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244B1 - 낚싯줄 통과구 및 낚싯줄 통과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낚싯줄 통과구 및 낚싯줄 통과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244B1
KR102200244B1 KR1020200046448A KR20200046448A KR102200244B1 KR 102200244 B1 KR102200244 B1 KR 102200244B1 KR 1020200046448 A KR1020200046448 A KR 1020200046448A KR 20200046448 A KR20200046448 A KR 20200046448A KR 102200244 B1 KR102200244 B1 KR 102200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elastic
fishing
straight
passa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6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토 오무라
Original Assignee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JP2020175219A priority Critical patent/JP7025055B2/ja
Priority to US17/081,011 priority patent/US11553702B2/en
Priority to CN202011228340.1A priority patent/CN112772586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낚싯대에 설치되는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링에 낚싯줄을 통과시키기 위한 낚싯줄 통과구가 제공된다. 낚싯줄 통과구는, 낚싯줄 협지부와, 탄성부와, 선단부를 포함한다. 낚싯줄 통과구는 하나의 금속 선재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낚싯줄 협지부는, 제1 단부에서 이어지는 제1 협지부 및 제2 협지부를 가진다. 제1 협지부와 제2 협지부는 적어도 일부에서 접촉하고 낚싯줄을 끼워서 지지할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을 이룬다. 탄성부는, 제1 협지부로부터 연장하는 제1 탄성부 및 제2 협지부로부터 연장하는 제2 탄성부를 가진다. 탄성부는,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가 각각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폭 방향으로 최대로 이격된 지점인 정점부를 갖도록 전체적으로 마름모꼴 형상을 이룬다. 선단부는, 제1 및 제2 탄성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각각 제2 단부까지 연장되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선단부 및 제2 선단부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선단부는 접합부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Description

낚싯줄 통과구 및 낚싯줄 통과구의 제조 방법{FISHING LINE THREA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ISHING LINE THREADER}
본 개시는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링에 낚싯줄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구인 낚싯줄 통과구에 관한 것이다.
낚시를 행할 때에, 낚싯줄 가이드에 구비되는 가이드 링에 릴에 감긴 낚싯줄을 통과시킨다. 가이드 링 내에 낚싯줄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낚시인은 손가락으로 낚싯줄의 선단을 잡고 가이드링에 낚싯줄을 통과시키거나, 또는 낚싯줄 통과구를 사용하고 있다.
낚싯줄 가이드에 낚싯줄을 통과시킬 수 있는 낚싯줄 통과구의 일 예가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16668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이 개시하는 낚싯줄 통과구는, 선단부와, 상기 선단부와 일체로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고 스프링성을 갖는 후부(後部)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부의 한쪽의 갈래는 낚싯줄의 고정부를 갖고, 상기 후부의 다른 쪽의 갈래는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부분을 가진다. 낚싯줄을 낚싯줄 가이드에 통과시킬 때, 상기 후부는 스프링성에 저항하여 휘어서 낚싯줄 가이드를 통과한다. 낚시줄이 낚싯줄 가이드를 통과한 후에, 상기 후부는 복원되어 낚싯줄 가이드를 역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방해하므로, 낚시줄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낚싯대는, 어신(魚信) 감도의 저하, 낚싯대의 묵직함, 추나 루어의 짧은 비거리와 같은 결점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릴로부터 낚싯대의 선단까지의 사이에 장착되는 낚싯줄 가이드 그룹의 구성을 고려한, 예를 들어,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5474868호에 개시된 낚싯줄 가이드 그룹이 채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낚싯대의 선단 측에 위치하는 팁 섹션에 장착되는 낚싯줄 가이드 그룹은, 소구경(小口徑)으로 가볍고 동일한 구경(口徑)을 갖는 낚싯줄 가이드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고 여겨지고 있다.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16668호 일본 등록특허공보 제5474868호
낚시 종류(釣種)에 따라서는 낚싯대의 팁 섹션에 장착되는 낚싯줄 가이드는 극소로 된다. 즉, 가이드 링의 내경이 1.3mm까지로 되는 극소의 낚싯줄 가이드가 팁 섹션에 장착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손가락으로 낚싯줄을 통과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고, 종래의 낚싯줄 통과구가 가이드 링을 쉽게 통과하지 못하는 난점이 있다.
또한, 팁 섹션의 극소 낚싯줄 가이드의 내경은 육안으로 파악하는 것이 어렵고, 게다가 상기 극소의 낚싯줄 가이드들의 간격은 매우 좁기 때문에, 낚시인은 낚싯줄을 낚싯줄 가이드에 하나씩 통과시키는 데에 번거로움을 느낀다.
낚싯줄의 극소화에 수반하여, 팁 섹션의 극소 낚싯줄 가이드에 있어서는 낚시인이 낚싯줄을 통과시켰다고 생각하더라도, 실제로는 낚싯줄을 통과시키지 않은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낚싯줄을 다시 통과시키기 위해, 통과시키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낚싯줄을 되돌리는 것이 용이할 필요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는, 팁 섹션의 낚싯줄 가이드 그룹에 낚싯줄을 통과시킴에 있어서, 극소 낚싯줄 가이드에 낚싯줄을 통과시킬 수 있고, 육안에 의지하는 일 없이, 용이하게 낚싯줄을 통과시킬 수 있는 형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는, 낚싯줄을 가이드 링에 정방향 및 역방향의 양방향으로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는, 섬세한 손가락의 조작에 의한 낚싯줄의 통과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낚시인이 낚싯줄 통과구를 사용하는 방법의 기호에 맞추고, 어떠한 사용 방법에도 대처할 수 있는 구성을 갖도록 한다. 또한, 본 개시는, 각각의 낚시인의 손가락에 맞춘 양호한 파지성을 가질 수 있는, 종래 방식에 따른 문제점 중의 하나 이상을 극복한 낚싯줄 통과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낚싯대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링에 낚싯줄을 통과시키는 낚싯줄 통과구의 실시예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낚싯줄 통과구는, 낚싯줄 협지부와, 탄성부와, 선단부를 포함한다. 낚싯줄 통과구는 하나의 금속 선재만으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을 가진다. 낚싯줄 협지부는, 제1 단부에서 이어지는 제1 협지부 및 제2 협지부를 가진다. 제1 협지부와 제2 협지부는 적어도 일부에서 접촉하고 낚싯줄을 끼워서 지지할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을 이룬다. 탄성부는, 제1 협지부로부터 연장하는 제1 탄성부 및 제2 협지부로부터 연장하는 제2 탄성부를 가진다. 탄성부는, 제1 탄성부 및 제2 탄성부가 길이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폭 방향으로 최대로 이격된 지점인 정점부를 각각 갖도록 전체적으로 마름모꼴 형상을 이룬다. 선단부는, 제1 및 제2 탄성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각각 제2 단부까지 연장되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선단부 및 제2 선단부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선단부는 접합부에 의해 서로 접합된다. 접합부는 국부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접합부이다. 접합부는, 선단부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형성되며, 스폿 용접, 브레이징 또는 납땜에 의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 방향을 따라 정점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의 길이는,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전장의 60~ 8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의 전장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3개의 낚싯줄 가이드의 간격에 대응하도록 75mm 내지 115mm인 범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낚싯줄 협지부는, 제1 및 제2 협지부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교차하고 겹쳐져 형성되는 비틀림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낚싯대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링에 낚싯줄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되는 낚싯줄 통과구를 제조하는 방법의 실시예가 개시된다. 상기 낚싯줄 통과구는, 비틀림부를 갖고 낚싯줄을 끼워서 지지하는 낚싯줄 협지부와, 낚싯줄 협지부로부터 연장하고 전체적으로 마름모꼴 형상을 이루는 탄성부와, 탄성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선단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를 제조하는 방법은, 중간 부분과 중간 부분의 각 단으로부터 기울어지도록 연장하는 제1 및 제2 직선 부분을 갖는 하나의 선재를 제작하는 공정과, 선재를 되접음으로써 낚싯줄 협지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제1 및 제2 직선 부분을 이동시킴으로써 탄성부를 형성하는 공정과, 제1 및 제2 직선 부분을 접합함으로써 선단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상기 낚싯줄 협지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중간 부분의 이등분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선재를 되접음으로써 이등분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중간 부분에 제1 중간 부분 및 제2 중간 부분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1 중간 부분의 일부와 제2 중간 부분의 일부가 교차하면서 서로 접촉하여 마찰되고 겹치도록, 제1 중간 부분과 제2 중간 부분에 찌부러트림 가공을 행함으로써 비틀림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측에 위치한 제1 직선 부분이 하측에 위치한 제2 직선 부분을 향해 이동하고, 하측에 위치한 제2 직선 부분이 상측에 위치한 제1 직선 부분을 향해 이동하도록, 제1 직선 부분의 단부와 제2 직선 부분의 단부를 누름으로써 제1 직선 부분과 제2 직선 부분을 맞추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선단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제1 직선 부분과 제2 직선 부분을 연결하도록 제1 직선 부분과 제2 직선 부분을 국부적으로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를 이용하여 낚싯줄이 극소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링을 원활하게 관통하도록 낚싯줄의 통과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를 낚싯대에서 사용하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낚싯대의 팁 섹션에서 낚싯줄 가이드 사이의 간격의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낚싯대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낚싯대이 팁 섹션에서 낚싯줄 가이드 사이의 간격의 또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낚싯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가 낚싯줄 가이드를 통과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가 낚싯줄 가이드를 통과하는 또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를 낚싯대에서 사용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일부의 낚싯줄 가이드에 낚싯줄이 통과하지 않은 상황을 도시한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하는 상황으로부터 낚싯줄 통과구를 되돌리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c는 낚싯줄 통과구에 의해 낚싯줄의 통과를 다시 진행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a는 도 7c에 도시하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를 낚싯대에서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를 역방향으로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의 두께 및 길이 방향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의 길이 방향의 구성의 또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의 길이 방향의 구성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낚싯대의 팁 섹션에서 낚싯줄 가이드 사이의 간격을 예시한다.
도 12a는 본 개시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2b는 도 12a에 도시하는 낚싯줄 통과구의 측면도이다.
도 12c는 도 12a에 도시하는 낚싯줄 통과구의 배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의 제조 공정에서 선재를 가공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4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의 제조 공정에서 누름 가공의 예를 도시한다.
도 14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의 제조 공정에서 맞춤 가공의 예를 도시한다.
도 14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의 제조 공정에서 접합 공정의 예를 도시한다.
도 15a는 본 개시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의 제조 공정에서 선재의 찌부러뜨림 가공의 예를 도시한다.
도 15b는 본 개시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의 제조 공정에서 맞춤 가공의 예를 도시한다.
도 15c는 본 개시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의 제조 공정에서 접합 공정의 예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가 이하에 제시되는 실시예들이나 이들 실시예들에 대한 구체적 설명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술된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기재되는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치수와 수치 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이러한 치수와 수치는 기재된 값 및 이것을 포함하는 동등한 범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에 기재된 '1.3mm'라는 치수는 '약 1.3mm'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상방', '상' 등의 방향지시어는 첨부된 도면에서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링이 낚싯대에 대해 위치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하방', '하' 등의 방향지시어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와 낚싯대는 달리 배향될 수도 있으며, 상기 방향지시어들은 그에 맞추어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를 낚싯대(1100)에서 사용하는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100)는, 최근의 낚싯대 업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낚싯줄 가이드(1200)의 '극소 직경 링(즉, 직경이 상당히 작아서 낚싯줄이 간신히 들어갈 수 있는 크기의 낚싯줄 가이드)'에 대응할 수 있도록 고안된 도구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낚싯대(1100)는 낚싯줄 가이드(1200)가 장착된 범위에서 단면 직경이 작은 부분부터 단면 직경이 큰 부분으로 3개의 섹션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낚싯대(1100)는 팁 섹션(tip section, 1110), 벨리 섹션(belly section, 1120), 및 버트 섹션(butt section, 1130)을 가질 수 있다. 팁 섹션(1110)은 버트 섹션(1130)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릴(1400)이 장착된 릴 시트(1300))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낚싯줄 통과구(100)는, 낚싯대(1100)의 팁 섹션(1110)에 매우 좁은 간격(S)으로 설치된 낚싯줄 가이드(1200)에 용이하게 낚싯줄을 통과시킬 수 있고, 만일 낚싯줄을 일부의 낚싯줄 가이드(1200)에 통과시키는 것을 누락하더라도 용이하게 다시 통과시킬 수 있다. 또한, 낚싯줄 통과구(100)는, 낚시인이 낚싯줄을 통과시킬 때에 낚싯줄 통과구(100)의 파지 방법(즉, 파지하는 방향)이 어느 쪽으로도 가능한, 유니버설 디자인으로 설계될 수 있다.
낚싯대에서 팁 섹션(1110)의 경량화는 낚싯대가 가진 본래의 성능을 보다 이끌어 낼 수 있으므로, 팁 섹션(1110)에 있어서 낚싯줄 가이드(1200)의 '극소화'가 시도되고 있다. 이에 관련하여, 팁 섹션(1110)에는, 가이드 링(1210)의 직경이 대체로 '소구경(小口徑)(직경(D)이 상당히 작음)' 이고 또한 동일한 구경(口徑)의 가이드 링을 가지는 다수의 낚싯줄 가이드(1200)가 연속해서 장착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이드 링(1210)의 직경(D)은 예컨대 1.3mm 정도까지 극소화될 수 있다.
낚싯줄 가이드(1200)의 극소화에 따라, 낚싯줄(5)의 극세화도 진행되어, 육안으로 낚싯줄(5)과 낚싯줄 가이드(1200)를 파악하는 것이 어려워 질 수 있다. 따라서, 낚시인이 낚싯줄 가이드(1200)의 가이드 링(1210)의 내측으로 낚싯줄을 통과시킨 것으로 파악하더라도, 실제로는 낚싯줄을 통과시키지 못했다는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낚시를 시작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낚싯줄이 얽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100)는, 극소의 낚싯줄 가이드(1200)에 낚싯줄(5)을 통과시키는 도구로서, 특히 팁 섹션(1110)에 있어서 연속된 낚싯줄 가이드(1200)들에 낚싯줄(5)을 통과시키도록 낚싯줄(5)을 안내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낚싯줄(5)을 낚싯줄 가이드에 통과시킬 수 있다.
낚싯줄 통과구(100)는, 낚싯줄 가이드(1200)에 낚싯줄(5)을 통과시키는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낚싯줄 가이드(1200)에 다시 걸리는 일 없이 되돌릴 수 있고, 만일 일부의 낚싯줄 가이드(1200)에 낚싯줄(5)을 통과시키는 것을 누락하더라도, 용이하게 낚싯줄(5)을 되돌려, 낚싯줄(5)의 통과를 재개할 수 있게 한다.
낚싯줄 통과구(100)는, 섬세한 손가락의 조작을 필요로 하는 낚싯대의 팁 섹션(1110)에 고정된 낚싯줄 가이드(1200)에 대한 낚싯줄(5) 통과에 있어서, 낚시인이 낚싯줄 통과구(100)를 어떠한 방법으로 파지하더라도 기능할 수 있도록 한 유니버설 디자인이므로, 각각의 낚시인의 기호에 맞춘 양호한 파지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낚싯줄 통과구(100)는, 낚싯대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1200)의 가이드 링(1210)의 내측으로 낚싯줄(5)을 통과시키기 위한 도구이다. 낚싯줄 통과구(100)는 하나의 선재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선재는 탄성이 있는 금속 재료라면 어떤 것이든지 사용할 수 있다. 탄성이 있는 금속 재료의 예로서, SW-C(경강선)(hard drawn steel wire), SWP-A/B(피아노선 A종/B종)(piano wire type A/type B) 또는 SUS304-WPB/SUS316-WPB(스테인리스강선)(stainless steel wire)가 있을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낚싯줄 통과구는 야외에서 바닷물이 낚시줄 통과구에 부착되는 환경 하에서 사용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내식성이 양호한 SUS304-WPB/SUS316-WPB가 상기 금속 재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선재는 금속 재료 이외에 강성과 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낚싯줄 통과구(100)는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LD)을 따라 제1 단부(101)로부터 제2 단부(102)까지 연장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낚싯줄 통과구(100)는, 길이 방향(LD)을 따라, 낚싯줄 협지부(110), 탄성부(120), 및 선단부(130)로 구분될 수 있다. 길이 방향(LD)에서의 낚싯줄 협지부(110)의 끝에 제1 단부(101)가 형성되고, 길이 방향(LD)에서의 선단부(130)의 끝에 제2 단부(10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단부(101)와 제2 단부(102)는 길이 방향(LD)으로 이격되어, 낚싯줄 통과구(100)의 양단을 형성할 수 있다. 낚싯줄 통과구(100)는 제1 단부(101)를 기준으로하여 구부러져서 형성될 수 있다.
낚싯줄 협지부(110)는, 낚싯줄을 협지하는 방식으로 낚싯줄을 고정한다. 낚싯줄 협지부(110)는 제1 협지부(111) 및 제2 협지부(112)를 가질 수 있다. 제1 협지부(111) 및 제2 협지부(112)는 제1 단부(101)에서 이어진다. 낚싯줄 협지부(110)의 제1 협지부(111) 및 제2 협지부(112)는 제1 단부(101) 측에 낚싯줄(5)이 걸릴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즉, 낚싯줄 협지부(110)에는, 제1 및 제2 협지부(111, 112)가 이루는 고리 형상으로 되는 고리 형상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협지부(111) 및 제2 협지부(112)는 적어도 일부에서 서로 접촉하여, 제1 협지부(111)와 제2 협지부(112)의 사이에 낚싯줄을 끼워서 지지(즉, 협지(挾持))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낚싯줄을 낚싯줄 통과구(100)에 고정할 때, 낚시줄은 탄성부(120)를 관통하고, 낚싯줄 협지부(110)로, 즉, 제1 협지부(111)와 제2 협지부(112)의 사이로 삽입된다. 제1 단부(101)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부러진 제1 협지부(111)와 제2 협지부(112)가 서로를 향하여 탄성력을 인가한다. 따라서, 제1 협지부(111)와 제2 협지부(112)의 사이에 끼워진 낚싯줄이 제1 협지부(111)와 제2 협지부(112)에 고정되며, 낚싯줄 통과구(100)의 이동 시에 낚싯줄 협지부(110)와 함께 이동된다.
탄성부(120)는, 제1 협지부(111)로부터 연장하는 제1 탄성부(121) 및 제2 협지부(112)로부터 연장하는 제2 탄성부(123)를 가질 수 있다. 제1 탄성부(121) 및 제2 탄성부(123)는 각각, 길이 방향(LD)과 직각을 이루는 폭 방향(WD)으로 최대로 이격된 지점인 제1 및 제2 정점부(122, 124)를 가질 수 있다. 탄성부(120)는 전체적으로 마름모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1 정점부(122)는 제1 탄성부(121)의 내에서 소정 위치에 위치하고, 제2 정점부(124)는 제2 탄성부(123) 내에서 소정 위치에 위치한다. 탄성부(120)의 마름모꼴 형상에 있어서, 제1 정점부(122)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1 탄성부(121)의 부분은, 탄성부(120)의 마름모꼴 형상의 중심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제2 정점부(124)의 양측에 위치하는 제2 탄성부(123)의 부분은, 탄성부(120)의 마름모꼴 형상의 중심을 향해 볼록하게 만곡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탄성부(120)는, 낚시인이 낚싯줄 통과구(100)를 파지할 때,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낚시인이 제1 및 제2 정점부(122, 124)를 폭 방향(WD)의 내측으로 누르게 되면, 탄성부(120)가 탄성 변형을 하면서 낚싯줄 통과구(100)의 전체 길이가 늘어날 수 있고, 탄성부(120)의 마름모꼴 형상은 폭 방향(WD)으로 축소할 수 있다. 반대로, 낚시인이 탄성부(12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탄성부(120)는 초기 상태의 마름모꼴 형상으로 다시 되돌아간다.
선단부(130)는 길이 방향(LD)을 따라 연장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선단부(130)는, 예를 들어,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1200)를 관통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선단부(130)는, 제1 및 제2 탄성부(121, 123)로부터 길이 방향(LD)으로 각각 제2 단부(102)까지 각각 연장하고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선단부(131) 및 제2 선단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선단부(131, 132)는, 선단부(13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국부적으로 또는 비연속적으로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접합부(140)에 의해 서로 접합될 수 있다. 접합부(140)는 스폿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낚싯대의 팁 섹션(1110)에서 낚싯줄 가이드(1200) 사이의 간격의 예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는 간격들은 하나의 예시적인 간격으로 설명될 수 있다.
낚싯줄 통과구(100)가 원활하게 낚싯줄(5)의 통과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낚싯줄 통과구(100)는, 2개 이상의 낚싯줄 가이드(1200)를 한번에 관통하면서 3번째 낚싯줄 가이드에 거의 근접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낚싯줄 통과구(100)가 2개의 낚싯줄 가이드(1200) 사이의 간격 정도의 길이만을 가질 경우에는, 낚싯줄 통과구(100)를 길이 방향(LD)를 따라 이동시킬 때에 폭 방향(WD)으로의 움직임에 의해 3번째 낚싯줄 가이드에의 낚싯줄(5) 통과의 안정성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하는 낚싯줄 가이드(1200) 사이의 간격들을 참고하여, 낚싯줄 통과구(100)의 길이를 연속된 3개의 낚싯줄 가이드(1200)의 간격에 대응하도록 낚싯줄 통과구를 설계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100)가 낚싯줄 가이드(1200)를 통과하는 일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낚싯줄 협지부(110)는 낚싯줄(5)을 끼워서 지지 할 수 있다. 낚싯줄 협지부(110)를 이루는 제1 협지부(111)와 제2 협지부(112)의 사이로 낚싯줄(5)이 삽입되고 끼워진 상태에서, 낚싯줄 통과구(100)가 길이 방향(LD)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 낚싯줄(5)이 제1 단부(101)에 걸리게 되고 낚싯줄 협지부(110)에 의해 협지(挾持)가 이루어져서, 낚싯줄(5)은 낚싯줄 통과구(10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낚싯줄(5)을 낚싯줄 협지부(110)에 고정시키기 위해 낚싯줄(5)에 매듭을 지어 묶는 작업을 하지 않더라도, 낚싯줄(5)은 낚싯줄 협지부(110)에 의해 낚싯줄 통과구(1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낚싯줄 통과구(100)는 하나의 금속 선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금속 선재의 양단은 선단부(130)에서 합쳐져서 제2 단부(102)를 이룬다. 선단부(130)는 선단부(13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접합부(140)에 의해 접합된다. 접합부(140)는 선단부(130)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낚싯줄 통과구(100)를 가이드 링(1210)의 내측으로 통과시킬 때에, 낚싯줄 통과구(100)가 가이드 링(1210)에 걸리는 부위가 형성되지 않게 되므로, 낚싯줄(5)이 부드럽게 가이드 링(1210)을 통과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낚싯줄 통과구(100)가 낚싯줄 가이드(1200)를 통과하면서 낚싯줄(5)을 가이드 링(1210)의 내측으로 통과시킨다. 이 때, 탄성부(120)는, 만곡되어 있는 제1 및 제2 탄성부의 외면에서 낚싯줄 가이드(1200)의 가이드 링과 접촉한다. 낚싯줄 통과구(100)를 이동시키는 힘에 대한 반력이 가이드 링으로부터 탄성부(120)에 가해진다. 탄성부(120)는 상기 반력에 의해 마름모꼴 형상을 좁히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가이드 링을 통과하는 도중 탄성부(120)의 내부에는 간극이 거의 존재하지 않게 될 수 있다. 탄성부(120)의 제1 및 제2 탄성부가 만곡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링의 상기 반력이 탄성부(120)을 원활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탄성부(120)가 가이드 링을 통과하는 도중, 탄성부(120)의 제1 및 제2 탄성부는 서로 겹쳐지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낚싯줄 통과구(100)의 탄성부(120)는, 낚시인이 낚싯줄(5)을 가이드 링(1210)에 통과시키는 도중에 손가락을 떼더라도, 탄성부(1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그 자리의 낚싯줄 가이드(1200)들 사이에서 낚싯줄 통과구를 멈추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120)는 낚싯줄 가이드(1200)에 구비되는 가이드 링(1210) 내에서 바깥쪽으로(즉, 폭 방향(WD)으로) 넓어지려고 하는 스프링성(즉, 탄성부(120)의 탄성 복원력)을 가지므로, 선단부(130)의 제2 단부(102)가 바로 다음 위치의 가이드 링(1210)의 대략 중심을 향하게 정렬될 수 있다. 즉, 동일하거나 거의 동일한 사이즈의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1200)가 장착된 낚싯대의 팁 섹션(1110)에서, 낚싯줄 통과구(100)가 2개 이상의 낚싯줄 가이드(1200)를 통과하고 있으면, 낚싯줄 통과구(100)의 선단부(130)는 바로 다음의 세번째 낚싯줄 가이드(1200)의 가이드 링(1210)의 대략 중심을 향하게 정렬된다. 따라서, 낚시인이 육안으로 일일이 낚싯줄 통과구(100)의 선단부(130)가 가이드 링(1210)의 중심을 향하도록 맞추는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낚싯줄(5)을 가이드 링(1210)에 연속해서 용이하게 통과시킬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100)를 낚싯대(1100)에서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일부의 낚싯줄 가이드(1200)에 낚싯줄(5)의 통과가 누락된 상황을 도시한다. 즉, 낚시인이 낚싯줄 통과구(100)를 이용하여 낚싯줄(5)을 낚싯줄 가이드에 통과시킬 때에 일부의 낚싯줄 가이드를 지나치고 다음의 낚싯줄 가이드에 낚싯줄을 통과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도 7b는 낚싯줄 통과구(100)를 되돌리는 예를 도시한다. 도 7a에 도시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통과구(100)를 본래의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도 7c는,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통과구(100)를 되돌린 이후에, 다시 낚싯줄(5)의 통과를 진행시키는 상황을 도시한다.
낚싯줄 통과구(100)는, 1개의 금속 선재로 형성되고, 그 일단부는 선단부(130)에서 합쳐지고 접합되어 있다. 또한, 낚싯줄 통과구(100)는, 낚싯줄 협지부(110)와 선단부(130)에서 각각의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단차가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낚싯줄 통과구(100)를 정방향(즉, 제2 단부(102)를 낚싯대의 팁 쪽으로 향하게 하는 방향)이나 역방향(즉, 제1 단부(101)를 낚싯대의 팁 쪽으로 향하게 하는 방향)의 양 방향으로 낚싯줄 가이드(1200)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반대 방향으로 되돌릴 때에도, 낚싯줄 통과구(100)는 낚싯줄 가이드(1200)에 걸리는 일 없이 낚싯줄 가이드(1200)를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c에 도시하는 정방향과는 반대의 역방향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100)를 낚싯대(1100)에서 사용하는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낚싯줄 통과구(100)는, 낚시인이 낚싯줄 통과구(100)를 파지하는 방법의 기호에 따라서, 낚싯줄 협지부(110)를 낚싯줄(5)의 통과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니버설 디자인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낚싯줄 통과구(100)는 각각의 낚시인의 기호에 맞춘 양호한 파지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a는 낚싯줄 협지부(110)의 제1 단부(101)를 낚싯줄(5)의 통과 방향의 지향점(즉, 낚싯대의 팁)으로 배치하는 예를 도시한다. 전장(OL)은 낚싯줄 통과구(100)의 길이 방향(LD)에 따른 전체 길이이며, 제1 단부(101)와 제2 단부(102) 사이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길이(L1)는 정점부(122, 124)로부터 제2 단부(102)까지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길이(L2)는 정점부(122, 124)로부터 제1 단부(101)까지의 길이로 정의될 수 있다.
낚시인이 탄성부(120)를 파지하면, 탄성부(120)는 마름모꼴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파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선단부(130) 측에서의 길이(L1)보다 낚싯줄 협지부(110) 측에서의 길이(L2)를 짧게하면,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통과구(100)를 역방향으로 사용할 경우가 도 7c에 도시하는 정방향으로 사용할 경우에 비하여 낚싯줄 통과구(100)를 낚싯줄 가이드(1200)를 향하여 조준하는 것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낚싯줄 협지부(110)를 낚싯줄(5)의 통과 방향으로 향하게 하더라도, 낚싯줄 협지부(11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단차가 없기 때문에, 낚싯줄 협지부(110)가 낚싯줄 가이드(1200)를 통과하면서 걸리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8b를 참조하면, 낚싯줄 협지부(110)를 낚싯줄(5)의 통과 방향으로 향하게 하더라도(즉, 낚싯줄 통과구(100)를 역방향으로 사용할 경우), 선단부(130)가 낚싯줄(5)의 통과 방향으로 향하게 하는 경우(즉 낚싯줄 통과구(100)를 정방향으로 사용할 경우)와 마찬가지로, 낚싯줄 협지부(110)의 제1 단부(101)는 낚싯줄 가이드(1200)의 가이드 링의 중심을 향하도록 쉽게 정렬(조준)될 수 있다.
도 9, 도 10a 및 도 10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100)의 두께 및 길이 구성의 예를 도시한다. 도 11은 낚싯대의 팁 섹션(1110)에서 낚싯줄 가이드(1200) 사이의 간격을 예시한다.
낚싯줄 통과구(100)는, 1개의 금속 선재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 선재는 낚싯줄 협지부(110)의 되접힘 위치(즉, 제1 단부(101))에서 되접힌다. 상기 금속 선재의 양단부는 선단부(130)에서 합쳐지고 접합된다. 낚싯줄 협지부(110)의 적어도 일부와 선단부(130)는 굴곡 없이 직선상으로 이루어진다. 낚싯줄 협지부(110)와 선단부(130) 사이의 탄성부(120)는 스프링성을 가질 수 있다.
낚싯줄 통과구(100)는 극소화된 낚싯줄 가이드(1200)의 가이드 링의 내측을 통과할 필요가 있고, 한편으로 탄성을 필요로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상기 금속 선재는 0.2mm 내지 0.6mm의 직경(d)을 가질 수 있다.
접합부(140)를 형성하기 위하여 선단부(130)를 스폿 용접으로 접합하면, 선단부(13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단차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상기 스폿 용접은 접합 방법으로서 바람직하다. 접합 개소의 개수(즉, 접합부(140)의 개수)는 3∼6개이면, 충분한 접합력을 얻을 수 있으며, 접합 개소의 개수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른 접합 방법으로서는 납땜으로 선단부(130)를 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탄성부(120)의 정점부(122, 124)로부터 선단부(130)측의 제2 단부(102)까지의 길이는 L1으로 참조될 수 있고, 상기 정점부(122, 124)으로부터 낚싯줄 협지부(110) 측의 제1 단부(101)까지의 길이는 L2로 참조될 수 있다.
도 9,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낚싯줄 통과구(100)는, 길이(L2)와 길이(L1)과 차이가 생기도록, 즉 길이(L2)가 길이(L1)보다 짧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반대의 경우로서, 길이(L1)가 길이(L2)보다 짧은 것도 가능하다. 일부 낚시인은, 낚싯줄 통과구(100)를 파지한 지점으로부터 낚싯줄(5) 통과 방향의 선단까지의 거리가 짧은 쪽이 낚싯줄의 통과 경로를 조준하기 쉽다고 생각할 수 있다. 길이(L2)를 길이(L1)와 차이가 생기도록 설정함으로써, 낚시인의 기호에 따른 다양한 사용 방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길이(L1)는 낚싯줄 통과구(100)의 전장(OL)의 60%~80%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길이(L1)를 설정하면, 길이(L1)와 길이(L2)의 차이가 명확해지기 때문에, 낚시인이 육안으로 자신의 기호에 부합하는 편리한 사용 방법을 판단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낚시인은 자신의 기호에 맞는 방향을 설정하여 보다 편리하게 낚싯줄의 통과를 실시할 수 있다. 도 10a는 길이(L1)가 전장(OL)의 80%인 예를 도시하고, 도 10b는 길이(L1)가 전장(OL)의 60%인 예를 도시한다. 도 10a와 도 10b에 도시하는 탄성부(120)는 대칭의 형상이 아니라 정점부를 기준으로하여 어느 일방이 타방보다 긴 형상을 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낚싯줄 통과구가 사용되는 팁 섹션(1110)에 연속으로 장착된 3개의 낚싯줄 가이드(1200)들 사이의 거리는 대략 115mm(60mm+55mm=115mm)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낚싯줄 통과구(100)의 전장(OL)이 대략 115mm이면, 팁 섹션(1110)에 있어서 2개 이상의 낚싯줄 가이드(1200)에 낚싯줄 통과구를 통과시키면서 세번째 낚싯줄 가이드에 거의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낚싯줄(5)의 통과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 통과구(100)의 전장(OL)이 대략 75mm(40mm+35mm=75mm) 이상이면, 팁 섹션(1110)에서 낚싯대의 팁 쪽에 가까운 위치로 갈수록 낚싯줄 가이드(1200)들 사이의 간격이 보다 좁은 범위에 있는 경우에도, 낚시인은 매번 낚싯줄 가이드(1200)의 가이드 링에 선단부(130)의 제2 단부(102)를 조준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12c와 도 13은 본 개시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200)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200)는, 낚싯줄 협지부(210), 탄성부(220), 선단부(230), 및 선단부(230)를 접합시키는 접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낚싯줄 협지부(210)는 제1 협지부(211) 및 제2 협지부(212)를 가질 수 있다.
낚싯줄 협지부(210)는 제1 및 제2 협지부(211, 212)의 일부가 서로 교차하고 겹쳐져서 형성되는 비틀림부(250)를 가질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와 도 13을 참조하면, 비틀림부(250)는, 낚싯줄 협지부(210)에서 제1 및 제2 협지부(211, 212)가 이루는 고리 형상으로 되는 고리 형상부(213)에 인접할 수 있다. 낚시줄 협지부(210)의 비틀림부(250)는, 낚싯줄 협지부(210)를 구성하는 금속 선재가 비틀림으로써 형성된다. 낚싯줄 협지부(210)의 비틀림부(250)는, 제1 협지부(211)의 적어도 일부와 제2 협지부(212)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교차하면서 접촉하며 서로 마찰되고 겹치도록(즉, 낚싯줄 협지부를 이루는 금속 선재끼리 눌려서 접촉하는 부분이 생기도록) 형성될 수 있다.
비틀림부(250)에서, 제1 및 제2 협지부(211, 212)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교차하면서 접촉하며 서로 마찰되고 겹치도록 형성되면, 낚싯줄(5)을 낚시줄 협지부(210)에 삽입할 때에 비틀림부(250)는 낚싯줄 협지부(210)의 범위 중에서 낚싯줄(5)에 마찰 저항이 가장 많이 생기게 할 수 있다. 낚시인이 낚싯줄(5)을 낚싯줄 협지부(210)에 고정시킬 때, 낚싯줄(5)을 잡는 손가락 끝에는, 비틀림부(250)에서 힘이 강하게 들어가게 될 수 있다(도 13에서의 실선의 낚싯줄을 참조). 낚싯줄(5)이 비틀림부(250)를 지나간 후에는, 마찰 저항이 줄어든다. 따라서, 손가락에 힘이 빠지게 되고, 낚시인은 부드럽게 낚싯줄 협지부(210) 내로 낚싯줄(5)이 이동한다는 감각을 느낄 수 있다(도 13에서의 일점쇄선의 낚시줄을 참조). 바꾸어 말하면, 낚싯줄(5)이 비틀림부(250)를 통해 낚싯줄 협지부(210)의 상기 고리 형상까지 삽입될 때, 비틀림부(250)가 낚싯줄의 삽입에 저항감을 줄 수 있으며, 낚싯줄은 일종의 스냅(snap) 느낌으로 낚싯줄 협지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낚시인은 육안의 확인 없이 손가락 끝의 촉감만으로 낚싯줄(5)이 낚싯줄 협지부(210)에서 고정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고, 낚싯줄(5)을 낚싯줄 협지부(210)에 고정하는 것을 성공적으로 실행하였다는 것을 알게 되므로, 낚시인에게 안심감을 줄 수 있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100)의 제조 공정을 예시한다. 낚싯줄 통과구(100)는, 도 14a 내지 도 14d에 도시하는 수순과 각 수순에 도시하는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 14a를 참조하면, 먼저, 중간 부분(11)과 중간 부분(11)의 각 단으로부터 기울어지도록 연장하는 제1 직선 부분(12) 및 제2 직선 부분(13)을 갖는 선재(10)를 제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중간 부분(11)의 이등분 위치(14)를 기준으로하여 선재(10)를 되접어서, 중간 부분(11)에 제1 중간 부분(11a) 및 제2 중간 부분(11b)을 형성할 수 있다. 선재(10)의 전장을 이등분하는 이등분 위치(14)에서, 선재(10)를 되접을 수 있다.
도 14b를 참조하면, 제1 중간 부분(11a) 및 제2 중간 부분(11b)이 서로 밀착하도록 제1 중간 부분(11a) 및 제2 중간 부분(11b)에 누름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제1 중간 부분(11a) 및 제2 중간 부분(11b) 사이에 간극이 없도록 누름 가공을 하면, 밀착된 제1 중간 부분(11a)과 제2 중간 부분(11b)은 도 3에 도시하는 낚싯줄 협지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4c를 참조하면, 상측에 위치한 제1 직선 부분(12)이 하측에 위치한 제2 직선 부분(13)을 향해 이동하고 하측에 위치한 제2 직선 부분(13)이 상측에 위치한 제1 직선 부분(12)을 향해 이동하도록, 제1 직선 부분(12)의 단부와 제2 직선 부분(13)의 단부를 도 14c에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눌러서 제1 직선 부분(12)과 제2 직선 부분(13)을 맞춘다. 이러한 맞춤 가공 도중, 제1 중간 부분(11a)의 제1 직선 부분(12)에 인접한 일부와, 제2 중간 부분(11b)의 제2 직선 부분(13)에 인접한 일부는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벌어진다. 이러한 맞춤 가공이 완료되면, 제1 중간 부분(11a)의 일부, 제2 중간 부분(11b)의 일부, 제1 직선 부분(12)의 일부 및 제2 직선 부분(13)의 일부가, 도 3에 도시하는 마름모꼴 형상을 갖는 탄성부(120)를 형성한다. 또한, 탄성부(120)로 되지 않는, 제1 직선 부분(12)의 나머지 부분 및 제2 직선 부분(13)의 나머지 부분은, 맞춤 가공에 의해 맞대어지고, 도 3에 도시하는 선단부(130)를 이루는 제1 선단부(131)와 제2 선단부(132)를 형성한다.
도 14d를 참조하면, 제1 선단부(131)와 제2 선단부(132)의 맞대어진 면을 접합할 수 있다. 상기 접합은 스폿 용접, 브레이징(brazing) 또는 납땜(soldering)에 의해 할 수 있다. 접합 개소는 국부적으로 3∼6개소이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탄성부(120)가 스프링성을 갖도록 1개의 금속 선재로 낚싯줄 통과구(100)를 제조하기에는, 상기 도 14a 내지 도 14d에 도시하는 제조 방법이 공정의 수가 적고 경제적이므로, 합리적 방법이 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개시의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200)의 제조 공정을 예시한다. 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낚싯줄 통과구(200)는, 도 15a 내지 도 15c에 도시하는 수순과 각 수순에 도시하는 제조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도 15a에 도시하는 공정이 시작되기 전에 도 14a 및 도 14b와 동일한 공정이 먼저 선재(20)에 수행된다. 이하에서는, 도 14a 및 도 14b에서 설명한 제조 공정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5a를 참조하면, 도 13에 도시하는 낚싯줄 협지부의 비틀림부(250)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중간 부분(21a)의 일부와 제2 중간 부분(21b)의 일부가 교차하면서 서로 접촉하여 마찰되고 겹치도록, 도 15a에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하는 찌부러뜨림 가공을 제1 중간 부분(21a)과 제2 중간 부분(21b)에 행한다. 도 15a에서 설명하는 찌부러뜨림 가공은, 도 14b에서 설명하는 누름 가공을 할 때에, 소정의 위치(즉, 도 13에 도시하는 비틀림부)에서 금속 선재들이 접촉하는 지점이 발생하도록 수행하는 가공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5b를 참조하면, 도 14c을 참조하여 설명한 맞춤 가공이 행해진다. 상측에 위치한 제1 직선 부분(22)이 하측에 위치한 제2 직선 부분(23)을 향해 이동하고 하측에 위치한 제2 직선 부분(23)이 상측에 위치한 제1 직선 부분(22)을 향해 이동하도록, 제1 직선 부분(22)의 단부와 제2 직선 부분(23)의 단부를 도 15b에 도시하는 화살표 방향으로 눌러서 제1 직선 부분(22)과 제2 직선 부분(23)을 맞춘다. 이러한 맞춤 가공 도중, 제1 중간 부분(21a)의 제1 직선 부분(22)에 인접한 일부와, 제2 중간 부분(21b)의 제2 직선 부분(23)에 인접한 일부는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벌어진다. 또한, 제1 직선 부분(22) 및 제2 직선 부분(23)의 각 단부는 비틀어지면서 맞춤된다(도 15b의 우측에 도시하는 화살표의 방향 참조). 이에 의해, 제1 중간 부분(21a)의 일부, 제2 중간 부분(21b)의 일부, 제1 직선 부분(22)의 일부 및 제2 직선 부분(23)의 일부가, 도 13에 도시하는 마름모꼴 형상을 갖는 탄성부(220)를 형성한다. 또한, 탄성부(220)로 되지 않는, 제1 직선 부분(22)의 나머지 부분 및 제2 직선 부분(23)의 나머지 부분은, 맞춤 가공에 의해 맞대어지고, 도 13에 도시하는 선단부(230)를 이루는 제1 선단부(231)와 제2 선단부(232)를 형성한다.
도 15c를 참조하면, 제1 선단부(231) 및 제2 선단부(232)를 연결하도록 제1 선단부(231) 및 제2 선단부(232)를 국부적으로 접합할 수 있다.
비틀림부(250)는 금속 선재가 서로 마찰되고 겹치게 되는 부분이 되므로, 낚시인은 이 위치에서 낚싯줄(5)을 낚싯줄 협지부(210)에 삽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금속 선재들끼리 서로 마찰되고 겹치도록 하여 비틀림부(250)를 형성하면, 누름 가공 후에 스프링백 현상에 의해 낚싯줄 협지부(210)의 금속 선재들 사이에 간극이 생기는 불량을 저감시킬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일부 실시예들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5: 낚싯줄, 100: 낚싯줄 통과구, 101: 제1 단부, 102: 제2 단부, 110: 낚싯줄 협지부, 111: 제1 협지부, 112: 제2 협지부, 120: 탄성부, 121: 제1 탄성부, 122: 제1 정점부, 123: 제2 탄성부, 124: 제2 정점부, 130: 선단부, 131: 제1 선단부, 132: 제2 선단부, 140: 접합부, 200: 낚싯줄 통과구, 201: 제1 단부, 202: 제2 단부, 210: 낚싯줄 협지부, 211: 제1 협지부, 212: 제2 협지부, 220: 탄성부, 221: 제1 탄성부, 222: 제1 정점부, 223: 제2 탄성부, 224: 제2 정점부, 230: 선단부, 231: 제1 선단부, 232: 제2 선단부, 240: 접합부, 250: 비틀림부, 1100: 낚싯대, LD: 길이 방향, WD: 폭 방향, OL: 전장, L1: 길이, L2: 길이

Claims (5)

  1. 낚싯대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링에 낚싯줄을 통과시키기 위한 낚싯줄 통과구(100, 200)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통과구는 하나의 금속 선재만으로 구성되며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LD)을 따라 연장하는 형상을 가지고,
    제1 단부(101, 201)에서 이어지는 제1 협지부(111, 211) 및 제2 협지부(112, 212)를 갖고, 상기 제1 협지부(111, 211)와 제2 협지부(112, 212)는 적어도 일부에서 접촉하고 상기 낚싯줄을 끼워서 지지할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을 이루는 낚싯줄 협지부(110, 210)와,
    상기 제1 협지부(111, 211)로부터 연장하는 제1 탄성부(121, 221) 및 상기 제2 협지부(112, 212)로부터 연장하는 제2 탄성부(123, 223)를 갖고, 상기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2 탄성부가 상기 길이 방향(LD)과 직각을 이루는 폭 방향(WD)으로 최대로 이격된 지점인 정점부(122, 124, 222, 224)를 각각 갖도록 전체적으로 마름모꼴 형상을 이루는 탄성부(120, 220)와,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LD)으로 각각 제2 단부(102, 202)까지 연장되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제1 선단부(131, 231) 및 제2 선단부(132, 232)를 포함하는 선단부(130, 2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선단부는 접합부(140, 240)에 의해 서로 접합되고,
    상기 접합부(140, 240)는 국부적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접합부이고, 상기 선단부(130, 23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형성되고, 스폿 용접, 브레이징 또는 납땜에 의해 형성되는,
    낚싯줄 통과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LD)을 따라 상기 정점부(122, 124, 222, 224)로부터 상기 제2 단부(102, 202) 까지의 길이(L1)는, 상기 제1 단부(101, 201)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의 전장(OL)의 60~ 80%인,
    낚싯줄 통과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LD)을 따라 상기 제1 단부(101, 201)와 제2 단부(102, 202) 사이의 전장(OL)은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3개의 낚싯줄 가이드의 간격에 대응하도록 75mm 내지 115mm인 범위에서 결정되는,
    낚싯줄 통과구.
  4. 낚싯대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낚싯줄 가이드의 가이드 링에 낚싯줄을 통과시키도록 구성되고, 비틀림부(250)를 갖고 상기 낚싯줄을 끼워서 지지하는 낚싯줄 협지부(210)와, 상기 낚싯줄 협지부로부터 연장하고 전체적으로 마름모꼴 형상을 이루는 탄성부(220)와, 상기 탄성부로부터 길이 방향(LD)으로 연장하는 선단부(230)를 포함하는 낚싯줄 통과구(200)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중간 부분(11)과 상기 중간 부분의 각 단으로부터 기울어지도록 연장하는 제1 및 제2 직선 부분(22, 23)을 갖는 하나의 선재(20)를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선재(20)를 되접음으로써 상기 낚싯줄 협지부(210)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및 제2 직선 부분(22, 23)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탄성부(220)를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및 제2 직선 부분(22, 23)을 접합함으로써 상기 선단부(230)를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낚싯줄 협지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중간 부분(11)의 이등분 위치(14)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선재(20)를 되접음으로써 상기 이등분 위치(14)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중간 부분(11)에 제1 중간 부분(21a) 및 제2 중간 부분(21b)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중간 부분(21a)의 일부와 상기 제2 중간 부분(21b)의 일부가 교차하면서 서로 접촉하여 마찰되고 겹치도록, 상기 제1 중간 부분(21a)과 상기 제2 중간 부분(21b)에 찌부러트림 가공을 행함으로써 상기 비틀림부(25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측에 위치한 상기 제1 직선 부분(22)이 하측에 위치한 상기 제2 직선 부분(23)을 향해 이동하고, 하측에 위치한 상기 제2 직선 부분(23)이 상측에 위치한 상기 제1 직선 부분(22)을 향해 이동하도록, 상기 제1 직선 부분(22)의 단부와 상기 제2 직선 부분(23)의 단부를 누름으로써 상기 제1 직선 부분(22)과 상기 제2 직선 부분(23)을 맞추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제1 직선 부분(22)과 상기 제2 직선 부분(23)을 연결하도록 상기 제1 직선 부분(22)과 상기 제2 직선 부분(23)을 국부적으로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낚싯줄 통과구의 제조 방법.
  5. 삭제
KR1020200046448A 2019-11-08 2020-04-17 낚싯줄 통과구 및 낚싯줄 통과구의 제조 방법 KR102200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75219A JP7025055B2 (ja) 2019-11-08 2020-10-19 釣糸通し具及び釣糸通し具の製造方法
US17/081,011 US11553702B2 (en) 2019-11-08 2020-10-27 Fishing line threader
CN202011228340.1A CN112772586B (zh) 2019-11-08 2020-11-06 钓线穿线器及其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42374 2019-11-08
KR1020190142374 2019-1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244B1 true KR102200244B1 (ko) 2021-01-08

Family

ID=7412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6448A KR102200244B1 (ko) 2019-11-08 2020-04-17 낚싯줄 통과구 및 낚싯줄 통과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553702B2 (ko)
JP (1) JP7025055B2 (ko)
KR (1) KR102200244B1 (ko)
CN (1) CN112772586B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0998U (ko) * 1989-09-01 1991-04-19
JPH0369016U (ko) * 1989-11-11 1991-07-09
JP3016668U (ja) 1995-04-06 1995-10-09 株式会社スミス 釣り糸通し兼釣り糸留め器具
KR19980010527U (ko) * 1996-08-05 1998-05-15 유차열 낚싯대용 낚싯줄끼움구
JP2000237484A (ja) * 1999-02-24 2000-09-05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糸通し具
US6691450B2 (en) * 2001-07-27 2004-02-17 Larry V. Glavinich Fishing line sinker assemblage
JP2013116091A (ja) * 2011-12-05 2013-06-13 Fuji Kogyo Co Ltd 釣り用糸通し具および携帯用糸通しセット
JP5474868B2 (ja) 2011-04-26 2014-04-16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
JP3202614U (ja) * 2015-12-02 2016-02-12 株式会社シマノ 釣竿用糸通し
JP2017046644A (ja) * 2015-09-02 2017-03-09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釣竿、ガイドフレーム及びガイドフレームの製造方法
US9848590B2 (en) * 2014-07-30 2017-12-26 Jb Iii & Things, Llc Leech clamp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2403A (en) * 1935-02-27 1936-05-26 Hrivnak Andrew Needle threader
US2167080A (en) * 1936-05-26 1939-07-25 William S Mason Needle threader
US2567408A (en) * 1945-05-23 1951-09-11 Soderberg Gustav Evert Needle threader
US2981029A (en) * 1959-06-10 1961-04-25 Markoff-Moghadam Leo Connecting device
US3404707A (en) * 1966-06-29 1968-10-08 Henry Heckmann Thread pulling needle devices
US4102478A (en) * 1976-12-27 1978-07-25 Constantin Samoilov Needle threader
US4667860A (en) * 1984-10-15 1987-05-26 Feuerman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Sewing needle with easy-threading filament loop
JPH08131032A (ja) * 1994-11-11 1996-05-28 Manshiyou Shoji Kk 魚釣り用糸通し具
US5800447A (en) * 1997-01-03 1998-09-01 Mitek Surgical Products, Inc. Suture threader assembly, suture anchor assembly, and method for threading suture
JPH10215745A (ja) * 1997-01-31 1998-08-18 Daiwa Seiko Inc 糸通し具とこれをセットにした中通し釣竿
JP3040998U (ja) 1997-02-27 1997-09-05 株式会社旭造園土木 釣糸通し具
JP3069016U (ja) 1999-02-24 2000-05-30 熊夫 小佐野 糸を結び付ける部分の改良
JP2001346490A (ja) 2000-06-05 2001-12-18 Mitsunori Murata 釣針の針穴に対する釣糸通し具
CA2573073C (en) 2004-07-09 2013-05-28 Alexander Roth Line guides for fishing rods
US9072514B2 (en) * 2006-10-05 2015-07-07 Thomas P. Knapp Shape memory filament for suture management
JP5193471B2 (ja) * 2007-01-17 2013-05-08 クロバー株式会社 スレダー
US8387302B2 (en) 2009-03-30 2013-03-05 Globeride, Inc. Fishline guide
KR101391116B1 (ko) 2013-07-23 2014-04-30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낚싯줄 가이드, 릴 시트 및 이를 구비한 낚싯대
CN204949199U (zh) 2015-09-29 2016-01-13 陈庆乐 一种钓鱼竿
US20170258064A1 (en) * 2016-03-08 2017-09-14 Mitchell Wayne Grant Fishing line guide
US20170303521A1 (en) 2016-04-20 2017-10-26 Jay Arbetter Fishing Rod Line Threading Device
US11178861B1 (en) * 2017-06-06 2021-11-23 John L. Wilcoxon Fishing line rigging tool
USD895057S1 (en) * 2019-08-14 2020-09-01 Jay Arbetter Fishing line threading device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0998U (ko) * 1989-09-01 1991-04-19
JPH0369016U (ko) * 1989-11-11 1991-07-09
JP3016668U (ja) 1995-04-06 1995-10-09 株式会社スミス 釣り糸通し兼釣り糸留め器具
KR19980010527U (ko) * 1996-08-05 1998-05-15 유차열 낚싯대용 낚싯줄끼움구
JP2000237484A (ja) * 1999-02-24 2000-09-05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糸通し具
US6691450B2 (en) * 2001-07-27 2004-02-17 Larry V. Glavinich Fishing line sinker assemblage
JP5474868B2 (ja) 2011-04-26 2014-04-16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竿
JP2013116091A (ja) * 2011-12-05 2013-06-13 Fuji Kogyo Co Ltd 釣り用糸通し具および携帯用糸通しセット
US9848590B2 (en) * 2014-07-30 2017-12-26 Jb Iii & Things, Llc Leech clamp
JP2017046644A (ja) * 2015-09-02 2017-03-09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釣竿、ガイドフレーム及びガイドフレームの製造方法
JP3202614U (ja) * 2015-12-02 2016-02-12 株式会社シマノ 釣竿用糸通し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40998 UR
JP03069016 UR
JP03202614 U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37088A1 (en) 2021-05-13
JP2021073984A (ja) 2021-05-20
CN112772586A (zh) 2021-05-11
JP7025055B2 (ja) 2022-02-24
CN112772586B (zh) 2023-01-10
US11553702B2 (en) 2023-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189059A (ja) 動脈瘤クリツプ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734966B (zh) 钓鱼线引导件、包括其的钓鱼竿及用于钓鱼线引导件的坯件
KR101796585B1 (ko) 헤어 커트방법
KR102200244B1 (ko) 낚싯줄 통과구 및 낚싯줄 통과구의 제조 방법
JP2005133283A (ja) ヘアピース
JPWO2018129551A5 (ko)
US20140373861A1 (en) Hair comb
KR102062710B1 (ko) 릴 시트용 팜 레스트, 릴 시트, 및 낚싯대
JP4852587B2 (ja) 釣竿用左右非対称一本足ワイヤーガイド
JP2010004859A (ja) 釣竿
JP3202614U (ja) 釣竿用糸通し
JP5193471B2 (ja) スレダー
JP2007082923A (ja) 毛抜き
CN213606229U (zh) 一种蛇骨弯曲制动机构、插入组件和内窥镜
JP2021073984A5 (ja) 釣糸通し具及び釣糸通し具の製造方法
JP4698206B2 (ja) エクステンション取付け方法
JP4837391B2 (ja) ビーズおよびそのビーズを用いた釣り用仕掛け
JP3226225U (ja)
JP5997370B2 (ja) ガイドワイヤ
EP3954911A1 (en) Staple and connecting staple
JP3040998U (ja) 釣糸通し具
JP2618454B2 (ja) 金属製撚線の切断方法
JP5641954B2 (ja) 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分離工具および光ファイバテープ心線分離方法
JP2002306884A (ja) 手縫針の製造方法
JPH011260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