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764B1 - 링 버스 시스템을 구비한 정보처리장치 및 반도체 집적회로 - Google Patents

링 버스 시스템을 구비한 정보처리장치 및 반도체 집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764B1
KR102197764B1 KR1020170114219A KR20170114219A KR102197764B1 KR 102197764 B1 KR102197764 B1 KR 102197764B1 KR 1020170114219 A KR1020170114219 A KR 1020170114219A KR 20170114219 A KR20170114219 A KR 20170114219A KR 102197764 B1 KR102197764 B1 KR 102197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unit
interface
ring bu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4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9889A (ko
Inventor
야스시 신토
야스토모 타나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9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04L12/423Loop networks with centralised control, e.g. po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63Device-to-bus coupling
    • G06F13/4068Electrical coup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79Controller construction, e.g. aspects of the interface hard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13Details regarding a bus control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06Architecture of a communication node
    • H04L12/40032Details regarding a bus interface enhan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795Reading arrangements
    • H04N1/0079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or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3Reproducing arrangements
    • H04N1/2307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Bus Control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새로운 화상처리 기능의 추가를 위해, LSI의 내부 링 버스에 접속되는 링 버스 인터페이스를 LSI의 인터페이스로서 설치한 경우에도, 기능 확장 모듈의 링 버스상에서의 위치가 고정된다. 제1 모듈, 제2 모듈 및 제3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들을 갖는 제1콘트롤러부; 제2콘트롤러부를 부착가능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복수의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인터페이스의 출력처를 설정하는 콘트롤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2콘트롤러부가 상기 인터페이스에 부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모듈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가 상기 제2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3 모듈에 입력되도록, 상기 콘트롤 모듈은 상기 제2 모듈과 상기 제3 모듈의 데이터의 출력처를 설정하고, 상기 제2콘트롤러부가 상기 인터페이스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모듈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가 상기 제2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3 모듈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도록, 상기 콘트롤 모듈은 상기 제2 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의 데이터의 출력처를 설정하는, 정보처리장치다.

Description

링 버스 시스템을 구비한 정보처리장치 및 반도체 집적회로{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INCLUDING RING BUS SYSTEM}
본 발명은, 복수의 버스를 링형상으로 접속해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링 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스캐너, 프린터, 카피, FAX송/수신의 기능 등의 여러 가지 기능을 겸비한 디지털 복합기는, 외부장치와의 사이에서 화상 데이터의 입/출력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하는 복수의 화상처리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 콘트롤러 아키텍처로서, 상기 제어부와 복수의 화상처리부와의 사이의 버스를 링형상으로 접속해서 데이터 전송을 행하는 링 버스 시스템을 채용함으로써, 용이하게 장치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와 복수의 화상처리부를 링형상으로 접속한 버스(이하, 링 버스)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가 해당 링 버스상에 흐르는 화상 데이터의 기점 및 종점이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제어부의 출력측에 가까운 버스(링 버스의 상류)에 있어서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할 때의 대역폭이 가장 높아진다. 또한, 제어부의 입력측에 가까운 버스(링 버스의 하류)에 있어서는, 제어부에 입력할 때의 대역폭이 가장 높아진다. 따라서, 복수의 화상처리부 중, 프린터에의 화상출력 기능을 담당하는 화상처리부는 링 버스의 상류에, 스캐너로부터의 화상입력 기능을 담당하는 화상처리부는 링 버스의 하류에 배치 함으로써, 링 버스상의 대역폭이 효율적으로 할당된다. 이로 인해, 프린터 기능의 이용시에는 제어부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출력해서 프린트 할 수 있고, 스캐너 기능의 이용시에는 스캐너에서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제어부에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링 버스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을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해서는, 각 화상처리부를 어떻게 접속할지가 중요하다. 이점에 관하여, 링 버스 시스템에 있어서의 데이터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서, 링 버스상의 전송원 모듈과 전송처 모듈간을 최단으로 전송할 수 있게 링 버스의 전송 방향을 선택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일본 특허공개 2005-56112호 공보).
한편, 최근에는, 하나의 LSI(대규모 집적회로)에 있어서 많은 기능을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제어부와 복수의 화상처리부를 링 버스로 접속하는 구성인채로, 하나의 LSI에 이것들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렇지만, 하나의 LSI내에 있어서 제어부와 복수의 화상처리부를 링 버스로 접속하는 구성의 경우, 용이하게 장치구성을 변경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 이유는, 새로운 화상처리 기능을 추가하기 위해서, LSI의 내부 링 버스에 접속된 링 버스 인터페이스를 LSI의 인터페이스로서 구비한 경우에도, 기능 확장 모듈의 링 버스상에서의 위치가 고정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보처리장치는, 제1 모듈, 제2 모듈 및 제3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들을 갖는 제1콘트롤러부; 제2콘트롤러부를 부착가능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복수의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인터페이스의 출력처를 설정하는 콘트롤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2콘트롤러부가 상기 인터페이스에 부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모듈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가 상기 제2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3 모듈에 입력되도록, 상기 콘트롤 모듈은 상기 제2 모듈과 상기 제3 모듈의 데이터의 출력처를 설정하고, 상기 제2콘트롤러부가 상기 인터페이스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모듈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가 상기 제2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3 모듈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도록, 상기 콘트롤 모듈은 상기 제2 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의 데이터의 출력처를 설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디지털 복합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콘트롤러부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 도,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제어부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는 패킷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내지 5c는 각 화상처리 모듈의 내부구성을 각각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링 버스 스위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링 버스의 접속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링 버스 스위치 설정부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링 버스의 접속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제1 변형 예에 따른 콘트롤러부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1은 제1 변형 예에 따른 링 버스의 접속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제2 변형 예에 따른 콘트롤러부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3은 제2 변형 예에 따른 링 버스의 접속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도 14a, 14b 및 14c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4a 내지 14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콘트롤러부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링 버스 스위치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6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링 버스의 접속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링 버스의 접속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은 도 18a, 18b 및 18c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8a 내지 18c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링 버스의 접속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링 버스 스위치 설정부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0a 및 20b는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가 1개 있을 경우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이고,
도 21a 및 21b는,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가 2개 있을 경우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 나타낸 구성은 예일 뿐이고, 본 발명은,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정보처리장치)로서의 디지털 복합기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스캐너부(110)는, 원고를 광학적으로 독취하여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또한, 스캐너부(110)는, 원고를 광학적으로 독취하기 위한 레이저 광원이나 렌즈 등으로 이루어진 원고독취부(112)와, 원고를 반송하는 벨트 등으로 이루어진 원고반송부(111)로 구성된다. 프린터부(140)는, 인쇄매체(용지)를 반송하고, 그 위에 화상 데이터를 가시 화상으로서 인쇄한다. 프린터부(140)는, 용지를 급지하는 급지부(142), 화상 데이터를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키는 전사 정착부(141), 및 인쇄된 용지를 소트 및 스테이플 해서 상기 장치외에 배출하는 배지부(143)로 구성된다. 콘트롤러부(120)는, 스캐너부(110) 및 프린터부(14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한층 더 LAN, ISDN, 인터넷 및 인트라네트 등의 네트워크(150)와 접속되어 있다. 유저가 카피 기능을 이용할 경우, 콘트롤러부(120)는, 스캐너부(110)를 제어해서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프린터부(140)를 제어해서 화상을 용지에 인쇄해 출력한다. 또한, 유저가 스캔 기능을 이용할 경우, 콘트롤러부(120)는, 스캐너부(110)를 제어해서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코드 데이터로 변환하고, 네트워크(150)를 통해 그 코드 데이터를 호스트 PC(개략적으로 도시되지 않음)등에 송신한다. 유저가 프린트 기능을 이용할 경우, 콘트롤러부(120)는, 호스트 PC로부터 네트워크(150)를 통해 수신한 인쇄 데이터(코드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프린터부(140)를 제어해서 화상을 용지에 인쇄하여 출력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는, ISDN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해서 프린트하는 FAX수신 기능과, ISDN등에 스캔한 데이터를 송신하는 FAX송신 기능도 가진다. 각 기능에 있어서의 처리의 실행 지시를 잡이라고 부르고, 화상형성장치(100)는 각 기능에 대응한 잡에 따라서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조작부(130)는, 유저가 입력 조작을 행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이며, 예를 들면 터치패널과 각종 버튼으로 구성된다.
<콘트롤러부>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콘트롤러부(120)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콘트롤러부(120)는, 메인 콘트롤러부(200), 확장 콘트롤러부(201), 링 버스(202), ROM(290), RAM(291a∼291c), HDD(292), 및 PHY(293)로 구성된다. 이하, 각 부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메인 콘트롤러부(200) 및 확장 콘트롤러부(201)는 각각, 서로 독립적인 프린트 기판등의 전자회로기판(반도체 집적회로)이라고 가정한다. 또한, 확장 콘트롤러부(201)는 유저가 기능 확장할 수 있도록 탈착가능한 구성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장 콘트롤러부(201)의 구성이 메인 콘트롤러부(200)의 구성과 같다. 단, 기능 확장 모듈로서는, 링 버스(202)에 접속해서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갖는 것이면 어떤 기능 및 구성도 받아들일 수도 있다. 더욱, 예를 들면, 메인 콘트롤러부(200) 및 확장 콘트롤러부(201)의 각각을, 하나의 칩에 집적한 LSI로 구성할 수도 있다.
우선, 메인 콘트롤러부(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메인 콘트롤러부(200)는, 시스템 제어부(210), 링 버스 스위치(220), 프린트 처리부(230), 루프백(loop back) 처리부(240), 스캔 처리부(250), RAM콘트롤러(260), 링 버스 스위치 설정부(270), 및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로 구성된다. 시스템 제어부(210)는, 스캐너부(110)에 있어서의 스캔 처리나 프린터부(140)에 있어서의 프린트 처리를 제어하는 제어 모듈이다. 시스템 제어부(210)는, 링 버스 스위치(220)와 링 버스(202)에 의해 접속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210)는, 상기 스캔 처리나 프린트 처리에서 사용하는 화상 데이터의 전송 제어를, 링 버스 스위치(220)를 통해서 행한다. 더욱, 시스템 제어부(210)는, 네트워크(150)에의 데이터 송신이나 네트워크(150)로부터의 데이터 수신, 조작부(130)에의 표시 처리등의 시스템 전체를 총괄 제어한다.
링 버스 스위치(220)는, 콘트롤러부(120)내의 각 모듈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링 버스(202)의 스위치 제어를 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트롤러부(120)내의 각 모듈에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링 버스(202)가, 링 버스 스위치(220)를 통하여 링형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시스템 제어부(210), 프린트 처리부(230), 루프백 처리부(240), 스캔 처리부(250), 및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의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하게 된다. 링 버스 스위치(220)의 제어는, 링 버스 스위치 설정부(270)에 의해 행해지고, 필요에 따라서 링 버스(202)상에 있는 각 모듈의 접속처를 변경할 수 있다. 스위치 제어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프린트 처리부(230)는, 프린터부(140)에서 사용하는 화상 데이터를 위한 색공간 변환처리, 중간조(halftone) 처리, 및 감마 보정처리 등의 프린트용 화상처리를 행한다. 프린트 처리부(230)는, 링 버스 스위치(22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받고, 화상 데이터에 상기 프린트용 화상 처리를 실시하고, 처리후의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부(140)에 출력한다.
루프백 처리부(240)는, 프린트 처리와 스캔 처리의 양쪽을 이용할 가능성이 있는 편집계의 화상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루프백 처리부(240)는, 변배처리, 화상합성 처리, 회전 처리등을 행한다. 루프백 처리부(240)는, 시스템 제어부(210)로부터 링 버스(202)를 통해 화상 데이터를 받아서, 상기 편집계의 화상 처리를 실시하고, 그 처리후의 화상 데이터를, 링 버스(202)를 통해 시스템 제어부(210)에 되돌린다.
스캔 처리부(250)는, 스캐너부(110)에 의해 취득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셰이딩 보정처리, MTF보정처리, 감마 보정처리, 및 필터 처리 등의 스캐너용 화상처리를 행한다. 스캔 처리부(250)는, 스캐너부(110)로부터 전송된 화상 데이터에 스캐너용 화상 처리를 실시하고, 그 처리후의 화상 데이터를 링 버스 스위치(220)에 전송한다. 링 버스 스위치(220)에 전송된 화상 데이터는, 링 버스(202)를 통해 시스템 제어부(210)에 전송된다.
RAM 콘트롤러(260)는, 프린트 처리부(230), 루프백 처리부(240) 및 스캔 처리부(250)로부터 받은 화상 데이터를 RAM(291b)에 기록하는 처리와, RAM(291b)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를 독취해서 전송하는 처리를 행한다. 프린트 처리부(230), 루프백 처리부(240) 및 스캔 처리부(250)는, 각각이 행하는 화상처리를 실행하기 위해서 RAM(291b)을 일시적인 화상 버퍼로서 이용한다. 또한, 이때, RAM콘트롤러(260)와 RAM(291b)과의 사이의 전송로에는, 프린트 처리부(230), 루프백 처리부(240) 및 스캔 처리부(250) 각각의 화상 데이터가 다중화해서 송수신된다. 이 때문에, 이 전송로의 처리 성능(메모리 대역폭 성능)을 상회하는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는 경우에, 전송 지연 상태가 발생한다. 따라서, RAM콘트롤러(260)와 RAM(291b)과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메인 콘트롤러부(200)의 처리 성능의 병목의 원인이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는, 패킷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인터페이스다.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는, 링 버스 스위치(220)를 중심으로 한 메인 콘트롤러부(200)와 외부를 상기 링 버스를 통해 접속한다. 이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를 통하여, 메인 콘트롤러부(200)와 확장 콘트롤러부(201)와의 사이에서 데이터 전송이 행해진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확장 콘트롤러부(201)가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를 통해 메인 콘트롤러부(200)와 접속되고, 1개의 링 버스(202)를 형성하고 있다.
다음에, 확장 콘트롤러부(201)에 대해서 설명한다. 확장 콘트롤러부(201)는, 콘트롤러부(120)의 처리를 고속화하기 위한 기능 확장 모듈이다. 상술한 것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확장 콘트롤러부(201)의 구성과 메인 콘트롤러부(200)의 구성이 동일하다. 다시 말해, 확장 콘트롤러부(201)는, 시스템 제어부(211), 링 버스 스위치(221), 프린트 처리부(231), 루프백 처리부(241), 스캔 처리부(251), RAM콘트롤러(261), 링 버스 스위치 설정부(271) 및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1)로 구성된다. 각 부의 기능은, 메인 콘트롤러부(200)내에 대응한 각 부의 기능과 같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메인 콘트롤러부(200)와는 별도로 확장 콘트롤러부(201)를 설계하는 개발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장 콘트롤러부(201)내의 프린트 처리부(231), 루프백 처리부(241) 및 스캔 처리부(251) 중에서 실제로 확장 기능으로서 사용되는 것은 루프백 처리부(241)다. 루프백 처리부(241) 대신에, 프린트 처리부(231)나 스캔 처리부(251)를 사용하는 측면에 대해서는, 변형 예로서 후술한다. 도 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211), 프린트 처리부(231) 및 스캔 처리부(251)는, 음영상태로 도시되고, 동작시킬 필요가 없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시스템 제어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제어부(210)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이하, 시스템 제어부(210)를 구성하는 각 요소에 대해서 설명한다. 확장 콘트롤러부(201)내의 시스템 제어부(211)도 같은 구성이다.
CPU(310)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다. CPU(310)는, RAM(291a)에 로딩된 OS와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프린트 처리나 스캔 처리 등의 잡 처리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ROM 콘트롤러(320)는, 그 시스템의 부트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290)에 액세스하기 위한 제어 모듈이다.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원이 ON 되었을 경우에, CPU(310)는 ROM콘트롤러(320)를 통해 ROM(290)에 액세스하고, CPU(310)가 부트한다. RAM 콘트롤러(330)는, 시스템의 제어 프로그램과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RAM(291a)에 액세스하기 위한 제어 모듈이다. RAM 콘트롤러(330)는, RAM(291a)의 설정과 제어를 행하기 위한 레지스터를 구비하고, 이 레지스터는, CPU(310)로부터 액세스가능하다. 조작부 인터페이스(340)는, 유저가 조작부(130)를 조작한 결과로서 조작 지시의 접수 및 조작 결과의 표시를 제어한다. HDD(292)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화상 데이터, 및 각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페이지 정보와 잡 정보를 기억한다. HDD(292)는, HDD콘트롤러(360)를 통해 시스템 버스(300)에 접속되고, CPU(310)의 지시에 따라서 데이터를 기록 및 독취한다. LAN 콘트롤러(370)는 PHY(293)를 통해 네트워크(150)에 접속하고, 외부의 호스트 컴퓨터와의 사이에서 화상 데이터등의 정보를 입출력한다. 모뎀(372)은 개략적으로 도시되지 않은 공중회선에 접속하고, FAX 송신 잡이나 FAX수신 잡을 처리할 때에 외부의 FAX기기와 데이터통신을 행한다.
화상압축부(350)는 RAM(291a) 또는 HDD(292)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JPEG포맷으로 압축 처리한다. 또한, 화상신장부(351)는 JPEG포맷으로 압축된 화상 데이터를 신장 처리한다. 렌더링부(352)는, 네트워크(150)로부터 LAN콘트롤러(370)를 통해 수신한 화상 데이터(PDL데이터)를, 프린터부(140)에서 취급 가능한 비트 맵 데이터로 변환한다.
링 버스 인터페이스(301)는, 시스템 제어부(210)내의 시스템 버스(300)와, 시스템 제어부(210)밖의 링 버스 스위치(220)를 중심으로 한 링 버스(202)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다. 링 버스(202)에 흐르는 데이터를 패킷 데이터라고 부르고, 링 버스 인터페이스(301)는, RAM(291a) 또는 HDD(292)에 기억된 패킷 데이터를 링 버스(202)에 송신한다. 또한, 링 버스(202)로부터 수신한 패킷 데이터는, RAM(291a) 또는 HDD(292)에 기억된다.
<패킷 데이터>
여기에서, 패킷 데이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링 버스(202)에 흐르는 패킷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패킷 데이터(400)는, 헤더부(410)와 데이터부(420)로 구성된다. 헤더부(410)는, 한층 더, 패킷 타입(411), 칩ID(412), 페이지ID(413), 잡ID(414), 패킷 Y좌표(415, 패킷 X좌표(416), 패킷 바이트 길이(417) 및 데이터 바이트 길이(418)로 구성된다.
패킷 타입(411)은, 그 패킷이 화상 데이터인지 커맨드인지를 나타낸다. 패킷 타입(411)이 화상 데이터를 나타낼 경우에는, 데이터부(420)에는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패킷 타입(411)이 커맨드를 나타낼 경우에는, 데이터부(420)에는 각 화상처리부의 계수나 모드등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 어드레스와 설정 값이 기억되어 있다. 칩ID(412)는, 패킷을 송신하는 타겟인 처리부를 식별하기 위한 ID(식별자)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ID "0"은 프린트 처리부(230), ID "1"은 루프백 처리부(240), ID "2"는 스캔 처리부(250), ID "3"은 확장 콘트롤러부(201)내의 루프백 처리부(241)를 나타낸다. 페이지ID(413)는 패킷이 속하는 페이지 번호를 나타낸다. 스캔 처리나 프린트 처리가 복수의 페이지에 대해 행해질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 어느 페이지에 상기 패킷이 속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잡ID(414)는, 패킷이 속하는 잡 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면, 스캔 잡과 프린트 잡이 동시에 실시될 경우에는, 스캔 잡의 패킷에는 "잡 번호1", 프린트 잡의 패킷에는 "잡 번호2"가 부여되고, 각 잡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패킷 Y좌표(415)는, 데이터부(420)에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경우에 그 화상 데이터가 페이지내의 어느 Y좌표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낸다. 또한, 패킷 X좌표(416)는, 데이터부(420)에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경우에 그 화상 데이터가 페이지내의 어느 X좌표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낸다. 데이터부(420)에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는, 페이지마다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화소수(예를 들면, 32화소×32화소)의 직사각형 사이즈의 화상 데이터로 분할하여서 얻어진다. 따라서, 패킷 데이터로부터 페이지 데이터를 재생성하는 경우에, Y좌표와 X좌표의 데이터가 참조된다. 이 화상 데이터는, 화상압축부(350) 또는 각 화상처리부의 내부에 설치된 압축기에 의해 압축되어 있고, 압축 화상 데이터로서 데이터부(420)에 기억되어 있다. 패킷 바이트 길이(417)는, 패킷의 총 바이트수를 나타내고, 데이터 바이트 길이(418)는 데이터부(420)의 총 바이트수를 나타낸다.
이상 설명한 것 같은 패킷 데이터가, 링 버스(202)상에서 흐른다. 각 화상처리부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 및 해석하고, 커맨드를 나타내는 패킷이면 처리의 모드나 계수등을 설정하고, 화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패킷이면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처리를 실시한다.
계속해서, 프린트 처리부(230), 루프백 처리부(240) 및 스캔 처리부(250)에 대해서, 도 5a∼5c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프린트 처리부>
도 5a는 프린트 처리부(230)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링 버스 인터페이스(500)는, 프린트 처리부(230)내의 각 부와, 프린트 처리부(230)밖의 링 버스 스위치(220)를 중심으로 한 링 버스(202)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다. 링 버스 인터페이스(500)는, 패킷 입력부(501)와 패킷 출력부(502)로 구성된다.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면, 패킷 입력부(501)는 헤더부(410)의 칩ID(412)를 참조하고, 그 칩ID(412)로 나타낸 ID가 패킷 입력부(501)에게 배정된 칩ID와 동일한가 아닌가를 체크한다. 칩ID(412)가 나타내는 ID가 패킷 입력부(501)에게 배정된 칩ID와 다른 경우, 패킷 입력부(501)는 패킷 데이터가 패킷 입력부(501)가 처리해야 할 패킷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패킷 출력부(502)에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칩ID(412)가 나타내는 ID가 패킷 입력부(501)에게 배정된 칩ID와 동일할 경우, 패킷이 화상 데이터이면 내부의 화상처리 패스(path)(신장기(503)∼프린터 화상처리부(505))를 통하여, 화상처리를 행한다. 또한, 상기 패킷이 커맨드인 경우에, 데이터부(420)에 기억된 설정 어드레스와 설정 값을 참조하고, 지정된 화상처리부의 계수와 모드를 설정 기억부(506)에 설정한다. 상기 패킷이 그 설정 값을 독취하는 커맨드인 경우에, 설정 기억부(506)는, 설정 값을 기억하는 패킷 데이터를 링 버스 인터페이스(500)에 보낸다. 신장기(503), 패킷 래스터 변환부(504) 및 프린터 화상처리부(505)는, 설정 기억부(506)에 보유된 설정 값에 근거하여 처리를 행한다.
패킷 출력부(502)는, 패킷 입력부(501)로부터 전송된 패킷 데이터 및 설정 기억부(506)로부터의 패킷 데이터의 조정을 행하여, 링 버스(202)에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신장기(503)는, 링 버스 인터페이스(500)로부터 수신된 압축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고, 후단의 화상처리를 실시가능한 상태로 복원한다. 패킷 래스터 변환부(504)는, 신장된 화상 데이터를 신장기(503)로부터 수신하고, 래스터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패킷내의 화상 데이터는 32화소×32화소의 정사각형 단위의 데이터다. 전자 사진방식의 화상형성장치의 경우, 프린터부(140)내에서의 인쇄 처리는 래스터순(라인순)으로 행해지므로, 이 패킷 래스터 변환부(504)로 화상 데이터의 화소의 배치를 래스터순으로 변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32화소×32화소의 정사각형으로부터 래스터순으로 변환하기 위한 일시 버퍼로서 RAM(291b)을 사용하므로, 패킷 래스터 변환부(504)는 RAM콘트롤러(260)를 통해 RAM(291b)에 액세스한다.
프린터 화상처리부(505)는, 래스터순으로 변환된 화상 데이터를 패킷 래스터 변환부(504)로부터 받고, 프린터부(140)에 있어서의 인쇄의 전처리로서의 화상처리를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처리는, RGB를 CMYK으로 변환하는 색공간 변환처리, 디더법이나 오차확산법에 의한 중간조 처리, 프린터부(140)의 특성에 맞추어 계조를 보정하는 감마 보정처리등이다. 화상 처리를 실시한 화상 데이터는 프린터부(140)에 출력된다. 또한, 프린터 화상처리부(505)는, 프린터부(140)의 기동 및 급지부(142)로부터의 급지에 맞춰서 프린터부(140)에 화상 데이터를 출력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프린터 화상처리부(505)는, 그 타이밍에 도달할 때까지 사용된 버퍼로서, RAM콘트롤러(260)를 통하여, RAM(291b)에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록한다. 그리고, 프린터 화상처리부(505)는, 급지 타이밍에 동기시켜 RAM(291b)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독취하여, 프린터부(140)에 출력한다.
<루프백 처리부>
도 5b는 루프백 처리부(240)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링 버스 인터페이스(510)는, 루프백 처리부(240)내의 각 부와, 루프백 처리부(240)밖의 링 버스 스위치(220)를 중심으로 한 링 버스(202)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다. 링 버스 인터페이스(510)는, 패킷 입력부(511)와 패킷 출력부(512)로 구성된다.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면, 패킷 입력부(511)는 헤더부(410)의 칩ID(412)를 참조하고, 패킷 입력부(511) 자신에게 배정된 칩ID와 동일한가 아닌가를 체크한다. 칩ID(412)가 나타낸 ID가 패킷 입력부(511) 자신에게 배정된 칩ID와 다른 경우, 패킷 입력부(511)는, 패킷 입력부(511) 자신이 처리해야 하는 패킷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하여, 패킷 출력부(512)에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칩ID(412)가 나타낸 ID가 패킷 입력부(511) 자신에게 배정된 칩ID와 동일한 경우, 패킷이 화상 데이터이면 내부의 화상처리 패스(신장기(513)∼루프백 화상처리부(514))를 통하여, 화상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화상처리후의 압축 화상 데이터를 압축기(515)로부터 받으면, 링 버스 인터페이스(510)는, 해당 화상 데이터에 헤더를 부여하고, 패킷 데이터로서 화상 데이터를 정형하고, 시스템 제어부(210)에 패킷 데이터를 송신한다. 또한, 패킷이 커맨드일 경우, 데이터부(420)에 기억된 설정 어드레스와 설정 값을 참조하고, 지정된 화상처리부의 계수와 모드를 설정 기억부(516)에 설정한다. 또한, 패킷이 설정 값을 독취하는 커맨드일 경우, 설정 기억부(516)는, 설정 값을 기억하는 패킷 데이터를 링 버스 인터페이스(510)에 보낸다. 신장기(513), 루프백 화상처리부(514) 및 압축기(515)는 설정 기억부(516)에 보유된 설정 값에 근거한 처리를 행한다.
패킷 출력부(512)는, 패킷 입력부(511)로부터 전송된 패킷 데이터, 압축기(515)로부터의 패킷 데이터, 및 설정 기억부(516)로부터의 패킷 데이터의 조정을 행하고, 링 버스(202)에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음에, 신장기(513)는 링 버스 인터페이스(510)로부터 입력된 압축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고, 후단의 화상처리를 실시가능한 화소상태로 복원한다.
압축기(515)는 루프백 화상처리부(514)로부터 입력된 처리가 이미 행해진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고, 후단의 링 버스 인터페이스(510)에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압축 처리는, 링 버스 인터페이스(510)에서 패킷 데이터를 정형하기 위해서 행해진다.
루프백 화상처리부(514)에서는 신장기(513)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받고, 전술한 편집계의 화상처리를 행한다. 본 기능은 프린트 처리와 스캔 처리의 양쪽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확장 콘트롤러부(201)에서도 같은 기능이 사용된다.
<스캔 처리부>
도 5c는 스캔 처리부(250)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링 버스 인터페이스(520)는, 스캔 처리부(250)내의 각 부와, 스캔 처리부(250)밖의 링 버스 스위치(220)를 중심으로 한 링 버스(202)를 접속하는 인터페이스다. 링 버스 인터페이스(520)는, 패킷 입력부(521)와 패킷 출력부(522)로 구성된다.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면, 패킷 입력부(521)는, 헤더부(410)의 칩ID(412)를 참조하고, 칩ID(412)가 나타낸 ID가 패킷 입력부(521) 자신에게 배정된 칩ID와 동일한가 아닌가를 체크한다. 칩ID(412)가 나타낸 ID가 패킷 입력부(521) 자신에게 배정된 칩ID와 다른 경우, 패킷 입력부(521)는, 패킷 입력부(521) 자신이 처리해야 하는 패킷 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패킷 출력부(522)에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칩ID(412)가 나타낸 ID가 패킷 입력부(521) 자신에게 배정된 칩ID와 동일한 경우, 그 패킷이 커맨드이면, 데이터부(420)에 기억된 설정 어드레스와 설정 값을 참조하고, 지정된 화상처리부의 계수와 모드를 설정 기억부(526)에 설정한다. 이때, 스캔 처리부(250)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는 스캐너부(110)로부터만 입력되기 때문에, 수신한 패킷이 화상 데이터를 나타낼 것 같지 않다. 또한, 패킷이 설정 값을 독취하는 커맨드일 경우에, 설정 기억부(526)는, 설정 값을 기억하는 패킷 데이터를 링 버스 인터페이스(520)에 보낸다. 스캔 화상처리부(523), 래스터 패킷 변환부(524) 및 압축기(525)는, 설정 기억부(526)에 보유된 설정 값에 근거한 처리를 행한다. 패킷 출력부(522)는, 패킷 입력부(521)로부터 전송된 패킷 데이터 및 설정 기억부(526)로부터의 패킷 데이터의 조정을 행하고, 링 버스(202)에 패킷 데이터를 전송한다.
압축기(525)는 래스터 패킷 변환부(524)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후단의 링 버스 인터페이스(520)에 출력한다. 압축 처리는 링 버스 인터페이스(520)에서 패킷 데이터를 정형하기 위해서 행해진다.
래스터 패킷 변환부(524)는, 스캔 화상처리부(523)로부터 입력된 화소 데이터를 32화소×32화소의 정사각형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패킷내의 화상 데이터는 32화소×32화소의 정사각형 단위이기 때문에, 후단의 패킷 송신을 위해 정사각형으로 변환하고 있다.
스캐너부(110)내에서의 스캔 처리는 라인형의 이미지 센서를 사용해서 래스터순(라인순)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이 래스터 패킷 변환부(524)에서 화상 데이터의 화소의 배치를 정사각형으로 변환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데이터를 래스터순으로부터 32화소×32화소의 정사각형으로 변환하기 위한 일시 버퍼로서 RAM(291b)을 사용하므로, 래스터 패킷 변환부(524)는 RAM콘트롤러(260)를 통해 RAM(291b)에 액세스한다.
스캔 화상처리부(523)에서는 스캐너부(11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받고, 셰이딩 보정, MTF보정, 입력 감마 보정 및 필터링 등의 화상처리를 행한다. 이것들의 화상처리가 행해진 화상 데이터는, 래스터 패킷 변환부(524)에 출력된다. 또한, 스캔 화상처리부(523)는, 스캐너부(110)의 스캔 동작을 정지시키지 않기 위해서,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전송 속도에 맞추어 화상 데이터를 수신할 필요가 있다. 한편, 링 버스 인터페이스(520)에 의한 패킷 송신은, 각 화상처리부의 패킷 송신과 자신의 패킷 송신의 타이밍이 겹쳤을 경우, 링 버스 인터페이스(520)의 패킷 송신이 지연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송신 속도는 안정적이지 않다. 따라서, 스캔 화상처리부(523)는, 송신 타이밍까지의 일시적인 버퍼링을 위한 화상 버퍼로서 RAM(291b)를 사용하도록 RAM콘트롤러(260)를 통해 RAM(291b)에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록한다. 그리고, 스캔 화상처리부(523)는, 패킷 송신의 타이밍에 동기시켜 RAM(291b)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독취하고, 래스터 패킷 변환부(524)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링 버스 스위치>
도 6은, 메인 콘트롤러부(200)내의 링 버스 스위치(220)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확장 콘트롤러부(201)내의 링 버스 스위치(221)의 내부구성도 이것과 같다. 링 버스 스위치(220)는, 링 버스(202)에 있어서 데이터의 전송처가 될 수도 있는 각 모듈의 총수와 같은 수로 내부에 스위치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링 버스 스위치(220)는, 시스템 제어부(210), 프린트 처리부(230), 루프백 처리부(240), 스캔 처리부(250) 및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의 각 모듈에 대응한 5개의 스위치(601∼605)를 가진다. 스위치(601∼605)의 각각은, 링 버스 스위치 설정부(270)에 의해 설정된 값(설정 값)에 따라, 링 버스(202)에 있어서의 접속처를 전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스템 제어부(210), 프린트 처리부(230), 루프백 처리부(240), 스캔 처리부(250) 및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의 각각의 링 버스(202)상에서의 접속순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링 버스 스위치(220)(혹은 221)에 의한 링 버스(202)의 접속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메인 콘트롤러부(200)내에서 링 버스(202)가 완결할 경우의 접속 제어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8은, 링 버스 스위치 설정부(270)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링 버스 스위치 설정부(270)는, 스위치(601∼605)를 제어하기 위한 레지스터(제어용 레지스터)(810∼85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각 제어용 레지스터(810∼850)는 4bit의 레지스터로 구성되고, 예를 들면, "bit0"에 "1"을 설정하는 경우는 "입력1"이 그 스위치의 출력과 접속된다. 마찬가지로, "bit1"에 "1"을 설정하는 경우는 "입력2"가, "bit2"에 "1"을 설정하는 경우는 "입력3"이, "bit3"에 "1"을 설정하는 경우는 "입력4"가, 그 스위치의 출력과 접속된다. 이렇게, 각 제어용 레지스터에 기억된 값에 따라, 각 스위치에 있어서의 입력 데이터의 전송처가 되는 모듈이 특정된다. 링 버스(202)상의 도 7에 나타낸 접속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설정 값(각 제어용 레지스터의 값)은 아래와 같다.
(표 1)
Figure 112017086781710-pat00001
즉, 도 7의 접속 제어를 행할 경우, 스위치601은 설정 값 "1000"에 따라, "입력4"에 대응하는 스캔 처리부(25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시스템 제어부(210)에 출력한다. 스위치602는 설정 값 "1000"에 따라, "입력4"에 대응하는 시스템 제어부(21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프린트 처리부(230)에 출력한다. 스위치603은 설정 값 "0010"에 따라, "입력2"에 대응하는 프린트 처리부(23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루프백 처리부(240)에 출력한다. 스위치604는 설정 값 "0010"에 따라, "입력2"에 대응하는 루프백 처리부(24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스캔 처리부(250)에 출력한다. 스위치605는 설정 값 "0000"에 따라, 아무 것도 출력도 하지 않는다(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가 미사용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링 버스 스위치(220)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제어부(210)를 기점으로서 패킷 데이터는, 프린트 처리부(230), 루프백 처리부(240) 및 스캔 처리부(250)를 통해 순차로 회전하고, 시스템 제어부(210)에 되돌아간다. 이로 인해, 메인 콘트롤러부(200)만을 구비하는 구성, 즉 확장 콘트롤러부(201)를 접속하지 않는 구성에 있어서, 메인 콘트롤러부(200)내부에 대역폭의 효율을 고려한 이상적인 링 버스(202)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9는, 메인 콘트롤러부(200)와 확장 콘트롤러부(201)가 연결시켜져서 링 버스(202)를 형성하는 경우의 접속 제어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접속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설정 값(각 제어용 레지스터의 값)은 아래와 같다.
(표 2)
Figure 112017086781710-pat00002
즉, 도 9의 접속 제어를 행할 경우, 스위치601은 설정 값 "1000"에 따라, "입력4"에 대응하는 스캔 처리부(25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시스템 제어부(210)에 출력한다. 스위치602는 설정 값 "1000"에 따라, "입력4"에 대응하는 시스템 제어부(21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프린트 처리부(230)에 출력한다. 스위치603은 설정 값 "0000"에 따라, 아무 것도 출력도 하지 않는다(루프백 처리부(240)가 미사용된 상태가 된다). 스위치604는 설정 값 "0001"에 따라, "입력1"에 대응하는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스캔 처리부(250)에 출력한다. 스위치605는 설정 값 "0010"에 따라, "입력2"에 대응하는 프린트 처리부(23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에 출력한다. 이렇게 링 버스 스위치(220)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제어부(210)를 기점으로서 패킷 데이터는, 프린트 처리부(230),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 및 스캔 처리부(250)를 통해, 순차로 회전하고, 시스템 제어부(210)에 되돌아간다. 이렇게 메인 콘트롤러부(200)내의 루프백 처리부(240)를 사용하지 않는 것에 의해, RAM(291b)에의 데이터 전송로의 혼잡이 완화되어, 메인 콘트롤러부(200)의 성능저하를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확장 콘트롤러부(201)의 링 버스 스위치(221)에서는, 스위치611, 612 및 614는 설정 값 "0000"에 따라, 아무 것도 출력도 하지 않는다(시스템 제어부(211), 프린트 처리부(231), 스캔 처리부(250)가 미사용된 상태가 된다). 스위치613은 설정 값 "0001"에 따라, "입력1"에 대응하는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1)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루프백 처리부(241)에 출력한다. 스위치615는 설정 값 "0100"에 따라, "입력3"에 대응하는 루프백 처리부(241)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1)에 출력한다. 이렇게 링 버스 스위치(221)를 제어함으로써, 확장 콘트롤러부(201)에 입력된 패킷 데이터는, 루프백 처리부(241)를 통해 회전하고, 메인 콘트롤러부(200)에 되돌아간다.
메인 콘트롤러부(200)와 확장 콘트롤러부(201)와의 조합에 의해 링 버스(202)를 형성하는 경우에도, 도 9에 나타낸 것 같은 접속 제어를 행함으로써, 메인 콘트롤러부(200)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와 같은 접속순을 실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시스템 제어부(210)를 기점으로서 패킷 데이터가, 프린트 처리부(230), 루프백 처리부(241) 및 스캔 처리부(250)를 통해 순차로 회전해서 시스템 제어부(210)에 되돌아가는, 대역폭 효율이 높은 1개의 링 버스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설정 값은 고정 값이며, 링 버스(202)를 동작시키기 전에 그 값이 확정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단, 링 버스(202)를 동작시키기 전에 그 값을 확정할 수 있는 구성이면 좋고, 메인 콘트롤러부(200) 및 확장 콘트롤러부(201)의 외부로부터 설정 변경가능한 구성이여도 좋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제어용 레지스터 값을 편집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서, 유저가 조작부(130)를 통해 새로운 값을 설정할 수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때, 상기 소프트웨어는 시스템 제어부(210)의 CPU(310)가 실행하고, 확장 콘트롤러부(201)의 시스템 제어부(211)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확장 콘트롤러부(201)의 링 버스 스위치 설정부(271)에 있어서의 제어용 레지스터 값의 변경에 대해서도, 메인 콘트롤러부(200)의 시스템 제어부(210)가,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 및 281)를 통해 행해진다.
<제1 변형 예>
상술한 도 9의 예에서는, 메인 콘트롤러부(200)내의 루프백 처리부(240)를 사용하지 않고 확장 콘트롤러부(201)내의 루프백 처리부(241)를 사용했다. 다음에, 메인 콘트롤러부(200)내의 프린트 처리부(230)를 사용하지 않고 확장 콘트롤러부(201)내의 프린트 처리부(231)를 사용하는 측면을, 제1 변형 예로서 설명한다. 상술한 실시 예와는, 메인 콘트롤러부(200) 및 확장 콘트롤러부(201)내의 링 버스 스위치(220 및 221)의 설정과, 프린터부(140)의 접속처가 다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콘트롤러부>
도 10은, 본 변형 예에 따른 콘트롤러부(120')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콘트롤러부(120')의 구성은, 도 2에 나타낸 콘트롤러부(120)와 같다. 다시 말해, 메인 콘트롤러부(200), 확장 콘트롤러부(201), 링 버스(202), ROM(290), RAM(291a∼291c), HDD(292) 및 PHY(293)로 구성된다. 본 변형 예에 있어서는, 확장 콘트롤러부(201)의 프린트 처리부(231)로부터 프린터부(140)에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때문에, 프린터부(140)는 확장 콘트롤러부(201)에 접속된다. 도 10에 있어서, 그레이 아웃 표시되어 있는 모듈, 즉 프린트 처리부(230), 시스템 제어부(211), 루프백 처리부(241) 및 스캔 처리부(251)는, 본 변형 예에 있어서 동작시킬 필요가 없는 모듈을 의미하고 있다.
<링 버스 스위치 제어>
도 11은, 본 변형 예에 따른 메인 콘트롤러부(200)와 확장 콘트롤러부(201)가 연결시켜져서 링 버스(202)를 형성하는 경우의 접속 제어를 나타내고 있다. 메인 콘트롤러부(200)의 링 버스 스위치(220)에 의해, 스위치601은, 스캔 처리부(25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시스템 제어부(210)에 출력하도록 제어된다. 스위치602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고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스위치603은,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루프백 처리부(240)에 출력하도록 제어된다. 스위치604는, 루프백 처리부(24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스캔 처리부(250)에 출력하도록 제어된다. 스위치605는, 시스템 제어부(21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에 출력하도록 제어된다. 이렇게 링 버스 스위치(220)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제어부(210)를 기점으로서 패킷 데이터는,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 루프백 처리부(240) 및 스캔 처리부(250)를 통해 순차로 회전하고, 시스템 제어부(210)에 되돌아간다. 이렇게 메인 콘트롤러부(200)내의 프린트 처리부(230)를 사용하지 않는 것에 의해, RAM(291b)에의 데이터 전송로의 혼잡이 완화되어, 메인 콘트롤러부(200)의 성능저하를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확장 콘트롤러부(201)의 링 버스 스위치(221)에 의해, 스위치611, 613 및 614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고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스위치612는,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1)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프린트 처리부(231)에 출력하도록 제어된다. 스위치615는, 프린트 처리부(231)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1)에 출력하도록 제어된다. 이렇게 링 버스 스위치(221)를 제어함으로써, 확장 콘트롤러부(201)에 입력된 패킷 데이터는, 프린트 처리부(231)를 통해 회전하고, 메인 콘트롤러부(200)에 되돌아간다.
본 변형 예에 의하면, 시스템 제어부(210)를 기점으로서 패킷 데이터는, 프린트 처리부(231), 루프백 처리부(240) 및 스캔 처리부(250)를 통해 순차로 회전하고, 시스템 제어부(210)에 되돌아가는 링 버스(202)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변형 예>
계속해서, 메인 콘트롤러부(200)내의 스캔 처리부(250)를 사용하지 않고 확장 콘트롤러부(201)내의 스캔 처리부(251)를 사용하는 측면을, 제2 변형 예로서 설명한다. 제2 변형 예는, 상술한 실시 예와는, 메인 콘트롤러부(200) 및 확장 콘트롤러부(201)내의 링 버스 스위치(220 및 221)의 설정과, 스캐너부(110)의 접속처가 다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콘트롤러부>
도 12는, 본 변형 예에 따른 콘트롤러부(120")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콘트롤러부(120")의 구성도, 도 2에 나타낸 콘트롤러부(120)와 같다. 다시 말해, 메인 콘트롤러부(200), 확장 콘트롤러부(201), 링 버스(202), ROM(290), RAM(291a∼291c), HDD(292) 및 PHY(293)로 구성된다. 본 변형 예에 있어서는, 확장 콘트롤러부(201)의 스캔 처리부(251)로부터 스캐너부(110)에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때문에, 스캐너부(110)는 확장 콘트롤러부(201)에 접속된다. 도 12에 있어서, 음영 상태로 도시된 모듈, 즉 프린트 처리부(231), 시스템 제어부(211), 루프백 처리부(241) 및 스캔 처리부(250)는, 본 변형 예에 있어서 동작시킬 필요는 없는 모듈인 것을 의미하고 있다.
<링 버스 스위치제어>
도 13은, 본 변형 예에 따른 메인 콘트롤러부(200)와 확장 콘트롤러부(201)가 연결시켜져서 링 버스(202)를 형성하는 경우의 접속 제어를 나타내고 있다.
메인 콘트롤러부(200)의 링 버스 스위치(220)에 의해, 스위치601은,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시스템 제어부(210)에 출력하도록 제어된다. 스위치602는, 시스템 제어부(21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프린트 처리부(230)에 출력하도록 제어된다. 스위치603은, 프린트 처리부(23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루프백 처리부(240)에 출력하도록 제어된다. 스위치604는,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고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스위치605는, 루프백 처리부(24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에 출력하도록 제어된다. 이렇게 링 버스 스위치(220)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제어부(210)를 기점으로서 패킷 데이터는,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 프린트 처리부(230) 및 루프백 처리부(240)를 통해 순차로 회전하고, 시스템 제어부(210)에 되돌아간다. 이렇게 메인 콘트롤러부(200)내의 스캔 처리부(250)를 사용하지 않는 것에 의해, RAM(291b)에의 데이터 전송로의 혼잡이 완화되어, 메인 콘트롤러부(200)의 성능 저하를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확장 콘트롤러부(201)의 링 버스 스위치(221)에 의해, 스위치611, 612 및 613은,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고 아무것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된다. 스위치614는,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1)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스캔 처리부(251)에 출력하도록 제어된다. 스위치615는, 스캔 처리부(251)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1)에 출력하도록 제어된다. 이렇게 링 버스 스위치(221)를 제어함으로써, 확장 콘트롤러부(201)에 입력된 패킷 데이터는, 스캔 처리부(251)를 통해 회전하고, 메인 콘트롤러부(200)에 되돌아간다.
본 변형 예에 의하면, 시스템 제어부(210)를 기점으로서 패킷 데이터는, 프린트 처리부(230), 루프백 처리부(240) 및 스캔 처리부(251)를 통해 순차로 회전하고, 시스템 제어부(210)에 되돌아가는 링 버스(202)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2개의 변형 예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에서는, 확장 콘트롤러부(201)의 구성은 메인 콘트롤러부(200)와 같은 구성하고 있지만, 일부가 다른 구성이 허용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콘트롤러부(200)와 확장 콘트롤러부(201) 각각은 링 버스 스위치 설정부(270, 271)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그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공통되는 1개의 링 버스 스위치 설정부에 의해, 링 버스 스위치(220, 221) 양쪽의 스위치 제어를 행하는 구성이 허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능 확장 모듈을 추가하는 경우에, 링 버스상의 각 화상처리 모듈을, 대역폭을 고려한 효율적인 순서로 접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각 콘트롤러부(각 기판)가 갖는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의 수는 1개이었다. 다음에,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이 각 기판에 2개 있는 측면을, 제2 실시예로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주로 설명한다.
<콘트롤러부>
도 14a 내지 14c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콘트롤러부(1400)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콘트롤러부(1400)는, 메인 콘트롤러부(200')와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에, 제2의 확장 콘트롤러부(201")가 더욱 추가된 구성을 갖는다. 메인 콘트롤러부(200')와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는, 제1 실시예의 도 2에 도시된 메인 콘트롤러부(200)와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2의 확장 콘트롤러부(201")는,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제로 확장 기능으로서 사용하는 것은,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의 루프백 처리부(241)와 제2의 확장 콘트롤러부(201")의 루프백 처리부(242)다. 따라서, 동작시킬 필요가 없는 시스템 제어부(211' 및 212), 프린트 처리부(231 및 232), 스캔 처리부(251 및 252)는, 도 14a 내지 14c에 있어서 음영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 실시예와 본 실시예간의 큰 차이는, 각 콘트롤러부(각 기판)가, 외부 모듈과 접속하기 위한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을 2개 가지고 있는 점이다. 다시 말해, 메인 콘트롤러부(200')는, 제1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와 제2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는, 제1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1')와 제2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2의 확장 콘트롤러부(201")는, 제1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2)와 제2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5)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메인 콘트롤러부(200')의 제1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는, 제1 실시예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에 대응한다. 다시 말해, 제1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는, 메인 콘트롤러부(200')의 링 버스 스위치(220')와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를 접속한다. 도 14a 내지 14c에 나타낸 예에서는, 메인 콘트롤러부(200')의 제2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3)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음영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의 제1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1')는, 링 버스 스위치(221')와 메인 콘트롤러부(200')를 접속한다. 그리고,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의 제2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4)는, 링 버스 스위치(221')와 제2의 확장 콘트롤러부(201")를 접속한다. 제2의 확장 콘트롤러부(201")의 제1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2)는, 링 버스 스위치(222)와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를 접속한다. 제2의 확장 콘트롤러부(201")의 제2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5)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음영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 콘트롤러부끼리를, 각각이 2개씩 갖는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을 사용해서 접속하는 것으로, 1개의 링 버스(1401)를 형성하고 있다.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를 사용하지만 제2의 확장 콘트롤러부(20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의 제2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4)를 미사용 상태로 해서 링 버스(1401)를 되접어 꺾으면 좋다. 각 콘트롤러부내의 시스템 제어부나 패킷 데이터의 구조, 및 프린트 처리부, 루프백 처리부 및 스캔 처리부의 각 기능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와 매우 똑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링 버스 스위치>
도 15는, 메인 콘트롤러부(200')내의 링 버스 스위치(220')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다.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내의 링 버스 스위치(221') 및 제2의 확장 콘트롤러부(201")내의 링 버스 스위치(222)의 내부구성도 이것과 같다. 링 버스 스위치(220')는, 링 버스(1401)에 있어서 데이터의 전송처가 될 수도 있는 각 모듈의 총수와 같은 수로 내부에 스위치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제어부(210'), 프린트 처리부(230), 루프백 처리부(240), 스캔 처리부(250), 및 제1과 제2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 및 283) 각각에 대응하는 6개의 스위치1501∼1506을 가진다. 링 버스 스위치(220')는, 내부에 6개의 스위치1501∼1506을 가진다. 스위치1501∼1506의 각각은, 링 버스 스위치 설정부(270)'에 의해 설정된 값(설정 값)에 따라서 링 버스 스위치(220')내의 링 버스(1401)의 접속순을 바꾼다. 이로 인해, 시스템 제어부(210'), 프린트 처리부(230), 루프백 처리부(240), 스캔 처리부(250) 및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의 각 링 버스(1401)상에서의 목적에 따라 접속순을 변경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같이, 상기 설정 값은 고정 값이지만, 링 버스(1401)를 동작시키기 전에 그 값을 확정할 수 있는 구성이면 허용되어도 되고, 외부에서 설정 변경가능한 구성이 허용되어도 된다.
<링 버스 스위치 제어>
도 16, 도 17 및 도 18a 내지 18c는, 각각, 링 버스 스위치(220')(혹은 221' 및 222)에 의한 링 버스(1401)의 접속 제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메인 콘트롤러부(200')내에서 링 버스(1401)가 완결하는 경우의 접속 제어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은, 메인 콘트롤러부(200')와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가 연결시켜져서 링 버스(1401)를 형성하는 경우의 접속 제어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a 내지 18c는, 메인 콘트롤러부(200')에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가 연결시켜지고, 한층 더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에 제2의 확장 콘트롤러부(201")가 연결시켜져서, 링 버스(1401)를 형성하는 경우의 접속 제어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링 버스 스위치 설정부(270)'의 내부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링 버스 스위치 설정부(270')는, 스위치1501∼1506을 제어하기 위한 레지스터(제어용 레지스터) 1910∼1960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각 제어용 레지스터1910∼1960은 5bit의 레지스터로 구성되고, 예를 들면, "bit0"에 "1"을 설정하는 경우는 "입력1"이 그 스위치의 출력과 접속되게 된다. 마찬가지로, "bit1"에 "1"을 설정하는 경우는 "입력2"가, "bit2"에 "1"을 설정하는 경우는 "입력3"이, "bit3"에 "1"을 설정하는 경우는 "입력4"가, "bit4"에 "1"을 설정하는 경우는 "입력5"가 그 스위치의 출력과 각각 접속되게 된다. 도 16, 도 17 및 도 18a 내지 18c에 나타낸 접속 제어를 행하는 경우의 각 설정 값(각 제어용 레지스터의 값)은 아래와 같다.
(표 3)
Figure 112017086781710-pat00003
우선, 도 16의 접속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낸 구성의 경우, 제1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 및 제2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3)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음영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스위치1501은 설정 값 "01000"에 따라, "입력4"에 대응하는 스캔 처리부(25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시스템 제어부(210')에 출력한다. 스위치1502는 설정 값 "01000"에 따라, "입력4"에 대응하는 시스템 제어부(21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프린트 처리부(230)에 출력한다. 스위치1503은 설정 값 "00010"에 따라, "입력2"에 대응하는 프린트 처리부(23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루프백 처리부(240)에 출력한다. 스위치1504는 설정 값 "00010"에 따라, "입력2"에 대응하는 루프백 처리부(24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스캔 처리부(250)에 출력한다. 스위치1505 및 1506은 설정 값 "00000"에 따라, 아무 것도 출력도 하지 않는다(제1 및 제2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 및 283)가 미사용 상태가 된다). 이렇게 링 버스 스위치(220')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제어부(210')를 기점으로서 패킷 데이터는, 프린트 처리부(230), 루프백 처리부(240) 및 스캔 처리부(250)를 통해 순차 회전하고, 시스템 제어부(210)에 되돌아간다. 이로 인해, 메인 콘트롤러부(200')만으로의 구성, 즉 확장 콘트롤러부(201')를 접속하지 않는 구성에 있어서, 메인 콘트롤러부(200') 내부에 대역폭의 효율을 고려한 이상적인 링 버스(1401)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17의 접속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낸 구성의 경우, 쌍방의 콘트롤러부내의 제2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3 및 284)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음영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메인 콘트롤러부(200')에 있어서, 스위치1501은 설정 값 "01000"에 따라, "입력4"에 대응하는 스캔 처리부(25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시스템 제어부(210')에 출력한다. 스위치1502는 설정 값 "01000"에 따라, "입력4"에 대응하는 시스템 제어부(21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프린트 처리부(230)에 출력한다. 스위치1503 및 1506은 설정 값 "00000"에 따라, 아무 것도 출력도 하지 않는다(루프백 처리부(240) 및 제2의 링 버스 인터페이스(283)가 미사용 상태가 된다). 스위치1504는 설정 값 "00001"에 따라, "입력1"에 대응하는 제1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스캔 처리부(250)에 출력한다. 스위치1505는 설정 값 "00100"에 따라, "입력3"에 대응하는 프린트 처리부(23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제1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에 출력한다. 이렇게 링 버스 스위치(220')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제어부(210')를 기점으로서 패킷 데이터는, 프린트 처리부(230), 제1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 및 스캔 처리부(250)를 통해 순차 회전하고, 시스템 제어부(210')에 되돌아간다. 이렇게 메인 콘트롤러부(200')내의 루프백 처리부(240)를 사용하지 않는 것에 의해, RAM(291b)에의 데이터 전송로의 혼잡이 완화되어, 메인 콘트롤러부(200')의 성능저하를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확장 콘트롤러부(201')에 있어서, 스위치1511, 1512, 1514 및 1516은 설정 값 "00000"에 따라, 아무 것도 출력도 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시스템 제어부(211)', 프린트 처리부(231), 스캔 처리부(251) 및 제2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4)가 미사용 상태가 된다. 스위치1513은 설정 값 "00001"에 따라, "입력1"에 대응하는 제1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1')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루프백 처리부(241)에 출력한다. 스위치1515는 설정 값 "01000"에 따라, "입력4"에 대응하는 루프백 처리부(241)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제1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1')에 출력한다. 이렇게 링 버스 스위치(221')를 제어함으로써, 확장 콘트롤러부(201')에 입력된 패킷 데이터는, 루프백 처리부(241)를 회전하고, 메인 콘트롤러부(200')에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메인 콘트롤러부(200')에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만을 접속한 구성(제2의 확장 콘트롤러부(201")가 접속되지 않는 구성)에 있어서, 대역폭의 효율을 고려한 이상적인 1개의 링 버스(1401)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도 18a 내지 18c의 접속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8a 내지 18c에 나타낸 구성의 경우, 각 콘트롤러부내의 제1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 281', 282) 및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내의 제2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4)를 통하여, 3개의 콘트롤러부가 서로 접속된다. 메인 콘트롤러부(200')내의 제2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3) 및 제2의 확장 콘트롤러부(201")내의 제2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5)는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음영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메인 콘트롤러부(200')에 있어서, 스위치1501은 설정 값 "01000"에 따라, "입력4"에 대응하는 스캔 처리부(25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시스템 제어부(210')에 출력한다. 스위치1502는 설정 값 "01000"에 따라, "입력4"에 대응하는 시스템 제어부(21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프린트 처리부(230)에 출력한다. 스위치1503 및 1506은 설정 값 "00000"에 따라, 아무 것도 출력도 하지 않는다(루프백 처리부(240) 및 제2의 링 버스 인터페이스(283)가 미사용 상태가 된다). 스위치1504는 설정 값 "00001"에 따라, "입력1"에 대응하는 제1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스캔 처리부(250)에 출력한다. 스위치1505는 설정 값 "00100"에 따라, "입력3"에 대응하는 프린트 처리부(230)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제1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에 출력한다. 이렇게 링 버스 스위치(220')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제어부(210')를 기점으로서 패킷 데이터는, 프린트 처리부(230), 제1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0') 및 스캔 처리부(250)를 통하여 순차 회전하고, 시스템 제어부(210')에 되돌아간다. 이렇게 메인 콘트롤러부(200')내의 루프백 처리부(240)를 사용하지 않는 것에 의해, RAM(291b)에의 데이터 전송로의 혼잡이 완화되어, 메인 콘트롤러부(200')의 성능저하를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에 있어서, 스위치1511, 1512 및 1514는 설정 값 "00000"에 따라, 아무 것도 출력도 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시스템 제어부(211)', 프린트 처리부(231) 및 스캔 처리부(251)가 미사용 상태가 된다. 스위치1513은 설정 값 "00001"에 따라, "입력1"에 대응하는 제1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1')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루프백 처리부(241)에 출력한다. 스위치1515는 설정 값 "00001"에 따라, "입력1"에 대응하는 제2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4)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제1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1')에 출력한다. 스위치1516은 설정 값 "10000"에 따라, "입력5"에 대응하는 루프백 처리부(241)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제2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4)에 출력한다. 이렇게 링 버스 스위치(221')를 제어함으로써, 메인 콘트롤러부(200')로부터 입력된 패킷 데이터는, 루프백 처리부(241)를 통하여 회전하고, 일단 제2의 확장 콘트롤러부(201")에 출력된다. 그리고, 패킷 데이터는 다시 제2의 확장 콘트롤러부(201")로부터 입력되어, 메인 콘트롤러부(200')에 출력된다.
그리고, 제2의 확장 콘트롤러부(201")에 있어서, 스위치1521, 1522, 1524 및 1526은 설정 값 "00000"에 따라, 아무 것도 출력도 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시스템 제어부(212), 프린트 처리부(232), 스캔 처리부(252) 및 제2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5)가 미사용 상태가 된다. 스위치1523은 설정 값 "00001"에 따라, "입력1"에 대응하는 제1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2)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루프백 처리부(242)에 출력한다. 스위치1525는 설정 값 "01000"에 따라, "입력4"에 대응하는 루프백 처리부(242)로부터의 패킷 데이터를 제1의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282)에 출력한다. 이렇게 링 버스 스위치(222)를 제어함으로써,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로부터 입력된 패킷 데이터는, 루프백 처리부(242)를 통하여 회전하고,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에 되돌아간다.
이상과 같이, 메인 콘트롤러부(200')에 제1 및 제2의 확장 콘트롤러부(201' 및 202)를 접속한 구성에 있어서, 대역폭의 효율을 고려한 이상적인 1개의 링 버스(1401)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콘트롤러부(200')에 대하여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가 접속되고, 더욱 해당 제1의 확장 콘트롤러부(201')에 제2의 확장 콘트롤러부(201")가 접속되는 구성을 설명했지만, 그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2의 확장 콘트롤러부(201")에 대하여 더욱 제3의 확장 콘트롤러부를 접속하는 등, 추가되는 기능 확장 모듈의 수는 3개이상이여도 좋다. 기능 확장 모듈을 3개이상 접속할 경우는, 전술한 도 18a 내지 18c의 경우와 같이, 링 버스 스위치를 사용한 링 버스의 접속 제어를 행하면 좋다. 기능 확장 모듈의 수가 3개이상인 경우에도, 대역폭의 효율을 고려한 이상적인 1개의 링 버스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콘트롤러부와 동일 구성의 확장 콘트롤러부를 접속해서 기능 확장을 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 경우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같은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을 2개 구비한 확장용 프린트 기판등을 추가 함에 의해, 새로운 화상처리 기능을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고성능의 RIP처리부를 갖는 확장 콘트롤러부를 접속 함에 의해, 프로덕션 프린트의 분야에 대응하는 기능을 확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 본 실시예와 같이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을 2개 구비하는 것으로, 제1 실시예에서는 링 버스 형성을 위한 쇼트 회로(쇼트 기판)가 여전히 필요한 회로 구성에 있어서도 쇼트 기판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도 20a 및 20b는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이 1개 있을 경우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1a 및 21b는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이 2개 있을 경우의 효과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20a는, 확장 기판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종래의 회로 구성도다. 제어부를 구성하는 메인 기판이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 또는 링 버스 스위치도 갖지 않기 때문에, 확장 기판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링 버스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회로를 쇼트시키는 쇼트 기판이 필요하게 된다. 이것에 대하여, 도 20b는, 마찬가지로 확장 기판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로 구성도다. 메인 기판이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을 1개 갖는 구성의 경우, 확장 기판을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도, 전술한 링 버스 스위치 제어에 의해 메인 기판내에서 쇼트시킬 수 있다. 즉, 확장 기판을 사용하지 않고 메인 기판내에서 링 버스를 완결시킬 경우에, 링 버스를 형성하기 위한 쇼트 기판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도 21a는, 확장 기판을 사용해서 기능 확장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적용했을 경우의 회로 구성도다. 메인 기판 및 확장 기판이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을 각각 1개 구비하는 구성의 경우, 확장 기판을 사용하는 상태에서는, 링 버스를 형성하기 위한 쇼트 기판이 마찬가지로 필요하게 된다.
도 21b는, 확장 기판을 사용해서 기능 확장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적용했을 경우의 회로 구성도다. 확장 기판이 링 버스 외부 인터페이스 모듈을 2개 구비하기 때문에, 확장 기판을 사용하는 상태에서도, 전술한 링 버스 스위치 제어에 의해 확장 기판내에서 쇼트시킬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서는 여전히 필요하게 되는 링 버스 형성을 위한 쇼트 기판이, 제2 실시예에서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링 버스를 완결시키기 위한 쇼트 기판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비용 삭감이 가능해진다.
(그 밖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능 확장 모듈을 링 버스상의 원하는 위치에 접속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링 버스상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24)

  1. 제1 모듈, 제2 모듈 및 제3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들을 갖는 제1콘트롤러부;
    제2콘트롤러부를 부착가능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복수의 모듈들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인터페이스의 출력처를 설정하는 콘트롤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2콘트롤러부가 상기 인터페이스에 부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모듈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가 상기 제2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3 모듈에 입력되도록, 상기 콘트롤 모듈은 상기 제2 모듈과 상기 제3 모듈의 데이터의 출력처를 설정하고,
    상기 제2콘트롤러부가 상기 인터페이스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모듈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가 상기 제2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3 모듈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도록, 상기 콘트롤 모듈은 상기 제2 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의 데이터의 출력처를 설정하는, 정보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모듈은, 상기 인터페이스가 상기 제2콘트롤러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출력처를 설정가능한, 정보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스캐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모듈들은, 상기 스캐너부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캐너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모듈은, 상기 제2콘트롤러부가 상기 인터페이스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제2콘트롤러부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의 출력처를 상기 스캐너 처리 모듈로 설정하는, 정보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프린터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모듈들은, 상기 프린터부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린트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은 상기 프린트 처리 모듈인, 정보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프린터부; 및
    스캐너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모듈들은, 상기 프린터부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린트 처리 모듈과 상기 스캐너부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캐너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정보처리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콘트롤러부는 상기 제3 모듈과 같은 기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4 모듈을 갖고,
    상기 제2 콘트롤러부가 상기 인터페이스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제2 모듈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4 모듈에 입력되고, 상기 제4 모듈들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상기 제3 모듈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1 모듈에 입력되는, 정보처리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들의 총수와 같은 수의 스위치들을 갖는 스위치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콘트롤 모듈은, 상기 복수의 모듈들 중 하나의 모듈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전송처를 지정하는 설정 값에 따라, 상기 스위치들 각각을 설정하는, 정보처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값을 기억하기 위한, 상기 스위치들 각각에 대응하는 레지스터를 구비하고,
    상기 레지스터에 기억된 값에 의해, 상기 복수의 모듈들 중에서 전송처인 모듈이 지정되는, 정보처리장치.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모듈은, 상기 복수의 모듈들 중 사용하지 않는 모듈을, 상기 복수의 모듈들 중 다른 모듈에 접속하지 않는, 정보처리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값이 변경가능한, 정보처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유저가 입력 조작을 행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설정 값이, 상기 조작부를 통해 변경가능한, 정보처리장치.
  15. 삭제
  16. 반도체 집적회로로서,
    제1 모듈, 제2 모듈 및 제3 모듈을 포함하는 복수의 모듈들;
    다른 반도체 집적회로에 부착가능하고,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와 다른, 상기 부착된 다른 반도체 집적회로에 데이터를 송신가능한 인터페이스; 및
    상기 복수의 모듈들의 데이터의 출력처와 상기 인터페이스의 데이터의 출력처를 설정가능한 콘트롤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콘트롤 모듈은,
    상기 다른 반도체 집적회로가 상기 인터페이스에 부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모듈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가 상기 제2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3 모듈에 입력되도록, 상기 제2 모듈과 상기 제3 모듈의 데이터의 출력처를 설정하고,
    상기 다른 반도체 집적회로가 상기 인터페이스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제1 모듈에 의해 출력된 데이터가 상기 제2 모듈을 통해 상기 제1 모듈과, 상기 제3 모듈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인터페이스에 입력되도록, 상기 제2 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의 데이터의 출력처를 설정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모듈은, 상기 인터페이스가 상기 다른 반도체 집적회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출력처를 설정가능한, 반도체 집적회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모듈들은, 스캐너부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스캐너 처리 모듈을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모듈은, 상기 인터페이스가 상기 다른 반도체 집적회로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출력처를 상기 스캐너 처리 모듈로 설정가능한, 반도체 집적회로.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은, 프린터부에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린트 처리 모듈인, 반도체 집적회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반도체 집적회로는 상기 제3 모듈과 같은 기능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4 모듈을 갖고,
    상기 다른 반도체 집적회로가 상기 인터페이스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제2 모듈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4 모듈에 입력되고, 상기 제4 모듈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는 상기 제3 모듈을 통과하지 않고 상기 제1 모듈에 입력되는, 반도체 집적회로.
KR1020170114219A 2016-09-13 2017-09-07 링 버스 시스템을 구비한 정보처리장치 및 반도체 집적회로 KR1021977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78589 2016-09-13
JP2016178589A JP6465843B2 (ja) 2016-09-13 2016-09-13 リング型バス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889A KR20180029889A (ko) 2018-03-21
KR102197764B1 true KR102197764B1 (ko) 2021-01-04

Family

ID=61560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4219A KR102197764B1 (ko) 2016-09-13 2017-09-07 링 버스 시스템을 구비한 정보처리장치 및 반도체 집적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23557B2 (ko)
JP (1) JP6465843B2 (ko)
KR (1) KR102197764B1 (ko)
CN (1) CN1078199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70187B2 (ja) * 2018-07-13 2022-05-18 株式会社リコー データ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0150971A1 (en) * 2019-01-24 2020-07-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Extension module for independently storing calibration data, component, and component calibration method
JP7256660B2 (ja) 2019-03-13 2023-04-1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4975A1 (en) * 2002-02-21 2003-09-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130060993A1 (en) * 2010-08-31 2013-03-07 Chanik Park Storage device and stream filte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7819A (ja) * 1994-11-04 1996-05-31 Hitachi Ltd 接続制御装置
JPH1145136A (ja) * 1997-07-29 1999-02-16 Ricoh Co Ltd 画像データ・パス切り替え装置
US6930798B1 (en) * 1999-05-12 2005-08-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ation system control method, image format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JP3417369B2 (ja) * 1999-11-05 2003-06-16 日本電気株式会社 バススイッチ用アダプタ、バススイッチ用ブリッジ、バススイッチ、およびバススイッチシステム
US7315388B2 (en) * 2001-01-24 2008-01-01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input/output control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data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ata communication method
JP4065550B2 (ja) * 2001-01-31 2008-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入出力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入出力制御装置における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装置における画像処理方法
JP4432402B2 (ja) 2003-08-04 2010-03-17 ソニー株式会社 リング型バスシステム
JP4697924B2 (ja) * 2004-06-07 2011-06-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転送方法
US7809871B2 (en) * 2006-12-07 2010-10-05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Common access ring system
JP4936526B2 (ja) * 2007-01-22 2012-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JP5014362B2 (ja) 2009-02-25 2012-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546278B2 (ja) 2010-02-17 2014-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EP2668753B1 (en) 2011-01-28 2017-10-04 Napatech A/S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ceiving and forwarding data packets
JP6136802B2 (ja) * 2013-09-18 2017-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端末装置
KR20160004759A (ko) 2014-07-04 2016-01-13 에스케이하이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US20160034411A1 (en) * 2014-08-04 2016-02-04 Qualcomm Innovation Center, Inc. Subsystem Peripheral Ownership Scheduling and Reconfiguration for Highly Integrated System on Chips
JP2016170281A (ja) * 2015-03-12 2016-09-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連結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64975A1 (en) * 2002-02-21 2003-09-0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20130060993A1 (en) * 2010-08-31 2013-03-07 Chanik Park Storage device and stream filte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19969B (zh) 2020-04-28
CN107819969A (zh) 2018-03-20
JP2018045367A (ja) 2018-03-22
KR20180029889A (ko) 2018-03-21
US10423557B2 (en) 2019-09-24
JP6465843B2 (ja) 2019-02-06
US20180074986A1 (en)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60182B2 (ja) 画像処理装置
US778248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438358B2 (ja) データ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838492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with a reconstruction circuit, and control method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KR102197764B1 (ko) 링 버스 시스템을 구비한 정보처리장치 및 반도체 집적회로
JP201107165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それら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54760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474938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US20090316169A1 (en) Controller unit and control method performed by controller unit
JP2013066072A (ja) 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画像読取方法、画像読取プログラム
US824334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the same
US9558432B2 (en) Buffer management technology in image forming apparatus
US851444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an address for image data depends on whether the image data is input via a detachable image processing device
KR102230913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반도체 집적 회로
JP3669574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4063840B2 (ja) 画像処理装置
JP3670918B2 (ja) 画像処理装置
JP2013123193A (ja) 読取画像処理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読取画像処理方法
JP2010147818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モジュール
JP2001186355A (ja) 画像処理装置
JP201808675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27886A (ja) 画像処理装置
JP2002073296A (ja) プリンタコントローラ装置
JP2006259913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601437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