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570B1 - 자동변속기 클러치유니트용 클러치피스톤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 클러치유니트용 클러치피스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570B1
KR102200570B1 KR1020180107735A KR20180107735A KR102200570B1 KR 102200570 B1 KR102200570 B1 KR 102200570B1 KR 1020180107735 A KR1020180107735 A KR 1020180107735A KR 20180107735 A KR20180107735 A KR 20180107735A KR 102200570 B1 KR102200570 B1 KR 102200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piston
support ring
lip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9676A (ko
Inventor
조영진
Original Assignee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오일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7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57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9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5/00Fluid-actuated clutches
    • F16D25/08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 F16D25/082Fluid-actuated clutches with fluid-actuated member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the line of action of the fluid-actuated members co-inciding with the axis of rotation
    • F16D25/083Actuato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8/00External control of clutches
    • F16D48/02Control by fluid pressure
    • F16D2048/0218Reservoirs for clutch control systems;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 클러치 유니트용 클러치피스톤에 관한 것이다. 이는, 홀더부, 디스크부, 지지링부를 갖는 클러치하우징의 디스크부 및 지지링부 하부에서, 승강 가능하며 디스크부 하부에 밀폐 챔버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홀더부에 끼워지며 그 일부가 상기 지지링부의 하부를 통과해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피스톤바디와; 상기 피스톤바디의 상면 일측에 접착 고정되고 피스톤바디와 지지링부를 밀폐하는 제1립본체와; 상기 제1립본체에 고정되며 지지링에 대한 제1립본체의 마찰력을 경감하는 제1마찰력경감수단과; 상기 피스톤바디의 상면 타측에 접착 고정되고, 피스톤바디와 홀더부의 사이 틈새를 밀폐하는 제2립본체와; 상기 제2립본체에 결합되며, 제2립본체와 더불어 홀더부에 면접하여, 홀더부에 대한 제2립본체의 마찰력을 경감시키는 제2마찰력경감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 클러치 유니트용 클러치피스톤은, 클러치피스톤의 틸팅현상이 방지되므로, 응답성이 좋고, 변속충격이나 진동은 물론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간섭량의 축소 및 소단면화로 조립성을 개선하고 전장을 축소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 클러치유니트용 클러치피스톤{Clutch piston in automatic transmission clutch uni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의 클러치유니트 내부에 들어가는 클러치피스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동시 마찰력 저감에 따른 변속충격이 거의 없고 응답성이 뛰어나며 조립성이 개선된 자동변속기 클러치 유니트용 클러치피스톤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적절한 변속단으로 자동 변속시켜주는, 이른바 자동변속기에는, 유성기어장치를 구성하는, 링기어, 선기어, 유성기어, 캐리어와, 이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전동수단과 동력차단수단, 유압제어시스템 등이 포함된다.
상기 자동변속기에 포함되는 마찰형 클러치는, 유성기어세트의 각 작동 부재에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거나, 작동 부재들 사이의 동력 전달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브레이크는 회전하고 있는 유성기어세트의 작동 부재를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자동변속기에서의 변속은, 각 변속단에 따라 정해진 클러치와 브레이크들이 유압제어시스템에 의하여 결합 또는 해제되도록 제어됨으로써 구현된다.
상기 클러치는 유성기어세트의 작동 부재에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거나 작동 부재들 사이의 동력 전달을 매개하는 것으로서, 그 내부 구성은 도 1에 도시한 형태를 취한다.
도 1은 종래 클러치피스톤(13)이 적용된 클러치유니트(1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클러치유니트(10)는, 클러치하우징(11), 클러치피스톤(13), 스프링(15), 클러치(17)를 포함한다.
클러치하우징(11)은 샤프트결합구(11a)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부(11h), 홀더부(11h)의 상단부에 일체를 이루는 디스크부(11k), 디스크부(11k)의 외곽부 저면에 위치하고 오일출입구(11b)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링부(11g)를 갖는다. 상기 샤프트결합구(11a)는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샤프트(미도시)가 끼워지는 구멍이다.
상기 클러치하우징(11)에 있어서, 홀더부(11h)의 외주면은 제1내향면(11d), 디스크부(11k)의 저면은 제3내향면(11f), 지지링부(11g)의 내향면은 제2내향면(11e)이다.
상기 제1,2,3내향면(11d,11e,11f)의 내측 영역에는 클러치피스톤(13)의 일부가 끼워진다. 클러치피스톤(13)과 내향면(11d,11e,11f)의 사이공간은 외부로부터 밀폐된 챔버(11c)를 구성한다. 챔버(11c) 내부로 오일이 압입하면 클러치피스톤(13)이 하강하여 클러치(17)를 하부로 가압 이송시키고, 오일이 빠지면 스프링(15)의 작용에 의해 클러치피스톤(13)이 상승한다.
클러치피스톤(13)(본디드 피스톤 실(bonded piston seal) 'BPS'이라고도 불리 운다.)은, 클러치하우징(11)의 디스크부(11k) 하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스프링(15)에 의해 상향 탄력 지지된다.
클러치피스톤(13)은, 금속판을 프레싱 가공하여 제작한 피스톤바디(13a), 클러치피스톤(13)의 상부 외측면에 접착 고정된 제1실링립(13b), 클러치피스톤(16)의 상부 내측면에 접착 고정된 제2실링립(13c)으로 구성된다. 제1실링립(13b)은 제2내향면(11e)에, 제2실링립(13c)은 제1내향면(11d)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면접하며 밀폐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오일출입구(11b)를 통해 챔버(11c) 내부로 오일이 압입되면, 클러치피스톤(13)이 하부로 밀려 이동하며 클러치(17)를 가압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오일의 압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스프링(15)의 작용에 의해 클러치피스톤(13)이 다시 상승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클러치피스톤(13)은, 제1실링립(13b)과 제2실링립(13c)의 승강 슬라이딩 운동시 발생하는 마찰력의 불균형에 의해, 클러치피스톤(13)의 전체적인 수평 승강운동이 원활하지 않아 쉽게 틸팅되고, 클러치(17) 가압과 해제의 응답성이 떨어진다.
클러치피스톤(13)이 틸팅된 상태로 작동하면, 변속충격, 진동, 제1,2실링립(13b,13c)의 편마모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2실링립(13b,13c)의 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 마찰력이 더욱 증가하여 응답시간이 길어지며 또한 전체적인 사이즈가 커진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08185호 (자동변속기용 클러치 피스톤의 설치구조)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0956682호 (클러치 피스톤, 이를 구비한 클러치 및 그 클러치를 구비한 자동변속기)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93764호 (다중 챔버 구조 클러치의 피스톤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클러치피스톤의 틸팅현상이 방지되므로, 응답성이 좋고, 변속충격이나 진동은 물론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간섭량의 축소 및 소단면화로 조립성을 개선하고 전장을 축소할 수 있게 하는 자동변속기 클러치 유니트용 클러치피스톤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 클러치 유니트용 클러치피스톤은, 샤프트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상단에 일체를 이루며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는 디스크부, 상기 디스크부의 외곽부 저면에 일체를 이루고 오일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링부를 갖는 클러치하우징의 디스크부 및 지지링부 하부에서, 상기 홀더부 및 지지링부에 면접한 상태로 승강 가능하며 디스크부 하부에 밀폐 챔버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홀더부에 끼워지며 그 일부가 상기 지지링부의 하부를 통과해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피스톤바디와; 상기 피스톤바디의 상면 일측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지지링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면접하며, 피스톤바디와 지지링부의 사이 틈새를 밀폐하는 제1립본체와; 상기 제1립본체에 고정되며 제1립본체와 함께 지지링부에 면접하며, 지지링에 대한 제1립본체의 마찰력을 경감하는 제1마찰력경감수단과; 상기 피스톤바디의 상면 타측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홀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면접하며, 피스톤바디와 홀더부의 사이 틈새를 밀폐하는 제2립본체와; 상기 제2립본체에 결합되며, 제2립본체와 더불어 홀더부에 면접하여, 홀더부에 대한 제2립본체의 마찰력을 경감시키는 제2마찰력경감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마찰력경감수단은, 일정직경을 갖는 링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제1립본체를 감싸는 비탄성 틸팅방지링이고, 상기 제2마찰력경감수단은, 일정직경을 갖는 링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홀더부를 감싸는 비탄성 틸팅방지링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틸팅방지링이, 테프론, 아세탈, 아크릴, 베이클라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방지링에는, 제1,2립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바디측으로 연장되어 피스톤바디에 물리적으로 접하며, 피스톤바디로부터 지지력을 전달받는 써포터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자동변속기 클러치 유니트용 클러치피스톤은, 클러치피스톤의 틸팅현상이 방지되므로, 응답성이 좋고, 변속충격이나 진동은 물론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간섭량의 축소 및 소단면화로 조립성을 개선하고 전장을 축소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클러치피스톤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클러치 유니트용 클러치피스톤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B부분 확대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클러치 유니트용 클러치피스톤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틸팅방지링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후술할 본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피스톤(40)은, 클러치하우징(11)과의 면접부위에 틸팅방지링(43b,45b)을 갖는다. 틸팅방지링(43b,45b)은, 클러치하우징(11)에 대한 클러치피스톤(40)의 마찰력을 경감시켜, 클러치피스톤(40)의 승강운동을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특히 틸팅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클러치피스톤(40)은, 샤프트결합구(11a)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부(11h), 홀더부(11h)의 상단에 일체를 이루며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는 디스크부(11k), 디스크부(11k)의 외곽부 저면에 일체를 이루고 오일출입구(11b)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링부(11g)를 갖는 클러치하우징(11)의 디스크부(11k) 및 지지링부(11g) 하부에서, 상기 홀더부 및 지지링부에 면접한 상태로 승강 가능하며 디스크부 하부에 밀폐 챔버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홀더부에 끼워지며 그 일부가 상기 지지링부의 하부를 통과해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피스톤바디(41)와; 피스톤바디(41)의 상면 일측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지지링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면접하며, 피스톤바디와 지지링부의 사이 틈새를 밀폐하는 제1립본체(43a)와; 제1립본체에 고정되며 제1립본체와 함께 지지링부에 면접하며, 지지링에 대한 제1립본체의 마찰력을 경감하는 제1마찰력경감수단과; 피스톤바디의 상면 타측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홀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면접하며, 피스톤바디와 홀더부의 사이 틈새를 밀폐하는 제2립본체(45a)와; 제2립본체에 결합되며, 제2립본체와 더불어 홀더부에 면접하여, 홀더부에 대한 제2립본체의 마찰력을 경감시키는 제2마찰력경감수단을 포함하는 기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클러치 유니트(30)용 클러치피스톤(40)을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B부분 확대도면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피스톤(40)은, 클러치하우징(11)과 클러치(17)의 사이에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피스톤바디(41), 제1실링립(43), 제2실링립(45)을 포함한다.
클러치하우징(11)은 엔진의 샤프트(미도시)를 샤프트결합구(11a)로 통과시키는 부재로서, 홀더부(11h)와 디스크부(11k)와 지지링부(11g)을 갖는다. 후술하는 설명에 있어서, (또한,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홀더부(11h)의 외주면은 제1내향면(11d), 디스크부(11k)의 저면은 제3내향면(11f), 지지링부(11g)의 내주면은 제2내향면(11e)이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1,2,3내향면(11d,11e,11f)은 클러치피스톤(40)과 함께 하나의 밀폐형 챔버(11c)를 구성한다. 따라서, 가령, 오일출입구(11b)를 통해 챔버(11c) 내부로 오일이 압입되면, 클러치피스톤(40)이 오일의 압력을 받아 하강하며 클러치(17)를 하부로 이동시킨다. 클러치하우징(11) 및 클러치(17)에 관한 설명은 도 1을 통해 다루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피스톤(40)은, 금속판을 절곡 형성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그 중심부로 홀더부(11h)를 통과시키는 피스톤바디(41)와, 피스톤바디(41)의 상면 일측에 접착 고정되는 제1실링립(43)와, 타측에 접착 고정되는 제2실링립(45)를 구비한다.
상기 피스톤바디(41)는, 지지링부(11g) 하부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가압부(41a)를 갖는다. 가압부(41a)는 클러치피스톤(40)의 하강시 클러치(17)를 하향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클러치피스톤(40)의 상승은 별도의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진다. 가령, 클러치피스톤(40)의 하부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클러치피스톤(40)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향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제1실링립(43)은, 제1립본체(43a) 및 제1틸팅방지링(43b)으로 구성된다. 제1립본체(43a)는 피스톤바디(41)에 접착방식으로 고정되고, 피스톤바디(41)와 지지링부(11g)와의 사이 틈새를 밀폐하는 고무부재이다. 제1립본체(43a)의 재질은 일반적인 시일용 고무와 같다.
제1립본체(43a)는 제2내향면(11e)에 대해 면접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말하자면, 제2내향면(11e)에 밀착한 상태로 미끄럼 운동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미끄럼운동 가능하다 하더라도, 립본체 자체가 고무로 이루어지므로 마찰력이 작용할 수밖에 없다.
제1틸팅방지링(43b)은, 제1립본체(43a)가 갖는 마찰력을 경감시키기 위한 제1마찰력 경감수단으로서, 일정직경을 갖는 링의 형태를 취하며, 제1립본체(43a)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로, 제1립본체(43a)와 함께 제2내향면(11e)에 면접한다. 제1틸팅방지링(43b)은 테프론, 아세탈, 아크릴, 베이클라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로 제작 가능하다.
제1틸팅방지링(43b)은 어느 이상의 경도를 갖는 부재로서, 제2내향면(11e)과 면접한 상태로 수평을 유지하며 승강운동 한다. 제1틸팅방지링(43b)은 제2내향면(11e)에 대한 마찰이, 제1립본체(43a)에 비해 훨씬 적으며 변형이 없으므로, 클러치피스톤(40)의 승강시 제1립본체(43a)의 수직운동의 기준으로 작용한다. 말하자면, 제1립본체(43a)가 제1틸팅방지링(43b)에 지지된 상태로 움직이는 것이다.
또한, 제2실링립(45)은, 제2립본체(45a) 및 제2틸팅방지링(45b)를 구비한다. 제2립본체(45a)는 피스톤바디(41)에 접착방식으로 고정된 상태로, 피스톤바디(41)와 홀더부(11h)와의 사이 틈새를 밀폐하는 고무부재이다. 제2립본체(45a)의 재질은 제1립본체(43a)와 같게 구성할 수 있다.
제2립본체(45a)는 제1내향면(11d)에 대해 면접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제1내향면(11d)에 대한 밀착을 유지하며 미끄럼 운동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제1립본체와 마찬가지로) 미끄럼운동 가능하다 하더라도, 제2립본체(45a) 자체가 고무로 이루어지므로 마찰력이 작용할 수밖에 없다.
제2틸팅방지링(45b)은, 제2립본체(45a)가 갖는 마찰력을 경감시키기 위한 제1마찰력 경감수단이다. 제2틸팅방지링(45b)은, 일정직경을 갖는 링의 형태를 취하며 홀더부(11h)의 외주면을 감싼다. 제1틸팅방지링(45b)을 포함하는 평면은 홀더부(11h)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한다. 제2틸팅방지링(45b)도, 테프론, 아세탈, 아크릴, 베이클라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로 제작 가능하다.
제2틸팅방지링(45b)은 제1내향면(11d)과 면접한 상태로 수평을 유지하며 승강운동 한다. 제2틸팅방지링(45b)은 마찰에 의한 기계적 변형이 없으므로, 클러치피스톤(40)의 승강시 제2립본체(45a)의 수직운동을 지지한다. 이를테면, 제2립본체(45a)가 제2틸팅방지링(45b)에 지지된 상태로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
결국, 상기 제1,2틸팅방지링(43b,45b)의 작용에 의해, 제1,2립본체(43a,45a)는, 클러치피스톤(40)의 승강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인 수평의 자세를 유지한다. 틸팅 현상이 없으므로, 편마모가 발생하거나 오일의 누설을 유발하지 않음은 당연하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클러치 유니트용 클러치피스톤(40)에 적용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틸팅방지링의 구조를 나타내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틸팅방지링(43b)의 후방에 써포터부(43c)가 위치함을 알 수 있다. 써포터부(43c)는 제1틸팅방지링(43b)에 일체를 이루며, 제1립본체(43a)를 관통하여 피스톤바디(41)측으로 연장되어 피스톤바디에 물리적으로 접한다. 써포터부(43c)는 피스톤바디(41)에 지지된 상태로 제1틸팅방지링(43b)을 화살표 a방향으로 지지한다. 이와 같이 써포터부(43c)를 적용함으로써 제1틸팅방지링(43b)의 전면이 제2내향면(11e)으로부터 물러날 염려가 없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틸팅방지링(45b)에도 써포터부(45c)가 형성되어 있다. 써포터부(45c)는 제2립본체(45a)를 관통하여 피스톤바디(41)측으로 연장되어, 피스톤바디(41)의 단부에 지지된다. 써포터부(45c)는 제2틸팅방지링(45b)을 화살표 a방향으로 지지하여, 제2틸팅방지링(45b)이 제1내향면(11d)으로부터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클러치유니트 11:클러치하우징 11a:샤프트결합구
11b:오일출입구 11c:챔버 11d:제1내향면
11e:제2내향면 11f:제3내향면 11g:지지링부
11h:홀더부 11k:디스크부 13:클러치피스톤
13a:피스톤바디 13b:제1실링팁 13c:제2실링팁
15:스프링 17:클러치 30:클러치유니트
40:클러치피스톤 41:피스톤바디 41a:가압부
43:제1실링팁 43a:제1립본체 43b:제1틸팅방지링
43c:써포터부 45:제2실링팁 45a:제2립본체
45b:제2틸팅방지링 45c:써포터부

Claims (5)

  1. 삭제
  2. 샤프트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상단에 일체를 이루며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는 디스크부, 상기 디스크부의 외곽부 저면에 일체를 이루고 오일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링부를 갖는 클러치하우징의 디스크부 및 지지링부 하부에서, 상기 홀더부 및 지지링부에 면접한 상태로 승강 가능하며 디스크부 하부에 밀폐 챔버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홀더부에 끼워지며 그 일부가 상기 지지링부의 하부를 통과해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피스톤바디와;
    상기 피스톤바디의 상면 일측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지지링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면접하며, 피스톤바디와 지지링부의 사이 틈새를 밀폐하는 제1립본체와;
    상기 제1립본체에 고정되며 제1립본체와 함께 지지링부에 면접하며, 지지링에 대한 제1립본체의 마찰력을 경감하는 제1마찰력경감수단과;
    상기 피스톤바디의 상면 타측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홀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면접하며, 피스톤바디와 홀더부의 사이 틈새를 밀폐하는 제2립본체와;
    상기 제2립본체에 결합되며, 제2립본체와 더불어 홀더부에 면접하여, 홀더부에 대한 제2립본체의 마찰력을 경감시키는 제2마찰력경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1마찰력경감수단이, 일정직경을 갖는 링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제1립본체를 감싸는 비탄성 틸팅방지링이고,
    상기 틸팅방지링에는,
    제1,2립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바디측으로 연장되어 피스톤바디에 물리적으로 접하며, 피스톤바디로부터 지지력을 전달받는 써포터부가 더 형성된 자동변속기 클러치 유니트용 클러치피스톤.
  3. 샤프트결합구가 형성되어 있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의 상단에 일체를 이루며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는 디스크부, 상기 디스크부의 외곽부 저면에 일체를 이루고 오일출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지지링부를 갖는 클러치하우징의 디스크부 및 지지링부 하부에서, 상기 홀더부 및 지지링부에 면접한 상태로 승강 가능하며 디스크부 하부에 밀폐 챔버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홀더부에 끼워지며 그 일부가 상기 지지링부의 하부를 통과해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된 피스톤바디와;
    상기 피스톤바디의 상면 일측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지지링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면접하며, 피스톤바디와 지지링부의 사이 틈새를 밀폐하는 제1립본체와;
    상기 제1립본체에 고정되며 제1립본체와 함께 지지링부에 면접하며, 지지링에 대한 제1립본체의 마찰력을 경감하는 제1마찰력경감수단과;
    상기 피스톤바디의 상면 타측에 접착 고정되고, 상기 홀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면접하며, 피스톤바디와 홀더부의 사이 틈새를 밀폐하는 제2립본체와;
    상기 제2립본체에 결합되며, 제2립본체와 더불어 홀더부에 면접하여, 홀더부에 대한 제2립본체의 마찰력을 경감시키는 제2마찰력경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마찰력경감수단이, 일정직경을 갖는 링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홀더부를 감싸는 비탄성 틸팅방지링이고,
    상기 틸팅방지링에는,
    제1,2립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피스톤바디측으로 연장되어 피스톤바디에 물리적으로 접하며, 피스톤바디로부터 지지력을 전달받는 써포터부가 더 형성된 자동변속기 클러치 유니트용 클러치피스톤.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방지링이,
    테프론, 아세탈, 아크릴, 베이클라이트, 폴리카보네이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자동변속기 클러치 유니트용 클러치피스톤.
  5. 삭제
KR1020180107735A 2018-09-10 2018-09-10 자동변속기 클러치유니트용 클러치피스톤 KR102200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735A KR102200570B1 (ko) 2018-09-10 2018-09-10 자동변속기 클러치유니트용 클러치피스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735A KR102200570B1 (ko) 2018-09-10 2018-09-10 자동변속기 클러치유니트용 클러치피스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676A KR20200029676A (ko) 2020-03-19
KR102200570B1 true KR102200570B1 (ko) 2021-01-11

Family

ID=69957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735A KR102200570B1 (ko) 2018-09-10 2018-09-10 자동변속기 클러치유니트용 클러치피스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5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1270B2 (ja) * 1994-10-21 2002-02-25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密封装置
JP2005325995A (ja) 2004-04-13 2005-11-24 Nok Corp ピストン
KR101348306B1 (ko) * 2010-10-13 2014-01-08 한국에스케이에프씰 주식회사 피스톤 씰
JP2017161022A (ja) 2016-03-10 2017-09-14 Nok株式会社 ボンデッドピストンシー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185A (ko) 2003-06-16 2004-12-23 김대성 컴퓨터 모니터 상에서 광고, 영화, 사이버 강좌, tv프로그램 및 인터넷 생방송 등을 동시에 송출하는 다중화면 시스템
KR100956682B1 (ko) 2009-10-06 2010-05-11 씨스톤 테크놀로지스(주) 클러치 피스톤, 이를 구비한 클러치 및 그 클러치를 구비한 자동변속기
KR101393764B1 (ko) 2012-07-26 2014-05-12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다중 챔버 구조 클러치의 피스톤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1270B2 (ja) * 1994-10-21 2002-02-25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密封装置
JP2005325995A (ja) 2004-04-13 2005-11-24 Nok Corp ピストン
KR101348306B1 (ko) * 2010-10-13 2014-01-08 한국에스케이에프씰 주식회사 피스톤 씰
JP2017161022A (ja) 2016-03-10 2017-09-14 Nok株式会社 ボンデッドピストンシ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676A (ko)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8300B2 (en) Sealing device for reciprocating shaft
JPH09210088A (ja) 密封装置
JP4649500B2 (ja) 密封装置
JP2023080365A (ja) 密封装置
JP4410338B2 (ja) 発進クラッチ
US4566578A (en) Clutch throw-out bearing and bearing carrier assembly
US5542517A (en) Balance dam return spring for friction element of an automatic transmission
KR102200570B1 (ko) 자동변속기 클러치유니트용 클러치피스톤
KR101908300B1 (ko) 본디드 피스톤 씰 및 이를 구비한 클러치 유닛
JP2011002054A (ja) 自動変速機の遠心油圧キャンセル構造
US20080023893A1 (en) Hermetically Sealing Device
KR101534657B1 (ko) 자동변속기용 클러치
JPH09303423A (ja) 密封装置
JP2008064206A (ja) 摩擦係合装置の支持構造および変速機
CN109307019B (zh) 离合器释放装置
JP5424552B2 (ja) 流体式自動変速機のクラッチシリンダ
JP4998715B2 (ja) 自動変速機用ピストン
KR101155647B1 (ko) 마찰요소
KR102020370B1 (ko) 트랜스퍼 케이스용 오일 컨트롤 밸브
KR101208885B1 (ko) 자동변속기 다판 클러치 시스템의 클러치 피스톤용 고무링
CN109424658A (zh) 离合器从动缸
JP2016070489A (ja) 摩擦クラッチ
KR100854284B1 (ko) 마찰요소
US7832539B2 (en) Multiple disc clutch apparatus
US9989106B2 (en) Clutch release bearing device and motor vehicle equipped with such a bea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