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3130A -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3130A
KR20180003130A KR1020160082570A KR20160082570A KR20180003130A KR 20180003130 A KR20180003130 A KR 20180003130A KR 1020160082570 A KR1020160082570 A KR 1020160082570A KR 20160082570 A KR20160082570 A KR 20160082570A KR 20180003130 A KR20180003130 A KR 201800031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retinol
group
dextri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1330B1 (ko
Inventor
최수정
신미숙
박성일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60082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3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54Platelets; Flakes
    • A61K8/0258Layered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8Sphingolipids, e.g. ceramides, cerebrosides, ganglios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8Cycl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1Anhydro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 및 덱스트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ANHYDROUS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레티노이드 (retinoid)는 비타민 A 관련 화합물군으로서, 레티놀 (retinol), 레티날 (retinal), 레티닐 아세테이트 (retinyl acetate),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 (retnyl propionate), 레티닐 리놀리에이트 (retinyl linoleate), 레티닐 팔미테이트 (retinyl palmitate), 레티노익산 (retinoic acid)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레티노이드 중 레티놀은 다른 레티노이드 유도체들에 비하여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레티놀을 종래에는 주로 레티놀을 수중유 (O/W, oil in water) 제형으로 적용하였다.
그러나, 레티놀을 수중유 제형의 화장료에 적용 시 레티놀의 불안정성으로 인하여, 수분과의 접촉에 의한 레티놀의 산화 문제가 존재하였으며, 수중유 제형 중 대부분의 함량을 차지하는 수상 성분으로 인하여 지용성인 레티놀의 피부 흡수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레티놀을 무수 제형의 화장료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존재하였으나, 제형이 안정되지 않거나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며, 제형을 피부에 적용 시, 레티놀이 피부에서 잘 흡수되지 않아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본 발명은 레티놀을 무수 제형에 적용하여, 수분과의 접촉에 의한 레티놀의 산화를 억제하며, 제형이 안정되어 시간의 경과에도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제형을 피부에 적용 시, 레티놀이 피부에서 잘 흡수되어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높은 레티놀 역가를 유지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 및 덱스트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레티놀을 무수 제형에 적용하여, 지용성 비타민인 레티놀을 높은 역가를 유지하게 하고, 수분과의 접촉에 의한 레티놀의 산화를 억제하며, 제형이 안정되어 시간의 진행에도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제형을 피부에 적용 시, 물보다 빠른 오일의 흡수 특성에 의하여 레티놀이 피부에서 잘 흡수되어, 피부에 레티놀이 잔존하지 않고, 이에 따라 자극을 유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로부터 지속적으로 레티놀이 방출되어 피부 표피에서 레티놀 흡수가 빠르면서도, 진피에서는 레티놀에서 레티노익산으로 전환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도록 하며, 레티놀로 인하여 피부로부터 탈리 또는 부분적으로 탈리된 각질을 오일 성분으로 피부 표피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제형 분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3의 제형 분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비교예 2의 제형 분산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화합물의 명칭은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미국화장품협회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CTFA)에서 발행한 국제화장품원료집(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ICID)에 등재된 INCI (International Nomenclature Cosmetic Ingredient) Name에 해당하는 화합물을 의미하며, 해당 명칭이 INCI Name 중 존재하지 않으면, 국제순수·응용화학연합 (International Union of Pure and Applied Chemistry, IUPAC)에서 제정한 IUPAC 명명법에 따른 화합물을 의미하며, IUPAC 명명법에 따른 화합물이 존재하지 않으면,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용되는 화합물의 명칭에 대응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무수 제형은 조성물 내에 물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중 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 중량% 내지 1 중량%이다. 상기 물의 함량이 1 중량%를 초과하면 물로 인하여 레티놀의 역가를 저하시킨다.
1.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
본 발명에 따른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레티놀"은 비타민 A의 동물성 형태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중량% 내지 3 중량%이며, 더 유리하게는 2.1 중량% 내지 2.3 중량%이다. 상기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레티놀으로 인한 활성이 미비하며, 3 중량% 초과이면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 시 피부에 자극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콜레스테롤계 액정 및 중합체를 중합한 공중합체층; 인지질, 세라미이드 및 콜레스테롤계 액정을 중합한 다층 라멜라층;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중합체층; 및 인지질 및 펩타이드를 중합한 다층 라멜라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캡슐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캡슐 (capsule)은 하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진 격벽 (barrier)으로 인하여, 격벽 내부와 격벽 외부의 물질 전달 (mass transfer)을 차단하거나 억제하는 구조의 담체를 의미한다.
중합체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는 천연 고분자, 합성 고분자, 또는 이들의 혼합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고분자는 히아루론산, 알진산, 펙틴, 카라기난, 콘드로이친설페이트,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덱스트란설페이트, 키토산, 키틴, 폴리라이신, 콜라겐 및 피브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합성 고분자는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락트산-폴리에틸렌글리콜(PEG-PLA-PEG),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락틱코글리콜산)-폴리에틸렌글리콜(PEG-PLGA-PEG),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폴리에틸렌글리콜(PEG-PCL-PEG), 폴리에틸렌-비스-(폴리락트산-아크릴레이트) 및 인(이소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코-아크릴산)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천연 고분자 및 합성 고분자의 혼합 공중합체는 인(폴리에틸렌글리콜-코-펩타이드), 알지네이트-g-(폴리에틸렌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PPO-PEO)), 인(폴리(락틱코글리콜산)-코-세린), 콜라겐-아크릴레이트 또는 알지네이트이다.
또한, 생분해성 소수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를 상기 고분자로서 사용할 수 있는데, 이의 예로는 폴리-L-락트산, 폴리-D,L-글리콜산, 폴리-L-락트산-코-글리콜산, 폴리-D,L-락트산-코-글리콜산,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발레로락톤,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 폴리하이드록시발러레이트, 폴리오르터에스테르 및 이들의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폴리스티렌, 폴리 p- 또는 m-메틸스티렌, 폴리 p- 또는 m-에틸스티렌, 폴리 p- 또는 m-클로로스티렌, 폴리 p- 또는 m-클로로메틸스티렌, 폴리 스티렌설폰산, 폴리 p- 또는 m- 또는 t-부톡시스티렌,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프로피오네이트, 폴리비닐부티레이트, 폴리비닐에테르, 폴리알릴부틸에테르, 폴리알릴글리시딜에테르,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말레산과 같은 불포화카복실산, 폴리알킬(메타)아크릴아마이드, 폴리(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콜레스테롤계 액정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액정 (liquid crystal)은 고체와 액체의 중간 상태 (mesophase)인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콜레스테롤계 액정은 콜레스테릴 옥타노에이트, 콜레스테릴 노나노에이트, 콜레스테릴 올레일 카보네이트 및 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릴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세라마이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세라마이드 (ceramide)는 스핑고신 (sphingosine, 2-amino-4-octadecene-1,3-diol) 및 지방산이 아미드 결합 (amide bond)을 통하여 연결된 생체 고분자 또는 합성 고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세라마이드 1, 세라마이드 2, 세라마이드 3, 세라마이드 4, 세라마이드 5, 세라마이드 6, 세라마이드 7, 및 세라마이드 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는 하기 화학식 2 내지 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R은 C9-C21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사슬이다.
[화학식 3]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n은 1 또는 2이고, R 및 R'는 C9-C21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사슬이다.
[화학식 4]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4에 있어서, m 및 n은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고, k 및 l은 독립적으로 1 또는 2이며, j는 0 또는 1이고, R 및 R'는 독립적으로 히드록시기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은, C1-C31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기이며, A1, A2 및 A3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기 화학식 4-1 내지 4-4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는 치환기이다. 단 A1, A2 및 A3가 동시에 수소인 경우는 제외된다.
[화학식 4-1] [화학식 4-2] [화학식 4-3] [화학식 4-4]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4-1 내지 4-4에 있어서, M, M1 및 M2는 독립적으로 알칼리 금속,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트리에탄올아민, 암모니아,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6, 라우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및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L은 알칼리 토금속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알칼리 금속은 리튬, 나트륨, 칼륨, 루비듐, 세슘 및 프랑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알칼리 토금속은 베릴륨,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및 라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금속을 의미한다.
[화학식 5]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5에 있어서, R 및 R'는 독립적으로 히드록시기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은, C10-C32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기이고, R3 및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4의 알킬기 또는 히드록시알킬기이며, R5는 -CH2CH2OA이며, A는 하기 화학식 5-1 내지 5-6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다.
[화학식 5-1] [화학식 5-2] [화학식 5-3]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화학식 5-4] [화학식 5-5] [화학식 5-6]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상기 화학식 5-1 내지 5-6에 있어서, M, M1 및 M2는 독립적으로 알칼리 금속, 리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트리에탄올아민, 암모니아, 폴리쿼터늄-4, 폴리쿼터늄-6, 폴리쿼터늄-7, 폴리쿼터늄-10, 폴리쿼터늄-11, 폴리쿼터늄-16, 라우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및 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L은 알칼리 토금속이다.
[화학식 6]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 6에 있어서, m 및 n은 독립적으로 1 내지 4의 정수이고, R 및 R'는 독립적으로 히드록시기를 함유하거나 함유하지 않은, C1-C31의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기이며, A1 및 A2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기 화학식 6-1 내지 6-6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치환기이다.
[화학식 6-1] [화학식 6-2] [화학식 6-3]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화학식 6-4] [화학식 6-5] [화학식 6-6]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상기 화학식 6-1 내지 6-6에 있어서, M, M1 및 M2는 알칼리 금속 또는 질소를 함유하는 유기 염기이고, L은 알칼리 토금속이다.
[화학식 7]
Figure pat00023
상기 화학식 7에 있어서, m 및 n은 독립적으로 1 내지 3의 정수이고, k 및 l은 독립적으로 1 또는 2이며, j는 0 또는 1이며, A1, A2 및 A3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하기 화학식 7-1 내지 7-4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치환기이고, R은 하기 화학식 7-5로 나타내는 치환기이다:
[화학식 7-1] [화학식 7-2] [화학식 7-3] [화학식 7-4]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상기 화학식 7-1 내지 7-4에 있어서, M, M1 및 M2는 알칼리 금속 또는 질소를 함유하는 유기 염기이고, L은 알칼리 토금속이다.
[화학식 7-5]
Figure pat00028
상기 화학식 7-5에 있어서, B는 토코페롤의 5-, 7- 또는 8- 위치의 메틸기이고, m은 1 내지 3의 정수이며, D는 -CH2(CH3)-CH- 또는 -CH(CH3)=C-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 내지 7 중 어느 하나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마크로케어사에서 제조된 상품명 세라마이드 PC104, 세라마이드 PC102 또는 세라마이드 PC107이다.
인지질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탄소수 12 ~ 24개의 지방산 사슬을 갖는 인지질아며, 구체적으로, 난황 레시틴(포스파티딜콜린), 대두 레시틴, 리조레시틴(lysolecithin), 스핑고마이엘린 (sphingomyelin), 포스파티딘산,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 이노시톨,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포스파티딜글리세롤, 카르디오리핀(cardiolipin), 플라즈마로겐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인지질; 천연인지질의 수소첨가 생성물; 디세틸포스페이트, 디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디올레오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세린, 엘레오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콜린, 엘레오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및 엘레오 스테아로일포스파티딜세린의 합성 지질; 합성 지질의 유도체; 및 합성 지질의 가수분해에 의해 수득되는 지방산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펩타이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펩타이드는 알라닌, 시스테인, 아스파르트산, 글루탐산, 페닐알라닌, 글라이신, 히스티딘, 아이소류신, 라이신, 류신, 메티오닌, 아스파라긴, 피롤라이신, 프롤린, 글루타민, 아르기닌, 세린, 트레오닌, 셀레노시스테인, 발린, 트립토판 및 타이로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아미드 결합 (amide bond)을 통하여 연결된 생체 고분자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펩타이드는 식물을 추출하여 수득하는 것이며, 구체적으로 오크라 (Hibiscus esculentus)의 가수 추출물이다.
콜레스테롤계 액정 및 중합체를 중합한 공중합체층 캡슐
이하, 상기 콜레스테롤계 액정 및 상기 중합체를 중합한 공중합체층으로 이루어진 캡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층의 중합은 가교 관능기를 가진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 중합하는 것이다. 상기 가교 관능기를 가진 단량체는 캡슐에 레티놀을 도입한 후 가교가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가교 관능기를 가진 단량체는, 바람직하게는 실란기를 가지면서,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이며, 구체적으로, 트리클로로비닐실란, 트리메톡시비닐실란, 트리에톡시비닐실란, 비닐트리이소프록시실란, 비닐트리-t-부톡시실란, 비닐트리페녹시실란, 비닐트리아세톡시실란, 비닐트리(이소부톡시)실란, 비닐트리(2-메톡시에톡시)실란, 8-옥트-1-에닐트리클로로실란, 8-옥트-1-에닐트리에톡시실란, 8-옥트-1-에닐트리에톡시실란, 6-헥시-1-에닐트리클로로실란 및 6-헥시-에닐트리에톡시실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용질공확산법으로 레티놀을 담체 내에 도입한 것이다. 상기 용질공확산법은 예를 들어, 상기 담체를 적절한 농도의 계면활성제가 녹아있는 수용액상에 분산시키고, 담체를 팽윤시킬 수 있는 적절한 양의 용매에 유용성 활성물질을 용해시킨 후 수용액에 유화시켜 형성된 에멀젼 입자를 상기 분산액에 넣어 레틴올을 입자안에 포집시키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콜레스테롤계 액정 및 상기 중합체를 중합한 공중합체층으로 이루어진 캡슐은 레티놀을 담체 내에 도입 후 상기 가교 반응기를 가진 단량체를 가교시킨 것이다. 상기 가교 반응기를 가진 단량체가 예를 들어, 실란기를 가진 경우 활성물질의 역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고온의 반응조건이 필요하지 않으며,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실온의 수용액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활성물질이 포집된 캡슐의 가교에 바람직하다. 상기 실란기를 가교하는 반응은 수용액상에서도 이루어지나, 가교반응을 촉진하기 위해 아세트산, 술폰산, 포스포릭 산과 같은 산이나 암모니아와 같은 염기를 첨가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메톡시피이지-114/폴리엡실론카프롤락톤*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콜레스테릴노나노에이트*콜레스테릴이소스테아릴카보네이트*콜레스테릴클로라이드*레티놀*부틸레이티드히드록시톨루엔 (METHOXY PEG-114/POLYEPSILON CAPROLACTONE*POLYMETHYL METHACRYLATE*CHOLESTERYL NONANOATE*CHOLESTERYL ISOSTEARYL CARBONATE*CHOLESTERYL CHLORIDE*RETINOL*BUTYLATED HYDROXYTOLUENE)이다.
인지질, 세라미이드 및 콜레스테롤계 액정을 중합한 다층 라멜라층 캡슐
이하, 상기 인지질, 세라미이드 및 콜레스테롤계 액정을 중합한 다층 라멜라층으로 이루어진 캡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 상기 세라미이드 및 상기 콜레스테롤계 액정를 포함하는 다층 라멜라층은, 상기 중합체로 이루어진 층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로 이루어진 층은 담체 내부층이고, 상기 인지질, 상기 세라미이드 및 상기 콜레스테롤계 액정를 포함하는 다층 라멜라층은 담체 외부층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워터*글리세린*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세라마이드3*레시틴*폴리소베이트20*콜레스테롤*레티놀*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폴리카프로락톤*부틸 히드록시톨루엔 (WATER*GLYCERIN*CAPRYLIC/CAPRIC TRIGLYCERIDE*CERAMIDE 3*LECITHIN*POLYSORBATE 20*CHOLESTEROL*RETINOL*SODIUM MAGNESIUM SILICATE*POLYCAPROLACTONE*BHT) 이다.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중합체층 캡슐
이하, 상기 중합체층으로 이루어진 캡슐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층은 담체 내부층 및 담체 외부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담체 내부층은 폴리카프롤락톤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담체 외부층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중합체층은 LBL 적층법 (layer by layer deposion)으로 적층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워터*부틸렌글리콜*페녹시에탄올*폴리메틸메타그릴레이트*칼슘판테테인 설포네이트*폴리솔베이트20*레티놀*카프리릴글리콜*폴리카프로락톤 (WATER*BUTYLENE GLYCOL*PHENOXYETHANOL*POLYMETHYL METHACRYLATE*CALCIUM PANTETHEINE SULFONATE*POLYSORBATE 20*RETINOL*CAPRYLYL GLYCOL*POLYCAPROLACTONE)이다.
인지질 및 펩타이드를 중합한 다층 라멜라층 캡슐
이하, 상기 인지질 및 펩타이드를 중합한 다층 라멜라층 캡슐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다층 라멜라층 캡슐은 피부의 반복적 움직임에 의해 탄력 소실 효과를 나타내는 펩타이드를 포함하여, 피부에 적용 시 외력에 의하여 레티놀의 공급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시클로덱스트린*덱스트린*하이드로게네이트레시틴*하이드롤라이즈드오크라추출물*수크로오스*셀락*레티놀 (CYCLODEXTRIN*DEXTRIN*HYDROGENATED LECITHIN*HYDROLYZED HIBISCUS ESCULENTUS EXTRACT*SUCROSE*SHELLAC*RETINOL)이다.
2. 오일 성분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성분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일 성분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에스터계 오일, 디에스터계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카보네이트계 오일, 알코올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은 스쿠알렌, 수소화 폴리이소부텐, 수소화 폴리(C6-14올레핀), 수소화 폴리데센, 파라핀, 세레신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트리에틸헥사노인,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세틸이소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부틸렌글라이콜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토코페롤아세테이트,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호호바씨 오일, 디카프릴릭 카보네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및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대분자 에스터계 오일이며, 상기 대분자 에스터계 오일은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펜타에리스리틸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상기 에스터계 오일이 상기 대분자 예스터계 오일인 경우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시 자극을 유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디에스터계 오일은 부틸렌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 디카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디-C12-13 알킬 말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트리데실 스테아레이트, 네어펜틸 글리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 트리데실 트리멜리테이트 및 디카프리릴 카보네이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카보네네이트계 오일은 디알킬 카보네이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은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카프릴릭/카프릭/스테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트리에틸옥타노인 및 트리카프릴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 오일은 옥틸도데칸올, 2-부틸옥탄올, 2-헥실데칸올, 2-운데실펜타데칸올, 올레일 알코올 및 이소스테아릴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디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폴리디메틸실록산, 메틸페닐폴리실록산, 메틸사이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 테트라데카메틸헥사실록산 및 옥타메틸트리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오일 성분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내지 99.5 중량%이다.
3. 덱스트린 에스테르
본 발명에 따른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덱스트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 에스테르는 탄소수 12 내지 24의 지방산과 덱스트린의 에스테르화물이며, 더 구체적으로 탄소수 14 내지 18의 지방산과 덱스트린의 에스테르화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 에스테르는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 에스테르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내지 20 중량%이다. 상기 덱스트린 에스테르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오일 점증 효과가 저하되어 제형이 분산되지 않으며, 20 중량% 초과이면, 오일 성분 과다로 인하여 제형의 사용감이 저하된다,
4. 당류 계면활성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당류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당류 계면활성제는 수크로오스 모노스테아레이트, 수크로오스 디스테아레이 및 수크로오스 테트라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당류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 중량% 초과이며 3 중량% 이하이다. 상기 당류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3 중량% 초과이면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의 외부 코팅막이 용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이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려는 것일 뿐,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의 제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52.4g과 PCG 101 (피이지-114메틸에테르폴리엡실론카프로락톤) 5g을 염화메틸렌 200g에 용해한 후, 여기에 콜레스테롤계 화합물 혼합물 (혼합 중량비 - 콜레스테릴 노나노에이트 : 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릴 카보네이트 : 클로라이드 = 5 : 3 : 2) 38.6g을 가하여 이를 혼합한 후 여기에 0.5%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 200g을 가하여 유화시켰다. 이후 염화메틸렌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유화액을 상온에서 감압 하에서 증류한 뒤, 건조하여 백색의 분말을 수득하였다. 이 분말을 정제수 200 mL에 넣고 교반하여 분산시켰다. 따로, 레티놀 3.5g을 염화메텔린 50mL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을 0.5%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 200mL을 가하여 유화시켰다. 이 유화핵을 상기 분산된 분말에 가하고 교반하여 혼합한 후, 염화메틸렌이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감압 증류한 후 여과한다. 여과지 상 잔류물을 진공 건조하여 최종적으로 미황색의 분말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의 제조
MORECHEM 사에서 제조된 Retinol PLS-3C을 입수하여 사용하였다.
[제조예 3]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 (단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한 중량%)에 따라, 25 ℃에서 오일 성분에 해당하는 성분들을 용기에 투입하여 혼합한 후, 그 혼합물에 덱스트린 에스테르에 해당하는 성분과 당류 계면활성제에 해당하는 성분 (실시예 4 및 5의 경우)을 첨가하고, 이를 70 내지 80 ℃의 온도 범위를 유지하도록 가온하면서 아지 믹서로 교반하였다. 이후 10 분 동안 아지 믹서로 추가로 교반한 후 25 ℃에서 냉각시킨 후,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에 해당하는 성분을 여기에 첨가하고 천천히 교반하여, 실시예 1 내지 7와 비교예 1 및 2의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성분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1 비교예 2
오일 성분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53.9 50 53.7 50 47.8 50 50 53.9 53.7
호호바씨오일 24 24 24 24 24 - - 24 24
스쿠알렌 10 10 10 10 10 14 14 10 10
마카다미아씨오일*포도씨오일*토코페롤 10 10 10 10 10 - - 10 10
해바라기씨오일 - - - - - 20 - - -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 - - - - - 10 - - -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 - - - - - 10 - -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 (제조예 1에서 제조) 2.1 1 - - 1.1 1 1 2.1 -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 (제조예 2에서 제조) - - 2.3 1 1.1 - - - 2.3
덱스트린
에스테르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 2 2 2 2 2 2 2 - -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3 3 3 2 3 3 3 - -
당류 계면활성제 수크로오스 테트라스테아레이트 - - - 1 1 - - - -
[참고예 1] 수중유 제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본원 발명에 따른 무수 제형 화장료와 비교하기 위한 수중유 제형 화장료 조성물인 비교예 3을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먼저, 하기 표 2 (단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한 중량%)의 조성에 따라, 수상과 유상을 각각 70 내지 75℃의 온도 범위로 가열 용해한 후 유상을 수상에 첨가하였다. 이후, 호모믹서 8000~9000 rpm 조건하에 5분간 유화시킨 후 30℃씨로 냉각한 후,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를 첨가하고 패들 믹싱으로 교반해주어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성분 성분명 비교예 3
수상 증류수 TO 100
트리메타아민 0.14
글리세린 7
프로필렌 글리콜 5
페녹시에탄올 0.2
카보머 0.2
유상 스쿠알렌 9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1
PEG-100 스테아레이트 0.8
스테아르산 1
PEG-40 스테아레이트 1
시아 버터 3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 (제조예 1에서 제조) 1
[시험예 1] 제형의 관찰
실시예 1, 2, 6 및 7은 상분리 등의 현상이 발견되지 않고, 파우더 제형인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가 조성물 제형 내에서 안정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중 실시예 1의 제형 분산 상태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3 내지 5는 상분리 등의 현상이 발견되지 않고, 오일 제형인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 (실시예 3 및 4), 또는 파우더 제형인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와 오일 제형인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가 혼합 (실시예 5)되어 조성물 제형 내에서 안정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중 실시예 3의 제형 분산 상태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반면, 비교예 1 및 2는 오일 제형인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 (비교예 1), 또는 오일 제형인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 (비교예 2)를 포함하고 있으나, 덱스트린 에스테르 및 당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아, 조성물 내 제형이 분산되어 안정화된 상태를 형성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중 비교예 2의 제형 분산 상태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의 좌측 병과 같이, 비교예 2의 조성물을 제조한 직후 조성물이 분산되지 않으며, 도 3의 우측 병과 같이 비교예 2의 조성물은 최종적으로 오일이 용기 하부에 가라앉아 제형이 형성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시간의 경과에 따른 제형 내 레티놀 잔존량 측정
상기 제조예 3에 따라 제조된 제품 내에 함유된 레티놀의 안정성을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우선 상기 조제예 3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들의 레티놀 역가값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예 1 비교예 2
역가값 (IU) 2500 1000 2500 1000 2500 1000 1000 2500 2500
이후,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물들을 불투명 용기에 담아 실온(25℃) 과 고온 (40℃)에 보관하고 기간의 경과에 따른 레티놀에 대한 함량 변화를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y) 로 정량하여 그 잔존량(%)을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온도 제조 후 경과기간 실시예 1 실시예 3 실시예 5 비교예 3
25 ℃ 1주 100 100 100 89
2주 100 100 100 80
4주 100 100 100 67
40 ℃ 1주 98 96 100 69
2주 87 85 95 58
4주 79 72 89 49
상기 표 4에 나타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3 및 5 의 무수 제형은 실온 및 고온에서 4주가 경과되어도 레티놀의 역가가 수중유 제형(O/W) 와 달리 우수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를 각각 단독으로 포함하는 사용한 실시예 1 또는 3보다 복합적으로 사용한 실시예 5가 레티놀의 경시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인체시험에서 레티놀에 의한 피부 홍반 반응 평가
시험에 들어가기 전 한달 동안에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및 기타 스테로이드 제제를 복용한 경력이 없는 건강한 자원자를 대상으로 페퍼민트 추출물의 레티놀에 의한 피부 홍반 유발억제 효과를 CTFA(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의 안전성 평가 지침(Safety Testing Guideline, 1981, p3)에 따라 평가하였다. 즉, 15명의 피검자의 전박 안쪽에 상기 표 1의 처방과 같이 제형화한 조성물을 하루에 두 번씩 도포하고 (50㎕/1.5×1.5㎠), 흡수를 돕기 위해 랩(wrap)으로 3시간 동안 싸두었다. 시험 기간은 피검자의 반응 정도와 피부 상태를 고려하여 조정하였으며 최대 3주로 하였다. 검사는 매일 오전 도포 전에 시행하였고, 마지막 검사는 첩포 시행일로부터 8일까지 실시하였다. 자극의 회복 정도를 반영하기 위해 첩포 종료 후에도 계속 평가하였고, 홍반이 완전히 사라지고 색소 침착만 남은 경우에는 점수를 부여하지 않았다. 각 검사 시점에서 하기 표 5의 판정 방법에 따라 자극 정도를 평가하였으며, 그 평가의 평점을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피부의 자극정도 평점
경도의 홍반(mild erythema) 1
심한 홍반(intense erythema) 2
부종을 동반한 심한 홍반(intense erythema with edema) 3
부종과 수포를 동반한 심한 홍반(intense erythema with edema and vesicle) 4
조성물 피부자극 정도 평점
실시예 2 0
실시예 6 0
실시예 7 1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를 동일한 함량으로 포함한 무수 제형에서도 오일 베이스 처방의 오일 구조에 따라 레티놀에 의한 피부 자극 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임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보네이트계 오일인 디카프리릴 카보네이트 또는 비교적 분자 크기가 작은 에스터계 오일인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를 포함하는 제형인 실시예 7에서는 자극이 미약하게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해바라기씨오일 또는 대분자 에스터계 오일인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제형인 실시예 6 또는 천연 유래 오일과 스쿠알렌을 포함하는 제형인 실시예 2에서는 레티놀에 의한 피부 자극이 나타나지 않아, 레티놀을 포함한 무수 제형에서 오일 구조에 따른 오일 베이스 처방이 피부 안전성 확보에 중요한 요인이 됨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 및 덱스트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담체는, 콜레스테롤계 액정 및 중합체를 중합한 공중합체층; 인지질, 세라미이드 및 콜레스테롤계 액정을 중합한 다층 라멜라층;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중합체층; 및 인지질 및 펩타이드를 중합한 다층 라멜라층;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캡슐인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티놀을 포함하는 담체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중량% 내지 3 중량%인,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 에스테르는,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 덱스트린 팔미테이트, 또는 덱스트린 미리스테이트 및 덱스트린 팔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 에스테르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중량% 내지 20 중량%인,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수크로오스 모노스테아레이트, 수크로오스 디스테아레이 및 수크로오스 테트라스테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당류 계면활성제를 더 포함하는,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류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 중량% 초과이고 3 중량% 이하인,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에스터계 오일, 디에스터계 오일, 트리글리세라이드계 오일, 카보네이트계 오일, 알코올 오일 및 실리콘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오일 성분을 더 포함하는,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성분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 내지 99.5 중량%인,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용인,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82570A 2016-06-30 2016-06-30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KR102541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570A KR102541330B1 (ko) 2016-06-30 2016-06-30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570A KR102541330B1 (ko) 2016-06-30 2016-06-30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130A true KR20180003130A (ko) 2018-01-09
KR102541330B1 KR102541330B1 (ko) 2023-06-09

Family

ID=61000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570A KR102541330B1 (ko) 2016-06-30 2016-06-30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3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420B1 (ko) * 2020-08-10 2021-01-18 한국콜마주식회사 리포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20220287946A1 (en) * 2021-03-11 2022-09-15 Peace Out Inc. Anhydrous skin care composition comprising retinol and/or bakuchio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8521A (ja) * 2001-10-16 2003-05-08 Rohto Pharmaceut Co Ltd 外用製剤
KR20110138527A (ko) * 2010-06-21 2011-12-28 (주)에이씨티 다공성 폴리머 비드와 나노 에멀젼에 의해 안정화된 레티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8521A (ja) * 2001-10-16 2003-05-08 Rohto Pharmaceut Co Ltd 外用製剤
KR20110138527A (ko) * 2010-06-21 2011-12-28 (주)에이씨티 다공성 폴리머 비드와 나노 에멀젼에 의해 안정화된 레티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420B1 (ko) * 2020-08-10 2021-01-18 한국콜마주식회사 리포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WO2022034992A1 (ko) * 2020-08-10 2022-02-17 한국콜마 주식회사 리포좀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US20220287946A1 (en) * 2021-03-11 2022-09-15 Peace Out Inc. Anhydrous skin care composition comprising retinol and/or bakuchiol
WO2022192672A1 (en) * 2021-03-11 2022-09-15 Peace Out Inc. Anhydrous skin care composition comprising retinol and/or bakuchi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330B1 (ko) 2023-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3455B2 (en) Liposomal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JP5128593B2 (ja) セラミドを含有する油中水乳化剤形の皮膚外用剤
KR102127022B1 (ko)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수중유 에멀전 유형 국소용 조성물
JP2009256268A (ja) レチノイド安定化組成物並びにその組成物を配合した皮膚外用剤及び化粧料
JP5903268B2 (ja) 多層ラメラ顆粒、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KR20120006722A (ko) 이중 쉘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3006790A (ja) O/w型エマルジョン
SG174612A1 (en) Stabl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of diclofenac
JP6426363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WO2017057418A1 (ja) リポソーム
KR102541330B1 (ko) 무수 제형 화장료 조성물
JP2008534544A (ja) 皮膚効果剤の増強された送達
ES2804029T3 (es) Composición que contiene ácido graso poliinsaturado
JP6234112B2 (ja) W/o/w型乳化組成物
KR102138733B1 (ko) 인지질 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BR112014029874B1 (pt) Composição farmacêutica do tipo emulsão óleo em água, composições e uso da composição farmacêutica
KR101527580B1 (ko) 다층 라멜라 과립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Nava-Arzaluz et al. Sucrose esters as transdermal permeation enhancers
FR2991174A1 (fr) Composition dermatologique comprenant des oleosomes et des retinoides, son procede de preparation et son utilisation
JP2514995B2 (ja) 経皮、経粘膜による物質の吸収を促進する組成物
KR20040084364A (ko) 폴리올/고분자 마이크로캡슐을 이용한 유효성분 안정화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706223B2 (ja) W/o/w型乳化組成物
FR2901701A1 (fr) Compostions comprenant au moins un derive de l'acide naphtoique et au moins un agent filmogene, leurs procedes de preparation, et leurs utilisations
JP2000119178A (ja) セラミド含有組成物
KR20150078137A (ko)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