받이구부(11)에 마련된 제 1 통형상 부재(13)와, 제 1 계합부(53)와 걸어 맞춤 가능한 제 2 계합부(54)를 갖고, 제 2 받이구부(12)에 마련된 제 2 통형상 부재(14)와, 제 1 받이구부(11)와 제 2 받이구부(12) 사이에 마련되고, 제 1 받이구부(11)와의 사이를 시일하고 또한 제 2 받이구부(12)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접속체(15)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 2 계합부(54)와 제 1 계합부(53)의 걸어 맞춤에 의해, 제 2 통형상 부재(14)와 제 1 통형상 부재(13)가 고정된다

Description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본 발명은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반도체 제조, 의료·의약품 제조, 식품 가공 및 화학공업 등의 기술 분야의 제조장치에 마련되는 유체 기기끼리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관 이음매에 의해 접속된다. 이러한 종류의 제조장치에 관해서는 관 이음매가 적용된 유체 기기끼리를 유체적(유체가 내부를 흐를 수 있도록)으로 접속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 경우, 유체 기기끼리는 한쪽의 제 1 유체 기기에 적용된 제 1 관이음매와, 다른쪽의 제 2 유체 기기에 적용된 제 2 관이음매가 관 이음매와는 별도 부재의 튜브 등에 의해 접속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10-054489호
종래와 같은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는 제 1 유체 기기와 제 2 유체 기기를 제 1 관이음매 및 제 2 관이음매를 통해 서로 유체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튜브를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상기 튜브의 긴쪽 방향 양단부를 각각 상기 제 1 관이음매 및 제 2 관이음매에 접합하기 위해, 각 관 이음매에 있어서 축 방향의 치수가 비교적 큰 이너 링 및 유니온 너트를 사용할 필요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유체 기기와 상기 제 2 유체 기기를 서로 유체적으로 접속하는 경우에, 상기 제 1 유체 기기에 있어서의 제 1 관이음매의 적용 개소와 상기 제 2 유체 기기에 있어서의 제 2 관이음매의 적용 개소 사이에 튜브, 더 나아가서는 각 관 이음매에 있어서의 이너 링 및 유니온 너트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따라서, 서로 유체적으로 접속되는 상기 제 1 유체 기기와 상기 제 2 유체 기기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실현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체 기기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제 1 발명은 제 1 유체 기기와 제 2 유체 기기를 접속하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로서, 상기 제 1 유체 기기의 제 1 유체 유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유체 기기에 마련된 통형상의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유체 기기의 제 2 유체 유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유체 기기에 마련된 통형상의 제 2 받이구부와, 제 1 계합부(걸어 맞춤부)를 갖고, 상기 제 1 받이구부에 마련된 제 1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1 계합부와 걸어 맞춤 가능한 제 2 계합부를 갖고, 상기 제 2 받이구부에 마련된 제 2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받이구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받이구부와의 사이를 시일하고, 또한, 상기 제 2 받이구부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접속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계합부와 상기 제 1 계합부의 걸어 맞춤에 의해,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가 고정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유체 기기와 상기 제 2 유체 기기를 유체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2대의 유체 기기의 접속부로부터의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유체 기기와 제 2 유체 기기를 유체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제 1 유체 기기와 제 2 유체 기기 사이에 튜브 등의 부재를 개재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2대의 유체 기기를 가능한 한 근접시킨 상태에서 유체적으로 접속하여, 이들 유체 기기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는 상기 제 1 받이구부에 외부끼움 상태에서 고정된 제 1 본체부와,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의 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제 1 본체부에 대해 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본체부에 마련된 제 1 계합 발톱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는 상기 제 2 받이구부에 외부끼움 상태에서 고정된 제 2 본체부와, 상기 제 2 본체부의 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계합 발톱과 걸어 맞출 수 있도록 상기 제 2 본체부에 마련된 제 2 계합 발톱 또는 발톱받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계합 발톱과, 해당 제 1 계합 발톱에 대향하는 상기 제 2 계합 발톱 또는 발톱받이가 걸어 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의 이반이 규제된다.
상기 제 1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받이구부는 상기 제 2 받이구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는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1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받이구부는 서로 동축상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접속체만을 통해 접속된다.
상기 제 1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접속체는 상기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받이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장출부를 갖는다.
본 발명 중, 제 2 발명은 제 1 유체 기기와 제 2 유체 기기를 접속하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로서, 상기 제 1 유체 기기의 제 1 유체 유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유체 기기에 마련된 통형상의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유체 기기의 제 2 유체 유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유체 기기에 마련된 통형상의 제 2 받이구부와, 상기 제 1 받이구부의 외주측에 마련된 제 1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2 받이구부의 외주측에 마련된 제 2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받이구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받이구부와의 사이를 시일하고, 또한, 상기 제 2 받이구부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접속체와, 상기 접속체가 상기 제 1 받이구부 및 상기 제 2 받이구부 사이에 마련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 및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다른쪽에 대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조이는 체결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체결 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유체 기기와 상기 제 2 유체 기기를 유체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유체 기기와 상기 제 2 유체 기기를 유체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제 1 유체 기기와 상기 제 2 유체 기기 사이에 개재시킬 필요가 있던 튜브 등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이들 2대의 유체 기기의 접속시, 해당 2대의 유체 기기를 가능한 한 근접시킨 상태로 유지하여, 양자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시일부 및 상기 제 2 시일부에 의해, 상기 2대의 유체 기기의 접속부로부터의 유체의 누설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는 서로 대향해서 배치된다.
상기 제 2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는 제 1 테이퍼부를 갖고,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는 제 2 테이퍼부를 갖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테이퍼부에 대해 대향해서 접촉하는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테이퍼부와 대향해서 접촉하는 제 2 경사면을 갖는다.
상기 제 2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접속체는 상기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받이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장출부를 갖는다.
상기 제 2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받이구부는 상기 제 2 받이구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 중, 제 3 발명은 제 1 유체 기기와 제 2 유체 기기를 접속하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로서, 상기 제 1 유체 기기의 제 1 유체 유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유체 기기에 마련된 통형상의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유체 기기의 제 2 유체 유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유체 기기에 마련된 통형상의 제 2 받이구부와, 상기 제 1 받이구부에 마련되고, 제 1 나사결합부를 외주측에 갖는 제 1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2 받이구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나사결합부와 나사결합 가능한 제 2 나사결합부를 내주측에 갖는 제 2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받이구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받이구부와의 사이를 시일하고, 또한, 상기 제 2 받이구부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접속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는 상기 제 1 나사결합부와 상기 제 2 나사결합부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의 고정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 1 유체 기기와 상기 제 2 유체 기기를 유체적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2대의 유체 기기의 접속부로부터의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유체 기기와 제 2 유체 기기를 유체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제 1 유체 기기와 제 2 유체 기기 사이에 튜브 등의 부재를 개재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2대의 유체 기기를 가능한 한 근접시킨 상태에서 유체적으로 접속하여, 이들 유체 기기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발명의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는 직경 방향에 대향해서 배치된다.
상기 제 3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 및 상기 제 2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의 적어도 한쪽은 고정용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 1 나사결합부는 제 1 나사결합부용 나사를 갖고, 상기 제 2 나사결합부는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가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로부터 이반되는 것을 규제하고, 상기 제 1 나사결합부용 나사에 조여지는 제 2 나사결합부용 나사를 갖고, 상기 제 1 나사결합부용 나사에 대한 상기 제 2 나사결합부용 나사의 조임 방향이 상기 고정용 나사의 조임 방향과 반대이다.
상기 제 3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접속체는 상기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받이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장출부를 갖는다.
상기 제 3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받이구부는 상기 제 2 받이구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 기기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중, 제 1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의 2대의 유체 기기의 이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의 2대의 유체 기기의 접속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 중, 제 1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중, 제 1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중, 제 1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중, 제 1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제 1 통형상 부재의 제 1 계합부와 제 2 통형상 부재의 제 2 계합부의 걸어 맞춤 상태를 제 1 유체 기기측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의 2대의 유체 기기의 접속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의 제 1 통형상 부재의 제 1 계합부 부근 및 제 2 통형상 부재의 제 2 계합부 부근을 제 1 유체 기기측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중, 제 1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1 통형상 부재 또는 제 2 통형상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1 통형상 부재 또는 제 2 통형상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 중, 제 2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의 체결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 중, 제 2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 중, 제 2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 중, 제 2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 중, 제 2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 중, 제 3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의 2대의 유체 기기의 이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은 도 22의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의 2대의 유체 기기의 접속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본 발명 중, 제 3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 중, 제 3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 중, 제 3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중, 제 1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의 2대의 유체 기기(1·2)의 이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의 2대의 유체 기기(1·2)의 접속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를 유체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이용된다. 환언하면,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가 접속되는 것에 의해, 내부에 유체를 흘릴 수 있는 것이다.
제 1 유체 기기(1) 및 제 2 유체 기기(2)는 서로 근접한 상태에서 병치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제 1 유체 기기(1) 및 제 2 유체 기기(2)의 각각의 구체예로서는 소정의 유체 유로를 갖는 밸브, 유량계, 펌프 및 이음매를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제 1 받이구부(11)와, 제 2 받이구부(12)와, 제 1 통형상 부재(13)와, 제 2 통형상 부재(14)와, 접속체(15)를 구비한다.
제 1 받이구부(11)는 제 1 유체 기기(1)에 마련된다. 제 1 받이구부(11)는 제 1 유체 기기(1)의 제 1 유체 유로(21)에 접속된다. 제 1 받이구부(11)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받이구부(12)는 제 2 유체 기기(2)에 마련된다. 제 2 받이구부(12)는 제 2 유체 기기(2)의 제 2 유체 유로(25)에 접속된다. 제 2 받이구부(12)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통형상 부재(13)는 제 1 계합부(53)를 갖는다. 제 1 통형상 부재(13)는 제 1 받이구부(11)에 마련된다.
제 2 통형상 부재(14)는 제 1 계합부(53)와 걸어 맞춤 가능한 제 2 계합부(54)를 갖는다. 제 2 통형상 부재(14)는 제 2 받이구부(12)에 마련된다.
접속체(15)는 제 1 받이구부(11)와 제 2 받이구부(12) 사이에 마련된다. 접속체(15)는 제 1 받이구부(11)와의 사이를 시일하고, 또한, 제 2 받이구부(12)와의 사이를 시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 제 2 계합부(54)와 제 1 계합부(53)의 걸어 맞춤에 의해, 제 2 통형상 부재(14)와 제 1 통형상 부재(13)가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관한 2대의 유체 기기(1·2)는 각각의 받이구부(11·12)가 서로 축 방향으로 대향한 상태에서 설치된다.
제 1 받이구부(11)는 제 1 유체 기기(1)에 적용되는 것이다. 제 1 받이구부(11)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유체 기기(1)의 케이싱(35)과 일체화된 것이다. 또한, 제 1 받이구부(11)는 케이싱(35)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별체로 해도 좋다.
제 1 받이구부(11)는 외통부(41)와, 내통부(42)를 갖는다. 외통부(41)는 대략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케이싱(35)에 있어서의 제 1 유체 유로(21)의 개구부 주위 근방에 케이싱(35)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외통부(41)는 그 돌출 단부(축 방향 한쪽의 단부)(43)측으로부터 접속체(15)의 일부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외통부(41)는 그 직경 방향에 있어서, 끼워 넣음 후의 접속체(15)의 일부에 대해 대략 빈틈없이 배치된다.
또, 외통부(41)는 제 1 나사(23)를 포함한다. 제 1 나사(23)는 외통부(41)의 외주에, 제 1 나사(23)가 외통부(41)의 축 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제 1 나사(23)는 수나사로 구성된다.
내통부(42)는 외통부(41)의 내경보다 작고, 대략 일정한 외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케이싱(35)에 있어서의 제 1 유체 유로(21)의 개구부 주위 근방에 외통부(41)의 돌출 방향(제 1 받이구부(11)의 축 방향 한쪽)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내통부(42)는 외통부(41)의 직경 방향 안쪽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동시에, 외통부(41)와의 관계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다.
여기서, 내통부(42)는 그 돌출 단부(44)가 외통부(41)의 돌출 단부(43)보다 돌출 방향에 대해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즉 케이싱(35)으로부터 외통부(41)보다 돌출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 1 받이구부(11)가 외통부(41)의 축 방향(제 1 받이구부(11)의 축 방향)에 있어서 외통부(41)의 축 방향 다른쪽측(케이싱(35)측)에서 이중 통형상을 띠도록 형성된다.
내통부(42)는 제 1 유체 유로(21)의 유로 직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고, 또한, 접속체(15)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내통부(42)는 제 1 받이구부(11)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1)와 접속체(15)를 유체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제 1 유체 유로(21)와 접속체(15)의 내부 공간(48)을 연통시키도록 제 1 유체 기기(1)와 접속체(15) 사이에 배치된다.
내통부(42)의 외주면과, 이것에 대향하는 외통부(41)의 내주면 사이에는 환상의 홈부(46)가 형성된다. 홈부(46)는 외통부(41) 및 내통부(42)의 돌출 방향(제 2 받이구부(12)측)으로 개구되고 또한 전체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또, 내통부(42)의 돌출 단부(44) 근방에는 경사면(47)이 형성된다. 경사면(47)은 제 1 유체 유로(21)측에서 내통부(42)의 돌출 단부(44)측을 향해 직경이 점차 확대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받이구부(11)는 소정의 수지, 예를 들면 PFA(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퍼플루오로 알킬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 PVDF(폴리 비닐리덴 플루오리드), ETFE(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FEP(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헥사 플루오르 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PTFE(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 등의 불소 수지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불소 수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폴로 프로필렌(PP) 등의 기타 수지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받이구부(12)는 제 1 받이구부(11)를 가상 중앙면(68)을 따라 반전시킨 형상으로서, 제 1 받이구부(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제 2 유체 기기(2)의 케이싱(55)에 마련된다. 그 때문에, 제 2 받이구부(12)에 대해서는 제 1 받이구부(11)의 구성요소와 대략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제 1 나사(23) 및 제 2 나사(26)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라도 다른 부호를 붙이고 있는 경우도 있다.
접속체(15)는 제 1 시일부(31)와, 제 2 시일부(32)를 갖는다. 여기서, 제 1 시일부(31)는 접속체(15)와 제 1 받이구부(11) 사이를 시일하는 것이다. 제 2 시일부(32)는 접속체(15)와 제 2 받이구부(12) 사이를 시일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접속체(15)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접속체(15)는 제 1 받이구부(11)에 대응하는 제 1 부분(15a)과, 제 2 받이구부(12)에 대응하는 제 2 부분(15b)을 갖는다(도 2 참조). 제 1 부분(15a)은 대략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접속체(15)의 내부 공간(48)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유체 유로를 구비한다. 제 1 부분(15a)의 유체 유로는 제 1 유체 유로(21)와 연통하도록, 외통부(41)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제 1 받이구부(11)에 장착된다.
제 1 부분(15a)에는 감합부(끼워 맞춤부)(61)와, 돌출부(62)와, 돌기(63)가 포함된다. 감합부(6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감합부(61)는 제 1 부분(15a)이 제 1 받이구부(11)에 장착되었을 때, 외통부(41)를 전체둘레에 걸쳐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포위한 상태에서 끼워 맞춰진다. 그리고, 감합부(61)의 축 방향 양단부 중의 한쪽의 단부(제 1 유체 기기(1)측)에는 돌출부(62) 및 돌기(63)가 각각 형성된다.
돌출부(62) 및 돌기(63)는 각각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출부(62)는 제 1 부분(15a)이 제 1 받이구부(11)에 장착되었을 때에, 제 1 받이구부(11)의 홈부(46)에 대해 전체둘레에 걸쳐 압입된다. 또, 돌출부(62)는 제 1 받이구부(11)에 형성된 홈부(46)의 제 1 유체 기기(1)측의 측면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삽입통과된다.
돌기(63)에는 가상 중앙면(68)측에서 제 1 유체 기기(1)측을 향해 점차 축소하는 테이퍼면(65)이 형성된다. 테이퍼면(65)은 제 1 부분(15a)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62)의 안쪽에 배치된다. 테이퍼면(65)은 제 1 부분(15a)의 축 방향에 있어서, 내통부(42)의 경사면(47)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테이퍼면(65)은 제 1 부분(15a)이 제 1 받이구부(11)에 장착되었을 때에 내통부(42)의 경사면(47)에 압접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체(15)는 그 축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해당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체(15)의 중앙에 위치하는 가상 중앙면(68)에 대해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즉, 제 1 부분(15a) 및 제 2 부분(15b)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그 때문에, 제 2 부분(15b)에 대해서는 도면 중에서 제 1 부분(15a)의 구성요소와 대략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체(15)는 소정의 수지, 예를 들면 PFA, PVDF, ETFE, FEP 또는 PTFE 등의 불소 수지나 기타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접속체(1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1 부분(15a) 및 제 2 부분(15b)을 일체화한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 대신에,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연결한 것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통형상 부재(13)는 제 1 받이구부(11), 상세하게는 그 외통부(41)를 포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 1 통형상 부재(13)는 제 1 계합부(53)에 부가하여, 제 1 나사(23)에 나사결합된 제 3 나사(28)를 더 갖는다. 제 3 나사(28)는 제 1 통형상 부재(13)의 내주에 형성된다.
제 2 통형상 부재(14)는 제 2 받이구부(12), 상세하게는 그 외통부(41)를 포위하도록 구성된다. 제 2 통형상 부재(14)는 제 2 계합부(54)에 부가하여, 제 2 나사(26)에 나사결합된 제 4 나사(29)를 더 갖는다. 제 4 나사(29)는 제 2 통형상 부재(14)의 내주에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제 1 통형상 부재(13)는 제 1 계합부(53) 이외에, 제 1 본체부(71)를 갖는다.
제 1 본체부(71)는 제 1 받이구부(11)에 외부끼움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1 본체부(71)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본체부(71)의 내주에, 제 3 나사(28)가 마련된다.
제 1 본체부(71)는 제 3 나사(28)가 제 1 나사(23)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제 1 받이구부(11)의 외통부(41)를 그 전체둘레에 걸쳐 포위하도록 제 1 받이구부(11)에 부착된다. 제 1 본체부(71)는 제 1 통형상 부재(13)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마련된다. 제 1 본체부(71)는 제 1 통형상 부재(13)에 있어서 그 축 방향 다른쪽측(제 1 유체 기기(1)측)에 배치된다.
또, 제 1 계합부(53)에는 제 1 계합 발톱(72)이 마련된다. 제 1 계합 발톱(72)은 제 1 통형상 부재(13)의 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제 1 본체부(71)에 대해 그 직경 방향으로 휠 수 있도록, 제 1 본체부(71)에 마련된다.
제 1 계합부(53)의 제 1 계합 발톱(72)은 제 1 통형상 부재(13)에 있어서 그 축 방향 한쪽측(제 1 유체 기기(1)와 반대측)에 배치된다. 제 1 계합 발톱(72)은 제 1 본체부(71)의 한쪽의 단부에서 제 1 통형상 부재(13)의 축 방향 한쪽인 제 2 유체 기기(2)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제 1 계합 발톱(72)은 그 돌출 단부(선단부)측에 제 1 갈고리형상 부분(73)을 구비한다.
제 1 계합 발톱(72)은 제 1 통형상 부재(13)에 1개 또는 복수 마련된다. 제 1 계합 발톱(72)은 제 1 통형상 부재(13)에 1개 마련되는 경우이면, 가요성을 확보하기 위해 둘레 방향의 일부가 절결된 통형상(C자 형상 등)으로 형성되고, 제 1 본체부(71)와 동축상에 배치된다. 제 1 계합 발톱(72)은 제 1 통형상 부재(13)에 복수 마련되는 경우이면, 제 1 본체부(71)에 대해 그 둘레 방향에 소정 간격마다 배치된다.
제 1 갈고리형상 부분(73)에는 테이퍼부(74)가 포함된다. 테이퍼부(74)는 그 직경이 제 1 유체 기기(1)의 케이싱(35)측에서 제 1 통형상 부재(13)의 축 방향 한쪽인 제 2 유체 기기(2)를 향해 점차 축소하도록 형성된다. 제 1 계합 발톱(72)은 소정 이상의 외력이 제 1 계합 발톱(72)에 가해졌을 때, 제 1 본체부(71)에 대해 제 1 통형상 부재(13)의 직경 방향 안쪽으로 일시적으로 휠 수 있도록 가요성을 갖는다.
또, 제 2 통형상 부재(14)는 제 2 계합부(54) 이외에, 제 2 본체부(76)를 갖는다.
제 2 본체부(76)는 제 2 받이구부(12)에 외부끼움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제 2 본체부(76)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본체부(76)의 내주에는 제 4 나사(29)가 마련된다.
제 2 본체부(76)는 제 4 나사(29)가 제 2 나사(26)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제 2 받이구부(12)의 외통부(41)를 그 전체둘레에 걸쳐 포위하도록 제 2 받이구부(12)에 부착된다. 제 2 본체부(76)는 제 2 통형상 부재(14)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 2 통형상 부재(14)에 있어서 그 축 방향 다른쪽측(제 2 유체 기기(2)측)에 배치된다.
또, 제 2 계합부(54)는 제 1 계합 발톱(71)과 걸어 맞춤 가능한 제 2 계합 발톱(77)을 구비한다. 제 2 계합 발톱(77)은 제 2 통형상 부재(14)의 축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제 2 본체부(76)에 마련된다.
제 2 계합부(54)의 제 2 계합 발톱(77)은 제 2 통형상 부재(14)에 있어서 그 축 방향 다른쪽측(제 2 유체 기기(2)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제 2 계합 발톱(77)은 제 2 본체부(76)의 축 방향에 있어서, 제 2 본체부(76)의 한쪽의 단부에서 제 2 통형상 부재(14)의 축 방향 다른쪽인 제 1 유체 기기(1)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제 2 계합 발톱(77)은 그 돌출 단부(선단부)측에 제 2 갈고리형상 부분(78)을 구비한다.
제 2 계합 발톱(77)은 제 2 통형상 부재(14)에 1개 또는 복수 마련된다. 제 2 계합 발톱(77)은 제 2 통형상 부재(14)에 1개 마련되는 경우이면, 가요성을 확보하기 위해 둘레 방향의 일부가 절결된 통형상(C자 형상 등)으로 형성되고, 제 2 본체부(76)와 동축상에 배치된다. 제 2 계합 발톱(77)은 제 2 통형상 부재(14)에 복수 마련되는 경우이면, 제 2 본체부(76)에 대해 그 둘레 방향에 소정 간격마다 배치된다.
제 2 갈고리형상 부분(78)에는 테이퍼부(79)가 포함된다. 테이퍼부(79)는 그 직경이 제 2 통형상 부재(14)의 축 방향 다른쪽인 제 2 유체 기기(2)측에서 제 2 통형상 부재(14)의 축 방향 한쪽인 제 1 유체 기기(1)측을 향해 점차 축소하도록 형성된다. 제 2 계합 발톱(77)은 제 1 계합 발톱(72)을 제 1 유체 기기(1)측으로부터 포위하고, 제 2 본체부(76)의 내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또한, 제 2 계합부(54)는 제 2 계합 발톱(77) 대신에, 제 1 계합 발톱(72)과 걸어 맞춤 가능한 발톱받이(제 1 계합 발톱(72)과 걸어 맞춤 가능한 오목부를 포함한 것)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 제 2 계합부(54)는 제 1 통형상 부재(13)의 제 1 본체부(71)에 걸어 맞춤 가능한 형상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제 1 통형상 부재(13)와 제 2 통형상 부재(14)는 제 1 계합 발톱(72)과 제 2 계합 발톱(77)이 대향한 상태에서, 서로 끼워 맞춰진다. 이 때, 제 1 통형상 부재(13)는 제 2 통형상 부재(14)와 동축상에 배치된다. 제 1 통형상 부재(13)는 그 축 방향에 있어서 제 1 갈고리형상 부분(73)이 제 2 갈고리형상 부분(78)과 축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제 2 통형상 부재(14)의 직경 방향 안쪽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 1 계합 발톱(72)과 제 2 계합 발톱(77)은 서로 끼워 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제 1 통형상 부재(13)와 제 2 통형상 부재(14)가 이반되는 것을 규제하도록 걸어 맞춰진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계합 발톱(72)과 제 2 계합 발톱(77)은 제 1 갈고리형상 부분(73)과 제 2 갈고리형상 부분(78)이 서로 걸리는 것에 의해, 제 1 통형상 부재(13) 및 제 2 통형상 부재(14)의 축 방향으로 걸어 맞춰진다.
또한, 제 1 통형상 부재(13) 및 제 2 통형상 부재(14)는 접속체(15)에 있어서의 각 돌출부(62)를 대응하는 홈부(46)에 압입하고, 또한 접속체(15)에 있어서의 각 돌기(63)의 테이퍼면(65)을 대응하는 내통부(42)의 돌출 단부(44)의 경사면(47)에 압접하도록, 제 1 계합 발톱(72)과 제 2 계합 발톱(77)을 걸어 맞추는 구성으로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통형상 부재(13)는 소정의 수지, 예를 들면 PFA, PVDF, ETFE, FEP 또는 PTFE 등의 불소 수지에 의해 제조된다. 또, 제 2 통형상 부재(14)는 제 1 통형상 부재(13)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수지, 예를 들면 PFA, PVDF, ETFE, FEP 또는 PTFE 등의 불소 수지에 의해 제조된다.
여기서,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의 접속시에는 우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나사(28)를 제 1 나사(23)에 나사결합하여, 제 1 받이구부(11)에 제 1 통형상 부재(13)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또, 제 4 나사(29)를 제 2 나사(26)에 나사결합하여, 제 2 받이구부(12)에 제 2 통형상 부재(14)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그리고, 제 1 받이구부(11) 및 제 2 받이구부(12)의 어느 한 쪽에 접속체(15)를 삽입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이반 상태에 있는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를 대향시켜, 접속체(15)를 제 1 받이구부(13) 및 제 2 받이구부(14)의 다른쪽에 접근시킨다. 접속체(15)를 제 1 받이구부(13) 및 제 2 받이구부(14)의 다른쪽에 삽입하면서, 제 1 통형상 부재(13)와 제 2 통형상 부재(14)를 접근시킨다. 그 후, 제 1 통형상 부재(13)의 제 1 계합 발톱(72)을 제 1 통형상 부재(13)의 직경 방향 안쪽으로 일시적으로 휘게 하는 것에 의해 제 1 통형상 부재(13)를 제 2 통형상 부재(14)에 끼워 넣고, 그 후에 제 1 계합 발톱(72)을 제 2 계합 발톱(77)에 걸어 맞춘다. 이와 같이 해서, 제 1 통형상 부재(13)와 제 2 통형상 부재(14)를, 그들 축 방향 중 서로 이간된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제 1 통형상 부재(13)와 제 2 통형상 부재(14)의 고정에 의해, 제 1 받이구부(11)와 제 2 받이구부(12)가 이간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게 되고,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가 유체적으로 접속된 상태, 즉 제 1 유체 유로(21)와 제 2 유체 유로(25)가 접속체(15)의 내부 공간(48)을 통해 연통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 제 1 계합 발톱(72)과 제 2 계합 발톱(77)의 걸어 맞춤에 수반하여, 제 1 시일부(31) 및 제 2 시일부(32)에 의한 시일이 형성된다. 즉, 접속체(15)에 있어서의 각 돌출부(62)가 대응하는 홈부(46)에 압입되는 동시에, 접속체(15)에 있어서의 각 돌기(63)의 테이퍼면(65)이 대응하는 내통부(42)의 돌출 단부(44)의 경사면(47)에 압접된다.
여기서, 제 1 시일부(31)와 제 2 시일부(32)에 의하면, 시일력이 축 방향에 작용하는 1차 시일 영역(81)과, 시일력이 직경 방향에 작용하는 2차 시일 영역(82)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통형상 부재(13)의 제 1 계합 발톱(72)이 제 2 통형상 부재(14)의 제 2 계합 발톱(77)에 끼워 넣어질 때에는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 또는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에 부가하여 소정의 공구 등의 감입 수단이 이용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의하면, 2대의 유체 기기(1·2)의 접속부로부터의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를 유체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 사이에 튜브 등의 부재를 개재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2대의 유체 기기(1·2)를 가능한 한 근접시킨 상태에서 유체적으로 접속하고, 이들 유체 기기(1·2)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체(15)는 장출부(비어져 나옴부)(88)를 갖는다. 장출부(88)는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가 유체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제 1 받이구부(11)와 제 2 받이구부(12) 사이에 배치된다.
장출부(88)는 제 1 받이구부(11)와 제 2 받이구부(12) 사이에 비접촉 상태에서 배치된다. 장출부(88)는 접속체(15)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와 있으며, 환상으로 형성된다.
장출부(88)는 제 1 받이구부(11) 및 제 2 받이구부(12)의 각각의 돌출 단부(43)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장출부(88)는 접속체(15)에 있어서의 가상 중앙면(68)상으로서, 접속체(15)의 축 방향 중도부(접속체(15)에 있어서의 제 1 부분(15a)과 제 2 부분(15b)의 경계부)에 마련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장출부(88)는 접속체(15)가 제 1 받이구부(11)와 제 2 받이구부(12)에 장착될 때에 각각의 돌출 단부(43·43)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된다. 장출부(88)는 제 1 받이구부(11)의 돌출 단부(43)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또한, 제 1 받이구부(11)의 돌출 단부(43)와 축 방향으로 대향한다. 장출부(88)는 제 1 받이구부(11) 및 제 2 받이구부(12)에서 접속체(15)를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 중, 제 1 발명의 제 2 실시형태 내지 제 5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 중에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 중, 제 1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제 1 받이구부(111)와 접속체(115) 사이를 시일하는 제 1 시일부(121)에 관한 구성 및, 제 2 받이구부(112)와 접속체(115) 사이를 시일하는 제 2 시일부(122)에 관한 구성이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와 상이하다.
제 1 받이구부(111)는 제 1 유체 기기(1)에 적용되는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유체 기기(1)의 케이싱(35)과 일체화된 것이다. 제 1 받이구부(111)는 통부(125)와, 환상 돌기(126)를 갖는다. 통부(125)는 대략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케이싱(35)에 있어서의 제 1 유체 유로(21)의 개구부 주위 근방에 케이싱(35)의 외부를 향해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통부(125)는 그 돌출 단부(축 방향 한쪽의 단부)측으로부터 접속체(115)의 일부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통부(125)는 끼워 넣음 후의 접속체(115)의 일부에 대해, 상기 돌출 단부 부근을 제외하고 대략 빈틈없이 배치된다. 또, 통부(125)의 외주에는 제 1 나사(23)가 통부(125)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 1 나사(23)는 수나사로 구성된다.
환상 돌기(126)는 통부(125)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링 형상체로 이루어지며, 케이싱(35)에 있어서의 제 1 유체 유로(21)의 개구부 주위 근방에 통부(125)의 돌출 방향(통부(125)의 축 방향 한쪽)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환상 돌기(126)는 통부(125)의 직경 방향 안쪽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동시에, 통부(125)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환상 돌기(126)는 제 1 유체 유로(21)의 유로 직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또한, 접속체(115)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환상 돌기(126)는 제 1 유체 기기(1)와 접속체(115) 사이에 배치되며, 제 1 유체 유로(21)와 접속체(115)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킨다. 제 1 받이구부(111)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1)와 접속체(115)가 유체적(유체가 내부를 흐를 수 있도록)으로 접속된다.
환상 돌기(126)의 외주면에는 테이퍼면(128)이 포함된다. 테이퍼면(128)은 그 외경이 환상 돌기(126)의 돌출 방향(제 1 받이구부(111)의 축 방향 한쪽)을 향해 축 방향으로 점차 축소하도록 형성된다. 테이퍼면(128)은 환상 돌기(126)의 외주에 있어서 전체둘레에 걸쳐 연장 설치되며, 해당 테이퍼면(128)과 대향하는 통부(125)의 내주면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 2 받이구부(11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받이구부(1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그 때문에, 제 2 받이구부(112)에 대해서는 제 1 받이구부(111)의 구성요소와 대략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제 1 나사(23), 제 2 나사(26)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라도 다른 부호를 붙이고 있는 경우도 있다.
접속체(115)는 제 1 받이구부(111)에 대응하는 제 1 부분(115a)과, 제 2 받이구부(112)에 대응하는 제 2 부분(115b)을 갖는다. 제 1 부분(115a)은 대략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유체 유로를 구비한다. 이 제 1 부분(115a)의 유체 유로는 접속체(115)에 있어서 제 1 부분(115a)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으로 형성된다. 제 1 부분(115a)의 유체 유로는 제 1 유체 유로(21)와 연통하도록, 통부(125)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제 1 받이구부(111)에 장착된다.
제 1 부분(115a)에는 감합부(131)와, 돌출부(132)가 포함된다. 감합부(13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감합부(131)는 제 1 부분(115a)이 제 1 받이구부(111)에 장착되었을 때, 통부(125)에 내부끼움된다. 그리고, 제 1 부분(115a)에 있어서의 감합부(131)의 축 방향 양단부 중의 한쪽의 단부(감합부(131)의 제 1 유체 기기(1)측)에는 돌출부(132)가 축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132)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출부(132)는 제 1 부분(115a)이 제 1 받이구부(111)에 장착되었을 때에, 해당 돌출부(132)의 내주측에 형성된 경사면(135)을 환상 돌기(126)의 테이퍼면(128)에 대해 압접시킨다. 경사면(135)은 돌출부(132)의 돌출 방향(제 1 유체 기기(1)측)을 향해 점차 확대하도록 형성된다. 경사면(135)은 돌출부(132)와 대향하며, 돌출부(132)의 전체둘레에 걸쳐 연장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접속체(115)는 그 축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해당 축 방향에 있어서 접속체(115)의 중앙에 위치하는 가상 중앙면(148)에 대해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즉, 제 1 부분(115a) 및 제 2 부분(115b)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의해,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와 마찬가지로, 서로 유체적으로 접속된 제 1 유체 기기(1) 및 제 2 유체 기기(2)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의 접속시, 접속체(115)가 제 1 시일부(121) 및 제 2 시일부(122)를 형성한다. 그리고, 접속체(115)의 제 1 부분(115a)의 경사면(135)이 제 1 받이구부(111)에 있어서의 테이퍼면(128)에 압접되며, 제 2 부분(115b)의 경사면(135)이 제 2 받이구부(112)에 있어서의 테이퍼면(128)에 압접된다.
따라서,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의 접속부에서 유체가 누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를 종래의 튜브 등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단거리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 중, 제 1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제 1 받이구부(151)와 접속체(155) 사이를 시일하는 제 1 시일부(161)에 관한 구성 및, 제 2 받이구부(152)와 접속체(155) 사이를 시일하는 제 2 시일부(162)에 관한 구성이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와 상이하다.
제 1 받이구부(151)는 제 1 유체 기기(1)에 적용되는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유체 기기(1)의 케이싱(35)과 일체화된 것이다. 제 1 받이구부(151)의 외주에는 제 1 나사(23)가 제 1 받이구부(151)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 1 나사(23)는 수나사로 구성된다.
제 1 받이구부(151)는 통부(165)와, 돌출부(166)를 갖는다. 통부(165)는 단차를 내주에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케이싱(35)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통부(165)는 케이싱(35)에 형성되는 제 1 유체 유로(21)의 개구부 근방에 마련된다.
통부(165)는 단차부(167)보다 축 방향 한쪽측(제 1 받이구부(151)의 개구부 측)에 제 1 통형상 부분(165a)을 갖는다. 이 제 1 통형상 부분(165a)은 접속체(155)의 일부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제 1 통형상 부분(165a)은 끼워 넣음 후의 접속체(155)의 일부에 대해 대략의 영역에서 빈틈없이 배치된다.
통부(165)는 단차부(167)보다 축 방향 다른쪽측(제 1 유체 기기(1)측)에 제 2 통형상 부분(165b)을 갖는다. 이 제 2 통형상 부분(165b)은 제 1 유체 유로(21)의 유로 직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또한, 접속체(115)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제 2 통형상 부분(165b)은 제 1 받이구부(151)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1)와 접속체(155)를 유체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제 1 유체 유로(21)와 접속체(155)의 내부 공간(178)을 연통시키도록 제 1 유체 기기(1)와 접속체(155) 사이에 배치된다.
돌출부(166)는 환상체로 이루어지며, 제 1 통형상 부분(165a)에서 통부(165)의 축 방향 한쪽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돌출부(166)의 내주측은 경사면(168)이 형성된다. 경사면(168)은 그 직경이 통부(165)측에서 돌출부(166)의 돌출 단부측(제 1 받이구부(151)의 개구부측)을 향해 점차 확대하도록 형성된다. 경사면(168)은 돌출부(166)의 전체둘레에 걸쳐 연장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 2 받이구부(152)는 제 1 받이구부(151)를 가상 중앙면(198)에 있어서 반전시킨 형상으로서, 제 1 받이구부(15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접속체(155)는 제 1 받이구부(151)에 대응하는 제 1 부분(155a)과, 제 2 받이구부(152)에 대응하는 제 2 부분(155b)을 갖는다. 제 1 부분(155a)은 대략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유체 유로를 구비한다. 이 제 1 부분(155a)의 유체 유로는 접속체(155)에 있어서 제 1 부분(155a)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으로 형성된다. 제 1 부분(155a)은 통부(165)에 끼워 넣어지고, 제 1 받이구부(151)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이 유체 유로로서의 내부 공간(178)이 제 1 유체 유로(21)와 접속된다.
제 1 부분(155a)에는 감합부(171)와, 돌출부(172)가 형성된다. 감합부(17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감합부(171)는 제 1 부분(155a)이 제 1 받이구부(151)에 장착되었을 때, 통부(165)에 대해 전체둘레에 걸쳐 포위된 상태에서 끼워 맞춰진다. 제 1 부분(155a)의 감합부(171)의 단부(접속체(15)의 축 방향 중도부)에는 돌출부(172)가 접속체(155)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돌출부(172)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출부(172)는 제 1 부분(155a)이 제 1 받이구부(151)에 장착되었을 때에, 해당 돌출부(172)의 외주면인 테이퍼면(175)을 돌출부(166)의 경사면(168)에 압접시킨다. 테이퍼면(175)은 그 직경이 통부(165)측에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대되도록 형성된다. 테이퍼면(175)은 돌출부(172)의 전체에 걸쳐 연장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접속체(155)는 그 축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해당 축 방향에 있어서 접속체(155)의 중앙에 위치하는 가상 중앙면(198)에 대해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즉, 제 1 부분(155a) 및 제 2 부분(155b)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의 접속시에, 접속체(155)가 제 1 시일부(161) 및 제 2 시일부(162)를 형성한다. 그리고, 접속체(155)의 제 1 부분(155a)의 테이퍼면(175)이 제 1 받이구부(151)에 있어서의 경사면(168)에 압접되고, 제 2 부분(155b)의 테이퍼면(175)이 제 2 받이구부(152)에 있어서의 경사면(168)에 압접된다. 이것에 의해, 유체가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의 접속부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를 종래의 튜브 등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단거리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와 마찬가지로, 서로 유체적으로 접속된 제 1 유체 기기(1) 및 제 2 유체 기기(2)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 중, 제 1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제 1 받이구부(211)와 접속체(215) 사이를 시일하는 제 1 시일부(221)에 관한 구성 및, 제 2 받이구부(212)와 접속체(215) 사이를 시일하는 제 2 시일부(222)에 관한 구성이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받이구부(211)는 제 1 유체 기기(1)에 적용되는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유체 기기(1)의 케이싱(35)과 일체화된 것이다. 제 1 받이구부(211)는 외통부(225)와 내통부(226)를 갖는다. 외통부(225)는 대략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케이싱(35)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고, 케이싱(35)에 있어서의 제 1 유체 유로(21)의 근방에 마련된다.
외통부(225)는 그 돌출 단부(축 방향 한쪽의 단부)측으로부터 접속체(215)의 일부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외통부(225)는 끼워 넣음 후의 접속체(215)의 일부에 대해 대략 빈틈없이 배치된다. 또, 외통부(225)의 외주에는 제 1 나사(23)가 외통부(225)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 1 나사(23)는 수나사로 구성된다.
내통부(226)는 외통부(225)의 내경보다 작은 대략 일정한 외경을 갖는 원통체이다. 내통부(226)는 외통부(225)의 돌출 방향(제 1 받이구부(211)의 축 방향 한쪽)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케이싱(35)에 있어서의 제 1 유체 유로(21)의 근방에 마련된다. 내통부(226)는 외통부(225)에 대해 소정 간격을 두도록 직경 방향 안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외통부(225)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내통부(226)는 그 돌출 단부가 외통부(225)의 돌출 단부보다 돌출 방향측(제 1 유체 기기(1), 제 2 유체 기기(2)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즉 케이싱(35)으로부터 외통부(225)보다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받이구부(211)가 외통부(225)의 축 방향(제 1 받이구부(211)의 축 방향)에 있어서 외통부(225)의 축 방향 중도부에서 이중 통형상을 띠도록 형성된다.
내통부(226)는 제 1 유체 유로(21)의 유로 직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또한 접속체(215)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내통부(226)는 제 1 유체 기기(1)와 접속체(215) 사이에 배치되며, 제 1 유체 유로(21)와 접속체(215)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킨다. 제 1 받이구부(211)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1)와 접속체(215)가 유체적으로 접속된다.
내통부(226)의 돌출 단부는 내통부(226)의 돌출 방향을 향해 끝이 가느다란 형상으로 형성된다. 내통부(226)의 돌출 단부의 외주면에는 테이퍼면(228)이 형성된다. 테이퍼면(228)은 그 직경이 내통부(226)의 돌출 방향(제 1 받이구부(211)의 축 방향 한쪽)인 가상 중앙면(248)측을 향해 점차 축소하도록 형성된다. 테이퍼면(228)은 내통부(226)의 돌출 단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장설치된다.
제 2 받이구부(21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받이구부(2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접속체(215)는 제 1 받이구부(211)에 대응하는 제 1 부분(215a)과, 제 2 받이구부(212)에 대응하는 제 2 부분(215b)을 갖는다. 제 1 부분(215a)은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유체 유로를 구비한다. 이 제 1 부분(215a)의 유체 유로는 접속체(215)에 있어서 제 1 부분(215a)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으로 형성된다. 제 1 부분(215a)은 내통부(226)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제 1 받이구부(211)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제 1 부분(215a)의 유체 유로가 제 1 유체 유로(21)와 접속된다.
제 1 부분(215a)에는 감합부(231)와, 돌출부(232)가 포함된다. 감합부(23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감합부(231)는 제 1 부분(215a)이 제 1 받이구부(211)에 장착되었을 때, 내통부(226)에 외부끼움된다. 그리고, 감합부(231)의 축 방향 양단부 중의 한쪽의 단부(접속체(215)의 중도부)에 있어서, 돌출부(232)가 접속체(215)의 직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돌출부(232)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출부(232)는 제 1 부분(215a)이 제 1 받이구부(211)에 장착되었을 때에 해당 돌출부(232)의 내주면에 있는 경사면(235)을 내통부(226)의 테이퍼면(228)에 압접시킨다. 경사면(235)은 그 직경이 가상 중앙면(248)에서 제 1 유체 기기(1) 또는 제 2 유체 기기(2)측을 향해 점차 확대하도록 형성된다. 경사면(235)은 돌출부(232)의 전체둘레에 걸쳐 연장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체(215)는 그 축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해당 축 방향에 있어서 접속체(215)의 중앙에 위치하는 중앙면(248)에 대해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즉, 제 1 부분(215a) 및 제 2 부분(215b)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의 접속시, 접속체(215)가 제 1 시일부(221) 및 제 2 시일부(222)를 형성한다. 그리고, 접속체(215)의 제 1 부분(215a)의 경사면(235)이 제 1 받이구부(211)에 있어서의 테이퍼면(228)에 압접되고, 제 2 부분(215b)의 경사면(235)이 제 2 받이구부(212)에 있어서의 테이퍼면(228)에 압접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의 접속부에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를 종래의 튜브 등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단거리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와 마찬가지로, 서로 유체적으로 접속된 제 1 유체 기기(1) 및 제 2 유체 기기(2)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 중, 제 1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 중, 제 1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있어서의 제 1 통형상 부재(263)의 제 1 계합부(53)와 제 2 통형상 부재(264)의 제 2 계합부(54)의 걸어 맞춤 상태를 제 1 유체 기기(1)측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의 2대의 유체 기기(1·2)의 접속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있어서의 제 1 통형상 부재(263)의 제 1 계합부(53) 부근 및 제 2 통형상 부재(264)의 제 2 계합부 부근을 제 1 유체 기기(1)측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도면 중,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 중에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8∼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제 1 통형상 부재(263) 및 제 2 통형상 부재(264)가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통형상 부재(263)는 제 1 계합부(53) 이외에, 제 3 본체부(271)를 갖는다. 제 3 본체부(271)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3 본체부(271)의 내주에는 제 3 나사(28)가 마련된다. 제 1 계합부(53)는 제 1 돌출부(272)와, 오목부(273)를 구비한다. 제 1 돌출부(272)는 제 1 통형상 부재(263)의 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제 3 본체부(271)에 마련된다. 오목부(273)는 제 1 유체 기기(1)측을 향해 개구되도록, 제 1 돌출부(272)의 외주상에 마련된다.
상세하게는 제 3 본체부(271)는 제 3 나사(28)가 제 1 나사(23)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제 1 받이구부(11)의 외통부(41)를 그 전체둘레에 걸쳐 포위하도록 제 1 받이구부(11)에 부착된다. 제 3 본체부(271)는 제 1 통형상 부재(263)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마련된다. 제 3 본체부(271)는 제 1 통형상 부재(263)에 있어서 그 축 방향 다른쪽측(제 1 유체 기기(1)측)에 배치된다.
제 1 돌출부(272)는 제 1 통형상 부재(263)보다 축 방향 한쪽측(제 1 유체 기기(1)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제 1 돌출부(272)는 제 3 본체부(271)의 축 방향에 있어서, 제 3 본체부(271)의 한쪽의 단부에서 제 1 통형상 부재(263)의 축 방향 한쪽으로 돌출된다. 제 1 돌출부(272)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계합부(53)의 오목부(273)는 제 1 돌출부(272)의 돌출 단부(선단부)측에 마련된다. 오목부(273)는 제 1 돌출부(272)의 외주에, 제 1 돌출부(272)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오목부(273)는 제 1 계합부(53)에 적어도 1개(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 마련된다. 오목부(273)는 제 1 돌출부(272)(제 1 통형상 부재(263))의 둘레 방향에 소정 간격마다 마련된다.
각 오목부(273)는 제 1 연장부(276)와, 2개의 제 1 돌기부(277·278)를 갖는다. 제 1 연장부(276)는 제 1 돌출부(27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마련된다. 1개의 오목부(273)에 있어서의 제 1 연장부(276)는 제 1 통형상 부재(263)의 축 방향에 있어서, 다른 오목부(273)에 있어서의 제 1 연장부(276)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2개의 제 1 돌기부(277·278)는 제 1 연장부(276)의 연장 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제 3 본체부(271)측(제 1 통형상 부재(263)의 축 방향 다른쪽측)을 향해 돌출설치된다 2개의 제 1 돌기부(277·278)는 제 1 돌출부(27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둘레 방향 폭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2개의 제 1 돌기부(277·278)의 형상은 서로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제 2 통형상 부재(264)는 제 2 계합부(54) 이외에, 제 4 본체부(281)를 갖는다. 제 4 본체부(281)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4 본체부(281)의 내주에는 제 4 나사(29)가 마련된다. 제 2 계합부(54)는 제 2 돌출부(282)와, 볼록부(283)를 구비한다. 제 2 돌출부(282)는 제 2 통형상 부재(264)의 축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제 4 본체부(281)에 마련된다.
볼록부(283)는 제 2 돌출부(282)의 내주에 마련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채용된 구성 대신에, 제 1 계합부(53)에 있어서 볼록부(283)에 상당하는 볼록부를 제 1 돌출부(272)의 외주에 마련하는 동시에, 제 2 계합부(54)에 있어서 오목부(273)에 상당하는 오목부를 제 2 돌출부(282)의 내주에 마련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세하게는 제 4 본체부(281)는 제 4 나사(29)가 제 2 나사(26)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제 2 받이구부(12)의 외통부(41)를 그 전체둘레에 걸쳐 포위하도록 제 2 받이구부(12)에 부착된다. 제 4 본체부(281)는 제 2 통형상 부재(264)의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4 본체부(281)는 제 2 통형상 부재(264)에 있어서 그 축 방향 다른쪽측(제 2 유체 기기(2)측)에 배치된다.
제 2 돌출부(282)는 제 2 통형상 부재(264)에 있어서 그 축 방향 한쪽측(제 2 유체 기기(2)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제 2 돌출부(282)는 제 4 본체부(281)의 축 방향에 있어서, 제 4 본체부(281)의 한쪽의 단부에서 제 2 통형상 부재(264)의 축 방향 한쪽으로 돌출된다. 제 2 돌출부(282)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4 본체부(281)와 동축상에 배열된다.
제 2 계합부(54)의 볼록부(283)는 제 2 돌출부(282)의 돌출 단부(선단부)측에 마련된다. 볼록부(283)는 제 2 돌출부(282)의 내주에, 제 2 돌출부(282)의 직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배치된다. 볼록부(283)는 제 2 계합부(54)에 적어도 1개(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 마련되어 있으며, 오목부(273)에 따라 제 2 돌출부(282)(제 2 통형상 부재(264))의 둘레 방향에 소정 간격마다 마련된다.
각 볼록부(283)는 제 2 연장부(286)와, 제 2 돌기부(287)를 갖는다. 제 1 연장부(276)는 제 1 돌출부(272)의 둘레 방향에 직선형상으로 연장된다. 제 2 연장부(286)는 제 2 돌기부(287)의 둘레 방향 폭(둘레 방향의 길이)보다 큰 둘레 방향 폭을 갖는다. 제 2 돌기부(287)는 제 2 연장부(286)에서 제 4 본체부(281)측(제 2 통형상 부재(264)의 축 방향 다른쪽측)을 향해 돌출된다.
각 볼록부(283)에 있어서의 제 2 돌기부(287)의 돌출단은 제 2 통형상 부재(264)의 축 방향에 있어서, 다른 볼록부(283)에 있어서의 제 1 연장부(276)와의 돌출단과 대략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제 2 돌기부(287)는 2개의 제 1 돌기부(277·278) 사이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며, 제 2 돌출부(282)(제 2 통형상 부재(26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2개의 제 1 돌기부(277·278)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열된다.
이러한 제 1 통형상 부재(263)와 제 2 통형상 부재(264)는 제 1 돌출부(272)와 제 2 돌출부(282)를 대향시키도록, 서로 상대 회전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 이 때, 제 1 통형상 부재(263)의 일부는 제 2 통형상 부재(264)의 직경 방향 안쪽에 위치한다. 제 1 통형상 부재(263)는 오목부(273) 사이에 볼록부(283)를 통과시키면서 제 1 유체 기기(1)측으로부터 제 2 통형상 부재(264)에 끼워 넣어지고, 그 후에 제 2 통형상 부재(264)에 대해 회전운동된다.
이와 같이 하여, 오목부(273)와 볼록부(283)는 서로 끼워 맞춰진 상태에 있는 제 1 통형상 부재(263)와 제 2 통형상 부재(264)가 이반되는 것을 규제하도록 걸어 맞춰진다. 구체적으로는 오목부(273)와 볼록부(283)는 제 2 돌기부(287)가 제 1 연장부(276)에 제 1 유체 기기(1)측으로부터 접촉하도록, 제 1 통형상 부재(263) 및 제 2 통형상 부재(264)의 축 방향으로 걸어 맞춰진다.
또한, 오목부(273)와 볼록부(283)가 서로 걸어 맞춰지는 것에 의해, 제 1 시일부(31) 및 제 2 시일부(32)가 형성된다. 즉, 오목부(273)와 볼록부(283)는 접속체(15)에 있어서의 각 돌출부(62)를 대응하는 홈부(46)에 압입하고, 또한 접속체(15)에 있어서의 각 돌기(63)의 테이퍼면(65)을 대응하는 내통부(42)의 돌출 단부(44)의 경사면(47)에 압접시킨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통형상 부재(263)는 소정의 수지, 예를 들면 PFA, PVDF, ETFE, FEP 또는 PTFE 등의 불소 수지에 의해 제조된다. 또, 제 2 통형상 부재(264)는 제 1 통형상 부재(263)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수지, 예를 들면 PFA, PVDF, ETFE, FEP 또는 PTFE 등의 불소 수지에 의해 제조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통형상 부재(263)가 오목부(273)를 볼록부(283)에 대해 제 2 통형상 부재(26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위치를 어긋나게 하는 것에 의해, 제 2 통형상 부재(264)에 서로의 축 방향을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끼워 넣어지고, 그 후에 제 2 통형상 부재(264)에 대해 화살표(290)의 방향으로 회전운동된다. 이와 같이 하여, 오목부(273)가 볼록부(283)와 걸어 맞춰진다(도 9 참조).
따라서, 제 1 통형상 부재(263) 및 제 2 통형상 부재(264)가 그들 축 방향 중 서로 이간된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받이구부(11)와 제 2 받이구부(12)는 서로 이간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따라서,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가 유체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 오목부(273)와 이에 대응하는 볼록부(283)의 걸어 맞춤에 수반하여, 제 1 시일부(31) 및 제 2 시일부(32)가 형성된다. 즉, 접속체(15)에 있어서의 각 돌출부(62)가 대응하는 홈부(46)에 압입되는 동시에, 접속체(15)에 있어서의 각 돌기(63)의 테이퍼면(65)이 대응하는 내통부(42)의 돌출 단부(44)의 경사면(47)에 압접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의하면,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를 유체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종래에는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 사이에 개재시킬 필요가 있던 튜브 등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2대의 유체 기기(1·2)를 가능한 한 근접시킨 상태에서 유체적으로 접속하여, 이들 유체 기기(1·2)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2대의 유체 기기(1·2)의 접속부로부터의 유체의 누설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통형상 부재(263) 및 제 2 통형상 부재(26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제 2 통형상 부재(264)의 볼록부(283)의 제 2 돌기부(287)의 둘레 방향 폭을 제 1 통형상 부재(263)에 있어서의 오목부(273)의 2개의 제 1 돌기부(277·278)의 둘레 방향 폭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면, 제 1 통형상 부재(263)와 제 2 통형상 부재(264) 사이의 덜컹거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 중, 제 1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 중, 제 1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1 통형상 부재(313) 또는 제 2 통형상 부재(314)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1 통형상 부재(313) 또는 제 2 통형상 부재(314)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면 중,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 중에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12∼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제 1 통형상 부재(313) 및 제 2 통형상 부재(314)가 상술한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통형상 부재(313)는 제 1 계합부(53) 이외에, 제 5 본체부(321)를 갖는다. 제 5 본체부(321)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5 본체부(321)의 내주에는 제 3 나사(28)가 마련된다. 제 1 계합부(53)는 제 3 돌출부(322)와, 제 3 계합 발톱(323)과, 제 1 발톱받이부(324)를 구비한다.
제 3 돌출부(322)는 제 1 통형상 부재(313)의 축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제 5 본체부(321)에 마련된다. 제 3 계합 발톱(323)은 제 1 통형상 부재(313)의 축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제 3 돌출부(322)에 마련된다. 제 1 발톱받이부(324)는 제 1 통형상 부재(313)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제 3 돌출부(322)에 마련된다. 제 1 통로(325)는 제 1 통형상 부재(313)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각 제 3 계합 발톱(323)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제 5 본체부(321)는 제 3 나사(28)가 제 1 나사(23)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제 1 받이구부(11)의 외통부(41)를 그 전체둘레에 걸쳐 포위하도록 제 1 받이구부(11)에 부착된다. 즉, 제 5 본체부(321)는 제 1 통형상 부재(313)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마련된다. 제 5 본체부(321)는 제 1 통형상 부재(313)에 있어서 그 축 방향 다른쪽측(제 1 유체 기기(1)측)에 배치된다.
제 1 계합부(53)의 제 3 돌출부(322)는 제 1 통형상 부재(313)에 있어서 그 축 방향 한쪽측(제 1 유체 기기(1)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제 3 돌출부(322)는 제 5 본체부(321)의 축 방향에 있어서, 제 5 본체부(321)의 한쪽의 단부에서 제 1 통형상 부재(313)의 축 방향 한쪽으로 돌출된다. 제 3 돌출부(322)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5 본체부(321)와 동축상에 위치한다.
제 1 계합부(53)의 제 3 계합 발톱(323)은 제 3 돌출부(322)의 돌출 단부(선단부)에 마련된다. 제 3 계합 발톱(323)은 제 3 돌출부(322)의 축 방향에 있어서, 제 3 돌출부(322)의 한쪽의 단부에서 제 1 통형상 부재(313)의 축 방향 한쪽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제 3 계합 발톱(323)은 그 돌출 단부(선단부)측에 제 3 갈고리형상 부분을 구비한다.
제 3 계합 발톱(323)은 제 1 계합부(53)에 적어도 1개(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4개) 마련되어 있고, 제 3 돌출부(322)(제 1 통형상 부재(313))의 둘레 방향에 소정 간격마다 마련된다. 제 3 계합 발톱(323) 및, 해당 제 3 계합 발톱(323)과 제 1 통형상 부재(313)의 축 방향으로 접속된 접속 부분은 제 3 돌출부(322)의 외주면보다 제 3 돌출부(322)의 직경 방향 안쪽에 배치된다.
제 1 계합부(53)의 제 1 발톱받이부(324)는 제 3 돌출부(322)의 돌출 단부(선단부)에 마련된다. 제 1 발톱받이부(324)는 제 3 돌출부(32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제 1 발톱받이부(324)는 제 3 돌출부(322)의 내주상에 마련되며, 제 3 계합 발톱(323)과 걸어 맞출 수 있도록, 제 3 돌출부(322)의 직경 방향 안쪽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제 1 발톱받이부(324)는 제 3 돌출부(32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제 3 계합 발톱(323) 사이에서 제 1 통로(325)와 병행하도록 배치된다. 이 제 1 통로(325)는 제 3 돌출부(322)의 돌출 단부에 있어서, 제 1 발톱받이부(324)보다 제 3 돌출부(322)의 직경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벽면을 가지며, 제 3 계합 발톱(323)의 돌출 방향을 향해 개구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통형상 부재(314)는 제 1 통형상 부재(313)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제 2 통형상 부재(314)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통형상 부재(313)와 다른 형상을 갖는 것이어도 좋다.
제 2 통형상 부재(314)는 제 2 계합부(54) 이외에, 제 6 본체부(331)를 갖는다. 제 6 본체부(331)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6 본체부(331)의 내주에 제 4 나사(29)가 마련된다. 제 2 계합부(54)는 제 4 돌출부(332)와, 제 4 계합 발톱(333)과, 제 2 발톱받이부(334)를 구비한다.
제 4 돌출부(332)는 제 2 통형상 부재(314)의 축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제 6 본체부(331)에 마련된다. 제 4 계합 발톱(333)은 제 2 통형상 부재(314)의 축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제 4 돌출부(332)에 마련된다. 제 2 발톱받이부(334)는 제 2 통형상 부재(31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제 4 돌출부(332)에 마련된다. 제 2 통로(335)는 제 2 통형상 부재(314)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각 제 4 계합 발톱(333)의 사이에 형성된다.
상세하게는 제 6 본체부(331)는 제 4 나사(29)가 제 2 나사(26)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제 2 받이구부(12)의 외통부(41)를 그 전체둘레에 걸쳐 포위하도록 제 2 받이구부(12)에 부착된다. 즉, 제 6 본체부(331)는 제 2 통형상 부재(314)의 축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마련된다. 제 6 본체부(331)는 제 2 통형상 부재(314)에 있어서 그 축 방향 다른쪽측(제 2 유체 기기(2)측)에 배치된다.
제 2 계합부(54)의 제 4 돌출부(332)는 제 2 통형상 부재(314)에 있어서 그 축 방향 한쪽측(제 2 유체 기기(2)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제 4 돌출부(332)는 제 6 본체부(331)의 축 방향에 있어서, 제 6 본체부(331)의 한쪽의 단부에서 제 2 통형상 부재(314)의 축 방향 한쪽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제 4 돌출부(332)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6 본체부(331)와 동축상에 위치한다.
제 2 계합부(54)의 제 4 계합 발톱(333)은 제 4 돌출부(332)의 돌출 단부(선단부)에 마련된다. 제 4 계합 발톱(333)은 제 4 돌출부(332)의 축 방향에 있어서, 제 4 돌출부(332)의 한쪽의 단부에서 제 2 통형상 부재(314)의 축 방향 한쪽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제 4 계합 발톱(333)은 그 돌출 단부(선단부)측에 제 4 갈고리형상 부분을 구비한다.
제 4 계합 발톱(333)은 제 2 계합부(54)에 적어도 1개(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2개) 마련되어 있고, 제 4 돌출부(332)(제 2 통형상 부재(314))의 둘레 방향에 소정 간격마다 마련된다. 제 4 계합 발톱(333) 및, 제 4 계합 발톱(333)과 연속하는 연속 부분(336)은 제 4 돌출부(332)의 외주면보다 제 4 돌출부(332)의 직경 방향 안쪽에 배치된다.
제 2 계합부(54)의 제 2 발톱받이부(334)는 제 4 돌출부(332)의 돌출 단부(선단부)에 마련된다. 제 2 발톱받이부(334)는 제 4 돌출부(332)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제 2 발톱받이부(334)는 제 4 돌출부(332)의 내주상에 마련되고, 제 4 계합 발톱(333)과 걸어 맞출 수 있도록, 제 4 돌출부(332)의 직경 방향 안쪽을 향해 돌출된 형상을 갖는다.
제 2 발톱받이부(334)는 제 4 돌출부(332)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제 4 계합 발톱(333) 사이에서 제 2 통로(335)와 병행하도록 배치된다. 제 2 통로(335)는 제 4 돌출부(332)의 돌출 단부에 있어서, 제 2 발톱받이부(334)보다 제 4 돌출부(332)의 직경 방향 바깥쪽에 위치하는 벽면을 가지며, 제 4 계합 발톱(333)의 돌출 방향을 향해 개구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 1 통형상 부재(313)와 제 2 통형상 부재(314)는 제 3 돌출부(322)와 제 4 돌출부(332)를 대향시키도록, 서로 상대 회전운동 가능하게 끼워 맞춰진다. 이 때, 제 1 통형상 부재(313)는 제 2 통형상 부재(314)의 직경 방향 안쪽에 위치하도록 제 3 계합 발톱(323)을 제 2 통로(335)에 통과시키고 제 4 계합 발톱(333)을 제 1 통로(325)에 통과시키면서 제 2 통형상 부재(314)에 끼워 넣어지고, 그 후에 제 2 통형상 부재(314)에 대해 회전운동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서로 끼워 맞춰진 상태에 있는 제 1 통형상 부재(313)와 제 2 통형상 부재(314)가 이반되는 것을 규제하도록, 제 3 계합 발톱(323)과 제 2 발톱받이부(334)가 걸어 맞춰지는 동시에, 제 4 계합 발톱(333)과 제 1 발톱받이부(324)가 걸어 맞춰진다. 구체적으로는 제 3 계합 발톱(323)과 제 2 발톱받이부(334) 및, 제 4 계합 발톱(333)과 제 1 발톱받이부(324)는 제 1 통형상 부재(313) 및 제 2 통형상 부재(314)의 축 방향으로 걸어 맞춰진다.
또한, 제 1 시일부(31) 및 제 2 시일부(32)는 제 3 계합 발톱(323)과 제 2 발톱받이부(334)를 서로 걸어 맞췄을 때에 형성된다. 즉, 제 3 계합 발톱(323)과 제 2 발톱받이부(334)는 접속체(15)에 있어서의 각 돌출부(62)를 대응하는 홈부(46)에 압입하고, 또한 접속체(15)에 있어서의 각 돌기(63)의 테이퍼면(65)을 대응하는 내통부(42)의 돌출 단부(44)의 경사면(47)에 압접하도록 구성된다.
또, 제 1 시일부(31) 및 제 2 시일부(32)는 제 4 계합 발톱(333)과 제 1 발톱받이부(324)를 서로 걸어 맞췄을 때에 형성된다. 즉, 제 4 계합 발톱(333)과 제 1 발톱받이부(324)는 접속체(15)에 있어서의 각 돌출부(62)를 대응하는 홈부(46)에 압입하고, 또한 접속체(15)에 있어서의 각 돌기(63)의 테이퍼면(65)을 대응하는 내통부(42)의 돌출 단부(44)의 경사면(47)에 압접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통형상 부재(313)는 소정의 수지, 예를 들면 PFA, PVDF, ETFE, FEP 또는 PTFE 등의 불소 수지에 의해 제조된다. 또, 제 2 통형상 부재(314)는 제 1 통형상 부재(313)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수지, 예를 들면 PFA, PVDF, ETFE, FEP 또는 PTFE 등의 불소 수지에 의해 제조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있어서는 제 1 통형상 부재(313) 및 제 2 통형상 부재(314)가 제 3 계합 발톱(323)을 제 2 통로(335)에 통과시키고 또한 제 4 계합 발톱(333)을 제 1 통로(325)에 통과시켜 서로의 축 방향을 가지런히 한 상태에서 끼워 맞춰지고, 그 후에 상대 회전운동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3 계합 발톱(323)과 제 2 발톱받이부(334)가 걸어 맞춰지고, 또한, 제 4 계합 발톱(333)과 제 1 발톱받이부(324)가 걸어 맞춰진다.
따라서, 제 1 통형상 부재(313) 및 제 2 통형상 부재(314)가 그들 축 방향 중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받이구부(11)와 제 2 받이구부(12)가 이간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되게 되며,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가 유체적으로 접속된 상태가 유지된다.
또, 제 3 계합 발톱(323)과 제 2 발톱받이부(334)의 걸어 맞춤 및, 제 4 계합 발톱(333)과 제 1 발톱받이부(324)의 걸어 맞춤에 수반하여, 제 1 시일부(31) 및 제 2 시일부(32)가 형성된다. 즉, 접속체(15)에 있어서의 각 돌출부(62)가 대응하는 홈부(46)에 압입되는 동시에, 접속체(15)에 있어서의 각 돌기(63)의 테이퍼면(65)이 대응하는 내통부(42)의 돌출 단부(44)의 경사면(47)에 압접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의하면,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를 유체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종래에는 제 1 유체 기기(1)와 제 2 유체 기기(2) 사이에 개재시킬 필요가 있던 튜브 등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좋다. 따라서, 2대의 유체 기기(1·2)를 가능한 한 근접시킨 상태에서 유체적으로 접속하여, 이들 유체 기기(1·2)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2대의 유체 기기(1·2)의 접속부로부터의 유체의 누설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 중, 제 2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 중, 제 2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5,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제 1 유체 기기(401)와 제 2 유체 기기(402)를 유체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이용된다. 환언하면,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제 1 유체 기기(401)와 제 2 유체 기기(402)가 접속되는 것에 의해, 내부에 유체를 흘릴 수 있는 것이다.
제 1 유체 기기(401) 및 제 2 유체 기기(402)는 서로 근접한 상태에서 병치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제 1 유체 기기(401) 및 제 2 유체 기기(402)의 각각의 구체예로서는 소정의 유체 유로를 갖는 밸브, 유량계, 펌프 및 이음매를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제 1 받이구부(411)와, 제 2 받이구부(412)와, 제 1 통형상 부재(413)와, 제 2 통형상 부재(414)와, 접속체(415)와, 체결 부재(416)를 구비한다.
제 1 받이구부(411)는 제 1 유체 기기(401)에 마련된다. 제 1 받이구부(411)는 제 1 유체 기기(401)의 제 1 유체 유로(421)에 접속된다. 제 1 받이구부(411)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받이구부(412)는 제 2 유체 기기(402)에 마련된다. 제 2 받이구부(412)는 제 2 유체 기기(402)의 제 2 유체 유로(425)에 접속된다. 제 2 받이구부(412)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통형상 부재(413)는 제 1 받이구부(411)의 외주측에 마련된다.
제 2 통형상 부재(414)는 제 2 받이구부(412)의 외주측에 마련된다.
접속체(415)는 제 1 받이구부(411)와 제 2 받이구부(412) 사이에 마련된다. 접속체(415)는 제 1 받이구부(411)와의 사이를 시일하고, 또한, 제 2 받이구부(412)와의 사이를 시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 1 시일부(431)는 접속체(415)와 제 1 받이구부(411) 사이를 시일하는 것이다. 제 2 시일부(432)는 접속체(415)와 제 2 받이구부(412) 사이를 시일하는 것이다.
체결 부재(416)는 접속체(415)가 제 1 받이구부(411) 및 제 2 받이구부(412) 사이에 마련된 상태에 있어서, 제 1 통형상 부재(413) 및 제 2 통형상 부재(414) 중, 한쪽을 다른쪽에 대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조이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관한 2대의 유체 기기(401·2)는 각각의 받이구부(411·412)가 서로 축 방향으로 대향한 상태에서 설치된다.
제 1 받이구부(411)는 제 1 유체 기기(401)에 적용되는 것이다. 제 1 받이구부(411)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유체 기기(401)의 케이싱(435)과 일체화된 것이다. 또한, 제 1 받이구부(411)는 케이싱(435)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별체로 해도 좋다.
제 1 받이구부(411)는 외통부(441)와 내통부(442)를 갖는다. 외통부(441)는 대략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케이싱(435)에 있어서의 제 1 유체 유로(421)의 개구부 주위 근방에 케이싱(435)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외통부(441)는 그 돌출 단부(축 방향 한쪽의 단부)(443)측에서 접속체(415)의 일부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외통부(441)는 그 직경 방향에 있어서, 끼워 넣음 후의 접속체(415)의 일부에 대해 대략 빈틈없이 배치된다.
또, 외통부(441)는 제 1 나사(423)를 포함한다. 제 1 나사(423)는 외통부(441)의 외주에, 제 1 나사(423)가 외통부(441)의 축 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제 1 나사(423)는 수나사로 구성된다.
내통부(442)는 외통부(441)의 내경보다 작고, 대략 일정한 외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케이싱(435)에 있어서의 제 1 유체 유로(421)의 개구부 주위 근방에 외통부(441)의 돌출 방향(제 1 받이구부(411)의 축 방향 한쪽)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내통부(442)는 외통부(441)의 직경 방향 안쪽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동시에, 외통부(441)와의 관계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다.
여기서, 내통부(442)는 그 돌출 단부(444)가 외통부(441)의 돌출 단부(443)보다 돌출 방향에 대해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즉 케이싱(435)으로부터 외통부(441)보다 돌출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받이구부(411)가 외통부(441)의 축 방향(제 1 받이구부(411)의 축 방향)에 있어서 외통부(441)의 축 방향 다른쪽측(케이싱(435)측)에서 이중 통형상을 띠도록 형성된다.
내통부(442)는 제 1 유체 유로(421)의 유로 직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고, 또한, 접속체(415)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내통부(442)는 제 1 받이구부(411)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401)와 접속체(415)를 유체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제 1 유체 유로(421)와 접속체(415)의 내부 공간(448)을 연통시키도록 제 1 유체 기기(401)와 접속체(415) 사이에 배치된다.
내통부(442)의 외주면과, 이에 대향하는 외통부(441)의 내주면 사이에는 환상의 홈부(446)가 형성된다. 홈부(446)는 외통부(441) 및 내통부(442)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축 방향)으로 개구되고 또한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또, 내통부(442)의 돌출 단부(444) 근방에는 경사면(447)이 형성된다. 경사면(447)은 제 1 유체 유로(421)측에서 내통부(442)의 돌출 단부(444)측을 향해 직경이 점차 확대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받이구부(411)는 소정의 수지, 예를 들면 PFA(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퍼플루오로 알킬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 PVDF(폴리비닐리덴 플루오리드), ETFE(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FEP(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헥사 플루오로 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PTFE(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 등의 불소 수지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불소 수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폴리 프로필렌(PP) 등의 기타 수지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받이구부(412)는 제 1 받이구부(411)를 가상 중앙면(468)을 따라 반전시킨 형상으로서, 제 1 받이구부(4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그 때문에, 제 2 받이구부(412)에 대해서는 제 1 받이구부(411)의 구성요소와 대략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제 1 나사(423) 및 제 2 나사(426)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라도 다른 부호를 붙이고 있는 경우도 있다.
제 1 통형상 부재(413)는 제 1 받이구부(411), 상세하게는 그 외통부(441)를 포위한 상태에서, 제 1 받이구부(411)(외통부(44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통형상 부재(413)는 제 1 받이구부(411)의 제 1 나사(423)의 축 방향 길이보다 작은 축 방향 길이를 갖는다. 제 1 통형상 부재(413)는 제 1 받이구부(411)의 축 방향(외통부(441)의 축 방향)에 있어서, 제 1 유체 기기(401)에 대해 소정 간격을 두도록 배치된다.
제 1 통형상 부재(413)는 제 3 나사(428)를 갖는다. 제 3 나사(428)는 제 1 통형상 부재(413)의 내주에 형성된다. 제 3 나사(428)는 제 1 나사(423)에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제 1 통형상 부재(413)는 예를 들면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통형상 부재(413)의 축 방향 양단부 중, 제 1 유체 기기(401)측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테이퍼부(451)가 형성된다. 테이퍼부(451)는 그 직경이 가상 중앙면(468)(제 2 통형상 부재(414))측에서 제 1 유체 기기(401)측을 향해 점차 축소하도록 형성된다. 제 1 통형상 부재(413)는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제 1 유체 기기(401)의 케이싱(435)보다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지 않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테이퍼부(451) 및 후술하는 테이퍼부(452)의 형상은 도 16에 나타낸 것과 반전된 형상, 즉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함에 따라, 제 1 통형상 부재(413)의 축 방향으로 점차 확대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통형상 부재(414)는 제 2 받이구부(412), 상세하게는 그 외통부(441)를 포위한 상태에서, 제 2 받이구부(412)(외통부(44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 2 통형상 부재(414)는 제 1 통형상 부재(413)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2 통형상 부재(414)는 제 2 받이구부(412)의 외통부(441)를 포위하도록, 해당 외통부(441)에 마련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통형상 부재(414)는 제 2 받이구부(412)의 외통부(44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제 2 통형상 부재(414)는 제 2 받이구부(412)의 제 2 나사(426)의 축 방향 길이보다 작은 축 방향 길이를 갖는다. 제 2 통형상 부재(414)는 제 2 받이구부(412)의 축 방향(외통부(441)의 축 방향)에 있어서, 제 2 유체 기기(402)에 대해 소정 간격을 두도록 배치된다.
또, 제 2 통형상 부재(414)는 제 4 나사(429)를 갖는다. 제 4 나사(429)는 제 2 통형상 부재(414)의 내주에 형성된다. 제 4 나사(429)는 제 2 나사(426)에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제 2 통형상 부재(414)는 예를 들면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제 2 통형상 부재(414)의 축 방향 양단부 중, 제 2 유체 기기(402)측에 위치하는 단부에는 테이퍼부(452)가 형성된다. 테이퍼부(452)는 그 직경이 가상 중앙면(468)(제 1 통형상 부재(413))측에서 제 2 유체 기기(402)측을 향해 점차 축소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2 통형상 부재(414)는 제 1 통형상 부재(413)를 가상 중앙면(468)을 따라 반전시킨 형상으로서, 제 1 통형상 부재(41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통형상 부재(413)는 소정의 수지, 예를 들면 PFA, PVDF, ETFE, FEP 또는 PTFE 등의 불소 수지에 의해 제조된다. 또, 제 2 통형상 부재(414)는 제 1 통형상 부재(413)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수지, 예를 들면 PFA, PVDF, ETFE, FEP 또는 PTFE 등의 불소 수지에 의해 제조된다.
접속체(415)는 제 1 시일부(431)와, 제 2 시일부(432)를 갖는다. 여기서, 제 1 시일부(431)는 접속체(415)와 제 1 받이구부(411) 사이를 시일하는 것이다. 제 2 시일부(432)는 접속체(415)와 제 2 받이구부(412) 사이를 시일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접속체(415)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접속체(415)는 제 1 받이구부(411)에 대응하는 제 1 부분(415a)과, 제 2 받이구부(412)에 대응하는 제 2 부분(415b)을 갖는다(도 16 참조). 제 1 부분(415a)은 대략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접속체(415)의 내부 공간(448)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유체 유로를 구비한다. 제 1 부분(415a)의 유체 유로는 제 1 유체 유로(421)와 연통하도록, 외통부(441)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제 1 받이구부(411)에 장착된다.
제 1 부분(415a)에는 감합부(461)와, 돌출부(462)와, 돌기(463)가 포함된다. 감합부(46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감합부(461)는 제 1 부분(415a)이 제 1 받이구부(411)에 장착되었을 때, 외통부(441)를 전체둘레에 걸쳐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포위한 상태에서 끼워 맞춰진다. 그리고, 감합부(461)의 축 방향 양단부 중의 한쪽의 단부(제 1 유체 기기(401)측)에는 돌출부(462) 및 돌기(463)가 각각 형성된다.
돌출부(462) 및 돌기(463)는 각각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출부(462)는 제 1 부분(415a)이 제 1 받이구부(411)에 장착되었을 때에, 제 1 받이구부(411)의 홈부(446)에 대해 전체둘레에 걸쳐 압입된다. 또, 돌출부(462)는 제 1 받이구부(411)에 형성된 홈부(446)의 제 1 유체 기기(401)측의 측면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삽입통과된다.
돌기(463)에는 가상 중앙면(468)측에서 제 1 유체 기기(401)측을 향해 점차 축소하는 테이퍼면(465)이 형성된다. 테이퍼면(465)은 제 1 부분(415a)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462)의 안쪽에 배치된다. 테이퍼면(465)은 제 1 부분(415a)의 축 방향에 있어서, 내통부(442)의 경사면(447)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테이퍼면(465)은 제 1 부분(415a)이 제 1 받이구부(411)에 장착되었을 때에 내통부(442)의 경사면(447)에 압접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체(415)는 그 축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해당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체(415)의 중앙에 위치하는 가상 중앙면(468)에 대해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즉, 제 1 부분(415a) 및 제 2 부분(415b)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그 때문에, 제 2 부분(415b)에 대해서는 도면 중에서 제 1 부분(415a)의 구성요소와 대략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체(415)는 소정의 수지, 예를 들면 PFA, PVDF, ETFE, FEP 또는 PTFE 등의 불소 수지나 기타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접속체(41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1 부분(415a) 및 제 2 부분(415b)을 일체화한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 대신에,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연결한 것으로 해도 좋다.
체결 부재(416)는 제 1 통형상 부재(413)의 제 3 나사(428)가 제 1 받이구부(411)의 제 1 나사(423)에 나사결합되고, 또한, 제 2 통형상 부재(414)의 제 4 나사(429)가 제 2 받이구부(412)의 제 2 나사(426)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제 1 통형상 부재(413) 및 제 2 통형상 부재(414) 중의 한쪽을 다른쪽에 대해 조인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2대의 유체 기기(401·402)는 각각의 받이구부(411·412)가 서로 대향한 상태에서 설치된다.
체결 부재(416)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클램프로 구성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는 한 쌍의 클램프편(471·472)과, 2조의 볼트(473) 및 너트 등의 통형상 부재(474)를 갖는다. 한 쌍의 클램프편(471·472)은 각각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 쌍의 클램프편(471·472)은 원형을 띠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클램프편(471·472)(체결 부재(416))은 그 축 방향이 제 1 통형상 부재(413) 및 제 2 통형상 부재(414)의 축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된다.
각 클램프편(471·472)의 내주부에는 제 1 통형상 부재(413) 및 제 2 통형상 부재(414)의 테이퍼부(451·452)에 접하는 경사부(476·477)가 마련된다. 경사부(476·477)는 각각, 체결 부재(416)(한 쌍의 클램프편(471·472))의 축 방향에 있어서 테이퍼부(451·452)와 대향한다.
경사부(476)는 제 1 통형상 부재(413)보다 제 1 유체 기기(401)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경사부(476)는 테이퍼부(451)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경사져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경사부(476)는 그 직경이 가상 중앙면(468)(제 2 통형상 부재(414))측에서 제 1 유체 기기(401)측을 향해 점차 축소하도록 형성된다.
경사부(477)는 제 2 통형상 부재(414)보다 제 2 유체 기기(402)측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경사부(477)는 테이퍼부(452)에 대해 대략 평행하게 경사져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경사부(477)는 그 직경이 가상 중앙면(468)(제 1 통형상 부재(413))측에서 제 2 유체 기기(402)측을 향해 점차 축소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클램프편(471·472)은 각각, 경사부(476)가 테이퍼부(451)에 당접하고, 또한 경사부(477)가 테이퍼부(452)에 당접하면서, 제 1 통형상 부재(413)와 제 2 통형상 부재(414)를 축 방향 외측으로부터 사이에 둔다. 그 상태에서, 한 쌍의 클램프편(471·472)의 긴쪽 방향(둘레 방향) 양단부의 각각의 통형상 부재(474)에 볼트(473)가 조여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401)와 제 2 유체 기기(402)가 유체적으로 접속된다. 체결 부재(416)로서의 클램프가 제 1 받이구부(411)와 제 2 받이구부(412)의 직경 방향 외측에 마련된다. 그 때, 체결 부재(416)는 제 1 통형상 부재(413) 및 제 2 통형상 부재(414)를 서로 축 방향 내측인 가상 중앙면(468)측으로 조이는 힘을 작용시킨다. 이것에 의해, 접속체(415)의 돌출부(462)가 홈부(446)에 압입되고, 또한, 돌기(463)의 테이퍼면(465)이 내통부(442)의 돌출 단부(444) 및 경사면(447)에 압접된다.
따라서, 제 1 유체 기기(401)측에 있어서, 제 1 시일부(431)에 의해 접속체(415)와 제 1 받이구부(411) 사이가 시일된다. 또, 제 2 유체 기기(402)측에 있어서, 제 2 시일부(432)에 의해 접속체(415)와 제 2 받이구부(412) 사이가 시일된다. 여기서, 제 1 시일부(431)와 제 2 시일부(432)에 의하면, 시일력이 축 방향에 작용하는 1차 시일 영역(481)과, 시일력이 직경 방향에 작용하는 2차 시일 영역(482)이 형성된다.
또한, 제 1 유체 기기(401)와 제 2 유체 기기(402)가 유체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는 체결 부재(416)에 있어서의 볼트(473)의 조임이 속행됨에 따라, 제 1 통형상 부재(413) 및 제 2 통형상 부재(414)가 그들 축 방향에 있어서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각 경사부(476·477)와 이에 대응하는 각 테이퍼부(451·52)가 더욱 강하게 압접된다. 그 결과, 각 돌기(463)의 테이퍼면(465)이 각 내통부(442)의 돌출 단부(444)의 경사면(447)에 의해 강하게 압접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의하면, 2대의 유체 기기(401·2)의 접속부로부터의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유체 기기(401)와 제 2 유체 기기(402)를 유체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제 1 유체 기기(401)와 제 2 유체 기기(402) 사이에 튜브 등의 부재를 개재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2대의 유체 기기(401·2)를 가능한 한 근접시킨 상태에서 유체적으로 접속하여, 이들 유체 기기(401·2)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체결 부재(416)의 볼트(473)의 조임 실행시에 제 1 통형상 부재(413) 및 제 2 통형상 부재(414)의 이동에 수반하여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제 1 유체 기기(401) 및 제 2 유체 기기(402)에 적용하고 있지만, 제 1 통형상 부재 및 제 2 통형상 부재의 이동에 수반하여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없도록 소정 개소에 고정된 제 1 유체 기기 및 제 2 유체 기기(402)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체(415)는 장출부(488)를 갖는다. 장출부(488)는 제 1 유체 기기(401)와 제 2 유체 기기(402)가 유체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제 1 받이구부(411)와 제 2 받이구부(412) 사이에 배치된다.
장출부(488)는 제 1 받이구부(411)와 제 2 받이구부(412) 사이에 비접촉 상태에서 배치된다. 장출부(488)는 접속체(415)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와 있으며, 환상으로 형성된다.
장출부(488)는 제 1 받이구부(411) 및 제 2 받이구부(412)의 각각의 돌출 단부(443)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장출부(488)는 접속체(415)에 있어서의 가상 중앙면(468)상으로서, 접속체(415)의 축 방향 중도부(접속체(415)에 있어서의 제 1 부분(415a)과 제 2 부분(415b)의 경계부)에 마련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장출부(488)는 접속체(415)가 제 1 받이구부(411)와 제 2 받이구부(412)에 장착될 때에 각각의 돌출 단부(443·443)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된다. 장출부(488)는 제 1 받이구부(411)의 돌출 단부(443)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또한, 제 1 받이구부(411)의 돌출 단부(443)와 축 방향으로 대향한다. 장출부(488)는 제 1 받이구부(411) 및 제 2 받이구부(412)에서 접속체(415)를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체결 부재(416)는 전술한 바와 같은 클램프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회전운동 핀에 의해 회전운동 가능하게 고정된 한 쌍의 클램프편이 서로 중첩된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에 의해 체결을 실행하는 클램프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18 내지 도 21을 이용하여, 본 발명 중, 제 2 발명의 제 2 실시형태 내지 제 5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상기 제 2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 중에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18은 본 발명 중, 제 2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제 1 받이구부(511)와 접속체(515) 사이를 시일하는 제 1 시일부(521)에 관한 구성 및, 제 2 받이구부(512)와 접속체(515) 사이를 시일하는 제 2 시일부(522)에 관한 구성이 상기 제 2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와 상이하다.
제 1 받이구부(511)는 제 1 유체 기기(401)에 적용되는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유체 기기(401)의 케이싱(435)과 일체화된 것이다. 제 1 받이구부(511)는 통부(525)와, 환상 돌기(526)를 갖는다. 통부(525)는 대략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케이싱(435)에 있어서의 제 1 유체 유로(421)의 개구부 주위 근방에 케이싱(435)의 외부를 향해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통부(525)는 그 돌출 단부(축 방향 한쪽의 단부)측으로부터 접속체(515)의 일부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통부(525)는 끼워 넣음 후의 접속체(515)의 일부에 대해 대략 빈틈없이 배치된다. 또, 통부(525)의 외주에는 제 1 나사(423)가 통부(525)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 1 나사(423)는 수나사로 구성된다.
환상 돌기(526)는 통부(525)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링 형상체로 이루어지며, 케이싱(435)에 있어서의 제 1 유체 유로(421)의 개구부 주위 근방에 통부(525)의 돌출 방향(통부(525)의 축 방향 한쪽)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환상 돌기(526)는 통부(525)의 직경 방향 안쪽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동시에, 통부(525)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환상 돌기(526)는 제 1 유체 유로(421)의 유로 직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또한, 접속체(515)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환상 돌기(526)는 제 1 유체 기기(401)와 접속체(515) 사이에 배치되며, 제 1 유체 유로(421)와 접속체(515)의 내부 공간(538)을 연통시킨다. 제 1 받이구부(511)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401)와 접속체(515)가 유체적(유체가 내부를 흐를 수 있도록)으로 접속된다.
환상 돌기(526)의 외주면에는 테이퍼면(528)이 포함된다. 테이퍼면(528)은 그 직경이 환상 돌기(526)의 돌출 방향(제 1 받이구부(511)의 축 방향 한쪽)을 향해 축 방향으로 점차 축소하도록 형성된다. 테이퍼면(528)은 환상 돌기(526)의 외주에 있어서 전체둘레에 걸쳐 연장설치되며, 해당 테이퍼면(528)과 대향하는 통부(525)의 내주면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 2 받이구부(51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받이구부(5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그 때문에, 제 2 받이구부(512)에 대해서는 제 1 받이구부(511)의 구성요소와 대략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제 1 나사(423), 제 2 나사(426)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라도 다른 부호를 붙이고 있는 경우도 있다.
접속체(515)는 제 1 받이구부(511)에 대응하는 제 1 부분(515a)과, 제 2 받이구부(512)에 대응하는 제 2 부분(515b)을 갖는다. 제 1 부분(515a)은 대략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유체 유로를 구비한다. 이 제 1 부분(515a)의 유체 유로는 접속체(515)에 있어서 제 1 부분(515a)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으로 형성된다. 제 1 부분(515a)의 유체 유로는 제 1 유체 유로(421)와 연통하도록, 통부(525)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제 1 받이구부(511)에 장착된다.
제 1 부분(515a)에는 감합부(531)와, 돌출부(532)가 포함된다. 감합부(53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감합부(531)는 제 1 부분(515a)이 제 1 받이구부(511)에 장착되었을 때, 통부(525)에 내부끼움된다. 그리고, 제 1 부분(515a)에 있어서의 감합부(531)의 축 방향 양단부 중의 한쪽의 단부(감합부(531)의 제 1 유체 기기(401)측)에는 돌출부(532)가 축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532)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출부(532)는 제 1 부분(515a)이 제 1 받이구부(511)에 장착되었을 때에, 해당 돌출부(532)의 내주측에 형성된 경사면(535)을 환상 돌기(526)의 테이퍼면(528)에 대해 압접시킨다. 경사면(535)은 돌출부(532)의 돌출 방향(제 1 유체 기기(401)측)을 향해 점차 확대하도록 형성된다. 경사면(535)은 돌출부(532)와 대향하고, 돌출부(532)의 전체둘레에 걸쳐 연장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접속체(515)는 그 축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해당 축 방향에 있어서 접속체(515)의 중앙에 위치하는 가상 중앙면(548)에 대해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즉, 제 1 부분(515a) 및 제 2 부분(515b)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의해, 상기 제 2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와 마찬가지로, 서로 유체적으로 접속된 제 1 유체 기기(401) 및 제 2 유체 기기(402)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1 유체 기기(401)와 제 2 유체 기기(402)의 접속시, 접속체(515)가 제 1 시일부(521) 및 제 2 시일부(522)를 형성한다. 그리고, 접속체(515)의 제 1 부분(515a)의 경사면(535)이 제 1 받이구부(511)에 있어서의 테이퍼면(528)에 압접되고, 제 2 부분(515b)의 경사면(535)이 제 2 받이구부(512)에 있어서의 테이퍼면(528)에 압접된다.
따라서, 제 1 유체 기기(401)와 제 2 유체 기기(402)의 접속부에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 1 유체 기기(401)와 제 2 유체 기기(402)를 종래의 튜브 등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단거리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 중, 제 2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제 1 받이구부(551)와 접속체(555) 사이를 시일하는 제 1 시일부(561)에 관한 구성 및, 제 2 받이구부(552)와 접속체(555) 사이를 시일하는 제 2 시일부(562)에 관한 구성이 상기 제 2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와 상이하다.
제 1 받이구부(551)는 제 1 유체 기기(401)에 적용되는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유체 기기(401)의 케이싱(435)과 일체화된 것이다. 제 1 받이구부(551)의 외주에는 제 1 나사(423)가 제 1 받이구부(551)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 1 나사(423)는 수나사로 구성된다.
제 1 받이구부(551)는 통부(565)와, 돌출부(566)를 갖는다. 통부(565)는 단차를 내주에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케이싱(435)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통부(565)는 케이싱(435)에 형성되는 제 1 유체 유로(421)의 개구부 근방에 마련된다.
통부(565)는 단차부(567)보다 축 방향 한쪽측(제 1 받이구부(551)의 개구부 측)에 제 1 통형상 부분(565a)을 갖는다. 이 제 1 통형상 부분(565a)은 접속체(555)의 일부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제 1 통형상 부분(565a)은 끼워 넣음 후의 접속체(555)의 일부에 대해 대략의 영역에서 빈틈없이 배치된다.
통부(565)는 단차부(567)보다 축 방향 다른쪽측(제 1 유체 기기(401)측)에 제 2 통형상 부분(565b)을 갖는다. 이 제 2 통형상 부분(565b)은 제 1 유체 유로(421)의 유로 직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고, 또한, 접속체(515)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제 2 통형상 부분(565b)은 제 1 받이구부(551)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401)와 접속체(555)를 유체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제 1 유체 유로(421)와 접속체(555)의 내부 공간(578)을 연통시키도록 제 1 유체 기기(401)와 접속체(555) 사이에 배치된다.
돌출부(566)는 환상체로 이루어지며, 제 1 통형상 부분(565a)에서 통부(565)의 축 방향 한쪽측에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돌출부(566)의 내주측은 경사면(568)이 형성된다. 경사면(568)은 그 직경이 통부(565)측에서 돌출부(566)의 돌출 단부측(제 1 받이구부(551)의 개구부측)을 향해 점차 확대하도록 형성된다. 경사면(568)은 돌출부(566)의 전체둘레에 걸쳐 연장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 2 받이구부(552)는 제 1 받이구부(551)를 가상 중앙면(598)에 있어서 반전시킨 형상으로서, 제 1 받이구부(55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접속체(555)는 제 1 받이구부(551)에 대응하는 제 1 부분(555a)과, 제 2 받이구부(552)에 대응하는 제 2 부분(555b)을 갖는다. 제 1 부분(555a)은 대략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유체 유로를 구비한다. 이 제 1 부분(555a)의 유체 유로는 접속체(555)에 있어서 제 1 부분(555a)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으로 형성된다. 제 1 부분(555a)은 통부(565)에 끼워 넣어지고, 제 1 받이구부(551)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이 유체 유로로서의 내부 공간(578)이 제 1 유체 유로(421)와 접속된다.
제 1 부분(555a)에는 감합부(571)와, 돌출부(572)가 형성된다. 감합부(57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감합부(571)는 제 1 부분(555a)이 제 1 받이구부(551)에 장착되었을 때, 통부(565)에 대해 전체둘레에 걸쳐 포위된 상태에서 끼워 맞춰진다. 제 1 부분(555a)의 감합부(571)의 단부(접속체(415)의 축 방향 중도부)에는 돌출부(572)가 접속체(555)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돌출부(572)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출부(572)는 제 1 부분(555a)이 제 1 받이구부(551)에 장착되었을 때에, 해당 돌출부(572)의 외주면인 테이퍼면(575)을 돌출부(566)의 경사면(568)에 압접시킨다. 테이퍼면(575)은 그 직경이 통부(565)측에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대되도록 형성된다. 테이퍼면(575)은 돌출부(572)의 전체둘레에 걸쳐 연장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접속체(555)는 그 축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해당 축 방향에 있어서 접속체(555)의 중앙에 위치하는 가상 중앙면(598)에 대해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즉, 제 1 부분(555a) 및 제 2 부분(555b)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401)와 제 2 유체 기기(402)의 접속시에, 접속체(555)가 제 1 시일부(561) 및 제 2 시일부(562)를 형성한다. 그리고, 접속체(555)의 제 1 부분(555a)의 테이퍼면(575)이 제 1 받이구부(551)에 있어서의 경사면(568)에 압접되고, 제 2 부분(555b)의 테이퍼면(575)이 제 2 받이구부(552)에 있어서의 경사면(568)에 압접된다. 이것에 의해, 유체가 제 1 유체 기기(401)와 제 2 유체 기기(402)의 접속부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 1 유체 기기(401)와 제 2 유체 기기(402)를 종래의 튜브 등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단거리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와 마찬가지로, 서로 유체적으로 접속된 제 1 유체 기기(401) 및 제 2 유체 기기(402)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 중, 제 2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제 1 받이구부(611)와 접속체(615) 사이를 시일하는 제 1 시일부(621)에 관한 구성 및, 제 2 받이구부(612)와 접속체(615) 사이를 시일하는 제 2 시일부(622)에 관한 구성이 상기 제 2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받이구부(611)는 제 1 유체 기기(401)에 적용되는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유체 기기(401)의 케이싱(435)과 일체화된 것이다. 제 1 받이구부(611)는 외통부(625)와 내통부(626)를 갖는다. 외통부(625)는 대략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고, 케이싱(435)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며, 케이싱(435)에 있어서의 제 1 유체 유로(421)의 근방에 마련된다.
외통부(625)는 그 돌출 단부(축 방향 한쪽의 단부)측에서 접속체(615)의 일부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외통부(625)는 끼워 넣음 후의 접속체(615)의 일부에 대해 대략 빈틈없이 배치된다. 또, 외통부(625)의 외주에는 제 1 나사(423)가 외통부(625)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 1 나사(423)는 수나사로 구성된다.
내통부(626)는 외통부(625)의 내경보다 작은 대략 일정한 외경을 갖는 원통체이다. 내통부(626)는 외통부(625)의 돌출 방향(제 1 받이구부(611)의 축 방향 한쪽)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케이싱(435)에 있어서의 제 1 유체 유로(421)의 근방에 마련된다. 내통부(626)는 외통부(625)에 대해 소정 간격을 두도록 직경 방향 안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외통부(625)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내통부(626)는 그 돌출 단부가 외통부(625)의 돌출 단부보다 돌출 방향측(제 1 유체 기기(401), 제 2 유체 기기(402)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즉 케이싱(435)으로부터 외통부(625)보다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 1 받이구부(611)가 외통부(625)의 축 방향(제 1 받이구부(611)의 축 방향)에 있어서 외통부(625)의 축 방향 중도부에서 이중 통형상을 띠도록 형성된다.
내통부(626)는 제 1 유체 유로(421)의 유로 직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또한 접속체(615)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내통부(626)는 제 1 유체 기기(401)와 접속체(615) 사이에 배치되며, 제 1 유체 유로(421)와 접속체(615)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킨다. 제 1 받이구부(611)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401)와 접속체(615)가 유체적으로 접속된다.
내통부(626)의 돌출 단부는 내통부(626)의 돌출 방향을 향해 끝이 가느다란 형상으로 형성된다. 내통부(626)의 돌출 단부의 외주면에는 테이퍼면(628)이 형성된다. 테이퍼면(628)은 그 직경이 내통부(626)의 돌출 방향(제 1 받이구부(611)의 축 방향 한쪽)인 가상 중앙면(648)측을 향해 점차 축소하도록 형성된다. 테이퍼면(628)은 내통부(626)의 돌출 단부의 전체둘레에 걸쳐 연장설치된다.
제 2 받이구부(61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받이구부(6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접속체(615)는 제 1 받이구부(611)에 대응하는 제 1 부분(615a)과, 제 2 받이구부(612)에 대응하는 제 2 부분(615b)을 갖는다. 제 1 부분(615a)은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유체 유로를 구비한다. 이 제 1 부분(615a)의 유체 유로는 접속체(615)에 있어서 제 1 부분(615a)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으로 형성된다. 제 1 부분(615a)은 내통부(626)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제 1 받이구부(611)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제 1 부분(615a)의 유체 유로가 제 1 유체 유로(421)와 접속된다.
제 1 부분(615a)에는 감합부(631)와, 돌출부(632)가 포함된다. 감합부(63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감합부(631)는 제 1 부분(615a)이 제 1 받이구부(611)에 장착되었을 때, 내통부(626)에 외부끼움된다. 그리고, 감합부(631)의 축 방향 양단부 중의 한쪽의 단부(접속체(615)의 중도부)에 있어서, 돌출부(632)가 접속체(615)의 직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돌출부(632)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출부(632)는 제 1 부분(615a)이 제 1 받이구부(611)에 장착되었을 때에 해당 돌출부(632)의 내주면에 있는 경사면(635)을 내통부(626)의 테이퍼면(628)에 압접시킨다. 경사면(635)은 그 직경이 가상 중앙면(648)에서 제 1 유체 기기(401) 또는 제 2 유체 기기(402)측을 향해 점차 확대하도록 형성된다. 경사면(635)은 돌출부(632)의 전체둘레에 걸쳐 연장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체(615)는 그 축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해당 축 방향에 있어서 접속체(615)의 중앙에 위치하는 가상 중앙면(648)에 대해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즉, 제 1 부분(615a) 및 제 2 부분(615b)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401)와 제 2 유체 기기(402)의 접속시, 접속체(615)가 제 1 시일부(621) 및 제 2 시일부(622)를 형성한다. 그리고, 접속체(615)의 제 1 부분(615a)의 경사면(635)이 제 1 받이구부(611)에 있어서의 테이퍼면(628)에 압접되고, 제 2 부분(615b)의 경사면(635)이 제 2 받이구부(612)에 있어서의 테이퍼면(628)에 압접된다. 이것에 의해, 유체가 제 1 유체 기기(401)와 제 2 유체 기기(402)의 접속부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 1 유체 기기(401)와 제 2 유체 기기(402)를 종래의 튜브 등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단거리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와 마찬가지로, 서로 유체적으로 접속된 제 1 유체 기기(401) 및 제 2 유체 기기(402)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 중, 제 2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체결 부재(666) 및 이에 관련된 개소(제 1 통형상 부재(663) 및 제 2 통형상 부재(664))이 상기 제 2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와 상이하다.
제 1 통형상 부재(663)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 1 관통구멍(671)을 갖는다. 각 제 1 관통구멍(671)은 제 1 통형상 부재(663)의 축부에 축 방향으로 개구되는 개구부(제 3 나사(428))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제 1 관통구멍(671)은 상기 개구부보다 제 1 통형상 부재(663)의 직경 방향 바깥쪽에 있어서, 제 1 통형상 부재(663)의 둘레 방향에 소정 간격마다 형성된다.
제 2 통형상 부재(664)는 원주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 2 관통구멍(672)을 갖는다. 각 제 2 관통구멍(672)은 제 2 통형상 부재(664)의 축부에 축 방향으로 개구되는 개구부(제 4 나사(429))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제 2 관통구멍(672)은 상기 개구부보다 제 2 통형상 부재(664)의 직경 방향 바깥쪽에 있어서, 제 2 통형상 부재(664)의 둘레 방향에 소정 간격마다 형성된다.
체결 부재(666)는 볼트(683) 및 너트 등의 통형상 부재(684)로 구성된다. 볼트(683)는 서로 동축상에 배치된 제 1 관통구멍(671) 및 제 2 관통구멍(672)에 삽입통과된다. 제 1 관통구멍(671) 또는 제 2 관통구멍(672)으로부터 돌출된 볼트(683)가 통형상 부재(684)에 의해 체결된다.
이러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의해, 체결 부재(666)가, 제 1 받이구부(411) 및 제 2 받이구부(412)의 직경 방향 외측에서, 제 1 통형상 부재(663) 및 제 2 통형상 부재(664)를 조일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볼트(683)의 조임이 실행됨에 따라, 제 1 통형상 부재(663) 및 제 2 통형상 부재(664)가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 1 유체 기기(401)와 제 2 유체 기기(402)를 유체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제 1 유체 기기(401)와 제 2 유체 기기(402) 사이에 개재시킬 필요가 있던 종래의 튜브 등의 부재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2대의 유체 기기(401·2)의 접속부로부터의 유체의 누설도 방지할 수 있으며, 서로 접속된 2대의 유체 기기(401·2)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 중, 제 3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 중, 제 3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24는 도 22의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의 2대의 유체 기기의 이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도 22의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의 2대의 유체 기기의 접속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 내지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제 1 유체 기기(701)와 제 2 유체 기기(702)를 유체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이용된다. 환언하면,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제 1 유체 기기(701)와 제 2 유체 기기(702)가 접속되는 것에 의해, 내부에 유체를 흘릴 수 있는 것이다.
제 1 유체 기기(701) 및 제 2 유체 기기(702)는 서로 근접한 상태에서 병치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제 1 유체 기기(701) 및 제 2 유체 기기(702)의 각각의 구체예로서는 소정의 유체 유로를 갖는 밸브, 유량계, 펌프 및 이음매를 들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제 1 받이구부(711)와, 제 2 받이구부(712)와, 제 1 통형상 부재(713)와, 제 2 통형상 부재(714)와, 접속체(715)를 구비한다.
제 1 받이구부(711)는 제 1 유체 기기(701)에 마련된다. 제 1 받이구부(711)는 제 1 유체 기기(701)의 제 1 유체 유로(721)에 접속된다. 제 1 받이구부(711)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2 받이구부(712)는 제 2 유체 기기(702)에 마련된다. 제 2 받이구부(712)는 제 2 유체 기기(702)의 제 2 유체 유로(725)에 접속된다. 제 2 받이구부(712)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통형상 부재(713)는 제 1 받이구부(711)에 마련된다. 제 1 통형상 부재(713)는 그 외주측에 제 1 나사결합부(753)를 갖는다.
제 2 통형상 부재(714)는 제 2 받이구부(712)에 마련된다. 제 2 통형상 부재(714)는 그 내주측에 제 2 나사결합부(754)를 갖는다.
접속체(715)는 제 1 받이구부(711)와 제 2 받이구부(712) 사이에 마련된다. 접속체(715)는 제 1 받이구부(711)와의 사이를 시일하고, 또한, 제 2 받이구부(712)와의 사이를 시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 제 1 통형상 부재(713)와 제 2 통형상 부재(714)가 제 1 나사결합부(753)와 제 2 나사결합부(754)에 의해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관한 2대의 유체 기기(701·702)는 각각의 받이구부(711·712)가 서로 축 방향으로 대향한 상태에서 설치된다.
제 1 받이구부(711)는 제 1 유체 기기(701)에 적용되는 것이다. 제 1 받이구부(711)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유체 기기(701)의 케이싱(735)과 일체화된 것이다. 또한, 제 1 받이구부(711)는 케이싱(735)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으며, 별체로 해도 좋다.
제 1 받이구부(711)는 외통부(741)와, 내통부(742)를 갖는다. 외통부(741)는 대략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케이싱(735)에 있어서의 제 1 유체 유로(721)의 개구부 주위 근방에 케이싱(735)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외통부(741)는 그 돌출 단부(축 방향 한쪽의 단부)(743)측에서 접속체(715)의 일부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외통부(741)는 그 직경 방향에 있어서, 끼워 넣음 후의 접속체(715)의 일부에 대해 대략 빈틈없이 배치된다.
또, 외통부(741)는 제 1 나사(고정용 나사)(723)를 포함한다. 제 1 나사(723)는 외통부(741)의 외주에, 외통부(741)의 축 방향을 따라 마련된다. 제 1 나사(723)는 수나사로 구성된다.
내통부(742)는 외통부(741)의 내경보다 작고, 대략 일정한 외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케이싱(735)에 있어서의 제 1 유체 유로(721)의 개구부 주위 근방에 외통부(741)의 돌출 방향(제 1 받이구부(711)의 축 방향 한쪽)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내통부(742)는 외통부(741)의 직경 방향 안쪽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동시에, 외통부(741)와의 관계에 있어서 축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다.
여기서, 내통부(742)는 그 돌출 단부(744)가 외통부(741)의 돌출 단부(743)보다 돌출 방향에 대해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즉 케이싱(735)으로부터 외통부(741)보다 돌출하지 않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 1 받이구부(711)가 외통부(741)의 축 방향(제 1 받이구부(711)의 축 방향)에 있어서 외통부(741)의 축 방향 다른쪽측(케이싱(735)측)에서 이중 통형상을 띠도록 형성된다.
내통부(742)는 제 1 유체 유로(721)의 유로 직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고, 또한, 접속체(715)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내통부(742)는 제 1 받이구부(711)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701)와 접속체(715)를 유체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제 1 유체 유로(721)와 접속체(715)의 내부 공간(748)을 연통시키도록 제 1 유체 기기(701)와 접속체(715) 사이에 배치된다.
내통부(742)의 외주면과, 이에 대향하는 외통부(741)의 내주면 사이에는 환상의 홈부(746)가 형성된다. 홈부(746)는 외통부(741) 및 내통부(742)의 돌출 방향(제 2 받이구부(712)측)에 개구되고 또한 전체둘레에 걸쳐 형성된다. 또, 내통부(742)의 돌출 단부(744) 근방에는 경사면(747)이 형성된다. 경사면(747)은 제 1 유체 유로(721)측에서 내통부(742)의 돌출 단부(744)측을 향해 직경이 점차 확대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받이구부(711)는 소정의 수지, 예를 들면 PFA(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퍼플루오로 알킬 비닐 에테르 공중합체), PVDF(폴리비닐리덴 플루오리드), ETFE(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FEP(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헥사 플루오로 프로필렌 공중합체) 또는 PTFE(폴리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 등의 불소 수지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불소 수지에 한정되지 않으며, 폴리 프로필렌(PP) 등의 기타 수지라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받이구부(712)는 제 1 받이구부(711)를 가상 중앙면(768)을 따라 반전시킨 형상으로서, 제 1 받이구부(7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그 때문에, 제 2 받이구부(712)에 대해서는 제 1 받이구부(711)의 구성요소와 대략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고정용 나사로서의 제 1 나사(723) 및 제 2 나사(726)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라도 다른 부호를 붙이고 있는 경우도 있다.
접속체(715)는 제 1 시일부(731)와, 제 2 시일부(732)를 갖는다. 여기서, 제 1 시일부(731)는 접속체(715)와 제 1 받이구부(711) 사이를 시일하는 것이다. 제 2 시일부(732)는 접속체(715)와 제 2 받이구부(712) 사이를 시일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접속체(715)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접속체(715)는 제 1 받이구부(711)에 대응하는 제 1 부분(715a)과, 제 2 받이구부(712)에 대응하는 제 2 부분(715b)을 갖는다(도 23 참조). 제 1 부분(715a)은 대략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접속체(715)의 내부 공간(748)의 일부로 이루어지는 유체 유로를 구비한다. 제 1 부분(715a)의 유체 유로는 제 1 유체 유로(721)와 연통하도록, 외통부(741)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제 1 받이구부(711)에 장착된다.
제 1 부분(715a)에는 감합부(761)와, 돌출부(762)와, 돌기(763)가 포함된다. 감합부(76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감합부(761)는 제 1 부분(715a)이 제 1 받이구부(711)에 장착되었을 때, 외통부(741)를 전체둘레에 걸쳐 직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포위한 상태에서 끼워 맞춰진다. 그리고, 감합부(761)의 축 방향 양단부 중의 한쪽의 단부(제 1 유체 기기(701)측)에는 돌출부(762) 및 돌기(763)가 각각 형성된다.
돌출부(762) 및 돌기(763)는 각각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출부(762)는 제 1 부분(715a)이 제 1 받이구부(711)에 장착되었을 때에, 제 1 받이구부(711)의 홈부(746)에 대해 전체둘레에 걸쳐 압입된다. 또, 돌출부(762)는 제 1 받이구부(711)에 형성된 홈부(746)의 제 1 유체 기기(701)측의 측면에 접촉하지 않은 상태에서 삽입통과된다.
돌기(763)에는 가상 중앙면(768)측에서 제 1 유체 기기(701)측을 향해 점차 축소하는 테이퍼면(765)이 형성된다. 테이퍼면(765)은 제 1 부분(715a)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돌출부(762)의 안쪽에 배치된다. 테이퍼면(765)은 제 1 부분(715a)의 축 방향에 있어서, 내통부(742)의 경사면(747)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테이퍼면(765)은 제 1 부분(715a)이 제 1 받이구부(711)에 장착되었을 때에 내통부(742)의 경사면(747)에 압접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체(715)는 그 축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해당 축 방향에 있어서의 접속체(715)의 중앙에 위치하는 가상 중앙면(768)에 대해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즉, 제 1 부분(715a) 및 제 2 부분(715b)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그 때문에, 제 2 부분(715b)에 대해서는 도면 중에서 제 1 부분(715a)의 구성요소와 대략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체(715)는 소정의 수지, 예를 들면 PFA, PVDF, ETFE, FEP 또는 PTFE 등의 불소 수지나 기타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제조된다.
또한, 접속체(715)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1 부분(715a) 및 제 2 부분(715b)을 일체화한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 대신에,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연결한 것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통형상 부재(713)는 제 1 받이구부(711), 상세하게는 그 외통부(741)를 포위한 상태에서, 제 1 받이구부(711)(외통부(74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 1 통형상 부재(713)는 제 1 나사결합부(753)에 부가하여, 제 1 나사(723)에 나사결합된 제 3 나사(고정용 나사)(728)를 더 갖는다. 제 3 나사(728)는 제 1 통형상 부재(713)의 내주에 형성된다. 제 1 나사결합부(753)는 제 1 통형상 부재(713)의 외주에 형성된다.
제 2 통형상 부재(714)는 제 2 받이구부(712), 상세하게는 그 외통부(741)을 포위한 상태에서, 제 2 받이구부(712)(외통부(741))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된다. 제 2 통형상 부재(714)는 제 2 나사결합부(754)에 부가하여, 제 2 나사(726)에 나사결합된 제 4 나사(고정용 나사)(729)를 더 갖는다. 제 4 나사(729)는 제 2 통형상 부재(714)의 내주에 형성된다. 제 2 나사결합부(754)는 제 2 통형상 부재(714)의 내주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통형상 부재(713)는 제 3 나사(728)가 제 1 나사(723)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제 1 받이구부(711)의 외통부(741)를 그 전체둘레에 걸쳐 포위하면서 제 1 받이구부(711)에 부착된다. 제 3 나사(728)는 암나사로 구성된다. 제 1 통형상 부재(713)에 있어서, 제 3 나사(728)는 제 1 유체 기기(701)측(제 1 통형상 부재(713)의 축 방향 다른쪽측)에 형성된다.
제 1 나사결합부(753)는 제 1 통형상 부재(713)에 있어서, 외통부(741)의 돌출 방향측인 제 1 유체 기기(701)의 반대측(제 1 통형상 부재(713)의 축 방향 한쪽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나사결합부(753)는 제 1 통형상 부재(713)의 외주에 제 5 나사(제 1 나사결합부용 나사)(756)를 갖는다. 제 5 나사(756)는 제 1 통형상 부재(713)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수나사로 구성된다.
제 2 통형상 부재(714)는 제 4 나사(729)가 제 2 나사(726)에 나사결합된 상태에서, 제 2 받이구부(712)의 외통부(741)를 그 전체둘레에 걸쳐 포위하면서 제 2 받이구부(712)에 부착된다. 제 4 나사(729)는 암나사로 구성된다. 제 2 통형상 부재(714)에 있어서, 제 4 나사(729)는 제 2 유체 기기(702)측(제 2 통형상 부재(714)의 축 방향 다른쪽측)에 배치된다.
제 2 나사결합부(754)는 제 2 통형상 부재(714)에 있어서, 외통부(741)의 돌출 방향측인 제 2 유체 기기(702)의 반대측(제 2 통형상 부재(714)의 축 방향 한쪽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2 나사결합부(754)는 제 2 통형상 부재(714)의 내주에 제 6 나사(제 2 나사결합부용 나사)(757)를 갖는다. 제 6 나사(757)는 제 2 통형상 부재(714)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암나사로 구성된다.
제 6 나사(757)는 제 2 통형상 부재(714)가 제 1 통형상 부재(713)로부터 이반되는 것을 규제하도록 제 1 통형상 부재(713)의 제 5 나사(756)와 나사결합된다. 여기서, 제 5 나사(756)에 대한 제 6 나사(757)의 나사 방향이 제 2 나사(726)에 대한 제 4 나사(729)의 나사 방향과 반대로 되어 있다. 즉, 제 5 나사(756) 및 제 6 나사(757)가 제 2 나사(726) 및 제 4 나사(729)에 대해 역나사 구조를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 2 통형상 부재(714)는 제 4 나사(729)를 구비한 베이스부(758)와, 제 6 나사(757)를 구비하는 선단부(759)를 갖는다. 베이스부(758)는 선단부(759)보다 작은 내경을 가지며, 선단부(759)에 대해 제 2 통형상 부재(714)의 축 방향 다른쪽측에 마련된다. 선단부(759)는 제 6 나사(757)가 제 5 나사(756)에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해, 제 1 통형상 부재(713)의 제 5 나사(756)를 대략 포위한 상태에서 제 1 통형상 부재(713)에 고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통형상 부재(713)는 소정의 수지, 예를 들면 PFA, PVDF, ETFE, FEP 또는 PTFE 등의 불소 수지에 의해 제조된다. 또, 제 2 통형상 부재(714)는 제 1 통형상 부재(713)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수지, 예를 들면 PFA, PVDF, ETFE, FEP 또는 PTFE 등의 불소 수지에 의해 제조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701)와 제 2 유체 기기(702)가 유체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에는 제 2 통형상 부재(714)의 제 6 나사(757)가 제 1 통형상 부재(713)의 제 5 나사(756)와 나사결합된다. 즉, 제 2 통형상 부재(714)가 제 1 통형상 부재(713)에 고정된다. 접속체(715)의 돌출부(762)가 홈부(746)에 압입되고, 또한, 돌기(763)의 테이퍼면(765)이 내통부(742)의 돌출 단부(744) 및 경사면(747)에 압접된다.
제 1 유체 기기(701)와 제 2 유체 기기(702)의 접속시에는 우선,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나사(728)를 제 1 나사(723)에 나사결합하여, 제 1 받이구부(711)에 제 1 통형상 부재(713)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제 4 나사(729)를 제 2 나사(726)에 나사결합하여, 제 2 받이구부(712)에 제 2 통형상 부재(714)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킨다.
다음에, 제 1 받이구부(711) 및 제 2 받이구부(712)의 어느 한 쪽에 접속체(715)를 삽입한다. 그리고,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이반 상태에 있는 제 1 유체 기기(701)와 제 2 유체 기기(702)를 대향시켜, 접속체(715)를 제 1 받이구부(711) 및 제 2 받이구부(712)의 다른쪽에 접근시킨다.
또한, 접속체(715)를 제 1 받이구부(711) 및 제 2 받이구부(712)의 다른쪽에 삽입하면서, 제 1 통형상 부재(713)와 제 2 통형상 부재(714)를 접근시킨다. 그리고, 제 5 나사(756)와 제 6 나사(757)를 나사결합하여, 제 1 통형상 부재(713)를 제 2 통형상 부재(714)에 끼워 넣는다. 이와 같이, 상기 역 나사 구조를 갖는 제 5 나사(756) 및 제 6 나사(757)를 이용하여, 제 1 통형상 부재(713)와 제 2 통형상 부재(714)를 체결한다.
제 1 통형상 부재(713)와 제 2 통형상 부재(714)를 체결 후, 즉 제 1 유체 기기(701)와 제 2 유체 기기(702)의 접속 후에는 제 1 유체 기기(701)측에 있어서, 제 1 시일부(731)에 의해 접속체(715)와 제 1 받이구부(711) 사이가 시일된다. 또, 제 2 유체 기기(702)측에 있어서, 제 2 시일부(732)에 의해 접속체(715)와 제 2 받이구부(712) 사이가 시일된다. 제 1 시일부(731)와 제 2 시일부(732)에 의하면, 시일력이 축 방향에 작용하는 1차 시일 영역(781)과, 시일력이 직경 방향에 작용하는 2차 시일 영역(78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의하면, 2대의 유체 기기(701·702)의 접속부로부터의 유체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1 유체 기기(701)와 제 2 유체 기기(702)를 유체적으로 접속하기 위해, 제 1 유체 기기(701)와 제 2 유체 기기(702) 사이에 튜브 등의 부재를 개재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2대의 유체 기기(701·702)를 가능한 한 근접시킨 상태에서 유체적으로 접속하여, 이들 유체 기기(701·702)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접속체(715)는 장출부(788)을 갖는다. 장출부(788)는 제 1 유체 기기(701)와 제 2 유체 기기(702)가 유체적으로 접속된 상태에 있어서, 제 1 받이구부(711)와 제 2 받이구부(712) 사이에 배치된다.
장출부(788)는 제 1 받이구부(711)와 제 2 받이구부(712) 사이에 비접촉 상태에서 배치된다. 장출부(788)는 접속체(715)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비어져 나와 있으며, 환상으로 형성된다.
장출부(788)는 제 1 받이구부(711) 및 제 2 받이구부(712)의 각각의 돌출 단부(743)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다. 장출부(788)는 접속체(715)에 있어서의 가상 중앙면(768)상으로서, 접속체(715)의 축 방향 중도부(접속체(715)에 있어서의 제 1 부분(715a)과 제 2 부분(715b)의 경계부)에 마련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장출부(788)는 접속체(715)가 제 1 받이구부(711)와 제 2 받이구부(712)에 장착될 때에 각각의 돌출 단부(743·743) 사이에 개재하도록 배치된다. 장출부(788)는 제 1 받이구부(711)의 돌출 단부(743)와 축 방향으로 대향하고, 또한, 제 1 받이구부(711)의 돌출 단부(743)와 축 방향으로 대향한다. 장출부(788)는 제 1 받이구부(711) 및 제 2 받이구부(712)에서 접속체(715)를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 도 26 내지 도 28을 이용하여, 본 발명 중, 제 3 발명의 제 2 실시형태 내지 제 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면 중, 상기 제 3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면 중에서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26은 본 발명 중, 제 3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제 1 받이구부(811)와 접속체(815) 사이를 시일하는 제 1 시일부(821)에 관한 구성 및, 제 2 받이구부(812)와 접속체(815) 사이를 시일하기 위한 제 2 시일부(822)에 관한 구성이 상기 제 3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와 상이하다.
제 1 받이구부(811)는 제 1 유체 기기(701)에 적용되는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유체 기기(701)의 케이싱(735)과 일체화된 것이다. 제 1 받이구부(811)는 통부(825)와, 환상 돌기(826)를 갖는다. 통부(825)는 대략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케이싱(735)에 있어서의 제 1 유체 유로(721)의 개구부 주위 근방에 케이싱(735)의 외부를 향해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통부(825)는 그 돌출 단부(축 방향 한쪽의 단부)측으로부터 접속체(815)의 일부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통부(825)는 끼워 넣음 후의 접속체(815)의 일부에 대해, 상기 돌출 단부 부근을 제외하고 대략 빈틈없이 배치된다. 또, 통부(825)의 외주에는 제 1 나사(723)가 통부(825)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 1 나사(723)는 수나사로 구성된다.
환상 돌기(826)는 통부(825)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링 형상체로 이루어지고, 케이싱(735)에 있어서의 제 1 유체 유로(721)의 개구부 주위 근방에 통부(825)의 돌출 방향(통부(825)의 축 방향 한쪽)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환상 돌기(826)는 통부(825)의 직경 방향 안쪽에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동시에, 통부(825)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환상 돌기(826)는 제 1 유체 유로(721)의 유로 직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또한, 접속체(815)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환상 돌기(826)는 제 1 유체 기기(701)와 접속체(815) 사이에 배치되며, 제 1 유체 유로(721)와 접속체(815)의 내부 공간(838)을 연통시킨다. 제 1 받이구부(811)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701)와 접속체(815)가 유체적(유체가 내부를 흐를 수 있도록)으로 접속된다.
환상 돌기(826)의 외주면에는 테이퍼면(828)이 포함된다. 테이퍼면(828)은 그 외경이 환상 돌기(826)의 돌출 방향(제 1 받이구부(811)의 축 방향 한쪽)을 향해 축 방향으로 점차 축소하도록 형성된다. 테이퍼면(828)은 환상 돌기(826)의 외주에 있어서 전체둘레에 걸쳐 연장설치되고, 해당 테이퍼면(828)과 대향하는 통부(825)의 내주면이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제 2 받이구부(81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받이구부(8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그 때문에, 제 2 받이구부(812)에 대해서는 제 1 받이구부(811)의 구성요소와 대략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제 1 나사(723), 제 2 나사(726)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라도 다른 부호를 붙이고 있는 경우도 있다.
접속체(815)는 제 1 받이구부(811)에 대응하는 제 1 부분(815a)과, 제 2 받이구부(812)에 대응하는 제 2 부분(815b)을 갖는다. 제 1 부분(815a)은 대략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유체 유로를 구비한다. 이 제 1 부분(815a)의 유체 유로는 접속체(815)에 있어서 제 1 부분(815a)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으로 형성된다. 제 1 부분(815a)의 유체 유로는 제 1 유체 유로(721)와 연통하도록, 통부(825)에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제 1 받이구부(811)에 장착된다.
제 1 부분(815a)에는 감합부(831)와, 돌출부(832)가 포함된다. 감합부(83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감합부(831)는 제 1 부분(815a)이 제 1 받이구부(811)에 장착되었을 때, 통부(825)에 내부끼움된다. 그리고, 제 1 부분(815a)에 있어서의 감합부(831)의 축 방향 양단부 중의 한쪽의 단부(감합부(831)의 제 1 유체 기기(701)측)에는 돌출부(832)가 축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돌출부(832)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출부(832)는 제 1 부분(815a)이 제 1 받이구부(811)에 장착되었을 때에, 해당 돌출부(832)의 내주측에 형성된 경사면(835)을 환상 돌기(826)의 테이퍼면(828)에 대해 압접시킨다. 경사면(835)은 돌출부(832)의 돌출 방향(제 1 유체 기기(701)측)을 향해 점차 확대하도록 형성된다. 경사면(835)은 돌출부(832)와 대향하고, 돌출부(832)의 전체둘레에 걸쳐 연장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접속체(815)는 그 축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해당 축 방향에 있어서 접속체(815)의 중앙에 위치하는 가상 중앙면(848)에 대해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즉, 제 1 부분(815a) 및 제 2 부분(815b)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의해, 상기 제 3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와 마찬가지로, 서로 유체적으로 접속된 제 1 유체 기기(701) 및 제 2 유체 기기(702)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1 유체 기기(701)와 제 2 유체 기기(702)의 접속시, 접속체(815)가 제 1 시일부(821) 및 제 2 시일부(822)를 형성한다. 그리고, 접속체(815)의 제 1 부분(815a)의 경사면(835)이 제 1 받이구부(811)에 있어서의 테이퍼면(828)에 압접되고, 제 2 부분(815b)의 경사면(835)이 제 2 받이구부(812)에 있어서의 테이퍼면(828)에 압접된다.
따라서, 제 1 유체 기기(701)와 제 2 유체 기기(702)의 접속부에서 유체가 누설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 1 유체 기기(701)와 제 2 유체 기기(702)를 종래의 튜브 등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단거리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7은 본 발명 중, 제 3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제 1 받이구부(851)와 접속체(855) 사이를 시일하는 제 1 시일부(861)에 관한 구성 및, 제 2 받이구부(852)와 접속체(855) 사이를 시일하기 위한 제 2 시일부(862)에 관한 구성이 상기 제 3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와 상이하다.
제 1 받이구부(851)는 제 1 유체 기기(701)에 적용되는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유체 기기(701)의 케이싱(735)과 일체화된 것이다. 제 1 받이구부(851)의 외주에는 제 1 나사(723)가 제 1 받이구부(851)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 1 나사(723)는 수나사로 구성된다.
제 1 받이구부(851)는 통부(865)와, 돌출부(866)를 갖는다. 통부(865)는 단차를 내주에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케이싱(735)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통부(865)는 케이싱(735)에 형성되는 제 1 유체 유로(721)의 개구부 근방에 마련된다.
통부(865)는 단차부(867)보다 축 방향 한쪽측(제 1 받이구부(851)의 개구부 측)에 제 1 통형상 부분(865a)을 갖는다. 이 제 1 통형상 부분(865a)은 접속체(855)의 일부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 제 1 통형상 부분(865a)은 끼워 넣음 후의 접속체(855)의 일부에 대해 대략의 영역에서 빈틈없이 배치된다.
통부(865)는 단차부(867)보다 축 방향 다른쪽측(제 1 유체 기기(701)측)에 제 2 통형상 부분(865b)을 갖는다. 이 제 2 통형상 부분(865b)은 제 1 유체 유로(721)의 유로 직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또한, 접속체(815)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제 2 통형상 부분(865b)은 제 1 받이구부(851)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701)와 접속체(855)를 유체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해, 제 1 유체 유로(721)와 접속체(855)의 내부 공간(878)을 연통시키도록 제 1 유체 기기(701)와 접속체(855) 사이에 배치된다.
돌출부(866)는 환상체로 이루어지며, 제 1 통형상 부분(865a)에서 통부(865)의 축 방향 한쪽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돌출부(866)의 내주측은 경사면(868)이 형성된다. 경사면(868)은 그 직경이 통부(865)측에서 돌출부(866)의 돌출 단부측(제 1 받이구부(851)의 개구부측)을 향해 점차 확대하도록 형성된다. 경사면(868)은 돌출부(866)의 전체둘레에 걸쳐 연장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 2 받이구부(852)는 제 1 받이구부(851)를 가상 중앙면(898)에 있어서 반전시킨 형상으로서, 제 1 받이구부(85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접속체(855)는 제 1 받이구부(851)에 대응하는 제 1 부분(855a)과, 제 2 받이구부(852)에 대응하는 제 2 부분(855b)을 갖는다. 제 1 부분(855a)은 대략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유체 유로를 구비한다. 이 제 1 부분(855a)의 유체 유로는 접속체(855)에 있어서 제 1 부분(855a)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으로 형성된다. 제 1 부분(855a)은 통부(865)에 끼워 넣어지고, 제 1 받이구부(851)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이 유체 유로로서의 내부 공간(878)이 제 1 유체 유로(721)와 접속된다.
제 1 부분(855a)에는 감합부(871)와, 돌출부(872)가 형성된다. 감합부(87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감합부(871)는 제 1 부분(855a)이 제 1 받이구부(851)에 장착되었을 때, 통부(865)에 대해 전체둘레에 걸쳐 포위된 상태에서 끼워 맞춰진다. 제 1 부분(855a)의 감합부(871)의 단부(접속체(715)의 축 방향 중도부)에는 돌출부(872)가 접속체(855)의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돌출부(872)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출부(872)는 제 1 부분(855a)이 제 1 받이구부(851)에 장착되었을 때에, 해당 돌출부(872)의 외주면인 테이퍼면(875)을 돌출부(866)의 경사면(868)에 압접시킨다. 테이퍼면(875)은 그 직경이 통부(865)측에서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확대하도록 형성된다. 테이퍼면(875)은 돌출부(872)의 전체둘레에 걸쳐 연장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접속체(855)는 그 축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해당 축 방향에 있어서 접속체(855)의 중앙에 위치하는 가상 중앙면(898)에 대해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즉, 제 1 부분(855a) 및 제 2 부분(855b)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701)와 제 2 유체 기기(702)의 접속시에, 접속체(855)가 제 1 시일부(861) 및 제 2 시일부(862)를 형성한다. 그리고, 접속체(855)의 제 1 부분(855a)의 테이퍼면(875)이 제 1 받이구부(851)에 있어서의 경사면(868)에 압접되고, 제 2 부분(855b)의 테이퍼면(875)이 제 2 받이구부(852)에 있어서의 경사면(868)에 압접된다. 이것에 의해, 유체가 제 1 유체 기기(701)와 제 2 유체 기기(702)의 접속부에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 1 유체 기기(701)와 제 2 유체 기기(702)를 종래의 튜브 등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단거리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와 마찬가지로, 서로 유체적으로 접속된 제 1 유체 기기(701) 및 제 2 유체 기기(702)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 중, 제 3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의 단면도이다. 동일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는 제 1 받이구부(911)와 접속체(915) 사이를 시일하는 제 1 시일부(921)에 관한 구성 및, 제 2 받이구부(912)와 접속체(915) 사이를 시일하는 제 2 시일부(922)에 관한 구성이 상기 제 3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와 상이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받이구부(911)는 제 1 유체 기기(701)에 적용되는 것이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유체 기기(701)의 케이싱(735)과 일체화된 것이다. 제 1 받이구부(911)는 외통부(925)와, 내통부(926)를 갖는다. 외통부(925)는 대략 일정한 내경을 갖는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케이싱(735)의 외부를 향해 돌출되고, 케이싱(735)에 있어서의 제 1 유체 유로(721)의 근방에 마련된다.
외통부(925)는 그 돌출 단부(축 방향 한쪽의 단부)측으로부터 접속체(915)의 일부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외통부(925)는 끼워 넣음 후의 접속체(915)의 일부에 대해 대략 빈틈없이 배치된다. 또, 외통부(925)의 외주에는 제 1 나사(723)가 외통부(925)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제 1 나사(723)는 수나사로 구성된다.
내통부(926)는 외통부(925)의 내경보다 작은 대략 일정한 외경을 갖는 원통체이다. 내통부(926)는 외통부(925)의 돌출 방향(제 1 받이구부(911)의 축 방향 한쪽)과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고, 케이싱(735)에 있어서의 제 1 유체 유로(721)의 근방에 마련된다. 내통부(926)는 외통부(925)에 대해 소정 간격을 두도록 직경 방향 안쪽에 배치되는 동시에, 외통부(925)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된다.
여기서, 내통부(926)는 그 돌출 단부가 외통부(925)의 돌출 단부보다 돌출 방향측(제 1 유체 기기(701), 제 2 유체 기기(702)에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하도록, 즉 케이싱(735)으로부터 외통부(925)보다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 1 받이구부(911)가 외통부(925)의 축 방향(제 1 받이구부(911)의 축 방향)에 있어서 외통부(925)의 축 방향 중도부에서 이중 통형상을 띠도록 형성된다.
내통부(926)는 제 1 유체 유로(721)의 유로 직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고, 또한 접속체(915)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내경을 갖는다. 내통부(926)는 제 1 유체 기기(701)와 접속체(915) 사이에 배치되며, 제 1 유체 유로(721)와 접속체(915)의 내부 공간을 연통시킨다. 제 1 받이구부(911)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701)와 접속체(915)가 유체적으로 접속된다.
내통부(926)의 돌출 단부는 내통부(926)의 돌출 방향을 향해 끝이 가느다란 형상으로 형성된다. 내통부(926)의 돌출 단부의 외주면에는 테이퍼면(928)이 형성된다. 테이퍼면(928)은 그 직경이 내통부(926)의 돌출 방향(제 1 받이구부(911)의 축 방향 한쪽)인 가상 중앙면(948)측을 향해 점차 축소하도록 형성된다. 테이퍼면(928)은 내통부(926)의 돌출 단부의 전체둘레에 걸쳐 연장설치된다.
제 2 받이구부(91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받이구부(911)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접속체(915)는 제 1 받이구부(911)에 대응하는 제 1 부분(915a)과, 제 2 받이구부(912)에 대응하는 제 2 부분(915b)을 갖는다. 제 1 부분(915a)은 원통체로 이루어지며, 유체 유로를 구비한다. 이 제 1 부분(915a)의 유체 유로는 접속체(915)에 있어서 제 1 부분(915a)에 대응하는 내부 공간으로 형성된다. 제 1 부분(915a)은 내통부(926)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제 1 받이구부(911)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제 1 부분(915a)의 유체 유로가 제 1 유체 유로(721)와 접속된다.
제 1 부분(915a)에는 감합부(931)와, 돌출부(932)가 포함된다. 감합부(93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감합부(931)는 제 1 부분(915a)이 제 1 받이구부(911)에 장착되었을 때, 내통부(926)에 외부끼움된다. 그리고, 감합부(931)의 축 방향 양단부 중의 한쪽의 단부(접속체(915)의 중도부)에 있어서, 돌출부(932)가 접속체(915)의 직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된다.
돌출부(932)는 원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돌출부(932)는 제 1 부분(915a)이 제 1 받이구부(911)에 장착되었을 때에 해당 돌출부(932)의 내주면에 있는 경사면(935)을 내통부(926)의 테이퍼면(928)에 압접시킨다. 경사면(935)은 그 직경이 가상 중앙면(948)에서 제 1 유체 기기(701) 또는 제 2 유체 기기(702)측을 향해 점차 확대하도록 형성된다. 경사면(935)은 돌출부(932)의 전체둘레에 걸쳐 연장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접속체(915)는 그 축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해당 축 방향에 있어서 접속체(915)의 중앙에 위치하는 가상 중앙면(948)에 대해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즉, 제 1 부분(915a) 및 제 2 부분(915b)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701)와 제 2 유체 기기(702)의 접속시, 접속체(915)가 제 1 시일부(921) 및 제 2 시일부(922)를 형성한다. 그리고, 접속체(915)의 제 1 부분(915a)의 경사면(935)이 제 1 받이구부(911)에 있어서의 테이퍼면(928)에 압접되고, 제 2 부분(915b)의 경사면(935)이 제 2 받이구부(912)에 있어서의 테이퍼면(928)에 압접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유체 기기(701)와 제 2 유체 기기(702)의 접속부에서 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 1 유체 기기(701)와 제 2 유체 기기(702)를 종래의 튜브 등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단거리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3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와 마찬가지로, 서로 유체적으로 접속된 제 1 유체 기기(701) 및 제 2 유체 기기(702)의 설치 공간의 공간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술한 교시를 고려하면, 본 발명이 많은 변경 형태 및 변형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첨부의 청구범위내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이외의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하기 바란다.
1; 제 1 유체 기기 2; 제 2 유체 기기
11; 제 1 받이구부 12; 제 2 받이구부
13; 제 1 통형상 부재 14; 제 2 통형상 부재
15; 접속체 21; 제 1 유체 유로
25; 제 2 유체 유로 53; 제 1 계합부
54; 제 2 계합부 71; 제 1 본체부
72; 제 1 계합 발톱 76; 제 2 본체부
77; 제 2 계합 발톱 111; 제 1 받이구부
112; 제 2 받이구부 115; 접속체
151; 제 1 받이구부 152; 제 2 받이구부
155; 접속체 211; 제 1 받이구부
212; 제 2 받이구부 215; 접속체
271; 제 3 본체부 272; 제 1 돌출부
273; 오목부 281; 제 4 본체부
282; 제 2 돌출부 283; 볼록부
321; 제 5 본체부 322; 제 3 돌출부
323; 제 3 계합 발톱 331; 제 6 본체부
332; 제 4 돌출부 333; 제 4 계합 발톱
401; 제 1 유체 기기 402; 제 2 유체 기기
411; 제 1 받이구부 412; 제 2 받이구부
413; 제 1 통형상 부재 414; 제 2 통형상 부재
415; 접속체 416; 체결 부재
421; 제 1 유체 유로 425; 제 2 유체 유로
488; 장출부 496; 체결 부재
511; 제 1 받이구부 512; 제 2 받이구부
515; 접속체 551; 제 1 받이구부
552; 제 2 받이구부 555; 접속체
611; 제 1 받이구부 612; 제 2 받이구부
615; 접속체 666; 체결 부재
663; 제 1 통형상 부재 664; 제 2 통형상 부재
701; 제 1 유체 기기 702; 제 2 유체 기기
711; 제 1 받이구부 712; 제 2 받이구부
713; 제 1 통형상 부재 714; 제 2 통형상 부재
715; 접속체 721; 제 1 유체 유로
723; 제 1 나사(고정용 나사) 725; 제 2 유체 유로
726; 제 2 나사(고정용 나사) 728; 제 3 나사(고정용 나사)
729; 제 4 나사(고정용 나사) 753; 제 1 나사결합부
754; 제 2 나사결합부
756; 제 5 나사(제 1 나사결합부용 나사)
757; 제 6 나사(제 2 나사결합부용 나사)
788; 장출부 811; 제 1 받이구부
812; 제 2 받이구부 815; 접속체
851; 제 1 받이구부 852; 제 2 받이구부
855; 접속체 911; 제 1 받이구부
912; 제 2 받이구부 915; 접속체

Claims (15)

  1. 제 1 유체 기기와 제 2 유체 기기를 접속하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로서,
    상기 제 1 유체 기기의 제 1 유체 유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유체 기기에 마련된 통형상의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유체 기기의 제 2 유체 유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유체 기기에 마련된 통형상의 제 2 받이구부와,
    제 1 계합부를 갖고, 상기 제 1 받이구부에 마련된 제 1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1 계합부와 걸어 맞춤 가능한 제 2 계합부를 갖고, 상기 제 2 받이구부에 마련된 제 2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받이구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받이구부와의 사이를 시일하고, 또한, 상기 제 2 받이구부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접속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계합부와 상기 제 1 계합부의 걸어 맞춤에 의해,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가 고정되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는 상기 제 1 받이구부에 외부끼움된 상태에서 고정된 제 1 본체부와,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의 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또한 상기 제 1 본체부에 대해 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본체부에 마련된 제 1 계합 발톱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는 상기 제 2 받이구부에 외부끼움된 상태에서 고정된 제 2 본체부와, 상기 제 2 본체부의 축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1 계합 발톱과 걸어 맞출 수 있도록 상기 제 2 본체부에 마련된 제 2 계합 발톱 또는 발톱받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계합 발톱과, 해당 제 1 계합 발톱에 대향하는 상기 제 2 계합 발톱 또는 발톱받이가 걸어 맞춰진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의 이반이 규제되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받이구부는 상기 제 2 받이구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고,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는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받이구부는 서로 동축상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접속체만을 통해 접속되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체는 상기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받이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장출부를 갖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6. 제 1 유체 기기와 제 2 유체 기기를 접속하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로서,
    상기 제 1 유체 기기의 제 1 유체 유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유체 기기에 마련된 통형상의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유체 기기의 제 2 유체 유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유체 기기에 마련된 통형상의 제 2 받이구부와,
    상기 제 1 받이구부의 외주측에 마련된 제 1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2 받이구부의 외주측에 마련된 제 2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받이구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받이구부와의 사이를 시일하고, 또한, 상기 제 2 받이구부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접속체와,
    상기 접속체가 상기 제 1 받이구부 및 상기 제 2 받이구부 사이에 마련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 및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다른쪽에 대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조이는 체결 부재를 구비하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는 서로 대향해서 배치되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는 제 1 테이퍼부를 갖고,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는 제 2 테이퍼부를 갖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테이퍼부에 대해 대향해서 접촉하는 제 1 경사면과,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의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테이퍼부와 대향해서 접촉하는 제 2 경사면을 갖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체는 상기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받이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장출부를 갖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받이구부는 상기 제 2 받이구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11. 제 1 유체 기기와 제 2 유체 기기를 접속하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로서,
    상기 제 1 유체 기기의 제 1 유체 유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유체 기기에 마련된 통형상의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유체 기기의 제 2 유체 유로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유체 기기에 마련된 통형상의 제 2 받이구부와,
    상기 제 1 받이구부에 마련되고, 제 1 나사결합부를 외주측에 갖는 제 1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2 받이구부에 마련되고, 제 1 나사결합부와 나사결합 가능한 제 2 나사결합부를 내주측에 갖는 제 2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받이구부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받이구부와의 사이를 시일하고, 또한, 상기 제 2 받이구부와의 사이를 시일하는 접속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는 상기 제 1 나사결합부와 상기 제 2 나사결합부에 의해 고정되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와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는 직경 방향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 및 상기 제 2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의 적어도 한쪽은 고정용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 1 나사결합부는 제 1 나사결합부용 나사를 갖고,
    상기 제 2 나사결합부는 상기 제 1 나사결합부용 나사에 조여지고, 상기 제 2 통형상 부재는 상기 제 1 통형상 부재로부터 이반되는 것을 규제하는 제 2 나사결합부용 나사를 갖고,
    상기 제 1 나사결합부용 나사에 대한 상기 제 2 나사결합부용 나사의 조임 방향이 상기 고정용 나사의 조임 방향과 반대인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체는 상기 제 1 받이구부와 상기 제 2 받이구부 사이에 위치하는 장출부를 갖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받이구부는 상기 제 2 받이구부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KR1020197031399A 2017-07-04 2018-06-15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KR1025663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30823 2017-07-04
JPJP-P-2017-130824 2017-07-04
JP2017130825A JP6913541B2 (ja) 2017-07-04 2017-07-04 流体機器の接続構造
JPJP-P-2017-130825 2017-07-04
JP2017130824A JP6913540B2 (ja) 2017-07-04 2017-07-04 流体機器の接続構造
JP2017130823A JP6913539B2 (ja) 2017-07-04 2017-07-04 流体機器の接続構造
PCT/JP2018/023024 WO2019009049A1 (ja) 2017-07-04 2018-06-15 流体機器の接続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752A true KR20200024752A (ko) 2020-03-09
KR102566389B1 KR102566389B1 (ko) 2023-08-11

Family

ID=64950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1399A KR102566389B1 (ko) 2017-07-04 2018-06-15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53135B2 (ko)
EP (1) EP3650737A4 (ko)
KR (1) KR102566389B1 (ko)
CN (1) CN110573783B (ko)
TW (1) TWI767020B (ko)
WO (1) WO20190090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659B1 (ko) * 2015-12-28 2020-04-23 빅톨릭 컴패니 어댑터 커플링
US10859190B2 (en) 2016-05-16 2020-12-08 Victaulic Company Sprung coupling
US11781683B2 (en) 2019-11-15 2023-10-10 Victaulic Company Shrouded coupling
JP1697115S (ko) * 2020-12-11 2021-10-18
US20220243849A1 (en) * 2021-01-29 2022-08-04 Hutchinson Fluid Management Systems, Inc. High tolerance quick connect coupling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2731A (en) * 1955-04-29 1958-12-02 Chiksan Co Flanged, bend-clamped swivel coupling for fluid handling tubes
US5228724A (en) * 1990-07-31 1993-07-20 Hutchinson Device for the rapid assembly of a hose connection with an automotive vehicle heat exchanger
JPH0680090U (ja) * 1993-04-23 1994-11-08 株式会社西原衛生工業所 管材の接続構造
JPH1054489A (ja) 1996-08-09 1998-02-24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樹脂製管継手
US5857713A (en) * 1995-10-24 1999-01-12 Sakura Rubber Co., Ltd. Coupling for ho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6083972A (ja) * 2004-09-17 2006-03-30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フランジ配管どうしの接続構造及びフランジ配管と流体機器との接続構造
US7207605B2 (en) * 1997-06-16 2007-04-24 Swagelok Company Tube coupling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107A (en) * 1893-01-03 Carl august guido storz
US770049A (en) * 1903-03-20 1904-09-13 Auguste Dorgans Interchangeable coupling.
US882497A (en) * 1906-01-24 1908-03-17 Elias Gunnell Hose-coupling.
US1112850A (en) * 1912-08-05 1914-10-06 Henry G Sherer Hose-coupling.
GB173261A (en) * 1920-08-13 1921-12-13 John Elder Improvements in pipe couplings
US1584278A (en) * 1925-09-24 1926-05-11 Dessaints Zotique Fire-hose coupling
US1794905A (en) 1925-10-01 1931-03-03 Samuel M Kass Pipe joint
US1860038A (en) * 1931-09-14 1932-05-24 Lange Harald Heavy duty hose coupling
FR81258E (fr) * 1962-03-05 1963-08-23 Metaux Blancs Ouvres Soc D Raccord pour tuyaux en matière plastique
JPS57117491U (ko) 1981-01-14 1982-07-21
DE3110212C2 (de) * 1981-03-17 1983-10-20 Max Widenmann Armaturenfabrik, 7928 Giengen Schlauchkupplung
EP0152753B1 (de) * 1984-02-20 1988-09-21 Georg Fischer Aktiengesellschaft Flanschverbindung für faserverstärkte Kunststoffrohrteile
DE3536784A1 (de) * 1985-10-16 1987-04-16 Hans Paul Maier Rohrverbindung
US4913657A (en) * 1988-04-15 1990-04-03 Teikoku Sen-I Co., Ltd. Coupling for fire hose with built-in communication cable
FR2640026B2 (fr) * 1988-06-14 1991-03-15 Hutchinson Dispositif de raccord rapide et appareillage pour sa mise en oeuvre
JP2568470Y2 (ja) 1991-12-13 1998-04-15 サンエー工業株式会社 ホース継手
JPH07233887A (ja) 1993-12-27 1995-09-05 Nikkiso Co Ltd 環状シール部材およびフランジ
CA2147960C (en) * 1994-04-27 1999-11-02 Akira Horimoto Coupling apparatus
US5636876A (en) 1994-05-13 1997-06-10 Eidsmore; Paul G. Fluid coupling assembly
US5547229A (en) 1994-05-13 1996-08-20 Eidsmore; Paul G. Fluid coupling assembly
US5738143A (en) * 1996-08-08 1998-04-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Butterfly actuated quick coupling connector valve
US6318766B1 (en) 1997-09-15 2001-11-20 Swagelok Company Face seal gland with raised peripheral ring having circumferentially spaced recesses
US6106030A (en) 1998-02-23 2000-08-22 Ford Motor Co. Tubular coupling
DE10245477A1 (de) * 2002-09-30 2004-04-08 Valeo Klimasysteme Gmbh Muffe für CO2-Leitung
US20060070437A1 (en) 2004-09-30 2006-04-06 Rosemount Inc. Gasket arrangement for sanitary process flow meter
US20090072536A1 (en) * 2005-07-12 2009-03-19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Connection Structure of Stack Panel to Fluid Device
DE102006049594A1 (de) * 2006-10-20 2008-04-24 Reinert-Ritz Gmbh Flanschverbindung für Rohrleitungen
JP5826490B2 (ja) 2008-04-22 2015-12-02 株式会社フジキン 流体継手および流体継手用リテーナ
EP3096058A1 (en) * 2009-05-22 2016-11-23 Tyco Fire & Security GmbH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storz fire fighting hose couplings
CN102313091A (zh) * 2010-07-09 2012-01-11 兴化市通科机械有限公司 管道快修套管接头
US8328244B2 (en) * 2010-07-13 2012-12-11 Robin Boley-Johnson, legal representative Split GXR collar front mounted clamp assembly
JP5875306B2 (ja) * 2011-09-22 2016-03-02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管継手
KR101220436B1 (ko) 2011-12-07 2013-01-21 동방테크 주식회사 반도체 공정용 파이프의 연결 구조
US9163759B2 (en) * 2012-10-04 2015-10-20 Delta Faucet Company Fitting connection including compression nut with retainer
JP5878143B2 (ja) * 2013-05-08 2016-03-08 日本ピラー工業株式会社 合成樹脂製管継手
CN203363456U (zh) * 2013-06-24 2013-12-25 贵州开磷(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钢骨架复合管的连接结构
CN203363493U (zh) * 2013-07-06 2013-12-25 芜湖华夏科技安防有限责任公司 一种高压消防水带接头
US20150176744A1 (en) 2013-12-20 2015-06-25 Onesubsea Ip Uk Limited Gasket
JP5801979B1 (ja) * 2014-07-29 2015-10-28 櫻護謨株式会社 安全弁機能を備えた結合金具
DE102014220012A1 (de) 2014-10-02 2016-04-07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Verbindungselement zum Verbinden zweier hydraulischer Leitungen und hydraulisches System
JP6699992B2 (ja) 2015-04-15 2020-05-27 株式会社フジキン 流体継手用ガスケットおよび流体継手
JP2017067176A (ja) 2015-09-30 2017-04-06 イハラサイエンス株式会社 継手構造
AU2016250347B2 (en) * 2015-11-11 2021-09-23 Millennium Coupling Company Pty Ltd A Seal
JP6757612B2 (ja) * 2016-07-21 2020-09-23 ヨネ株式会社 消防ホース結合金具の緊締及び解除構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2731A (en) * 1955-04-29 1958-12-02 Chiksan Co Flanged, bend-clamped swivel coupling for fluid handling tubes
US5228724A (en) * 1990-07-31 1993-07-20 Hutchinson Device for the rapid assembly of a hose connection with an automotive vehicle heat exchanger
JPH0680090U (ja) * 1993-04-23 1994-11-08 株式会社西原衛生工業所 管材の接続構造
US5857713A (en) * 1995-10-24 1999-01-12 Sakura Rubber Co., Ltd. Coupling for ho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1054489A (ja) 1996-08-09 1998-02-24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樹脂製管継手
US7207605B2 (en) * 1997-06-16 2007-04-24 Swagelok Company Tube coupling
JP2006083972A (ja) * 2004-09-17 2006-03-30 Nippon Pillar Packing Co Ltd フランジ配管どうしの接続構造及びフランジ配管と流体機器との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08747A1 (en) 2021-04-15
TW201934918A (zh) 2019-09-01
EP3650737A1 (en) 2020-05-13
CN110573783B (zh) 2021-08-20
TWI767020B (zh) 2022-06-11
EP3650737A4 (en) 2021-04-14
WO2019009049A1 (ja) 2019-01-10
US11953135B2 (en) 2024-04-09
CN110573783A (zh) 2019-12-13
KR102566389B1 (ko) 2023-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4752A (ko) 유체 기기의 접속 구조
KR102118477B1 (ko) 아치형 강성 리브들을 갖는 설치부
JP5878143B2 (ja) 合成樹脂製管継手
KR102204817B1 (ko) 합성 수지제 관이음
TWI762390B (zh) 樹脂製管接頭
KR101960617B1 (ko) 수지제관 이음매 구조
US11371635B2 (en) Connector and assembly method for connector
JP4324576B2 (ja) 流体機器どうしの接続構造
JP5818855B2 (ja) 管継手
KR20200025563A (ko) 조임 상태 확인이 가능한 파이프 조인트
JP6913541B2 (ja) 流体機器の接続構造
US11313502B2 (en) Hose coupling
JP6420882B2 (ja) 合成樹脂製管継手
JP6913539B2 (ja) 流体機器の接続構造
KR101847777B1 (ko) 파이프 연결용 소켓
JP4963689B2 (ja) 樹脂管継手
JP2015215006A (ja) 継手
JP7308727B2 (ja) 流路継手構造
JP7030175B2 (ja) 樹脂製管継手
CN113167417A (zh) 管接头和锁定构件
JP2016118244A (ja) かしめ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