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420B1 - 리포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리포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420B1
KR102203420B1 KR1020200099869A KR20200099869A KR102203420B1 KR 102203420 B1 KR102203420 B1 KR 102203420B1 KR 1020200099869 A KR1020200099869 A KR 1020200099869A KR 20200099869 A KR20200099869 A KR 20200099869A KR 102203420 B1 KR102203420 B1 KR 102203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osome complex
sucrose
lecithin
cyclodextrin
ret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9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지훈
박정미
최형
한상근
임정하
신희영
백승혜
최은솔
주민영
이승재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9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420B1/ko
Priority to CN202080005104.5A priority patent/CN114364364A/zh
Priority to PCT/KR2020/018512 priority patent/WO202203499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8Cycl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6Compounds, absorbed onto or entrapped into a solid carrier, e.g. encapsulated perfumes, inclusion compounds, sustained release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포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티노이드계 성분이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과 리포좀 구조에 의해 2중으로 안정화된 리포좀 복합체와,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리포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Liposome complex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포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레티노이드계 성분이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과 리포좀 구조에 의해 2중으로 안정화된 리포좀 복합체와,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레티노이드로 칭하는 비타민 A (레티놀) 및 이의 천연 및 합성 유도체는 배발생, 생식, 시력, 성장, 염증, 분화, 증식 및 세포사멸에서 현저한 영향을 미치는 다종의 물질을 형성한다. 레티노이드의 생물학적 영향은 RAR 타입의 핵내 수용체(레티노산 수용체) 및 RXR 타입의 수용체 (레티노산의 X 수용체)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조정된다. RAR 수용체의 공지 리간드는 비타민 A의 산성 형태의 트랜스 이성질체이다.
피부는 상당량의 레티노이드 및 이의 대사 작용에 관하여 효소를 가진다. 레티노이드는 비타민 A의 천연 또는 합성유도체이다. 천연 레티노이드계 성분으로서, 레티놀 및 이의 모든 대사 유도체, 레틴 알데하이드(레티날), all-trans-retinoic acid, 9-cis-retinoic acid 및 이의 에스테르(ester) 예컨대 레티닐 팔미테이트,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 레토닐 아세테이트 등이 있다.
레티노산(Retinoic acid)은 우수한 안티에이징 성분이지만, 화상, 발적 및 가려움과 같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그에 비해, 레틴 알데하이드(Retinaldehyde, 레티날)는 레티노산에 비해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안티에이징 효과가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비타민 A 유도체 변환 과정을 보면, 레티놀(Retinol)-> 레티날(Retinal (Retinaldehyde))-> 레티노산(Retinoic Acid)과 같이 진행되는데, 레티날은 레티놀보다 레티노산 형태에 가깝기 때문에 레티놀보다 주름 개선, 피부결 개선 등에 더 효과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음이 최근에 입증된 바 있다.
그러나, 레티날 역시 빛과 열에 불안정하여 이용에 제약이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레티날을 안정화시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레티날을 포함하여 레티노이드계 성분이 피부 각질층을 통과해 상기 성분이 실질적으로 작용하는 피부 진피층까지 전달하고자 하는 기술에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내부에 포함되는 레티노이드계 성분의 안정도를 높이고, 피부 진피층으로의 전달량을 향상시켜 효능을 높이며, 피부에의 적용 시 피부 자극이 거의 없는 리포좀 복합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리포좀 복합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개선 효과가 현저히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레티노이드(retinoid)계 성분;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포함하는 리포좀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레티노이드계 성분은 레티날, 레티놀, 레티노산, 레티닐 팔미테이트, 트레티노인 및 아다팔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레티노이드계 성분 및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은 1:10 내지 6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포좀 복합체는 용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티노이드계 성분은 상기 리포좀 복합체 내에 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상기 리포좀 복합체 내에 1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포좀 복합체는 지질을 포함하는 이중층을 포함하고, 상기 레티노이드계 성분 및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상기 이중층 내에 담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질은 레시틴(lecithin), 대두 레시틴, 난황 레시틴, 수소첨가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불포화 레시틴(unsaturated lecithin), 라이소레시틴(lyso lecithin),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라이소레시틴(Hydrogenated lyso lecithin), 하이드로옥실레이티드 레시틴(hydroxylated lecithin), 포스파티딜 콜린(phosphatidyl choline), 라이소포스파티딜 콜린(lysophosphatidyl choline),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phosphatidyl ethanolamine), 포스파티딘산(phosphatidic acid), 포스파티딜 세린(phosphatidyl serine), 스핑고미엘린(sphingomyelin), 포스파티딜 글리세롤(phosphatidyl glycerol), 포스파티딜 이노시톨(phosphatidyl inositol), 콜레스테롤(cholesterol), 피이지-5레이프씨드스테롤(PEG-5 rapeseed sterol), 토코페롤(tocopherol),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알루미늄/마그네슘하이드록사이드스테아레이트(aluminum/magnesium hydroxide stearate),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pentaerythrityl tetra-di-t-butyl hydroxyhydrocinnamate), 카르디오리핀(cardiolipin) 및 플라즈마로겐(plasmaloge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질은 상기 리포좀 복합체 내에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레티노이드계 성분과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 및 상기 지질은 1:0.5 내지 4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포좀 복합체는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글리코리피드(glycolipid), 라이소레시틴(lyso lecithin),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글리세릴 올레에이트(glyceryl oleate),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 소듐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sodium rauryl ether sulphate), 스테아릴 트리메틸 염화암모늄(stear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알킬폴리글리세릴에테르,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라우릴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클로라이드,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알킬테트라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폴리늄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밀 알코올 지방산 유도체,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수크로스계 계면활성제 및 폴리솔베이트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크로스계 계면활성제는 수크로스 모노스테아레이트(Sucrose monostearate), 수크로스 디스테아레이트(Sucrose distearate), 수크로스 디라우레이트(Sucrose diraurate), 수크로스 디올레이트(Sucrose dioleate), 수크로스 디카프레이트(Sucrose dicaprate) 및 수크로스 디리놀리네이트(Sucrose dilinole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리포좀 복합체 내에 0.01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리포좀 복합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리포좀 복합체는, 그 내부에 포함되는 레티노이드계 성분의 안정도를 높여 상기 레티노이드계 성분의 피부 투과 효과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레티노이드계 성분의 피부 자극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험예 2에서 레티날과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HP-β-CD)을 1: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뒤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험예 2에서 레티날과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HP-β-CD)을 1:2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뒤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험예 2에서 레티날과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HP-β-CD)을 1:6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뒤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험예 3에서 레티날이 담지된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HP-β-CD)의 동결 건조체와, 인지질을 1:0.1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뒤 입자 안정도를 평가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실험예 3에서 레티날이 담지된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HP-β-CD)의 동결 건조체와, 인지질을 1:0.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뒤 입자 안정도를 평가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실험예 3에서 레티날이 담지된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HP-β-CD)의 동결 건조체와, 인지질을 1:4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뒤 입자 안정도를 평가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실험예 3에서 레티날이 담지된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HP-β-CD)의 동결 건조체와, 인지질을 1: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뒤 입자 안정도를 평가한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실험예 9에서 레티날 단독, 레티날이 담지된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레티날이 담지된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이 담지된 리포좀 복합체를 포함하는 크림에 있어서 시간의 경과에 따라 잔존 레티날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르면, 레티노이드(retinoid)계 성분;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포함하는 리포좀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포좀(liposome)"은 적어도 하나의 지질 이중층 (lipid bilayer) (지질막 (lipid membrane))으로 만들어진 인공적으로 제조된 소포 (vesicle)를 의미하는 것을 뜻하고, 물리적 저장소 (physical reservoir)로서 작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레티노이드 (retinoids)"는 비타민 A에 화학적으로 관련된 화학물질의 부류를 나타낸다. 레티노이드의 구조는 시클릭 말단기, 폴리엔 측쇄 및 극성 말단기로 구성된다. 상기 폴리엔 측쇄의 C=C 이중결합이 교대로 되어 형성된 공액 시스템 (conjugated system)은 레티노이드의 색 (보통 노란색, 오렌지 또는 적색)을 띄게 한다. 많은 레티노이드는 발색소(chromophore)이다. 측쇄 및 말단기를 변화시킴으로써 다양한 레티노이드가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레티노이드계 성분은 레티날, 레티놀, 레티노산, 레티닐 팔미테이트, 트레티노인 및 아다팔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레티노이드계 성분은 상기 리포좀 복합체 내에 0.1 내지 2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레티노이드계 성분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첨가에 따른 피부 개선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함량이 2 중량% 초과인 경우 안정성이 저하되어 피부에 적용 시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은 도넛형의 구조를 보유하는 사이클릭 올리고사카라이드이고, 소수성/친유성 중앙 공동 및 친수성 외측 표면을 보유한다. 자연계에는 다수의 상이한 사이클로덱스트린 구조가 존재하며, 가장 지배적인 것은 α-사이클로덱스트린, β-사이클로덱스트린 및 γ-사이클로덱스트린이고, 이들은 각각 6, 7 및 8개의 글루코피라노즈 단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예컨대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은 상기 리포좀 복합체 내에 1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리포좀 복합체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피부에 적용 시 자극을 유발할 수 있고, 함량이 60 중량% 초과인 경우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석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 복합체에서 상기 레티노이드계 성분은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의 고리 안에 담지되어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 복합체에서 상기 레티노이드계 성분 및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은 1:10 내지 6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레티노이드계 성분 및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 중량비가 상기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 내에 담지되는 레티노이드계 성분의 함량이 저하되거나,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이 석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 복합체는 지질을 포함하는 이중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레티노이드계 성분 및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상기 이중층 내에 담지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티노이드계 성분은 상기 이중층 내에 담지되는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의 고리 안에 담지됨으로써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질은 레시틴(lecithin), 대두 레시틴, 난황 레시틴, 수소첨가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불포화 레시틴(unsaturated lecithin), 라이소레시틴(lyso lecithin),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라이소레시틴(Hydrogenated lyso lecithin), 하이드로옥실레이티드 레시틴(hydroxylated lecithin), 포스파티딜 콜린(phosphatidyl choline), 라이소포스파티딜 콜린(lysophosphatidyl choline),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phosphatidyl ethanolamine), 포스파티딘산(phosphatidic acid), 포스파티딜 세린(phosphatidyl serine), 스핑고미엘린(sphingomyelin), 포스파티딜 글리세롤(phosphatidyl glycerol), 포스파티딜 이노시톨(phosphatidyl inositol), 콜레스테롤(cholesterol), 피이지-5레이프씨드스테롤(PEG-5 rapeseed sterol), 토코페롤(tocopherol),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알루미늄/마그네슘하이드록사이드스테아레이트(aluminum/magnesium hydroxide stearate),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pentaerythrityl tetra-di-t-butyl hydroxyhydrocinnamate), 카르디오리핀(cardiolipin) 및 플라즈마로겐(plasmaloge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레시틴(lecithin), 대두 레시틴, 난황 레시틴, 수소첨가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불포화 레시틴(unsaturated lecithin), 라이소레시틴(lyso lecithin),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라이소레시틴(Hydrogenated lyso lecithin), 하이드로옥실레이티드 레시틴(hydroxylated lecithin), 포스파티딜 콜린(phosphatidyl choline), 라이소포스파티딜 콜린(lysophosphatidyl choline),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phosphatidyl ethanolamine), 포스파티딘산(phosphatidic acid), 포스파티딜 세린(phosphatidyl serine), 스핑고미엘린(sphingomyelin), 포스파티딜 글리세롤(phosphatidyl glycerol) 및 포스파티딜 이노시톨(phosphatidyl inosito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인지질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대두 레시틴, 난황 레시틴 및 수소첨가 레시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질은 상기 리포좀 복합체 내에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질의 함량이 상기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리포좀 복합체의 안정성이 급격히 저하되어 그 내부에 담지되는 레티노이드계 성분의 안정성 또한 저하되고, 이를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 복합체에서 상기 레티노이드계 성분과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 및 상기 지질은 1:0.5 내지 4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레티노이드계 성분과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과 상기 지질의 혼합 중량비가 상기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리포좀 복합체의 안정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 복합체는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함으로써 피부에 적용 시 탄성 수치 또는 피부 침투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1종을 사용할 수 있으나,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제1 계면활성제 및 제2 계면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글리코리피드(glycolipid), 라이소레시틴(lyso lecithin),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글리세릴 올레에이트(glyceryl oleate),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 소듐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sodium rauryl ether sulphate), 스테아릴 트리메틸 염화암모늄(stear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알킬폴리글리세릴에테르,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라우릴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클로라이드,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알킬테트라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폴리늄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밀 알코올 지방산 유도체,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수크로스계 계면활성제 및 폴리솔베이트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글리코리피드(glycolipid) 계면활성제는 가장 많이 알려진 바이오 계면활성제로 긴 지방산에 탄수화물이 결합한 형태이어서 계면장력 저하력과 유화력 우수한 람노리피드(rhamnolipid), 온도 및 pH 변화에 안정한 소포로리피드(sophorolipid), 트레할로리피드(trehalolipid)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수크로스계 계면활성제는 수크로스 모노스테아레이트(Sucrose monostearate), 수크로스 디스테아레이트(Sucrose distearate), 수크로스 디라우레이트(Sucrose diraurate), 수크로스 디올레이트(Sucrose dioleate), 수크로스 디카프레이트(Sucrose dicaprate) 및 수크로스 디리놀리네이트(Sucrose dilinole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솔베이트계 계면활성제는 폴리솔베이트 20, 폴리솔베이트 40, 폴리솔베이트 60 및 폴리솔베이트 80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로는 수크로스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 리포좀 복합체의 탄성 수치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시로, 상기 계면활성제는 제1 계면활성제 및 제2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1 계면활성제는 글리코리피드 또는 수크로스계 계면활성제일 수 있고, 상기 제2 계면활성제는 라이소레시틴(lyso lecithin)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리포좀 복합체 내에 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 복합체는 폴리올을 추가로 더 포함함으로써 피부에 적용 시 피부로부터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보습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올은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디프로필렌글리콜(dipropylene glycol),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디글리세린(diglycerin), 1,3-프로판디올(1,3-propanediol), 프로판올(propaneol), 글리세린(glycerin), 메틸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에틸헥산디올(ethylhexanediol), 1,2-헥산디올(1,2-hexanediol), 이소프렌글리콜(isoprene glycol), 펜틸렌글리콜(pentylene glycol), 이소펜틸디올(isopentyldiol), 솔비톨(sorbitol), 자일리톨(xyl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과당, 유당, 만니톨, 포도당, 설탕, 말토스 및 말티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올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리포좀복합체의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으나, 일 예시로 상기 폴리올은 상기 리포좀 복합체 내에 0.01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 복합체는 오일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폴리올을 충분히 용해시키고 보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일의 종류를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식물성 오일, 왁스, 실리콘 오일, 에스테르계 오일 및 하이드로카본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망고 버터 오일, 쉐어 버터 오일, 코코아 씨드 버터 오일, 마카다미아넛 오일, 올리브 오일, 미도우폼 씨드오일, 정제포도씨 오일, 로즈힙 오일, 사플라워 오일, 복숭아씨 오일, 썬플라워 씨드오일, 살구씨 오일, 마카다미아씨 오일, 타마누 오일(tamanu oil), 아르간 오일(argan oil), 참깨 오일, 오렌지 오일, 로즈우드 오일(rosewood oil), 베르가못 오일(bergamot oil), 동백 오일 또는 티트리 오일(tea tree oil)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왁스는 고급 지방산과 고급 알코올의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카나우바 왁스, 칸데릴리 왁스, 호호바 오일, 밀납 또는 리눌린 등을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페닐트리메치콘, 폴리디메틸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사이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또는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스테르계 오일은 카프릴릴카보네이트, 스쿠알란, 네오펜틸글라이콜디헵타노에이트,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트리옥타노인, 탄소수12 내지 15의 알킬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트리카프릴린, 옥틸도데실스테아로일스테아레이트, 비스-하이드록시에톡시프로필디메치콘,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이소트리데실이소노나노에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디펜타에리스라이트패티애씨드에스테르,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세틸이소옥타노에이트,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오조케라이트,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옥틸팔미테이트, 트리에틸헥사노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또는 디카프릴릭카보네이트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피이지-60 캐스터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파라핀, 유동파라핀, 바세린, 세레신, 스쿠알렌 또는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일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리포좀 복합체의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시로, 상기 오일은 상기 리포좀 복합체 내에 0.01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 복합체는 필요에 따라서는 전술한 조성 이외에 기본적인 물성 및 품질을 유지하고, 각 제형의 제제화를 위한 통상적인 임의 성분으로서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 널리 공지되어 사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타 첨가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리포좀 복합체의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시로, 상기 첨가제는 상기 리포좀 복합체 내에 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포좀 복합체는 잔부로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매의 종류를 특별히 제한하지는 않으나, 예를 들면, 물 또는 유기용매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기용매는 클로로포름(chloroform), 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dimethylacetamide), 디메틸포름아마이드(dimethylformamide) 및 디메틸술폭시드(dimethylsulfox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리포좀 복합체의 직경은 50 내지 500 nm,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300 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리포좀 복합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포좀 복합체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 내에 0.1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에센스, 마사지 크림, 미용목욕물첨가제, 바디로션, 바디밀크, 배스오일, 베이비오일, 베이비파우더, 샤워겔, 샤워크림, 선스크린로션, 선스크린크림, 선탠크림, 스킨로션, 스킨크림, 자외선차단용 화장품, 크렌징밀크, 탈모제{화장용}, 페이스 및 바디로션, 페이스 및 바디크림, 피부미백크림, 핸드로션, 헤어로션, 화장용크림, 쟈스민오일, 목욕비누, 물비누, 미용비누, 샴푸, 손세정제(핸드클리너), 약용비누{비의료용}, 크림비누, 페이셜 워시, 전신 세정제, 두피 세정제, 헤어린스, 화장비누, 치아미백용 겔, 치약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용매나,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개선은 피부 생기 부여, 피부 활력 증진, 피부 수렴용, 주름 개선용, 피부 장벽 강화 또는 장벽 기능 보호, 피부 재생, 보습, 탄력 유지, 항염, 아토피, 항산화, 항노화, 모공 수축, 피지 억제, 또는 여드름 개선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예 1] 사이클로덱스트린 종류에 따른 용해도 평가
25 ℃ 증류수에 각각의 α-사이클로덱스트린(α-CD), β-사이클로덱스트린(β-CD), γ-사이클로덱스트린(γ-CD),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HP-β-CD)을 아지 믹서로 교반하여 녹이며 30분간 방치했을 때 석출되지 않는 최대 함량을 용해도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질 α-CD β-CD γ-CD HP-β-CD
물(25℃) 14.2% 1.8% 22.5% 63.3%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HP-β-CD)의 용해도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레티날이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으므로, 이하 실험에서는 상기 레티날을 담지할 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용해도가 가장 높은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HP-β-CD)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2] 레티날과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 비율에 따른 레티날의 담지 함량 평가
레티날과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HP-β-CD)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1:5, 1:9, 1:10, 1:25, 1:60, 1:6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뒤,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내에 담지되는 레티날의 함량을 하기 식 1로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고, 1:5, 1:25, 1:6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한 경우 각각의 사진을 촬영하여 그 결과를 도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하기 식 1에서 "측정된 레티날 함량"은 HPLC로 20 uL 인젝션되어 측정된 레티날 함량을 의미하고, "제조 시 투입한 레티날 함량"은 레티날이 녹아있는 전체 부피에서 20 μL에 해당하는 레티날 함량을 의미한다. 상기 HPLC의 수행 조건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식 1]
HP-β-CD에 담지되는 레티날의 함량(%) = 측정된 레티날 함량/ 제조 시 투입한 레티날의 함량 X 100
HPLC 수행 조건
컬럼 C18 비극성 컬럼
용매 ACN(acetonitrile).
유체 흐름 속도 1.0 mL/min
시간 15 min
레티날 : HP-β-CD
혼합 비율 (w:w)
1:5 1:9 1:10 1:25 1:60 1:65
HP-β-CD에 담지된
레티날 함량
48% 91% 100% 100% 100% -
상기 표 3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티날과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이 1:10 내지 60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는 경우, 첨가되는 레티날 전량이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내에 담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표 3과, 도 1 및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티날과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 비율이 상기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내에 담지되는 레티날의 함량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이 석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표시). 특히, 레티날과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이 1:9 내지 60의 중량 비율로 혼합되는 경우, 첨가되는 레티날이 100%가 아닌 91% 만이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내에 담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레티날이 담지된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인지질의 혼합 비율에 따른 리포좀 복합체의 입자 안정도 평가
1. 레티날이 담지된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제조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과 레티날을 15 : 1 중량 비율로 준비한 뒤 물 또는 에탄올에 녹여 1시간 상온에서 200 rpm으로 교반 혼합한 후, 60 ℃에서 농축기로 농축한 후 물에 재분산하였다. 이후, 72 시간 동결 건조시켜 동결 건조체를 얻었다.
2. 리포좀 복합체의 제조
상기 1.에서 제조된 레티날이 담지된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의 동결 건조체와, 인지질로 콩 유래 하이드로지네이트레시틴의 혼합물을 하기 표 3에 나타낸 1:0.1, 1:0.5, 1:4, 1: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정제수에 혼합한 뒤 고압 미세 유화기로 1,000 bar에 연속 2회 유화시켜 리포좀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리포좀 나노복합체의 입자 안정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4 및 도 4 내지 7에 나타내었다.
레티날이 담지된 HP-β-CD: 인지질
혼합 비율 (w:w)
1:0.1 1:0.5 1:4 1:5
입자 안정도 X O O X
상기 표 4 및 도 4 내지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티날이 담지된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을 인지질과 1:0.5 내지 4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경우 제조되는 입자의 안정도가 뛰어난 반면, 혼합 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입자의 안정도가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리포좀 복합체의 입자 크기
상기 실험예 3에서 제조된 리포좀 복합체 중 레티날이 담지된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과 인지질이 1:4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리포좀 복합체의 입자 평균 직경을 측정한 결과, 215 nm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1 내지 5] 리포좀 복합체의 제조
상기 실험예 3의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동결 건조체를 제조한 뒤, 이를 하기 표 5에 나타낸 조성으로 인지질로 콩 유래의 하이드로지네이트레시틴과, 계면활성제로 글리코리피드 또는 수크로스계 계면활성제로 수크로스 디스테아레이트, 보조계면활성제로 라이소레시틴, 폴리올로 글리세린과 함께 정제수에 혼합한 뒤 고압 미세 유화기로 1,000 bar에 연속 2회 유화시켜 리포좀 나노복합체를 제조하였다.
구성 조성(중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정제수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잔부
인지질 6 6 6 6 6
폴리올 10 10 10 10 10
계면활성제 0.4(글리코리피드) 0.4
(수크로스계 계면활성제)
- 0.4
(글리코리피드)
-
보조계면활성제 0.1 0.1 - - 0.1
오일 0.1 0.1 0.1 0.1 0.1
HP-β-CD 10 10 10 10 10
레티날 1 1 1 1 1
[실험예 5] 리포좀 복합체의 조성에 따른 피부 침투율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리포좀 복합체에 있어서, 그에 포함되는 레티날의 피부 침투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경피 흡수 확산 실험(Franz diffusion cell)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리포좀 복합체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잔탄검,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는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뒤, 상기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이 침적된 피부(면적 0.6362 cm2)를 가위로 절삭하고 100 % 메탄올 5 mL를 넣어 초음파 파쇄기로 5분간 치고 0.45μm 필터로 필터한 용액을 HPLC를 이용하여 레티놀의 함량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레티날의 피부 침투율(%)은 하기 식 2에 의해 계산하였다.
[식 2]
피부 침투율 (%) = (피부에서 측정된 레티날 함량 / 침적된 크림에 함유된 레티날 함량) X 100 (%)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피부 침투율(%) 24.5 25.2 13.8 19.3 17.5
상기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리포좀 복합체 모두에서 레티날의 피부 침투율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 계면활성제로 글리코리피드 또는 수크로스계 계면활성제와 함께 보조계면활성제로 라이소레시틴을 사용한 경우인 실시예 1 및 2에서 레티놀의 피부 침투율이 24.5 내지 25.2%로 매우 뛰어났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수크로스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경우가 피부 침투 효과가 더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리포좀 복합체의 조성에 따른 탄성 수치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리포좀 복합체의 탄성 수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가변 형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소형 압출기(mini extruder)로 리포좀 복합체가 인공 투과 장벽을 통과하는 정도를 측정하였고, 보다 상세하게는 리포좀 복합체에 0.2 MPa 의 압력을 1 분 30초 동안 가한 후, 0.08 ㎛ 크기의 기공을 가지는 폴리카보네이트 막(polycarbonate membrane)을 통과하여 나온 리포좀 복합체의 양을 측정하고, 이를 통과한 리포좀의 입자 크기를 측정하여, 하기 식 3에 따라 리포좀 복합체 막의 탄성 수치를 계산해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식 3]
변형 인덱스(deformability index) = JFlux X (rv/rp)2
Flux : 막을 통과한 리포좀 복합체의 양
rv : 압출 후 리포좀 복합체의 입자 크기
rp : 막의 기공 크기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탄성 수치 22.1 24.3 9.8 14.2 11.3
상기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리포좀 복합체 모두 탄성 수치가 높은 결과를 보였으나, 계면활성제로 글리코리피드 또는 수크로스계 계면활성제와 함께 보조계면활성제로 라이소레시틴을 사용한 실시예 1 및 2의 리포좀 복합체에서 탄성 수치가 현저히 높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수크로스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경우가 탄성 수치가 매우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7] 리포좀 복합체의 조성에 따른 4주 안정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리포좀 복합체의 4주 안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각 리포좀 복합체의 입자 크기를 측정한 뒤 4주 후 입자 크기를 측정하여 그 변화가 있는 지를 확인해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O"는 4주 후 리포좀 복합체의 입자 크기에 변화가 없어서 안정도가 우수한 경우를, "X"는 4주 후 리포좀 복합체의 입자 크기에 변화가 있어서 안정도가 낮은 경우를 의미한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4주 안정도 O O O O O
상기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리포좀 복합체 모두 4주 안정도가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8] 레티날이 담지된 사이클로덱스트린과 인지질의 혼합 비율에 따른 리포좀 복합체의 피부 자극도 평가
1. 레티날이 담지된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HP-β-CD)의 제조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HP-β-CD)과 레티날을 15 : 1 중량 비율로 준비한 뒤 물 또는 에탄올에 녹여 1시간 상온에서 200 rpm으로 교반 혼합한 후, 60 ℃에서 농축기로 농축한 후 물에 재분산하였다. 이후, 72 시간 동결 건조시켜 동결 건조체를 얻었다.
2. 리포좀 복합체의 제조
상기 1.에서 제조된 레티날이 담지된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HP-β-CD)의 동결 건조체와, 인지질로 콩 유래의 하이드로지네이트레시틴의 혼합물을 하기 표 8에 나타낸 1:0.1, 1:0.5, 1:4, 1: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정제수에 혼합한 뒤 고압 미세 유화기로 1,000 bar에 연속 2회 유화시켜 리포좀 나노복합체를 제조하고, 비교예로 레티날만 포함한 경우와, 레티날 및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HP-β-CD)만 존재하는 경우, 레티날과 인지질의 혼합물만 존재하는 경우를 포함시켰다. 이들에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잔탄검,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다이카프릴릴카보네이트 및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성분을 첨가하여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3. 피부 자극도 평가
만 18세~ 60세 미만 남녀를 대상으로 상기 제조된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등 또는 전완부에 1시간 및 24시간 폐쇄 첩포 후 제거하여 피부 자극을 느낀 사람의 수를 평가해 그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레티날이 담지된 HP-β-CD: 인지질
혼합 비율 (w:w)
1:0.1 1:0.5 1:4 1:5 레티날만 포함 레티날, HP-β-CD 포함 레티날, 인지질 포함
입자 안정도 3 0 0 2 5 3 2
상기 표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티날 단독, 레티날 및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HP-β-CD)의 혼합물이나, 레티날과 인지질의 혼합물을 피부에 적용한 경우 피부 자극이 유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레티날이 담지된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을 인지질과 1:0.5 내지 4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경우 피부에 적용 시 피부 자극이 전혀 없었으나, 그 혼합 비율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레티날이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HP-β-CD)이나 인지질 내에 충분히 담지되지 못하고 방출되어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9] 리포좀 복합체 내의 레티날의 안정도 평가
레티날을 0.05 중량%의 양으로 넣은 크림, 레티날 0.05 중량%를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HP-β-CD) 0.5 중량%에 담지시킨 담지체를 넣은 크림, 상기 담지체와 인지질을 1: 0.5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여 얻어진 리포좀 복합체를 넣은 크림 3종을 25
Figure 112020083760066-pat00001
에서 1달간 보관하며, 시간의 경과에 따른 크림 내 레티날의 분해 정도를 HPLC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표 10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HPLC 분석 시, 레티날 크림 시료는 100% ACN100% 또는 100% MeOH와 1:30 중량비로 넣고 초음파 파쇄기에 넣어 20분 동안 추출한 후 1차 450 mesh, 2차 0.45μm 필터로 거른 용액으로 이용하였다. 용매 및 컬럼 조건은 상기 표 2와 동일한 조건 하에서 수행하였다.
 구분 잔존 레티날 함량(%)
당일 4주후
레티날 크림 100 66.2
레티날-HP-β-CD 크림 100 82.2
레티날, HP-β-CD, 인지질의 이중 구조 리포좀 크림 100 99.3
상기 표 10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림 내에 레티날을 단독으로 첨가한 경우에 비하여 레티날을 담지한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HP-β-CD), 또는 이와 인지질을 포함하는 리포좀 복합체를 사용한 경우가 시간이 경과하여도 레티날의 안정도가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상기 레티날을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과 리포좀으로 2중 안정화한 경우는 4주가 경과하여도 거의 분해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레티노이드(retinoid)계 성분;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을 포함하고,
    상기 레티노이드계 성분은 레티날이며,
    상기 레티노이드계 성분 및 상기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은 1:10 내지 60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리포좀 복합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 복합체는 잔부로 용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티노이드계 성분은 상기 리포좀 복합체 내에 0.1 내지 2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상기 리포좀 복합체 내에 1 내지 6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리포좀 복합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 복합체는 지질을 포함하는 이중층을 포함하고,
    상기 레티노이드계 성분 및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상기 이중층 내에 담지되는, 리포좀 복합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은 레시틴(lecithin), 대두 레시틴, 난황 레시틴, 수소첨가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불포화 레시틴(unsaturated lecithin), 라이소레시틴(lyso lecithin),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라이소레시틴(Hydrogenated lyso lecithin), 하이드로옥실레이티드 레시틴(hydroxylated lecithin), 포스파티딜 콜린(phosphatidyl choline), 라이소포스파티딜 콜린(lysophosphatidyl choline),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phosphatidyl ethanolamine), 포스파티딘산(phosphatidic acid), 포스파티딜 세린(phosphatidyl serine), 스핑고미엘린(sphingomyelin), 포스파티딜 글리세롤(phosphatidyl glycerol), 포스파티딜 이노시톨(phosphatidyl inositol), 콜레스테롤(cholesterol), 피이지-5레이프씨드스테롤(PEG-5 rapeseed sterol), 토코페롤(tocopherol),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알루미늄/마그네슘하이드록사이드스테아레이트(aluminum/magnesium hydroxide stearate),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다이-t-부틸하이드록시하이드로신나메이트(pentaerythrityl tetra-di-t-butyl hydroxyhydrocinnamate), 카르디오리핀(cardiolipin) 및 플라즈마로겐(plasmaloge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리포좀 복합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질은 상기 리포좀 복합체 내에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리포좀 복합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티노이드계 성분과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물; 및 상기 지질은 1:0.5 내지 4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리포좀 복합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 복합체는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더 포함하는, 리포좀 복합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글리코리피드(glycolipid), 라이소레시틴(lyso lecithin),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sorbitan stearate), 글리세릴 올레에이트(glyceryl oleate),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glyceryl stearate),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알킬렌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폴리글루코사이드, 소듐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sodium rauryl ether sulphate), 스테아릴 트리메틸 염화암모늄(stear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알킬폴리글리세릴에테르, 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라우릴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폴리(N,N'-디메틸-3,5-메틸렌피페리디늄) 클로라이드,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알킬테트라암모늄염, 알킬디메틸벤질암모늄염, 알킬이소퀴놀리늄염, 디알킬-모르폴리늄염, 폴리아민 지방산 유도체, 아밀 알코올 지방산 유도체,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벤즈에토늄 클로라이드,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수크로스계 계면활성제 및 폴리솔베이트계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리포좀 복합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크로스계 계면활성제는 수크로스 모노스테아레이트(Sucrose monostearate), 수크로스 디스테아레이트(Sucrose distearate), 수크로스 디라우레이트(Sucrose diraurate), 수크로스 디올레이트(Sucrose dioleate), 수크로스 디카프레이트(Sucrose dicaprate) 및 수크로스 디리놀리네이트(Sucrose dilinolen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리포좀 복합체.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상기 리포좀 복합체 내에 0.01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리포좀 복합체.
  13. 제1항 및 제4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리포좀 복합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00099869A 2020-08-10 2020-08-10 리포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03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869A KR102203420B1 (ko) 2020-08-10 2020-08-10 리포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202080005104.5A CN114364364A (zh) 2020-08-10 2020-12-17 脂质体复合物及包含其的用于皮肤改善的化妆品组合物
PCT/KR2020/018512 WO2022034992A1 (ko) 2020-08-10 2020-12-17 리포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9869A KR102203420B1 (ko) 2020-08-10 2020-08-10 리포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420B1 true KR102203420B1 (ko) 2021-01-18

Family

ID=74236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9869A KR102203420B1 (ko) 2020-08-10 2020-08-10 리포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03420B1 (ko)
CN (1) CN114364364A (ko)
WO (1) WO202203499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6200A (zh) * 2021-11-05 2022-04-12 仙婷(广州)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抗衰修护组合物及其应用
KR102531980B1 (ko) * 2022-08-18 2023-05-12 엘앤피코스메틱(주) 병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1732B (zh) * 2022-08-01 2023-05-12 广州市博之越精细化工有限公司 一种羟丙基环糊精包合视黄醇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301B1 (ko) * 2013-07-22 2015-03-17 주식회사 웰코스 레티닐팔미테이트 안정화 조성물
KR20180003356A (ko) *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씨앤피코스메틱스 레티날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3130A (ko) * 2016-06-30 2018-01-09 (주)아모레퍼시픽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5729A (zh) * 1995-04-03 1998-06-24 庄臣消费品有限公司 含有类视色素和脂质体的护肤组合物
KR20050033512A (ko) * 2001-10-05 2005-04-12 프로사이트 코포레이션 펩타이드 구리 착물 및 레티놀, 레티놀 유도체 또는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 조성물
DE102007051614A1 (de) * 2007-10-24 2009-04-30 Coty Prestige Lancaster Group Gmbh Retinolhaltiges Kosmetikprodukt
CN104606063B (zh) * 2015-03-04 2021-07-16 王海龙 一种含有化妆品活性成分的脂质体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7753427B (zh) * 2016-08-18 2022-01-14 上海交通大学 一种全反式维甲酸脂质体制剂及其制备与应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3301B1 (ko) * 2013-07-22 2015-03-17 주식회사 웰코스 레티닐팔미테이트 안정화 조성물
KR20180003356A (ko) * 2016-06-30 2018-01-09 주식회사 씨앤피코스메틱스 레티날 리포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3130A (ko) * 2016-06-30 2018-01-09 (주)아모레퍼시픽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6200A (zh) * 2021-11-05 2022-04-12 仙婷(广州)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抗衰修护组合物及其应用
CN114306200B (zh) * 2021-11-05 2023-11-21 仙婷(广州)科技研发有限公司 一种抗衰修护组合物及其应用
KR102531980B1 (ko) * 2022-08-18 2023-05-12 엘앤피코스메틱(주) 병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얻어진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64364A (zh) 2022-04-15
WO2022034992A1 (ko) 202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420B1 (ko) 리포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A2138873C (fr) Composition antiacneique pour le traitement simultane des couches superficielles et profondes de la peau, son utilisation
CA2160071C (fr)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constituee d'une emulsion huile dans eau a base de globules huileux pourvus d'un enrobage cristal liquide lamellaire
EP0953344B1 (fr) Utilisation d'au moins un hydroxystilbène dans une composition destinée à favoriser la desquamation de la peau.
KR101624888B1 (ko) 자기유화형 나노 리포좀 및 다중층 액정 함유 베지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DE19640092A1 (de) Strukturen mit Lipid-Doppelmembranen, in deren lipophilen Bereich längerkettige Moleküle eintauchen oder durch hydrophobe Wechselwirkungen an solche Moleküle angedockt sind
FR2780644A1 (fr) Composition cosmetique ou dermatologique sous forme d'une dispersion d'une phase huileuse et d'une phase aqueuse, stabilisee a l'aide de particules de gel cubique
AU668186B2 (en) Cosmetic containing phospholipids and fluorocarbon compounds
FR2714596A1 (fr) Composition cosmétique pour le traitement simultané des couches superficielles et profondes de la peau, son utilisation.
KR102177196B1 (ko) 초임계 상태에서 거대 니오좀으로 형성되고 나노 입자화되어 형성된 다중층 라멜라 니오좀 및 이를 함유하여 경피 흡수력이 증진된 화장료 조성물
FR2921253A1 (fr) Composition cosmetique sous la forme d'une emulsion comprenant une phase aqueuse continue et une phase grasse disperse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KR20130011800A (ko) 피부 유사 지질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3B1 (ko) 성상 변화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9277A (ko) 자가조합형 지질 베시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807894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及び皮膚外用剤
IT202000004450A1 (it) Composizione topica comprendente cannabidiolo
KR101841204B1 (ko) 발효 오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22152B1 (ko) 헵타소듐헥사카복시메틸다이펩타이드­12를 포함하는 나노베지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2378946B1 (ko) 유효 성분의 포집력이 우수한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KR100482355B1 (ko) 디팔미토일하이드록시프롤린과 소이이소플라본을 함유한리포좀 또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그 제조방법
KR20160071077A (ko) 히아루론산을 포함하는 천연리포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68177A (ko) 미리스틸 3-글리세릴아스코베이트를 포함하는 나노 전달체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20050091162A (ko) 비타민 에이, 비, 씨이, 이 및 그들의 유도체를 함유한나노에멀전과 리포좀의 제조방법 및 이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KR20120114730A (ko) 마이크로에멀젼에 의한 감마오리자놀을 함유한 경피약물전달 조성물
KR20180000828A (ko) 고형 지질 나노입자로 안정화한 코디세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